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건설화성(주)PEL 수도관의 연결방법

1. 융착이론
융착이란 접합 부위의 모재 자체를 용융시켜 일정압력으로 압착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융착에는
용융을 위한 적정온도, 용융 및 접합을 위한 적정압력, 각 공정별 적정시간이 융착작업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됨으로 온도, 압력, 시간을 융착의 3요소라 한다.
2. 융착의 종류
융착의 종류는 크게 열융착과 전기융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열 융착
① 정의 : 융착기(Fusion Machine)을 사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를 용융 압착하여 접합하
는 것.
② 융착 형태별 분류
구 분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관(Pipe)의 외면에 새들이
음관(Saddle Fitting)
관(Pipe) 對 관, 관 對 이 관(Pipe)의 외면과 이음관 -또는 서비스티이-의 안
정의 음관(Fitting)의 단면을 용 (Fitting)의 내면을 용융 장부위를 용융 접합하는
융접합하는 방법 접합하는 방법 것으로 관의 표면에서 작
은 관경으로 분기할 때 적
용하는 방법
적용범위 관관 對對 관이음관
: 50Ø이상 관 對 관 : 40Ø이하 관의 호칭경에 2단계 이하
: 100Ø이상 관 對 이음관 : 75Ø이하 분기할 때 적용

상세도
210±10℃ 260±10℃
③ 융착공정

④ 융착 방법
․ 융착 준비
<내용> <유의사항>
- 관(Pipe) 및 이음관(Fitting)의 손상확인 - 관(Pipe) 두께의 10%이상 손상시 사용불가
- 융착부의 면취 - 면취를 1mm이하 허용
- 융착부위 및 열판(Heater)의 청결 - 알콜로 세척
- 온도확인 - 맞대기 융착:210±10℃
- 관의 정렬 - 소켓 새들 융착:260±10℃
- 관두께의 10% 이내 편차허용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가압용융
<내용> <유의사항>
관(Pipe) 및 이음관(Fitting)의 안면에 고른 열전 - 압력범위 : 1.0~1.5kg/㎠
달을 위해 열판(Heater)에 관이 고르게 밀착될 - 최소비드 : 1mm이상
수 있도록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관 및 둘레에 - 소켓 융착시 홀드링(Hold Ring)장착
비드(Bead)가 나오게 하는 공정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가열유지
<내용> <유의사항>
관(Pipe)의 접합에 필요한 용융을 위해 압력이 - 압력범위 : 0.1~0.15kg/㎠
제거된 상태에서 관을 용융시키는 공정 - 접합부위 수직, 수평 유지
- 접합부위의 탈착방지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히터제거
<내용> <유의사항>
용융부위의 융착을 위해 관의 표면이 냉각되기 - 히터(Heater)제거시간 준수
전에 신속히 히터를 제거하는 방법 - 이물질 삽입주의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압착
<내용> <유의사항>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용융부위를 접합시키는 공 - 압력범위 : 1.0~1.5kg/㎠
법 - 비드(Bead)상태 확인
- 소켓 융착시 삽입 길이 확인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 냉각
<내용> <유의사항>
접합된 부위가 안정적으로 될 때까지 가열부위를 - 자연냉각
냉각시키는 공정 - 고정 상태 냉각
- 냉각부위 마찰력 및 충격방지
맞대기 융착(Butt Fusion)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검사
<내용>
융착공정 완료 후 Bead의 형상을 검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융착 후 BEAD 형성 결과 분석
정상적인 BEAD 형상
정상적인 BEAD 형상
․BEAD 형상이 둥글고 고르게 나옴
사례1. BEAD가 V자 형상으로 섰음.
․가열유지 시간이 짧은 상태에서 압력을 높여 압
비정상적인 BEAD 형상 착을 할 경우
․히터 온도가 낮은 경우
․히터 제거후 압착시간까지의 시간이 길며 압력을
높여 압착할 경우
사례2. BEAD가 적고 공극이 있음
․가열유지 시간이 짧거나 히터 온도가 낮아 불충
분한 용융상태에서 압착한 경우
사례3. BEAD가 떨어져 있음
․히터 제거후 압착시간까지의 시간이 길어용 융부
위가 냉각된 경우
사례4. BEAD가 비정상적으로 큼
․가열유지 시간이 너무 긴 경우
사례5. BEAD 크기가 한쪽이 작음
․한쪽의 용융정도가 적은 경우
사례6. BEAD 형상이 단차 발생
․ 관정렬 불량, 면취후 수평확인 필요
⑤ 융착조건표
․맞대기 융착(Butt Fusion)조건표
융착순서 1 2 3 4 5
융착종류 호칭 가압용융 가열유지 히터제거(초) 압착(초) 냉각(분)
바트 융착 50(63) 40초 40 3분 이상
75(90) 1분 60 10분 이상
100(110) 1분30초 60 10분 이상
125(140) 관둘레에 1분50초 60 15분 이상
150(160) 비드가 발생 2분10초 5초이내 60 15분 이상
히터 온도 200(225) 될 때 까지 2분30초 60 20분 이상
250(280) 3분 60 20분 이상
210±10℃ 300(315) 3분30초 60 30분 이상
350(355) 300A이하 4분10초 60 30분 이상
400(400) (2~3mm) 4분50초 60 40분 이상
450(450) 5분40초 10초이내 60 45분 이상
500(500) 6분20초 60 50분 이상
550(560) 350A이상 7분10초 60 55분 이상
600(630) (3~4mm) 8분10초 15초이내 6 60분 이상
700(710) 9분50초 60 60분 이상
800(800) 10분50초 60 60분 이상
가압력(kg/㎠) 1.0~1.5 0.1~0.15 1.0~1.5 0.1~0.15
( )규격은 신KS 규격임.
․ 소켓 융착(Socket Fusion)조견표
융착순서 가압용융 가열유지 히터제거(초) 압착(초) 냉각(분)
융착종류 호칭
소켓융착 20, 25 10 3분 이상
30 규정된 15
히터온도 40 삽입길이 20 5초 이내 30초 이내
50 까지 25 5분 이상
260±10℃ 75 35
․ 새들융착(Saddle Fusion)조견표
구 분
분기구 호칭 가압용융 가열유지(초) 히터제거(초) 압착 및 냉각
20
25
새들융착 30 비드(Bead)
히터온도 40 발생 35 ~ 45 5초 이내 10분 이상
260±10℃ 50
75
100
가압력(kg/㎠) 1.0~1.5 0.1~0.15 - 0.1~0.15
나. 전기융착
① 정의 : 전기융착 이음관(Electrofusion Fitting)을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
법으로, 이음관에 내장되어 있는 열선에 전기를 공급, 열선의 발열을 이용하여 용융 접합
하는 것.
②융착 형태별 분류
구 분 소켓융착(Socket Fusion) 새들융착(Saddle Fusion)
관(Pipe)의 외면과 전기융착식
관(Pipe)의 외면과 전기융착식 새들(Electrofusion Saddle) -
정 의 소켓(Electrofusion Socket)의 또는 서비스티이- 의 안장 부
내면을 용융 접합하는 방법 위를 용융 접합하는 것으로
관의 표면에서 작은 관경으로
분기할 때 적용하는 방법
적용범위 20Ø~300Ø(현재 가능 품목) 제작 품목별 사용

상세도
③융착 공정 : 전기융착(Electrofusion)은 이음관내의 열선에 전기를 공급 그 발열로서 관(Pipe) 및
이음관(Fitting)을 용융하여 부피 팽창으로 접합하는 공정이므로 별도의 융착 공정
은 필요 없고 전기 융착 이음관의 사양 및 사용방법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④융착 방법 : 여기서는 전기융착 이음관의 제품별 사양 이외의 기본적인 작업준비 및 작업 순서
별 주의 사항을 설명한다.

그 림
순 서 내 용 유의사항 소켓융착 새들융착
(Electrofusion Socket) (Electrofusion Saddle)
- 관(Pipe)의 직각절단
- 청결작업
- 면취작업 - 알콜로 세척 관(Pipe)
융 - 소켓융착:허용공차확인 의 순수 재질이 나올
착 - 새들융착:진원도 편차
순 확인 때까지
- 삽입길이 표시 - 면취부위에 이음관
서 - 크램프(Clamp) 장착 삽입
- 연결부위 수직, 수평확

- 전원확인
- 융착 시 및 이음관이
전원 요구하는 전원 및 소 - 안정적인 전원 공급
공급 비전력을 공급 필요
(통상적으로 5kW미
만)
- 용융부위의 완전한 접 - 냉각 전 굽힘, 이동 등
냉각 합을 위한 공정으로 충격방지
충분한 냉각 시간 필 - 수평, 수직 고정상태 유
요 (10~30분이상) 지
3. 나사조임식 접합 및 연결방법

1) 나사조임식 접합(16(20)mm-75(90)mm)
소켓 양쪽에 파이프를 삽입시켜 체인렌치로 캡과 몸체를 조여서 접합하는 방법을 말하며 주로
소구경(16(20)mm - 75(90)mm)파이프에 사용한다.
가. 소켓내부와 고무링 및 삽입할 관의 끝부분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나. 관에 캡, 푸셔, 고무링의 순서로 파이프의 지름에 2배가 되는 지점까지 밀어 넣는다.
다. 삽입할 관을 소켓 중앙부까지 밀어 넣고, 고무링, 푸셔를 소켓 몸체에 넣어 밀착시켜야 한다.
라. 조임고리(체인렌치)를 이용하여 소켓의 캡과 몸체를 결합시킨다.
마. 조임고리(체인렌치)를 이용하여 소켓의 몸체를 결합시킨 후 캡과 캡을 조여준다.
2) 조임식 연결방법

Body Cap
HOlder

◆비눗물이나 독성없는 기름을 사용하여 Union의 나사형 및 각 부분을 칠해준다.


Pusher
◆Pipe에 Cap,PusherO-Ring을 차례로 Pipe 지름의 2배되는 부분까지 밀어넣는다.
O-Ring

◆Pipe단면부를 Body 중앙부까지 밀어 넣는다. ◆조임고리를 이용하여 Cap과 Body를 결합시킨다. 이때 Pipe가 Body로부터 밀
◆O-Ring, Pusher를 최대한 Body에 밀착시킨다. 려나지 않도록 하여야하며 Body 나사부분이 1~2바퀴 정도가 남는 것이 적당하다.

◆결합된 Cap과 Body를 분리시켜 O-Ring이 Pipe와 Body사이에 고정된 것을 ◆위 3번의 방법으로 Cap과 Body를 결합시킨 후 Cap과 Cap을 한번 더
확인한 후 스토파를 벌려 Pipe에 끼운다. 죄어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