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Calculus 2 – Topic 1 1/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Calculus 2 – Topic 1 KAIST 수학문제연구회

Topic 1. Basic Topology


위상수학(topology)이라는 제목이 독자 여러분을 놀래켰다면 미안하다. 수학자들이 말하는 ‘도넛
은 결국 머그컵과 다를 게 없다’와 같은 것을 이야기할 생각은 없다. 이곳에서는 공간, 특히 Rn 의
부분집합들이 가질 법한 성질들과 그 정의를 살펴보고 싶을 뿐이다. 가장 먼저 공간의 점들이나 그
점들의 집합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고 적당히 이름을 붙여 보자.

Definition 1.1 Consider the subset {x ∈ Rn | "x − a" < r} in Rn , where r > 0. We call this
set open neighborhood of radius r centered at a, and denote Br (a).
If the inequality is not strict, i.e., the subset {x ∈ Rn | "x − a" ≤ r}, then it is called closed
neighborhood of radius r centered at a, and denote Br (a). □

R, R2 , R3 에서 neighborhood는 위 그림과 같이 각각 interval, disk, ball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neighborhood 앞의 수식어 open과 closed는 R의 open/closed interval과 맥락을 같이한다.
Boundary가 빠져 있으면 open, 모든 boundary가 갖추어져 있으면 closed인 셈이다.

본래 open과 closed는 집합의 성질에 관한 수식어로, ‘open set’과 ‘closed set’의 개념 역시 존재한
다. 일반적인 집합에 적용되는 이 용어들의 정확한 정의는 다음에서 알 수 있다.

Definition 1.2 (a) Let X be any subset of Rn . A point x ∈ X is called to be an interior


point of X if there exists a r > 0 such that Br (x) ⊆ X.
(b) The set of all interior points of X, denoted X 0 , is called the interior of X.
(c) A subset X ⊆ Rn is called to be open if all points x ∈ X are interior points of X.
(d) A point x, which may or may not be contained in X, is called to be a boundary point of X
if, for every r > 0 both Br (x) ∩ X and Br (x) ∩ X c are nonempty.
(e) The set of all boundary points of X, denoted ∂X, is called the boundary of X.
Calculus 2 – Topic 1 2/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f) A subset X ⊆ Rn is called to be closed if X contains its all boundary points.


(g) A point x, which may or may not be contained in X, is called to be an accumulation point,
or a limit point, if for every r > 0 (Br (x) \ {x}) ∩ X is nonempty.
(h) A point x ∈ X is called to be an isolated point of X if there exists a r > 0 such that
Br (x) ∩ X = {x}.
(i) A subset X ⊂ Rn is called to be bounded if there exists a M > 0 such that X ⊆ BM (0).
(j) A subset X ⊂ Rn is called to be compact if it is closed and bounded. □

이 많은 정의들을 모두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 이들을 엄밀하게 적용하는 것은 해


석학에서 하는 일이다. 미적분학II의 범위에서는 ‘boundary가 전혀 없고 꽉 찬 덩어리이면 open,
boundary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면 closed’ 정도로만 기억하여도 괜찮다. 그리고 주어진 집합 X의
interior X 0 과 boundary ∂X를 구별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Example. Open과 closed는 서로 반의어 관계가 아니다! R 안에서 [0, 1)과 같이 open도 아니고
closed도 아닌 집합이 있다. 심지어 Rn 자기 자신과 공집합은 open임과 동시에 closed이다. (사실
Rn 에서 both open and closed인 집합은 이 둘이 전부이다.) □

Example. Open과 closed의 성질은 동일한 형태(도형)의 집합이라도 속해 있는 공간의 차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R2 안에서 경계를 제외한 원의 내부는 open이고 not closed이다.
하지만 R3 안에서는 not open이고 closed이다. □

Advanced. Open neighborhood와 closed neighborhood가 닉값을 하고 있음을 증명해 보자.


먼저 open neighborhood Br (a)가 ‘open set’임을 보이려면 Br (a)의 모든 점이 interior point임을
보여야 한다. 즉, 각각의 x ∈ Br (a)에 대해 Bδ(x) (x) ⊆ Br (a)를 만족하는 δ(x) > 0을 찾으면
된다. 이는 구 내부의 점 x를 중심으로 하는 내접구의 반지름을 찾는 문제와 같다. 그러면 내접구의
반지름 δ(x)는 δ(x) = r − "x − a"임을 기하학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
다음으로 closed neighborhood Br (a)가 ‘closed set’임을 보이려면 Br (a)가 자기 자신의 모든
boundary point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야 한다. 이하와 같이 공간상의 모든 점 x을 a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나누어 Br (a)의 boundary point를 찾아낸다.
– "x − a" < r : 위 문단에서 interior point이다(따라서 boundary point가 아니다).
– "x − a" = r : x를 중심으로 임의의 크기의 neighborhood를 그려본다.
Calculus 2 – Topic 1 3/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 그 크기에 관계없이 Br (a) 안과 밖의 점 모두가 항상 포함되므로 boundary point이다.


– "x − a" > r : x는 Br (a) 밖의 점이므로 처음부터 interior point는 아니다.
– 크기가 "x − a" − r 이하인 neighborhood는 Br (a)를 벗어나므로 boundary point도 아니다.
따라서 Br (a)의 boundary point는 "x − a" = r인 점들이다. 그런데 정의상 이들은 모두 Br (a)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Br (a)는 closed set임이 증명된다. □

Advanced. 집합의 open/closed와 관련된 몇 가지 유용한 정리를 보고 가자.


(a) A set is closed if and only if its complement is open.
(b1) The union of open sets is open. The intersection of finitely many open sets is open.
(b2) The intersection of closed sets is closed. The union of finitely many closed sets is closed.
(c) If x0 is a limit point in a set, then there is a sequence {xn } in the set such that lim xn = x0 .
n→∞
(d) A set is closed if and only if it contains all its limit points.
(a)는 closed set이 모든 boundary point를 뺏어가므로 그 여집합이 open이라고 받아들여도 괜찮다.
!∞ " #
1
(b1)에서 무한히 많은 open set의 교집합이 open이 아닌 예시로 0, = {0}을 들 수 있고,
i
i=1
여기에 드모르간의 법칙을 적용하여 (b2)에서의 반례를 얻는다.
(d)에서는 closed set의 다른 정의를 보여준다. Boundary point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과 limit point
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이 동치라는 이야기이다. 한편 (c)로부터 집합의 limit point로 수렴하는 수
열을 어떻게든 만들 수 있다. 이 두 사실로부터, closed set 속에서 수렴하는 수열을 뭐든 만들면
그 극한이 집합을 벗어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즉, closed set은 ‘수열의 극한’에 대해 닫혀 있다는
의미이다. (집합 내에서의 연산의 값이 그 집합 안에 있을 때 ‘닫혀 있다’라는 표현을 썼다.) □

Advanced. 일반적인 집합에서 ‘compact’는 ‘closed and bounded’로 정의되는 개념이 아니다.
본디 정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A set S ⊂ Rn is said to be compact if, for every open cover C of S, there is a finite subcover.

주어진 집합 S에 대하여 무한 혹은 유한히 많은 open set들의 묶음(collection) C = {U1 , U2 , · · · }



$
이S ⊆ Ui 를 만족하면(즉 C가 S를 덮으면) C를 S의 ‘open cover’라고 부른다. 당연하지만 한
i=1
집합의 open cover는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만약 S의 모든 open cover에 대하여 그 중 (어떻게든)
유한한 개수의 open set을 가지고도 다시 open cover를 만들 수 있을 경우 S가 compact하다고
부른다. 몹시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무한집합을 유한의 영역으로 끌고 내려올 수 있다는 점에서
수학적으로는 매우 유용하다.
교재에서 주는 compact의 정의(closed & bounded)는 하나의 정리(Heine-Borel Theorem)를 통해
Rn 에서는 두 명제가 동치임이 알려져 있음을 이용한 것일 뿐이다. Compactness는 절대로 간단하
지 않은 개념이지만 연속함수의 최대·최소의 존재성(EVT)을 주기 때문에 이와 같이 보다 단순한
명제를 통해서라도 정의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

미적분학에서는 주어진 집합이 open인지 closed인지 (혹은 둘 다 아닌지) 일일이 증명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교재의 정리들 중 특정 조건의 집합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이 있고, 이를 구분하지
않을 시 이상한 결과를 뱉어내는 것들도 있으므로(특히 함수의 최대·최소와 관련된 문제) 관련된
정리를 사용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Calculus 2 – Topic 1 4/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다음으로 주어지는 개념은 집합이 ‘한 덩어리인지’에 대한 것이다. 정의가 매우 직관적이고 단순


하므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Definition 1.3 A set X ⊆ Rn is connected if any two points in X can be joined by a path,
or a curve, in X.
Moreover, a connected set X is called to be simply-connected if every possible simple (i.e., not
intersecting itself), closed curve in X can be continuously shrunk to a point remaining in X. □

Example. Simply-connected가 아닌 집합의 대표적 예로, R2 의 속이 꽉 찬 원에서 중심을 뺀


것을 들 수 있다. 우리가 뺐던 점을 가두는 폐곡선을 만들면, 집합을 벗어나지 않고서는 곡선을 절대
한 점으로 축소시킬 수 없다. 아무리 빠진 점을 피하려고 해도 결국 곡선은 그 점을 향해 줄어들
것이다. 한편 R3 의 속이 꽉 찬 구에서 중심을 뺀 것은 simply-connected이다. □

Advanced. 위의 Definition에서 보여준 connectedness의 정의는 엄밀히는 ‘path-connected’이


다. 일반적인 connectedness는 곡선이 아닌 집합의 위상적 관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set S is disconnected if there are two nonempty, disjoint open sets U and V such that
(i) S ⊆ U ∪ V and (ii) S ∪ U ∕= ∅ and S ∪ V ∕= ∅.
A set S is connected if it is not disconnected.

S가 disconnected인 경우, S의 영역을 서로 겹치지 않는 두 집합 U 와 V 를 이용해 따로 잡아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 뒤에 그렇지 않은 집합들에 대해 connected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교재에서 connectedness의 정의를 path-connectedness로 주는 이유도 위의 compactness의 사례와
동일하다. Connectedness를 생각하기 위하여 두 개의 open set을 구축하는 일이 복잡한데다, Rn
에서는 path-connectedness와 보통의 connectedness가 동치임이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

Connectedness의 문제는 한참 뒤 적분과 vector field를 이야기할 때 다시 등장할 것이다. 이 역시


교재의 정리에서 요구하는 집합의 조건 중 하나이고, 정리를 사용할 때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이것으로 집합의 성질에 관한 논의를 마무리하고, 이제 함수와 관련된 몇 가지 개념을 짚고 넘어


가자. 함수는 집합에서 집합으로의 대응으로, 한 집합(정의역)의 모든 원소를 다른 집합(공역)의
원소에 딱 하나씩 짝지어 주는 것이다. 괄호 속에 들어있는 ‘정의역’과 ‘공역’을 비롯하여 함수를
Calculus 2 – Topic 1 5/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갖고 노는 동안 심심찮게 마주할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넘어가는 것이 신변에 좋다. 아래의


두 정의는 각각 함수의 정의역·공역·치역, 그리고 상(image)·역상(inverse image)·전사(surjection)·
단사(injection)·역함수에 관한 것이다.

Definition 1.4 Consider two sets A and B, whose elements may be any objects whatsoever,
and suppose that with each element x of A there is associated, in some manner, an element of
B, which we denote f (x). Then f is said to be a function from A to B. The set A is called the
domain of f , and the elements f (x) are called the values of f . The set of all values of f is called
the range of f . □

Definition 1.5 Let A and B be two sets and f : A → B be a function.


(a) If U ⊆ A, f (U ) ⊆ B is defined to be the set {f (x) ∈ B | x ∈ U }. We call f (U ) the image of
U under f . In this notation, f (A) is the range of f .
(b) If f (A) = B, i.e., every element of B is the image of some element of X, then f is said to
be onto, or surjective.
(c) If V ⊆ B, f −1 (V ) ⊆ A denotes the set {x ∈ A | f (x) ∈ V }. We call f −1 (V ) the inverse
image of V under f . If y ∈ B, f −1 (y) is the set {x ∈ A | f (x) = y}.
(d) If, for each y ∈ B, f −1 (y) consists of at most one element of A, i.e., for every x1 , x2 ∈ X
x1 ∕= x2 implies f (x1 ) ∕= f (x2 ), then f is called one-to-one, or injective.
(e) If f is both one-to-one(injective) and onto(surjective), then f is called a one-to-one corre-
spondence, or bijection, between A and B.
(f) If f is bijective, then every inverse image f −1 (y) consists of exactly one element, thus a
function f −1 : B → A can be well-defined. Such f −1 is called the inverse function of f . □

고등학교 때는 단변수함수(f : R → R)를 y = f (x)로 표기하며 아무 생각 없이 평면상에 그


그래프를 그려 왔을 것이다. 만약 함수의 변수가 2개(f : R2 → R)인 경우 z = f (x, y)와 같이
표기하여 공간상에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한편 그래프 역시 평면 또는 공간 속의 집합이므로,
집합의 표기법을 통해 엄밀하게 정의할 수 있다.

Definition 1.6 Let f : X ⊆ R → R be a single-variable real-valued function. The graph of f


is the set {(x, y) ∈ R2 | x ∈ X, y = f (x)} ⊂ R2 .
Similarly, let f : X ⊆ R2 → R be a 2-variable real-valued function. The graph of f is the set
{(x, y, z) ∈ R3 | (x, y) ∈ X, z = f (x, y)} ⊂ R3 .
More generally, let f : X ⊆ Rn → R be an n-variable real-valued function. The graph of f is
the set {(x, xn+1 ) ∈ Rn+1 | x ∈ X, xn+1 = f (x)} ⊂ Rn+1 . □

한편 평면상의 곡선을 2변수함수 f 를 이용하여 f (x, y) = c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었다. 비유하자면


각 위치에서의 고도가 f (x, y)로 주어졌을 때 평면(지도)상의 곡선 f (x, y) = c는 일종의 등고선일
것이다. 만약 3D 지도에 이 등고선을 그린다고 하면 곡선에 높이 z = c를 지정해 주면 될 것이다.
평면지도의 등고선에 해당하는 개념을 ‘level set’, 3D 지도의 등고선에 해당하는 개념을 ‘contour
set’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은 f (x, y) = x2 + y 2 을 통한 예시이다.
Calculus 2 – Topic 1 6/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Definition 1.7 Let f : X ⊆ Rn → R be a scalar-valued function of n variables.


(a) The level set at height c of f is the set {x ∈ Rn | f (x) = c}.
(b) The contour set at height c of f is the set {(x, y) ∈ Rn+1 | y = f (x) = c}. □

Example. 3변수 2차다항식으로 정의된 함수의 level set을 통해 표현된 곡면을 이차곡면(quadratic
surface)이라고 한다. 그들 중 대표적인 것들의 이름과 형태를 살펴보자. 이들은 미분과 적분 파트
모두에서 단원을 가리지 않고 등장할 것이다.
Calculus 2 – Topic 1 7/7 KAIST 수학문제연구회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