You are on page 1of 37

Chap.

3 기술혁신 프로세스와 패턴

김진한
1. 기술혁신 프로세스

2
기술혁신 프로세스

3
2. 기술혁신 모형

4
기술혁신 모형
선형순차모형

5
신제품을 위한 R&D를 구현하는 과정에 입각하여 연구(research), 개발

(development), 사업화(commercialization)라는 시간별 R&D 단계에 수행주체, 주

활동, 비용의 개념을 연관

연구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로 분류하고 기초연구는 정부와 대학, 응용연구는 대

학과 기업이 주 주체가 되며, 개발과 사업화는 대학과 기업이 중심이 되는 방식의

설명

국가 R&D 시스템이나 기업의 R&D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해 자주 사용

이 프레임워크는 기본적 R&D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나 기술 구매와 같은

외부 기술지식의 획득은 반영하지 않는 모델

6
프로세스 모형

7
아이디어 창출
기술 및 시장 환경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 분류, 정리, 분석이 필요
이러한 활동은 주로 기술기획 활동에 해당하며, 정보의 원천으로서 내부 정보뿐만 아니라
그 크기가 더 큰 외부 정보를 안테나(antenna)와 레이더(radar) 역할을 하는 소위 문지기
(gatekeeper)를 통해 수집하여 연구계획서를 성공적으로 수립
기술기획은 크게 시장의 수요를 인식한 후 기술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시장유인
(marke-pull) 방식과 기술개발의 결과를 적절한 용도로 전환하는 기술추진(technology-
push) 방식으로 분류
R&D 단계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R&D 활동이 이 단계에서 수행
주요 활동으로는 단계별/세부과제별 명확한 목표 설정, 해결대안의 모색, R&D 프로젝트
관리 등
이 단계에서는 외부 정보보다는 내부 정보가 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접근이 용이
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1차 자료(직접 조사)와 2차 자료(논문, 발간물 등의 가공된 자
료)를 활용
그 결과는 기술혁신, 지식창출, 학습, 기술적 성공으로 나타남
사업화 및 확산
이 단계에서는 R&D를 통해 창출한 기술지식으로 상업적 성공을 목표로 사업화를 수행하
는 활동을 수행
내부와 외부 정보를 모두 균등하게 활용하여 엔지니어링 및 시장 출시로 기술혁신이 이익
창출로 연결되도록 노력하는 단계

8
동태적 모형

9
유동기(성능 극대화 시기)
제품혁신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시장에서 수요가 존재하고 경쟁 기술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가장 큰 기술혁신이 발생
그러나, 그러한 신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혁신 수준은 아직 미약한 수준으로서 산
출율을 높이기 위한 공정혁신에 초점이 주어지지 않음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신기술이 선도하는 기술혁신이 발생하나 제품혁신 수준은 처음보
다 상대적으로 점점 낮아지게 됨
예, 수소차와 배터리
과도기(판매 극대화 시기)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공정혁신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예, 전기차
경화기(비용 극소화 시기)
제품혁신 수준이 가장 낮고 공정혁신 수준도 점점 떨어지게 되어 비용 최소화를 달성하는
기업만이 생존하게 되는 시기
예, 우리나라의 보급형 스마트폰(인도와 중국의 진출)
탈성숙화(dematurity)
제품의 고급화와 같은 특정 세그먼트에 초점을 두거나 신기술 접목으로 성숙화 탈출
예,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접목하여 자동차, 가정용 가
전, AI 등과 결합된 새로운 제품혁신을 다시 시작

10
3. 기술혁신 프로세스의 특징

11
기술혁신 프로세스 특징
연속성(continuity)
기술혁신 프로세스의 본질은 시간에 따른 지식의 축적
대부분의 기술혁신은 경험과 지식을 습득하는 학습과정을 통해 축적하는
(cumulative) 방식으로 이루어짐
따라서, 실험과 실패가 중요하고 다양한 기술혁신 원천으로부터 지식 및
정보 교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
이 유형의 학습은 새로운 기술지식의 지속적 흐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점진
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
경로 의존성(path-dependence)
기술의 진화가 기본적으로 과거에 따라온 경로(혹은 궤적)에 의존한다는 관점
지금 결정된 기술적 의사결정은 혁신 프로세스의 미래 경로를 결정하면서 후
속 학습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침
특정 궤적에 기초한 기술의 진화는 오래 전에 기각된 대안적 기술이 다시 경쟁
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함
기술 패러다임, 기술 체제, 기술 이정표, 지배적 디자인은 기술적 궤적/가를 따
라 혁신 프로세스의 미래 진화를 결정하는 역사적 요인들을 반영하는 유사한
개념

12
비가역성(irreversibility)
기술혁신은 불균형적인 과정의 특성을 보임
기술혁신은 기존 기술 시스템을 파괴하는 것을 의미
기술이 한번 혁신되면 신기술은 과거 상태로 돌아가지 않음
주어진 기술 궤적의 상황에서 기술 개발은 결과를 향상시키는데 공헌하는 여
섯가지의 피드백 메카니즘을 통해 신지식을 창출
① 실행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
이것은 생산 활동에서 반복적인 업무의 성과로부터 무작위로 발생
이 학습 유형은 학습효과 및 경험효과와 함께 고려
② 사용에 의한 학습(learning by using)
사용자들이 신기술과 접촉하게 될 때 처음에 예측되지 못하는 고객의 경
험에 기초한 디자인 향상이라는 학습이 발생
이 유형의 학습 잠재력은 특히 첨단기술 부문에서 자주 발생

13
③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ies)
기술이 확산될 때 네트워크 효과라고 불리는 외부성이 항상 발생
이 현상은 두 유형으로 구분
- 직접효과(direct effects): 기술 사용자들 수의 단순한 증가는 모든 사람의 유용
성을 증가(예를 들어, 이메일, 팩스, 전화, 철도 등의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그 사용
자의 효용이 향상)
- 간접효과(indirect effects): 보완적 서비스의 공급이 효용 향상에 기여(예를 들
어, 볼 수 있는 DVD의 수의 증가로 인해 DVD 플레이어의 효용이 증가)
④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기술의 확산 및 대량 사용은 그러한 신기술의 부분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들(기
계, 시설, 부품)의 대량 생산을 허용하고 그 결과 생산의 단위비용을 축소
⑤ 보완기술(complementary technologies)
기술의 확산은 어떤 초점 기술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거나 성과를 향상시키는 보
완적 특성을 갖는 신기술 개발을 유인
⑥ 신기술에 대해 이용가능한 정보의 흐름
기술이 확산될 때 대규모 정보가 발생되고 이것은 기술 지식의 향상에 공헌
어떤 기술적 대안에 대한 정보의 확산은 잠재적 사용자들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그것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공헌

14
불확실성(uncertainty)
기술 불확실성, 수요 불확실성, 경쟁 불확실성과 같은 환경에 기초한 3대 불확
실성이 증가하는 시기에 기술혁신은 더욱 가속화되는 경향

또한, R&D에 관련된 기술의 세가지 불확실성이 존재

① R&D 활등과 연계된 기술적 불확실성


기술적 문제에 대한 솔루션이 무엇일지 혹은 그 솔루션이 예상된 시간 프레임과
비용 내에서 발견될지에 관한 이전의 지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암시

그 결과, 최고의 기술적 솔루션은 무엇인가? 그것이 실행가능한가? 그것이 작동할


것인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R&D 프로세스 내에서 계속 상존

② 기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신기술이 나타날 때 그 기술에 대한 미래의 잠재적인 활용과 효용은 명확하지 않

③ 기술 성과의 미래 진화에 대한 불확실성


기술의 미래 향상과 경제적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과 관련

15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기술혁신의 성공
기술 불확실성 해소
기술 자체의 진화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으로서 산업에서 다양한 기술들의 경쟁을
통해 특정 기술이 ‘지배적 디자인(dominant design)’으로 등장하는 과정에 초

정당성 불확실성 해소
제도의 진화에 초점을 두는 개념으로서 특정 기술과 그 기술을 지원하는 조직이
두가지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
사회정치적 정당성(socio-political legitimacy)
: 그 기술과 관련된 핵심 이해 당사자, 일반 대중, 핵심적인 여론주도 집단, 정부관
료 등이 그 기술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규범과 법규에 비추어볼 때 올바르고 정당하
다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
인지적 정당성(cognitive legitimacy)
: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식이 확산되고 그 기술이 잘 알려지면서 당연한 것으로 인
지되는 것을 의미
결국, 기술혁신은 기술을 개발한 다양한 주체뿐만 아니라 법 및 제도 및 사
회문화적 제도들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공진화 방식으로 발전

16
4. 기술혁신의 패턴

17
기술혁신 패턴의 속성
누적적(cumulative) 과정
대부분의 기술혁신은 점진적이고 누적적인 지식 획득과 축적의 결과

즉, 소규모의 개선이 장기간 누적되어 급진적 혁신으로 결과되거나 탐구(exploration)와


활용(exploitation)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거쳐 학습이 진행되어 기술의 진보가 발생

앞으로 나오게 될 수소자동차가 누적적인 지식 축적의 결과로 최종적으로 탄생하게


될 것이 틀림없기 때문에 한 예가 될 수 있음

연속적(continuous) 과정
대부분의 기술혁신은 소규모의 개선과 변화가 반복되는 연속적인 과정

즉, 기초연구->응용연구->개발->상업화와 혹은 외국 기술의 도입->소화->개선->신기술


창출 혹은 시제품 개발->제품혁신->공정혁신의 연속 형태로서 발생

갤럭시 S 시리즈가 한 사례

불균형적(non-equlibrium) 과정
기존 기술이 신기술에 의해 계속 대체되는 과정에서 기술혁신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

18
경로의존적(path-dependent) 과정
기술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발전해 온 궤적(trajectory)의 영향을 받음

즉, 앞으로 설명하게 될 기술 S-곡선의 궤적을 따라서 대부분의 기술이 발전

상호의존적(interdependent) 과정
기술들은 서로 영향을 미침

즉, 한 기술이 다른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거나(보완기술) 아키텍처 혁신의 경우에는 구성


요소간 상호연계를 통해서 전체 시스템의 혁신이 등장

제도적(institutional) 과정
기술혁신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제도가 존재한다는 의미

그 예로서 특허제도와 같은 사회제도에 의해 기술혁신이 영향을 받을 있음

또한,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보조금 제도나 충전소의 설립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은 사


회의 제도적인 특징에 의해 기술혁신이 촉진되는 사례임

19
5. 기술혁신 패턴 모형

20
배스(Bass) 모형
시간의 함수로서 특정 시장영역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적용자 수를 수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의

어떤 기술혁신의 누적 적용자의 수가 시간에 대해 그려졌을 때 그 혁신의 확산은 전형적으로
S-모양의 곡선을 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자주 검증

어떤 시간에서 N(t)는 누적 적용자 수, m는 신제품의 총 시장 잠재력이다. Bass는 상수 p와 q


를 각각 혁신과 모방의 계수로 불렀다. 계수 p는 대중매체에 기반한 비례적 적용을 포착하고
계수 q는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에 기인한 적용
단점
모수의 신뢰할만한 추정을 위해서는 많은 자료가 필요
확산 프로세스가 오직 시간이라는 설명변수로만 설명될 수 있다는 전제
대부분의 연구는 개발된 서구 경제에서 성공적인 소비 내구재에 집중하였고 실패한 제품과 서비스의 확
산과 개발도상국의 확산에 대해서는 자료뿐만 아니라 검증이 충분하지 않았음

21
S-곡선
Christensen(1992)은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 산업에서 기술진보의 패턴과
관련된 이론과 경험을 분석
디스크 드라이브 산업에서 왜 대안기술이 기존기술을 대체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자 함

결과적으로 S-곡선에 의한 분석에 따르면 기존의 자기 저장장치 기술은 S-곡선이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대체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었음

22
S-곡선과 기술 대체

신기술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경우(a) 또는 신기술이 기존 기술과 기술적


한계가 동일하나 성능의 향상속도가 더 빠를 경우(b)가 존재(예, 기계시계와 전자시계)

(a)의 경우는 기술혁신 불연속성이 발생(예, 초와 램프)

23
기술혁신 불연속성의 이유
신시장의 등장
대부분의 시장은 성장, 세분화 등의 과정을 거쳐 진화하나 특정 시기에 사전에
분석되거나 예측될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시장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음(예, SMS)

신기술의 등장
제품과 공정기술에서 발생하는 변화가 몇가지 추세의 융합과 성숙의 결과(예, 공장
자동화, 모바일 폰) 혹은 단일 대변혁의 결과(예, LED)로 나타나는 경우

새로운 정치적 규칙 등장
비즈니스가 수행되는 과거의 사고방식과 게임의 규칙 등이 도전받고 기존 기업은 이
새로운 규칙을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실패하는 경우(예, 소련 붕괴)

생각하지 못한 사건
새롭게 등장하는 규칙이 기존 기업으로부터 영향력을 뺏거나 기존 역량을 불필요하게
만듬(예, 코로나 19)

24
비즈니스 모델 혁신
신규 진입자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회를
바라보고 규칙을 재형성하지만 기존 기업들은 기껏해야 신속한 추종자 역할만 할
가능성(예, 핀테크에서 카카오뱅크와 기존은행)

아키텍처 혁신
시스템 아키텍처 수준의 변화는 구성요소 수준에서 포함된 변화에 대해 게임의
규칙을 재형성(예, 플랫폼 비즈니스)하는데 신규기업은 새로운 아키텍쳐에 더 잘 적응

기술경제적 패러다임의 변화
이 새로운 규칙이 구축될 때까지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작하는 곳을 보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 기업은 구식 모델에 대한 헌신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예,
범선효과(sailing ship effect))

탈규제/규제의 변화
규제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표준 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혁신을 위한 질서가
준비

25
6. 기타 기술혁신 패턴 모형

26
기타 기술혁신 패턴 모형
확산(diffusion)
적용 프로세스를 통해서 새로운 아이디어(예, 제품 혹은 공정기술)가 재생산되는 프로세스

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기초한 확산곡선

27
Rogers(1962)의 혁신확산 곡선

28
(1) 혁신자(모험추구자(venturesome) 혹은 선각자(visionary))

신기술에 몰두하는 열성팬(enthusiast)

다양한 정보원천을 보유하여 혁신적 기술의 사용이 그들의 생활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것을 인식

대변혁적 잠재력(breakthrough potential)을 보고 그들을 기꺼이 탐구하려는 의지 보


이 그룹의 멤버들은 대담한 위험감수자로서 사회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혁신의 확


산을 개시하는 중요한 초기 역할을 담당

(2) 초기 적용자(early adopter)

이들은 사회적 리더로서 기꺼이 신제품 개념을 초기에 구매하고 새로운 혁신들의 경
계(frontier)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혁신자들과 유사

그러나, 혁신자들과 달리 그들은 그 제품이 성공하기를 원함

즉, 그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해 열려 있으나 다른 관심사에도 이 아이디어의


편익을 보기를 원함

초기 적용자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매할 때 그들 자신의 직관에 의존하고 의사결


정시에 그 아이디어의 실제 적용에 기반하는 것을 선호
29
(3) 초기 다수(early majority)

이들은 이미 형성된 선호로 입증된 현재까지의 실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

에 실용주의자(pragmatist)로서도 언급

이들은 강한 실용성을 지향하고 심사숙고하는 성향이 있으며, 많은 비공식적인 사회

적 접촉을 하면서 유용한 생산성에 의해 동기부여

(4) 후기 다수(late majority)

이들은 초기 적용자들과 많은 특성을 공유하나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에 있으면서 새

로운 혁신의 부가가치에 대해 더욱 회의적이고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

사실상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술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경험에

기반하여 혁신이 주류(mainstream)가 되고 난 후에 적용에 관한 의사결정을 함

30
(5) 지각 수용자(laggard)

이들은 이웃과 친구가 주요 정보원천이면서 혁신에 불편함을 느끼는 회의주의자

(skeptics)로서 특징

이들은 부채가 발생할거라는 두려움으로 인해 혁신을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사람들이

고 혁신의 라이프 사이클에서 가장 늦게 시류에 편승

31
Moore(1991)의 캐즘(chasm) 모형

32
캐즘 발생 이유
첫째, 이질적 소비자 집단이 존재하여 그들 간의 혁신 적용율이 다르고
커뮤니케이션도 부족하게 이루어지기 때문

예를 들어, 초기 적용자와 초기 다수 그룹 사이에 사회·경제적 및 지리적 개성과


커뮤니케이션 특성 차이들 때문에 발생

둘째, 불연속적 혁신 때문에 존재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도입하는 혁신의 결과로서 그들 행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필요로 함

이것은 심리적 및 재무적 전환비용과 관련

셋째, 거시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발생

예를 들어, 소규모의 경기 후퇴 발생 시 소비자의 일시적 혁신 적용율이 줄어들 수


있음

이것은 계단식 정보전달(informational cascade)에 의해 확대: 때때로 사람은


잘못된 판단을 하는데 문제는 그 잘못된 판단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점을 의미

특히 선도자의 선택은 상상 이상으로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33
캐즘 극복방안
틈새 시장을 구축하고 완비된 제품을 시장에 출시

34
7. 기술혁신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5
네트워크 외부성
네트워크 외부성은 개인 간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작동하고 소비자의
신기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소비자들은 플랫폼에 가입한 소매점포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 플랫폼을 더욱 활용하려고 할


것이며, 이러한 플랫폼의 확산은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영향을 받음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사회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태성이 어떻게 확산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요구

사회적 신호(social signal)


개인은 그들의 구매를 통해서 사회적 차이 혹은 그룹 정체성 중 하나를 신호

이 신호는 그들이 동경하는 그룹(aspiration group)에서 사람들의 소비행태를 따르는 다른


사람에게 전송

36
소비자의 이질성(heterogeneity)
사회 시스템 내 구성원들의 인내수준, 혁신성, 가격 민감성, 니즈에서 이질적이기 때문에 적용
성향에 있어서도 이질성이 유지

혁신 과부하(innovation overload)
특정 혁신이 너무 빨리 진화하고 대안들이 너무 빨리 증가하여 고객이 모든 이용가능한 선택
을 직접 비교하고 그 다양성을 관리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에 발생

기타 혁신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복잡성(complexity), 양립성(compatibility), 관찰가능성(observability), 시험가능성
(trialability), 상대적 우위(relative advantage), 인식된 리스크(perceived risk), 비용(cost),
소통가능성(communicability), 분리성(divisibility), 수익성(profitability), 사회적 인정(social
approval) 등

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