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19-4-7 1회 보성고 2.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만을 골라 묶은


것은?
배를 매며 ㄱ. 화자의 역설적 인식을 통해 사랑의 감정에 대
해 표현하고 있다.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ㄴ. 기승전결의 한시적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다.

(가) 아무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ㄷ. 상징적 의미를 가진 소재를 활용하여 주제를

등 뒤로 털썩 부각시키고 있다.

㉠밧줄이 날아와 나는 ㄹ.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나

뛰어가 밧줄을 잡아다 배를 맨다 타내고 있다.

아주 천천히 그리고 조용히 ㅁ.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배는 멀리서부터 닿는다
① ㄱ, ㄴ, ㄷ ② ㄷ, ㄹ, ㅁ ③ ㄷ, ㅁ
사랑은,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호젓한 ㉡부둣가에 우연히,
별 그럴 일도 없으면서 넋 놓고 앉았다가
배가 들어와 3. ㉠과 ㉡의 의미로 적절한 것끼리 짝지은 것은?
던져지는 밧줄을 받는 것 ㉠ ㉡
그래서 어찌할 수 없이 사랑이 시작되는 과
① 사랑하게 될 사람
배를 매게 되는 것 정
사랑의 대상에 대한 욕 사랑을 둘러싼 주변

잔잔한 바닷물 위에 심 환경
사랑이 시작되고 끝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 ③ 사랑이 시작되는 일
나는 공간
떠 있는 배
사랑하는 대상과의 인 사랑의 의미를 깨닫

연 는 되는 곳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사랑에 대한 두려움
매어진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⑤ 사랑에 대한 깨달음
을 없애주는 공간
사랑이란 그런 것을 처음 아는 것

㉢빛 가운데 배는 울렁이며 4. ㉢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서로 가장 적절한 것


온종일을 떠 있다 은?
① 부재하는 사랑에 대한 그리움
(나)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 ② 운명적 사랑의 설렘과 경이로움
다 ③ 피할 수 없는 사랑에 대한 두려움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산(山)도 자작나무다 ④ 갑자기 찾아온 사랑에 대한 불안함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 ⑤ 시련을 이겨낸 사랑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감로(甘露)같이 단 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
작나무다
산(山) 너머는 평안도(平安道) 땅도 보인다는 이 5.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산(山)골은 온통 자작나무다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② 비유의 기법을 사용하여 사랑의 본질을 구체화하
1. 윗글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휘를 반복적으로 고 있다.
사용하여 리듬감이 느껴지는 부분을 찾아 쓰시오. ③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사랑이 시작되고 커가는 과
정을 드러내고 있다.
④ 각 연의 끝에 유사한 후렴구를 반복함으로써 시

-1- 1등급 다올 국어 010-8717-7204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 ① 거북아, 거북아. / 머리를 내어라. / 내어놓지 않
⑤ 추상적 대상인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라는 구체 으면, / 구워서 먹으리
적 사물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② 아침에 귀뚜라미처럼 읊조리고 / 저녁엔 올빼미인
양 노래하네 / 어찌할 수 없는 시마(詩魔)란 놈
③ 묏버들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 자시 窓
6. 이 시의 각 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은? 날인가도 너기쇼셔.
① (가): 우연히 배를 매어 본 경험을 제시하여 어떤 ④ 가마귀 호 골에 白鷺(백로)ㅣ야 가지 마라. /
일의 시작을 드러내고 있다. 셩낸 가마귀 흰빗 새오나니 / 淸江(청강)에 좋이 시
② (나): 갑자기 배를 매듯이 운명적으로 찾아오는 사 슨 몸을 더러일까 노라.
랑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⑤ 달은 둥근달 산 넘어가고요 / 이 몸은 언제면 임
③ (다): 배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을 통해 만나 사나. / 너영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 낮에 낮에
화자의 주변 환경을 드러낸다. 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
④ (라): 사랑하는 이를 둘러싼 세계를 함께 사랑하는
것이라는 사랑에 대한 깨달음이 드러난다.
⑤ (마): 울렁이며 온종일 떠 있는 배를 통해 함께 맺 9. 이 시의 화자와 다음 작품의 화자의 공통된 생각
어지는 사랑을 그리고 있다. 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사람이 온다는 건
7. <보기>를 읽고, ‘배를 매는 일’과 ‘사랑의 본질’에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대해 정리해 보았을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는

<보기> 그의 과거와

이 시는 유추의 전개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현재와

있다. ‘배를 매는 일’과 ‘사랑’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그리고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배 메는 일을 추상이 그의 미래가 함께 오기 때문이다

고 복잡한 사랑의 본질과 연결 짓고 있는 것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이 시는 부서지기 쉬운

사랑에 대한 시인의 사색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있다. 마음이 오는 것이다.


-정현종의 <방문객>

배를 매는 일 사랑의 본질
㉠ 배 사랑하게 될 대상 ① 빛 가운데 울렁이는 배처럼 사랑은 시련도 있는

㉡ 배를 정박 시키는 일 사랑이 시작되는 일 법입니다.


사랑이 운명적으로 갑작스럽 ② 떠나는 임에 대한 사랑을 소박한 자연물을 통해
㉢ 밧줄이 갑자기 날아오는 것
게 시작되는 것 드러냈습니다.
운명적인 사랑을 받아들이는 ③ 사랑은 사랑하는 이를 둘러싼 모든 것이 함께 오
㉣ 밧줄로 배를 매는 것

는 것입니다.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 사랑은 근심과 행복과 세월
㉤ ④ 임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과 사랑을 절실히 환기시
간이 함께 매어지는 것 이 함께 함
키고 싶었습니다.
① ㉠ ② ㉡ ③ ㉢
⑤ 억누를 수 없는 인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의 감
④ ㉣ ⑤ ㉤
정이 시의 주제입니다.

8. 다음 중 이 작품의 시적 화자의 어조와 유사한 작


10.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
품으로 적절한 것은?
는지 서술하시오.

-2- 1등급 다올 국어 010-8717-7204


14. (가)에 나타나는 비유 관계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
11. 다음 중 (가)의 밧줄과 유사한 의미의 시어를 은?
<보기>에서 찾은 것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보기> ⓐ 운명적으로 사랑이 갑자기 찾아 옴
우리는 다시 만나야 한다. ⓑ 사랑의 맺어짐은 서로의 꿈과 기쁨과 세월이
우리들은 은하수를 건너야 한다. 함께 맺어지는 것
오작교가 없어도 노둣돌이 없어도 ⓒ 운명적인 사랑을 받아들임
가슴을 딛고 건너가 다시 만나야 할 우리, 밧줄이 갑자기 밧줄로 구름과 빛과
칼날 위라도 딛고 건너가 다시 만나야 할 우리 날아 옴 배를 맴 시간이 함께 옴
이별은 이별은 끝나야 한다 ① ⓐ ⓑ ⓒ
말라붙은 은하수 눈물로 녹이고 ② ⓐ ⓒ ⓑ
가슴과 가슴을 노둣돌로 놓아 ③ ⓑ ⓐ ⓒ
슬픔은 슬픔은 끝나야 한다, 연인아. ④ ⓑ ⓒ ⓐ
- 문병란, ‘직녀에게’에서 ⑤ ⓒ ⓑ ⓐ

① 은하수 ② 오작교 ③ 칼날
④ 이별 ⑤ 눈물 15. (나)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보기>의 작품이 떠올
랐다고 할 때, 그 이유로 적절한 것은?
<보기>
12. (가), (나)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頭流山(두류산) 兩端水(양단수)를 녜 듯고 이졔 보니,
① 한 문장을 한 행으로 구성하여 운율감을 형성하고 桃花(도화)  은 물에 山影(산영)조 잠겻셰라.
있다. 아희야, 武陵(무릉)이 어듸오, 나 옌가 노
② 객관적인 시각에서 시적 대상을 정확하게 묘사하
고 있다.
① 시조의 율격과 주제를 강조하는 방법이 흡사하기
③ 화자가 처한 현실에 대한 화자의 적극적인 대응
때문에
방식이 드러나 있다.
② 애상적인 느낌이 두 작품에서 모두 받을 수 있기
④ 과거 시제를 사용하여 과거에 있던 일을 언급함으
때문에
로써 사랑하는 이에 대한 그리움을 느끼고 있다.
③ 속세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이 비유적 대상을 통해
⑤ 유사한 문장 구조를 반복하여 리듬감을 주고 의미
드러나기 때문에
를 강조하여 정서적 미적으로 아름답게 만들고 있다.
④ 순수하고 아름다운 산 속 삶에 대한 예찬적인 태
도가 엿보이기 때문에
⑤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시적 화자의의 심정을 노래
13. (가)를 읽고 문학의 정서적·미적 기능을 학습하고
한 점이 유사하기 때문에
자 할 때, 할 수 있는 질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배를 매며>에서 주로 사용된 심상은 무엇일까?
② <배를 매며>를 읽으며 어떤 정서적 반응이 들었을
16. 작품 전체의 맥락을 고려할 때, (가)의 마지막 연
까?
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서를 ‘빛’과 ‘울렁이며’의 의
③ <배를 매며>에서 리듬감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
미를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일까?
④ <배를 매며>에서 화자는 어떤 방식으로 전제에서
결론을 이끌어냈을까?
⑤ <배를 매며>에서 나타나는 비유 관계를 통해 화자
는 무엇을 전달하고자 했을까?

-3- 1등급 다올 국어 010-8717-7204


어조로 표현하고 있다.

9. ③
1.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해설] 제시된 시의 화자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은 그 사람의
[해설] 그 외에도 ‘받는 것, 되는 것, 매어지는 것, 그런 것, 전부와 만나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방문객>과 마찬
아는 것’,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 구름과 빛과 시간이 가지로 이 시 역시 (라)를 통해 사랑은 사랑하는 이를 둘
함께’ 등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휘를 반복적으로 사용 러싼 모든 것이 함께 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여 리듬감이 느껴진다.
10. 부둣가에서 배를 매며 그것의 의미를 생각하고 있다.
2. ③ [해설] 시적 화자는 배와 바닷물이 있는 부둣가에서 있다.
여기에서 배에서 던져진 밧줄을 엉겁결에 받아 배를 매
[해설] 윗글은 배를 정박하고 밧줄로 매는 과정을 시간의 흐
고 있으며, 배를 바라보며 배를 매는 행위가 지닌 의미에
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고, ‘밧줄’, ‘부둣가’ 등의
대하여 생각하고 있다.
소재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11. ②
3. ④
[해설] (가)의 '밧줄'은 사랑의 대상과 맺게되는 인연으로서
[해설] ‘밧줄’이 갑자기 날아오는 것은 사랑이 운명적으로 갑
사랑하는 대상과 화자를 묶어주는 매개체의 기능을 한다.
작스럽게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밧줄’은 사랑의 대
이와 유사한 시어를 <보기>에서 찾으면 '오작교'이다. 참
상과 맺게 되는 인연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부둣가’
고로 '칼날'의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만난다는 의미
는 사랑의 대상을 만날 가능성이 있는 곳이자 사랑의 의
이기 때문에 매개체의 기능과는 거리가 멀다.
미를 깨닫는 곳을 의미한다.
12. ⑤
4. ②
[해설] ⑤ (가)와 (나)모두 ‘사랑은~-ㄴ것’, ‘~도 자작나무다.’
[해설] 사랑의 맺어진다는 것은 서로의 꿈과 기쁨과 세월이
의 유사한 문장 구조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리듬감을
함께 맺어지는 것이라는 사랑의 본질에 대해 깨달은 후
주고 의미를 강조하여 정서적 미적으로 아름답게 작품을
‘빛 가운데 배는 울렁이며 온종일을 떠 있다’라고 말하였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① 한 문장을 한 행으로 구성하고
다. 이것은 운명적 사랑에 대한 환희와 경이로움, 설렘
있는 것은 (나)에만 해당한다. ② (가)와 (나) 모두 객관적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 시각에서 시적 대상을 적확하게 묘사하고 있지는 않
다. ③ (가)와 (나)의 경우 화자가 있는 공간이 드러나긴
5. ④
하지만 그것이 처한 현실에 대한 화자의 적극적인 대응
[해설] 후렴구는 일반적으로 연의 끝에 위치하며 연과 연을
방식을 보인다고는 할 수 없다. ④ (가)와 (나) 모두 현재
구분 짓고 반복을 통한 운율을 형성한다. 의미가 있는 후
시제를 사용하며 사랑하는 이에 대한 그리움도 드러나
렴구인 경우 의미 강조의 효과도 있다. 반복적으로 나타
있지 않다.
나는 후렴구의 특성은 시 전체의 통일성을 부여하게 된
다. 하지만 이 시의 경우 후렴구라고 볼 만한 부분이 없
13. ④
다. ① 배를 매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맞춰 시상을 전
[해설] '<배를 매며>에서 화자는 어떤 방식으로 전제에서 결
개하고 있다. ② 사랑을 배는 매는 일에 비유하는 기법을
론을 이끌어냈을까?'는 논리적인 사고와 관련되는 질문
사용하여 사랑의 본질을 구체화하고 있다. ③ 1연의 '등
으로서 문학의 정서적·미적 기능을 학습하고자 하는 질문
뒤로 털썩 밧줄이 날아와', 2연의 그래서 어찌할 수 없이
과는 거리가 멀다.
배를 매게 되는 것'을 통해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사랑이
시작되고 커가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14. ②
추상적 대상인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라는 구체적 사물
[해설] 밧줄이 갑자기 날아오는 것은 운명적으로 사랑이 갑
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배를 매는 일’과 ‘사랑’의 유
자기 찾아오는 것에, 밧줄로 배를 매는 것은 그 운명적인
사성을 통한 유추의 표현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에,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오는
것은 사랑의 맺어짐은 서로의 꿈과 기쁨과 세월이 함께
6. ③
맺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랑의 흐름을 잘 생각해본다면
[해설] (다)에서 배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대해 화자가 인식
자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다
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사랑하는 이를 둘러싼 세계이지
화자의 주변 환경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15. ④
[해설] (나)는 순수하고 아름다운 산속 사람들의 삶을 예찬적
7. ⑤
으로 다루고 있는데, <보기>의 작품 역시 순수하고 아름
[해설]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매어지는 것'은
다운 산 속 삶에 대한 예찬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사랑의 맺어짐은 서로의 꿈과 기쁨과 세월이 함께 맺어
진다는 것이다.
16. 화자는 운명적 사랑의 아름다움(빛)에 설렘(울렁임)을 느
끼고 있다.
8. ②
[해설] 시에서 느껴지는 분위기, 시어, 심상 등은 시적 화자
[해설] ‘사랑은~배를 매게 되는 것’, ‘사랑이란 그런 것을 처
의 정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의 마지막 연에는 운명
음 아는 것’을 통해 시적화자는 사색적인 어조로 사랑에
적 사랑의 아름다움(빛)과 설렘(울렁임)을 통해 운명적 사
대한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어조가 보이
랑의 환희와 경이로움을 드러내고 있다.
는 작품은 이규보의 <시벽>이다. <시벽>은 시짓기를 악
마로 비유하면서 멈출 수 없는 화자의 상황을 사색적인

-4- 1등급 다올 국어 010-8717-720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