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S1

안녕하십니까, 5월 세미나 E조, “Fly with JYP Nation POP-UP Store Project” 기획안의 발표를 맡은
~~입니다.

S2

발표는 1장에서 JYP 기업 소개, 2장에서 팝업 스토어 프로젝트의 기획안, 3장에서 기대효과 순으로
하겠습니다.

S3

In this chapter, we are going to introduce JYP, the company we choose.

먼저 JYP의 기업 개요입니다. JYP는 1996년에 설립되어 2001년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JYP의 소속 아티스트로는 2PM, Stray Kids, ITZY, TWICE, NMIXX 등이 있고, 소속 아티스트들의 엔터
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MD 제작 및 판매 등이 주요 사업입니다. JYP의 현재 시가총액은 3조 3900
억원으로 코스닥에서 6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이 약 44% 로 높은 편입니다.

S4

다음은 JYP의 매출 구성입니다. 전체 매출액 중에서 음반 및 음원이 5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액 중에서 약 52%가 해외 매출이기 때문에 국내 시장과 해 외 시장
모두, 각 시장에 맞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또한 일본법인의 상반기 순이익률은 37.5% 로 역대 최
대치를 기록하면서 일본 시장에서의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S5

다음은 JYP만의 영업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JYP의 건실한 성장 비결로 전문가들이 언급하는 것


은 ‘한 우물 전략’입니다. 경쟁사들이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 벌어들인 수익으로 코스메틱 사업,
요식업 등 타분야로 진출하는 것과는 달리, JYP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이라는 본업에 충실한 기업입
니다. 이 전략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매출액 증가를 이뤄냈습니다.
S6

이어서 팝업스토어 프로젝트 기획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In the second chapter, we are going to show you the specific plan about our pop-up store.

앞에 보시는 로고는 저희 팀 멤버 앤지가 자체 제작한 로고입니다. JYP 공식 로고 중 하늘색을 사


용하고, JYP 소속 아티스트와 세계로 날아가 보자는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fly with를 접목시켰습
니다.

S7

다음은 팝업스토어 구조도입니다. 총 2층으로 구성했고, 1층은 2층 입장 전 웨이팅 할 수 있는 장


소이자 카페입니다. 이곳에서는 후에 설명드릴 JYP 아티스트와 관련된 음료, 디저트를 판매합니다.
2층은 굿즈샵이자 이벤트 존으로 구성하였습니다.

S8

다음은 2층에서 판매될 굿즈 목록입니다. 굿즈는 크게 의류, 액세서리, 아티스트 굿즈, 기타로 나
뉩니다. 후드티, 운동화, 레깅스, 모자 등 의류 와

반지, 귀걸이, 목걸이, 키링 등 악세사리뿐만 아니라

응원봉, 음반, 인형 등 아티스트 굿즈도 판매하고,

텀블러, 여권지갑, 포토카드 바인더 등 실용적인 물품도 판매합니다.

모두 아티스트와 관련된 디자인으로 제작된 상품으로, FLY WITH JYP NATION 팝업스토어에서만 만
나볼 수 있습니다.

S9

2층에서는 3가지의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첫 번째는 럭키 드로우입니다. 일명 뽑기로, 2층 입장 시


럭키드로우 참여권 1장과 랜덤 포토카드 뽑기권 1장을 제공받습니다. 럭키드로우 이벤트에서는
국가당 1등 1명, 2등 2명, 3등 10명을 추첨합니다. 1등 상품을 뽑은 참여자는 인천공항 왕복 항공
권을 제공받는데, 동반1인까지 가능합니다, 이는 한국 방문을 도모하고 한류에 대한 더 깊은 관심
을 유도하려는 목적입니다. 2등은 밋 앤 그릿 참여권입니다. 밋 앤 그릿은 콘서트 전 개별 팬미팅
으로, 아티스트와 사진도 찍고 담소도 나눌 수 있습니다. 3등에게는 1층 카페의 디저트 교환권을
제공합니다.
S10

두번째는 랜덤 포토카드입니다. 각 그룹별로 뽑기 기계가 나뉘어져 있어 본인이 원하는 아티스트


의 랜덤 포토카드 뽑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S11

세번째로 편지 작성 이벤트입니다. JYP 소속 아티스트에게 편지를 쓸 수 있는 공간으로, 이 곳에


서 쓰여진 편지는 팝업스토어가 종료된 후 아티스트에게 전달됩니다. 팬과 아티스트 간의 간극을
좁히고 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S12

이렇게 저희가 구상한 팝업스토어는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호주 총 4개 국가에서 진행하는 것


으로 가정하였습니다.

S13

먼저 미국을 선정한 이유는, JYP가 미국 음악시장 진출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입니다. JYP는 미국


유니버설 뮤직 산하인 리퍼블릭 레코드와 협업 관계를 맺고, 글로벌 걸그룹 프로젝트인 A2K를 진
행하는 등 긴밀한 비지니스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넓은
소비층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음악 시장의 중심입니다. 따라서 미국이 팝업 스토어 진행에 적합
한 나라라고 생각했습니다.

S14

다음은 일본입니다. 일본은 KPOP 아이돌, 특히 JYP 아티스트들의 수요가 높은 국가입니다. 일본


에서 3차 한류 유행을 견인한 1등 공신은 트와이스이며 그 중 일본 멤버인 모모, 사나, 미나를 빼
놓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일본은 2022년 음반 수출 1 위 국가이기도 한만큼 팝업스토어 진행시 큰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S15

다음은 인도네시아입니다. 인도네시아 또한 최근 한류 열풍이 불고 있으며, 2억 7천만이라는 거대


한 인구를 갖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내 한류의 거점 국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적 수요
가 높은 국가이며, 올해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수교한지 50주년이 되기도 하는 등 한국과 밀접
하게 교류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S16

마지막, 호주입니다. 호주 역시 수많은 한류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한류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국


가입니다. 또한 스트레이키즈 멤버인 방찬, 필릭스가 호주 출신으로 관련도가 깊은 국가라고 판단
하였습니다. 이미 스트레이키즈, 있지 등 JYP 소속 아티스트의 월드 투어가 여러 번 열리기도 하
였습니다.

S17

저희는 국가별 특색을 내세워 국가별로 조금씩 다르게 팝업스토어를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포토존에서 사용될 포토프레임을 국가별 특성을 살려 각각 디자인을 다르게 했습니다. 미국에서
는 Y2K스타일, 일본에서는 하라주쿠 스타일, 인도네시아에서는 교복 컨셉, 호주에서는 풋볼 이미
지를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네컷사진 트렌드처럼 아티스트와 함께 사진을 찍는 기분을 낼 수 있
어 많은 참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S18

다음은 1층에서 판매될 디저트에 관한 설명입니다. 트와이스 알콜 프리 뮤비에 나오는 무알콜 칵


테일을 모티브 삼아, 정연, 나연, 다현이 선정한 메뉴를 골라보았습니다.

S19

다음은 있지의 히트곡 제목에서 모티브를 얻은, 있지 로고가 올려진 케이크입니다. “이 케이크는
달라달라”는 있지의 데뷔곡 달라달라에서 이름을 따온 망고 라즈베리 무스 케이크이고, 두번째 디
저트는 마피아 케이크로 뮤직비디오 속 어둡고 시크한 분위기를 표현한 다크초코 케잌입니다.

S20
마지막은 마라맛 아티스트로 불리는 스트레이키즈의 강렬한 곡, 신메뉴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라
즈베리 초콜릿 타르트입니다. 강렬한 스트레이키즈만의 색깔을 표현하기 위해 라즈베리 퓨레를
사용하였고, 이와 잘 어울리는 가나슈를 매치하여 라즈베리 초코 타르트를 기획하였습니다.

S21

In the last chapter, we anticipated the expected effects of our project.

다음은 기획한 프로젝트의 기대효과입니다.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함으로써 고객들의 많은 참여와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기에 기존의 팝업스토어보다 매출액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팝업스
토어 내에 다른 기업들의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더 큰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고, 다양한 한류
를 홍보하면서 문화적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팬과 연예인이 간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고, 디저트 판매와 포토프레임을 통하여
한류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한류의 확산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S22

마지막으로 기획한 프로젝트의 예상 매출을 산정해보았습니다. 예상 매출은 관련 기사의 내 용을


참고하였고 다음의 여러 가정들을 통해 산정했습니다. 먼저, 팝업스토어의 진행 기간은 2주이고
그 기간 동안의 방문객은 약 3만명으로 가정했습니다. 미국의 팝업스토어와 2023년 5월 26일의
환율을 기준으로 하였고, 방문객 1인당 카페에서 메뉴 1개, 굿즈 1개, 포토 프레 임 1개를 구매한
다고 가정했습니다.

S23

총 매출액을 계산하기에 앞서 방문객이 구매하는 카페 메뉴와 굿즈, 포토 프레임의 가격을 설정


했습니다. 미국에서 스타벅스 카페라떼 1잔의 평균 가격이 3.26달러라는 것과 기존에 진 행된 팝
업스토어에서의 상품 가격을 고려하여, 아티스트 디저트는 10달러, 굿즈는 70달러, 포 토 프레임
은 7달러로 가격을 설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계산한 총 매출액은 2,610,000달러로 한화 약 34억
6천만원입니다. 이 매출액은 방문객이 최소금액으로 소비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책정된 것이므로,
실제로는 계산한 것보다 훨씬 더 큰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24

이상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