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1쪽

제1장 금융경제 일반

1-1. 국민경제의 순환과 금융의 역할

(1) 가계 : 생산요소 공급주체 (생산요소인 노동, 자본, 토지를 제공)


(2) 기업 : 생산의 주체 생산요소 투입 재화와 용역 생산
경제주체
(3) 정부 : 규율과 정책의 주체
(4) 해외 : 국외자로 국내부문의 과부족을 수출입 통해 해결

생산요소
(1) 인적요소 : 노동
(2) 물적요소 : 토지, 자본
(3) 본원적 생산요소 : 노동, 토지 (원래 존재하던 생산요소)
생산
(4) 생산된 생산요소 : 자본 (생산과정에서 생산된 산출물 중에서 소비되지 않고 다시 생산과정에
투입되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생산요소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함)
(5) 기업가 경영행위 : 생산활동에 투입되어 부가가치 생산한다는 점에서 생산요소의 하나
(그 대가로 이윤획득)

(1) 생산요소 투입하여 생산된 결과물이 한 경제에서 모두 소비되는 것 가정


지출
(2) 가계(소비지출), 기업(투자지출), 정부(재정지출), 해외(수출)의 모습으로 각각 이행

생산자가 생산물을 판매하여 얻은 금액은 생산과정에 투입된 생산요소들에게 분배


분배
(그래도 남는 금액은 생산자(기업자)의 몫)

(1) 국민경제활동 생산 → 분배 → 지출 → 생산으로 이어지며 순환


(2)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1년간의 국민총생산량(생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순환과정
(3) 최종재 가치의 합 = 소비지출 + 투자지출 + 정부지출 + 순수출 = 임금 + 지대 + 이자 + 이윤
(4) 국민경제의 순환은 일정한 시간의 흐름상에서 나타나는 유동적인 경제활동을 의미하므로
플로우(flow) 개념임(회계상 손익계산서 O, 대차대조표와 같은 stock 개념 X)

(1) 금융활동주체 : 가계, 기업, 정부, 금융회사(중개기관)


(2) 은행 중개 X : 기업금융 중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등 기업 간의 신용, 주식 발행 등
국민경제와 (3) 은행 중개 O : 단기·장기의 은행차입, 상업어음 할인 등
금융의 연결 (4) 한국은행 금융자산, 부채잔액표 항목 중 금융회사 중개 여부
1) 금융회사 중개 X 금융수단(금융자산) : 유가증권, 기업간신용, 출자금 등
2) 금융회사 중개 O 금융수단(금융자산) : 여타의 항목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2쪽

1-2. 금융의 역할

개인 간
자금수요자, 공급자 간 자금중개 기능
자금거래 중개

거래비용의 절감 거래비용(탐색비용, 정보획득비용 등 금융거래 시 수반되는 모든 비용) 획기적 감소

(1) 지급결제 : 경제주체들이 각종 경제활동에 따라 거래 당사자들이 사이에서 발행하는


채권·채무관계를 지급수단을 이용하여 해소하는 행위
지급결제수단의
(2) 금융을 통한 거래 : 현금, 신용카드 등 물품 구입, 인터넷 뱅킹, 모바일 뱅킹을 통한 송금 등
제공
(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현금, 어음, 수표 대신 각종 카드, 계좌이체, 가상화폐 등
다양한 대체 지급 결제 수단 활용

소득과 지출 차이 → 금융을 통해 해소 (개인들의 자금사정에 따른 자산관리 수단 제공)


가계에 대한
(1) 소득 > 지출 : 돈 운용할 기회 마련
자산관리수단 제공
(2) 소득 < 지출 : 돈 빌려줌

자금의
자금 여유자(투자수단 제공), 자금 필요자(자금공급) → 자금의 효율적 배분 주도
효율적인 배분

금융위험
위험(불확실성, 변동성)에 대해 분산 및 해소 수단 제공, 파생상품 투자, 보험가입
관리수단 제공

2-1. 금리(이자율)

(1) 자금 수요↑→ 금리 ↑, 자금 공급↑ → 금리 ↓


(2) 경기 전망↑→ 기업투자 ↑ → 돈에 대한 수요 ↑→ 금리 ↑
금리의 결정 (3) 가계 소득↓, 소비↑ → 돈의 공급↓→ 금리 ↑
(4) 물가 ↑ 예상 → 실질가치 ↓ → 금리 ↑
(5) 차입자 신용 위험 클수록, 차입기간 길수록 → 금리↑

(1) 금리 ↑ → 현재 소비 ↓ → (미래 소비를 위해) 저축 ↑


금리 ↓ → 미래 소비 ↓ → (현재 소비 늘리기 위해) 저축 ↓
(2) 금리 ↑ → 기업자금조달 비용↑ → 가계소비, 기업투자 위축 → 물가 하락할 가능성 큼
금리변동의 영향 (3) 국내금리 < 해외금리
국내자금 외국 유출 ↑, 외국으로부터 자금유입 ↓
(4) 국내금리 > 해외금리
국내자금 외국 유출 ↓, 외국으로부터 자금유입 ↑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3쪽

단순히 원금에 대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단리 100만원을 연 3%의 금리로 은행에 2년 간 예금할 경우 → 106만원〔100만원×(1+0.03×2)〕
단리 원리금 = 원금 X (1 + 이자율 X 거치기간)

이자에 대한 이자를 함께 감안하여 계산하는 방법


복리 100만원을 연 3%의 금리로 은행에 2년 간 예금할 경우→ 106만900원〔100만원×(1+0.03)²〕
복리 원리금 = 원금 X (1 + 이자율)거치기간

표면금리 겉으로 나타난 금리

실제로 지급받거나 부담하게 되는 금리


(1) 복리·단리 등의 이자계산 방법
실효금리
(2) 이자에 대한 세금의 부과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
(3) 대출의 경우에도 이자 계산방법 등에 따라 실효금리 달라짐

수익률 = 이자금액/채권가격
수익률 100만원짜리 채권을 지금 산 뒤 1년 후 원금 100만원과 이자금액 10만원을 받는 경우 수익률은 10%
→ 100,000/1,000,000 = 0.1 즉 10%

할인율 = 할인금액/채권가격
100만원짜리 채권을 지금 10만원 할인된 90만원에 사고 1년 후 100만원을 받는 경우에 할인율 10%
할인율
→ 100,000/1,000,000 = 0.100 혹은 10.0% 수익률로 전환시
→ 100,000/900,000 = 0.111 혹은 11.1%

(1)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경기상황이나 물가수준, 금융·외환시장 상황, 세계경제의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의결을 거쳐
인위적으로 결정하는 정책금리
기준금리
(2) 경기과열(침체) → 기준금리 인상(인하)
기준금리 인하 → 은행 차입비용 인하 → (소비와 투자 활성화) 침체된 경기 회복 → 물가 상승
기준금리 인상 → 은행 차입비용 인상 → (과도한 투자, 물가상승 억제) 과열된 경기 진정 → 물가 하락

(1) 단기금리 (만기 1년이내)


콜금리,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 기업어음(CP)금리, 양도성예금증서(CD)의 금리 등
(2) 장기금리 (만기 1년 초과)
시장금리 국공채, 회사채, 금융채 등
(3) 채권수익률은 채권 가격의 변동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임
채권가격 ↑ → 채권수익률 ↓, 채권가격 ↓ → 채권수익률 ↑
(4) 장기금리 > 단기금리 : 차주의 장기간 자금 안정적 사용할 수 있는 이익, 차입자 부도위험 증가

명목금리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은 금리

물가 변동 고려 (실질 이자소득은 같은 금리 수준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을수록 늘어남)


실질금리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4쪽

2-2. 환율

원화와 외화의 자국통화표시법 사용


교환비율 (‘미화 1달러에 몇 원’식으로 외국 화폐 1단위에 상응하는 원화 가치를 환율로 표시)

(1) 외화의 공급측면


1) 해외로 상품, 서비스 수출, 외국으로부터의 자본유입, 외국인에 의한 국내투자,
외국인의 국내여행 등 → 국내로 공급(유입)
2) 다른나라 보다 우리나라의 금리 ↑ → 금융자산의 수익률↑→ 외국인 자본 국내 유입
3) 수출 및 외국인 관광객 ↑ → 경상수지 흑자 ↑ → 외화 공급 ↑ → 환율 ↓
환율의
(2) 외화의 수요측면
결정과 변동
1) 해외로부터의 상품, 서비스 수입, 자본유출, 내국인의 해외투자, 내국인의 해외여행 등에 의해 발생
2) 외국의 금리 ↑ → 우리나라 금융자산의 수익률 상대적 ↓ → 국내 자본 외국으로 유출
(3) 환율
1) 환율상승(=원화약세, 원화 평가절하) : 우리나라 돈 가치 ↓
2) 환율하락(=원화강세, 원화 평가절상) : 우리나라 돈 가치 ↑

(1) 변동환율제도
우리나라 시행, 외환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국제수지 불균형 발생시 고정환율제도보다 빠르게 조정된다는 장점
변동환율제도와
환율의 급격한 변동으로 경제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외환시장에 참가(개입)하여
고정환율제도
환율의 변동 속도 조정
(2) 고정환율제도
정부,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제도

(1) 환율 ↑ → (수출품의 외화 표시된 가격 하락)수출 증가, (수입품 가격 상승)수입 감소 → 경상수지 개선


(2) 환율 ↑ → 원자재, 부품 등 수입품 가격 ↑ → 물가상승 가능 → (수입 기계류 가격상승) 투자비용 상승
환율의 영향
(3) 환율변동성 높음 → 경제에 부정적 영향
→ 정책당국 외환시장 개입 환율 안정시킴 (정부는 외환보유고를 이용 외환시장 진정시킴)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5쪽

2-3. 주가

(1) 장내시장 :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코넥스시장


(2) 장외시장 : K-OTC시장
주식과 주식시장
(3) 발행시장 : 유상증자, 기업공개
(4) 유통시장 : 발행된 주식 거래

주가지수 = 비교시점 시가총액 / 기준시점 시가총액 × 100


주가지수와
주가지수 상승 : 영업실적 개선, 경제활동 활발
경기변동
주가지수 하락 : 불경기, 경제 신뢰도 하락

(1) 코스피지수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 대상으로 산출되는 종합주가지수 1980. 1. 4 기준. 이날의 주가지수를
100으로 함.
시가총액방식 주가지수
(2) 코스닥지수
1996년 7월 1일 기준시점으로 이날의 주가지수를 1,000포인트로 하여 산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 대상으로 산출되는 종합지수. 코스피 지수와 동일하게 시가총액방식으로 산출
(3) 코스피200지수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 상장된 시장 및 업종대표성, 유동성 등 감안 선정 200개 종목 대상
주가지수
→ 최대주주지분, 자기주식, 정부지분 등 제외한 유동주식만의 시가 총액 합산 계산
(1990년 1월 3일 기준시점으로 하여 작성)
(4) KRX100지수
유가증권 + 코스닥 우량종목 편입한 통합주가지수, 유가증권 90 + 코스닥 10 총 100개
종목으로 구성. 최대주주 지분 등 제외한 유동주식만의 시가총액을 합산하여 계산
(5) 코스닥150지수
15년 7월 개발, 시장대표성, 유동성 및 상품성 등 종합적으로 고려한 150개 종목으로 구성
선물 및 ETF 등 금융상품의 기초지수로 활용

(1) MSCI 지수 : 모건스탠리 자회사 Barra 제공 (해외투자 시 기준이 되는 대표적인 지수로,


특히 미국계 펀드 많이 사용)
글로벌 주요
(2) FTSE 지수
주가지수
파이낸셜타임즈 + 런던증권거래소 공동 설립한 FTSE그룹 발표 지수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부문의 지수 제공, 주로 유럽에서 사용

(1) 뉴욕증권거래소 : 세계에서 가장 큰 주식시장, 다수 외국기업들 상장


(2)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경제전반 대표적인 30개 대형 제조업 기업들 주식으로 구성,
월스트리트 저널 에서 작성 및 발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
주요국가의
(3) 미국증권거래소 :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지 않는 주식 거래
주가지수
(4) 나스닥 지수 : 산업기술주 거래, 나스닥지수(나스닥 증권시장 등록한 5,000여개 주식 가중평균)
(5) S&P500지수 : 스탠다드앤드푸어스 작성, 발표
(6) 기타 지수 : 일본의 니케이지수, 홍콩의 항셍지수,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 대만의 자이취엔지수

(1) 기업의 실적, 경제 전망 낙관 → 주식 사려는 사람 ↑ → 거래량 ↑ → 주가 ↑


거래량과 거래금액
(2) 기업의 실적, 경제 전망 비관 → 주식 사려는 사람 ↓ → 거래량 ↓ → 주가 ↓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6쪽

3-1. 금융시장의 의의

(1) 자금공급자와 자금수요자간에 금융거래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


금융시장 (2) 장소 : 구체적 공간뿐 아니라 자금의 수요와 공급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버공간 등 추상적인
공간 포함

금융수단
(=금융자산 현재 또는 미래의 현금흐름에 대한 청구권을 나타내는 증서로서 예금증서, 어음, 채권 등이 해당
=금융상품)

자금공급자로부터 자금수요자로 자금 이동하는 형태에 따라


(1) 직접금융
자금의 최종적 차입자가 자금의 최종적인 대출자에게 주식, 사채 등을 직접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2) 본원적 증권
직접금융과
경제주체 중 금융기관 이외의 최종적인 차입자가 발행하는 금융자산 (주식·사채·어음·채무증서 등)
간접금융
(3) 간접금융
금융중개기관이 대출자와 차입자간에 자금융통을 매개하는 방식
(간접증권 또는 제2차 증권 : 금융중개기관이 자신에 대해서 발행하는 청구권)
(4) 효율적인 자금 배분 실현
차입자 금융자산 발행비용의 한계비용 ↓, 대출자 보유하는 금융자산의 한계효용 ↑

3-2. 금융시장의 기능

가계부문 여유자금 기업부문 이전 → 국민경제 생산력 향상


자원배분기능
시간선호에 맞게 소비시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 효용을 증진

위험분산기능 분산투자를 통한 투자위험 감소, 파생금융상품과 같은 위험 헤지 수단 제공

유동성 제공 금융자산의 환금성, 유동성 프리미엄(현금으로 전환하는데 따른 손실 예상하여 일정한 보상) 요구

정부수집비용
금융시장 발달로 정보의 범위 및 전파속도 향상, 직접 취득에 따른 비용과 시간 줄어듦
절감 기능

시장 선호 활용한 감시기능 수행.


시장규율 기능
(예) 당해 기업 재무건전성 악화시킬 기업 인수·합병시 주가, 회사채 가격 ↓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7쪽

3-3. 금융시장의 유형

(1) 구분
대출시장, 외환시장, 파생상품시장, 장단기 금융상품 거래되는 금융시장
(2) 대출시장
1) 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과 같은 예금취급 금융회사를 통해 다수의 예금자로부터
자금이 조달되어 최종 자금수요자에게 공급되는 시장
2) 차주에 따라 : 가계대출시장과 기업대출 시장으로 구분
3) 신용카드회사와 같은 여신전문금융회사가 제공하는 현금서비스나 판매신용도 대출시장에 포함
(3) 외환시장
1)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외화자산이 거래되는 시장
2) 거래 당사자에 따라 : 은행간 시장(외국환은행간 외환매매)과
개요 대고객시장(은행과 비은행 고객간 거래)으로 구분
(4) 파생금융상품시장
1) 전통 금융상품 및 외환의 가격변동위험과 신용위험 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파생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2) 외환파생상품 위주 발전 → 1990년 중반 이후 주가지수 선물 및 옵션,
채권선물 등 거래수단 다양화, 거래규모 크게 확대
(5) 전통적 의미 금융시장
1) 금융거래의 만기에 따라 :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
2) 금융수단에 따라 : 채무증서시장과 주식시장
3) 금융거래의 단계에 따라 :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4) 금융거래의 장소에 따라 : 거래소시장과 장외시장

(1) 단기금융시장 (만기 1년 이내)


콜(Call)시장, 기업어음(채)시장, 양도성예금증서(CD)시장, 환매조건부채권매매시장,
표지어음시장,
단기금융시장
통화안정증권시장 등 만기가 짧아 금리변동에 따른 자본손실위험이 작음
(자금시장)과
(2) 장기금융시장 (= 자본시장, 만기 1년 이상)
장기금융시장
기업, 금융기관, 정부 등이 장기자금을 조달하는 시장
(자본시장)
만기가 긴 채권은 금리변동에 따른 가격변동 위험이 큼
주식은 기업자산에 대한 청구권이 대출, 채무증서 등 일반채권에 비해 후순위일 뿐만 아니라
가격 변동폭이 커서 투자위험이 더욱 큼

(1) 채무증서시장
차입자가 만기까지 일정한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할 것을 약속하고 발행한 채무증서가 거래되는 시장
채무증서시장과 기업어음시장, 양도성예금시장, 표지어음시장, 통화안정증권시장, 국채· 회사채·금융채 등
주식시장 (2) 주식시장
회사의 재산에 대한 지분을 나타내는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 채무증서와는 달리 주식으로 조달된
자금에 대해서는 원리금 상환의무가 없음. 기업 순이익에 대한 배당청구권. 잔여재산에 대한 지분권 행사.
고민석 / 2024 예금일반 기본이론 8쪽

(1) 발행시장 : 기업, 정부, 공공기관 등 자본을 수요로 하는 발행주체가 단기금융상품이나


채권, 주식 등 장기금융상품이 신규로 발행하여 일바투자자에게 매각함으로써
장기적인 자본을 조달하는 시장
1) 직접발행
발행시장과 2) 간접발행 : 인수기관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해당 증권의 발행 사무대행 및 증권의 전부 또는
유통시장 일부 인수를 통해 발행위험 부담하는 한편 발행된 증권의 유통시장 조성)
3) 국고채 전문딜러(PD) : 경쟁입찰에 독점적 참여, 매수매도호가 공시 등을 통해 시장조성 활동 담당
(2) 유통시장 : 이미 발행된 장단기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3) 투자자 : MIN (발행시장 가격, 유통시장 가격), 유통시장의 가격이 높으면
발행시장의 가격도 높아져 증권 발행자는 낮은 비용으로 소요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1) 거래소시장 (장내시장)


거래규칙에 따라 처리하는 조직화 된 시장. 거래정보 투명, 거래의 익명성 보장.
2005년부터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3곳 한국거래소로 통합
(한국거래소 : 주식, 채권, 상장지수펀드(FTF), 상장지수증권(ETN), 파생상품 등 모두 거래)
(2) 장외시장 (특정한 규칙 없이 거래소 이외의 장소에서 당사자간 금융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거래소시장과 1) K-OTC 시장과 점두시장(OTC : 상장증권, 비상장증권에 대하여 개별적인 접촉에 의해 거래)으로 구분
장외시장 2) 점두시장 : 딜러·브로커 간 시장(딜러, 브로커 상호간),
대고객시장(딜러, 브로커와 고객 간 쌍방거래)
거래정보의 투명성, 거래상대방의 익명성 낮음
3) 우리나라의 경우 채권, 단기금융상품 및 파생금융상품 등 대부분 장외시장 거래
4) 주로 증권회사를 매개로 거래가 이루어짐. 증권회사는 매도나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와
반대거래를 원하는 상대방을 연결시켜 거래를 중개함

※ 본 자료에 대해 사전 허락 없이 무단 인용·전재·복제·배포할 경우 저작권법에 의하여 형사상 처벌과 민사상 배상책임을 지게 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