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

13주차 몸, 인류의 미래(1) – 바이오, 우리를 지킨다

Unit 1 흰개미 집의 건축학 개론 - 자연모방건축술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겨울 철 김장독을 땅에 묻는 이유는? 땅 속의 기온은 왜 일정할까?

열을 저장하는 기능
 외부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음

땅의 온도가 일정하게 낮기 때문
 에너지 절약
2. 건물과 에어컨 2. 건물과 에어컨

도시 전력 중 에어컨 사용량

에어컨 없는 건축물은 가능할까?

한국 인구의 50%가 사는 도시
도시 전력의 30%  에어컨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흰 개미 집
미국의 목조건축건물
 흰개미의 여부 확인 필요
- 흰개미 집은 기둥 구조물,
보통 1m~3m

- 돌처럼 단단함

- 바깥온도가 35~40℃여도
실내는 30℃를 유지

나무를 갉아 먹는 흰개미
 집 내구성에 영향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버섯을 키우는 흰개미 버섯을 키우는 흰개미

흰개미 집 안에 사는 버섯?
 곰팡이

흰개미들이 나뭇잎에서 섬유소(cellulose)


나뭇잎을 가져옴 곰팡이 자라서  포도당으로 분해
나뭇잎 분해

흰개미는 곰팡이를 키워서 식량으로 삼음


버섯을 키워 먹는 노련한 농사꾼 흰개미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3. 흰개미의 건축 기술

버섯을 키우는 흰개미 흰개미의 집 온도 조절법

흰개미의 집에
음식을 먹을 때 에너지가 분해  열 발생 약 100W 정도의 열이 발생!
버섯이 나뭇잎을 분해할 때 열 발생

공기의 대류현상
발생
이 열이 흰개미 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집 상부 꼭대기와 양 옆에
많은 공기 구멍들

외부와 공기순환

버섯을 통해 집 온도 조절!
4. 흰개미의 건축 기술의 활용 4. 흰개미의 건축 기술의 활용

사막의 모로코 건물 이스트게이트 센터


항상
24℃
유지

사막의 모로코 건물
흰개미 집
공기의 순환과 두터운 벽이 열 차단
 높은 외부 온도, 낮은 실내 온도
흰개미 집 구조와 같은 이스트게이트 이스트게이트 내부 모습
4. 흰개미의 건축 기술의 활용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김칫독과 개미집 각 동물들의 살아남기

물에도 젖지 않는 두터운 코트

땅 속에 뻗어 있다
 개미집의 위, 아래 온도가 비슷함
 겨울철 김칫독이 얼지 않음
북극곰의 동면을 위한 동굴
두꺼운 벽,  이글루와 같은 원리
내부의 열 순환, 온도 유지
공기 순환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환경친화적 구조 환경친화적 구조

실속 있는 주택을 지으려면?
내열이 중요!
‘환경친화적’
✓ 벽을 3중, 4중으로 튼튼하게 하여 열 차단
✓ 유지비용 대폭 감소
✓ 유리 지붕으로 태양에너지 사용
 에너지를 적게 쓰는 것
: 처한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활용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환경친화적 구조 하늘다람쥐의 집

겨울철 하늘다람쥐가 선택한 말벌 집


환경친화적인 구조  가볍고 두꺼워 보온성이 높음
특별한 도구 없이 자연에서 에너지 생성
6. 정리하기

요약
5.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 건물과 에어컨
- 인구의 50%가 사는 도시 전력의 30%는 에어컨
제비의 집  에어컨 없이 지낼 수 있는 건축 기술이 필요

• 흰개미의 건축 기술
- 대류 현상으로 공기 순환
- 흰개미들은 개미 집에 있는 공기 구멍을 열고 닫으며 공기의
흐름 조절

• 흰개미 건축 기술의 활용
- 개미집을 모방해 만든 자연 냉방 건물 이스트게이트 센터
- 김장하고 추운 겨울에 땅에 묻어 놓아도 김칫독이 얼지 않음

나뭇가지, 흙, 제비 침 등 복합재료로 • 자연에 사는 동물의 집


더 튼튼해지는 제비 집 - 한 겨울 하늘다람쥐가 선택한 말벌 집
 건축물에 활용 가능 - 복합재료로 만든 제비 집
- 자연에서 사는 동물의 집을 응용  새로운 건축술 발견 가능
13주차 몸, 인류의 미래(1) – 바이오, 우리를 지킨다
Unit 2 냄새로 암 환자를 찾아내다-전자코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입 냄새가 나는 이유는? 스위스 공항 게이트에서 벌어진 일

✓ 입 안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위에 문제가 있는 경우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스위스 공항 게이트에서 벌어진 일 스위스 공항 게이트에서 벌어진 일

#2

 가방 속에 들어있던 치즈가 문제!

 다이너마이트와 치즈가 유사해서 벌어진 일


1. 들어가기 2. 후각의 특성

탐지봉의 냄새 인식 예민한 탐지견의 후각

어떻게 냄새를 분석할 수 있을까?


2. 후각의 특성 2. 후각의 특성

예민한 탐지견의 후각 예민한 탐지견의 후각

비강
(냄새를 맡는 기관)의  인간의 76배
면적

후각세포  인간의 44배

범인을 냄새로 추적하는 경찰견


2. 후각의 특성 2. 후각의 특성

마약 탐지견의 단점 후각의 중요성

✓ 고도의 훈련이 필요
✓ 비싼 비용
✓ 동물이라는 한계 존재
 여러 가지 변수

개의 후각만큼 예민한 전자코를 만들 수 없을까?


코를 막고 마시면 맛과 향이 느껴지지 않는다
인간다운 최후의 감각, 후각
2. 후각의 특성 2. 후각의 특성

각 산업 분야의 후각 활용 - 식품 각 산업 분야의 후각 활용 - 식품

식품의 변질 검사법

① 식품의 모든 물질 분석  비현실적
② 식품의 냄새를 맡아 보기
환경 화장품

식품의 변질 검사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2. 후각의 특성 2. 후각의 특성

각 산업 분야의 후각 활용 - 환경 각 산업 분야의 후각 활용 - 화장품

수질분야 공기분야

토지분야 악취분야
냄새나 향기는 상품의 성공 여부를 결정
3. 후각의 원리 3. 후각의 원리

후각세포

섬모

비강

냄새의 흐름

섬모
: 냄새 분자가 달라 붙는 수용체
3. 후각의 원리 3. 후각의 원리

냄새를 맡는 세포는 350개!

어떻게 10000개의 냄새를 구분하나?

1번 세포

1번 수용체

1번 냄새분자

흔히 생각하는 방법
‘그럼 수용체와 세포 의 개수가 10000개 인가?’
3. 후각의 원리 3. 후각의 원리

4개의 수용체가 맡을 수 있는 냄새 가지 수는? 냄새 인식 방법

Ex)

1, 2번 세포
2번
1번
1, 3번 세포
3번 4번 1, 4번 세포
2, 3번 세포
1개의 냄새 분자가 2, 4번 세포
2개의 수용체에 붙는 경우 3, 4번 세포

6가지 냄새 맡을 수 있음

냄새 분자가 달라붙는
패턴으로 냄새를 인식!
3. 후각의 원리 3. 후각의 원리

전기 발생의 단계

모든 감각의 가장 첫 번째 과정
_
음이온
냄새 분자  수용체  화학 변화 냄새분자
 전기 발생  신경 줄 따라 뇌로 전달

이온채널 + 양이온

양이온이
전기변
수용체에 들어오고 전기
이온채널 화가 옆
냄새분자가 음이온이 변화
이 열림 으로 퍼
달라붙음 밖으로 발생

나감
전기신호로 인해 순식간에 냄새를 맡을 수 있다!
4. 전자코의 원리 4. 전자코의 원리

전자코란? (electronic nose) 센서로 이용하는 것들

- 후각 시스템을 그대로 모방한 것 사람의 전자코


센서 센서

수용체 반도체
동물의
후각 감지(후각세포)  전달(신경세포)  해석(뇌)

전자코 후각센서  신호변환기  해석장치

센서 개발이 핵심!
4. 전자코의 원리 4. 전자코의 원리

센서로 이용하는 것들 - 반도체 센서로 이용하는 것들 – 전도성 고분자, 수정 진동자

같은 원리로 전기 발생하여 냄새 인식

산화, 환원
냄새 분자가
화학 반응 신호 발생 냄새 인식
반도체를 지나감
발생

냄새 분자, 금속 산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발생

전도성 고분자 수정진동자


* 전기가 통하는 고분자  냄새 분자 달라붙으면
진동수 떨어짐
4. 전자코의 원리 4. 전자코의 원리

센서로 이용하는 것들 - 생체수용체 센서로 이용하는 것들 - 생체수용체

인체 = 생체수용체
냄새 분자 특정 냄새 분자에 반응하는
1번 수용체

탄소나노튜브
수용체  전기 발생
(receptor)

탄소나노튜브에 전기 발생 시
후각세포 혹은 수용체를 그대로 사용 붙은 냄새 분자가 어떤 냄새인지 알 수 있음
 전극에 붙이면 전기 발생
5. 전자코의 활용 분야 5. 전자코의 활용 분야

다양한 분야 상용화 단계 각광 받는 건강 측정 분야

✓ 식품의 변질 확인
✓ 악취, 공해 물질 확인
✓ 가스, 연기 모니터링
✓ 우주선, 비행기 가스 모니터링

체취나 소변 냄새로 암환자 냄새를


건강 여부 측정 구분하는 개
6. 정리하기

요약
5. 전자코의 활용 분야
• 후각의 특성
- 예민한 탐지견의 후각(후각세포 44배)
각광 받는 건강 측정 분야
- 후각과 연관된 산업 : 식품, 환경, 화장품

• 후각의 원리
정상인 환자 - 냄새 분자  비강의 세포접촉  전기신호발생  뇌전달
- 냄새의 기억 : 냄새 하나가 여러 개 수용체에 달라붙어 일종
의 패턴으로 인식

• 동물의 코를 모방한 인공 전자코

- 전자코의 구성 : 센서  신호 변환기  해석 장치
- 센서로 사용하는 것 : 반도체, 전도성 고분자, 수정 진동자,
생체 수용체
휘발성 물질로 인한 냄새 세포의 성분이 달라져
- 생체수용체 사용 방법 : 후각 세포를 그대로 사용, 수용체를
냄새가 다름
센서로 이용
- 활용 : 질병에 따른 냄새 임상 연구 진행 중, 전자코 이용한
건강진단
13주차 몸, 인류의 미래(1) – 바이오, 우리를 지킨다
Unit 3 미래에너지의 아이디어를 얻다-인공 광합성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왜 낙엽은 갈색으로 변한 걸까? 왜 낙엽이 갈색으로 변할까?

녹색, 갈색
2가지의 색소 존재

가을에 녹색 분해
갈색만 남음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가을에는 왜 낙엽이 떨어질까? 이 그림은 무슨 그림일까?

① 금연
② 무분별 등산금지
③ 사라지는 열대 우림
④ 산림청 광고

‘숲이 줄어들면 지구의 허파 용량이 줄어든다’

겨울의 에너지 절약을 대비해 산소 생성 과정  광합성


에너지 소모가 많은 잎을 자체 분해하여 떨어뜨림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지구의 허파 아마존 지구의 허파 면적 감소

#1

➢ 한반도의 35배 ➢ 매일 축구장 100개의 면적이 사라짐


➢ 지구 산소의 20% 생산 ➢ 50년 후, 지구 전체의 30% 식물 사라짐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지구의 허파 면적 감소 지구의 온난화의 원인

지구의 산소 부족 대처방안 지구의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가 반사되어 나가는


농도 증가 지구를 둘러쌈 태양열을 막음
✓ 더 많은 나무 심기
✓ 나무를 대신할 인공광합성 장치 개발
1. 들어가기 2. 광합성의 원리

지구의 온난화의 원인 탄소 순환의 핵심, 광합성

산업화와 밀림 소실

이산화탄소
광합성
(photosynthesis)

인공광합성 연구 필요
이산화탄소  섬유소, 녹말로 전환
밥 속의 탄소
2. 광합성의 원리 2. 광합성의 원리

광합성의 2가지 반응

명반응

암반응

6CO2 + 12H2O  C6H12O6 + 6H2O + 6O2


물, 이산화탄소 당, 물, 산소
2. 광합성의 원리 2. 광합성의 원리

당을 만드는 공장 엽록체

명반응 : 빛에너지  화학에너지


암반응 : 화학에너지  녹말

 2개의 반응 모두 엽록체에서 일어남

이산화탄소와 물  산소와 포도당


낮은 에너지  높은 에너지
2. 광합성의 원리 3. 인공광합성의 원리

광합성과 양수발전의 구조
인공광합성이 가능할까?
태양에너지가 필요

밤 낮
양수발전소
빛에너지로 물을 내려 보내
물을 끌어올림 전기 생산

광합성 명반응 암반응


빛  화학에너지 화학에너지  녹말 생산
3. 인공광합성의 원리 3. 인공광합성의 원리

광합성의 효율이 태양전지의 효율보다 낮은 이유 명반응과 암반응 어느 쪽이 더 어려울까?

식물 암반응 명반응
태양전지
광합성 (화학녹말) (빛  화학)

효율 효율

식물은 자기에게 필요한 만큼의 명반응에 더 많은 과정과 일꾼이 들어가기 때문


태양에너지만 확보하기 때문!

ex) 식물은 태양에너지 100개 중 3개만 사용


3. 인공광합성의 원리 3. 인공광합성의 원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3가지 방안

암반응을 기준으로
태양열 이용기술 분류

 3가지 방안

1) 태양전지 2) 광촉매 이용 전기 발생 3) 광촉매 + 에너지 저장

태양에너지 태양에너지
 광촉매로 집광  광촉매로 집광
 물 분해(수소+산소)  물 분해(수소+산소)
 연료전지 사용  에너지 저장
 전기 발생
4. 인공광합성의 효율 4. 인공광합성의 효율

광합성과 인공광합성의 차이 식물광합성의 낮은 효율

광합성 빛에너지 엽록소가 빛을 잡음 식물은 태양에너지를 필요한 만큼만 사용


 화학에너지 포도당 생성
모든 태양에너지를 잡으면
잎이 다 타버리기 때문

인공
빛에너지 광촉매가 빛을 잡음
광합성
 화학에너지 메탄올 생성

단순유기물
4. 인공광합성의 효율 5. 인공광합성의 전망

식물광합성의 한계 극복 효능 좋은 집광 소재가 중요

인공 식물
광합성 광합성
인공광합성

효율

‘현재 인공광합성은 식물광합성의 1% 효율’


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 녹색 이외에도 다른 파장 사용 특정 파장이 아닌
 광합성 효율 높임 다양한 파장으로 집광 필요
But, 식물광합성 한계 극복 가능
5. 인공광합성의 전망 6. 정리하기

요약

이미 식물 광합성의 연구가 많음
• 광합성의 원리
- 광합성의 두 단계 반응
인공광합성의 전망은 긍정적
1) 명반응 : 빛에너지를 다음 반응에도 쓸 수 있는
화학에너 지로 만듦
2) 암반응 : 화학에너지 같은 고에너지 물질을 소모,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만듦

• 인공광합성의 미래
-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려는 세 가지 방안
1) 태양전지
2) 광촉매 이용 전기 발생
3) 광촉매 + 에너지 저장
- 현재 포도당이 아닌 메탄올 같은 단순 유기물 생산 가능
- 태양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필요
바이오 지식

바 이 오 지 식 13주차

피 한방울로 몽타쥬를
(바이오정보)
담당교수 김은기

51
바이오 정보

피 한방울로 몽타쥬를 그린다고? (바이오정보의 힘)

• 사건현장
• 피한방울, 땀 한 방울, 머리 한 올..
• 범죄자 리스트

52
바이오 정보

바이오정보: 침 한 방울로 ( )도 잡는다

300명 대상 80% 정확도


영국, 대학 연구

53
바이오 정보

인간게놈과 신체정보 빅데이터

• 게놈정보와 인체특징 관계
• 빅데이터 분석
• 건강, 특성, ..

5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