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7

5장 나사

5장 나사 5-1
나사 - 결합용 또는 운동용 기계요소

• 호환성 고려 → 국내 : KS규격
국제 : ISO규격
• 삼각나사 - 체결용(결합용) 기계요소
• 사각나사 - 회전운동 → 직선운동 변환
• 나선곡선 - 가상 원통 위의 한 점이 축방향의 직선운동과
접선방향의 회전운동을 일정한 비율로
동시에 하였을 경우 원통에 그려지는 궤적

5장 나사 5-2
<나선곡선>
나선곡선>

5장 나사 5-3
◆ 나사의 구분

<나사산이 있는 위치에 따른 분류>


• 수나사 - 원통의 외면에 나사산이 있는 경우
• 암나사 - 원통의 내면에 나사산이 있는 경우(너트)
<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른 분류>
•오른나사 - 회전방향이 오른손 법칙에 따름
• 왼나사 - 회전방향이 왼손 법칙에 따름
<나사산의 모양에 따른 분류>
• 삼각 나사, 사각 나사, 사다리꼴 나사 등

5장 나사 5-4
<나사산의 모양에 따른 나사의 종류>
종류>
5장 나사 5-5
◆ 나사의 구조와 명칭

1. 피치와 리드 (pitch and lead)

• 나사산 - 수나사에서 지름이 가장 큰 부분


• 골 - 수나사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부분
• 피치(p) - 서로 인접한 나사산 사이의 축방향 거리
• 리드(l) - 나사가 1회전할 때 축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l = np
n은 나사의 줄 수

5장 나사 5-6
2. 구조 및 명칭

<나사의 명칭>
명칭>

최대 최소
수나사 바깥지름 골지름
암나사 골지름 안지름

5장 나사 5-7
(1) 바깥지름 (d)

• 수나사의 바깥지름
• 나사의 크기를 나타내는 호칭
• 같은 크기의 암나사 지름 → 암나사의 골지름(D)

(2) 안지름 (D1)

• 암나사의 안지름
• 같은 크기의 수나사의 골지름(d1)

5장 나사 5-8
(3) 유효지름 (d2, de)

• 나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산의 길이와 나사홈의


길이가 같아지는 곳의 가상 원통 지름 (수나사)
• 암나사의 유효지름과 크기가 같다

d + d1
d2 ≈ (삼각나사)
2
d + d1
d2 = (사각나사)
2
5장 나사 5-9
(4) 리드각(lead angle)

• 나선각 이라고도 함. λ 또는 α로 표기
• 나선곡선이 축선에 직각인 방향과 이루는 각

<리드각>
리드각>

5장 나사 5-10
l
tan λ =
π d2

▶ 한 줄 나사의 경우
l=p 가 되어

p = π d 2 tan α

5장 나사 5-11
(5) 비틀림각 ( γ )
• 나선곡선이 축선 방향과 이루는 각
• 리드각과의 관계
α + γ = 90°

(6) 나사산각 (2β)


• 수나사의 나사산이 이루는 각도

5장 나사 5-12
(7) 플랭크각(flank angle)

• 플랭크 - 나사의 봉우리와 골을 연결하는 나사산의


경사면
• 플랭크각 - 플랭크가 축중심선에 직각인 단면과
이루는 각도. β로 표기
• 보통, 나사산각의 1/2이 플랭크 각
• 나선각과 플랭크각은 다르다

5장 나사 5-13
(8) 나사산의 높이(h)
• 나사산을 반경방향으로 측정한 높이
d − d1
h= (d는 바깥지름, d1은 안지름)
2
▶ 사각나사에서
d = d 2 + h , d 2 = d1 + h (d2는 유효지름)

▶ 사각나사에서 높이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


p
h≈ (p는 피치)
2
5장 나사 5-14
◆ 나사의 표시방법

1. 나사의 표기순서

나사산의 감김방향

나사산의 줄의 수

나사의 호칭

나사의 등급

5장 나사 5-15
(1) 나사산의 감김방향
• 왼나사의 경우 - ‘좌’ 또는 ‘L’로 표시
• 오른나사의 경우 - 표시하지 않음

(2) 나사산의 줄의 수

• 두 줄 나사의 경우 ‘2줄’ 또는 ‘2N’


• 세 줄 나사의 경우 ‘3줄’ 또는 ‘3N’
• 한 줄 나사는 표시하지 않음

5장 나사 5-16
(3) 나사의 호칭

• 나사의 종류에 따른 호칭법을 따름

(4) 나사의 등급

• 공차의 위치 및 IT등급을 말함

예) 6H : 암나사, 정밀도 6등급, 공차위치가 H


2A : 2A급 나사

5장 나사 5-17
2. 나사의 종류에 따른 호칭방법

(1) 피치를 [mm]로 표시하는 경우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나사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피 치

5장 나사 5-18
(2) 피치를 산수로 표시하는 나사의 경우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나사의 호칭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1[inch]당 나사산의 수

5장 나사 5-19
(3) 유니파이 나사의 경우

나사의 호칭 지름을 표시하는 숫자 또는 번호

1[inch]당 나사산의 수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5장 나사 5-20
<나사의 종류와 규격>
규격>

5장 나사 5-21
◆ 나사의 정밀도 등급

• 정밀 등급의 나사 - 진동하는 하중을 받는 경우


정밀을 요하는 기계

• 보통 등급의 나사 - 일반 기계에 사용되는 나사

• 거친 등급의 나사 - 정확한 암나사의 생성이 어려울 때

5장 나사 5-22
<나사의 정밀도 등급>
등급>

끼워 유니파이 나사 끼워맞춤
미터
맞춤 (암나사/ 선정기준
나사
등급 수나사용 암나사용 수나사)

정밀 4H/4h및 특히 정밀한 나사
1급 3A 3B
등급 5H/4h 오차가 적다
보통 일반용 나사
2급 2A 2B 6H/6g
등급 (볼트, 너트)
거친 오염되기 쉬운 환경
3급 1A 1B 7H/8g
등급 나사가공 곤란시

5장 나사 5-23
◆ 나사의 종류

<나사의 종류>
종류>

산의 모양 삼각, 사다리꼴, 사각, 둥근 나사


피치와 나사지름 보통, 가는 나사
사용단위계 미터계, 인치계 나사
접촉상태 미끄럼, 구름 나사
사용목적 결합용, 운동용 나사
사용되는 장치 일반, 태핑, 작은, 관용 나사
용도 체결용, 운동용, 위치조정용 나사

5장 나사 5-24
1. 결합용 나사
(1) 미터 나사(metric thread)
• 나사산각이 60°인 미터계 삼각 나사
• 표준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 미터 보통 나사 - [M 호칭지름] 표기
• 미터 가는 나사 - [M 호칭지름 X 피치] 표기
• 수나사의 골지름 부위 틈새
h 1
미터 보통나사 = p
12 6 3
h 1
미터 가는나사 = p
16 8 3

5장 나사 5-25
<미터 나사의 형상>
형상>
5장 나사 5-26
<미터 보통 나사(
나사(KS B 0201)>

5장 나사 5-27
<미터 가는 나사 (KS B 0204)>

5장 나사 5-28
(2) 유니파이 나사 (unified screw thread)
• 1948년 영국, 미국, 캐나다의 협정에 의해 제작
• 나사산각이 60°인 인치계 삼각 나사
• 나사 구조는 미터나사와 비슷
• [mm]단위의 피치(p)와 나사산수(n)의 관계
25.4
p=
n
• 수나사의 골지름 부위의 틈새
H 1
유니파이 보통 나사 = p
12 6 3
H 1
유니파이 가는 나사 = p
16 8 3

5장 나사 5-29
<유니파이 나사의 형상>
형상>

5장 나사 5-30
<유니파이 보통 나사(
나사(KS B 0203)>

5장 나사 5-31
<유니파이 가는 나사 (KS B 0206)>

5장 나사 5-32
(3) 관용 나사 (pipe thread)

• 절단된 파이프를 연결할 때


• 나사산의 높이가 낮은 관용 나사를 사용
• 나사산각은 55°
• 관용 테이퍼 나사(PT)와 관용 평행 나사(PF)가 있다
• 기밀을 유지하여 누설을 방지
• 테이퍼는 1/16

5장 나사 5-33
<관용 나사의 형상>
형상>

5장 나사 5-34
<관용 나사의 결합>
결합>

5장 나사 5-35
<관용 평행 나사 (KS B 0221)>

5장 나사 5-36
<관용 테이퍼 나사 (KS B 0222)>

5장 나사 5-37
2. 운동용 나사
(1) 사각 나사 (square thread)
• 운동용 나사
• 나사잭, 나사 프레스, 선반의 이송 나사로 사용
• 나사효율이 높으나 공작이 어렵다
• 유효지름(d2, de)은 평균지름(dm)으로 어림 잡음
d + d1 • d는 바깥지름
de ≈ dm =
2 • d1은 안지름
• 사각 나사의 높이
d − d1
h=
2
5장 나사 5-38
<사각 나사>
나사>

사각 나사의 종류 나사높이(h) 특징
아르멘고드 나사 p/2 사각단면 p = 0.09d+2[mm]
언윈 나사 19p/40 모서리를 둥글게 개선
셀러 나사 7p/16

5장 나사 5-39
(2) 사다리꼴 나사 (trapezoidal screw thread)

• 자동조심 작용 가능
• 강도가 높고, 큰 힘에 견딜 수 있다
• 공작기계의 이송나사로 널리 사용
• 인치계 사다리꼴 나사(TW)
- 나사산각(2β)이 29°
• 미터계 사다리꼴 나사(Tr)
- 나사산각이 30°

5장 나사 5-40
<29°
<29° 사다리꼴 나사의 형상 (KS B 0226)>

5장 나사 5-41
<30°
<30° 사다리꼴 나사의 형상>
형상>
(구 KS B 0226, 1992. 12. 31 폐지)
폐지)
5장 나사 5-42
<미터 사다리꼴 나사의 형상 (KS B 0229)>

5장 나사 5-43
<29°
<29° 사다리꼴 나사(
나사(인치계)
인치계)의 기본치수 (KS B 0226)>

5장 나사 5-44
<미터계 사다리꼴 나사의 기본치수(
기본치수(KS B 0229)>

5장 나사 5-45
(3) 톱니나사 (buttless screw thread)
• 하중의 작용방향이 같은 경우 사용 - 압착기, 바이스
• 하중을 받는 쪽 : 사각 나사, 반대쪽 : 삼각 나사

<톱니나사의 형상>
형상>

5장 나사 5-46
(4) 둥근나사 (round thread)
• 먼지, 모래, 녹가루 등이 나사산을 통하여 들어갈
염려가 있을 때 사용

<둥근 나사의 형상>


형상>

5장 나사 5-47
5장 나사 5-48
5장 나사 5-49
5장 나사 5-50
5장 나사 5-51
◆ 나사역학

<사각 나사>
•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
• 나사면의 마찰만을 고려

<삼각 나사>
• 물체를 결합시켜 부품을 고정
• 나사면의 마찰 고려
• 나사를 조이는데 필요한 너트와 와셔간의 마찰 고려

5장 나사 5-52
◎ 나사의 회전력과 토

1. 사각나사

<사각 나사와 경사면>


경사면>
5장 나사 5-53
(1) 나사를 죌때
① 회전력(P)

<나사의 역학>
역학>

5장 나사 5-54
나사면에 수직한 힘 : P sin α + Q cos α
나사면에 평행한 힘 : P cos α − Q sin α

• 운동이 시작되는 순간
P cos α − Q sin α = µ ( P sin α + Q cos α )
µ는 마찰계수

마찰각을 ρ라 하면
tan ρ = µ

5장 나사 5-55
정리하면,

µ + tan α
P=Q = Q tan( ρ + α )
1 − µ tan α
α 는 리드각(나선각)

p
tan α = 이용하면
π d2
µπ d 2 + p
P=Q
π d2 − µ p

5장 나사 5-56
② 회전토크 (T)

나사를 조일 때 회전토크는

d2 d2
T = ⋅ P = ⋅ Q ⋅ tan( ρ + α )
2 2
또는
d2 µπ d 2 + p
T = ⋅Q ⋅
2 π d2 − µ p

5장 나사 5-57
(2) 나사를 풀 때
① 회전력 (P′)

P′의 방향은 조일 때의 접선력 P와 반대방향

P′ = Q tan( ρ − α )
또는
µπ d 2 − p
P′ = Q
π d2 + µ p
p
여기서 tan α =
π d2
tan ρ = µ
5장 나사 5-58
② 회전토크 (T′)

나사를 풀 때 회전토크는

d2 d2
T ′ = ⋅ P′ = ⋅ Q ⋅ tan( ρ − α )
2 2
또는
d2 µπ d 2 − p
T′ = ⋅Q ⋅
2 π d2 + µ p

5장 나사 5-59
(3) 나사의 자립조건 (self locking condition)

나사를 풀 때 회전력 P′ 자립조건의 판단기준

① P′>0 이면, 나사를 풀 때 힘이 소요. ρ >α


② P′<0 이면, 저절로 풀린다. ρ <α
③ P′= 0 이면, 저절로 풀리다 임의 지점에서 정지.
ρ =α

5장 나사 5-60
나사의 자립조건 → 스스로 풀리지 않을 조건

P'≥ 0
각도 관계로 표시하면
ρ ≥α

마찰각과 리드각을 대입
p
µ≥
π d2

5장 나사 5-61
2. 삼각 나사

(1) 삼각 나사의 상당 마찰계수

나사면을 누르는 힘 R에 의해 마찰저항의 크기 결정

R : 나사면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Q : 축방향으로 미는 힘

• 두 힘의 관계
Q
R=
cos β

5장 나사 5-62
R에 의한 마찰저항은
Q µ
µR = µ = Q = µ ′Q
cos β cos β
β는 플랭크각 (나사산각의 절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상당 마찰계수 µ ′


µ
µ′ = = tan ρ ′
cos β

ρ ′ 는 상당마찰각
µ 는 나사면의 마찰계수

5장 나사 5-63
<사각 나사와 삼각 나사의 수직력>
수직력>

5장 나사 5-64
(2) 삼각 나사의 회전력

① 나사를 죌 때 회전력(P)

µ ′π d 2 + p
P=Q = Q ⋅ tan( ρ ′ + α )
1 − µ ′ tan α

또는

µ ′π d 2 + p
P=Q
π d2 − µ ′ p

5장 나사 5-65
② 나사를 풀 때 회전력(P′)

P′ = Q ⋅ tan( ρ ′ − α )

또는

µ ′π d 2 − p
P′ = Q ⋅
π d2 + µ ′ p

p
여기서 tan α =
π d2
tan ρ ′ = µ ′

5장 나사 5-66
(3) 삼각나사의 회전토크

① 나사를 죌 때 필요한 회전토크(T)

• 사각 나사의 식을 상당마찰계수로 수정

d2 d2
T = P = ⋅ Q ⋅ tan( ρ ′ + α )
2 2
또는
d2 µ ′π d 2 + p
T = ⋅Q ⋅
2 π d2 − µ ′ p

5장 나사 5-67
<스패너에 의한 체결>
체결>

• 나사면의 마찰 및 너트와 와셔간의 마찰도 고려

5장 나사 5-68
• 너트와 와셔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토크저항

T1 = rn ⋅ µnQ

• 나사면의 마찰과 와셔의 마찰을 고려한 체결 토크


d2
T2 = T + T1 = Q( µn rn + ⋅ tan( ρ ′ + α ))
2
µn 는 너트 또는 와셔의 자리면의 마찰계수
rn 는 너트 또는 와셔의 평균 반지름
ρ ′ 는 삼각 나사의 상당 마찰계수에 대한 상당의 마찰각

5장 나사 5-69
<접촉면의 평균 반지름>
반지름>

5장 나사 5-70
• 너트 자리면의 평균 반지름

rn = 0.74 D
D는 암나사의 골지름

• 와셔 자리면의 평균 반지름

rn = 0.35 D 2 + d 2

D는 와셔 바깥지름
D는 와셔 안지름

5장 나사 5-71
② 나사를 풀 때 필요한 회전토크(T′)

나사면의 마찰만을 고려

d2 d2
T ′ = P′ = ⋅ Q ⋅ tan( ρ ′ − α )
2 2

또는

d2 µ ′π d 2 − p
T′ = ⋅Q ⋅
2 π d2 + µ ′ p

5장 나사 5-72
◎ 나사의 효율

입력한 일에 대한 출력된 일의 비

• 입력한 일 : 외력 P가 나사를 회전시키는데 한 일


• 출력된 일 : 축방향 하중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한 일

축방향 이동에 쓰인 일량(유효한 일량)


η=
나사를 회전시키는데 소요된 일량(실제로 행한 일량)

5장 나사 5-73
1. 사각 나사의 효율

① 입력한 일 : 나사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일

d2
입력토크 P 의 작용 나사 1회전 (회전각2π )
2

② 출력된 일 : 나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일
나사 1회전
축방향 하중 Q
축방향으로 p(피치)만큼 이동

5장 나사 5-74
③ 효율 : 너트와 와셔 사이의 마찰 무시
나사면의 마찰만을 고려

Q⋅ p Qπ d 2 tan(α ) tan(α )
η= = =
P ⋅ π d 2 Q tan( ρ + α )π d 2 tan( ρ + α )

나사의 효율 → 리드각 α의 함수

5장 나사 5-75
※ 나사의 효율이 최대일 때
ρ
α = 45° − 일때
2

ρ
tan(45° − )
2 ρ
ηmax = = tan (45° − )
2
ρ 2
tan(45° + )
2
ρ 는 마찰각

5장 나사 5-76
<나사의 효율과 리드각과의 관계>
관계>

※ 자립상태의 나사효율

tan ρ 1 1
η= = − tan 2 ρ < 0.5
tan(2 ρ ) 2 2

5장 나사 5-77
2. 삼각 나사의 효율

• 나사면의 마찰 및 너트와 와셔 사이의 마찰도 고려

① 입력한 일 : 나사의 회전에 필요한 입력토크


d2
T2 = Q tan( ρ ′ + α ) + µn rnQ
2
µn 는 너트와 와셔의 자리면의 마찰계수
rn 는 접촉하는 너트면의 평균반지름
d 2 는 나사의 유효지름

1회전시 2π 회전 → 입력일은 2π T2
5장 나사 5-78
② 출력된 일 : 나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 일

나사 1회전시 축방향으로 p만큼 이동 → 출력일은 Q·p

5장 나사 5-79
③ 효율
• 나사면의 마찰만을 고려
Q⋅ p Qπ d 2 tan(α ) tan(α )
η′ = = =
P ⋅ π d 2 Q tan( ρ ′ + α )π d 2 tan( ρ ′ + α )

• 너트와 와셔 사이의 마찰도 고려


Q⋅ p Qπ d 2 tan(α ) d 2 tan(α )
η′ = = =
2π ⋅ T2 2π [Q d 2 tan( ρ ′ + α ) + µ Qr ] d 2 tan( ρ ′ + α ) + 2 µn rn
n n
2
Q ⋅ p 는 유효한 열량
2π T2 는 실제로 행한 열량

5장 나사 5-80
5장 나사 5-81
5장 나사 5-82
5장 나사 5-83
5장 나사 5-84
5장 나사 5-85
5장 나사 5-86
5장 나사 5-87
5장 나사 5-88
5장 나사 5-89
5장 나사 5-90
5장 나사 5-91
5장 나사 5-92
5장 나사 5-93
5장 나사 5-94
5장 나사 5-95
5장 나사 5-96
5장 나사 5-97
5장 나사 5-98
5장 나사 5-99
5장 나사 5-100
5장 나사 5-101
5장 나사 5-102
5장 나사 5-103
5장 나사 5-104
5장 나사 5-105
◆ 나사설계
1. 축방향으로 인장하중만 작용할 때

축방향 하중에 의해 수나사의 골지름 단면에서 파괴된


다고 가정할 때 볼트가 받는 인장응력
Q
σa = d1은 수나사의 골지름
1 2
π d1 Q는 축방향하중
4
골지름은
4Q
d1 = σ a 는 볼트의 허용인장응력
πσ a

5장 나사 5-106
• 수나사의 바깥지름을 알기 위하여 KS규격표 사용
• KS 규격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d1 = 0.8d 로 가정
이 때, 바깥지름 d는

2Q
d≈
σa

5장 나사 5-107
<나사가 인장하중만을 받을 때>

5장 나사 5-108
2.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① 구체적 자료가 없는 경우
→ 적절한 가정하에 유도된 식 사용

• 수나사의 바깥 지름

8Q
d=
3σ a

5장 나사 5-109
② 구체적 자료가 있는 경우
→ 절차에 따라 수나사의 바깥지름을 구한다
• Q에 의한 인장응력
Q
σa =
π 2
d1은 수나사의 안지름
d 1
4

• 비틀림 모멘트(T)에 의한 전단응력


T ⋅ rmax T
τ= =
Ip π 3
d1
16

5장 나사 5-110
• 직접전단하중(F)에 의한 전단응력
F
τ=
d12
π
4

앞의 식들을 사용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을 구한다

파괴이론에 적용

5장 나사 5-111
2
σ σ 
• Rankine의 최대 주응력설 : σ max = +   +τ 2
2 2
2
σ 
• Guest의 최대 전단력설 : τ max =   +τ 2
2

위 식에서 최대 주응력, 최대 전단응력을 구한다

재료의 허용 전단응력, 허용 인장응력을 비교

수나사의 골지름 d1을 구한다

5장 나사 5-112
3. 충격으로 인한 나사의 응력

인장충격을 받았을 때 볼트에 저장된 충격에너지 U는

1 F는 충격하중
U = Fδ
2 δ는 변형량

F
δ= 이용하면
k
F2
U= k는 볼트의 스프링상수
2k

5장 나사 5-113
AE
k= 의 관계에서
l
2 l은 인장력을 받는 볼트의 길이
1 F l
U= ⋅ A는 볼트의 단면적
2 AE E는 볼트의 탄성계수

<충격에 의한 변형예너지>
변형예너지>
5장 나사 5-114
4. 나사용 재료

• 기계적 성질을 충분히 고려


• 반복하중에 대한 내피로성( )
• 충격하중에 대한 인성( )
• 재료의 가공성
• 가공후의 열처리에 대한 고려

5장 나사 5-115
<강제의 볼트 및 작은나사의 강도 구분(
구분(KS B 0233)>

5장 나사 5-116
◆ 죄어진 볼트에 외력이 작용할

1. 정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력 용기의 볼트>


볼트>

5장 나사 5-117
중간재의 압축력과 볼트의 인장력은 힘의 평형을 이룸

압력용기에 압력이 가해지면 볼트에 추가적인 인장

볼트의 인장에 따른 가스누출, 볼트의 인장파괴 우려

압력용기의 초기 죔상태를 검토해야 함

5장 나사 5-118
<힘-볼트의 신장 및 중간재의 수축 선도>
선도>

5장 나사 5-119
※ 볼트에 하중이 추가로 작용하기 이전

볼트(인장)와 중간재(압축)는 힘의 평형 상태 → Q0의 하중

볼트가 Q0로 인해 늘어난 길이를 δt 라 하면


Q0
스프링 상수 kb는 kb =
δt

중간재가 Q0로 인해 수축된 길이를 δc 라 하면


Q0
스프링 상수 kp는 k p =
δc

5장 나사 5-120
<결합된 볼트와 중간재에 추가하중이 작용할 때
힘에 대한 신장 및 수축선도>
수축선도>

5장 나사 5-121
※ 볼트에 인장하중 P가 추가되면
Qb = Q p + P
Qb는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의 크기
Qp는 중간재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의 크기

P의 작용으로 중간재를 죄는 압축력 감소

볼트의 신장된 길이는 더욱 증가


중간재의 수축량은 감소

추가로 변형된 길이 δ

5장 나사 5-122
하중변화에 따른 볼트와 중간재의 변형이 선형적이라면
볼트와 중간재의 스프링 상수는

Q0 Qb
kb = =
δb δt + δ

Q0 Qp
kp = =
δc δc − δ

5장 나사 5-123
Qb를 계산하면
δc
Qb = Q0 + P
δt + δc
Q0 / k p kb
Qb = Q0 + P = Q0 + P
Q0 / kb + Q0 / k p k p + kb

볼트에 추가된 하중 Pb는


kb
Pb = Qb − Q0 = P
kb + k p

5장 나사 5-124
판재에 작용하는 압축력 Qp를 계산하면
δt
Q p = Q0 − P
δ c + δt
Q0 / kb kp
Q p = Q0 − P = Q0 − P
Q0 / k p + Q0 / kb kb + k p

판재에 추가로 감소된 하중 Pp는


kp
Pp = Q0 − Q p = P
kb + k p

5장 나사 5-125
기밀을 유지할 조건은

Q p > 0 (즉 δ c′ = δ c − δ > 0)

추가하중 P의 범위는
δt + δc
0 < P < Q0
δt
kb + k p
0 < P < Q0
kp

5장 나사 5-126
볼트의 스프링 상수는

Ab Eb
kb =
l
Ab는 볼트의 골지름 단면적
l은 볼트의 체결길이

볼트의 단면적이 변화하면서 연속적으로 이어졌을 경우


1 1 1 1
= + + + ⋅⋅⋅
kb ( eq ) kb1 kb 2 kb 3
kb는 상당 스프링 상수

5장 나사 5-127
하중이 부분적으로 작용하는 중간재의 스프링 상수는

Ap E p
kp =
l

Ap는 중간재 원통의 등가 단면적


Ep는 중간재의 탄성계수
l은 중간재의 길이(볼트의 체결길이와 같음)

5장 나사 5-128
Ap를 유추하는 식은

• 가는 원통( d w ≥ Dex )일 때

π
Ap =
4
( D
ex
2
− dh2 )

• 굵은 원통( d w ≤ Dex ≤ 3d w)일 때

π π  Dex
  d l 2

Ap = ( d w − d h ) + 
l
2 2
− 1  w
+ 
4 8  dw   5 100 

5장 나사 5-129
• 무한원판(Dex ≥ 3d w )일 때


π  l 
2

2
Ap =  d w +  − d h 
4  10  

Dex는 피 체결부의 외경
dh는 볼트의 구멍지름
dw는 좌면의 외경
l은 체결길이
<유효단면적(
유효단면적(중간재)>
중간재)>

5장 나사 5-130
2. 반복적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초기하중 Q0로 체결된 볼트가 0~P까지 변하는 반복


하중을 받는다면 볼트에 작용하는 평균하중 Pbm은
1
Pbm = Q0 + Pb
2
Pb는 볼트에 추가된 인장하중

볼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폭은


1
Pba = Pb
2
5장 나사 5-131
중간재에 작용하는 평균하중은
1
Ppm = Q0 − Pp
2
Pp는 판재에 추가로 감소된 압축하중

중간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폭은


1
Ppa = Pp
2

볼트와 중간재는 평형점으로부터 위상차 180°

5장 나사 5-132
<반복하중이 볼트와 중간재에 미치는 영향>
영향>

5장 나사 5-133
◆ 너트설계
(1) 너트의 높이
Z는 나사산수
H =Z⋅p
p는 피치

<너트의 높이>
높이>

볼트의 재질 너트의 재질 너트의 높이 H


강 강 ≒d
강 주철 ≒1.5d
강 청동 ≒1.25d

5장 나사 5-134
(2) 나사산수

• 너트의 나사산에 축방향 하중이 균등하게 작용


한다고 가정
• 필요한 나사산의 수는 축방향 하중을 한 개의 나사
산이 받을 수 있는 하중으로 나눈 값
• 한 개의 나사산이 받을 수 있는 하중은 허용 면압력과
투영면적의 곱

5장 나사 5-135
Q Q
Z= =
π 2 π d 2 hq
4
( d − d1 )
2
q

q는 허용 면압력
d2는 나사의 유효지름
h는 나사산의 높이

5장 나사 5-136
<물림상태에 있는 나사산의 하중분포>
하중분포>

<나사산의 하중분포 개선 예>

5장 나사 5-137
<허용 접촉압력>
접촉압력>

재 료 q  kg f / mm 2 

볼 트 너 트 결합용 전동용

연강 연강 또는 청동 3.0 1.0

경강 경강 또는 청동 4.0 1.3

강 주철 1.5 0.5

5장 나사 5-138
5장 나사 5-139
5장 나사 5-140
5장 나사 5-141
5장 나사 5-142
5장 나사 5-143
5장 나사 5-144
5장 나사 5-145
5장 나사 5-146
5장 나사 5-147
5장 나사 5-148
5장 나사 5-149
5장 나사 5-150
5장 나사 5-151
5장 나사 5-152
5장 나사 5-153
5장 나사 5-154
◆ 볼트의 종류
1. 일반 볼트

(1) 용도에 의한 볼트의 분류

① 관통 볼트(through bolt)
- 조이려는 부분을 관통하여 볼트지름보다 큰
구멍을 뚫고, 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를 채움

② 탭 볼트(tap bolt)
- 체결부분에 암나사를 만들어 볼트로 조임

5장 나사 5-155
③ 스터드 볼트(stud bolt)
- 관통하는 구멍을 뚫을 수 없는 경우 사용
④ 양너트 볼트(double nuted bolt)
- 볼트의 양 끝에 각각 너트를 사용하여 조임

<일반용 볼트의 종류>


종류>
5장 나사 5-156
⑤ 리머 볼트(reamer bolt)
- 볼트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곳에 사용

<리머 볼트>
볼트>

5장 나사 5-157
(2) 볼트 머리부의 종류

① 육각 볼트
- 머리 모양이 정육각형
- M3~M12의 범위에서 작은 나사와 중복

② 소형 육각 볼트
- 육각 볼트보다 약간 소형
- 조임력이 육각 볼트보다 작다
- 크기는 M8~M39

5장 나사 5-158
③ 사각 볼트
- 머리 모양이 정사각형
- T홈붙이 테이블의 T홈에 끼워 맞추는 경우 사용
- 고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빼기가 쉽다

④ 육각 구멍붙이 볼트
- 머리에 정육각형의 구멍
- 재질로는 합금 담금질강에 담금질, 뜨임을 한다
- 조임력은 스패너에 의한 것보다 작음

5장 나사 5-159
2. 특수 볼트

(1) 아이 볼트(eye bolt)


• 볼트의 머리부에 핀을 끼우거나 훅을 걸 수 있다
• 자주 탈착하는 뚜껑의 체결에 사용
• 고리볼트(lifting bolt)는 물체를 달아 올리는 용도

(2) 나비 볼트(wing bolt)


• 머리모양이 나비모양
• 스패너 없이 손으로 조일 수 있다

5장 나사 5-160
(3) 간격유지 볼트
• stay bolt라고도 한다
• 두 물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4) 기초 볼트(foundation bolt)


• 기계, 구조물 등을 바닥에 고정

(5) T볼트(T-bolt)
• 공작기계 테이블 또는 정반에서 사용
• 다른 물체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T자형 홈

5장 나사 5-161
<특수볼트>
특수볼트>

5장 나사 5-162
3. 특수 너트

(1) 와셔 너트(washer based nut)

•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접촉압력을 줄임
• 너트 하나로 와셔의 역할을 겸함

(2) 캡 너트(cap nut)

• 너트의 한쪽은 관통되지 않도록 제작


• 볼트의 한쪽 끝이 막혀 있어 오염을 방지

5장 나사 5-163
(3) 홈붙이 둥근 너트(grooved ring nut)
• 너트의 두께가 얇고 균형이 잘 잡혀있음
• 구름 베어링의 부속품

(4) 둥근 너트(circular nut)


• 너트를 외부에 노출 시키지 않을 때 사용

(5) 스프링판 너트
• 스프링 판을 굽혀서 만든다

5장 나사 5-164
<특수 너트>
너트>

5장 나사 5-165
◆ 여러 가지 나사
1. 작은 나사(screw)
• 볼트의 외경이 1~9mm인 작은 나사
• 볼트에 비해 작은 조임력
• 빈번한 풀림이 있는 곳에서는 홈의 손상

<작은 나사 머리부에 의한 분류>


분류>
5장 나사 5-166
2. 멈춤 나사

• 나사 끝의 마찰저항을 이용
• 머리모양과 나사 끝모양에 따라 분류

<멈춤 나사의 머리모양>


머리모양>

5장 나사 5-167
<멈춤 나사끝의 형상과 그 용도,
용도, 모양과 치수 (KS B 0231)>

5장 나사 5-168
3. 나사못 (wood screw)

• 목재 등과 같은 연한 재료를 박음할 때 사용

<나사못>
나사못>

5장 나사 5-169
4. 태핑 나사(tapping screw)

• 암나사를 만들기 위하여 고안된 나사


• 나사의 축방향으로 홈이 있다

<태핑 나사>
나사>

5장 나사 5-170
◆ 와셔(
와셔(washer)

• 와셔는 볼트머리의 밑면에 끼우는 것


• 일반적인 와셔는 볼트머리 부분의 압력을 분산시킴
• 갈퀴붙이 와셔는 물체를 고정시키는 역할
• 스프링 와셔는 진동에 의한 풀림을 줄이는 역할

5장 나사 5-171
<와셔의 종류>
종류>

5장 나사 5-172
◆ 스패너(
스패너(spanner)

• 볼트 또는 너트를 돌릴 수 있도록 고안
• 자재 스패너는 입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
• 멍키렌지는 입에 물리려 하는 대상이 평행일 때 사용
• 영국스패너는 대상이 평행이 아닌 경우에 사용
• 박스 스패너, 육각봉 스패너, 키 스패너 등이 있음

5장 나사 5-173
<스패너의 종류>
종류>

5장 나사 5-174
◆ 나사풀림 방지

(1) 스프링 와셔 또는 고무 와셔에 의한 방법


• 결합 부품 사이에 스프링 와셔나 고무 와셔를 끼움

(2) 특수 와셔에 의한 방법
• 혀붙이 와셔, 톱니붙이 와셔를 사용하여 고정

(3) 홈붙이 너트와 분할핀 고정에 의한 방법

• 분할핀을 사용하여 너트가 빠져 나오지 못하게 함

5장 나사 5-175
(4) 절입 너트에 의한 방법
• 너트의 일부를 안쪽으로 변형시킨 후 결합시
나사부가 압착되도록 함

(5) 록너트(lock nut)


• 고정 너트 또는 더블 너트라고 함

(6) 플라스틱이 들어간 너트


• 나사면의 마찰계수가 크게 되어 풀림을 방지

(7) 고정 나사(멈춤 나사)


•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너트를 볼트에 고정

5장 나사 5-176
<나사의 풀림방지>
풀림방지>

5장 나사 5-17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