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44, No. 11, pp.

703~709, 2020 703

<학술논문> DOI https://doi.org/10.3795/KSME-B.2020.44.11.703 ISSN 1226-4881(P rin t)


2288-5234(Online)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바이오프린팅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
조 용 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권연구센터 의료IT융합연구실

Fabrication of a Bioprinted Composite Kagome Structure Scaffold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Yong Sang Cho*†
* Medical IT Convergence Research Section, Daegu-Gyeongbuk Research Center,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Received July 15, 2020 ; Revised August 2, 2020 ; Accepted August 7, 2020)

Key Words: Bone Tissue Engineering(골 조직공학), Bioprinting(바이오프린팅), Kagome Structure(카고메 구


조), Composite(복합재), Scaffold(세포지지체)

초록: 골 조직공학에서 기존의 골 이식재 한계를 극복하고자 생체 적합성/생분해성 합성 고분자 및 생


체 적합성 바이오세라믹이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 고분자의 낮은
생체 적합성, 바이오세라믹의 낮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한 한계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
조직 재건용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바이오
세라믹 복합재와 초경량 구조체인 카고메 구조를 갖는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를 제안하였다. 게다가
격자 구조를 갖는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를 이용하여 바이오프린팅 복합재-카고메 세포지지체의 구조
적 특성, 기계적 물성, 생체 외 세포 배양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Abstract: In bone tissue engineer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bone grafts,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synthetic polymers and bioceramics are used to fabricate bioprinted scaffolds. However,
synthetic polymers have relatively low biocompatibility, and bioceramics are brittle. Therefore,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ioprinted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an ultra-light composite
bioprinted scaffold consisting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bioceramic materials with a Kagome structure was
proposed. Moreov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and in vitro cell response of the
composite Kagome scaffold fabricated using the bioprinting system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 bioprinted scaffold with a grid structure.

1. 서 론 질병 감염 등의 잠재적 위협요소들에 의한 문제
가 보고되었다.(3,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골 조직공학은 교통사고, 질병, 노화로 인해 자
바이오프린팅 기술 기반 골 재건용 생체 적합성/
가 치유로 회복 불가능한 골 결손을 재건하는 치
생분해성 세포지지체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료법으로 주목받았다.(1,2) 이러한 골 결손을 재건
진행되어왔다.(5,6)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를 제
하기 위해 자가골(autografts), 동종골(allografts), 이
작하기 위해 생체 적합성/생분해성 합성 고분자
종골(xenografts) 유래 골 이식재가 사용되어 왔지
및 생체 적합성/골전도성 바이오세라믹이 사용되
만, 공급 부족, 만성 통증 유발, 면역 거부 반응,
고 있지만, 합성 고분자의 낮은 생체 적합성으로
† Corresponding Author, yongsangcho@etri.re.kr 인한 낮은 골 형성능이 보고되었고 바이오세라믹
Ⓒ 2020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의 경우 취성에 취약하여 기계적 물성의 한계가

www.dbpia.co.kr
704 조 용 상

보고되었다.(7,8)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바이오


프린팅이 가능한 합성 고분자/바이오세라믹 복합
재가 제안되었다. 바이오프린팅에 사용되는 대표
적인 합성 고분자는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lactic-co-glycolide), polycaprolactone 등
이 있으며 바이오세라믹은 hydroxyapatite(HA),
bioactive glasses, tricalcium phosphate 등이 사용되
고 있다.(9,10)
한편, 구조공학 분야에서 3차원 다공성 구조물
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pyramidal, triangulated, tetrahedaral, kagome, octet
등의 초경량 트러스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 중
카고메 구조(kagome structure)는 상대적으로 기공 Fig. 1 Schematics for the fabrication of bioprinting
scaffold: (a) CAD/CAM techniques for grid
의 상호 연결성이 우수하고 파괴 인성, 압축 응 and kagome structures; (b) bioprinting
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1,12) system for the melt extrusion type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 조직 재건용 바이오
가열하였다. 가열된 재료를 스크류 45rpm, 공압
프린팅 세포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250kPa 조건하에 토출하면서 동시에 설계된 카고
위해 복합재와 카고메 구조(kagome structure)를
메 구조를 갖는 세포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사용
갖는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를 제작하였다. 게
된 바이오프린팅 시스템의 개략도를 Fig. 1에 나
다가 격자 구조(grid structure)를 갖는 바이오프린
타내었다.
팅 세포지지체를 이용하여 구조적 특성, 기계적
카고메-복합재 세포지지체의 특성을 비교 분석
물성, 세포 배양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PCL 격자 구조 세포지지
2. 재료 및 제작 방법 체와 PCL 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를 앞서 언급
한 제작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2.1 재료 PCL 격자 구조 세포지지체의 경우 500μm의 노즐
3차원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를 제작하기 위 을 사용하였다. 카고메 구조와 격자 구조의 세포
해 본 연구에서는 43,000~50,000 무게 평균 분자 지지체는 기공 크기 500μm, 기공률 50%, 3차원
량(Mw)을 갖는 PCL(polycaprolactone; Polyscience, 형상 크기 5×5×3.6mm3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USA)과 200nm의 평균 입도 크기를 갖는 nHA(nano
hydroxyapatie; Sigma, USA)를 사용하였다. 2.3 복합재 재료 특성 분석
제작된 PCL/nHA 복합재 내 nHA 분산도를 정
2.2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 제작 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PCL 및 복합재 단면을
PCL(polycaprolactone)/nHA(nano hydroxyapatie) 주사전자현미경(S-4800, Hitachi, Japan)과 에너지
나노 복합재를 제작하기 위해 PCL을 5w/v%의 비 분산형 분광분석법(EX-250, Horiba, Japan)으로 분
율로 DCM(dichloromethane; Daejung Chemicals and 석하였다. 제안된 복합재 제조 방식에 의한 PCL
Materials, Republic of Korea)에 용해시킨 후, 10wt% 분자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PCL과 PCL/nHA의
의 nHA를 첨가하여 초음파 분산기(KFS-450N, 분자량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Acquity APC,
Koprotec, Republic of Korea)를 통해 PCL 용액 내 Waters, USA)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작된 복
에 nHA 파티클을 45분 동안 분산시켰다. 복합재 합재 내 nHA 함량을 열중량 분석기(SDT Q600,
슬러리의 DCM을 제거하기 위해 복합재 슬러리 TA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를 테프론 접시에 옮긴 후 진공 오븐 80°C에서 3
일 동안 건조시켰다. 제작된 복합재를 100μm의 2.4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 특성 분석
세라믹 노즐이 체결된 바이오프린팅 시스템 디스 제작된 바이오프린팅 세포지지체의 구조적 특
펜서에 투입 후, 디스펜서에 100°C로 30분 동안 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지지체의 표면 및 단면

www.dbpia.co.kr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바이오프린팅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 705

을 주사전자현미경(S-4800, Hitachi, Japan)을 통해


분석하였다. 제작된 세포지지체의 기공 크기는
광학현미경(Mi-9100 ZOOM, Magic I, Republic of
Korea)을 통해 측정된 값을 평균값으로 계산하였
다. 세포지지체의 전체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디
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높
이를 측정하여 계산하였고 세포지지체의 전체 부
피(V), 질량(m), 소재 밀도(ρ), 소재 함량(wt)을 이
용하여 식 (1)과 (2)로 세포지지체의 기공률을 계
산하였다. 시험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지지체 10개씩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2)

세포지지체의 압축 강도는 1mm/min의 이송 속 Fig. 2 Analysis for the characteristics of bulk PCL
도에서 압축 시험기(AG-5 KNX, Shimadzu, Japan) and bulk PCL/nHA10: (a) SEM and EDS
를 통해 측정하였다. 세포지지체의 탄성 계수는 images of the bulk PCL; (b) SEM and
EDS images of the bulk PCL/nHA10; (c)
응력-변형률 선도의 탄성 영역에서(변형률 1% 이 GPC; (d) TGA (the result of TGA was
내) 계산하였다. 시험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기 refer to the results of Ref. (13))
위해 세포지지체 8개씩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
를 복합재 비율로 한정하여 복합재를 제작하였
였다.
다. Fig. 2(a)와 2(b)는 PCL bulk 및 제작된 복합
재 단면에 대한 SEM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2.5 제작된 세포지지체의 세포 증식력 평가
PCL bulk 이미지와 대조적으로 제작된 복합재 단
배양된 골육종 세포를(saos-2) 트립신과 EDTA
면에서 nHA 파티클이 일정한 크기로 골고루 분
(Gibco BRL, USA)로 구성된 배양 용기에서 떼어
산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산된 파티
낸 후 70% 에탄올과 UV 멸균을 처리된 세포지
클이 nHA임을 확인하기 위해 에너지 분산형 분
지체에 골육종 세포(1×105)를 골고루 파종하였다.
광분석법을 통해 nHA 구성 성분인 칼슘, 인 값
골육종 세포의 배양액(DMEM: Dulbecco’s modified
이 검출됨을 검증하였다. Fig. 2(c)는 복합재 제작
eagle’s medium; Hyclone, USA, supplemented with
방법이 PCL의 분자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확
10%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 USA),
인하고자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PCL
100U/mL of penicillin(Gibco BRL, USA), and
분자량과 복합재의 분자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
100mg/mL of streptomycin(Gibco BRL, USA))을 첨
다. PCL과 복합재의 분자량은 각각 Mn 47,882/Mw
가하여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1, 7, 14일 동
63,426, Mn 47,124/Mw 64,320으로 측정되었다. 제
안 CCK-8 kit(Dojindo, Japan)와 live & dead stain
안된 복합재 제작 방법은 PCL 분자량 변화에 영
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을 관찰하였다.
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2(d)는 열
중량 분석기를 통해 제작된 복합재 내 함유된
3. 결과 및 논의
nHA 함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600°C 이상에서
3.1 제작된 복합재 특성 분석 남아있는 중량을 nHA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프린팅 공정에서 어떠한 600°C 이상에서 측정된 중량은 10.3±0.2%로 설계
공정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복합재 함량인 10wt% 된 nHA 함량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ww.dbpia.co.kr
706 조 용 상

Fig. 3 SEM images of the fabricated bioprinting


scaffolds: (a) PCL-grid scaffold; (b) PCL-
kagome scaffold; (c) PCL/nHA10-kagome
scaffold

3.2 제작된 세포지지체 특성 분석


바이오프린팅 시스템으로 제작된 PCL-격자 구
조 세포지지체, PCL-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복
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표면 및 단면 형
상을 Fig. 3에 나타냈다. 제작된 세포지지체의 표
면과 단면 형상을 통해 균일한 기공 크기와 우수
한 기공 연결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작된 세포 Fig. 4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scaffolds
지지체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표면 기 fabricated by bioprinting system: (a) Pore
size; (b) porosity; (c) compressive modulus
공 크기 및 기공률을 Fig. 4(a)와 4(b)에 나타냈다. (NS: Nonsignificant, ** p < 0.01, *** p <
제작된 PCL-격자 구조 세포지지체, PCL-카고메 0.001) (the results of pore size, porosity,
구조 세포지지체,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and compressive modulus were refer to the
results of Refs. (13) and (15))
기공 크기 및 기공률은 각각 497±8μm/51.5±1.0%,
512±29μm/51.0±0.6%, 509±16μm/49.5±0.9%로 측정되 소재 및 비슷한 기공률인 경우, 전통적인 격자
었다. 결과적으로 제작된 세포지지체의 기공 크 구조를 갖는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에 비해
기 및 기공률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검증하였다. 카고메 구조를 갖는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이
복합재 및 카고메 구조에 따른 기계적 물성 변 2.5배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복합재
화를 관찰하기 위해 Fig. 4(c)와 같이 압축 탄성율 를 사용한 카고메 구조를 갖는 세포지지체는 기
을 측정하였다. PCL-격자 구조 세포지지체, PCL- 존 격자 구조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 대비 3
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 배 증가된 압축 탄성율이 측정되었다. 보고된 문
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은 각각 35.5±6.9MPa, 헌에 따르면,(14) 전산 해석상에서 격자 구조 세포
91.2±5.5MPa, 109.6±2.0MPa으로 측정되었다. 동일 지지체의 경우 격자 구조를 이루고 있는 스트랜

www.dbpia.co.kr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바이오프린팅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 707

Fig. 5 CCK-8 assay results of cells cultured on


fabricated scaffold during 2 weeks (NS:
Nonsignificant, *** p < 0.001) (the results
of CCK-8 assay was refer to the results of
Refs. (13) and (15))

드(strand)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경우
카고메 구조 특성에 의해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
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소
재, 비슷한 기공률에서 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의 압축 탄성율이 격자 구조 대비 높은 나타난
현상은 구조적 특성 차이에 의해 나타난 현상임
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
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 증가는 복합재 내에 바
이오세라믹 입자들이 변위 변화 및 크랙의 진전
등을 방해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
다.(16)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재 및 카고메 구 Fig. 6 Live & Dead stain images of cells cultured
on fabricated scaffold at 7 days: (a) PCL-
조를 이용하여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을 증가 grid scaffold; (b) PCL-kagome scaffold; (c)
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PCL/nHA- kagome scaffold

3.3 제작된 세포지지체 세포 배양 특성 평가 양된 세포의 생존력을 확인하기 위해 live & sead


Fig. 5는 골육종 세포를 이용하여 제작된 세포 stain 이미지를 Fig. 6에 나타냈다. Fig. 6과 같이
지지체의 세포 배양 특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모든 세포지지체 표면에서 살아있는 세포들을 관
Fig. 5의 CCK-8 1일차 결과에서 PCL-격자 구조 찰할 수 있었다.
세포지지체에 비해 PCL-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와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세포 부착 3.4 복합재-카고메 구조가 적용된 척추 융합용
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생 세포지지체 제작
체 외 실험에서 세포 파종 시 내부 구조가 복잡 제안한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복합재-카고메
한 형태의 카고메 구조에 의한 세포 유실율이 낮 구조 세포지지체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아 상대적으로 세포 부착력이 향상되었다고 설명 위해 Fig. 7과 같이 척추 융합술에 사용되는 임상
할 수 있다. 게다가 CCK-8 14일차에서 카고메 구 용 케이지를 선정하고 케이지와 유사한 모양 및
조에 의한 우수한 세포 부착력으로 인해 여전히 크기를 갖는 세포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세포지지
많은 양의 세포가 PCL-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와 체는 기공 크기 500μm, 기공률 50%, 3차원 형상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에서 증식하고 있 크기 50×40×18mm3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결과적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된 세포지지체에 배 으로 복합재-카고메 구조는 바이오프린팅 시스템

www.dbpia.co.kr
708 조 용 상

(3) Vella, J. B., Trombetta, R. P., Hoffman, M. D.,


Inzana, J., Awad, H. and Benoit, D. S. W., 2018,
“Three Dimensional Printed Calcium Phosphate and
Poly(caprolactone) Composite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Preserved Microstructure,”
J. Biomed. Mater. Res.: Part A, Vol. 106, No. 3,
Fig. 7 Fabrication of the cage with kagome pp. 663~672.
structure fabricated by bioprinting system
(4) Shi, Q., Li, Y., Sun, J., Zhang, H., Chen, L.,
Chen, B., Yang, H. and Wang, Z., 2012, “The
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
Osteogenesis of Bacterial Cellulose Scaffold
인하였다.
Loaded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2,”
4. 결 론 Biomaterials, Vol. 33, No. 28, pp. 6644~6649.
(5) Yin, S., Zhang, W., Zhang, Z. and Jiang, X.,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카고메 구조 바이오프린 2019, “Recent Advances in Scaffold Design and
팅 세포지지체의 기계적 물성 및 세포 배양 특성 Material for Vascularized Tissue-Engineered Bone
을 비교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소재 및 Regeneration,” Adv. Healthc. Mater., Vol. 8, No.
비슷한 기공률로 세포지지체를 제작할 경우, 카 10, Paper No. 1801433.
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율은 전통적인 (6) Tappa, K. and Jammalamadaka, U., 2018, “Novel
격자 구조 세포지지체 대비 2.5배 증가되었다. 또 Biomaterials Used in Medical 3D Printing
한,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의 압축 탄성 Techniques,” J. Funct. Biomater., Vol. 9, No. 1, p.
율은 전통적인 격자 구조 세포지지체 대비 3배 17.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카고메 구조 세 (7) Sachlos, E. and Czemuszka, J. T., 2003, “Marking
포지지체의 세포 증식력은 전통적인 격자 구조 Tissue Engineering Scaffold Work: Review on the
세포지지체에 비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plication of Solid Freeform Fabrication Technology
하지만 인체의 골과 세포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to the Production of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비교하였을 때, 세포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이 여 Eur. Cells Mater., Vol. 5, pp. 29~40.
전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8) Prasadh, S. and Wong, R. C. W., 2018, “Unraveling
생분해성 고분자/바이오세라믹 복합재와 다양한 the Mechanical Strength of Biomaterials Used as a
구조를 적용하여 골과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갖 Bone Scaffold in Oral and Maxillofacial Defects,”
는 세포지지체 모델을 개발해 나갈 것이다. Oral Sci. Int., Vol. 15, No. 2, pp. 48~55.
(9) Domingos, M., Gloria, A., Coelho, J., Bartolo, P.
참고문헌
(References) and Ciurana, J., 2017, “Three-Dimensional Printed
Bone Scaffolds: The Role of Nano/Micro-
(1) Ma, H., Feng, C., Chang, J. and Wu, C., 2018,
hydroxyapatite Particles on the Adhesion and
“3D-printed Bioceracmic Scaffolds: From Bone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Tissue Engineering to Tumor Therapy,” Acta
Proc. Inst. Mech. Eng. Part H J. Eng. Med., Vol.
Biomater., Vol. 79, No. 1, pp. 37~89.
231, No. 6, pp. 555~564.
(2) Li, J., Teng, B., Yu, C., Li, J., Song, L., Lai,
(10) Liu, T., Huang, K., Li, L., Gu, Z., Liu, X., Peng,
Y.-X., Zhang, J., Zheng, W. and Ren, P.-G., 2016,
X. and Kuang, T., 2019, “High Performance High-
“Investigation of Angiogenesis in Bioactive
Density Polyethylene/Hydroxyapatite Nano-composites
3-Dimensional Poly(D,L-lactide-co-glycolide)/Nano-
for Load-bearing Bone Substitute: Fabrication, in
hydroxyapatite Scaffold by in vivo Multiphoton
vitro and in vivo Biocompatibility Evaluation,”
Microscopy in Murine Calvarial Critical Bone
Compos. Sci. Technol., Vol. 175, No. 2121, pp.
Defect,” Acta Biomater., Vol. 42, No. 15, pp. 389~
100~110.
399.

www.dbpia.co.kr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바이오프린팅 복합재-카고메 구조 세포지지체 제작 709

(11) Fleck, N. A., Deshpande, V. S. and Ashby, M. (14) Cho, Y. S., Quan, M., Lee, S.-H., Hong, M. W.,
F., 2010, “Micro-architectured Materials: Past, Kim, Y. Y. and Cho, Y.-S., 2019, “Assessment of
Present and Future,” Proc. R. Soc. A Math. Phys. Osteogenesis for 3D-Printed Polycaprolactone/
Eng. Sci., Vol. 466, No. 3, pp. 2495~2516. Hydroxyapatite Composite Scaffold with Enhanced
(12) Hyun, S., Joo, J. H. and Kang, K. J., 2008, Exposure of Hydroxyapatite Using Rat Calvarial
“Defect Sensitivity of Bulk PCMs Composed of Defect Model,” Compos. Sci. Technol., Vol. 184,
Octet and Kagome Trusses to Mechanical Behaviors Paper No. 107844.
Subjected to Compression,” J. Mech. Sci. Technol., (15) Lee, S.-H., Cho, Y. S., Hong, M. W., Lee,
Vol. 22, No. 4, pp. 689~698. B.-K., Park, Y., Park, S.-H., Kim, Y. Y. and Cho,
(13) Cho, Y. S., Quan, M., Kang, N.-U., Jeong, H.-J., Y.-S., 2017, “Mechanical Properties and Cell- Culture
Hong, M. W., Kim, Y. Y. and Cho, Y.-S., 2020, Characteristics of a Polycaprolactone Kagome-
“Strategy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Scaffold Fabricated by a Precision Extruding
Bone Regeneration of 3D Polycaprolactone Deposition System,” Biomed. Mater., Vol. 12, Paper
Kagome Scaffold: Nano Hydroxyapatite Composite No. 055003.
and Its Exposure,” Eur. Polym. J., Vol. 134, Paper (16) Courtney, H., 2000, Mechanical Behavior of
No. 109814. Materials, 4th Ed., McGraw Hill, Boston.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