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KOSHA GUIDE

C - 23 - 2011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안전설계 지침

2011. 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기술지침의 개요

○ 작성자 : 한국안전학회 이명구


○ 제·개정 경과
- 2011년 11월 건설안전분야 제정위원회 심의(제정)

○ 관련규격 및 자료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 04110 동바리공사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 04120 거푸집공사
- 고속도로전문시방서 7-4 가시설공사
- 건축공사표준시방서 05015 거푸집공사
-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제3장 거푸집 및 동바리
- 콘크리트표준시방서 제4장 거푸집 및 동바리
- 거푸집동바리 구조검토 및 설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C-20-2009)
- 콘크리트공사의 표준안전작업지침(KOSHA CODE C-6-2004)
- 갱폼(Gang Form) 작업안전 관련 기술자료(KOSHA CODE C-17-2005)
- 슬립폼(Slip Form) 작업안전 관련 기술자료(KOSHA CODE C-33-2007)

○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제4장제1절(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 기술지침의 적용 및 문의
이 기술지침에 대한 의견 또는 문의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 페이지
안전보건기술지침 소관 분야별 문의처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표일자 : 2011년 12월 26일


제 정 자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이사장
KOSHA GUIDE
C - 23 - 2011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안전설계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1절(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의 규정에서 정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 중에서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설계에 필요한 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설치하는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설계에
있어 하중계산, 부재의 선정, 구조해석, 응력검토, 조립도 작성, 특기사항의 기록
등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을 설치할 때부터 해체 전까지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
를 위한 안전설계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거푸집”이라 함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소정의 형상, 치수를 유지하며 콘
크리트가 적합한 강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지지하는 거푸집동바리, 거푸집널
등 가설구조물의 전체를 말한다.

(2) “거푸집동바리”라 함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을 때까지


거푸집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를 말한다.

(3) “거푸집널”이라 함은 거푸집의 일부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합판이나 금속 등의 판 부재를 말한다.

(4) “장선”이라 함은 거푸집널을 지지하고 하중을 멍에에 전달하는 부재를 말


한다.

- 1 -
KOSHA GUIDE
C - 23 - 2011

(5) “멍에”라 함은 장선을 지지하고 하중을 거푸집동바리에 전달하는 부재를


말한다.

(6)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라 함은 거푸집의 설치·해체, 철근조립,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면처리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거푸집과 일체
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거푸집으로서 갱 폼(Gang form), 슬립 폼(Slip
form),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터널 라이닝 폼(Tunnel Lining form),
그 밖에 거푸집과 작업발판이 일체로 제작된 거푸집을 말한다.

4. 설계기준
4.1 일반사항

(1) 거푸집은 구조물의 종류, 규모, 중요도, 시공조건,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작업성, 안전성, 경제성을 반영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2) 거푸집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 거푸집동바리의 지지부는 콘크리트의 타설 중 및 타설 후에도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침하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경우
에는 지지부에 콘크리트 타설, 깔판·깔목 설치 등을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4) 개구부 상부에 거푸집동바리를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거푸집 설계하중을


견딜 수 있는 받침대를 선정하고 그의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4.2 하중의 계산

(1) 하중의 계산은 구조물의 종류, 형상 및 규모와 기온, 풍속, 지상에서의 높이,
타설속도 등 현장조건을 반영하여야 한다.

(2) 하중은 연직하중, 수평하중, 콘크리트의 측압 등을 적용하여야 한다.

- 2 -
KOSHA GUIDE
C - 23 - 2011
(3) 연직하중은 철근콘크리트 자중 및 거푸집 부재의 자중인 고정하중과 콘크
리트 타설 중 필요로 하는 장비 등의 작업하중과 장비의 이동 및 콘크리트
타설 중의 충격 등의 충격하중을 반영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세부 계산기
준은 KOSHA CODE C-20-2009 제6항의 규정을 적용한다.

(4) 수평하중은 (3)항에서 계산된 연직하중이 타설 중에 편심하중 등으로 인하


여 수평분력이 작용할 경우 또는 거푸집 측면으로 예기치 못한 하중이 작
용할 경우 등을 반영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세부 계산기준은 KOSHA
CODE C-20-2009 제7항의 규정을 적용한다.

(4) 거푸집의 설계에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세부 계


산기준은 KOSHA CODE C-20-2009 제8항의 규정을 적용한다.

(5) 현장조건이 고층빌딩, 산악지역, 해안가, 수중 등 특수한 경우에는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풍하중, 수압 등을 거푸집 설계하중으로 반영하여야 하
며, 풍하중에 대한 세부 계산기준은 KOSHA CODE C-20-2009 제9항의 규
정을 적용한다.

(6)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장비 이외


에 거푸집의 인양 등을 위해 설치된 장비들의 자중을 거푸집 설계하중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4.3 부재의 선정

(1) 거푸집에 사용되는 부재는 작업성, 안전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2) 거푸집널로 사용되는 부재는 KS F 3110(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 KS F


5650(콘크리트 거푸집용 합성수지판), KS F 5651(콘크리트 거푸집용 합성수
지 패널), KS F 8006(강제틀 합판거푸집)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거푸집의 긴결재는 KS F 8023(거푸집 긴결재)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4) 동바리로 사용되는 강관부재는 KS F 8001(강제 파이프 서포트), KS F


8002(강관비계용 부재), KS F 8003(강관틀 비계용 부재 및 부속철물), KS

- 3 -
KOSHA GUIDE
C - 23 - 2011
F 8021(조립형 비계 및 동바리 부재), KS F 8022(강관틀 동바리용 부재)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5) 동바리 또는 장선·멍에로 사용되는 강재는 KS D 3530(일반 구조용 경량


형강), KS D 3566(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8(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 기타 동바리의 긴결재 등은 신뢰할 수 있는 시험기관의 성능시험 등에 의


하여 허용하중을 인정하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4.4 구조계산 및 응력검토

(1) 구조계산 및 응력검토는 책임 있는 기술자가 수행하여야 한다.


(2) 지점조건, 부재의 이음조건, 길이, 단면 및 재료특성 등 현장의 설치조건을
반영하여 구조계산 하여야 한다.

(3) 거푸집 전체 구조에 대하여 모델링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기둥, 벽, 보, 슬래브 등 구조물의 부재별, 치수별 표준단면을 선정하
여 구조계산 할 수 있다.

(4) 거푸집널, 장선, 멍에, 긴결재, 동바리 등 거푸집 부재별로 응력검토를 하여야 한다.

(5) 응력검토는 휨 부재인 경우에는 휨 전단응력과 휨 응력을 검토하고, 기둥부


재인 경우에는 좌굴응력을 검토하며, 긴결재 등은 인장응력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때 설계하중에 의해 발생된 각 부재의 응력은 각 부재의 허용응력
이내이어야 한다.

(6) 구조계산에는 응력검토뿐만 아니라 변위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하며, 이는


허용변위 이내이어야 한다.
(7) 지지점의 침하 및 지내력 부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 중 발생될 수 있
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지지점의 소요지
내력을 제시하여야 한다.

- 4 -
KOSHA GUIDE
C - 23 - 2011

(8) 거푸집 구조는 어느 하나의 취약부재가 발생하면 전체 구조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부, 단면형상의 변화부 등에 특히 주의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9)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은 조립 중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의하여 전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10) 콘크리트의 타설 도중 편심하중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뒤틀림 또는 기


둥부재의 좌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바리의 종·횡 2방향으로 교차가새
및 수평연결재를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11) 거푸집동바리의 설계는 설치 작업자 또는 관리감독자가 작업 또는 점검을


하기 위한 이동통로를 확보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5. 설계도서의 작성 기준
(1) 설계도서는 책임 있는 기술자가 작성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는 시공자가 확인하기에 용이하도록 작성되어야 하며, 반드시 구조
계산서, 시공 상세도면, 설치시방서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3) 구조계산서에는 부재별로 하중조건, 부재의 재료 및 단면특성, 설치간격, 응력


및 변위의 검토결과, 지지점의 소요강도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4) 시공 상세도면은 부재의 종류, 치수, 설치간격을 표시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설치 순서 및 주의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5) 설치시방서에는 설치 및 운용할 때 필요로 하는 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특히, 시스템폼(RCS, ACS 등) 및 특수거푸집(MSS, FCM 등의 작업대차)
인 경우에는 설치 및 해체순서, 안전작업절차, 지지점의 소요강도, 소요시간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야 한다.

- 5 -
KOSHA GUIDE
C - 23 - 2011
6. 기타 안전조치사항
기타 거푸집동바리 안전설계에 관한 사항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및
KOSHA CODE C-20-2009(거푸집동바리 구조검토 및 설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의 규정에 따른다.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