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폭풍해일 예측을 위한 태풍 해면기압 및 해상풍 추정

전기천*, 강시환, 이동영, 박광순


한국해양연구원

1. 서론 에서 최대풍속이 발생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즉 최


대풍 반경이다. A, B 는 경험적으로 얻어지는 상
태풍은 일반적인 온대성 저기압이나 고기압과는 수이며 특별히 식(1)에서 A = B = 1 일 때는
달리 해면기압과 바람이 중심부근에서 시․공간적 Original Rankin Vortex Model이 된다.
변화가 커서 일반 기상분석에 의한 해면기압과 바 태풍의 기압분포를 동심원으로 가정하고 마찰과
람장은 폭풍해일모델에서 요구되는 태풍 중심 부 태풍이동의 영향을 무시하여, 원심력과 전향력 및
근의 정밀한 시․공간적 변화를 잘 나타내지 못한 기압경도력 만을 고려한 지형풍은 다음과 같이 나
다(과학기술부, 2000). 특히, 실제 관측된 기상자료 타낼 수 있다.
를 얻기 힘든 해상지역을 태풍이 이동할 때는 일
반 기상분석에 의한 기압으로 해상풍을 구하는 것 2
U 1 ∂P (2)
은 큰 오차를 낼 수 있다. 이러한 태풍 중심역에서 + fU = ρ
r ∂r
의 기압분포에 대한 추산오차를 줄이기 위해 태풍
2
fr fr r ∂P
영향권내의 등압선을 동심원으로 가정하여 태풍의
기압분포를 중심기압, 최대풍 반경, 주변기압 등의
U= -
2
+
2
+ ρ
∂r ( ) (3)

태풍파라미터의 함수로 표시하는 여러 형태의 태


여기서, U , P 는 태풍의 중심으로부터 거리 r 인
풍 기압분포모형이 제시되었다(해양수산부, 2001).
본 연구에서는 폭풍해일예측모델에서 요구되는 지점의 풍속과 해면기압이며, ρ , f 는 공기밀도와
태풍중심권에서의 해면기압과 해상풍을 정밀추산 Coriolis 파라미터이고, ∂P 은 해면기압 분포식
하기 위해 지상 기압자료, 위성관측자료, 항공기 ∂r
관측자료 등을 이용하여 태풍파라미터를 정밀분석 (식(1))에서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태풍시의 해상풍 산출모
r0
형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해양부이 관측자료와 비 r ∂P ΔP r 0 -
r
(4)
교하였다. ρ ∂r = ρ r e

2. 태풍시의 해면 기압 및 해상풍 산출 여기서, ΔP는 태풍중심과 태풍영향권 밖의 기압


차이다.
2.1 Typhoon Parameter Model(TPM) 태풍이동과 해면마찰의 영향을 고려하여 해면
태풍주위의 바람장은 일반적으로 태풍 파라메타 10m 고도의 해상풍( U )은 다음과 같은 경험식으
로부터 주위의 기압장을 구하여 이로부터 해상풍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을 구한다. 태풍 중심역에서의 기압분포는 태풍파
라미터를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Schloemer, 1954; Fujita, 1962; Holland, U = U s + U SM (5)
1980), 본 연구에서 사용한 Rankin Vortex Model Rr V f
의 기본식은 다음과 같다. U SM = (6)
R 2+ r 2
r0
(B )
r
(P ( r ) - P 0 )/( P ∞ - P 0 ) = A e (1)
여기서, U s 는 마찰이 고려된 풍속이며, U SM 는

여기서, P ( r ) , P 0 , P ∞ 은 태풍중심에서 거리 r 인 태풍이동영향을 고려한 보정값, V f 는 태풍이동속


지점의 해면기압, 태풍 중심에서의 해면기압, 태풍 도이다.
영향권 밖에서의 해면기압을 의미하며, r 0 는 중심
2.2 Primitive Vortex Model(PVM)
최근에는 태풍의 이동속도와 마찰의 영향을 경
*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 연구본부 험식으로 구하지 않고 원시 운동방정식을 기초로
Tel: 031-400-6347, E-mail: kcjun@kordi.re.kr 하는 모델이 개발되었다(Shapiro, 1983; Cardone et

532
al, 1994). 본 연구에서 사용한 PVM모델은 미 육군 PVM모델은 태풍의 중심을 원점으로 이동식 격
공병단의 지원하에 1970년대 초 뉴욕대학에서 처 자시스템을 적용하고, 태풍의 중심 부근에서는
음 개발된 이후 항공기 관측자료와 지상기압자료 2km 간격으로 조밀하게 격자를 설정하고 중심에
등을 토대로 보완․검증되어 왔다(Cardone et al, 서 멀어질수록 2배씩 격자간격이 커지도록 한
1994; Thompson and Cardone, 1996). 이 모델에서 Nested grid 시스템을 사용하여 태풍의 중심부근
는 유사모형에 기초한 표면마찰공식(Arya, 1977)과 에서의 바람의 변화를 정밀하게 추산할 수 있도록
해수면에서의 조도공식(Cardone, 1969)을 결합하였 하였다(Fig. 1). Fig. 2는 모델에 의해 계산된 바람
으며, PBL(Planetary boundary layer)에서의 연직 장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된 운동방정식에 기초하여 마찰의 영향과 태
풍의 이동속도의 영향을 경험적으로 다루지 않고,
PBL에서의 물리적인 과정을 포함한 운동방정식에
서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의 기본방정식은 PBL에서 연직평균된 운
동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dV 1
+ f k×( V - V g ) =- ρ ∇p c + ∇‧( K H ∇ V )
dt
CD
(7)
h |
- V + V c |( V + V c )

p= pc+ p (8)

p c (r) = p 0 + Δpe
- R/r
(9)
1 (10)
f k× V g =- ρ ∇ p

여기서, h 는 PBL의 높이이며, p c , p 는 각각 태


풍에 의한 기압장, 태풍이 없을 때의 종관 기압장
을 나타내며, V , V g , V c 는 각각 태풍이동에
대한 상대 풍속, 태풍이동에 대한 상대 지균풍과 Fig. 2 PVM모델에 의해 산출된 태풍시의 해상풍
태풍의 이동속도를 나타낸다. (1996년 8월 12일 06 Z)

Y
3. 태풍파라미터 산출을 위한 자료분석

태풍 해상풍 모델에서 요구되는 입력자료는 태


풍 track, 태풍 중심 기압, 최대풍 반경, 태풍 외부
의 기압, 태풍이 없을 경우의 평균 바람 등이다.
이 중에서 태풍의 Track과 태풍 중심 기압은 기상
센타에서 태풍 예보시에 발표되며 태풍 영향권 밖
의 기압 및 바람도 기상 수치 모델의 결과에서 얻
을 수 있으나, 최대풍의 반경은 제공되지 않고 있
다. 따라서, 태풍해상풍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최대풍 반경을 정확
히 추산해야 한다.
과거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에 대한 가용
한 자료에 의해 분석을 통하여 경험식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요 태풍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 1960년부터 발생된 태풍 중 우리나라 근
0 ∆X 1 ∆X 2 = 2∆X 1 ∆X 3 = 4∆X 1 X 처를 통과하며 많은 영향을 주었던 태풍을 선별하
고, 이후 선별된 태풍의 중심 기압 자료와 전국 주
Fig. 1 PVM모델의 이동격자시스템의 모식도 요 기상관측소의 기압 자료를 사용하여 최대풍 반

533
경을 추산하였다. 사용된 자료로는 한국기상청과
일본기상청의 지상 및 해상 기상관측 점의 해면기
압자료와 중국의 연안 관측소에서 측정한 해면 기
압 자료를 기본으로 하고 과거 미 공군이 항공기
에 의해 관측된 자료의 분석 및 인공 위성
GEOSAT, TOPEX 관측 자료도 이용되었다.
태풍이 동중국해에 위치할 경우에는 주변에 기
상 관측소가 거의 없어 태풍에 대한 자세한 분석
이 되지 않으나 우리나라 주변으로 접근 할 때에
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의 기상 관측소에서 관측
하는 해면 기압자료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 3은 태풍 Saomai(2000)의 최대풍 반경 분석
결과를 보여 준다. Fig. 4는 해면기압자료가 사용
된 지상 관측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Fig. 5는
미공군 항공기 관측된 기압 및 풍속 자료를 분석 Fig. 4 태풍 분석에 사용된 기상측후소의 위치
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Table 1에는 산출된 태풍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Fig. 6에서는 위성에서 관측된 해상풍과 태풍 파
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PVM모델의 결과를 비교하
여 Rmax가 22km일 때 관측자료와 최적화되는 결
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7은 PVM모델과 TPM모
델에서 산출한 바람을 일본 기상청의 부이관측자
료와 비교한 것이며, 여기서 PVM모델이 태풍 중
심에서의 바람의 변화를 더 정확히 계산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5.00
0014 SAOMAI
00091518 73.45 km
4.00
log(Pr-Po)

3.00

2.00

1.00 Fig. 5 미공군 태풍관측자료를 이용한 태풍 파라미


타 분석
0.00

0 0.01 0.02 0.03


1/radius(Km)
Table 1 미공군 항공기 자료를 이용한 태풍 파라
메타 분석 결과
1020 Date Pc Rmax Pa
Typhoon
(GMT) (mb) (km) (mb)
Pressure(mb)

1000
56081200 1000 120.38 1010
56081312 981 111.12 1010
980
56081406 968 92.60 1010
960
56081500 960 83.34 1011
BABS 56081600 965 83.34 1011
0 100 200 300
(5609) 56081612 964 92.60 1011
Radial Distance from Center(Km) 56081700 976 111.12 1011
56081712 980 120.38 1013
Fig 3. 지상기압 관측자료를 이용한 태풍 SOAMAI 56081800 992 120.38 1013
통과시의 태풍 파라메타 최대풍 반경 분석 56081818 1006 138.90 1013

534
사사

본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


사업인 “해상․연안재해 대응기술개발” 사업의일
환으로 수행되었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 2000: 해상․연안재해 대응기술 개발.


N2-02-01-A-02.
해양수산부, 2001: 해상파랑관측 및 조사. BSPM
Fig. 6 TOPEX 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한 태풍 파 00066-00-1331-2.
라메타 분석(점선: 태풍시 위성 관측 해상 Arya, S. P. S., 1977: Suggested revisions to
풍, 실선: PVM모델 결과) certain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
schemes used in atmosperic circulation medels.
Mon. Wea. Rev., 105(2), 215-227.
Cardone, V. J., 1969: Specification of the wind
field distribution in the marine boundary layer
for wave forecasting. Rep. TR-69-1, Geophys.
Sci. Lab., New York Univ.
Cardone, V. J., A. T. Cox, J. A. Greenwood, and
E. F. Thompson, 1994: Upgrade of Tropical
Cyclone Surface Wind Field Model. Misc. Paper
CERC-94-14, U.S. Army Corps of Engineers.
Fujita, T., 1962: Numerical estimation of sea
waves in a typhoon area. Papers in Meteorol.
and Geophys., 26(4), 199-217.
Holland, G. J., 1980: An analytical model of the
wind and pressure profiles in hurricanes. Mon.
Wea. Rev., 108, 1212-1218.
Shapiro, L. J., 1983: The asymmetric boundary
Fig. 7 일본 기상청 부이 해상풍 관측 자료와 태풍 layer flow under a translating hurricane. J. of
해상풍 모델과의 비교 Atm. Sci., 40, 1984-1998.
Schloemer, R. W., 1954: Analysis and synthesis
of hurricane wind patterns over Lake
4. 결론 Okeechobee, Florida. Hydrometeorol. Rep. No.
31, U.S. Weather Bureau.
태풍 주위에서의 기압과 바람장을 정확히 계산 Thompson, E. F. and V. J. Cardone, 1996:
하기 위한 태풍파라미터 해상풍모델에서 사용되는 Practical modeling of hurricane surface wind
태풍파라미터는 태풍중심의 위치, 중심기압 및 태 fields. J.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풍영향권 밖의 기압과 최대풍반경 등이며, 분석방 Engineering. 122(4), 195-205.
법이나 사용된 주변 관측자료 등에 따라 큰 오차
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중요한 파
라미터인 최대풍 반경을 지상 기상측후소의 자료
와 위성의 관측자료 및 항공기의 관측자료 등을
사용하여 최대풍 반경을 보다 정확히 추정하는 방
법을 제시하였으며, 보다 개선된 PVM모델을 관측
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PVM모델과 TPM모델에
서 산출한 바람을 해상부이 관측자료와 비교한 결
과 PVM모델이 태풍 중심에서의 바람장 변화를 더
정확히 모의하였다.

53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