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고분자물성 중간고사 2022년 4월 25일

총 120분 (100점 만점)

이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학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6 pts] Six Big Polymers


아래는 수업시간에 소개한 six big polymer 들에 대한 monomer 구조 및 용도이다. 각 고분자의
명칭을 적으시오.(고분자의 full name 을 영어로 정확히 적어야 1 점임. 약어만 적으면 0.5 점)
Polymer Monomer Uses of Polymer
Clothing, soft drink bottles,
audio- and videotapes, film
backing
Styrofoam insulation,
inexpensive furniture, drinking
glasses, packing peanuts

Milk and water jugs, gasoline


tanks, cups

Plastic bags, electrical


insulation

Shampoo bottles, garden


hoses, bubble package wrap,
plumping pipe
Battery cases, in-door-outdoor
carpeting, bottle caps

2. [4 pts] Living Polymerization


Living polymerization 이 유지되기 위한 조건을 최소한 2 가지 설명하시오.

1
3. [10 pt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PP)은 고분자 내의 microstructure 에 따라서 syndiotactic PP (sPP)와 atactic PP (aPP)로
나뉠 수 있다. 이때 sPP 와 aPP 의 구조를 stereochemistry 가 명확히 표현되도록 그리시오.
그리고, sPP 와 aPP 의 상온에서의 물성이 어떻게 다른지 그 이유와 함께 설명하시오. (Hint: PP 의
Tg 는 -25 oC, Tm 은 170 oC 이고, sPP 와 aPP 의 분자량은 1,000,000 g/mol 이상으로 매우 크다고
가정한다.)

2
4. [10 pts] Molecular Weight (sample example)
분자량이 서로 다른 같은 종류의 고분자 샘플 3 가지를 혼합하여 물성을 조절하고자 한다. 이
혼합물에 분자량이 40,000 g/mol 인 A 가 10 g, 분자량이 100,000 g/mol 인 B 가 5 g, 분자량이
200,000 g/mol 인 C 가 3 g 씩 섞여 있을 때,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과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을 각각 계산하시오. 이때, 각 고분자 샘플의 분자량 분포는 균일하다고
가정한다.(PDI = 1)

3
5. [20 pts] Step Polymerization
아래와 같은 dialcohol 과 diacid 의 step polymerization 에 대하여 답하시오.

n HO-(CH2)10-OH + n HOOC-(CH2)4-COOH →

(1) [6 pts] 위의 반응식을 완성하시오.

(2) [2 pts] Repeating unit 의 분자량을 계산하시오.

(3) [12 pts] 실제 중합반응에서 dialcohol 과 diacid 를 같은 몰수로 공급하였다. 그런데, diacid 의
순도가 좋지 않아 실제로는 diacid 에 0.85 mol%의 불순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 얻을 수 있는 최대 분자량(Mn 과 Mw)을 각각 구하시오.

4
6. [15 pts] Radical Polymerization
Polystyrene 을 free radical polymerization 으로 합성하고 있다. 이때, polymerization rate (Rp)는 1.79 ×
10-3 g/ml∙min 이고, initiator 로 사용되는 AIBN 의 농도([I])는 6.6 × 10-6 mol/ml 이다.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initiator efficiency (f)는 1 로 가정한다. Styrene monomer 의
분자량은 104 g/mol 이다.
(1) [4 pts] Polymerization rate (Rp)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2) [5 pts] Initiator 가 분해되는 속도상수(kd)가 3.25 × 10-4 min-1 일 때, 라디칼이 생성되는
̅̅̅𝑛̅ )을
속도(Ri)를 계산하시오. 그리고, 이때 얻어지는 polystyrene 의 degree of polymerization ( 𝑋
̅̅̅𝑛̅ = 𝑅𝑝 𝑜𝑟
계산하시오. (Hint: 𝑋
𝑅𝑝
로 계산할 수 있다.)
𝑅 𝑖 𝑅𝑡

(3) [6 pts] 반응이 3 시간 지난 뒤에 남아있는 initiator 의 비율(%)는 얼마인가?

5
7. [15 pts]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아래는 ATRP 를 이용하여 polystyrene 을 합성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agent 들이다.

CuBr(L) (L 은 리간드)

(1) [10 pts] 위 agent 들을 이용하여 ATRP 로 PS 를 합성하는 메커니즘을 완성하시오.

(2) [5 pts] (1)에서 ATRP 로 합성한 polystyrene 에 methyl methacrylate (MMA)를 다시 ATRP 로
반응시켜 PS-b-PMMA block copolymer 를 합성하고자 한다. 이때 합성되는 PS-b-PMMA block
copolymer 의 구조를 그리시오.

6
8. [20 pts] Copolymerization
Styrene (S)과 vinyl chloride (V)를 혼합하여 copolymer 를 합성하고자 한다. 이때, 각 monomer 간의
reactivity ratio 는 각각 rS = 17, rV = 0.02 이다.
(1) [5 pts] 각각 동일한 몰수의 styrene 과 vinyl chloride 를 혼합하여 중합시킬 때 초기에 얻어지는
copolymer 에서 styrene 의 조성을 계산하시오.

(2) [5 pts] 각 monomer 간의 reactivity ratio 를 고려하여 styrene 과 vinyl chloride 을


copolymerization 할 때, monomer composition (fS)에 따른 copolymer composition (FS)의 plot 개형을
아래에 스케치 하시오.

7
(3) [10 pts] 각각 동일한 몰수의 styrene 과 vinyl chloride 를 혼합하여 copolymer 를 합성할 때, free
radical polymerization 과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을 이용하여 각각의 중합법에서 얻어지는
copolymer 의 조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두가지 중합법으로 얻어지는 copolymer 의 조성을
conversion 이 낮을 때와 높을 때로 구분해서 정성적으로 설명하시오. (즉, copolymer 의 조성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필요는 없음.)

8
Useful information

Styrene Methyl methacrylate

∑𝑖 𝑛𝑖 𝑀𝑖 ∑𝑖 𝑛𝑖 𝑀𝑖2
𝑀𝑛 = ∑ 𝑥𝑖 𝑀𝑖 = , 𝑀𝑤 = ∑ 𝑤𝑖 𝑀𝑖 =
𝑖 ∑𝑖 𝑛𝑖 𝑖 ∑𝑖 𝑛𝑖 𝑀𝑖

No 1 No 1+ r
xn = = xn = =
N 1− p N 1 + r − 2rp

𝑁𝑥 = 𝑁0 (1 − 𝑝)2 𝑝 𝑥−1 wx = x(1 − p) 2 p x −1

1 (1 + 𝑝)
𝑥̄ 𝑛 = ,  𝑥̄ 𝑤 =
(1 − 𝑝) (1 − 𝑝)

2  1 2  1 
p= 1 −  pc = ( p A pB ) c =  
f avg  xn  f avg 1 +  ( f − 2) 
( is ratio of multi-functional group)

𝑑[𝑅•] 𝑑[𝐼]
𝑅𝑖 = = 2𝑓𝑘𝑑 [𝐼] − = 𝑓𝑘𝑑 [𝐼]
𝑑𝑡 𝑑𝑡

1
𝑑[𝑀] 𝑅
𝑅𝑝 = − = 𝑘𝑝 [𝑀](2𝑘𝑖 )2 𝑅𝑡 = 2𝑘𝑡 [𝑀 •]2
𝑑𝑡 𝑡

1 1 [I ] [S ]
= + CM + CI + CS
xn (xn )0 [M ] [M ]

 [ A] 
r +1
 
d [ A] [ A] rA [ A] + [ B]  A [ B] 
=  =
d [ B] [ B]  [ A] + rB [ B]   r [ B] + 1 
 B [ A]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