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0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서브모듈 30x30㎠ 반투과형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상용화 기반기술개발

(최종보고서)

2020. 06 . 15

주관기관 (주)씨엠디엘

참여기관 영남대학교
㈜동진쎄미켐
㈜제림이엔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편집순서 2

제 출 문

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서브모듈 30×30cm 2 반투과형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상용화 기반 기술개발”(개발기간:2010.06.01 ~ 2020.04.30)과제의 최종보고서 10

부를 제출합니다.

2020 . 06. 15.

주관기관명 ː(주)씨엠디엘 (대표자) 김건기 (직인생략)


참여기관명 ː영남대학교 (대표자) 박용완 (직인생략)
참여기관명 ː(주)동진쎄미켐 (대표자) 이부섭 (직인생략)
참여기관명 ː(주)제림이엔지 (대표자) 양중열 (직인생략)

총괄책임자 : 배호기
참여기관책임자 : 김재홍
참여기관책임자 : 이주철
참여기관책임자 : 황병렬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37조에 따라 보고서 열람에 동의 합니다.

※ (인)은 1장에 찍는 것이 원칙이나 불가피한 경우 개별적으로 가능하며, 전담기관의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해


등록(제출)할 경우에는 직인생략 가능(단, (인)→(직인생략)으로 표기하며 전산등록 보고서와 제출된 출력본이 동
일하여야 함)

- 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편집순서 3

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

1. 일반 현황

사업명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기술분류 600802

서브모듈 30×30cm2 반투과형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상용화 기반


과제명(과제번호)
기술 개발(10050966)

기관
(주)씨엠디엘 설립일 2006. 6
(기업)명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5산단2로 107


주관기관
대표자
김건기 (대표이사) 연락처 031-734-5400
(기관장)
홈페이지 www.thecmdl.com Fax 031)733-1952

총괄책임자 배 호기 실무담당자 안 도환
참여기관
영남대학교(김재홍), 동진쎄미켐(이주철), 제림이엔지(황병열)
(책임자)
기술 민간부담금
개발 정부출연금 합계
총사업비 현금 현물
현황 (천원)
3,468,000 484,246 1,066,968 5,019,214

총수행
2014. 11. 01 ~ 2020. 04. 30
기간

- 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공고번호 2013 - 9897 과제번호 10050966


소분류(1순 소분류(2순
산업기술분류 가중치(%) 가중치(%) 소분류(3순위) 가중치(%)
위) 위)
(가중치 100%)
600802 70 400114 20 400111 10
산업기술혁신사업 계획서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서브모듈 30×30cm2 반투과형 염료 감응 태용전지용 염료 및
국 문
상용화 기반 기술 개발
과제명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commercialization of dyes for
영 문 translucent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using submodule
30×30cm2.
기관명 ㈜씨엠디엘 사업자등록번호 171-81-00621
주관기관
주 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5산단2로 107
성 명 배호기 생년월일 *******
부 서 연구개발본부 전 화 031-734-5400
총괄책임자
직 위 상무 팩 스 031-733-1950
E-mail hgbae@thecmdl.com 휴대전화 *******
2010. 06. 01.~ 2020. 04. 30. (114 개월)
1단계 2010. 06. 01. ~ 2014. 05. 31. (48 개월)
총수행기간
2단계 2014. 11. 01. ~ 2017. 08. 31. (34 개월)
3단계 2017. 09. 01. ~ 2020. 04. 30. (32 개월)
협약기간 2017. 09. 01. ~ 2020. 04. 30. (32 개월)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구분 계
당해단계 (2017년) (2018년) (2019년)
연차별 정부출연금 520,000 520,000 850,000 1,890,000

사업비 민 간 현금 117,040 117,040 196,500 430,580

(천원) 부담금 현물 161,435 161,435 267,100 589,970


합 계 798,475 798,475 1,313,600 2,910,550
기관명 유형 책임자 성명 직위/직급 전화 E-mail
영남대학교 참여 김재홍 교수 053-810-2521 jaehkim@ynu.ac.kr
참여기관
㈜동진쎄미켐 참여 이주철 차장 031)627-3525 jclee@dongjin.com

㈜제림이엔지 참여 황병열 상무이사 053-639-3377 juchelim@daum.net


참여기업 수행기관 중 중소기업(2)개, 중견기업(1)개, 대기업( )개
성 명 안도환 전 화 031-734-5400
주관기관
부서/직위 연구개발실 / 차장 팩 스 031-733-1952
실무담당자
E-mail canopus@thecmdl.com 휴대전화
*******
보안 등급 보안과제( ), 일반과제( ○ )

- 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기술개발 개요 (개발기술 및 제품 소개, 전반적인 개발기술에 대한 요약 정보)

n DSSC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염료 실용화


Ÿ 합성/정제 최적화 – 저가격, 고수율, 고순도 대용량 합성 및 정제 기술개발
Ÿ 이슈공정 분석 기술 – 품질평가 표준 제안
n 광흡수영역 제어를 위한 신규 고효율 및 고내구성 염료 개발 및 전해질 소재 최적화
n 개발염료의 서브모듈에서의 성능/신뢰성 평가
Ÿ 저조도 실내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Ÿ BIPV 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n 태양광 인도난간 설계 및 제작, 실증 모니터링을 통한 제품화 가능성 검토

3. 개발결과 요약

키워드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반투과형, BIPV, IOT, 저조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기화학태양전지 기술로서 핵심소재인 염료, 전해질,
광전극, 촉매전극 소재기술이 중요.
Ÿ 핵심소재인 염료의 저가격 고순도 고수율 중량생산기술.
핵심기술
Ÿ 중량생산 염료를 이용한 상압저온공정으로 소량 다품종의 고신뢰성 서브모
듈 기술.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을 활용한 응용기술 및 실증.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기술별 적합한 염료를 선정하고 이를 저가격, 고수율, 고순도
중량생산 기술개발 추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신시장 창출을 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장점을 활용한 Killer
application을 도출하고자 함.
Ÿ 응용기술에 적합한 고성능 고신뢰성 서브모듈 기술개발
Ÿ 최종적으로 응용기술중 하나를 응용제품화하여 실증싸이트에 실증 및 모니터링하므
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창출 가능성을 확인

최종목표

Ÿ 염료 중량생산 기술개발
개발내용 및 결과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 중량 합성 기술목표 달성(순도
95%, 수율 50%, 단가 $20/g)

- 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단계별 수율 병목구간을 최적화, 공정성 확보 및 양산성 검증


ü Porphyrin 염료 중량 합성하여 기존의 Ru-염료를 보완
Ÿ 신규염료의 분자디자인 및 합성과 성능 최적화
ü 분자구조 물성 최적화를 위하여 다양한 신규 염료를 분자디자인/합성
(0.1 sun 조건 소자효율 15.27%, 개방전압 0.71 V 달성)
ü 전고체전해질 적용 염료감응태양전지 제작공정 최적화 및 내구성 확보
(전고체소자 효율 9.34%달성)
Ÿ 서브모듈 기술개발
ü 중량생산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서브모듈 기술개발
ü 실내향(저조도) 서브모듈 성능 및 신뢰성 달성
(초기 출력값 165㎼, 고온/고습(65℃/65RH%)조건 출력감소율 9.81%달성)
ü 실외향 서브모듈 성능 및 신뢰성 달성
(고온고/습(85℃/85RH%)조건 효율 4.2%, 출력감소율 3.5%달성)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 기술개발
ü 염료감응 태양전지 인도난간 설계 및 제작
(인도난간 5경간, 솔라트리 2개소 제작)
ü 인도난간 성능 및 신뢰성 달성
(전합강도 20.6MPS, 전압강화 출력 유지율 97.3%, DSC 패널 출력 24.5W)
ü 인도난간 실증 및 모니터링
(1일 3.5시간 배터리 충전시 7시간 LED 점등)
ü 인도난간 지자체 사업 참여
(화원동산 2경간 설치, 송해공원 난간 설치 협의중)
Ÿ 태양전지는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무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광변환효율이 높고 값싼 태양전지의 개발이 필요함.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서 투입소재의 자원적제약이
없으며 상압저온 공정이 가능하여 규모의 경제시 혁신적 저가격화가 가능
한 태양전지 기술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소재의 종류에 따라 칼라화 및 반투명화가 가능
한 디자인성이 우수하며 산란광발전성능이 우수한 태양전지 기술로서 건자
재일체형 태양전지(BIPV)에 적합한 태양전지 기술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기화학태양전지로서 저조도하에서 다른 태양전지
기술개발 배경
기술대비 고효율발전이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로서 IoT sensor의 독립전원
으로 기대되는 태양전지 기술임.
Ÿ 그러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아직 시장창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데, 원인은 상품으로서의 만족할만한 효율과 신뢰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
았고,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만의 killer application 기술개발이 미진하고,
가격경쟁력 확보가 부족하기 때문.
Ÿ 따라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성능과 신뢰성에 핵심소재인 염료의 저가격
화를 위한 염료의 고순도, 고수율 저가격 상용화기반기술 확립이 필요.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시장창출시 핵심소재의 국산화 기여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로는 성능과 신뢰성이 검증되어 실외응용이 가능
핵심개발 기술의 한한 Ru-염료(상용염료)와 밴드갭 제어로 다양한 칼라화가 가능하고 몰흡
의의 광계수가 높아 저조도 실내응용이 가능한 유기염료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
며 각 분야별 대표염료를 선정하고 고순도 고수율 중량 생산기술 확보 및

- 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양산에 대비한 QC/QA 프로세스 개발


Ÿ 중량 생산된 염료를 이용하여 (주)동진쎄미켐이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초
의 서브모듈 시험생산라인(기판크기 300x300mm)에서 서브모듈을 제작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성능 및 신뢰성 기술 확보.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개척을 위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 제품으로
태양광 인도난간을 제작하여 실증 및 모니터링하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 창출 가능성 검증
Ÿ 실내발전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이용 센서 전문제조 메이커 중심으로 IoT,
인감, 온도, 습도, Beacon 센서에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접목하여 상품화
적용 분야 Ÿ 반투과 다색성을 활용한 BIPV 창호 기술개발 방향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활용
Ÿ 디자인성을 중시하는 가구향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응용

4. 기술 및 경제적 성과
Ÿ 염료에 대한 중량생산기술 및 품질보증 프로세스 확보는 염료의 감응 태
양전지 시장 창출시 안정적 염료 소재시장 대응이 가능함.
Ÿ 선진국 대비 상품화된 Ru염료의 성능 수준은 동등이상, 유기염료의 성능
수준은 동등 수준.
Ÿ 향후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는 크게 3가지 분야(Ru염료, 유기염료,
Porpyrin염료)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과제를 통하여 3가지 분야의
염료에 대한 중량생산 공정기술 및 know how를 확보하여 발전하는 염료
기술적 성과
의 상용화 대응 가능.
Ÿ 실내응용을 고려한 실내조도하에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기술개
발하여 IoT sensor등 응용시장 대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장점을 활용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시작품제작 및
실증 모니터링을 통한 상품가능성 검토.
Ÿ 본기술개발을 통하여 논문 (37)건을 발표하였으며 특허 (28)건을 출원하여
(22)건을 등록받았음.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 개화시 핵심소재인 염료 종류별 국산화 프로세스
확립.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기술별 염료 및 서브모듈 기술 개발하여 실외응용
기술로서 태양광인도난간 시작품 제작 및 지자체 사업에 참여하여 매출
발생하였으며, 본 기술개발 사업을 토대로 태양광인도난간 사업을 확대할
예정.
경제적 성과 Ÿ 본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연구인력 2(씨엠디엘 1명, 제림이엔지 1
명)명 고용창출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유무기 복합태양전지 기술로서 염료 합성기술은
OLED 발광재료 합성기술과 유사하여 (목표분자의 구조 특성 분석/반응
조건과 반응 후 처리 조건의 단순화/반응 조건(온도, 압력, 촉매, 용매등)
의 안전성, 원자재 경제성 높이기(부반응 최소화), 저 독성 물질을 사용하
는 합성법 개발, 합성 과정 최소화과정을 효율적 응용함)

5. 파급 효과 및 기대 효과

- 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술 특성상 평판디스플레이(FPD) 산업과 유사하여


전후방 산업이 발달해 있는 한국의 경우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창출시
value chain 구축을 통한 해당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큼.
Ÿ 이를 위해서 시장 경쟁력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목표시장으로서 실내
및 실외 응용제품에 요구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기술 확보함.
Ÿ 상기 응용기술로서 실내향은 저조도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성
능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4차산업 혁명시대의 Big data 플랫폼 산업에 필
파급 효과 요한 IoT sensor용 독립전원향 태양전지 시장 대응 가능.
Ÿ 실외향 응용기술로서 디자인성을 활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인도난간 시
제품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killer application으로서의 가능성 확인하였으
며, 반투과성을 활용하여 건자재 일체형 태양전지(BIPV)로도 적용 가능.
Ÿ 상기 2가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제품이 시장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우
글로벌 선도기업 수준의 서브모듈 원천 기술 및 저가/대면적 양산기술 확
보, 기술표준 등의 선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시장 추격자를 넘어서
시장 선도자로서의 위치 구축 가능.

Ÿ 염료 양산기술은 유기전자전달물질의 합성기술로서 OPV, OLED 양산기술


과 상호접목이 가능하여 관련 산업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음.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대규모 양산시 세정, 스크린 프린팅 성막공정이나, 건
조/소성 공정 등은 타 산업에서의 기술과 유사한 일반공정 기술로서 활용
이 가능하며, 추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특화된 새로운 개념의 핵심 공
정 기술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산업 기술과의 동반 성장이 가능
기대 효과 함.
Ÿ 실내 저조도 응용기술로서 예상되는 IoT sensor향 독립전원으로서 염료감
응 태양전지의 산업화에는 전자부품산업과 ICT산업과의 융합기술로서 관
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 기대됨.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투과 디자인특성을 이용한 실외응용으로서 태양광
인도난간 산업이나 건자재일체형 태양전지(BIPV) 산업은 건축산업과 동반
성장이 기대됨.

6. 해당 기술, 제품의 시장 현황
Ÿ 전세계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2012년 이후 광전변환효율의 획기적
개선이 없는 상황으로, 현재 수준의 성능을 활용한 응용기술개발을 추
진하고 있으며, 핵심소재 기술개발은 대학, 연구소에서 산발적으로 진행
되고 있는 상황으로 전체적으로 연구개발단계에 머물러 있음.
Ÿ 국내 염료감응 태양전지 value chain은 서브모듈을 개발하고 있는 (주)동
국내 시장 진쎄미켐을 정점으로 핵심소재인 염료, 광전극을 소규모로 생산 판매하
는 기업체로 이루어져 있음.
Ÿ (주)제림이엔지는 현 수준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성능을 기반으로응용기
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디자인성을 활용한 태양광
인도난간 기술개발 및 시작품을 제작하여 지자체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음.
해외 시장 Ÿ 일본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장점인 저조도 발전 우위성을 활용하고, 4

- 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차 산업혁명시대의 IoT 시장확대에 대비한 전자부품 메이커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개발 메이커와의 공동개발 형태로 실내 응용기술(IoT
sensor용 독립전원) 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Ÿ 일본은 신뢰성향상을 위하여 준고체 또는 고체형 전해질 염료감응 태양
전지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해질의 고체화에 따른 전자이동도
감소를 극복할 수 있는 소자구조와 공정기술 및 고체전해질과 적합한 핵
심염료 기술개발을 병행
Ÿ 북유럽의 스웨덴 Exeger사는 유연(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
듈 기술개발을 진행하여 모바일기기용 독립 및 보조전원을 목표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염료시장은 성능과 신뢰성이 검증된 Ru
염료(TVP033)가 소규모의 연구개발용도로 시판되고 있으며, 실내향 응용
기술을 위한 유기염료소재는 각 메이커별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독보
적 후보물질이 없는 상황.

7. 제품 사진 (기술개발 제품 관련 사진, 그림, 도면 등)


■ 염료소재 제품 사진

■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설계도 및 사진


설계도 사진
실내향 서브모듈 설계도 실내향 서브모듈 제품

- 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외향 서브모듈 설계도 실외향 서브모듈 제품

■ 태양광 인도난간 시작품 설계도 및 사진

- 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술개발사업 주요 연구성과>
사업명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과제명(과제번호) 서브모듈 30×30cm2 반투과형 염료 감응 태용전지용 염료 및 상용화 기반 기술 개발
주관기관명 (주)씨엠디엘 설립일 2006. 06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5산단2로 107
대표자(기관장) 김 건기 총괄책임자 배 호기
총수행기간 2014. 11. 01. ~ 2020. 04. 30.(66 개월)
총사업비(천원) 5,019,214 정부출연금 3,468,000 민간부담금 1,551,214
참여기관(책임자) 영남대학교(김재홍), 동진쎄미켐(이주철), 제림이엔지(황병열)
성과지표 세부지표 성 과 비 고
개발후 현재까지 0.6억원
개발제품 염료소재
향후 3년간 매출 17.7억원
매출액 개발후 현재까지 0.6억원 태양광난간
관련제품
향후 3년간 매출 210억원 태양광난간,
서브모듈
국내 : 100%
개발후 현재까지 국외 : 0%
개발제품 염료
사업화 국내 : 100%
성과 향후 3년간 매출
시장 국외 : 30%
점유율 국내 : 100%
개발후 현재까지 염료감응
국외 : 0% 태양전지
관련제품 서브모듈 및
국내 : 100%
향후 3년간 매출 인도난간
국외 : 10%

세계시장 현재 제품 세계시장 경쟁력 순위 5 위


염료소재업체
경쟁력 기준
순위 3년 후 제품 세계 시장경쟁력 순위 3 위

출원 26건
국내
등록 20건
특허
출원 2건
국외
기술적 등록 2건
성과
국내학술발표
국내 2건
62건
논문발표
국외 35건 국외학술발표
67건
개발 전 명
고용효과
개발 후 2명 연구원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90 % 염료양산기술
파급효과
염료,
국산화율 100 % 서브모듈,
인도난간
기타 표준 제개정, 기술이전 및 수상실적 등

- 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구체적인 연구 성과
1. 지식재산권

번호 종류 명칭 출원일 등록일 국명 등록번호 발생차수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DYE
1단계
1 국외 특허 COMPOUND FOR DYE SENSITIZED SOLA CELL AND SOLA 2013.04.10 중국 (013101225563)
3차년도
CELL COMPRISING IT)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단계
2 국외 특허 (PORPHYRIN-BASED COMPOUND, DYE AND DYE-SENSITIZED 2014.03.28 미국 (P38014DW01
4차년도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반도체 제조 공정을 위한 전구체의 실시간 증기압측정 시스템및 10-1107639 1단계
3 국내 특허 2010.06.08 2012.01.12 대한민국
이를 이용한 방법 (10-2010-0053835 1차년도

전기방사에 의한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나노 10-1292214 1단계


4 국내 특허 2010.12.31 2013.07.26 대한민국
이온교환 막의 제조방법 (10-2010-0140642) 1차년도

10-1219488 1단계
5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2011.05.12 2013.01.02 대한민국
(10-2011-0044462) 1차년도

티엔오-퀸옥살린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유기염료 및 10-1339707 1단계


6 국내 특허 2011.09.23 2013.12.04 대한민국
상기 유 기염료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10-2011-0096146 2차년도

10-1361043 1단계
7 국내 특허 신규한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 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012.04.17 2014.02.04 대한민국
(10-2012-0039997) 2차년도

10-1323885 1단계
8 국내 특허 전구체의 증기압측정장치 및 방법 2012.05.04 2013.10.24 대한민국
(10-2012-0047540) 2차년도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전극용 고 다공 성 이산화티타늄 10-1384215 1단계


9 국내 특허 2012.09.28 2014.04.04 대한민국
나노섬유 및 그 제 조방법 (10-2012-0108907) 2차년도

10-1334709 1단계
10 국내 특허 복합 결정상 이산화티탄 나노로드의 제조방법 2013.05.09 2013.11.25 대한민국
(10-2013-0052356) 2차년도

바이카바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1단계


11 국내 특허 2012.03.15 2015.01.12 대한민국 10-2012-0026629
이를 포함 하는 태양전지 2차년도

1단계
12 국내 특허 광감응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2012.04.20 2014.09.29 대한민국 10-2012-0041547
2차년도

1단계
13 국내 특허 유기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012.11.07 2014.10.27 대한민국 10-2012-0125553
3차년도

트리페닐-벤젠트리아민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1단계


14 국내 특허 2013.03.22 2014.10.06 대한민국 10-2013-0031116
태양전지 3차년도

1단계
15 국내 특허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013.03.28 2015.03.16 대한민국 10-2013-0033828
3차년도

1단계
16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2013.04.08 대한민국
3차년도

1단계
17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2013.04.08 2014.11.10 대한민국 10-2013-0038281
3차년도

1단계
18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2013.04.10 2014.09.23 대한민국 (10-2013-0039119
3차년도

1단계
19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013.10.07 2015.08.06 대한민국 10-2013-0118953
4차년도

1단계
20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2013.12.06 대한민국
4차년도

1단계
21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013.12.09 2015.09.21 대한민국 (10-2013-0152369)
4차년도

1단계
22 국내 특허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유기염료 2014.01.21 2016.01.18 대한민국 10-2014-0007049
4차년도

플라즈마 임피던스측정을 이용한 플 라즈마 공정장비용 1단계


23 국내 특허 2014.06.10 대한민국
코팅부품의 실시 간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4차년도

1단계
24 국내 특허 반도체 코팅설비의 오염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2014.06.10 2015.07.03 대한민국 10-2014-0070151
4차년도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2단계


25 국내특허 2015.01.12 2015.06.01 대한민국 10-1526327
염료감응태양전지 2차년도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용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염료 2단계


26 국내특허 2016.09.21 2017.12.01 대한민국 10-1806162-0000
감응형 태양전지 2차년도

- 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2. 논문 게재/발표 실적

구분(
번 구분(논문 SCI
게재 or 논문명 저자명 저널명 일시 국내, 등재 발생
호 차수
학회발표) 여부
국외)
Mi Ran Jung, Hyo Jeong Jo,
Molecular Design and Photovoltaic
Hyun Sik Yang, Hyojeong Kim, Molecular Crystals
performances of Organic Dyes 2011, 538, 1단계
1 논문게재 Jin-Kyu Kang, Dae-Hwan Kim, and 국외 SCI
Containing Triphenylamine for 278-284 1차년도
Kwang-Soon Ahn, Liquid Crystals
Dye-Sensitized Solar Cell
Jae Hong Ki
Photovoltaic Performance of Jeong-Gwan Lee, Young-Cheol Journal of
Dye-Sensitized Solar Cell Low Choi, Nanoscience 2012, 12, 1단계
2 논문게재 국외 SCI
Temperature Growth of ZnO Nanorods Do-Kyung Lee, Kwang-Soon Ahn, and Nanotechnol 1-4 1차년도
Using Chemical Bath Deposition Jae Hong Kim ogy
Seung-Wan Roh,
Journal of
Evaluation Method of Plasma-resistant Sang-Woo Kang, Jin-Tae Kim,
Industrial and 2011, 17, 1단계
3 논문게재 Characteristics of Al2O3 Coating Jae-Soo Shin, 국외 SCIE
Engineering 498-50 1차년도
Materials Doo-Kyung Moon, Tae-IL Son,
Chemistry
Ju-Young Yun
Korean
전기방사에 의한 술폰화 HIPS 이온 교환 Chemical 2011, 49, 1단계
4 논문게재 최은정,황택성 국내 SCI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및 특성 Engineering 69-74 1차년도
Research
Increase of degradation and water Eung Jung Choi, Bokgi Son, Journal of Industrial
2011, 17, 1단계
5 논문게재 uptake rate using electrospun TaekSungHwang, Eui-Hwan and Engineering 국외 SCIE
691-695 2차년도
star-shaped poly(D, L-lactide) nanofiber Hwang Chemistry
Synthesis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Noh-Seok Kwak,
2012,
NaSS-MAA-MMA cation exchange Jin Sun Koo, Taek 1단계
6 논문게재 Desalination 285, 국외 SCI
membranes for membrane capacitive Sung Hwang, Eun 2차년도
138-146
deionization (MCDI) Mi Choi
Preparation of Highly Porous TiO2 Won Ho Jung,
Applied Surface 2012, 261, 1단계
7 논문게재 Nanofibers for Dye-Sensitized Solar Noh-Seok Kwak, Taek Sung 국외 SCI
Science 343-352 3차년도
Cells (DSSCs) by Electro-Spinning Hwang, Kwang Bok Yi
Electrospunpolyethersulfonefibrous
Noh-Seok Kwak, Won Ho Jung, Chemical 2013,
mats:Sulfonation,itscharacterization 1단계
8 논문게재 Hui-Man Park, Engineering 215-216, 국외 SCI
andsolution-phaseammonium 3차년도
Taek Sung Hwang Journal 375-382
sorptionbehavior
Particulate counter electrode system for Kyoseung Sim, Shi-Joon Sung,
Optical Materials 2013, 3, 1단계
9 논문게재 enhanced light harvesting in Si-Nae Park, Dae-Hwan Kim, 국외 SCIE
Express 739-746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Jin-Kyu Kang
eong-Hwa Kim, Dae-Hwan Kim,
Enhancement of the Light Harvesting
Kang-Pil Kim, 2013, 546, 1단계
10 논문게재 Efficiency in a Dye-sensitized Solar Cell Thin Solid Films 국외 SCI
Dong-Hwan Jeon, Dae-Kue 326-330 3차년도
by a Patterned Reflector
Hwang
Kyoseung Sim, Shi-Joon Sung,
Electrochemical Investigation of International
Hyo Jeong Jo,
High-Performance Dye-Sensitized Solar Journal of 2013, 8, 1단계
11 논문게재 Dong-Hwan Jeon, Dae-Hwan 국외 기타
Cells Based on Molybdenum for Electrochemi cal 8272 -8281 3차년도
Kim,
Preparation of Counter Electrode Science
Jin-Kyu Kang
Jong Hun Cheon, Dae Yong
Enhancement of Light Harvesting in 2013, 19,
Jung, Sok kyun Choi, Metals and Materials 1단계
12 논문게재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using 1365 국내 SCI
Kwang-Soon Ahn, Do Kyung Lee, Internationa 3차년도
Fӧrst-type Resonance Energy Transfer -1368
Jae Hong Kim
A comparison of the electronic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novel Hyo Jeong Jo, Jung Eun Nam,
2014, 102, 1단계
13 논문게재 twin-anchoring organic dyes containing Dae-Hwan Kim, Hyojeong Kim, Dyes and Pigments 국외 SCI
285-292 4차년도
varing lengths of π -bridges in Jin-Kyu Kang
dye-sensitized solar cells

- 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mproved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Hyo Jeong Jo, Jung Eun Nam,
solar cells with novel conjugated organic Journal of Power 2014, 249, 1단계
14 논문게재 Dae-Hwan Kim, 국외 SCI
dye using aluminium oxide-coated Sources 385-391 4차년도
Jin-Kyu Kang
nanoporous titanium oxide films
Molecular Design and Photovoltaic
Hyo Jeong Jo, Jung Eun Nam, Journal of
Performance of Organic dyes containing 2014, 7938 1단계
15 논문게재 Kyoseung Sim, Dae-Hwan Kim, Nanoscience and 국외 SCI
phenothiazine for Dye-Sensitized Solar -7942 4차년도
Jae Hong Kim, Jin-Kyu Kang Nanotechnol ogy
Cells
Enhanced Performance of Dye Young Rok Kim, Hyun Sik Yang, Journal of
2014, 64, 1단계
16 논문게재 Co-sensitized Solar Cells by Kwan-Soon Ahn, the Korean Physical 국내 SCI
904-909 4차년도
Panchromatic Light Harvesting Jae Hong Kim Society
Phase transition characteristics under Jin-Tae Kim, Seob Shim, Jae-Su Journal of Vacuum
vacuum of 9,10-di Shin, Science & 2014, 1단계
17 논문게재 국외 SCI
(2-naphthyl)anthracene for organic Sangwoo Kang, Ju-Yong Yun, Technology 32, 020601 4차년도
light-emitting diodes Ohyun Kwon A
2014,
A parallel algorithm for robust fault
10.1007/ 1단계
18 논문게재 detection in semiconductor Wong-Kee Loh, Ju-Young Yun Cluster Computing, 국외 SCIE
s10586-0 4차년도
manufacturing process
14-0366-z
Enhance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Jung Eun Nam, Soon Jin Kwon,
Journal of
Novel TiO2 Photoelectrode on Hyo Jeong Jo, Kwang Bok Yi, 1단계
19 In press Nanoscience and 예정 국외 SCI
TCO Substrates for Dye-Sensitized Dae-Hwan Kim, 4차년도
Nanotechnol ogy
Solar Cells Jin-Kyu Kang
Development of Panchromatic
강진규,김대환, 성시준,윤주영, 2011년 춘계 2011.05. 1단계
20 학회발표 Absorption Organic Dyes for 국내
황택성,김재홍 공업화학회 11~13 1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rg
김효정,조효정, 심교승,김대환, 2011년 춘계 2011.05. 1단계
21 학회발표 anic Dyes containing Thieno –Quino 국내
성시준,강진규 공업화학회 11~13 1차년도
xalin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o Jeong Jo, Kyo Seung Sim,
Organic Photo-sensitizers Containing 2010.11. 1단계
22 학회발표 Shi-Joon Sung, Dae-Hwan Kim, 2010 ENGE 국외
Multi-acceptors for the Application of 21~24 1차년도
Jin Kyu kang, Jae Hong Kim
Dye-sensitized Solar Cells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Myeong Seok Kim, Mi Ran Jung,
Dendritic Photosensitizers containing KJF 2010.08. 1단계
23 학회발표 Jae Hong 국외
Phenothiazine for Dye-sensitized Solar ICOMEP 2010 22~25 1차년도
Kim
Cells
Photovoltaic Performance of Long
Sang Ah Kim, Hyo Jeong Jo, Jin
Wavelength Sensitizing Organic Dyes KJF 2010.08. 1단계
24 학회발표 Kyu Kang, Dae Hwan Kim, Jae 국외
containing 1,8-diamino-naphthalene for ICOMEP 2010 22~25 1차년도
Hong Kim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Organic Photosensitizers based on Hyun Sik Yang, Yoon Soo Han, KJF 2010.08. 1단계
25 학회발표 국외
Phenothiazine Chromophore for Appl Jae Hong Kim ICOMEP 2010 22~25 1차년도
ic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Molecular Design and Photovoltaic
Performances of Organic Dyes KJF 2010.08. 1단계
26 학회발표 Mi Ran Jung, Bae In Kim 국외
containing Triphenylamine for Dye- ICOMEP 2010 22~25 1차년도
sensitized Solar Cell
RGA를 이용한 CVD 전구체의 분석및 신진호, 강상우, 김진태, 신용현, 2010.08. 1단계
27 학회발표 2010 하계 진공학회 국내
진단연구 고문규, 윤주영 18~20 1차년도
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 용한
신진호, 강상우, 김진태, 신용현, 2011.02. 1단계
28 학회발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재 결합 2011 동계 진공학회 국내
고문규, 윤주영 09~1 1차년도
방지효과 연구
Preparation of porous TiO2 nanofibers
2010년 2010.10. 1단계
29 학회발표 for the desensitized solar cell (DSSC) by 정원호, 황택성 국내
추계 고분자학회 07~08 1차년도
electrospinning and calcinations process
Preparation of sulfonate poly(ether
2010년 2010.10. 1단계
30 학회발표 ether ketone) (SPEEK) proton exchange 정원호, 황택성 국내
추계 고분자학회 07~08 1차년도
membrane
Preparation of well-defined TTIP
2010년 2010.10. 1단계
31 학회발표 nanofiber using DSSC by high voltage 정원호, 황택성 국내
추계 고분자학회 07~08 1차년도
electro-spinning metho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ether
2010년 2010.10. 1단계
32 학회발표 ether ketone) (SPEEK) nanofiber by 최은정, 이홍석, 황택성 국내
추계 공업화학회 07~08 1차년도
electrospinning

- 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eparation of high porous TiO2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2011년 2011.10. 1단계
33 학회발표 정원호, 황택성 국내
calcinations process for the dye 추계 고분자학회 07~08 1차년도
sensitized solar cell(DSSC)
Preparation of high porous TiO2 Active polymer
nanofiber using Dye sensitized solar cell Patterning 2011.02. 1단계
34 학회발표 정원호, 곽노석 황택성 국외
(DSSC) By electrospinning and and nanogrid 10~11 1차년도
calcinations process materials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PEEK
황택성, 최은정, 백영민, 정재철, 2011.05. 1단계
35 학회발표 nanofibrous ion exchange membrane for ISPlasma 2011 국외
정원호, 구잔선 06~09 1차년도
PEMFC
Hyo Jeong Jo, Kyoseung Shim,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Dae-Hwan Kim, Shi-Joon Sung, 2011.09. 1단계
36 학회발표 multi-functional organic dyes for the EU-PVSEC 국외
Jae Hong Kim, Ju Young Yun, 05~0 2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Jin-Kyu K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ojeong Kim, Kyoseung Sim,
2011.07. 1단계
37 학회발표 Thieno[3,4-b]quinoxaline Derivatives for Shi-Joon Sung, Dae-hwan Kim, IFFM 2011 & AFM-2 국외
28~31 2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Jin Kyu Kang, Jae Hong Kim
ENHANCED CATALYTIC ACTIVITY OF 2011.07. 1단계
38 학회발표 이정관, 김재홍 IFFM 2011 & AFM-2 국외
PT COUNTER ELECTRODES 28~31 2차년도
Organic Photosensitizers Containing
Different Length of Alkyl bridges in the 2011.07. 1단계
39 학회발표 김명석,김재홍 IFFM 2011 & AFM-2 국외
Multi-Chromophoric System for the 28~31 2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Dye-Sensitized Solar Cells from Cocktail
Dye Solutions to improve Light 2011.07. 1단계
40 학회발표 김명석,김재홍 IFFM 2011 & AFM-2 국외
Harvesting Properties in Wide range of 28~31 2차년도
Wavelengths
Enhancement of dye-sen photovoltaic
performance in Dye-sensitized solar NANO 2011.08. 1단계
41 학회발표 이정관, 김재홍 국외
cells with the spin-coated TiO2 blocking KOREA 2011 24~26 2차년도
layer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 ance
NANO 2011.08. 1단계
42 학회발표 of long wavelength absorbing squaraine 김명석,김재홍 국외
KOREA 2011 24~26 2차년도
ionic dy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Organic photosensitizers containing
different length of alkyl bridges in NANO 2011.08. 1단계
43 학회발표 김명석,김재홍 국외
multi-chromophoric system for the KOREA 2011 24~26 2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 24th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national 2011.12. 1단계
44 학회발표 high- porous TiO2 nanofibers by 정원호, 곽노석, 이광복, 황택성 국외
symposium on 02~04 2차년도
electrospinning utilization of glycerin
chemical engineering
Preparation of high porou TiO2
The 12th pacific 2011.12. 1단계
45 학회발표 Nanofibers by electro spinning utilization 정원호, 곽노석, 이광복, 황택성 국외
polymer conference 13~17 2차년도
of glycerine
Preparation of divinyl benzene –styrene
The 2nd IWNM and 2011.11. 1단계
46 학회발표 microsphere containing Li1.33Mn1.67O4 정원호, 곽노석, 황택성 국외
8th ISAMAP 02~05 2차년도
fo lithium adsorption from seawater
Preparation Li1.33Mn1.67O4 Sphere Bead The 3rd Asian
2011.09. 1단계
47 학회발표 by Calcinations Process and Li 정원호, 정재철, 곽노석, 황택성 Symposium on 국외
20~2 2차년도
Adsorption Properties Advanced Materials
Improvement of photocurrent convert
Kyoseung Sim, Shi-Joon Sung,
sion efficiency in dye-sensitized solar 2011 추계 2011.11. 1단계
48 학회발표 Dae-Hwan Kim, 국내
cells using a low electric resistive 공업화학회 02~04 2차년도
Jin-Kyu Kang
molybdenum electrode
Carbazole Based Dyes for Efficient 김효정,심교승, 조효정,성시준, 2011 추계 2011.11. 1단계
49 학회발표 국내
Dye-sensitized Solar Cells 김대환,강진규 공업화학회 02~04 2차년도

Multi-Functional Organic Dyes for 김효정,심교승, 조효정,성시준, 2012 춘계 2012.05. 1단계


50 학회발표 국내
Dye-Sensitized Solar Cells 김대환,강진규 공업화학회 09~11 2차년도
Bis-Donor and Bis-Acceptor branched
변여진,김효정, 2012 춘계 2012.05. 1단계
51 학회발표 Organic Sensitizers for Dye-Sensitized 국내
남정은,이창섭, 강진규 공업화학회 09~11 2차년도
Solar Cells
Synthesis of Organic Dye Based
2012 춘계 2012.04. 1단계
52 학회발표 9-EthylCarbazole for Dye-Sensitized 변여진,김효정, 이창섭,강진규 국내
대한화학회 25~27 2차년도
Solar Cells

- 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 Study on the gas phase reaction of 2011 추계 2011.10. 1단계


53 학회발표 신진호, 윤주영 국내
Zr Precursor for DRAM capacito 화학공학회 26~28 2차년도
A Study on the improve efficiency of
2011 추계 2011.11. 1단계
54 학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s using Atomic 신진호, 강상우, 김진태, 윤주영 국내
공업화학회 02~04 2차년도
Layer Deposition
A Study on the improve efficiency of
2011 추계 2011.11. 1단계
55 학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s using Atomic 신진호, 강상우, 김진태, 윤주영 국내
공업화학회 02~04 2차년도
Layer Deposition
강고루, 신진호, 차덕준, 고문규,
진공 원자층 증착 공정을 적용 한 2012.02. 1단계
56 학회발표 강상우, 김진태, 윤주영, 심교승, 2012 동계 진공학회 국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 개선 연구 18~10 2차년도
남정은
질소/산소 혼합가스 플라즈마 전처리를 강고루, 신진호, 차덕준, 고문규,
2012 추계 2012.05. 1단계
57 학회발표 통한 염료감응태양전 지의 광전극 변화 강상우, 김진태, 심승교, 남정은, 국내
공업화학회 09~11 2차년도
연구 윤주영
Preparation of high-porous TiO2
2011 추계 2011.10. 1단계
58 학회발표 nanofibers by electro spinning utilization 정원호, 황택성 국내
고분자학회 06~07 2차년도
of PVP-toluene solution
Synthesis of divinyl benzene -styrene
microsphere containing Li1.33Mn1.67O4 2011 추계 2011.11. 1단계
59 학회발표 정원호, 황택성 국내
and lithium 공업화학회 02~05 2차년도
adsorption from seawater
N-Ethyl and N-Phenyl Substituted Yeo Jin, Byun, Hyojeong Kim,
2012.08. 1단계
60 학회발표 Bi-carbazole Dyes for Dye-Sensitized Jung Eun Nam, Dae-Hwan Kim, IUMRS-IC A 2012 국외
27~31 3차년도
Solar Cell Jin-Kyu Kang
Molecular Design and Photovoltaic Hyo Jeong Jo, Jung Eun Nam,
Performance of Organic Dyes Containing Kyoseung Shim, Hyojeong Kim, 2012.08. 1단계
61 학회발표 IUMRS-IC A 2012 국외
Phenothiazine for Dye-Sensitized Solar Dae-Hwan Kim, Shi-Joon Sung, 27~31 3차년도
Cell Jae Hong Kim, Jin-Kyu Kang
Hyojeong Kim, Jung Eun Nam,
Bis-Donor Linked Organic Sensitizers for 2012.09. 1단계
62 학회발표 Shi-Joon Sung, Dae-Hwan Kim, 27th EU-PVSEC 국외
Dye-Sensitized Solar Cells 24~28 3차년도
Jin-Kyu Kang
Influence of Variou Conjugated Bridges Jin-Kyu Kang, Dae-Hwan Kim,
2012.07. 1단계
63 학회발표 in Bicarbazole Derivatives for Hyojeong Kim, Ju Young Yun, 24th IUPAC 국외
16~20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Jin Tae Kim
Characterization of the Adsorption of
Hyo Jeong Jo, Jung Eun Nam, 2012.09. 1단계
64 학회발표 Functional Organic Photosensitizer for E-MRS 2012 국외
Jae Hong Kim, Jin-Kyu Kang 17~21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Influence of π-Conjugation Units in
Organic Photosensitizers based on Hyo Jeong Jo, Jung Eun Nam, 2012.11. 1단계
65 학회발표 GPVC 2012 국외
Phenothiazine for Dye- Sensitized Solar Jae Hong Kim, Jin-Kyu Kang 19~21 3차년도
Cells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Jung Eun Nam, Hyo Jeong Jo, 2012.11. 1단계
66 학회발표 GPVC 2012 국외
Co-sensitized DSSCs with Organic Dyes Jae Hong Kim, Jin-Kyu Kang 19~21 3차년도
Fabrication of high-porous TiO2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Nanobio Seattle 2012.07. 1단계
67 학회발표 박희만, 손정우, 황택성 국외
utilization of PVP-ethylene glycol 2012 23~26 3차년도
solution
Molecular Design and Photovoltaic
Performances of Organic Dyes 2012.05. 1단계
68 학회발표 Mi Ran Jung, Jae Hong Kim ECS 2012 국외
containing Triphenylamine for Dye- 06~ 3차년도
sensitized Solar Cell
Effect of Spectral Overlap between
Energy Acceptors and Donor in the
Dae Young Jung, Jae Hong 2012.08. 1단계
69 학회발표 Först Resonance Energy Transfer IUMRS 2012 국외
Kim 26~31 3차년도
System for Quasi-solid 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
Highly Efficient and Stable Organic
Photo-Sensitizers based on
2012.09. 1단계
70 학회발표 Triphenylamine containing Mi Ran Jung, Jae Hong Kim ENGE 2012 국외
16~19 3차년도
Multi-anchoring Chromophor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Photovoltaic Performance of 2012.10.
남정은, 조효정, 2012 추계 1단계
71 학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 Based Gel 31~11.0 국내
허효정, 김재홍, 강진규 공업화학회 3차년도
Polymer Electrolytes and Organic Dyes 2

- 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Efficiently Organic Dyes based 2012.10.


변여진, 김효정, 남정은, 김대환, 2012 추계 1단계
72 학회발표 Phenothiazine and Phenoxazine for 31~11.0 국내
강진규 공업화학회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2
Synthesis of Organic Dyes containing 2012.10. 1단계
73 학회발표 변여진 김효정, 이창섭, 강진규 2012추계 대한화학회 국내
Bridge(π)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17~19 3차년도
Spectral Overlap effect between Energy
Acceptors and Donor in the Först NANO KOREA 2012.08. 1단계
74 학회발표 Dae Young Jung, Jae Hong Kim 국내
Resonance Energy Transfer System for 2012 16~18 3차년도
Quasi-solid State DSSCs
Preparation of Highly porous TiO2
2012 추계 고분자 2012.10. 1단계
75 학회발표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using 정원호, 이광복, 황택성 국내
학회 11~12 3차년도
PVP-ethylene glycol solution
Growth of vertically oriented singl
e-crystalline anatase TiO2 nanorods on 권순진, 정원호, 전누리, 송훈섭, 2012 추계 2012.10. 1단계
76 학회발표 국내
transparent conducting substrates for 이광복, 황택성 화학공학회 25~26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Growth of Vertically Oriented TiO2 2012 추계 1단계
77 학회발표 권순진, 김진철, 전누리, 이광복 2012.11.16 국내
Nanorods on FTO Glass 청정기술학회 3차년도
2012.10.
Effect of plasma treatment with O2, Ar 2012 추계 1단계
78 학회발표 강고루, 차덕준, 김진태, 윤주영 31~11.0 국내
and N2 gas on porous TiO2 for DSSC 공업화학회 3차년도
2
2012.10.
Thermal Property of TEMAZ for 2012 추계 1단계
79 학회발표 안종기, 차덕준, 김진태, 윤주영 31~11.0 국내
Atomic layer 공업화학회 3차년도
2
Effect of Plasma Treatment with O2, Ar
and N2 gas on 강고루, 심섭, 2012.08. 1단계
80 학회발표 2012 하계 진공학회 국내
porous TiO2 for Improving 차덕준, 김진태, 윤주영 20~22 3차년도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lkyl
chain length on charge transfer at Hyo Jeong Jo, Jung Eun Nam,
2013 E-MRS fall 2012.09. 1단계
81 학회발표 TiO2/Dye/Electrolyte interface for Dae-Hwan Kim, 국외
meeting 17~21 4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novel Jin-Kyu Kang
organic dyes
Ion Sputtering of Pt as Counter
Hyo Jeong Jo, Jung Eun Nam,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2013.11. 1단계
82 학회발표 Dae-Hwan Kim, GPVC 2013 국외
Employing Cobalt-based Redox 23~26 4차년도
Jin-Kyu Kang
Electrolyts
The effect of novel organic dyes on the Jung Eun Nam, Hyo Jeong Jo,
2013.11. 1단계
83 학회발표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ae-Hwan Kim, GPVC 2013 국외
23~26 4차년도
with cobalt based electrolytes Jin-Kyu Kang
Enhance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Jung Eun Nam, Hyo Jeong Jo,
2013.06. 1단계
84 학회발표 oriented TiO2 nanorods on TCO Dae-Hwan Kim, IFFM 2013 국외
27~29 4차년도
substrat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Jin-Kyu Kang
Improved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Hyo Jeong Jo, Jung Eun Nam,
2013.06. 1단계
85 학회발표 solar cells with novel conjugated organic Dae-Hwan Kim, IFFM 2013 국외
27~29 4차년도
dye using Al2O3 coated nanoporous Jin-Kyu Kang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 rmance
2013.11. 1단계
86 학회발표 of Multi-Functional Porp hyrins for 김영락,김재홍 ICAE 201 국외
11~13 4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Optimization of Organic Sensitizing
2013.11. 1단계
87 학회발표 System for Dye-sensitized solarcells 김영락,김재홍 ICAE 201 국외
11~13 4차년도
composed of ZnO photo electrode
Soon Jin Kwon, Hoon sub Song,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Nu Ri Jeon, Jung Eun Nam, 2014.04. 1단계
88 학회발표 Characteristics of Anatase–Rutile Hybrid 2014 APMAS 국외
Jin-Kyu Kang, Taek Sung Hwang, 24~27 4차년도
TiO2 Nano-structures
Kwang Bok Yi
OrganicPhotosensitizersDesign Jin-Kyu Kang, Hyo Jeong Jo,
2014.05. 1단계
89 학회발표 ApproachforEfficientPhotocurrent Jung Eun Nam, Dae-Hwan Kim, HOPV 2014 국외
10~14 4차년도
Generationindye-sensitizedsolar cells Ju-Young Yun
Highly Efficient Organic Photosensitizers
Hyo Jeong Jo, Jung Eun Nam,
based on N-Phenylphenothiazine 2014.05. 1단계
90 학회발표 Dae-Hwan Kim, HOPV 2014 국외
Chromophore for Dye-sensitized Solar 10~14 4차년도
Jin-Kyu Kang
Cells

- 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Organic Photosensitizers composed of


2013.11. 1단계
91 학회발표 Triphenylamine Chromophore for 김영락, 김재홍 A-COE 201 국외
13~15 4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Improvement of Photovoltaic Per
2013.11. 1단계
92 학회발표 formance of Multi-anchoring Organic 김재홍 A-COE 201 국외
13~15 4차년도
Dy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Enhanced Performance of the Dye_
sensitized Solar Cells with Phenothi 2013 춘계 2013.05. 1단계
93 학회발표 김효정,남정은, 조효정,강진규 국내
azine_Based Dyes Containing Two 공업화학회 01~03 4차년도
Asymmeric Donor-π- Acceptor Chains
Improved performance of Dye-
2013 춘계 2013.05. 1단계
94 학회발표 Sensitized Solar Cells by using Pt ion 강진규,남정은, 조효정 국내
공업화학회 01~03 4차년도
sputtering as counter electrode
Novel conjugated organic dye for 2013 춘계 2013.05. 1단계
95 학회발표 강진규,조효정, 남정은,김대환 국내
dye-sensitized solar cells 공업화학회 01~03 4차년도
Sputtering 법으로 제작된상대전극 과
2014 춘계 2014.04. 1단계
96 학회발표 Co(Ⅱ/Ⅲ)계 전해질이 적용된 염료감응 남정은,조효정, 김대환,강진규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태양전지 특성 연구
Effect of alkyl chain length on charge
2014 춘계 2014.04. 1단계
97 학회발표 transfer at interface for dye-sensitized 조효정,남정은, 김대환,강진규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solar cells based on organic sensitizers
Photovoltaic Performance of Organic
Photosensitizers based on Pheno 2013 추계 2013.11. 1단계
98 학회발표 김영락, 김재홍 국내
thiazine-Electron Donor for Appli cation 전기화학회 07~09 4차년도
of Dye-Sensitized Solar Cell
Photovoltaic Performance of an Ultra
thin TiO2 Layer on ZnO nanorod by
2013 추계 2013.11. 1단계
99 학회발표 Atomic Layer Deposition and Catalytic 박지영, 김재홍 국내
전기화학회 07~09 4차년도
Activity of Pt Counter Electrodes
Applying ZnO nanorod
Quasi-soild-state polymer based on
2013 추계 2013.11. 1단계
100 학회발표 cobalt and iodide electrolytes Containing 전병철, 김재홍 국내
전기화학회 07~09 4차년도
Organic dy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신규 유기 광감응제 합성 및 이를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1 학회발표 이치환, 김재홍 국내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특성 평가 한국태양광 발전학회 02~03 4차년도

Type Resonance Energy Transfer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2 학회발표 김영락, 김재홍 국내
System을 적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제작 한국태양광 발전학회 02~03 4차년도

Catalytic Pt-ZnO counter electrodes for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3 학회발표 박지영, 김재홍 국내
Dye-sensitized solar cells 전기화학회 10~12 4차년도

Photovoltaic Performance of Porph yrins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4 학회발표 김영락, 김재홍 국내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전기화학회 10~12 4차년도
Enhanced Performance of Dye
Co-sensitized Solar Cells prepared from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5 학회발표 김영락,김재홍 국내
the One-bath Mixed Dye Solution 화학공학회 23~25 4차년도
Process
Organic Sensitizers containing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6 학회발표 Triphenylamine Chromophore for 이치환, 김재홍 국내
화학공학회 23~25 4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Cobalt 전해질을 적용한 준고체형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7 학회발표 박지영, 김재홍 국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효율개선 연 구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Efficient Organic dye composed of
Phenothiazine and Carbazole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8 학회발표 이치환, 김재홍 국내
Chromophore for Dye-sensitized Solar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Cells
염료의 염착속도 제어를 통한 Dye 2014 춘계 2014.04. 1단계
109 학회발표 김영락, 김재홍 국내
Co-sensitized Solar Cell 효율 향상 기술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Synthesis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0 학회발표 of Porphyrins for Dye-sensitized Solar 김영락, 김재홍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Cells
Photovoltaic Performance of the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1 학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s Composed of 김영락, 김재홍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ZnO Photoelecrodes

- 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ZnO nanorod의 TiO2 Atomic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2 학회발표 Layer Deposition 표면처리에 따른 박지영, 김재홍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ZnO-DSSC 광전변환 효율의상승
Long alkyl chain으로 연결된유기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3 학회발표 광감응제 합성 및 이를 적용한 염 이치환, 김재홍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료감응형 태양전지 특성평가
플라즈마 원자증착기술과 원자증착
기술로 제작된 TiO2-Al2O3 (core-shell) 2013 하계 2013.08. 1단계
114 학회발표 김진태, 윤주영 국내
입자의 염료감응태양전 지 광전극 특성 한국진공학회 21~23 4차년도
비교
TiO2-Al2O3 초박막 이중층 껍질를
2013 추계 2013.10. 1단계
115 학회발표 가진 다공성 TiO2 광전극 염료감응 강고루,차덕준, 김진태,윤주영 국내
공업화학회 30~11.01 4차년도
태양전지
PEALD와 ALD을 이용한 다공성 2014.02. 1단계
116 학회발표 강고루,차덕준, 김진태,윤주영 2014 동계 진공학회 국내
기판의증착특성비교 12~14 4차년도
Study on the 3-D surface treatment of
porous TiO2 used in DSSC using Plasma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7 학회발표 Enhanced Atomic Layer Depo sition: 3D 강고루, 김태성, 김진태, 윤주영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surface treatment and Impr oved open
circuit voltage of DSSC
박막 태양전지용 증착장비 진단기 윤주영, 송제범, 김진태, 신재수,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8 학회발표 국내
술연구 홍장식,왕 현철, 한성호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Preparation of high porous TiO2
2014 춘계 2014.04. 1단계
119 학회발표 nanofiber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정경석, 황치원, 이광복, 황택성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by electrospinning
The hollow TiO2 nanofibers for
2014 춘계 2014.04. 1단계
120 학회발표 dye sensitized solar cells by electro 정경석, 황치원, 이광복, 황택성 국내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spinning
Preparation Method of Aligned
권순진,임효빈, 2014 춘계 2014.04. 1단계
121 학회발표 Rutile-Anatase TiO2 Nanostructures 국내
변창기,황택성, 이광복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TiO2 나노 2014 춘계 2014.04. 1단계
122 학회발표 이광복, 황택성, 권순진, 정경석 국내
구조체 합성과 특성평가 연구 공업화학회 30~05.02 4차년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향상을 위한 임효빈, 권순진, 변창기, 황택성, 2014 춘계 2014.03. 1단계
123 학회발표 국내
rutile TiO2 나노로드 길이성장 연구 이광복 청정기술학회 27~28 4차년도
Effect of Thickness of Electrosprayed
Journal of
TiO2 Photoelectrode for Application in 남정은, 김정화, 조효정, 강진규, 2단계
124 논문게재 Nanoscience and 2016.10 국외 SCI
Transparent Yellow Color Dye-Sensitized 황대규 1차년도
Nanotechnology
Solar Cells
Effect of Structural Non-Planarity and
Conjugated Unit of Novel Bicarbazole 조효정, 남정은, 김효정, 김대환, Science of Advanced 2단계
125 논문게재 2016.07 국외 SCIE
Derivatives for Dye-Sensitized Solar 황대규, 강진규 Materials 2차년도
Cells
Quasi-solid state electrolyte for
semi-transparent bifacial dye-sensitized Journal of power 2단계
126 논문게재 황대규, 남정은, 조효정, 성시준 2017.09 국외 SCI
solar cell with over 10% power sources 3차년도
conversion efficiency
Controlled fabrication of mesoporous
TiO2 hierarchical structures as scattering 황대규, Phys. Chem. Chem. 2단계
127 논문게재 2016.12 국외
layers to enhance the power confersion 성시준 phys. 2차년도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spray Preparation of TiO2
2단계
128 학회발표 Photoelectrode for 남정은, 조효정, 강진규, 황대규 KPVS 2016 2016.10.13 국외
2차년도
Organic-Dye-Snesitized Solar Cells
Effect of Electrolyte Components on the
2단계
129 학회발표 Performance of Organic-Dye-Sensitized 남정은, 조효정, 강진규, 황대규 ENGE 2016 2016.11.08 국외
2차년도
Solar Cells
Effect of Thickness of Electrospun Ti02
남정은, 김정화, 조효정, 강진규 IUMRS-ICAM 2단계
130 학회발표 Photoelectrode on the performance of 2015.10.28 국외
황대규 2015 1차년도
Organic-Dye-Sensitized Solar Cells
Design of organic dyes and cobalt based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황대규, 2015.11. 2단계
131 학회발표 redox couples for high efficiency PVSEC 국외
강진규 08 1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Influence of the conjugating linker size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황대규, IUMRS-ICAM 2단계
132 학회발표 in push-pull organic dyes for 2015.10.28 국외
강진규 2015 1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 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nfluence of Donors Units in Organic


Photosensitizers Based on Heterocyclic 2단계
133 학회발표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강진규 IMID 2015 2015.08.21 국외
Derivatives for Dye-sensitized Solar 1차년도
Cells
Structural Planarity and Conjugation
Effects of Multi-Carbazole Derivatives 2단계
134 학회발표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강진규 IMID 2015 2015.08.21 국외
Organic Dyes for Dye-sensitized Solar 1차년도
Cells
Improve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2단계
135 학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남정은, 조효정 김대환, 강진규 IMID 2015 2015.08.21 국외
1차년도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of
steric effect in multi-anchoring organic
2단계
136 학회발표 sensitizer containing different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강진규 E-MRS 2015 2015.05.14 국외
1차년도
heterocyclic group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an organic photosensitizer featuring MCARE 2단계
137 학회발표 조효정, 남정은, 김대환, 강진규 2015.02.25 국외
phenoxazine and phenothiazine 2015 1차년도
derivatives as donors
Synthesis and investigation of Le Quoc Bao, Ho Phuong, Chau
triphenylamine-based double branched Thi Thanh Thuy, Ji Won Lee, molecular crystals 2단계
138 학술지게재 organic dyes for p-type dye-sensitized Jae Hong Kim, and Suresh and liquid crystals 국외 SCI
3차년도
solar cells Thogiti*
Effect of LiI/I2 concentration and
photoelectrode thickness on the Le Quoc Bao, Chang Hee Son, molecular crystals 2단계
139 학술지게재 photovoltaic properties of NiO-based Kwang-Soon Ahn, Jae Hong Kim, and liquid crystals 국외 SCI
and Suresh Thogiti* 3차년도
p-type dye-sensitized solar cells
Enhanced Efficiency via Blocking Layers Phuong Ho, Suresh Thogiti**, Le
at Photocathode Interfaces in Quoc Bao, Rajesh Cheruku, ELECTROCHIMICA 2단계
140 학술지게재 국외 SCI
Cobalt-Mediated Tandem Dye-Sensitized Kwang-Soon Ahn, ACTA 3차년도
Solar Cells Jae Hong Kim*
New Photosensitizers containing Jung Min Cho1, Chan Thi Thanh
Carbazole chromophore for Thuy1, Rajesh Cheruku1, Yoon 2단계
141 학술대회발표 GPVC 2017.03 국외
Dye-Sensitized Solar Cells application Soo Han2, Jae Hong Kim1* 3차년도

코발트 및 구리를 적용한 전해질의 김동우, 손창희, Le Thi Thuy, 2단계


142 학술대회발표 한국고분자학회 2017.04 국내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소자 특성평가 Suresh Togiti, 안광순 and김재홍* 3차년도
Solution Treated PEDOT as Efficient Ji Seon Kim, Dong Woo Kim,
Counter Electrode : Le Thi Thuy, Rajesh Cheruku, 2단계
143 학술대회발표 한국공업화학회 2017.05 국내
Improved Performance of DSSCs Jae Hong Kim* 3차년도

Chang Hee Son, Dong Woo Kim,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Ji Seon Kim, Chau Thi Than 2단계
144 학술대회발표 염료감응형태양전지의 상대전극 최적화 Thuy, Thogiti Suresh, Jae Hong 한국에너지기후변화 2017.05 국내
Kim* 학회 3차년도

Organic dyes with complementary Ji Seon Kim1, Chau Thi Thanh


absorption for TiO䔖ased dye sensitized Thuy1, Yoon Soo Han2, Jae 2단계
145 학술대회발표 solar cells Hong Kim1 KJF 2016.09 국외
3차년도

Methine chain dependence of the


Jung Min Cho1, Yong Hui Lee1,
charge transfer and diffusion length on Suresh Thogiti1, Yoon Soo Han2, 2단계
146 학술대회발표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in double KJF 2016.09 국외
and Jae Hong Kim1* 3차년도
branched organic dyes for DSSC

Single branched vs. double branched Dong Woo Kim, Ho Phuon,


Triphenylamine-based organic dyes for Kwang-soon 2단계
147 학술대회발표 dye-sensitized solar cells. Ahn, Jae Hong Kim* KJF 2016.09 국외
3차년도

preparation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novel ullazine-based Chang Hee Son, Le Quoc Bao, 2단계
148 학술대회발표 organic sensitized Suresh Thogiti, Jae Hong Kim* KJF 2016.09 국외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3차년도

Synthesis and investigation of anchoring


ChangHee Son, Ramesh Kunar
unit effect in blue-colored isoindigo-based 3단계
149 학술대회발표 Chitumalla, Joonkyung Jang, Dyes and Pigment 2018예정 국외 SCI
D-A-π-A organic dyes for dye-sensitized 1차년도
Suresh Thogiti, Jae Hong Kim
solar cells
Hyeonjun Jeong, Ramesh
Kumar Chitumalla, Dong Woo
The comparative study of new
Kim, Suresh Thogiti, Rajesh ELECTRONIC 3단계
carboxylated 1,3-indanedione sensitizers
150 학술대회발표 Cheruku, Joonkyung Jang, Jae MATERIALS 2018예정 국외 SCI
with standard cyanoacetic acid dyes using 1차년도
Hong Kim, LETTERS
co-adsorbents in dye sensitized solar cells
Ganesh Koyyada*, Jae Hak
Jung*
Long-Term Stable 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Yu Jeong Jang, Suresh Thogiti *,
151 논문게재 Cells Assembled with Solid-State Kang-yong Lee * and Jae Hong Crysrals 2019.09.01. 국외 SCI-E 3단계
Polymerized Kim
Hole-Transporting Material 3차년도

- 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Ganesh Koyyada 1
A New Series of EDOT Based , Ramesh Kumar Chitumalla 2
Co-Sensitizers for Enhanced Efficiency , Suresh Thogiti 1 3단계
152 논문게재 of Cocktail DSSC: , Jae Hong Kim 1, molecules 2019.10.01. 국외 SCI-E
A Comparative Study of Two Different Joonkyung Jang 2 3차년도
Anchoring Groups , Malapaka Chandrasekharam
3,4,* and Jae Hak Jung 1,*
Band Gap Engineering for the
Photoan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Ha Lim Cha1,RajeshCheruku1, 3단계
153 학회발표 with Mo-doped in TiO2 to enhance the Suresh Thogiti1, Do Kyung 2019 KJF-ICOMEP 2019.08.28.
Electron Diffusion Length and Lee2*,Jae Hong Kim1* 3차년도
Correcting Efficiency
Förster Typ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Effect in combination of Gyu Ho Shin1, Guk Gyeong Yu1, 3단계
154 학회발표 Porphyrin Energy Acceptor and Organic Ganesh Koyyada1,DoKyungLee2*, 2019 KJF-ICOMEP 2019.08.28.
Fluorescent Energy Donors for All-Solid Jae Hong Kim1* 3차년도
state DSSCs
Optimization of Photovoltaic
performance for the Low-Temperature Sang Jin Kim1, Hyun Jo Kim1, Se 3단계
155 학회발표 processed Flexible and All-solid state Hyen Kim2*,JaeHongKim1* 2019 KJF-ICOMEP 2019.08.28.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Optimization of Mo-doped TiO2
Photo-electrode to enhance the Ha Lim Cha, Rajesh Cheruku, 2019 추계 3단계
156 학회발표 Photovoltaic Performance in Suresh Thogiti, Jae Hong Kim* 2019.10.31.
한국공업화학회 3차년도
Dye-sensitized Solar Cells
Band Gap Engineered W-Doped TiO2 Ha Lim Cha, Woo Sung Son,
Blocking Layer: Evidence of Cascade 2019 춘계 3단계
157 학회발표 Energy Level in Semiconductor for Suresh Thogiti, Rajesh Cheruku, 2019.05.02.
Jae Hong Kim* 한국공업화학회 3차년도
Efficienct Dye-Sensitized Solar Cell
Porphyrin Acceptor with Different
Organic Fluorescent Energy Donors for Ha Lim Cha1, YeongSeoLee1, 2019 춘계 3단계
158 학회발표 Förster Type Resonance Energy Ganesh Koyyada1,DoKyungLee2*, 2019.05.02.
transfer: Efficient Quasi-Solid State Jae Hong Kim1* 한국공업화학회 3차년도
DSSC.
Enhanced photovoltaic performance in Yu Jeong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2019 춘계 3단계
159 학회발표 Jang1,SangJinKim1,SeHyenKim2*,J 2019.05.02.
through low temperature treatment of aeHongKim1* 한국공업화학회 3차년도
TiO2 photoanode using UV-irradiation
Nanocrystalline MoO3/Dibromo-EDOT as
a hybrid HTM to enhance the electron Jae Hong Kim*, Rajesh Cheruku, 2019 춘계 3단계
160 학회발표 injection efficiency in the Solid-State Thogiti Suresh 2019.05.02.
한국공업화학회 3차년도
DSSCs

3. 기술이전 실적 (해당사항 없음)

번호 기술이전 내역 대상국명 대상기관명 이전일시 수입금액(백만원) 발생차수

차년도

차년도

차년도

차년도

4. 인증/포상 실적 등 (국내 및 국외) : 해당사항 없음

번호 구분 명칭 일시 국명 수여기관명 발생차수

차년도

차년도

차년도

차년도

5. 사업화 계획 및 매출 실적
현재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은 시장개화 전단계로서 시장창출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시도
되고 있어 시장상황을 예측하기 쉽지 않으나, 기존 시장조사 전망을 기반으로 사업화 계획 수립하

- 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였음.

(주식회사 씨엠디엘)

항목 세부 항목 성과
사업화 소요기간(년) 1년
소요예산(백만원) 300

예상 매출규모 현재까지 3년후 5년후


(억원) 0.6 7.85 20

사업화 계획 단위(%) 현재까지 3년후 5년후


시장
국내 50% 60% 70%
점유율
국외 0 20% 30%
향후 관련기술, 제품을
1) 저조도향 유기염료 및 BIPV향 Ru 염료 개선
응용한 타 모델, 제품
2)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개발계획
(단위 : 억원) 현재 3년후 5년후
무역 수지
수입대체(내수) 0.1 0.78 20
개선 효과
수 출 - 7.1 5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항목 세부 항목 성과

사업화 소요기간(년) 3년

소요예산(백만원) 20,000

예상 매출규모 현재까지 3년후(실내/실외) 5년후(실내/실외)


(억원) - 7/85 19.6/112

사업화 계획 단위(%) 현재까지 3년후(실내/실외) 5년후(실내/실외)


시장
국내 - 13/27 13/31
점유율
국외 - 6/23 4/29
향후 관련기술, 제품을
1) 실내향 모듈 전압 series 개발
응용한 타 모델, 제품
2) 실외향 모듈 size up
개발계획
(단위 : 억원) 현재 3년후(실내/실외) 5년후(실내/실외)
무역 수지
수입대체(내수) - 1.4/10 5.6/12
개선 효과
수 출 - 5.6/75 14/100

(주식회사 제림이엔지)

- 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항목 세부 항목 성과

사업화 소요기간(년) 3년

소요예산(백만원) 300

예상 매출규모 현재까지 3년후 5년후


(억원) 0.6 9 15
단위(%) 현재까지 3년후 5년후
시장
사업화 계획 국내 5% 20% 30%
점유율
국외
1) 태양난간에 DSC외 박막형 태양광모듈접목 :솔라트리, 버스
승강장, 파고라, 캐노피 등에 확대 적용
향후 관련기술, 제품을
2) 태양광 발전량을 경관조명 외에 휴대폰충전,환경경보 표시
응용한 타 모델, 제품
등(미세먼지농도,기온,습도 표시)에 활용해 사용영역 확대
개발계획
3) 경관조명에 강화유리+LED+DSC 외에 도광판+LED +DSC+박
막형태양광전지 접합 활용
(단위 : 억원) 현재 3년후 5년후
무역 수지
수입대체(내수)
개선 효과
수 출

6. 고용 창출 (연구인력 2명 증가)

항목 세부 항목 성 과
연구인력 32 명
개발 전
생산인력 명
고용 효과
연구인력 34 명
개발 후
생산인력 명

7. 기타 성과

8. 변경 이력

Ÿ 주관기관 변경
‘㈜스킨앤스킨’에서 인적/물적분할된‘㈜씨엠디엘’로 변경(과제 양수도 계약) : 2018. 12. 20
Ÿ 참여기관 ㈜동진쎄미켐 책임자 변경
‘김종복’퇴사로 ‘이주철’로 변경 : 2019. 09. 17

- 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편집순서 4

목 차

제 1 장 서론 24
제 1 절 과제의 개요 24

제 2 장 과제 수행의 내용 및 결과(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36


제 1 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36
제 2 절 단계 목표 및 평가 방법 41
제 3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 46
제 4 절 수행 결과의 보안등급 60

제 3 장 결과 61
제 1 절 연구개발 최종 결과 61
- 연구개발 추진 일정 61
- 연구개발 추진 실적 64
제 2 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 102
- 각 기관/기업별 역할 및 추진 내역 102
제 3 절 고용 창출 효과 104
제 4 절 자체보안관리진단표 105
제 5 절 안전관리 이행 현황 108
※ 사업계획서 상 연구실(연구시설 및 장비 포함) 안전 조치 이행계획 관련 실적을 작성

제 4 장 사업화 계획 109
제 1 절 시장 현황 및 전망 109
제 2 절 사업화 계획 110
- 사업화 소요기간, 예상 매출 규모, 시장 점유율, 마케팅 계획 등을 기재
제 3 절 향후 추가 기술 개발 계획(개발기술 응용 등) 113

부 록 : 시험성적서, 도면, 설계도 등

- 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장 서론

제 1 절 과제의 개요
Ÿ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문제와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혁신적 원가
절감이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개발이 필요함.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투입소재의 자원적 제약이 없고 상압저온공정으로 소량다품종 생산이 가능
하고 실내 및 실외에서 발전이 가능 하는 등 응용범위가 넒음.
Ÿ 그러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응용기술 별 적합한 염료소재의 안정적이며 저
가격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고성능 고신뢰성 서브모듈 기술을 확보
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특장점을 활용한 응용기술의 발굴과 실증 모니터링을 통한 시장창출
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Ÿ 이를 위하여 본 과제를 기획하고 추진하였음.

1단계 2단계 3단계


원천염료소재 기술개발 상용화 기반기술을 위한 염료 상용염료와 원천염료 소재의
소재(상용염료와 원천염료) 선 중량생산 기술개발,
목적 정 및 중량합성 기술개발 서브모듈 기술개발,
응용상품 기술개발

Ÿ 핵심소재(염료,전해질) Ÿ 상용염료 중량합성기술 Ÿ 염료(실내향, 실외향) 중량


기술개발 Ÿ 원천염료 고순도 합성기술 생산 기술
Ÿ 원천염료 기술개발 Ÿ 셀 요소 기술 Ÿ 응용별 서브모듈 기술
범위
Ÿ 셀 기술 개발 Ÿ 서브모듈 기술 Ÿ 응용기술 도출 및 실증모니
터링

Ÿ 대구경북과학기술원 Ÿ (주)씨엠디엘 Ÿ (주)씨엠디엘


Ÿ 영남대학교 Ÿ (주)동진쎄미켐 Ÿ (주)동진쎄미켐
참여
Ÿ 한국표준과학연구원 Ÿ 영남대학교 Ÿ 영남대학교
기관 Ÿ 충남대학교 Ÿ 대구경북과학기술원 Ÿ (주)제림이엔지

1. 연구 배경
Ÿ 기후변화는 이번세기에 가장 중요한 이슈로서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이하
로(적어도 1.5℃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며,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개선으로 2050년까지
CO2발생의 90%를 줄이는 것이 필요.
Ÿ 2050년 세계 발전원 구성은 화석발전은 줄어들고 태양광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구성은 큰 폭
으로 늘어날 전망, 2050년까지 신규 건설되는 발전소의 약 70%가 태양광 및 풍력으로 건설될
전망
Ÿ 2050년까지 설치 예상 20,000GW 중 태양광 발전이 8,519GW로 43%를 차지할 전망, 풍부한 자원
량, 설치용이성, 가격경쟁력 등을 갖춘 태양광 발전의 성장성이 타에너지원 대비 가장 높으며,
발전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 전망

- 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망

Ÿ 2050년까지 석탄 및 가스발전의 신규 설치량은 각각 650GW, 900GW에 불과, 2016년 30%에 달


했던 석탄발전 비중은 2040년 13%에 불과하며, 가스발전 역시 14%로 비중이 크게 낮아질 전망

그림 2. 태양광발전에너지 비율 그림 3. 태양광발전단가 전망

Ÿ 연간 세계 태양전지 설치량은 2018년 94GW에서 2030년 270GW, 2050년 372GW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Ÿ 2018년 세계에 설치된 누적 태양전지 규모는 480GW에 이르고 2000년 이후 연평균 43%의 성장
율을 보이고 있으며, 누적 설치규모는 2030년 2,840GW에서 2050년 8,519GW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되어 현재의 18배에 해당됨.

- 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 세계 태양전지 연간 및 누적 설치규모 전망

Ÿ 태양전지의 보급 확대에 따라서 저가형 차세대 에너지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점차 증대되고 있


음. 특히 태양전지가 에너지 시장의 주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소재 기반의 저가형 차
세대 태양전지가 필요한데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이러한 요구에 잘 부합함.

2. 개발 대상 기술․제품의 개요

2-1. 기존 태양전지

Ÿ 태양전지 종류에 따라 실리콘 태양전지와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


며, 현재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태양전지는 단결정 및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화합물반도
체 박막태양전지(CIGS, CdTe)임.

그림 5. 태양전지 종류별 시장단계

Ÿ 무기계 태양전지 소자의 장단점 :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 반도체의 p-n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 실리콘 계열과 비정질 실리콘 계열로 구분됨. 이
중 결정 실리콘계열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전환 효율은 비정질 실리
콘계열에 비하여 우수하지만 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소용되는 시간과 에너지로 인하여 생산

- 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성이 떨어짐. 비정질 실리콘 계열의 경우 결정 실리콘과 비교하여 광흡수성이 좋고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지만 진공 프로세서가 요구되는 등 설비 면에서 비효율적임.
Ÿ 결정질 Si-태양전지의 대체 물질로 CIGS와 CdTe등의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는
결정질 Si-태양전지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타 대체에너지원과 비교시
여전히 가격 경쟁력이 취약한 상태임. 또한, 대면적 셀 제작 시 국부적인 shortage 발생 문제로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음.

2-2. 개발대상 기술(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개요

(1) 염료감응 태양전지 구동원리


Ÿ 염료감응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 DSSC)는 1991년 스위스 EPFL대학 마이클 그래첼
교수 그룹에서 기존 n형 단결정 평면구조에서 n형 나노반도체입자 구조체로 변경하여 광흡수체
인 염료의 흡착량을 극대화시키고 광가둠효과를 극대화하는 구조와 가시광에서 광감응 효율이
우수한 Ru계 광감응염료를 적용하므로 광전기화학 태양전지의 외부양자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여 광전변환효율을 7.12%로 Nature지에 발표하였음.

그림 6. 스위스 EPFL,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 이력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 및 작동 원리 (그림 7) : 태양광이 염료분자에 흡수되면 염료분자는


기저상태(HOMO)에서 여기상태(LUMO)로 전자전이하여 전자-홀 쌍을 만들고, 여기상태의 전자는
광전극TiO2(conduction band)로 주입되며, 주입된 전자는 기판 위의 투명 도전체 계면을 통하여
외부회로를 흘러 상대전극으로 이동함. 전자천이 결과로 산화된 염료는 전해질 내 산화-환원 커
플에 의해 환원되고, 산화된 이온은 전하중성(charge neutrality)을 이루기 위해 상대전극의 계면
에 도달한 전자와 환원 반응을 함으로서 전력을 생성하게 됨.

그림 7. DSC 구조 및 원리 그림 8. DSC 이론적 효율

- 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현재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이론적으로 단일 접합 구조에서 효율 20% 정도까지 달성 가능함. 이


를 위하여 광대역 고흡광 염료기술개발이 시급하며, 높은 개방전압을 위한 신규전해질 기술개발
이 필요함.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광전기화학 기반 태양전지로 기존 PN 접합 태양전지 기술과는 다른 특성
을 가지고 있어 응용 및 주변기술과의 융·복합에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함.

그림 9. PN접합 vs. 염료감응 태양전지 등가회로 비교

(2)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징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광흡수물질인 염료의 종류에 따라 칼라화가 가능하고, 비교적 후막으로서
인쇄공정에 의한 이미지 형상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다공성 반도체 나노입자 기반으로 반투명이
가능함. 유연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휘거나 구부릴 수 있어 자유로운 모양으로 접어서 휴대하여
충전도 가능함.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태양광발전 효율의 입사각 의존성이 적어 산란광이나 건물의 입면에 설치
되어도 동일 설치전력에서 타 태양전지 대비 총발전량이 우수하다는 특성 등의 이유로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응용에 적합함.
Ÿ 동일 전력 기준으로 환산하면 LCOE (Levelized Cost of Energy)에서 타 태양전지 대비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남향에서 평균 20%, 북향에서 최대 60% 발전량이 우수한 결과를 실증 (호주 Dyesol
社, 일본 Fujikura 社)에서 발표.

그림 10. DSC 디자인 태양전지 그림 11. DSC 저조도 고효율 태양전지

- 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2. 산란광 발전이 우수한 태양전지 그림 13. 산란광 발전 적산 효율 우수

(3)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 수상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기본구조는 광전극과 촉매전극 사이에 전해질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로
광전극 구조는 광투과 도전성 박막 위에 반도체 나노입자를 이용해 표면적을 극대화한 다공성
산화물 막과 여기에 광흡수물질인 염료를 흡착한 구조임.
Ÿ 응용기술에 따라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며, BIPV향 모듈을 위해서는 유리기판을 적용한 투명전극
에 칼라풀 염료로 디자인성을 강조하고 신뢰성 향상을 위한 W-type 모듈구조가 바람직
Ÿ 또한 저조도 실내향 응용조건으로 IoT sensor향 독립전원을 고려하는 경우 경박단소조건을 만족
해야하므로 유연기판을 적용하고 저온 소성이 가능한 광전극 기술과 고체전해질을 적용하고
Z-type 모듈구조로 작은 면적에서 실용수준의 전압을 도출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
Ÿ 궁극적으로 전기화학 태양전지로서의 액체 전해질은 신뢰성이슈를 극복하기 어려우므로 염료감
응 태양전지는 성능이 우수한 고체전해질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고체전해질과 에너지전달이 우수
한 핵심소재(염료, 촉매전극)의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서브모듈 공정 기술
개발이 필요.

그림 14. 염료감응태양전지 Tech tree

- 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염료감응 태양전지 국내외 개발 동향

전세계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은 1997년 EPFL의 11.3% 공인효율 이래 22년이 흐른 2019.
6월 EPFL의 단일셀 12.3% 공인효율 발표가 보여주듯 혁신적인 기술개발이 없는 상황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로부터 진화한 전고체 PSC(perovskite solar cell) 기술 개발이후 대부분의 염료감응태양전
지 연구기관(대학교, 연구소)과 인력이 옮겨간 상황이며, 일부 산업체에서 현재 수준의 염료감응 태
양전지 성능에 기반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장점을 활용한 응용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그림 15. NREL, Best Research Cell Efficiency

가. 유럽 연구동향
Ÿ 스위스연방공대(EPFL), 그래첼 박사팀은 Dynamo DSSC Conference 2019(2019.10.14.)에서 염료감
응태양전지 셀 효율 14.5% (Cu-전해질, 칼테일 염료, 염착 최적화)를 발표, 기존 최고효율(14.1%)
에서 0.4% 개선, 효율의 핵심요소인 Voc, Jsc, FF를 개선할 수 있는 요소기술을 적용하여 달성하
였으며, 특히 Cu-전해질을 적용하여 Voc를 1.0Volt이상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주요 요인.

- 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6. 스위스 EPFL, 고효율 DSC 셀 결과(14.5%)

Ÿ 덴마크, Roskilde 대학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한국의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제작


30X30cm2 서브모듈) 신뢰성 모니터링, DSSC의 열화는 염료의 열화에 기인하는데, 전해질에 포
함되어 있는 수분은 염료의 turn-over 수를 감소시켜 열화를 촉진. 특히 light-soakng 조건에서
의 수분이 염료열화에 미치는 영향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본 신뢰성 모니터링 결과(전해질에 포
함된 물과 pyridine의 반응)로부터 확인하고 Ru염료의 수명개선을 위해서는 제조단계의 염료에
서 수분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모듈 제조시에도 전해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최
소화하는 것이 신뢰성 향상에 주요한 원인으로 규명.

그림 17. DSC 서브모듈 열화원인 규명

Ÿ 스웨덴 Exeger 社는 모바일 기기향 DSSC 적용 응용상품 개발, 삼성전자와 협업 모색하고 있으


며, 외부 grid system으로부터 충전하지 않고 실내광만으로 충전가능한 태양전지 시스템을 내장
한 모바일 기기용 DSSC 모듈 개발하여 상용화 추진, DSSC 모듈은 Flexible-Liquid-DSSC type이
며 주요 핵심재료(염료, 전해질, 촉매전극재료)에 대해서는 보안에 붙이고 있음.

- 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8. Exeger사 모바일 기기향 DSC 적용 사례

나. 일본 연구동향
Ÿ 후지쿠라 社는 IoT향 센서 독립전원 향 DSSC 적용 응용상품 개발 추진, DSSC는 조도 50lx ~
10klx에서 적합하고, 일광(100klx)에는 부적합, 향후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인 Big data, AI에 요구
되는 사물인터넷(IoT)에 필요한 센서의 독립전원으로 저조도 고효율 DSSC 기술 적용 가능성 확
대 예상되며, 시장 개화에 대비한 일본 업체의 물밑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그림 19. 후지쿠라, 저조도 DSC 응용 가능

Ÿ Ricoh사는 2019. 6월 11일, 자체 실용화한 실내광으로 발전하는 완전 고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를 이용하여 대성社와 디자인 오피스라인社에서 발매된 배터리 탑재형 데스크 "LOOPLINE T1”
에 채택하여 발표.

그림 20. Ricoh사 DSC, 실내 테이블에 응용

- 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Ricoh는 2020년 2월 4일, 완전 고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RICOH EH DSSC 시리즈 '를 공
개했다. 완전 고체 형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발매하는 것은 '세계 최초'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미약한 빛으로도 발전 가능. 수명, 설치 비용 등은 비정질 실리콘과 비슷한 수
준으로 향후 감지 장치로의 활용이 예상된다. 이 제품은 10㎠ 이하의 크기로 실내 CO2 센서를
가동시킬 수 있다고 한다. 각 시리즈의 발매는 다음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DSSC 5284 (52mm
× 84mm) 2020 년 2 월 하순 또한, 이 크기는 발전이 가능한 사무실 책상에 탑재되어 제품화되
고 있다. DSSC 2832 (28mm × 32mm) 2020 년 4 월 하순, DSSC 1719 (17mm × 19mm) 2020
년 3 월 하순. 조도가 낮은 실내 빛의 파장에 반응하는 유기염료를 선정하여 높은 Jsc를 얻고
있다. 또한 전해질 액체인 요오드를 이용하는 염료감응 전지에 비해 더 깊은 에너지 준위를 갖
는 유기 P형 반도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높은 Voc를 얻었다. 고체 첨가제 및 소자 구조를 최적
화함으로써 발전 손실 억제 실현로 인해, 창고나 공장 등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없는 장소에
서도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다. IoT 기술의 진전으로 향후 다양한 물건에 센서가 탑재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1. Ricoh사 DSC, 실내응용 사례

Ÿ Sharp사는 2018. 7월 31일, Si-계 대비 초기 투자비는 10 분의 1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


IoT 전원용으로 기존 DSSC는 고가의 투명 도전막(TCO) 유리기판 2장을 사용하지만, 집적구조를
연구하고 모노리씩형을 채용하여 TCO 유리 기판을 1장만 사용하는 저비용 구조의 DSSC 개발,
실내광의 스펙트럼 분포와 일치하여 실내의 변환 효율이 약 20%로 높은 수치를 보임. 여기에
사용한 염료는 후지필름과 공동개발한 유기염료.

그림 22. Sharp사 DSC, 센서 독립전원으로 응용

Ÿ Sharp사는 2019년 8월 7일, 발전 효율이 약 20 %로 높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이하 DSSC)을 이용


한 전지 교체가 필요없는 Bluetooth 신호 단말기를 제품화하여 실내외 음성 네비게이션 서비스
를 전개하는 시미즈 건설에 납품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샤프는 실내 조명에서의 발전 효율이

- 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뛰어난 DSSC의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실시. 2018 년에는 "세계 최고 수준"(회사)는 약 20 %의


실내에서 변환 효율을 자랑하는 DSSC의 양산 체제를 확립하고 DSSC의 마케팅, 영업 활동을 본
격화했다. 이번에 제품화 한 비콘 단말은 DSSC의 시장 제 1 탄. "레스비 '라는 제품명으로 실내
측위 시스템과 대형 상업 시설 등의 정보 발신 서비스 등을 향해 넓게 전개 할 방침이다. 제품
화 한 비콘 단말기는 DSSC을 유일한 전원으로 작동. 일차 전지를 탑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어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특징을 가진다. DSSC 탑재 비콘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
어 10 년 주기 유지보수로 높은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높은 곳에 설치하면 전파에 사람의 간섭
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림 23. Sharp DSC, Beacon에 적용

Ÿ 세키스이 화학사는 필름 타입 DSSC을 실내(주택, 사무실)·차내·지하 상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하베스트(빛과 열, 진동 등 작은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얻은 기술)용 독립 전원
으로 우선 전자 광고와 IoT센서 분야에서 사업화를 추진, 2025년도에 매출액 100억엔 규모 추진,
보안업체 Secual사는 세키스이 제 모듈을 사용하여 2018년도 제품화 및 판매 목표.

그림 24. 세키스이 필름형 DSC, IoT sensor 독립전원용 적용

다. 국내 연구 동향
Ÿ 국내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은 차세대 태양전지의 유일한 대안으로 각광받았던 2000년대
초부터 2012년까지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2013년 이후 대부분의 연구기관들은
PSC(perovskite solar cell) 기술개발로 전환한 상황으로 현재 몇몇 대학, 국책연구소에서 산발적
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이론적 광전변환효율의 획기
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어, 산업화 기술개발보다는 핵심 소재(염료, 광전극, 전해질, 촉매전극) 원
천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
Ÿ 전기화학 태양전지로서 액체 전해질의 고체화를 통한 신뢰성 향상 및 전고체 전해질에서 광전변
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자구조와 더불어 서브모듈 공정 기술 개발이 필요함.

- 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동국대, 성균관대, 고려대, 영남대 등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핵심소재 개발에 연구력을 집
중하고 있음.
Ÿ 산업체로는 동진쎄미켐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험라인을 구축하고 2015년 300X300mm 서브모듈
에서 9% 이상의 발전효율 달성하였으며, 2017년 반투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300X300mm)에서 투과율 20% 발전효율 3.5%이상의 기술개발 달성.

(5)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 필요성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내 ~ 실외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응용이 가능하며, 상압 습식공정 태양전


지 기술로서 소량 다품종 태양전지 모듈 제조가 가능하여 소형 ~ 대형까지의 모듈 크기 대응이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로서 성능확보에 따라 태양전지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임.

그림 25. DSC 응용별 요구 성능(효율, 수명)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신시장 창출을 위하여 관련 제조 maker들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장점을 활


용할 수 있는 방향의 응용기술 개발을 추진중
Ÿ 실내발전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이용한 실내응용으로는 최근 사물인터넷 확대에 따른 IoT sensor
의 독립전원향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IoT(사물인터넷)의
발달로 2020년에는 1조개의 센서가 지구상에 설치된다고 추산. 그 하나하나에 전지를 사용했을
경우의 전지의 폐기량은 방대할 것.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1㎠ 당 출력이 13.6μW로 작지만, 계산기와 솔라시계에 사용되는 비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보다 실내 약광에서 2배 높은 발전 성능 구현 가능, 특히 일본의 센서 전문제
조 메이커 중심으로 인감, 온도, 습도, Beacon 센서에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접목하여 상품화하려
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음.
Ÿ 실내 저조도 응용기술로서 예상되는 IoT sensor향 독립전원으로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산업화
에는 전자부품산업과 ICT산업과의 융합기술로서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이 기대됨.
Ÿ 다른 응용기술로는 반투과 다색성을 활용한 BIPV 창호향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
으며, 한국 제조메이커를 비롯하여 유럽을 중심으로 BIPV향 서브모듈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
음. 특히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고,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는 BIPV에 최적
합 태양전지 기술로서 BIPV시장 성장과 함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태양전지 기술이며 건축

- 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산업과 동반성장이 기대됨.


Ÿ 또한, 디자인성을 중시하는 가구향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응용도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타 태양
전지기술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한 미려한 디자인성을 중심으로 검토되고 있음.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술 특성상 디스플레이 산업과 유사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전후방 산업이
발달해 있어 시장개화시 조기 value chain 구축을 통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시장 추격자를 넘어
서 시장 선도자로서의 위치 구축이 가능함.

제 2 장 과제 수행의 내용 및 결과(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제 1 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1. 최종 목표
n 염료감응 태양전지 상용화 기반기술 개발을 위한 염료 상용화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서브모듈 성능 확
보, 응용기술 개발 및 실증

①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기술별(실내향, 실외향) 염료를 선정하고 저가격, 고수율, 고순도 중량생산 기술
개발.
②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기술을 고려한 고효율 고신뢰성 서브모듈 기술개발.
③ 염료감응 태양전지 특장점을 활용한 응용기술 개발.
④ 염료감응 태양전지 적용한 응용기술을 제품화하여 실증싸이트에 실증 및 모니터링하므로 염료감응 태
양전지 시장창출 가능성 확인.

그림 26. 응용기술별 염료 및 응용제품 실용화 기술개발

가. 주관기관[주식회사 씨엠디엘]

- 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2단계 결과물 원천염료 및 Ref 상용 염료의 고수율, 고순도 대용량 합성 및 정제 기술


개발.
Ÿ 핵심소재인 염료의 저가격 기술목표 달성.
Ÿ 염료소재의 품질평가 표준 제안.
ü Ru-염료의 순도 측정방법 (금속 착체의 경우 HPLC 순도 측정 재현성이슈),
ü 순도 수준 (성능 saturation되는 최저순도 기준)
ü Storaging condition(온도, 습도, 광)

개발내용

그림 27. 주관기관 연구개발 내용 및 목표


1. 저조도 실내향 서브모듈
Ÿ 중량 합성의 고순도화를 위한 합성 및 정제 방법 개발 : 순도 > 95 %
Ÿ 중량 합성이 향상된 생산 기술 개발 : 수율 > 50 %
Ÿ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단가 < $15/g 달성
2. BIPV 및 LED 융합형 (실외향)
Ÿ 중량 합성의 고순도화를 위한 합성 및 정제 방법 개발 : 순도 > 95 %
개발목표
Ÿ 중량 합성이 향상된 생산 기술 개발 : 수율 > 50 %
Ÿ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단가 < $20/g 달성
3.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소재의 품질평가 표준 제안
Ÿ Ru-염료의 순도 측정방법 (금속 착체의 경우 HPLC 순도 측정 재현성이슈),
Ÿ 순도 수준 (성능 saturation되는 최저순도 기준)
Ÿ Storaging condition(온도, 습도, 광)

나. 참여기관 1(영남대학교) :
광흡수영역 제어를 위한 신규 고효율 및 고내구성 염료 개발 및 전해질 소재 최적화
1. 실내향 염료 개발
Ÿ 저조도에서 활용 가능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개발ü염료분자 광흡수
영역 제어를 위한 다양한 발색단 (전자주게 /받게구조) 검토
Ÿ 몰흡광계수에 미치는 염료구조의 평면성 영향 검토 및 최적화
개발내용
Ÿ 고효율 및 고내구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Anchoring 그룹 도입 및 검토
2. 실외향 염료 개발
Ÿ 원천 염료 구조 개선 및 소자 효율 검토ü원천 염료 및 상용 염료의 구조
개선 및 이를 통한 소자 효율 가능성 검토
Ÿ 다양한 anchoring 그룹 도입을 통한 염착 특성 및 소자 내구성 검토

- 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염료 회합 제어 기능을 도입하여 소자 비효율화 과정의 속도상수 억제 가


능성 검토
3. 전해질 소재 개발
Ÿ 소자 신뢰성 확보 및 고 개방전압 구현을 위한 전해질 구조 최적화
Ÿ 신규 염료 소재를 적용한 태양전지 소자 최적화
Ÿ High Voc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전해질 소재 검토 및 염료와의 조합 검토
Ÿ 전해질 소재의 내구성 향상 기술 검토
Ÿ 염료 구조에 따른 전해질 소재 상용성 최적화

그림 28. 영남대학교 연구개발 내용 및 목표

염료 분자구조 제어를 통하여 저조도 환경에 적용 가능한 고효율/고내구성 염료 개발


Ÿ 저조도 환경 (1000 Lux) 의 소자 효율 평가 > 15 % 확보
개발목표 Ÿ 고내구성 및 고전압 특성 전해질 소재 최적화
Ÿ 저조도 환경 (1000 Lux) 의 소자 Voc 평가 > 0.6 V 확보
Ÿ 소자 내구성 (65/65, 1000시간) Light Soaking test 소자 효율 감소 < 10 % 확보

다. 참여기관 2[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1. 실내향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개발
Ÿ 실내향(저조도) 염료감응 태양전지 구조 확립
Ÿ 실내광 스펙트럼 파장 특성을 이용한 태양전지 특성 분석
Ÿ 실내향 염료 소재를 적용한 저조도 염료감응 태양전지 구조 최적화
Ÿ 저조도용 염료 소재를 적용한 단위 서브모듈 내구성 최적화
개발내용
2. 실외향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개발
Ÿ 실외향(고신뢰성)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개발
Ÿ 상용 염료 및 원천염료를 적용한 실외향 서브모듈 구조 최적화
Ÿ 투광성 확보를 위한 소재 최적화
Ÿ 신뢰성 원인 분석 및 대책 수립

- 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29. 동진쎄미켐 연구개발 내용 및 목표

1. 저조도 실내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Ÿ 전력량 확보를 위한 저조도(500lux) 조건에서 유효면적 10cm2의 DSC 단위 모듈 출력
량 150㎼ 서브모듈 개발.
Ÿ 실내 응용으로 활용 가능한 내구성 (65℃, 65%RH 1,000 시간 전후 광전변환 효율
10% 이하) 모듈 개발.
2. BIPV 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개발목표 Ÿ 서브모듈(30cm x 30cm)에서 광전변환효율 및 신뢰성을 평가하므로 개발염료의 성능
및 수명을 최종 판단함.
Ÿ 실용크기의 서브모듈에서 염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투과성 20% 조건에서의
광전변환효율이 4% 이상인 서브모듈(30cm x 30cm) 기술개발.
Ÿ 추가로, 박막태양전지 신뢰성 규격(IEC 61646)을 만족하는 고내구성 서브모듈(30cm
× 30 cm) 개발을 위하여 고온고습(85℃, 85%RH 1,000 시간 전후 광전변환효율 감소
율 10%이하) 가속시험을 만족하는 서브모듈(30×30 cm2) 기술개발 수행.

라. 참여기관 3[주식회사 제림이엔지] :


LED융합 태양광 인도난간 구동 가능한 전력을 고려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의 모
듈레이션 기술개발
Ÿ CTM loss 최소화 모듈레이션 기술 : DSC 조립후 전압강하 > 95%
Ÿ PCS 구성 최적화 기술
Ÿ 내구성 확보 모듈레이션 기술
개발내용 Ÿ 내투습성 확보 모듈레이션 기술
2. 태양광 난간 시스템 실증 모니터링
Ÿ 시스템 상태에서 가동 신뢰성 확보기술
Ÿ 실증싸이트 설치 및 실증 모니터링 3경간
Ÿ 문제점 도출 및 개선안 제안
Ÿ 소비자들의 반응 수집

- 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0. 제림이엔지 연구개발 내용 및 목표

모듈레이션 기술개발
Ÿ DSC서브모듈 접합후 강화유리 강도저하 : Pass(KSL 2002 기준)
개발목표 Ÿ CTM loss 최소화 모듈레이션 기술 : DSC 조립후 전압강하 > 95%
Ÿ DSC 서브모듈 접합강도 (전단강도 23MPS) : 21MPS
Ÿ 옥외실증 시작품 갯수(

2. 평가방법 및 환경
Ÿ 측정 시료를 용액 상태로 희석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 graphy)에 주입하여 Chromatography 법으로 성분 물질들을 분리
하고 검출 강도를 서로 비교하여 농도를 산출하는 측정법으로 일반적으로 유
순도 측정 기물의 순도를 측정하는 정량분석법
Ÿ 1차평가는 자체 보유 장비를 이용하여 평가, 2차평가는 한국인정기구(KOLAS)
인정기관인 성균관대 공동기기원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인 Agilent 사의 모델
110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성적서 확보
Ÿ 명확한 scheme 하에 출발물질을 기준으로 최종 생성물까지의 mass balance를
5회 이상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반응공정을 확립. 자체 고유 Process는 특허출
생산 수율 원을 통해 인증을 겸하고 수행기관의 IP(Intellectual Property)을 확보.
Ÿ 수율을 공인시험성적서로 발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자체프로세스로 재현성
공정 확립후 기준에 의거 자체평가함

광전변환효
율 측정

Ÿ 태양전지는 온도와 입사광의 세기, 그리고 입사광 스펙트럼에 따라 그 특성이

- 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달라짐.
Ÿ 이에 따라 표준 측정조건인 입사광 세기 1 Sun, 스펙트럼은 AM 1.5 G, 소자 온도
25 ℃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함.
Ÿ 1차 평가는 자체 평가, 2차평가는 국제시험인증 자격이 있는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과 대구테크노파크 나노융합실용화센터에 의뢰하여 공인시험성적서 확

Ÿ 소자를 UV-Vis spectrophotometer 내에 위치시킨 후 원형 slit을 통하여 광원
을 통과시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측정함.
광투과율
Ÿ 1차평가는 자체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평가, 2차평가는 한국
측정
인정기구(KOLAS) 인정기관인 성균관대 공동기기원의 UV-Vis 기기인 Cary
5000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성적서 확보.
Ÿ 태양광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실환경에서 누적된 결과를 이용하여, 출력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초기 태양광 모듈 및 패널에서 출력된 출력값을 바탕으
PR 로 성능 변화율을 측정
(performance
ratio)

Ÿ DSSC 모듈의 안정성은 핵심소재인 높은 산화성의 전해질과의 1차 화학반응으로


부터 유래되는 n형 나노입자(TiO2)로부터 염료의 탈착에 의한 광전류 감소와, 외
부유래의 수분 및 산소에 의한 전해질 변성에 의한 Redox 준위와 나노입자 페르
미 에너지 준위와의 광전압감소가 주요인으로 파악되고 있음.
Ÿ 기타 촉매전극 탈착, 광전극 박막의 박리, 전해질의 상분리 변수 등의 제어가 중
요함.
서브모듈의
Ÿ 이와 같이 DSSC 서브모듈 신뢰성의 주요인은 봉지불량에서 유래되는 수분 및 산
신뢰성 및
소의 침투로부터 유래되는 1차 원인과 1차 원인에 의한 핵심소재와의 2차 화학반
열안정성
응으로 분리가능
Ÿ 1차 원인 해소와 2차 반응 최소화를 통한 신뢰성 기술개발을 진행하여 왔고
DSSC 서브모듈 신뢰성 기술에서 세계적 수준을 달성하고 있음.
Ÿ 따라서 신뢰성 평가항목은 박막태양전지 신뢰성 가속테스트 평가항목 중 고온고
습 조건 (85℃/85 RH%, 1,000hr)을 수행하여 개발염료의 DSSC 모듈 적용 가능성
을 평가하고자 함

제 2 절 단계 목표 및 평가 방법

1. 1단계

1-1. 단계 목표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염료소재의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원천성을 가지는 고성능 염료소재 기초연구
기술개발 및 소재확보

- 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세계최고
전체항목
수준 보유국/ 연구개발전국
평가항목 에서 개발목표치
보유기업 내수준
(주요성능 단위 차지하는 평가방법3)
( / )
Spec1)) 비중2)
(%) 1차 2차 3차 4차년
성능수준 성능수준
년도 년도 년도 도
일본/AIST [자체 평가
광전변환효율
% 30 8.6 8 9 10 11 /4차년도
(유기염료적용) 9 시험성적서]
mA/
Jsc 20 14 14 16 18 21 25 [자체 평가]
cm2

Voc mV 20 800 750 650 700 700 700 [자체 평가]

M-1 2.50 3.00 3.00 3.50


몰흡광계수 30 - - [자체 평가]
cm-1 x104 x104 x104 x104
신규유기염료 종 10 - - 6 6 6 7 [자체 평가]
(유기염료
장기안정성 시간 10 적용사례 - - - 500 10,000 [자체 평가]
없음)
일본/AIST
광흡수파장 nm 10 570 700 750 800 850 [자체 평가]
630
-1
M 2.50 3.00 3.00 3.50
몰흡광계수 20 - - [자체 평가]
cm-1 x104 x104 x104 x104
유기염료개발
종 20 - - 2 2 2 2 [자체 평가]
(blue/NIR)
광전변환효율 스위스
% 20 - 3 4.5 6 7 [자체 평가]
(blue/NIR) 3.7
TiO2 core-shell
적용 소자 효율 % 50 - 20 25 30 35 40 [자체 평가]
증가 비율
ALD shell 증착막
% 50 10 10 8 7 6 5 [자체 평가]
두께 uniformity
TiO2 나노
nm 30 - 140 160 120 100 80 [자체 평가]
구조체의 크기
나노 구조체의
m2/g 40 - 120 100 110 125 140 [자체 평가]
비표면적
다공도 % 3 - 25 20 25 30 35 [자체 평가]

1-2. 1단계 개발 내용 및 범위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염료의 고성능화 및 고신뢰성을 목표로 광대역흡수가 가능하고 몰흡광계
수가 높은 원천소재 기술개발을 추진하였음.
Ÿ 염료소재 변경에 따른 성능극대화를 위하여 주변 핵심소재(전해질, 광전극)의 조건변경에 따른 성능 극대
화 기술개발을 병행하였음.
Ÿ 염료소재의 고성능화 요소(Voc, Jsc, FF)에 관련된 기초연구 결과로부터 고성능 염료소재 개발
Ÿ 염료 소재의 신뢰성 기술개발을 위한 염료자체 내인성 요소와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스템내에서의 외인성
요소에 대한 기초연구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고신뢰성 염료 소재 개발

2. 2단계

- 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1. 단계 목표 : 염료감응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염료의 상용화기반 기술 개발

Ÿ 1단계 개발결과물인 원천염료에 대한 고순도 저가격 합성기술 개발


Ÿ 성능이 검증된 상용염료 소재의 고순도, 고수율, 저가격화를 위한 중량합성 기술개발
Ÿ 기타 수요기업이 요청하는 상용염료 고순도 저가격 합성기술 개발
Ÿ 셀 평가를 통한 원천염료 및 상용염료의 효율, 신뢰성 검증으로 염료 screen
Ÿ 다색성 반투과성을 만족하면서 고효율&장수명을 가지는 셀요소 기술개발
Ÿ 중량합성된 염료를 이용한 반투과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기술개발
Ÿ 서브모듈의 고효율 & 장수명 서브모듈 기술개발
세계최고 수준
전체 항목 연구개발
보유국/
에서 전 개발 목표치
평가 항목 보유기업
단위 차지하는 국내수준 평가 방법3)
(주요성능 Spec1)) ( / )
비중
1차 2차 3차
(%) 성능수준 성능수준
년도 년도 년도
황색 발색 염료 DSSC
5 시험성적서
단위셀 광전변환 효율 % 5 4 4 5 6
(일본/AIST) 첨부
(흡수대역:350∼450nm)
적색 발색 염료 DSSC
적색: 7 시험성적서
단위셀 광전변환 효율 % 5 6 6.5 7.5 8.5
(일본/AIST) 첨부
(흡수대역:450∼550nm)
청색 발색 염료 DSSC
청색: 3% 시험성적서
단위셀 광전변환 효율 % 5 3 3 3.5 4
(일본/AIST) 첨부
(흡수대역:550∼650nm)
반투과성 황색 단위 시험성적서
% 7 - - 2 2.5 3
소자의 광전변환효율 첨부
반투과성 적색 단위 시험성적서
% 7 - - 5 5.5 6
소자의 광전변환효율 첨부
반투과성 청색 단위 시험성적서
% 7 - - 1.5 2 2.5
소자의 광전변환효율 첨부
단위 소자내 염료의
내구성(60℃에서 light
% 7 - - < 20 < 15 < 10 자체평가*
soaking for 1k hr
전후 효율 감소율)
염료의 기술적
시험성적서
제품 순도 % 10 - - 91 93 95
첨부
(1회생산량:<10g)
염료의 양산용
시험성적서
제품 순도 % 10 - - 88 90 92
첨부
(1회생산량:>1kg)
염료 생산 수율 향상
% 10 - - 30 40 50 자체 평가
(1회 생산량 : > 1kg)
염료 판가
$/g 12 50 30 20 자체 평가
(1회생산량:1kg)
단위 서브모듈
시험성적서
광전변환효율 % 4 - - 3.0 3.5 4.0
첨부
(크기:5×5 cm2)
서브모듈 단위의 광투과율 시험성적서
% 3 - - > 10 > 15 > 20
(크기:30×30 cm2) 첨부
단위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30×30 cm2) 시험성적서
% 4 - - < 20 < 15 < 10
85℃/85RH% 1k hr 전후의 첨부
효율감쇠율
논문, 특허 학술지 게재
건 4 - - 5 5 5
(모든기관합계) 특허 출원 서류
합계 100

- 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2. 2단계 개발 내용 및 범위

Ÿ 2단계 과제 취지 및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염료소재의 중량합성 기술개발이 가능한 유기반도체 소재 메이


커가 주관기관이 되어 염료의 상용화 기술개발 추진
Ÿ 더불어 개발염료의 평가를 위하여 서브모듈을 실용수준 크기(300x300mm)로 재현성 있게 제작할 수 있는
서브모듈 제조 메이커(수요기업)를 참여기업으로 참여하여 서브모듈의 성능 및 신뢰성 기술개발하여 검증
Ÿ 반투과성을 가지면서 성능을 높이는 trade-off 요소기술 개발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요소기술을 보유한 국
립 연구기관을 활용하여 추진
Ÿ 염료소재의 기술발전을 추격 및 선도하기 위하여 염료소재 전문역량을 가진 대학교를 참여시켜 지속적인
원천성 염료소재 기술개발을 추진

그림 31. 2단계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 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3단계

3-1. 3단계 목표 :
염료 상용화를 위한 중량생산 기술개발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 장점을 활용한 응용기술을 도출하여 시작품을
제작하여 실증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창출 가능성 확인
세계최고
수준 연구개발
전체 항목 표준
보유국/ 전 개발 목표치 기준
평가 항목 에서 ․
보유기업 국내수준
(주요성능 단위 차지하는 인증 평가 방법5)
( / ) 설정
Spec1) 비중2)
3단계 근거4)
(%) 기준3)
성능수준 성능수준 1차 2차 3차
년도 년도 년도
중량합성 제품 순도 % 5 - - >90 >91 >95 시험성적서 첨부
중량합성 제품 수율 % 5 - - >25 >30 >50 자체평가
실내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g 10 - - <40 <30 <15 자체평가
단가
실외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g 10 - - <40 <30 <20 자체평가
단가
10
소자
% 5 (스위스/EPF 8 10 14 15 공인성적서
광전변환효율효율
L)
0.5
소자
V 5 (스위스//EP 0.4 0.4 0.5 0.6 공인성적서
개방전압
FL)
20
소자 내구성 % 5 (스위스//EP 20 20 15 10 공인성적서
FL)
저조도 전력량 (P)
(크기: 10cm2, ㎼ 7.5 - - 90 120 150 - 실내광 공인기관 평가서
500lux)
실내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 10 cm2) % 5 - - 20 15 10 - 실내 조건 공인기관 성적서
65℃/6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실외향 서브모듈
광전변환효율 국제
% 5 - - 2.5 3 4 IEC 공인기관 성적서
(크기:30×30 cm2, 표준
Tr:20% )
실외향 서브모듈
신뢰성
국제
(크기:30×30 cm2) % 7.5 - - 20 15 10 IEC 공인기관 성적서
표준
85℃/8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옥외 실증에 따른
성능 지수 (PR) % 5 - - - 90 95 - - 공인기관 성적서
(Performance ratio)
DSC 접합후
강화유리강도저하 Pass 5 Pass Pass Pass 공인기관 성적서
(KSL 2002 기준)
DSC접합강도
MPS 5 20 20 21 공인기관 성적서
(전단강도 23MPS)

DSC조립후전압강하 % 5 90 90 95 공인기관 성적서

옥외설치실증
경간 10 1 2 3 자체 평가
시작품 개수

- 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2. 단계 개발 내용 및 범위

Ÿ 2단계에서 선정한 염료소재(실내향, 실외향)의 상용화 기술개발


Ÿ 염료의 저가격, 고순도, 고수율 중량생산 기술개발
Ÿ 개발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기술개발(실내향, 실외향) 및 성능 및 신뢰성 확보 기술개발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을 활용한 응용기술 제안 및 응용 시작품 제작
Ÿ 응용 시작품의 실증싸이트(영남대학교)에 실증(1건 이상) 및 모니터링

제 3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

1. 1단계

1-1. 1단계 연차별 개발내용 및 개발 범위

(1) 1차 년도

 단일 발색단을 가지는 유기염료 분자 설계 및 합성


∙ 강한 donor인 phenothiazine과 공역계 형성이 용이한 thiophene 및 흡착량 증대를 위한
multi-acceptor 분자를 도입하여 유기염료 분자 설계.
∙ 전자재결합 및 속도제어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기를 도입하여 염료
특성 및 태양전지 거동을 확인

그림 32. 1차년도에 개발한 염료의 분자구조 (a) PBSCN2 (b) PRSCN2 (c) PFSCN2

Dyes Voc (V) Jsc (mA/m2) FF (%) η (%)


N719 0.677 17.01 72.05 8.30
PBSCN2 0.594 14.24 68.59 5.80
PRSCN2 0.626 18.84 69.68 8.25
PFSCN2 0.573 11.15 71.26 4.67

표 1. PRS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태양전지 특성

- 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3. PRS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a)J-V 특성 및 (b)IPCE 특성 그래프

(2) 2차년도

 단일 발색단을 가지는 유기염료 분자구조의 최적화


∙ 기존 연구결과에 따른 최적화된 분자구조를 바탕으로 π-conjugation 확장하여 높은 흡광계수를 가지
는 염료분자를 설계 및 합성하고 소자 적용성을 평가

2차년도에 개발한 염료의 분자구조. (a) PRSCN2 (b) PHTH

그림 34. PHTH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a)J-V 특성 및 (b)IPCE 특성 그래프

Dyes Voc (V) Jsc (mA/m2) FF (%) η (%)


N719 0.711 19.61 71.14 9.92
PHTH 0.708 20.98 61.21 9.10

표 2. PRS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태양전지 특성

(3) 3차년도

 고효율 단일 발색단 유기염료 분자설계 및 합성


∙ 고효율 단일발색단 소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결과 최적화에 따른 분자구조를 기반으로 π
-conjugation unit을 thiophene 대신 ethylenedioxythiophene (EDOT)을 적용하여 염료를 합성하고 태양

- 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지 거동을 확인.
∙ EDOT 화합물은 thiophene 보다 강한 electron donor이고 평면성 확장에 용이한 분자로 알려져 있으며
새롭게 개발된 PREDCN2 유기염료는 N719보다 우수한 광전변환효율 10.06%를 달성

그림 35. 3차년도에 개발한 염료의 분자구조. (a) PRSCN2 (b) PREDCN2

그림 36. PRED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a)J-V 특성 및 (b)IPCE 특성 그래프

Dyes Voc (V) Jsc (mA/m2) FF (%) η (%)


N719 0.725 18.41 67.82 9.06

PREDCN2 0.647 23.18 67.07 10.06

표 3. PRED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태양전지 특성

(4) 4차년도

 고효율 단일 발색단 유기염료 분자구조 최적화


∙ 고효율 단일발색단 소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기 연구된 고효율 유기염료 구조를 기반으로 charge
recombin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알킬기 및 다양한 π-bridge를 적용하여 물성 및 태양전지
소자 특성을 측정하고 계면 내 전자전달에 관한 연구를 진행

- 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7. 4차년도에 개발한 염료의 분자구조

∙ 합성된 광대역 흡광 단일 발색단 유기염료(PR8HCN2)의 특성을 소자에 적용하여 평가하고, 효율 증가


를 위하여 회합방지제와 전해질, 상대전극 및 광경로 제어 기술 소자 최적화를 진행하여 11.2%의 고
효율을 확인

그림 38. PR8HCN2를 이용하여 제작한 DSSC의 J-V 그래프 및 특성 값

2. 2단계

2-1. 2단계 연차별 개발내용 및 개발 범위

(1) 1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Ÿ 1단계 과제에서 개발한 염료 중 성능이 우수한 염료 2종 이상 선정.
Ÿ 100gr 이상 scale로 합성 및 기존 합성 공정 단계를 1단계 이상 줄임.
Ÿ 기술 순도 91% 이상 달성.
Ÿ 상용염료 정제레진 screen(레진 5종 이상) 진행 및 최적 레진 선정.
주관기관
Ÿ 상용염료 정제시 레진 column chromatography 정제와 레진 column
(주식회사
chromatography 배제 공정으로 5 batch 이상 비교.
씨엠디엘)
Ÿ 상용염료
ü 양산적 순도(> 88 %) 달성.
ü overall 수율(> 30 %) 달성.
ü 판가 < $50/g 달성(상용염료 1회 생산량 1kg 조건).
참여기관 1 Ÿ 고성능 유기염료 기술개발

- 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카바졸, 트리페닐아민, 페노싸이아진, 융합형 벤젠, 포피린을 모핵으로 하는


구조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여 흡광 영역을 조절함.
ü Ru 금속에 페닐, 피리딘, 따이오펜, 싸이아졸 같은 작용기의 유도체들을 복
합적으로 적용하여 Ru 금속 착화합믈의 흡광 영역을 조절함.
ü 염료 내구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능성기 도입→ 염착 모드 조절.

(영남대학교)
그림 39. 염료의 다양한 흡착모드

Ÿ 염료 분자 모델링
ü 염료의 광흡수 영역 다변화를 위한 분자 모델링 : 3인자(1. 전자주게 및 받
게의 강도와 조합, 2. 염료 발색단의 평면성 그리고 3. 염료의 π 공역계 성
분 길이)로 분자모델링.
ü 전자 주게와 받게의 분자구조 설계를 통하여 다양한 색상의 염료를 구현하
고자 함.
ü Anchoring 그룹 최적화로 광전자주입 효율의 증진과 흡착 모드 개선.
ü Recombination 방지를 위하여 회합 방지 기능성기를 도입 및 회합방지제 첨
가 → 광전극위에서 염료회합 제어하고자 함.
Ÿ 1단계 개발된 고효율 염료 합성 기술 전수 (DGIST → 씨엠디엘)

(a)PRSCN2(8.3%), (b)PREDCN2(10.1%), (c)PR8HCN2 (11.2%)


그림 40. 1단계 고효율 염료 후보군
참여기관 2
(대구경북과학 Ÿ 반투과성 소자 제작을 위한 소자 공정 개발
기술원) ü TiO2 기반 광음극층 제작 공정 개발 / 광음극층 두께 조건에 따른 투과율
및 효율 특성 분석 / 광음극층 바인더 조성비 제어에 의한 비표면적 개선
및 염료 흡착 최대화
ü 상대전극 농도 조절에 따른 투과율 및 효율 특성 분석

Ÿ 고효율 전해질 소재 적용 및 개발
ü 신규 염료 특성에 따른 전해질 조성비 제어 / 비요오드계 산화-환원쌍 (유기
라디칼) 전해질 적용 및 각 구성물간의 관계 규명.
ü 유기라디칼을 이용한 산화/환원쌍의 경우 라디칼의 잉여전자를 도핑 시켜주
는 함량에 따른 산화환원 제어를 위한 첨가제 개발

- 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1. 유기라디칼 기반 고효율 전해질

Ÿ 반투과성 소자 제작을 위한 소자 공정 개발
ü 선택적 광파장 염료기반 소자제작 : 다색 소자 구현 및 투과도 향상
ü 전파장 감응 염료 적용 및 소자개발

(a) (b)
그림 42. 투과도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소자 제작방법 (a) 선택파장 고흡광계수
염료 적용 소자 (b) 전파장 감응 저흡광계수 염료 적용 소자 (11.2%)

ü 전자 포집효율 향상 (염료간 거리 최적화 및 기능성 전해질 개발)


Ÿ 서브모듈 기술개발 및 제작하고 신뢰성 평가
참여기관 3
Ÿ 반투과 서브모듈 위하여 가시광선파장(380~780 nm)에서 투과도 측정 평가
(주식회사
Ÿ 서브모듈의 모듈레이션후 옥외신뢰성 평가 → 개발염료의 가능성 평가
동진쎄미켐)
Ÿ 단위서브모듈(30×30cm2) 신뢰성 조건(85℃ 온도와 85% 습도에서 1,000 시간
가동 후)에서 광전변환효율 감소율( < 20%)인 고신뢰성 기술개발

(2) 2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Ÿ 1단계 과제에서 개발한 염료(TVP208) Scale-up 공정개발.
Ÿ 양산용 순도( > 90 %) 달성
Ÿ 상용염료 저가격화 공정개발
ü 정제레진 재사용 회수 및 재현성 확인하는 process를 통해 합성 확인 & 평
주관기관 가 진행
(주식회사 ü 여러 방법 (대체 레진 사용, 레진 재사용, 반응 용매 volume 감소 등)을 취
씨엠디엘) 합하여 확립된 공정으로 합성 진행 & 평가
Ÿ 상용염료
ü 양산적 순도(> 90 %) 달성.
ü overall 수율(> 40 %) 달성.
ü 판가 < $30/g 달성(상용염료 1회 생산량 1kg 조건).

- 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참여기관(영남대학교)와 협업하여 황색·청색의 신규한 염료 개발 및 성능


우수 물질 공정 확립
Ÿ 참여기관(동진쎄미켐)과 협업하여 상용염료 서브모듈 적용 평가 내구성확인
Ÿ 유기염료 기술개발 : 카바졸, 트리페닐아민, 페노싸이아진, 융합형 벤젠, 포
피린을 모핵으로 하는 구조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여 흡광 영역을 조절

참여기관 1 ü 분자의 흡광 영역 및 흡광량을 조절
(영남대학교) ü 염료의 광흡수 영역 다변화 및 전자주입 특성 향상을 위한 분자 모델링
Ÿ Ru 염료 기술개발 : 금속에 페닐, 피리딘, 따이오펜, 싸이아졸 같은 작용기의
유도체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Ru 금속 착화합믈의 흡광 영역을 조절함
Ÿ 염료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염료 분자의 염착 모드 규명 및 개선 방안 모색
Ÿ 신규 염료 기반 소자 적용성 평가
ü 신규 염료 소자 성능 평가 및 분석
ü 다색 염료 기반 소자의 고성능화
Ÿ 반투과성 소자 제작을 위한 소자 공정 개발
ü 선택적 광파장 염료기반 소자제작 : 다색 소자 구현 및 투과도 향상
ü 전자 재결합 방지를 위해 ALD 공정 및 용액 공정을 통한 surface
passivation layer 도입

참여기관 2 그림 43. 전자재결합 방지 개선 및 다공성 TiO2 나노구조체 제조


(대구경북과학
기술원) ü 고다공성 TiO2 나노 구조체의 도입에 따른 투과율 및 효율 특성 분석
ü 광전극층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 및 효율 특성 분석
ü 고투과율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상대전극 개질

Ÿ 고효율 전해질 소재 적용 및 개발
ü 신규 염료 특성에 따른 전해질 조성비 제어
ü 장기안정성 향상을 위한 준고체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 개발
ü 전해질 첨가제의 종류 및 조성에 따른 투과율 및 효율 특성 분석

- 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4. 준고체 전해질

Ÿ 서브모듈(30x30cm)을 제작하고 신뢰성 평가 장비를 활용하여 박막 태양전지


참여기관 3 가속시험 규격(IEC61646) 중 고온고습 조건으로 가속 시험 후 초기 대비 효
(주식회사 율 감쇠율로 신뢰성 평가.
동진쎄미켐) Ÿ 가시광선파장 (380~780 nm) 영역에서 투과율을 평가.
Ÿ 옥외 test bed 설치 후 옥외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여 개발염료의 상용화 가능
성을 판단.

(3) 3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Ÿ 1단계 과제의 염료 (TVP208, TVP209) 및 원천 염료 (황색, 청색) 중량 생산,
공정 확립
Ÿ 양산용 순도 (> 92 %) 달성
Ÿ 양산용 염료를 이용한 모듈 평가 및 내구성 확인
Ÿ 상용염료 저가격 공정기술 개발
ü 레진 재사용 회수 및 재현성 process를 통해 합성 확인 & 평가 진행
ü 양산성이 우수한 One-pot 공정(상용 염료 및 원천 염료)의 약점극복을 위한
단계별 공정 확립
주관기관
Ÿ 유기 염료를 이용한 응용염료 (TiO2와의 흡착정도 강화, 흡수 파장영역 변형
(주식회사
등) 의 미비 요인 확인 및 합성염료의 효율/내구성 등 상대 비교 평가
씨엠디엘)
Ÿ 상용염료
ü 양산적 순도(> 92 %) 달성.
ü overall 수율(> 50 %) 달성.
ü 판가 < $20/g 달성(상용염료 1회 생산량 1kg 조건).
Ÿ 참여기관(영남대학교)와 협업하여 황색·청색의 신규한 염료 개발 및 성능
우수 물질 공정 확립
Ÿ 참여기관(동진쎄미켐)과 협업하여 중량생산 염료를 이용한 서브모듈 평가 및
내구성 확인
Ÿ 유기염료 : 카바졸, 트리페닐아민, 페노싸이아진, 융합형 벤젠, 포피린을 모
핵으로 하는 구조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하여 흡광 영역을 조절함
ü e-donating & e-withdrawing 기 도입을 통하여 분자의 흡광 영역 및 흡광량
을 조절
참여기관 1
ü 염료의 광흡수 영역 다변화 및 전자 주입 특성 향상을 위한 분자 모델링
(영남대학교)
Ÿ Ru 염료 : Ru 금속에 페닐, 피리딘, 싸이오펜, 따이아졸 같은 작용기의 유도
체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Ru 금속 착화합믈의 흡광 영역을 조절함
Ÿ 염료의 전자주입 특성 향상을 위한 분자 모델링
Ÿ 염료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염료 분자의 염착 모드 규명 및 개선 방안 모색
Ÿ 신규 염료 기반 소자 적용성 평가
Ÿ 신규 준고체 전해질 용 소재 개발
참여기관 2
ü 준고체 전해질의 고분자 재료 검토 및 단위소자 최적화 공정
(대구경북과학
ü 준고체 전해질의 첨가제 및 조성 개발 → 단위소자 내구성 및 성능 향상
기술원)
ü Light soaking 으로 인한 전해질의 degradation 원인 규명
Ÿ 내구성 향상을 위한 Pt 촉매층 대체 투명 탄소 기반 상대전극 개발

- 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탄소 기반 상대전극의 농도에 따른 투과율 평가


ü Dummy cell의 impedance 측정을 통하여 상대전극의 내구성 평가
ü 탄소 기반 상대전극에 따른 단위소자의 효율 평가 및 분석

참여기관 3 Ÿ 시험라인을 이용한 서브모듈(30✕30㎠) 제작


(주식회사 Ÿ 서브모듈의 신뢰성 평가
동진쎄미켐) Ÿ 서브모듈의 투과율 평가
Ÿ 서브모듈의 옥외신뢰성 평가

3. 3단계

3-1. 3단계 연차별 개발내용 및 개발 범위

(1) 1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Ÿ 응용기술에 따른 염료 상용화 기술개발
ü 실내향 (유기 염료 중심)과
ü 실외향 (Ru계 염료 및 Porphyrin계 염료)을 구분하여 개발 진행.
Ÿ Ru계 및 Porphyrin계 염료 (상용 또는 원천) 2종 이상 선정하여 합성 공정 개발.
Ÿ 염료의 내구성은 참여기관 (동진쎄미켐)에 제공하여 제작한 모듈 내구성으로 평가.
Ÿ 원천 염료, TVP208의 중량 합성을 통한 결과물의 모듈상에서 효율 및 내구성을 확인.
주관기관
Ÿ 염료 상용화 기술개발
(주식회사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4종 이상의 염료의 중량 합성 순도 90 % 이상 달성.
씨엠디엘)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4종 이상의 염료의 중량 합성 수율 25 % 이상 달성.
ü 실내향 또는 실외향으로 개발된 유기 염료, Ru계 염료, Porphyrin계 염료에서 2종 이
상 염료 단가 $40/g 이하 달성 (1회 생산량 1 kg 기준)
Ÿ 생산 수율은 합성반응 단계를 가능한 줄이는 방향으로 최적화하고 이를 위하여 중간
체 outsourcing을 추진하여 수율을 개선.
Ÿ 염료 판가는 합성반응 단계별 중간체 구매가 및 수율로부터 환산하여 객관화.
Ÿ 광흡수 영역 제어를 위한 고효율 및 고 내구성 염료 소재 개발
Ÿ 광흡수영역 제어를 위한 신규 발색단 합성
ü 광흡수 영역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료 발색단을 검토
ü 몰흡광계수가 높고, 광파장의 선택적 흡수가 가능한 염료 분자이어야 함.
Ÿ 고효율 및 고내구성 확보를 위한 Anchoring 그룹 확보 및 검토
ü 2단계 결과에 따라 cyano acetic acid 구조의 Anchoring 그룹이 상대전극과의 반응으
참여기관 1
로 소자내구성 영향 → Anchoring 그룹의 분자 구조적 개선 필요.
(영남대학교)
ü Anchoring 그룹 구조 개선과 염착 특성을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 시도.
Ÿ 신규 염료 소재를 적용한 태양전지 소자의 특성 평가
ü 신규 합성 염료로 소자제작후 다양한 조도에서 소자특성을 평가함.
ü 소자 내구성에 미치는 염료 분자의 구조적 해석 실시.
Ÿ 고전압 특성 전해질 소재 최적화
ü 전해질 소재의 내구성 인자 검토 및 내구성 영향 인자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도출.

- 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다양한 전해질 소재를 제작하여 이를 염료 분자에 적용하여 전해질 소재와 염료와의


조합에 대한 상관성을 검토.
Ÿ 실내향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기 위해서, 저조도 특성에서의 모듈 구조 설
계를 진행 → 실내광의 스펙트럼 파장을 분석해서 실내용 태양전지의 특성을 예상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툴 도출.

참여기관 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그림 45. 다양한 실내 조명에 따른 광 스펙트럼 -

Ÿ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저조도 광원에서 정량적 특성 확인을 위한 서브모듈 제작


Ÿ 저조도 성능 평가를 위해서, 시험평가기관에서 실내용 등기구 스펙트럼에 맞
는 정확한 Source meter로 평가 진행.
Ÿ 염료(원천, 상용) 신뢰성 평가를 위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30✕30
cm2) 자동화 라인을 이용하여 서브모듈을 제작하고 신뢰성 평가 장비를 활용
하여 박막 태양전지 가속시험 규격(IEC61646) 중 고온고습 조건으로 가속 시
험 후 초기 대비 효율 감쇠율로 신뢰성 평가
Ÿ 서브모듈의 투과율 평가를 위하여 가시광선파장 (380~780 nm) 영역에서 투
과도 측정하여 개발 염료의 color 특성 및 목표 투과율을 평가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응용기술개발을 위하여 DSC적용 태양광 인도난간 설계


및 mock-up 제작
Ÿ CTM loss 최소화를 위한 서브모듈 접속조건 최적화 도출
참여기관 3 Ÿ 내충격성 확보를 위한 강화유리 조건 도출
(주식회사 Ÿ 서브모듈간 interconnection 기술 최적화
제림이엔지) Ÿ 수밀성 확보를 위한 모듈레이션 봉지기술 최적화
Ÿ 측정평가 실시
ü CTM loss(모듈레이션후 전압강하 유지율) 측정
ü 내충격성 규격에 따른 내충격성 평가
ü 수밀성 평가규격에 따른 평가

(2) 2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주관기관 Ÿ 실내향 (유기 염료 중심)과 실외향 (Ru계 염료 및 Porphyrin계 염료)을 구분하여 유기
(주식회사 염료 및 Ru계 및 Porphyrin계 염료에서 각 1 종 이상씩 상용 염료에 근접하는 염료
씨엠디엘) 발굴하고 합성 공정 확립.

- 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Cyanoacetic acid anchor 염료와 동등 수준의 효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구


성을 갖는 신규 anchor 염료 1종 이상 개발하고 합성 공정 확립.
Ÿ 염료 상용화 기술개발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 중량 합성 순도 91 % 이상 달성.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의,중량 합성 수율 30 % 이상 달성.
ü 실내향 또는 실외향으로 개발된 유기 염료, Ru계 염료, Porphyrin계 염료에서 2종 이
상 염료 단가 $30/g 이하 달성 (1회 생산량 1 kg 기준)
Ÿ 저가격 공정 기술개발
ü 생산 수율은 합성반응 단계를 가능한 줄이는 방향으로 최적화하고 이를 위하여 중간
체 outsourcing을 추진하여 수율을 극대화.
Ÿ 개발 염료는 참여기업(동진쎄미켐)에 제공하여 모듈제작평가 결과로부터 경쟁사와의
성능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에 모듈 기업 및 연구소에 프로모션
진행하고자 함.
Ÿ 주관기관은 수요기업(동진쎄미켐, 제림이엔지)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참여기관(영남
대학교)과 함께 본 프로젝트에 포함된 염료 소재(TVP208, TVP066)와 관련된 특허 동
향분석 실시하고 핵심소재의 특허 회피전략을 수립.(2단계 기실시한 핵심소재 특허
동향 분석 프로젝트를 연장하여 실시하고자 함)
n 저조도 실내향 염료개발
Ÿ 다양한 전자 공여성기와 전자 흡인성기의 조합을 통하여 몰흡광계수 및 광파장 흡수
영역을 제어하며 공역계 연결기를 통하여 염료 구조를 다변화
Ÿ 염료 소재의 용해도 및 회합특성 제어
ü 분자 구조적 관점에서 제어하는 방법과 회합방지제를 통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있음.
ü 회합방지 기능성기를 도입하여 분자 구조적 관점에서 최적화 예정.
Ÿ 고효율 및 고내구성 확보를 위한 Anchoring 그룹 도입
ü 최적 Anchoring 그룹을 선정하고 염료분자에 도입함으로써 분자구조 개선예정
Ÿ 신규 염료 소재를 적용한 태양전지 소자의 특성 평가
ü 신규합성 염료에 대하여 다양한 조도에서 소자 특성 평가함
ü 소자 내구성에 미치는 염료 분자의 구조적 해석 실시함

n 고내구성 및 고전압 특성의 전해질 소재 최적화


참여기관 1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소자에서 전해질 소재가 미치는 다양한 내구성 극복 기술 확보함
(영남대학교) Ÿ 전해질 소재의 소자 내구성 결정인자에 미치는 극복기술의 영향을 검토할 예정임.
Ÿ 다양한 전해질 소재의 제작 및 소자 특성 검토
ü 다양한 전해질 소재를 제작하여 이를 각 염료 분자에 적용하여 전해질 소재와 염료
와의 조합에 대한 상관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최적화 함

n TVP066(포피린 염료) 특허회피전략


§ 기존 폴피린계 염료의 경우 4개의 피롤환을 4개의 탄소가 연결하는 구조로 다소 경
직된 평면성 구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음. 폴피린 환의 위 아래로 long alkyl 기를
도입하여 분자간 회합을 방지하고 있으며 anchoring 그룹으로 oxime기를 적용하고
있음
§ 분자회합 방지 기능성기의 도입과 전자 주입 특성 및 염착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oxime 기의 도입은 분자 구조 최적화 측면에서 우수한 분자 디자인이라 판단됨. 기
존의 폴피린 구조에서 다소 경직된 평면 구조성 환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광여
기 시 장파장의 흡광 영역에 대한 몰흡광계수가 비교적 낮아 높은 Light harvesting

- 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efficiency 를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탄소에 비하여 비교적 유연한 화학결합을 이루는 질소를 도입하
여 평면성을 확보하고 이에 장파장 영역의 흡광계수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됨
§ 이러한 Diazaporphyrin (DAP) 구조는 연구가 활발히 진척되지 않아 다양한 신규성
있는 분자구조의 합성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 폴피린 구조의 경우 합성의 어려움이 최종 결과물의 상용화에 큰 걸림돌이 되므로


가능한 대칭형의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됨 아래 그림에서 보인 것과
같이 electron donor 그룹을 대칭형 위치에 도입하고 중심환에 anchoring 그룹을 도

n TVP208 내구성 개선전략


§ TVP208 염료의 내구성향상을 위한 구조개선을 목표로 진행
§ 최근 유기염료 분자의 효율 개선을 위하여 Donor-(weak acceptor)-anchor 의 분자구
조를 적용하는 사례가 많으며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전하 이동이 가능하였음
§ 다양한 weak acceptor 특성의 연결기를 도입하고 anchoring 그룹으로 oxime 계열을
도입하여 염료 흡광영역을 장파장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전자 주입 특성 개선을 통

- 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여 보다 높은 광전변환 특성 및 염착 내구성을 향상

Ÿ 실내향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합한 모듈 구조를 확립하고, 저조도에 효율


적인 염료 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모듈 최적화를 실시.
Ÿ 염료(원천, 상용)의 신뢰성 평가를 위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30
✕30cm2)을 자동화 라인을 이용하여 서브모듈을 제작하고 신뢰성 평가 장비
를 활용하여 박막 태양전지 가속시험 규격(IEC61646) 중 고온고습 조건으로
참여기관 2
가속 시험 후 초기 대비 효율 감쇠율로 신뢰성 평가
(주식회사
Ÿ 가시광선파장 (380~780 nm) 영역에서 서브모듈의 투과도 측정하여 염료의
동진쎄미켐)
color 특성 및 목표 투과율을 평가.
Ÿ 서브모듈을 BIPV 실환경 모사 조건으로 구축된 장소를 보유한 시험기관에서
태양전지 성능 지수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
Ÿ 저조도 성능 평가를 위해서, 시험평가기관에서 실내 등기구의 스펙트럼을
구현한 Source meter를 활용한 평가 진행
Ÿ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적용한 태양광 인도난간 설계 및 mock-up 제작
Ÿ CTM loss 최소화를 위한 서브모듈 접속조건 최적화 도출
Ÿ 내충격성 확보를 위한 강화유리 조건 도출
참여기관 3
Ÿ 서브모듈간 interconnection 기술 최적화
(주식회사
Ÿ 수밀성 확보를 위한 모듈레이션 봉지기술 최적화
제림이엔지)
Ÿ 측정평가 실시
ü CTM loss 측정
ü 내충격성 규격에 따른 내충격성 평가
ü 수밀성 평가규격에 따른 평가

(3) 3차년도
기관 개발내용 및 범위
Ÿ 실외향 (Ru계 염료 및 Porphyrin계 염료)으로 개발된 1 종 이상의 원천염료의 공정을
확립하고 유사계의 상용염료 대비 동등 이상의 공정 수율, 순도를 확보
Ÿ Cyanoacetic acid anchor 염료와 동등 수준의 효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구
성을 갖는 신규 anchor 염료 1종 이상 원천염료를 확보하고 합성 공정 확립하여
indene계 상용 염료 대비 동등 이상의 공정 수율, 고순도를 확보
주관기관 Ÿ 염료의 내구성은 참여기관 (동진쎄미켐)에 제공하여 제작한 모듈 내구성으로 평가
(주식회사 Ÿ 원천 염료, TVP208의 중량 합성을 통한 결과물의 모듈상에서 효율 및 내구성을 확인
씨엠디엘) Ÿ 실외향 염료로 Porphyrin 염료를 개발 및 중량 합성하여 기존의 Ru-염료를 보완함
Ÿ 염료 상용화 기술개발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 중량 합성 순도 95 % 이상 달성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 중량 합성 수율 50 % 이상 달성
ü 실내향 및 실외향으로 선정된 2종 이상의 염료, 단가 $15/g 이하 달성 (1회 생산량 1
kg 기준)

- 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염료 상용화 기술 평가기준 객관화


ü 중량 생산 물질은 원료 투입 과정부터 최종 완제품까지 생산기록서 및 증빙자료(사
진 및 동영상)을 첨부하여 평가 공정성 확보 및 양산성 검증을 객관화.
ü 염료 판가는 합성반응 단계별 중간체 구매가 및 수율로부터 환산하여 객관화
ü Porphyrin계 염료(TVP066)은 원소분석 및 ICP-mass를 활용하여 물질 특성 확인 및
순도 평가 진행.
Ÿ 생산 수율 향상은 합성반응 단계를 가능한 줄이는 방향(중간체 outsourcing, 중간체
순도개선, column 공정 → 재결정 공정 개선, purify 단계 최적화), 단계별 수율 병목
구간을 최적화(합성반응에 관여하는 반응촉매·온도·용매·시간등을 보완)하여 극대

Ÿ 광흡수 영역 제어를 위한 고효율 및 고내구성 염료 소재 실증
ü 신규 합성 염료를 적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소자의 효율 및 내구성 실증.
Ÿ 고내구성 및 고전압 특성의 전해질 소재 최적화 및 상용성 확보
참여기관 1
ü 내구성 향상 기술을 적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소자의 내구성 실증
(영남대학교)
ü 다양한 전해질 소재를 적용하여 이를 각 염료 분자에 적용하여 전해질 소재와 염료
와의 조합에 대한 상관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
신뢰성 기술 지원.
Ÿ 저조도 모듈 최적화를 실시
Ÿ 염료(원천, 상용)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서브모듈(30✕ 0 cm2) 자
동화 라인을 이용하여 신뢰성 서브모듈을 제작하고, 신뢰성 평가 장비를 활용하여
박막 태양전지 가속시험 규격(IEC61646) 중 고온고습 조건으로 가속 시험 후 초기
대비 효율 감쇠율로 신뢰성 평가.
Ÿ 서브모듈의 투과율 평가를 위하여 가시광선파장 (380~780 nm) 영역에서 투과도 측정
참여기관 2
하여 개발 염료의 color 특성 및 목표 투과율을 평가
(주식회사
Ÿ 2차년도 개발 염료를 적용한 서브모듈을 BIPV 실환경 모사조건의 장소를 보유한 시
동진쎄미켐)
험기관을 통해서 태양전지 성능 지수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
Ÿ 저조도 성능 평가를 위해서, 시험평가기관에서 실내 등기구의 스펙트럼을
구현한 Source meter를 활용한 평가 진행.
Ÿ 실외 응용품 제작을 위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내
용을 기반으로 과제 내 타 기관의 응용품 제작에 반영.
Ÿ 신규로 개발된 염료의 모듈 내 이슈를 분석하고 이슈에 따른 원인 극복.
참여기관 3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적용 태양광 인도난간 시작품을 제작하여 실증싸이트(영남대학교)
(주식회사 에 설치하여 발전 모니터링 추진
제림이엔지) Ÿ 실 태양광하에서 발전시 장단점 도출.
Ÿ 소비자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향후 디자인에 접목.

- 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4 절 수행결과의 보안등급

과제 보안등급 분류 및 심사기준

□ 과제는 「보안과제」 또는 「일반과제」로 구분함


□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제9조의 보안등급 분류기준에 의거 점검 요망
□ 보안과제로 분류된 과제는 산업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제12조제2항 및 수행기관의
자체 보안관리 규정에 의거 관리 되어야 함

점검 결과
번호 보안등급 분류 및 심사기준
예 아니오

1 세계 초일류 기술제품의 개발과 관련되는 연구개발 과제 ✓

외국에서 기술이전을 거부하여 국산화를 추진 중인 기술 또는 미래핵심기술


2 ✓
로서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연구개발 과제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제2호의 국가핵심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 과제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국가핵심기술 해
당 여부
3 ✓
o 국가핵심기술 : 국내외 시장에서 차지하는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거나
관련 산업의 성장잠재력이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에 국가의 안전보장
및 국민경제의 발전에 중대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산업기술로서 산
업통상자원부장관이 지정한 기술

「대외무역법」 제19조 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2조의2의 수출허가 등의


4 ✓
제한이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 과제

5 (기타 수행기관 및 사업별 특성에 따른 항목 추가 가능) ✓

최종 확인 결과 : □ 보안과제 ✓ 일반과제
※ 상기 검토 결과 , 한 가지 항목이라도 “예”가 있을 경우, 보안 과제로 분류

본인은 위 모든 사항을 성실하게 검토하여 작성하였음을 확인합니다.

2020년 6월 15일

총괄책임자 : 배 호 기 (인)

- 6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장 결과

제 1 절 연구개발 최종 결과
1. 연구개발 추진 일정

<1차년도> 당초계획
개발내용
1차년도
일련 추진 일정(개월)
개발내용 달성도(%)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 중량합성 제품 순도 100

2 중량합성 제품 수율 100

실내향 1회 생산량 1 kg
3
기준 염료 단가 100

실외향 1회 생산량 1 kg
4 기준 염료 단가 100

5 소자 광전변환효율효율 100

소자
6 100
개방전압

7 소자 내구성 100

저조도 전력량 (P)


8
(크기: 10cm2, 500lux) 100

실내향 서브모듈 2신뢰성


(크기: 10 cm )
9

65 /6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100

실외향 서브모듈
10
광전변환효율 100
(크기:30×30 cm2, Tr:20%
)
실외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30×30 cm2)
11

85 /8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100

옥외 실증에 따른 성능
12 지수 (PR) 100
(Performance ratio)

13 태양광난간 설계 및 제작 100

14 신뢰성 평가 및 수정 100

- 6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차년도>
당초계획
개발내용
2차년도
일련 추진 일정
개발내용 달성도(%)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 중량합성 제품 순도 100

2 중량합성 제품 수율 100

실내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3 염료 단가 100

실외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4 염료 단가 100

5 소자 광전변환효율효율 100

소자
6 100
개방전압

7 소자 내구성 100

저조도 전력량 (P)


8 (크기: 10cm2, 500lux) 100

실내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 10 cm2)
9 65℃/65RH% 1k hr 전후의 100
효율감쇠율
실외향 서브모듈
10 광전변환효율 100
(크기:30×30 cm2, Tr:20% )
실외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30×30 cm2)
11 85℃/85RH% 1k hr 전후의 100
효율감쇠율
옥외 실증에 따른 성능 지수
12 (PR) 100
(Performance ratio)

13 태양광난간 설계 및 제작 100

14 신뢰성 평가 및 수정 100

- 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차년도> 당초계획
개발내용

3차년도
일련 추진 일정(개월) 달성도(%
개발내용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

1 중량합성 제품 순도 100

2 중량합성 제품 수율 100

실내향 1회 생산량 1 kg
3 기준 염료 단가 100

실외향 1회 생산량 1 kg
4 기준 염료 단가 100

5 소자 광전변환효율효율 100

소자
6 100
개방전압

7 소자 내구성 100

저조도 전력량 (P)


8 (크기: 10cm2, 500lux) 100

실내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 10 cm2)
9 65℃/65RH% 1k hr 전후의 100
효율감쇠율
실외향 서브모듈
광전변환효율
10 (크기:30×30 cm2, Tr:20% 100
)
실외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30×30 cm2)
11 85℃/85RH% 1k hr 전후의 100
효율감쇠율
옥외 실증에 따른 성능
12 지수 (PR) 100
(Performance ratio)

13 태양광난간 설계 및 제작 100

14 신뢰성 평가 및 수정 100

- 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연구개발 추진 실적
정량적 목표항목[총괄]

세계최고
전체 항목 수준 연구개발 개발 목표치
평가 항목 에서 보유국/ 전
(주요성능 단위 차지하는 보유기업 국내수준 평가 방법5)
Spec1) 비중2) ( / )
(%) 1차 2차 3차
성능수준 성능수준 실적 달성률
년도 년도 년도
중량합성 제품 순도 % 5 - - >90 >91 >95 95.1 100% 시험성적서 첨부
중량합성 제품 수율 % 5 - - >25 >30 >50 51 100% 자체평가
실내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g 10 - - <40 <30 <15 14.9 100% 자체평가
단가
실외향 1회 생산량
1 kg 기준 염료 $/g 10 - - <40 <30 <20 19.8 100% 자체평가
단가
10
소자
% 5 (스위스/EPF 8 10 14 15 15.27 100% 공인성적서
광전변환효율효율
L)
0.5
소자
V 5 (스위스//EP 0.4 0.4 0.5 0.6 0.6 100% 공인성적서
개방전압
FL)
20
소자 내구성 % 5 (스위스//EP 20 20 15 10 진행중 - 공인성적서
FL)
저조도 전력량 (P)
(크기: 10cm2, ㎼ 7.5 - - 90 120 150 165 100% 공인기관 평가서
500lux)
실내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 10 cm2) % 5 - - 20 15 10 9.81 100% 공인기관 성적서
65℃/6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실외향 서브모듈
광전변환효율
% 5 - - 2.5 3 4 4.21 100% 공인기관 성적서
(크기:30×30 cm2,
Tr:20% )
실외향 서브모듈
신뢰성
(크기:30×30 cm2) % 7.5 - - 20 15 10 3.5 100% 공인기관 성적서
85℃/85RH% 1k hr
전후의 효율감쇠율
옥외 실증에 따른
성능 지수 (PR) % 5 - - - 90 95 98.5 100% 공인기관 성적서
(Performance ratio)
DSC 접합후
강화유리강도저하 Pass 5 Pass Pass Pass Pass 100% 공인기관 성적서
(KSL 2002 기준)
DSC접합강도
MPS 5 20 20 21 20.6 95.9% 공인기관 성적서
(전단강도 23MPS)

DSC조립후전압강하 % 5 90 90 95 95.9 100% 공인기관 성적서

옥외설치실증
경간 10 1 2 3 3 100% 자체 평가
시작품 개수

- 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 연구개발 결과

기관 연구개발 결과
1) 실내향 유기염료 상용화 기술 개발
Ÿ 유기 염료의 issue 사항
ü 다수의 alkyl 작용기로 인한 용해도 문제 → 정제시 용매 선택성 낮음, 수율 및
순도를 개선하는데 한계 있음.
ü 고가의 silica gel 이용하여 정제과정 필요 → 중량합성 및 공정화 어려움.
ü Multi-step의 합성 구조 → 작업일수 증가에 따른 고가격 구조.
Ÿ 유기염료의 Anchoring group에 따른 내구성 (열안정성) issue 확인.
ü Metal 배위성이 있는 cyanoacetic acid acceptor의 대안 구조 탐색.
ü 대체 acceptor 탐색으로 신규 상용 유기 염료 기술 개발 진행.

가) 실내향 유기염료(TVP208) 중량 합성기술 개발

주관기관
그림 46. TVP208 합성 Scheme
(주식회사
씨엠디엘)
Ÿ 합성방법 변경
ü 합성 know-how를 이용한 중간체 outsourcing 진행
ü 기존 overall 6step → 4step으로 scheme 변경하여 재현성 구현

① 합성 공정을 단축 및 반응조건 변경하여 수율개선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5step 6step 공정수율
기존공정 85% 90% 65% 91% 75% 91% 30.8%
공정/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원료(A)
변경공정 76.4% 93% 94% 92% 61.4%
표 4. TVP208 단계별 수율

Ÿ 3step 반응조건 최적화하여 수율 상승


ü 기존 – Pd(dppf)Cl2/1,4-Dioxane 조건
ü 개선 – Pd(OAc)2/XPhos/THF 조건

Ÿ 5step 반응조건 최적화 및 공정 최적화 수율 상승


ü 기존 – silica column 분리
ü 변경 – silica short column 분리

② 중량합성을 통한 공정 재현성 확립

- 6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공정수율


200g scale 76% 92% 96% 95% 63.7%
500g scale 75.3% 91% 94.5% 93% 60.2%
1Kg scale 76.4% 93% 94% 92% 61.4%
표 5. TVP208 중량합성 수율

Ÿ 중량 합성 공정에 기반을 둔 고수율, 고순도 공정 확립


ü 재현성 확인하는 process를 통해 합성 확인
ü Short column 공정 적용 공정일수 단축 및 중량생산 구현

③ 신규화학물질 등록 : 생산판매를 위한 등록

ü 화학물질 정보를 등록, 심사, 평가하여 화학물질 정보의 생산과 공유로 사전 예


방관리와 유해 화학물질 함유화학제품의 안전관리 강화
ü 제조(수입)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해성에 관한 정보를 생산에 활용.
ü 화학물질의 신뢰성확보.

나) 실내향 염료(TVP067) 중량 합성기술 개발

- 6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7. TVP067 합성 Scheme

Ÿ 자료 탐색을 통해 물질 특성 확인 및 합성 기술 방향 수립.
Ÿ OLED 재료 기반의 장점을 활용한 물질 합성 및 고순도 정제 공정 확립.
Ÿ 10단계 이상의 합성공정 확립 후 원료 outsourcing을 통한 중간체 확보.
Ÿ 합성 know-how를 이용한 중간체 outsourcing 진행.
Ÿ 중량 합성 공정에 기반을 둔 고수율, 고순도 공정 확립.
ü 단계별 합성 분리 공정을 통한 재현성 확립.
ü 단계별 수율 병목구간(반응촉매·온도·용매·시간등 보완)을 최적화 .
ü Short column 공정 적용 공정일수 단축 및 중량생산 구현.

① 합성 공정을 확립하여 고수율 중량합성을 재현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공정수율
60g scale 98% 89% 95% 32% 26.5%
500g scale 96% 90% 92% 63% 50.0%
1Kg scale 95% 90% 92% 64% 50.3%
표 6. TVP067 중량합성 수율

Ÿ 60g scale 합성 진행 물질 특성 확인 및 중량합성 기술 방향 확립


ü 4step Anchoring 합성 수율저하 공정개선
ü 합성공정 확립 후 원료 outsourcing을 통한 중간체 확보 및 단계공정 확립
ü 중량합성 기반 4step column 공정 → 재결정공정 도입

다) 실내향 염료단가 & 원재료비율


Ÿ 유기염료 중량생산 개발과정에서 생산수율 증가에 따른 저가격화 및 염료소재
의 원재료 비율.
Ÿ 합성 공정을 확립하여 정량적 목표 달성 (실내향 < 15$)
Ÿ OLED 생산 기반의 재료 확보 pool을 이용한 주요 중간체 outsourcing 확보

- 6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8. 실내향 염료단가 & 원재료비율

2) 실외향 유기염료 상용화 기술 개발


Ÿ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Ruthenium 염료의 issue 사항
ü Ru-염료는 금속 착화합물로서 순도 및 수율을 개선하는데 한계 있음.
ü 고가의 레진을 이용하여 정제 진행하는 과정 필수 → 염료단가 상승의 원인.
ü 착물의 경우 정확한 순도 측정이 어려움 → 문제 공정 원인 파악 난해함.
ü 신규 상용 Porphyrin염료 기술개발 진행

가) 실외향 염료 TVP031 중량 합성기술 개발

그림 49. TVP031 합성 Scheme

Ÿ 2단계 문제점 보완 개선 중량합성 재현성 구현


ü 병목 공정을 선수행한 후 잔여 공정을 기존의 재현성 있는 반응 활용.
Ÿ Acid form-Ru 착물 반응진행으로 수율 및 순도개선
ü 기존 Ref(ester form-Ru착물)로서 기존공정의 결정화 단계(toxic solvent인
triethylamine 공정)에서 인체 유해한 vapor 다량 발생
ü 개선공정 Acid form으로 반응진행 농축과정 없음.
Ÿ 저가레진을 사용하여 염료의 수율 및 순도 재현성 구현

① 개선된 공정을 이용한 중량합성 공정을 확립하여 고수율의 최종품 확보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5step 공정수율
(Resin 공정) (정제)
200g scale 98% 86% 93% 97% 67% 50.9%

- 6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00g scale 97% 86% 91% 96.5% 67.5% 49.4%


1Kg scale 95% 87% 92% 96% 69% 50.3%
표 7. TVP031 중량합성 수율

나) 실외향 염료(TVP033) 중량 합성기술 개발

그림 50. TVP031 합성 Scheme

Ÿ 반응 volume 공정 최적화
ü 높은 반응 volume 공정은 현장 생산 적용이 어려움
ü volume 감소는 현장화(상용화)진행 요건
Ÿ 고가 레진 컬럼 공정 → 저가레진 컬럼 공정으로 대체 → 컬럼 배제 정제공정
개발
ü 염료단가 상승의 요인 해결
ü 정제공정을 통한 상용화 기술개발
Ÿ HPLC 순도 재현성 구현
ü 확립된 공정을 오차범위 내에서 수율, 순도, 효율 측면에서 동등한 결과 도출

① 개선된 공정을 이용한 중량합성 공정을 확립하여 고수율의 최종품 확보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5step(정제) 공정수율


(Resin 공정)
400g scale - - 67% 63% 80% 33.7%
1step 2step 3step 4step(정제)
500g scale 73.5% 71% 52.1%
1Kg scale - - 74.5% 71.4% 53.1%
표 8. TVP033 중량합성 수율

② HPLC 순도에 따른 효율 평가 결과

그림 51. 염료순도에 따른 셀효율 결과

Ÿ 염료 정제과정 중 순도가 좋지 않은 염료가 상대적으로 전기화학적 특정이 좋


지 않음(에탄올 용해도가 좋지 않음)

③ 레진 공정에 따른 효율 평가 결과

- 6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Organica사와 유사 동등 수준의 평가 결과 획득, 기존의 레진 공정은 염료단가


상승의 원인으로 레진사용하지 않는 공정 개발로 단가 저감 가능.
Ÿ 공정확립 및 수율/순도 변화 확인을 통한 재현성 확보 필요.

그림 52. 염료 레진공정 배제에 따른 셀 효율 결과

④ 신규화학물질 등록 : 생산판매를 위한 등록

ü 화학물질 정보를 등록, 심사, 평가하여 화학물질 정보의 생산과 공유로 사전 예


방관리와 유해 화학물질 함유화학제품의 안전관리 강화
ü 제조 수입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해성에 관한 정보를 생산에 활용
ü 화학물질의 신뢰성확보

다) 실외향 염료단가 & 원재료비율


Ÿ Ru-염료 중량생산 개발과정에서 생산수율 증가에 따른 저가격화와 각 염료소재
의 원재료 비율.
Ÿ 확립 공정을 통한 중량합성 결과 정량적 목표 달성 (실외향 < 20$)

- 7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원재료 비용분석을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

그림 53. 수율에 따른 Ru-염료 단가 & 원재료 비율

라) Porphyrin 염료 TVP066 중량 합성기술 개발

그림 54. TVP066 합성 Scheme

① 상용화 기술개발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5step 6step
기존공정 22% 50% 95% 55% 47% 50%
개선공정 31% 63% 98% 76% 72% 61%
표 9. TVP066 공정개선 수율

Ÿ 1step 정제조건 최적화 수율 상승


ü 부반응 물질 및 과량의 DDQ silica 위에 코팅되어 막힘 현상 발생
ü EtOH/Toluene washing 과정 적용, 합성공정 및 시간 단축

Ÿ 2step 반응 조건 최적화 수율 상승
ü 기존 – solvent MC, 반응 온도 0℃
ü 개선 – solvent DMF, Br2 0.25eq, 반응 온도 r.t

Ÿ 4step 반응 조건 및 반응시간 최적화 수율 상승


ü 기존 – amine 1eq, PhI(OAc)2 1eq, NaAuCl4·2H2O 1.17eq, solvent MC, 반응 온
도 0℃, 반응시간 15min

- 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개선 – amine 1.5eq, PhI(OAc)2 1.5eq, NaAuCl4·2H2O 1eq, solvent THF, 반응


온도 r.t, 반응시간 2h30min

Ÿ 5step 반응 조건 최적화 수율 상승
ü 기존 – Benzamide 2.4eq, CuI 0.2eq, PPh3 0.4eq, Pd(OAc)2 0.05eq
ü 개선 – Benzamide 1.8eq, CuI 0.2eq, PPh3 0.4eq, Pd(PPh)3Cl2 0.05eq

Ÿ 6step 반응 조건 최적화 수율 상승
ü 기존 – TsOH 20eq, t-butanol 50ml/g, THF 50ml/g
ü 개선 – TsOH 20eq, THF 50ml/g

② 개선된 공정을 이용한 중량합성 공정을 확립하여 고수율의 최종품 확보


공정/단계 1step 2step 3step 4step 5step 6step
50g 33% 64% 98% 75% 73% 60%
100g 31% 63% 98% 76% 72% 61%
표 10. TVP066 중량합성 수율

③ Porphyrin 염료 성능 및 모듈

그림 55. TVP066 특성평가 결과

- 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56. TVP066 vs TVP033 서브모듈 비교평가

③ Porphyrin 염료 저가격화 공정기술

그림 57. Porphyrin 염료 저가격화 공정기술

⑤ Porphyrin 염료 순도 및 구조 분석

그림 58. Porphyrin 염료 1H NMR 구조 분석

- 7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NMR 분석
ü 결론적으로 aromatic의 proton 개수가 맞고 –NH,-OH 가 있는지 확인
ü 3.8ppm에 -O의 alkyl chain proton 8개와 2.7ppm에 –S의 alkyl chain proton 4개
확인
ü Alkyl chain 0~1.4ppm proton 개수 확인.
ü Proton NMR결과 –NH, -OH, alkyl chain 개수와 ppm위치 확인 하여 proton 개
수가 오버되는 것없이 측정되면서 아래의 구조와 같이 TVP066임을 확인가능.
ü 이론치 proton 82개(측정결과 87개) 순도 95%이상 판단됨.

그림 59. Porphyrin 염료 원소분석

Ÿ 원소분석
ü 원소분석 결과로부터 실험식을 구함.
ü 계산값 1차 C:100, H:125, N:6, O:6, S:2 / 2차 C:99, H:125, N:6, O:7, S:2
ü 이론값 C:97, H:122, N:6, O:6, S:2에서 허용오차인 절대적 오차 범위인 ±0.3%이
내로 측정됨.
기관 연구개발 결과
가) 1차년도 결과 review
① 저조도에서 광전변환 효율평가
Ÿ 저조도 상황에서의 소자특성 검토 결과는 [그림 60]에 표시
Ÿ TVP208 염료를 적용하여 광강도를 변화시키면서 광전변환 거동 관측
Ÿ 저조도에서 보다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Voc의 감소를 막을 수
있는 고전압 특성의 전해질 개선 필요.

참여기관 1
(영남대학교)

그림 60. 광강도에 따른 DSC 소자 광전변환 거동(TVP208), 24cm2, 전해질:I-1/I3-1

② 소자내구성 평가
Ÿ [그림61]에서 Cu+1/Cu+2계 전해질과 I-1/I-3 계 전해질을 적용한 소자의 신뢰성 평
가하였음 Cu+1/Cu+2계 전해질 소자는 17% 감소하였으며, I-1/-3 계 전해질을 적용

- 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 소자는 19% 감소하여 Cu+1/Cu+2계 전해질이 우수한 신뢰성을 보이고 있음.


Ÿ Cu계 전해질은 우수한 신뢰성과 높은 Voc를 보이는 반면, 낮은 Jsc를 보여 광
전변환 효율은 감소하는 경향 → Cu+1/Cu+2계 전해질의 분자 구조를 높은 Jsc 값
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

그림 61. Cu+1/Cu+2계 전해질과 I-1/I-3 계 전해질을 적용한 소자의 신뢰성 평가

나) 2차년도 결과 review
① 신규 유기 염료 합성 및 소자 최적화
Ÿ anchoring 그룹으로 cyano carboxylic acid 보다 Oxime 계의 anchoring 그룹을
사용한 경우 우수한 염착 특성 → 광전변환 효율이 상승하는 경향.
Ÿ Phenothiazine 계 발색단의 경우, 동일한 분자 구조에서 oxime 그룹을 도입한
경우가 보다 우수한 광전변환 거동을 보임.
Ÿ Triphenylamine 계 발색단에 Oxime 그룹을 도입한 경우 광전변환 효율의 감소
를 보이나 이는 용해도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용해도를 개선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효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그림 62. 신규 유기 염료 합성

그림 63. 신규 유기 염료의 소자 특성 규명

- 7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저조도에서 광전변환 효율평가


Ÿ 유기염료의 경우 선택적 광파장 흡수가 발생하여 넓은 광파장 영역을 흡수하기
위하여 염료 혼합 용액을 사용 → 혼합염료 염착시 염료에 따른 염착 속도차이
발생 → 본 연구에서는 염료의 염착 시간 조절하여 광전극을 최적화하였음.
Ÿ 혼합염료(TVP208 + 폴피린 기반의 염료)의 경우 분자 구조가 상이하여 분자간
의 회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 흡수영역이 달라 염료 혼합으로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최적화하여 1sun 조건 하에서 8.89%의 광전변환
효율을 확인하였으며, 저조도 환경 (0.01sun)하에서 광전변환효율 측정 (13.53%),
저조도 조건하에서는 소자의 효율은 상승하게 되며 이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광 강도가 낮아 Jsc 수치가 증가하기 때문.

그림 64. 저조도 환경에서의 효율 평가 (1000 lux)

③ 소자내구성 평가

그림 65. 전해질에 따른 셀내구성 평가결과

다) 3차년도 결과
① 염료합성
Ÿ 신규 염료 구조를 디자인하여 합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66 에 표시하였으며
합성법은 다음에서 간단히 정리하였음

- 7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66. 신규 염료 합성법

② 신규 염료를 적용한 소자 성능 평가

그림 67. 신규 염료를 적용한 DSSC 소자의 I-V 그래프 및 EIS 스펙트럼

Sample Jsc(mA/cm^2) Voc (V) FF Ƞ(%)


Dye A 1 layer 14.58 0.72 0.71 7.68
Dye A 2 layer 22.45 0.72 0.66 10.75
Dye B 1 layer 14.73 0.68 0.69 6.86
Dye B 2 layer 18.80 0.63 0.68 8.05

표 11. 신규 염료를 적용한 DSSC 소자 광전변환 거동

- 7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신규 합성 염료의 광전변환 거동의 평가를 위하여 광전극을 달리하여 소자를


제작한 후 효율을 평가하였음. 그 결과 (I-V 그래프 및 EIS 스펙트럼)를 그림
67과 표 11, 12에 정리하였음.
Ÿ 표 1에 보인 것과 같이 Dye A에서 우수한 광전변환 거동을 관찰할 수 있었으
며 일반적인 1 sun 조건에서 10.75%에 이르는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보였음.
In Light
Sample
R1(Ω) R2(Ω) R3(Ω) ω(Ω) τ(ms)
Dye A 1 layer 7.469 2.83 11.91 3.842 3.06
Dye A 2 layer 6.654 2.913 8,854 3.025 5.03
Dye B 1 layer 6.604 2.512 12.51 5.664 5.03
Dye B 2 layer 6.158 2.735 10.75 4.378 5.03

표 12. 신규 염료를 적용한 DSSC 소자의 EIS 거동

Ÿ 이는 전자주게와 전자받게 사이에 확보된 넓고 강직한 파이평면에 의한 효과로


분자의 몰흡광계수가 증가하고 광흡수영역이 확대됨에 따른 것으로 Dye A에서
는 이에 더하여 보다 강한 전자받게와 염착 특성이 개선된 구조를 적용하여 광
전변환 효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됨.

③ 저조도 환경에서의 소자 효율 평가
Ÿ 다양한 광원에서의 소자 평가를 위하여 소자 하나를 선정하여 1 sun 조건에서
다양한 광원의 밝기에서 측정한 후 다시 1 sun에서 측정하여 소자의 효율의 차
이를 확인하였음. 그 결과를 그림 3과 표 3에 정리하였음. 그림 3과 표 3에 보
인 결과는 광전극의 두께가 일반적인 8μm의 두께를 가지는 소자의 결과이며
표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인 Dye A 결과만 표시하였음
Ÿ 신규 합성한 Dye A 및 B 도 낮은 조도의 환경에서 우수한 광전변환 거동을 보
여 Dye A의 경우 1 sun 조건에서 7.68%의 소자 효율을 보이는 소자가 약 0.1
sun의 광원의 밝기에서는 8.72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음. 1 sun의 약 4% 광
밝기에서는 다시 광전변환 효율이 감소하며 이는 너무 작은 수의 여기전자가
생성되어 collecting efficiency가 낮아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그림 68. Dye A 및 B를 적용한 DSSC 소자(광전극 두께: 8μm)의 광 밝기에 따른


I-V 그래프

Ÿ 광전극 두께가 14μm 소자에서는 Dye A 및 B 모두 1 sun 조건하에서도 광전


변환효율이 우수하였으며, 저조도 환경에서도 높은 효율을 보여 1 sun의 약 4%
에 해당하는 광 밝기에서 Dye A의 경우 13.7%의 광전변환 효율을 보였음. (그
림 4 및 표 4) 표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효율을 보인 Dye A 만 표시하였음.
Ÿ 신규 합성 염료의 경우 높은 몰흡광계수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주입 특성이 우
수한 anchoring 그룹을 도입하여 기본적인 광전변환 거동이 우수하므로 저조도

- 7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경에서 작은 수의 여기 전자를 형성하더라도 다른 소자에 비하여 높은 효율


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어 우수한 결과로 인식되고 있음.
Dye A 1 layer (8μm)/
Jsc(mA/cm^2) Voc (V) FF Ƞ(%)
Light Intensity
100 mW cm-2 14.58 0.72 0.71 7.68
50 mW cm-2 8.04 0.70 0.73 8.44
22 mW cm-2 3.70 0.67 0.73 8.45
8 mW cm-2 1.51 0.63 0.70 8.72
4 mW cm-2 0.79 0.60 0.68 8.41
1 mW cm-2 0.19 0.52 0.54 5.44
0.30 mW cm-2 0.06 0.39 0.42 3.49
1 mW cm-2 0.18 0.52 0.54 5.25
4 mW cm-2 0.78 0.60 0.69 8.51
8 mW cm-2 1.50 0.63 0.71 8.84
22 mW cm-2 3.70 0.67 0.73 8.65
50 mW cm-2 7.99 0.70 0.73 8.56
100 mW cm-2 14.54 0.72 0.71 7.74
표 13. 염료A 적용 DSC소자(광전극: 8μm), 조도에 따른 광전변환 거동

그림 69. 염료 A 및 B 적용 DSC 소자(광전극 14μm), 조도에 따른 I-V 그래프


Dye A 2 layer (14μm)/ Jsc(mA/cm^2) Voc (V) FF Ƞ(%)
Light Intensity
100 mW cm-2 22.45 0.72 0.66 10.75
50 mW cm-2 12.44 0.70 0.69 11.94
22 mW cm-2 5.92 0.67 0.71 12.75
8 mW cm-2 2.41 0.63 0.72 13.60
4 mW cm-2 1.25 0.60 0.72 13.60
1 mW cm-2 0.29 0.54 0.67 10.51
0.30 mW cm-2 0.08 0.46 0.47 5.48
1 mW cm-2 0.29 0.54 0.67 10.34
4 mW cm-2 1.25 0.60 0.73 13.70
8 mW cm-2 2.37 0.63 0.72 13.61
22 mW cm-2 5.87 0.68 0.71 12.83
50 mW cm-2 12.39 0.71 0.69 12.09
100 mW cm-2 22.85 0.72 0.66 10.93
표 14. 염료A 적용 DSC소자(광전극: 14μm), 조도에 따른 광전변환 거동

Ÿ 그림 70에서는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하여 신규 합성한 염료 Dye A 및 B에


대하여 광전극의 두께 및 광량에 따른 소자의 광전변환 거동을 종합하여 표시
하였음. 광량이 감소함에 따라 Jsc는 비례하여 감소하지만 Voc 광량의 변화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광량이 20% 이하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FF 값은 광량의 감소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약 0.3% 이하의
광량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결과적으로 효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다가 약 4% 이하의 광량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염
료의 특성에도 일부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염료의 몰흡광계수가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 7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70. 염료 A 및 B 적용 DSC 소자(광전극: 8 및 14μm), 조도에 따른


광전변환거동의 변화

④ DACE type DSSC 소자 제작을 통한 소자 효율 최적화


Ÿ 소자 효율 최적화를 위하여 DACE type의 소자를 제작하여 효율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Ÿ DACE type의 DSSC는 기존의 광전극의 형태는 동일하나 counter electrode 로
사용되는 Pt 표면에 TiO2 박막을 제작하고 이에 다시 염료를 염착하여 전해질
에 도입되는 전자의 수를 향상시킨 소자임. 따라서 전해질을 통하여 이송되는
전하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electron regeneration이 증가하므로 소자의 효율
이 상승하게 됨.

그림 71. DACE type의 DSSC 제작 공정과 이를 통하여 제작한 소자의 구성 예

Ÿ 신규 합성 염료를 적용한 DACE type의 소자를 제작하여 효율을 측정하였음 소

- 8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의 제작 공정은 다음 그림 6에 표시하였음.
Ÿ 광전극에 적용한 염료는 본 과제에서 합성한 염료들로 염료의 흡광 파장과 광
전변환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였음.
Ÿ Porphyrin 염료와 당해년도 합성한 Dye B 염료 그리고 이를 혼합한 cocktail 형
광전극을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소자를 평가하여 광전변환 거동을 관찰하였음.

⑤ DACE type DSSC 소자 제작을 통한 소자 효율 최적화


Ÿ 본 연구에 적용된 염료의 구조와 UV/Vis absorption 스펙트럼을 그림 7에 표시
하였음. DACE type의 DSSC용 염료는 광전극 및 상대전극 쪽에 모두 염료가 적
용되므로 염료의 광흡수 영역을 적절히 디자인하여 배분함이 필요함.
Ÿ 본 연구에서는 그림 7에 표시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염료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대전극에 있는 염료도 광흡수에
의한 전하 발생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하였음. 일반적으로 광전극에 비교적
단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선택하여 염착하고 상대전극에 장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염착하는 것이 광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유리.

그림 72. DACE type의 DSSC에 적용된 염료의 구조와 UV/Vis absorption 스펙트럼

Ÿ 서로 다른 염료를 광전극에 염착하였고 각각 다른 염료를 상대전극에 염착하여


광전변환 거동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73과 표 15에 나타내었음.
Ÿ 광전극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광전변환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적
인 소자의 거동과 동일하였음.
Ÿ 가장 높은 효율은 비교적 장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porphyrin 염료를 광전극에
도입한 경우에서 관측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광전극의 염료 광흡수에 의해 생성
하는 전자의 수가 우선적으로 광전변환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
Ÿ 이는 기존 논문의 결과와 상반되는 결과로 논리적으로는 단파장의 광흡수를 가
지는 염료를 광전극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예측할 수 있으나 결국 광전
변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광전극 상의 light harvesting effect
라고 생각되므로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염료를 광전극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음.

- 8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73. DACE type DSSC 소자의 광전변환 거동(왼쪽 위: 일반소자, 오른쪽 위 :


DACE type 소자) 및 EIS 스펙트럼(아래) : (a) Nyquist plot (Inset reveals high
frequency semicircle), (b) Bode phase plot of DSSCs.

Sample Jsc(mA/cm^2) Voc(V) FF Ƞ(%) τ(ms)


Dye B (광전극: 8μm) 15.55 0.62 0.66 6.32 5.03
DACE type 15.15 0.73 0.63 6.83 7.98
Dye B (광전극: 14μm) 17.00 0.62 0.66 6.98 5.03
DACE type 17.21 0.68 0.64 7.54 7.98
Porphyrin(광전극: 8μm) 14.55 0.73 0.63 6.67 15.9
DACE type 16.85 0.67 0.65 7.31 7.98
Porphyrin(광전극: 14μm) 16.15 0.73 0.61 7.15 12.6
DACE type 18.91 0.71 0.63 8.39 10.00
표 15. DACE type DSSC 소자의 염료 및 광전극 두께에 따른 광전변환 거동과
Bode phase plot을 통하여 측정한 electron life time

⑥ 광전극에 Cocktail 염료를 적용한 DACE type DSSC 소자


Ÿ 광전극의 light harvesting effect가 DACE type DSSC 소자에서도 가장 중요한
효율 결정 인자가 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광전극에
porphyrin 염료와 Dye B를 cocktail 형태로 염착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음. 그
결과를 그림 74와 표 16에 표시하였음
Ÿ 일반적인 소자형태에서 7.15 %의 광전변환 효율을 보이던 porphyrin 염료 적용
소자에서 DACE type DSSC 소자를 제작함에 따라 8.39%의 광전변환효율을 보
이게 되었음. 이를 추가적으로 광전극상 염료 염착을 cocktail 형으로 적용하는
경우 9.13%로 광전변환 효율이 상승함을 확인하였음.

그림 74. Cocktail 형 DACE type DSSC 소자의 광전변환 거동(위) 및 EIS

- 8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펙트럼(아래) : (a) Nyquist plot (Inset reveals high frequency semicircle), (b)
Bode phase plot of DSSCs.

Sample Jsc(mA/cm^2) Voc(V) FF Ƞ(%) τ(ms)

Porphyrin/DyeB (광전극: 8μm) 18.21 0.69 0.64 8.17 7.98


Porphyrin/DyeB DACE (광전극: 8μm) 19.55 0.72 0.62 8.70 7.98
Porphyrin/DyeB (광전극: 14μm) 19.62 0.69 0.65 8.85 7.98
Porphyrin/DyeB DACE (광전극: 14μm) 21.10 0.71 0.61 9.13 10.00

표 16. Cocktail 형 DACE type DSSC 소자의 염료 및 광전극 두께에 따른


광전변환 거동과 Bode phase plot을 통하여 측정한 electron life time

Ÿ 결론적으로 염료 구조를 최적화하여 소자의 광전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하


는 노력은 DSC 상용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소자 제작공정에서
도 DACE type 소자를 적용하고 이를 적당한 염료와 cocktail 형으로 적용하는
경우 효율의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

기관 연구개발 결과
가) 실외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요약
① 모듈설계
㉮ 1차년도 결과 review
Ÿ 본 과제의 2단계 개발 결과(300x300mm 서브모듈)는 최적의 모듈은 16개 직렬구
조 모듈이었음.
Ÿ 1차년도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패널화 과정에서 DSC의 출력전압과 컨버터의
입력전압을 맞추기 위해 모듈간 병렬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
Ÿ 전류가 배수가 되어 (저항 loss가 I2R로 표현되어 전류 제곱에 비례함) 전력 loss
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모듈의 Pad단 저항을 줄여야 함.
참여기관 2 Ÿ 1차년도 결과 : Pad부 폭에 따른 power loss 시뮬레이션, 설계 반영 및 결과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표 17. Pad부(400㎛ 사용시) power loss 시뮬레이션

표 18. Pad부(3,000㎛ 사용시) power loss 시뮬레이션

- 8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75. Pad부 폭에 따른 IV curve 및 Pad부 폭에 따른 parameter

㉯ 2차년도 결과 review
Ÿ Pad부 저항 감소는 유지하면서 공정개선 point 추출
ü 3mm Pad부를 모듈 끝단으로 이동시키고, 폭은 유지함. 또한, 모듈 alignment
key 부분 삽입
ü Pad부를 모듈끝단으로 옮긴 영역만큼 resin 도포영역은 확대하고 Ag line 추

ü 전극부 부호를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한쪽만 끝단 사다리꼴 모양 변경.
ü 끝단 셀 광전극 확장 및 cell간 연결용 Ag line 확장.
Ÿ 4wire 및 2wire에 의한 측정 방법에 의해 파워 loss 감소 여부 확인.
ü 4wire 측정 (전압 및 전류 별도 wire로 측정)시에는 전압 및 전류 선이 구분
되어 IR drop이 발생되지 않은 것과 같은 결과가 측정이 됨. (모듈에서
의 최고 power값이 출력됨)
ü 2wire 측정 (전압 및 전류 동일 wire로 측정)시에는 IR drop이 반영되어 전류
값에 의한 power 값이 반영이 되므로 power loss가 그대로 출력에 반영됨.
ü 확인 결과 아래표와 같이 4wire로 측정한 것 대비 2wire 측정시 1% 수준으로
거의 동일한 값으로 출력값이 나옴을 확인함. (Pad부에 의한 loss율 1% 수준
임을 확인함)

그림 76. Pad부 변경ver2 설계 내용 및 측정 방법에 의한 차이

㉰ 3차년도 결과
Ÿ Pad부 추가 확장 및 직렬 개수 변경
Ÿ 낮은 광량에서의 효율 개선 및 패널화시 loss 개선

- 8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77. Pad부 및 직렬 개수 변경 설계 내용 및 모듈

표 19. Sun양에 따른 12직렬 모듈 효율

Ÿ 기존 전해질 조건으로 모듈 제작시 0.6sun에서 효율이 개선됨(3.3%)을 확인함

② 전해질 최적화
㉮ 1차년도 결과 review
Ÿ 효율(목표 2.5% 이상) 85℃/85% 고온고습 테스트 (목표 : 감소율 20% 이하)를
만족시키고자, 전해질 1, 2조건으로 테스트 실시함. 전해질 1조건 효율 2.89%으
로(목표 2.5% 이상), 자체 평가시 85℃ 고온보존 가속시험 결과 25% 이상의 감
소율 보임.
Ÿ 전해질 2조건 자체 평가시 85℃ 고온 보존 가속시험 결과 초기 대비 효율 감소
율이 6%이지만, 효율 자체가 2.15%로 2.5%이하로 목표값을 만족하지 못함.
Ÿ 전해질 2조건 (신뢰성 테스트 결과가 좋은 조건)에 초기효율을 올리기 위한 첨
가제 추가 및 formulation 변경 실험 진행함.
Ÿ 효율 및 신뢰성 평가 목표 만족을 위해 기존 전해질2 조건을 개선하여 자체 평
가 (85℃ 고온 보존) 실시함. 전해질1 조건에서의 효율과 동등 수준 2.86%를 나
타내면서도 고온 보존 조건에서 열화율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음.

표 20.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테스트 결과

표 21.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테스트 결과

- 8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2차년도 결과 review
Ÿ 1차 평가의 경우 전해질 농도 조절을 통해 효율 향상 여부를 확인하고, 동시에
효율 3% 이상이 나오는 모듈에 대하여 고온 85℃ 보존 평가를 실시하였음.
Ÿ 농도 조절에 의한 전류 및 전압 상승 효과를 보였고, 전류 상승에 의한 FF 감
소 경향을 나타냄. 추가적인 농도 조절에서 내부 저항 상승으로 인해 전류 및
FF 값이 peak 대비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
Ÿ 3% 이상 효율이 나오는 조건1 샘플에 대하여 85℃ 고온 보존 평가를 실시하였
으나, Voc 및 FF에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나, 400h 경과시 이미 20% 가까운 효
율 감소율을 보여줌.
Ÿ 2차 평가에서는 1차 평가 결과를 감안하여, 초기 Voc는 낮추고, 전류값을 상승
할 수 있도록 첨가제 추가하여 전류값 상승으로 인한 FF감소 결과에도 불구하
고, 대략 3%를 넘는 모듈 효율을 가지는 조건확보. 1차 평가대비 초기 Voc와
FF값이 낮아져서 85℃평가에서 감소율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함.
Ÿ 2차 평가 결과, 고온 보존 500h 경과에도 Voc, FF값의 감소율이 대폭 낮아져서
전체적인 효율 감소율이 4.5% 수준으로 나옴.

표 22.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1차 테스트 결과

표 23.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2차테스트 결과

㉰ 3차년도 결과

표 24.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테스트 결과

- 8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25. 전해질 조건에 따른 85도 고온 보존 테스트 결과

Ÿ OLE 전해질 대비 ILE 전해질 평가 : 효율 목표 수준 만족함을 확인함. (12직렬


기준)
Ÿ 최적 조건인 전해질 B 조건으로 제작 (16직렬 기준)
Ÿ 16직렬 모듈을 공인 기관에 평가 의뢰함

Ÿ 공인 기관 평가 의뢰
ü 위의 소자최적화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효율 및 신뢰성 평
가를 의뢰함.
ü 효율 4.206% , 3차년도 정량적 목표치 달성
ü 고온고습(85℃/85RH%) 1,000시간 평가 결과 3.5% 출력 감소율로 정량적 목표
값 10% 이하의 값을 나타냄

그림 78. 효율 및 고온고습 (85℃/85RH%) 테스트 결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Ÿ Performance ratio 측정 결과

그림 79. Performance ratio 평가 (KCL)

- 8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80. Performance ratio 평가 결과 (KCL)

Ÿ 전체적으로 일사량이 적은 날의 Performance ratio가 높게 나타났고, 기준선이


100% 이상의 값을 항상 나타냄. 실제 DSC의 경우 sun양이 낮게 되면 전류값이
줄어들어 loss율이 감소하므로, 낮은 일사량에서의 Performance ratio가 높게 나
타나는 경향성을 보여줌. 전체 평균적인 performance ratio의 경우 98.5값을 나
타내어 정량적 목표값인 95이상의 값을 보여줌

Ÿ 모듈 투과율 측정
ü 본 과제의 2단계에 적용하였던 투과율 관련 인자 중에서 광전극의 pore, 두께
및 입자 모양을 그대로 적용하고, 3단계 3차년도 염료 및 전해질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투과율 측정 결과를 나타냄
ü 투과율 측정 결과 : 26.6%

나) 실내향 서브모듈 기술개발 요약


① 모듈설계
㉮ 1차년도 결과 review
Ÿ 실내향 서브모듈의 cell개수가 power loss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전류밀
도값(40㎂/㎠)을 넣어 시뮬레이션 함.
Ÿ 실내향 모듈의 경우에는 [표 7] 결과와 같이 저항에 의한 loss는 거의 발생하지
않음. 따라서 모듈의 cell 개수는 저항 loss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되는 device의
전압 범위 (배터리의 충전 전압범위)에 맞추어 설계하면 됨.
Ÿ 2차전지 충전전압이 대략 1.2~1.5V 이므로 셀 개수 4개 직렬 서브모듈로 설계
함. 가로 세로 size는 채용되는 device (예: beacon)에 맞게 아래와 같이 설계하고
제작함.

표 26. 실내광에서의 파워 loss 시뮬레이션

- 8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81. 서브모듈 제작설계도 및 제작품

㉯ 2차년도 결과 review
Ÿ 1차년도에 설계하여 제작한 DSC 모듈로 충전 테스트를 실시하여 전압 정합성
과 충전효율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함.
Ÿ 원칙적으로는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배터리에 충전하기 위해서는 태양전기 출력
단과 배터리 입력단 사이에 DC-DC converter가 필요함. 하지만, 현재 상용화되
어 있는 converter는 자체 구동을 위해서 100㎼에 가까운 기본전력을 소비함.
Ÿ 실내향 소자 발전량은 ㎼ 단위로 매우 작기 때문에 충전을 위해 converter를
사용하면 발전량이 모두 converter 소비전류로 쓰이거나, 오히려 converter가
배터리를 방전하는데 쓰임.
Ÿ Converter를 사용하지 않고, direct로 DSC모듈과 배터리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법이 전력 손실이 가장 작은 방법임.
Ÿ 현재 설계한 DSC 모듈을 2개로 직렬 연결하여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3.7V
공칭전압을 가지는 Li ion 배터리에 대하여 500lux 조건에서 충전실험을 통하여
충전 효율을 확인하여 봄.

그림 82. 실내광을 이용한 충전 구성도

- 8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83. 500lux 조건에서의 IV그래프와 충전 전류량

Ÿ 충전 실험 결과, DSC 모듈의 자체 발전량 대비 90.4% 수준의 높은 충전 효율을


나타냄. 이 경우 낮은 소비전력을 가지는 beacon과 같은 응용품의 경우의 배선
연결은 배터리의 (+), (-) 극과 beacon 모듈의 (+), (-)극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
하면 됨

㉰ 3차년도 결과
Ÿ DC-DC converter 사용시 충방전 실험

그림 84. 실내광을 이용한 충전 구성도

그림 85. 500Lux에서의 충전전류 확인 (with converter without beacon)

그림 86. 500lux 조건에서 DSC 유무에 따른 방전 전류값

Ÿ 상용중인 DC-DC converter를 이용한 충전 실험 진행 결과 평균 10㎂ 정도의


전류 충전이 됨을 확인하였음. 2차년도 예상대로 converter 사용시 오히려 충전
전류값이 감소함.
Ÿ Direct충전의 경우는 83.5㎂로 전류값이 더 높게 나왔음. 추가로 실제 상용중인
DC-DC converter를 이용하고 beacon을 연결하여 DSC를 연결한 상태와 아닌

- 9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태에서의 방전 전류값을 비교하였음.


Ÿ DC-DC converter 사용시 충전량이 방전값보다 작게 되어 충전 부분이 load로
작용되어서 DSC가 없을 때가 오히려 방전 전류값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함.
Ÿ 하지만 direct 충전시에는 빛이 없는 상태(dark 상태)에서는 DSC가 load로 작용
되어서 방전이 되는 문제가 있음. 이에 방전 방지용 blocking diode를 채용하여
방전을 방지하고자 함. 그러나 이 경우 충전량이 감소될 수 있어 trade off 관
계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음.

그림 87. 직접 충전시 문제점 – Dark 상태에서의 방전 모식도

그림 88. 방전 방지를 위한 blocking diode 추가 모습

그림 89. Diode 채용에 따른 충방전 결과 확인

Ÿ 결과적으로 직접 충전시에는 blocking diode를 쓰게 되면 충전시 4㎂를 손해 보


게 되나, 방전시에는 7㎂만큼 더 이익이 되므로 blocking diode를 써서 충전하는

- 9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것이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음.

② 전해질 최적화
㉮ 1차년도 결과 review
Ÿ 실외향 ref 전해질 기반 테스트에서 출력이 90㎼를 이하값을 보여 목표 만족
못함.
Ÿ 추가 전해질 조건에 따른 모듈 자체 평가시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함.
Ÿ 실외향 Ref 전해질 A 뿐만 아니라 일부 조성 변경 전해질 B, C에서 출력값이 목
표값에 미치지 못함.
Ÿ 용매 변경 및 I2 농도 조절 실시함.

표 27. 전해질 조건에 따른 1차 출력 결과

표 28. 전해질 조건에 따른 2차 출력 결과

그림 90. 신뢰성평가 결과 그림 91. 신뢰성전후 IV 모양 비교

Ÿ 2차 전해질 조성 최적화
ü 용매 변경 및 redox종의 농도조절(감소) 테스트를 통해 출력 목표치를 초과하
는 결과(121.17㎼)를 얻었음.
ü 65℃ 보존 평가에서 초기 급격한 출력 감소, 400 시간경과시 25%이상의 출력
감소율을 보임.
ü IV 경향성에서 보듯이 출력 감소가 20%이상 나타났으나, 실내광에서의 측정
결과에서는 상당히 개선된 형태(기본적인 IV 형태는 유지)를 나타냄. 이에 추
가적으로 redox종의 농도를 더 작게 가져감.
ü 자체 평가한 실험 결과 그래프에서 보듯이 redox종 농도 감소시 출력 목표치
와 효율 감소율 목표치를 모두 만족하는 결과가 나옴. (출력: 111㎼, 출력 감
소율: 18.9%)

- 9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29. 전해질 조건에 따른 3차 출력 결과

그림 92. 고온 (65℃) 보존 신뢰성평가 결과

㉯ 2차년도 결과 review
Ÿ 실내광의 경우 전해질의 redox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많은 전류를 필요
하지 않아 FF감소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이에 2차년도에도 1차년도
대비 추가적으로 더 redox종 농도를 감소시키고 (A), 일부 첨가제를 넣어 Jsc
증가향과 Voc 증가향으로 제작한 결과, 2차년도 목표값인 120㎼ 값 이상의 값
이 나옴을 자체 평가결과 확인함.
Ÿ 상기 출력 모듈 샘플로 65℃ 보존 평가를 실시함. D 샘플을 제외하고, A, B, C
샘플에서 모두 15% 이하의 효율 감소율을 나타냄.

그림 93. 전해질 조건에 따른 출력 결과

그림 94. 고온 (65℃) 보존 신뢰성 평가 결과

㉰ 3차년도 결과

- 9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2차년도 대비 추가로 더 redox 종 농도를 감소하여 3차년도 목표값인 150㎼를


달성하였으나, 신뢰성 평가결과 모두 30%이상의 출력 감소율을 나타내었음

그림 95. 전해질 조건에 따른 출력 결과

그림 96. 고온 고습(65℃/65%) 1,000hr 평가 결과

Ÿ 이에 redox 종의 농도는 원복하고, 저전류 고전압 출력 조건이 되도록 하여 추


가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공인 기관에 의뢰하여 출력 및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
였음.

Ÿ 공인 기관 평가 의뢰
ü 실내광 출력 측정 시스템을 갖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출력 및 신
뢰성 평가를 의뢰하였음 초기 출력은 측정되었고, 현재 65℃/65% 1,000시간
평가 진행.
ü 초기 출력값: 165㎼ 2차년도 정량적 목표 150㎼ 이상 달성.
ü 출력 감소율: 1,000시간 경과시 9.81% 감소, 정량적 목표값인 10% 이하의 감
소율을 나타냄

기관 연구개발 결과
1) DSC 전압강하
Ÿ 개발목적은 인도 난간에 DSC 모듈 태양광발전으로 야간경관 조명을 활용하는
참여기관 3 시작품(신재생에너지 활용으로 전원공급이 원활치 않은 경우 적용)개발로 강화
(주식회사 유리 인도 난간의 규격 범위를 만족해야 함.
제림이엔지) Ÿ 그러나 DSC 모듈 부착시 난간용 강화유리의 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음 (쇼트백
충격 특성상 파편 40개 이상(50*50)이 되어야 하나 DSC 모듈 부착시 파편의 개
수가 40개 이하 발생)

- 9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97. DSC 서브모듈 전극 연결방법

Ÿ UV 첩착제(Bohle)로 적용과 동시에 접촉면적을 최소화해 본래 강화유리의 특성


을 손상하지 않는 방법 사용
Ÿ 치수 : 길이,너비,두께 (1930*864*10)mm 기준 PASS
Ÿ 쇼트백 충격 : (1930*864)mm 기준 PASS
Ÿ 낙구충격 : (610*610)mm 기준 강화유리파손 안됨

2) DSC 접합강도
Ÿ 다양한 접착제에 의한 DSC 접합으로 접합력 시험 (작업성 고려)
Ÿ 접착제 선정 및 시험
Ÿ 다양한 접착제에 의한 DSC 접합 및 접합력 시험
Ÿ 작업시간과 작업성 고려
Ÿ Bohle 접착제(자외선조사기)가 우수 (업체 성적서 27Mpa이상)
Ÿ DSC모듈을 강화유리에 접합하여 외부환경에 노출시 환경변화(온습도)에 따른
접합력 저하는 DSSC탈락으로 사용불능이 되므로 접합력의 저하를 최소화

① Bohle UV접착제 도포후 강화유리 접합 ② 접착부 자외선조사기로 경화작업

③ 습기유입으로 인한 DSC접착력 저하 방지를 위해 강화유리 사이 실란트로 밀봉


그림 98. DSC 모듈레이션 공정

- 9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DSC 전합강하
① 1차년도 결과 review
Ÿ DSC(6~8매)를 강화유리에 부착 DSC 모듈 간 전극으로 연결
Ÿ DSC 모듈의 전극연결 공정개발
<1차> 전기인두기로 접합시 온도가 강화유리에 손실되서 접합되지않음

<2차> 초음파 인두기로 결합시 납과 유리간 산화결합으로 접합 가능

<3차> 접합 후 전극분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Glue Gun으로 보완

Ÿ Module 6개의 최대 출력 합 : 10.37 W


Ÿ Panel 최대 출력 : 10.08 W
Ÿ 출력 유지율 : 97.3%

표 30. 최대 출력 측정 결과

그림 99. 서브모듈과 & Panel 사진

- 9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2차년도 결과 review
Ÿ DSC 모듈과 C-Si 태양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태양광 장치
ü C-Si 주문제작 (시간당 최대 12.5W 출력)

ü DSC 모듈 6개 패널화 (시간당 최대 12W 출력)


ü C-Si + DSC 패널 연결 : C-Si와 DSC 패널 각각 컨트롤러 사용 배터리로 연결

그림 100. 하이브리드 인도난간(산업기술대전 출품)

ü 출력 유지율 : 90.01%
ü 최대 전압 유지율 : 104%

표 31. 최대 출력 측정 결과

그림 101. Module & Panel 사진

- 9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③ 3차년도 결과
Ÿ DSC 모듈과 실리콘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태양광 장치
ü 실리콘전지 주문제작 (시간당 최대 45W 출력)

표 32. 하이브리드를 위한 Si-태양전지 모듈조사

ü DSC 모듈 6개 패널화 (시간당 최대 12W 출력)


ü Si-태양전지+DSC 패널 연결 (하이브리드형)
ü Si-태양전지+DSC 패널 각각 컨트롤러 사용하여 하나의 배터리로 연결

그림 102. 하이브리드 Solar tree

ü 출력 유지율 : 95.9%

표 33. 최대 출력 측정 결과

4) 옥외설치 실증 시작품 제작설치 및 평가


① 1차년도 결과 review
Ÿ DSC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인도 난간(1경간) 제작 실증
Ÿ 강화유리에 부착형 필름이나 유리기판 인쇄(Latex) 사용
Ÿ 세라믹잉크인쇄(유리 강화전 디지털 프린팅) : 강화유리처리 (잉크 융착결합)
Ÿ 결합도 우수 및 강화유리강도 未저하

- 9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세라믹 잉크인쇄로 결정 : 야외 노출시 자외선 및 온습도에 의한 변색없음

그림 103. 태양광발전 인도난간

② 2차년도 결과 review
Ÿ DSC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인도 난간(2경간) 제작 실증
Ÿ 살대난간에 유리 조명난간과 열주등제안 수변경관 연출
Ÿ 지역특성을 살린 특색 있는 경관 시설물 연출
Ÿ 야간 특화 계획으로 아름다운 데크로드 경관 연출
Ÿ 화원동산과 달성군의 이미지를 반영한 참꽃과 군의 캐릭터인 비슬이(그림8 위)
를 이용한 패턴을 적용하여 제작, 주간 및 야간 구동 모습(그림8 아래)

그림 104. 화원동산(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설치 경관조명

Ÿ 시작품 스펙
ü DSC 12개 (전력 : 약 28W) + C-Si 9개 (전력 : 약 72W)
ü LED 4개소 부착 (소비전력 : 약 48W)
ü 일 발전량 (3.5h) : 100WX3.5h =약 350Wh

- 9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일 3.5시간 충전 7.2시간 LED 작동

그림 105. 코엑스 산업대전

③ 3차년도 결과
Ÿ DSC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인도 난간 및 솔라트리 제작 실증
Ÿ 영남대 메가와트 실증센터에 유리난간 적용
Ÿ 난간대 2개소에 실리콘태양전지 부착
Ÿ 유리사이즈에 맞게 DSC모듈 최대6개 부착

그림 106. 영남대 메가와트 실증센터 (1경간)

Ÿ Si-태양전지 실제출력(3.5h 기준) : 8Wh*2ea*3.5h = 56W


ü DSC 패널 실제 출력(3.5h 기준) : 7Wh*1ea*3.5h = 24.5W
ü LED 소비전력 =6W*2ea = 12W
ü 1일 3.5시간 배터리 충전시 7시간 LED 점등

- 10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07. Solar Tree 설계도면

Ÿ 화원유원지 솔라트리 2개소 제작에 DSC 적용(하이브리드형)


ü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해 미세먼지 상태 측정하여 LED 색상 표시(G/Y/R),휴대
폰 무선 충전지원

Ÿ 생산전력의 부족개선
ü 솔라트리 제작시 솔라트리 상단부(나뭇잎)에 태양전지를 부착하여 태양과의
각도를 개선하여 충전효율 상승(90%효율 수준)

Ÿ DSC의 부족한 생산전력을 실리콘 전지로 보완


ü Si-태양전지(1200*600) : 최대 45W
ü DSC패널(1200*600기준) 최대 DSC 8장 부착 : 최대 16W

그림 108. 화원유원지 솔라트리 (2개소)

Ÿ 실용성 증대
ü 미세먼지 상태를 LED로 좋음(GREEN) / 보통(YELLOW) / 나쁨(RED)로 표시하
여 야간경관효과 및 실용성 증대
ü 생산한 전력으로 사용자들에게 휴대폰 무선충전 지원으로 실용성 증대

- 10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Ÿ Solar tree 특징
ü Si-태양전지 2개소 부착
ü DSC모듈 최대 6개 모듈 2개소 부착
ü 태양광모듈이 태양과의 각도가 거의 일직선이여서 충전효율 90%정도 수준
ü 반투과 Si-태양전지 출력(3.5h 기준) : 40Wh*2*3.5h = 280W
ü DSC 패널 출력(3.5h 기준) : 9Wh*2ea*3.5h = 63W
ü 미세먼지 표시(좋음/보통/나쁨) LED 소비전력 : 12Wh*4ea=48W
ü 1일 3.5시간 배터리 충전시 7시간 LED 점등

Ÿ 송해공원 난간 설치 (달성군 공원녹지과와 협의중)

그림 109. 송해공원 난간 설계 이미지

제 2 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
1. 추진체계

Ÿ 본사업의 핵심 3요소인 염료, 서브모듈, 응용제품 기술개발로 구성


Ÿ 첫째, 염료는 응용별 염료(실내향, 실외향) 중량생산 기술개발을 통한 저가격 고성능 고신뢰성
염료를 확보
Ÿ 둘째, 이들 염료를 이용하여 저조도 고성능 실내향 응용을 위한 서브모듈 기술 개발을 통한 저
조도에서 고성능 기술을 확보하고, 실외향 응용을 위한 고성능 고신뢰성 반투과 서브모듈 기술
을 확보
Ÿ 마지막으로, 실외향 서브모듈을 활용하여 응용제품을 설계 제작하고 제품의 성능 신뢰성 기준을
확보, 영남대학교 제공 실증싸이트에 설치하여 실환경하에서 실증 모니터링을 추진
Ÿ 이를 통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실용화 가능성(소비자들의 반응 조사, 실증에서 드러나는 문
제점 수집 등)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장창출을 시도함

그림 110. 3단계 연구개발 체계

- 10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추진내역

가. 주관기관 [(주)씨엠디엘]
Ÿ DSC 응용기술별 염료의 실용화 추진

그림 111. 주관기관 (주)씨엠디엘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나. 참여기관 1 [영남대학교]
Ÿ DSC 응용별 염료 기술개발

그림 112. 참여기관 영남대학교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다. 참여기관 2 [(주)동진쎄미켐]
Ÿ 응용별 염료소재 활용한 DSC 서브모듈 기술개발

- 10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113. 참여기관 (주)동진쎄미켐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라. 참여기관 3 [(주)제림이엔지]
Ÿ DSC 태앙광난간 기술개발 및 실증

그림 114. 참여기관 (주)제림이엔지 연구개발 범위 및 내용

제 3 절 고용 창출 효과

Ÿ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 개화 지연으로 직접고용창출 미진한 상황


Ÿ 향후 시장 창출을 위한 추가 고신뢰성 염료감응 태양전지 기술개발 추진 필요
Ÿ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차별화된 Killer application 발굴 시급하며, 시장 규모가 작더라도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특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부터 출발하는 응용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정부
과제 도출 필요
Ÿ 이를 통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시장 전개후 보다 큰 시장으로의 확장을 모색하므로 점진적 고
용 창출가능

- 10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4 절 자체보완관리 안전진단표
< 기관명 : ㈜씨엠디엘 >

구분 체크항목 결과(√표) 체크 (미실시


비고사유)
o 기관 내 보안관리규정을 제정/적용하고 있다 O(√ ), X( )
보안관리 o 보안관리 조직이 있으며, 자체 보안점검실시 등 잘 운영되고 있다 O(√ ), X( )
체계 o 보안교육을 정기적(1회이상/연)으로 실시하고 있다 O(√ ), X( )
o 보안사고에 대한 방지대책 및 비상시 대응계획이 준비되어 있다 O(√ ), X( )
참여연구원 o 참여연구원에 대하여 보안서약서를 받았다 O(√ ), X( )
관리 o 참여연구원에게 보안관리의 중요성 등을 인식시키고 있다 O(√ ), X( )
o 주요 연구자료 및 성과물의 무단유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O(√ ), X( )
연구개발
내용/결과 o 보안성 검토 방법 및 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기술이전 관련 내부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다 O(√ ), X( )
o 연구시설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이행하고 있다 O(√ ), X( )
연구시설 o 주요 시설에는 보안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O(√ ), X( )
관리
o 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O(√ ), X( )
o 정보통신망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이 구비되어 있다 O(√ ), X( )
o 보안관리책임자의 승인 항목이 구분되어 있다 O(√ ), X( )
정보통신망 o 주요 데이터에 대해 백업을 실시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개인용 정보통신장비(노트북, USB메모리)에 대하여 인가/관리중이다 O(√ ), X( )
o 전산망 보호를 위한 HW 및 SW 등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O(√ ), X( )
o 직책, 임무별 열람 권한을 차등화하여 부여하고 있다 O(√ ), X( )

- 10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관명 : ㈜동진쎄미켐 >

구분 체크항목 결과(√표) 체크 (미실시


비고사유)
o 기관 내 보안관리규정을 제정/적용하고 있다 O(√ ), X( )
보안관리 o 보안관리 조직이 있으며, 자체 보안점검실시 등 잘 운영되고 있다 O(√ ), X( )
체계 o 보안교육을 정기적(1회이상/연)으로 실시하고 있다 O(√ ), X( )
o 보안사고에 대한 방지대책 및 비상시 대응계획이 준비되어 있다 O(√ ), X( )
참여연구원 o 참여연구원에 대하여 보안서약서를 받았다 O(√ ), X( )
관리 o 참여연구원에게 보안관리의 중요성 등을 인식시키고 있다 O(√ ), X( )
o 주요 연구자료 및 성과물의 무단유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O(√ ), X( )
연구개발
내용/결과 o 보안성 검토 방법 및 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기술이전 관련 내부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다 O(√ ), X( )
o 연구시설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이행하고 있다 O(√ ), X( )
연구시설 o 주요 시설에는 보안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O(√ ), X( )
관리
o 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O(√ ), X( )
o 정보통신망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이 구비되어 있다 O(√ ), X( )
o 보안관리책임자의 승인 항목이 구분되어 있다 O(√ ), X( )
정보통신망 o 주요 데이터에 대해 백업을 실시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개인용 정보통신장비(노트북, USB메모리)에 대하여 인가/관리중이다 O(√ ), X( )
o 전산망 보호를 위한 HW 및 SW 등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O(√ ), X( )
o 직책, 임무별 열람 권한을 차등화하여 부여하고 있다 O(√ ), X( )

- 10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관명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분 체크항목 결과(√표) 체크 (미실시


비고사유)
o 기관 내 보안관리규정을 제정/적용하고 있다 O(√ ), X( )
보안관리 o 보안관리 조직이 있으며, 자체 보안점검실시 등 잘 운영되고 있다 O(√ ), X( )
체계 o 보안교육을 정기적(1회이상/연)으로 실시하고 있다 O(√ ), X( )
o 보안사고에 대한 방지대책 및 비상시 대응계획이 준비되어 있다 O(√ ), X( )
참여연구원 o 참여연구원에 대하여 보안서약서를 받았다 O(√ ), X( )
관리 o 참여연구원에게 보안관리의 중요성 등을 인식시키고 있다 O(√ ), X( )
o 주요 연구자료 및 성과물의 무단유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O(√ ), X( )
연구개발
내용/결과 o 보안성 검토 방법 및 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기술이전 관련 내부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다 O(√ ), X( )
o 연구시설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이행하고 있다 O(√ ), X( )
연구시설 o 주요 시설에는 보안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O(√ ), X( )
관리
o 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O(√ ), X( )
o 정보통신망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이 구비되어 있다 O(√ ), X( )
o 보안관리책임자의 승인 항목이 구분되어 있다 O(√ ), X( )
정보통신망 o 주요 데이터에 대해 백업을 실시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개인용 정보통신장비(노트북, USB메모리)에 대하여 인가/관리중이다 O(√ ), X( )
o 전산망 보호를 위한 HW 및 SW 등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O(√ ), X( )
o 직책, 임무별 열람 권한을 차등화하여 부여하고 있다 O(√ ), X( )

- 10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관명 : ㈜제림이엔지 >

구분 체크항목 결과(√표) 체크 (미실시


비고사유)
o 기관 내 보안관리규정을 제정/적용하고 있다 O(√ ), X( )
보안관리 o 보안관리 조직이 있으며, 자체 보안점검실시 등 잘 운영되고 있다 O(√ ), X( )
체계 o 보안교육을 정기적(1회이상/연)으로 실시하고 있다 O(√ ), X( )
o 보안사고에 대한 방지대책 및 비상시 대응계획이 준비되어 있다 O(√ ), X( )
참여연구원 o 참여연구원에 대하여 보안서약서를 받았다 O(√ ), X( )
관리 o 참여연구원에게 보안관리의 중요성 등을 인식시키고 있다 O(√ ), X( )
o 주요 연구자료 및 성과물의 무단유출 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O(√ ), X( )
연구개발
내용/결과 o 보안성 검토 방법 및 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기술이전 관련 내부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다 O(√ ), X( )
o 연구시설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이행하고 있다 O(√ ), X( )
연구시설 o 주요 시설에는 보안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O(√ ), X( )
관리
o 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O(√ ), X( )
o 정보통신망 보안관련 내부규정 또는 지침이 구비되어 있다 O(√ ), X( )
o 보안관리책임자의 승인 항목이 구분되어 있다 O(√ ), X( )
정보통신망 o 주요 데이터에 대해 백업을 실시하고 있다 O(√ ), X( )
관리 o 개인용 정보통신장비(노트북, USB메모리)에 대하여 인가/관리중이다 O(√ ), X( )
o 전산망 보호를 위한 HW 및 SW 등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O(√ ), X( )
o 직책, 임무별 열람 권한을 차등화하여 부여하고 있다 O(√ ), X( )

제 5 절 안전관리 이행 현황

- 10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4 장 사업화 계획

제 1 절. 태양전지 시장 현황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 전망

Ÿ 2019년의 PV연간 도입량은 SolarPower Europe가 중간·시나리오로 128.4GW, 영IHS Markit는


129GW, 영Wood Mackenzie는 114.5GW, 대만 Energy Trend는 125GW라는 수치를 발표하고 있
다. 장기간 태양전지 시장은 FIT(고정가격 매입제도)등의 보조 정책으로 유지되어 왔지만, 발전
코스트가 하락하므로 세계시장에서 자율성장이 시작되고 있으며 2020년 이후 연간 120GW전후
의 도입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
Ÿ 염료감응 태양전지(DSC)는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다. DSC는 2016년부터 후지쿠라가 판
매하고 있지만, 2019년 세키스이 화학 공업이 필름형 DSC의 소량 판매를 시작했으며, 리코와 샤
프도 시험양산을 시도하고 있다. 리코는 사무실 책상의 실내 태양 광 패널로 전고체형 DSC를
공급하고 있으며, 샤프는 DSC를 전원에 이용한 배터리 교체가 필요 없는 비콘 “레스비”를 개
발하여 시미즈 실내외 음성 네비게이션 서비스 용도로 판매했다. 후지코는 물이나 산소의 침입
을 완전히 차단한 완전 밀봉형 원통형 DSC 모듈의 샘플 출하를 개시하고 있으며, 소프트 뱅크
는 스웨덴의 벤처인 Exeger 사에 1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DSC의 실용화를 뒷받침하고 있으
며, 결정 Si에 비해 변환 효율과 내구성이 낮은 DSC지만 새로운 용도로 보급이 시작되고 있다.
Ÿ 후지경제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에 대한 예측자료에서 2030년 DSC시장규모가 3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 DSSC, OPV는 기존 태양전지와 같은 용도로 시장개척이 진행되어서는 가격 경쟁력
에서 태양전지 시장의 주류가 될 가능성은 낮다고 예측판단하고 있으며, IoT 기기 · 무선 센서
의 전원과 ZEB / ZEH의 실현에 기여하는 BIPV 등 기존 태양전지와 충돌하지 않는 용도에서 시
장 형성이 진행될 것으로 예측.

그림 115. 후지경제 차세대 태양전지 시장예측, 20180725

제 2 절. 사업화 계획
§ 염료감응 태양전지(DSC) 시장은 BIPV 시장성장 속도에 따라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 10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BIPV 시장의 더딘 성장과 DSC 기술정체 및 신뢰성 확보 이슈로 시장개화가 늦어지고 있음.
§ 이에 따라 DSC 4대 핵심소재(염료, 전해질, 촉매전극, 광전극)에 대한 원천소재 기술개발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DSC 특장점을 활용한 차별화된 응용기술 개발 및 고신뢰성 구조 및
공정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음.
§ 가장 유력한 DSC 응용기술 후보는 DSC 특장점을 활용한 저조도향 DSC 응용 시장(IoT sensor,
Beacon, Mobile 기기 전원)
§ 저조도향 DSC 응용시장 가운데 가장 유력한 후보는 4차 산업혁명에 동반한 IoT 산업 확산에 따
른 실내 센서류의 독립전원향 전력원일 것으로 보여지며, 가격경쟁력 확보시 시장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일본의 주요 기업체는 저조도향 응용(Beacon, 실내 IoT 센서)의 독립전원향 모듈을 실증단계를
거쳐 제품화하는 등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
§ 스웨덴의 Exeger사는 산란광 발전성능 우수성을 활용한 소규모 모바일 기기 독립전원으로 응용
제품개발 및 상용화기술개발 추진 중에 있는 상황.
§ 저조도향 DSC 응용 시장확대에 따라 핵심소재 시장도 동반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부분의
메이커들은 상용화 기술개발 컨소시움(센서업체 + DSC 모듈업체 + 재료업체) 형태로 성능에 직
결되는 핵심소재를 내재화하여 시장확대에 따른 소재시장 접근에 한계 예상.

가. 사업화 소요기간
§ 본 기술개발 사업은 실내(저조도)향 염료(유기염료)와 실외향 염료(Ru염료, 포피린 염료)를 구별
하여 상용화 기술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염료조건별 시장대응 가능.
§ (염료소재의 사업화 소요기간) 시장창출이 유력한 DSC 분야는 저조도 발전특성을 활용한 응용제
품 시장일 것으로 판단되며, 여기에는 주로 유기염료 소재가 사용되며, 본 기술개발 결과물의
사업화는 저조도 DSC 시장개화 즉시 대응 가능한 상황임.
§ (염료소재의 사업화 소요기간) BIPV향 DSC의 본격적인 시장개화는 시장이 요구하는 성능(반투과
조건에서 일정수준의 효율)과 건축건자재로서의 신뢰성을 충족해야 하지만, 현재의 DSC 핵심소
재 및 구조로는 수년내에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간단계로서 태양광인도
난간 등 틈새시장 창출을 통한 사업화 추진이 필요하며 시장개화시 본 기술개발 결과물의 사업
화는 시장개화 즉시 가능한 상황임.

나. 예상매출 규모 및 시장점유율

§ 본 기술개발 결과물로서 염료, 서브모듈, 태양광인도난간에 대한 예상 매출 규모는 다음과 같으


며, 염료 및 서브모듈의 산출근거는 BCC Research wellesley, Mass, Jan, 23, 2017(GLOBE
NEWSWIRE)시장자료를 근거로 세계시장에서 국내 시장(10%), 해외 시장(90%) 가정하에 작성.

- 1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ü DSC 서브모듈 시장은 PV facade 시장의 40%라는 전제로부터 DSC 서브모듈 (실외향) 예상매출
액을 산정하였고,
ü 염료소재 시장은 DSC 서브모듈 시장의 약 10%이고 세계시장에서 국내시장(10%), 해외시장(90%)
라는 전제로부터 예상매출 산정.
ü 태양광 인도난간은 (주)제림이엔지의 현재 시공가격과 수주예상 근거로 작성.
§ 또한 DSC 서브모듈 (실내향)의 산출 근거는 NEW YORK CITY, NY, OCT. 30, 2017 Persistence
Market Research 의 Beacon 시장자료를 근거로 작성
ü 일일 일정시간 이상 반드시 빛이 있는 조건이고, 설치 후 배터리 교체없는 시스템 조건.
ü 전체 비콘의 1% 수준에 DSC 적용 한다고 가정하였고, Device(비콘)의 10%가 DSC 모듈가격이라
고 가정하여 산출하고, 세계시장에서 국내시장(10%), 해외시장(90%) 점유 상정하여 작성.

(2021년) (2022년) (2023년)


매출(백만원) /점유율(%)
개발 종료 후 1년 개발 종료 후 2년 개발 종료 후 3년
국내 33.4 / 50 64.9 / 50 78.6 / 50
염료
해외 300 / 10 584 / 20 707 / 25
서브모듈 국내 500 / 14 800 / 22 1,000 / 27
(실외향) 해외 2,500 / 8 6,400 / 20 7,500 / 23
서브모듈 국내 10 / 4 32 / 6 140 / 13
(실내향) 해외 40 / 2 128 / 3 560 / 6

응용 국내 175 / 10 325 / 20 900 / 30


(태양광난간) 해외 / / /
합계 3,558 8,334 10,886

다. 마케팅 계획

구분 구체적인 내용

Ÿ 가격 및 품질경쟁력으로 시장 개척.
Ÿ 상용 Ru-염료는 국내외 DSC 산학연 판매.
Ÿ 저조도향 유기염료는 IoT sensor, Beacon 제품개발 컨소시움 참여 추진
Ÿ OLED 판매 network 활용하여 해외판매 적극 추진.
( 2021 년) ( 2022 년) ( 2023 년)
㈜씨엠디엘
개발종료 후 1년 개발종료 후 2년 개발종료 후 3년
염료소재 시장점유율(%) 10% 20% 25%
생산량(단위:kg) 15.9 32.4 41.3
국내
판매단가(천원/gr) 21 20 19
매출액(백만원) 334 649 786

당사 생산능력(kg) 2,000 2,000 2,000

- 1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구분 구체적인 내용

Ÿ 실외향(BIPV) 모듈 국내외 소개
동진쎄미켐 ( 2021 년) ( 2022 년) ( 2023 년)
(실외향) 개발종료 후 1년 개발종료 후 2년 개발종료 후 3년
시장점유율(%) 14% 22% 27%
국 판매량(단위:m2) 500 1,000 2,000
내 판매단가(원) 1,000,000 800,000 500,000
매출액(백만원) 500 800 1,000
시장점유율(%) 8% 20% 23%
해 판매량(단위:m2) 2,500 8,000 15,000
외 판매단가(원) 1,000,000 800,000 500,000
매출액(백만원) 2,500 6,400 7,500
전체 매출액 (백만원) 3,000 7,200 8,500
당사 생산 능력1) 36,000장 140,000장 140,000장
(900㎠) (0.6㎡) (0.6㎡)

# 설비투자 고려한 계획임


서브모듈
Ÿ 실내향(Beacon, IoT sensor) 모듈, 응용 기술 개발 업체와 협업추진.
동진쎄미켐 ( 2021 년) ( 2022 년) ( 2023 년)
(실내향) 개발종료 후 1년 개발종료 후 2년 개발종료 후 3년
시장점유율(%) 4% 6% 13%
판매량(단위:m2) 5,000 20,000 100,000
국내
판매단가(원) 2,000 1,600 1,400
매출액(백만원) 10 32 140
시장점유율(%) 2% 3% 6%
판매량(단위:m2) 20,000 80,000 400,000
해외 판매단가(원) 2,000 1,600 1,400
매출액(백만원) 40 128 560
전체 매출액 (백만원) 50 160 760
당사 생산 능력1) 36,000ea 720,000ea 720,000ea
(10㎠) (10㎠) (10㎠)

# 설비투자 고려한 계획임


Ÿ 2020년 각지자체에 태양광난간 보급설치 및 홍보 : 대구 달성군(사문진) 2경
간, 송해공원 4경간(20m), 경북군위 8경간(설계반영)
Ÿ 솔라트리 적용확대 (달성군 사문진 2개소 설치) 지자체 사업 참여
Ÿ 디자인성을 강조한 태양광 응용기술 개발을 통한 마케팅 확대
종류 판가/m 시장규모(m/년)
10,000m (1,600경간/6m) 2017년 기준
일반 난간 45만원
연간 성장률 > 10%
응용 태양광난간 70만원 일반난간의 5~10%
(태양광
㈜제림이엔지 ( 2021 년) ( 2022 년) ( 2023 년)
인도난간) 개발종료 후 1년 개발종료 후 2년 개발종료 후 3년
시장점유율(%) 10% 20% 30%
판매량(단위:m) 250 500 1,500
국내
판매단가(천원) 700 650 600
매출액(백만원) 175 325 900

당사 생산능력(경간) 2,000 2,000 2,000

- 1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향후 추가 기술 개발 계획(개발기술 응용 등)

구분 구체적인 내용

주식회사 Ÿ DSC 시장으로 급부상할 가능성이 높은 저조도 실내향 응용기술개발 컨


씨엠디엘 소시움 구성으로 용도에 적합한 염료소개 기술개발로 사업화 기회 확대

주식회사 Ÿ Beacon, IoT sensor등 저조도 향에 적합한 경박단소 DSC 서브모듈 기술


동진쎄미켐 개발 추진(유연하며 전고체 DSC)

Ÿ 태양광난간에 DSC외 박막형 태양광모듈접목 : 솔라트리, 버스승강장, 파


고라, 캐노피 등에 확대 적용
주식회사 Ÿ 태양광 발전량을 경관조명 외에 휴대폰 충전, 환경 경보표시등(미세먼지
제림이엔지 농도,기온,습도 표시)에 활용해 사용영역 확대
Ÿ 경관조명에 강화유리+LED+DSC 외에 도광판+LED+DSC+박막형태양광전지
접합 활용

- 1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록 1] 평가항목별 시험성적서


TVP208 염료 순도

TVP067 염료 순도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TVP031 염료 순도

TVP033 염료 순도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자 I-V 특성평가 실내향 출력 및 신뢰성 평가

실외향 광전변환효율 실외향 신뢰성 평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erformance ratio 평가

접합강도 치수 및 쇼트백 충격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압강하

낙구충격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 의

1. 이 보고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한 산업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보고서


이다.

2. 이 기술개발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통상자원부에


서 시행한 산업기술혁신사업의 기술개발결과임을 밝혀야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