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3 조 2021120327 손상원

게임 캐릭터도 인
간?
3 조 2021120327 손상원

전뇌화 인간이 인간일까 ?

모방적 행위의 한계 오감 충족 불가능


3 조 2021120327 손상원

1
모방적 행위의 한계
3 조 2021120327 손상원

1. 모방적 행위의
한계

● 모방적 <-> "자유의지"

● 삶의 뇌가 컴퓨터에 들어가도 생각 유지가 가능 ?


-> 효율성과 감정의 충돌에는 ?

● 인간 패턴을 학습한 컴퓨터가 구현하는 환상


3 조 2021120327 손상원

1. 모방적 행위의 한계

● 단순히 고도로 '잘 따라하는 기계’라면 ?

● 자유의지가 없다면 기계화된 인간이 아니라


“ 인간화된 기계”
3 조 2021120327 손상원

2
오감 충족의 문제
3 조 2021120327 손상원

2. 육체적 오감 충족에 제약

● ‘ 신체의 작용과 움직임을 거쳐야만 육체적 경험과


욕구 충족이 가능
3 조 2021120327 손상원

Q: 고도로 발전된 감각 구현 장치가


오감 충족을 가능케 한다면 ? (VR 의 연장
선)

1 2 3
신체 전제 불가피 재구성의 결과 감각 과정 > 결과
VR 도 결국 신체 전제 인간의 감각을 따라하고 경험의 감각 환원 O
재구성에 불과 ,
온몸의 신경은 신체 감각으로 경험 구성 X
이들의 전유물이 아님
Ex) 마라탕의 예시
3 조 2021120327 손상원

철학적 접근
3 조 2021120327 손상원

철학적 접근 - 시대를 기준으로

고대 - 중세 이성주의 현대 실존주의

근대 정념주의
3 조 2021120327 손상원

고대 - 중세 이성주의

● "인간은 이성적 동물” - 이원론적 접근

● 육체는 영혼 구속 , BUT 자타 구분의 확실한


기준
-> 영혼 개념의 추상성 인정

● 컴퓨터 속에서 강조될 수밖에 없는 육체 ,


영혼은 신체와 분리 , 즉 뇌와도 분리되어
생각해야 .
3 조 2021120327 손상원

근대 정념주의

● 정념과 감정이 인간의 원리


-> 몸의 심장에 가치 부여

● 감정의 소멸 가능성
3 조 2021120327 손상원

현대 실존주의

● "인간의 본질은 자신의 존재를 깨닫는 실존”

● “ 실존은 죽음의 가능성에서 시작한다”


-> 자유의지의 극대화 가능성

● "욕구 단계설”
하위 욕구의 제거가 아닌 충족과 극복의 조화가
핵심
성인의 예시
3 조 2021120327 손상원

Q: 기계의 부품 고장이 죽음의 가능성의


역할을 대신한다면 실존이 가능한가 ?

● 복구 시스템 ; 인간 신체와 컴퓨터의 차이점

● 인간에게 있어 죽음은 ‘가장 확실한 가능성’


● 컴퓨터에게 있어서는 ‘예방 가능하고 해야하는’

● 단순 불안과 확실한 가능성에 대한 인정은 구분되어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