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 사자성어 채우기 / 네이버 사전에 검색해서 한자의 훈과 음을 채우세요.

1.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들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한자 苛 斂 誅 求
가혹할 거둘 벨 구할
훈 (뜻),
음 (소리) 가 렴(염) 주 구

- 가렴주구 苛斂誅求

2.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
곧 ① 상호 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 없이 사귐. ②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한자 肝 膽 相 照
간 쓸개 서로 비칠
훈 (뜻),
음 (소리) 간 담 상 조

- 간담상조 肝膽相照

3.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 주장의 조건에 맞도록 함

한자 牽 强 附 會
이끌 강할 붙을 모일
훈 (뜻),
음 (소리) 견 강 부 회

- 견강부회 牽强附會

4. 배를 두드리고 발을 구르며 흥겨워한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형용하여


이르는 말.

한자 鼓 腹 擊 壤
북 배 칠 흙덩이
훈 (뜻),
음 (소리) 고 복 격 양

- 고복격양 鼓腹擊壤

- 1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5. 당장의 편안함만을 꾀하는 일시적인 방편 - 부녀자(婦女子)나 어린아이


가 꾸미는 계책(計策) 또는 잠시(暫時) 모면(謀免)하는 일시적(一時的)
인 계책(計策)

한자 姑 息 之 計
시어머니 쉴 갈 셀
훈 (뜻),
음 (소리) 고 식 지 계

- 고식지계 姑息之計

6. 소 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말로 작은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


수단이 지나쳐 도리어 일을 그르친다는 말

한자 矯 角 殺 牛
바로잡을 뿔 죽일 소
훈 (뜻),
음 (소리) 교 각 살 우

- 교각살우 矯角殺牛

7. 입 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체 하


지만 속으로는 은근히 해칠 생각을 품고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자 口 蜜 腹 劍
입 꿀 배 칼
훈 (뜻),
음 (소리) 구 밀 복 검

- 구밀복검 口蜜腹劍

8.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에 시달린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떠돌아 다니는 것을 말함.

한자 男 負 女 戴
사내 질 여자 일
훈 (뜻),
음 (소리) 남 부 녀(여) 대

- 남부여대 男負女戴

- 2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9. 달걀을 쌓아 놓은 것과 같이 매우 위태함

한자 累 卵 之 危
묶을 알 갈 위태할
훈 (뜻),
음 (소리) 루(누) 란(난) 지 위

- 누란지위 累卵之危

10. 기둥이나 들보가 될만한 훌륭한 인재, 즉 한 집이나 한 나라의 큰 일을


맡을 만한 사람.

한자 棟 樑 之 材
마룻대 들보 갈 재목
훈 (뜻),
음 (소리) 동 량(양) 지 재

- 동량지재 棟樑之材

11. 옛날에 영화를 자랑하던 도읍에 보리가 무성해 있는 것을 보고 고국의


멸망을 탄식한 데에서 비롯된 말.

한자 麥 秀 之 嘆
보리 빼어날 갈 탄식할
훈 (뜻),
음 (소리) 맥 수 지 탄

- 맥수지탄 麥秀之嘆

12.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속설에서 온 말.


곧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는 효도를 행함을 일컫는 말.

한자 反 哺 之 孝
돌이킬 먹일 갈 효도
훈 (뜻),
음 (소리) 반 포 지 효

- 반포지효 反哺之孝

- 3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13. ‘곁에 아무도 없다.'는 뜻으로, 남의 입장이나 형편을 살피지 않고 언


행을 제멋대로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한자 傍 若 無 人
곁 같을 없을 사람
훈 (뜻),
음 (소리) 방 약 무 인

- 방약무인 傍若無人

14. 남편이 창을 하면 아내도 따라 한다는 말로, 늘 남편의 주장에 아내가


따르는 것이 부부 화합의 도라는 뜻.

한자 夫 唱 婦 隋
지아비 부를 며느리 따를
훈 (뜻),
음 (소리) 부 창 부 수

- 부창부수 夫唱婦隋

15. 제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그대로 좇아 따르거나 같이 행동함을 이


르는 말.

한자 附 和 雷 同
붙을 화할 우레 한가지
훈 (뜻),
음 (소리) 부 화 뢰(뇌) 동

- 부화뇌동 附和雷同

16. '모래 위의 누각'이란 뜻으로, 어떤 일의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한자 砂 上 樓 閣
모래 윗 다락 집
훈 (뜻),
음 (소리) 사 상 루(누) 각

- 사상누각 砂上樓閣

- 4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17. ‘서른 날(삼순)에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했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


함을 이르는 말.

한자 三 旬 九 食
석 열흘 아홉 밥
훈 (뜻),
음 (소리) 삼 순 구 식

- 삼순구식 三旬九食

18. 뽕나무밭이 변하여 바다가 된다는 말로 세상 일의 변천이 심하여 사물이


바뀜을 비유.

한자 桑 田 碧 海
뽕나무 밭 푸를 바다
훈 (뜻),
음 (소리) 상 전 벽 해

- 상전벽해 桑田碧海

19.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이란 뜻으로 인간 만사(人間萬事)의 길흉화


복(吉凶禍福)은 변화무쌍하여 예측할 수가 없다는 말.

한자 塞 翁 之 馬
변방 늙은이 갈 말
훈 (뜻),
음 (소리) 새 옹 지 마

- 새옹지마 塞翁之馬

20. 여우는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로 향한다는 말로써, ‘고향을 그


리워하는 마음'을 일컫는 말.

한자 首 邱 初 心
머리 언덕 처음 마음
훈 (뜻),
음 (소리) 수 구 초 심

- 수구초심 首邱初心

- 5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21.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가까운 사이의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한 편도 온전하기 어려움.

한자 脣 亡 齒 寒
입술 망할 이 찰
훈 (뜻),
음 (소리) 순 망 치 한

- 순망치한 脣亡齒寒

22. ‘제 논에 물대기'란 뜻으로, 자기 좋을 대로 이기적인 행동을 하는 것


을 일컫는 말. (억지로 자기(自己)에게 이(利)롭도록 꾀함)

한자 我 田 引 水
나 밭 끌 물
훈 (뜻),
음 (소리) 아 전 인 수

- 아전인수 我田引水

23. 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한자 哀 而 不 悲
슬플 말 이을 아닐 슬플
훈 (뜻),
음 (소리) 애 이 부(불) 비

- 애이불비 哀而不悲

24.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의 머리를 판다'는 뜻으로, 겉은 그럴듯하고


보기 좋으나 속은 허술한 경우에 쓰이는 말. (겉과 속이 서로 다름.)

한자 羊 頭 狗 肉
양 머리 개 고기
훈 (뜻),
음 (소리) 양 두 구 육

- 양두구육 羊頭狗肉

- 6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25. 뜨겁고 차가운 세태. 권세가 있을 때에는 아첨하여 쫓고 권세가 떨어지


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을 일컫는 말.

한자 炎 凉 世 態
불꽃 서늘할 인간 모습
훈 (뜻),
음 (소리) 염 량(양) 세 태

- 염량세태 炎凉世態

26.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말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


게도 동시에 일어나 다른 일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혐의를 받게 된 것을
말한다.

한자 烏 飛 梨 落
까마귀 날 배나무 떨어질
훈 (뜻),
음 (소리) 오 비 리(이) 락(낙)

- 오비이락 烏飛梨落

27. 섶(땔감-불편함)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씹는다)는 뜻으로,


목적(복수, 달성할 목표)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의 비
유. (자신의 몸을 괴롭히면서까지 원한을 잊지 않는 지독한 모습)

한자 臥 薪 嘗 膽
누울 섶 맛볼 쓸개
훈 (뜻),
음 (소리) 와 신 상 담

- 와신상담 臥薪嘗膽

28. ‘우공(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말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
성할 수 있다는 뜻.

한자 愚 公 移 山
어리석
사람 옮길 메(뫼)
훈 (뜻), 을
음 (소리) 우 공 이 산

- 우공이산 愚公移山

- 7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29. 말이나 글로 전하지 않고 마음으로 마음에 전함. (마음과 마음이 통(通)


하고,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意思)가 전달(傳達)됨.)

한자 以 心 傳 心
써 마음 전할 마음
훈 (뜻),
음 (소리) 이 심 전 심

- 이심전심 以心傳心

30. 날로 나아가고 달로 나아가다. 학업(學業)이 날로 달로 끊임없이 진보


하고 발전하다.

한자 日 就 月 將
날 나아갈 달 거느릴
훈 (뜻),
음 (소리) 일 취 월 장

- 일취월장 日就月將

31.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거리며 잠을 못 이루지 못함.

한자 輾 轉 反 側
돌아누
구를 돌이킬 곁
훈 (뜻), 울
음 (소리) 전 전 반 측

- 전전반측 輾轉反側

32. 화(禍)를 바꾸어 복(福)으로 한다는 뜻. 불행(不幸)한 일이라도 끊임없


는 노력(努力)과 강인(強靭)한 의지(意志)로 힘쓰면 불행(不幸)을 행복
(幸福)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말.

한자 轉 禍 爲 福
구를 재앙 할 복
훈 (뜻),
음 (소리) 전 화 위 복

- 전화위복 轉禍爲福

- 8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33.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한자 朝 三 暮 四
아침 석 저물 넉
훈 (뜻),
음 (소리) 조 삼 모 사

- 조삼모사 朝三暮四

34.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


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

한자 衆 口 難 防
무리 입 어려울 막을
훈 (뜻),
음 (소리) 중 구 난 방

- 중구난방 衆口難防

35. 사슴을 가리켜 말[馬]이라고 한다는 뜻. 곧 ①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


를 마음대로 휘두름의 비유. ② 사실이 아닌 것을 강압으로 속여 인정하
게 함.

한자 指 鹿 爲 馬
가리킬 사슴 할 말
훈 (뜻),
음 (소리) 지 록(녹) 위 마

- 지록위마 指鹿爲馬

36. 천석은 자연을 뜻하며, 고황1)은 명치끝에 기름이 쌓이는 병이니, 고질


병이 되다시피 산수 풍경을 좋아한다는 뜻.

한자 泉 石 膏 肓
샘 돌 기름 명치끝
훈 (뜻),
음 (소리) 천 석 고 황

- 천석고황 泉石膏肓

1) 심장과 횡격막의 사이. 고는 심장의 아랫부분이고, 황은 횡격막의 윗부분으로, 이 사이에 병이 생기면


낫기 어렵다고 한다.

- 9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37. 천 년에나 한번 만날 수 있는 기회, 곧 좀처럼 얻기 어려운 기회.

한자 千 載 一 遇
일천 실을 한 만날
훈 (뜻),
음 (소리) 천 재 일 우

- 천재일우 千載一遇

38. 나무하는 아이와 물긷는 여자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을 일컫는 말.

한자 樵 童 汲 婦
나무할 아이 길을 며느리
훈 (뜻),
음 (소리) 초 동 급 부

- 초동급부 樵童汲婦

39. ‘바늘 만한 작은 것을 막대기만큼 크게 늘린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크게 허풍떨어(과장(誇張)하여) 말함의 비유.

한자 針 小 棒 大
바늘 작을 막대 클
훈 (뜻),
음 (소리) 침 소 봉 대

- 침소봉대 針小棒大

40. ‘다른 산의 쓸모없는 돌이라도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


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식이나 인격을 닦는
데에 도움이 됨

한자 他 山 之 石
다를 메(뫼) 갈 돌
훈 (뜻),
음 (소리) 타 산 지 석

- 타산지석 他山之石

- 10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41.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한자 兎 死 狗 烹
토끼 죽을 개 삶을
훈 (뜻),
음 (소리) 토 사 구 팽

- 토사구팽 兎死狗烹

42. 해진 옷과 부러진 갓. 너절하고 구차한 차림새를 말함 (초라한 차림새)

한자 弊 袍 破 笠
핫옷
해질 깨뜨릴 삿갓
훈 (뜻), (솜옷)
음 (소리) 폐 포 파 립

- 폐포파립 弊袍破笠

43. 바람 부는 나무를 잡고 내뱉는 탄식. 부모를 잃어 효도할 수 없는 것을


한탄할 때 쓰는 말. (효도를 다 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

한자 風 樹 之 嘆
바람 나무 어조사 탄식할
훈 (뜻),
음 (소리) 풍 수 지 탄

- 풍수지탄 風樹之嘆

44. 바람 앞에 켠 등불처럼 매우 위급한 경우에 놓여 있음을 가리키는 말.

한자 風 前 燈 火
바람 앞 등불 불
훈 (뜻),
음 (소리) 풍 전 등 화

- 풍전등화 風前燈火

- 11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45. 바람과 이슬을 무릅쓰고 한데서 먹고 잠.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

한자 風 餐 露 宿
바람 먹을 이슬 묵을
훈 (뜻),
음 (소리) 풍 찬 로 숙

- 풍찬노숙 風餐露宿

46. 평범한 남자와 평범한 여자. (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

한자 匹 夫 匹 婦
필 지아비 필 며느리
훈 (뜻),
음 (소리) 필 부 필 부

- 필부필부 匹夫匹婦 (= 갑남을녀)

47.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


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
래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 고생해서 공부한 공이 드러남 / 부지
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

한자 螢 雪 之 功
개똥벌
눈 갈 공
훈 (뜻), 레
음 (소리) 형 설 지 공

- 형설지공 螢雪之功
48. ‘여우가 호랑이의 위엄을 빌어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실
력이나 능력이 없는 사람이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리는 것을 비유
한 말.

한자 狐 假 虎 威
여우 거짓 범 위엄
훈 (뜻),
음 (소리) 호 가 호 위

- 호가호위 狐假虎威

- 12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49. ‘그림의 떡'이란 뜻으로, 아무리 욕심이 나도 바라만 볼 수 있을 뿐 차


지하거나 이용할 수 없음을 비유한 말.

한자 畵 中 之 餠
그림 가운데 갈 떡
훈 (뜻),
음 (소리) 화 중 지 병

- 화중지병 畵中之餠

50. 만남이 있으면 반드시 헤어짐이 있게 마련임.

한자 會 者 定 離
모일 놈 정할 떠날
훈 (뜻),
음 (소리) 회 자 정 리

- 회자정리 會者定離

51. 입은 은혜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뼈에까지 사무쳐 잊히지 아니함.

한자 刻 骨 難 忘
새길 뼈 어려울 잊을
훈 (뜻),
음 (소리) 각 골 난 망

- 각골난망(刻骨難忘)

52.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신의를 돌보지 않고 개인적 이익만을


꾀한다는 말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

한자 甘 呑 苦 吐
달 삼킬 쓸 뱉을
훈 (뜻),
음 (소리) 감 탄 고 토

- 감탄고토(甘呑苦吐)

- 13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53. ‘모기를 보고 칼 빼기', 보잘 것 없는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엄청나


게 큰 대책을 씀, 또는 시시한 일에 성을 내는 소견 좁은 행동을 비유하
는 말.

한자 見 蚊 拔 劍
볼 모기 뺄 칼
훈 (뜻),
음 (소리) 견 문, 발, 검

- 견문발검(見蚊拔劍)

54. 풀을 엮어서 은혜를 갚는다는 의미로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


는 말

한자 結 草 報 恩
맺을 풀 갚을 은혜
훈 (뜻),
음 (소리) 결 초, 보, 은

- 결초보은(結草報恩) ⇔ 망은배의

55.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얼마 동안 못 보는


사이에 상대가 깜짝 놀랄 정도의 발전을 보임을 일컫는 말.

한자 刮 目 相 對
비빌 눈 서로 마주 볼
훈 (뜻),
음 (소리) 괄 목 상 대

- 괄목상대(刮目相對)

56.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표정을


이르는 말

한자 巧 言 令 色
좋을
교묘할 말씀 빛
훈 (뜻), (하여금)
음 (소리) 교 언 령 색

- 교언영색(巧言令色)

- 14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57. ‘닭 무리 속에 끼어 있는 한 마리의 학’의 뜻으로 평범한 사람 가운데


서 뛰어난 사람

한자 群 鷄 一 鶴
무리 닭 하나 학
훈 (뜻),
음 (소리) 군 계 일 학

- 군계일학(群鷄一鶴)

58.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즉 나쁜 사람과 사귀면 그 버릇에


물들기 쉽다는 말.

한자 近 墨 者 黑
가까울 먹 놈 검을
훈 (뜻),
음 (소리) 근 묵 자 흑

- 근묵자흑(近墨者黑)

59.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동생이라 할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


물의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말.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

한자 難 兄 難 弟
어려울 맏 어려울 아우
훈 (뜻),
음 (소리) 난, 형, 난, 제

- 난형난제(難兄難弟) = 백중지세

60.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 주머니 속에 든 송곳은 그 끝이 뾰족


하여 주머니를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포부와 역량이 있는 사람은 많은
사람 중에 섞여 있을지라도 눈에 드러난다는 말

한자 囊 中 之 錐
주머니 가운데 어조사 송곳
훈 (뜻),
음 (소리) 낭, 중, 지, 추

- 낭중지추(囊中之錐)

- 15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61.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성공이 늦다


는 말. (만년(晩年)이 되어 성공(成功)하는 일)

한자 大 器 晩 成
큰 그릇 늦을 이룰
훈 (뜻),
음 (소리) 대 기 만 성

- 대기만성(大器晩成)

62. 「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타향에서 고향에 계신 부모


를 생각함. 멀리 떠나온 자식이 어버이를 사모하여 그리는 정.

한자 望 雲 之 情
바랄 구름 의 뜻
훈 (뜻),
음 (소리) 망 운, 지 정

- 망운지정(望雲之情)

63. 앞(겉)에서는 순종하는 체하고 돌아서는 딴 마음을 먹음.

한자 面 從 腹 背
낯 따를 배 등
훈 (뜻),
음 (소리) 면 종 복 배

- 면종복배(面從腹背)

64.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는 참상이나 꼴불견. (딱하거나 참혹(慘酷)한 상황


(狀況).)

한자 目 不 忍 見
눈 아닐 참을 볼
훈 (뜻),
음 (소리) 목, 불, 인, 견

- 목불인견(目不忍見)

- 16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65. 아무 하는 일 없이 먹기만 함 (게으르거나 능력(能力)이 없는 사람.)

한자 無 爲 徒 食
없을 할 헛될 먹을
훈 (뜻),
음 (소리) 무, 위, 도, 식

- 무위도식(無爲徒食)

66.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뜻. 곧 ①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知己지기]의 죽음을 이르는 말. ② 친한 벗을 잃은 슬픔.

한자 伯 牙 絶 鉉
맏 어금니 끊을 악기 줄
훈 (뜻),
음 (소리) 백, 아, 절, 현

- 백아절현(伯牙絶鉉)

67. 「사방(四方)에서 들리는 초(楚)나라의 노래」란 뜻. 곧 ① 사방 빈틈없


이 적에게 포위된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② 주위에 반대자 또는
적이 많아 고립되어 있는 처지. ③ 사방으로부터 비난받음의 비유.

한자 四 面 楚 歌
넉 대할 초나라 노래
훈 (뜻),
음 (소리) 사, 면, 초, 가

- 사면초가(四面楚歌)

68. 「유비(劉備)가 제갈공명(諸葛孔明)을 세 번이나 찾아가 군사(軍師)로


초빙(招聘)한 데서 유래(由來)」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곧 ① 사
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 ② 윗사람으로부터 후히 대우받
음의 비유.

한자 三 顧 草 廬
석 돌아볼 풀 풀집
훈 (뜻),
음 (소리) 삼, 고, 초, 려

- 삼고초려(三顧草廬)

- 17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69.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


긴다는 뜻으로, 지사(志士) 인인(仁人)의 마음가짐을 이르는 말.

한자 先 憂 後 樂
먼저 근심할 뒤 즐길
훈 (뜻),
음 (소리) 선, 우, 후, 락

- 선우후락(先憂後樂)

70.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을 열심히 한다.

한자 手 不 釋 卷
손 아닐 놓을 책
훈 (뜻),
음 (소리) 수, 불, 석, 권

- 수불석권(手不釋卷)

71. 물과 물고기의 사귐과 같이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 임금과


신하 사이의 두터운 교분, 부부의 친밀함.

한자 水 魚 之 交
물 고기 의 사귈
훈 (뜻),
음 (소리) 수, 어, 지, 교

- 수어지교(水魚之交)

72. ① 사실에 근거하여 사물의 진상․진리 등을 연구하는 일. ② 공론(空論)


만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한 반동으로 청나라의 고증학자들이 내세
운 표어.

한자 實 事 求 是
열매 일 구할 옳을
훈 (뜻),
음 (소리) 실, 사, 구, 시

- 실사구시(實事求是)

- 18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73. 편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을 앎.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만족(滿足)하여 다른 데 마음을 두지 아니함.)

한자 安 分 知 足
편안할 나눌 알 넉넉할
훈 (뜻),
음 (소리) 안, 분, 지, 족

- 안분지족(安分知足)

74. 「어부(漁夫)의 이익(利益)」이라는 뜻,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다


가 둘 다 물리어 서로 다투고 있을 때 어부가 와서 둘을 잡아갔다는 고
사에서 나온 말로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

한자 漁 夫 之 利
고기 잡
지아비 의 이로울
훈 (뜻), 을
음 (소리) 어, 부, 지, 리

- 어부지리(漁父之利)=어부지리(漁夫之利)

75. 예사로운 말 속에 뼈 같은 만만치 않은 뜻이 들어 있음.

한자 言 中 有 骨
말씀 가운데 있을 뼈
훈 (뜻),
음 (소리) 언, 중, 유, 골

- 언중유골(言中有骨)

76. 자연을 매우 사랑하는 것이 마치 고치지 못할 병이 든 것과 같음. (산수


(山水)의 좋은 경치(景致)를 깊이 사랑하는 마음(煙霞)이 대단히 강(強)
해 마치 고치지 못할 병(病)이 든 것 같음을 비유)

한자 煙 霞 痼 疾
연기 노을 고질 병
훈 (뜻),
음 (소리) 연, 하, 고, 질

- 연하고질(煙霞痼疾)

- 19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77. 「서릿발이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는 뜻으


로, 서릿발 날리는 추위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라는 뜻으
로 충신 또는 국화를 일컫는 말. = 歲寒孤節(세한고절) / = 獨也靑靑(독
야청청)

한자 傲 霜 孤 節
거만할 서리 외로울 마디
훈 (뜻),
음 (소리) 오, 상, 고, 절

- 오상고절(傲霜孤節)

78.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럽고 순한 듯하나 속은 꿋꿋하고 강함.


↔ 外剛內柔(외강내유)

한자 外 柔 內 剛
부드러
밖 안 굳셀
훈 (뜻), 울
음 (소리) 외, 유, 내 강

- 외유내강(外柔內剛)

79. 「날개가 돋아 신선(神仙)이 되어 하늘에 오른다.」는 뜻으로, 이상에의


동경.

한자 羽 化 登 仙
깃 될 오를 신선
훈 (뜻),
음 (소리) 우, 화, 등, 선

- 우화등선(羽化登仙)

80. ‘(책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 끊어진다'는 뜻으로, ① 독서를 매우 열심


히 함. ② 한 권의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글의 뜻을 잘 생각하면서 차
분하게 하나하나 읽음.)함.

한자 韋 編 三 絶
가죽 엮을 석 끊을
훈 (뜻),
음 (소리) 위, 편, 삼, 절

- 위편삼절(韋編三絶)

- 20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81. 사물은 같은 무리끼리 따르고, 사람도 같은 사람끼리 서로 모인다.

한자 類 類 相 從
무리 무리 서로 따를
훈 (뜻),
음 (소리) 유, 유, 상, 종

유유상종(類類相從)

82. ‘울면서 사랑하는 신하인 마속을 벤다’는 뜻으로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
해 사사로운 정을 버림’을 비유.

한자 泣 斬 馬 謖
울 벨 말 일어날
훈 (뜻),
음 (소리) 읍, 참, 마, 속

- 읍참마속(泣斬馬謖)

83.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말로,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몰골 사납게


싸움을 일컫는 말.

한자 泥 田 鬪 狗
진흙 밭 싸울 개
훈 (뜻),
음 (소리) 니, 전, 투, 구

- 이전투구(泥田鬪狗)

84. 출세하여 세상에 널리 이름을 드날림.

한자 立 身 揚 名
설 몸 날릴 이름
훈 (뜻),
음 (소리) 립, 신, 양, 명

- 입신양명(立身揚名)

- 21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85. 스스로 힘써 가다듬고 쉬지 않음.

한자 自 强 不 息
스스로 힘쓸 아닐 쉴
훈 (뜻),
음 (소리) 자, 강, 불, 식

- 자강불식(自强不息)

86. 자기의 줄로 자기를 묶다. 즉 자기의 언행으로 인하여 자신이 꼼짝 못하


게 되는 일.

한자 自 繩 自 縛
스스로 줄 스스로 묶을
훈 (뜻),
음 (소리) 자, 승, 자, 박

- 자승자박(自繩自縛)

87. ‘장씨의 셋째 아들, 이씨의 넷째 아들’이란 뜻으로, 이름이나 신분을 가


리킬 정도가 못되는 평범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

한자 張 三 李 四
베풀 석 오얏 넉
훈 (뜻),
음 (소리) 장, 삼, 리, 사

- 장삼이사(張三李四)

88. 뼈, 상아, 옥돌 따위를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고 갈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수양에 수양을 쌓음, 또는 학문․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을 비
유하는 말.

한자 切 磋 琢 磨
끊을 갈 쫄 갈
훈 (뜻),
음 (소리) 절, 차, 탁, 마

- 절차탁마(切磋琢磨)

- 22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89. ‘지게미와 쌀겨와 같은 험한 음식으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을 같이 한


아내’란 뜻으로, 곤궁할 때 고생을 함께 한 본처(本妻)를 일컫는 말.

한자 糟 糠 之 妻
술재강 겨 의 아내
훈 (뜻),
음 (소리) 조, 강, 지, 처

- 조강지처(糟糠之妻)

90.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고친다는 말로, 법령이나 착수한 일을


자주 바꿔서 종잡을 수 없음을 비유하는 말.

한자 朝 令 暮 改
아침 영 저물 고칠
훈 (뜻),
음 (소리) 조, 령, 모, 개

- 조령모개(朝令暮改)

91.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말로, 견문이 좁아 세상 물정에 어두


운 것을 일컫는 말. (=관견(管見))

한자 坐 井 觀 天
앉을 우물 볼 하늘
훈 (뜻),
음 (소리) 좌, 정, 관, 천

- 좌정관천(坐井觀天)
92. ‘주인은 손님처럼, 손님은 주인처럼 행동을 바꾸어 한다’는 것으로 입장
이 뒤바뀐 것.

한자 主 客 顚 倒
주인 손 꼭대기 넘어질
훈 (뜻),
음 (소리) 주, 객, 전, 도

- 주객전도(主客顚倒)

- 23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93. ‘달리는 말에 채찍을 가한다.’는 뜻으로 열심히 하는 사람을 더 부추기거


나 몰아칠 때 쓰는 말.

한자 走 馬 加 鞭
달릴 말 더할 채찍
훈 (뜻),
음 (소리) 주, 마, 가, 편

- 주마가편(走馬加鞭)

94. ‘쪽이라는 풀에서 나온 푸른색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열심히 학


문에 정진하면 스승보다 뛰어날 수 있다는 말이다. 스승보다 나은 제자
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한자 靑 出 於 藍
푸를 날 어조사 쪽
훈 (뜻),
음 (소리) 청, 출, 어, 람

- 청출어람(靑出於藍)

95. 대나무를 쪼개는 듯한 형세. 감히 대적할 수 없을 정도로 막힘 없이 밀


고 쳐들어가는 형세.

한자 破 竹 之 勢
깨뜨릴 대 의 기세
훈 (뜻),
음 (소리) 파, 죽, 지, 세

- 파죽지세(破竹之勢)

96. 겉과 속이 다름을 뜻하는 말.

한자 表 裏 不 同
겉 속 아니 같을
훈 (뜻),
음 (소리) 표, 리, 불, 동

- 표리부동(表裏不同)

- 24 -
♥ 대찬학원 조은혜 T ♥ [ 사자성어 1-100 ] 이름 :

97. 한단에서 여옹이 낮잠을 자면서 꾼 꿈에서 유래한 말로, ‘인생의 부귀


영화(富貴榮華)가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

한자 邯 鄲 之 夢
땅 이름 땅 이름 어조사 꿈
훈 (뜻),
음 (소리) 한, 단, 지, 몽

- 한단지몽(邯鄲之夢)

98. 호연(浩然)은 넓고 큰 모양을 일컫는 말로, 호연지기란 천지간에 가득한


크고 넓은 정기(正氣), 곧 무엇에도 구애를 받지 않는 떳떳하고도 유연
한 기운을 말한다.

한자 浩 然 之 氣
넓을 그럴 의 기운
훈 (뜻),
음 (소리) 호, 연, 지, 기

- 호연지기(浩然之氣)

99. 장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 곧 ①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②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심경. ③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④ 꿈.

한자 胡 蝶 之 夢
오랑캐 나비 어조사 꿈
훈 (뜻),
음 (소리) 호, 접, 지, 몽

- 호접지몽(胡蝶之夢)

100. 서로 형, 아우라 부를 정도로 가까운 친구 사이.

한자 呼 兄 呼 弟
부를 형 부를 아우
훈 (뜻),
음 (소리) 호, 형, 호, 제

- 호형호제(呼兄呼弟)

- 2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