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1

2023-08-29

기후변화로 인한 해안선 및
해빈단면 변화 과정의 이해

BSMC 2023 교육

성균관대학교 이정렬

목차
§ Introduction
ü 연안침식 FTA
ü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침식의 유형
ü 기후변화로 인한 침식과정 요약

§ PART I
ü Chapter I: Wave Mechanics
ü Chapter 2: Sea Waves

üPART II
ü Chapter 3: Littoral Cell Dynamics
ü Chapter 4: Beach Profile Response
ü Chapter 5: Shoreline Deformation
ü Chapter 6: Beach Management

1
2023-08-29

Introduction

0.1 연안침식 FTA


0.2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침식의 유형
0.3 미래 해안선 침식율 평가

0.1 연안침식 FTA


ü 해 안 선 침 식 을 일 으 키 는 Fault Tree Analysis 는 아 래 그 림 과 같 이
회복불가능한 장기 침식과 회복가능한 단기 침식으로 구분한다. 해안선 침식은
기준해안선보다 장, 단기적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2
2023-08-29

0.2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침식의 유형

해수면상승 파향의 변화 파고의 변화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며 이로 인하여 기후변화는 풍파의 유입 파향을 변화시켜 해안선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치 파고나 평균파고가
해수가 백사장을 침수시키지만 단순히 침수만 발 및 해저면 지형의 변형을 초래하도록 한다. 상승하면 유입 되는 파랑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생하는 것이 아니라 파랑과 해빈의 상호작용으로 바꿔진 주파향에 대하여 Parabolic bay shape 위하여 침식되는 해빈 육역의 체적이 커진다.
해빈이 더 뒤로 후퇴하는 침수침식이 발생한다. 즉, equation (Hsu and Evans, 1989) 을 적 용 하 여 동일한 모래 입경이라도 아래 식과 같이
Beach sand는 준유체로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해수 평형해안선 또는 등수심선이 어떻게 변형하는 해안에서 쇄파되어야 하는 파랑 에너지의 크기에
면 상승 전과 동일한 해빈단면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 최대 침식 폭이 반응한다.
변형된다.
ℎ   1 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477  = 1.5
/    +     
 

이 개념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면 아래의 이 경험식은 연안침식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해빈단면 형상이 유지되고 표사이동이 거의 없는 이 경험식은 Lim et al. (2022)에 의하여 근사적인
Lim et al. (2022)에 의하여 제시된 것이다. 여기서
원빈에서의 수심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얻은 Parabolic bay shape equation으로부터 유도된
 는 유입되는 단기 storm wave의 심해 최대
관계식으로 파위상포텐셜 개념을 도입하여 Lee 것으로  는 최대 침식이 발생하는 지점의
파고  에 의하여 발생하는 최대 침식 폭이며,
and Lee (2022) 에 의 하 여 처 음 제시되 었 다. 해안선 침식 폭이고  는 돌출 길이이다. 그리고
k는 해빈회복계수, 는 해빈반응계수로서 모래
여기서  는 원빈 경사이고, 는 해수면 상승 폭,  는 쇄파시점에서의 파향,  는 돌출지점으로  는 연평균
중앙입경  로 주어질 수 있다. 

 는 주기, 는 해빈축척계수이다. 조차에 부터 control point까지의 길이,  = +  − 파고에 해 당한 다. 동 해안에 적 용되 어 얻은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개념 식이다. ( ) 으로 정의된다. 경험식로 해역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침수침식 변형침식 단기침식

0.3 기후변화로 인한 침식과정 요약


0.3.1 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의 영향
ü Bruun은 해수면 상승  에 의한 침식 폭  을 근해 해빈 경사만으로 아래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
 = ∗  =
ℎ + ℎ

ü Lee 등(2022)의 최근 파위상포텐셜에


따르면, 전체 해안의 단면 형상을 유추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원빈 경사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선 후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ü 파위상포텐셜로 구한 원빈 경사 은 다음 식과 같이 대상해역의 해빈축척계수
와 평균 입사파주기  의 함수로 도출된다.
3  
 =
= 0.7477 / (미터, second unit 에 적용)
4/ 
ü 그러므로,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의 단면도 확장되면서 원빈 단면도 확대되므로
결과적으로 침식폭은 다음과 같다.

 =   = 0.7477 /

3
2023-08-29

0.3.2 파향 변화의 영향
ü 미래의 기후변화는 파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동해안에서는 이미
시계방향으로 해안선 회전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본의 서해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ü 그러므로, 우측 그림처럼 동해안을 따라
해안선의 지형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ü 이 그림에 도시된 결과는
시계방향으로의 파향 변화가 작아
표사계마다 북쪽 방향으로 발생하는
LSTR의 우회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 결과이다.
ü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해안의 길이와
회전각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랑장의 변화로 인해 해안선이 변형된다.
ü 그러므로, PBSE 식을 적용하여 침식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saddle point에서의
침식폭은 다음 식으로 추정된다.
   +   
 =  −  

0.3.3 파고변화의 영향
ü 앞으로 태풍의 강도와 그에 따른 파랑 에너지의 증가로 바다에 인접한 해안
시설물들은 상당한 재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있다. 단기 회복
침식형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파 환경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면
미래의 파고 상승에 따른 침식폭의 증가를 아래 식으로부터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다.

   
 = 
 

ü 이러한 단기 침식폭의 증가는 완충지대가 충분하다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완충지대가 충분하지 않으면, 해빈의 완충구간으로 유입 파랑에너지가
충분히 소멸되지 못하고 외해로 모래가 반복적으로 유실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ü 이러한 단기 침식으로 인 한 피해 우려는 모래를 공 급하여 인위적으로
완충해빈을 확보하는 양빈 사업의 실시로 저감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모래를
채워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는, 유입 파랑에너지가 증가하더라도 침식 폭 감소를
위하여 기존 모래입경보다 굵은 양빈사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나
기존 백사장의 생태환경 유지는 포기해야 한다.
ü 이 외에도, 식생대 조성이나 지하수 관리 등의 연성 방법을 동원할 수 있지만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것 외에 최선의 방안은 사실상 없다.
ü 경성 해안구조물에 대한 대응은 해수면 상승으로 초래되는 지속적인 해안선
후퇴가 이격거리를 증가시켜 배후 해안선 제어 기능이 감소되어 해안경관을
해치는 혐오시설로만 전락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2023-08-29

0.3.4 미래 해안선 침식율 평가

ü 해수면 상승, 파고 상승, 파향 변화에 따른 동해안 해안선 침식율을 추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평균해빈 해수면 해안선 현재 미래 고파랑 평균해안선 현재주파향 주파향


해안선 파향변화
표사계 극치파고 극치파고
각도 침식율
경사 상승률 침식율 (m) (m) 침식율 길이 (정북기준) 변화율

E-1 1:30 4.14mm/y 0.12m/y -35 5.9578 6.1586 0.12m/y 2.7km 55° +7.97° 7.48m/y

E-2 1:36 3.44mm/y 0.12m/y 0 7.6844 8.9654 0.93m/y 1.5km 90° +1.65° 0.86m/y

E-3 1:34 4.86mm/y 0.17m/y 15 9.3111 9.3250 0.01m/y 0.6km 105° -2.50° 0.52m/y

10

5
2023-08-29

CHAPTER I WAVE MECHANICS

1.1 Wave Characteristics


1.2 Wave Dispersion
1.3 Deep and Shallow Water Waves
1.4 Wave-Induced Properties
1.5 Wave Deformation
1.6 Wave Breaking

11

1.1 Wave Characteristics


1.1.1 Wave Type
ü A wave is an energy transport phenomenon that
transports energy along a medium without transporting
matter.
ü The amount of energy carried by a wave is related to
the amplitude (or height) of the wave.
ü A high energy wave is characterized by a high
amplitude; a low energy wave is characterized by a low
amplitude.
ü Therefore, each wave with a different period has
different energy, and the expression of this energy is the
spectrum.
Observed sea surface data

Irregular waves

superimposition
Frequency Spectrum

Regular waves

12

6
2023-08-29

1.1.2 Wave Elements


ü Waves are expressed in three elements:
wave height (amplitude), wavelength, and
wave period.
ü The wave height H refers to the maximum
amount of displacement of a particle on the
medium from its minimum amount.
ü The wavelength L is the distance between
one of its peaks and the next peak.
ü The wave period T is the measure of time it
takes for the wave cycle to complete.
ü Therefore, wave can be expressed as a
sinusoidal function composed of three wave
elements as follows.

ü Gravitational waves generated by


disturbance of the water surface show
different periodic bands depending on the
disturbance factors, and typical gravitational
waves include wind waves (swell), seismic
waves, and tide.

13

1.1.3 Small Amplitude Wave Theory


ü In this section, a simplifies method of
representing wave motion is introduced,
called small amplitude wave theory (SAWT).
ü As waves propagate, the actual water
depth changes, but if the change in depth is
negligible compared to the wavelength,
SAWT can be applied to analyze wave
motion at any depth.
ü And if it is assumed that the water depth
is constant, and the amplitude is constant
and the amplitude is small, the nonlinearity SW water
becomes negligible and becomes a linear L particle
trajecto
problem that can be completely ry
interpretable mathematically, and provides
important solutions as follows.

Velocity Potential :

Dispersion Equation :   =  tanh ℎ


 
where wave number  = and angular frequency σ =
 

14

7
2023-08-29

1.1.4 Particle Velocity and Acceleration


 
ü From the definition between velocity potential and flow velocity ( = and  = ),
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flow velocities of water particles due to wave
motion are as follows.

ü This result is a result obtained from the wave condition given by  = cos( − ).
Therefore, the phase of horizontal particle velocity u is the same as that of , thus
when the water surface rises, u increases in the propagating direction, but the vertical
particle velocity w is a characteristic that it decreases when the water surface rises in a
phase different by 180 degrees.
 
ü From the relation between velocity and acceleration ( = and  = ), the
 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 of accelerations of water particles due to wave
motion are as follows.

15

ü If the particle velocity and particle acceleration are given at the water surface, z = 0,
the water surface is as follows.
sinh ℎ
 =  cos( − )
cosh ℎ
 =  sin( − )
sinh ℎ
 =   sin( − )
cosh ℎ
 = −  cos( − )

ü Therefore,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particle velocity at water surface


becomes a / tanh ℎ and the vertical component becomes a .
ü Similarly, the magnitude of the horizontal particle acceleration at water surface
becomes a  / tanh ℎ and the vertical component becomes a  .

16

8
2023-08-29

1.1.5 Particle displacement


ü By integrating the velocity components instead of taking the derivative, the
trajectory of the particle can be obtained. The following show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ater particle displacements obtained by the velocity components.

=  sin( − ) =  cos ( − )

ü Squaring and adding yields the


wave particle trajectory as

   
+ =1
 

which is the equation of an ellipse


with semiaxes A and B in the x-z
directions, respectively.

17

18

9
2023-08-29

1.1.6 Wave-Induced Dynamic Pressure


ü The pressure field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wave is determined from the
unsteady Bernoulli equation developed for an ideal fluid and the velocity potential
appreciate to this case,
 
 +  +  +   −  =0
2 
where the pressure is taken as zero at the free surface . Linearizing yields


 = − + 


or
 = − +  ()

ü The first term on the right-hand side is the hydrostatic term, which would exist
without the presence of the waves. The second term is called the dynamics pressure.
ü The term  = cosh (ℎ + )/ cosh ℎ is referred to as the “pressure response
factor” and below the mean water surface is always less than unity.

19

20

10
2023-08-29

1.2 Wave Dispersion


1.2.1 Dispersion Relation
ü Dispersion occurs when pure plane waves of different wavelengths have different
propagation velocities, so that a wave packet of mixed wavelengths tends to spread out
in space. However, waves traveling through non-dispersive medium will maintain a
constant shape.
ü A dispersion relation relates the angular frequency to its wave number as

 =   ⇒   =  tanh ℎ
ü Given the dispersion relation, one can calculate the phase velocity  and group
velocity  of waves in the medium, as a function of frequency or wave period.
1.2.2 Wave Phase Velocity and Group velocity
ü The phase velocity is defined as the velocity of wave
phase (speed of wave crest), while the group velocity is
often defined as the velocity at which energy or
information is conveyed along a wave.
ü The phase velocity is defined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wavelength by the period as shown
below, and the group velocity is defined as the change
in angular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wave number. If  = 1, non-dispersive wave
    2ℎ If  < 1, dispersive wave
= =  = = 1+ = 
   2 sinh 2ℎ

21

ü Higher-period waves travel faster than lower-period waves. These differences in


speed cause spreading or dispersion of wave packets, as shown in the figures below.

Dispersion for a wave pulse Dispersion for a wave packet

22

11
2023-08-29

1.2.3 Estimation of Wave Length


ü The dispersion equation informs the dispersion of waves, but another important
func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wavelength (or wave number), which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dispersion, such as wave speed and group velocity, given
the period and depth of water.
ü In the case of regular waves, we assume that the period is constant from where the
wind wave is generated until it reaches the shore. Otherwise, the number of incoming
waves and outgoing waves per time in a certain area will be unreal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wave period is independent of the water depth.
ü Therefore, when the period T of the incident wave
is known, the wavelength L at the water depth h is
obtained under one condition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dispersion equation.

1 2 2 2ℎ
  =  tanh ℎ ⇒ = tanh
   

ü Hunts method is often used as one of the following non-repetitive direct


methods to estimate the wavenumber.
/
ℎ
=

   
where  =  + with =
. .   .  .    

23

Table 1.1 Wavelength (m) and phase speed (m/s) with respect to depth and period

24

12
2023-08-29

25

26

13
2023-08-29

27

1.3 Deep and Shallow Water Wave


1.3.1 Function of Hyperbolic Tangent
ü A hyperbolic tangent function exists in the
dispersion equation.

= tanh ℎ

1.3.2 Deep and Shallow Water Waves
ü Unlike the hyperbolic cosine and sine
functions that diverge as in the figure of right
side, this function approximates the value of 
itself when the variable  is small, but
converges to 1 when the variable is large
enough.
ü Let  be ℎ and apply the 2 extreme cases as
follows.
    
≅ ℎ for ℎ < or ℎ < ≅1 for ℎ >  or ℎ >
 10 20  2

ü Therefore, a wave having a wavelength more than 20 times greater than the water
depth is called a shallow water wave, and a wave having a wavelength more than
twice smaller than the water depth is called a deep water depth.

28

14
2023-08-29

1.3.3 Particle Motions for Deep and Shallow Water Waves

Iterms Full Expression Shallow Water Deep Water


 = cos( − ) - -
2


 cosh ( + ℎ) cos( − ) 
 = cos( − ) 2 exp  cos( − )
 sinh ℎ 

 sinh ( + ℎ)  


 = sin( − ) ( + ℎ) sin( − ) exp  sin( − )
 sinh ℎ 2  

2   cosh ( + ℎ)  2  


  = sin( − ) sin( − ) exp  sin( − )
 sinh ℎ 2 

2   sinh ( + ℎ)    2  
  = cos( − ) ( + ℎ) cos( − ) exp  cos( − )
 sinh ℎ 2 

 cosh ( + ℎ)    
 = sin( − ) sin( − ) exp  sin( − )
2 sinh ℎ 2 2

 sinh ( + ℎ)  
 = cos( − ) ( + ℎ) cos( − ) exp  cos( − )
2 sinh ℎ 2  2

 cosh ( + ℎ) cos( − ) 
  = cos( − ) 2 exp  cos( − )
2 cosh ℎ 2

29

1.3.4 Arrival Time of Seismic Waves


ü Seismic waves are representative shallow water waves, and their energy speed
(group velocity) is the same as the wave phase speed.

  ℎ   2ℎ
= ≅ = ℎ  = = 1+ ≅
   2 sinh 2ℎ
ü Since the group velocity, which is the velocity of wave energy, is also defined as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energy, the elapsed time  from the point of origin
 = 0 to the shore  = 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integral equation.
 1 
 = ⇒ =  ℎ()/ 
  
1.3.5 Arrival Time of Wind Waves
ü Wind waves in the deep water are representative deep water waves, and their
energy speed is half the wave phase speed. The elapsed time is also obtained as
follows through the same integration process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sea to the
shore is almost deep water.

     2ℎ  4 
= ≅ = = 1.56  = = 1+ ≅ = ≅ 1.28
  2  2 sinh 2ℎ 2  

30

15
2023-08-29

31

32

16
2023-08-29

33

1.4 Wave-Induced Properties


1.4.1 Wave Energy and Energy Flux
ü In a sea state, the average(mean) energy density per unit area of gravity waves on
the water surface is proportional to the wave height squared, according to linear wave
theory.

     
 =  +  =  +  = 
16 16 8

where  is the mean wave energy density per unit horizontal area (/ or   / ),
the sum of kinetic and potential energy density per unit horizontal area.
ü The potential energy density is equal to the kinetic energy, both contributing half to
the wave energy density .
ü As the waves propagate, their energy is transported with the energy transport
velocity which is the group velocity. The mean transport rate of the wave energy
through a vertical plane of unit width perpendicular to the wave propagation direction,
is called the wave energy flux (or wave power).
ü As a result, the wave energy flux  is equal to:

 
 =  =  
8
 
For deep water waves,  =  =  
32

34

17
2023-08-29

ü Classification of wave energy converters:


• point absorber
• attenuator
• terminator

ü Wave energy has low utiliza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continuous power
supply and long-distance transmission,
but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with the development of charging
technology.

35

1.4.2 Mass Flux and Undertow


ü The wave-induced mass flux between
wave crest and trough is onshore directed.
Mass Flux
This mass transport is localiz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umn, i.e. above
the wave troughs.
ü With linear surface gravity waves,

therefore, this mass flux can be Undertow
approximated by integrating horizontal
particle velocity from  = 0 to  =  as


=

ü The mass of water carried shoreward by the breaking waves in a surf zone will, in a
two-dimensional situation, be compensated by a seaward return flow which occurs
below waves near the shore, the undertow.
ü It is shown that the undertow  can be estimated by dividing the flow rate  due
to the mass flux by the depth of the water that the undertow can flow. The vertical
distance that an undertow can flow is considered the depth below the trough (≅ ℎ).

 
 ≅ =
ℎ ℎ

36

18
2023-08-29

1.4.3 Mass Flux induced Currents


ü When the waves reach the shore at an
oblique angle , the mass flux induces the
following longshore component  along the
longshore direction.

 
 = = sin 
 

ü Therefore, by dividing the mass flux by the water density and the mean depth, the
flow velocity in the longshore direction can be approximated in the wave breaking
zone.

   
ü  = sin  ≅ sin  for  = ℎ by wave breaking
 

ü where  is the breaker index.

ü Similarly, the cross-shore component of undertow can also be approximated in


the wave breaking zone.
   
ü  = cos  ≅ cos  for  = ℎ by wave breaking
 

37

1.4.4 Summary

Properties Symbol Definition Expression Unit


    +   
(ℎ + )  
Energy  = 
 
 
2
 +  
2
 /
  8

Power   =      /(  )



Mass Flux   =    /
 
  
undertow   =
ℎ
/
8ℎ/

1 = 1   1 = 1    / 

38

19
2023-08-29

39

40

20
2023-08-29

1.5 Wave Deformation


1.5.1 Type of Wave Transformation
ü The following types of transformation are primarily
associated with wave phenomena occurr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As waves approach the shoreline,
they are affected by the seabed and topography through
processes such as shoaling, refraction, diffraction, and
wave breaking.
• Wave Shoaling: the effect of the wave transformations by
which surface waves entering shallower water change in wave
height. Key process: Cg
• Wave Refraction: the change in direction of a wave caused
by its change of speed and wavelength that is due to vari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medium. Key process: C
• Wave Diffraction: the process by which the waves propagate
into the lee zone behind the structures by energy transmittance
laterally along the wave crests.
Key process: ∇H
• Wave Reflection: the directional changes of wavefront at the
barrier interface so that it returns to the original medium when
the wavefront meets the barrier. Key process: ψ
• Wave Breaking: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 waves starts
to break when the wave height becomes greater than a certain
Reflecting barrier
fraction of the water depth. Key index: Hb/h

41

1.5.2 Wave Shoaling


ü Wave Shoaling: the effect of the wave transformations by which surface waves
entering shallower water change in wave height due to wave energy conservation.
ü While waves propagate with at normal incidence, their energy flux is maintained
close to the shore without significant los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energy
flux in the deep water  is maintained as follows.

Energy Equation: +∇ =0

ü In a steady state case, the second term is
only taken into account as

 =  ⇒   =   ⇒   =  



∴  =  =   where  = 0.78
 
where  is the shoaling coefficient.
ü If the wave has reached the shallow water zone and no loss or breaking has
occurred, the wave height at that point become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ourth power of the water depth.
0.78
 =  ≅ 0.5 ℎ/ / 
ℎ

42

21
2023-08-29

1.5.3 Wave Refraction


ü Wave Refraction: the change in direction of a
wave caused by its change of speed and

wavelength that is due to a change in topography.
ü In a steady state, the conservation of energy
for an oblique incident waves requires

∇   = 0 ⇒    =   

We can solve for the wave height  :

 
 =  =    where  = 0.78
  

ü In water with straight and parallel offshore


contour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fraction coefficient  :

 cos 
 = =
 cos 
where  can be obtained from Snell’s law:  =  cos  and  =  cos 
sin  /  = sin  / 

43

1.5.4 Wave Diffraction


ü Wave Diffraction: the process by which the waves propagate into the lee zone
behind the structures by energy transmittance laterally along the wave crests.
ü Wave refrac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a wave is
refracted toward the lower water depth due to the difference in wave phase speed.
ü Wave diffraction is one of the wave refraction phenomena in which when a wave
height difference occurs along the crest of a wave, the energy of the wave is
transferred to a low wave and the direction of the wave is also refracted into a low
wave.
ü Mathematical solutions for wave diffraction have been developed for the case of
constant water depth using velocity potential  of small amplitude wave theory.
ü Applying  to the continuity equation
(Laplace equation) yields the governing
equation for wave diffraction is known
as the Helmholtz equation.

 
+ +   (, ) = 0
   
1  
 =   + +
    

44

22
2023-08-29

wave direction
Uniform depth

point of interest

breakwater

Diffraction coefficient:  =  /

45

1.5.5 Wave Reflection


ü Wave Reflection: the directional changes of wavefront at the barrier interface so that
it returns to the original medium when the wavefront meets the barrier.
ü Waves normally incident on solid vertical
boundaries (e.g. harbour walls and sea walls) are
reflected such that the reflected wave has the
same phase but opposite direction and
substantially the same amplitude as the incident
wave.
ü The resulting wave pattern is called a standing
wave,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This
fulfils the necessary boundary condition that the
horizontal velocity is always zero.

 =  + 

 
where  = cos( − ) ,  = cos( + )
 
⇒  =  cos  cos()

For oblique wave incidence


which satisfy the horizontal velocity at a vertical
barrier is zero.

46

23
2023-08-29

ü Partial reflection occurs when an incident wave


passes through a floating or underwater structure
or a permeable structure.
ü The incident energy is equal to the sum of the
dissipated, reflected and transmitted energy.
Theoretically the following formula is valid:


 =  +  +  ⇒  +  +   =1
with  =   and  =   ,
ü The incident energy is equal to the sum of the
dissipated, reflected and transmitted energy.
Theoretically the following formula is valid:

   
 =     and  =    
 
ü Typical  values according to the barriers are
as follows.

where h(m) is water depth at the toe of


structure, Lo is deep water wavelength at
ü Typical  value according to the barrier peak frequency, Hi is significant incident
property can be estimated as wave height,
 D is characteristic diameter of rock armour
 = 0.151. where  = tan  and tanβ is the structure gradient.
 

47

48

24
2023-08-29

49

1.6 Wave Breaking


1.6.1 Type of Wave Breaking
ü Breaking waves may be classified as one of four
types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ü Spilling: slowly dissipates the wave's energy
producing a foamy water surface on a gradual
slope.
ü Plunging: release most of its energy at once in a
relatively violent impact on steep or sandbar.
ü Collapsing: never fully breaks, yet the bottom
face of the wave gets steeper and collapses
producing an irregular turbulent water surface.
ü Surging: remain relatively smooth the front face
and crest and the front face of the wave advances
up the beach with minor breaking.
ü The type can be approximately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surf similarity parameter (or
Iribarren Number)  = tan /  /

ü where  is the deep water wavelength.
• for  > 2 a breaker is collapsing or surging
• for 0.4 <  < 2 a breaker is plunging
• for  < 0.4 a breaker is spilling

50

25
2023-08-29

1.6.2 Formulas for breaking wave height


ü Many coastal structures and some harbour
breakwaters are constructed in relatively shallow
water depths where the larger wave heights that
constitute the primary input parameters in
structure design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pth-limited breaking.
ü The methods on depth-limited breaking most h
frequently used in practical design calculations 1
for structures are those by Weggel (1972), Goda 
(1975) and Owen (1980).
ü Weggel used regular wave test data to derive
simple empirical expressions to predict maximum beach slope  = tan 
wave heights in terms of depth h , period T and
slope angle β:
 
==
ℎ 1 + ℎ /(  )
where  = 43.75[1 − exp −19 tan  ] and  = 1.56/[1 + exp −19.5 tan  ]
ü Goda (1975) also provided a simple empirical expression to predict wave heights at
the state of depth-induced breaking in terms of depth ℎ , period  and beach slope
(= tan ):
 0.17 ℎ
= 1 − exp −1.5 1 + 11 /
ℎ ℎ / 

51

1.6.4 Surf Zone Hydrodynamics


ü Radiation stress  is used to describe the setup phenomenon as a transition of
momentum flux due to wave breaking.
 
 
+  ℎ + ̅ = 0 where  =  (cos  + 1) −
  

  /
▷ maximum set down:  = − ▷ maximum set up: ̅ =  + ℎ
    / 

ü The mean longshore thrust of the waves


 is balanced by the shear stress  that the
sand bed exerts on the water. Where  is

defined by  / in which  shows the
moment fluxes acting along the coast.
ü Since this thrust is balanced by frictional
resistance in the longshore-direction, an
expression for the mean longshore
velocity  is derived as

 =  = where  =  cos  sin 

⇒  =  ( , tan ) ℎ sin 

where  is the proportional constant and  is the friction


coefficient.

52

26
2023-08-29

53

54

27
2023-08-29

Assignment # 1 Problem 1.1 Particle Motion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a pressure gauge and a velocimeter were fixed and
installed 1 m below the mean sea level. If the respective amplitudes for the wave
pressure,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velocity obtained from the manometer and
velocimeter were 0.4/ , 1/, and 0.1/, estimate the amplitude and period of the
traveling wave.

아래 그림과 같이 평균해수면으로부터 1m 아래에 압력계와 유속계를 고정시켜


설치하였다. 압력계와 유속계로부터 얻은 파압, 수평 및 수직 유속에 대한 각각의
진폭(amplitude)이 0.4/ , 1/, 0.1/ 이었다면 진행하는 파의 진폭 및 주기,
수심을 추정하시오.

MSL

1m
  = 1/

pressure gauge velocimeter

55

Assignment # 1 Problem 1.1 SOL: Particle Motion

 cosh ( + ℎ)
= cos( − )
 sinh ℎ
 sinh ( + ℎ)
= sin( − )
 sinh ℎ

 cosh (ℎ − 1)  cosh (ℎ − 1)  sinh (ℎ − 1)


= 0.4 = 1/ = 0.1/
2 cosh ℎ  sinh ℎ  sinh ℎ

From 1st 0.4  sinh ℎ tanh ℎ tanh ℎ


= = ⇒=
and 2nd 1/ 2 cosh ℎ  0.4
From 2nd sinh (ℎ − 1) tanh 0.1
and 3rd = 0.1 ⇒ ℎ = 1 +
cosh (ℎ − 1) 

Combined with   =  tanh ℎ ⇒  = 9.67 and ℎ = 1.61 ⇒  = 0.82

56

28
2023-08-29

Assignment # 1 Problem 1.2 Dispersion Relation

Derive the following approximate equations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locity of
water particles in shallow and deep waters ( ,  ;  ,  ) due to wave propagation
by applying the corresponding simplified dispersion equation.

파랑의 진행으로 인하여 천해와 심해에서의 물 입자의 수평 및 수직 유속 ( ,  ;


 ,  ) 에 대한 다음 근사식을 해당되는 약식 분산방정식을 적용하여 유도하시오.

 
 = cos( − )  = exp  cos( − )
2 
   
 = ( + ℎ) sin( − )  = exp  sin( − )
2 

57

Assignment # 1 Problem 1.2 SOL: Dispersion Relation

 cosh ( + ℎ)
= cos( − )
 sinh ℎ
 sinh ( + ℎ) 2
= sin( − ) where  =
 sinh ℎ 

In Shallow water, In Deep water,


tanh  ≅  cosh  ≅ 1 sinh  ≅  tanh  ≅ 1 cosh  ≅ exp  sinh  ≅ exp 

  = ℎ    =  × ℎ = = ℎ   = 

 1  
 = cos( − ) = cos( − )
2 ℎ 2 
   
 = cos  −  = cos( − )  = exp  cos( − )
2  2 
   
similarly  = ( + ℎ) sin( − )  = exp  sin( − )
2 

58

29
2023-08-29

Assignment # 1 Problem 1.3 Wave Deformation (refraction)

In the deep water, waves with a wave height of 1 m and a period of 8 seconds are
approaching the straight and parallel coast at an oblique angle of 20 degrees. Estimate
the wave direction , wave height, and energy density  at a depth of 10 m. (use
Table 1.1 for phase speed and wavelength values)

심해에서 파고 1m이고 주기 8초인 파가 등수심선이 평행이고 직선적인 해안에


대하여 20도의 빗각을 갖고 유입되고 있다. 수심 10m에서 파향  과 파고 , 그리고
파랑에너지(energy density)  를 추정하시오. (파속 및 파장 정보는 표 1.1로부터)

59

Assignment # 1 Problem 1.3 SOL: Wave Deformation (refraction)


 = 8.0 , ℎ = 10.0  →  = 70.85  ( = = 0.0887),  = 8.86 / (using Table 1.1)


   .× °


Snell’s Law :  = sin ( ) = sin( ) = 14.05°
 .×

 2 ℎ 8.86 2 × 0.0887 × 10


 = 1+ = 1+ = 7.18 /
2 sinh 2 ℎ 2 sinh 2 × 0.0887 × 10

 1.56 × 
 = = = 6.24 /
2 2

 cos  6.24 cos 20°


 =    =  = 1 = 0.9175 
 cos   7.18 cos 14.05°

  1/
 =  = × 0.9175 = 0.1052 /  1.032 /
8  8

60

30
2023-08-29

Assignment # 1 Problem 1.4 Wave Deformation (reflection)

Due to partial refl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the
maximum wave height of 1.5 m and the minimum wave height of 0.8 m were observed.
Assuming that there is no wave energy dissipation over the breakwater, find the wave
height of the transmitted waves passing through the submerged breakwater. If 20% of
energy is dissip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ubmerged breakwater, estimate the wave
height of the transmitted waves passing through the breakwater.

수중방파제 전면에서 부분 반사로 인하여 최대 파고가 1.5m 그리고 최소파가


0.8m인 파고 변화를 보이고 있다. 수중 방파제에서의 파랑 에너지 소산이 없다고
가정하고 수중방파제를 통과하는 투과파의 파고를 구하시오. 만약 수중방파제를
통과하면서 20%의 에너지소산이 발생하였다면 수중방파제를 통과하는 투과파의
파고를 구하시오.

61

Assignment # 1 Problem 1.4 SOL: Wave Deformation (reflection)

   ..    ..


 = = = 1.15  and  = = = 0.35 
   

Assuming that there is no wave energy dissipation over the breakwater,

 =  +  ⇒  =  + 


(1.15 ) = (0.35 ) + ⇒  = 1.095 

If it is assumed that 20% of the energy of the transmitted wave (H_t=1.095m) after
subtracting the reflected wave energy component is lost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ubmerged breakwater, the height of the transmitted wave finally leaving
the submerged breakwater is obtained as follows.

 =  +  +  ⇒  =  + 0.2 × 1.095 + 

 = (1.15 ) − 0.35   − 0.2 × 1.095 = 0.98 

62

31
2023-08-29

Assignment # 1 Problem 1.5 Wave Breaking

In the deep water, waves with a wave height of 2 m and a period of 12 seconds are
approaching the shore with a bottom slope of 1:40. Calculate the water depth and mass
flux at which the waves begin to break. (use Table 1.1 for phase speed and wavelength
values)

심해에서의 파고가 2m이고 주기가 12초인 파가 1:40의 저면 경사를 가지고 있는


해안에 정면으로 접근하고 있다. 파가 쇄파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수심과 mass
flux를 구하시오. (파속 및 파장 정보는 표 1.1로부터)

63

Assignment # 1 Problem 1.5 SOL: Wave Breaking

 = 2   = 12  tan  = 1/40

ℎ 0.9664ℎ
 = ℎ = =
1 + ℎ /(  ) 1 + 16.54ℎ /(9.81 × 12 )
where  = 43.75 × 1 − exp −19 tan  = 16.54
 = 1.56/(1 + exp(−19.5 tan )) = 0.9664
1.56 1.56 × 12
 =  = ×2
2 ℎ .  2 9.81ℎ .

By Iterration, we obtain ℎ = 2.8463  ⇒  = 0.9352 and  = 2.6619 

The breaker index and breaking wave height were obtained after iterative calculation to
satisfy the equations
  1/
  × 2.6619 
= = 8 = 8 = 0.168  / or 1.64  /
 ℎ 9.81 × 2.8463/

64

32
2023-08-29

CHAPTER II SEA WAVE

2.1 Representative Waves for Sea Waves


2.2 Statistic Properties
2.3 Wave Spectra
2.4 Spectrum Formulas
2.5 Extreme Value Analysis
2.6 Random Wave Breaking

65

2.1 Representative Waves for Sea Waves


2.1.1 Wind Wave
ü Waves caused by the wind are called wind waves. Although it has irregular
characteristics, the displacement of sea surface  follows a normal distribution with a
mean of 0 and a variance  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1 ( )
( ) (a)
() =    5
 2
ü The standard deviation  of  is
defined as 0


∑( − ̅ )
= -5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 time(sec)

ü As a method of analyzing such wind 0.3


(b)

wave data, there are time-series


0.2
analysis, which analyzes the observed
data as it is in the time domain, and 0.1
the frequency spectrum analysis, which
converts the observed data into a 0
-6 -4 -2 0 2 4 6
spectrum and analyzes it in the (m)

frequency domain.

66

33
2023-08-29

2.1.2 Extraction of wave height and period


ü The wa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wave moves is up and down, and the wave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time it passes the average water surface ( = 0)
to the time it passes the next average water surface.
ü The case in which the water level crosses the average water level upward is called
the zero-up crossing method, and the case where the water surface passes downward
the average water surface is called the zero-down crossing method.
ü Observed water surface data are often expressed as wave elements composed of
multiple wave heights and periods,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ü In general, the wave height and period of wave element is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maximum water surface   and the minimum water surface  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and the period is determined by the time span of the zero-up
crossing.
6
4
2

h(m)
0
-2
-4
-6
0 50 100 150 200
time(sec)

 8

 No. of waves 6

0
0 1 2 3 4 5 6 7 8 9
H(m)

  6
No. of waves

0
1 3 5 7 9 11 13 15 17
T(sec)

67

2.1.3 Representative Waves


ü As it is an irregular wave, it has various
wave heights and periods, so there are the
following types of representative waves that
can represent these wave groups.
• Maximum Wave Height ( ): wave height with
maximum wave height in a series of wave groups
• 1/ 10 Wave Height (/ ): average wave height of the
top tenths by listing them in order of magnitude of a series
of waves
• 1/ 3 Wave Height (/; significant wave; 유의파):
average wave height of the top third by listing them in order
of magnitude of a series of waves
• Mean Wave Height ( ): wave height obtained by taking
the average of all wave heights
• Rms Wave Height ( ): wave height obtained by taking
the root mean square for all wave heights
ü The period of the representative wave is the
value obtained by taking the average of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wave or taking the rms without re-calculating
the period separately.
ü In the table below, the significant wave
period is 9.86,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periods of the top 10 waves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t wave height

68

34
2023-08-29

69

70

35
2023-08-29

2.2 Statistic Properties


2.1.1 Wind Wave
ü The wave heigh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an irregular wave group in which the
displacement of the water surface follows a normal distribution statistically produces a
Rayleigh distribution as follows.
2 (  ) 0.25
 () =
   
 
ü By apply the Rayleigh distribution, we 0.2

obtain the average height of the highest 


waves  , 0.15

 1  1
= 
 + erfc 
 0.1

   2 
where  is the wave height which is 0.05

exceeded by  waves in wave group of 


0
and erfc() is the complementary error 0 1 2 3 4 5 6 7 8 9
H(m)
function.

ü Various values of  /  are presented as below.


/ = 1.80  / = 1.416   = 0.886 

71

2.2.2 Distribution of Wave Period


ü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period requires a more complicated development process
than that of wave height, but in conclusion, it is given as a dimensionless period   =
/ as follows.
/
      
 (  , ) = 1 + 1+ 1− where ′ = / and = −1
     

ü Here,  is the average wave period, which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average wave
period by the zero-up crossing method.  is a spectral width parameter,  is the
  moment of spectral density function and as shown in the left figure below, the smaller
the value, the thinner the periodic distribution.
ü And the figure below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for the case of =0.51.
3
=0.2
=0.4
2.5 =0.6

1.5

0.5

0
0 0.5 1 1.5 2 2.5 3
T/T1

72

36
2023-08-29

2.2.3 Joint Probability of H and T


ü The joint probability density of wave heights and periods by Longuet-Higgins(1983)
has the following form:

       
   ,   = 1+ exp − 1 + (1 − ) where   =
       

ü The marginal distribution of wave heights


is shown to be the Rayleigh distribution, by
integrating Eq. 1 with respect to  from -∞
to ∞.
ü And the marginal distribution of wave
periods also provides the same result which
is already given as the density function of
wave period.
2 2H/H 

73

2.3 Wave Spectra


2.3.1 Definition of Spectrum Transformation
ü Spectrum (Frequency Spectrum) expresses the
distribution of wave energy by frequency
(reciprocal of period;  = 1/) of irregular wave
waveforms with various wave heights, periods,
and phases. Therefore, the spectrum is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reproducing the complex
waveform of irregular waves as a combination of
regular waves of various periods although phase
information is omitted.
Spectrum

Spectrum

Frequency Frequency

74

37
2023-08-29

2.3.2 Correlation of Wave Data and Spectrum


ü The total integral value for the frequency of the spectrum represents the total wave
energy of irregular waves, divided by . Therefore, the unit of spectrum is expressed as
 /. Here 1 = 1/.

ü This total wave energy  can also be obtained from the wave height or waveform
data as follows.
 
1  
=   =
8 8


1
=  



ü The figure on the right is an example of spectra obtained from observation data,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pectrum develops with a lower frequency as the fetch
increases.

75

2.3.3 Spectrum Transformation


ü Many researchers have suggested parametric frequency spectra to estimate wave
spectral shapes with minimal information such as wind or wave representative values.
ü With the development of observational techniques for sea surface fluctuation, the
method of find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waves is largely dominated by the frequency
spectrum conversion of time series data by Fourier transform (FT).
ü Frequency spectrum conversion methods are convenient for accurately calculating the
total energy and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the energy spectrum.
ü Figure on the right
shows schematics of the
conventional FFT(Fast FT)
spectrum and parametric
empirical spectrum, and
the zero up-crossing
spectrum obtained by the
ZUCT method.

76

38
2023-08-29

2.3.3 Spectrum Transformation


a) Spectrum Transformation from waveform data ()
ü The Fourier transform converts waveform data in the time domain into the frequency
domain. The Fourier transform accomplishes this by breaking down the original time-
based waveform into a series of sinusoidal terms, each with a unique magnitude,
frequency, and phase.
ü This process, in effect, converts a waveform in the time domain that is difficult to
describe mathematically into a more manageable series of sinusoidal functions that when
added together, exactly reproduce the original waveform. Plotting the amplitude of each
sinusoidal term versus its frequency creates a power spectrum, which is the response of
the original waveform in the frequency domain.
b) Spectrum Transformation from wave element data (, )
ü The second approach directly obtains
the individual wave height  and period
 by applying the zero up-crossing (ZUC)
method and extracts spectra as expressed
below.

77

78

39
2023-08-29

79

80

40
2023-08-29

2.4 Spectrum Formulas


2.4.1 General Form of Wind Wave Frequency Spectrum
ü The spectrum can be obtained by observed data, but before the mechanical
observation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spectrum from the wind speed or the
significant wave height ( = /) estimated by eye is widely used.
ü Although there are a lot of empirical formulas, parametric spectra such as PM,
JONSWAP, and TMA have been widely used. The general form of the frequency spectrum
developed in the deep sea area is as follows.

a) Pierson-Moskowitz spectrum
ü For a fully developed wind sea, the PM(Pierson–Moskowitz) spectrum can be used in
terms of  and  as shown below.

5  5 
S ,  ,  = exp −  
16     4
where  is the peak period, that is, the period at which spectrum takes its maximum
value.
ü Integrating the spectrum with the frequency always gives the total energy , so the
given  must be equal to 16.

81

b) JONSWAP spectrum
ü The JONSWAP(JOint North Sea WAve Project) frequency spectrum is a wave
spectrum established based on wave observation data from the JONSWAP in the North
Sea, and can be used for a growing wind sea. The JONSWAP spectrum can be
expressed using the significant wave height (/) and peak wave period ( ) as
follows:

 
 
S ,  ,  =   (,  ,  )   

where  is expressed using  as follows:


 = [5 0.065 . + 0.135 ] for 1 ≤  ≤ 10

 = / [1 − 0.132  + 0.2 . ]

ü Hwang et al. (2021) presented a curve between the dimensionless combination


variable and the peak enhancement factor to match the observed spectra and the
spectral peaks of the JONSWAP spectrum. That is, the peak enhancement factor
obtained through the curve from the dimensionless combination variable shown below
makes the spectral peak of the JONSWAP spectrum coincide with the observed spectral
peak.
  
  = ⇒  = 98.6779′   − 9.8874    + 1.1131


82

41
2023-08-29

c) TMA spectrum
ü JONSWAP spectrum also has a certain limitation in accurately reproducing the wave
spectrum in shallow sea areas. Hence, Bouw et al. (1985) proposed the TEXEL-
MARSEN-ARSLOE (TMA) wave spectrum, obtained by multiplying the JONSWAP wave
spectrum by the transfer function. Consequently, in nearshore areas affected by water
depth, the TMA wave spectrum has better reproducibility than the JONSWAP wave
spectrum.
ü TMA spectrum is a spectrum modified considering the effect of water depth on
JONSWAP as follows:
S  ,  ,  , ℎ =   (,  ,  )(, ℎ)
0.5     < 1
where  , ℎ = 1 − 0.5 2 −    1 ≤  ≤ 2 with  = 2(ℎ/)/
1   > 2
14
ü The dimensionless combinational variable 12
PM Spectrum
JONSWAP Spectrum
′   of the TMA spectrum required to TMA Spectrum (h=5m)
10
estimate the peak enhancement factor  is as
8
follows.

  6
  =  4
   ℎ
2
when =0.1 was uniformly applied, the fairly
0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0 0.1 0.2 0.3 0.4 0.5
f(Hz)

83

2.4.2 Moment of Spectral Density


a) Representative wave period defined by spectral moments
ü The spectral mo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 spectra. There are many parts wher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ave element simply by the observed spectrum distribution of waves, but it
became easier to explain waves by introducing various spectral moments. The nth-
order spectral moments can be defined as follows:

 =      

ü Various representative periods such as average period , zero up-crossing period
 , crest-to-crest period  , and wave energy period  can be expressed from the
spectral moments ,  ,  ,  , and  as follows:
   
 =   =  =  =
   

b) Parameters of spectrum properties


ü The spectral width parameter  and the bandwidth parameter , which represent
the shape of the spectrum, are also functions of the spectral moments and can
be expressed as
     
= −1= −1 = 1− = 1−
    

84

42
2023-08-29

2.4.3 Directional Spreading function


ü A directional wave spectrum can be described by S ,  =   (; ),
where S  is the energy density spectrum and (; ) is the directional spreading
function at frequency . A cosine-2s model defines the spreading function by

 ()   ()


 ;  =  cos where  =
   ()
where  is a parameter related to the frequency and  is the mean wave direction at
frequency .
ü The directional spreading function,  ;  must satisfy the condition,
 
  ;   = 1
 
ü The  is parameterized as
 (/ ) :  ≤ 
=
 (/ ). :  ≥ 

with the peak value   given by the wind
speed  as
.
2 
  = 11.5

Direction (radian)
s = 1, 3, 12, 20, 40, 80. s = 12 is commonly used

85

86

43
2023-08-29

87

88

44
2023-08-29

2.5 Extreme Value Analysis


2.5.1 Process and elements of EVA
ü Extreme Value Analysis(EVA) : As one of the data analysis methods in statistics, it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ata only with
the maximum or minimum values among time series data.
ü Extreme Value Distribution : It refers to the
frequency distribution consisting of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and is used for analysis of Annual Maxima Series
hydrological data such as floods and droughts,
or extreme value analysis for estimating design
waves of coastal or offshore structures.
ü Extreme Value Series : An extreme
value series is either very small or very large
values in a probability distribution. Partial Duration Exceedance Series
• Annual maxima series is a series that composes
extreme data by taking one extreme value for the same
time interval.
• Partial duration series is a series that consists of
extreme data by taking only data larger or smaller than
a certain standard from the entire time series. The
number of periods may not match. This is a method
that may cause problems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data because multiple extreme data can be selected
during the year.
89

ü The extreme value analysis process goes through a three-step process of estimating
the frequency of the data subject to extreme value analysis, selecting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and calculating the extreme value of the frequency.
2.5.2 Estimation of Frequency
a) Formulas to estimate frequency
ü Frequency (빈도) is defined as the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 is the
probability that  is greater than or equal to :
  = ≥
ü There are various ways to calculate the frequency, but widely used formulas are
presented below. In the Table,  is the number of values higher than an arbitrary 
and  is the number of extreme value data.
Name Plotting position formula Recommended Probability distributions

California P=m/N
Hazen P=(2m-1)/2N
Weibull P=m/(N+1) Gumbel
Blom P=(m-3/8)/(N+1/4) Normal, gamma, lognormal, log-
Pearson type III

Gringorten P=(m-0.44)/(N+0.12) Gumbel, Weibull


Cunnane P=(m-0.4)/(N+0.2) GEV, log-Gumbel

90

45
2023-08-29

b) Examples according to extreme values series type


ü Annual maxima series

ü Multiple year interval maxima series

91

2.5.3 Selection of Extreme Value Distribution


ü Probability plot is to display the given probability (frequency) for a certain data value
on probability paper or arithmetic coordinate paper made according to a specific
probability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distribution with a more
linear tendency in favor of interpolation or extrapolation for a certain probability.

92

46
2023-08-29

2.5.4 Calculation of Extreme Value


ü There are several types of extreme distribution, such as Gumbel distribution (FT-I),
Log-Gumbel distribution (or Frechet distribution) (FT-II), and Weibull distribution (FT-III),
and different distributions are used depending on the data to be analyzed.

b) Examples according to extreme values series type

93

2.6 Random Wave Breaking


2.6.1 Goda’ breaker index formula for regular wave
ü Since the experimental data are scattered around the
exponential curve, the upper and lower bounds
corresponding to 115% and 87% of the values are plotted
in the figure on the right by the equation below.
 ,  
= 1 − exp −1.5 1 + 11 / ∶ =
  / 
0.17
2.6.2 Goda’ breaker index formula for irregular wave
ü When random waves approach the shore, breaking
of individual waves occurs gradually with large waves
first at the far distance, medium waves next at some
distance from the shore, and small waves near the
shoreline. The variation of significant wave height from
the offshore toward the shore is so gradual that we
cannot employ the concept of wave breaking line,
which is quite obvious in the case of regular waves.
ü Introducing a definition of “incipient wave breaking”,
the incipient breaker index of the significant wave can
be expressed with the following formula:

94

47
2023-08-29

2.6.3 Modification of Goda’ breaker index formula for irregular wave


ü By analyzing the wave height constrained by the water depth environment at one
point instead of a definition of “incipient wave breaking”, the following breaker index
can be identified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irregular waves break.
 , 0.12 ℎ
= 1 − exp −1.5 1 + 11 /
ℎ ℎ / 
ü The representative wave that maintains the wave energy
of the waveform is  , so the wave height in the figure
corresponds to  . If the ratio between  and   is 
as shown below, the following equation is established. This
expression has a form that can show similarity according to
“incipient wave breaking” compared to the result of Goda's
expression.
/, 0.17 ℎ 
= 1 − exp −1.5 1 + 11 / : =
ℎ ℎ /   
Here,  ≥ 1, and if the Rayleigh distribution is followed,  = 1.416, so 0.12  has the
same value as the constant applied to the regular wave. However, keep in mind that
for a regular wave, the  , / , / ,  , and  , which are representative
waves, are all the same.
ü This shows that the breaker index for regular waves may be utilized for the high
wave state in an irregular wave train, and it is interesting that the breaker index of the
regular wave shows a same constant  = 0.17 for the significant wave height group
(highest top third).
95

96

48
2023-08-29

97

98

49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1 Representative Waves

As shown in the table on the right, 12 consecutive wave heights and periods were
calculated by the zero-up crossing method from a series of surface displacement data
in the deep water.
a) Find the significant wave height and period of the 12 waves.
b) Calculate the significant wave height and significant wave period of a wave
obtained at a depth of 4 m due to shoaling and wave breaking without refraction.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individual wave period in the deep sea is maintained.
c) Calculate how many times the significant wave height is greater than   in deep
water and 4 m water depth, respectively.

오른쪽 표와 같이 심해에서 일련의 수면변위


No H(m) T(s) No H(m) T(s)
데이터로부터 12개의 연속파고와 주기를 Zero-
up Crossing 방법으로 얻었다. 1 3.6 9.8 7 2.4 7.5
a) 12개의 파의 유의파고와 유의파 주기를 2 2.4 8.6 8 1.8 6.8
구하라.
3 1.2 7.5 9 3.5 8.5
b) 굴절없이 천수와 쇄파로 인하여 수심 4m
지점에서 얻어지는 파의 유의파고와 유의파 4 2.5 8.2 10 4.1 8.9
주기를 계산하시오. 단, 심해에서의 개별파 5 3.9 11.0 11 2.8 13.1
주기는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c) 심해와 4m 수심에서의 유의파고가   보다 6 3.3 12.3 12 1.6 7.7
각각 몇 배나 더 큰 지를 계산하십시오.

99

Assignment # 2 Problem 2.1 SOL: Representative Waves

a)
Significant waves are waves in the upper 1/3,

average wave heights and periods of No. 1, 5, 9, and 10

Significant wave height =(3.6+3.9+3.5+4.1)/4=3.78

Significant wave period =(9.8+11.0+8.5+8.9)/4=9.55

b)

(Consider shoaling)

 = ℎ = 9.81 × 4ℎ = 6.26  = 0.78

(Consider breaking)
ℎ where  = 43.75 × 1 − exp −19 tan  = 16.54
 = ℎ =
1 + ℎ /(  )  = 1.56/(1 + exp(−19.5 tan )) = 0.9664

100

50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1 SOL: Representative Waves

   
No.    No.   
(shoaling) (breaking) (shoaling) (breaking)

1 3.6 9.8 7.64 3.98 3.51 7 2.4 7.5 5.85 2.32 3.38
2 2.4 8.6 6.71 2.48 3.46 8 1.8 6.8 5.30 1.66 3.32
3 1.2 7.5 5.85 1.16 3.38 9 3.5 8.5 6.63 3.60 3.45
4 2.5 8.2 6.40 2.53 3.43 10 4.1 8.9 6.94 4.32 3.47
5 3.9 11 8.58 4.56 3.56 11 2.8 13.1 10.22 3.58 3.60
6 3.3 12.3 9.59 4.08 3.59 12 1.6 7.7 6.01 1.57 3.40

Significant wave height in water depth 4m (red text) 1/4(3.98+4.56+4.08+4.32)=4.24,


Significant wave period in water depth 4m (red text) 1/4(9.8+11.0+12.3+8.9)=10.50
c)
∗ in deep water
∑ 
3.6 + 2.4 + 1.2 + ⋯ + 2.8 + 1.6  =3.78 m (from a question)
 
  = = = 2.90 
 12
3.78/2.90=1.30
∗ in water depth 4 m : select bigger one consider shoaling and breaking (yellow painted)

∑ 
  3.98 + 3.46 + 3.38 + ⋯ + 3.60 + 3.40  =4.24 m (from b question)
  = = = 3.73 
 12
4.24/3.73=1.14

101

Assignment # 2 Problem 2.2 Zero-up Crossing Method

In the existing zero-up crossing method, the wave height  was determined as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water surface displacement between two points that ascend the zero
point. However, the wave height obtained in this way causes an energy loss in the energy
calcul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energy loss in energy calculation by squaring the
water surface displacement between two zero points, digging the average, and considering it as
 . From the water surface displacement (m unit;  = 1) given in the table below, two
individual waves can be obtained between the three zero-up crossing points. Answer the
questions below.
a) Find two wave heights  obtained according to the existing definition of wave height using
the zero-up crossing method.
b) Find the wave heights  that yield their wave motion to maintain its intrinsic energy.
기존의 영점상향법은(zero-up crossing method)는 영점을 상향하는 두 점 사이의
수면변위 최대 값과 최저 값으로 파고  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얻는 파고는
에너지 계산상에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 따라서 두 영점 사이의 수면변위를 자승하고
평균을 취한 것을 파고  로 산정하면 에너지 계산상에서 에너지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아래 표에 주어진 수면 변위 (m 단위;  = 1) 로부터 3개의 영점상향점 사이에 2개의
개별파를 얻을 수 있다.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a) 영점상향법에서 파고의 기존 정의대로 구하는 파고인  를 구하시오.
b) 파랑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에너지를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파고인  를 구하시오.

-0.0747 -0.0129 0.1770 0.0830 0.0175 -0.0767 -0.0704 -0.0334 -0.1490 -0.0909
0.1324 0.0443 0.2125 -0.0196 -0.0917 -0.0387 -0.0417 -0.0594 -0.0313 0.0763
0.2117 0.1301

102

51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2 SOL: Zero-up Crossing Method

a)

  = [0.1770 0.0830 0.0175 −0.0767 −0.0704 −0.0334 −0.1490 −0.0909];


  = [0.1324 0.0443 0.2125 −0.0196 −0.0917 −0.0387 −0.0417 −0.0594 −0.0313];

 =0.1770−(−0.1490)=0.3260
 =0.2125−(−0.0917)=0.3042

b)

1
 =  = 0.1770 + 0.0830 + 0.0175 + −0.0767 + ⋯ + −0.0909 = 0.0101
8
1
 =  = 0.1324 + 0.0443 + 0.2125 + −0.0196 + ⋯ + −0.00313 = 0.0090
8

 = 8 = 0.2845

 = 8 = 0.2686

103

Assignment # 2 Problem 2.3 Frequency Spectrum

The spectral peak of the observed spectrum for the wave group of  = 0.5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 = 10 / at  = 0.12

a) Estimate the enhancement parameter  of the JONSWAP spectrum to fit the peak of
this spectrum.
b) This JONSWAP spectrum reached a depth of 10 m, resulting in energy loss due to
water depth. Estimate how much the peak spectrum value will be reduced by using the
TMA spectrum. It is assumed that the spectrum enhancement factor is maintained.

=0.5^2의 파군에 대한 관측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피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였다.
  = 10 / at  = 0.12

a) 이 스펙트럼의 피크에 맞도록 JONSWAP 스펙트럼의 향상 매개변수 를


추정하시오.
b) 이 JONSWAP 스펙트럼이 수심 10m에 도달하여 수심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였다. peak spectrum의 값은 얼마로 줄어들지 TMA스펙트럼으로
추정하시오. specrum enhancement factor는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104

52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3 SOL: Frequency Spectrum

a)

  10 × 0.12
S′  = = = 0.15
 8


γ = 98.6779 
 − 9.8874S   + 1.1131 = 1.8502

b)

    × 0.12
S′  = 0.15 = =
   ℎ  8 × 0.2895.
  = 8.8342

105

Assignment # 2 Problem 2.4 Spectral Moment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ree spectral components are given with =0.02.
a) Find the energy of this spectrum.
b) Find ,  ,  ,  , and  .
c) From the obtained moments, find the representative wave periods  ,  ,  ,  and
find the two spectral parameters  and .

아래 표와 같이  = 0.02로 3개의 스펙트럼 component 가 주어졌다.


a) 이 스펙트럼의 에너지를 구하시오.
b) ,  ,  ,  와  를 구하시오.
c) 구한 moment로부터 대표파 주기  ,  ,  ,  를 구하고 두 spectral
parameters  and 를 구하시오.

Frequency(Hz) 0.12 0.13 015


Magnitude of S ( /) 0.3 0.5 0.2

106

53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4 SOL: Spectral Moments

a)  =    = 0.3 + 0.5 + 0.2 × 0.0 = 0.02



 = 0.12 × 0.3 + 0.13 × 0.3 + 0.15 × 0.3 × 0.02 = 0.1536

b)  =        = 0.12 × 0.3 + 0.13 × 0.3 + 0.15 × 0.3 × 0.02 = 0.02

 = 0.12 × 0.3 + 0.13 × 0.3 + 0.15 × 0.3 × 0.02 = 0.0026
 = 0.12 × 0.3 + 0.13 × 0.3 + 0.15 × 0.3 × 0.02 = 0.0003454
 = 0.12 × 0.3 + 0.13 × 0.3 + 0.15 × 0.3 × 0.02 = 0.0000061253

c)  0.02  0.0003454
 = = = 7.6095  = = = 7.5093
 0.0003454  0.0000061253

 0.02  0.1536


 = = = 7.6923  = = = 7.5093
 0.0026  0.02

 
= − 1 = 0.1479 = 1− = 0.1617
 

107

Assignment # 2 Problem 2.4 Spectral Moment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extreme wave heights (m unit) were obtained every
years as shown in the table.
a) Find the frequency of each wave height using the Weibull frequency calculation
method.
b) Find the wave heights of 50-year and 100-year frequencies using the Gumbel
method. Note: Fitting straight lines can be drawn by hand.
c) Find the five extreme values for 2 years (e.g: 2010-2011; 2.59m) and compare the
values of the 50-year frequency and the 100-year frequency obtained by the Gumbel
method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b).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매년 Extreme Extreme


극치파고(m단위)를 표와 같이 구하였다. Year Wave Year Wave
a) Weibull 주파수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각 Height Height
파고의 빈도 P를 구하시오.
2010 2.55 2015 6.58
b) Gumbel 방법을 사용하여 50년 및 100년
주파수의 파고를 구하시오. 참고: fitting 2011 2.59 2016 4.83
line은 손으로 그려도 됩니다.
c) 2년간 극치(예 2010-2011; 2.59m)인 5개 2012 3.80 2017 5.27
극치값을 구하고 이로부터 Gumbel 2013 4.31 2018 4.43
방법으로 구한 50년 빈도와 100년 빈도의
값을 b)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하시오. 2014 3.64 2019 6.02

108

54
2023-08-29

Assignment # 2 Problem 2.5 SOL: Extreme Value Analysis


Extreme Wave
a, b) P=m(N+1) Year
Height
P=m/(N+1) x=-ln(-ln(1-p))

2015 6.58 1/11 2.350619


2019 6.02 2/11 1.60609
2017 5.27 3/11 1.144278
2016 4.83 4/11 0.794106
2018 4.43 5/11 0.500651
2013 4.31 6/11 0.237677
2012 3.8 7/11 -0.01153
2014 3.64 8/11 -0.26181
2011 2.59 9/11 -0.53342
2010 2.55 10/11 -0.87459
50-year frequency 8.17 1/50 3.901939
c) It is calculated to be larger than
100-year frequency 8.96 1/100 4.600149
the value obtained every year.
Extreme Wave
Year P=m/(N+1) x=-ln(-ln(1-p))
Height
2015 6.58 1/11 2.350619
2019 6.02 2/11 1.60609
2017 5.27 3/11 1.144278
2013 4.31 4/11 0.794106
2011 2.59 5/11 0.500651
50-year frequency 8.95 1/50 3.901939
100-year frequency 9.92 1/100 4.600149

109

110

55
2023-08-29

CHAPTER III LITTORAL CELL


DYNAMICS

3.1 Littoral Cell Budget


3.2 Background Erosion Potential
3.3 Long-Term Shoreline Response
3.4 Beach Erosion due to Sea Level Rise

111

3.1 Littoral Cell Budget


3.1.1 표사계(Littoral Cell)
ü 표사계는 sources, 이동 경로, sink를 포함하여 sediment의 운명에 관한 일련의
모든 과정을 해안 구획이다.
ü Cell 경계는 퇴적물 수지가 균형을 이룬 곳 내에 있는 지리적 영역을 설명하며,
해안 침식 및 퇴적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한 틀을 마련해 주고 있다.
3.1.2 Sediment Source and Sink

ü sediment sources은 흔히 하천, 개울,


해안 절벽 침식, 연안 방향으로의 표사
유입, 그리고 조개, 산호 조각들, 작은
해양 생물의 뼈대와 같은 생물체를 들 수
있다.
ü sediment sinks는 보통 해저 협곡,
외해또는 연안방향으로의 손실, 만과
어귀에서의 퇴적 현상을 일컫는다

112

56
2023-08-29

3.1.3 한국의 Littoral Cell


ü Motyka and Brampton (1993)는 전체 영국 해안에 11개의 주요 표사계 및
47개의 세부 littoral cell system을 만들었다. 최초로 질량 보존 법칙을 적용하기
위한 틀이 구축된 것으로 간주된다.
ü 중앙에 있는 그림이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표사계(major littoral cells)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나타내고 있다. 서해에 3개, 동해에 3개, 남해와 제주도에 등에
3개씩 주요 표사계가 분포하고 있다.
ü 오른쪽의 그림은 강원도권 표사계를
크게 유역으로 나눈 watershed littoral
systems 보여주고 있으며, 돌출된 지형인
곶에 의해 41개의 sub-littoral cell
systems 을 보여주고 있다.
(Motyka and Brampton, 1993)

113

114

57
2023-08-29

3.1.4 Littoral Cell Budget


ü 표사 수지는 연안 시스템에 추가되거나 제거된 표사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양한 표사 유출입 현상을 설명하거나 분석하는 데 활용되는
연안 관리 도구이다.
ü 연안역 표사이동 영역의 수직 크기가  인
경우, 해안의 수평 변위 에 대해 다음의
질량보존법칙이 적용된다 :
 
=  =  − 
 
where  =  =  ℎ + ℎ =   ℎ + ℎ

ü 표사계 주요 유입원은 하천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유사량  이며, 주요 표사의
sink는 아래와 같이 해안의 단위 길이 당
파랑으로 인한 외해로의 모래 유실량  로
표현된다.

 =  − 

where  is the beach length
ü 평형 상태에서,  =  이 된다.

115

3.2 배경 침식 포텐셜
3.2.1 침식 포텐셜 개념
ü 침식 포텐셜에 관한 개념은 침식의 원인을 최하위 수준에서 해석한 것으로,
대단히 제한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더 정밀한
수준의 정보를 요구하는 일시적인 변화를 분석이 필요하지 않다.
ü 침식 포텐셜의 총계는 개별적으로 평가된 해안 침식 면적의 합에 의해 계산된다.
면적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1)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퇴적량의 감소로 인한 배경 침식은 background erosion
potential area (BEPA,  ),
(2) 항만 건설로 인한 alongshore 해안선 변형은 reshaping erosion potential area
(REPA,  ), 그리고
(3) 단기성 고파랑에 의한 영향으로 생기는 침식은 episodic erosion potential area
(EEPA,  ).
BEPA by Mass Conservation REPA by Force Balance EEPA by Energy Conservation

116

58
2023-08-29

3.2.2 배경 침식 포텐셜
ü 표사계에서의 유역 개발의 결과로 해빈 표면적이 얼마나 변했는지 밝히기 위해,
BEPA를 평가한다. 외해모래유실계수  가 포함된 질량 보존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만일 하천 유사량  이 변하는 경우, 해빈


표면적도 그에 따라 변할 것이다. 유역 개발
이전의 해빈 면적은  로 설정되는 경우,
그리고  이   만큼 감소하는 경우,
BEPA( )는 의 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ü 배경침식 포텐셜 해빈표면적은 해빈 길이


로 나눠서 배경 침식 포텐셜 폭  로
변환된다.


 =

117

3.3 장기 해안선 반응
3.3.1 파랑 작용에 의한 순표사량
ü 해안으로 유입되는 파랑 작용으로 인한 해안 방향 표사이동율  은 파랑 환경의
특색이기 때문에,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해빈 폭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쇄파대에서의 표사 부유현상으로 인한 연안 표사 유실율은  는 해안선
길이(해빈폭)가 증가할수록 외해에 대한 유실 가능성도 그에 따라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ü 따라서, 파랑에 의한 순표사 횡단 이동율  은 다음 식에 의해서 설정된다.
 =  = ( −  )=  ( −  )

여기서 다음의 근사치가 고려되었다.

 =   and  =  

여기서,  는 하천으로부터의 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는 beach 의 기준
해안선 위치(base shoreline position)를 Base shoreline
position
일컫는다.

118

59
2023-08-29

1 0.1

0.5
0.9 0.2 0.1
0.

0.90.95
3

0.6

0.
0.8 0.2

4
0.3
0.7

0.7
0. 8
0.4
0.6
0.5
0.5 0.5

a
0.6
0.4 0.6
0.7

0.9
0.3 0.7

0.95
0.8
ü 유역 또는 연안 지역의 개발과 해안 0.2 0.8

모래의 채취는 표사계의 유입 및 표사 배출을 0.1 0.9 0.9


0.95
유발시킨다. 표사계 내의 모래 양의 변화는 0
0.95

모래 질량 보존의 법칙을 활용하여 아래 식과 0 0.5 1 1.5 2 2.5 3 3.5 4 4.5 5


KT
같이 이론식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   = 1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60
2023-08-29

121

122

61
2023-08-29

123

124

62
2023-08-29

Assignment # 3 Problem 3.1 Beach Nourishment

After constructing an estuary dam on the beach where the beach was originally 100 m
wide, background erosion occurred 10 years later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sediment from the river. So, in order to maintain the original shoreline, a 50m width of
beach nourishment was applied. After 5 years of beach nourishment, the width of the
beach decreased by 20 m and became the original beach width. Estimate the reduction
rate of sediment discharge  and the sediment loss constant .

원래 해빈 폭이 100m이었던 beach에 하구 댐을 건설한 후 하천으로부터의 유사량


감소로 Background erosion이 발생하여 10년 후 30m까지 발생하였다. 그래서
원래의 해안선을 유지하기 위 하여 Beach nourishmen를 50m 폭을 실시하였다.
Beach nourishment를 실시한 후 5년 후에 20m가 감소하여 원래 해빈 폭이 되었다.
유사량감소율  와 외해모래유실율 를 추정하시오.

125

Assignment # 3 Problem 3.1 SOL: Beach Nourishment

10 years later after constructing an estuary dam on the beach,

  = 10 = 1 −   +  exp −


→ Eq (1) : 70  = 1 −  × 100 + 100 exp −10
After beach nourishment,


=   − ∆  = 10 +  −  =  100 + 20 − 
′

→ Eq (2) :  ′ = 5 = 1 −  × 100 + 20 + 100 exp −5 = 100 

If we compute the two equations, we get  = 0.9292 and  = 0.039  

126

63
2023-08-29

Assignment # 3 Problem 3.2 Background Erosion

After installing a small weir at the estuary, sand of 5,000  is accumulated upstream of the
weir every year. Then, it was observed that the shoreline width, which used to be 80m,
started to retreat by about 1m per year. For the beach, assuming that the length of the
beach is 800 m and  is 8 m, estimate the sediment loss constant  and the original river
sediment discharge  .

하구에 수중보를 설치한 후 매년 수중보 상류에 모래가 5,000  씩 쌓이고 있다.


그런 후 80m이던 해빈이 대략 년간 1m씩 후퇴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해안은 Beach의 길이가 800m이고 Ds를 8m로 가정한다면 외해모래유실율 와
원래의 하천 유사량을 추정하시오.

127

Assignment # 3 Problem 3.2 SOL: Background Eros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int source and the sink sediment discharge in the
sediment budget,

 ∆ 5,000 
= −  → −1/ = −  × 80 →  = 0.0223  
   800  × 8 

And the original river sediment discharge  is

 =    = 0.0223 × 800 × 8 × 80 = 11,418 /

128

64
2023-08-29

Assignment # 3 Problem 3.3 Change of Sediment Loss Constant

The shoreline, which was 50 m on average, moved seaward 1 m after 2 year and 2.44
m after 5 years after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s we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wave control. Estimate the existing sediment loss constant  and the new
sediment loss constant  .

파랑제어 목적으로 잠제를 설치한 후에 평균적으로 50m이던 해안선이 2년 후 1m,


5년 후에 2.44m 전진하였다. 기존 외해손실계수와 새로운 외해손실계수를
추정하시오.

129

Assignment # 3 Problem 3.3 SOL: Change of Sediment Loss Constant

Before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s, at the steady state,


 ′ −   =>  ′ = 50
After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s,


=  ′ −   = 50 −   ⇒  =  + 50 −  exp − 


Eq (1) :   = 2  =  + 50 −  exp −2 = 51 


(51−  ) 1 (51−  )
⇒ exp −2 = ⇒  = − log
(50 −  ) 2 (50 −  )

Eq (2) :   = 5  =  + 50 −  exp −5 = 52.44 


 (   )
⇒  + 50 −  exp log =52.44
 ( )

Therefore, we get  = 81 and  = 0.0164 .


From   =   , we also get  = 0.0266 .

130

65
2023-08-29

3.4 해수면 상승에 의한 배경침식(침수침식)


3.4.1 해수면 상승
ü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는 우리의 개발 제한(control)과 무관하게 예기치 못할
다양한 침식을 발생시킨다.
ü 배경침식은 강수량의 감소로, 배경침식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는 침수침식(sea-
level rise induced background erosion)은 해수면 상승으로, 변형침식은 파향의 변
화로, 단기침식은 파고의 상승으로 발생할 수 있다.
ü 해수면 상승에 대하여는 신뢰할 만한 자료가 있어 이에 따른 침수침식을 예측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한반도 주변에서의 파향의 변화와 파고의 변화와 같은
신뢰할 만한 정보는 생산되고 있지 않다.
ü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대표적으로 4가지 유형이 있으며 아래 표와 같다.

ICPP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 경로 (SSP) (자료: 국립기상과학원)

종류 의미
SSP1-2.6 사회불균형의 감소와 친환경 기술의 빠른 발달로 기후변화 완화, 적응능력이 좋은
지속성장가능 사회경제 구조의 저탄소 시나리오
SSP2-4.5 중도성장의 사회경제 시나리오로 기후변화 완화 및 사회경제 발전 정도가 중간 단
계를 가정하는 경우
SSP3-7.0 사회경제 발전의 불균형과 제도적 제한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취약한 상태에 놓이
는 사회경제 구조의 시나리오
SSP5-8.5 기후정책 부재, 화석연료 기반 성장과 높은 인적 투자로 기후변화 적응능력은 좋지
만, 완화능력이 낮은 사회경제 구조의 고탄소 시나리오

131

3.4.2 우리나라에서의 해수면 상승


ü 우리나라에서의 해수면 상승율은 서해, 남해보다 제주도와 강원도에서 비교적 큰
값을 보이고 있다.
ü 우리나라 동해, 서해, 남해에서의 4가지 유형에 대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예측
값은 아래 그림과 같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년도별-
해역별 해수면 상승고 Graph

한반도 해역별 해수면 상승율


Graph (2009년 기준)

132

66
2023-08-29

3.4.3 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의 영향


ü Bruun은 해수면 상승  에 의한 침식 폭  을 근해 해빈 경사만으로 아래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
 = ∗  =
ℎ + ℎ

ü Lee 등(2022)의 최근 파위상포텐셜(WPP)


개념에 따르면, 전체 해안의 단면 형상을
유추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원빈 경사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선 후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ü 파위상포텐셜로 구한 원빈 경사 은 다음 식과 같이 대상해역의 해빈축척계수
와 평균 입사파주기  의 함수로 도출된다.

3  
 = = 0.7477 / (미터, second unit 에 적용)
4/ 

ü 그러므로,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의 단면도 확장되면서 원빈 단면도 확대되므로


결과적으로 침식폭은 다음과 같다.

 =   = 0.7477
/

133

ü Comparison with Bruun Rule

134

67
2023-08-29

3.4.4 위성이미지분석에 의한 침수침식 이론 검증-1


ü 자연상태로 유지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는 북한 동해안 해변에의 위성이미지자료를
추출하고 10개 기준선에 대한 침수침식율 추정하였다.
ü 위성이미지의 오차수준이 10로 크고 침수침식 추세율은 0.3~0.5 /
수준으로 작지만 충분한 수의 위성이미지로 미세한 추세선을 추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 동해안 현 시점 해수면 상승율:


 / ≅ 5 /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위성자료(오차10m수준)


분석
10개 기준선에 대하여 5년간 침수
 / ≅ 2/5(/ )
침식율 추정
위성자료+조차로부터 전빈경사
 = 8.5 → = 0.28 
 추출하고  추정
 로부터 해빈축척계수 얻고 원
 = 2.96/0.12/ =71
빈경사  추정
파위상포텐셜 이론에 의한 침수
 / ≅1.78/5(/ )
침식율 계산
60

40
Real trend
20

-20

-40

-6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60

40 Trend with
20
image error
0

-20

-40

-6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135

+:전진 -:후퇴 -:후퇴 -:후퇴

+:전진

-:후퇴 -:후퇴 -:후퇴

-:후퇴 -:후퇴 +:전진 -:후퇴

136

68
2023-08-29

3.4.4 위성이미지분석에 의한 침수침식 이론 검증-2


ü 인도양 산호섬 해변에 대한 위성미이지자료를 추출하고 해빈 면적으로부터
침수침식율을 추정하였다.
ü 침수침식율로부터 아래 과정과 같이 간접적으로 산호섬의 모래중앙입경  를
또한 추정할 수 있다.
§ 199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해당 해역의 해수면
상승 추세선 분석에 의한 지난 7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율:
.
 / ≅ ( / )

§ 지난 7년간 해당 산호섬의
위성이미지로부터 산호섬 반경 변화의
추세선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침수침식
폭 감소가 예상된다.
. ,
∆/∆ = − 
(/ ) = − 
( / ) 105

100

§ ∆ =  ∆ ⇒  = /∆ = 48.04을 Shoreline Radius (m)


95

90
얻는다.
85

§ 유입되는 파랑 주기가 4sec라고 가정하고 80

아래 외빈 경사식에 적용하면 해빈축척계수 75

를 구할 수 있다. 70
0 1 2 3 4 5 6 7
Elapsed Time (yr)
/
 0.7477
 = 0.7477 ⇒= = 0.157/ § 따라서 Dean의 Table로부터  = 0.475 을 얻는다.
/ 48.04

137

3.4.5 우리나라 침수침식 폭 예상


ü 우리나라 308개 침식실태조사 해안에 대한 유입파랑의 평균 주기와 아래 제시된
모래중앙입경 자료로부터 우리나라 침수침식 폭을 각 해수면 상승시나리오별로
예측하였다.

전국 표사계 해빈폭 해안선


총 308개 해변이름 D50(mm) 길이(m) 길이(m)
조사자료 활용
명파, 마치진, 대진해변 0.535 34.0 1,940

초도해변 0.734 29.3 1,240

화진포해변 0.488 69.9 1,120

거진, 송포해변 1.272 43.4 1,600

반암, 동호, 가진해변 0.999 43.6 6,730

공현진2리해변 0.530 46.0 1,590

공현진1리, 송지호, 오호해변 0.467 88.4 3,390

봉수대, 삼포, 자작도해변 0.433 72.0 2,630

백도해변 0.854 102.0 680

교암, 청학정, 아야빈해변 0.844 36.4 2,220

청간해변 1.964 33.4 1,080

천진, 봉포해변 1.202 32.0 1,150

켄싱턴, 용촌리 1.343 55.7 2,930

장사, 영랑동, 등대해변 1.141 32.2 1,330

청호동, 속초, 외옹치해변 0.808 47.1 3,020

… … … …

138

69
2023-08-29

전국 표사계 308개 시나리오별 침수침식폭산정 (단위 : m)

SSP1-2.6 SSP2-4.5 SSP3-7.0 SSP5-8.5


해변이름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명파, 마치진, 대진해변 19.11 19.11 25.49 19.11 25.49 38.23 19.11 31.86 50.97 19.11 31.86 57.34

초도해변 14.83 14.83 19.77 14.83 19.77 29.65 14.83 24.71 39.54 14.83 24.71 44.48

화진포해변 19.05 19.05 25.40 19.05 25.40 38.10 19.05 31.75 50.80 19.05 31.75 57.15

거진, 송포해변 10.92 10.92 14.55 10.92 14.55 21.83 10.92 18.19 29.11 10.92 18.19 32.75

반암, 동호, 가진해변 12.38 12.38 16.50 12.38 16.50 24.75 12.38 20.63 33.00 12.38 20.63 37.13

공현진2리해변 17.80 17.80 23.74 17.80 23.74 35.60 17.80 29.67 47.47 17.80 29.67 53.40

공현진1리, 송지호, 오호해변 19.46 19.46 25.95 19.46 25.95 38.92 19.46 32.43 51.89 19.46 32.43 58.38

봉수대, 삼포, 자작도해변 20.47 20.47 27.29 20.47 27.29 40.93 20.47 34.11 54.58 20.47 34.11 61.40

백도해변 14.76 14.76 19.69 14.76 19.69 29.53 14.76 24.61 39.37 14.76 24.61 44.29

교암, 청학정, 아야빈해변 13.99 13.99 18.65 13.99 18.65 27.98 13.99 23.31 37.30 13.99 23.31 41.97

청간해변 7.98 7.98 10.65 7.98 10.65 15.97 7.98 13.31 21.29 7.98 13.31 23.95

천진, 봉포해변 10.91 10.91 14.54 10.91 14.54 21.81 10.91 18.18 29.09 10.91 18.18 32.72

켄싱턴, 용촌리 10.24 10.24 13.66 10.24 13.66 20.49 10.24 17.07 27.32 10.24 17.07 30.73

장사, 영랑동, 등대해변 11.39 11.39 15.18 11.39 15.18 22.77 11.39 18.98 30.36 11.39 18.98 34.16

청호동, 속초, 외옹치해변 14.12 14.12 18.83 14.12 18.83 28.25 14.12 23.54 37.66 14.12 23.54 42.37

… … … … … … … … … … … … …

139

우리나라 해역별-시나리오별 침수침식폭, 면적산정

SSP1-2.6 SSP2-4.5 SSP3-7.0 SSP5-8.5


해수면
구분
상승 시나리오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2050 2070 2100

동해권 13.8 15.4 20.6 15.4 20.6 30.9 15.4 25.7 41.2 15.4 25.7 46.3
평균
남해권 16.5 16.5 27.6 16.5 22.1 33.1 16.5 27.6 44.1 16.5 33.1 49.6
침수폭
서해권 16.6 16.7 25.5 16.9 24.1 33.5 16.9 28.0 44.6 18.5 31.2 50.2
(m)
전국 15.6 16.2 24.5 16.3 22.2 32.5 16.3 27.1 43.3 16.8 30.0 48.7

동해권 2.5 2.8 3.7 2.8 3.7 5.5 2.8 4.6 7.4 2.8 4.6 8.3
전체
침수 남해권 1.6 1.6 2.7 1.6 2.2 3.3 1.6 2.7 4.4 1.6 3.3 4.9

면적 서해권 1.2 1.2 1.9 1.2 1.8 2.5 1.2 2.0 3.3 1.4 2.3 3.7
(km2)
전국 5.5 5.7 8.6 5.7 7.8 11.4 5.7 9.5 15.2 5.9 10.5 17.1

140

70
2023-08-29

전국 표사계 308개 시나리오별-해역별 침수침식폭, 침수면적

141

전국 표사계 308개 시나리오별-해역별 침수침식폭, 침수면적

142

71
2023-08-29

전국 표사계 308개 시나리오별-해역별 침수침식폭, 침수면적

143

전국 표사계 308개 시나리오별-해역별 침수침식폭, 침수면적

144

72
2023-08-29

Exercise 3.5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의 원빈 경사를 조사하니 1:35이였다. a) 해빈축척계수  = 0.18/ 이라면


해수욕장으로 유입하는 파랑의 평균 주기는 얼마로 예상하는가? b) 미래 0.7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된다면 침수침식을 Bruun방법과 WPP방법으로 추정하고 비교하시오. 단, 모래이동 수직폭  =
10, 그리고 그 수평폭은 350로 가정.

SOL a) 원빈경사가 1:35이고 해빈축척계수  = 0.15/ 이므로 다음 식으로부터 평균 주기 를


구할 수 있다.

  /
 = 0.7477 ⇒=  ≅ 3.57
/ 0.7477

b) Bruun 의 방법과 WPP방법에 의하여 계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 = ∗  = = 24.5 and  =   = 24.5
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같은 값을 제시한다.

145

Exercise 3.6

어느 해안의 외해모래유실율 가 0.002  이고 원빈 경사가 1:30이었다. 만약 연간 해수면 상승율이


1 / 라면 침수침식에 의한 배경침식이 발생할 것인지 판단하시오. 단, 하천으로부터의 유사량은
동일하며 해수면 상승율이 서서히 진행되어 그로인한 지형변화는 지체되지 않고 유입 파랑 조건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

SOL
침수침식으로 인하여 해안선이 후퇴하면 원래의 해안선을 유지하기 위하여 해안선이
전진한다. 만약 평형을 되찾으려는 해안선의 전진율  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선의 침수침식율
 보다 크다면 배경침식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 와  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Δ Δ Δ
 = =  ( −  ) ≅   and  = = 
Δ Δ Δ
이 두 관계로부터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여도 그로 인한 침수침식으로 배경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Δ
≥
 Δ

따라서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우측 값을 구하면 30/100 × 1 / =0.003  을 얻는다. 그러므로
1 / 의 해수면 상승율에 대하여 침수침식이 발생하는 해안에 해당한다.

146

73
2023-08-29

CHAPTER IV BEACH PROFILE


RESPONSE
4.1 Beach Characteristics
4.2 Equilibrium Beach Profile(EBP)
4.3 Beach Morphodynamics
4.4 Governing Equation for Universal Beach
Profile
4.5 Short-term Wave Scenario
4.6 Prediction of Beach Profile Change

147

4.1 해빈 특성
4.1.1 해빈 단면
ü 해빈은 파도의 유입에 따라 일정 경사를 이루고 근해 연안사주에 모래를
저장하여 파랑 에너지의 소산 작용에 의한 연안 침식에 저항하는 동적인 속성을
지닌 시스템이다.
ü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해빈은 먼바다로부터 원빈, 근빈, 전빈, 후빈의
4개의 주요 단면으로 나뉜다.
ü 원빈(offshore)은 거의 파가 부서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해저면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부분을 원빈(offshore)이라고 한다. 그러나 파랑의 지속적인 해안 전파에 따라
해저면에서 형성되는 경계층에 의하여 지리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한다.
ü 근빈(nearshore)은 해저면이 파랑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단면이다. 즉, 수심이 반
파장이나 혹은 그 이하인 단면이 된다.
ü 전빈(foreshore)은 파랑과 조위의 작용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습하고 건조한 지역으로, (대부분 쇄파대와 겹침)
경사가 완만한 관계로 전빈이 넓게 형성되며 모래가 잘
분류되는 지역이다. 쇄파대는 파도가 부서지는 해역을 말한다.
ü 후빈(backshore)은 고조위보다 높은 지역으로, 폭풍우가
발생하는 동안 오로지 월파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ü 해빈단(berm height)은 모래로 이루이진 해빈단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지점으로 거의 수평에 가깝고
해안선에 평행한 능선 같은 곳이며, 후빈과 전빈의 경계이다.
계절에 따라 변화하고 파랑의 uprush에 의해 파랑 입자들이
이동하면서 해안을 형성한다.

148

74
2023-08-29

4.1.2 Sediment 특성
a) Grain size
ü Grain size는 clastic sediments와 암석의 입자의 평균
직경을 말한다. Grain size는 분류 목적을 위해 여러
등급으로 쇄설암과 쇄설성 sediment을 구분 짓기 위해
퇴적 지질학에서 쓰는 주요 지표이다 이다. 이와 같은
세분화는 입도분석방법으로는 해양공정시험법에 제시된
건식체질법, 습식체질법, 피펫팅법 등이 있으며, 자갈, 모래,
미사, 점토의 하위 분류로 더욱 세분화되는 4가지 주요
퇴적물(해당 퇴적암) 분류된다.
ü 입경 분포  (mm unit)의 중앙 입경 또는 중간 값은
누적 분포의 50%에 있는 입경 값이다. 입경을
특성화시키는 주요 parameter 중 하나이다.
ü 분포 폭의 특징을 묘사하기 위해, 평균값 주변의 표준
편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 −  )/ 로
계산된다. 분포가 넓으면 넓을수록, 표준편차는 더 크다.
ü 한국의 동해안은 medium sand와 coarse sand를 볼 수
있으며, 서해안은 upper beach face 에서 아주 고운
medium sand 를 볼 수 있다.
ü Krumbein phi 스케일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계산된
logarithmic scale이다. ( 은 참고 입경으로 1 mm와 같다)

 = − 


149

b) 침강 속도
ü 쇄파에 의해 부유되는 표사는 저류에 의해
연안 방향으로 이동하며, 중력에 의해 다시
침전한다. 침전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 표사 이동
분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물리 요인들 중 Rubey 0.
5
(1933)
하나이다.
ü 침강 속도에 대하여 수많은 방정식들이
연구를 통해 제안되었으며, G.G.스토크스가
1851년 발표한 스토크스의 법칙이 그
출발점이다.
ü non-cohesive sediments의 침전 속도에
대하여 가장 널리 쓰이는 방정식은 Rubey(1933)
식이다.
ü Yalin (1977)은 spherical 모래 입자의 침강
(sedimentation) 속도를 층류와 난류로 나누는
방정식을 제안하였고, Van Rijn (1985)은 모래
입자의 입경별 침전 속도를 계산하는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그 이후, Cheng (1997), Ahrens
(2000), Guo (2002), and She et al. (2005)와 같은
방정식들이 제안되었다.
ü Van Rijn의 방정식은 한국 동해안 모래의
침강속도를 추정하는 데 적합하며, She et al.
공식은 서해안의 모래를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

150

75
2023-08-29

4.2 평형 해빈 단면
4.2.1 평형 해빈 단면
ü Bruun (1954)은 덴마크와 캘리포니아의 해빈 
단면을 조사하고 해빈 단면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ℎ =  /
여기서, ℎ 는 수심이며, 는 해빈 축척 계수, 는
ℎ =  /
횡단 방향으로의 이안 거리이다. ℎ

ü 1977년 Dean은 다양한 형태의 유입 파랑


조건에 대하여 발생하는 평형 해빈 단면 형태를
조사하고, 단위 부피당 쇄파 파력(destructive
force)이 파랑 에너지 소산으로 간주되는 경우
평형 해빈 단면이 위의 형태를 취하게 됨을
밝혔다(Dean et al., 2002).
ü 평형 해빈 단면은 평균 해빈 단면과 다를 수 있다. 잔잔한(mild) 파랑이 유입되면
해빈단이 발달하면서 해안선이 전진하지만, 고파랑이 유입되면 해안선의 상당한
후퇴를 유발하고 평형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침식이 발생한다. 평균은 이러한
변화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ü 평상파(normal waves) 의 경우 해빈 단면은 거의 선형의 평상 해빈 (normal
beach)이며, 폭풍우(storm waves)가 발생하는 동안은 포물선형 폭풍해빈(storm beach)
을 형성한다 .

151

4.2.2 해빈 축척 계수
ü 해안 축척 계수  는 이안 거리 와 수심 ℎ사이의 축척(scale)을
지배(govern)하는 상관 계수로, 다음 장 슬라이드의 표에 나타낸 것처럼 모래 중앙
입경와 관련이 있다.
ü Dean et al. 등은 평형 해빈 단면식을 많은 해역에 실제로 적용하여, 그림과 같이
해안을 구성하는 sediment의 입경 및 침강 속도와 해빈축적계수가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림에서 실선을 에 대한 회귀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은 ^(1/3) 의 단위이고 _ 은 / 의 단위로 적용된다.

 = 0.067.
ü 부유사가 평형 상태일 때 평형 해빈 단면
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표사
부유강도는 , 확산계수  , 수심 평균 농도 ̅ ,
침강  과 같은 표사 특성으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이 유용한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다..
/
24  ̅ East coast of Korea
=
5/    

152

76
2023-08-29

Table of Beach Scale Factor  w.r.t. Sediment size 


By Dean (1977)

Summary of Recommended A Values (Units of A Parameter are m1/3)

D(mm) 0.00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 0.063 0.0672 0.0714 0.0756 0.0798 0.0840 0.0872 0.0904 0.0936 0.0968

0.2 0.100 0.1030 0.1060 0.1090 0.1120 0.1150 0.1170 0.1190 0.1210 0.1230

0.3 0.125 0.1270 0.1290 0.1310 0.1330 0.1350 0.1370 0.1390 0.1410 0.1430

0.4 0.145 0.1466 0.1482 0.1498 0.1514 0.1530 0.1546 0.1562 0.1578 0.1594

0.5 0.161 0.1622 0.1634 0.1646 0.1658 0.1670 0.1682 0.1694 0.1706 0.1718

0.6 0.173 0.1742 0.1754 0.1766 0.1778 0.1790 0.1802 0.1814 0.1826 0.1838

0.7 0.185 0.1859 0.1868 0.1877 0.1886 0.1895 0.1904 0.1913 0.1922 0.1931

0.8 0.194 0.1948 0.1956 0.1964 0.1972 0.1980 0.1988 0.1966 0.2004 0.2012

0.9 0.202 0.2028 0.2036 0.2044 0.2052 0.2060 0.2068 0.2076 0.2084 0.2092

1.0 0.210 0.2108 0.2116 0.2124 0.2132 0.2140 0.2148 0.2156 0.2164 0.2172

153

154

77
2023-08-29

155

156

78
2023-08-29

4.3 해빈 형태학
4.3.1 해빈 형태역학 개념
ü 형태역학(morpho-dynamics)은 형태학 자체의 진화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으로
형태론(morphology)이 유체동역학(hydrodynamics) 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의미한다.
ü 모래 해안의 형태역학은 연간 변화에 의해 잠재적으로 지배되는 입사파의 변화에
의해 제어되는 표사 이동 과정의 전반적인 지배를 받는다. 수중(subaqueous) 표사
및 공중(subaerial) 비사 이동 과정을 개념화하고 표사 이동 규모를 정량화하는 것은
상당히 난해한 과제임이 틀림없다.
ü 표사 이동과 유체역학 과정 및 표사 구성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데 활용되는
수많은 개념들을 정립할 때 겪게 되는 어려움이 이를 반증한다.
ü 이 section에서는 현재 이용 가능하고 표사 이동 과정을 설명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개념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ü 파랑, 해류 및 난류와 같은 다양한 유체역학 과정의 활동에
의해 timescale 이 다른 표사 이동 개념이 등장하며 표사
속성의 영향력과 가장 중요한 표사 이동 방식인 소류사(bed
load) 및 부유사(suspended load) 이송에 대해 설명한다.
ü 개념 심화 단계로 접어들면 모래 해안을 따라 발견되는
다양한 유체역학 경사의 특성을 고려할 때 횡단 과정과 연안
과정으로 구별된다.
ü 표사 이동의 측정 및 조사를 통하여 관련 개념을 입증시키고
정량화시키기 위한 과정이 요구된다.

157

4.3.2 해안선 위치 변화 Dynamics


a) 지배 방정식
ü 부유사의 생성 및 퇴적을 수직 방향의
수직적 거동이 아닌 그림과 같이 횡단
방향(along the cross-shore ) 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적 거동으로 간주하면,
해안선의 시간적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된다.

 =  − 

여기서 y는 해안선 위치이며, 초기해안선으로부터 육역 방향을 양수 (positive) 로
정의한다. 위 첨자 ‘c’는 횡단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 는 원래의 해저면 위치에서
부유사로 인한 해안선 후퇴율이다. 그리고  는 원래의 해안 정선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퇴적률이다.
ü 해안선 위치의 시간적 변화를 지배하는(governing) 상미분방정식의 해안선 반응
모델(ShoreLine Response Model)은 해안으로 회귀하는 표사의 수평적 거동을
분석하여 도출된다(Lim et al., 2022).
 
=  −
 
여기서  는 침식된 해안선의 회귀율과 관련된 계수로서 해빈회귀계수(beach
recovery factor)이다.  은 해빈반응계수(beach response factor)로, 쇄파점과 Yates
et al. (2009)에 의해 연구된 평형해안선에서의 파랑 에너지 사이에 비례 상수이다.
그리고  = ,  /16으로 정의된다.

158

79
2023-08-29

b) 해안선의 시간적 변화
ü 파랑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ODE 모형에 대한 상미분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으며 궁극적인 침식 폭  는 다음과 같이 수렴한다.
 
= [1 − exp(− )] ⇒  =
 

ü 평형을 이룬 후 입사 파랑 에너지가 갑자기 소멸하고 나면, 그 순간부터의 해안선


위치에 대한 해는 다음과 같다.

= exp(− )


ü 위의 해석 해를 근거로, 파랑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조건에서 수렴하는


해안선 위치  는 해빈 반응 계수  에 의해 결정된다. 해빈 반응 계수  을
구하는 근사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Kim et al., 2018).

/ 

 ≅
16  / − 

여기서, 다음의 비례 상수가  = 1.51 / 제안되었다.

159

4.3.4  및  예측
a) 해빈 반응 계수 
∆y
ü 평형해빈단면을 적용하면 쇄파점에서
입사파랑만큼 후퇴하는 침식폭 ∆을
해빈축척계수  의 함수로 구할 수 있으며,
고파랑대(high wave range) 내에서 적용되는
 (m unit)에 대한 다음 근사해 공식이 제시된다.

/  
 = = 0.115/
16  / − 
 = 6 m, and  = 1.51을 적용하여
 = 0.55, 

 /
= 1.84를 얻는다.

b) 해빈 반응 계수 
ü 한국 동해안에 대한 10년 모래 입경(sand
grain size)과 계절별 해안선 관측 자료를
근간으로  / 의 관계가 얻어질 수 있으며,
평형해빈단면에서 얻은  결과를 적용하여 다음
 (1/일 단위)를 구하였다.
20 5/  2.3 /
 = /
= /
=
(1 + 14 ) 4(1 + 14 )  / − 
 (1 + 14/ )

160

80
2023-08-29

c) 해안선 변동성으로부터  및  의 예측
ü 배경침식이 없는 해안정선은 옆의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변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ü 동해안의 모래 입경과 계절별
해안선 관측 자료를 분석하면 또한
아래 좌측 그림과 같이 해안선
변동성의 표준편차 와
모래중앙입경  와의 관계를
얻는다.
ü 배경 침식이 있는 자료는
표준편차가 달라진다. 아래 우측
그림은 배경 침식율에 따른
표준편차의 변화를 보여준다.

161

4.3.6 해빈 단면의 동적 변화
ü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이므로 해안정선(shoreline po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구하려면 조차 영역에서의 해빈단면 변화도 살펴야 한다.
평형해빈단면식에서 미분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얻어진다(Lee et al.,
2022).
2 2
ℎ =  /  ⇒ ℎ = /ℎ/ 
3 3
ü 위의 관계를 SLRM에 적용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3ℎ/ ℎ 
 − ℎ ⇒
ℎ/
=  ℎ
2  
/
=  (ℎ − ℎ/ )

여기서  은 수심이 평형 수심으로


수렴하도록 하는 수렴 계수(convergence
factor)로, 해안 정선에 적용되는
해빈회귀계수  과 동일한 값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 결과는 해안선으로부터의
이안거리  와 수심 ℎ 사이에서
평형해빈단면이 유효하다는 가정 하에
얻어진 것이다.

162

81
2023-08-29

4.3.7 평형 수심 추정(estimation) ℎ


ü 평형해안단면식은 수심이 낮은 지역에 적용된다. 그러나 고파랑 (storm
waves)으로 인한 폭풍해빈의 경우, 파랑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평형해빈단면이
적용되는 천해역(shallow water region)이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천해역보다
외해에서는 직선형의 해빈단면이 형성되며 평상해빈(normal beach) 형태로
수렴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파위상포텐셜(wave phase potential)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되며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ü 파위상포텐셜(wave phase potential)은 파위상의 (the wave phase) 적분을 취한


물리량으로 파위상포텐셜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파랑이 진행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해안으로 유입되는 파랑의 파위상포텐셜은 다음과 같이 파수  로
표현된다 :  = ∫ (ℎ)

여기서 파수는 각주파수(angular frequency)  로 정의되고 파의 속도(phase celerity)


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ℎ) = /

ü 천해 영역(shallow water)에서의 파수와 평형해빈단면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파위상포텐셜(wave phase potential) 와 평형 수심 ℎ 간에 다음과 같이 직선적인
비례관계를 가진다.

 /
ℎ = 


여기서 파위상포텐셜(wave phase potential)이 해안선에서 연안 방향으로 정의된다.

163

ü 그러므로, 파위상포텐셜(wave phase potential)은 추정을 통하여 평형에


수렴하는 해빈 단애(scarp)나 해빈단과 같은 해저면 변화의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ü 천해와 달리, 심해에서 파의 속도 (phase celerity)  는 아래와 같이 파랑


각주파수 의 함수로만 표현될 수 있으며, 심해에서 심해에서의 일정한
해빈단면경사  은 파위상포텐셜 개념으로부터 설명될 수 있다.

 =  

ü  와 ℎ 간의 관계를 적용하면 은


다음과 같이  와 의 함수로 표현된다.
3  3   1
=  or  = /
= 0.7477 / m
4 
2
여기서, 해저면 경사는 1:  으로 표현된다.
ü 이러한 결과는 해빈에서 채취한 중앙 입경  을 사용하여 얻은 단면축척계수
를 적용하면, 입사하는 파랑 주기 에 따라 원빈으로부터 근빈 그리고 전빈에
이르기까지 전 해빈단면이 수렴해야 하는 평형수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64

82
2023-08-29

165

166

83
2023-08-29

잔잔한 바다에 갑작스럽게 쇄파시점에서 5m 유의파고를 보이는 폭풍파가 6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입한다면 최대 침식폭은 얼마로 추정되는가? 그리고 파랑이 갑자기 멈췄다고 가정하면 최대
침식폭으로부터 회복되어 5일 후의 해안선 위치는 초기 해안선 위치에 비하여 얼마나 침식된 상태인 지
추정하시오.  = 0.0845  로 가정.

167

4.4 범용적 해빈단면의 지배방정식


4.4.1 쇄파대 해빈단면변화 식의 유도
ü Kriebel and Dean(1993) 은 쇄 파 대 내 에 서 의 에 너 지 소 산 이 해 빈 단 면 을
지배한다고 가정하고 물질보전법칙에 준하여 equlibrium beach profile로
수렴되며 longshore sand bar가 형성되는 해빈단면 지배방정식을 제시하였다.
ü Anasya et al.(2019)는 수심변화가 다음과 같이 모래의 침식과 퇴적의 수직적
거동에 의하여도 equlibrium beach profile로 수렴되는 다음 지배방정식을
제안하였다.
ℎ
=  −  =   −  

ü 여기서  는 침식 계수(erodibility coefficient), 는 해저면 전단응력,  는
저면에서의 부유사 농도 그리고  는 식생 증산이나 펌핑에 의한 추가적인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부유사의 침강속도이다.
ü 전단응력 와 해저면 부유사 농도  는 부유사의 침식 및 퇴적 작용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물리계수의 함수로 Anasya et al.(2019)에 의하여 surf
zone내에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ℎ/  ̅  ̅
= and  = ℎ for ≫1
8    

168

84
2023-08-29

ü 이수식을 적용하면 해빈을 따라 수심이 변하는 다음 지배방정식을 얻는다.



  
=ν − ℎ
 
⁄
/     ̅ 3
ü 여기서 = and  = 이고 해빈축척계수로는  =
  5

4.4.2 범용적 해빈단면 변화식의 유도


ü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침식은 해빈의 전 영역에 걸쳐 침수로 인한 해수면
아래 해저면에서의 표사이동을 유발한다.
ü 그리고 배후지 식생 증산 및 인위적 펌핑에 의한 침강 흐름 발생 기술은 첫째,
해수면상승에 따라 달라진 평형해빈단면을 회복하려고 발생하는 횡단표사량
∆ 를 흡수하여 침수침식을 억제하고 둘째, 해빈축척계수 를 키워 침수침식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ü 따라서 해빈축척계수 를 해저면 모래의 침식조건, 침강조건, 부유사농도조건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Anasya et al.(2019) 모형을 해빈 전영역에 걸쳐
적용할 수 있도록 파위상포텐셜 개념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보완하였다.

ℎ 5 ℎ
= − ℎ
 4  

ü 여기서 는 파속으로 천해에서는  = ℎ이며 심해에서는  = 1.56이다.

169

4.3.3 해수면 상승에 따른 횡단표사 발생


ü파위상포텐셜에 따르면 파랑 유입 환경에 따라 해저지형은 평형해저지형을
갖는다.
ü따라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면 새로운 파랑환경이 조성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해빈단면에 형성된다.
ü그러나 파랑 유입환경이 변하지 않고 해수면만 상승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새로 형성될 해빈단면은 해수면의 상승하기 전에 형성되어 왔던 해빈단면과
비교하여 해수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해빈단면의 형상을 가질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ü이러한 가정하에서 원빈에서 일정 경사를 갖고 이 지점에서의 수심은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해수면이 상승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심 ℎ의
변화로부터 외해 방향의 횡단표사량∆ 가 어떻게 발생하는 지를 아래 수식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

ℎ  ∆ℎ ∆∆
− =0 ⟹ − =0
  ∆ ∆

ü따라서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수심의 시간적 변화율 ∆ℎ / ∆ 이 주어지면 일정


∆값을 갖는 grid마다의 횡단표사량 ∆ 가 matrix 연산을 통하여 구해진다.
ü여기서 횡단표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 해빈단에서의
횡단표사량은 0으로 취급한다.

170

85
2023-08-29

ü 여기서  = ΔΔ ℎ ⁄Δ 로 두고 (upstream  이 알려졌다면 아래와 같은


연안표사량 를 추정하는 matrix 연산 식이 도출된다.

1   + 
−1 1  
∶ ∶ = ∶
 
−1 1
 
−1 1

ü 아래 그림은 격자당 부여된 해빈단면 수심 위치와 횡단표사량 벡터 위치


모식도를 보여준다.

격자별 수심 변화에 따른 횡단표사량 벡터의 추정

171

ü 동해안 반암해변과 서해 만리포해변의 현재 해빈단면에 대하여 해수면 상승에


따른 횡단표사 벡터의 경향을 구하면 아래와 같다.

Δy=m·ΔS

동해안 ΔS
지형단면

Banam Beach
1
m

서해안 Δy=m·ΔS
지형단면

ΔS

Mallipo Beach
1
m

172

86
2023-08-29

4.3.6 횡단표사 제어효과-펌핑에 의한 횡단표사 제어  = 0.15/

ü 현재 동해안(반암해변) 평균 해수면 아래 수심 1.2m 지점에 높이 ∆h의


횡단표사 barrier 설치에 따른 침수 침식 제어 효과
ü 표사방지턱은 돌망태, 굴패각망태, 수중식생 등으로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 = 5 / and  = 0.25 / for −1 ≤ ℎ ≤ 1 §  = 5 / and  = 0.25 / for −1 ≤ ℎ ≤ 2


2 2
1 1
0 0
Elevation (m)

-1 -1

Elevation (m)
-2
-3
initial -2
initial
-3
-4 final -4 final
-5 -5
-6 -6
-7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7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offshore (m) offshore (m)

§  = 5 / and  = 0.5 / for −1 ≤ ℎ ≤ 1 §  = 5 / and  = 0.5 / for −1 ≤ ℎ ≤ 2


2
2
1
1
0 0

Elevation (m)
-1
Elevation (m)

-1
-2
-2
initial -3
initial
-3
-4 final -4 final
-5 -5

-6 -6

-7 -7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offshore (m) offshore (m)

173

4.3.6 횡단표사 제어효과-동해안 표사방지턱에 의한 침수침식 저감

ü 현재 동해안(반암해변) 평균 해수면 아래 수심 1.2m 지점에 높이 ∆h의


횡단표사 barrier 설치에 따른 침수 침식 제어 효과
ü 표사방지턱은 돌망태, 굴패각망태, 수중식생 등으로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ℎ = 0.0 § ℎ = 1.2 and ∆ℎ = 0.5

§ ℎ = 1.2 and ∆ℎ = 0.3 § ℎ = 1.2 and ∆ℎ = 0.8

174

87
2023-08-29

ü 현재 서해안(만리포해변) 평균소조만조위(HWONT) 아래 수심 0.4m 지점에


높이 ∆h의 횡단표사 barrier 설치에 따른 침수 침식 제어 효과를 모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ü 비교적 해안선 가까운 곳에서의 barrier 설치가 큰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수치
모의를 통하여 해수면 상승에 따라 적정 barrier 높이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ℎ = 0.0 § ℎ = 0.4 and ∆ℎ = 0.75

HWONT

Mallipo Beach

§ ℎ = 0.4 and ∆ℎ = 0.5 § ℎ = 0.4 and ∆ℎ = 1.0

175

Exercise 4.7
원빈 경사  가 40인 해안에서 0.5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횡단표사 발생으로 침수침식 폭이 20
후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돌망태를 수심 2지점에 높이 0.3로 설치한다면 그
배후에서 최대 얼마만큼의 침수침식 폭 감소를 예상할 수 있는가? 단, 수심 2 주변에서의 해빈 경사
은 1:50로 가정.
SOL 돌망태를 설치하여 수심 2 지점이 0.5의 해수면 상승으로 수심이 2.5가 되었다. 만약
해수면 상승 높이만큼 돌망태를 높인다면 원빈에서의 경사가 제약조건이 아니라 돌망태를 두는
수심에서의 경사가 제약조건이 된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과 함께 돌망태 배후에 모래가 0.5씩
쌓이면서 해수면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존 해빈단면 경사가 유지되며 해안선 후퇴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이 0.3로 설치한다면 일부 횡단표사를 허용하여 침수침식이
발생한다.
마치 2.0 수심에서부터 해안선까지의 이격거리 . 보다 2.2 수심으로부터 해안선과의
이격거리 . 간의 차이만큼 아래 식과 같이 침수침식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돌망태 를 2지점에 높이 0.3로 두는 경우 10의 침수침식 저감 효과가 발생하였다.
 =  −  ≅ − ℎ − ℎ = −50 × (2.2 − 2.0) = 10

176

88
2023-08-29

Exercise 4.8

아래 식은 범용적인 해빈단면 변화식이다. 원빈에서 평형해빈 단면이 일정 경사를 갖는 지를 보이시오.

ℎ 5 ℎ
= − ℎ
 4  
SOL 수심이 변하지 않는 상태가 평형에 도달한 평형 수심이므로 식의 좌변이 0이된다고
가정하고 원빈에서의 수심을 심해로 가정하면 싱의 우변은 아래와 같이 단순화된다.

ℎ 
0.6226 = ℎ
 
⁄
3  5
그리고  = 이므로 =  ⁄ 를 적용하면, 다음 결과를 얻는다.
5  3

ℎ 2.677 ⁄ ℎ
2ℎ = 
 
∆ 
따라서 원빈에서 일정경사를 보이는  = = 0.7477 의 결과를 얻는다.
∆ /

177

4.5 단기 파랑(파고-주기) 시나리오


4.5.1 지속시간 해안선 위치 Duration-limited Shoreline Position (DSLP)
ü Kim et al(2021)은 40년에 걸친 NOAA 관측 자료로부터 Storm Wave Scenario
Function(SWSF)을 제안하였고, 동해안 맹방해수욕장에 대한 SWSF를 적용하고 얻은
해안선반응모델(SLRM) 결과와 해안선 자료를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
(Duration-limited ShoreLine Position)식을 제시하였다.

    
 = 
 
여기서  및  은 각각  및  의 단위를 가지며, 3 개의 계수  ,  , 및  의 값은
각각 1.5, -0.275 및 0.911이다.

178

89
2023-08-29

4.5.2 단기 회복침식 포텐셜


ü EEPA는 폭풍으로 인해 단기 침식되는 해빈표면적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폭풍우가 몰아친 후, 해빈 단면이 초기 해안선으로 점진적으로 회귀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ü 재현 빈도에 따라 EEPA는 달라지는데 30년 빈도의 고파랑에 의해 침식된 해빈


영역을 단기침식포텐셜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30년 빈도 입사파랑 정보를
DSLP식에 적용하면 단기침식포텐셜폭(EEPW; Episodic Erosion Potential Width)를
구할 수 있으며, 이 값은 EEPA를 해빈 길이로 나눠 근사적으로 구한다.

ü 우측 그림은 우리나라 맹방해수욕장 부근에 대해 40년에 걸친 NOAA 자료를


이용하여 얻은 극치분석(쇄파점에서의 유의파고) 결과이다. 30년 재현 빈도에
해당하는 빈도(frequency)는 F=1/30이다

ü DSLP 값은 해빈 모래 입경과 근빈에서의


수심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 년에
걸쳐서 입경 조사 및 수심 측량을 수행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ü 또한, 파랑변형 수치모델을 통해 해안을


따라 수심의 영향을 받는 좀 더 정밀한
쇄 파 고 (wave breaking height) 를 얻 기
위해서는 파랑변형 수치모형의 도움이
요구된다.

179

4.6 해빈 단면 변화 예측
4.6.1 해안선 위치 변화

a) 뉴질랜드 북섬, 타이루아 비치 b) 맹방해안에의 적용


ü Lim et al. (2021)은 10년 이상 ü Lim et al. (2022)는  로부터  와
관측된 장기 파랑 및 해안선 자료가  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아래
있는 뉴질랜드 타이루아 비치 (Tairua 그림과 같이 예측한 결과를
Beach)에 SLRM 예측 모델을 관측자료와 안정선의 후퇴(retreat)와
적용하여 구한 해안정선(shoreline 회귀(recovery)가 잘 재현됨을
position) 수치 모의 결과를 얻었으며 보여주었다. 조차가 작지만 조위와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약 74% set-up의 영향이 포함되었다.
유사성을 보임을 밝혔다.

180

90
2023-08-29

4.6.2 해빈 단면 변화

a) 뉴질랜드 북섬, 타이루아 비치 b) 적용 Application


ü Lee et al. (2022)는 파위상포텐셜 ü 조수간만의 차가 큰 우리나라
개념을 적용하여 조차가 큰 해안에 서해안의 만리포해수욕장에 적용하기
적용가능한 해빈단면변화모형을 위해, 현장 관측을 수행한 후 모형
개발하였으며, 뉴질랜드 Tairua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러나, 낮은
Beach의 조위 및 파랑 자료를 적용한 파고로 인해서, 현장 관측으로 모형의
모형 결과를 CCTV로부터 추출된 타당성을 조사하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해안정선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약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77% 유사성을 보임을 밝혔다.

181

Exercise 4.9

182

91
2023-08-29

Exercise 4.10

183

Exercise 4.11

184

92
2023-08-29

Exercise 4.12

185

Assignment # 4 Problem 4.1 Beach Scale Factor

Find the settling velocity of the sand with a medium grain size of  = 0.55 mm and
estimate the beach scale factor  from this value. Compare it with  obtained from
Dean's table. The kinematic viscosity coefficient  = 1.0 × 10  / and the specific
gravity  = 2.65.

중앙입경  = 0.55 mm 인 모래의 침강 속도를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해빈축척계수 A를 추정하시오. Dean의 표로 구한 A와도 비교하시오. 동점성계수 
= 1.0 × 10  / 와 비중  = 2.65이다.

186

93
2023-08-29

Assignment # 4 Problem 4.1 SOL: Beach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Dean’s table,

 = 0.55   →  = 0.1670 /

Using van Rijin formula,

10
 = 1 + 0.01∗ . − 1 = 0.078 / = 7.8  /


→  = 0.067 . = 0.067 × 7.8 . = 0.1654/ (smaller than Dean’s table)
   /
Here, ∗ =  = 13.91 m


187

Assignment # 4 Problem 4.2 DSLP

The erosion width of a 30-year return period was found to be 33 m from a long-term
shoreline survey of a certain coast. 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sand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 = 0.74 mm on average. Calculate the deep water wave height for a 30-
year return period entering this beach. The average annual average wave height is assumed
to be 1 m, and the breaker index is applied as 0.65.

어느 해안의 오랜 기간의 해안선 조사로부터 30년 return period의 침식 폭이 33m인


것으로 계산되었 다. 그리고 모래 입경을 조사하니 평균적으로  = 0.74 mm를
보이고 있다. 이 해변에 유입되는 30 년 빈도의 심해파고를 계산하시오. 연평균
평균파고는 1m로 가정하고 쇄파 계수는 0.65를 적용한다.

188

94
2023-08-29

Assignment # 4 Problem 4.2 SOL: DSLP

According to the Dean’s table,  = 0.74   →  = 0.1886 /

/ 
 20 
 = = 0.0131  and  = = 0.1217  
16  / − 
 1 + 14.

  .
     . 
 =  = 1.5 = 33 
  1 

/
1.56 

 = .  →  =  
 ℎ  = 10 
9.81 16
2
0.65

If we calculate the equation, we get  = 8.83 

189

Assignment # 4 Problem 4.3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The buffer beach is only remained 20m wide due to beach encroachment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traffic road.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is plan to be
placed on the beach of slope 1:40 to prevent damage to the road from the episodic
erosion of the 30-year return period.
What should be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of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for
wave incidence of Hs=7 m and Ts=11s in the deep water to prevent damage to the
road? The average annual wave was 1 m and the medium grain size of the original
beach was 0.6 mm.

해안도로 건설로 인한 해빈 잠식으로 완충 해빈이 20m 폭 밖에 안남았다. 해빈


경사가 1:40인 이 해 빈에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를 두어서 30년 return
period의 단기 침식으로부터 배후 시설 의 피해를 막으려 한다. 심해 파고 7m,
주기 11초에 대하여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의 전달 율을 얼마로 해야
배후 시설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하는가? 연평균 파랑은 1m이고 원 해빈의
모래 입경은 0.6mm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190

95
2023-08-29

Assignment # 4 Problem 4.3 SOL: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According to the Dean’s table,  = 0.74   →  = 0.1886 /


 = 7   = 11  tan  = 1/40
ℎ 0.9664ℎ
 = ℎ = =
1 + ℎ /(  ) 1 + 16.54ℎ /(9.81 × 11 )
where  = 43.75 × 1 − exp −19 tan  =
16.54
 = 1.56/(1 + exp(−19.5 tan )) = 0.9664
1.56 1.56 × 11
 =  = ×7
2 ℎ  .  2 9.81 × ℎ .
By Iterration, we obtain, ℎ = 7.9330  →  = 6.9034  and  = 0.8702

/ 
 20 
 = = 0.0240  and  = = 0.2232  
16  / − 
 1 + 14.
  . 
     . 
 =  = 1.5 ×  < 20 
  1  16

Therefore,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of submerged detached breakwater should be


0.8473 or smaller.

191

Assignment # 4 Problem 4.4 SOL: Beach Nourishment

After an estuary dam was built on the beach, which originally had a beach width of
50 m, the background erosion occurred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sediment
from the river, and it was reduced to 30 m. Examine how many meters wide beach
nourishment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facilities of beach hinterland from an
episodic erosion of 30-year return period. The sand medium grain size of the target
beach is 0.47 mm, and the deep-water wave height of 30 years return period is 7.5
m. Assume that the average wave height is 1 m.

원래 해빈 폭이 50m이었던 beach가 하구 댐을 건설한 후 하천으로부터의 유사량


감소로 Background erosion이 발생하여 30m까지 감소하였다. 30년 재현빈도의
고파랑으로부터 배후 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Beach nourishment를 최소한 몇 m
폭 이상으로 실시해야 하는 지 검토하시오. 대상 해빈의 모래 입경은 0.65mm이며
30년 빈도 심해 파랑은 7.5m로 파악되었다. 평균파고는 1m로 가정하시오.

192

96
2023-08-29

Assignment # 4 Problem 4.4 SOL: Beach Nourishment

According to the Dean’s table,  = 0.47   →  = 0.1562 /

/    
 = = 0.0071  and  = = 0.0762  
   /
 .
 
 ℎ  = 0.55
/
1.56 

 = .  = 7.1254 m →  =
9.81 16
2
0.65

= 3.1732 m  
 ℎ  = 12 

  .
     . 
 =  = 1.5 = 36.8960 
  1 

Therefore, beach nourishment should be applied wider than 6.8960 m.

193

194

97
2023-08-29

CHAPTER V SHORELINE
DEFORMATION
5.1 Equilibrium Shoreline Equation
5.2 Shoreline Prediction by MeePaSoL
5.3 Erosion Potential of Shoreline
Deformation
5.4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5.5 Shoreline Management by Groin
5.6 Equilibrium Shoreline Prediction by EWPP
5.7 Short-term Wave Angle Scenario
195

5.1 평형 해안선 경험식(Equation)


5.1.1 평형 해안선 형태
ü 19세기 초부터 많은 해양 지질학자, 지리학자 및 엔지니어들은 곶-만 해안의
해안선 형태가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밝혀보려 노력해 왔다. 연안역 표사 이동
과정(coastal processes)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우선적으로 만 주변부의 일부 또는
전체 형태를 맞추기 위해 1940년대부터 간단한 경험식이 도출되어 왔다.
ü 이 중 logarithmic spiral equation (Yasso,
1965),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경험식(Hsu and
Evans, 1989), hyperbolic tangent equation
(Moreno and Kraus, 1999)이 정적 평형을
이룬 headland bay beaches 에의 적용을
위하여 제안되었다.
ü 그러나 이 같은 모형들 중 어느 것도 모양을 형성하는(developed the shape)
물리적 과정으로부터 직접 도출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들은 해안선 형태를
근간으로 경험적으로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파랑 변형에 따른 해안선 반응과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196

98
2023-08-29

5.1.2 Hsu의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경험식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PBSE)
ü Hsu and Evans(1989)는 "정적 평형"이라는 용어를 해빈 상태로 정의했다. 여기서,
곡선형 해안선은 지속적으로 너울이 일정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상태에서, 하천
유사량의 영향을 배제하고 쇄파가 만을 따라 거의 유사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ü Hsu and Evans(1989)는 정적 평형을 이뤘다고 판단되는 27개의 bay beaches


혼합 사례(14개의 원형(prototype) 및 13개의 실험실 사례)의
평형해안선(planform)을 분석하여 2차 다항식 (a second-order polynomial)
포물선형 방정식을 제안했다.
  
() =  +   ⁄ +   ⁄ for  ≥  () = for  < 
   

197

5.1.3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경험식(PBSE) 입증


ü Lim et al. (2019)은 실제 현장의 파향
분포와 파랑 회절을 간단한 구조물
배후에 적용하여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경험식 (PBSE)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파향분포는 동해안 맹방해수욕장에서
관측된 파랑 자료를 그리고 연안
표사량은 CERC 공식을 적용하였다.

ü 비교연구에 적용된 해안구조물은 Γ형


방파제로 이를 적용하여 얻은 해안선
형태와 PBSE사이에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다른 가 적용되면
간과할 수 없는 차이가 발생하므로 Hsu의
공식을 사용할 때는 신중하게 적용해야
한다.

ü 그러나 대부분의 PBSE를 우리나라


평형 해안선에 적용하였을 때 대부분
만족할 만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198

99
2023-08-29

5.1.4 근사해 (Approximate Solution)


ü 수중방파제로 인한 해안선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Hsu et al. (1987)의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경험식(PBSE)을 적용할 수 있다. PBSE의  이 Breakwater Crest line

0에 가까울수록, 다음과 같이 PBSE 근사치를


적용할 수 있다.
Initial SL
 
() = Equilibrium SL
sin  

(a) 이안제 + 돌제

ü 이안제와 돌제가 함께 설치되면, 회절파의


영향을 받아 해안선에 의해 새로운 평형
해안선이 형성된다. PBSE에 따르면 방파제
배후에서의 연안 표사 이동(LST)이 방파제를
향하여 발생한다.

ü 해빈 초기 면적과 돌제와 함께 축조된 평형


해안선이 적용된 면적이 유지되면, 침식폭  에
대한 해는 다음과 같다.
1 1
 = tan  −
     − 
= ∶

 = 1 + tan /tan
199

(b) 이안제 - 종형사주 (Salient)


ü 종형사주는 이안제에 의한 퇴적으로 인하여
해안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퇴적지형을 의미함.

ü 이안제로 인하여 종형사주 형성에 대한 해빈


초기 면적과 평형 해안선이 적용된 면적이
유지되고 가정하면, 침식폭  에 대한 해는
다음과 같다.
 − ( −  /2 tan )
γ=
=
  
∶ 

 = 1 + γ tan /tan

(c) 이안제 - 육계사주 (Tombolo)


ü 육계사주는 종형사주가 연장되어 해안부근의
섬 혹은 구조물과 연결되었을 경우를 의미함.

ü 이안제로 인하여 육계사주(Tombolo) 형성에


대한 해빈 초기 면적과 평형 해안선이 적용된
면적이 유지되고 가정하면, 침식폭 에 대한
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1 1


= := −
   

200

100
2023-08-29

201

Exercise 5.3

[Exercise 5.1]에서 방사제가  = 90 로 놓여 있다면 미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10의 침수침식에


의하여 방사제를 따라 해안선은 얼마나 후퇴하게 될 것인지 추정하시오.

SOL
침수침식 전과 비교하여 침수침식 후는 Focus 지점 와 initial shoreline간의 이격거리 를
늘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 은 다음과 같이 변화가 발생한다.
 200 200
tan  = = ∴  = tan = 11.31
 1000 1000
 210 210
tan  = = ∴   = tan = 11.86
 1000 1000
그리고 Hsu의 평형해빈단면식으로부터 θ = /2에 대한 은 아래 식과 같다.

   210 2
 = = = 128.15
2 sin   sin  3.14
   210 2
 = = = 134.65
2 sin   sin  3.14
그러므로 침수침식 발생으로 방사제 지점에서는 해안선이 10보다 작은 6.5 발생하였다.

202

101
2023-08-29

203

5.2 MeePaSoL을 통한 해안선 예측


5.2.1 해안선 특성
a) 해안지형의 영향을 받는 해안선

ü 해안선은 대부분 직선이 아니지만, 곶과 같은


주변 해안지형의 영향을 받으므로 정적인
상태에서 해안선 형태가 오목한 (concave)
형상을 보인다.
ü 이 오목한 형상의 해안선은 이미 평형 상태에 Shorelin
도달한 것으로 불투과성 경계를 이룬다. e angle
ü 오목한 형상의 대표적인 곡선은 원형
곡선으로 해안선을 이에 fitting하고
직교좌표에서 표현된 PBSE의 직선적 해안선으로
간주하는 방법이 적용가능하다. 즉 일반
해안선을 극좌표계(polar coordinate system)로
변환하면 PBSE의 적용이 가능하다.
ü 데카르트 좌표계에 정의된 PBSE 공식을 Asymp. Coeff.

극좌표계로 변환시키고 PBSE 방법론을 적용하면 Oregon: 0.39

대부분 오목한 형상을 보이는 해안선의 변형에 West: 0.47

확대 적용할 수 있다. East: 0.36

=Circle radius of fitted to beach shoreline circle


=Dominant angle of incident waves (from a circle center Correlation between Main
Angles and Circle Radiuses
Correlation between Beach Lengths
and Circle Radiuses

to a beach center)

204

102
2023-08-29

b) 극좌표로 변환
ü 극좌표계는 중심점(기호 O)을 중심으로 실제 해안선을 가장 잘 fitting하는
arc/circle을 평형해안선(static equilibrium planform) (SEP)으로 간주한다. 그림은
여러 점으로 연결한 해안선을 가장 잘 fitting한 원형 해안선을 나타내며, 는
PBSE의 상류 제어점(control point)이고 F 는 파봉회절점(focus)이다. Fitted
arc/circle은 극좌표계 중심 로부터 정적 평형을 이룬 평형해안선 (SEP)까지의 반경
거리  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r =  +  sin 그리고 
′ =  Φ =  cos

그리고 극좌표계의 또 다른 각(angle) 변수 Φ 는 다음과 같다.

  
Φ=
    

여기서  는 극좌표계 중심점으로부터


파봉회절점이 놓인 ( , 0)까지의 거리이다.

205

Exercise 5.4

206

103
2023-08-29

Exercise 5.5

207

Exercise 5.6

208

104
2023-08-29

5.3 변형침식 포텐셜(REPA)


5.3.1 파랑장 변화(연안표사 발생)에 의한 해안선 변형
ü 연안해역의 개발로 파랑장(wave field)이 변하면 해안선이 변형된다. 모래의 양은
유지되지만, 이 같은 순연안표사이동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침식이 발생되는데
이는 REPA를 초래한다. 여기에서는 힘의 균형에 바탕을 둔 평형해안선 경험식에
의하여 정량화된다.
ü PBSE을 통해 예측된 만 형(bay shape formation) 해안선 변화는 연안표사이동을
발생시켜 하류 침식과 상류 퇴적을 동시에 초래한다.
ü 최근에 Lim et al. (2021)은 극좌표계가 있는 PBSE의 적용 가능성을 오목한
형상의 해안선으로 확장했다. 현재, 실제 현장의 평형해안선을 아래 그림과 같이
기존 해안선과 평행하게 예측된 만 형의 하류 부분을 육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퇴적
면적  
 와 침식 면적  를 동일시하여 추정할 수 있다. REPA인 퇴적 면적은 다음과
같이 무차원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     
= cot   + cot  + ( − )
       

여기서,  는 주파봉선(dominant crest


line)과 방사제 사이의 각도이다.

209

ü 앞 슬라이드에서 언급된 무차원 REPA 방정식을 90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근사적인 결과를 얻는다.
0

80

70
 28.8
≅  − 0.004 ( units: degrees) 60
  50
0.0
5
0.1
ü REPA의 함수  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40
0.
15
0.
2

30
.
 ≅   − 0.004 ( units: degrees) 20

10

ü REPW  는 퇴적면적  을  로 나누어 계산할 20 40 60 80 100 120


수 있다.  은 파봉회절점(focus)로부터 하류 해안의 '
Diagram for determining dimensionless
가장 먼 지점까지의 길이 또는 침식 구간의 해안선 
REPA ( ) ranging from 0 to 10
길이로 간주할 수 있다.

210

105
2023-08-29

Exercise 5.7

211

Exercise 5.8

212

106
2023-08-29

5.4 연안표사이동
5.4.1 CERC 공식
ü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연안표사량(LSTR)  은 파력과 관련 깊은 물리량으로 해빈
단위 길이당 wave power  사이의 상관 관계로부터  = C (Ingle, 1966; Komar
and Inman, 1970)로부터 추정되고 있다. 여기서 는 차원을 가지고 있는 상관
계수이다.
ü 사용 가능한 다양한 LSTR 모형들(energy flux, energetics 및 부유사 이동 모형 등)
중에서 CERC 방정식(CERC, 1984; in Shore Protection Manual, 1984)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  

 = = cos  sin 
( − )(1 − ) ( − )(1 − )

여기서,  =  cos  sin  이 얻어진다.




213

ü 는 연안표사계수로서 다음 식들이 적용된다.

§ Swart (1976)에 의하여 모래중앙입경  ( unit)로 표현된 식:

§ del Valle et al. (1993)에 의하여 모래중앙입경  (  unit)로 표현된 식:

§ Coastal Engineering Manual (2002)에


의하여  (  unit)로 표현된 식:

§ 최근 제시된 Coastal Engineering


Manual의 결과와 가장 잘 맞으며
해빈축척계수 로서 표현되도록 Lim et al.
(2023)에 의하여 제시된 식:

0.005
≅


214

107
2023-08-29

5.4.2 Parameter Investigation


ü 동해안과 서해안의 모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동해안은 포말대 근처에서 비중
=2.65, 공극률 =0.42, 서해안은 비중 =2.65, 공극률  = 0.39 로 나타났다.
ü CERC 방정식에서  = ℎ , 비중 , 공극률 과 같은 파랑 상태와 무관한 값을
상수 ′ 로 분류되어 (grouped) 다음과 같이 연안표사량( ) 을 구한다.

/
CERC formula :  =    sin 2

 /
여기서,   = , 그리고 평균값  = 0.4 이 한국 해안 sediment에
()()
적용되어서, ′ = 0.172이 계산된다.  = 0.77,  = 0.78 및  = 2.65 이 적용되었다.

ü CERC 방정식을 개선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또한 수행되었다.

• 예를 들어, Kamphuis(1991)는 'Kamphuis(1991) 방정식'이라고 하는 중앙입경(median sand grain)


와 해안의 경사를 포함하는 LSTR 방정식을 제안했다’.
• Mil-Homens et al. (2013) 역시 파랑 에너지가 낮은 해안에서 채취한  이 0.6 mm이거나 혹은
그 이하인 250개의 현지 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Kampuis(1991) 식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 van Rijn(2014)은 조약돌이나 자갈이 있는 해안에 대한 LSTR 식을 제안했다. 또한, 22개의 신뢰할
수 있는 현지 계측자료와 비교하여 여러 LSTR 방정식들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van Rijn,
2002, 2014).
• Samaras and Koutitas(2014)는 하천 어귀 근처에 일어나는 해안선 변화에 미치는 방정식들의
영향을 연구했다.

215

5.4.3 돌제(groin; groyne)에 의한 연안 표사 통제


ü LSTR은 관개 용수로의 subcritical flow 와 같이 하류에 위치하는 이안제, 방사제,
곶 등의 구조물에 의해 조절되며, 상류에까지 LSTR이 영향을 미친다.
ü 아래 그림은 직선적인 해안에 돌제가 설치되었을 때 해안선의 변화에 의한
연안표사량(LSTR)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돌제로 인한 파랑 회절의
영향은 무시되었다.
ü 연안표사의 우회(bypassing)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해안선은 A지점에서 전진하고
A'지점에서 후퇴하며, 연안표사가 제어되지 않고 우회(bypassing)가 발생하게 되면
전 구간에서 평형에 도달하고 LSTR에 의한 퇴적과 침식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시점에 이른다.

216

108
2023-08-29

ü 아래와 같이 동일한 3개의 돌제를 짧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해안선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검토해 본다.
• (a) 바이패싱 없음: 원래 직선형이었던 해안에서 파랑의 방향이 바뀌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안 표사가 발생한다. LSTR은 돌제들을 전혀 우회하지 않기 때문에, 돌제들 (G1, G2, G2, G3)
사이에서 모래의 양 또는 해빈 표면적 (beach plane area)은 보존된다. 그러나, G1의 좌측에는
LSTR이 퇴적되어 해안선이 상승하며 G3의 우측에는 침식이 발생한다.
• (b) G1 통과 바이패싱 : G1좌측 해안선이 전진하여 G1 끝단에 도달하면 바이패싱이
발생하고, G1과 G2 사이에 모래가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해안선이 전진한다. 그리고 전진한
만큼 G3 우측에 침식이 더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G2와 G3 사이에는 변화가 없다.
• (c) G2 통과 바이패싱 : G2를 통과하는 바이패싱이 발생하면 G2와 G3 사이에도 모래가
공급되어서, 여기에서도 해안선이 전반적으로 전진한다. G3의 우측에서는 상류에서
바이패싱이 차단된 만큼 침식이 더 많이 발생한다. 바이패싱하기 바로 전에 최악의
침식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 (d) G3 통과 바이패싱: G3도 통과하는 바이패싱 (Bypassing)이 발생하면, G3의 우측에서 더
이상의 침식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입사파의 방향이 바뀌면,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고 해안선이 다시 새로운 파랑 환경에
반응하게 된다.

217

Exercise 5.9

218

109
2023-08-29

Exercise 5.10

219

Exercise 5.11

220

110
2023-08-29

5.5 방사제에 의한 해안선 관리


5.5.1 해안선 경사에 파랑장이 미치는 영향
ü LSTR 공식을 이용하여, 대상 해역의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는 연평균 LSTR을 입사파 방향의 성분에 따라
표현한 파랑장미도는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ü LSTR의 장미도 회전각은 파랑 방향 에
180도(degree)를 더하여 계산된다.
ü 그리고, 북향과 남향의 연안 성분의 균형을 맞추어
정적 평형을 이루는 해안선 경사와 주파향선을 구할 수
있다.
ü LSTR 불균형 현상이 계절별로 발생하면, 해안선의 회전
현상으로 모래 유실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해안선이
후퇴하는 지역에서 해변 침식이 발생할 수 있다.
ü 다음 그림은 NOAA의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만든
맹방해수욕장의 파랑과 LSTR 장미도 (rose diagram)이다.
ü 그림에 따르면, 정동진 해수욕장의 해안선 경사는 43°
이고, LSTR 장미도는 약 38° 에서 균형에 도달했음
보여준다.
ü 외해에서의 파랑 예측에 약간의 오차가 있다고
판단되거나, 해저나 지형의 영향으로 인해 해안에 실제로
유입되는 파랑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ü 근빈에 구조물이 건설될 경우, 이로 인해 일부 파랑이
차단되면 해안선 경사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221

5.5.2 파랑 회절로 인한 해안선 경사


ü Hsu의 PBSE 방정식을 적용하면, 구조물에
의한 회절효과를 근사적이지만 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ü 만약 유입 파랑이 빗각  로 쇄파된다면
이는 PBSE의 근사식으로부터 아래와 같이 의 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쇄파 시점에
파랑 입사각  는 에 의해서만 결정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된다.


 − 
  = 
 + 

ü 아래의 표와 그림은 평형 해안선에 대한


위의 방정식에서  와  의 관계를 보여준다.

쇄파점에서의 빗각  와  의 관계 (단위: degree)

 2.5 5 7.5 10 12.5 15 17.5 20 22.5 25 27.5 30

 30.7 39.8 46.7 52.5 57.7 62.5 66.9 71.2 75.2 79.1 82.8 86.5

222

111
2023-08-29

5.5.3 방사제 하류의 최대 침식 피해가 발생하는 지점


ü PBSE로부터 saddle point(최대 침식 피해가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 및  의 다음 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이 된다.

ü 제어점  의 위치는 경과 시간 와 LSTR  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2  2  2 
 = =
ℎ + ℎ    

= 2     = 2   

여기서, LSTR은  sin 2 × (ℎ + ℎ )에 의해


제공되며,  는 쇄파점에서의 빗각이고,  는
 / 단위를 가지며  (=  )는 의 단위가
된다.
ü 그러나  는 바이패싱이 허용되기 전의 제어점이므로,  와 비교하여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  /tan 

223

Exercise 5.12

224

112
2023-08-29

Exercise 5.13

225

Exercise 5.14

226

113
2023-08-29

5.6 등파위상포텐셜 개념에 의한 해안선 변형 예측


5.6.1 등파위상포텐셜 개념
ü 해빈모래는 준유체로서 파랑에 의한 shear stress를 견디지 못하고 변형하여
shear stress가 없게 되는 상태로 동일 파위상과 해안선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같은 현상에 준하여 해안선 뿐만 아니라 등수심선도 그에 해당되는 등파위상과
나란하게 된다.
ü 등파위상포텐셜(EWPP) 개념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에서 해안선을 포함한 동일
수심 contour선이 궁극적으로 그 수심에 준하는 파위상선 (wave crest line)과
일치하게 된다는 것에 기초한다. 즉, 해저면의 모래가 파랑 작용에 기인한 wave-
induced shear stress를 이겨내지 못하고 유체처럼 변형되어 shear stress가 없는
상태인 파위상과 나란한 상태로 놓인다는 개념이다.
ü 여기서 파위상포텐셜(WPP)이 파위상선과 다른 것은 외해 ( > 0) 에서 potentia이
높고 해안선( = 0)에서 가장 포텐셜이 낮도록 파수(wave number)를 누적시킨
potential 을 의미한다.

  =  

ü 이를 적용하여 해석되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오목한 해변, 수중방파제/수중사주/


수중식생에 의한 배후 해안선 전진 효과, 해사채취로 인한 배후 해안의 침식 현상을
들 수 있다.

227

5.6.2 오목한 해변 (concave beach)


ü 이미 언급하였듯이 해안은 다양한 파향으로부터의 파랑 에너지를 받는다. 아래
그림과 같이 자연 곶(headland/rocky cape)이 양 쪽에 위치하는 경우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모래 해안은 아래 2가지 과정에 의하여 오목한 형태를 이룬다.
ü 첫번째 과정은 아래 좌측 그림과 같이 그러한 지형적 영향으로 주파향이 우측
해안에서는 시계반대 방 향 으로 틀어지고 좌 측 해안 에서는 시계방 향으로
틀어지게 되면서 파위상이 평균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띄게 된다.
ü 두번째는 이렇게 오목한 파위상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양쪽 해안으로
주파향이 틀어지는 파랑 굴절현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안 중심부의 수심은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해안 양쪽은 상대적으로 퇴적에 의해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ü 아래 그림 우측은 MeePaSoL에 의하여 모래로 이루어진 자연 해안의 경우
오목한 형태의 해안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28

114
2023-08-29

5.6.3 해사채취(또는 수중방파제 등)과 같은 수심변화로 인한 배후 해안의 침식


ü 분산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심 변화로
인한 배후 해안의 침식 폭에 대해 아래
이론 식을 얻는다.
∆  ∆ ∆
∆ =  =  = 
2  2   

 = 5  = 6
∆ℎ (m) ℎ = 15 ℎ = 20 ℎ = 15 ℎ = 20

 (m)  / ()  (m)  / ()  (m)  / ()  (m)  / ()

2 156.9 313.8 675.2 1,350.4 53.4 106.8 148.1 296.2

4 101.5 406.0 426.8 1,707.2 32.2 128.8 89.6 358.4

6 84.8 508.8 349.7 2,098.2 25.6 153.6 71.2 427.2

8 77.5 620.0 314.6 2,516.8 22.5 180.0 69.7 557.6

10 73.7 737.0 295.9 2,959.0 20.9 209.0 58.0 580.0

1m 해안침식을 허용하는 해사채굴 깊이에 따른 채굴영역의 폭과 허용 채굴량

229

5.6.3 해수면 상승에 따른 볼록해안(convex beach)에서의 침식


ü 볼록한 해안선을 재현하기 위하여 아래 좌측 그림과 같은 일정해빈단면 해안에
추가수심을 적용하였으며 아래 우측 그림과 같이 파랑 변형 모형을 적용하여
해수면을 상승시키면서 해안선에 해당하는 등파위상포텐셜을 맨 아래
그림처럼 추출하였다.
3
ℎ (, ) = 1 + 0.25( −  ) + 2  −  
250

ü 따라서 양쪽해변이
무한대로 열려있다면
볼록해안의 중심부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침식에 추가로 옆의
그림처럼 배경침식을 겪게
된다.

230

115
2023-08-29

Assignment # 5 Problem 5.1 Upstream Erosion

We try to estimate the width of beach erosion in upstream caused by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after the construction of a fishing por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breakwater, D=1000m and a=200m are foreseen. It is planned to install a groin to
mitigate beach erosion of downstream due to LST. Calculate the erosion width b when
the groin is positioned at  = 50°.
어항 건설 후 연안 표사 이동으로 인하여 upstream에서 발생하는 침식 폭을
추정하고자 한다. D=1000m, a=200m를 적용하여 LST로 인한 상류의 해변 침식을
완화하기 위해 방사제를 각도  = 50°로 설치하고자 할 때 예측되는 침식 폭 b을
계산합니다.
SOLUTION OF 5.1:

 
 = 50 ° and  = tan = tan = 0.1974  = 11.3 °
 
 
→  = tan  − = 0.9250 and  = 1 + tan  / tan  = 1.1678
 

  
→= = 26.4 


Therefore, the erosion width b is 26.4 m.

231

Assignment # 5 Problem 5.2 REPA in Polar Coordinates

A 300m detached breakwater is to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shoreline at a distance


of 100m from the shoreline in the center of a sandy shore with a shoreline of 1km in
length. Find the surface area of beach nourishment that will prevent erosion from
occurring anywhere.

해안선의 길이가 1km인 사질 해안 중앙에 300m의 이안제를 해안선으로부터


100m 이격거리에 해안선과 평행하게 설치하려고 한다. 어느 곳에서도 침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양빈 면적을 구하시오.

SOLUTION OF 5.2:
 
Approximation of Hsu's PBSE : () = where  = tan = 0.2783
 


300 + 1000 100 1
 =  −   = − 2    
2  2
1 1 1 1
= 65,000 −  − + = 65,000 − 100 − +
   0.2783
= 32,251 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beach nourishment


with surface area of 32,251 m on the deposited part.

232

116
2023-08-29

Assignment # 5 Problem 5.3 REPA due to a Groin Extens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groin installed on the east side of Songdo Beach in Busan
is to be extended by 30m. Estimate the Redistribution Erosion Potential Area (REPA)
generated by the groin extension and calculate the shoreline advance from the groin
using the following approximation of Hsu's PBSE. The angle between the groin and the
crestline is 45°.


=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산 송도
해수욕장 동측에 방사제 30m를 더
연장하려고 한다. Hsu의 PBSE의 다음
근사식을 이용하여 방사제 연장에
따라 발생하는 REPA(Redistribution
Erosion Potential Area)를 추정하고
방사제에서 발생하는 해안선 전진
폭을 계산하시오. 방사제와
crestline과의 사이각은 45°이다.

=

233

234

117
2023-08-29

Assignment # 5 Problem 5.4 Elapsed Time Allowing Bypassing

A 50-meter protruding groin will be built on the beach located on the east coast of
Korea. If it is assumed that waves continue to propagate to the shore at an angle of 5
degrees with an average breaking height of 2 m, estimate the elapsed time for allowing
the bypassing through the groin.

동해안에 위치한 해안에 돌출길이 50m의 돌제가 건설될 예정이다. 만약 평균 쇄파고


2m로 5도의 빗 각으로 파랑이 지속적으로 유입한다고 가정할 때 연안표사가 돌제를
우회하는 데 필요한 경과시간을 구하시오.

235

Assignment # 5 Problem 5.5 Seasonal Saddle Point Downstream of Groin

A 50-meter protruding groin will be built on the beach located on the east coast of
Korea. Calculate the erosion width  at the point where the maximum erosion occurs
downstream of the groin and the distance  from the groin, assuming that a wave
with an average breaking height of 1 m and an average oblique angle of 3 degrees
entering during 3 months in winter.

동해안에 위치한 해안에 돌출길이 50m의 돌제가 건설될 예정이다. 겨울철 3개월동안
평균 쇄파고 1m로 3도의 빗각으로 파랑이 유입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돌제
downstream에서 발생하는 최대 침식 이 발생하는 지점의 침식 폭  와 돌제로부터의
이격거리  를 계산하시오.

236

118
2023-08-29

5.7 단기 파향 시나리오
ü NOAA자료를 아래 주어진 무차원 시간  에
대한 무차원 방향  으로 분석한 결과
우측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   
 = and  = .
 −  
 ⁄ × 365

ü 그리고 파고가 최고가 되는 시점을 0으로


두고 평균 파향 시나리오는 아래 식과 같이
시작각(), 끝각(), 그리고 최대파고각()
으로 표현되는 결과를 얻었다.

ü 파향시나리오는 대체로  = −0.55 과  = 1.1 사이에서 유효한 값을 보이고


있다.
−  − 
 = 1 − cos − +   ≤  <  and  = 1 − cos − +   ≤  ≤ 
2  2 

237

238

119
2023-08-29

CHAPTER VI BEACH
MANAGEMENT

6.1 Management Target Shoreline


6.2 Case Studies by Using HaeDCOM
6.3 Management of Coastal Buffer Zone
6.4 Response to Climate Change

239

6.1 목표 해안선 관리
6.1.1 목표 해안선 개념
ü 평균유지목표해안선(TSMM; Target Shoreline of Mean Maintenance)은 해빈
보전측면에서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해안선으로 정의되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모래사장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 실현
불가능하거나 해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평균유지목표해안선을 특정
해안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ü 침식저지목표해안선(TSEP; Target Shoreline of Erosion Prevension)은 해빈
침식으로 인한 재산피해에 노출된 배후시설이나 구조물을 재산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해빈 침식을 허용하는 한계선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완충해빈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모래(자갈)로 구성된 해빈의 경계가 된다.
ü 해역행위제한선은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준설, 모래채취 등 표사계의 침식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행위를 제한하는 선이다. 이 선은 장기간 관측된
수심측량자료로부터 수심 변화가 거의 없는 해역 밖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제한선
설정에 큰 영향을 주는 수심을 이동한계수심이라고 한다.
ü 연 안 육 역 개 발 통 제 선 은 월 파 (wave
overtopping) 나 해 수 침 수 로 인 해
피해가 예상되는 경계선으로, 과거에
피해를 입었거나 혹 은 100 년 재현
주기로 파랑이나 해수면을 조건으로
하는 수치 실험의 결과를 근간으로
종종 설정된다.

240

120
2023-08-29

6.1.2 목표해안선의 평가선


a) 평형해안선 (ESL)
ü 평형해안선은 장기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해안선으로 해안선 조사 자료로부터 평균을
구해 설정할 수 있으나 장기 자료가 없거나
해안 환경의 변화로 기존 자료를 활용할 수
없는 경우는 평형해안선 경험식이나
MeePaSoL로 평가할 수 있다.

b) 침식한계선 (ECL)
ü 침식한계선은 배후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충분한 재현기간 (return period)동안 측정한
단기 해안선 후퇴폭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를테면 30년 재현주기의 고파랑 유입시
해저면 부유사 발생으로 인해
평형해안선으로부터 침식되는 해안의
경계선으로 설정한다.
ü 침식한계선은 장기 해안선 조사 자료에서
얻은 30년 재현 기간의 침식 폭과 같은 값을
갖는다. 다만, 장기관측자료가 없는 경우, 30년
재현주기의 입사파정보와 입경 D 자료를
적용하여 최대 침식폭도 추정할 수 있다.

241

6.2 해안선 변화 모형의 적용


6.2.1 연안표사량에 의한 해안선변화의 모의
ü Pelnard-Considère(1957)에 의하여 아래 식과 같이 연안표사량에 의한 차이로
해안선이 전진 및 후퇴하는 해안선 변형 모형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표사계
모래수지 변화, 고파랑 유입에 따른 해안선 변화는 모의할 수 없고 연안표사량의
차이에 의한 해안선 변화만이 모의될 수 있다.

ü Lim et al. (2021)은 Hsu의 평형해안선 식을 적용하여 돌제, 방파제, 방사제 등 항만


및 해안구조물에 의한 회절 효과가 반영되도록 아래 연안표사량 공식을
보완하여 기존 해안선 변화 모형을 개선하였다.

ü 여기서  은 쇄파시점에서의 연평균 파향을


의미하며  는 파랑 회절을 반영하는
각도로서 PBSE의 근사식으로부터 구해진다.

242

121
2023-08-29

6.2.2 고파랑 유입시 해안선변화 모형의 개발


ü 연안 및 횡단표사 이동에 따른 해안선 변화 뿐만 아니라 표사수지 부족으로
인한 해안선 후퇴를 동시에 모의가 가능하며, 부유사의 수평거동 개념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옆의 그림 참조), 해안선  및 부유 농도  는 부유사 이송 및
확산 모형을 활용한 해안선 변화를 모의한다.
 
 =  − 
  − 


ü 여기서, 장기배경 침식을 모의하는 계수인 , 는 과거의 해안선 자료만으로


추출가능하며, 중기변형침식의 영향을 미치는 연안표사이동속도 은 연안류
경험식이나 해빈류 모형을 통하여 얻은 값에 표사의 이동지연계수를 적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기회복침식을 모의하는 계수인 , 는 모래의
중앙입경만으로 추출 가능하다.

243

ü 연안표사량 관측자료와 HaeDCOM모형의 적용 결과, 연안표사계수  = 0.39 ( ≅


0.1132)에 대하여 HaeDCOM의 중요한 계수인 연안표사 이동속도  은 연안류의
속도  보다 0.0038 (=1/260)배 더 느린 속도로 이동한다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ü 이결과는 쇄파시점에서의 군속도  와 이동한계수직폭  가 같은 order라


가정하여 얻은 결과이다.
ü 또한 이를 적용하면
옆의 그림처럼
해빈회복계수에
따라 관측
연안표사량이
고파랑 유입이
지속되어 평형에
도달할
연안표사량에
비하여 얼마나 작은
수준에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244

122
2023-08-29

ü HaeDCOM 모형은 기존 해안선 변화 모형과는 달리 장기 배경침식, 중기변형침식, 단기


회복침식을 모의할 수 있다.
ü 장기배경침식은 외해모래유실율을 도입하여 물질보전법칙에 준하여 해안선 변화가
모의되며, 중기 변형침식은 힘의 균형법칙에 준하여 평형해안선의 변화가 모의되고, 단기
회복침식은 해빈 모래의 수평적인 침식과 퇴적의 주기적인 변동성이 성립되도록 에너지
소산 법칙에 준하여 해안선의 단기 변동성이 모의된다.
6.2.3 배경침식, 변형침식, 단기 회복침식에 대한 HaeDCOM의 적용

 = .    = .    = .  


 = .   구조물 축조  = .    = .  

 = .   
침식유형  = .  

Initial Shoreline
Mean Shoreline Initial Shoreline

공간차원
유사량 감소

해석법칙

외해유실율 등파위상포텐셜 부유사수평거동개념


245

적용개념 1 0.1
0.5

0.2 0.1
0.9
0.90.95

0.
3
0.6

0.4

0.2
0.8
0.3
0.7
0.7
0.8

0.4
0.6
0.5
0.5
a

0.5
0.6
0.4 0.6
0.7
0.9

0.3 0.7
0.95

0.8
0.2 0.8

0.9
0.1 0.9
0.95 0.95
0
0 0.5 1 1.5 2 2.5 3 3.5 4 4.5 5
KT

6.2.4 HaeDCOM-GUI의 적용 사례
해안선
변화

246

123
2023-08-29

6.2.4-1 평균유지 목표해안선 (TSMM) 설정

247

6.2.4-2 침식저지 목표해안선 (TSEC) 설정

248

124
2023-08-29

6.2.4-3 평균유지 달성평가

ü HaeDCOM 모 형 을 이 용 하 여
해 안 구 조 물 의 축 조 로 인 한
평 형 해 안 선 (ESL) 을 추 정 하 고 , 앞 서
설정된 평균유지 목표해안선을
기준으로 목표해안선 달성 여부를 모형 모의 결과
평가함.
관측값 입력 및 모형 모의
ü 모래 입경 및 파랑 정보 등 기본적인
해안 관측 자료만을 활용하여 모의
가능함.

ü 양빈 등으로 인한 전진 혹은 후퇴한
해안선의 시간적 변화를 모의할 수 있음.
Animation
ü 빠른 계산 시간으로 모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물의 특성 (위치,
투과율 등)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모의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

ü Animation Tab을 이용하여,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모의할
수 있음.

249

6.2.4-4 침식저지 달성평가

ü HaeDCOM 모형을 이용하여 고파랑


유 입 으 로 인 한 침 식 한 계 선 (ESL) 을
추정하고, 앞서 설정된 침식저지
목표해안선을 기준으로 목표해안선
달성 여부를 평가함.
모형 모의 결과

ü 모래 입경 및 파랑 정보 등 기본적인
해안 관측 자료만을 활용하여 모의
가능함.

ü Weibull 혹은 Gumbel 등의 기법을


이용한 빈도별 극치파랑 정보만 있다면,
빈도별 침식한계선도 추정 가능함. 관측값 입력 및 모형 모의

ü 빠른 계산 시간으로 모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물의 특성 (위치,
투과율 등)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모의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 Animation

ü Animation Tab을 이용하여,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모의할
수 있음. 타모형에서는 모의가 힘든
후퇴한 해안선의 회복되는 모습도 모의
가능함.

250

125
2023-08-29

6.3 연안완충구역의 관리
연안완충구역의 정의 및 개념

개발지역

2차 완충구역

육상완충구역

1차 완충구역
`
해역완충구역 Setback
이주지

거주지

방재
공원

251

6.4 기후변화에의 연안완충구역의 대응

침수침식 규모

252

126
2023-08-29

[기후변화로 인한 해안선 및 해빈단면 변화 과정의 이해]


강의이해도 자가진단

Prob. 1: 양빈주기

백사장 폭이 80이고 길이가 1 이고 하천 유사량  이 0.5× 10  / 인 해안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20폭으로 양빈을 실시하였다. 해빈단 높이와 이동한계수심의 합인 표사이동의 수직 높이
 = 9로 가정. a) 외해모래유실계수 를 계산하시오. b) 외해로의 모래유실로 양빈 폭의 50%가
침식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시오.

Prob. 2: 침수침식

사질 해안의 원빈 경사를 조사하니 1:45였다. a) 유입 파랑의 평균 주기가 4sec 로 파악되었다면


해빈축척계수 는 얼마로 예상되는가? b) 미래 0.5의 해수면 상승이 발생한다면 WPP방법으로
침수침식을 추정하시오.

Prob. 3: 파고증가

동해안에 위치한 해빈축척계수 A = 0.17/인 백사장으로 심해 최대파고 7, 쇄파고 5의 storm
wave가 유입되고 있다. a) 예상되는 최대 침식 폭을 구하시오. 단, 연평균 파고는 0.9로 가정. b)
기후변화로 인하여 연평균 파고가 1.3로 상승하였다. 문제 a와 같이 심해 최대파고 7, 쇄파고
6.5의 storm wave가 유입될 때 침식 폭은 얼마나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253

Prob. 4: 침수침식제어

어느 해변의 해빈축척계수  = 0.16/ 의 평형해빈단면을 보이고 있다. a) 0.4의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였다면 원래 수심 1 지점을 통하여 외해로의 모래유실량(단위 해변길이당)을 구하시오. 단,
전빈경사는 수직선으로 간주. b) 만약 이러한 침수침식을 제어하기 위하여 현재 수심 1에 높이
0.2의 barrier를 설치하려고 한다. 이로 인한 침수침식은 얼마나 줄어들 것인 지 계산하시오.

Prob. 5: 해사채굴침식

서해안에 위치한 백사장 전면 15 수심에서 폭 50의 해사채취를 시도하려고 한다. a) 유입 파랑의
평균 주기가 6초라면 배후 해변에서 해사채취로 인한 해안선 침식이 1를 넘지 않도록 하려면
해사채취 영역에서 어느 정도 깊이의 해사채취만을 허용해야 할 지 구하시오. b) 해사채취 폭을 늘여
100 로 하는 경우의 해사채취 깊이를 구하시오.

Prob. 6: 미래파향변화

옆의 그림과 같이 소규모 해안에 어항이 건설되었다. 항구와


가장 가까운 방사제 지점의 해안선 위치는
항 구로부터 50 떨 어 져 있 다 . 만 약 미 래 주 파 향 이
시계반대방향으로 2.5도 회전하고 침수침식이 5발생한다면
최대 침식이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

수고하셨습니다!!!

254

127
2023-08-29

자가진단 Test Solutions

Prob. 1: 양빈주기

백사장 폭이 80이고 길이가 1 이고 하천 유사량  이 0.5× 10  / 인 해안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20폭으로 양빈을 실시하였다. 해빈단 높이와 이동한계수심의 합인 표사이동의 수직 높이
 = 9로 가정. a) 외해모래유실계수 를 계산하시오. b) 외해로의 모래유실로 양빈 폭의 50%가
침식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시오.

SOL
a) 하천유사량으로부터 외해모래유실계수 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
= = 0.0694 
 

b) 양빈에 대한 해빈 폭 변화 이론식으로부터 양빈 폭의 50%가 감소되는 시간을 구하면 아래와 같다.

ln 0.5
exp − = 0.5 ∴= = 9.9
0.0694

255

Prob. 2: 침수침식

사질 해안의 원빈 경사를 조사하니 1:45였다. a) 유입 파랑의 평균 주기가 4sec 로 파악되었다면


해빈축척계수 는 얼마로 예상되는가? b) 미래 0.5의 해수면 상승이 발생한다면 WPP방법으로
침수침식을 추정하시오.

SOL
a) 원빈경사가 1:45이고 평균 주기  = 4 이라면 다음 식으로 부터 해빈축척계수 를 구할
수 있다.
/
 4
 = 0.7477 ⇒  = 0.7477 × ≅ 0.164/
/ 45

b) WPP방법에 의하여 계산한 침수침식 결과는 아래와 같다.

 =   = 22.5

256

128
2023-08-29

Prob. 3: 파고증가

동해안에 위치한 해빈축척계수 A = 0.17/인 백사장으로 심해 최대파고 7, 쇄파고 5의 storm
wave가 유입되고 있다. a) 예상되는 최대 침식 폭을 구하시오. 단, 연평균 파고는 0.9로 가정. b)
기후변화로 인하여 연평균 파고가 1.3로 상승하였다. 문제 a와 같이 심해 최대파고 7, 쇄파고
6.5의 storm wave가 유입될 때 침식 폭은 얼마나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SOL a) 해빈축척계수로부터  과 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0.115/ = 0.0081 and  = 2.3/ /(1 + 14/ ) = 0.0814 

최대 침식 폭은 아래 식으로 주어진다.
  .
    7 . 6.5
 =   = 1.5 × × = 28.3
  0.9  16

b) 연평균 파고의 증가는 지속시간을 늘이는 효과를 발휘하여 침식 폭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만약 미래 기후변화로 풍파 에너지가 증가하면 같은 조건의 파고 시나리오가 유입하여도
아래 결과와 같이 좀 더 큰 규모의 침식 폭이 예상된다.
  .
    7 . 6.5
 =  = 1.5 × × = 31.3
  1.1  16

257

Prob. 4: 침수침식제어

어느 해변의 해빈축척계수  = 0.16/ 의 평형해빈단면을 보이고 있다. a) 0.4의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였다면 원래 수심 1 지점을 통하여 외해로의 모래유실량(단위 해변길이당)을 구하시오. 단,
전빈경사는 수직선으로 간주. b) 만약 이러한 침수침식을 제어하기 위하여 현재 수심 1에 높이
0.2의 barrier를 설치하려고 한다. 이로 인한 침수침식은 얼마나 줄어들 것인 지 계산하시오.

SOL
a) 평형해빈단면식에서 해안선으로부터 까지 적분한 면적  와 해안선으로부터  + 까지
적분한 면적  을 이용하여 외래로 유실되는 단위 해변길이당 모래량  를 구하면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
여기서 = = 15.63 이다.

b) Barrier 에 의 한 침 수 침 식 폭 은 아 래 식 으 로 부 터 구 한 다 . 수 심 1m 지 점 에 서 의 경 사 는
평형해빈단면식으로부터 구하였다.
 =  −  ≅ − ℎ − ℎ = −23.44 × (1.2 − 1.0) = 4.69
2 
 = 1/( × 0.16 × 15.63 ) = 23.44
3

258

129
2023-08-29

Prob. 5: 해사채굴침식

서해안에 위치한 백사장 전면 15 수심에서 폭 50의 해사채취를 시도하려고 한다. a) 유입 파랑의
평균 주기가 6초라면 배후 해변에서 해사채취로 인한 해안선 침식이 1를 넘지 않도록 하려면
해사채취 영역에서 어느 정도 깊이의 해사채취만을 허용해야 할 지 구하시오. b) 해사채취 폭을 늘여
100 로 하는 경우의 해사채취 깊이를 구하시오.

SOL
a) 등파위상포텐셜(EWPP) 개념으로 해사채취로 인한 침식 폭에
대한 식을 아래와 같이 적용하면 1m의 침식 폭을 허용하는 파수의 차는
다음과 같다.
∆ ∆
∆ =  = × 50 ⇒ ∆ = 0.00237
  0.1185
 
여기서 옆 표를 통하여 파수  = = = 0.1185 이 구해진다.
 .
따라서 해사채취 영역 에서의 파수는  =  − ∆ 이 되어  =
0.11613  을 얻는다. 옆의 표로부터 계산된  을 낳을 수심을
선형내삽하여 구하면 17.17가 되므로 해사채취는 2.17 깊이만
허용하게 된다.
b) 폭이 100라면 ∆에 대하여 아래 결과를 얻으며 표로부터 수심
16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길이당 전체 채굴 면적을 비교하면
50 폭으로 2.17를 파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 ∆
∆ =  = × 100 ⇒ ∆ = 0.00124
  0.1185

259

Prob. 6: 미래파향변화

옆의 그림과 같이 소규모 해안에 어항이 건설되었다. 항구와


가장 가까운 방사제 지점의 해 안선 위치는
항 구로부터 50 떨 어 져 있 다 . 만 약 미 래 주 파 향 이
시계반대방향으로 2.5도 회전하고 침수침식이 5발생한다면
최대 침식이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

SOL
현재의 주파향은 해안에 직각이나 주파향이 시계방향으로 1도 회전하면 해안의 중간에서  가
위치한다. 따라서 침수침식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침식은 다음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미래 주파향의 변화각은 그대로 쇄파각이 된다.
   +   
 =  −   =

60 × cos 2.5 + 400 × sin 2.5
60 − cos 61.8 = −8.2 Note: 계산은 radian으로
30.7

침수침식이 5m 발생하면  = 400 + 5/ sin 2.5 = 514가 되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므로 다음


결과를 얻는다.
   +   
 =  −   =

60 × cos 2.5 + 514 × sin 2.5
60 − cos 61.8 = −12.59
30.7

260

130
2023-08-29

References
1. Lee, S., and Lee, J.-L. (2020). Estimation of background erosion rate at Janghang Beach due to the construction of Geum Estuary
Tidal Barrier in Korea. J. Mar. Sci. Eng. 8, 551.
2. Putro, A.H.S., and Lee, J.-L. (2020). Analysis of Longshore Drift Patterns on the Littoral System of Nusa Dua Beach in Bali,
Indonesia. J. Mar. Sci. Eng. 8, 749.
3. Lim, C., Lee, J., and Lee, J.-L. (2021). Simulation of bay-shaped shorelines after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structures by using a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J. Mar. Sci. Eng. 9, 43.
4. Kim, T.K., Lim, C., and Lee, J.-L. (2021). Vulnerability Analysis of Episodic Beach Erosion by Applying Storm Wave Scenarios to a
Shoreline Response Model. Front. Mar. Sci. 8:759067.
5. Hwang, S., Lim, C., and Lee, J.-L. (2021). Extraction of nearshore spectrum by energy-conserved zero-up crossing method and
comparison with the TMA spectrum, Ocean Engineering, 41, 109962.
6. Lim, C., Kim, T.K., Lee, S., Yeon, Y. J., and Lee, J.-L. (2021). Assessment of potential beach erosion risk and impact of coastal
zone development: a case study on Bongpo–Cheonjin Beach. Nat. Hazards Earth Syst. Sci. 21, 3827–3842.
7. Rahmawati, R.R., Putro, A.H.S., and Lee, J.-L. (2021). Analysis of Long-Term Shoreline Observations in the Vicinity of Coastal
Structures: A Case Study of South Bali Beaches. Water, 13, 3527.
8. Lim, C., Hsu, J.R.C., and Lee, J.-L. (2022). MeePaSoL: a MATLAB-based GUI software tool for shoreline management. Computers
and Geosciences, 161, 105059.
9. Lim, C., Hwang, S., and Lee, J.-L. (2022). An analytical model for beach erosion downdrift of groins: case study of Jeongdongjin
Beach, Korea. Earth Surface Dynamics, 10, 151-163.
10. Lee, S., Lim, C., and Lee, J.-L. (2022). Prediction of Long-Term Beach Profile Evolution Due to Episodic Wave Incidence Under Tidal
Environment. Front. Mar. Sci. 9:831262.
11. Lim, C., Kim, T.K., Kim, J.B., and Lee, J.-L. (202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and Median Grain Size on the Short-Term Recovery
Process of Shorelines. Front. Mar. Sci. 9:906209.
12. LIM, C., Kim, T.-K., and Lee, J.-L. (2022). Evolution model of shoreline position on sandy, wave-dominated beaches. Geomorphology,
415, 108409.

261

13. Hwang, S., Lim, C., Kwak, K.-S., and Lee, J.-L. (2023). Spectral analysis of near-breaking wave data observed in macro-tidal
environment by zero up-crossing transform method, Ocean Engineering, 267:113095.
14. Xia, Z., Lim, C., and J.-L. (2023). Analyzing wave direction scenarios for large waves in deep water and its impact on littoral drift,
Ocean Engineering, 267:113247.
15. Lim, C. and Lee, J.-L. (2023). Derivation of governing equation for short-term shoreline response due to episodic storm wave
incidence: comparative verification in terms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Front. Mar. Sci. 10:1179598.
16. Lee, J.-L., Lim, C., Pranzini, Enzo, Yu, M.J., Chu, J.C., Chen, C.J., and Hsu, John R.C. (2023). Assessing common downdrift control
point and asymmetric double-curvature planform behind multiple detached breakwaters: Simple empirical method. Coastal Eng.
185:104361.

262

1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