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실험 데이터 작성시 그래프 주의 사항

절대적인 법칙은 없음. 단, 최소한 지켜줘야 할 사항과 가급적 많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게 좋음.

바람직하지 않은 예 수정해야 할 사항

0.14
mdotTHE
mdotEXP
0.12

0.10
m_dot (kg/s)

0.08

0.06

0.04

0.02

0.00
2.0x105 4.0x105 6.0x105 8.0x105 1.0x106
delta_P (N/m2)

액체 유량 측정 실험 : 차압에 따른 유량

1.0
Cd
Linear Fit of Data4_Cd
0.8

0.6
Cd

0.4
Parameter Value Error
------------------------------------------------
0.2 A 0.757 0.04452
B -1.01947E-7 6.91636E-8
------------------------------------------------

0.0
0.0 2.0x105 4.0x105 6.0x105 8.0x105 1.0x106
delta_P (N/m2)

(압력변화에 따른 CD값)

- 1 -
바람직하지 않은 예 수정해야 할 사항

45
measured
40 theorical
35

30
m_dot(kg/s*E-5)

25

20

15

10

0
0 1 2 3 4 5 6 7 8 9
P0 (bar)
기체(공기) 유량 측정 실험 : 상류 가압 압력에 따른 유량 변화
Quiz 1) 만약에 N2, He, CO2 면?
Quiz 2) 1~2 구간을 자세히 봐야 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Quiz 3) cavitating venturi ?

Temperature VS Voltage
5
: Measured Data
: Linear Fit
4
Voltage (mV)

2
Linear Regression for Data1_volt:
Y=A+B*X
Parameter Value Error
1 -------------------------------------------------
A -0.03313 0.02072
B 0.04193 3.72742E-4
-------------------------------------------------
0
0 20 40 60 80 100
o
Temperature ( C)

T.C. 기전력 측정 실험

- 2 -
바람직하지 않은 예 수정해야 할 사항

Fig. 5 Chamber pressure vs time curve (O/F ratio)

Question) 온도 및 정압 센서의 sampling rate?

- 3 -
거의 동일한 조건에서 각 변수의 영향을 비교할 때 (I)

바람직하지 않은 예
바람직한 예

(a) recess : 1.0


(a) recess : 1.0

(b) recess : 1.5 (b) recess : 1.5

(c) recess : 2.3 (c) recess : 2.3

- 4 -
거의 동일한 조건에서 각 변수의 영향을 비교할 때 (II)
잘못된 점?

설계유량 분산각
design 52.64 g/s

52.77 g/s
리세스 0
(7bar 가압)

분산각 : 66°

52.50 g/s
리세스 1.1
(7bar 가압)

분산각 : 70°

53.03 g/s
리세스 2
(7bar 가압)

분산각 : 73°

- 5 -
개선 후 그림/사진 예!

액체 분무

2) 기체/액체 동시분사

기체/액체 동시분사

- 6 -
변수 변화에 따른 각 case 비교시 (수치해석 예)
잘못된 점???

- 7 -
변수 변화에 따른 각 case 비교시 (수치해석 예) (앞 그림 확대 계속)
잘못된 점???

- 8 -
변수 변화에 따른 각 case 비교시 (수치해석 예)

Case A

Case B

Case C

Case D

- 9 -
논문 투고시 그림 관련

- 10 -
논문으로 제출할 경우는 legend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color 인쇄를 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서 선으로 구분한다.

또한 legend보다는 위와 같이 화살표로 명확히 표시해주는 게 좋을 수도 있다.

- 11 -
이 외에 논문 or 보고서 작성시 주의 사항
(1) 국문 논문 작성시, 어떤 용어를 사용할 때 가급적이면 한글로 표기하고 맨 처음만 국문(영어)로 쓰고, 이후는

국문만 !
“… 음향공(acoustic cavity)은 …. 이 음향공이 … "

but, Fig. Table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 (fig. table 로 잘 쓰지 않음)

(2) 영어 단어를 본문 중간에 쓸 때는 고유명사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소문자로 시작한다. 단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문장 처음에 올 때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 tube는 …. Tube는 … "

(3) Fig. 와 Figure 표현 :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문단 처음에는 Figure로 표현, 나머지는 Fig.

(4) 그림이나 Table 을 참고문헌에서 가지고 와서 그대로 삽입할 때, 본문 문장에 참고문헌 표기하는 것 외에도

그림이나 Table의 caption에도 [ref number]를 표기한다.

(5) 유효숫자 표기 관련 : 과도한 소수점 이하 숫자 자제~

ex) 1500.139Hz , 120.246V

(6) “하다”와 “되다”의 올바른 “띄어쓰기”

“차단 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되어야 하며”

- 12 -
(7) 참고문헌 작성시 주의 사항?

Ÿ 참고문헌에 나열한 것은 반드시 본문에서 언급 또는 인용하고 본문에 번호를 삽입한다.

Ÿ 참고문헌 나열 순서는 반드시 본문에서 서술된 순서로 나열한다.

Ÿ 본문 참고 문헌 표시는?

ex)

… 하다.[1]

… 하다(1).

… 하다[1,2,3,4].

… 하다[1,2,3,6,8,9,10,11]. (그런데, 마지막 예는 사실 참고문헌 나열 순서에 약간 문제가 있는 경우 일 수 있다)

(8) 그림과 Table caption 표기시 1줄을 넘어갈 때?

ex)
0.4
AR=5.04
0.3
Radius (m)

AR=3.5
0.2

0.1

0
-0.5 -0.25 0 0.25 0.5
X (m)

Fig. 2 KSR-III Lquid Rocket Engine Nozzle Contours and


Nozzle Contours

(9) 좌우 공간이 많은 경우 + 그림의 caption은 길 때는?

0.4
AR=5.04
0.3
Radius (m)

AR=3.5
0.2

0.1

0
-0.5 -0.25 0 0.25 0.5
X (m)

Fig. 2 KSR-III Lquid Rocket Engine Nozzle


Contours and Nozzle Contours, 연습용 연습용 연
습용 연습용

- 13 -
(10) 특히 주의 할 점!!! 본인만이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이나 그림, table 등 주의!

ex)

장착 오리피스
(mm)
디퓨저 수축부 및 이차목 오리피스 10.8
디퓨저 확산부 오리피스 10.6
열교환기 오리피스 12.3

오리피스 매니폴드압력 [ kgf ] 물 질량 시간 유량


No. 디퓨저 수축부 디퓨저 확산부 열교환기
사이즈 PT9505-9506 PT9605-9606 PT9705-9709 [kg] [sec] [ kg/s ]
∅10.8 35.4 1.75
1 ∅10.6 4.9 4.7 5.5 35.28 20.28 1.74
∅12.3 29.07 1.43
∅10.8 35.2 1.75
2 ∅10.6 4.6 4.6 5.3 34.25 20.13 1.70
∅12.3 28.6 1.42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