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발 간 등 록 번 호

11-1411095-000009-0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작성 |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오수연 연구원
(051-400-5045, syoh@komeri.re.kr)
감수 | 국가기술표준원 기계소재표준과 이재원 연구관
(043-870-5374, jwlee@kats.go.kr)

제 98 호
2017.05.31
CONTENTS

1. 개론 04

가. 정의 / 04

나. 산업의 특성 / 04

2. 산업 현황 05

가.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 05

3. 규제동향 08

가. IMO-MEPC(해양환경보호위원회)의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 신설 / 08

나. 극지환경 선박 및 기자재에 대한 안전성 확보 규제 신설 / 09

4. 표준 동향 10

가. 국제 표준화 동향 / 10

나. 에너지 절감 기술 / 12

5. 시사점 및 제언 14

가. 국제표준개발 기반구축 / 14

나. 조선해양분야 표준화 진행 방향 / 15


발 간 등 록 번 호
11-1411095-000009-0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작성 |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오수연 연구원
(051-400-5045, syoh@komeri.re.kr)
감수 | 국가기술표준원 기계소재표준과 이재원 연구관
(043-870-5374, jwlee@kats.go.kr)

제 98
2017.05.31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1. 개론
1. 개론
정의
산업의 특성

개론
가) 정의
● 해
‌ 상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나, 해저의 Oil·Gas 및 광물자원을 시추, 생산, 수집하는 등의 해양
자원 개발 뿐 아니라 풍력, 조력, 파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의 해양시스템, 해양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목적의 건조물을 의미함

● 컨
‌ 테이너선, 벌크선, 유조선, 해저 에너지원을 탐사, 시추, 생산하기 위한 해상플랫폼, 해저생산처리시스템,
Topside 플랜트의 엔지니어링, 건조(제작), 이송·설치·운용·유지·보수와 관련된 산업 활동이 포함되
고, 조선 해양플랜트 기자재도 포함됨

그림 1. 조선해양플랜트

나) 산업의 특성
● ‌조선해양산업은 지식기반의 복합 엔지니어링 산업으로서, 다른 산업과의 연계 및 기술력 파급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기술인력, 기능 인력 등 각종 분야의 전문 인력이 요구되는 고용 창출 산업으로서, 2014년 우리나라
조선업계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30%(2013년 30%) 정도를 유지하고 있음

● 국
‌ 내 조선해양산업의 경우 대형 조선해양산업체들은 축적된 경험과 기술개발능력을 바탕으로 주로 고부가가
치 영역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범용 선박시장은 중국의 다수 조선업체들이 진입하여 경쟁을 시작하였고 국내
중형급 이하 조선소들도 수출시장에 진입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함

● 국
‌ 제규제 및 산업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선박과 해양플랜트에 탑재되는 부품 및 기자재를 다양한 특수 복합성
능을 갖추도록 요구함에 따라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필요성이 증대
- ‌IMO(국제해사기구)는 Polar code 강제화 추진,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한 수중 방사소음 규제, 에너지 절감
을 위한 규제 등과 같은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표준(ISO) 역시
IMO와 연계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음

4
개론

2. 산업 현황
2. 산업 현황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 전
‌ 세계 조선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저유가 기조 속에 에코십 수요가 위축되고 해양플랜트 시장도 어려워
지면서 전 세계 신조선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2015년 2,936만 CGT를 기록하
였고, 동 기간 세계 선박건조량은 3,439만 CGT를 기록하여 5년만에 증가세를 나타냄

그림 2. 전 세계 조선산업 수주 및 건조량 추이

100,000 전 세계 발주량(천 CGT)


전 세계 건조량(천 CGT)
80,000

60,000

40,000

20,000

-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11
자료 : Clarkson, 해외경제연구소

● 우
‌ 리나라는 조선 시장 지배력 세계 1위를 계속 유지해 왔지만 계속적인 시황침체로 한중일 3국 중 중국이
가장 큰 충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은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유조선과 대형
컨테이너선은 한국의 점유율이 높은 선종으로 이점도 한국에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

그림 3. 한중일 3국의 수주액 추이

한국수주액(백만달러) 중국수주액(백만달러) 일본수주액(백만달러)


한국수주점유율(%) 중국수주점유율(%) 일본수주점유율(%)
50,000 45.6% 50%
45,000 45%
40,000 40%
33.6% 35.0% 33.6%
35,000 30.0% 35%
30,000 34.2% 30%
24.3% 25.2%
25,000 29.1% 25%
20,000 22.6% 18.2% 20%
13.4% 15.3%
15,000 15%
10,000 8.7% 10%
5,000 8.1% 5%
- 0
2011 2012 2013 2014 2015. 11
자료 : Clarkson, 해외경제연구소

● 국
‌ 내 동향을 살펴보면 2015년도 수주는 세계 신조선시장 침체의 영향으로 감소를 기록 11월까지 수주량은
전년 동기대비 3.9% 감소한 992만 CGT를 기록 동 기간 수주액은 전년 동기대비 20.1% 감소한 217.4억 달
러를 기록

5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2. 산업 현황
2. 산업 현황

그림 4. 국내 조선산업 신조선 수주량, 수주액 추이

수주량(천CGT-좌측) 수주액(백만달러-우측)
35,000 100,000
30,000
80,000
25,000
20,000 60,000
15,000 40,000
10,000
20,000
5,000
-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1
자료 : Clarkson, 해외경제연구소

● 선
‌ 종별 수주실적을 살펴보면 컨테이너선과 탱커 등 세계 시장의 수요를 주도한 2개 선종만이 크게 증가하
였고 나머지 모든 선종의 수주가 부진한 양상임을 알 수 있고 2015년 해양플랜트는 FSRU 한척만을 수주
하는데 그쳤으며 벌크선의 수주는 전무하며 제품운반선 역시 수주 부진

● 반
‌ 면, LNG선은 하반기 이후 셰일가스에 대한 기대감 감소와 선복량 과잉 우려 등으로 수주가 부진하며
LPG선은 2015년 32척이 수주되어 예년에 비하여 매우 양호한 수주가 이루어졌으나, 2014년 집중 수주된
영향으로 기저효과에 의해 전년 동기대비 52.7% 감소

그림 5. 국내 조선산업 선종별 수주 실적

CGT
Passenger
35,000,000
Other offshore_plant
30,000,000 FPSO
Drillship
25,000,000 Special Vessel
Offshore Vessel
20,000,000 LNG
LPG
15,000,000
Other Cargoship
10,000,000 Container
Producr Carrier
5,000,000 Tankers
Bulker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1
자료 : Clarkson, 산업투자조사실 재구성, 해외경제연구소

● 건
‌ 조량은 2013~2014년 수주가 비교적 풍부하여 이들 물량을 기반으로 소폭 증가하여 11월까지 건조량은
2014년 동기대비 5.2% 증가한 1,192만 CGT로 집계

6
산업 현황

그림 6. 국내 신조선 건조량 추이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1
자료 : Clarkson, 해외경제연구소

● 국
‌ 내 선박수주 2015년 12월 초 기준 수주잔량은 3,112만CGT로 아직까지 2.5년치의 일감을 확보하고 있으
나 빠르게 감소 중

그림 7. 국내 신조선 수주잔량 추이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_
2004 2006 2008 201011 2012 2014 2015. 11
자료 : Clarkson, 각 기초 기준, 해외경제연구소

● 선
‌ 박(해양플랜트 포함) 수출은 건조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연초 거액의 해양플랜트 일부가 인도되며 소폭
증가하여 2015년 376.2억 달러를 기록

● 최
‌ 근 극지역을 운항하는 빙해선박에 대해 미국선급(ABS), 노르웨이 선급(DNV), 영국선급(LR), 러시아선급
(RMRS) 등에서는 방한 기술 표기법을 정의하고 있는 사항이며 극지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전체 및 의장
기자재에 대한 강제화 코드를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매우 증가

그림 8. 빙해선박의 착빙 및 결빙

7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3. 규제동향
3. 규제동향

● 해
‌ 양환경보호 및 해상안전에 대한 글로벌 기술규제가 조선분야에서 국제해사기구(IMO) 중심으로 신설 및
강화
- ‌선박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10%, ’15),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 평형수 교환 규제(’18 발효 예정) 및 극지
해역 운항 선박 안전 기준 강제화(’17) 등

● 세
‌ 계시장의 30%(’14)를 점유하고 있는 우리기업이 시장 점유를 유지하고 규제를 통해 생성되는 신규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글로벌 규제에 대응이 필요

● 선
‌ 박평형수처리장치(BWMS)의 경우, 규제 발효에 따른 시장규모는 약 80조원 (’11-’16)으로 추정
(IMO MEPC 63, Inf.11, ’12) : ’20년까지 약 68,000대 이상
● 국
‌ 내기업들은 BWMS 장치를 독자 개발하여 영업활동 중이며, 세계 시장에서 승인된 제품수와 매출
에서 1위에 위치 (테크로스, 선보공업 등 18개 업체)

가) IMO-MEPC(해양환경보호위원회)의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 신설
규제방법 적용기술 대상선박 내용
에너지 효율 향상기술
에너지효율설계지수 강제화(’13)
엔진 및 배기가스 처리 신조선박
(EEDI) MARPOL 부속서 6
신재생에너지 및 차세대동력
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 에너지 효율 관리기술 강제화(’13)
신조/현존 선박
(SEEMP) (Best Practice) MARPOL 부속서 6
에너지효율운항지수 효율적 운항기술/지표 자발적 참여(’13)
신조/현존 선박
(EEOI) (Operational Indicator) MARPOL 부속서 6
강제화(’18)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검증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및
신조/현존 선박 EU Regulation
(EU MRV) 감축활동의 정량적 평가
Directive 2009/16/EC

● 선
‌ EEDI(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신조선 에너지 효율 설계 지수)는 1톤의 화물을 1 해상 마
일 (Nautical mile = 1.852 km)을 운반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 S
‌ EEMP(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선박에서의 자원절약과 에너지이용 효율화를
위한 계획서
● E
‌ EOI(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주어진 기간 동안 항해하는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
량 계산 지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연료의 소모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결국 연비 효
율을 알려주는 유용한 지표
● M
‌ BM(Market Based Measures): 선사나 선주로 하여금 선박의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지침서
● E
‌ U MRV(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 해운업에서 선박 운항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 현
황, 감축활동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방법, 2018년 이후 유럽 기항선박은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하여야 함

● 에
‌ 너지효율설계지수(EEDI) 경우 ’15년부터 Phase 1을 적용하여 대부분의 선종 10% 감축 의무화(IMO
Resolution MEPC.251(66))
- 20%(2020년), 30%감축(2025년) 기준 적용 예정

8
규제동향

나) 극지환경 선박 및 기자재에 대한 안전성 확보 규제 신설


● I‌MO(MSC/Circ.1056, MEPC/Circ.399)에서 북극해역 항해 선박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Polar Code, '02),
MSC 94/3/1에서 강제 규정 채택(’14) 및 강제화(’17)
- 극지운항 선박 및 기자재에 대한 결빙성능 등 규정

Chapter 7 Operational Safety - Requirements/Regulations


- ‌Deicing systems, if installed, shall be [safe for human and efficient][arranged to protect against
harmful accidental human contact.]
Chapter 8 Fire safety/protection - Functional requirements
- Accesses and escape routes shall be arranged so as to remain free of ice.
Chapter 9 Life‑Saving appliances and arrangements –Requirements/Regulations
- ‌For ships exposed to ice accretion, means shall be provided to remove or prevent ice and snow
accretion from escape routes, muster stations, embarkation areas, survival craft, its launching
appliances and access to survival craft;

다) 해양환경보호 규제 신설
● 선
‌ 박의 평형수 교환에 따른 유해 미생물 등 연안 해양 환경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의 제
정(’04) 및 발효 예정

● I‌MO MSC.337(91) 공식 안건으로 방사되는 소음에 의한 해양 생태계 파괴방지를 위한 규제 채택('12) 및 최근


MEPC.1/Circ. 833(’14)에서 가이드라인 개발 중

9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4. 표준 동향
4. 표준 동향
국제
‌ 표준화 동향
조선
‌ 분야 글로벌
기술규제 및 표준대응
가) 국제 표준화 동향
현황
● 조
‌ 선분야 ISO/TC8(조선 및 해양기술)은 13개의 산하 SC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SC3(배관 및 기계류),
SC8(선박 설계) 분야 의장국을 유지

그림 9. ISO 조선분야 TC·SC 현황

표 1. 조선분야 ISO TC 8 현황

기존 신규
기존 타이틀 의장국 간사국
위원회 위원회
Lifesaving and fire protection
SC1 SC1 영국 미국
(구조 및 화재보호)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SC2 SC2 일본 미국
(해양환경보호)
Piping and machinery
SC3 SC3 한국 미국
(배관 및 기계류)
Outfitting and Deck machinery
SC4 SC4 중국 중국
(의장품 및 갑판기계류)
Navigation
SC6 SC6 일본 일본
(항해)
Inland navigation vessels
SC7 SC7 독일 독일
(내륙항해선)
Structures
SC8 SC8 한국 한국
(선박구조물)
Intermodal and Short sea shipping
SC11 SC11 미국 한국
(복합수송 및 연안운송)
Large Yachts
SC12 SC12 이태리 이태리
(대형 요트)
Marine Technology
SC13 SC13 중국 중국
(해양 기술)

※ 의장국 수(10) : 미국(1), 일본(2), 중국(2), 이태리(1), 한국(2), 독일(1)


※ 간사국 수(10) : 미국(3), 일본(1), 중국(2), 이태리(1), 한국(2), 독일(1)

10
표준 동향

조선 분야 글로벌 기술규제 및 표준대응 현황


● 환
‌ 경보호 및 해상안전에 대한 글로벌 기술규제(IMO)가 신설·강화됨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SO/TC8)는
IMO의 규제와 연계한 제품성능요건 및 시험평가방법 등의 국제표준을 제·개정함

규제명 구분 ’00 ’05 ’10 ’15 ’20

극지안전(Polar Code) 신설 •(’02 지침서) (’14 규정개발)• •(’17 강제화)

선박평형수관리협약 신설 (’04 개발)• •(’09 한국 비준) •(’18 발효예상)

온실가스감축규제 신설 (’13 발효)• •(’15 10%감축)

수중방사소음규제 신설 (’09 규제채택)• •(’16 발효예상)

선박재활용장비 강화 (’09 규제발효)• (’13 강화)•

VOCs 배출규제 강화 (’10 규제발효)•(’12강화)• (’20 강화)•

소각기 규제 강화 (’10 규제발효)• (강화 검토 중)•

선원 음용수 요건 강화 • (’00 규제발효) (강화 검토 중)•

해상크레인 안전규제 강화 (강화 검토 중)•

해상 작업자소음 규제 강화 ('84 규제강화) (’14 규제강화)•

인명구조 및 방화규제 강화 * Costa Concordia(’12.1 침몰)에 따른 보고서(’15) (강화 검토 중)•

- ‌IMO 협약 및 코드에 126종(총 289종)의 ISO 표준이 인용되고 있으며, 신설 및 강화되는 규제에 대해서도
표준화 활동(16종 제·개정)이 진행 중

글로벌 기술규제(IMO) 국제표준(ISO) 작업내용

SOLAS II-2(화재예방) ISO15364(압력/진공 밸브), ISO/TC8/SC3/WG5 개정

Hongkong convention Recycling 2009 ISO30000-30007(재활용 방법, 유해물질 관리 등)


(선박 해체/재활용 시 유해물질 등 규제) ISO/TC8/WG6에서 ISO30006, 30007 등 강화 개정 중

제 MEPC.59(선박소각기) 규제 ISO13617(소각기요건), ISO/TC8/SC2 NP단계로 개정 준비 중

화 ILO/IMO 음용수 규제 ISO 15748-1/-2(음용수공급 설계/계산법), WG 신설추진

Code on marine lifting appliance ISO 16855〜16858, ISO 19354〜19360 개발 중

IMO Resolution 468(소음규제) ISO/TC8/SC13 신규표준 준비 중

ISO18215(극지선박 운용지침)
ISO/TC8/WG9(Arctic regions) 및 ISO/TC8/SC4/WG9(Deck
Polar Code(극지환경 안전)
machinery in the polar environment) 신설 추진
규 ISO 19641(빙해선박용 갑판장비시험절차),

신 BWMS(평형수) 협약 ISO11711-1(배수채취방법), ISO/TC8/SC3/WG12 신설

온실가스 감축 규제 ISO/TC8/SC2/WG 신설 추진

수중방사소음 규제 ISO/TC8/SC8/WG14(프로펠러) ISO/TC8/SC2/JWG1(방사소음)

11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4. 표준 동향
4. 표준 동향
에너지 절감 기술

나) 에너지 절감 기술
● 선
‌ 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2013년부터 계약되는 모든 신조선에게 에너지 효율운항지수
(이하 EEOI) 모니터링 제품이 설치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시장 규모의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됨

● 국
‌ 내 EEOI 관련 선박 기자재 개발 활성화와 그에 따른 조선 산업의 부가가치 고도화를 위하여 우수한 성
능의 기자재 개발 달성 여부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험 방법 및 시험설비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한
실정

● 한
‌ 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이하 KOMERI)와 ㈜스펙스에서 현재 EEOI 측정항목과 연소장치 운전열효율 정
밀계측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현
‌ 재 세계적인 메이커인 국내 조선소에 비해 국내 조선기자재업체의 기술력 및 시장 경쟁력이 많이 떨어
지는 상황으로 시장이 성숙되지 않은 본 기술에 대해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국제 표준화함으로서 국외 시
장에 대한 진입경쟁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본 기술에 대한 조기 선점 가능

다) 우리나라의 국제 표준화 활동 동향
● 현
‌ 재 우리나라는 ISO/TC8에서 SC8 분야 의장과 간사, SC11 분야 간사를 수임하고, 2009년 1월에 선박계
류장치 분야(ISO/TC8/SC4)에 국제표준안을 12건 제안하여 모두 채택되었음

● 이
‌ 후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관련 1종, 빙해선박 갑판기자재 관련 4종, 친환경 초저온 밸브 4종, 초저온 내화
도료 관련 1종, LNG 화물창용 이송량 관련 1종, 해양환경보호용 오일붐 관련 3종, EEDI/EEOI 관련 2종, 선
박 소음 (캐비테이션 관련) 1종 등 총 17종의 국제표준안 개발 진행 중

● 또
‌ 한 동 분야 컨비너 및 프로젝트 리더도 수임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분과에서 국제 표준화 활동을 진행 중

12
표준 동향

표 2. ISO TC8 한국 제안 개발 진행 표준
(단위: 백 만$)

표준제안(작성)자
표준번호 표준명칭 제안
Project Leader/
(status 포함) (국문) 연도
Convenor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창용 글로브밸브 - Project leader : 민성환


ISO 18139 2012
설계 및 시험 요구조건 Convenor : 신일섭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창용 안전밸브 - Project leader : 민성환


ISO18154 2012
설계 지침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 민성환


ISO19037 초저온 게이트 밸브 2014
Convenor : 신일섭

초저온 Project leader : 민성환


ISO 20602 2014
체크 밸브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 오수연


ISO 19641 극지운항선박 갑판 장비에 대한 시험 방법 2013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 김동현


ISO 19738 배관 내 대표 샘플링 방법 2013 Convenor : Carolyn
Junemann

Project leader : 신일섭


ISO 17325-3 해양환경보호 - 오일붐 - 연결부 2013
Convenor : 이세창

선박 설계 시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소음 평가를 Project leader : 박철수


ISO 20233 2014
위한 모델 테스트 방법 Convenor : 이보하

LNG선의 트림 및 리스트 결정을 위하여 사용되 Project leader : 남궁진


ISO 19636 2014
는 측정시스템의 일반요건 Convenor : 김동현

보호 재료의
Project leader/Convenor :
초저온 누수 저항 결정- 1부 :
2014 Sebastien Viale
액체 상태
ISO 20088- Co-Project leader : 이민정
2016-07-05 발간
1, 2, 3 Co-Convoner : 민성환
본 프로젝트는 TC 67/ SC 9/
2부 : 증기 상태
2014 JWG 3과 공동 개발
3부 : 고압 제트 노출

Project leader : 오수연


ISO 20082 선박 에너지 효율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2015
Convenor : 신일섭

축마력계측시스템 - 제 1부 : 스트레인 게이지 Project leader : 오수연


ISO 20083-1 2015
타입 검교정 방법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ISO 21635 소형 LNG 탱크용 고망간강 사양 2016 Convenor
김기환

Project leader : 김동우/


ISO 21539 극지환경용 갑판 상부에 설치되는 발열갑판통로 2016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 김동우/


ISO 21885 극지환경용 발열갑판계단 성능평가 방법 2016
Convenor : 신일섭

Project leader : 오수연/


ISO 22419 극지환경용 핸드레일 성능평가 방법 2017
Convenor : 신일섭

13
2017
조선해양 산업 현황 및 표준화 동향

5. 시사점 및 제언
5. 시사점 및 제언
국제표준개발 기반구축
조선해양분야
‌ 표준화
진행 방향
가) 국제표준개발 기반구축

● 선
‌ 박 건조가 한중일에서 약 90%를 차지함으로써 한중일이 만드는 표준은 세계 표준이 됨

● 우
‌ 리나라가 ISO/TC 8/SC 8, SC11에서 의장 및 간사를 맡고 있으며, TC8 내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프로젝
트 진행 및 국제표준 활동 주도

● 국
‌ 내 산업계 필요 표준 품목을 국제 표준화시킴으로써 산업계 전반적인 경쟁력 구축

● 정
‌ 부 R&D 사업에 표준을 연계시킴으로써, 표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음

● 특
‌ 히, 조선의 경우, IMO(국제해사기구)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거나, 완료된 각종 규정에 대해, ISO 표준
연계가 필요한 항목 발굴 및 ISO 표준 개발 필요

● 조
‌ 선업계의 표준 동향
- 과거 : 일본의 JIS 모방(Follower)
- 현재 : 한국 조선소의 세계적이고 풍부한 건조 경험(Experience)
- 미래 : 우리가 만든 표준은 곧 세계표준이라는 자부심으로 조선업계 관련 표준
국가차원 정립 필요(Creator)

● 적
‌ 극적인 민간기업 국제표준 제정 참여 필요
- 국제표준 제정에 참여함으로써 선진 기술 및 시스템 발전을 사전에 파악 가능
- 우리에게 불리한 기술일 경우, 사전 대응 가능
- 우리 기술이 있을 경우, 국제표준에 포함하도록 노력 필요

14
시사점 및 제언

나) 조선해양분야 표준화 진행 방향

● I‌MO와 연계하여 조선해양 분야 국제 표준(ISO/TC8) 또한 개발 필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전 세계 조선 분야


표준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조선 및 해양 관련 업계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표준 제정을 추진하고 있음

● 조
‌ 선해양산업의 규제는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수요 자체가 글로벌 수요이기 때문에 대부분 국제규제에 근
거를 두고 있고 규제의 제정과 함께 생산계획 및 전략에 반영하고 있음

● 특
‌ 히 선박은 해상안전 및 환경의 문제로 인해 건조 및 기자재에 대해 엄격한 국제적 규제 및 검사가 적용
되므로, 각종 국제기구 규제 및 표준 강화 조치 등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과 적용이 필요한 실정

● 최
‌ 근 이슈화되고 있는 IMO 규정과 연계한 국제표준화(ISO)를 통한 국내 조선 해양기자재업체의 신 시장
창출, 해외마케팅 강화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음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