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3

연구보고서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 지하 굴착작업 및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 중심 -

박현희 ․ 김종길 ․ 황은송 ․ 김기웅


요약문 ‥‥ i

요 약 문

연구기간 2017년 1월 ~ 2017년 11월

핵심단어 건설업 보건관리, 디젤배출물, 원소탄소, 아스팔트 흄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과제명 - 지하 굴착작업 및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을 중심으로 -

1. 연구배경
○ 건설현장은 도료, 방수액, 거푸집 박리제, 콘크리트 양생제, 타일접착
제 등 다양한 화학제품을 취급하고 있으나, 구성성분의 유해성에 대
해서는 체계적인 정보가 부족함.
○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암 발생을 일반 직업군과 비교하면 표준화 사망
비가 1.26으로 높다는 보고가 있었고, 대표적인 노출 발암성 및 생식독
성물질로는 산화규소(결정체), 아스팔트 흄,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디젤
배출물, 석면, 납, 금속흄, 그리고 페인트 등이 있음.
○ 이번 연구는 건설업의 공종별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생식독성
물질 등에 관한 취급 및 노출실태를 파악하고, 지하굴착작업 및 아
스팔트 도로포장작업 중 발생하는 발암성 물질 등의 노출농도 수준을
평가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 구 결 과(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조사)
○ 건설업 작업환경측정자료를 살펴보면, 전체 측정물질의 약 22 ~ 23%가 발
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산화티타늄, 톨
루엔, 규산(석영), 니켈, 에틸벤젠, 벤젠, 납 등의 순으로 측정건수가 많았음.
ii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 거푸집 작업에서 발암성으로 분류된 디클로메탄(염화 메틸렌)과 수소처리


된 중질 파라핀유 등을 박리제로 취급하고 있었으며, 시멘트, 골재, 모래
취급 작업, 콘크리트 견출작업에서 발암성 물질인 산화규소(결정체)에 고
농도로 노출되고 있음.
○ 방수․도장작업에서는 에틸벤젠,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
부틸케톤, 2-부톡시에탄올, 염소화 파라핀, 이산화티타늄 등의 발암성 물
질과 톨루엔, 스티렌 등의 생식독성물질, 중질 및 경질 나프타 용매와 같
은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었음.
○ 철근, 철골 조립, 흙막이 지보공 설치, 배관용접 등 작업에서는 용접 작
업이 수행되며 용접모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금속흄 중의 이산화티타늄,
니켈, 크롬 등 발암성 물질과 생식독성 물질인 망간에 노출되고 있었음.
○ 내장공사작업에서는 콘크리트 접착제 및 유성본드 성분 중 발암성 물질
인 포름알데히드, 시클로헥사논 등과 생식독성물질인 톨루엔 등을 함유
하고 있으며, 실링재에는 디옥칠프탈레이트, 2-부톡시에탄올 등 생식독성
물질 이 함유되어 있음.
○ 건축물 해체공사에서는 콘크리트 파쇄과정에서 노출되는 산화규소(결정체)와
석고보드, 보온재 등 내장재의 함유되어 있는 석면, 그리고 건축물 지하
배관 해체작업 시 납 및 그 무기화합물 등 금속류의 노출이 문제되고 있음.

- 연 구 결 과(굴착 및 도로포장 작업 발암성 물질 노출평가)


○ 지하 굴착작업장(탑다운 공법)에서 평가한 호흡성 분진 시료 중 원소탄
소의 기하평균은 33.202 ㎍/㎥ (3.151 ~ 191.419 ㎍/㎥) 수준이었고, 국
외 권고기준인 100 ㎍/㎥을 초과하는 시료는 전체 시료의 약 10% 수준
이었음. 산화규소(결정체)의 기하평균은 0.0789 ㎎/㎥으로 노출기준의
약 1.5배를 초과하는 수준이었음.
○ 도로포장 작업의 아스팔트 흄(벤젠추출법) 농도의 직종별 차이를 살펴
보면, 포장특공에서 기하평균 42.32 ㎍/㎥(13.06 ~ 308.71 ㎍/㎥), 피니
셔 41.57 ㎍/㎥(5.35 ~ 259.01 ㎍/㎥), 머캐덤 31.9 ㎍/㎥(10.64 ~ 171.55
㎍/㎥), 타이어 30.31 ㎍/㎥(21.32 ~ 72.13 ㎍/㎥) 수준이었음.
요약문 ‥‥ iii

○ 전체 아스팔트 작업에 대한 총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기하평균 농도는


12.934 ㎍/㎥(1.262 ~ 147.62 ㎍/㎥) 수준이었고, 노출기준과 비교하면
약 10% 수준으로 낮으나 대기환경 중 농도와 비교하면 약 400배 이상
높은 수준(서울대기 기준)으로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자에 대한 발암
유해성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시 사 점
○ 건설현장에서는 공종별 다양한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을
취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하굴착, 콘크리트, 용접, 도
장공사 및 접착, 실링 등 내장공사에서 발암성 등 유해물질의 취급이 많음.
○ 지하굴착작업에서 원소탄소 노출농도는 전체 시료의 약 10%가 국외 권
고기준인 100 ㎍/㎥을 초과하였으며, 산화규소(결정체)의 기하평균 농
도는 노출기준의 1.5배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지하 굴착작업장에서는 오
염물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디젤차량 배기구 정화장치, 노후장비
교체, 습식작업, 작업장 환기 등 관리가 필요함.
○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가 대기
환경 농도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농도수준으로 도로포장작업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호흡보호구 착용 등 발암 유해성 관리가 필요함.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을 취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일부 물질에 대해서만 노출평가 연구가 이
루어져, 다양한 공종별 또는 직종별 취급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매트릭스
구축, 유해인자별 작업관리도구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 개선방안 또는 정책방안
○ 건설현장 보건관리를 위한 건설업에 특화된 작업환경측정 제도 마련,
iv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시 보건관리 사항을 확대․포함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함.

- 활 용
○ 건설업 보건관리자용 업무 가이드라인 개발
○ 산업보건학회 학술대회 발표 및 국내외 산업보건관련 학회지 논문 발표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연구위원
- ☎ 052) 7030. 907
- E-mail phh2000@kosha.net
차례 ‥‥ i

차 례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Ⅱ. 연구방법 ··········································································································4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조사 ·····················································4
2. 굴착 및 도로포장 작업 발암성 물질 노출평가 ············································5

Ⅲ. 연구결과 ········································································································27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자료 분석 ···································27
2. 건설업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조사 결과 ··············································44
3. 건설현장 지하 굴착작업 디젤배출물 노출평가 결과 ·································77
4. 도로포장현장 아스팔트 흄 및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평가 결과 ········111

Ⅳ. 고 찰 ······································································································132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132
2. 건설현장 지하 굴착작업 디젤배출물 노출평가 ········································134
3.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 유해인자 노출평가 ············································136

Ⅴ. 결 론 ······································································································140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140
2. 건설현장 지하 굴착 및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 유해인자 노출평가 ···· 141
ii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Ⅵ. 참고문헌 ······································································································142

Ⅶ. 부 록 ······································································································146

Abstract ············································································································156
차례 ‥‥ iii

표 차 례

<표 Ⅱ-1> 지하굴착작업_디젤배출물 노출평가 대상 사업장 ····························5


<표 Ⅱ-2> 아스팔트작업 노출평가 대상 사업장 ···············································11
<표 Ⅱ-3> 원소탄소분석기(OCEC Analyzer) 분석조건 ·································20
<표 Ⅱ-4>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분석물질 및 검출한계 ····································22
<표 Ⅲ-1> 건설현장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27
<표 Ⅲ-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30~31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 수준 ················32~36
<표 Ⅲ-4> 작업별 건설현장 산화규소(결정체) 노출 농도 수준 ·················58~59
<표 Ⅲ-5> 주요 도료사 건축용 도료 ·································································61
<표 Ⅲ-6> 건축물 해체작업 중 납 노출농도 수준 ···········································76
<표 Ⅲ-7> 지하 굴착작업장 유해인자별 시료수 ···············································77
<표 Ⅲ-8> 탑다운 공법 지하 굴착작업장 탄소 농도 ·······································79
<표 Ⅲ-9> 사업장 A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85
<표 Ⅲ-10> 사업장 B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86
<표 Ⅲ-11> 사업장 C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87
<표 Ⅲ-12> 사업장 D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88
<표 Ⅲ-13> 사업장별 차량내부_ 총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89
<표 Ⅲ-14> 사업장별 차량내부_ 호흡성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90
<표 Ⅲ-15> 사업장별 작업장(차량 외부)_ 총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 91
<표 Ⅲ-17> 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전체시료) ··························94
<표 Ⅲ-18> 작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차량내부) ······················95
<표 Ⅲ-19> 작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차량외부) ······················96
<표 Ⅲ-20> 지하 굴착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농도 ·······················98~99
<표 Ⅲ-21> 지하 굴착작업장 측정위치별 총 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 ····· 104
iv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2> 지하 굴착작업장 작업장별 총 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 ·········106


<표 Ⅲ-23> 지하 굴착작업장 측정위치별 분진 중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 107
<표 Ⅲ-24> 지하 굴착작업장 작업장별 분진 중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 109
<표 Ⅲ-25>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장 유해인자별 시료수 ···························111
<표 Ⅲ-26> 아스팔트 도로포장 직종별 아스팔트 흄 노출농도 수준 ············ 113
<표 Ⅲ-27> 아스팔트 도로포장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 노출농도 수준 ·········116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 122~127
차례 ‥‥ v

그 림 차 례

[그림 Ⅱ-1] 탑다운(Top-Down) 공법의 종류 ······················································6


[그림 Ⅱ-2] 사업장 A_굴착작업 ···········································································7
[그림 Ⅱ-3] 사업장 B_굴착작업 ············································································8
[그림 Ⅱ-4] 사업장 C_굴착작업 ············································································9
[그림 Ⅱ-5] 사업장 D_굴착작업 ··········································································10
[그림 Ⅱ-6]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12
[그림 Ⅱ-7] 아스팔트 도로 포장_피니셔 (사업장 E) ········································13
[그림 Ⅱ-8]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포장특공 (사업장 E) ·····················14
[그림 Ⅱ-9]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머캐덤 (사업장 E) ························15
[그림 Ⅱ-10]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타이어 (사업장 E) ······················16
[그림 Ⅱ-11]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텐덤 (사업장 E) ··························16
[그림 Ⅱ-12] 국도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사업장 F) ··························17
[그림 Ⅱ-13] 국도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사업장 G) ··························18
[그림 Ⅱ-14] 분석용 시료 제작 예시 ··································································20
[그림 Ⅲ-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28
[그림 Ⅲ-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실시 현황 (건수) ··································29
[그림 Ⅲ-3] 이산화티타늄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37
[그림 Ⅲ-4] 톨루엔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38
[그림 Ⅲ-5] 산화규소(결정체)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39
[그림 Ⅲ-6] 니켈(불용성)화합물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40
vi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Ⅲ-7] 에틸벤젠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 41


[그림 Ⅲ-8] 메틸이소부틸케톤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42
[그림 Ⅲ-9] 벤젠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 43
[그림 Ⅲ-10] 차량내부(in car) 시료 정규성 검정 결과 ·····································80
[그림 Ⅲ-10] 차량외부(outside car) 시료 정규성 검정 결과 ····························81
[그림 Ⅲ-11]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 82
[그림 Ⅲ-12]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 83
[그림 Ⅲ-13]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총 탄소 농도 ··········· 84
[그림 Ⅲ-14]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총 탄소 농도 ··········· 93
[그림 Ⅲ-15]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 100
[그림 Ⅲ-16]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 101
[그림 Ⅲ-17]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102
[그림 Ⅲ-18]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103
[그림 Ⅲ-19]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 ·································105
[그림 Ⅲ-20] 지하굴착작업장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108
[그림 Ⅲ-21] 지하 굴착작업 입경별 분진 농도 수준_사업장 C ·····················110
[그림 Ⅲ-22] 지하 굴착작업 가스상 물질 농도 수준_사업장 C ·····················110
[그림 Ⅲ-23] 아스팔트 포장작업 종류별 아스팔트 흄_총분진 농도 ···············114
[그림 Ⅲ-24] 아스팔트 포장작업 종류별 아스팔트 흄_벤젠추출물 농도 ········115
[그림 Ⅲ-25] 아스팔트 포장작업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_총분진 농도 ··········· 117
[그림 Ⅲ-26] 아스팔트 포장작업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_벤젠추출 농도 ········118
[그림 Ⅲ-27] 아스팔트 포장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 128
[그림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 129
[그림 Ⅲ-29] 아스팔트 포장작업 작업별 다핵방향족탄화수소 기하평균농도 ··· 130
[그림 Ⅲ-30] 아스팔트 포장작업 작업별 총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 ··········131
Ⅰ. 서론 ‥‥ 1

Ⅰ. 서 론

1. 연구배경

건설현장 근로자들은 공종별 다양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데, 노출되는 이러


한 물질 중 산화규소(결정체), 아스팔트 흄,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디젤배출물,
석면, 납, 금속흄, 그리고 페인트 및 다양한 용제류 등은 발암성 및 생식독성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Jarvholm B, 2006).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암 발생을 일반 직업군과 비교하면, 표준화 발생비
(SIR; Standardised Incidence Ratio)가 1.26으로 높았고, 이 중 구강 및 인두암
(SIR 1.84), 비뇨기암(SIR 1.48) 발생이 높았다고 하였으며(Arndt VI et al,
2005), 직업성 암으로 인한 사망의 절반 이상이 건설현장 근로자들에게 발생하
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고가 있었다(Rushton et al., 2008). 또한, 건설업 근로
자 직업성 암의 많은 부분은 폐암으로, 용접공과 지붕(방수)공에서 높은 폐암
발생 위험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Calvert GM et al., 2012). 영국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에서는 건설 근로자들의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의 가장
큰 부분이 석면이며 다음으로 산화규소, 디젤배출물, 도장공, 피부암 유발 유해
인자 순으로 보고하였다.
건설현장에서 노출되는 대표적인 발암성 물질 중 디젤배출물은 건설현장에
서 사용하는 덤프트럭, 굴착기 등 차량용 건설기계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불완
전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 가스상 물
질과 원소탄소(Element carbon), 다핵방향족탄화수소(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등과 같은 입자상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국제암연구소는 디젤
배출물을 폐암을 일으키는 확실한 물질로, 방광암을 일으키는 원인의심물질로
분류되어 있다(박동욱 등, 2014). 특히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작업
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이 이루어지고 있는 탑다운 공법의 경우, 구조물 시공 시 상부를 슬라브로 덮


어 지하층과 지상층을 동시에 작업하므로 지하 굴착작업장은 환기가 매우 불충
분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탑다운 공법의 지하 굴착작업장에서는 내부
차량용 건설기계에 의한 디젤배출물 및 토양, 암석지반의 굴착으로 발생하는
산화규소(결정체) 등 발암성 물질의 노출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나, 현재까
지 알려진 연구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아스팔트 흄은 건설현장의 도로포장 및 지붕잇기(지붕방수) 작업 중
주로 노출되며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아직까지 아스팔트 그 자체만으로 인체에
대한 발암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고하였으나, 근로자의 폐암, 방광암
및 구강, 인두, 후두, 식도 등 상부 호흡기 악성종양에 의한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정지연 등, 2006). 국내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에 대
한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노출농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발암성 물질은 노출 후 장기간에 걸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
라서, 직업적 노출에 의한 암 발생은 발암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사전예방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임경택 등, 2011).

그동안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건설현장 도장작업, 용접작업, 콘크리트


견출작업 노출평가 연구를 통해 유기용제, 금속흄, 산화규소에 대한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노출 수준에 대해 문헌고찰 및 노출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번 연
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건설현장에서 노출되는 주요 발암성 물
질 등의 노출 실태를 정리하고, 건설현장 내 노출농도 수준이 잘 알려져 있지
못한 아스팔트 흄, 디젤배출물 등 발암성 물질의 노출농도에 대해서는 현장평
가를 실시하여 작업환경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Ⅰ. 서론 ‥‥ 3

2. 연구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1) 건설업 작업환경측정자료, 건설현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


건자료 등을 통해 건설현장에서 취급하는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의 공종별 취급실태 및 노출농도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2) 건설현장에서 노출되는 대표적인 발암성 물질 중 노출농도 수준이 잘 알


려져 있지 못한 디젤배출물 및 아스팔트 흄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하고,
작업환경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Ⅱ. 연구방법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조사

1) 건설현장 작업환경측정자료 분석

작업환경측정 자료는 공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작업환경측정결과 전산 보고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4년간 건설업에서 평가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대상 유해인자 중 고용노동부 고시 ‘화학물질 및 물
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발암성(1A, 1B, 2), 생식독성(1A, 1B, 2), 생식변이
원성(1A, 1B, 2, 수유독성)으로 분류된 물질을 대상으로 연도별 측정건수, 평가
대상 공정 및 세부평가 업종 등을 살펴보았다.
물질별 측정결과는 자료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여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산술평균(Arithmetic mean: AM)과 기하평균(Geometric mean: GM), 중앙값
(Median) 등을 구하였다. 자료의 분포를 대수정규분포한다고 가정하고, 기하평
균과 기하표준편차를 통해 95% 상위 농도값을 구하여 노출기준과 비교하였다.

2) 건설현장 물질안전보건자료 조사

건설현장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수집하여 공종별 취


급 화학물질 목록을 정리하고, 화학물질 구성성분 중 GHS 유해등급 확인 및
국립암연구소(IARC, World Health Organization), 고용노동부 화학물질 노출기
준 고시에서 정하는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
였다. 또한, 주요 건설현장 취급 화학물질인 도료, 용접봉, 시멘트, 실런트, 접착
제 등에 대한 각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분석하여 주요 구
성성분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Ⅱ. 연구방법 ‥‥ 5

2. 건설현장 굴착 및 도로포장작업 발암성 물질 노출평가

1) 지하굴착작업 디젤배출물 현장평가

(1) 대상 사업장
건설공법 중 탑다운(Top-Down) 공법을 적용하여 작업하는 주상복합건축물
신축현장 4개소 <표 Ⅱ-1>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 5월 사이 굴착기 운전자
위치(개인사료) 및 지하 작업장(지역시료)으로 나누어 측정위치별 2일 연속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물질로 원소탄소(Element Carbon), 다핵방향족탄화수소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를 평가하고, 일부 사업장에 대해 호흡성
분진과 산화규소(결정체) 농도를 평가하였다.
굴착작업은 하루 8시간이상 연속으로 수행되어 일 6시간 이상 측정을 실시
하고 8시간 가중평균농도로 평가하였다. 대상사업장은 모두 탑다운 공법 중
다운-업(Down-up) 방식으로 지하층 공사완료 후 지상층 공사를 진행하는 현
장이었으며 토질은 연암, 경암, 토양까지 다양하였으며, 공정률은 17~20% 수
준으로, 평가 당시 지하 2~3층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표 II-1> 지하굴착작업_디젤배출물 노출평가 대상 사업장


사업장 A B C D
소재지 부산시 대구시 대구시 울산시
평가일정 2017. 4월 중 2017. 4월 중 2017. 4월 중 2017. 5월 중
Top-Down 세부공법 Down-up Down-up Down-up Down-up
공정률(%) 17 % 20 % 17 % 20 %
토질 토양 연암 경암 토양
측정위치 지하 3층 지하 2~3층 지하 2~3층 지하 3층
차량대수 4대 5대 10대 3대
발파유무 없음 없음 있음 없음
개인 3개소 개인 3개소 개인 3개소 개인 3개소
평가대상
지역 3개소 지역 3개소 지역 3개소 지역 3개소
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탑다운(Top-Down) 공법 지하 굴착 작업 내용
탑다운(Top-Down) 공법 굴착작업은 구조물 시공 시 위(Top)에서 아래
(Down)로 진행하는 공법으로 깊은 지하 구조물 건설공사에서 주위환경에 악영
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발된 방법이다. 지하층, 지상층을 동시에 작업하므
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굴착소음과 분진이 대기 중에 비산하는 것을
감소시켜 주변 민원을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지하 작업장 상부를 상판으로 덮
고 작업하므로 내부의 환기조건은 매우 불충분한 환경으로 조성된다.
탑다운 공법은 다시 작업순서에 따라 다운-업(Down-Up), 업-업(Up-Up), 탑
다운(Top-Down) 으로 나누어지는데, 다운-업(Down-Up)은 지하층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공사 후, 지상층 공사가 진행되는 공법이며, 업-업(Up-Up)은 지하층
수평부재 공사 후 지상층과 지하층의 수직부재가 동시에 진행되고, 탑다운
(Top-Down)은 지하층, 지상층 수평부재가 동시에 진행되는 공법이다.

[그림 II-1] 탑다운(Top-Down) 공법의 종류


Ⅱ. 연구방법 ‥‥ 7

[그림 Ⅱ-2] 사업장 A_굴착작업


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Ⅱ-3] 사업장 B_굴착작업


Ⅱ. 연구방법 ‥‥ 9

[그림 Ⅱ-4] 사업장 C_굴착작업


1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Ⅱ-5] 사업장 D_굴착작업


Ⅱ. 연구방법 ‥‥ 11

2) 아스팔트 도로포장 현장평가

(1) 대상 사업장
아스팔트 포장을 실시하는 산업단지 1개소, 국도 건설현장 2개소 <표 Ⅱ-2>
를 대상으로 2017년 6월~7월 사이 아스팔트 흄,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를
평가하였다. 측정위치별 2일 연속측정을 실시하였으며 포장작업은 하루 8시간
이상 연속으로 수행되어 일 6시간 이상 측정을 실시하고 8시간 가중평균농도로
평가하였다. 이번 평가에서는 포장특공에 대한 개인시료 채취 및 피니셔, 머캐
덤, 텐덤 등 차량용 건설기계에 시료채취장비를 설치하여 평가하였다.

<표 Ⅱ-2> 아스팔트작업 노출평가 대상 사업장


사업장 E F G

소재지 경남 김해시 부산광역시 경남 양산시

평가일정 2017. 6월 중 2017. 6월 중 2017. 6월 중

공법 일반 아스콘 일반 아스콘 일반 아스콘

기능 일반포장 교량포장 일반포장

장소 산업단지 도로 국도 국도

공사현황 중간층 포장 중간층 포장 기층 포장

골재(자갈) 19 mm 10 mm 19 mm

포장특공(개인) 포장특공(개인) 포장특공(개인)


피니셔 피니셔 피니셔
평가대상 머캐덤 로울러 머캐덤 로울러 머캐덤 로울러
타이어 로울러 타이어 로울러 타이어 로울러
텐덤로울러 텐덤로울러 텐덤로울러
1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이스팔트 도로포장 공정


아스팔트 포장작업은 덤프트럭으로 실어온 아스콘을 포설장비 (피니셔,
Finisher) 차량에 쏟은 후, 피니셔 차량이 일정한 두께로 아스콘을 도포하면 포
장특공들이 차량을 따라가면서 평탄화 및 수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포
장된 도로를 머캐덤 로울러(Macadam, 쇠바퀴 장착) 차량이 지나가면서 1차 다
짐을 하게 되고, 이후 타이어 로울러(Tire, 고무바퀴 장착) 차량이 2차 다짐작
업을 하며, 마지막으로 텐덤 로울러(Tandem) 차량이 요철부위를 한번 더 다지
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아스팔트 포장은 기층, 중간층, 표층으로 나누어 총 3
회 포장작업이 이루어진 후 완성되며, 각 층별 두께는 도로용도, 설치위치, 아
스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다. 아스팔트 포장작업은 비가오거나, 기온이 5℃이
하이거나, 안개가 끼거나 비가 오는 날은 시공을 하지 않는다.

[그림 Ⅱ-6]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Ⅱ. 연구방법 ‥‥ 13

○ 포설작업 (피니셔, Finisher)


아스팔트 포설에 앞서 기층면을 점검하여 손상된 부위가 있는지 확인하며,
표면의 습윤상태, 불순물 등의 유무를 확인한다. 포설장비인 피니셔는 평탄하게
포설할 수 있는 호퍼, 스크류, 스크리드 및 템퍼를 장착한 것으로 혼합물의 공
급량에 다라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비이다. 피니셔 장비의 호퍼에 덤프
차량이 운송해온 적정량의 아스콘을 공급하고, 포설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정
하며, 스크리드를 포설작업 전에 예열한다. 다짐 후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도록
포설한다. 최근 피니셔 장비에는 호퍼 부위에 측방 슬로트형 후드가 설치되어
초기 아스콘 로딩 시 발생하는 흄을 제거하고 있다.

[그림 Ⅱ-7] 아스팔트 도로 포장_피니셔 (사업장 E)


1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 포장특공 (피니셔 보조원)


아스팔트 피니셔 장비를 따라가면서 삽과 갈퀴 등을 사용하여 피니셔 포설
중 아스콘의 분리가 생기거나 포설불량 부분을 보수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피니셔 포설장비 1대당 약 3~4명의 피니셔 보조원이 작
업을 실시한다. 또한, 기계포설이 불가능한 곳 (맨홀 주변, 모서리 등)에 대해서
는 인력포설작업을 실시한다.

[그림 Ⅱ-8]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포장특공 (사업장 E)


Ⅱ. 연구방법 ‥‥ 15

○ 다짐작업 (머캐덤 Macadam, 타이어 Tire, 텐덤 Tandem)


피니셔로 아스콘을 포설하고나면 바로 뒤를 따라가면서 아스콘을 다지는 작
업을 진행한다. 머캐덤 로울러는 쇠바퀴를 장착한 장비로 중량 8톤 이상이며,
아스팔트 포설면에 1차 다짐작업을 시행한다. 아스콘이 바퀴에 부착되지 않도
록 바퀴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2차 다짐은 타이어 로
울러(중량 10톤 이상, 고무바퀴)를 사용하고, 3차 다짐은 텐덤 로울러(6톤 이상)
를 사용한다.

[그림 Ⅱ-9]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머캐덤 (사업장 E)


1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Ⅱ-10]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타이어 (사업장 E)

[그림 Ⅱ-11]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_텐덤 (사업장 E)


Ⅱ. 연구방법 ‥‥ 17

[그림 Ⅱ-12] 국도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사업장 F)


1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Ⅱ-13] 국도 건설현장 아스팔트 도로 포장 (사업장 G)


Ⅱ. 연구방법 ‥‥ 19

3)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1) 디젤배출물
가) 원소탄소(Diesel particulate matter as element carbon) 측정 및 분석
원소탄소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은 NIOSH #5040에 따라 실시하였다. 채취매
체는 37 ㎜ 석영(quartz-fiber) 필터를 카세트(3-piece cassette)와 알루미늄 싸
이클론에 장착하고 고유량 시료채취기(high volume air sampler)를 사용하여
유량을 각 2ℓpm(총분진) 및 2.5ℓpm(호흡성 분진)으로 설정하여 채취하였다.
시료는 안전성이 높아 일반적인 시료 운송 및 보관방법으로 저장하였으며, 현
장 공시료 및 실험실 공시료를 분석하여 공시료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였다. 시
료채취기는 유량보정기 (Dry cal, Defender 520-M, MesaLabs, USA)를 사용하
여 시료채취 전, 후에 보정을 실시하였다. 시료의 분석은 원소탄소분석기
(OCEC Analyzer, Model 5L, Sunset Lab. Inc., USA)를 사용하였다. 기기는 장
비 공시료(instrument blank) 분석과 표준용액(sucrose: 수크로스 또는 자당으
로도 불리는 설탕으로 포도당과 과당의 중합분자, 화학식 C12H22O11이고, 원
소탄소의 표준용액으로 사용) 분석을 통하여 상태를 확인 한 후 시료분석을 하
였으며, 수크로스 표준용액은 4.2 ug/uL 농도를 제조하여 2 ~ 10 uL를 석영필
터에 주입한 후 분석하여 분석값이 주입량의 ± 5% 이내인 경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채취된 석영필터 및 공시료에서 [그림 Ⅱ-14]와 같이 3개의 분석용
시료를 만들어서 분석기기에 도입하였다. 시료별 분석된 결과 평균값에 필터의
채취면적(8.75 ㎠)를 곱해서 농도를 계산하였다. 원소탄소분석기의 분석조건은
<표 Ⅱ-3>와 같았다. 총 분석시간은 약 13분 20초 였으며, 최대온도는 870℃로
하였다. 유기탄소(organic carbon)와 원소탄소(element carbon)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구분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헬륨(helium)모드에서는 유
기탄소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며, 산소(oxygen) 모드에서는 원소탄소의 분석
이 이루어진다. 디젤배출물의 지표로서 여기에서는 원소탄소의 분석결과를 사
용하였다. 검출한계는 공시료(blank) 분석값에 대한 표준편차의 3 배수로 계산
2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하면, 원소탄소 0.0008 ㎍/sample, 유기탄소 5.05276 ㎍/sample, 총탄소는


5.05272 ㎍/sample 이었다.

[그림 Ⅱ-14] 분석용 시료 제작 예시

<표 Ⅱ-3> 원소탄소분석기(OCEC Analyzer) 분석조건


Mode Time(sec) Temp.(℃)
10 -
80 310
80 475
Helium
80 615
110 870
45 550
45 550
45 625
45 700
Oxygen
45 775
45 850
60 870
Calibration 110 -

나) 다핵방향족 탄화수소 측정 및 분석
다핵방향족 탄화수소(PAHs)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은 NIOSH #5506에 따라 실
시하였다. 채취매체는 37 ㎜, 2 ㎛ PTFE 필터와 washed XAD-2(100 mg/50 mg,
Ⅱ. 연구방법 ‥‥ 21

ORBO 43, Supelco)를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며, 고유량 시료채취기(High


volume air sampler)를 유량 2ℓpm로 설정하고 채취하였다. 시료는 햇빛(열과
UV 노출)에 노출되지 않도록 시료를 채취하는 동안과 채취 후 은박지로 감싸
고, 냉장보관하여 운송하였으며, 실험실 운송 직 후 전처리 하여, 0 ℃이하에서
보관하였다. 현장 공시료 및 실험실 공시료를 분석하여 공시료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기는 유량보정기 (Dry cal, Defender 520-M, MesaLabs,
USA)을 사용하여 시료채취 전, 후에 보정을 실시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NIOSH #5506에 따라 PTFE 필터를 시험관(15 ㎖
High-clarity Polypropylene Conical Tube)에 넣은 다음 아세토니트릴 5 ㎖를
주입하였다. washed XAD-2는 앞 층과 앞 층 유리섬유를 시험관에 같이 넣었
으며, 뒷 층과 중간 유리섬유를 다른 시험관에 같이 넣었다. washed XAD-2와
유리섬유를 넣은 시험관에 PTFE와 마찬가지로 아세토니트릴 5 ㎖를 주입하였
다. 아세토니트릴이 주입된 시험관은 뚜껑을 닫은 후 30 ~ 60분 동안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추출된 샘플은 0.45 ㎛ 실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걸러내었다. 분석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Waters Acquity UPLC H-Class,
USA)를 이용하였으며, 자외/가시광선 흡광검출기(UV/VIS Absorbance
detector, 254 ㎚)와 형광검출기(Fluorescence detector, 350 ㎚/397 ㎚) 두 개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두 개 결과 값 중 감도가 높은 값을 선택하였다. 분석에 사
용된 컬럼은 Warters사의 BEH C18 컬럼(2.1×100 ㎜, 1.7 ㎛)으로 이동상은
66% 아세토니트릴/34% 증류수 비율에서 시작하여 100% 아세토니트릴로 농도
가 증가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유량은 0.4 ㎖/min으로 흘러주었다. 다핵방향족
탄화수소의 세부 물질별 검출한계는 <표 Ⅱ-4 >와 같다.
2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Ⅱ-4>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분석물질 및 검출한계


검출한계 노출기준 등
물질명 약어 화학식 분자량
(㎍/sample) (OSHA)

Naphthalene NAP C10H8 128.17 0.409 10 ppm


Acenaphthy
ACE C12H8 152.2 0.291 -
lene
Acenaph
ACEN C12H10 154.21 0.128 -
thene
Fluorene FLUO C13H10 166.22 0.112 -

Phenanthrene PHEN C14H10 178.23 0.020 0.2 mg/㎥

Anthracene ANTH C14H10 178.23 0.004 0.2 mg/㎥

Fluoranthene FLOUR C16H10 202.26 0.026 -

Pyrene PYR C16H10 202.26 0.063 0.2 mg/㎥


Benz(a)
BAA C18H12 228.29 0.006 발암의심물질
anthracene
동물발암확인
Chrysene CHR C18H12 228.29 0.048
물질
Benzo(b)
BBF C20H12 252.32 0.016 발암의심물질
fluoranthene
Benzo(k)
BKF C20H12 252.32 0.040 -
fluoranthene
Benzo(a) 0.2 mg/㎥
BAP C20H12 252.32 0.015
pyrene 발암의심물질
Dibenz(a,h)
DIB C22H14 278.35 0.423 -
anthracene
Benzo(ghi)
GHI C22H12 276.34 0.367 -
perylene
Indeno(1,2,3-C,
IND C22H12 276.34 0.052 -
D)pyrene
Ⅱ. 연구방법 ‥‥ 23

다) 분진 농도_측정․중량분석 방법
호흡성 분진의 시료채취는 중량 분석한 PVC 여과지(Poly Vinyl Chloride, 직
경 37mm, 공극 5um, SKC Inc., USA)를 37mm 카세트를 장착한 후, 알루미늄
싸이크론(SKC Inc., USA)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채취 유량은 2.5ℓ
/min(4㎛-cut-point)으로 한 후, 작업시간동안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채취기
는 작업 전, 후 유량보정기(Dry cal, Defender 520-M, MesaLabs, USA))를 사
용하여 유량을 보정하였다. 총분진의 경우 37mm 3단 카세트에 필터를 장착하
고 시료채취기에 연결하여 2.0ℓ/min의 유속으로 채취하였다.
중량 분석을 위해 시료채취 전 PVC 여과지를 데시케이트에서 1일 이상 건
-7
조 시키고, 중량분석실에서 2시간 이상 안정화한 후, 해독도 10 g 인 전자저
울(XP2U, Mettler toledo, Switzerland)에서 무게를 칭량하였다. 무게칭량은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시료채취 전 무게로 하였다. 채취된 시료 및 현장 공시료
도 데시케이트에서 1일 이상 두어 건조 시키고, 중량분석실에서 2시간 이상 안
정화한 후, 3회 중량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시료채취 후 무게로 하였다.

           
  

C : 분진 농도(㎎/㎥)
Wa : 시료의 시료채취 후 무게(㎎)
Wb : 시료의 시료채취 전 무게(㎎)
Ba : 공시료의 시료채취 후 무게(㎎)
Bb : 공시료의 시료채취 전 무게(㎎)
V : 채취 공기량(㎥)
2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라) 산화규소(결정체) 분석 방법
산화규소(결정체)의 분석은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의 NMAM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 7602에 따라 퓨리에변환 적외선분
광광도계(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시료 전처리를 위해 여과지를 도가니에 넣고, 약 600℃의 전기로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회화된 여과지가 담긴 도가니에 약 300 mg의 KBr(FT-IR
grade, Sigma-Aldrich)을 넣고 섞은 후, 13 mm 펠렛 다이(pellet die)에 넣어
프레스로 압축하여 펠렛(pellet)으로 제작하였다.
분석은 퓨리에변환 적외선분광광도계(BRUKER ALPHA-T, Germany)를 이
용하여 600∼900 cm-1 의 진동수 범위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 후 진동수
800 cm-1 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여 결과산출에 활용하였다. 검량선은 미국표준
기술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의 SRM
2950a Respirable Alpha Quartz 표준시료를 활용하여 5∼500 ㎍ 농도범위로 작
성하였다. 분진의 채취량이 많아 펠렛(pellet)으로 전처리가 가능하지 않거나 검
출된 석영의 양이 작성된 검량선의 범위를 벗어나는 시료는 분진의 일부를 분
취하여 분석한 검출량에 분취한 분진의 무게와 시료의 전체 분진의 무게 비율
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분석결과를 산출하였다.
Ⅱ. 연구방법 ‥‥ 25

마) 이산화질소, 일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 가스류


디젤배출물 배출 시 노출 가능한 가스류에 대한 평가를 위해 직독식 장비
(MultiRAE pro, RAE System, USA)를 사용하였다. 측정센서별 측정방식, 측정
범위 및 분해능은 다음과 같다.

측정항목 측정방식 측정범위 분해능

휘발성유기화합물 광이온화검출기(PID) 10 ppb ~ 2,000 ppm 10 ppb

이산화황(SO2) 전기화학식 0 ~ 20 ppm 0.1 ppm

일산화질소(NO) 전기화학식 0 ~ 250 ppm 0.5 ppm

이산화질소(NO2) 전기화학식 0 ~ 20 ppm 0.1 ppm

일산화탄소(CO) 전기화학식 0 ~ 500 ppm 1 ppm

황화수소(H2S) 전기화학식 0 ~ 200 ppm 0.1 ppm

(2) 아스팔트 흄
가) 아스팔트 흄 측정
아스팔트 흄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은 NIOSH #5042에 따라 실시하였다. 채
취매체는 37 ㎜ PTFE 필터(2㎛ pore size, SKC, USA)를 3-piece cassette에
장착하고 고유량 시료채취기(High volume air sampler)를 사용하여 유량 1 ~
4 ℓpm 으로 설정하여 채취하였다. 시료는 안전성이 높아 일반적인 시료 운송
및 보관방법으로 저장하였으며, 현장 공시료 및 실험실 공시료를 분석하여 공
시료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기는 유량보정기 (Dry cal, Defender
520-M, MesaLabs, USA)을 사용하여 시료채취 전, 후에 보정을 실시하였다.
나) 아스팔트 흄 분석 - 총분진 중 벤젠 추출 농도
시료채취 전, 후의 PTFE 필터(37㎜, 2㎛ pore size, SKC, USA)의 무게를
2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전자저울(Mettler Toledo, XP2U, Swizzerland, 해독도: 0.1㎍, 검교정일: 2017.


05. 22)에 달아 총 분진의 양을 평가하였다.
총 분진의 측정이 끝난 PTFE 필터를 흄후드 내에서 15 ㎖ 실험관 튜브에
담고, 벤젠 3 ㎖를 넣은 후, 초음파 처리기(Sonicator, Branson 8510, USA)로
20분간 추출하였다. 벤젠 추출물은 계량용 접시(weighing cup)에 옮겨 담는데,
접시는 벤젠으로 미리 헹군 뒤에 충분히 건조시킨 후 무게를 칭량하였다. 벤젠
추출물은 유리 파이펫(glass pipet)을 사용하여 2 ㎖ 분취한 뒤에 필터 실린지
(Hydorphobic PTFE, Millipore)를 사용하여 계량 접시에 담고, 진공오븐
(OV-12, JEIO TECH)에서 약 2시간정도 건조시킨 후에 무게를 달아서 농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오븐의 온도와 압력은 40℃, 50 ~ 200 ㎜Hg으로 설정하였고,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 흄의 검출한계는 공시료(blank sample)의 표
준편차의 3배수로 0.0357 ㎎/sample 이었다.
Ⅲ. 연구결과 ‥‥ 27

Ⅲ. 연구결과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자료(2013~2016)

1) 건설현장 작업환경측정 현황

2013년에서 2016년까지 건설현장의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결과 자


료는 <표 Ⅲ-1>와 같다. 2013년 약 24,851건에서 2016년 77,949건으로 2015년
건설업 보건관리자 선임이 의무화된 이후(2013년 개정, 2015년 시행),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전체 측정 대상물질 중 고용노동부 화학물질
노출기준 고시에서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이하 발암성 등)으로 분류
된 물질<부록 표-1 참조>은 2013년 약 5,496건, 2014년 8,392건, 2015년 10,823
건, 2016년 17,172건으로 전체 측정물질의 약 22 ~ 23%를 차지하고 있었다.

<표 Ⅲ-1> 건설현장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건수)1


발암성 물질 등 이외
측정연도 발암성 물질 등 합계
화학물질
2016 17,172 (22.61%) 60,777 (77.97%) 77,949 (100%)

2015 10,823 (22.98%) 36,283 (77.02%) 47,106 (100%)

2014 8,392 (23.74%) 26,957 (76.26%) 35,349 (100%)

2013 5,496 (22.12%) 19,355 (77.88%) 24,851 (100%)


2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Ⅲ-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건수)


Ⅲ. 연구결과 ‥‥ 29

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측정 현황

건설현장에서 측정한 발암성 물질 등의 종류를 살펴보면 이산화티타늄(27%)


이 가장 많았고, 톨루엔(11%), 규산(석영, 9%), 니켈(불용성)화합물(7%), 에틸벤
젠(6%), 니켈(원소, 5%), 벤젠(3%), 납 및 그 무기화합물(2%) 등의 순으로 많
이 측정되었다 <표 Ⅲ-2>. 물질별 사용 공정을 살펴보면 이산화티타늄, 니켈
(불용성)화합물, 크롬(6가)화합물은 산업플랜트, 아파트 건설현장의 용접작업 중
가장 많은 측정이 이루어졌고, 납 및 무기화합물은 도장, 용접, 납땜, 방수 등
다양한 공정에서 사용되었다. 톨루엔, 에틸벤젠은 산업플랜트, 일반건축물 건설
업의 도장, 방수작업에서, 벤젠은 건축마무리 공사, 건물설비 설치, 방음․내화
공사 등에서 보수, 가공, 도장 등 공정에서 측정이 이루어졌다. 산화규소는 토
목시설물, 아파트 건설업 및 교량, 터널, 철도 건설업에서 터널굴진 및 기타공
정에서 측정이 이루어졌는데, 기타공정의 세부 작업내용을 살펴보면 암석을 운
반하는 버럭처리, 콘크리트 할석, 그라인딩 작업이 수행되었다. 메틸이소부틸케
톤은 아파트보다는 산업플랜트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림 Ⅲ-3 ~ 9].

[그림 Ⅲ-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실시 현황 (건수)


3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2013-2016, 건수)


측정
연번 유해물질 CAS번호 독성정보 노출기준 단위
건수
1 이산화티타늄 11,116 13463-67-7 발암성 2 10 ㎎/㎥
2 톨루엔 4,495 108-88-3 생식독성 2 50 ppm
3 규산(석영) 3,622 14808-60-7 발암성 1A 0.05 ㎎/㎥
4 니켈(불용성무기화합물) 2,800 7440-02-0 발암성 1A 0.2 ㎎/㎥
5 에틸벤젠 2,349 100-41-4 발암성 2 100 ppm
6 니켈(원소) 2,037 7440-02-0 발암성 2 1 ㎎/㎥
발암성 1A(강산 Mist에
7 황산 1,522 7664-93-9 0.2 ㎎/㎥
한정함), 흉곽성
8 메틸이소부틸케톤 1,311 108-10-1 발암성 2 50 ppm
발암성1A,생식세포변이
9 벤젠 773 71-43-2 0.5 ppm
원성1B, Skin
발암성1B,생식독성1A
10 납(연)및그무기화합물 757 7439-92-1 0.05 ㎎/㎥
(납(금속)의경우발암성2)
11 2-부톡시에탄올 728 111-76-2 발암성2,Skin 20 ppm
발암성 2, 생식독성 2,
12 스티렌 723 100-42-5 20 ppm
Skin
크롬과그무기화합물(불
13 524 18540-29-9 발암성 1A 0.01 ㎎/㎥
용성 6가크롬 화합물)
14 시클로헥사논 465 108-94-1 발암성 2, Skin 25 ppm
크롬과그무기화합물(수
15 366 18540-29-9 발암성 1A 0.05 ㎎/㎥
용성 6가크롬 화합물)
발암성 1A, 생식세포
16 1-브로모프로판 360 106-99-0 25 ppm
변이원성 1B
메틸렌디(비스)페닐
17 355 101-68-8 발암성 2 0.005 ppm
디이소시아네이트
18 디클로로메탄 319 1975-09-02 발암성 2 50 ppm
톨루엔-2,4-디이소시아
19 316 584-84-9 발암성 2 0.005 ppm
네이트
발암성 1A, 생식세포
20 포름알데히드 316 50-00-0 0.3 ppm
변이원성 2
Ⅲ. 연구결과 ‥‥ 31

<표 Ⅲ-2>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2013-2016, 건수)_계속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노출기준 단위 측정수
발암성 1A, 생식세포
21 1,3-부타디엔 106-99-0 2 ppm 291
변이원성 1B
톨루엔-2,6-
22 91-08-7 발암성 2 0.005 ppm 290
디이소시아네이트
니켈(불용성무기화합물)
23 7440-02-0 발암성 1A 0.2 ㎎/㎥ 278
1%이상 함유한 제재
24 2-에톡시에탄올 110-80-5 생식독성 1B, Skin 5 ppm 221
25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9-99-9 발암성 2, Skin 50 ppm 199
스토다드솔벤트 발암성1B, 생식세포
26 8052-41-3 100 ppm 196
(벤젠0.1%이상) 변이원성 1B
생식세포 변이원성 2,
27 페놀 108-95-2 5 ppm 180
Skin
크롬과그무기화합물
28 (불용성 6가크롬) 18540-29-9 발암성 1A 0.01 ㎎/㎥ 166
1%이상함유
발암성1A,
29 카드뮴및그화합물 7440-43-9 생식세포변이원성2, 0.01 ㎎/㎥ 158
생식독성2,호흡성
30 과산화수소 7722-84-1 발암성 2 1 ppm 139
31 석면 및 함유물질 발암성 1A 0.1 개/cm3 110
발암성 1A, 생식세포
32 트리클로로에틸렌 79-01-6 10 ppm 82
변이원성 2
33 니켈(가용성무기화합물) 7440-02-0 발암성 1A, 흡입성 0.1 ㎎/㎥ 46
휘발성콜타르피치 및
34 65996-93-2 발암성 1A 0.2 ㎎/㎥ 38
함유물질
35 2-메톡시에탄올 109-86-4 생식독성 1B, Skin 5 ppm 34
36 클로로벤젠 108-90-7 발암성 2 10 ppm 33
37 하이드라진 302-01-2 발암성 1B, Skin 0.05 ppm 32
38 비닐아세테이트 108-05-4 발암성 2 10 ppm 25
39 퍼클로로에틸렌 127-18-4 발암성 1B 25 ppm 22
크롬과그무기화합물
40 (수용성 6가크롬) 18540-29-9 발암성 1A 0.05 ㎎/㎥ 21
1%이상함유
32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 수준

평균 기하평균
N N
노출 표준 기하 (노출 (노출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단위 (ND (ND 평균 GSD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기준 편차 평균 기준 기준
포함) 제외)
%) %)

1 이산화티타늄 13463-67-7 발암성 2 10 ㎎/㎥ 11,116 5,943 0.039 0.138 0.006 7.621 0.006 0.000 3.600 0.39 0.06

2 톨루엔 108-88-3 생식독성 2 50 ppm 4,495 1,982 2.158 5.273 0.491 5.770 0.419 0.001 119.951 4.32 0.98

3 규산(석영) 14808-60-7 발암성 1A 0.05 ㎎/㎥ 3,622 1,503 0.008 0.020 0.004 3.508 0.004 0.000 0.610 16.26 7.68

니켈(불용성
4 7440-02-0 발암성 1A 0.2 ㎎/㎥ 2,800 1,473 0.005 0.016 0.001 4.850 0.001 0.000 0.272 2.44 0.52
무기화합물)

5 에틸벤젠 100-41-4 발암성 2 100 ppm 2,349 979 1.551 3.158 0.475 5.088 0.483 0.001 35.144 1.55 0.48

6 니켈(원소) 7440-02-0 발암성 2 1 ㎎/㎥ 2,037 1,418 0.003 0.013 0.001 4.101 0.001 0.000 0.372 0.29 0.09

발암성 1A
7 황산 7664-93-9 0.2 ㎎/㎥ 1,522 425 0.020 0.032 0.009 3.974 0.010 0.000 0.445 10.09 4.49
(강산 Mist에 한정함)

메틸이소
8 108-10-1 발암성 2 50 ppm 1,311 393 0.817 1.647 0.301 4.510 0.333 0.001 18.352 1.63 0.60
부틸케톤

발암성1A,생식세포변
9 벤젠 71-43-2 0.5 ppm 773 98 0.074 0.082 0.041 3.457 0.055 0.001 0.478 14.80 8.27
이원성1B,Skin

발암성1B,생식독성1A
납(연)및그
10 7439-92-1 (납(금속)의 경우 0.05 ㎎/㎥ 757 336 0.002 0.004 0.001 4.077 0.001 0.000 0.038 4.34 1.69
무기화합물
발암성2)

11 2-부톡시에탄올 111-76-2 발암성2,Skin 20 ppm 728 92 0.654 1.327 0.240 4.356 0.263 0.004 9.507 3.27 1.20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 수준_계속
N N 평균 기하평균
노출 표준 기하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단위 (ND (ND 평균 GSD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노출 (노출
기준 편차 평균
포함) 제외) 기준%) 기준%)

발암성 2,
12 스티렌 100-42-5 생식독성 2, 20 ppm 723 206 3.776 6.626 0.721 8.934 0.730 0.001 38.220 18.88 3.60
Skin

크롬과그무기화
13 합물(불용성 18540-29-9 발암성 1A 0.01 ㎎/㎥ 524 121 0.001 0.001 0.000 3.100 0.000 0.000 0.008 7.23 3.72
6가크롬 화합물)

14 시클로헥사논 108-94-1 발암성 2, Skin 25 ppm 465 48 0.358 0.415 0.201 3.402 0.199 0.005 2.404 1.43 0.81

크롬과그무기화
15 합물(수용성 18540-29-9 발암성 1A 0.05 ㎎/㎥ 366 91 0.002 0.004 0.000 5.092 0.000 0.000 0.036 3.35 0.82
6가크롬 화합물)

발암성 1A,
16 1-브로모프로판 106-99-0 생식세포 25 ppm 360 45 0.522 1.109 0.135 4.330 0.081 0.017 4.403 2.09 0.54
변이원성 1B
메틸렌디(비스)페
17 닐디이소시아네 101-68-8 발암성 2 0.005 ppm 355 44 0.000 0.000 0.000 4.804 0.000 0.000 0.002 4.77 1.36
이트

18 디클로로메탄 1975-09-02 발암성 2 50 ppm 319 123 5.105 14.007 1.209 4.796 0.824 0.074 100.142 10.21 2.42

톨루엔-2,4-디이
19 584-84-9 발암성 2 0.005 ppm 316 101 0.006 0.055 0.000 4.720 0.000 0.000 0.550 114.37 2.59
소시아네이트

발암성 1A,
20 포름알데히드 50-00-0 생식세포 0.3 ppm 316 219 0.008 0.018 0.003 3.290 0.003 0.000 0.163 2.70 1.14
변이원성 2
발암성 1A,
21 1,3-부타디엔 106-99-0 생식세포 2 ppm 291 51 0.553 0.729 0.218 5.334 0.333 0.003 3.312 27.66 10.88
변이원성 1B
33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 수준_계속
34

N N 평균 기하평균
노출 표준 기하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단위 (ND (ND 평균 GSD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노출 (노출
기준 편차 평균
포함) 제외) 기준%) 기준%)

톨루엔-2,6-
22 91-08-7 발암성 2 0.005 ppm 290 107 0.000 0.000 0.000 3.863 0.000 0.000 0.003 6.25 2.81
디이소시아네이트

니켈(불용성무기
화합물)물질을
23 7440-02-0 발암성 1A 0.2 ㎎/㎥ 278 188 0.004 0.014 0.001 4.577 0.001 0.000 0.142 2.04 0.55
중량비율1%이상함
유한제재
생식독성 1B,
24 2-에톡시에탄올 110-80-5 5 ppm 221 66 0.535 0.614 0.302 3.380 0.364 0.006 3.150 10.71 6.04
Skin
테트라하이드로
25 109-99-9 발암성 2, Skin 50 ppm 199 83 0.672 1.418 0.278 3.398 0.222 0.020 11.375 1.34 0.56
퓨란

발암성1B,
스토다드솔벤트
26 8052-41-3 생식세포 100 ppm 196 59 4.117 6.297 0.748 19.637 1.301 0.000 25.125 4.12 0.75
(벤젠0.1%이상)
변이원성 1B

생식세포
27 페놀 108-95-2 변이원성 2, 5 ppm 180 7 0.506 1.020 0.064 17.604 0.091 0.000 2.793 10.12 1.29
Skin

크롬과그무기화합
28 물(불용성 6가크롬) 18540-29-9 발암성 1A 0.01 ㎎/㎥ 166 55 0.002 0.006 0.001 3.496 0.001 0.000 0.034 18.47 5.12
중량비율1%이상

발암성1A,생식
29 카드뮴및그화합물 7440-43-9 세포변이원성2, 0.01 ㎎/㎥ 158 44 0.000 0.000 0.000 3.478 0.000 0.000 0.001 1.50 0.83
생식독성2

30 과산화수소 7722-84-1 발암성 2 1 ppm 139 69 0.010 0.038 0.003 3.799 0.002 0.000 0.310 1.03 0.26
3
31 석면 및 함유물질 발암성 1A 0.1 개/cm 110 52 0.015 0.013 0.008 3.502 0.013 0.001 0.066 14.57 8.40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수준_계속
N N 평균 기하평균
노출 표준 기하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단위 (ND (ND 평균 GSD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노출 (노출
기준 편차 평균
포함) 제외) 기준%) 기준%)

발암성 1A, 생식세포


32 트리클로로에틸렌 79-01-6 10 ppm 82 29 3.062 8.413 0.662 6.278 0.712 0.007 45.190 30.62 6.62
변이원성 2

니켈(가용성무기
33 7440-02-0 발암성 1A, 흡입성 0.1 ㎎/㎥ 46 24 0.002 0.003 0.001 3.176 0.001 0.000 0.015 2.20 1.20
화합물)

휘발성콜타르피치
34 65996-93-2 발암성 1A 0.2 ㎎/㎥ 38 38 0.051 0.032 0.041 2.296 0.041 0.001 0.154 25.75 20.55
및 함유물질

35 2-메톡시에탄올 109-86-4 생식독성 1B, Skin 5 ppm 34 15 0.121 0.147 0.035 6.501 0.029 0.003 0.356 2.42 0.70

36 클로로벤젠 108-90-7 발암성 2 10 ppm 33 11 0.159 0.257 0.048 5.608 0.032 0.005 0.848 1.59 0.48

37 하이드라진 302-01-2 발암성 1B, Skin 0.05 ppm 32 6 0.011 0.006 0.009 1.708 0.008 0.005 0.020 21.37 18.90

38 비닐아세테이트 108-05-4 발암성 2 10 ppm 25 8 2.182 1.718 0.936 7.214 2.491 0.019 4.333 21.82 9.36

39 퍼클로로에틸렌 127-18-4 발암성 1B 25 ppm 22 7 0.387 0.442 0.255 2.511 0.164 0.096 1.338 1.55 1.02

크롬과그무기
화합물
40 (수용성 6가크롬 18540-29-9 발암성 1A 0.05 ㎎/㎥ 21 4 0.000 0.000 0.000 1.344 0.000 0.000 0.000 0.14 0.13
화합물)
1%이상함유

비소및그무기화합
41 7440-38-2 발암성1A 0.01 ㎎/㎥ 19 9 0.000 0.000 0.000 2.173 0.000 0.000 0.001 1.52 1.03
물 및 함유제제
35
<표 Ⅲ-3>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작업환경측정 농도수준_계속
36

N N 평균 기하평균
노출 표준 기하
연번 유해물질_코드 CAS번호 독성정보 단위 (ND (ND 평균 GSD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노출 (노출
기준 편차 평균
포함) 제외) 기준%) 기준%)

42 1,4-디옥산 123-91-1 발암성 2, Skin 20 ppm 17 5 0.149 0.170 0.104 2.308 0.068 0.063 0.452 0.75 0.52

43 이염화에틸렌 107-06-2 발암성 1B 10 ppm 15 7 0.921 0.669 0.693 2.342 0.683 0.249 1.682 9.21 6.93

44 메틸클로라이드 74-87-3 발암성 2, Skin 50 ppm 12 2 0.758 1.012 0.248 12.416 0.758 0.042 1.473 1.52 0.50

2-메톡시에틸
45 110-49-6 생식독성 1B, Skin 5 ppm 11 7 0.141 0.173 0.088 2.712 0.082 0.028 0.523 2.83 1.76
아세테이트

46 디메틸포름아미드 68-12-2 생식독성 1B, Skin 10 ppm 6 5 0.485 0.291 0.377 2.525 0.487 0.081 0.817 4.85 3.77

N,N-디메틸
47 127-19-5 생식독성 1B, Skin 10 ppm 4 4 0.541 0.730 0.302 3.138 0.194 0.140 1.634 5.41 3.02
아세트아미드

발암성2,
오산화바나듐 생식세포변이원성2,
48 1314-62-1 0.05 ㎎/㎥ 3 1 0.000 . 0.000 . 0.000 0.000 0.000 0.04 0.04
(분진과흄) 생식독성2,
호흡성및흄,흡입성

염화비닐 및
49 1975-01-04 발암성 1A 1 ppm 2 1 0.000 . 0.000 . 0.000 0.000 0.000 0.04 0.04
함유물질
Ⅲ. 연구결과 ‥‥ 37

[그림 Ⅲ-3] 이산화티타늄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3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Ⅲ-4] 톨루엔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 (건수)


Ⅲ. 연구결과 ‥‥ 39

[그림 Ⅲ-5]산화규소(결정체)에 대한 건설세부업종별, 공정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4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Ⅲ-6] 니켈(불용성)화합물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Ⅲ. 연구결과 ‥‥ 41

[그림 Ⅲ-7] 에틸벤젠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4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그림 Ⅲ-8] 메틸이소부틸케톤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Ⅲ. 연구결과 ‥‥ 43

[그림 Ⅲ-9] 벤젠에 대한 공정별, 건설세부업종별 작업환경측정 실시 현황(건수)


4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건설업 주요 공종별 취급 화학물질 및 발암성 물질 노출 실태

건설현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업환경측정 자료,


국내외 문헌을 통해서 살펴본 주요 공정별 취급 화학물질 및 발암성 물질 노출
실태는 다음과 같다.

1) 굴착공사

(1) 공사개요
굴착공사는 지반을 파는 작업으로 크게 토사굴착과 암굴착으로 나누어지고,
암굴착은 풍화암, 연암, 경암 굴착으로 세분화된다. 지반을 파는 작업에는 유압
을 이용하는 포크레인(poclain, backhoe, excavator) 등 장비에 기계삽을 부착하
여 땅을 파거나 정을 사용하여 암석을 깨는 작업이 진행되며, 굴착된 토양 및
암석을 운반하기 위한 덤프트럭의 운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굴착공사 중
탑다운 공법(Top-Down, 역타공법)은 지하층의 슬래브 및 빔을 연속벽과 연결
하여 토공과 병행하여 단계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감과 동시에 지상 구조
물 공사를 실시하므로 지하 굴착공간의 환기상태가 매우 불충분하게 된다.

(2) 주요 취급 화학물질
굴착공사에서는 취급하는 주요 화학물질은 양수기 등 동력장비 및 차량용
건설기계에 사용하는 휘발유, 경유, 등유, 액화 석유가스 등 연료가 대부분이나
토양을 굴착하거나 암석을 깨고 운반하는 작업 등에서 결정체 산화규소가 발생
하고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다른 연소 배출물(디젤배출물 등)에 노출될 수 있
다. 또한 지반이 경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발파작업이 진행되며, 이때 폭
약, 전기뇌관 등이 사용된다. 건설현장 굴착작업에서 조사된 물질안전보건자료
등을 통해 확인한 취급 화학물질은 다음과 같다
Ⅲ. 연구결과 ‥‥ 45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인화성 액체 구분 2
양수기, 건조설비 가솔린, 톨루엔, 자 피부부식성 및 자극성 구분 2
휘발유
등 동력장비의 일렌, t-butyl methyl 심한 눈손상 및 자극성 구분 2
(Gasoline)
연료 ether, 벤젠(벤졸), 등 발암성 구분 2
생식독성 구분 1A
인화성 액체 구분 3
피부부식성 및 자극성: 구분 2
등유
양수기 등 연료 케로젠 (petroleum) 발암성 : 구분 2
(Kerosene)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마취작용), 구분 3(호흡기계자극)
인화성 액체 구분 3
피부부식성 및 자극성: 구분 2
경유 차량용 건설기계 급성독성(경피): 구분 4
디젤, 황(sulfur) 등
(Diesel) 연료 급성독성(흡입, 증기): 구분 4
발암성 : 구분 2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구분 3
인화성가스 : 구분 1
액화석유가스 액화석유가스 (부타 고압가스 : 액화가스
연료
(LPG) 디엔 0.1 % 이상) 발암성: 구분 1A
생식세포변이원성: 구분 1B
지반의 암석 및
발암성: 구분 1A
결정형 토양, 모래 중 Crystaline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1
실리카 함유, 굴착작업 Silica-Quartz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1
중 발생
※ 벤조피렌 기준
디젤연료를 피부과민성: 구분 1
디젤배출물
사용하는 생식세포변이원성: 구분 1B
(다핵방향족 벤조피렌, 나프탈렌
건설기계의 발암성: 구분 1A
탄화수소 ; 등
불완전 연소로 생식독성: 구분 1B
벤조피렌 등)
발생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구분 1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구분 1
질산암모늄, 질산나
경암 등 지반
폭약 트륨, 알루미늄, 유화 폭발위험
발파
재 등

* GHS 유해성․위험성 분류: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6-19호 “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에 따름
4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3)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공 단위 GHS
유해인자 주요 취급현황 및 관리방안
종 작업 유해등급

굴착한 토사 및 암석을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에서


사용하는 덤프트럭 연료, 지반을 파거나 암을 깨는
작업에 사용되는 굴삭기, 굴착기의 디젤연료가 불완
전 연소하여 원소탄소,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등의 입
발암성 자상물질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황 산화물 등
1A 가스상 물질을 함유하는 디젤배출물이 생성되 됨.
디젤배출물 자체로 국제암연구소(IARC*)에 발암성
디젤
생식독성: 물질로 등록되어있음.
배출물
1B ☞ 차량용 건설기계의 디젤배출물 발생에 영향을
(Diesel
미치는 요소는 차량의 연식, 연료의 성분 등이므로
Exhaust)
생식세포 차량 배기구에 공기정화장치 장착, 노후장비 교체,
변이원성: 정기적인 관리점검 등이 필요하며, 저유황유 사용,
1B 차량내부 필터 교체, 개인 호흡보호구 지급, 착용,
작업자 교육 등의 관리가 필요함. 또한 지하굴착작
굴착
업의 경우 지하 작업장에 충분한 용량의 급․배기를
통해 전체환기를 실시하거나 살수 등 습식작업을 하
굴착 토사반출
도록 함.

발파 발파천공 토사와 암석 굴착 및 이송작업 중 함유되어 있는


산화규소(결정체)가 비산되어 노출.
버럭처리 산화규소
발암성 ☞ 토사 및 암석 중 산화규소(결정체) 함유량에 대
결정체
1A 한 조사를 실시하고, 적정 호흡기보호구(특급) 지급,
(암석분진)
파쇄장치 등에 습식장치를 장착하여 분진발생을 최
소화 하는 조치를 실시하여야 함

발암성
벤젠 1A 양수기 등 동력장비 사용 시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
(가솔린) 생식독성: 린(gasoline)에 생식독성 물질인 톨루엔 및 발암성
1A 물질인 벤젠이 소량 함유되어 있으며, 등유
(kerosene) 및 경유(Diesel)은 발암성 구분 2, 액화석
발암성
등유, 경유 유가스에 부타디엔이 0.1%이상 함유되어 있는 경우
2
발암성 1A로 지정되어 있음.
부타디엔 생식세포 ☞ 노출빈도는 낮으나, 취급 작업자에 대한 교육 및
(액화석유 변이원성: 유해성분 함량이 낮은 물질로 대체가 필요함.
가스) 1B
Ⅲ. 연구결과 ‥‥ 47

(4) 굴착작업 중 유해인자 노출농도 수준


가) 디젤배출물(원소탄소,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농도 수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건축물(주상복합) 신축현장 4
개소의 지하 굴착작업(탑다운(Top-Down) 공법) 중 발생하는 디젤배출물 농
도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원소탄소농도를 평가한 결과, 차량 내부에서 평가한
총분진 시료에서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9.569 ㎍/㎥ (2.09 ~ 52.224 ㎍/㎥)
이었고, 유기탄소 44.82 ㎍/㎥ (23.783 ~ 192.814 ㎍/㎥), 총 탄소 55.941 ㎍/㎥
(26.472 ~ 233.663 ㎍/㎥)이었다. 차량 내부의 호흡성 분진 시료에서는 원소탄
소 농도 기하평균 8.693 ㎍/㎥(1.573 ~ 58.427 ㎍/㎥), 유기탄소 34.324 ㎍/㎥
(19.111 ~ 188.903 ㎍/㎥), 총 탄소 44.957 ㎍/㎥ (22.902 ~ 225.33 ㎍/㎥)이었
다. 외부 작업장에서 지역시료로 평가한 총분진 시료에서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32.022 ㎍/㎥ (3.24 ~ 132.483 ㎍/㎥)이었고, 유기탄소 61.294 ㎍/㎥
(9.55 ~ 171.484 ㎍/㎥), 총 탄소 96.202 ㎍/㎥ (13.845 ~ 303.967 ㎍/㎥)이었다.
호흡성 분진 시료에서는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33.202 ㎍/㎥ (3.151 ~
191.419 ㎍/㎥)이었고, 유기탄소 41.533 ㎍/㎥ (8.332 ~ 123.542 ㎍/㎥), 총 탄
소 78.212 ㎍/㎥ (12.21 ~ 314.961 ㎍/㎥)이었다. 원소탄소는 디젤배출물의 평
가지표로 가정 우선시되고 있다.
공기 중 원소탄소에 대한 노출기준은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의 광
산안전보건청(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SHA)에서는 작업
장의 디젤배출물 노출관리를 위해 총 탄소농도로써 160 ㎍/㎥(또는 원소탄소
로 120 ㎍/㎥)을, 스위스에서는 현재 100 ㎍/㎥으로 가장 낮은 노출기준을 보
유하고 있다. 2001년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회에서 원소탄소농도를 20㎍/
㎥으로 사전고시(Notice of Intented Changes, NIC)하였다가, 2003년 철회한
바 있다.
․지하 굴착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의 기하평균 농도는 차량내부에서 6.818 ㎍/㎥(1.262 ~ 23.618
4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으로 가장 높았고, 외부 작업장에서 3.934 ㎍/㎥(1.262 ~ 15.335 ㎍/㎥)


수준이었다. PAHs의 16개 세부화합물에 대한 평가결과, Naphthalene(C10H8),
Acenaphthylene(C12H8), Acenaphthene (C12H10) 농도가 다른 PAHs 농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었다.
나) 결정체 산화규소 노출농도 수준
․일반 토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발파 전 천공작업, 운반작업, 소할작업에 대해
평가를 실시한 연구에서는(성은창 등, 2015), 총 분진 중 석영의 기하평균은
0.008 mg/㎥, 호흡성 분진 중 석영의 농도는 0.0040 mg/㎥이었다고 보고하였다.
․토양, 연암, 경암 지반에서 지하 굴착작업을 시행하는 3개 작업장을 대상으로
산화규소(결정체)를 평가한 이번 연구원 노출평가 결과, 각 사업장의 기하평
균 농도는 0.2833 mg/㎥(0.28 ~ 0.29 mg/㎥), 0.0984 mg/㎥(0.07 ~ 0.17 mg/㎥),
0.1682 mg/㎥ (0.12 ~ 0.26 mg/㎥) 으로, 노출기준인 0.05 mg/㎥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2) 흙막이 공사

(1) 공사개요
흙막이 공사는 지하공사 시 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지중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지반에 걸리는 형상, 지질, 지층, 균열, 함수, 용수, 동결 및
매설물의 상태에 대응한 강도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때문에 재
료에는 손상, 변형, 부식이 없는 것을 사용해서 이것을 목적에 맞는 조직 구조
로 한다. H-pile, PC 강선,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등이 사용
된다.

(2) 주요 취급 화학물질
흙막이공사에서는 취급하는 주요 화학물질은 토류벽면에 설치되는 가설받침
대(띠장, 버팀보, 앵글)설치작업 중 용접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용접봉, 시멘트
및 벤토나이트 등이 있으며 화학물질 구성성분 등은 다음과 같다.
Ⅲ. 연구결과 ‥‥ 49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특정표적장기
철, 이산화티타늄, 망간,
가설받침 독성(반복노출):구분 1
용접봉 펠드스파 (장석, feldspar),
대 용접 발암성: 구분 2(이산화티타늄)
규산나이트, 석회석, 운모 등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특정표적장기
고장력강용 고장력강 철, 이산화티타늄, 망간, 독성(반복노출):구분 2
용접봉 용접용 실리콘, 마그네슘 등 발암성: 구분 2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규산트리칼슘, 규산이칼슘,
포틀랜드 콘크리트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흡인 유해성: 구분 1
시멘트 등 구조물 황산칼륨, 석회석, 석고,
고로슬래그 등
벤토나이트 구조물 벤토나이트 심한 눈 손상/ 자극: 구분 2

(3)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현황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흙붕괴 방지 및 물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H-pile간에 나무판을 끼우거나 속이 빈 강
관 pile 내에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등을
섞어 양생시키는 작업에서 시멘트 분진 중
토류벽 결정체 산화규소 노출 위험이 있음.
설치 콘크리트(레미콘)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결정체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소각재)를 혼합하여
발암성
흙막이 흙막이 산화규소 제조되는데,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에
1A
지보공 (시멘트 함유된 중금속 중 6가 크롬도 일부 함유되
설치 분진) 어 있으며, 특히 젖은 콘크리트가 피부에
해체 접착되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게 됨
☞ 적절한 호흡보호구(특급) 및 안전장갑
등 개인보호구를 지급하고 작업 근로자에
대한 유해성 정보, 호흡보호구 착용 등 교
육 실시
5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현황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토압, 수압 등의 측방 압력을 이겨내기 위
이산화 해 토류벽면에 설치되는 가설받침대(띠장,
발암성
티타늄 버팀보, 앵글)설치작업 중 수행하는 용접작
2
(금속흄) 업에서 용접봉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티타
늄, 망간에 노출 됨.
☞ 용접작업 시에는 이동식 환기팬 등을 사
용하여 발생하는 용접흄 노출을 최소화하
망간 등 생식독성 고, 적절한 호흡보호구(특급) 등 개인보호구
(금속흄) 1B 를 지급, 작업 근로자에 대한 용접면과의
적정 거리 유지, 정격전류 유지 등 용접흄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교
육 실시

* 시멘트(포틀랜드 시멘트)
시멘트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만드는 것이며, 석회석, 규산트리칼슘, 규산이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황산칼륨, 석고, 고로슬래그 등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다. 물에 의해 굳어
지는 성질이 있어 건축물을 짓는 재료로 사용된다.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원리는 규산트리
칼슘(3CaO․SiO2), 규산이칼슘(2CaO․SiO2)이 물과 만나면 다음의 화학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죽,
불안정한 규산칼슘이 분해되어 결정성의 안정된 2개의 물질이 되며, 이러한 조직의 결합과 결정화에 의
해 시멘트에 강도가 생긴다
2(3CaO․SiO2) + 6H2O → CaO․SiO2․nH2O + 2Ca(OH)2
2 CaO․SiO2 + (n+1)H2O → CaO․SiO2․nH2O + Ca(OH)2
포틀랜드 시멘트는 석회나 석고가 잘 깨어지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혼합한 원료를 로터리 킬른
(rotary kiln)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강도를 가지게 한 제품이며 포틀랜드 시멘트이 외에 경화시간,
강도 등의 특성에 따라 조열 시멘트, 조강 시멘트, 중용 포틀랜드 시멘트, 혼합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
트, 기포 슬레이트 등 일부 첨가하는 물질을 달리하여 다앙하게 제조된다.

** 벤토나이트
벤토나이트는 미세한 입자로 된 물과 결합하면 고팽창하는 점토이다. 주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성분이며, 이는 화산활동에 의한 화산 암석(용암)들이 열수 변질되어 형성된 천연광물이다.
Ⅲ. 연구결과 ‥‥ 51

3) 거푸집 공사

(1) 공사개요
거푸집 공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를 구성하는 공사로서 철근 조
립 후 패널 등을 이용해 보, 기둥, 벽체 등의 형상을 만드는 일이다. 거푸집 및
거푸집 동바리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 해체 작업 등이 이루어진
다. 과거에는 목재 거푸집을 많이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유로폼, 알루미늄폼, 갱
폼 등 다양한 거푸집 재료를 사용한다.

(2) 주요 취급 화학물질
거푸집 공사에서 거푸집과 양생된 콘크리트가 잘 분리되도록 하기위해 거푸
집 표면에 박리제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취급하는 박리제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취급 GHS
용 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피부부식성 및 자극성 구분 2
콘크리트면 심한 눈손상 및 자극성 구분 2
유성 분리를 디클로로메탄(염화메틸 발암성: 구분 2
박리제 위한 렌, 50% 이상), 석탄산,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Ⅰ) 거푸집 파라핀 왁스 등 구분 3(마취작용)
도포용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구분 2

콘크리트면
수소처리된 중질
유성 분리를
파라핀 정제유(석유), 발암성 구분: 1B
박리제 위한
아연 다이싸이오인산, 자극성 물질
(Ⅱ) 거푸집
첨가제(영업비밀) 등
도포용
5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3)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와 거푸집사
이에 막을 형성하여 분리를 쉽게 하고
염화메틸렌 발암성 콘크리트면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거푸
(디클로로 2 집에 기름칠을 하는 작업이며, 염화메
거푸집 박리제 메탄) 틸렌 또는 수소처리된 중질 파리핀 정
작업 도포 제유 등 유성박리제를 도장용 롤러를
수소처리된 사용하여 거푸집에 도포한다.
발암성
중질 ☞ 발암성이 없는 유해성이 적은 박리
1B
파리핀 제로 물질을 대체하거나, 작업자에게
정제유 적절한 방독마스크 지급 착용하도록 함.

4) 철근, 철골 콘크리트 공사

(1) 공사개요
철근 콘크리트 작업은 건설 구조물의 주요 구조부를 철근과 콘크리트 재료
를 사용하여 구축하는 것으로서 구조부의 형상을 만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
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여,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해 경화시킴으로써 구조물
이 안정되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설 구조물의 기
초, 기둥, 벽체, 계단, 슬래브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
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하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이를 지지하며,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오피
스 등 대형건축물은 아파트 건축물과는 달리 철골구조물이 콘크리트 내부에 설
치되며 H 형강 등의 조립작업 중 용접작업이 이루어진다.

(2) 주요 취급 화학물질
철근, 철골 콘크리트 작업에서 취급하는 주요 화학물질은 포틀랜드 시멘트,
Ⅲ. 연구결과 ‥‥ 53

레미콘, 레미탈 등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와 철근, 철골 배근시


사용하는 용접봉 등이 있다. 포틀랜드 시멘트는 규산트리칼슘, 석회석, 고로슬
래그 등 다양한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며, 레미콘 및 레미탈은 포틀랜드 시멘트
에 용도에 따라 골재, 모래,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현
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제품이다, 또한 동절기에는 콘크리트가
얼지않도록 방동제를 혼합하는데 주요성분은 아질산나트륨, 계면활성제 등이며,
아질산나트륨은 혈액내 산소운반에 간섭하여 두통, 피로, 어지러움, 피부와 입
술이 푸른색으로 변하는 청색증(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
져있고 고농도로 흡입시 호흡곤란과 허탈,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레미콘, 규산트리칼슘, 규산이칼슘,


포틀랜드 레미탈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흡인 유해성: 구분 1
시멘트 기본재료, 황산칼륨, 석회석, 석고,
미장 등 고로슬래그 등

피부부식성/피부자극성: 구분 1
포틀랜드 시멘트,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구분 1
콘크리트 고로슬래그, 플라이 애쉬,
레미콘 호흡기 과민성: 구분 1
타설용 골재, 혼화제,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구분
물등
3(호흡기계 자극)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흡인 유해성: 구분 1


벽면 미장
레미탈 플라이 애쉬, 모래, 첨가제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구분

(대부분 영업비밀) 3(호흡기계 자극)

피부부식성/피부자극성: 구분 1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구분 1
건조시멘트 미장,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 호흡기 과민성: 구분 1
모르타르 견출용 애쉬, 모래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구분
3(호흡기계 자극)
흡인 유해성: 구분 1
5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고로슬래그 미장, 포틀랜드 시멘트,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구분 1
시멘트 견출용 고로슬래그, 석고 등 흡인 유해성: 구분 1
백색 타일, 포틀랜드 시멘트, 탄산칼슘,
흡인 유해성: 구분 1
시멘트 줄눈용 돌로마이트 등
포틀랜드 시멘트, 탄산칼슘,
내장전용 미장,
메틸셀룰로오즈(보수지연제) 흡인 유해성: 구분 1
백 시멘트 견출용

물, 로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콘크리트 콘크리트 글루콘산 나트륨, 피부부식성/피부자극성: 구분 2
혼화제 배합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구분 2
글리콜
발암성: 구분 2
산화칼슘, 산화철, 오산화 인, 급성 독성(흡입: 분진/미스트) : 구분2
석탄재 콘크리트
이산화티타늄, 산화마그네슘,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1
(Coal Ash) 혼합제
산화나트륨, 산화규소 등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1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2
광택, 피부부식성/피부자극성: 구분 2
규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연마제 심한 눈 손상성/ 눈 자극성: 구분 2
산화성 고체 : 구분3
급성 독성(경구) : 구분3
동절기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아질산나트륨,
콘크리트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1
방동제 계면활성제(에톡시산화
공사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2
노닐페놀 등), 이산화규소 등
혼합제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2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1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1
철, 이산화티타늄, 망간,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1
가설받침
용접봉 펠드스파 (장석, feldspar), 발암성: 구분 2(이산화티타늄)
대 용접
규산나이트, 석회석, 운모 등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고장력강용 고장력강 철, 이산화티타늄, 망간,
발암성: 구분 2
용접봉 용접용 실리콘, 마그네슘 등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Ⅲ. 연구결과 ‥‥ 55

(3)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산화규소
발암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 골
결정체
1A 재, 모래 등을 취급하는 작업 시 함유되어 있
(시멘트
(고용부) 는 결정체 산화규소에 노출
분진)
레미콘*, 시멘트, 레미탈** 반죽 등 물과 혼합
콘크리트 되어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되면 시멘트 중 함
타설 및 유되어 있는 6가 크롬에 의해 접촉성 피부염
다짐 발생
콘크리트(레미콘)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고로
콘크리트 발암성 슬래그, 플라이애쉬(소각재)를 혼합하여 제조
양생 6가 크롬 1A 되는데,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에 함유된
(고용부) 중금속 중 6가 크롬도 미량 함유되어 있으며,
철골, 특히 젖은 콘크리트가 피부에 접착되면 접촉
철근 성 피부염을 일으키게 됨
콘크리트 ☞ 적절한 호흡보호구(특급) 및 안전장갑 등
개인보호구를 지급하고 작업 근로자에 대한 유
해성 정보, 호흡보호구 착용 등 교육 실시
이산화 가공 된 철근을 간격재와 버팀대를 설치한 후
발암성
티타늄,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과 철근의 조립과 견고함
2
(금속흄) 을 위한 용접 작업 중 취급하는 용접봉 및 용
철골용접 접모재에 함유된 금속흄에 노출
☞ 용접작업 시에는 이동식 환기팬 등을 사용
철근가공 하여 발생하는 용접흄 노출을 최소화하고, 적
철근조립 망간 등 생식독성 절한 호흡보호구(특급) 등 개인보호구를 지급,
(금속흄) 1B 작업 근로자에 대한 용접면과의 적정 거리 유
지, 정격전류 유지 등 용접흄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교육 실시

* 레미콘
레미콘은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mixed-concrete)의 약어로 시멘트와 골재를 미리 혼합하여 현장에 제
공하는 것을 말하며 포틀랜드시멘트에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물과 자갈, 혼화제 등을 혼합한 제품이다.

** 레미탈
레미탈은 레디믹스트모르타르(ready-mixed-mortar)라고 불리며 시멘트와 모래가 혼합된 건축용 외장
5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마감재로 용도에 따라 적절한 굵기의 모래와 충진재를 함유하고 있어 현장에서 원재료를 혼합할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래의 함량이 약 60 ~ 70%로 많고 포틀랜드시멘
트와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혼화제 등이 약 10% 이내로 함유되어 있으며 벽미장용(일반, 견출, 뿜칠,
수지미장, 단열 등), 조적용, 바닥미장용, 타일떠붙임용 등이 있다. 또한 토목공사용 그라우트, 보수보강
용 등이 있다, 구성성분은 모래와 시멘트를 기본으로 용도에 따른 첨가제와 혼화제가 함유되나 대부분
의 물질안전보건자료에서 영업비밀로 구체적인 구성성분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5) 견출, 미장 공사

(1) 공사개요
견출작업이란, 할석, 그라인딩, 미장작업을 총칭하며, 할석이란 콘크리트 거푸
집 해체 후, 거푸집의 이상으로 콘크리트 면이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경우 해머
드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을 깎고 다듬는 작업을 말한다. 콘크리트 그라
인딩 작업은 거푸집 해체 후 고르지 못한 콘크리트 면을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연마하는 작업이며, 미장작업은 시멘트, 모래, 물을 혼합하여 벽체에 바르는 것
으로, 콘크리트 옹벽이나 벽돌로 쌓은 조적벽체의 표면 마감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일정두께 이상으로 바르는 것을 말한다.

(2)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산화규소 해머드릴로 콘크리트를 파쇄할 때 산화규소(결정


결정체 발암성 체)를 함유한 분진이 고농도로 발생
할석
(콘크리트 1A ☞ 해머드릴 주위에 살수장치를 설치하여 습식작
분진) 업으로 발생하는 분진을 최소화 하여야 함.

견출 공업용 다이아몬드 휠이 장착된 그라인더를 사용


공사 하여 콘크리트 면을 그라인딩 하는 작업 중 다량의
산화규소
산화규소(결정체) 함유 분진이 발생
결정체 발암성
견출 ☞ 그라인더 휠을 포위할 수있는 덮개(캡)를 씌우
(콘크리트 1A
고 포집된 분진은 진공 집잔장치에 연결하여 처리
분진)
하도록 함. 또는 콘크리트 면에 물을 미리 도포하
고 습식작업을 실시하여 분진 발생을 최소화 함
Ⅲ. 연구결과 ‥‥ 57

(3) 유해인자 노출농도 수준


건설현장에서 산화규소(결정체)는 콘크리트 파쇄 작업, 콘크리트 면 그라인
딩(견출)작업, 벽돌을 절단하거나 벽돌사이 모르타르를 제거하는 작업, 암석을
절단, 발파하는 작업 등에서 결정형 유리규산을 함유하는 분진에 작업자가 노
출될 위험이 높다(Rapport et al, 2003). 산화규소(결정체)는 폐암, 규폐증, 신장
질환, 폐기능 감소 등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암연
구소(IARC)에서는 결정형 유리규산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현재 산화규소(결정체, 호흡성)를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근거가 있는
물질인 발암성 1A로 규정하고 있다. 결정형 유리규산 노출에 따른 규폐증은 치
료법이 없으므로 작업자 노출을 최소화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NIOSH, 2002).
건설현장에서 개인시료 채취방법으로 호흡성 산화규소(결정체)를 평가한 논
문 자료를 통해 직종별 노출농도를 보고한 연구논문에서 건설현장을 대부분 직
종이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산화구소(결정체)에 노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다(Sauve J-F et al., 2013, 표 Ⅲ-4). 자료를 통해 총 27개의 건설현장 직무별
노출농도 수준을 요약하면, 콘크리트 할석, 그라인딩, 터널 보링, 벽돌 모르타르
제거, 석재 절단, 버럭처리(암석 운반), 콘크리트 드릴작업에서 기하평균 농도가
0.05 mg/㎥ 이상으로 노출기준을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4> 작업별 건설현장 산화규소(결정체) 노출 농도 수준*(mg/m3)


작업내용 시료수 기하평균 기하표준편차
(Task) (N) (GM) (GSD)
콘크리트 할석작업
(Chipping—multiple tools 88 0.941 4.7
(including jackhammer))
면처리-연마
23 0.805 6.3
(Abrasive blasting)
콘크리트 할석작업 - 잭해머
56 0.46 2.7
(Chipping—jackhammer)
콘크리트 그라인딩
12 0.441 3.1
(Scabbling concrete)
터널 보링
45 0.328 3.3
(Tunnel boring)
뱍돌 모로타르 제거 작업
82 0.256 7.7
(Tuck pointing)
콘크리트 할석작업 - 기타도구
21 0.126 7.4
(Chipping—othertools
석재 절단
81 0.101 4.7
(Masonry cutting)
삽질 작업
11 0.086 2.6
Pick and shovel work
표면 그라인딩 및 마감
213 0.071 8.6
(Surface grinding/finishing )
버럭처리
13 0.066 4.0
(Moving soil/rock with heavy equipment )
콘크리트 드릴 작업
45 0.058 10
(Drilling—concrete)
모래연마 작업
31 0.047 7.2
(Sanding)
건축물 해제작업
32 0.032 6.1
(Demolition)
암석 드릴작업
122 0.03 3.9
Drilling—rock

* 출처: Sauve J-F et al.(2013)


Ⅲ. 연구결과 ‥‥ 59

<표 Ⅲ-4> 작업별 건설현장 산화규소(결정체) 노출 농도 수준(mg/m3) -계속


작업내용 시료수 기하평균 기하표준편차
(Task) (N) (GM) (GSD)

석재 가공작업
14 0.025 4.4
(Masonry tasks n.e.c.)

아스팔트/콘크리트 도로작업
40 0.023 2.8
(Asphalt/concrete road milling)

흙, 암석 드릴 작업
13 0.02 6.5
(Drilling—soil and rock)

콘크리트 분무작업
94 0.018 3.5
(Concrete spraying)

도로작업
47 0.018 3.8
(Roadwork tasks n.e.c.)

콘크리트 거푸집 설치
159 0.015 5.5
(Installing concrete forms)

전기설비 작업
41 0.013 2.5
(Electrical maintenance)

콘크리트/모르타르 배합작업
26 0.012 4.5
(Concrete/mortar mixing)

청소작업
15 0.012 3.8
(Cleaning up)

천정타일 절단작업
42 0.011 7.5
(Cutting/installing ceiling tiles)

굴착작업
56 0.01 4.1
(Excavation tasks n.e.c.)

기초공사 작업
44 0.008 2.9
(Foundation tasks n.e.c.)
6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6) 방수, 도장 공사

(1) 방수공사 개요
아파트 등 일반건축물 공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는 방수작업은
우레탄 방수작업, 아스팔트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와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작업이다.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르면 다양한 방수작업이 있으나 그 중 아스
팔트 도장작업과 개량아스팔트 시트방수는 과거에는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작업공정의 어려움 등으로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 공법이며, 규산
질계 도포, 금속판, 벤토나이트 방수작업등은 터널, 지하구조물 등과 같이 특수
한 환경에 적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방수공사 중 가장 빈번하게 실시하는 공사
는 우레탄 도막방수이다. 우레탄 도막방수는 옥상, 도로 등의 우레탄 프라이머
를 1차 도포한 후 약 2시간 정도 건조를 하고 우레탄 수지를 2회 이상 도장하
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우레탄 도료는 제조사에 따라 구성성분이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라이머는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등 용제류가 50 ~ 60% 함유되어 있었고, 톨루엔디이소시아네
이트(Toluene Diisocyanate)가 10 ~ 20%,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이 10 ~ 20% 함유되어 있다. 우레탄 도료의 주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
콜 50 ~ 65%, 톨루엔 또는 크실렌 30 ~ 35%,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0 ~
20%로 함유되어 있고 경화제에는 탄산칼슘 50 ~ 60%,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5
~ 25%, 석유탄화수소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2) 도장공사 개요
도장공사는 재료면에 도료를 칠하여 건조,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마무리
공사이다. 아파트 등 일반건축물 공사에서는 외부 및 내부벽면에 사용하는 수
성도장이 가장 많지만, 지하 주차장의 에폭시 바닥 도장과 문틀, 소화전 등에
바르는 유성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에폭시 도장은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하여
접착력을 좋게 한 후, 에폭시 레진몰탈, 라이닝, 코팅제 등 수지를 도포하여 완
Ⅲ. 연구결과 ‥‥ 61

성하게 된다. 에폭시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에는 크실렌(Xylene), 톨루


엔(Toluene), 이소부틸알콜(Isobutyl alcohol), 에틸벤젠 (Ethyl Banzene)등 용제
류가 60 ~ 70%, 수지류가 30 ~ 40% 정도 함유되어 있다. 에폭시 수지는 제조
사에 따라 용제류의 함유정도가 매우 상이하지만, 용제가 20 ~ 40%, 수지류가
60 ~ 80% 수준이다.
건축용 도료 제조사별 도료의 구분을 살펴보면,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하거나
구성성분에 따라 구분하는 등 분류방법이 상이하였다. 제조사별 도료의 구분은
<표 Ⅲ-5> 와 같다.

<표 Ⅲ-5> 주요 도료사 건축용 도료


제조사 주요 건축용 도료
프리미엄급 내부, 고급형 내부용, 고급형 외부용, 다용도 내부용, 인테
리어 (내/외부용), 인테리어 (내부용), 퍼티 (내/외부용), 에폭시바닥도
A사
료, 몰탈, 엠보, 대전방지, 내산, 라이닝, 코팅, 화이어마스크, 인테리어
/DIY, 스포탄

프리미엄류, 친환경 수성(내부), 친환경 수성(외부), 친환경 수성(기능),


기능성(발수재), 기능성(항균도료), 유성, 유성_방청용, 인테리어_다채무
B 사
늬, 인테리어_무늬장식, 인테리어_입체무늬, 인테리어_탄성코드, 인테리
어_스톤류, 퍼티류, 충진재, 조색제. 크리어

외부용 수성도료, 내부용 수성도료, 조색제, 알키드계 도료, 아크릴계


도료, 무늬 형성 도료, 표면처리제, 방균도료, 바니쉬 도료(니스), 신나
C 사
(희석제), 에폭시계 도료, 아크릴 우레탄계 도료, 열반사 단열 도료, 노
면표지용 도료, 타일용 도료

외부벽면, 내부벽면 및 천장, 기와 및 슬레이트 도장, 바닥용 도료, 방


D 사 수 및 발수, 목재/철재용 도료, 무늬형 도료, 퍼티 및 코킹제, 기능성
도료

외부용 도료, 내부용 도료, 표면처리, 방균도료, 지붕용, 식수탱크/물탱


크/수영장, 방청프라어머, 오일알키드계, 락카도료, 우레탄도료, 수용성
E 사
도료, 바니시, 실란트, 형광/축광/반사, 차열도료, 내화/방염, 도로표지용
도료, 내외벽용, 철재용, 목재용
6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 사의 경우, 총 269종의 도료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수집하였다. 도료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물질은 에틸벤젠(Ethyl benzene)으로 총 125종에 함유되
어 있었다. 주로 건축용 우레탄 바닥제(최대 함유량 20%), 에폭시 도료(최대
함유량 10%)와 인테리어 도료(최대 함유량 1%)에 함유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는 m, o, p-크실렌(Xylene)으로 각 89종, 81종, 79종에 함유되어 있었고 우레탄
바닥제(최대 함유량 10%)와 에폭시 도료(최대 함유량 10 ~ 30%)에 주로 함유
되어 있었다. 톨루엔(최대 함유량 20%)과 메틸이소부틸케톤(최대 함유량 10%)
은 총 41종 및 35종에 함유되어 있었고 두 물질 모두 에폭시 도료에 함유되어
있었다. 에틸렌글리콜은 수성도료와 우레탄 바닥제에 소량(최대 함유량 1%)으
로 함유된 경우가 많았고, 이소부탄올(Isobutanol)은 에폭시 코팅 도료(최대 함
유량 10%)에, 벤질 알콜(Benzyl alcohol)은 에폭시 라이닝 도료(최대 함유량
20%)에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B 사의 경우, 총 129종의 도료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
료중 가장 많이 함유된 물질은 케로신(Kerosine)으로 유성도료 총 57종(최대
함유량 40%)과 기능성 및 기타 도료에 함유되어 있었다. 다음은 크실렌으로 유
성도료 총 52종(최대 함유량 35%)과 기타 도료에 함유되어있었다. 톨루엔(최대
함유량 15%)은 유성과 다채무늬 인테리어 전문 페인트(최대 함유량 30%)에 함
유되어 있었고, 프로필렌글리콜은 수성도료(최대 함유량 10%)에 주로 함유되어
있었다. 유성페인트 중 염소화된 파리핀이 최대 20%까지 함유된 도료가 1종
있었으며 기능성항균도료에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최대 함유량 10%)
을 함유한 도료가 1종 있었다.
C 사의 경우, 외부용 수성도료는 물, 탈크, 석회석, 이산화티타늄, 이산화 규
소 등이 주요 성분이었고, 12종 중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7종(최대 함유량 10%)이 있었다. 내부용 수성도료에서는 13종 중
1종(최대 함유량 10%)에 에틸렌글리콜이 함유되어 있었다. 조색제의 경우 수성
용은 물과 카본불랙으로 구성되며 유성용은 크실렌이 주요 성분이었고 영업비
밀이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알키드계 도료는 공개 홈페이지에 물질안전보건
Ⅲ. 연구결과 ‥‥ 63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않았다. 아크릴계 도료는 4종 중 3종에서 톨루엔을 함유


하고 있었고 함유량은 19 ~ 33%였으며 크실렌은 3종에서 함유하고 있었고 함
유량은 2 ~ 25%였다. 이외 방향족 경질 나프타 용매(석유), 수소화된 중간질
증류액(석유)가 각 10%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무늬형성도료는 8종 중 2종
에서 에틸렌글리콜(최대 함유량 10%)과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최대 함
유량 10%)을 함유하고 있었다. 특히 건축물 내부벽면 장식용 도료에서는 n-부
틸아세테이트 (18~28%), 크실렌 (18~28%),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등 미국 소방안전협회에서 정하는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지수에서 보건등급이 2 이상인 물질이 최대 50%까지 함유되어 있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면처리제의 경우 에틸렌글리콜이 10종 중 7종에 함유
되어 있었으며 철재 및 목재 면처리용에는 스티렌이 함유되어 있었고, 건물 크
랙(crack) 보수용에는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중합체, 디부틸 프탈레
이트, 에틸렌글리콜 등 NFPA 지수에서 보건등급이 2 이상인 물질이 최대
30~50%까지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용 방균도료의 경우
에틸렌글리콜, 톨루엔, 2-프로판올 등이 함량되어 있었다. 희석제(신너)는 톨루
엔과 크실렌 함량이 30 ~ 50%수준이며 방향족 경질 나프타 용매(석유) 및 아
세톤과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가 함유되어 있었다. 이외 열반사 단열도료,
노면표지용 도료, 타일용 도료에도 에틸렌글리콜, 톨루엔, 크실렌 등 용제류가
다량 함유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D 사의 경우, 공개 인터넷 홈페이지에 물질안전보건자료를 많이 제공하지
있지 못하였는데, 인터넷에 공개된 4종의 내·외부 수성도료에서 에틸렌 글리콜
(최대 함유량 5%)을 함유하고 있었고, 바닥용 도료에는 크실렌이 50 ~ 60% 함
유되어 있었다. 이외 목재/철재용 도료, 퍼티 및 기능성 도료에도 크실렌과 에
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 용제가 함유되어 있었다.
E 사의 경우, 외부용 도료 대부분에서 에틸렌글리콜이 최대 함량 5%미만으
로 함유되어 있었고 일부 낙서방지용 등 도료에는 암모니아, 2-부톡시에탄올
등이 최대 함량 5%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내부용 도료에서도 28종 중 11종
6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에서 에틸렌글리콜을 최대 함량 5%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투명, 무광 바니


시 등에는 암모니아, 2-부톡시에탄올 등이 최대 함량 5%미만으로 함유되어 있
었다.

(3) 주요 발암성 물질 등 유해등급

방수, 도료 중
GHS 유해등급
주요 유해성분

인화성 액체 : 구분2, 급성 독성(흡입: 증기) : 구분4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발암성 : 구분2
에틸벤젠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호흡기계 자극)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2
흡인 유해성 : 구분,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인화성 액체 : 구분2,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생식독성 : 구분2
톨루엔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마취작용)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2
흡인 유해성 : 구분1,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인화성 액체 : 구분3, 급성 독성(흡입: 증기) : 구분3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생식세포 변이원성 : 구분2
스티렌
발암성 : 구분2, 생식독성 : 구분2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호흡기계 자극)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1
흡인 유해성 : 구분1,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급성 독성(흡입: 증기) : 구분1,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톨루엔-2,4-
호흡기 과민성 : 구분1, 피부 과민성 : 구분1
디이소시아네이트
발암성 : 구분2,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호흡기계 자극)
Ⅲ. 연구결과 ‥‥ 65

방수, 도료 중
GHS 유해등급
주요 유해성분
인화성 액체 : 구분2, 급성 독성(흡입: 증기) : 구분4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메틸이소
발암성 : 구분2
부틸케톤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마취작용)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 노출) : 구분3(호흡기계 자극)
에틸렌글리콜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 노출) : 구분2
급성 독성(경구) : 구분4, 급성 독성(경피) : 구분4
벤질 알코올 급성 독성(흡입: 증기) : 구분3,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2,
피부 과민성 : 구분1, 생식독성 : 구분2
피부 과민성 : 구분1, 발암성 : 구분2
염소화파라핀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1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1
에틸렌글리콜 인화성 액체
모노부틸에테르 급성 독성(경구) : 구분4, 급성 독성(경피) : 구분4
(2-부톡시에탄올) 발암성 : 구분2, 급성 수생환경 유해
인화성 가스 : 구분1, 고압가스 : 액화가스
급성 독성(흡입: 가스) : 구분3
암모니아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1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 구분1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1
생식세포 변이원성 : 구분1B
중질 나프타 용매 발암성 : 구분1B, 흡인 유해성 : 구분1
경질 나프타 용매 만성 수생환경 유해성 : 구분2
인화성 액체 : 구분1 (경질 나프타 용매)
이산화티타늄 발암성 : 구분2

(4) 도장작업에 대한 관리방안


우레탄 방수작업 및 에폭시 도장작업 시에는 작업장 내 환기설비설치, 적절
한 휴식시간 배분,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 등 작업환경관리가 매우 필요하며,
건설현장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도료 구성성분 중 발암성 물질과 생식독성
6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물질은 최대한 유해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하고 유해성이 높은 물질은 사용규제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업 보건관리자는 건설현장에서 사용할 도료
선정 시 작업성뿐 아니라 도료 구성성분 중 발암성, 생식독성물질 등 건강장해
유발물질의 함유여부와 함유량 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5) 유해인자별 노출 농도 수준
우레탄 도막 방수작업에 대한 연구결과(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4)에서, 톨루
엔, 에틸벤젠,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초산에틸이 검출되었고, 물질별 검출농도
를 살펴보면, 톨루엔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는데 기하평균으로 실외 우레탄
프라이머 작업에서 47.13 ppm, 실외 우레탄수지 작업에서 24.90 ppm, 실내 우
레탄 프라이머 작업에서 209.41 ppm, 실내 우레탄 수지 작업에서 20.60 ppm
으로 실내 프라이머 작업에서 톨루엔 농도가 노출기준의 4배 이상 높게 검출되
었다고 보고하였다. 에틸벤젠(노출기준 100 ppm)은 실외 우레탄 프라이머 작업
에서 0.24 ppm, 실외 우레탄수지 작업에서 0.96 ppm, 실내 우레탄 프라이머 작
업에서 0.34 ppm, 실내 우레탄 수지 작업에서 2.04 ppm 으로 노출기준의 2%
이하수준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에폭시 도장작업에서는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
톤, 에틸벤젠, 스티렌, 크실렌 등이 검출되었으며 톨루엔(노출기준 50 ppm)은
에폭시 프라이머 작업에서 기하평균 28.31 ppm, 에폭시 수지 도포 작업에서
9.11 ppm이었고, 에틸벤젠(노출기준 100 ppm)은 에폭시 프라이머 작업에서
21.57 ppm, 수지도포 작업에서 11.67 ppm, 스티렌(노출기준 20 ppm)은 프라이
머 작업 0.42 ppm, 수지도포 0.14 ppm 수준이라고 보고하였다.

7) 배관공사

(1) 공사개요
배관용접은 아파트, 오피스 건물 건설현장에서 소방, 급수배관, 가스배관, 공
조배관, 냉매배관 등을 용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으로 배관의 재질에 따라
Ⅲ. 연구결과 ‥‥ 67

사용하는 용접기법 및 용접봉의 종류가 달라진다.

(2) 주요 취급 화학물질
소방, 급수배관 등은 아연도금관(백관)을 주로 사용하고 피복아크용접기법으
로 용접을 실시하고 있었다. 가스, 공조배관의 경우 스테인리스강관을 사용하고
TIG 용접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냉매배관은 동 재질로 산소용접을 실시한다.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철, 망간, 이산화티타늄,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1
펠드스파 (장석,
피복아크용접 발암성: 구분 2(이산화티타늄)
feldspar), 규산나이트,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석회석, 운모 등

철, 망간, 이산화티타늄, 피부과민성: 구분 1


스테인리스강 니켈, 크롬, 운모, 발암성: 구분 2
규산나트륨, 석회석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철, 망간, 이산화티타늄,
고장력강 발암성: 구분 2
실리콘, 마그네슘 등
생식독성: 구분 1B(망간)
용접봉
연강용 파이프 철, 망간, 실리콘, 구리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피부과민성: 구분 1
철, 망간, 실리콘, 니켈,
극저탄소강 발암성: 구분 2
크롬, 몰리브덴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철, 망간, 이산화티타늄, 피부과민성: 구분 1


저합금강 니켈, 크롬, 운모, 발암성: 구분 2
규산나트륨, 석회석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스테인리스강- 철, 망간, 이산화티타늄, 피부과민성: 구분 1


플럭스코어드 실리콘, 니켈, 크롬, 발암성: 구분 2
와이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6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3)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가공 된 철근을 간격재와 버팀대를 설치한 후


이산화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과 철근의 조립과 견고함을
발암성
티타늄, 위한 용접 작업 중 취급하는 용접봉 및 용접모재
2
(금속흄) 에 함유된 금속흄에 노출

망간, 생식독성 금속흄의 종류는 취급하는 용접모재와 용접봉에


(금속흄) 1B 따라 달라지는데, 카본스틸 또는 합금을 취급하
는 경우 망간, 구리, 산화철 등의 농도가 높은 반
배관 배관 면, 스테인리스 스틸을 취급하는 경우 니켈, 크롬
공사 용접 화합물 농도가 높은 특성이 있음. 불용성 니켈화
합물과 6가 크롬은 IARC Group 1 으로 지정되어
있음.
니켈,
발암성 ☞ 배관용접작업 시에는 이동식 국소배기장치 등
크롬 등 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용접흄 노출을 최소화하
1A
(금속흄) 고, 적절한 호흡보호구(특급) 등 개인보호구를 지
급, 작업 근로자에 대한 용접면과의 적정 거리 유
지, 정격전류 유지 등 용접흄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교육 실시

(4) 유해인자별 노출 농도 수준
일반건축물의 배관용접작업공(n=21)은 건축물의 급수, 소방배관인 아연도금
관을 피복아크용접을 실시하는 작업으로 지하 주차장, 기계실 등 지하공간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노출평가결과(기하평균), 용접흄 농도가 4.753 mg/㎥,
망간 0.07 mg/㎥, 크롬 0.0031 mg/㎥, 구리 0.0016 mg/㎥, 산화철 0.4397 mg/
㎥, 알루미늄 0.0208 mg/㎥, 니켈 0.00003 mg/㎥, 납 0.0067 mg/㎥, 산화아연
1.2154 mg/㎥수준이었다. 용접흄, 산화아연 및 납 평가시료 중 각 57% (n=12),
5% (n=1), 5% (n=1)의 시료가 노출기준을 초과하였다. 평가결과에 대한 위험
성 평가결과, 용접흄, 산화아연, 납, 산화철이 노출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각
Ⅲ. 연구결과 ‥‥ 69

48.23%, 14.49%, 9.03%, 6.36%으로 나타나 적절한 작업환경관리가 요구되었다.


특히, 배관용접작업을 지하공간과 지상층으로 나누어 농도수준을 살펴보면,
지하공간(n=13)에서 용접흄 농도가 7.7471 mg/㎥로 지상층(n=8)의 2.1487 mg/
㎥보다 3.6배 더 높았고, 망간(흄), 산화철(흄), 납의 농도는 지하공간이 지상층
보다 약 5배 이상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건축물의 배관용접은 주로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하공간에서 지상층에서 사용할 배관의 초벌용접까
지 포괄적으로 시행하고 있었는데, 지하공간의 경우 환기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공간이므로 가능한 지상층에서 작업을 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지하공간
에서 용접을 시행할 경우에는 이동식 국소배기장치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국내 문헌 중 건설현장 용접흄 노출평가 결과를 참고할 수 있는 자료는 신
재수 등(2004)과 김승원 등(2013)이 실시한 두 편의 연구 자료가 있었는데, 해
당 연구 자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금속류의 평균농도를 살펴보면, 신재
수 등(2004)의 아파트 지하 배관(아연도금관) 용접작업에 대한 노출평가결과에
서 산화아연(흄)이 기하평균 3.08 mg/㎥으로 이번 연구의 지하층 산화아연(흄)
농도수준인 2.10 mg/㎥보다 다소 높았고, 기타 금속류 농도수준은 이번 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김승원 등(2013)에서는 아파트 지하 배관 용접작업에서 산
화철(흄)이 6.94 mg/㎥, 망간(흄) 1.04 mg/㎥, 산화아연(흄) 0.96 mg/㎥으로 이
번 연구의 일반건축물 배관용접공의 노출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농도수준
을 나타내었다. 해당 연구에서는 용접모재에 대한 정보가 없었으나 산화철 농
도가 높은 것으로 미루어 아연도금관이 아닌 카본스틸에 대한 용접평가 결과로
추정되어 이번 연구결과와는 상이하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8) 내장 등 기타공사

(1) 공사개요
건축물 내부 스티로폴, 석고보드, 합판 등을 콘크리트 벽에 접착하거나 몰딩
제, 걸레받이, 고무타일바닥재, 가죽 등의 접착, 도자기 타일 접착 등 다양한 수
7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장작업에 사용되는 접착제와 욕실, 주방, 유리 등에 실링재로 사용되는 종류의


실런트가 사용되고 있다.
가) 접착제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스티로폴,
인화성 액체: 구분2
석고보드,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합판 등을 폴리비닐 아세트산,
콘크리트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콘크리트 칼라이트(calcite), 메틸
접착제 생식독성: 구분 1B
벽에 알코올,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접착하는
(마취작용, 호흡기계 자극)
용도

PVC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PVC
시멘트 시클로헥사논,
시멘트 접착
본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

아크릴 폴리머,
타일용 도자기질
아크레이트 폴리머, 피부과민성: 구분 1
접착제 타일 접착제
탄산칼슘 등

인화성 액체: 구분2


다용도 접착 급성독성(흡입:증기): 구분4
톨루엔, 시클로헥사논,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유성본드
몰딩제, 아세톤,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걸레받이, 페놀수지(포름알데히이 생식독성: 구분 1A
고무, 가죽
고무타일바닥 드 함유), 네오프렌,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접착제
재, 가죽 등 파라-3차-뷰틸페놀등 (마취작용, 호흡기계 자극)
접착제 흡인유해성:구분1
급성 수생환경 유해성: 구분 1
Ⅲ. 연구결과 ‥‥ 71

나) 실링재 또는 건축용 실리콘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다목적 실리콘, 탄산칼슘,
실리콘계 복층유리 이산화티타늄, 지방산,
해당없음
실란트 건축외장재 알루미늄
욕실, 주방 하이드록사이드 등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폴리우레탄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호흡기과민성: 구분 1
실런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건축, 토목용 발암성: 구분 2
(경화제, 탄산칼슘, 디옥틸
생식독성: 구분 2
주제) 프탈레이트,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이산화티타늄
3(호흡기계 자극)

건축물 조인트
아크릴릭필러 탄산칼슘, 아크릭산 등 만성수생환경유해성: 구분 3
콤파운드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석회석(탄산칼슘),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수성조인트 코킹 및 아크릭에멀젼,
생식독성: 1B
퍼티 보수용 이산화티타늄,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2-부톡시에탄올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눈자극성: 구분 2
뷰틸아크릴산과의
견출메움,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갭마스터 중합체, 장석,
도장전 하도제 (호흡기계 자극)
규산나트륨, 탈크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 실링재(실런트)
각종 자재의 조인트나 갈라진 틈에 대한 수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되는 물질을 말하며, 자재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 및 탄성을 가지고 자재를 고정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
어 지는 제품을 말한다. 실리콘계,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등이 있다.
7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다) 기타
기타 건설현장에서는 윤활유, 락카스프레이 등을 다양한 목적에 따라 간헐적
으로 취급하게 된다.

취급 GHS
용도 주요 유해성분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

수소처리된 중질 파라핀 급성독성(경구): 구분 4


디젤엔진용
윤활유 정제유, 에틸렌 프로필렌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가솔린엔진용
공중합체 등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아스팔트,
화장실용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방수제 1,3-부타디엔의 스티렌
방수제 흡인 유해성 : 구분2
중합체 등

펜타플루오르에탄, 급성독성(경구): 구분 4
에어컨
에어컨 냉매 불화메틸렌(탄소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냉매
플루오르화 수소화물)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A
냉각수 에틸렌 글리콜, 생식독성: 1B
부동액
동결방지 부식억제제 등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1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1

폭발성 물질: 등급 1
인화성 가스: 구분 1
인화성 액체: 구분2
고압가스: 액화가스
액화석유가스, 톨루엔,
락카 피부 부식성/피부 자극성 : 구분2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페인트 페인트, 도장 심한 눈 손상성/눈 자극성: 구분 2
아세트산 메틸, 피록실린,
스프레이 발암성: 구분 1A
메틸 에테르 등
생식독성: 구분 1A
특정표적장기 독성(1회노출):구분 3
특정표적장기 독성(반복노출):구분 2
(호흡기계 자극, 마취작용)
Ⅲ. 연구결과 ‥‥ 73

(2) 주요 발암성 등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생식독성 건축물 내부 스티로폴, 석고보드, 합판 등을 콘


톨루엔 크리트 벽에 접착하거나 몰딩제, 걸레받이, 고무
1A
타일바닥재, 가죽 등의 접착, 도자기 타일 접착
등 다양한 수장작업에 사용
포름알데 발암성 ☞ 작업시 창문을 개방하는 등 실내에 적절한 전
접착 히드 1A 체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구성성분 중 발암
성 등 유해성이 높은 물질을 유해성이 낮은 물질
로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에게 적
내장 메틸 생식독성
절한 방독마스크 지급, 착용 및 물질의 유해성
공사 알코올 1B
정보를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조치 함.

이산화티
발암성 2 욕실, 주방, 유리 등에 실링재로 사용
타늄 ☞ 작업시 창문을 개방하는 등 실내에 적절한 전
2-부톡시 체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구성성분 중 발암
발암성 2
실링 에탄올 성 등 유해성이 높은 물질을 유해성이 낮은 물질
로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에게 적
디옥틸프 생식독성 절한 방독마스크 지급, 착용 및 물질의 유해성
탈레이트 2 정보를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조치 함.

8) 건축물 해체 공사

(1) 공사개요
건축물은 대부분 콘크리트 구조물인 경우가 많은데 콘크리트에는 산화규소
(결정체)가 함유되어 있어 굴착기를 사용해 건축물을 해체할 때는 비산되는 분
진을 통해 노출된다. 또한, 지붕, 천장, 벽 또는 바닥재 등에는 일부 석면이 함
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다만,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 해체
하는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의3에 따라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석
면해체, 제거 작업기준을 준수하도록 되어 있다.
7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주요 유해인자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단위 GHS
공종 유해인자 주요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작업 유해등급
전동 및 유압방식의 잭해머(jackhammers),
산화규소
건축물 드릴, 굴착기 등을 주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결정체 발암성
벽체 등 벽, 바닥, 천장 등을 해체하는 작업
(콘크리트 1A
해체 ☞ 드릴기 등에 습식장치를 장착하거나 물
분진)
을 뿌려 습식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유도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건축물의 지붕, 천장,


건축물
발암성 벽 또는 바닥재 등을 철거, 해체하는 경우
건축물 바닥재 등 석면
1A ☞ 산업안전보건법의 석면해체제거 기준을
해체 해체
준수하여 작업 실시

발암성 1B, 건축물을 리모델링하거나 해체작업을 할


납함유 생식독성 때 납이 함유된 페인트가 도포된 파이프 등
납및
페인트 1A 을 절단하는 등의 작업 중 납에 노출
그 무기
배관 (납(금속) ☞ 납 페인트가 도포된 면을 확인하고, 분
화합물
해체 의 경우 진이 비산되지않도록 조치하며, 작업자에게
발암성 2) 호흡보호구 지급 및 유해성 정보 제공

(3) 유해인자별 노출 농도 수준
가) 산화규소(결정체)
국외 연구자료를 통해 건축물 해체작업 중 산화규소(결정체) 노출농도 수준
을 살펴보면, Lumens et al.(2001)의 연구에서 해체작업자(demolition workers)
를 전동 및 유압방식의 잭해머(jackhammers)를 주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 바
닥, 천장 등을 해체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산화규소(결정체)농도를 평가하였는
데, 기하평균 1.10 mg/㎥ 으로 노출기준 0.05 mg/㎥을 22배 초과하는 농도수준
이었다. Tjoe et al.(2003)의 연구에서는 잭해머, 드릴, 굴착기 등을 사용하여 건
축물 해체작업을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산화규소(결정체)의 기하
평균 농도가 0.14 mg/㎥으로 노출기준 0.05 mg/㎥을 약 3배 초과하는 농도수
준이었고 van Deurssen et al.(2014)의 연구에서는 기하평균 0.12 mg/㎥으로 노출
Ⅲ. 연구결과 ‥‥ 75

기준을 초과한다고 보고하였다. Normohammadi M et al.(2016)의 연구에서는


60명의 해체제거 작업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기하평균 0.13 mg/㎥으로 노
출기준을 초과한다고 보고하였다.

산술평균 기하평균 기하표준 최대값 GM 기준


시료수
논문 (AM, (GM, 편차 (Max, 초과여부
(n)
mg/m3) mg/m3) (GSD) mg/m3) (0.05 mg/m3)
Lumens et al.,
82 2.88 1.10 4.00 35.90 초과
2001
Tjoe et al.,
21 0.25 0.14 2.70 1.30 초과
2003
van Deurssen et
45 0.21 0.12 2.86 0.91 초과
al., 2014
Normohammadi
60 0.19 0.13 2.65 - 초과
M et al, 2016

나) 석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수행된 석면해체․제거 근로자에 대한 석면노출농
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김현욱 등, 2010), 전체 시료 139개 중 검출한계 이상
인 시료가 80개(57.6%)였고, 검출한계 이상인 시료의 농도 분포는 0.0006개/cc
~ 0.3840개/cc 였으며, 0.1개/cc 이상으로 검출된 시료는 12개 시료(8.6%)였다고
보고하였다. 작업자 노출기준인 0.1개/cc를 초과한 시료의 사업장은 오래된 건
물이 많았고, 작업장 내 분진이 많고 습윤 및 음압기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거
나, 석면함유자재를 파손시켜 비산을 일으키는 작업방법으로 수행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작업 중 작업장 주변을 측정한 결과, 채취한 189
개 시료 중 12개(5.8%)가 0.01개/cc를 초과하였고, 초과한 이유로 밀폐시설(비
닐보양)을 제대로 하지않았거나 습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음압기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음압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라고 보고하였다. 작업
후 측정 결과에서도 0.01개/cc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보고하였으며(8개
7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사업장, 13.6%) 이는 작업자의 빈번한 이동, 비산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았거나 주변에서 다른 공사가 수행된 것이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국외에서 연구된 자료 중 Perkins RA et al.(2007)에 의하면, 건축물 해체 작
업 시 습식방법을 사용하여 작업하게 되면 사전에 석면함유재료를 제거하지않
고 작업하더라도 작업자를 대상으로한 개인시료채취에서 공기 중 석면농도가
0.0066 ~ 0.14 개/cc 였으며 평균농도는 작업위치에 따라 0.036 ~ 0.042개/cc라
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기 중 시료를 전자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사용하여 섬유상 물질의 석면여부를 확인하면 대부분은
석면이 아니였다고 보고하였다.
다) 납 및 그 무기화합물
국외 연구자료를 통해 건축물 해체작업 중 납 및 그 무기화합물의 노출농도
수준을 살펴보면, Lange JH and Thomulka KW(2000)의 연구에서 건축물 지하
에서 배관 해체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납에 대한 노출농도 수준을
평가하였는데, 국소배기장치 및 습식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납의 산술평균

<표 Ⅲ-6> 건축물 해체작업 중 납 노출농도 수준 (㎍/㎥)


음압 기하
습식 산술 기하 표준
Group 장치 n 중위수 표준 범위
작업 평균 평균 편차
사용 편차
A × × 5 379.6 357.8 375 139.3 1.5 194-571(122.1)

B ○ × 36 31.9 18.9 16.35 33.7 3.1 1.3-119(11.0)

C ○ × 5 27.1 22.6 35.9 15.4 2.1 8.2-39.5(13.5)

D ○ ○ 8 7.8 7.3 8.7 2.5 1.5 4.7-10.6(1.7)

E ○ × 1 60.8 - - - - -

Total 57 61.1 22.5 - 113.4 3.9 1.3-571(29.4)

※ 출처: Lange JH and Thomulka KW. Effectiveness of Engineering Controls for Airborne Lead
Exposure during Renovation/Demolition of a Commercial Building. Indoor Built Environ
2000;9:207-215
Ⅲ. 연구결과 ‥‥ 77

농도가 379.6 ㎍/㎥ (n=5, Range 194 ~ 571 ㎍/㎥) 수준이었고, 헤파필터를 사
용한 음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31.9 ㎍/㎥ (n=5, Range 1.3 ~ 110 ㎍/㎥), 여기
에 습식작업을 병행하면 7.8 ㎍/㎥ (n=5, Range 4.7 ~ 10.6 ㎍/㎥) 이라고 보고
하였다. 납 및 그 무기화합물의 국내 노출기준은 0.05mg/㎥(50㎍/㎥)로 음압장
치와 습식작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노출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3. 건설현장 디젤배출물 노출평가 결과

1) 유해인자별 시료채취 현황

일반건축물(주상복합) 신축현장 4개소의 지하 굴착작업(탑다운(Top-Down)


공법) 중 발생하는 디젤배출물 농도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및 원소탄소농도를 평가하였다. 사업장별 각 차량내부 3개소, 작업장 지역시료
3개소를 대상으로 4개 사업장 차량용 건설기계 내부에서 다핵방향족탄화수소
24개 시료, 원소탄소 24개 시료를 채취하였고, 지하 작업장 지역시료는 다핵방향
족탄화수소 30개 시료, 원소탄소 31개 시료를 채취하였다. 각 지점별 원소탄소는

<표 Ⅲ-7> 지하 굴착작업장 유해인자별 시료수


차량내부 (개인시료) 지하 작업장 (지역시료)
측정대상물질 시료수(n) 측정대상물질 시료수(n)
Filter 24 Filter 30
PAHs PAHs
XAD-2 24 XAD-2 30
Respirable 24 Respirable 31
원소탄소 원소탄소
Total 24 Total 31
Respirable 6 Respirable 11
분진 분진
Total 6 Total 11
소 계 108 소계 144
총합 계 260
7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총분진 및 호흡성 분진 중 농도를 동시에 평가하였다. 일부 사업장에서 총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를 평가하였으며 1개 사업장에서 직독식 장비를 사용하여
입경분포별 분진 및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 가스 농도를 평가하
였다.

2)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Element Carbon) 노출농도 수준

일반 건축물 신축현장 지하 굴착작업에 대한 디젤배출물 중 원소탄소 노출


평가 결과, 측정구분에 따른 자료의 분포는 차량내부에서 채취한 원소탄소(EC)
에서만 대수 정규분포를 보이는 특성이 있었다. 차량 내부(in car)에서 평가한
총분진(total dust) 시료에서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9.569 ㎍/㎥ (2.09 ~
52.224 ㎍/㎥)이었고, 유기탄소 44.82 ㎍/㎥ (23.783 ~ 192.814 ㎍/㎥), 총 탄소
55.941 ㎍/㎥ (26.472 ~ 233.663 ㎍/㎥)이었다. 차량 내부의 호흡성 분진(respirable
dust) 시료에서는 원소탄소 농도 기하평균 8.693 ㎍/㎥(1.573 ~ 58.427 ㎍/㎥),
유기탄소 34.324 ㎍/㎥ (19.111 ~ 188.903 ㎍/㎥), 총 탄소 44.957 ㎍/㎥ (22.902
~ 225.33 ㎍/㎥)이었다. 외부 작업장에서 지역시료(outside car, area sample)로
평가한 총분진 시료에서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32.022 ㎍/㎥ (3.24 ~
132.483 ㎍/㎥)이었고, 유기탄소 61.294 ㎍/㎥ (9.55 ~ 171.484 ㎍/㎥), 총 탄소
96.202 ㎍/㎥ (13.845 ~ 303.967 ㎍/㎥)이었다. 호흡성 분진 시료에서는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33.202 ㎍/㎥ (3.151 ~ 191.419 ㎍/㎥)이었고, 유기탄소 41.533 ㎍
/㎥ (8.332 ~ 123.542 ㎍/㎥), 총 탄소 78.212 ㎍/㎥ (12.21 ~ 314.961 ㎍/㎥)이었다.
공기 중 원소탄소에 대한 노출기준은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의 광
산보호청(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SHA)에서는 작업장의 디젤
배출물 노출관리를 위해 총 탄소농도로써 160 ㎍/㎥(또는 원소탄소로 120 ㎍/㎥)
을, 스위스에서는 현재 100 ㎍/㎥으로 가장 낮은 노출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2001년 미국 정부 산업위생전문가 협회(ACGIH)에서 원소탄소농도를 20㎍/㎥으로
사전고시(Notice of Intented Changes, NIC)하였다가, 2003년 철회한 바 있다.
Ⅲ. 연구결과 ‥‥ 79

차량 내부 시료와 외부 작업장 시료간에는 원소탄소, 유기탄소, 총탄소 농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001), 차량 내부 및 외부 작업장의 총 분진
및 호흡성 분진 간에는 탄소농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디젤배출물의 경우 대부분의 발생입자의 크기가 1㎛ 이하로 알려져 있어 총분
진과 호흡성분진 간의 농도차이가 크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표 Ⅲ-8> 탑다운 공법 지하 굴착작업장 탄소 농도(㎍/㎥)


측정구분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23 23 23
AM±SD 13.36±12.024 56.241±49.117 69.601±57.772
총분진 GM(GSD) 9.569(2.325) 44.82(1.846) 55.941(1.856)
Median 9.124 34.931 50.769
차량
Range 2.09~52.224 23.783~192.814 26.472~233.663
내부
n 23 23 23
(In car)
AM±SD 12.746±13.127 44.404±43.838 57.15±53.447
호흡성
GM(GSD) 8.693(2.425) 34.324(1.87) 44.957(1.857)
분진
Median 8.44 27.641 39.858
Range 1.573~58.427 19.111~166.903 22.902~225.33
ANOVA 평균비교 (p value) 0.708 0.151 0.237
비모수검정_독립 K -표본 0.717 0.009 0.102
n 29 29 29
AM±SD 50.945±38.092 79.586±46.224 130.532±79.409
총분진 GM(GSD) 32.022(3.208) 61.294(2.309) 96.202(2.516)
작업장 Median 53.031 91.267 159.851
외부 Range 3.24~132.483 9.55~171.484 13.845~303.967
(Outside n 30 30 30
car) AM±SD 58.531±49.906 51.734±30.886 110.265±79.689
호흡성
GM(GSD) 33.202(3.615) 41.533(2.078) 78.212(2.556)
분진
Median 53.225 52.723 115.362
Range 3.151~191.419 8.332~123.542 12.21~314.961
ANOVA 평균비교 (p value) 0.910 0.62 0.397
비모수검정_독립 K -표본 0.785 0.012 0.172
측정위치별 평균비교
p<0.0001 p>0.05 p<0.0001
(ANOVA & 비모수검정)
※ EC: Element Carbon, OC: Organic Carbon, TC: Total Carbon
※ n: 시료수, Distribution: 자료분포, AM: Arithmatic Mean 산술평균, SD: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
GM: Geometric Mean 기하평균, GS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기하표준편차, Median: 중위수,
Range: 농도범위
8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총 분진_원소탄소> <호흡성 분진_원소탄소>

<총 분진_유기탄소> <호흡성 분진_유기탄소>

<총 분진_총 탄소> <호흡성 분진_총 탄소>

[그림 Ⅲ-10] 차량내부(in car) 시료 정규성 검정 결과


Ⅲ. 연구결과 ‥‥ 81

<총 분진_원소탄소> <호흡성 분진_원소탄소>

<총 분진_유기탄소> <호흡성 분진_유기탄소>

<총 분진_총 탄소> <호흡성 분진_총 탄소>

[그림 Ⅲ-10] 차량외부(outside car) 시료 정규성 검정 결과


8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Element Carbon

In Car Outside Car


250

200
Concentration (ug/m3)

150

100

50

Total Dust Respirable Dust Total Dust. Respirable Dust.

Dust_Type
[그림 Ⅲ-11]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 Total dust: 총분진, Respirable dust: 호흡성 분진,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83

Organic Carbon

In Car Outside Car


250

200
Concentration (ug/m3)

150

100

50

Total Dust Respirable Dust Total Dust. Respirable Dust.

Dust_Type
[그림 Ⅲ-12]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 Total dust: 총분진, Respirable dust: 호흡성 분진,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8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Total Carbon

In Car Outside Car


350

300

250
Concentration (ug/m3)

200

150

100

50

Total Dust Respirable Dust Total Dust. Respirable Dust.

Dust_Type
[그림 Ⅲ-13]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총 탄소 농도
※ Total dust: 총분진, Respirable dust: 호흡성 분진,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85

<표 Ⅲ-9> 사업장 A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측정구분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5 5 5

AM±SD 4.603±2.471 28.706±4.688 33.308±6.531

총분진 GM(GSD) 4.166(1.618) 28.407(1.174) 32.829(1.207)

Median 3.828 26.609 30.903

차량 Range 2.688~8.704 23.783~34.931 26.472~43.635


내부
(In car) n 6 6 6

AM±SD 4.675±2.472 25.059±4.156 29.734±4.014


호흡성분

GM(GSD) 4.226(1.616) 24.771(1.182) 29.499(1.15)

Median 4.254 24.981 29.504



업 Range 2.34~9.298 19.111~31.622 23.418~34.121

n 5 5 5
A
AM±SD 4.843±1.625 16.444±4.051 21.287±4.396

총분진 GM(GSD) 4.652(1.363) 15.945(1.343) 20.854(1.268)

Median 4.295 17.268 23.087


작업장
외부 Range 3.24~7.546 9.55~19.847 13.845~24.814
(Outside
n 6 6 6
car)
AM±SD 4.821±1.991 13.922±3.557 18.743±4.036
호흡성분

GM(GSD) 4.542(1.437) 13.506(1.321) 18.339(1.266)

Median 4.081 13.644 19.387

Range 3.151~8.527 8.332~18.679 12.21~22.962


8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0> 사업장 B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측정구분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6 6 6

AM±SD 9.833±2.534 61.705±47.125 71.538±46.555

총분진 GM(GSD) 9.578(1.281) 51.093(1.884) 62.408(1.714)

Median 9.04 47.585 58.753

차량 Range 7.255~13.72 27.77~153.051 35.024~162.175


내부
(In car) n 6 6 6

AM±SD 10.285±2.817 50.133±36.987 60.417±35.837


호흡성
분진
GM(GSD) 9.993(1.293) 42.393(1.802) 54.108(1.617)

Median 8.701 37.55 48.377



업 Range 8.226~14.425 23.396~122.986 31.836~131.212

n 8 8 8
B
AM±SD 61.984±7.981 116.984±12.729 178.968±17.733

총분진 GM(GSD) 61.533(1.138) 116.384(1.114) 178.209(1.103)

Median 63.372 114.884 173.476


작업장
외부 Range 52.533~74.323 101.04~137.851 156.026~204.066
(Outside
n 9 9 9
car)
AM±SD 60.346±11.657 61.266±13.139 121.612±21.996
호흡성
분진
GM(GSD) 59.335(1.217) 59.953(1.251) 119.732(1.21)

Median 58.875 58.731 125.954

Range 43.153~79.01 40.269~77.217 83.422~156.228


Ⅲ. 연구결과 ‥‥ 87

<표 Ⅲ-11> 사업장 C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측정구분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6 6 6

AM±SD 27.991±14.519 89.308±75.992 117.3±86.884

총분진 GM(GSD) 25.066(1.674) 66.976(2.234) 94.188(2.032)

Median 25.154 44.913 72.62

차량 Range 12.887~52.224 33.889~192.814 50.769~233.663


내부
(In car) n 5 5 5

AM±SD 31.28±17.831 82.495±76.814 113.776±89.639


호흡성
분진
GM(GSD) 27.414(1.784) 54.942(2.769) 86.237(2.324)

Median 29.3 31.104 68.448



업 Range 13.867~58.427 23.073~166.903 39.008~225.33

n 9 9 9
C
AM±SD 89.295±33.513 93.836±40.998 183.131±73.043

총분진 GM(GSD) 78.182(1.968) 83.882(1.751) 162.871(1.829)

Median 91.3 84.105 176.384


작업장
외부 Range 13.651~132.483 22.547~171.484 36.199~303.967
(Outside
n 9 9 9
car)
AM±SD 119.698±35.129 82.08±25.048 201.778±59.639
호흡성
분진
GM(GSD) 115.715(1.307) 78.833(1.35) 194.702(1.32)

Median 103.94 82.266 186.207

Range 83.661~191.419 52.255~123.542 135.916~314.961


8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2> 사업장 D_ 지하 굴착작업장 원소탄소 농도


측정구분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6 6 6

AM±SD 9.552±6.94 40.658±14.284 50.21±20.795

총분진 GM(GSD) 7.297(2.346) 38.475(1.447) 46.437(1.555)

Median 7.82 41.408 50.051

차량 Range 2.09~19.591 24.571~54.621 26.661~74.212


내부
(In car) n 6 6 6

AM±SD 7.834±5.644 26.276±4.033 34.11±9.078


호흡성
분진
GM(GSD) 5.974(2.381) 26.02(1.166) 33.081(1.315)

Median 6.692 25.684 34.306



업 Range 1.573~16.397 21.328~31.89 22.902~45.832

n 7 7 7
D
AM±SD 21.954±8.801 63.626±41.726 85.58±48.505

총분진 GM(GSD) 19.112(1.985) 51.488(2.078) 72.023(1.983)

Median 24.91 42.402 62.69


작업장
외부 Range 4.223~31.445 16.709~127.187 20.932~158.632
(Outside
n 6 6 6
car)
AM±SD 17.769±7.309 29.726±11.051 47.495±16.268
호흡성
분진
GM(GSD) 15.617(1.919) 28.161(1.425) 44.836(1.476)

Median 19.561 24.874 46.101

Range 4.283~25.357 18.679~46.12 22.962~67.174


Ⅲ. 연구결과 ‥‥ 89

<표 Ⅲ-13> 사업장별 차량내부_ 총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개인 (Inside car)

사업장 구분 총분진 (Total Dust)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5 5 5

AM±SD 4.603±2.471 28.706±4.688 33.308±6.531

A GM(GSD) 4.166(1.618) 28.407(1.174) 32.829(1.207)

Median 3.828 26.609 30.903

Range 2.688~8.704 23.783~34.931 26.472~43.635

n 6 6 6

AM±SD 9.833±2.534 61.705±47.125 71.538±46.555

B GM(GSD) 9.578(1.281) 51.093(1.884) 62.408(1.714)

Median 9.04 47.585 58.753

Range 7.255~13.72 27.77~153.051 35.024~162.175

n 6 6 6

AM±SD 27.991±14.519 89.308±75.992 117.3±86.884

C GM(GSD) 25.066(1.674) 66.976(2.234) 94.188(2.032)

Median 25.154 44.913 72.62

Range 12.887~52.224 33.889~192.814 50.769~233.663

n 6 6 6

AM±SD 9.552±6.94 40.658±14.284 50.21±20.795

D GM(GSD) 7.297(2.346) 38.475(1.447) 46.437(1.555)

Median 7.82 41.408 50.051

Range 2.09~19.591 24.571~54.621 26.661~74.212

사업장별 평균비교
ANOVA (p value)
p<0.001 p=0.103 p<0.05
9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4> 사업장별 차량내부_ 호흡성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개인 (Inside car)

사업장 구분 호흡성 분진 (Respirable Dust)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6 6 6

AM±SD 4.675±2.472 25.059±4.156 29.734±4.014

A GM(GSD) 4.226(1.616) 24.771(1.182) 29.499(1.15)

Median 4.254 24.981 29.504

Range 2.34~9.298 19.111~31.622 23.418~34.121

n 6 6 6

AM±SD 10.285±2.817 50.133±36.987 60.417±35.837

B GM(GSD) 9.993(1.293) 42.393(1.802) 54.108(1.617)

Median 8.701 37.55 48.377

Range 8.226~14.425 23.396~122.986 31.836~131.212

n 5 5 5

AM±SD 31.28±17.831 82.495±76.814 113.776±89.639

C GM(GSD) 27.414(1.784) 54.942(2.769) 86.237(2.324)

Median 29.3 31.104 68.448

Range 13.867~58.427 23.073~166.903 39.008~225.33

n 6 6 6

AM±SD 7.834±5.644 26.276±4.033 34.11±9.078

D GM(GSD) 5.974(2.381) 26.02(1.166) 33.081(1.315)

Median 6.692 25.684 34.306

Range 1.573~16.397 21.328~31.89 22.902~45.832

사업장별 평균비교
ANOVA (p value)
p<0.001 p=0.086 p<0.01
Ⅲ. 연구결과 ‥‥ 91

<표 Ⅲ-15> 사업장별 작업장(차량 외부)_ 총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작업장 지역시료 (Area)

사업장 구분 총 분진 (Total Dust)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5 5 5

AM±SD 4.843±1.625 16.444±4.051 21.287±4.396

A GM(GSD) 4.652(1.363) 15.945(1.343) 20.854(1.268)

Median 4.295 17.268 23.087

Range 3.24~7.546 9.55~19.847 13.845~24.814

n 8 8 8

AM±SD 61.984±7.981 116.984±12.729 178.968±17.733

B GM(GSD) 61.533(1.138) 116.384(1.114) 178.209(1.103)

Median 63.372 114.884 173.476

Range 52.533~74.323 101.04~137.851 156.026~204.066

n 9 9 9

AM±SD 89.295±33.513 93.836±40.998 183.131±73.043

C GM(GSD) 78.182(1.968) 83.882(1.751) 162.871(1.829)

Median 91.3 84.105 176.384

Range 13.651~132.483 22.547~171.484 36.199~303.967

n 7 7 7

AM±SD 21.954±8.801 63.626±41.726 85.58±48.505

D GM(GSD) 19.112(1.985) 51.488(2.078) 72.023(1.983)

Median 24.91 42.402 62.69

Range 4.223~31.445 16.709~127.187 20.932~158.632


사업장별 평균비교
ANOVA (p value)
p<0.001 p<0.001 p<0.001
9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6> 사업장별 작업장(차량 외부)_ 호흡성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

작업장 지역시료 (Area)


사업장 구분 호흡성 분진 (Respirable Dust)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n 6 6 6

AM±SD 4.821±1.991 13.922±3.557 18.743±4.036

A GM(GSD) 4.542(1.437) 13.506(1.321) 18.339(1.266)

Median 4.081 13.644 19.387

Range 3.151~8.527 8.332~18.679 12.21~22.962

n 9 9 9

AM±SD 60.346±11.657 61.266±13.139 121.612±21.996

B GM(GSD) 59.335(1.217) 59.953(1.251) 119.732(1.21)

Median 58.875 58.731 125.954

Range 43.153~79.01 40.269~77.217 83.422~156.228

n 9 9 9

AM±SD 119.698±35.129 82.08±25.048 201.778±59.639

C GM(GSD) 115.715(1.307) 78.833(1.35) 194.702(1.32)

Median 103.94 82.266 186.207

Range 83.661~191.419 52.255~123.542 135.916~314.961

n 6 6 6

AM±SD 17.769±7.309 29.726±11.051 47.495±16.268

D GM(GSD) 15.617(1.919) 28.161(1.425) 44.836(1.476)

Median 19.561 24.874 46.101

Range 4.283~25.357 18.679~46.12 22.962~67.174


사업장별 평균비교
ANOVA (p value)
p<0.001 p<0.001 p<0.001
Ⅲ. 연구결과 ‥‥ 93

Element carbon by company

In Car Outside Car


250

200
EC Concentration(ug/m3)

150

100

50

A B C D A. B. C. D.

[그림 Ⅲ-14]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및 외부 작업장 총 탄소 농도


※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9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7> 작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전체시료)


작업장 조건

디젤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환기
토질 차량수
조건
(대수)

n 47 47 47

[토질] 토양 (soil) AM±SD 9.975±8.365 31.595±22.673 41.57±29.244


[디젤차량대수] 3 ~ 4
[환기조건] 개방/밀폐 GM(GSD) 7.133(2.283) 26.784(1.723) 35.061(1.743)
[대상사업장]
사업장 A, D Median 5.031 25.138 30.903

Range 1.573~31.445 8.332~127.187 12.21~158.632

n 29 29 29

[토질] 연암(softstone) AM±SD 39.989±26.696 74.424±38.275 114.413±55.31


[디젤차량대수] 5
[환기조건] 밀폐 GM(GSD) 28.428(2.542) 64.83(1.732) 99.07(1.792)
[대상사업장]
사업장 B Median 52.533 61.72 125.954

Range 7.255~79.01 23.396~153.051 31.836~204.066

n 29 29 29

[토질] 경암(hardstone) AM±SD 76.044±47.73 87.296±50.608 163.34±80.81


[디젤차량대수] 10
[환기조건] 밀폐 GM(GSD) 58.247(2.281) 73.012(1.887) 137.747(1.934)
[대상사업장]
사업장 C Median 83.661 82.266 169.943

Range 12.887~191.419 22.547~192.814 36.199~314.961

작업장 조건별 평균비교


(p value)
p<0.001 p<0.001 p<0.001
Ⅲ. 연구결과 ‥‥ 95

<표 Ⅲ-18> 작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차량내부)


작업장 조건

디젤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환기
토질 차량수
조건
(대수)

n 23 23 23
[토질] 토양 (soil) AM±SD 6.756±5.037 30.238±9.986 36.994±13.992
[디젤차량대수] 3 ~ 4
[환기조건] 개방/밀폐 GM(GSD) 5.317(2.013) 28.996(1.325) 35.018(1.38)
[대상사업장]
사업장 A, D Median 4.978 26.795 32.368

Range 1.573~19.591 19.111~54.621 22.902~74.212

n 12 12 12
[토질] 연암(softstone) AM±SD 10.059±2.565 55.919±40.838 65.977±40.033
[디젤차량대수] 5
[환기조건] 밀폐 GM(GSD) 9.783(1.273) 46.54(1.806) 58.11(1.636)
[대상사업장]
사업장 B Median 8.959 38.728 49.748

Range 7.255~14.425 23.396~153.051 31.836~162.175

n 11 11 11

[토질] 경암(hardstone) 115.698±83.61


AM±SD 29.486±15.347 86.211±72.528
[디젤차량대수] 10 7
[환기조건] 밀폐
GM(GSD) 26.107(1.68) 61.21(2.375) 90.487(2.082)
[대상사업장]
사업장 C Median 29.3 42.19 68.448

Range 12.887~58.427 23.073~192.814 39.008~233.663


작업장 조건별 평균비교
(p value)
p<0.001 p<0.01 p<0.001
9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19> 작업장 환경조건에 따른 원소탄소 농도(차량외부)


작업장 조건

디젤 구분 원소탄소 (EC) 유기탄소 (OC) 총탄소 (TC)


환기
토질 차량수
조건
(대수)

n 24 24 24
[토질] 토양 (soil) AM±SD 13.06±9.767 32.896±30.482 45.955±38.499
[디젤차량대수] 3 ~ 4
[환기조건] 개방/밀폐 GM(GSD) 9.452(2.345) 24.822(2.034) 35.103(2.055)
[대상사업장]
사업장 A, D Median 8.037 19.347 24.287

Range 3.151~31.445 8.332~127.187 12.21~158.632

n 17 17 17
[토질] 연암(softstone) AM±SD 61.117±9.824 87.486±31.289 148.603±35.36
[디젤차량대수] 5
[환기조건] 밀폐 GM(GSD) 60.359(1.178) 81.918(1.467) 144.374(1.289)
[대상사업장]
사업장 B Median 62.796 77.217 156.026

Range 43.153~79.01 40.269~137.851 83.422~204.066

n 18 18 18

[토질] 경암(hardstone) 104.496±36.79 192.455±65.39


AM±SD 87.958±33.509
[디젤차량대수] 10 6 5
[환기조건] 밀폐
GM(GSD) 95.115(1.714) 81.318(1.548) 178.077(1.592)
[대상사업장]
사업장 C Median 99.972 83.739 181.296

Range 13.651~191.419 22.547~171.484 36.199~314.961


작업장 조건별 평균비교
(p value)
p<0.001 p<0.001 p<0.001
Ⅲ. 연구결과 ‥‥ 97

3) 지하 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 탄화수소(PAHs) 노출농도 수준

지하 굴착작업 중 노출되는 전체 다핵방향족탄화수소(total 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의 기하평균 농도는 차량내부에서 6.818 ㎍/㎥(1.262 ~
23.618 ㎍/㎥)으로 가장 높았고, 외부 작업장에서 3.934 ㎍/㎥(1.262 ~ 15.335 ㎍/㎥)
수준이었다.
PAHs의 16개 세부화합물에 대한 평가결과, Naphthalene(C10H8), Acenaphthylene
(C12H8), Acenaphthene(C12H10), Pyrene(C16H10) 농도가 다른 PAHs 농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었다. 차량 내부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0.672 ㎍/㎥
(0.255 ~ 8.806 ㎍/㎥), Acenaphthylene 0.981 ㎍/㎥(0.182 ~ 8.534 ㎍/㎥),
Acenaphthene 0.437 ㎍/㎥(0.08 ~ 2.165 ㎍/㎥), Fluorene 0.244 ㎍/㎥(0.07 ~
2.943 ㎍/㎥), Phenanthrene 0.114 ㎍/㎥(0.012 ~ 3.883 ㎍/㎥), Anthracene 0.032
㎍/㎥(0.002 ~ 0.183 ㎍/㎥), Fluoranthene 0.024 ㎍/㎥(0.016 ~ 0.131 ㎍/㎥),
Pyrene 1.163 ㎍/㎥(0.039 ~ 8.335 ㎍/㎥), Benz(a)anthracene 0.004 ㎍/㎥(0.004
~ 0.037 ㎍/㎥), Debenz(a,h)anthracene 0.283 ㎍/㎥(0.264 ~ 1.075 ㎍/㎥) 이었
고, Chrysene,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
Benzo(ghi)perylene, Indeno(1,2,3-C,D) pyrene은 모든 시료가 검출한계 미만으
로 평가되었다.
외부 작업장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0.42 ㎍/㎥(0.255 ~
2.216 ㎍/㎥), Acenaphthylene 0.427 ㎍/㎥(0.182 ~ 3.44 ㎍/㎥), Acenaphthene
0.543 ㎍/㎥(0.08 ~ 5.757 ㎍/㎥), Fluorene 0.091 ㎍/㎥(0.07 ~ 0.966 ㎍/㎥),
Phenanthrene 0.078 ㎍/㎥(0.012 ~ 4.14 ㎍/㎥), Anthracene 0.015 ㎍/㎥(0.002 ~
0.137 ㎍/㎥), Fluoranthene 0.032 ㎍/㎥(0.016 ~ 5.075 ㎍/㎥), Pyrene 0.316 ㎍/㎥
(0.039 ~ 2.336 ㎍/㎥)이었고, Benz(a)anthracene, Debenz(a,h)anthracene, Chrysene,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 Benzo(ghi)perylene,
Indeno(1,2,3-C,D) pyrene은 모든 시료가 검출한계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표 Ⅲ-20> 지하 굴착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농도 (㎍/㎥)
98

Ace Benz(a)
구분 Naphthalene Acenaphthene Fluorene Phenanthrene Anthracene Fluoranthene Pyrene
naphthylene anthracene

n 21 21 21 21 21 21 21 21 21

AM±SD 1.336±2.005 2.104±2.328 0.757±0.611 0.572±0.855 0.37±0.838 0.047±0.042 0.035±0.04 2.471±2.603 0.005±0.007
차량
내부 GM(GSD) 0.672(3.104) 0.981(4.054) 0.437(3.554) 0.244(3.585) 0.114(4.443) 0.032(2.9) 0.024(2.193) 1.163(4.326) 0.004(1.643)
(In car)
Median 0.26 1.34 0.75 0.23 0.10 0.04 0.02 1.38 0.00

Range 0.255~8.806 0.182~8.534 0.08~2.165 0.07~2.943 0.012~3.883 0.002~0.183 0.016~0.131 0.039~8.335 0.004~0.037

n 29 29 29 29 29 29 29 29 29

AM±SD 0.622±0.632 0.82±0.986 1.494±1.676 0.132±0.185 0.442±0.967 0.043±0.049 0.222±0.936 0.588±0.539 N.D.
외부
작업장
GM(GSD) 0.42(2.289) 0.427(3.067) 0.543(5.481) 0.091(1.986) 0.078(6.49) 0.014(5.828) 0.032(3.893) 0.316(3.84) N.D.
(Outside
Car)
Median 0.26 0.18 1.02 0.07 0.06 0.02 0.02 0.57 N.D.

Range 0.255~2.216 0.182~3.44 0.08~5.757 0.07~0.966 0.012~4.14 0.002~0.137 0.016~5.075 0.039~2.336 N.D.
<표 Ⅲ-20> 지하 굴착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농도 (㎍/㎥) _계속
Benzo(b) Benzo(k) Indeno(1,2,3-C,D)
구분 Chrysene Benzo(a)pyrene Debenz(a,h)anthracene Benzo(ghi)perylene Total_PAHs
fluoranthene fluoranthene pyrene

n 21 21 21 21 21 21 21 21

AM±SD N.D. N.D. N.D. N.D. 0.303±0.177 N.D. N.D. 8.338±5.236


차량
내부 GM(GSD) N.D. N.D. N.D. N.D. 0.283(1.358) N.D. N.D. 6.818(1.999)
(In car)
Median N.D. N.D. N.D. N.D. 0.26 N.D. N.D. 7.31

Range N.D. N.D. N.D. N.D. 0.264~1.075 N.D. N.D. 1.262~23.618

n N.D. N.D. N.D. N.D. N.D. N.D. N.D. 29

AM±SD N.D. N.D. N.D. N.D. N.D. N.D. N.D. 4.968±3.619


외부
작업장
GM(GSD) N.D. N.D. N.D. N.D. N.D. N.D. N.D. 3.934(2.014)
(Outside
Car)
Median N.D. N.D. N.D. N.D. N.D. N.D. N.D. 3.94

Range N.D. N.D. N.D. N.D. N.D. N.D. N.D. 1.262~15.335


99
10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Diesel Exhaust_Inside Car

100

10
PAHs Concentration(ug/m3)

0.1

0.01

0.001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15]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01

Diesel Exhaust_Inside Car

10

8
PAHs Concentration(ug/m3)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16] 지하굴착작업장 차량내부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0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Diesel Exhaust_Outside Car

10
PAHs Concentration(ug/m3)

0.1

0.01

0.001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17]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03

Diesel Exhaust_Outside Car

10

8
PAHs Concentration(ug/m3)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18]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4) 지하 굴착작업장 분진 및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일반건축물(주상복합) 신축현장 3개소의 지하 굴착작업(탑다운(Top-Down)


공법) 중 총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를 살펴보면, 건설용 차량기계 내부에서
는 총분진 0.242 mg/㎥ (0.035 ~ 0.973 mg/㎥), 호흡성 분진 0.125 mg/㎥ (0.036
10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 0.458 mg/㎥)이었고, 작업장 지역시료에서는 총분진 2.498 mg/㎥, 호흡성 분진


0.901 mg/㎥로 차량 내부 농도와 비교하여 약 10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표 Ⅲ-21> 지하 굴착작업장 측정위치별 총 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mg/㎥)


측정위치 구분 총 분진 호흡성 분진

n 6 6

Distribution log-normal log-normal

AM±SD 0.386±0.357 0.179±0.164


차량 내부
(In car) GM(GSD) 0.242(3.28) 0.125(2.571)

Median 0.255 0.108

Range 0.035~0.973 0.036~0.458

n 11 11

Distribution log-normal log-normal

AM±SD 2.739±1.163 0.973±0.381


외부 작업장
(Outside car)
GM(GSD) 2.498(1.599) 0.901(1.524)

Median 2.704 1.138

Range 1.128~4.558 0.46~1.615

차량 내부 vs 작업장 평균비교 p<0.01 p<0.01

※ n: 시료수, Distribution: 자료분포, AM: Arithmatic Mean 산술평균, SD: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
GM: Geometric Mean 기하평균, GS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기하표준편차, Median: 중위수,
Range: 농도범위
Ⅲ. 연구결과 ‥‥ 105

Dust in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n Car Outsede Car


5

4
Dust Concentration(mg/m3)

Total Dust Respirable Dust Total Dust. Respirable Dust.

[그림 Ⅲ-19] 지하굴착작업장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


※ Total dust: 총분진, Respirable dust: 호흡성 분진,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0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2> 지하 굴착작업장 작업장별 총 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mg/㎥)


사업장 측정위치 구분 총 분진 호흡성 분진

n 3 3

AM±SD 3.213±0.193 1.367±0.215


외부
B 작업장 GM(GSD) 3.209(1.063) 1.356(1.163)
(지역)
Median 3.301 1.246

Range 2.992~3.347 1.24~1.615

n 3 3

AM±SD 1.505±0.602 0.82±0.276


외부
C 작업장 GM(GSD) 1.433(1.45) 0.792(1.37)
(지역)
Median 1.188 0.685

Range 1.128~2.198 0.638~1.138

n 5 5

AM±SD 3.196±1.268 0.828±0.376


외부
D 작업장 GM(GSD) 2.998(1.491) 0.761(1.58)
(지역)
Median 2.704 0.668

Range 1.933~4.558 0.46~1.28

작업장(지역) 사업장별 평균비교(p value) p<0.05 p=0.138

n 6 6

AM±SD 0.386±0.357 0.179±0.164

차량 내부 GM(GSD) 0.242(3.28) 0.125(2.571)


D
(개인) Median 0.255 0.108

95%ile 1.704 0.590

Range 0.035~0.973 0.036~0.458


Ⅲ. 연구결과 ‥‥ 107

<표 Ⅲ-23> 지하 굴착작업장 측정위치별 분진 중 산화규소(결정체) 농도(mg/㎥)


총 분진 중
측정위치 구분 호흡성 산화규소(결정체)
산화규소(결정체)

n 6 6

Distribution log-normal log-normal

AM±SD 0.0333±0.0273 0.0200±0.0126


차량 내부
(개인)
GM(GSD) 0.0249(2.334) 0.0170(1.860)

Median 0.0250 0.0150

Range 0.01~0.08 0.01~0.04

n 11 11

Distribution log-normal log-normal

AM±SD 0.0187±0.0847 0.0873±0.0395


외부 작업장
(지역)
GM(GSD) 0.1675(1.68042) 0.0789(1.61288)

Median 0.1700 0.0800

Range 0.07~0.29 0.04~0.15

차량 내부 vs 작업장 평균비교 p<0.01 p<0.01

※ n: 시료수, Distribution: 자료분포, AM: Arithmatic Mean 산술평균, SD: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
GM: Geometric Mean 기하평균, GS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기하표준편차, Median: 중위수,
Range: 농도범위
10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Silica in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n Car Outside Car


0.35

0.30
Silica Concentration(mg/m3)

0.25

0.20

0.15

0.10

0.05

0.00

Total Dust Respirable Dust Total Dust. Respirable Dust.

[그림 Ⅲ-20] 지하굴착작업장 산화규소(결정체) 농도


※ Total dust: 총분진, Respirable dust: 호흡성 분진, In car: 차량 내부, Outside car: 차량 외부 작업장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09

<표 Ⅲ-24> 지하 굴착작업장 작업장별 분진 중 산화규소(결정체) 농도(mg/㎥)


사업장 측정위치 구분 총 분진 호흡성 분진
n 3 3
외부 AM±SD 0.2833±0.00577 0.1300±0.0200
B 작업장 GM(GSD) 0.2833(1.02047) 0.1290(1.16793)
(지역)
Median 0.2800 0.1300
Range 0.28~0.29 0.11~0.15
n 3 3
외부 AM±SD 0.1067±0.05508 0.0600±0.01732
C 작업장
GM(GSD) 0.0984(1.61352) 0.0585(1.31174)
(지역)
Median 0.08 0.05
Range 0.07~0.17 0.05~0.08
n 5 5
외부 AM±SD 0.1780±0.0672 0.0780±0.0389
D 작업장 GM(GSD) 0.1682(1.45242) 0.0704(1.66146)
(지역) Median 0.1500 0.060
Range 0.12~0.26 0.04~0.12
작업장(지역) 사업장별 평균비교(p value) p<0.05 p=0.083
n 6 6
AM±SD 0.0333±0.0273 0.020±0.01265
차량 내부
D GM(GSD) 0.0249(2.33498) 0.0170(1.86009)
(개인)
Median 0.0250 0.0150
Range 0.01~0.08 0.01~0.04

5) 지하 굴착작업장 입경별 분진 및 가스상 물질 농도

일부 사업장(사업장 C)을 대상으러 입경분포별 먼지 농도 측정기 및 가스


농도측정기를 사용하여 지하 굴착 작업장 내부 공기 질을 평가한 결과를 살펴
보면, 오전 작업시간에 분진 농도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는데, 입경이 10 ㎛
이하인 PM 10 분진의 농도는 최대 4.5 mg/㎥이었고, 입경이 2.5 ㎛ 이하인
PM 2.5 분진의 농도는 최대 1.2 mg/㎥이었다. 가스농도는 일산화질소(NO)가
최대 약 15 ppm으로 노출기준의 약 60% 수준이었고, 이산화질소(NO2, 노출기준
11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3 ppm)는 1 ppm 미만수준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최대 10 ppm 으로 노출기준의


약 33% 수준이었다.

[그림 Ⅲ-21] 지하 굴착작업 입경별 분진 농도 수준(mg/㎥)_사업장 C

[그림 Ⅲ-22] 지하 굴착작업 가스상 물질 농도 수준_사업장 C


Ⅲ. 연구결과 ‥‥ 111

4. 아스팔트 포장작업 노출평가 결과

1) 유해인자별 시료채취 현황

아스팔트 도로포장을 실시하는 현장 3개소에서 아스팔트 흄 및 다핵방향족


탄화수소농도(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를 평가하였다. 각
24개 측정지점에서 2일 연속측정을 실시하였고, 물질별 각 48개 시료를 채취하
였다. 직종에 따라서는 포장특공 24개, 피니셔 6개, 머캐덤 8개, 타이어 4개, 텐
덤 5개, 굴착기 1개 시료를 각 채취하였다.

<표 Ⅲ-25>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장 유해인자별 시료수(n)


PAHs*
구분 직종 XAD- 아스팔트흄 총합계
필터
2 tube
개인시료 포장특공 24 24 24 72

피니셔 6 6 6 18

머캐덤 8 8 8 24

지역시료 타이어 4 4 4 12

텐덤 5 5 5 15

굴삭기 1 1 1 3

총합계 48 48 48 144

* 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다핵방향족탄화수소


11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아스팔트 흄 노출농도

아스팔트 도로포장을 실시하는 현장 3개소에서 측정한 총분진 중 아스팔트


흄 농도를 직종에 따라 살펴보면, 포장특공 작업에서 기하평균 212.95 ㎍/㎥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피니셔 148.33 ㎍/㎥, 타이어 140.5 ㎍/㎥, 머캐덤 83.39
㎍/㎥ 수준이었다.
벤젠추출방식으로 분석한 아스팔트 흄 농도의 직종별 차이를 살펴보면, 아스
팔트흄_총분진과 마찬가지로 포장특공 작업에서 기하평균 42.32 ㎍/㎥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피니셔 41.57 ㎍/㎥, 머캐덤 31.9 ㎍/㎥, 타이어 30.31 ㎍/㎥
수준이었다. 기하평균 농도는 아스팔트 흄의 노출기준 500 ㎍/㎥의 약 10% 수
준으로 매우 낮았으나 작업의 기하표준편차는 1.786 ~ 3.658 수준으로 농도의
변이가 큰 특징이 있어, 대수정규분포 상의 추정된 95% 상위 농도값을 구하면
피니셔 작업의 경우, 노출기준의 약 50% 이상 수준인 350.97 ㎍/㎥ 이었고 포
장특공에서도 176.98 ㎍/㎥ 수준이었다.
총 분진 중 아스팔트 흄은 직종별 자료의 분포가 대수 정규분포하는 특성이
있었고, 벤젠추출방식으로 분석한 아스팔트 흄의 경우 피니셔, 텐덤 자료를 제
외하고 대수 정규분포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총 분진 중 아스팔트 흄 의 경우, ANOVA 분석결과, 직종에 따라 농도차이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95% 유의수준), 비모수 검정방법으로 분
석한 벤젠추출법 아스팔트 흄 농도의 경우 직종 간 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연구결과 ‥‥ 113

<표 Ⅲ-26> 아스팔트 도로포장 직종별 아스팔트 흄 노출농도 수준 (㎍/㎥)


아스팔트흄
직종 구분
Total Benzene 추출물
n 24 24
자료분포* log-normal - (p=0.022)
포장특공 AM±SD 243.03±133.75 64.85±73.91
(개인시료) GM(GSD) 212.95(1.701) 42.32(2.386)
Median 214.49 30.98
Range 78.38~691.43 13.06~308.71
n 6 6
자료분포* log-normal log-normal
AM±SD 164.23±75.94 76.36±92.82
피니셔
GM(GSD) 148.33(1.677) 41.57(3.658)
Median 148.9 50.06
Range 63.15~273.57 5.35~259.01
n 8 8
자료분포* log-normal - (p=0.012)
AM±SD 109.81±92.08 52.04±61.14
머캐덤
GM(GSD) 83.39(2.155) 31.9(2.661)
Median 60.17 22.08
Range 39.95~295.16 10.64~171.55
n 4 4
자료분포* log-normal - (p=0.014)
AM±SD 154.65±87.21 35.08±24.73
타이어
GM(GSD) 140.5(1.609) 30.31(1.786)
Median 114.89 23.43
Range 103.71~285.11 21.32~72.13
n 6 6
자료분포* log-normal log-normal
텐덤 AM±SD 207.14±259.4 69.61±63.21
굴삭기 GM(GSD) 116.4(3.328) 45.51(2.885)
Median 147.09 48.81
Range 20.84~723.64 12.71~168.55
평균비교 (p value) ANOVA test, p<0.05 비모수 검정, p=0.861
* Shapiro-Wilk test 결과: log normal: p > 0.05
11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sphalt Fume_Total Particulate

800

700

600
Asphalt fume (ug/m3)

500

400

300

200

100

0
Pavement Worker Finisher Macadam Tire

[그림 Ⅲ-23] 아스팔트 포장작업 종류별 아스팔트 흄_총분진 농도(㎍/㎥)


※ Pavement Worker: 포장특공, Finisher: 피니셔, Macadam: 머캐덤, Tire: 타이어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15

Asphalt Fume_Benzene Soluble Fraction

350
Asphalt fume_Benzene Soluble (ug/m3)

300

250

200

150

100

50

Pavement Worker Finisher Macadam Tire

[그림 Ⅲ-24] 아스팔트 포장작업 종류별 아스팔트 흄_벤젠추출물 농도(㎍/㎥)


※ Pavement Worker: 포장특공, Finisher: 피니셔, Macadam: 머캐덤, Tire: 타이어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1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7> 아스팔트 도로포장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 노출농도 수준 (㎍/㎥)


아스팔트흄
사업장 구분
Total Benzene 추출물
n 16 16
자료분포 log-normal - (p=0.003)

사업장 AM±SD 239.63±156.08 57.26±66.64


A GM(GSD) 198.83(1.944) 38.34(2.288)
Median 218.31 25.48
Range 39.95~723.64 19.54~259.01
n 16 16
자료분포 log-normal log-normal

사업장 AM±SD 193.34±148.61 38.28±29.95


B GM(GSD) 159.45(1.86) 30.7(1.931)
Median 164.49 26.91
Range 46.36~691.43 10.64~126.35
n 16 16
자료분포 log-normal log-normal

사업장 AM±SD 164.41±126.97 91.26±89.08


C GM(GSD) 119.6(2.392) 52.51(3.258)
Median 133.23 58.62
Range 20.84~397.24 5.35~308.71
n 48 48
자료분포 log-normal log-normal
AM±SD 199.12±144.73 62.27±68.75
합계
GM(GSD) 155.94(2.101) 39.54(2.516)
Median 172.92 28.93
Range 20.84~723.64 5.35~308.71
평균비교 (p value) ANOVA test, p=0.152 비모수 검정, p=0.260
Ⅲ. 연구결과 ‥‥ 117

Asphalt Fume_Total Particulate

800

600
Asphalt fume (ug/m3)

400

200

A B C

[그림 Ⅲ-25] 아스팔트 포장작업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_총분진 농도(㎍/㎥)


※ A: 사업장 A, B: 사업장 B, C: 사업장 C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1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sphalt Fume_Benzene Soluble Fraction

350
Asphalt fume_Benzene Soluble (ug/m3)

300

250

200

150

100

50

A B C

[그림 Ⅲ-26] 아스팔트 포장작업 사업장별 아스팔트 흄_벤젠추출 농도(㎍/㎥)


※ A: 사업장 A, B: 사업장 B, C: 사업장 C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19

3) 아스팔트 작업_ 다핵방향족 탄화수소(PAHs) 노출농도

아스팔트 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평가 결과, 총 PAHs 기하평균 농도는 피니셔 작업에서 37.496
㎍/㎥(17.545 ~ 73.203 ㎍/㎥)으로 가장 높았고, 포장특공 20.131 ㎍/㎥(1.922 ~
147.62 ㎍/㎥), 타이어 작업 8.662 ㎍/㎥(3.658 ~ 19.698 ㎍/㎥), 머캐덤 작업
6.288 ㎍/㎥(2.99 ~ 18.618 ㎍/㎥), 텐덤 및 굴착기 작업 2.43 ㎍/㎥(1.362 ~ 9.7
㎍/㎥) 수준이었다. 전체 아스팔트 작업에 대한 총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기하
평균 농도는 12.934 ㎍/㎥(1.262 ~ 147.62 ㎍/㎥) 수준이었다.
기하평균 농도는 피니셔 작업에서 가장 높았지만, 포장특공 농도는 변이가
큰 특성이 있어 95% 상한치 농도를 구하면 118.618 ㎍/㎥로 가장 높았고, 피니
셔 작업 93.458 ㎍/㎥, 타이어 작업 34.534 ㎍/㎥, 머캐덤 작업 18.362 ㎍/㎥, 텐
덤, 굴삭기 작업 10.008 ㎍/㎥ 이었다. 각 작업의 기하표준편차 농도는 포장특
공 2.939로 가장 컸고, 피니셔 작업이 1.742로 가장 작었다.
PAHs의 16개 세부화합물에 대한 평가결과, Naphthalene(C10H8), Acenaphthylene
(C12H8), Acenaphthene(C12H10), Pyrene(C16H10), Fluorene(C13H10), Benz(a)
anthracene(C18H12) 농도가 다른 PAHs 농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었다.
포장특공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1.615 ㎍/㎥(0.255 ~
9.095 ㎍/㎥), Acenaphthylene 3.119 ㎍/㎥(0.182 ~ 17.199 ㎍/㎥), Acenaphthene
0.811 ㎍/㎥(0.08 ~ 21.644 ㎍/㎥), Fluorene 0.07 ㎍/㎥, Phenanthrene 0.353 ㎍/㎥
(0.027 ~ 2.776 ㎍/㎥), Anthracene 0.063 ㎍/㎥(0.002 ~ 0.34 ㎍/㎥), Fluoranthene
1.161 ㎍/㎥(0.016 ~ 9.166 ㎍/㎥), Pyrene 2.358 ㎍/㎥(0.039 ~ 15.779 ㎍/㎥),
Benz(a)anthracene 2.601 ㎍/㎥(0.004 ~ 91.123 ㎍/㎥), Chrysene 0.262 ㎍/㎥
(0.03 ~ 1.664 ㎍/㎥), Benzo(b)fluoranthene 0.074 ㎍/㎥(0.01 ~ 1.714 ㎍/㎥),
Benzo(k)fluoranthene 0.081 ㎍/㎥(0.025 ~ 0.895 ㎍/㎥), Benzo(a)pyrene 0.088 ㎍/
㎥(0.01 ~ 1.645 ㎍/㎥), Debenz(a,h)anthracene 0.398 ㎍/㎥(0.264 ~ 2.431 ㎍/㎥)
이었고, Benzo(ghi)perylene 0.252 ㎍/㎥(0.229 ~ 2.221 ㎍/㎥), Indeno(1,2,3-C,D)
12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pyrene 0.047 ㎍/㎥(0.032 ~ 0.487 ㎍/㎥)으로 평가되었다.


피니셔 운전원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2.09 ㎍/㎥(0.791
~ 7.786 ㎍/㎥), Acenaphthylene 8.449 ㎍/㎥(4.463 ~ 12.736 ㎍/㎥), Acenaphthene
1.405 ㎍/㎥(0.08 ~ 3.162 ㎍/㎥), Fluorene 0.147 ㎍/㎥(0.07 ~ 5.928 ㎍/㎥),
Phenanthrene 0.96 ㎍/㎥(0.213 ~ 1.901 ㎍/㎥), Anthracene 0.137 ㎍/㎥(0.072 ~
0.255 ㎍/㎥), Fluoranthene 2.62 ㎍/㎥(1.084 ~ 9.827 ㎍/㎥), Pyrene 5.724 ㎍/㎥
(3.273 ~ 10.891 ㎍/㎥), Benz(a)anthracene 8.183 ㎍/㎥(3.529 ~ 39.128 ㎍/㎥),
Chrysene 0.294 ㎍/㎥(0.067 ~ 1.293 ㎍/㎥), Benzo(b)fluoranthene 0.371 ㎍/㎥
(0.01 ~ 1.2 ㎍/㎥), Benzo(k)fluoranthene 0.218 ㎍/㎥(0.025 ~ 0.757 ㎍/㎥),
Benzo(a)pyrene 0.29 ㎍/㎥(0.111 ~ 0.687 ㎍/㎥), Debenz(a,h)anthracene 0.749 ㎍/㎥
(0.264 ~ 2.472 ㎍/㎥) 이었고, Benzo(ghi)perylene 0.298 ㎍/㎥(0.229 ~ 1.109 ㎍/㎥),
Indeno(1,2,3-C,D) pyrene 0.08 ㎍/㎥(0.032 ~ 0.509 ㎍/㎥)으로 평가되었다.
머캐덤 운전원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0.905 ㎍/㎥(0.255
~ 3.112 ㎍/㎥), Acenaphthylene 0.381 ㎍/㎥(0.182 ~ 4.77 ㎍/㎥), Acenaphthene
0.08 ㎍/㎥, Fluorene 검출한계 미만, Phenanthrene 0.135 ㎍/㎥(0.012 ~ 0.46 ㎍/㎥),
Anthracene 0.011 ㎍/㎥(0.002 ~ 0.058 ㎍/㎥), Fluoranthene 0.505 ㎍/㎥(0.016
~ 2.467 ㎍/㎥), Pyrene 1.512 ㎍/㎥(0.45 ~ 4.111 ㎍/㎥), Benz(a)anthracene
0.045 ㎍/㎥(0.004 ~ 6.807 ㎍/㎥), Chrysene 0.063 ㎍/㎥(0.03 ~ 0.25 ㎍/㎥),
Benzo(b)fluoranthene 0.014 ㎍/㎥(0.01 ~ 0.195 ㎍/㎥), Benzo(k)fluoranthene
0.032 ㎍/㎥(0.025 ~ 0.158 ㎍/㎥), Benzo(a)pyrene 0.024 ㎍/㎥(0.01 ~ 0.432 ㎍/㎥),
Debenz(a,h)anthracene, Benzo(ghi)perylene, Indeno(1,2,3-C,D) pyrene은 검출한
계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타이어 운전원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0.677 ㎍/㎥(0.556
~ 0.896 ㎍/㎥), Acenaphthene 0.2 ㎍/㎥(0.08 ~ 1.255 ㎍/㎥), Phenanthrene
0.241 ㎍/㎥(0.125 ~ 0.738 ㎍/㎥), Anthracene 0.048 ㎍/㎥(0.035 ~ 0.07 ㎍/㎥),
Fluoranthene 1.364 ㎍/㎥(0.842 ~ 2.826 ㎍/㎥), Pyrene 2.025 ㎍/㎥(0.981 ~
Ⅲ. 연구결과 ‥‥ 121

5.069 ㎍/㎥), Benz(a)anthracene 0.462 ㎍/㎥(0.004 ~ 5.744 ㎍/㎥), Chrysene


0.21 ㎍/㎥(0.114 ~ 0.516 ㎍/㎥),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 Fluorene, Acenaphthylene, Debenz(a,h) anthracene, Benzo
(ghi)perylene, Indeno(1,2,3-C,D) pyrene은 검출한계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텐덤 운전원에서 평가한 시료의 Naphthalene 기하평균은 0.402 ㎍/㎥(0.255
~ 3.866 ㎍/㎥), Phenanthrene 0.02 ㎍/㎥(0.012 ~ 0.222 ㎍/㎥), Fluoranthene
0.034 ㎍/㎥(0.016 ~ 1.296 ㎍/㎥), Pyrene 0.128 ㎍/㎥(0.039 ~ 1.952 ㎍/㎥),
Benz(a)anthracene 0.013 ㎍/㎥(0.004 ~ 4.778 ㎍/㎥), Chrysene 0.044 ㎍/㎥(0.03
~ 0.292 ㎍/㎥), Acenaphthene, Anthracene, Benzo(b)fluoranthene, Benzo(k)
fluoranthene, Benzo(a)pyrene, Fluorene, Acenaphthylene, Debenz(a,h) anthracene,
Benzo(ghi)perylene, Indeno(1,2,3-C,D) pyrene은 검출한계 미만으로 평가되었다.
12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구분 Naphthalene Acenaphthylene Acenaphthene
n 24 24 24
AM±SD 2.587±2.515 5.746±5.324 2.792±4.469
포장특공 GM(GSD) 1.615(2.904) 3.119(3.932) 0.811(6.788)
Median 1.67 4.536 1.893
Range 0.255~9.095 0.182~17.199 0.08~21.644
n 6 6 6
AM±SD 2.734±2.541 8.987±3.16 2.129±1.116
피니셔 GM(GSD) 2.09(2.127) 8.449(1.493) 1.405(4.13)
Median 1.978 9.852 2.243
Range 0.791~7.786 4.463~12.736 0.08~3.162
n 8 8 8
AM±SD 1.306±1.075 1.055±1.72 0.08±0
머캐덤 GM(GSD) 0.905(2.65) 0.381(3.984) 0.08(1)
Median 0.949 0.182 0.08
Range 0.255~3.112 0.182~4.77 0.08~0.08
n 3 3 3
AM±SD 0.691±0.18 N.D. 0.472±0.678
타이어 GM(GSD) 0.677(1.286) N.D. 0.2(4.921)
Median 0.621 N.D. 0.08
Range 0.556~0.896 N.D. 0.08~1.255
n 6 6 6
AM±SD 0.857±1.474 N.D. N.D.
텐덤
GM(GSD) 0.402(3.023) N.D. N.D.
굴삭기
Median 0.255 N.D. N.D.
Range 0.255~3.866 N.D. N.D.
n 47 47 47
AM±SD 2.046±2.212 4.296±4.981 1.752±3.418
합계 GM(GSD) 1.198(2.974) 1.437(5.842) 0.399(6.411)
Median 1.388 2.159 0.08
Range 0.255~9.095 0.182~17.199 0.08~21.644
Ⅲ. 연구결과 ‥‥ 123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계속


구분 Fluorene Phenanthrene Anthracene
n 24 24 24
AM±SD 0.07±0 0.8±0.833 0.118±0.1
포장특공 GM(GSD) 0.07(1) 0.353(4.608) 0.063(4.427)
Median 0.07 0.783 0.11
Range 0.07~0.07 0.027~2.776 0.002~0.34
n 6 6 6
AM±SD 1.046±2.392 1.171±0.612 0.156±0.081
피니셔 GM(GSD) 0.147(6.126) 0.96(2.241) 0.137(1.776)
Median 0.07 1.295 0.157
Range 0.07~5.928 0.213~1.901 0.072~0.255
n 8 8 8
AM±SD N.D. 0.211±0.164 0.025±0.026
머캐덤 GM(GSD) N.D. 0.135(3.367) 0.011(4.944)
Median N.D. 0.17 0.016
Range N.D. 0.012~0.46 0.002~0.058
n 3 3 3
AM±SD N.D. 0.338±0.347 0.05±0.018
타이어 GM(GSD) N.D. 0.241(2.658) 0.048(1.421)
Median N.D. 0.151 0.047
Range N.D. 0.125~0.738 0.035~0.07
n 6 6 6
AM±SD N.D. 0.047±0.086 N.D.
텐덤
GM(GSD) N.D. 0.02(3.254) N.D.
굴삭기
Median N.D. 0.012 N.D.
Range N.D. 0.012~0.222 N.D.
n 47 47 47
AM±SD 0.195±0.855 0.622±0.729 0.088±0.093
합계 GM(GSD) 0.077(1.911) 0.23(5.407) 0.033(5.892)
Median 0.07 0.235 0.053
Range 0.07~5.928 0.012~2.776 0.002~0.34
12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계속


구분 Fluoranthene Pyrene Benz(a)anthracene
n 24 24 24
AM±SD 2.302±2.166 4.598±4.32 11.322±19.91
포장특공 GM(GSD) 1.161(5.043) 2.358(4.744) 2.601(14.891)
Median 2.109 3.665 4.39
Range 0.016~9.166 0.039~15.779 0.004~91.123
n 6 6 6
AM±SD 3.685±3.478 6.297±2.985 12.656±14.12
피니셔 GM(GSD) 2.62(2.415) 5.724(1.617) 8.183(2.627)
Median 2.052 5.895 5.373
Range 1.084~9.827 3.273~10.891 3.529~39.128
n 8 8 8
AM±SD 0.926±0.798 1.901±1.335 1.301±2.368
머캐덤 GM(GSD) 0.505(4.82) 1.512(2.108) 0.045(31.166)
Median 0.743 1.437 0.004
Range 0.016~2.467 0.45~4.111 0.004~6.807
n 3 3 3
AM±SD 1.579±1.086 2.573±2.189 3.406±3.014
타이어 GM(GSD) 1.364(1.898) 2.025(2.309) 0.462(63.81)
Median 1.068 1.669 4.469
Range 0.842~2.826 0.981~5.069 0.004~5.744
n 6 6 6
AM±SD 0.23±0.523 0.509±0.794 0.8±1.949
텐덤
GM(GSD) 0.034(5.978) 0.128(6.297) 0.013(18.372)
굴삭기
Median 0.016 0.039 0.004
Range 0.016~1.296 0.039~1.952 0.004~4.778
n 47 47 47
AM±SD 1.933±2.207 3.705±3.758 7.938±15.686
합계 GM(GSD) 0.719(6.922) 1.672(5.398) 0.685(33.519)
Median 1.263 2.636 3.448
Range 0.016~9.827 0.039~15.779 0.004~91.123
Ⅲ. 연구결과 ‥‥ 125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계속


Benzo(b) Benzo(k)
구분 Chrysene
fluoranthene fluoranthene
n 24 24 24
AM±SD 0.491±0.491 0.333±0.469 0.218±0.297
포장특공 GM(GSD) 0.262(3.605) 0.074(7.563) 0.081(4.217)
Median 0.382 0.105 0.025
Range 0.03~1.664 0.01~1.714 0.025~0.895
n 6 6 6
AM±SD 0.473±0.481 0.67±0.405 0.345±0.28
피니셔 GM(GSD) 0.294(3.024) 0.371(6.043) 0.218(3.491)
Median 0.267 0.699 0.295
Range 0.067~1.293 0.01~1.2 0.025~0.757
n 8 8 8
AM±SD 0.095±0.094 0.033±0.066 0.042±0.047
머캐덤 GM(GSD) 0.063(2.553) 0.014(2.868) 0.032(1.917)
Median 0.037 0.01 0.025
Range 0.03~0.25 0.01~0.195 0.025~0.158
n 3 3 3
AM±SD 0.262±0.221 0.609±1.037 N.D.
타이어 GM(GSD) 0.21(2.224) 0.056(20.13) N.D.
Median 0.158 0.01 N.D.
Range 0.114~0.516 0.01~1.806 N.D.
n 6 6 6
AM±SD 0.074±0.107 N.D. N.D.
텐덤
GM(GSD) 0.044(2.526) N.D. N.D.
굴삭기
Median 0.03 N.D. N.D.
Range 0.03~0.292 N.D. N.D.
n 47 47 47
AM±SD 0.354±0.429 0.301±0.472 0.167±0.255
합계 GM(GSD) 0.164(3.767) 0.052(7.706) 0.063(3.761)
Median 0.143 0.01 0.025
Range 0.03~1.664 0.01~1.806 0.025~0.895
12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계속


Debenz(a,h) Benzo(ghi)
구분 Benzo(a)pyrene
anthracene perylene
n 24 24 24
AM±SD 0.267±0.352 0.58±0.656 0.312±0.407
포장특공 GM(GSD) 0.088(6.269) 0.398(2.159) 0.252(1.589)
Median 0.198 0.264 0.229
Range 0.01~1.645 0.264~2.431 0.229~2.221
n 6 6 6
AM±SD 0.359±0.229 1.032±0.856 0.376±0.359
피니셔 GM(GSD) 0.29(2.149) 0.749(2.489) 0.298(1.898)
Median 0.373 0.804 0.229
Range 0.111~0.687 0.264~2.472 0.229~1.109
n 8 8 8
AM±SD 0.104±0.176 N.D. N.D.
머캐덤 GM(GSD) 0.024(5.538) N.D. N.D.
Median 0.01 N.D. N.D.
Range 0.01~0.432 N.D. N.D.
n 3 3 3
AM±SD N.D. N.D. N.D.
타이어 GM(GSD) N.D. N.D. N.D.
Median N.D. N.D. N.D.
Range N.D. N.D. N.D.
n 6 6 6
AM±SD N.D. N.D. N.D.
텐덤
GM(GSD) N.D. N.D. N.D.
굴삭기
Median N.D. N.D. N.D.
Range N.D. N.D. N.D.
n 47 47 47
AM±SD 0.202±0.294 0.524±0.596 0.29±0.315
합계 GM(GSD) 0.054(6.296) 0.372(2.023) 0.249(1.49)
Median 0.01 0.264 0.229
Range 0.01~1.645 0.264~2.472 0.229~2.221
Ⅲ. 연구결과 ‥‥ 127

<표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중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노출 농도(㎍/㎥) -계속


구분 Indeno(1,2,3-C,D)pyrene Total_PAHs
n 24 24
AM±SD 0.082±0.121 32.618±34.113
포장특공 GM(GSD) 0.047(2.406) 20.131(2.939)
Median 0.032 23.426
Range 0.032~0.487 1.922~147.62
n 6 6
AM±SD 0.184±0.236 42.3±21.562
피니셔 GM(GSD) 0.08(4.086) 37.496(1.742)
Median 0.032 40.018
Range 0.032~0.509 17.545~73.203
n 8 8
AM±SD N.D. 7.675±5.565
머캐덤 GM(GSD) N.D. 6.288(1.918)
Median N.D. 5.886
Range N.D. 2.99~18.618
n 3 3
AM±SD N.D. 10.792±8.165
타이어 GM(GSD) N.D. 8.662(2.318)
Median N.D. 9.021
Range N.D. 3.658~19.698
n 6 6
AM±SD N.D. 3.421±3.379
텐덤
GM(GSD) N.D. 2.43(2.364)
굴삭기
Median N.D. 1.715
Range N.D. 1.262~9.7
n 47 47
AM±SD 0.077±0.125 24.488±28.92
합계 GM(GSD) 0.044(2.289) 12.934(3.412)
Median 0.032 15.393
Range 0.032~0.509 1.262~147.62
12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sphalt Pavement

100
Log_PAHs Concentration(ug/m3)

10

0.1

0.01

0.001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27] 아스팔트 포장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og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Ⅲ. 연구결과 ‥‥ 129

Asphalt Pavement

50

40
PAHs Concentration(ug/m3)

30

20

10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Compounds
[그림 Ⅲ-28] 아스팔트 포장작업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_Linear Scale(㎍/㎥)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3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sphalt Pavement_PAHs Concentration

10
Pave Worker
Finisher
8 Macadam
Tire
Geomean of PAHs(ug/m3)

Others
6

NAP ACE ACEN FLUO PHEN ANTHFLUOR PYR BAA CHR BBF BKF BAP DIB GHI IND

PAHs

[그림 Ⅲ-29] 아스팔트 포장작업 작업별 다핵방향족탄화수소 기하평균농도(㎍/㎥)


※ NAP: Naphthalene, ACE: Acenaphthylene, ACEN: Acenaphthene, FLUO: Fluorene, PHEN:
Phenanthrene, ANTH: Anthracene, FLOUR: Fluoranthene, PYR: Pyrene, BAA: Benz(a)anthracene,
CHR: Chrysene, BBF: Benzo(b)fluoanthene, BAP: Benzo(a)pyrene, DIB: Dibenz(a,h)anthracene, IND:
Indeno(1,2,3-C,D)pyrene
Ⅲ. 연구결과 ‥‥ 131

Total PAHs by Type of Asphlt Work

160

140

120
Total PAHs(ug/m3)

100

80

60

40

20

Pave Worker Finisher Macadam Tire Others

Asphalt Work

[그림 Ⅲ-30] 아스팔트 포장작업 작업별 총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


※ Pavement Worker: 포장특공, Finisher: 피니셔, Macadam: 머캐덤, Tire: 타이어
※ 박스(Box) 내 중간선: 중위수(Median), 박스 경계선 위: 75%, 박스 경계선 아래: 25%, 휘스커(whisker)
위: 90%, 휘스커(whisker) 아래: 10%
13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Ⅳ. 고 찰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건설현장에서 평가한 최근 4년간 작업환경측정자료를 살펴보면 전체 측정물질


의 약 22 ~ 23%가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산화티타늄, 톨루엔, 규산(석영), 니켈(불용성 무기화합물), 에틸벤젠, 벤젠, 납 및
그 무기화합물 순으로 측정건수가 많았다. 이들 물질의 대부분은 건설현장의 용
접, 방수․도장작업, 콘크리트, 시멘트를 다루는 작업 중 취급하는 화학물질이었
다. 작업환경측정결과 물질별 농도수준은 노출기준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은 아니
나, 평가값 간의 변이가 커서 자료의 분포를 통한 95% 상위농도값을 추정하면,
스티렌 및 1, 3-부타디엔, 벤젠 등 도장이나 화학플랜트 보수작업에서 노출가능
한 물질들의 경우 95% 상위값(추정)이 노출기준을 초과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일
부 작업현장에서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노출가능집단이 존재할 것으로 평
가된다. 또한 규산(석영)의 경우, 95% 상위값(추정)이 노출기준의 50%수준이었
으며, 규산(석영)에 대해서는 터널현장을 제외하고 일반건축물 콘크리트 견출작
업 등에서는 평가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일반건축물의 주요 공종별 발암성 등 물질의 취급 및 노출실태를 물질안전
보건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굴착작업에서는 굴착기, 덤프트럭 등 차량용 건설기
계의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디젤배출물과 굴착지반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규소(결정체), 양수기 등 동력장비의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 등유 등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등이 있었다. 흙막이 공사와 철근 배근, 철골 조립, 배관용
접, 내장공사(출입문, 난간 등) 등의 작업에서는 용접 작업이 수행되며 용접모
재에 다라 차이는 있으나 금속흄 중의 이산화티타늄, 니켈, 크롬 등 발암성 물
질과 생식독성 물질인 망간에 노출되고 있었다.
Ⅳ. 고찰 ‥‥ 133

거푸집 작업에서는 최근 알루미늄폼 등 금속재질의 거푸집 사용빈도가 높아짐


에 따라 유성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었다. 유성박리제의 주요 구성성분은 발암성
으로 분류된 디클로메탄(염화 메틸렌)과 수소처리된 중질 파라핀유로 이러한 물
질을 작업자가 로울러를 사용하여 직접 거푸집에 도포하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
었다. 시멘트, 레미콘, 레미탈을 취급하는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시멘트, 골재, 모
래에 함유된 산화규소(결정체) 노출 우려가 있으며, 양생된 콘크리트를 해머로
깍고, 그라인딩하는 견출작업에서는 작업공간의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실
내작업에서는 노출기준의 수십배를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건설현장 내 산화규소
(결정체)의 노출은 콘크리트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주변 작
업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포집장치 개발
에 대한 연구 및 현장적용성 평가 등이 필요하다.
방수, 도장 공사에서는 가장 다양한 발암성 등 물질을 취급하고 있었는데, 에틸
벤젠,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2-부톡시에탄올, 염소화
파라핀, 이산화티타늄 등의 발암성 물질과 톨루엔, 스티렌 등의 생식독성물질, 중
질 및 경질 나프타 용매와 같은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내장공사작업에서는 콘크리트 접착제 및 유성본드 성분 중 발암성 물질인 포
름알데히드, 시클로헥사논 등과 생식독성물질인 톨루엔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실링재에는 디옥칠프탈레이트, 2-부톡시에탄올 등 생식독성 물질 함유 제품이 많
았다. 건축물 해체공사에서는 콘크리트 파쇄과정에서 노출되는 산화규소(결정체)
와 석고보드, 보온재 등 내장재의 함유되어 있는 석면, 그리고 건축물 지하 배관
해체작업 시 납 및 그 무기화합물 등 금속류의 노출이 문제되고 있었다.
건설현장에서는 공종별로 다양하고 유해성이 높은 발암성 및 생식독성 물질
등이 취급되고 있으나 일부 작업을 제외하고는 노출농도 수준에 대한 연구자료
가 부족하며, 작업환경 관리방안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있지 못하다. 향후 구체적
인 발암성 물질에 대한 노출평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13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2. 건설현장 지하 굴착작업 디젤배출물 노출평가

일반건축물(주상복합) 신축현장 4개소의 지하 굴착작업(탑다운(Top-Down)


공법) 중 발생하는 디젤배출물 농도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원소탄소농도를 평가한
결과, 차량 내부의 호흡성 분진 시료에서 원소탄소 농도 기하평균 8.693 ㎍/㎥
(1.573 ~ 58.427 ㎍/㎥)이었고, 외부 작업장에서 지역시료로 평가한 호흡성 분진
시료 중 원소탄소 농도는 기하평균 33.202 ㎍/㎥ (3.151 ~ 191.419 ㎍/㎥) 수준이
었다. 총 분진 중 원소탄소 농도는 차량 내부 9.569 ㎍/㎥ (2.09 ~ 52.224 ㎍/㎥),
외부 작업장에서는 32.022 ㎍/㎥(3.24 ~ 132.483 ㎍/㎥) 이었다. 공기 중 원소탄소에
대한 노출기준은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의 광산보호청(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SHA)에서는 작업장의 디젤배출물 노출관리를
위해 총 탄소농도로써 160 ㎍/㎥(또는 원소탄소로 120 ㎍/㎥)을, 스위스에서는
현재 100 ㎍/㎥으로 가장 낮은 노출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2001년 미국정부산업
위생전문가협회에서 원소탄소농도를 2 0㎍/㎥으로 사전고시(Notice of Intented
Changes, NIC)하였다가, 2003년 철회한 바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서 100 ㎍/㎥을 초과하는 시료는 총분진 및 호흡성 분진 전
체 106개 시료 중 9개 시료였으며, 9개 시료 모두 경암 지반인 현장에서 시행
하는 지하 굴착작업에서 평가된 시료였다.
건설현장 지하 굴착 작업에서 원소탄소 농도에 대한 평가자료는 없었다. 다만,
터널 내 원소탄소를 평가한 자료에서 163 ㎍/㎥(Bakke et al. 2001), 87 ㎍/㎥
(Lewne et al. 2007), 고속도로 현장과 지상 작업장에서 8 ㎍/㎥ (Woskie et al.
2002; Lewne et al. 2007) 으로 지하 굴착작업장은 터널현장에서 평가된 농도보다
는 낮았으나, 도로 및 지상 작업장과 비교하면 높은 농도 수준을 나타내었다.
최근 국내 지게차 사용 작업장에서 평가한 원소탄소농도는 2.1 ~ 23.8 ㎍/㎥(김
상일 등, 2016) 으로 지하 굴착작업장 차량 내부 농도수준과 유사하였고, 수도권
일부 대형상가를 대상으로 김부욱 등(2013)이 지상 및 지하주차장에서 평가한 원
소탄소의 산술평균은 12.2 ㎍/㎥ (4.3 ~ 26.0 ㎍/㎥) 수준이라고 보고하였다. 국내
Ⅳ. 고찰 ‥‥ 135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평가한 원소탄소농도는 4.8 ㎍/㎥(Lee K et al, 2015)이었


고, 2000년에 버스정비작업자를 대상으로 엔진을 예열하는 약 2시간 동안 작업자
를 대상으로 평가한 농도는 15.5 ㎍/㎥이라고 보고하였다(이나루 등, 2016)
Echt et al(1995)는 미국 내 소방관을 대상으로 원소탄소 농도를 평가하였는데,
기하평균 35 ㎍/㎥(기하표준편차 1.7, 산술평균 40 ㎍/㎥)이었고, Groves and
Cain(2000)이 영국에서 버스운전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원소탄소 기하평균 31 ㎍/
㎥(기하표준편차 2.1), 앰뷸런스 차고에서는 29 ㎍/㎥(기하표준편차 1.6)이었다.
또한 에스토니아의 버스운전자를 대상으로한 원소탄소 농도는(Boffetta et al.,
2002) 기하평균 38 ㎍/㎥ (기하표준편차 1.3) 수준이었다.
지하 굴착작업장에서의 원소탄소농도는 터널굴착 작업장에서의 노출평가 결과
보다는 낮은 농도수준이나, 미국 내 소방관, 에스토니아 및 영국에서 연구된 버스
운전자가 노출되는 농도와 유사하였고, 도로 및 지상 건설현장, 지게차 운전원,
버스 정비작업자 보다는 높은 농도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차량 내부 시료와 외부 작업장 시료간에는 원소탄소, 유기탄소, 총탄소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001), 차량 내부 및 외부 작업장의 총 분진 및 호
흡성 분진 간에는 탄소농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디젤배
출물의 경우 대부분의 발생입자의 크기가 1㎛ 이하로 알려져 있어 총분진과 호흡
성분진간의 농도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지하 굴착작업장의 원
소탄소 농도는 굴착 지반의 종류, 작업장 내 굴착기의 동시 작업차령 수, 환기상
태 등에 따라 농도수준이 달라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하 굴착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의 기하평균 농도는 차량내부에서 6.818 ㎍/㎥(1.262 ~ 23.618 ㎍/㎥)
으로 가장 높았고, 외부 작업장에서 3.934 ㎍/㎥(1.262 ~ 15.335 ㎍/㎥) 수준으로
차량 내부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작업자의 흡연여부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서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16개 세부화합물에 대한
평가결과, Naphthalene(C10H8), Acenaphthylene(C12H8), Acenaphthene(C12H10) 농
도가 다른 PAHs 농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었으나, 작업자의 흡연여부에 대해 통
13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제하지 못해 지하 굴착작업에 대한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도에 대해서는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 굴착작업(탑다운(Top-Down) 공법) 중 총분진 및 호흡성 분진 농도를 살
펴보면, 작업장 지역시료에서는 총분진 2.498 mg/㎥, 호흡성 분진 0.901 mg/㎥로
차량 내부 농도와 비교하여 약 10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호흡성 분진 중 산
화규소(결정체)의 작업장 내 기하평균 농도가 0.0789 ㎎/㎥으로 노출기준의 약
1.5배를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지하 굴착작업장에서는 오염물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디젤차량 배기구 정화장치 설치, 노후장비 교체․정기점검, 살수 시설 등을
이용한 습식작업, 적절한 급․배기를 통한 작업장 환기 등 관리가 필요하다.

3.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 유해인자 노출평가

아스팔트 도로포장을 실시하는 현장 3개소에서 아스팔트 흄(벤젠추출법) 농도의


직종별 차이를 살펴보면, 포장특공에서 기하평균 42.32 ㎍/㎥(13.06 ~ 308.71 ㎍/㎥),
피니셔 41.57 ㎍/㎥(5.35 ~ 259.01 ㎍/㎥), 머캐덤 31.9 ㎍/㎥(10.64 ~ 171.55 ㎍/㎥),
타이어 30.31 ㎍/㎥(21.32 ~ 72.13 ㎍/㎥) 수준이었다. 기하평균 농도는 아스팔트
흄의 노출기준 500 ㎍/㎥의 약 10%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나 작업의 기하표준편
차는 1.786 ~ 3.658 수준으로 농도의 변이가 큰 특징이 있어, 대수정규분포 상의
95% 상위 농도값(추정)을 구하면 피니셔 작업의 경우, 노출기준의 약 50% 이상
수준인 350.97 ㎍/㎥ 이었고 포장특공에서도 176.98 ㎍/㎥ 수준이었다.
국내에서 아스팔트 흄에 대한 노출기준 개정을 위해 실시한 연구에서 아스콘
을 취급하는 다양한 작업장을 대상으로 아스팔트 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정지연 등, 2006), 이중 한 개의 도로포장 현장에서 3명의 피니셔 보조자(포장특
공)을 대상으로 아스팔트 흄 농도를 평가한 결과, 각 410 ㎍/㎥, 290 ㎍/㎥, 210 ㎍/㎥
로 이번 연구결과보다 약 10배가량 높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니셔 운
전자 180 ㎍/㎥, 머캐덤 운전자 130 ㎍/㎥, 타이어 운전자는 검출한계(30 ㎍/㎥) 미
Ⅳ. 고찰 ‥‥ 137

만이라고 보고하였다.
아스팔트 포장작업은 바닥과 현장 조건에 따라 농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작업
면에 맨홀이나 모서리 등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 포장특공의 노
출농도 수준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작업장소가 시내 중심이거나 주변에 건물이
많아 자연환기가 어려운 경우 노출농도 수준은 높아진다. 이번 연구에서는 신설
도로포장 현장에서 작업을 실시하여 주변에 건물이 없고 개방된 환경에서 평가
가 진행된 점이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농도수준이 매우 낮았다고 평가된다. 다만
이번 연구는 4개 사업장에서 48개 시료에 대한 평균농도이며 이전 노출평가 자료
는 한 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번 연구의 최고 노출농도 값은 과거 노
출농도와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과거 아스팔트 피니셔 장비에서는 아스콘을 담는 호퍼에 환기장치가 설
치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 제작된 피니셔 장비의 경우 아스콘
을 담는 호퍼에 아스팔트 흄을 제거하는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농도수준에
차이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벤젠추출방법이 아닌 총분진 중 아스팔트 흄의 농도의 경우 이번 연구에서는
포장특공에서 기하평균 212.95 ㎍/㎥(78.38 ~ 691.43 ㎍/㎥) 로 가장 높았고, 피니
셔 148.33 ㎍/㎥(63.15 ~ 273.57 ㎍/㎥), 타이어 140.5 ㎍/㎥(103.71 ~ 285.11 ㎍/㎥),
머캐덤 83.39 ㎍/㎥(39.95 ~ 295.16 ㎍/㎥) 수준이었으며, 정지연 등(2006)의 연구
에서는 아스팔트 생산 사업장에서는 각 150 ㎍/㎥, 170 ㎍/㎥이었고, 아스콘 제조
사업장에서는 각 770 ㎍/㎥, 860 ㎍/㎥, 도로포장 현장에서는 1,010 ㎍/㎥(1.01 ㎎/㎥)
수준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최재욱 등(2000)은 국내 도로포장 작업에서 15개 시료의
아스팔트흄 노출농도 평가결과 0.94 ㎎/㎥이었다고 하였고,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
연구원(NIOSH, 1976, 1996) 자료에서는 측정값의 범위가 0.08 ㎎/㎥ ~ 2.50 ㎎/㎥
수준이라고 보고하였다.
총 분진 중 아스팔트 흄은 직종별 자료의 분포가 대수 정규분포하는 특성이 있
었고, 벤젠추출방식으로 분석한 아스팔트 흄의 경우 피니셔, 텐덤 자료를 제외하
13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고 대수 정규분포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총 분진 중 아스팔트 흄 의 경우, ANOVA 분석결과, 직종에 따라 농도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비모수 검정방법으로 분석한 벤젠추출법 아스
팔트 흄 농도의 경우 직종 간 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팔트 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의 기하평균 농도는 피니셔 작업에서 37.496 ㎍/㎥(17.545 ~73.203 ㎍/㎥)
으로 가장 높았고, 포장특공 20.131 ㎍/㎥(1.922 ~ 147.62 ㎍/㎥), 타이어 작업
8.662 ㎍/㎥(3.658 ~ 19.698 ㎍/㎥), 머캐덤 작업 6.288 ㎍/㎥(2.99 ~ 18.618 ㎍/㎥),
텐덤 및 굴착기 작업 2.43 ㎍/㎥(1.362 ~ 9.7 ㎍/㎥) 수준이었다. 전체 아스팔트 작업에
대한 총 다핵방향족탄화수소의 기하평균 농도는 12.934 ㎍/㎥(1.262 ~ 147.62 ㎍/㎥)
수준이었다. 기하평균 농도는 피니셔 작업에서 가장 높았지만, 포장특공 농도는
변이가 큰 특성이 있어 95% 상한치 농도(추정)를 구하면 118.618 ㎍/㎥로 가장 높
았고, 피니셔 작업 93.458 ㎍/㎥, 타이어 작업 34.534 ㎍/㎥, 머캐덤 작업 18.362 ㎍
/㎥, 텐덤, 굴삭기 작업 10.008 ㎍/㎥ 이었다. 각 작업의 기하표준편차는 포장특공
에서 2.939로 가장 컸고, 피니셔 작업에서 1.742로 가장 작았다.
아스팔트 도로 포장작업 중 PAHs의 16개 세부화합물에 대한 평가결과, Pyrene
(C16H10), Benz(a)anthracene(C18H12), Fluoranthene(C16H10), Naphthalene (C10H8),
Acenaphthylene(C12H8), Acenaphthene(C12H10) 농도가 다른 PAHs 농도보다 높은
특징이 있었다.
국내·외에서 아스팔트 도로 포장작업 중 PAHs를 평가한 자료는 찾을 수 없었
다. 다만, 일반 대기 중 PAHs 농도를 평가한 자료(Y-C Chen et al., 2016)에서 중
국 시안(Xian)에서 0.087 ㎍/㎥, 대한민국 서울에서 0.0263 ㎍/㎥, 미국 아틀란타
0.002 ~ 0.006 ㎍/㎥, 대만, 일본 등에서는 약 0.002 ~ 0.005 ㎍/㎥,수준이라고 보
고하였다. PAHs의 16개 세부화합물 중 나프탈렌(Naphthalene)의 경우 국내 및
ACGIH에서 노출기준을 10 ppm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일부 물질(Phenanthrene,
Anthracene, Pyrene, Benzo(a)pyrene)에 대해서 노출기준이 0.2 ㎎/㎥로 정하고
Ⅳ. 고찰 ‥‥ 139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출기준과 비교하면 1/10 수준으로 낮으나 대기환경 중


농도(서울기준)와 비교하면 400배 이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 아스
팔트 도로포장 작업 중 노출되는 흄 및 다핵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한 평가를 시도
한 자료는 많지 않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발암 유해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
스팔트 도로포장 작업자의 초과 발암위해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4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Ⅴ. 결 론

1. 건설현장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건설현장에서 노출되는 주요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변이원성 물질을 살펴보


면, 시멘트, 골재, 모래 등을 취급하는 작업에서 발암성 물질인 산화규소(결정체)
에 노출되고 있으며, 거푸집 공사에서 박리제로 사용되는 디클로메탄(염화 메틸
렌)과 수소처리된 중질 파라핀유 등도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방수․도장작
업에서는 에틸벤젠,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2-부톡시
에탄올, 염소화 파라핀, 이산화티타늄 등의 발암성 물질과 톨루엔, 스티렌 등의
생식독성물질, 중질 및 경질 나프타 용매와 같은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을 함유
하고 있었다. 철근, 철골 조립, 흙막이 지보공 설치, 배관용접 등 작업에서는 용접
작업이 수행되며 용접모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금속흄 중의 이산화티타늄, 니
켈, 크롬 등 발암성 물질과 생식독성 물질인 망간에 노출되고 있었으며 내장공사
작업에서는 콘크리트 접착제 및 유성본드 성분 중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시클로헥사논 등과 생식독성물질인 톨루엔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실링재에는 디
옥칠프탈레이트, 2-부톡시에탄올 등 생식독성 물질 함유 제품이 많았다.
건설현장에서는 공종별로 다양하고 유해성이 높은 발암성 및 생식독성 물질
등이 취급되고 있으나 일부 작업을 제외하고는 노출농도 수준에 대한 연구자료
가 부족하며, 작업환경 관리방안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있지 못하다. 향후 구체적
인 발암성 물질에 대한 노출평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Ⅴ. 결론 ‥‥ 141

2. 건설현장 지하 굴착 및 아스팔트 도로포장 작업 유해인자 노출평가

지하굴착작업에서 원소탄소 노출농도는 전체 시료의 약 10%가 국외 권고기


준인 100 ㎍/㎥을 초과하였으며, 산화규소(결정체)의 기하평균 농도는 노출기준
의 2배이상을 초과수준으로 지하 굴착작업장에서는 오염물질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디젤차량 배기구 정화장치, 노후장비 교체, 습식작업, 작업장 환기 등
관리가 필요하다. 아스팔트 도로포장작업 중 노출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농
도가 대기환경 농도와 비교하면 수백배 높은 농도수준으로 도로포장작업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호흡보호구 착용 등 발암 유해성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건설업에 대해서는 별도 작업환경관리제도의 마련 및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
서 제출 시 보건관리 분야를 강화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14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Ⅵ. 참 고 문 헌

권영준. 건설현장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평가 및 근로자 건강관리 방안 연


구. 고용노동부 연구보고서, 2005

김부욱, 송동우. 수도권 일부 대형상가 지상주차장 및 지하주차장의 공기중 디


젤엔진배출 입자상물질의 공기중 농도 비교.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13:
23(4); 323-332

김상일, 박지영, 이경민, 김승원. 지게차 사용 사업장에서 디젤엔진물질 노출지


표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016: 26(1); 38-47

김승원, 박지영, 박주현, 박종국. 작업환경측정 분석을 위한 통계 분석 도구 개


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연구원-1196.

김현욱, 전춘화, 피영규, 이승철, 양혁승. 석면해체제거작업 제도이행 실태평가


및 근로자 건강보호 방안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원
2010-74-891

박동욱, 김승원, 김원, 배현주, 윤층식. 디젤엔진배출물 노출산업 및 인구추정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연구원-793.

박현희, 박해동. 건설업 직종별 화학물질 노출 매트릭스 연구. 산업안전보건연


구원 연구보고서 2014-연구원-1115

성은창, 배혜정, 정종현, 피영규. 토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공기 중 석영의 노


출 평가.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5, 25(4) Page: 584-590

신재수. 건설현장 배관용접작업자의 용접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 2004
Ⅵ. 참고문헌 ‥‥ 143

이나루, 이광용. 버스 정비 작업자에 대한 석면 및 디젤엔진 배출물질 노출평


가.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016: 26(2); 219-224

이인섭, 박현희, 서회경. 건설업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보건관리매뉴얼 개발 -


아파트 등 일반건축공사를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연구원-1417

임경택, 양정선, 이성배. 특별관리대상 유해물질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연구원-1404

정지연. 화학물질 노출기준 제․개정 연구(아스팔트 흄).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Arndt V1, Rothenbacher D, Daniel U, Zschenderlein B, Schuberth S, Brenner


H. Construction work and risk of occupational disability: a ten year
follow up of 14,474 male workers. Occup Environ Med. 2005
Aug;62(8):559-66.

Calvert GM1, Luckhaupt S, Lee SJ, Cress R, Schumacher P, Shen R, Tak S,


Deapen D. Lung cancer risk among construction workers in California,
1988-2007. Am J Ind Med. 2012 May;55(5):412-22

HSE. Cancer and construction. www.hse.gov.uk/construction/healthrisks/


cancer-and-construction

Hakansson N, Floderus B, Gustavsson P, Feychting M, Hallin N.


Occupational Sunlight Exposure and Cancer Incidence among Swedish
Construction Workers. Epidemiology. 2001 Sep;12(5):552-557

Jarvholm B. Carcinoge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n NY Acad Sci.


2006;1076:421-428

Lange JH and Thomulka KW. Effectiveness of Engineering Controls for


14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irborne Lead Exposure during Renovation/Demolition of a Commercial


Building. Indoor Built Environ 2000;9:207-215

Lumens ME1, Spee T.Determinants of exposure to respirable quartz du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Ann Occup Hyg. 2001 Oct;45(7):585-95.

NIOSH hazards review: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Ci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NIOSH publication No.2002-129

NIOSH Survey report; In-depth survey report of four sites: exposure to


silica from hand tools in construction chipping, grinding, and hand
demolition. Cicinnati, O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No. EPHB 247-15

Normohammadi M, Kakooei H. Asbestos exposure among construction


workers during demolition of old houses in tehran, Iran. Industrial
Health, 2014:52;71-77

Perkins RA, Hargesheimer J, Fourie W. Asbestos release from


whole-building demolition of building with asbestos-containing material.
J Occup Environ Hyg, 2007:4;889-894

Pronk A, Coble J, Stewart PA. Occupational exposure to diesel engine


exhaust: A literature review. J Exposure Science and Environ Epi, 2009:
19; 443-457

Rappaport SM, Goldberg M, Susi P, Herrick RF. Excessive Exposure to


Silica in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Ann Occup Hyg. 2003
Mar;47(2):111-22.

Rushton L, Hutchings S, Brown T. The burden of cancer at work:


Ⅶ. 부 록 ‥‥ 145

eatimation as the first step to prevention. Occup Environ med. 2008;


65:789-800

Sauvé JF, Beaudry C, Bégin D, Dion C, Gérin M, Lavoué J. Silica exposure


during construction activities: statistical modeling of task-based
measurements from the literature. Ann Occup Hyg. 2013 May;57(4):432-43.

Tjoe Nij E1, Hilhorst S, Spee T, Spierings J, Steffens F, Lumens M, Heederik


D. Dust Control Measur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n Occup
Hyg. 2003 Apr;47(3):211-8.

van Deurssen E1, Pronk A2, Spaan S2, Goede H2, Tielemans E2, Heederik
D3, Meijster T2.Quartz and respirable dust in the Dutch construction
industry: a baseline exposure assessment as part of a multidimensio nal
intervention approach. Ann Occup Hyg. 2014 Jul;58(6):724-38.
14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Ⅶ. 부 록
<부록 표 1>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변
발암성 생식독성
이원성
가.유기화합물(113종)
1 글루타르알데히드
2 니트로글리세린
3 니트로메탄 2B 2
4 니트로벤젠 2B 2 1B
5 p-니트로아닐린
6 p-니트로클로로벤젠 2 2
7 디니트로톨루엔 1B 2 2
8 디메틸아닐린 3 2
9 디메틸아민
10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B
11 디메틸포름아미드 2A 1B
12 디에탄올아민 2B 2
13 디에틸렌트리아민
14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15 디에틸에테르
16 디에틸아민
17 1,4-디옥산 2B 2
18 디이소부틸케톤
19 디클로로메탄 2A 2
20 o-디클로로벤젠 3
21 1,2-디클로로에틸렌
22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23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24 디하이드록시벤젠 3 2 2
25 2-메톡시에탄올 1B
26 메틸렌디(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3 2
27 메틸아민
28 메틸알코올
29 메틸에틸케톤
30 메틸이소부틸케톤 2B 2
Ⅶ. 부 록 ‥‥ 147

<부록 표 1>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변
발암성 생식독성
이원성
31 메틸클로라이드 2
32 메틸n-부틸케톤
33 메틸n-아밀케톤
34 o-메틸시클로헥사논
35 메틸시클로헥사놀
36 메틸클로로포름
37 말레산언하이드라이드(무수말레산)
38 프탈산언하이드라이드(무수프탈산)
39 벤젠 1 1A 1B
40 1,3-부타디엔 1 1A 1B
41 sec-부틸알코올(sec-부탄올)
42 n-부틸알코올(1-부탄올)
43 1-브로모프로판 2B 2 1B
44 2-브로모프로판 1A
45 브롬화메틸 3 2
46 비닐아세테이트 2B 2
47 사염화탄소 2B 1B
48 스티렌 2B 2 2
49 시클로헥사논 3 2
50 시클로헥사놀
51 시클로헥산
52 시클로헥센
53 아닐린과아닐린동족체 3 2 2
54 아세토니트릴
55 아세톤
56 아세트알데히드 1 1B
57 아크릴로니트릴 2B 1B
58 아크릴아미드 2A 1B 2 1B
59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 2 2
60 에탄올아민
148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부록 표 1>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61 에틸벤젠 2B 2
62 에틸아민
63 에틸아크릴레이트 2B 2
64 에틸렌글리콜디나이트레이트
65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1B
66 2-에톡시에탄올 1B
67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68 2-부톡시에탄올 3 2
69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아세테이트 2
70 에틸렌글리콜
71 에틸렌클로로하이드린
72 에틸렌이민 2B 1B 1B
73 2,3-에폭시-1-프로판올 2A 1B 1B 2
74 1,2-에폭시프로판 2B 1B 1B
75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A 1B
76 요오드화메틸 3 2
77 이소부틸알코올
78 이소아밀알코올
79 이소프로필알코올 3
80 이염화에틸렌 2B 1B
81 이황화탄소 2
82 초산메틸
83 초산부틸
84 초산에틸
85 초산프로필
86 초산이소부틸
87 초산이소프로필
88 초산이소아밀
89 크레졸(모든이성체)
90 크실렌(오르토,메타,파라이성체)
Ⅶ. 부 록 ‥‥ 149

<부록 표 1>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91 클로로벤젠 2
92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2B 2
93 1,1,2-트리클로로에탄 3 2
94 1,2,3-트리클로로프로판 2A 1B
95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
96 톨루엔 3 2
97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2
98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2
99 트리에틸아민
100 트리클로로메탄 2B 2 2
101 트리클로로에틸렌 1 1A 2
102 퍼클로로에틸렌 2A 1B
103 페놀 3 2
104 펜타클로로페놀 1 1B
105 포름알데히드 1 1A 2
106 스토다드솔벤트 1B 1B
107 프로필렌이민 2B 1B
108 피리딘 3 2
109 히드라진 2A 1B
110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1 헥산
112 헵탄
113 황산디메틸 2A 1B 2
150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부록 표 1>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나.금속류(23종)
1 구리(Copper)
가)흄
나)분진과미스트
2 납및그무기화합물 2B 1B 1A
3 니켈 2B
가)원소 2
나)가용성무기화합물 1A
다)불용성무기화합물 1A
라)니켈카보닐 1A 1B
4 망간및그무기화합물
5 바륨및그가용성화합물
6 백금
가)금속
나)가용성염
7 산화마그네슘
8 셀레늄및그화합물 3
9 수은 3
가)알킬화합물
나)아릴화합물
다)원소및무기형태 1B
10 산화아연
가)흄
나)분진
11 안티몬및그화합물
12 알루미늄및그화합물
가)금속분진
나)피로파우더
다)흄
라)가용성염
마)알킬
Ⅶ. 부 록 ‥‥ 151

<부록 표 1>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나.금속류(23종)
13 요오드
14 은
가)금속
나)가용성화합물
15 이산화티타늄 2B 2
16 주석
가)금속
나)산화물및무기화합물
다)유기화합물
17 지르코늄및그화합물
18 산화철분진과흄 3
19 카드뮴및그화합물 1 1A 2 2
20 코발트및그무기화합물 2B
21 크롬과그무기화합물 3
가)금속과크롬3가화합물
나)수용성6가크롬화합물 1A
다)불용성6가크롬화합물 1A
22 텅스텐
가)금속과불용성화합물
나)가용성화합물
23 오산화바나듐 2B 2 2 2
가)분진과흄
152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부록 표 1>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다. 산및알칼리류(17종)
1 개미산
2 과산화수소 3 2
3 무수초산
4 불화수소
5 브롬화수소
6 수산화나트륨
7 수산화칼륨
8 시안화나트륨
9 시안화칼륨
10 시안화칼슘
11 아크릴산 3
12 염화수소 3
13 인산
14 질산
15 초산
16 트리클로로아세트산 2B 2
17 황산 1A
Ⅶ. 부 록 ‥‥ 153

<부록 표 1>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라. 가스상태물질류
1 불소
2 브롬
3 산화에틸렌 1 1A 1B
4 삼수소화비소
5 시안화수소
6 암모니아
7 염소
8 오존
9 아황산가스
10 이산화질소
11 일산화질소
12 일산화탄소
13 포스겐
14 포스핀
15 황화수소
154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부록 표 1> 작업환경측정대상물질 중 발암성, 생식독성, 생식독성변이원성 물질


고용노동부 구분
연번 물질명 IARC 생식세포
발암성 생식독성
변이원성
마. 영제30조에 따른 허가대상유해물질(14종)
1 디클로로벤지딘과그염 1B
2 알파-나프틸아민과그염 3 2
3 크롬산아연 1A
4 오르토-톨리딘과그염 2B 1A
5 디아니시딘과그염 1B
6 베릴륨및그화합물 1 1A
7 비소및그무기화합물 1 1A
8 크롬광 3 1A
9 휘발성콜타르피치 1A
10 황화니켈 1A 2
11 염화비닐 1 1A
12 벤조트리클로라이드 1B
13 석면 1A

※ 발암성
- 1A: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 1B: 시험동물에서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거나, 시험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제한된 발
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
- 2: 사람이나 동물에서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구분1로 분류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물질

※ 생식세포 변이원성
- 1A: 사람에게서의 역학조사 연구결과 양성의 증거가 있는 물질
- 1B: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질
①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in vivo) 유전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②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in vivo) 체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이고, 생식세포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증거가 있음
③ 노출된 사람의 정자 세포에서 이수체 발생빈도의 증가와 같이 사람의 생식세포 변
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 2: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생식세포에 유전성 돌연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Ⅶ. 부 록 ‥‥ 155

물질
① 포유류를 이용한 생체내(in vivo) 체세포 변이원성 시험에서 양성
② 기타 시험동물을 이용한 생체내(in vivo) 체세포 유전독성 시험에서 양성이고, 시험
관내(in vitro) 변이원성 시험에서 추가로 입증된 경우
③ 포유류 세포를 이용한 변이원성시험에서 양성이며, 알려진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과 화학적 구조활성관계를 가지는 경우

※ 생식독성 정보물질
- 1A: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정도의 사
람에서의 증거가 있는 물질
- 1B: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할 정도의 동
물시험 증거가 있는 물질
- 2: 사람에게 성적기능, 생식능력이나 발육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의심할 정도의 사
람 또는 동물시험 증거가 있는 물질
- 수유독성: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질
① 흡수, 대사, 분포 및 배설에 대한 연구에서, 해당 물질이 잠재적으로 유독한 수준으
로 모유에 존재할 가능성을 보임
② 동물에 대한 1세대 또는 2세대 연구결과에서, 모유를 통해 전이되어 자손에게 유해
영향을 주거나, 모유의 질에 유해영향을 준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음
③ 수유기간 동안 아기에게 유해성을 유발한다는 사람에 대한 증거가 있음
156 ‥‥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취급실태 및 관리방안

Abstract

Occupational exposure to carcinogenic substances in construction


industry

Hyunhee Park

Work Enviro㎚ent Research Bureau,,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400 Jongga-ro Jung-gu, Ulsan 44429, Republic of Korea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carcinogenic, reproductive and reproductive toxic substances in
construction industry.
METHODS: Recent workplace monitoring data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 used in construction site were analyzed.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elemental carbon and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concentration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hazards of diesel emissions
from underground excavation (top-down construction) and asphalt pavement
work.
RESULTS: In construction site, various kinds of carcinogenic, reproductive
and reproductive toxic substances were handled by each kind of work,
especially, in excavating, concrete finishing, welding and painting work. The
geometric mean of elemental carbon was 33.202 ㎍/㎥ (3.151 ~ 191.419 ㎍/㎥)
in respirable dust samples evaluated in the underground excavation workplace
Abstract ‥‥ 157

and the samples exceeding 100 ㎍/㎥ was occupied 10% of the total sample.
The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was 0.0789 ㎎/㎥, which
was more than 1.5 times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The geometric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PAHs) was
12.934 ㎍/㎥ (1.262 ~ 147.62 ㎍/㎥) for all asphalt works. PAHs concentration
was less than 10%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but about 400 time higher
than that of atmosphere air(in Seou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rcinogenic hazards of asphalt pavement workers.
CONCLUSIONS: In th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about 10% of total
samples of the elemental carbon exceeded the recommendation level of 100 ㎍/
㎥, and the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of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exceeded 1.5 times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In the excavation
workplac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diesel vehicle exhaust purification
system and replace the old equipment, and during the work, applying of wet
working method and workplace ventilation is required.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exposed during asphalt road pavement work have high
concentration level compared with atmospheric pollution concentration,
requiring special health checkup for road pavement workers and carcinogenic
hazard management such as wearing respiratory protection.
<<연 구 진>>

연 구 기 관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책임자 : 박현희 (연구위원, 직업환경연구실)


공동연구자 : 김종길 (연구위원, 직업환경연구실)
황은송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김기웅 (실 장, 직업환경연구실)
참여연구자 : 박해동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김성호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장공화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노지원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장미연 (연 구 원, 직업환경연구실)

<<연 구 기 간>>
2017. 1. 1 ~ 2017. 11. 30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개인적 견해
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다를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

건설업 공종별 발암성 물질 등 사용실태 및 관리방안


2017-연구원-1061

발 행 일 : 2017년 11월 30일


발 행 인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 김장호
연 구 책 임 자 : 직업환경연구실 연구위원 박현희
발 행 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주 소 : (44429)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0
전 화 : (052) 7030-907
F A X : (052) 7030-337
H o m e p a g e : http://oshri.kosh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