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12주차 몸, 최고의 선물(3)

– 몸을 모방하는 하이테크
Unit 1 난청 잡는 해병대
– 나노 나노 인공와우

1. 들어가기 2. 소리의 전달
사람의 귀가 두 개인 이유 개의 청력

청력이 좋음

소리 판별력 우수
Q. 귀가 2개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① 한쪽으로 듣고 한쪽으로 ③ 하나는 예비용


흘리라고 ④ 소리의 방향성을 알기
② 인체의 미적 발란스를 위해서
위해서
2. 소리의 전달 2. 소리의 전달

청각의 신비 귀지의 역할
귀지를 파는 것이
좋을까?
시끄러운 장소에서 나와
이야기하는 사람의 소리만 칵테일파티 효과
정확히 들을 수 있음

시끄러운 에어컨 소리가


배경 제거 효과
꺼지면 천정을 바라 봄

소리가 너무 크면
감소시키거나, 너무 작으면 소리 조절 기능  피지를 밖으로 밀어내서 귀 안의
증폭시킴 감염을 방지
2. 소리의 전달 2. 소리의 전달

귀의 구조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외이 중이 내이 외이 중이 내이

이소골
달팽이관
고막

외이도

귓바퀴

 기계적 파동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부분


 난청이 발생하는 핵심 분야
2. 소리의 전달 2. 소리의 전달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외이 중이 내이 막

림프액 진동

 소리가 달팽이관을 지나면서 섬모를


진동시킴

초반  고음, 고주파수 진동  소리에 흔들리는 세포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신호 발생
후반  저음, 저주파수 진동
2. 소리의 전달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2. 소리의 전달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노인성 난청

 고주파수 영역에서 발생

 동굴의 입구에서 손상

유모세포(有毛細胞, Hair cells)  소음으로 인한 손상이 가장 큰 문제


 13,000~16,000개
 생채 내 마이크로폰
 소리별로 주파수를 분리해 뇌로 보내는 역할
 유모세포가 끊어질 경우 재생이 안됨
 한 번 끊어진 유모세포의 주파수 음은 들을 수 없음
2. 소리의 전달 2. 소리의 전달

소리전달의 Key, 달팽이관 소음성 난청

청력 손상

 조용한 곳에서 듣는 음악 소리 : 40dB

 소음이 심한 곳 : 70~80dB → 음악 소리 100~120dB


 유모세포의 피로로 인한 활성산소 발생
 피로가 지속될 경우 유모세포의 손상
105dB로 2시간 이상 노출될 경우 소음성 난청 발생
3. 달팽이관의 모방, 나노 인공와우
3. 달팽이관의 모방, 나노 인공와우
인공와우의 사용
선천적 난청의 해결 방법은?

와우(蝸牛)  달팽이관

헬렌 애덤스 켈러 생체의 마이크로폰


(Helen Adams Keller)
1880년 6월 27일 ~ 1968년 6월 1일)
인공와우(人工蝸牛)  달팽이관 대신 마이크로폰을 귀
 어릴 때 앓은 질병으로 시각, 안에 넣음
청각 중복 장애

완두콩알만한 마이크로폰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음


3. 달팽이관의 모방, 나노 인공와우 3. 달팽이관의 모방, 나노 인공와우

인공와우의 사용 인공와우의 사용

음성처리기 내부
리시버

마이크로

전극

인공와우
4. 나노 인공 청각 칩

사람의 귀를 모방한 인공 귀

3. 달팽이관의 모방, 나노 인공와우

인공와우의 발달

수 많은 유모세포가
음을 분류

달팽이관의 유모세포

 마이크로폰이 잡을 수 있는 주파수는 한계가 있음

 음의 높낮이가 있는 경우,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음

 최대한 많은 압전 소자를 깔아서 많은 소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함

 미관을 위해 외부의 마이크로폰을 가능한 작게 개발


4. 나노 인공 청각 칩 4. 정리하기

사람의 귀를 모방한 인공 귀 요약

• 소리의 전달
- 귀의 구조 :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
- 고막 : 소리의 진동을 귀의 뼈인 이소골에 전달
- 소리전달의 Key는 달팽이관
: 이소골로 전달된 소리의 기계적 파동이
신경신호로 전달되어 뇌로 전달
인공와우
• 달팽이관을 모방한 나노 인공와우
 달팽이관의 많은 건반을 그대로 - 나노 인공와우 : 일종의 마이크로폰
모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 단점 : 소리가 불명하게 들리고, 음의 높낮이가
있는 경우 전달이 쉽지 않으며, 장치가 외부에
노출이 되어야 함
• 나노 인공청각 칩
- 바닥의 음판을 여러 개 만들고 그 위에
유모세포를 닮은 흔들리는 섬모를 만듦
12주차 몸, 최고의 선물(3) – 몸을
모방하는 하이테크
Unit 2 손자의 촉감, 할머니의 행복 -
인공피부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아이는 업어 키워야 할까? 아이는 업어 키워야 할까?

‘ Po d a e g i ’
Q. ‘Podaegi’란 단어와 관련된 단어가 아닌 것은?
아이는 업어 키워야 한다?
① 한류 ③ 부정부패
② 할머니 ④ 따뜻함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미국 여성들이 왜 포대기를 구입할까? 미국 여성들이 왜 포대기를 구입할까?

미국식 육아법 한국의 전통 육아법

독립성,
품에 안고 젖을
홀로 재우고 울더라도
안아주지 않음
물리며 재움 효과적
아이를 안아서 키우는 것이 아이의
두뇌, 심리 발달에 도움을 줌

심리적 안정감은 매우 중요
2. 촉감과 심리적 안정감 2. 촉감과 심리적 안정감

헝겁엄마 vs. 철사엄마 헝겁엄마 vs. 철사엄마

헝겁엄마에게만
안겨있는 어린
원숭이

 접촉감이 중요
촉감 정서에 큰 영향
3. 피부의 감각 3. 피부의 감각

촉감의 전달자, 피부의 신경 촉감의 전달자, 피부의 신경

피부와의 직접적인 접촉 피부 접촉 전기적 신호 뇌

 촉감 센서를 통해 뇌에 전달
냉점
기계적 압력 센서
통점
이동성
촉각
피부의
열 센서 자기 위치 센서 온점 /
센서
당김
진동 /
압력

통증 센서
3. 피부의 감각 3. 피부의 감각

4가지 피부의 감각 4가지 피부의 감각

 압력과 열 센서와 같이 반응
기계  압력, 작은 진동에 반응
통증
압력  외부 위험에 빨리 대처하도록 함
 인체 내부의 기계적인 압력, 센서
센서
수축 전달  날카로움 : 통증 + 압력 센서 작용

고온  30~45℃ 사이에서 민감하게 반응


자기

위치
센서
센서  눈 감고 옷 입고 벗기
저온  25℃ 부근에서 가장 예민하게 반응
 얼굴(코, 귀)에 많이 분포
4. 로봇의 인공피부
4. 로봇의 인공피부
오감의 소통
오감의 소통
병에 걸린 쥐는
피해야 해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동물의 경우 철저하게 후각에 의존

 냄새를 통해 상대의 상태를 정확히 구분


4. 로봇의 인공피부 4. 로봇의 인공피부

로봇의 인공지능 로봇의 촉감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등장

 달걀을 주워 올리는
오늘 날씨는… 것은 매우 쉬움

 작은 촉각, 피부의 압력으로


달걀인 것을 알 수 있음

로봇이 Pa 정도의 힘을 느낄 수 있을까?

로봇은 사람이 갖고 있는 촉감도 필요


4. 로봇의 인공피부 4. 로봇의 인공피부

로봇의 촉감 로봇의 촉감

인공
 물리적 눌림을 전기신호로 변화
피부

로봇이 제대로 일을 하려면 촉감이 필요


3. 로봇의 인공피부 3. 로봇의 인공피부

피부보다 예민한 전자피부 피부보다 예민한 전자피부

인간의 피부 인공피부

압력을 받으면 인공
 인간 피부보다 1000배 예민한
피부
압력 눌리는 힘에 전기가 압전 압력까지 측정
센서 의해 반응 발생하는 센서
소자를 대체

로봇은 달걀을 잡을 수 있음
표피와 진피
두 개의 판의
경계에 있는
표피와 비틀림에 따라 두 개의
압력 센서가
진피 전기가 판
좌우로 미는
발생하는 센서
힘을 느낌
5. 미래의 피부 6. 정리하기

요약

• 촉감과 심리적 안정감


- 신체접촉에 의한 인성, 뇌 성장
독거노인의 외로움 - 부부사이의 접촉 : 신뢰감형성

 심리적 안정이 필요 • 촉감의 종류 – 피부센서 4종류


- 기계 센서 : 압력, 진동, 매끄러움
- 열 센서 : 고온과 저온에서 각각 반응
- 통증 센서 : 압력, 열 센서와 동시 반응, 위험 대처
- 자기 위치 센서 : 팔다리의 상대적인 위치 파악
• 로봇의 인공피부
손자들의 촉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면
- 청각전달방식을 모방한 전자피부 : 두 개의 판을
서로 붙여 놓으면 움직임에 따라 저항이 변해
 심리적 치료 효과 발생
전기 신호로 측정 가능
 일종의 인지치료 • 미래의 피부
- 사람 사이의 소통, 피부 감각 전달
12주차 몸, 최고의 선물(3) 몸을 모방하는 하이테크
Unit 3 이제 장기도 부품처럼 바꾼다-인공장기

1. 들어가기 1. 들어가기

로봇 신체, 당신의 선택은? 장기기증의 공급 부족

수요 공급

✓ 힘이 강해짐
✓ 멀리 있는 것을 봄
✓ 달리기 100배 빠름
✓ 인공신장 장착
2. 고장 난 장기 해결방법 3. 인공장기 투석

인공신장

1 2 = 인공투석기(dialysis)
외부에서 혈액을 거르는 장치
인공장기 장기이식
투석

인공투석기 문제점

2 4 ➢ 작은 노폐물만 제거
줄기세포 ➢ 효율 10~20%
이종장기
활용 ➢ 주 3회 4시간씩 치료
3. 인공장기 투석 3. 인공장기 투석

인공신장의 원리 인공신장의 한계

관 주위에 맑은 물이 흘러 말기 심부전증, 신장에 문제 있는 경우 등


혈액과 농도 차이로 인해 혈액의 노폐물 빠져나감 다른 대안이 없는 경우 사용하는 현실
3. 인공장기 투석 3. 인공장기 투석

인공심장 박동기 장기이식

장기이식의 공급이 매우 부족
그나마 한국은 가족간 장기 기증이 많음

인공심장 박동기 문제점


➢ 6kg 배터리 휴대
➢ 수시로 혈전 제거 및 보수

 인공심장은 투석보다 흔하지 않음


3. 인공장기 투석 4. 이종장기

장기이식의 장점 이종장기

장기이식의 장점은 성공률


이종
사람과는 다른 종
신장이식의 경우 90% 이상 정상 생활 (異種)

다음 중 장기를 사람에게 쓸 수 있는 동물은?

장기의 위치, 크기 등
사람과 가장 비슷
4. 이종장기 4. 이종장기

이종장기의 관문 1 - 면역 이종장기의 관문 1 - 면역

- 사람의 세포와는 다른 세포가 들어오면 면역이 반응


-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물질 제거 필요

체세포 채취 면역을 유발하는


유전자 제거된 인공수정 돼지에 착상
정자, 난자 생산
‘나는 돼지 세포다’
라는 것을 나타내는
물질 제거

무균 돼지 사육 새끼 출산
4. 이종장기 4. 이종장기

돼지를 사용하는 이유 이종장기의 관문 2 - 유전자

1) 장기의 유전자가 95% 같음


2) 인간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없음
3) 낮은 면역 거부 특성
4) 장기 다량 공급 가능
5) 장기 크기가 비슷 ex) 미니돼지

돼지 유전자 내의
내인성 바이러스 제거
4. 이종장기 5. 줄기세포 장기

이종장기의 문제점 인공기관지 만들기- 타인 기증 장기에서

- 고형장기가 아닌 장기는 이식 불가
- 고가의 이종장기
- 윤리적인 문제
- 지속적인 면역억제제 복용
5. 줄기세포 장기 5. 줄기세포 장기

인공기관지 만들기- 플라스틱 기관지 인공기관지 만들기- 플라스틱 기관지

인공기관지를
3D프린터로
줄기세포 용액에 담아 신체에 이식
플라스틱 인공기관지를 만듦
대체 기관지 배양

프린트 원료로 줄기세포를 같이 집어넣으면


줄기세포가 포함된 장기 제작 가능
6. 미래의 장기이식 6. 미래의 장기이식

장기이식의 전망 인간복제 가능한가?

- 사람이 죽는 대부분의 이유는 노화된 장기


 장기 이식으로 수명 연장
- 인공피부
- 윤리적인 문제 대두
7. 정리하기
6. 미래의 장기이식
요약
인간복제로 불로장생을?

• 인공신장
- 계속적인 투석 : 기계적 인공장기
- 장기 이식 : 친척, 다른 사람

• 이종장기
- 동물의 장기를 사용

• 줄기세포 장기
- 줄기세포로 신장을 인공으로 외부에서 만듦

• 미래 장기이식
- 인공심장의 진화(기계식)  줄기세포 이용
복제된 인간으로 이뤄진 획일화된 사회가 될 것
- 인공수족 : 표피의 신경이식으로 완전한 수족 재생
- 사이보그(기계+뇌) : 점점 진화해가는 추세
바이오 지식

바 이 오 지 식 12주차

내 몸은 장내세균으로

관리한다 담당교수 김은기

45
장내미생물

내 몸은 장내세균으로 관리한다

• 1-2 kg 장기
• 10배 유전자
• 60%

3그룹, 1000종, 개인지문

역할
1.면역조절, (아토피, 천식)
2.에너지 공급(소화,비만)
3.정신질환(우울증, 자폐증)

인하 바이오융합 문화연구소

46
장내미생물

비만은 장내세균 탓?

3. 과식
식욕억제 안됨, 에너지저장 → 비만

2. 두뇌
뇌 시상하부 자극 → 인슐린 분비,
식욕억제호르몬(렙틴)기능저하

1. 장
비만세균+고지방식→신호물질(LPS,
지방산)->장 두뇌 신경 전달

비만
https://gibsonlab.files.wordpress.com/2014/05/redg.jpg

비정상대사질병 by LPS
지방생산 렙틴에 내성
지방세포 비정상; 염증 상태

47
장내미생물

요요현상-비만세균의 버티기

• 비만 기억(고칼로리)

• 다이어트 기간 5배

• 기아 대비 진화

• 세균 60%: 저섬유식 영향

48
장내미생물

개인맞춤형 장내세균 만들기

We are what we eat!


장내세균에 최고의 음식은?

①단백질 ②미네랄 ③섬유소 ④물 ⑤포도당

49
장내미생물

변 이식

• 항생제에 잘 안드는 대장염에 좋은 결과들

• 일부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함 (제공자가


항생제내성균, 혹은 위험한 바이러스 보유시)

5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