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3

2006 알기쉬운

회계실무-익힘문제

2006 알기쉬운 회계실무-익힘문제


저 자 ▌이 형 래
발행인 ▌허 병 관
발행처 ▌도서출판 어울림
편 집 ▌장 보 순
삽 화 ▌인 현 애
펴낸날 ▌

2006년 4월 1판 발행
주 소 ▌서울시 중구 신당2동 432-1 미래빌딩 116호
등 록 ▌제2-4071호
전 화 ▌02-2232-8607, 8602
팩 스 ▌02-2232-8608

I ▌

- 1 -
제1장 기업과 회계

1. 다음의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기업의 경제활동을 기록하고 정리해서 그 동안의 성과와 현재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미
래를 계획하고자 하는 것이 ▢▢ 이다.
⑵ 회계의 기본적인 목적은 ▢▢▢▢ 와 경영성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⑶ 회계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성격별로 회계를 구분해 본다면 크게 둘로 나누어 ▢▢▢▢ 와
관리회계로 나눌 수 있다.
⑷ 주로 기업의 외부에 있는 이해관계자인 외부정보이용자들이 기업에 관해 의사결정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기 위한 회계를 ▢▢▢▢ 라고 하며, 기업의
내부에 있는 이해관계자인 경영자가 경영활동을 위한 의사결정을 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해 주기 위한 회계를 ▢▢▢▢ 라고 한다.
⑸ 각 나라마다 오랫동안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회계실무와 회계이론에서 일반적으로
공정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바를 정리하여 회계처리를 할 때 준수하여야 할 원칙을 마련해
놓고 있는데 이것을 ▢▢▢▢▢ ▢▢▢ ▢▢▢▢ 이라고 한다.
⑹ ▢▢▢▢▢▢ 은 우리 나라 기업의 회계처리 및 보고에 대한 지침을 정해 놓은 것으로 기
업의 이해관계자가 기업에 대하여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회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 답

⑴ 회계, ⑵ 재무상태, ⑶ 재무회계, ⑷ 재무회계, 관리회계, ⑸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⑹ 기업회계기준

2. 아래 문장의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부기란 ▢▢▢▢의 준말로 기업의 경제활동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것에 그치지만, ▢▢는 이
를 기초로 하여 기업의 경제적 활동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까지
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기보다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해 답

장부기입, 회계

- 2 -
제2장 기업의 재무상태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금전적 가치가 있는 물건 또는 권리를 회계에서는 ▢▢ 이라 한다.
⑵ 장래 남에게 돈을 갚아야 할 의무를 회계에서는 ▢▢ 라 한다.
⑶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나머지를 회계에서는 ▢▢ 이라고 하며 본인이 소유하는 순수한
자산이라는 의미로 ▢▢▢ 이라고도 한다.
⑷ 자본등식은 자산-▢▢ =▢▢ 으로 표시한다.
⑸ 대차대조표 등식은 ▢▢ =▢▢ +자본으로 표시한다.
⑹ 회계에서는 왼쪽을 ▢▢ , 오른쪽을 대변이라 한다.
⑺ 외상으로 상품을 판매한 금액을 ▢▢▢▢▢ 이라고 한다.
⑻ 상품을 판매하고 그 대금으로 받은 어음을 ▢▢▢▢ 이라고 한다.

해 답

⑴ 자산, ⑵ 부채, ⑶ 자본, 순자산, ⑷ 부채, 자본, ⑸ 자산, 부채, ⑹ 차변, ⑺ 외상매출금,
⑻ 받을어음

2. 다음 물음에 답하라.
⑴ 성남상회의 200☓년 3월 1일 현재 자산은 5,000만원, 부채는 2,000만원이다. 성남상회의
200☓년 3월 1일의 순자산은 얼마인가?
⑵ 경동상회의 200☓년 10월 1일 현재 부채는 300만원, 자본은 200만원이다. 경동상회의
200☓년 10월 1일의 자산은 얼마인가?
⑶ 동남상회의 200☓년 5월 1일 현재 자산은 700만원, 자본은 200만원이다. 동남상회의 200
☓년 5월 1일 현재의 부채는 얼마인가?

해 답

⑴ 5,000 만원-2,000 만원=3,000 만원


⑵ 300 만원+200 만원=500 만원
⑶ 700 만원-200 만원=500 만원

- 3 -
3. 다음은 오성상사의 대차대조표이다. 안에 알맞은 용어나 금액을 써 넣어라.

대 차 대 조 표

오성상사
(차변) 200☓년 3월 1일 (대변)
자 산 금 액 ( ) 금 액
현 금 ( ) 차입금 ( )
상 품 3,000,000 자본금 8,000,000
건 물 4,000,000
계 ( ) 계 10,000,000

해 답

대차대조표
오성상사
200 ☓년 3 월 1 일
(차변) (대변)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3,000,000) 차 입 금 (2,000,000)
상 품 3,000,000 자 본 금 8,000,000
건 물 4,000,000
계 (10,000,000) 계 10,000,000

4. 다음은 대한상사의 3일간의 자산 ․ 부채 ․ 자본금액을 표시한 표이다. 안에 알맞은 금액


을 써 넣어라.

항목
날짜 자 산 부 채 자 본

3월 2일 3,500,000 2,000,000 ( )
3월 3일 4,000,000 ( ) 1,700,000
3월 4일 ( ) 2,500,000 1,800,000

- 4 -
해 답

항 목
날 짜 자 산 부 채 자 본

3월 2일 3,500,000 2,000,000 (1,500,000)


3월 3일 4,000,000 (2,300,000) 1,700,000
3월 4일 (4,300,000) 2,500,000 1,800,000

5. 경기상점의 200☓년 4월 1일 현재의 자산 및 부채를 조사해 보았더니 다음과 같았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자본금은 각자 계산할 것)
현 금 ― 720,000
W 외상매출금 W
― 430,000 상 품 ―
W 640,000
비 품 ― 540,000
W 외상매입금 W
― 270,000 차입금 ―
W 400,000

해 답

대차대조표
경기상점
200 ☓년 4 월 1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720,000 외상매입금 270,000
외상매출금 430,000 차 입 금 400,000
상 품 640,000 자 본 금 1,660,000
비 품 540,000
계 2,330,000 계 2,330,000

6. 다음의 자료에 입각하여 각 날짜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⑴ 200☓년 10월 1일에 우주상회는 현금 W
― 10,000,000과 건물 W
― 5,000,000을 투자하여 영
업을 개시하였다.
⑵ 200☓년 10월 5일 중고자동차 W
― 1,000,000을 구입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⑶ 200☓년 10월 10일 상품 W
― 1,000,000을 현금으로 구입하였다.
⑷ 200☓년 10월 20일 상품(원가 W
― 400,000)을 ―
W 500,000에 현금으로 판매하였다.
⑸ 200☓년 10월 31일 급여 W
― 4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 5 -
해 답

⑴ 대차대조표
우주상회
200 ☓년 10 월 1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10,000,000 자 본 금 15,000,000
건 물 5,000,000
계 15,000,000 계 15,000,000

⑵ 대차대조표
우주상회
200 ☓년 10 월 5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9,000,000 자 본 금 15,000,000
차량운반구 1,000,000
건 물 5,000,000
계 15,000,000 계 15,000,000

⑶ 대차대조표
우주상회
200 ☓년 10 월 10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8,000,000 자 본 금 15,000,000
상 품 1,000,000
차량운반구 1,000,000
건 물 5,000,000
계 15,000,000 계 15,000,000

⑷ 대차대조표
우주상회
200 ☓년 10 월 20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8,500,000 자 본 금 15,100,000
상 품 600,000
차량운반구 1,000,000
건 물 5,000,000
계 15,100,000 계 15,100,000

- 6 -
⑸ 대차대조표
우주상회
200 ☓년 10 월 31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8,100,000 자 본 금 14,700,000
상 품 600,000
차량운반구 1,000,000
건 물 5,000,000
계 14,700,000 계 14,700,000

제3장 기업의 이익계산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기업의 손익계산방법으로서 ▢▢▢▢ 과 기말자본을 비교하여 기업의 이익을 계산하는 방
법을 ▢▢▢ 이라 한다.
⑵ 기초와 기말의 대차대조표에 의해 이익을 산출하는 ▢▢▢ 에 의해서는 기업이 어떠한 활
동을 통해 이익을 냈는지를 알 수 없다.
⑶ 이익이 어떠한 영업활동에 의해 발생되는지 그 과정과 결과를 동시에 알 수 있는 이익산출
방식을 ▢▢▢ 이라고 한다.
⑷ 손익법에서는 경영활동 중 자본을 증가시키는 활동을 수익활동으로 분류하고 자본을 ▢▢
시키는 활동을 비용활동으로 분류한다.
⑸ 손익법에 의한 이익산출공식은 수익-▢▢ =이익이다.
⑹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자산을 ▢▢ 이라고 하며 이것은 자본을 증가시킨다.
⑺ 수익을 얻기 위해 소비된 자산을 ▢▢ 이라고 하며 이것은 자본을 감소시킨다.
⑻ 예를 들어 5만원 짜리 상품을 7만원에 판매한 경우 수익은 ▢▢▢ 이고 비용은 5만원이며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이익은 ▢▢▢ 이다.
⑼ 회계에서 영업성적을 나타내는 표를 ▢▢▢▢▢ 라고 한다.
⑽ 손익계산서는 총비용+순이익=▢▢▢ 이라는 손익계산서등식에서 도출된다.
⑾ 대차대조표의 순이익과 손익계산서의 순이익은 ▢▢ 한다. 왜냐하면 대차대조표에서 순이
익은 기말자본에서 ▢▢▢▢ 을 뺀 자본의 순증가분이며, 손익계산서에서 순이익은 일정기
간동안 자본의 증가분인 수익에서 자본의 감소분인 ▢▢ 을 뺀 자본의 순증가분이기 때문
이다.

- 7 -
해 답

⑴ 기초자본, 재산법, ⑵ 재산법, ⑶ 손익법, ⑷ 감소, ⑸ 비용, ⑹ 수익, ⑺ 비용,


⑻ 7 만원, 5 만원, 2 만원, ⑼ 손익계산서, ⑽ 총수익, ⑾ 일치, 기초자본, 비용

2. 다음 자료로 월말자본, 월초자본, 순이익을 계산하라.


① 월말자본 ― 300,000,
W 순이익 ―
W 200,000, 월초자본?
② 월말자본 ― 600,000,
W 순손실 ―
W 150,000, 월초자본?
③ 월말자본 ― 400,000,
W 월초자본 W
― 300,000, 당기순이익?

해 답

① 월말자본-순이익=월초자본
₩300,000 - ₩200,000 = ₩100,000
② 월말자본+순손실=월초자본
₩600,000 + ₩150,000 = ₩750,000
③ 월말자본-월초자본=순이익
₩400,000 - ₩300,000 = ₩100,000

3. 성일상점은 현금 W―2,400,000을 투자하여 영업을 개시하고 1년 후에 ―


W450,000의 순이익을
얻었다. 이 때의 자산총액을 ― W4,350,000이라고 하면 부채총액은 얼마인가?

해 답

기말자본=₩2,400,000 +₩450,000 =₩2,850,000


기말부채=기말자산-기말자본=₩4,350,000 -₩2,850,000
=₩1,500,000

4. 다음 표의 공란 ( )의 금액을 계산하라. 단, 순이익란에 표시된 △는 순손실을 나타낸 것임.

기 말 당기순이익 또는
기초자본 수 익 비 용
자 산 부 채 자 본 당기순손실(△)

300,000 ( ) 270,000 ( ) 480,000 330,000 ( )


670,000 995,000 ( ) 813,000 ( ) 492,000 ( )
1,000,000 1,460,000 ( ) ( ) 560,000 690,000 ( )

해 답

기 말 당기순이익 또는
기초자본 수 익 비 용
자 산 부 채 자 본 당기순손실(△)
(450,000)
300,000 (720,000) 270,000 480,000 330,000 (150,000)
813,000
670,000 995,000 (182,000) (635,000) 492,000 (143,000)
1,000,000 1,460,000 (590,000) 560,000 690,000 (△130,000)
(870,000)

- 8 -
5. 한일상점의 3월 31일의 자산 ․ 부채와 3월중에 발생한 수익 ․ 비용은 다음과 같다.

현 금 ―
W 610,000 외상매출금 ― 500,000
W 매 출 W
― 1,000,000
수수료수익 30,000 상 품 308,000 비 품 300,000
외상매입금 340,000 차 입 금 200,000 매 출 원 가 596,000
급 여 190,000 광 고 비 76,000 잡 비 33,200
이자비용 3,800

⑴ 위의 자료로, ① 월말(3월 31일)의 자본금, ② 3월중의 순손익, ③ 월초(3월 1일)의 자본금


을 계산하라.
⑵ 위의 자료로 손익계산서와 3월 31일 현재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해 답

① 기말자산=₩610,000 +₩500,000 +₩308,000 +₩300,000 =₩1,718,000


② 기말부채=₩340,000 +₩200,000 =₩540,000
③ 기말자본=₩1,718,000 -₩540,000 =₩1,178,000
④ 수익=₩1,000,000 +₩30,000 =₩1,030,000
⑤ 비용=₩596,000 +₩190,000 +₩76,000 +₩33,200 +₩3,800 =₩899,000
⑥ 순이익=₩1,030,000 -₩899,000 =₩131,000
⑦ 기초자본=₩1,718,000 -₩131,000 =₩1,047,000

손익계산서
한일상점 3 월 1 일부터 3 월 31 일까지
비 용 금 액 수 익 금 액
매 출 원 가 596,000 매 출 1,000,000
급 료 190,000 수수료수익 30,000
광 고 비 76,000
잡 비 33,200
이 자 비 용 3,800
순 이 익 131,000
계 1,030,000 계 1,030,000

대차대조표
한일상점 3 월 31 일
자 산 금 액 부채와 자본 금 액
현 금 610,000 외상매입금 340,000
외상매출금 500,000 차 입 금 200,000
상 품 308,000 자 본 금 1,178,000
비 품 300,000
계 1,718,000 계 1,718,000

- 9 -
제4장 회계의 기록방법-계정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회계에서는 ▢▢ 와 감소를 양쪽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⑵ 회계의 기록장소를 ▢▢ 이라고 한다.
⑶ 회계의 기록방법은 ▢▢▢▢▢ 와 손익계산서의 기본구조에서 도출된다.
⑷ 자산․부채․자본의 기록방법은 ▢▢▢▢▢ 의 기본구조에서 나온다.
⑸ 계정의 성격 또는 내용을 나타내는 이름(명칭)을 ▢▢▢▢ 이라고 한다.
⑹ 계정의 형식에는 ▢▢▢ 과 ▢▢▢ 이 있다.
⑺ 자산의 증가는 차변, 감소는 ▢▢ 에 기록한다.
⑻ 부채의 증가는 ▢▢ , 감소는 차변에 기록한다.
⑼ 자본의 증가는 ▢▢ , 감소는 ▢▢ 에 기록한다.
⑽ 수익․비용의 기록법칙은 ▢▢▢▢▢ 의 작성원칙에서 나온다.
⑾ 수익의 증가는 대변, 감소는 ▢▢ 에 기록한다.
⑿ 비용의 증가는 ▢▢ , 감소는 ▢▢ 에 기록한다.

해 답

⑴ 증가, ⑵ 계정, ⑶ 대차대조표, ⑷ 대차대조표, ⑸ 계정과목, ⑹ 표준식, 잔액식, ⑺ 대변,


⑻ 대변, ⑼ 대변, 차변, ⑽ 손익계산서, ⑾ 차변, ⑿ 차변, 대변

2. 아래 표의 에 들어갈 용어를 써넣어라.

자산계정
대차대조표계정 부채계정
① 계정
계 정
③ 계정
② 계정
비용계정

해 답

① 자본, ② 손익계산서, ③ 수익

․ 어느 쪽에 증가액이 기입되는가?
3. 다음의 계정과목은 대차
⑴ 은행예 금 ( ) ⑸ 외상매입금 ( ) ⑼ 미 수 금 ( )
⑵ 자 본 금 ( ) ⑹ 대 여 금 ( ) ⑽ 이자비용 ( )
⑶ 외상매출금 ( ) ⑺ 상 품 ( )
⑷ 보 험 료 ( ) ⑻ 급 여 ( )

- 10 -
해 답

⑴ 차 ⑵ 대 ⑶ 차 ⑷ 차 ⑸ 대 ⑹ 차 ⑺ 차 ⑻ 차 ⑼ 차 ⑽ 차

4. 다음의 계정기입은 증가 ․ 감소 중 어느 것인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120,000 80,000

(차변) (대변) (차변) (대변)


1,500,000 400,000

(차변) (대변) (차변) (대변)


50,000 600,000

해 답

차 입 금 : 감 소, 비 품 : 증 가, 자본금 : 증 가
이자수익 : 증 가, 급 료 : 증 가, 건 물 : 증 가

- 11 -
제5장 회계의 기록대상-거래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회계기록의 대상은 ▢▢ 이다.
⑵ 회계상의 거래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첫째 자산․부채․자본의 ▢▢ 을 초래하고, 둘째 그
것을 ▢▢ 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⑶ 모든 거래는 원인과 ▢▢ 라고 하는 두 개의 얼굴을 동시에 가지는데, 이것을 회계에서는
거래의 ▢▢▢ 이라고 한다.
⑷ 복식부기는 거래의 ▢▢ 을 계정기록의 법칙에 따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다.
⑸ 회계에서는 ▢▢ 와 감소를 양쪽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⑹ 거래의 8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자산의 증가 5) ▢▢▢ ▢▢
2) 자산의 감소 6) 자산의 증가
3) 부채의 감소 7) 비용의 발생
4) ▢▢▢ ▢▢ 8) ▢▢▢ ▢▢
⑺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하다’라는 거래는 자산의 증가라는 차변요소와 ▢▢▢ ▢▢라는
대변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거래이다.

해 답

⑴ 거래, ⑵ 변동, 금액, ⑶ 결과, 이중성, ⑷ 양면, ⑸ 증가, ⑹ 비용의 발생, 자산의 감소, 수익의 발생,
⑺ 부채의 증가

2. 다음 항목 중 회계상의 거래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면?


⑴ 거래처로부터 상품 ―
W 300,000의 주문을 받다.
⑵ 한양상점에 상품 W
― 200,000을 외상으로 판매하다.
⑶ 종업원에게 급료 W
― 12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⑷ 상품 W
― 50,000을 도난당하다.
⑸ 월말에 상품 W
― 200,000을 판매하기로 계약을 맺다.
⑹ 건물의 임차계약을 맺고, 계약금 W
― 30,000을 지급하다.
⑺ 종업원이 회사의 현금 ―
W 1,000,000을 분실하다.
⑻ 은행에 저축한 예금에 이자가 W
― 50,000이 늘어나 통장에 자동으로 입금되다.
⑼ 월 급여 ―
W 800,000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종업원을 채용하다.
⑽ 상품 W
― 1,000,000을 소유하고 있는 기계와 교환하다.
해 답

⑵, ⑶, ⑷, ⑹, ⑺, ⑻, ⑽

3. 상품 ―
W500,000을 외상으로 구입하였다. 이 거래를 분해해 본다면 아래 그림과 같다.

- 12 -
안에 알맞은 용어를 기재하면?

▢▢ 의 구입 ▢▢▢▢▢ 의 발생

자산의 증가 ▢▢ 의 증가
500,000 500,000
( 차 변) (대 변)

해 답

상품, 외상매입금, 부채

4. 다음 거래의 결합관계를 차변요소와 대변요소로 구분하여 표시하라.


⑴ 광고비 ―
W 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⑵ 매입가액 ―
W 15,000의 상품을 ―
W 18,000에 매출하고, 대금을 월말에 받기로 하다.
⑶ 외상매입금 W
― 6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⑷ 차입금 W
― 150,000과 이에 대한 이자 W
― 3,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⑸ 상품 W
― 90,000을 외상으로 매입하다.
⑹ 수수료 W
― 40,000을 현금으로 받다.
⑺ 현금 W
― 1,000,000을 출자하여 회사를 설립하다.
⑻ 상품 W
― 200,000을 현금으로 매입하다.
⑼ 상품 W
― 150,000을 매입하고, W
― 100,000은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 W
― 50, 000은 외상으
로 하다.
⑽ 책상․타자기 등 비품 W
― 100,000을 구입하고, 대금은 외상으로 하다.
⑾ 외상매출금 W
― 18,000을 현금으로 받다.
⑿ 은행으로부터 현금 W
― 200,000을 차입하다.

- 13 -
해 답

⑴ 광고비( 비용) ₩50,000 의 발생 현금(자산) ₩50,000 의 감소


⑵ 외상매출금( 자산) ₩18,000 의 증가 매출(수익) ₩18,000 의 발생
매출원가(비용) ₩15,000 의 발생 상품( 자산) ₩15,000 의 감소
⑶ 외상매입금( 부채) ₩60,000 의 감소 현금(자산) ₩60,000 의 감소
⑷ 차입금( 부채) ₩150,000 의 감소 현금(자산) ₩153,000 의 감소
이자비용(비용) ₩3,000 의 발생
⑸ 상품( 자산) ₩90,000 의 증가 외상매입금(부채) ₩90,000 의 증가
⑹ 현금( 자산) ₩40,000 의 증가 수수료수익(수익) ₩40,000 의 증가
⑺ 현금( 자산) ₩1,000,000 의 증가 자본금( 자본) ₩1,000,000 의 증가
⑻ 상품( 자산) ₩200,000 의 증가 현금(자산) ₩200,000 의 감소
⑼ 상품( 자산) ₩150,000 의 증가 현금(자산) ₩100,000 의 감소
외상매입금(부채) ₩50,000 의 증가
⑽ 비품( 자산) ₩100,000 의 증가 미지급금(부채) ₩100,000 의 증가
⑾ 현금( 자산) ₩18,000 의 증가 외상매출금(자산) ₩18,000 의 감소
⑿ 현금( 자산) ₩200,000 의 증가 차입금(부채) ₩200,000 의 증가

5. 다음 거래를 교환거래, 손익거래 및 혼합거래로 구별하라.


⑴ 매입가액 ―
W 80,000의 상품을 W
― 90,000에 외상으로 매출하다.
⑵ 은행에 현금 W
― 160,000을 당좌예금하다.
⑶ 종업원에 대한 급료 ―
W 1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⑷ 은행으로부터 현금 W
― 300,000을 차입하다.
⑸ 대여금 W
― 200,000과 이자 W
― 6,000을 현금으로 받다.
⑹ 은행으로부터의 차입금 ―
W 300,000을 현금으로 갚고, 이자 W
― 20,000도 현금으로 지급하
다.
⑺ 외상매출금 W
― 90,000을 현금으로 받다.
⑻ 은행으로부터 예금이자 ―
W 10,000을 현금으로 받다.

해 답

교환거래 : ⑵, ⑷, ⑺
손익거래 : ⑶, ⑻
혼합거래 : ⑴, ⑸, ⑹

- 14 -
제6장 회계의 기록-분개와 전기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분개란 회계상 거래를 거래의 이중성에 따라 차변과 ▢▢ 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것이다.
⑵ 거래를 계정에 기입하기 전에 미리 기입하여야 할 차변 및 대변의 ▢▢▢▢ 과 금액을 결
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절차를 ▢▢ 라 한다. 그리고 거래의 발생순서에 따라 분개를 기입
하는 장부를 ▢▢▢ 이라 한다.
⑶ 전기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차변, 대변의 각 계정과목별로 해당 ▢▢ 을 찾는다.
2단계: 분개내용에 따라 해당계정의 차변, ▢▢ 에 금액을 기록한다.
3단계: 상대편 ▢▢▢▢ 을 기록한다.
⑷ 거래의 내용을 계정별로 기록하기 위하여 계정이 한데 모아져 있는 장부를 ▢▢▢▢▢ 또
는 ▢▢ 이라 한다.
⑸ 분개장의 차변에 기입된 현금계정의 금액은 총계정원장에 있는 현금계정의 ▢ 변란에 전기
하고, 분개장의 대변에 기입된 자본금계정의 금액은 총계정원장에 있는 자본금계정의 ▢
변란에 전기한다.
⑹ 분개장과 총계정원장은 모든 거래를 빠짐없이 기록하는 중요한 장부라는 의미에서 ▢▢▢
라고 한다.

해 답

⑴ 대변, ⑵ 계정과목, 분개, 분개장, ⑶ 계정, 대변, 계정과목, ⑷ 총계정원장, 원장, ⑸ 차, 대,


⑹ 주요부

2. 다음 거래의 분개를 완성하여라.

⑴ 차입금 ―
W 800,000과 이에 대한 이자 ―
W 2,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 ( ) 8000,000 (대) 현 금 ( )


이자비용 ( )

⑵ 원가 W
― 150,000의 상품을 ―
W 200,000에 매출하고, 상품대금은 월말에 받기로 하다.

(차) 외상매출금 ( ) (대) 매 출 200,000


( ) ( ) 상 품 ( )

⑶ 대여금 ―
W 300,000과 이에 대한 이자 ―
W 20,000을 현금으로 받다.

(차) 현 금 ( ) (대) 현 금 300,000


이자수익 ( )

⑷ 현금 W
― 2,000,000을 출자하여 문구점을 개업하다.

- 15 -
2,000,00
(차) 현 금 ( ) (대) ( )
0

해 답

⑴ 차입금, 802,000, 2,000, ⑵ 200,000, 매출원가, 150,000, 150,000,


⑶ 320,000, 대여금, 20,000, ⑷ 2,000,000, 자본금

3. 다음 분개를 보고 어떤 거래가 이루어진 것인지 추정하여라.


⑴ (차 ) 현 금 1,800,000 (대 ) 자 본 금 1,800,000
⑵ (차 ) 상 품 800,000 (대 ) 현 금 350,000
외상매입금 450,000
⑶ (차) 외상매출금 540,000 (대 ) 매 출 540,000
(차 ) 매 출 원 가 480,000 (대 ) 상 품 480,000
⑷ (차 ) 현 금 500,000 (대) 외상매출금 500,000

해 답

⑴ 현금 ₩1,800,000 을 출자하여 개업하다.


⑵ 상품 ₩800,000 을 현금 ₩350,000, 외상매입금 ₩450,000 에 구입하다.
⑶ 상품( 원가 ₩480,000)을 ₩540,000 에 외상으로 판매하다.
⑷ 외상매출금 ₩500,000 을 현금으로 받다.

4.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3월 1일 현금 W
― 2,000,000과 차입금 W
― 500,000으로 운동구점을 개업하다.
5일 제일상점에서 상품 W
― 1,500,000을 매입하고, 대금 중 반은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
지는 외상으로 하다.
10일 항구상점에 매입가액 W
― 1,100,000의 상품을 ―
W 1,300,000에 외상으로 판매하다.
12일 3월분 임차료 W
― 10,000과 차입금에 대한 이자 W
― 5,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15일 항구상점으로부터 외상매출금중 W
― 850,000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17일 제일상점에 외상매입금 ―
W 7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20일 현금 ―
W 100,000을 강남은행에 정기예금을 하다.
22일 제일상점에서 상품 W
― 500,000을 현금으로 매입하다.
25일 서일 상점에서 매입가액 ―
W 400,000의 상품을 W
― 420,000에 판매하고 대금은 현금으
로 받다.
27일 신문광고비 W
― 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30일 3월분 급료 W
― 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31일 은행으로부터 정기예금이자 W
― 1,000을 현금으로 받다.

- 16 -
해 답

3 ∕1 (차) 현 금 2,500,000 ( 대) 자 본 금 2,000,000


차 입 금 500,000
3 ∕5 (차) 상 품 1,500,000 ( 대) 현 금 750,000
외상매입금 750,000
3 ∕10 (차) 외상매출금 1,300,000 ( 대) 매 출 1,300,000
매출 원가 1,100,000 상 품 1,100,000
3 ∕12 (차) 임 차 료 10,000 ( 대) 현 금 15,000
이자 비용 5,000
3 ∕15 (차) 현 금 850,000 ( 대) 외상매출금 850,000
3 ∕17 (차) 외상매입금 750,000 ( 대) 현 금 750,000
3 ∕20 (차) 예 금 100,000 ( 대) 현 금 100,000
3 ∕22 (차) 상 품 500,000 ( 대) 현 금 500,000
3 ∕25 (차) 현 금 420,000 ( 대) 매 출 420,000
매출 원가 400,000 상 품 400,000
3 ∕27 (차) 광 고 비 50,000 ( 대) 현 금 50,000
3 ∕30 (차) 급 료 50,000 ( 대) 현 금 50,000
3 ∕31 (차) 현 금 1,000 ( 대) 이 자 수 익 1,000

5. 다음 계정계좌에 기입된 내용에 의하여 번호순으로 거래를 추정하라.

(차변) (대변) (차변) (대변)


⑴ 5,000 ⑷ 400 ⑹ 3,000 ⑵ 3,000
⑶ 1,500 ⑸ 2,000 ⑸ 1,000
⑹ 3,000

(차변) (대변) (차변) (대변)


⑵ 3,000 ⑶ 1,000 ⑴ 5,000
⑸ 3,000

(차변) (대변) (차변) (대변)


⑷ 400 ⑶ 1,500

(차변) (대변)
⑶ 1,000

해 답

⑴ (차) 현 금 5,000 ( 대) 자 본 금 5,000


현금 ₩5,000 을 출자하여 개업하다.
⑵ (차) 상 품 3,000 ( 대) 외상매입금 3,000
상품 ₩3,000 을 외상으로 매입하다.

- 17 -
⑶ (차) 현 금 1,500 ( 대) 매 출 1,500
매출 원가 1,000 상 품 1,000
매입가액 ₩1,000 의 상품을 ₩1,500 에 현금으로 판매하다.
⑷ (차) 보 험 료 400 ( 대) 현 금 400
보험료 ₩400 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⑸ (차) 상 품 3,000 ( 대) 현 금 2,000
외상매입금 1,000
상품 ₩3,000 을 현금 ₩2,000, 외상매입금 ₩1,000 에 매입하다.
⑹ (차) 외상매입금 3,000 ( 대) 현 금 3,000
외상매입금 ₩3,000 을 현금으로 갚다.

- 18 -
제7장 시산표와 정산표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대차평균의 원리를 이용하여 총계정원장에의 전기가 정확하게 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
여 작성하는 표를 ▢▢▢ 라고 하며, 이에는 ▢▢▢▢▢ , ▢▢▢▢▢ , ▢▢▢▢▢▢▢ 의
세 가지가 있다.
⑵ 잔액시산표의 금액을 토대로 하여 ▢▢▢▢▢ 와 ▢▢▢▢▢ 를 작성하는 과정을 하나의
표로 나타낸 것을 ▢▢▢ 라 한다.
⑶ 잔액시산표의 내용을 나타내는 등식은 ▢▢+▢▢=▢▢+▢▢+▢▢ 이다.
⑷ 정산표에서는 당기순이익을 손익계산서란의 ▢▢ 과 대차대조표란의 ▢▢ 에 기입한다.
⑸ 현금계정의 차변합계액이 ― ― 2,250,000이면, 잔액시산표의 ▢
W 3,250,000, 대변합계액이 W
▢▢ 에 ₩▢,▢▢▢,▢▢▢ 으로 기입한다.
⑹ 시산표란 원장에 있는 모든 계정의 차변금액과 ▢▢ 금액을 한 곳에 모아 정리한 표이다.
⑺ 합계시산표는 모든 계정의 ▢▢ 과 대변 합계액을 모아서 정리한 표이다.
⑻ 잔액시산표는 모든 계정의 차변잔액과 ▢▢▢▢ 을 모아서 정리한 표이다.
⑼ 정산표의 작성을 보면 먼저 ▢▢▢▢▢ 란을 제일 왼쪽에 기입하고, 둘째 잔액시산표란의
수익․비용계정은 ▢▢▢▢▢ 란에 기입하고, 자산․부채․자본계정은 ▢▢▢▢▢ 란에 기입한
다.

해 답

⑴ 시산표, 합계시산표, 잔액시산표, 합계잔액시산표, ⑵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정산표, ⑶ 자산+비용=부


채+자본+수익, ⑷ 차변, 대변, ⑸ 차변란, 1,000,000, ⑹ 대변, ⑺ 차변, ⑻ 대변잔액 ⑼ 잔액시산표, 손익
계산서, 대차대조표

2. 다음 계정기록을 토대로 하여 합계잔액시산표를 작성하라.

- 19 -
300,000 350,000 2,000,000 2,800,000
700,000 350,000 1,800,000
500,000 800,000
1,000,000 500,000

600,000 1,000,000
1,500,000 1,000,000
500,000 800,000
600,000

300,000 1,300,000 3,000,000 2,900,000


2,000,000 1,900,000

500,000

해 답

합계잔액시산표

차 변 대 변
계 정 과 목
잔 액 합 계 합 계 잔 액
500,000 2,500,000 현 금 2,000,000
1,000,000 3,800,000 상 품 2,800,000
2,600,000 외 상 매 입 금 3,400,000 800,000
300,000 자 본 금 1,300,000 1,000,000
매 출 5,000,000 5,000,000
4,800,000 4,800,000 매 출 원 가
500,000 500,000 보 험 료
6,800,000 14,500,000 14,500,000 6,800,000

3. 한일상점은 기말에 잔액시산표를 작성하였다. 그러나 다음에 보는 바와 같이 차변합계액과


대변합계액이 일치하지 않는다. 잔액시산표의 틀린 것을 고쳐서 완성하라. 단, 계정의 금액은
맞는 것으로 한다.

잔 액 시 산 표
20××년 12월 31일

- 20 -
차 변 계정과목 대 변
1,575,000 현 금
외 상매 출금 850,000
상 품 1,650,000
1,300,000 비 품
1,175,000 외 상매입 금
1,000,000 차 입 금
자 본 금 3,000,000
5,000,000 매 출
매 출 원 가 4,395,000
임 차 료 240,000
급 료 135,000
이 자 비 용 30,000
10,050,000 계 10,300,000

해 답

잔액시산표

차 변 계 정 과 목 대 변
1,575,000 현 금
850,000 외 상 매 출 금
1,650,000 상 품
1,300,000 비 품
외 상 매 입 금 1,175,000
차 입 금 1,000,000
자 본 금 3,000,000
매 출 5,000,000
4,395,000 매 출 원 가
240,000 임 차 료
135,000 급 료
30,000 이 자 비 용
10,175,000 계 10,175,000

- 21 -
4. 다음 계정기록을 자료로 하여 잔액시산표를 작성하라.

⑴ ⑵ ⑶
178,00 212,00 454,00
0 0 0

⑷ ⑸ ⑹
120,00 170,00 240,00
0 0 0

⑺ ⑻ ⑼
500,00 800,00 692,00
0 0 0


464,00 ⑾
0 8,000

해 답

잔액시산표
차 변 원면 계 정 과 목 대 변
178,000 1 현 금
212,000 2 외 상 매 출 금
454,000 3 상 품
120,000 4 비 품
5 외 상 매 입 금 170,000
6 차 입 금 240,000
7 자 본 금 500,000
8 매 출 800,000
692,000 9 매 출 원 가
46,000 10 급 료
8,000 11 잡 비
1,710,000 계 1,710,000

- 22 -
5. 다음 정산표를 완성하여라.
정 산 표

잔액시산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계정과목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현 금 500,000
외상매출금 400,000
상 품 1,250,000
비 품 400,000
외상매입금 300,000
차 입 금 200,000
자 본 금 2,000,000
매 출 750,000
매 출 원 가 500,000
이 자 수 익 50,000
급 료 200,000
잡 비 30,000
이 자 비 용 20,000
당 기순이익
3,300,000 3,300,000

해 답

정 산 표
잔액시산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계정과목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금 500,000 500,000
외 상 매 출 금 400,000 400,000
상 품 1,250,000 1,250,000
비 품 400,000 400,000
외 상 매 입 금 300,000 300,000
차 입 금 200,000 200,000
자 본 금 2,000,000 2,000,000
매 출 750,000 750,000
매 출 원 가 500,000 500,000
이 자 수 익 50,000 50,000
급 료 200,000 200,000
잡 비 30,000 30,000
이 자 비 용 20,000 20,000
당 기 순 이 익 50,000 50,000
3,300,000 3,300,000 800,000 800,000 2,550,000 2,550,000

- 23 -
제8장 결산

1. 다음의 결산수정분개 내용으로부터 결산수정사항이 무엇인지 추정하라.


⑴ (차 ) 미 수 이 자 100,000 (대 ) 이 자 수 익 100,000
⑵ (차 ) 감 가 상 각 비 500,000 (대) 감가상각누계액 500,000
⑶ (차 ) 매 입 200,000 (대 ) 이 월 상 품 200,000
이 월 상 품 300,000 매 입 300,000
⑷ (차 ) 선 급 보 험 료 50,000 (대 ) 보 험 료 50,000

해 답

⑴ 이자수익 중 미수이자 ₩100,000 을 계상하다.


⑵ 감가상각비 ₩500,000 을 계상하다.
⑶ 기초상품재고액 ₩200,000, 기말상품재고액 ₩300,000 인 상황을 결산정리하다.
⑷ 보험료 중 선급분 ₩50,000 을 계상하다.

2. 다음 결산정리사항에 대하여 결산정리분개를 하라.


⑴ 상품의 기말재고액
갑상품 100개 @W
― 8,000 W 800,000

을상품 150개 @W
― 6,000 ― 900,000

병상품 200개 @W
― 1,500 ― 300,000

― 2,000,0

00

상품의 기초재고액
갑상품 80개 @W
― 7,000 ― 560,000

을상품 100개 @W
― 5,000 W 500,000

병상품 250개 @W
― 1,000 ― 150,000

― 1,210,00

0

⑵ 비품의 감가상각비는 W
― 1,000,000이다.
⑶ 광고비 중 이번 기의 미지급분이 W
― 400,000이 있다.
⑷ 건물집세는 1년에 ―
W 200,000이나 자금의 여유가 있어 차기분까지 W
― 400,000을 미리 지급
한 상태에 있다.

해 답

⑴ (차) 매 입 1,210,000 ( 대) 이월상품 1,210,000


이월상품 2,000,000 매 입 2,000,000
⑵ (차) 감가상각비 1,000,000 ( 대) 감가상각누계액 1,000,000
⑶ (차) 광고비 400,000 ( 대) 미지급광고비 400,000
⑷ (차) 선급임차료 200,000 ( 대) 임 차 료 200,000

- 24 -
3. 다음은 3분법에 의한 이월상품, 매입, 매출계정이다. 아직 결산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
다. 기말상품재고액이 W
―350,000이라면 기말수정분개는? 그리고 기말수정분개를 전기하라.
또 매출원가와 매출총이익은 얼마인가?

300,000 1,700,000 2,400,000

해 답

⑴ 매출원가
매출원가=₩300,000 +1,700,000 -350,000 =₩1,650,000
⑵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2,400,000 -1,650,000 =₩750,000
⑶ 기말수정분개
(차) 매 입 300,000 ( 대) 이월 상품 300,000
이월상품 350,000 매 입 350,000

4. 다음의 결산수정사항을 토대로 아래의 정산표를 완성하라.


⑴ 기말상품재고액 ―
W 2,000 ⑵ 건물감가상각비 ― 600

⑶ 비품감가상각비 ―
W 300 ⑷ 이자 미수분 ― 50

⑸ 잡비 미지급분 ―
W 50 ⑹ 보험료 미경과분 ― 50

- 25 -
시 산 표 결 산 수 정 기 입 손 익 계 산 서 대 차 대 조 표
계 정 과 목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현 금 300
당 좌 예 금 3,000
받 을 어 음 4,000
외 상 매 출 금 2,000
이 월 상 품 1,000
비 품 3,000
건 물 6,000
지 급 어 음 5,000
자 본 금 10,000
매 입 27,000
급 료 1,450
이 자 비 용 200
보 험 료 100
잡 비 250
매 출 33,000
이 자 수 익 300
48,300 48,300

해 답

1. 결산수정분개
⑴ (차) 매 입 1,000 ( 대) 이 월 상 품 1,000
이월 상품 2,000 매 입 2,000
⑵ (차) 감가상각비 600 ( 대) 감가상각누계액-건물 600
⑶ (차) 감가상각비 300 ( 대) 감가상각누계액-비품 300
⑷ (차) 미 수 이 자 50 ( 대) 이 자 수 익 50
⑸ (차) 잡 비 50 ( 대) 미지급 비용 50
⑹ (차) 선급보험료 50 ( 대) 보 험 료 50

- 26 -
2. 정산표의 작성
정 산 표
시산표 수정기입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계정과목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차변 대변
현 금 300 300
당 좌 예 금 3,000 3,000
받 을 어 음 4,000 4,000
외 상 매 출 금 2,000 2,000
이 월 상 품 1,000 2,000 1,000 2,000
비 품 3,000 3,000
건 물 6,000 6,000
지 급 어 음 5,000 5,000
자 본 금 10,000 10,000
매 출 33,000 33,000
이 자 수 익 300 50 350
매 입 27,000 1,000 2,000 26,000
급 료 1,450 1,450
이 자 비 용 200 200
보 험 료 100 50 50
잡 비 250 50 300
48,300 48,300

∣ ∣
600 600
감 가 상 각 비 900
300 300
감가누계액 - 건물 600
감가누계액 - 비품 300 50
미 수 이 자 50
미 지 급 비 용 50 50
선 급 보 험 료 50 50
당 기 순 이 익 4,450 4,450
4,050 4,050 33,350 33,350 20,400 20,400

5. 다음 안에 알맞은 용어를 써 넣어라.


⑴ 결산이란 일정기간의 활동결과를 요약․정리하는 것으로서 기업에서는 이러한 결산을 통해
일정기간의 ▢▢▢▢ 를 나타내는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고, 동시에 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 를 작성한다.
⑵ 손익계산서계정인 수익과 비용계정은 별도로 ▢▢ 계정을 설정하여 마감한다.
⑶ 수익․비용계정을 마감하기 위한 결산분개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비용계정의 ▢▢ 계정 대체
(차 ) ▢ ▢ ××× (대) 비용항목 ×××
② 수익계정의 손익계정 대체
(차) 수익항목 ××× (대 ) ▢ ▢ ×××

- 27 -
③ 순이익의 ▢▢▢ 계정 대체
(차 ) 손 익 ××× (대 ) ▢ ▢ ▢ ×××
⑷ 대차대조표계정인 자산․부채․자본계정의 마감은 결산일에 잔액이 생긴 해당계정의 반대편
에 그 잔액과 동일한 금액으로 ▢▢▢▢ 이라 표시하여 대차합계를 일치시키고 마감한 후,
차기의 영업개시일에 원래 잔액이 생긴 변에 전기이월이라 표시하고 동일한 금액을 기록
하면 된다.

해 답

⑴ 경영성과, 대차대조표, ⑵ 손익, ⑶ ① 손익, 손익, ② 손익, ③ 자본금, 자본금, ⑷ 차기이월

6. 다음 ( ) 안에 결산의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써 넣어라.


⑴ ( ) 수익․비용의 각 계정과 손익계정을 마감한다.
⑵ ( ) 자산․부채․자본의 각 계정을 마감한다.
⑶ ( ) 시산표를 작성한다.
⑷ ( ) 이월시산표를 작성한다.
⑸ ( ) 손익계산서․대차대조표를 작성한다.
⑹ ( ) 수익․비용의 각 계정 잔액을 손익계정에 대체한다.
⑺ ( ) 순손익을 자본금계정에 대체한다.

해 답

⑴-4, ⑵-5, ⑶-1, ⑷-6, ⑸-7, ⑹-2, ⑺-3

7. 다음 거래를 대체분개하라.
⑴ 매출 W
― 350,000을 손익계정에 대체하다.
⑵ 급료 W
― 230,000, 광고료 ―
W 50,000을 손익계정에 대체하다.
⑶ 당기순이익 W
― 70,000을 자본금계정에 대체하다.

해 답

⑴ (차) 매 출 350,000 ( 대) 손 익 350,000


⑵ (차) 손 익 280,000 ( 대) 급 료 230,000
광고료 50,000
⑶ (차) 손 익 70,000 ( 대) 자본금 70,000

- 28 -
제9장 전표에 의한 회계처리

1. 다음 안에 알맞은 용어를 써 넣어라.


(1) 거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입증해 줄 수 있는 서류를 ▢▢▢▢라고 한다.
(2) 회사에서 일어나는 거래를 하나 하나 일정한 방법으로 분개를 하여 기록하는 종이쪽지를
▢▢라고 한다.
(3) 기업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현금을 기준으로 나눈다면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로 기업으로 현금이 들어오는 거래가 있다. 이것을 ▢▢거래라고 하고 기업에서 현금이 나
가는 거래를 ▢▢거래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현금이 들어오지도 않고 나가지도 않는 거래
를 ▢▢거래라고 한다.
(4) 전표에서는 거래를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입금거래는 ▢▢전표에, 출금거래는 ▢▢전표
에, 대체거래는 ▢▢전표에 기록한다.
(5) 입금전표라는 제목 자체가 차변이 ▢▢계정임으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차변의 ▢▢계
정은 기록하지 않고 대변의 상대계정만을 기록한다. 실무에서는 입금전표를 ▢▢색으로
인쇄하여 색깔로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6) ▢▢는 단순한 거래의 기록뿐만 아니라 그 거래가 권한이 있는 사람들이 검토하고 승인했
음을 나타내는 문서이자 증거로서의 역할을 하고 거래의 발생사실을 기업 내부의 다른 곳
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7) 출금전표라는 제목 자체가 ▢변이 ▢▢계정임으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변의 ▢▢계
정은 기록하지 않고 차변의 상대계정만을 기록한다. 실무에서는 출금전표를 ▢▢색으로
인쇄하여 색깔로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해 답

⑴ 증빙서류, ⑵ 전표, ⑶ 입금, 출금, 대체, ⑷ 입금, 출금, 대체 , ⑸ 현금, 현금, 빨간, ⑹ 전표, ⑺ 대,
현금, 대, 현금, 파란

2. 다음 거래를 기입할 전표를 결정하고 기입하라.


(1) 7월 5일 상품을 현금 2,000,000원을 주고 매입하다.
(2) 7월 10일 상품을 1,500,000원에 현금으로 매출하다.
(3) 7월 23일 받을어음 500,000원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4) 7월 24일 비품을 400,000원에 현금을 지급하고 구입하다.
(5) 7월 28일 급여 1,000,000원을 현금을 지급하다.

입금전표 입금전표
월 일 월 일
과목 항목 과목 항목

- 29 -
출금전표 출금전표
월 일 월 일
과목 항목 과목 항목

출금전표
월 일
과목 항목

해 답

입금전표 입금전표
7월 10일 7월 23일
과목 매 출 항목 과목 받을어음 항목
상품을 현금매출하다. 1,500,000 받을어음을 현금회수하다. 500,000

출금전표 출금전표
7월 5일 7월 24일
과목 매출원가 항목 과목 비품 항목
상품 매입 2,000,000 비품 구입 400,000

출금전표
7월 28일
과목 급여 항목
급여 지급 500,000

3. 다음 안에 알맞은 용어를 써 넣어라.


각 계정의 세부적인 내역이나 기업관리를 위해 세부적인 내용을 기록하는 장부를 ▢▢▢라고 한
다. ▢▢▢는 다시 각 계정의 세부적인 내역을 기록하는 ▢▢▢▢과 각 계정의 특정한 사항에
대한 세부적인 내역을 기입하는 ▢▢▢▢▢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해 답

보조부, 보조부, 보조원장, 보조기입장

- 30 -
제10장 재무제표의 구조와 기업의 활동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1) ▢▢▢▢ 란 재무에 관한 모든 보고서를 말하는 것으로 기업의 재무상태나 영업성과를 나
타내는 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를 총칭하는 말이다.
(2) 자산은 ▢▢▢ 이 높은 순서대로 배열한다.
(3) 자산은 대차대조표일 이후 ▢ 년을 기준으로 현금화되거나 소비될 것으로 예측되느냐, 그
렇지 않느냐에 따라 크게 나누어 ▢▢▢▢ 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된다.
(4) ▢▢▢▢ 은 형태가 없는 자산이기는 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5) 부채는 대차대조표일을 기준으로 만기가 1년 내인 부채인 ▢▢▢▢ 와 만기가 1년 이상인
부채인 ▢▢▢▢ 로 분류된다.
(6)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 ,▢▢▢▢ , 으로 분류된다.
(7) ▢▢ 란 재무제표상의 해당과목 다음에 그 회계사실의 내용을 간단한 자구 또는 숫자로 괄
호 안에 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8) ▢▢ 이란 재무제표상의 해당과목이나 금액에 번호를 붙이고 재무제표란 외나 별지에 동
일한 번호를 붙여 그와 관련된 보충적인 정보를 간략히 표시해 주는 것이다.

해 답

⑴ 재무제표, (2) 유동성, (3) 1, 유동자산, (4) 무형자산, (5) 유동부채, 고정부채, (6)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7) 주기, (8) 주석

2.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대차대조표
자산 부채와 자본
3.부채
1.유동자산
(1)유동부채
(1)▢▢자산
(2)▢▢부채
(2)재고자산
4.자본
2.▢▢자산
(1)▢▢▢
(1)투자자산
(2)▢▢잉여금
(2)▢▢자산
(3)이익잉여금
(3)무형자산
(4)▢▢▢▢

해 답

1.(1)당좌 2.고정 (2)유형 3.(2)고정 4 (1)자본금 (2) 자본 (4) 자본조정

3.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 31 -
손익계산서
1. 매출액
2.▢▢▢▢
3.매출총이익
4.판매비와관리비
5.▢▢▢▢
6.영업외수익
7.영업외비용
8.▢▢▢▢
9.특별이익
10.특별손실
11.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2. 법인세비용
13.▢▢▢▢▢

해 답

2.매출원가 5.영업이익 8.경상이익 13.당기순이익

4. 기업의 각 활동에서 유입되는 현금과 유출되는 현금을 표시하는 재무제표를 ▢▢▢▢▢라


한다.

해 답

현금흐름표

제11장 현금및현금등가물과 단기금융상품

- 32 -
1. 다음 안에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회계에서 말하는 현금이란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지폐․동전 등의 통화와 자기앞수표, 우편
환증서와 같은 ▢▢▢▢▢▢ 을 말한다.
⑵ 현금의 수입은 자산의 증가로서 현금계정의 ▢▢ 에, 현금의 지출은 자산의 감소로서 현금
계정의 ▢▢ 에 기록한다.
⑶ 현금은 자산항목중에서 가장 거래의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계정과목일 뿐만 아니라 분실
또는 도난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중점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항목이므로 별도로 ▢
▢▢▢▢ 라는 보조부를 만들어 수입․지출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한다.
⑷ 장부상의 현금잔액과 실제상의 현금잔액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 계정을 설
정한 후에 불일치의 원인을 조사한다.
⑸ 장부상의 현금잔액보다 실제상의 현금잔액이 많을 경우에는 ▢▢▢▢▢ 계정의 ▢ 변에,
장부상의 현금잔액보다 실제상의 현금잔액이 적을 경우에는 ▢▢▢▢▢ 계정의 ▢ 변에 기
록한다.
⑹ 당좌예금의 입금은 자산의 증가로서 당좌예금계정의 ▢▢ 에 기록하고, 당좌예금의 인출은
자산의 ▢▢ 로서 당좌예금계정의 대변에 기록한다.
⑺ 현금및현금성자산에는 통화와 통화대용증권, ▢▢ 예금, ▢▢ 예금과 현금성자산이 포함된
다.
⑻ 주식․사채․공채․등을 일시적으로 소유할 목적에서 이를 매입한 때에는 ▢▢▢▢▢▢ 계정의
▢▢ 에 기입한다.
⑼ 유가증권을 처분한 때에는 그 장부가액을 ▢▢▢▢▢▢▢▢ 의 대변에 기입함과 동시에 그
것과 처분가액과의 차액을 ▢▢▢▢▢▢▢▢▢▢ 의 대변 또는 ▢▢▢▢▢▢▢▢▢▢ 의
차변에 기입한다.

해 답

⑴ 통화대용증권, ⑵ 차변, 대변, ⑶ 현금출납장, ⑷ 현금과부족, ⑸ 현금과부족, 대, 현금과부족, 차, ⑹


차변, 감소, ⑺ 당좌, 보통, ⑻ 단기매매증권, 차변, ⑼ 단기매매증권계정, 단기투자자산처분차익, 단기투자자
산처분차손
2. 다음 거래를 분개하고 현금출납장에 적절하게 기입하라.
4월 1일 현금 W
― 4,000,000을 출자하여 영업을 개시하다.
4월 2일 국민은행과 당좌거래를 개설하고 현금 W
― 1,000,000을 예금하다.
4월 3일 오성상회로부터 상품 W
― 1,500,000을 매입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하다.
4월 4일 성동상회에 상품 ―
W 900,000을 매출하고 대금은 현금 W
― 500,000, 동점발행 자기앞
수표 W
― 300,000을 수취하다.
4월 5일 광고료 W
― 300,000을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해 답

4 ∕1 (차) 현 금 4,000,000 ( 대) 자 본 금 4,000,000


4 ∕2 (차) 당좌 예금 1,000,000 ( 대) 현 금 1,000,000
4 ∕3 (차) 매 입 1,500,000 ( 대) 현 금 1,500,000
4 ∕4 (차) 현 금 900,000 ( 대) 매 출 900,000

- 33 -
4 ∕5 (차) 광 고 비 300,000 ( 대) 현 금 300,000

현금출납장

일자 적 요 수 입 지 출 잔 액
4 1 현금 출자하여 개업함 4,000,000 4,000,000
2 국민은행과 당좌거래 개설하고 예금함 1,000,000 3,000,000
3 오성상회에서 상품을 매입함 1,500,000 1,500,000
4 성동상회에 상품을 매출함 900,000 2,400,000
5 광고비를 지급함 300,000 2,100,000

3. 다음의 연속된 거래를 분개하라.


⑴ 월말에 현금 실제액을 조사해 보니 W
― 400,000이고 총계정원장의 현금잔액은 ―
W 450,000
이다.
⑵ 위 현금의 부족원인을 조사해 보니 월중에 화재보험료 W
― 30,000을 현금으로 지급한 것을
기록누락하였음을 발견하다.
⑶ 나머지 현금의 부족원인을 조사해 보았으나 그 원인을 파악할 방법이 없어 적절한 방법으
로 처리하기로 하다.

해 답

⑴ (차) 현금과 부족 50,000 ( 대) 현 금 50,000


⑵ (차) 보 험 료 30,000 ( 대) 현금과부족 30,000
⑶ (차) 잡 손 실 20,000 ( 대) 현금과부족 20,000

- 34 -
4. 다음의 단기매매증권에 관한 거래를 분개하라.
⑴ 산동주식회사의 주식 2,000주(1주의 액면금액 W
― 5,000)를 1주당 W
― 5,500에 매입하고, 대
금은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⑵ 위 주식 중 1,000주를 1주당 W
― 5,800에 처분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받다.
⑶ 흥국주식회사의 사채 300좌를 1좌당 W
― 9,600에 매입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하다.
⑷ 위 사채 중 150좌를 1좌당 @W
― 9,900에 처분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받다.

해 답

⑴ (차) 단기매매증권 11,000,000 ( 대) 당 좌 예 금 11,000,000


⑵ (차) 현 금 5,800,000 ( 대) 단기매매증권 5,500,000
단기투자자산처분차익 300,000
⑶ (차) 단기매매증권 2,880,000 ( 대) 현 금 2,880,000
⑷ (차) 현 금 1,485,000 ( 대) 단기매매증권 1,440,000
단기투자자산처분차익 45,000

5. 다음의 거래를 각각 분개하라.


⑴ 20×1년 12월 5일 다음의 단기매매증권들을 현금으로 구입하였다.

단기매매증권 취득원가
A사 주식 W 80,000

B사 주식 100,000
C사 주식 100,000
D사 주식 60,000
합 계 ― 340,000

⑵ 20×1년 12월 31일 각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액은 다음과 같다.

단기매매증권 취득원가 공정가액


― 80,0

00 ― 82,00

A사 주식
100,00 0
B사 주식
0 80,000
C사 주식
100,00 60,000
D사 주식
0 50,000
60,000
― 340,
W ― 272,0

합 계
000 00

⑶ 20×2년 4월 20일 C사 주식을 ―


W 80,000에 매각하였다.

- 35 -
⑷ 20×2년 6월 25일 E사 주식을 ―
W 40,000에 취득하였다.
⑸ 20×2년 12월 31일 각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액은 다음과 같다.

단기매매증권 취득원가 공정가액


A사 주식 W 80,000
― ― 70,000

B사 주식 100,000 90,000
C사 주식 60,000 30,000
E사 주식 40,000 50,000
합 계 ― 280,000
W ― 240,000

해 답

⑴ (차) 단기매매증권 340,000 ( 대) 현 금 340,000

⑵ (차) 단기매매증권 2,000 ( 대) 단기투자자산평가차손 2,000


단기투자자산평가차손 70,000 단기매매증권 70,000

⑶ (차) 현 금 80,000 ( 대) 단기매매증권 60,000


0 단기투자자산처분차익 20,000

⑷ (차) 단기매매증권 40,000 ( 대) 현 금 40,000

⑸ (차) 단기매매증권 10,000 ( 대) 단기투자자산평가차익 10,000


단기투자자산평가차손 50,000 단기매매증권 50,000

- 36 -
제12장 매출과 대금회수활동
제13장 매입과 대금지급활동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거래처의 상점명 또는 회사명을 계정과목으로 하여 채권․채무관계의 발생․소멸을 기입하는
계정을 ▢▢▢▢ 이라 하고, 이 같은 계정을 사용하여 외상매출금이나 외상매입금의 매출
처나 매입처의 내역을 기입하는 보조원장을 각각 ▢▢▢▢▢․▢▢▢▢▢ 이라 한다.
⑵ 외상매출금계정․외상매입금계정과 같이 하나의 계정이 보조원장을 가지고 많은 인명계정
을 일괄적으로 통합하는 계정을 ▢▢▢▢ 이라 한다.
⑶ 외상매출금이 회수불가능하게 된 것을 ▢▢ 이라 하고, 이것은 ▢▢▢▢ 이라는 비용계정
을 설정하여 처리한다.

해 답

⑴ 인명계정, 매출처원장, 매입처원장, ⑵ 통제계정, ⑶ 대손, 대손상각


2. 다음의 거래를 분개하고, 총계정원장의 외상매출금계정외상매입금계정에 전기하고 마감하여
라. 단, 상품의 기장은 3분법을 따르고, 외상매출처원장과 외상매입처원장에도 기입하고 마
감하여라.
또한 외상매출금계정과 외상매입금계정의 전기이월액 및 각각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외상매출금 W
― 616,000 (관악상점 ―
W 106,000, 김포상점 W
― 510,000)
외상매입금 W
― 450,000 (영동상점 ―
W 186,000, 용인상점 W
― 264,000)
6월 7일 관악상점에 상품 ―
W 184,000을 외상으로 매출하다.
13일 영동상점에서 상품 ―
W 460,000을 외상으로 매입하다.
14일 김포상점에 상품 W
― 168,000을 외상으로 매출하다.
16일 관악상점에서 품질불량의 상품 W
― 10,000이 반품되어 오다.
18일 용인상점에 대한 외상매입금 중 W
― 16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24일 김포상점에 대한 외상매출금 중 W
― 420,000을 동점 발행수표로 받아 즉시 당좌예
금하다.
해 답

6/ 7 (차) 외상매출금 184,000 ( 대) 매 출 184,000


6/13 (차) 매 입 460,000 ( 대) 외상매입금 460,000
6/14 (차) 외상매출금 168,000 ( 대) 매 출 168,000
6/16 (차) 매 출 10,000 ( 대) 외상매출금 10,000
6/18 (차) 외상매입금 160,000 ( 대) 현 금 160,000
6/24 (차) 당 좌 예 금 420,000 ( 대) 외상매출금 420,000

- 37 -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6/16 매출 10,000 전월이월 450,000
전월이월 616,000 6/18 현금 160,000
6/24 당좌예금 6/13 매입
6/7 매출 184,000 차월이월 750,000
420,000 460,000
6/14 매출 168,000
차월이월 538,000
968,00 910,00
968,000 910,000
0 0
전월이월 538,000 전월이월 750,000

상매입처원장
상매출처원장
영동상점
관악상점
전월이월 186,000
전월이월 106,000 6/16 매출 10,000 6/13 매입
6/7 매출 184,000 차월이월 280,000 차월이월 646,000
460,000
290,00 646,00
290,000 646,000
0 0
전월이월 280,000 전월이월 646,000

용인상점
김포상점
6/18 현금
6/24 당좌예금 전월이월 264,000
전월이월 510,000 160,000
420,000 차월이월 104,000
6/14 매출 168,000
차월이월 258,000
264,00
678,000 678,000 264,000
0
전월이월 258,000 전월이월 104,000

3.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약속어음을 받은 때에는 어음상의 채권이 생긴 것이므로 ▢▢▢ 계정 ▢▢ 에 기입한다.
반면에 ▢▢ 어음을 발행할 때에는 어음상의 채무가 생긴 것이므로, ▢▢▢▢ 계정의 ▢▢
에 기입한다.
⑵ 어음금액을 수취한 경우에는 ▢▢▢▢▢▢ 의 ▢▢ 에 기입하고, 어음금액을 지급한 경우
에는 ▢▢▢▢▢▢ 의 ▢▢ 에 기입한다.
⑶ 소유하고 있는 어음은 만기일 전에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있는데, 이것을 ▢▢▢▢ 라
고 한다.

- 38 -
⑷ 거래은행에서 할인받은 어음이 만기일에 지급이 거절되는 것을 ▢▢ 라고 하고, 지급이 거
절된 어음을 ▢▢▢▢ 이라 한다.

해 답

⑴ 받을어음, 차변, 지급, 지급어음, 대변, ⑵ 받을어음계정, 대변, 지급어음계정, 차변, ⑶ 배서양도, ⑷ 부도,
부도어음

4.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차용증서에 의한 금전의 대차는 각각 ▢▢▢․▢▢▢ 에 처리한다.
⑵ 상품매매대금의 미수 및 미지급분은 각각 ▢▢▢▢▢․▢▢▢▢▢ 에서 처리하고, 상품 이
외의 물건을 매매한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 및 미지급액은 ▢▢▢․▢▢▢▢ 계정에서 처리
한다.
⑶ 상품의 인도에 앞서서 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한다든가, 또는 수취하는 때에는 ▢▢▢․▢
▢▢ 에서 처리한다.
⑷ 차용증서를 받고 금전을 대여하였을 때에는 ▢▢▢ 의 ▢▢ 에 기입한다.

해 답

⑴ 대여금, 차입금, ⑵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미수금, 미지급금, ⑶ 선급금, 선수금,


⑷ 대여금, 차변

5.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전주상점에 수표 #23을 발행하여 W
― 600,000을 대여해 주고, 차용증서를 받다.
⑵ 김해상점에서 상품 W
― 900,000의 주문을 받고, 계약금으로 ―
W 180,000을 현금으로 받다.
⑶ 대전상점에서 앞서 주문한 상품 ―
W 750,000을 매입하고, 대금은 앞서 지급한 계약금 ―

240,000을 차감한 잔액은 외상으로 하다.
⑷ 지난 달 말에 매각 처분한 토지의 미수분 W
― 20,000,000을 수표로 받아 즉시 당좌 예금하
다.
⑸ 본월분 급료 ―
W 840,000에서 소득세의 원천징수액 ―
W 36,000과 종업원에 대한 전도금 W

50,000을 차감한 잔액은 현금으로 지급하다.

- 39 -
해 답

⑴ (차) 대 여 금 600,000 ( 대) 당 좌 예 금 600,000


⑵ (차) 현 금 180,000 ( 대) 선 수 금 180,000
⑶ (차) 매 입 750,000 ( 대) 선 급 금 240,000
외상매입금 510,000
⑷ (차) 당 좌 예 금 20,000,000 ( 대) 미 수 금 20,000,000
⑸ (차) 급 료 840,000 ( 대) 현 금 754,000
선 대 금 50,000
예 수 금 36,000

6. 다음의 연속된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사원이 출장가게 되어 여비로 W
― 2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⑵ 출장 중의 사원으로부터 내용 불명의 송금 수표 W
― 800,000을 보내오다.
⑶ 위의 송금 수표 W
― 800,000의 내용은 목포상점에 대한 외상매출금 W
― 600,000과 부산상점
에 대한 외상매출금 W
― 200,000을 회수한 것임이 밝혀지다.
⑷ 여비 부족으로 사원이 보충한 W
― 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해 답

⑴ (차) 가 지 급 금 200,000 ( 대) 현 금 200,000


⑵ (차) 현 금 800,000 ( 대) 가 수 금 800,000
⑶ (차) 가 수 금 800,000 ( 대) 외상매출금 800,000
⑷ (차) 여비교통비 250,000 ( 대) 가 지 급 금 200,000
현 금 50,000

- 40 -
제14장 재고활동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상품거래를 ▢▢․▢▢․▢▢▢▢이라는 세 개의 계정으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
이라 한다.
⑵ 3분법에서 상품의 ▢▢▢ 은 그대로 매출계정의 대변에 기입한다. 또한 매출계정의 차변에
는 ▢▢▢▢▢ 이나 매출에누리액․매출할인을 기입한다. 따라서 매출계정의 대변잔액은 ▢
▢▢▢ 을 나타낸다.
⑶ 3분법에서 매입계정의 차변에는 ▢▢▢ 을 기입하고, 대변에는 매입환출 및 에누리액이나
▢▢▢▢을 기입한다. 따라서 그의 차변잔액은 ▢▢▢▢ 을 나타낸다.
⑷ 매입장은 ▢▢ 에 관한 명세를 기입하고 매출장은 ▢▢ 에 관한 명세를 기입하는 ▢▢▢▢
이다.
⑸ 매입장의 총매입액은 ▢▢▢▢ 의 차변 기입액의 합계와 일치하고, 순매입액은 매입계정의
▢▢▢▢ 과 일치한다.
⑹ 매출장의 ▢▢▢▢ 은 ▢▢ 의 ▢▢▢▢ 의 대변 기입액의 합계와 일치하고, 순매출액은 매
출계정의 ▢▢ 과 일치한다.
⑺ 상품재고장에서 인도한 상품에 대하여 단가, 금액은 모두 원가로 기입한다. 같은 상품이라
고 단가가 다른 경우에는 ▢▢▢▢▢․▢▢▢▢▢․▢▢▢▢▢․▢▢▢▢ 등 일정의 방법에 따
라 어떤 단가를 적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⑻ 3분법에 의한 결산정리에서는 기초상품재고액을 이월상품계정에서 ▢▢▢▢ 의 차변에 대
체하고, ▢▢▢▢▢▢▢ 을 매입계정에서 ▢▢▢▢▢▢ 에 대체한다. 그 결과 매입계정의
차변잔액은 ▢▢▢▢ 를 나타낸다.
⑼ 매출원가는 ▢▢▢▢ 에서 ▢▢▢▢ 의 차변에 대체하고, 순매출액은 ▢▢▢▢ 에서 ▢▢▢
▢ 의 대변에 대체한다.

해 답

⑴ 매입, 매출, 이월상품, 3 분법, ⑵ 판매액, 매출환입액, 순매출액, ⑶ 매입액, 매입할인, 순매입액,
⑷ 매입, 매출, 보조장부, ⑸ 매입계정, 차변잔액, ⑹ 총매출액, 원장, 매출계정, 잔액, ⑺ 선입선출법, 후입선
출법, 이동평균법, 총평균법, ⑻ 매입계정, 기말상품재고액, 이월상품계정, 매출원가 ⑼ 매입계정, 손익계정,
매출계정, 손익계정

- 41 -
2. 다음의 빈 칸에 합당한 금액을 구하라.

전기이월액 당기매입액 당기매출액 기말재고액 매출총손익


A 상 품 ―
W 50,000 ―
W 125,000 ―
W 190,000 ―
W 42,500
B 상 품 ―
W 37,500 W
― 95,000 ―
W 151,000 W
― 42,500

해 답

A 상품 : 매출총손익 : W
― 190,000 -(W
― 50,000+W― 125,000-W
― 42,500)
=W
― 190,000-W ― 132,500
=W
― 57,500
B 상품 : 기말재고액 : ―
W 151,000 -(W
― 37,500+W― 95,000 -Χ) =W
― 42,500
Χ=W ― 42,500-W― 151,000+W― 37,500+W― 95,000
=W
― 24,000

3. 다음 자료로 매출총이익을 구하라.


⑴ 총 매 출 액 ―
W 330,000 ⑵ 매입에누리와 환출 W
― 5,000
⑶ 매출에누리와 환입 ―
W 30,000 ⑷ 총 매 입 액 ―
W 255,000
⑸ 기초상품재고액 ― 10,000
W ⑹ 기말상품재고액 W
― 20,000

해 답
순 매 출 액=W
― 330,000-W
― 30,000=W
― 300,000
순 매 입 액=W
― 255,000-W
― 5,000=W
― 250,000
매출총이익=W
― 300,000 -(W
― 10,000+W
― 250,000-W
― 20,000)=W
― 60,000

4. 다음 거래를 분개하고 계정에 전기하라. 단, 상품의 기장은 3분법에 의할 것.


단, 상품의 전기이월액은 ―
W600,000이다.
6월 6일 신진상점에서 상품 W
― 1,700,000을 외상으로 매입하다. 또한 인수운임 W
― 13,000은
현금으로 지급하다.
8일 위 상품 중 불량품 W
― 75,000을 반품하다.
15일 종로상점에 상품 W
― 1,900,000을 매출하고, 대금 중 W
― 400,000은 동점 발행 수표로
받고 잔액은 외상으로 하다. 또한 발송운임 ―
W 17,500은 현금으로 지급하다.
17일 위 상품 중 일부 불량품이 있어 W
― 50,000 반품받다.

해 답

6∕ 6 (차) 매 입 1,713,000 ( 대) 외상매입금 1,700,000


현 금
6∕ 8
13,000
(차) 외상매입금 75,000 ( 대) 매 입 75,000

- 42 -
6 ∕15 (차) 현 금 400,000 ( 대) 매 출 1,900,000
외상매출금 1,500,000 현 금 17,500
운 반 비 17,500

6 ∕17 (차) 매 출 50,000 ( 대) 외상매출금 50,000

이월상품 매 입 매 출
600,000 제좌 1,713,000 외상매입금 75,000 외상매출금 50,000 제 좌 1,900,000

5. 아래 기록을 보고 6월 10일에 판매된 상품 10개의 매입단가와 6월 20일에 남아 있는 기말상


품의 매입단가를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총평균법에 의해서 구하라.
6월 1일 상품 10개 구입, 매입단가 @W
― 100
8일 상품 10개 구입, 매입단가 @W
― 120
10일 상품 10개 판매, 판매단가 @W
― 200
20일 상품 10개 구입, 매입단가 @W
― 125

해 답

6 월 10 일 판매상품 6 월 20 일 기말상품
선입선출법 @ ₩100 (@ ₩120×10 +@ ₩125×10)∕20 =@ ₩122.5
후입선출법 @ ₩120 (@ ₩100×10 +@ ₩125×10)∕20 =@ ₩112.5
이동평균법 (@ ₩100×10 +@ ₩120×10) ∕20 (@ ₩110×10 +@ ₩125×10)∕20 =@ ₩117.5
=@ ₩110
총평균법 (@ ₩100×10 +@ ₩120×10 +@ ₩125×10) ∕30 =@ ₩115

- 43 -
6. 다음은 상품매매손익계산과 관련된 항목이다.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빈 칸에 들어
갈 금액을 계산하라.

회사
갑 을 병 정
구분
기초재고액 43,000 65,000 25,000 85,000
총 매입액 275,000 ③ 320,000 273,000
총 매출액 350,000 ④ 420,000 338,000
매출에누리․환입액 3,000 1,500 5,000 1,200
매입에누리․환출액 12,000 2,000 8,000 3,500
매출 원가 ① 240,000 ⑤ ⑦
기말재고액 28,000 30,000 27,000 ⑧
매출 손익 ② 52,000 ⑥ 18,700

해 답

① ₩43,000 +(₩275,000 -₩12,000)-₩28,000 =₩278,000


② ( ₩350,000 -₩3,000)-₩278,000 =₩69,000
③ ₩65,000 +(Ⅹ-₩2,000)-₩30,000 =₩240,000
X=₩240,000 -₩65,000 +₩2,000 +₩30,000
=₩207,000
④ ( X-₩1,500)-₩240,000 =₩52,000
X=₩240,000 +52,000 +₩1,500
=₩293,500
⑤ ₩25,000 +(₩320,000 -₩8,000)-₩27,000 =₩310,000
⑥ ( ₩420,000 -₩5,000)-₩310,000 =₩105,000
⑦ ₩85,000 +₩269,500 -₩36,400 =₩318,100
⑧ 순매출액=₩338,000 -₩1,200 =₩336,800
순매입액=₩273,000 -₩3,500 =₩269,500
₩336,800 -(₩85,000 +₩269,500 -X)=₩18,700
X=₩18,700 -₩336,800 +₩85,000 +₩269,500
=₩36,400

7. 다음 자료를 3분법에 따라 원장에 기입하고 상품매출이익을 계산하라.


⑴ 기초상품재고액 ―
W 24,000 ⑸ 매출환입 및 에누리액 ―
W 5,400
⑵ 총매입액 ―
W 91,400 ⑹ 인수비용 ―
W 3,600
⑶ 기말상품재고액 W
― 27,000 ⑺ 매입환출액 ―
W 5,000
⑷ 총매출액 W
― 145,400
해 답

이월상품 매 입 매 출
24,000 91,400 5,000 5,400 145,400
3,600

- 44 -
제15장 판매와 관리활동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비용은 ▢▢ 을 획득하기 위하여 소모된 경제적 가치를 말한다. 비용은 본래의 영업활동에
서 나타난 ▢▢▢▢ 과 본래의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에서 나타난 ▢▢▢▢▢▢▢▢ 이 있
다.
⑵ 수익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한 상품 및 서비스의 총액을 말한다. 수익도 본래의 영업활동
에서 나타난 ▢▢▢▢ 과 본래의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에서 나타난 ▢▢▢▢▢▢▢▢ 이
있다.
⑶ 상품계정을 이월상품, 매입, 매출의 세계정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 에서 매출원
가를 구하게 된다.

해 답

⑴ 수익, 영업비용, 영업외비용과차손, ⑵ 영업수익, 영업외수익과차익, ⑶ 매입계정

2. 다음의 매입계정 잔액과 기초 및 기말 상품재고액으로 매출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매입계정


에서 손익계정에 대체하는 분개를 하라.
⑴ 전기이월상품액 ― 30,000

⑵ 당기상품순매입액 ― 550,000

⑶ 기말상품재고액 ― 80,000

해 답

1. 매출원가의 계산
매출원가=₩30,000 +550,000 -80,000 =₩500,000
2. 손익계정에의 대체분개
(차) 손 익 500,000 ( 대) 매 입 500,000

- 45 -
3.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7월달의 급여 W
― 2,000,000 중에서 소득세예수금 W
― 100,000, 건강보험예수금 ―
W 50,000을
제외한 W
― 1,8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⑵ 지난 달 급여 지급시 예수했던 소득세예수금 W
― 100,000을 세무서에 납부하다.
⑶ 종업원을 위해 운동회를 개최하고 그 비용 W
― 200,000을 현금으로 지출하다.
⑷ 잡지에 광고를 내기로 하고 광고료 W
― 1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⑸ 매출처인 오성상사의 거래담당자와 거래차 점심식사를 하고 식사대금 W
― 30,000을 현금으
로 지급하다.
⑹ 종업원의 교통비로 현금 W
― 200,000을 지급하다.

해 답

⑴ (차) 급 료 2,000,000 ( 대) 현 금 1,850,000


소득세예수금 100,000
건강보험예수금 50,000
⑵ (차) 소득세예수금 100,000 ( 대) 현 금 100,000
⑶ (차) 복리후생비 200,000 ( 대) 현 금 200,000
⑷ (차) 광 고 비 150,000 ( 대) 현 금 150,000
⑸ (차) 접 대 비 30,000 ( 대) 현 금 30,000
⑹ (차) 교 통 비 200,000 ( 대) 현 금 200,000

- 46 -
제16장 투자활동

1. 다음 에 적합한 말을 써 넣어라.
⑴ 금융상품 중 정기예금, 정기적금 및 기타 정형화된 상품으로서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
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것을 것을 ▢▢▢▢▢▢ 이라 한다.
⑵ 유가증권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이자나 배당금의 수입, 자산의 시세차익 또는 어느
회사가 다른 회사를 통제하거나 특별한 영업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기업의 운영을 합리화하
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유가증권은 그 유형에 따라 ▢▢▢▢▢▢, ▢▢▢▢
▢▢, ▢▢▢▢▢▢▢▢▢ 으로 분류된다.
⑶ 자금을 활용하여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와 건물 및 기타의 부동산을 ▢▢▢▢
▢ 이라 한다.

해 답

⑴ 장기금융상품, ⑵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 ⑶ 투자부동산

2.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사무용 건물을 임차하고, 임차보증금 W
― 2,000,000과 1년간의 임차료 W
― 120,000을 현금으
로 지급하다.
⑵ 종업원에게 주택취득자금으로 W
― 2,000,000을 장기대여하고 현금으로 지급하다.
⑶ 동북주식회사는 자금에 여유가 있어 투자목적으로 토지 W
― 3,000,000을 매입하고, 대금은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⑷ 종업원에 대한 장기대여금 W
― 2,000,000 중 W
― 1,000,000을 현금으로 받다.

해 답

⑴ (차) 보 증 금 2,000,000 ( 대) 현 금 2,120,000


임 차 료 120,000
⑵ (차) 보 증 금 2,000,000 ( 대) 당 좌 예 금 2,000,000
⑶ (차) 장기대여금 2,000,000 ( 대) 현 금 2,000,000
⑷ (차) 투자부동산 3,000,000 ( 대) 당 좌 예 금 3,000,000
⑸ (차) 현 금 1,000,000 ( 대) 장기대여금 1,000,000
3.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토지․건물․구축물․기계장치 등 장기에 걸쳐 기업이 영업활동 목적에 사용하는 자산을 ▢▢
▢▢ 이라 한다.
⑵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까지 소요된 모든 ▢▢▢▢을 포함
한다.
⑶ 유형자산을 매각처분한 경우 그의 장부가액과 처분액과의 차액이 있으면 그 차액은 ▢▢
▢▢▢▢▢▢ 또는 ▢▢▢▢▢▢▢▢ 으로 처리한다.

해 답

- 47 -
⑴ 유형자산, ⑵ 매입대금, 부대비용, ⑶ 유형자산처분차익, 유형자산처분차손

4.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
W 30,000,000에 토지를 매입하고, 수수료 W
― 500,000과 함께 수
표 #23을 발행하여 지급하다.
⑵ 위 토지에 대하여 땅고르기를 하고, W
― 75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⑶ 건물을 ―
W 70,000,000에 신축하고, 등기료 ―
W 300,000과 더불어 수표 #28을 발]행하여 지
급하다.
⑷ 영업용 트럭 ―
W 4,000,000이 불필요하게 되어 W
― 3,200,000에 매각 처분하고, 대금을 수표
로 받다.

해 답

⑴ (차) 토 지 30,500,000 ( 대) 당 좌 예 금 30,500,000


⑵ (차) 토 지 750,000 ( 대) 현 금 750,000
⑶ (차) 건 물 70,300,000 ( 대) 당 좌 예 금 70,300,000
⑷ (차) 현 금 3,200,000 ( 대) 차량운반구 4,000,000
유형자산처분차손 800,000

5.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사용중인 건물의 개․보수공사를 하고 그 공사비 W
― 1,000,000을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단, 그 중 80%는 자본적 지출로 처리하고 잔액은 정상적인 수선비로 처리하다.

- 48 -
⑵ 사용중인 기계장치의 부품을 대체하여 수리하고 그 대금 W
― 500,000을 수표발행하여 지급
하다. 이중 W
― 100,000은 경상수리비로 처리하고, 잔액은 기계장치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처리하였다.

해 답

⑴ (차) 건 물 800,000 ( 대) 당좌예금 1,000,000


수 선 비 200,000
⑵ (차) 기 계 400,000 ( 대) 당좌예금 500,000
수 선 비 100,000

6. 다음 물음에 답하라.
⑴ 200☓년 1월 1일에 기계를 W
― 150,000에 구입하였다. 이 기계의 내용연수는 14년, 잔존가
― 10,000이라고 할 때 정액법을 사용하면 200☓년말과 2006년말에 대차대조표에 계
치는 W
상되는 기계의 장부가액은 얼마인가? 그리고 2007년말의 감가상각누계액은 얼마인가?
⑵ 200☓년 1월 1일 차량운반구를 W
― 6,000,000에 구입하였다. 이 차량운반구의 내용연수는
6년, 잔존가치는 ―
W 300,000으로 추정하였다. 정액법을 사용하면 매년도의 감가상각금액
은 얼마인가?
⑶ 추정 총매장량 1,000,000톤, 취득가액 W
― 50,000,000의 광구로부터 당기에 100,000톤의
채굴량이 있었다. 생산량비례법을 사용하면 올해의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해 답

₩-₩
⑴  =W
― 10,000 : 매년감가상각비

200 ☓년말 : W
― 150,000 -₩10,000 = W
― 140,000
2006 년말 : W
― 150,000 -(₩10,000×2)= W
― 130,000
2007 년말의 감가상각누계액 : ₩10,000×3 = W
― 30,000
₩-₩
⑵  =W
― 950,000

톤
⑶ ₩50,000,000×  = W
― 5,000,000
톤

7.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유형자산처럼 물리적인 실체는 없지만 이러한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기업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수 있는 무형의 권리를 ▢▢▢▢ 이라 한다.
⑵ 무형자산중 일정기간 그 발명품에 대하여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 이라
하며, 물건의 구조와 용도를 경제적으로 개선하여 생활에 편익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전용권을 받은 것을 ▢▢▢▢▢ 이라 한다.
⑶ 무형자산중 미관을 위주로 물품의 형상․도안 등을 아름답게 개량하여 전용권을 얻은 것을
▢▢▢ 이라 한다.
⑷ 무형자산의 상각시 독점적․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관계법령이나 계약에 의하여 정해진

- 49 -
경우를 제외하고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 년을 초과하지 못한다.
⑸ 기업이 같은 업종의 다른 기업보다 높은 초과이익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무형의
가치를 ▢▢▢ 이라고 한다.

해 답

⑴ 무형자산, ⑵ 특허권, 실용신안권, ⑶ 의장권, ⑷ 20, ⑸ 영업권

8.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한강상사로부터 특허권을 W
― 5,000,000에 구입하고 대금은 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등
록에 필요한 비용 W
― 200,000은 별도로 현금으로지급하다.
⑵ 상기 특허권을 결산기말에 상각하다(특허권의 내용연수는 10년으로 한다).

해 답

⑴ (차) 특 허 권 5,200,000 ( 대) 당좌예금 5,000,000


현 금 200,000
⑵ (차) 특허권상각 520,000 ( 대) 특 허 권 520,000

9. 다음과 같은 재무상태의 한강주식회사를 매수하고, 매수대금은 수표 W


―15,000,000을 발행하
여 지급하였다. 영업권의 대가를 계산하고 매수한 때의 분개를 하여라.

한강주식회사 대차대조표
당좌 예금 2,500,000 외상매입금 7,500,000
외상매출금 7,000,000 자 본 금 14,000,000
상 품 10,000,000
비 품 2,000,000
21,500,000 21,500,000

- 50 -
해 답

영업권=₩15,000,000 -₩14,000,000 =₩1,000,000


(차) 당 좌 예 금 2,500,000 ( 대) 외상매입금 7,500,000
외상매출금 7,000,000 당좌 예금 15,000,000
상 품 10,000,000
비 품 2,000,000

- 51 -
제17장 재무활동

1. 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써넣어라.
⑴ 사채를 발행하려면 기본적으로 두 가지 사항을 결정해야 한다. 첫째는 ▢▢▢▢ 으로서 만
기시에 갚아야 하는 원금이고, 둘째는 사채권에 기재된 이자율로서 일정기간마다 얼마씩
주겠다는 사항을 정한 ▢▢▢▢▢ 이다.
⑵ 사채의 액면이자율과 ▢▢▢▢▢ 이 다른 경우에는 사채의 액면가액과 ▢▢▢▢ 이 달라지
게 된다.
⑶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가액이 액면가액보다 낮게 되는 경우를 ▢▢ 발행, 발행가액이 액면
가액보다 높은 경우에는 ▢▢ 발행이라고 한다.
⑷ 사채를 할인발행하는 경우 액면가액과 발행가액과의 차이는 ▢▢▢▢▢▢▢▢ 이라는 계
정과목으로 처리한다.

해 답

⑴ 액면가액, 액면이자율, ⑵ 시장이자율, 발행가액, ⑶ 할인, 할증, ⑷ 사채할인발행차금

2. 결산일이 12월 31일인 경우 다음 자료에 의하여 사채발행일인 200☓년 1월 1일과 200☓년


12월 31일에 있어서 필요한 분개를 표시하여라.
⑴ 200☓년 1월 1일 사채의 액면총액 W
― 10,000,000, 만기 5년, 연 10%의 이자율을 조건으로
사채를 액면가액으로 발행하고, 납입 대금을 전액 당좌예금하다. 단, 이자지급일은 12월
31일이다.
⑵ 200☓년 1월 1일 사채의 액면총액 W
― 10,000,000, 만기 10년, 연 이자율 9%의 사채를 액면
― 9,390,000으로 할인발행하고, 대금은 당좌예금을 하다. 단, 이자지급일은 12월 31일이

고, 유효이자율은 10%이다.
⑶ 사채의 액면총액 W
― 10,000,000, 만기 5년, 연 이율 10%의 사채를 ―
W 11,145,000으로 할증
발행하고, 대금은 당좌예금하다. 단, 이자지급일은 12월 31일이고, 유효이자율은 8%이다.

- 52 -
해 답

⑴ 200 ☓. 1. 1.
(차) 당 좌 예 금 10,000,000 ( 대) 사 채 10,000,000
200 ☓. 12. 31.
(차) 이 자 비 용 10,000,000 ( 대) 현 금 10,000,000
⑵ 200 ☓. 1. 1.
(차) 당 좌 예 금 9,390,000 ( 대) 사 채 10,0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610,000
200 ☓. 12. 31.
(차) 이 자 비 용 939,000 ( 대) 현 금 9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39,000
⑶ 200 ☓. 1. 1.
(차) 당 좌 예 금 11,145,000 ( 대) 사 채 10,000,000
사채할증발행차금 1,145,000
200 ☓. 12. 31.
(차) 이 자 비 용 891,600 ( 대) 현 금 1,000,000
사채할증발행차금 108,400

3.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을 써 넣어라.
⑴ 사채할인발행차금의 상각은 다음 항목에 증가 또는 감소 중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사채의 장부가액 당기순이익


( ) ( )

⑵ 사채발행차금(할인 또는 할증)을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상각하는 경우 연도별 상각액은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되는가 또는 감소되는가?

할인발행 할증발행
( ) ( )

해 답

⑴ 증가, 감소, ⑵ 증가, 증가

- 53 -
4.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200☓년 1월 1일 액면가 총액 W
― 10,000,000의 사채를 W
― 9,390,000에 발행하여 현금이 납
입되다. 단, 사채의 액면이자율은 9%, 이자지급은 연 1회, 상환기간은 10년이다.
⑵ 200☓년 12월 31일 위 ⑴의 사채에 대하여 이자를 지급하다.
⑶ 2006년 1월 1일 위 ⑴의 사채를 시장에서 W
― 9,000,000에 매입하여 상환하다.

해 답

⑴ (차) 현 금 9,390,000 ( 대) 사 채 10,000,000


(차) 사채할인발행차금 610,000
⑵ (차) 이 자 비 용 939,000 ( 대) 현 금 9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39,000
⑶ (차) 사 채 10,000,000 ( 대) 현 금 9,000,000
사채할인발행차금 528,100
사채상환이익 471,900

5.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200☓년 12월 31일 결산일에 퇴직급여충당부채를 계산한 바, 전종업원이 퇴직한다면 지급
해야 할 퇴직금이 W
― 30,000,000으로 계산되었다. 현재 퇴직급여충당부채 잔액은 W

15,000,000이다.
⑵ 2006년 6월 종업원 2명이 퇴직하여 퇴직금 W
― 10,0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해 답

⑴ (차) 퇴 직 급 여 15,000,000 ( 대) 퇴직급여충당금부채 15,000,000


⑵ (차) 퇴직급여충당금부채 10,000,000 ( 대) 현 금 10,000,000

- 54 -
6.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동양주식회사는 발행주식수(수권주식수)를 50,000주,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수(발행주식
수)를 30,000주로 하고, 1주당 액면가액 ―
W 5,000(발행가액 W
― 6,000)으로 하며, 발행주식
전부를 발기인이 인수하고 주금액은 전액 현금으로 납입받아 당좌예금을 함으로써 회사가
설립되다.
⑵ 동양주식회사는 자본금을 증자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액면 ― 5,000의 신주

10,000주를 발행하고, 주금액은 전액이 납입되어 당좌예금을 하다.

해 답

⑴ (차) 당좌예금 180,000,000 ( 대) 자 본 금 150,000,000


주식발행초과금 30,000,000
⑵ (차) 당좌예금 50,000,000 ( 대) 자 본 금 50,000,000

7.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경북주식회사는 수권주식수 100,000주, 발행주식수 50,000주, 1주당 액면가액 W
― 5,000의
주식을 발기인이 액면가액 W
― 5,000에 20,000주를 인수하고, 주금액을 전액 납입받아 당
좌예금을 하다.
⑵ 주식을 공모하였던 바, 나머지 30,000주에 대하여 1주당 W
― 1,000씩의 주식청약증거금을
받아 당좌예금을 하다.
⑶ 모집주식 30,000주에 대한 주금액잔액 전액이 입금되어 주주에게 주식을 교부하여 회사가
설립되다. 주금액잔액은 당좌예금하다.
⑷ 경북주식회사는 설립 후 제2차년도에 증자하기 위하여 액면 W
― 5,000의 주식 30,000주를
시가 W
― 6,000으로 할증발행한 바, 주금액 전액이 납입되어 당좌예금을 하다.

- 55 -
해 답

⑴ (차) 당 좌 예 금 100,000,000 ( 대) 신주청약증거금 100,000,000


⑵ (차) 당 좌 예 금 30,000,000 ( 대) 신주청약증거금 30,000,000
⑶ (차) 당 좌 예 금 120,000,000 ( 대) 신주청약증거금 120,000,000
신주청약증거금 250,000,000 ( 대) 자 본 금 250,000,000
⑷ (차) 당 좌 예 금 180,000,000 ( 대) 자 본 금 150,000,000
주식발행초과금 30,000,000

8.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주식발행초과금 W
― 6,000,000을 자본전입하기로 하고, 액면 W

5,000의 주식 1,200주를 발행하여 구주주에게 교부하다.
⑵ 우성회사는 자본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액면 W
― 5,000의 주식 2,000주를 시가 W
― 4,000씩
매입하여 소각하다.
⑶ 우성회사는 미처분이익잉여금 W
― 3,000,000 중 W
― 1,000,000은 현금으로 배당하고, 나머지
― 2,000,000은 주식으로 배당하였다(액면 W
W ― 5,000의 주식 400주).
⑷ 회사는 이월결손금 ―
W 2,000,000을 보전하기 위하여 액면 W
― 5,000의 주식 500주를 소각하
다.

해 답

⑴ (차) 주식발행초과금 6,000,000 ( 대) 자 본 금 6,000,000


⑵ (차) 자 본 금 10,000,000 ( 대) 현 금 8,000,000
감 자차 익 2,000,000
⑶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3,000,000 ( 대) 미지급배당금 2,000,000
자 본 금 1,000,000
⑷ (차) 자 본 금 2,500,000 ( 대) 이월결손금 2,000,000
감 자차 익 500,000

9.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주주총회에서 미처분이익잉여금 ―
W 5,000,000을 다음과 같이 처분하기로 결의하였다. 미
처분이익잉여금 처분에 대한 분개를 표시하여라.

― 300,

― 300,0

이익준비금 배 당 금 000
00
감채적립금 배당평균적립금 500,00
500,000
이월이익잉여금 0
700,000

- 56 -
⑵ 이월결손금 W
― 2,000,000을 임의적립금 ―
W 1,000,000, 배당평균적립금 W
― 500,000, 당기순
이익 W
― 500,000으로 전보하기로 결의하였다. 이월결손금 전보에 필요한 분개를 표시하여
라.

해 답

⑴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5,000,000 ( 대) 이 익 준 비 금 300,000


미 지 급 배 당 금 3,000,000
감 채 적 립 금 500,000
배당평균적립금 500,000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00,000
⑵ (차) 임 의 적 립 금 1,000,000 ( 대) 미 처 리 결 손 금 2,000,000
배당평균적립금 500,000
미처분이익잉여금 500,000

- 57 -
기타 문제

1. 시산표의 대차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의 원인을 발견하기 위한 순서를


( ) 안에 번호로 표시하라.
⑴ ( ) 전기의 점검
⑵ ( ) 시산표에의 이기 점검
⑶ ( ) 시산표 합계액의 검산
⑷ ( ) 총계정원장의 합계 및 잔액의 검산
⑸ ( ) 분개의 점검

해 답

⑴-4 ⑵-2 ⑶-1 ⑷-3 ⑸-5

2. 다음 오류 중 시산표상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것을 열거하라.


⑴ 2개의 오류가 우연히 서로 상계되는 경우
⑵ 차변과 대변의 기입은 옳지만 틀린 계정과목에 전기한 경우
⑶ 분개의 대차중 한쪽만을 전기한 경우
⑷ 어떤 분개에 대하여 두 번 전기한 경우
⑸ 거래 전체가 기장이 누락된 경우
⑹ 상품계정의 차변에 전기할 것을 그 대변에 전기한 경우
⑺ 차변과목과 대변과목을 착각해서 반대로 전기한 경우

해 답

⑴, ⑵ ⑷, ⑸, ⑺

3. 다음 거래의 분개상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분개를 표시하여라.


⑴ 영업용 비품 W
― 450,000을 외상으로 구입하다.
(차 ) 비 품 450,000 (대 ) 미 지 급 금 450,000
⑵ 동양상점에 외상매출한 상품중 ―
W 80,000을 반품받다.
(차) 외상매입금 80,000 (대 ) 미 지 급 금 80,000

⑶ 영업용 비품(취득원가 W
― 700,000, 감가상각누계액 W
― 500,000)을 W
― 300,000에 매각하고
대금은 외상으로 하다.

- 58 -
(차 ) 미 수 금 300,000 (대 ) 비 품 700,000
비품감가상각누계액 500,000 고정자산처분이익 100,000

해 답

⑴ 오류 없음
⑵ (차) 매 출 80,000 ( 대) 외상매출금 80,000
(차) 미지급금 80,000 ( 대) 외상매입금 80,000
⑶ 오류 없음

4.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 원장에 기입하라.


7월 23일 현금시재액을 조사한 결과 장부잔액보다 W
― 12,000이 적었다.
7월 25일 현금부족액 중 W
― 4,000은 통신비의 기장이 누락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7월 31일 결산시에 나머지 현금부족액 ―
W 8,000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잡손 실계정에 대체
하였다.

해 답

7/23 (차) 현금과부족 12,000 ( 대) 현 금 12,000


7/25 (차) 통 신 비 4,000 ( 대) 현금과부족 4,000
7/31 (차) 잡 손 실 8,000 ( 대) 현금과부족 8,000

5.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8월 15일 전기로부터 이월된 외상매출금중 W
― 80,000이 대손되다. 단, 대손충당금 W

120,000이 설정되어 있다.
12월 31일 기말에 외상매출금 잔액 W
― 6,000,000에 대하여 2%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다. 단,
대손충당금계정 잔액 W
― 40,000이 있다.

해 답

8/15 (차) 대손충당금 80,000 ( 대) 외상매출금 80,000


12/31 (차) 대손상각비 80,000 ( 대) 대손충당금 80,000
6. 충무상사가 파산하여 동점에 대한 받을어음 W
―400,000이 회수불능으로 판정되다. 다음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분개를 표시하라.
⑴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⑵ 대손충당금의 잔액 ―
W 240,000이 있을 경우
⑶ 대손충당금의 잔액 ―
W 480,000이 있을 경우

해 답

⑴ (차) 대손상각비 400,000 ( 대) 받을어음 400,000


⑵ (차) 대손충당금 240,000 ( 대) 받을어음 400,000
대손상각비 160,000

- 59 -
⑶ (차) 대손충당금 400,000 ( 대) 받을어음 400,000

7.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제1기 초에 취득한 다음의 기계에 대하여 결산일(연 1회 12월 31일)에 감가상각을 하다. 또
한 감가상각은 정액법에 따라 간접법으로 기장하고 있다. 취득원가는 ―
W 8,000,000, 잔존
가액은 취득원가의 10%, 내용연수는 5년이다.
⑵ 위 기계를 제 3기초에 W
― 3,600,000에 처분하고 대금은 월말에 받기로 하다.
⑶ 추정매장량 800만톤, 광구의 광업권을 W
― 400,000,000에 취득하고, 당기에 40만톤을 채굴
하였다. 회사의 상각방법은 생산량비례법이고 잔존가액은 없다.
⑷ 취득원가 W
― 2,500,000, 잔존가액 ―
W 250,000, 내용연수 10년인 비품의 감가상각비를 정률
법에 따라 간접법으로 기장하고 있다. 단, 결산은 연 1회이고, 정률은 20.6%이다.

해 답

⑴ (차) 감 가 상 각 비 1,440,000 * ( 대) 감가상각누계액 1,440,000


₩-
*  =₩1,440,000
년

⑵ (차) 감가상각누계액 2,880,000 ( 대) 기 계 8,000,000


미 수 금 3,600,000
유형자산처분차손 1,520,000

⑶ (차) 광업권상각 20,000,000 * ( 대) 광 업 권 20,000,000


₩
*  ×40만톤=₩20,000,000
만톤

⑷ (차) 감가상각비 515,000 ( 대) 감가상각누계액 515,000


* ₩2,500,000×0.206=₩515,000

- 60 -
8. 다음 거래를 분개하라.
⑴ 한일주식회사는 외화단기대여금 $100,000(원화표시액 W
― 90,000,000)을 결산시의 환율
인 $1:W
― 920으로 평가하다.
⑵ 동일무역주식회사는 외화단기차입금 $200,000(원화표시액 W
― 180,000,000)을 결산시의
환율인 $1: W
― 880원으로 평가하다.

해 답

⑴ (차) 외화단기대여금 2,000,000 ( 대) 외화환산차익 2,000,000


⑵ (차) 외화단기차입금 4,000,000 ( 대) 외화환산차익 4,000,000

9. 다음 거래를 분개하여라.
⑴ 결산시에 임차료 선급분 W
― 48,000을 이월하다.
⑵ 결산시에 수수료 선급분 W
― 32,000을 이월하다.
⑶ 결산시에 수수료수익 선수분 W
― 32,000을 이월하다.
⑷ 결산시에 임차료 미지급분 W
― 28,000을 예상하여 계상하다.
⑸ 결산시에 이자의 미수분 W
― 36,000을 예상하여 계상하다.

해 답

⑴ (차) 선급임차료 48,000 ( 대) 임 차 료 48,000


⑵ (차) 선급수수료 32,000 ( 대) 수수료비용 32,000
⑶ (차) 수수료수익 32,000 ( 대) 선수수수료 32,000
⑷ (차) 임 차 료 28,000 ( 대) 미지급임차료 28,000
⑸ (차) 미 수 이 자 36,000 ( 대) 이 자 수 익 36,000

10. 다음 거래를 분개하고, 보험료계정과 선급보험료계정에 전기한 후 마감하라.


10월 1일 1년분의 화재보험료 ―
W 96,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12월 31일 결산시에 화재보험료 중 선급분 W
― 72,000을 차기에 이월하다.
보험료의 당기분 W
― 24,000을 손익계정에 대체하다.

해 답

10/1 (차) 보 험 료 96,000 ( 대) 현 금 96,000


12/31 (차) 선급보험료 72,000 ( 대) 보 험 료 72,000
(차) 손 익 24,000 ( 대) 보 험 료 24,000

- 61 -
10/1 현금 96,000 12/31 선급보험료 72,000 12/31 보험료
12/31 손 익 24,000 차기이월 72,000
72,000
96,00 전기이월 72,000
96,000
0

11. 강남상사의 20×1년 12월 31일에 있어서의 합계잔액시산표와 결산정리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 자료에 의하여 결산정리분개를 표시하고, 정산표를 작성하라. 단, 결산정리에 필요한 계
정은 새로 설정할 것.

합 계 잔 액 시 산 표
20×1년 12월 31일

[기말정리사항]
⑴ 상품기말재고액 W
― 850,000
⑵ 대손충당금은 외상매출금 잔액에 대하여 2%를 설정하다.
⑶ 비품감가상각은 취득원가의 10%를 계상하다.
⑷ 급료의 미지급액 W
― 25,000이 있다.
⑸ 유가증권에 대한 미수이자 W
― 5,000이 있다.
해 답

⑴ (차) 매 입 600,000 ( 대) 이 월 상 품 600,000


이월 상품 850,000 ( 대) 매 입 850,000
⑵ (차) 대손상각비 30,000 ( 대) 대 손 충 당 금 30,000
⑶ (차) 감가상각비 40,000 ( 대) 감가상각누계액 40,000

- 62 -
⑷ (차) 급 료 25,000 ( 대) 미 지 급 급 료 25,000
⑸ (차) 미 수 이 자 5,000 ( 대) 이 자 수 익 5,000

잔액시산표 정리기입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계정과목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차 변 대 변
현 금 150,000 150,000
당 좌 예 금 550,000 550,000
외 상 매 출 금 1,500,000 1,500,000
유 가 증 권 700,000 700,000
이 월 상 품 600,000 850,000 600,000 850,000
비 품 400,000 400,000
감가상각누계액 150,000 40,000 190,000
지 급 어 음 1,200,000 1,200,000
자 본 금 2,500,000 2,500,000
매 출 4,650,000 4,650,000
유가증권처분이익 30,000 30,000
매 입 4,050,000 600,000 850,000 3,800,000
급 료 280,000 25,000 305,000
광 고 비 100,000 100,000
교 통 비 50,000 50,000
잡 비 150,000 150,000
8,530,000 8,530,000
대 손 상 각 45,000 45,000
대 손 충 당 금 45,000 45,000
감 가 상 각 40,000 40,000
미 지 급 급 료 25,000 25,000
미 수 이 자 5,000 5,000
이 자 수 익 5,000 5,000
당 기 순 이 익 195,000 195,000
1,565,000 1,565,000 4,685,000 4,685,000 4,155,000 4,155,000

- 6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