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Special Theme | 인터넷표준 한국인터넷 30주년 기념 Special Report 1

한국 인터넷 역사와 표준
박 현 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지경부 DTV/방송PD

1. 머리말 우리나라 인터넷 30년 역사에서 초기 20년 역사를, 표


준과 연계하여 다루고자 한다. WiBro로 대표되는 무선
한국 최초로 만들어진 컴퓨터 네트워크 SDN(System 인터넷이나, BCN 등이 나온 최근 10년의 역사는 조금 더
Development Network)은 오픈 시스템을 기반으로 우 시간이 흐른 뒤에 다룰 수 있을 것이다.
리나라 인터넷 초창기의 십여 년간 다양한 표준 프로토
콜과 실험이 이루어지던 공간이었으며, 우리나라의 엔지 2. 한국 최초의 컴퓨터 네트워크 탄생
니어들이 함께 공유하는 커뮤니티였다. 유연성과 융통성
을 갖춘 연구 활동을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과 표준들이 2.1 UNIX 호환의 TCP/IP 네트워크 선정
경쟁하고 실험되었으며, SDN을 통해 ISO나 IETF 등 국제 한국 최초의 컴퓨터 네트워크의 개발은 1981년 과학기
표준기구, 아시아 지역의 연구기구와 공동 연구하는 기반 술부의 컴퓨터 아키텍처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을 닦았다. 또한 OSIA(개방형컴퓨터통신연구회)와 같은 시작되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경험을 쌓고 지역적
표준연구 개발 커뮤니티, KRNIC(지금의 한국인터넷진흥 으로 분산되어 있는 연구기관 간의 자원 공유를 통한 산
원)의 인터넷 거버넌스, KRNET 등과 같은 학술 컨퍼런 학협동을 위하여 연구 목적의 SDN 프로젝트를 시작하였
스 등이 여기에서 만들어졌다. 연구 개발 인터넷은 첫 탄 다.
생 20년 후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인터넷 상용 서 1960~70년대부터 시작된 컴퓨터 네트워크는 1981년에
비스로 이어졌다. 한국 인터넷의 역사에서 한 가장 의미 는 Arpanet, UUCPnet 등 미국,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있는 일은, 20년에 걸친 연구·개발이 상용시스템으로 이 10여 개의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있었다.
어진 것 뿐만 아니라, 독점적인 폐쇄 사회로부터 공유와 SDN은 전산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에서 UNIX를 포함
참여를 중시하는 개방사회로 가는 지름길을 열었던 것이 한 오픈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했으며, UNIX
아닐까 한다. 와의 조화를 위해 TCP/IP 프로토콜을 선정하였다.

030 09/10 2012


2.2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탄생한 TCP/IP기반 네트워크, SDN 연결하기 위해, 또 다른 오픈 시스템인 UUCP 프로토콜
1982년 5월, 구미에 있던 KIET(ETRI의 전신)와 서울대 을 사용했다.
학교의 컴퓨터공학과에 있던 PDP11 컴퓨터 두 대를 TCP/ 1986년, OSI 프로토콜을 SDN의 표준 프로토콜에 첨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1,200bps 전용선으로 연결하였 가하기로 하여, MHS, X.25 등 활용 가능한 프로토콜부
다.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컴퓨터 네트워크 SDN이다. 터 단계적으로 SDN의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이는 80년대
1983년 KAIST에 네트워크 운영센터를 설치하고, VAX 에 들어 이미 많은 종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난립함
11/750 컴퓨터를 SDN 전용허브로 설치하면서 확산이 시 에 따라 이의 표준화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ISO나 CCITT
작되었다. 1983년에는 연결된 기관이 5개였는데, 84년에 등 국제 표준기구에 의해 그 표준화가 상당한 정도로 진
는 12개, 85년에는 20개로 늘어나 대학과 국책연구소, 기 척되어 있음에 기인한다.
업연구소 등이 연결되었다. 국제 표준화 활동도 시작되어 1986년에는 KAIST는 물
론 DACOM 등이 ISO TC97의 표준화회의에 참여하였다.
또한 1985년 일반전화망 대신 패킷망인 X.25/X.28/X.29
연동을 통해 미국 CSNET 등 국제망과 연결하였다.
kuee 1987년 10월에는 SDN의 표준 프로토콜을 정리한 국
yonsei
kaist
kta 내 표준프로토콜 규격(안)을 제정하였다. SDN-S의 일련
ssts*
dacom
lec 번호로 총 22개의 프로토콜 표준 규격을 정의하였으며
soongjun* hanyang

snucom
sse*
konkuk* International Connections
여기에는 TCP/IP 프로토콜 계열은 물론 ISO/OSI 프로토
sec qnix*
uniq* csnet-relay(CSNET)
seismo, hplabs(UUCPNET) 콜, CCITT 프로토콜의 일부가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기
타 UUCP 등 UNIX계열의 오픈 소프트웨어 기반 방식들
도 포함되었다.
SEOUL
kaist

계층 ISO DoD 기타
gsc
한·영 한·영 UUCP/
FTAM/ Telnet/FTP/SMTP/
7 MHS UNIX UUX/
VT R-series
etri sst X.400 mail News
Dial-up kiet
Leased Line Presentation
6 Null Null
X.25/X.29 (기본 인코딩 규칙)
* Not Yet Online
chonnam 5 Session(BCS) (Socket) MMDF/ UUXQT/
4 TP(Class 0,2,4) UDP TCP PMDF/ UUCICO
ISO-IP RFC-IP CMDF
3
LAN
2 전용선 교환선
(Ethernet, X.25
(Leased Line) (Dial-Up)
Token Ring)
[그림 1] SDN 네트워크 구성도(1985년 5월) 1

[그림 2] SDN의 표준에 포함된 프로토콜

SDN은 여러 가지의 프로토콜 스택을 표준으로 사


용하였다. TCP/IP 프로토콜은 프로토콜 오버헤드로 정보통신망 구성에 관련된 응용기술의 국내 보급 및 표
56Kbps 이상의 전용선이나 LAN에 적합했으므로 일반 준 활동 지원을 위하여 1987년 7월 OSIA가 발족되었다.
전화선(Dial up)을 이용해 일부 국내기관이나 해외망과 OSI연구회는 창립 시 컴퓨터통신망 관련 국외 표준기구,

TTA Journal Vol.143 031


추진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컴퓨터 통신망 응용기술의 방식이었다. 따라서 미국 및 유럽 등지와의 정보 공유는
기준규격(안) 제시, 국제표준단체에서 추진 중인 개방형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 연구진들은 파
정보통신망 구조에 관련된 연구 등의 활동을 하기로 결정 일 전송 및 가상 터미널 서비스가 가능한 TCP/IP에 의
하였으며 국제 OSI표준화 활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한 직접연결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런 노
지원체제를 갖추었다. 이와 함께 SDN의 운영 정책의 결정 력의 일환으로 1986년 7월에는 미국 Internet Assigned
및 표준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도록 하였다. Numbers Authority(IANA)으로부터 SDN을 위한 IP 주
SDN에서는 TCP/IP 프로토콜과 OSI 프로토콜 표준 소(128.134.0.0)를 확보하였고 이와 동시에 미국에 직접
간에 검토가 시작되었다. 그 첫 번째 경쟁은 메일시스템 연결할 수 있는 허가를, 당시로는 세계 처음으로 독일과
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87년 X.400 기반의 메시지 시스 함께 확보하였다.
템인 EAN을 한양대, ETRI, KAIST 등 일부 노드에 설치 직접 연결할 사이트를 당장 구하지 못했고, 1억 5천만
하고 UNIX 메일로부터 전환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1년이 원의 예산을 확보할 수 없었던 SDN은 수년 간의 노력
지난 후 결국 X.400의 전환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비록 끝에 연구망과 교육망을 포함하여 HANA망을 공동 구
우리가 얼리어답터일지라도 약간의 편의성이 더 가미된 축하고 1990년 3월 24일 드디어 미국의 하와이 대학에
정도로는 이미 익숙해져 있는 메일을 바꿀 수가 없었던 56kbps 전용선으로 직접 연결하였다. 이로써 하와이 대
것이다. 90년대에 들어오면서 ISO/OSI 표준은 결국 이미 학을 중심으로 구성된 PACCOM망을 통하여 세계 인터
세계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개방시스템인 인터넷 프로토 넷에 TCP/IP 프로토콜로 직접 연결했던 것이다. 이때부
콜의 구현을 능가할 수 없는 것이 자명해졌다. 터 한국의 연구 전산망들은 세계 인터넷의 한 일원으로
직접 연동하게 되었으며 선진국과의 연구 협력은 점점 더
2.3 국제망과의 연결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ARPANET에 가입되지 않은 대학이 주요 연구
협력과 연구 성과의 공유에서 소외되는 폐단을 막고자 2.4 ASIANET
1981년 CSNET를 만든 것처럼, 한국 연구진들이 선진국 선진국의 연구 환경으로부터 소외되었던 한국의 연구
연구진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진들에게, 선진국과 연구협력을 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 기 위해서 SDN이 만들어졌듯이, SDN은 소외된 아시아
그래서 SDN이 처음 구축된 이듬해인 1983년 7월 미국 지역의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노력하였다. 1984
의 Hewlett-Packard Labs.(hplabs)와 UUCP 프로토콜로 년 2월 UNESCO 워크숍에서 아시아를 위한 컴퓨터 네트
연결하였으며, 네덜란드의 CWI연구소(mcvax)를 통해 워크 개발이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호주, 인도네시
EUNET과 연결하였고 1984년 12월에는 CSNET와 연결 아, 일본, 한국, 싱가포르를 UUCP 프로토콜로 연결하는
하였다. AsiaNet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첫 번째 AsiaNet 회의는
UUCP는 전자우편만이 가능하였으며 하루에 한 번 1985년 10월 서울에서 개최된 태평양컴퓨터통신심포지
전화 연결하여 메일을 일괄 처리하는 배치 방식이었다. 움(PCCS) 기간에 열렸는데, 이때 AsiaNet 사이의 링크는
또한 지금의 블로그와 같은 뉴스를 주고받는 USENET는 미국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하기로 결정하였다. 1986년
전화비 부담 때문에 오프라인으로 마그네틱 릴 테이프를 두 번째 회의에서는 직접 연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달에 한 번 정도 받아서 국내에서 네트워크에 올려놓는

032 09/10 2012


EUNET
(Europe)
에 대한 정보 관리를 위해 1993년 KRNIC을 출범시켰으
며, KRNIC은 1994년 한국전산원 산하로 이전 공식기구
CDNNET
JUNET (Canada)
(Japen) 로 출범하였다. ANC는 KRNIC 기능을 한국전산원 산하
CSNET
(USA) 로 이관하면서 한국네트워크협의체(KNC)로 변경되었으
SDN
(Korea)
며, 1998년 NNC(Number and Name Committee)로 변

USENET 경되어 인터넷 시민 기구의 설립 지원 및 국내 인터넷 정


(USA)

책을 추천하는 역할을 하였다.


ANC의 설립과 함께, 개발 구현 및 운영 기술 등 기술적
tataelxsi ACSNET
(Singapore)
(Australia)
인 활동의 논의 및 조정을 위해 SG-INET를 ANC 산하에
Indonesia
두었다. SG-INET에는 교육망(KREN), 연구망(KREONet),

[그림 3] AsiaNet의 구성도(1985년 5월)


KAIST, 등의 전문가가 참석하여 네이밍, 라우팅, 한글 및
보안을 위한 워킹그룹을 두어 인터넷 기술 및 표준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네이밍 워킹그룹은 KRNIC 설립을
2.5 인터넷 관리 위한 근간 구조를 제공하였으며, 한글 워킹그룹은 한글
1983년 네트워크관리센터(NMC)를 KAIST에 설치하여 메일을 위한 IETF 표준을 개발하였고, 보안 워킹그룹은
인터넷 관리가 본격화되었으며, NMC를 중심으로 세계 CERT Korea를 설립하였다. ANC는 인터넷 기술 보급을
인터넷에 동참하기 위한 준비를 본격화하였다. 위하여 1993년에 제1회 KRNET 컨퍼런스를 개최하였고
대표적으로 1986년 7월 인터넷 주소를 확보하였으며, 이후로 KRNET 컨퍼런스는 매년 열리고 있다.
같은 해 .kr이라는 국가레벨의 도메인(ccTLD)을 등록하
여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ac, co, re, go, or 3. 초고속 인터넷
이렇게 5가지의 2단계 도메인 이름을 확정하여 운영을 시
작한 것도 같은 해인 1986년이었다. 특히 이상의 두 글자 3.1 국가초고속정보통신망
2단계 도메인 이름은 영국의 도메인 이름을 확장 발전시 1995년 정부의 최대 프로젝트 중 하나인 초고속정보
킨 것으로써, 세계적으로 edu, com, org 등 3글자 도메인 통신망 마스터플랜이 기획되었다. 마스터플랜 1단계는
이름과 함께 2단계 도메인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어 세계 1995년에서 1997년까지 시행되었는데, 국내의 80개 도시
인터넷에 공헌한 한 사례가 되었다. 사이에 광케이블망을 구축하였으며 ATM 테스트베드 네
인터넷 자원을 공유하고 조정하기 위한 노력은 초창기 트워크를 구축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시행된 2
에는 SDN의 SIG(Special Interest Group) 형태로 운영되 단계에서는 전국에 ATM망을 구축하였으며, 주요 도시
었으나, 국제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HANA 컨소시엄을 사이에서 광케이블망을 이용하여 622Mbps의 백본을 구
구축하면서 1989년 12월부터 HANA/SDN 공동운영 규 축하였고, 2000년까지 광케이블망을 144개 지역으로 확
정을 마련하고 협의체 형태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대하였다.
1991년에는 학술전산망협의체(ANC: Academic 2000년 정보통신부 장관 주재의 기술검토회의에서는
Network Council)로 그 역할이 확장, 이관되었다. ANC 백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ATM과 라우터 방
는 도메인 이름 등록과 IP 주소 할당, 한국 내의 네트워크 식의 논쟁이 있었다. 당시에는 국책연구소를 중심으로 정

TTA Journal Vol.143 033


부기간망과 KT, 하나로통신 등 국내 주요 인터넷 사업자 통신비가 5만 원이 넘는 때였다. 이미 두루넷은 그해 7월
들이 ATM방식으로 백본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두루넷 CATV망을 이용하여 500kbps 이상의 속도를 5만 원 이
등 일부 ISP만이 라우터 기반의 백본을 구축하고 있었기 하의 정액제로 서비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KT나
때문이다. 하나로통신은 기존에 제공하던 ISDN이나 전화망 기반
세계 트렌드의 변화와 일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 인터넷서비스 때문에 정부의 거듭된 권고에도 불구하고
책 프로젝트는 ATM 기반으로 계속되었고, 2001년부터 저렴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난색을 표했다.
2005년까지 시행된 3단계에서는 ATM-MPLS 기반의 백 그러나 1999년 4월 하나로통신이 ADSL을 이용하여
본으로 확대하였다. 이 때 이미 세계 주요 벤더들이 백본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불붙은 경쟁은 이어
망용 라우터 개발에 집중하고 있었는데, 한국에서 나홀 KT, 데이콤, 드림라인 등 인프라 보유업체들이 가담하면
로 ATM 기술에 투자를 계속함으로써, 이후에 라우터 기 서 품질 및 가격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OECD 통
술 및 제품을 조기에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계에 따르면 초고속통신망 가입자가, 2001년 한국은 인
구 백 명 당 13.91명으로 2위인 캐나다의 6.22명의 두배
3.2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기업 간
90년대 중반에 한국전력, 송유관공사, 도로공사 등은 의 경쟁은 기술의 고속 신장과 함께 인터넷 가격도 세계
자사의 인프라 공사를 하면서 광케이블망을 함께 설치 최저수준으로 떨어뜨려서, 2001년 3월에는 월간 1달러당
하여, KT 및 DACOM이 보유한 광케이블망 못지 않은, 전 제공 속도가 42.75~224.32kbps로, 일본의 35.41, 미국의
국망을 보유하고 있었다. KT와 DACOM에 의해 독점되 17.94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고 있던 정보통신사업을 개방하고자 정보통신부는 한전, 서비스 확대 경쟁은 가입자망 설치뿐만 아니라 서비스
송유관공사, 도로공사 등의 사업자들에게 기간망 사업을 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백본망의 적극적인 확대
허용하였다. 이러한 정책에 부합하여, 이들 회사는 자사 로도 이어져 두루넷은 자체적으로 2000년 옵티컬 인터
의 광케이블망을 이용하여 각각 두루넷, 지앤지네트웍스, 넷 기반의 1~2.5Gbps 백본을 구축하였다.
드림라인 등을 설립하여 기간망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인터넷의 패킷스위치망 기술은 전화망의 커넥션 기반
정부의 이러한 통신시장에 대한 개방 조치는 선발주자 의 망과의 긴 경쟁도 거쳐야 했다. 상용 인터넷 사업자들
와 후발주자 사이의 치열한 경쟁을 유발하여, 전국에 광 로부터 시작된 전화망 기반의 가입자 서비스는 처음에
케이블이 대대적으로 확장·설치되었으며, 1998년 7월 두 커넥션을 여는 데에 들어가는 오버헤드나 오류 때문에
루넷의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시작으로, 2001년 세계 가입자의 사용을 어렵게 하였다.
최고의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한 국가로 인정받는 1998년 두루넷에 의해 시작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 환경을 제공하였다. 한국 는 LAN 방식의 always-on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인터넷이 출범한지 실로 20년 만이었다. ISDN에 이어 시작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인 KT의 ADSL
1998년 봄 정보통신부 초고속망 담당 과장은 한국통 은 사용하기에 앞서 전화망 방식처럼 커넥션을 연결하는
신, 하나로통신, 두루넷의 초고속 인터넷사업 담당 임원 과정이 있었으나 곧 always-on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들을 한자리에 모아서 초고속인터넷 사업추진 계획에 대 ATM에 이어 전화통신방식의 철학은 2000년대 들
해 의견을 나누었다. 당시 전화망을 이용하면 56kbps의 어 한 네트워크에 데이터와 영상을 통합 처리하기 위한
속도까지 가능했으며, 매일 1시간씩 한 달을 사용하면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프로젝트로

034 09/10 2012


이어졌으며, 개방 및 Best effort를 근간으로 하는 인터넷 컴퓨터 연구개발을 진작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오픈 시스
의 철학과 경쟁하면서 계속 전개되었다. 템을 선택하여 구축되었다. 최초에 TCP/IP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삼았으나, 시스템이나 국내외 환경 제약, 혹은
3.3 상용 인터넷 서비스 트렌드를 고려하여 UUCP, CCITT, ISO/OSI 등의 표준이
1981년 상공부가 SDN의 초기 구축 프로젝트를 지원 함께 채택되었다. 여러 프로토콜이 표준으로 검토되었지
한 이후, KT, DACOM 등의 지원이 이어져, KAIST와 지원 만 국내 표준은 언제나 개방과 공유, 또한 국제 트렌드를
기관들과의 인적교류를 통해 기술이전이 꾸준히 이루어 중시하는 유연성과 융통성을 유지하였고, 이것은 개방과
졌다. 특히 KT는 1984년부터 4년간 ‘전산망간 연동화 연 공유를 철학으로 한 국제 인터넷 원칙에 부합하였다.
구’라는 프로젝트를 지원하였으며, HANA 컨소시엄에도 정부의 원천개발 프로젝트로 시작된 한국 인터넷은
참가하여 1992년 HANA의 운영이 KT로 이관되었다. KT, 데이콤을 비롯한 삼성, 금성 등의 수요처의 개발자금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들 중심으로 1994년 상용인터 지원을 받으면서, 국내 대학, 연구소들과의 커뮤니티를 구
넷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6월에 KT의 KORNET, 10월에 축하여 연구개발진과 수요기업과의 인적, 기술 교류를 활
DACOM의 Boranet이 시작되었으며, 11월에는 SDN NMC 발히 해왔다.
주축 멤버 중 한 엔지니어가 창업한 회사인, 아이네트의 이러한 교류로 인해 세계에 상용 인터넷이 만들어지던
누리네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이후 SDN NMC의 주축 같은 시기인 1994년에 자체 기술로 상용 인터넷이 시작
멤버 중 다른 한 명이었던 필자는 1998년 두루넷서비스 될 수 있었으며, 1998년 국가적인 단위로는 미국에 이어
를 시작하여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의 지평을 열었다. 두 번째로 대규모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역시 자체
www는 1993년 KAIST에서 한국 최초의 웹이 만들어 기술로 시작할 수 있었다. 이때 정부는 적절한 시기에 규
진 이후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과 더불어 인터넷이 대중 제 완화를 통한 경쟁 환경을 조성으로 기업들의 사업 의
화되는 데에 뇌관이 되었다. 초기에는 외국의 유명한 비 지를 유발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즈니스모델을 복제하여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일반 인프라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화되었다. 신문 서비스라든가, 야후코리아가 시작한 검색 2000년 초 한국이 구축한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인
서비스, 인터파크, 옥션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 웹 기반의 프라는 세계 다른 선진국들을 자극하여 세계 여러 나라
메일서비스, 다음의 한메일 등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사업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이 기
하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국내 네 반을 토대로 만들어진 인터넷 응용서비스들은 지금 소통
티즌들의 창의는 복제서비스를 넘어 세계 최초의 비즈니 과 참여를 중시하는 인터넷 문화를 확산시켜 가고 있다.
스 모델을 창조하였다. 아이템을 파는 세이클럽이나 온라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내외 자원을 결집시키고 국내외
인 게임서비스, 최초의 상업적으로 성공한 소셜네트워크 관련자들과 소통을 유도하면서 개방과 공유, 국제 트렌드
서비스인 싸이월드 등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를 놓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전길남 박사라는 아웃라
이어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그와 각 기
4. 맺음말 관에서 함께 연구에 매진하던 연구진들이 없었다면 우리
나라 인터넷은 물론이고 아시아 인터넷, 세계의 인터넷은
한국 최초의 컴퓨터 네트워크인 SDN은 정보 공유 등 이렇게까지 발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선진국과의 공동 연구 환경을 마련하고 열악한 국내의

TTA Journal Vol.143 035


[참고 문헌]

[1] John S. Quarterman and Josiah C. Hoskins, ‘Notable


Computer Networks,’ Communications of the ACM, Oct.
1986, pp. 932-971.
[2] Kilnam Chon, Hyunje Park, Jin Ho Hur, Kyungran Kang, ‘A
History of Computer Networking and the internet in Korea,’
IEEE (To be published).
[3] 전길남, 이동만, 한선영, 박현제, 허진호, 이길섭, 국내 표준프로토
콜 규격(안), KAIST 시스템구조연구실, 1988. 1.
[4] 정선종, ‘OSIA 소개’, OSIA 소식, 창간호, pp. 5-6, 1987. 11.
[5] HANA/SDN Document List, hana-90-050R, 1990. 6. 20.
[6] 박현제, SG-INET 1991년도 사업계획, SG-INET-91-005.1,
1991. 8. 28.
[7] 박태하, KRNIC(한국 망정보센터) 개요, KRNIC-01, 1993. 4. 22.
[8] Kilnam Chon, Hyunje Park, Kyungran Kang, and Youngeum
Lee, A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in Korea, Jan. 2005.
[9] S. Patridge, ‘The Development of Broadband Access in OECD
Countries,’ OECD, Paris, Oct. 2001.
[10] 전길남, 외 9명, 전산망간 연동화 연구, KAIST, 1988. 1.
[11] 차의영, 박승규, ‘System Development Network,’ 한국정보과학
회 Proceedings, pp.109-, 1983. 4.

정보통신 용어해설

가상 어플라이언스 V i r t u a l A p p l i a n c e [데이터통신]

사전에 설치 및 구성되어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와 함께 가상 머신에서 패키지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시장을
선도하는 엔터프라이즈급 VTL 기술과 데이터 중복 제거 기능을 가상 환경에 구현한다. 쉽고 빠르게 배치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이 솔루션
은 스토리지 투자 가치를 극대화하면서 인프라 비용 및 복잡성을 줄인다.

036 09/10 20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