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

역할

조사자 발표자
김지윤 임성찬 조준혁 임성찬 조준혁

작성자 대답자
김지윤 임성찬 조준혁 임성찬
도라에몽과 함께하는
자극에서 반응까지 ~
김지윤 임성찬 조준혁
목차

1 진구의 일기

2 진구의 선택

3 진구의 최후

4 도라에몽의 도구 자랑
1 진구의 일기
감각신경
감각기관 (도움요청
대뇌로 가는 길 )
1. (진구가
1. 퉁퉁이에게
감각기관이 ) 자극 맞음
받음

2. 감각신경을 통해 대뇌로
진구가 도라에몽에게 가서
자극
타격
대뇌 ( 생각담당 ) 전달되어
도라에몽이 분석
도움

외부 3. 도라에몽이
대뇌의 명령도구를 꺼냄
척수
4. 척수를
4. 도구를지나
가지고 진구가( 근육 ) 을
운동신경
( 무지성 운동담당 ) 퉁퉁이에게
거쳐 감
운동기관으로 전달

타격
반응 5. 반응
퉁퉁이 타격
운동기관 운동신경
복수하러 감
( 운동기관으로 가는
길)
경로 : 감각 기관 > 감각 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 신경 > 운동 기관

자극을 인지하고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과정에는


감각 기관 , 신경 ( 계 ), 운동 기관이 함께 작용
2 진구의 선택
도움요청 (
타격 ( 감각신경 )
자극 ) ( 감각기관 )
( 대뇌 )

( 외부 )
( 척수 )
타격 ( 반응 )
복수 ( 운동신
( 운동기관 ) 경)
급할땐 , 허락 X
쌥치기
타격 (
자극 ) ( 감각기관 ) 도라에몽이 화나니까 ,
급할때만 쌥치기
( 대뇌 )
급할때가 아니면 ,
도라에몽에게 허락
( 외부 )
( 척수 )
타격 ( 반응 )
복수 ( 운동신
( 운동기관 ) 경)
의식
급하지( 생각
않을) 때는
이 있을( 생각할
땐 시간이 있을 때는 )
도라에몽
도라에몽 (( 대뇌
대뇌 )) 를
를 거친다
거친다 !!
= 의식적 반응 ( 대뇌를 거침 )
예시 ) 야구경기를 할 때 , 투수가 공을 칠지 말지 결정하고 행동

의식
급할(때는
생각()생각할
이 없을시간이
땐 없을 때는 )
도라에몽
도라에몽((대뇌
대뇌))를
를거치지
거치지않는다
않는다! !
= 무조건 반사
= 무의식적 반응 ( 대뇌를 거치지 않음 )
예시 ) 뜨거운 물건을 만질 때 , 손을 즉시 땜

시간 또한 , 무조건 반사 ( 무의식적 반응 ) 가 의식적 반응보다 빠름 !


무조건반사는 위험에 처했을 때 , 우리 몸 보호 !
쌥치기
타격 (
자극 ) ( 감각기관 ) 도라에몽이
무조건 반사화나니까 ,
급할때만
( 무의식적쌥치기
반응 )
( 대뇌 )
의식적
급할때가반응
아니면 ,
도라에몽에게 허락
( 외부 )
( 척수 )
타격 ( 반응 )
복수 ( 운동신
( 운동기관 ) 경)
3 진구의 최후
( 도구 훔친거 들킴 )

폭력행사
극대노

고무망치
직접 보여드림 ㅇㅇ
무릎반사

경로 : 감각 기관 > 감각 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 신경 > 운동 기관


( 의 반응 )
> 신경 > 척수 > 근육 > 반응 !
경로 : 무릎 ( 자극 )감각
( 무조건반사이
다 .) 또한 , 위험에 처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여
무릎반사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에 , 무조건반사이다 .
4 도라에몽의 도구 자랑
[ 무조건 반사 ]

꼭 공기포 ( 척수 ) 일 필요는 없잖아 ?


자극 ( 감각기관 )

( 외부 ) ( 척수 )

반응 복수 ( 운동신
경)
( 운동기관 )
( 중간뇌 ) ( 척수 ) ( 연수 )
( 중간뇌 ) - 안구의 운동 , 동공반사 조절
예시 ) 동공반사가 일어나는 것은 무조건 반사로 , 연수가 관여한다 .
* 동공반사 : 눈에 들어가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 동공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

( 척수 ) - 자극에 대한 흥분 전달 , 무릎반사 , 근육운동 조절 및 유지


예시 ) 무릎반사가 일어나는 것은 무조건 반사로 , 척수가 관여한다 .

( 연수 ) - 심장박동 , 호흡 , 소화운동 , 재채기 , 침분비 등


예시 ) 재채기를 하는 것은 무조건 반사로 , 연수가 관여한다 .
[ 무조건 반사 ]

감각기관

외부 척수
연수
중간뇌

운동기관
[ 퀴즈 ]
1 자극에서 반응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

1) 감각기관 – 감각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신경 – 운동기관


2) 감각기관 – 감각신경 – 척수 – 대뇌 – 운동신경 – 운동기관
3) 감각신경 – 감각기관 – 대뇌 – 척수 – 운동기관 – 운동신경
4) 감각신경 – 감각기관 – 척수 – 대뇌 – 운동기관 – 운동신경
5) 감각기관 – 감각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기관 – 운동신경
[ 퀴즈 ]
1 자극에서 반응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

1) 감각기관 – 감각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신경 – 운동기관


2) 감각기관 – 감각신경 – 척수 – 대뇌 – 운동신경 – 운동기관
3) 감각신경 – 감각기관 – 대뇌 – 척수 – 운동기관 – 운동신경
4) 감각신경 – 감각기관 – 척수 – 대뇌 – 운동기관 – 운동신경
5) 감각기관 – 감각신경 – 대뇌 – 척수 – 운동기관 – 운동신경
[ 퀴즈 ]
2 친구들이 무릎반사에 관하여 이야기 하고있다 . 옳은 것은 ?

1) 성찬 : 무릎반사는 무의식 중 일어나기 때문에 중추신경을 거치지 않아 .


2) 현태 : 아니지 . 무릎이 아파서 무릎반사가 일어나 . 그니까 앞으로 애들을 많이 때려야지 .
3) 성실 : 현태는 너무 폭력적이다 . 아파서 일어나는 현상은 맞는데 , 때리지마 .
4) 준혁 : “ 현태”가 잘못 말했네 . 무릎을 자극하면 , 대뇌를 통해 명령을 내리게 돼 .
5) 지윤 : 다들 왜 이렇게 멍청해 ? 무릎반사는 대뇌와 관계가 없어 .
[ 퀴즈 ]
2 친구들이 무릎반사에 관하여 이야기 하고있다 . 옳은 것은 ?

1) 성찬 : 무릎반사는 무의식 중 일어나기 때문에 중추신경을 거치지 않아 .


2) 현태 : 아니지 . 무릎이 아파서 무릎반사가 일어나 . 그니까 앞으로 애들을 많이 때려야지 .
3) 성실 : 현태는 너무 폭력적이다 . 아파서 일어나는 현상은 맞는데 , 때리지마 .
4) 준혁 : “ 현태”가 잘못 말했네 . 무릎을 자극하면 , 대뇌를 통해 명령을 내리게 돼 .
5) 지윤 : 다들 왜 이렇게 멍청해 ? 무릎반사는 대뇌와 관계가 없어 .
[ 퀴즈 ]
3 옳게 말한 사람을 모두 골라라 .

1) 성찬 : 코로나에 걸려서 재채기를 많이 하네 . 중간뇌가 명령을 내린걸거야 .


2) 지윤 : 뭔소리야 . 재채기는 중간뇌가 아니라 연수가 명령을 내린다고 .
3) 준혁 : 무릎반사처럼 척수가 조절하잖아 .
4) 현태 : 척수는 무릎반사 또는 눈을 깜빡이는데에 쓰이잖아 .
[ 퀴즈 ]
3 토론중인 친구들 중 , 옳게 말한 사람을 모두 골라라 .

1) 성찬 : 코로나에 걸려서 재채기를 많이 하네 . 중간뇌가 명령을 내린걸거야 .


2) 지윤 : 뭔소리야 . 재채기는 중간뇌가 아니라 연수가 명령을 내린다고 .
3) 준혁 : 무릎반사처럼 척수가 조절하잖아 .
4) 현태 : 척수는 무릎반사 또는 눈을 깜빡이는데에 쓰이잖아 .
5) 치은 : 깜빡이는 눈은 감각신경이지 .
6) 승빈 : 치은아 아니지 . 눈은 감각기관이야 .
7) 혜준 : 그래서 눈을 깜빡이는건 의식반사가 맞아 .
8) 성욱 : 의식반사는 무의식반사보다 빨라 .
9) 동현 : 어쨌거나 재채기와 눈 깜빡임 모두 우리 몸을 보호하려는 거잖아 .
[ 퀴즈 ]
3 토론중인 친구들 중 , 옳게 말한 사람을 모두 골라라 .

1) 성찬 : 코로나에 걸려서 재채기를 많이 하네 . 중간뇌가 명령을 내린걸거야 .


2) 지윤 : 뭔소리야 . 재채기는 중간뇌가 아니라 연수가 명령을 내린다고 .
3) 준혁 : 무릎반사처럼 척수가 조절하잖아 .
4) 현태 : 척수는 무릎반사 또는 눈을 깜빡이는데에 쓰이잖아 .
5) 치은 : 깜빡이는 눈은 감각신경이지 .
6) 승빈 : 치은아 아니지 . 눈은 감각기관이야 .
7) 혜준 : 그래서 눈을 깜빡이는건 의식반사가 맞아 .
8) 성욱 : 의식반사는 무의식반사보다 빨라 .
9) 동현 : 어쨌거나 재채기와 눈 깜빡임 모두 우리 몸을 보호하려는 거잖아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