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5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44014-200000225268

석사학위논문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목회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urch's recognition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 and the Requirement Level for Integrated
Worship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Pastoral Training
College

홍성수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년 8월
석사학위논문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목회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urch's recognition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 and the Requirement Level for Integrated
Worship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Pastoral Training
College

지도교수 우 주 형
이 논문을 재활학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19년 8월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학과
홍성수
01暑 暑詈 書」+ユ 料人}讐 暑0軍 魁
│ .

`:書

2019嘔 8 留

叶人卜
製EH贄 ユ [‖ コ型
감사의 글
여호와가 우리 하나님이신 줄 너희는 알지어다
그는 우리를 지으신 이요 우리는 그의 것이니 그의 백성이요
그의 기르시는 양이로다(시 100:3)
하나님을 순간순간 알아가는 삶, 그리고 그분이 나의 하나님이시오 나는 그
분의 백성임을 고백하는 삶이 복이 있는 삶이요 늘 있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
로 기도합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장애인선교에 대한 꿈을 주시고 지금까지 오게 하신 하
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처음에는 봉사의 마음을 주시고, 시간이 지나서 장애인
영혼 구원에 대한 마음을 주셨습니다. 지금의 현 교회에 장애인이 없는 현실
을 보게 하시고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도 교회공동체 안에
서 함께 예배드리고 신앙생활 해야 한다는 마음을 갖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마음이 목회자양성대학에서 목회자교육과정부터 장애인선교 교육이 시작되
어야 함을 깨닫게 하시고 이렇게 논문을 하게하셨습니다. 열정만 가지고 논문
에 대한 지식도 없는 나에게 이 논문은 많은 부분 저에게 겸손함을 깨우쳐주
고 소중한 학문임을 새삼 알게 해주었습니다.
이런 저의 의도를 잘 아시고 저의 부족한 학문을 바르게 지도해주신 우주형
교수님과 생각했던 것을 재활의 정체성과 재활선교의 의미로 담게 해주신 김
종인 교수님, 진정한 마음으로 꼼꼼하게 심사해주신 조성열 교수님께 깊은 감
사 인사를 드립니다.
저를 이 학문의 길로 조언해주신 주은미 선생님과 정말 부족한 논문을 아낌
없는 충고와 조언을 해주신 홍미경 박사님, 또한 밤을 새워가며 꼼꼼하게 조
언해주신 권성현 박사님, 그리고 함께 공부했던 학문의 동지들인 대학원 선생
님들께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장애인선교를 현장에서 함께 할 수 있도록 동행한 밀알과 단장님들 그리고,
함께하는 여러 장애인들, 많이 바쁘신 데도 옆에서 늘 밀알사역을 도와주신
장신복 목사님과 늘 교육의 현장과 교회에서 통합예배가 가능하도록 기도하며
교회현장에서 실현하고 계시는 윤란희 선생님에게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립니
다.
마지막으로 늘 옆에서 사랑하는 마음과 기도로 지지하며, 발달장애인들을
위해 마음을 다해 성실함과 헌신적으로 열심히 함께해준 사랑하는 아내에게
깊은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신실하신 나의 하나님, 자녀로서 인도하시는 나의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이
모든 영광을 하나님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목 차
국문초록 ···············································································································v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문제 ································································································3
제3절 용어의 정의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교육과정 개발 ························································································5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5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10
3. 교육과정 개발의 영향요인 ···································································13
제2절 장애인재활 선교 ··················································································16
1. 장애인재활의 개념 ·················································································16
2. 장애인선교의 개념 ·················································································18
3. 장애인선교 인식의 영향요인 ·······························································22
제3절 장애인 통합예배 ··················································································26
1. 장애인 통합예배의 개념 ·······································································26
2. 장애인 통합예배의 구성요소 ·······························································29
3. 장애인 통합예배요구 수준의 영향요인 ·············································35
제4절 장애인선교인식, 통합예배요구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관계 ··········································································································37
1. 장애인선교 인식이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38
2.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39

- i -
제3장 연구방법 ·······························································································42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42
1. 연구 모형 ·································································································42
2. 연구 가설 ·································································································43
제2절 측정도구 ································································································44
1. 종속변수 ···································································································45
2. 독립변수 ···································································································45
제3절 조사 방법 ······························································································46
1. 표본 및 자료 ···························································································46
2.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8

제4장 실증 분석 및 가설 검증 ·····························································50
제1절 분석 방법 ······························································································50
제2절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50
1. 타당성 검증 ·····························································································50
2. 신뢰성 검증 ·····························································································52
제3절 가설의 검증 ··························································································52
1. 상관분석 ···································································································53
2. 집단 간 차이분석 ···················································································53
3. 회귀분석 ···································································································59
제4절 분석 결과 ······························································································61
제5장 결론 및 제언 ·····················································································63
제1절 결론 ········································································································63
제2절 제언 ········································································································70

- ii -
참고문헌 ··············································································································71
ABSTRACT ····································································································79
[부 록 1] 설문지 ···························································································84
[부 록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90

- iii -
표 목차
<표 1> 교회의 복지적-선교적 관점 비교 ·····················································19
<표 2> 설문지 구성 내용 ··················································································49
<표 3>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표 4>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선행요인의 요인 분석결과 ··························52
<표 5> 설문 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53
<표 6> 상관분석표 ······························································································54
<표 7>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관련 질문 ··············································55
<표 8> 장애인선교 교육 교수방법 ··································································56
<표 9>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 ······································································56
<표 10> 담임목사의 주일예배 설교시 장애인에 대한 설교 빈도 ············57
<표 11> 교회의 장애인선교를 위한 장애인 지역 전도 ······························58
<표 12> 교회에서의 장애인 통합예배에 관한 질문 ····································59
<표 13>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교육과정개발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 ······60
<표 14> 회귀분석 표 ··························································································61

그림 목차
[그림 1] 연구 모형 ·······························································································43

- iv -
국문초록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목회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학 전공
홍성수

본 연구는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목회자양성대학의 예비목회자들의 일반적 특성(인구사
회학적 특성)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예
비목회자들이 응답한 교회의 장애인선교 현황을 통해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
의 정도를 파악하고, 예비목회자들의 통합예배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장애
인선교 관련 교육과정개발의 필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과정
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영향요인
을 살피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 목회자의 인구사
회학적 특성이 장애인선교, 교회의 통합예배요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어떠
한 차이가 있는지, 둘째, 교회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인식이 장애인선교 교육과
정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장애인
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이다.
- v -
연구의 모집단은 목회자양성대학의 예비 목회자들이다. 목회자양성대학은
2018년 현재 신학대학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은 46개 대학(서울 15개, 경
기권 12개, 충청권 8개, 그 외 기타 11개)이 있고, 학부로서만 신학 및 기독교
교육학과가 있는 대학이 8개 대학(경기권 3개, 충청권 3개, 그 외 2개)이 있고
신학만 전공으로 하는 신학대학원대학이 17개(서울 6개, 경기권 8개, 충청권 2
개, 그 외 1개)로 총 71개 대학에서 목회자양성대학이 운영 중이다. 이들 학과
를 신학, 목회학, 기독교교육, 기독교 상담, 복지신학, 기독교 문화 등으로 나
누면 500여개가 넘는 집단이다.
이 중 대표적 교단을 중심으로 층화추출하여 서울에 2개 대학(장로교 합동,
통합), 경기권에 6개 대학(장로교 5개, 성결교 1개, 충청권 2개 대학(고신, 나
사렛성결)을 표본으로 배분하여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개발
한 조사도구인 교육과정의 필요성, 장애인선교에 대한 인식, 통합예배요구 수
준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한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장애인선교 인식
3문항, 통합예배요구 수준 4문항,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5문항으로 3개의
변인을 갖는 도구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
어졌으며,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ANOVA, 상관분석, 회귀분
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목회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보다는 남성이, 결혼여
부에서는 기혼보다 미혼이, 주변에 가족이나 친구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경우,
장애인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목회자가 높게 나타냈다.
둘째,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과 장애인선교 교과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은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장애인선교 교육

- vi -
과정개발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 차원의 요인이라기보다는 조직차원의
영향 요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 통합예배에 대한 요구 수준에서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목회자양성대학에서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
며 예비목회자들을 위해 장애인선교 교육이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대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냈다. 교회에서 목회자들이 목회비전 안에
통합목회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예배의 수
준을 높이려면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목회자들에게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예비목회자들의 긍정적이고 높은 요구
수준은 비장애인 교인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를 자연
스럽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높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이해하고 수
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장애인교인이 신앙생활과 통합예배를 위해 전반적인 환경 필요하다. 마지막으
로 장애인을 위한 예배는 분리된 예배가 아니라 교회공동체로서 통합된 환경
에서 함께 예배드리며, 서로 어울려 신앙생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함께 사회문화가 형성되어 교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경험하고, 학습하며 바람직한 서로 도와주고 도움받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장애인
선교를 위한 통합예배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고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은 빈도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매
우 낮다. 이는 예비목회자들이 속한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이 45.6%이
고, 담임목사의 장애인 관련 설교 빈도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가 83.2%, 장

- vii -
애인대상 전도 59.5%(장애인부서교회 제외하면 더 많은 교회가 장애인전도 하
지 않음)로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장애인선교 인식은 열악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의 목회자와 목회자양성대학의 예비목회자들
이 장애인선교 교육을 통해 장애인 전문 사역자 양성과 장애인선교 통합예배
요구 수준을 공감할 수 있도록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시스템화 되어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내용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표를
정하고 구성 체계에서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의 목적,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
법, 교육과정의 평가, 계획서, 그리고, 강의 예시를 통해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
과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를 제시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의 중요성을 파악한 수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인 LePSAS 참여학습
법을 소개한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참여학습법인 LePSAS를 통해 학습자들과 함께 상호
존중하며 그들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고 해결해 가는 과정, 학습 공동체 안에
서의 서로 협동하는 과정,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 등을 통해 장애인과 함께하
는 통합목회 및 통합예배를 자연스럽게 제시하여 자신이 변하고, 장애인과 비
장애인이 함께하며, 교회공동체가 변화하여 교회가 전인적, 총체적, 통합예배
로서 역할을 담당해 성경 안에서 건강한 교회로 성장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교육을 운영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장애인선교 교육을 위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를 통해 목회자양성대학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수준과 현재 예비사역자
들의 교회 장애인선교 인식을 파악하고, 예비사역자들의 통합예배에 대한 요
구 수준을 점검하여 학습자 중심의 참여학습법인 LePSAS를 접목한 장애인선
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고취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인재활 선교의 더
나은 개발을 위해 후속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 viii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많은 경제성장과 문화, 교통, 과학과 기술 발전으로 선
진국 대열에 합류하게 되고, 복지국가로서의 위상을 정립하여 국민들에게 다
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과 복지국가 건설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업이 중요한 영역
을 차지하게 된다. 사회복지사업은 국가발전을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사명
감을 가지고 어린이, 청소년, 성인에서 탈북민, 다문화 등 소외계층을 위해 모
든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강준렬, 2003).
기독교도 초기 선교사들에 의해서 시작하여 복지시설과 의료시설, 교육사업
등을 통해 기독교적인 사명감을 가지고 중대형 교회들이 소외된 이웃들을 위
해 지역사회에 교회 내 프로그램을 통해 활발하게 복지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시설, 복지서비스, 장애인 재활 등 장애인 복지에 있어
서는 교회가 냉담할 정도로 소외하고 있다. 또한, 교회공동체 안에 장애인이
있다하더라도 장애인은 교회의 일원이나 가족이라기보다는 함께 하기에는 아
직도 먼 주변인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교회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작은 공동체로서 한 데 모여 있는 다문화
적 사회로 존재하기에 장애인재활 선교의 최적의 장소이며 온전한 통합의 장
소임에도 오히려 장애인들은 교회공동체에서 소외되고 있다. 교회공동체를 이
끌어가고 있는 리더인 목회자를 중심으로 교인들에게 말씀과 진리가 선포되고

- 1 -
그 말씀을 통해 신앙의 도리를 지키도록 전해지고 있지만, 장애인선교에 있어
서는 목회비전을 통한 장애인선교 인식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미 많은
논문들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김성원, 허계형,
2017; 김영신, 2006; 류원근, 2009; 박명우, 2011; 이재환, 조재훈, 김해용 2015;
임요섭, 2014; 엄재환, 2009; 장기환, 2014; 전지혜 2014; 제지훈 2017).
그리고, 의외로 교회는 통합예배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
러한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은 교회공동체가 통합예배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
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회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통합예배
를 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망설임가운데 있다. 이
것은 목회자양성대학의 장애인선교 교육 부재로 인한 영향이 크다. 거의 대부
분 신학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있지만 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로서의 통합목회
비전과 장애인식 교육은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의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과정은 절실히 필요하며 시급한 상황
이며 많은 논문들에서도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의 필요성을 주
장은 계속 제기하고 있다(김성원, 허계형, 2017; 이천수, 2005; 엄재환, 2009;
안교성 1990). 또한, 교수방법에 있어서 최근 학습자중심의 교육이 논의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하며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Roy Shaffer 박사가 개발하고 곽명근(2011) 참여학습 방법으
로 제안된 ‘LePSAS’가 도구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 도구는 학습자 중심의 질
문과, 토의,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배우는 자의 관점에서 교육
하는 참여교육 방법이다. 이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목회자들이 ‘LePSAS’
교육방식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공동체성과 장애인 이해와 장애인선
교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2 -
2. 연구의 목적
장애인선교 교육은 장애인재활을 위한 선교적 관점에서 통합목회 비전을
통해 장애인들의 또 다른 가능성과 강점이 있음을 알고, 장애인 사역에 대한
교육 역량을 갖춘 지도자로 배출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장애인들이 복음에 소외되지 않게 지역교회의 적극적인 전도와, 교회공동체
안에서 서로 통합으로 함께하는 모습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다.
장애인선교 교육은 예수 그리스도의 비전사역에 동참하는 것이다. 진정한
이웃사랑의 공동체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장애인들도 하나님의 하시는 일에 동
참하게 하는 전문인선교 사역으로 한 몫을 담당하는 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목회자들이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장애인 재활을
위한 선교적 관점과 장애인과 함께하는 통합예배와 학습자 중심교육을 통한
실천적 교육으로서 교회공동체가 하나 되기 위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개발
하고자 한다.

제2절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장애인과 함께하는 통합예배
요구 수준을 통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연구를 구체화하기 위
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예비목회자의 일반 특성(인구사회학적, 교회, 장애인 관계)이 장애인
선교, 교회의 통합예배요구 수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 3 -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셋째,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
는 영향은 어떠한가?

제3절 용어의 정의
1. 학습자중심교육
학습자중심교육은 학습자의 상황을 파악하며 그들의 문제를 스스로 이끌어
내고 그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 풀어가는 방식이며, 이에 참여 학습법인
LePSAS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를 해답을 찾고, 실천해 가는
서로를 존중하는 학습방법이다.

2. 장애인재활 선교
장애인 재활선교는 의료적, 복지적 관점이 아닌 사회적, 통합적 관점으로
장애인을 한 교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받아들이고, 기독교의 이웃사랑으로 인
간의 가치실현과 생명존중을 포함하는 의미에서 재활, 전인적인 선교이다.

3. 장애인 통합예배
장애인 통합예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예배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 담임목사의 통합목회적인 비전을 통해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 모두 한
신앙공동체요 하나님의 자녀임을 알고 함께 예배드리는 통합예배를 의미한다.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개발의 개념
가.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기회, 경험, 계획,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을 가르쳐야 한다는 철학적 논리를 담고 있다. 이
는 교육내용을 어떻게 교육하고 어떤 방법을 동원하여 탐구할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다(박도순, 2011; 고재희 2016). 교육과정에서 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
고 배우는가에 대한 철학적 담론과정은 측정가능한 형태로 논의되어야 더 나
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평가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보면, 김병연(2018)은 학교가 가르치는 모든
것을 특정시간에 특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이고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된 효과적인 교육과정에 대해 정의, 방향, 기본철학, 사회ㆍ심리적 기저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에 관한 논의이다. 학습자 및 학습이론, 생활, 지식의
성질과 가치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개념화하고 사회, 학문이나 교과, 학습자
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절충하여 그 목표, 정의, 내용, 활동, 유형 등이 결정된
다. 오만록(2010)은 성취해야 할 행동특성을 확인하고, 일적이며 가치 있는 학
습경험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맞게 적절하도록 배열한
다. 교사와 학생에 의해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은 종합적 사고체계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적 관계로 이루어진다. 평가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자

- 5 -
료수집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 전반을 점검ㆍ반성하여 추후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2015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에 따르면 교육과정의 성격은 지식적
인 내용뿐만 아닌 교과 역량과 관련된 경험 등을 포함하고, 보다 세부적인 목
표를 세워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을 구성하고 교수 학습 방향과 평가 방향등
을 제시한다(박주현, 2017).
김현지(2017)는 사례 기반학습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교육 내용에 다문화이
해를 위한 실제적인 실천방법과 상담 등의 내용을 담고 교수학습방법에 사례
기반 학습의 원리와 원리적인 부분과 이론 학습, 등의 학습자료 통해 이루어
진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이용되는 이론을 탐색하면 Tyler의 모형은 잠정적인
목표와 최종적인 수업 목표를 구분하여 명확한 수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합리적인 틀을 최초로 제시한다. 또한, Hunkins의 교육과정 설계
모형은 의사결정의 적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이전 단계
로 돌아가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여 발전을 도모하는 특징을 가진다(김종일,
2017). 그리고, Skibeck의 모형은 상황분석으로 목표를 설정하여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판단과 실행하는 모니터링 과정을 바탕으로 피드백하여 사실을 재구
성하여 교육과정을 학교별 특수성에 맞춰 재구성하는데 용이한 특징이 있다.
Wiggins와 McTigha 모형은 교과별 빅 아이디어와 개념, 원리, 포괄적인 질문
등을 제시하여 학교의 학년별 코스별, 수준별로 핵심질문에 구체적인 개념들
을 결합하여 교과별 교육내용을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핵심질문을 통해 학습
자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학습자의 현재수준을 바탕으로 지식을 설명하고
해석하며 활용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교육과정의 설계 모형이
며(김종일(2017), 학습자의 태도, 학습의 선택과 책임, 학습자-교사의 관계, 학
습과정 및 방법(전략)으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언급하고 있다.

- 6 -
나. 학습자중심 교육
학습자 중심의 정의는 ‘학습자에게 전달의 기능으로서가 아닌 학습자로 하
여금 지식, 가치, 기능을 이끌어 내도록 도와주는 교육’이다. 즉, 학습자가 스
스로 선택하고 주도적인 학습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권한을 가지
고, 또 필요할 때는 교사의 도움을 받는 형태의 교육이다(나호진, 2017).
권낙원(2001)은 학습자중심교육(Learner-Centered Education)의 특징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깊이 이해하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상호 존
중하는 교육이라고 하며, 교수자의 일방적인 지식전달이 아닌 학습자의 상황
을 파악하며 그들의 문제를 스스로 이끌어내고 그들이 스스로 답을 찾아 풀어
가는 방식이며 그러기에 더 적극적인 참여와 자신이 원하는 지식과 정보 등이
제공될 때 학습자 스스로 자존감과 해결능력 그리고, 학습공동체 안에서도 유
대감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낼 수 있다.
교육학에서는 전통적인 교수 중심의 지식전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구성주
의에 입각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수업을 모색한다. 그중에 사례 기반 학습,
문제 기반 학습, 문제해결 시나리오, 목표기반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등과 같
은 사례를 활용한 교수박습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김현지, 2017, 재인용). 사례
기반학습은 문제해결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사례들을 제시하고 그 안에 있는
문제와 시도된 해결방법의 적합성을 파악하여 비판하며 대안을 제시하고 서로
토의하여 현실성 있고 생동감 있는 지식을 얻고자 하는 교육방법이다(김현지,
2017). 이 사례기반 학습은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과 학습자와 교수
자 간의 의사소통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그 흐름을 따라 수업하게 되
며, 정답보다는 설득과 분석적, 비평적 사고, 자신감 형성, 역량 증진 등이 포
함되며 귀납적인 학습방법이다.

- 7 -
또한, 학습자 중심의 방법 중에 참여학습법인 LePSAS 교육이 있다. 이 참
여학습법은 학습자들이 서로 스스로 답을 발견하도록 도와주면서 배우게 되고
그 배움이 행동으로 옮겨지도록 하는 참여학습 도구이다. 학습자들이 이미 가
지고 있는 전통적인 지식위에 새롭게 얻어진 지식에 근거해서 행동을 결정하
게 되는데 이런 결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능동적으로 행동하게 된다(Stan
Rowland, 2003). CHE(지역사회개발선교회) 선교회에서는 LePSAS 도구를 사
용하여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훈련하고 지원하여 그들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여주고 그들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립의 원칙을 세워나가도록 한
다(곽명근, 2012). LePSAS의 Le는 학습자 중심(Learner-Centered), P는 문제
도출(problem-Posing, 스스로 문제 제기), S는 스스로 발견하기
(Self-Discovery, 스스로 답을 찾기), A는 행동 지향적(Action-Oriented, 해답
을 실천), S는 성령의 인도(Spirit Guided)로서 한 마디로 LePSAS 교육은 배
우는 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곽명근,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목회자들에게 참여학습법인 LePSAS를 통해 장애
인선교에 대한 지식적인 경험적인 이해가 지식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 서로에게 다양한 주제를 주고 스스로 생각하며 서로가
답을 찾아가고 그래서, 그 정보들이 마음에 새겨 그들이 섬기는 사역지에서도
그 정보가 제공됨으로 공동체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습득하는 기회까
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례기반학습의 학습 과정 모형과 참여학
습법인 LePSAS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들의 이론적 및 실천적 교육을 통해 장
애인선교 관련 교육을 개발하고 이에 효과적인 장애인식개선 교육 및 역량강
화교육을 꾀하고자 한다.

다. 목회자양성대학
목회자양성대학은 기독교 대학으로서 선교사나 교단 등이 기독교 정신을 토
- 8 -
대로 하여 고등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을 말한다. 목회자양성대학
에서의 교육과정은 신학의 학문적 토대를 놓는 신학교육의 과정과 예비목회자
로서의 실습 및 훈련과정을 염두로 하고 예비목회자의 미래 목회사역 전체를
신학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게 하는 목표를 둔 교
육과정이다(정일웅, 2010).
현재 목회자양성대학에서는 주로 교단 및 학교의 교육방침에 의해 교과과정
이 구성되어 있고 그러다보니 학교중심이고 교수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 홍경희(2016)는 그의 연구에서 목회자들의 목회와 선교의 정체성
을 가지고 형성해나가는 학습과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그래서, 목회자의 정
체성은 영혼에 대한 사랑, 섬김과 헌신의 리더십,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로
보고 이것이 목회자양성대학에서 교육과정으로서 담아내야 한다고 한다.
박상진(2017)은 그의 학술연구에서 신학교육이 실천지향적 교육이 되기 위
해서는 신학교육 자체가 실천을 통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목회 현장
은 신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적용하는 장이 아니며 목회 안에서의 학습
(learning-in-ministry)이 되어야 하기에 진정한 신학교육은 단지 목회를 준비
하는 교육이 아닌 목회적 실천을 통해서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대체적으로 교육과정은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기초로 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
육을 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이며 학습자 중심을 통해 지식적인 이론만이 아닌
경험적, 사례적, 실천적 교육까지 함의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과제는 실천적 의미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을 하고자 함인데 장애
인선교라는 과목이 한국의 목회자양성대학에서는 개설된 바 없고 한국교회와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 이해조차 없는 상황가운데 실천신학으로서 교육
과정을 둔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는 것 같지만 일반 사회와 학교
등에서는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의무화되고 있는 시점이고 교회공동체 안에

- 9 -
서의 다양한 계층과 문화를 한 데 어울려 있는 상황이라면 충분히 장애인선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목회자양성대학에서 통합목회를 통해 통합예배의 관
점에서의 장애인선교 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장애인선교 교육은 재활 선교적인 관점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을 해야 하며
그 대상은 교회공동체의 중추적이고 리더 위치에 있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예
비목회자들이다.
목회자는 목회적 돌봄을 통해 교인들의 신앙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지역사
회에서 사랑과 섬김을 다하도록 하는데 있다(박명성, 2003). 이에 목회자의 소
명의식과 목회철학을 바탕으로 교인들에게 선도적인 리더로서 전도와 교육과
섬김을 보여줘야 한다(윤해영, 2015).
그러기에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 교육에 있어서 목회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목회현장에서 목회자들이 어떻게 교인들에게 설교하며 교육하는가
에 따라 교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장애인선교 교육의 목회자의
중요성은 많은 논문들에서 주장하고 있다(정부자, 2003; 이금섭, 배내윤, 이민
호, 2005; 김성원, 허계형, 2017). 박희경(2009)은 그의 논문에서 예비목회자들
의 통합사역에 대한 목회적 관심과 실천이 이후 교회를 담임한 이후에도 영향
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금섭 외(2005)의 학술지에서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의 신학교육 커
리큘럼 속에 장애인 문제와 목회자의 장애인 돌봄을 위한 교과목을 설정하여

- 10 -
장애인과 장애인 문제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면서 여러
논문을 인용하여 장애인 관련 과목이수가 장애인에 대한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정부자(2003)는 장애인선교 신학의 정립이 시급히 필요하고 이러한 신학적
노력은 먼저 신학교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예비 목회자의 신학교육은 목회자를 배출하고 목회비전을 세워가는 의미에
서 그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장애인선교에 있어서 통합목회에 대한 목회자들
이 이해가 없고 무관심과 소극적으로 대하는 한, 교회공동체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적극적인 장애인선교는 결코 기대할 수 없다. 설령 장애인에 대한 관심
을 갖는다 해도 장애인선교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없다면 그저 장애인들만 출
석하고 있는 장애인교회로 좁혀지거나 장애인 부서나 특별한 사명감을 가진
일부 목회자들에게만 책임을 국한시키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이금
섭 외, 2005).
대다수의 교회나 장애인선교를 한다는 목회자는 장애인을 도움의 대상으로
서의 시혜적인 생각, 부서로서의 분리 정책, 의료적 관점에서의 교육 철학 등
의 관점이기에 선교적 관점, 사회 통합적 관점의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이 절
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이금섭 외(2005)는 목회자양성대학으로서 장애인
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는 목회자를 양성하고 교육을 받은 예비 목회자는 사
회통합의 의미에서 장애인과 함께하는 예배공동체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주장
하고 있다. 이시내(2006)는 장애인 관련 전문 교역자의 양성이 필요함을 언급
하였고, 제지훈(2017)은 최고의 전문가인 당사자들이 사역자로서의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전문적 소양을 갖춘 지도자로 양성해야
한다고 한다. 더불어 장애인사역이 부서사역에 제한되지 않고, 통합사역과 총
체적인 교회사역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교회구성원들을 장애인사역의 전문가
로 양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11 -
이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이 필요하며, 그 교육은
복지적, 분리적 관점이 아닌 선교적, 재활학-사회통합적인 관점에서 교육해야
한다. 그러기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 목회자는 올바른 장애인 이해와 장
애인재활 선교의 방향성, 관점 등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 기반과 태도, 실천적
요소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 장애인재활 선교교육
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목회자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며,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재활 선교교육을 위한 과정과 구체적 방향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방향과 목표


장애인선교교육은 우선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아닌 교회공동체
의 의미와 하나님나라의 개념을 장애인선교 교육 교과목에 포함시켜야 하며,
장애인들의 장애로 인한 여러 문화적 배경과 환경을 가진 장애인들에게 차별
없는 예배와 신앙교육의 경험과 교회공동체 안에서의 함께하는 기회를 주는
동시에 일반 교인들에게도 편견없는 태도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이 실천 되도록 하는 것이다. 교인들이 장애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교회공동체에서의 자신의 존재이해와 정체성을 공감하도록 돕는 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김현지, 2017). 장애인선교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데 이는 예비 목회자의 가치관과 태도가 변하지 않으면 장애인
재활 선교교육이 성공적으로 달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목회자양성대학
에서 장애인재활 선교교육은 예비목회자의 장애인선교 교육의 지식적 기반,
태도, 실천 요소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장애인선교 교육 역량 강화에 그 목적
을 두고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목회자들에게 장애인재활 선교 교육을 하는 목적은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이 지역교회에서 함께 예배드리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 12 -
함께 신앙생활 하도록 목회방향을 세워가야 한다는데 있다.
장애인선교 교육의 목표는 장애인에 대한 오해가 바른 이해로 바뀌고, 장애
인재활 선교가 복지적인 의미가 아닌 선교적인 마인드로 방향성을 정하고 그
리고, 각 지교회에서 부교역자로 사역할 때 교인들에게 바른 이해와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함께 한 모든 교인들이 자연스럽게 교회공동체(통합) 안에서
예배드리고 신앙이 성장하게 하는 것이다.
단순히 장애인 사역자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에서 하나님의 진정한
사랑을 알고 장애인들을 이해하며, 한 공동체 안에서 함께 어울리도록 하는데
있다. 사역자가 먼저 이에 대해 마음을 열면 담당부서의 학생들이나 교회 교
인들도 자연스럽게 장애인과 함께할 것이다.

3. 교육과정 개발의 영향 요인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과정 개념과 구성, 그리고, 유형들이 제
시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자 한 바를 논하려 한다. 우선
이기룡(2015)은 ‘교회학교 교사교육 비교분석 및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이므로 기독교적인 배경하에 교회학교 교
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연구로서 기독교 학교교육과정에서의 그 기
본적인 틀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 기독교학교 교육과정을 제시한 대표적인 학
자인 반 브루멜른의 교육과정 개발과 하버마스와 이슬러의 교육과정 개발모
형, 그리고, 알버트 그린의 알타비스타 교육과정을 통해 성경적 진리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하여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한 모델들로 실제적인 학생 및
교사교육과정에 필요한 수업 계획과 단원계획의 단계들을 제시한다.

- 13 -
박민선(2017)은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과정 실행이란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상
황에 맞도록 변형하여 수업을 만들어나가고 실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의 특징과 그에 관련된 전문성에 관한 특
징적인 요인들 작성한다.
임혜진(2016)은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에서
교육과정기준의 토대가 성격, 목표, 지향하는 인간상이나 사회상 및 그것을 뒷
받침하는 교육상, 구성방향 등을 담고 있다고 하면서 해당 분야 교육의 전체
적 방향과 목적을 제시한다.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따라
야 하는 체제를 제시하거나 교육과정 개선의 과정에 포함되는 단계, 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는 틀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공통적으로 포
함되는 단계로 요구분석, 목표설정, 교육경험 선정, 교육경험 조직, 단원 구성,
모의 실행, 수정보완, 본격 실행, 평가 및 평가정보이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의미와 모형을 탐색하였는데 홍후조(2016)의
가교 총론으로서의 교육과정기준 개발 모형을 따라서 학습자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창의성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준과 지침은 성격, 목표, 내용체계, 운영지침의 수준에서 제시한다. 그리고,
창의성 교육과정기준을 교과 통합적 창의성 교육이나 교과 독립적 창의성 교
육 등의 모든 상황에 맞춰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기준으로 한다.
안유정(2016)은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사례와 분석으로’에서 교과중심
교육과정은 지식의 전달을 목적으로, 주제중심 교육과정은 통합적 사고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의 신장을 목적으로 한다고
한다.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는 교과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의 지식이나 사실을
선정기준으로 삼고, 주제중심 교육과정은 교과별 공통 개념을 선정기준으로
하며,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혹은 주제중심 교육과정에서의 목적과

- 14 -
내용의 선정기준에서 차이가 난다고 언급한다.
김종일(2017)은 ‘대학 특성화교육과정 모형 연구’에서 이해 중심 교육과정의
‘목적’이 ‘국가’, ‘지역’, ‘교육청’, ‘학교수준’의 목적에 따라서 구성된다라고 하면
서 이 목적을 기반으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핵심적인 질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교과 교육과정별 내용 기준을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
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Wiggins와 McTighe의 모형을 반영하여 ‘바
라는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질문’이 만들어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적 목적, 목표를 통해 빅 아이디어를 만들고
이를 가지고 핵심 질문을 하면서 수업을 교가가 직접 만들어 가는 것이다.
나호진(2017)은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에서 학습자중심교
육(student-centered learning)을 지식 구성의 주체가 학습자인 수업으로써, 수
동적인 학습보다 활동에 중점을 둔 깊이 있는 이해를 강조하며 교사와 학습자
의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다고 정의하고,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책임과 책무
가 증가하는 동시에 자율성을 갖게 되며,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을 통해 스스
로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고 한다. ‘
나호진의 특수교육에서 학습자중심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장애 학생들
의 장애로 인한 발달의 차이와 또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존재로 인정함으
로써 특수교육 대상 학습자들 개인에게 적합한 학습상황의 구성을 촉진할 수
있다고 한다.
김현지(2017)는 그의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사례기반 다문화교육 교과목
개발 및 적용’에서 교수단계 및 교수학습방법을 구성하고자 사례기반학습의
교육원리와 다문화교육의 교육원리 및 사례 기반학습에 기초한 성인학습자대
상 수업모형의 교수단계 및 교수학습방법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를 종합하여 사례기반 다문화교육 교과목 개발을 하였으며 교과목의 교육목
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으로 구성한다.

- 15 -
곽명근(2012)은 ‘통전적관점에서 본 지역사회개발선교(CHE)에 관한 연구’에
서 참여학습법 중 하나인 LePSAS 교육을 소개한다. LePSAS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며, 그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방법이며, 서로
를 존중하는 학습방법이라고 한다.
이상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과정 개발의 구성의 제이론과 유형등을 살펴보
았다. 본 연구에서는 김현지의 사례기반학습의 교육원리에서 사용된 교육과정
구성과 곽명근의 LePSAS 참여학습법을 기반으로 하여 장애인재활선교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제2절 장애인 재활 선교
1. 장애인재활의 개념
가. 장애인의 개념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 제2조 1항에 보면 장애의 정의를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라고 정
의했다. 즉, 장애를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구분하여 의학적 관점에서만 규정
하고 있다. 그래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존재, 즉,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장애인으로만 정의하고 있다(최희석, 2011).
2006년 UN장애인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2006)에서는 장애를 한정적인 표현보다 점진적인 변화된
존재로서, 손상이 있는 사람이나 다른 사람이 동등하게 사회에 참여하는 것을

- 16 -
방해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의학적 원인보다는 환경적인 장벽 간의 상호작용으
로부터 온다는 것을 인정한다(신은경 외, 2012; 정중규, 2013). 즉, 개인의 기능
은 신체의 기능과 구조, 활동, 참여 등으로 표현되어 건강조건과 상황적 조건
즉, 환경요소(사회의 인식, 건축물의 장애요소, 정도 등)와 개인적 요소(성별,
나이, 인종, 습관 대처양식 등)의 양 측면에서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장애학적 관점에서는 장애를 개인이 지니는 결함이 아닌 개인적 특성으로
이해하여 장애를 신체적 정신적 개성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수정의 대상이
아닌 다양한 인간생명의 모습으로 장애인의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전지혜,
2014).
재활의 의미에서 장애의 개념은 사람을 인격적인 존재로서 장애의 존재를
인정하고 스스로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관점이다. 인간을
전인적인 존재임과 장애인을 또 다른 능력자(The differently abled)로 이해(김
종인, 2013)하는 관점이다.
결국 장애의 개념은 생물학적, 의료적, 복지적 개념에서 탈피하여 사회적,
환경적, 재활적 관점으로 보아야 하며 개인을 존중하고 한 사회 속에서 주체
가 되는, 그리고, 그들의 또 다른 능력과 가능성을 보고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
스를 제공함으로 그들도 통합사회의 한 일원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개념이다.

나. 재활의 개념
재활은 그 사람의 가능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의미이며, 사람의 존엄,
권리, 가치를 다시 회복하게 하는 의미가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박성식,
2011).
재활의 기본이념은 인간의 가치실현이다. 모든 인간은 존중받을만한 가치가
있으며, 모든 사람이 전인격적인 존재이며,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가 있으
며, 누구나 독특한 존재이며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사람으로서의 존
- 17 -
엄성과 가치가 있기에 장애가 있어도 마찬가지로 전인격적인 존재이며, 독특
한 존재로서 성숙한 시민으로 사회구성원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재활이념에서는 인권존중, 생명존중, 전인격의 존중, 사회통합
의 존중, 평등의식의 존중 등으로 의미한다(박석돈, 2004).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편견과 차별이 있는 구조는 문제가 있다. 장애인
들에게 있어서는 이중의 불행을 감내해야 한다. 하나는 본인의 장애이며, 또
하나는 그로 인한 편견과 차별이다. 그러나, 평등한 사회는 평등의식을 갖고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인권을 존중하고 평등하게 함께 살아가는 재활이념
이어야 한다.
그러기에 재활의 이념에 있어서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은 장애의 존재를 인
정하고 다양한 특성을 이해한다. 장애인도 총체적인 존재로서 사회통합의 한
일원임과 또 다른 가능성이 있는 존재로 이해하며 장애의 부정적인 측면보다
는 긍정적이고 강점 관점에서 가능성을 개발(김종인, 2013)하려는 재활이념이
다.

2. 장애인선교의 개념
가. 장애인선교의 개념 및 필요성
Ralph(2000)는 선교의 목적을 ‘하나님은 모든 민족이 하나님을 예배하기 원
하신다’고 정의하여 교회공동체 안에 모든 사람들이 함께 예배하는 것이 선교
임을 강조한다. 교회공동체 안에서 장애인선교는 이러한 선교 목적에 맞게 장
애인도 비장애인과 같이 예배와 교육, 섬김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에
게 더 적극적인 전도를 하고 그들을 더 배려하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장애인선
교의 목적이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장애인선교는 교회공동체 안에 장애인이

- 18 -
없이 교회밖에서 봉사나 후원 그리고, 프로그램(행사) 위주의 암묵적인 개념으
로 정의한다(이금섭 외, 2005). 이러한 시각은 장애인이 복지의 대상이며, 그들
을 지원하는 서비스와 지원에 더 중점을 둔 개념이다. 전지혜(2014)는 교회 내
장애인은 보호와 사랑의 대상일 뿐 주체가 되지 못하고 상하적인 관계 내지는
시혜적 관계로 인식되어 사랑과 보호의 대상으로서 복지관 서비스 대상자처럼
취급되는 경향이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기에 정작 교회공동체 안에서는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을 대부분 복지의 대상으로 인식할 뿐 선교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기에 교회 안에 장애인들이 당연히 없고 그들을 위한 배려와 진정
한 선교가 없는 것이다(박명우, 2011; 홍성수, 2018).
<표 1> 교회의 복지적–선교적 관점 비교
6하원칙 봉사/복지적 관점 선교적 관점
Who 뜻이 있는 사람, 전문가 모든 사람
When 토요일, 한달에 1회, 1년에 1~2회 주일
Where 시설, 복지관, 영구임대아파트 교회
What 식사, 설거지, 청소, 목욕, 대화 예배, 신앙생활
Why 당연히, 도움을 필요로 해서 선교
How 봉사, 후원 예배, 신앙생활, 순종
출처: 홍성수(2018), 장애인선교학교 강의자료, 천안밀알선교단. 1~2.
위의 <표 1>은 교회의 복지적 관점과 선교적 관점에서 비교한 것이다. 복
지적 관점은 전문가에 의해 정기적으로 교회 안이 아닌 시설이나 단체에 가서
봉사하는 프로그램의 관점이고, 선교적 관점은 모든 사람이 주일에 교회에서
장애인들과 함께 예배하며 신앙생활하게 하는 관점이다. 즉, 선교적 관점은 장
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예배드리며 그들도 장애인이 아닌 한 교인으로서 직

- 19 -
분자로서 인정하고 함께하는 사회적이며 통합의 관점이다.
그러기에 장애인선교는 ‘선교’에 더 중점을 두고 해야 할 사역이며 장애인을
동정의 대상이 아닌 영혼구원의 대상으로서 그들에게 다가가서 복음을 전하는
것(나명식, 2003)이다. 성경에 나오는 장애가 있는 인물들은 장애가 있든 없든
하나님의 자녀로서, 같은 인권, 같은 자유와 권리 그리고, 책임을 가진 존재로
언급한다. 또한, 동일한 죄인이며, 하나님의 백성들로서 배제하거나 차별하거
나 소외하지 않았다. 결국 성경과 예수님의 장애인관은 의료적, 복지적 개념으
로 이해하고 장애인사역을 한 것이 아니라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구원받아야
할 존재이며 하나님나라 공동체의 일원임을 인식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통한
복음사역을 한 것이다(눅 4:18~19, 막 1:40~45, 2:1~12, 요 5:1~9, 9:1~7, 눅
8:43~48, 행 3:1~16) 즉, 장애인들과 함께 공동체적이며, 사회적이며 재활적
인 관점에서 장애인들을 바라본 것이다.
교회공동체 안에서의 장애인선교도 목회자를 포함한 장애 교인과 비장애 교
인 모두가 함께 예배와 양육과 봉사 등에 참여하여 그들도 하나님의 하시는
일에 동참하게 하는 선교이다(이금섭 외, 2005).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살
펴보면 교회당 안에 장애인들이 예배드리는데 어려움이 없이 보조시설 등의
최소한의 편의시설을 갖추어 장애인들을 가로막는 문턱을 낮추어 당당히 예배
들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청각 장애인을 위해 중간 중간에
수화통역이나 자막이 나오도록 한다. 그래서, 각 장애 유형의 장애인들이 물리
적이고 구조적인 편견으로 예배환경이 불가능한 상황과 의식과 말과 행동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들의 상황으로 인해 교회 오는데 또한, 함께 예배드리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영혼구원사역에 가능성을 목회비전을 통해 열어놓도록 해
야 한다.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이 교회공동체에 동참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
여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장애인의 인권보장,
교육권, 이동권, 직업권, 행복추구권,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지역사회의 평범

- 20 -
한 시민으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지해 주어야한다. 장애인 가
족 이외에 장애인 및 사회복지기관, 공공기관, 종교기관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
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정책을
개발하여 장애인들이 교회공동체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한다. 또한, 교회공동체의 장점들은 장애인들에게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교회는 전국 어디에도 존재하고, 구역 및 지역 등 세밀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전문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는 공동정신과
인적, 물적 자원을 이타적인 사랑의 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 목회
에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효과적인 운행을 극대화 할 수 있다(김영신,
2006).

나. 예비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
장애인선교에서 목회자가 목회비전과 목회철학에서부터 장애인선교에 대한
계획을 세워 교회공동체에 속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한 마음으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실천하도록 장애인선교를 구상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함께 할 수 있는 여건들을 마련할 수 있도록 목
회자나 예비목회자에 대한 장애인선교수준을 향상해야 한다. 목회자의 목회방
침에서 장애인에 대한 설교를 자주 하면 장애인을 교회 성장에 방해하는 원인
으로 생각하는 편견이나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회피 대상이 인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장애인선교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의 목회노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교회공동체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지
속적인 전도가 이루어지면 지역 장애인을 구원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사회구성
원으로서 자부심을 부여하여 지역통합을 이루는 유용한 수단이 되며, 기독교
의 인간이해와 선교공동체를 바탕으로 사회통합을 하는 교회로 부각될 수 있
다.
- 21 -
그렇지만 김두만(2011)의 연구에서처럼 교회가 “장애인”에 대해 설교를 하
는 횟수가 1년을 기준으로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된 것을 확인한 것처럼 교회
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없음을 여실히 보여주었고, 뿐만 아니라, 한
국 교회공동체의 구체적인 장애인 인식의 현실에 대한 객관적․실증적 자료가
부족하기에 연구 한계가 분명한 상황이다. 이것 또한, 한국교회공동체의 장애
인선교 관심 부재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목회자나 예비목회자의 태도
와 행동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장애인선교 인식을 극대화할 수 있다. 목회
자의 목회비전과 철학은 예배와 설교말씀에 담겨져 하나님의 뜻을 선포한다.
여기에는 교인들의 삶과 철학과 합당한 목적(김정훈, 2018)을 함축하고 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전제되어 설교를 통해 성
도들에게 전해진다(김응도, 2009; 김강산, 2012). 그래서,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에 대한 바른 전반적인 인식은 이러한 비합리적인 모순된 상황을 극복하여 장
애인선교 수준을 향상시킨다.

3. 장애인선교 인식의 영향요인


장애인선교의 인식의 영향에 있어서 다양한 관점이 장애인인식(재활적, 전
인적)과 선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김종인(2013)은 그의 책에서 재활복지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의 존재를
인정하고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고 하면서 장애인을 또 다른 능력자
(The differently abled)로 부르며, 장애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이고 강점
관점에서 가능성을 개발하려는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말하면서 모든 인간
의 삶은 발달과정에 있으며 그 가능성을 신뢰하고 사람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
한 활용하도록 개입하는 것이 발달보장을 지향하는 재활의 원칙이라고 하면서

- 22 -
재활이론(Rehabilitation Theory)를 제시한다.
전지혜(2014)는 과거의 의료적 모델의 관점은 의료와 복지적인 개념에서 시
혜적인 관점이기에 장애인을 도움받는 존재로만 생각하여 그들이 스스로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치료받아야 하고 보호해야 하는 대상으로만 인식하였는
데, 자립 이념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장애인은 보호 대상이 아닌 그들 당
사자로서 주체가 되며 사회가 그들에게도 권리가 있음을 알고 인정해야 함을
공감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장애인선교가 장애인이 자선의 대상이 아닌 장애
인 스스로 신앙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인권의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
어져야 한다고 논한다.
장애인선교에 대해 장애인사역을 논하는 논문은 여러 있지만 실제적으로
장애인선교적 관점과 관련하여 논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다만, 김호경
(2015)의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시각장애인의 선교접근에 관한 연구를 통
해 선교적 교회는 자신의 본질이 하나님의 선교에 있으며 하나님의 선교를 주
도하는 것이 아니고 신실하게 참여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하면서 교회는 하나
님의 선교에 도구로서 동참하는 것이라고 한다. 선교적 도구로서 동참하며 하
나님께서 선교를 명하실 때 우리는 순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그의 연구
의 결론에서 세상은 장애인을 편견과 냉대 속에서 사회로부터 격리시켰으나
하나님은 장애인을 선교의 동반자로 또는 주체자로 사용하셨다고 한다.
김경호(2009)는 교회에서 장애인선교에 대하여서 장애인에 대한 새로운 인
식이 필요하고 어떻게 장애인선교가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봐야 한다고
하면서 예수의 장애인선교를 통하여서 장애인들에게 복음을 듣게 하고 믿게
하고 또한, 일반인 선교까지 이루어 주위에 있는 사람들까지 자연스럽게 복음
을 전하게 하므로 장애인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도 복음을 전하고 도전
을 주는 선교로 이해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어 선교적
인 관점이 아닌 복지적인 관점으로 제시되어 선교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아쉬

- 23 -
움을 남겼다.
윤호종(2010)은 장애인선교를 복음전도의 의미로 생각하고 복지적인 관점이
아닌 장애인의 입장에서 장애인선교를 생각하여야 한다고 하고 결론적으로 한
국 장애인선교의 문제점은 교회와 목회자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무관심이 가장
큰 문제점이며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문제로 등장한다고 한다. 이에
윤호중은 일방적인 시혜를 주는 것이 아닌 함께한다는 것으로 출발하여야한다
고 제언하면서 장애인편견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예비목회자, 현직 목회자,
비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신학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수교육저널을 통해 발표된 논문에서 이금섭 외(2005)는 신학은 교회사역
활동에 의해 그 방향성이 결정되고 정당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기독교 신학적
노력은 장애인 문제에 있어서 설명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교회는 장애인 문제
에 접근하고 장애인 사역을 감당하기 위해서, 또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교회
의 신앙적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반드시 신학적 성찰과 반성의 노력을 해야 한
다고 주장한다.
김두만(2011)은 교회의 목회자가 주일예배 설교중 “장애인”에 대해 얼마나
자주 말씀하느냐의 설문에서 응답자 114명 중에 필요시 88명, 거의 하지 않는
다가 13명, 한 달에 한번 7명, 특정 절기 5명, 매주 1명, 정도로 응답을 내놓았
다. 이 설문에서 매주와 한 달에 빼고는 거의 하지 않고 있음(106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태관(2017)은 한국교회의 장애청중에 대한 설교는 장애에 대한 편견 혹은
이해의 부족, 올바른 신학적 이해의 결여로 장애인을 잃은 장애교회의 표상이
며 원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장애청중 대상 설교의 올바른 실현을 위해서 극복
해야 할 세 가지 위기인 장애 본문 해석의 위기, 장애청중과 소통의 위기, 장
애 언어 한계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석주(2007)는 3~5%가 장애인 기독교인으로 추정하고 이러한 사실로 볼

- 24 -
때 장애인은 거의 복음의 불모지이며 한국교회의 장애인선교는 전무한 상태라
고 하면서 그나마 장애인선교도 일반교회가 아닌 장애인선교회나 선교단체 등
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지고 있기에 교회의 장애인전도는 꼭 필요함을 주장
하고 있다.
김영신(2006)는 장애인선교를 행사나 프로그램 등 이벤트성으로 하지 말고
장애인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소외된 또는 장애인의 위치에서 인식을
전환하여 장애인들이 예배에 참여하는 전도를 해야 한다고 하면서 장애인 전
도가 개인만이 아닌 가족을 생각하고, 장애인을 통한 일반인전도를 주장하고
있다.
이상 선행논문들을 통해 교회의 장애인선교와 장애인선교 인식에 있어서
구체적인 장애인 관련 설교와 장애인 전도에 대한 고찰하고, 이를 통해 장애
인선교는 의료적 복지적 관점이 아닌 사회적, 통합적 관점으로 그리고, 선교적
관점으로 인식하고 장애인선교를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장애인관련 설교에
있어서 목회자가 장애인인식 이해를 가지고 설교를 본문의 내용에 따라 해야
하며, 또한, 장애인전도는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을 구원의 대상으로 보고 전도
를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25 -
제3절 장애인 통합예배
1. 장애인 통합예배의 개념
가. 통합예배의 개념
통합예배는 사회구성원 중 어느 누구도 배제되지 않고 누구나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러나, 교회공동체인 한국교회 안에 장애인이 이 통합된 구성
원에 들어가 있지 않은 상황들이 만연해 있다. 이에 통합에 대한 개념을 우선
사회적 통합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사회적 통합은 우리 사회의 공동체에 소속
됨과 공동체의 가치와 인식을 공유하여 빈부격차, 신체적 차이, 문화적 차이,
이념으로 인한 차별을 해소하는 과정이다(박영천, 2010). 이 사회 통합은 사회
적 약점을 치유하여 사회의 선순환 기능을 회복시키고 강점을 더 활성화 하여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며 사회 통합의 조건은 ‘기회의 평등’과
‘능력의 확대’를 의미한다.
사회적 통합에 있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은 장애인의 권리와 평등,
정상화의 원리에서 출발하여야 한다(제지훈, 2017, 이회능, 2005). 모든 장애인
이 정상에 가깝게 교육받고 정상적인 생활환경이 마련되어 사회가 장애인을
한 인간으로 생각하고 가정과 학교와 사회에서 그 구성원들과 같이 어울리면
서 함께 모든 특권과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의미이다(이회능, 2005).
또한, 사회통합은 재활의 목적으로서 장애인들이 주류 사회에 통합되어 일
반인들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조성열, 2004). 장애인과
함께하는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에 책임감 있는
반응을 보여야 할 한국교회의 입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나 사역의
방향, 방법 등을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어야 한다(제지훈, 2017).

- 26 -
그러기에 통합예배는 사회통합의 의미로서 교회 안에 남녀노소 및 여러 계
층, 다문화 등이 존재하는 교회공동체 안에 장애인들도 배제되지 않고 함께하
는 예배이다. 이런 의미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예배는 큰 의
미가 있고 절실한 상황이다.

나. 장애인 통합예배
1) 교회의 통합목회
교회공동체는 모든 성도들(남녀노소, 지역, 문화, 계층 등의 모든)이 모두
일치된 모습으로 함께 모든 계층 간의 갈등과 차이를 극복하는 공동체이며,
온전히 그리스도의 한 몸으로 다양함 속에서도 하나 된 공동체를 이루어가기
위한 조화로운 일치를 사랑으로써 추구해 나가는 연합되고 통합된 교회공동체
이다(박성태, 2016). 이 교회공동체가 하나되고 연합되기 위해서는 통합목회의
비전이 필요하다.
통합목회는 하나님께서 자신이 창조하신 인간들을 보존하시고, 또 그 본래
의 목적과 방향을 회복하시는 일에 동참하는 교회의 사역이며, 장애인, 비장애
인 모든 성도들이 함께 예배드리며 모든 활동 즉, 신앙생활과 교육과 섬김과
선교에 참여 하도록 하는 목회이다(박성태, 2016). 그리고, 장애인들과 비장애
인들에게 함께 어울려 있어야 한다(김정회, 2003; 김성원, 허계형, 2017; 최도
숙, 2012; 김응도, 2008; 남수현, 2011; 박성태, 2016; 이회능, 2005; 제지훈,
2017). 통합목회가 지향하는 것은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모든 사람들이 하
나님나라 안에서 동일한 백성임을 선언하는 완전한 공동체이다. 즉,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완전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사랑의 공동체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해결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공동체이며 하나되는 교회를 이루는
것이다.
- 27 -
성경의 근거를 보면 예수님께서 세리들과 죄인들, 약자, 소외된 자, 병자, 그
리고, 장애인 함께 하셨던 예수님의 사역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초대공동체는
과부와 고아, 연약한 자와 병든 자들을 돌보고, 관심과 사랑을 베풀며 함께 했
던 공동체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바로 초대교회가 통
합교회의 공동체였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김정회, 2003).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저주받은 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갈3:27~28)” 라는 말씀에서 모두가 그리
스도 안에서 하나임을 명시한 것과 그리고, 성경의 한 몸을 포함한 그 내용
(고전 12:12, 고전 12:27)들과 눅 14:15~24(잔치 초청), 마 28:19~20(제자삼
음), 행 1:8(지상명령, 증인) 말씀에서도 지위, 문화, 지역, 능력 등의 구분 없
이 모든 사람은 예수님을 가르침을 받고 증인이 되어야 함을 증거하고 있다
(최도숙, 2012; 이시내, 2006). 엡 2:19과 벧전 2:9 등에서는 동일한 시민, 하나
님의 권속, 그의 소유된 백성의 표현들을 통해서 한 식구이며 한 시민임을 통
합의 의미에서 보여주고 있다(김홍덕, 2010)
2) 장애인 통합목회와 통합예배
통합목회의 목적은 교회에서 장애인들이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서 또 교회
공동체의 일원(교인)으로서 완전한 참여와 평등한 관계에서 함께 예배드리는
데 있다. 하나님나라의 공동체인 교회에서 가장 하나님 나라를 현실적으로 드
러나는 것은 교회의 예배이다. 그러나, 이 교회공동체에서 가장 핵심인 ‘예배’
에서조차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이 함께 예배드리지 못하고 있다면, 가난한 자
들의 영혼구원 사역과 하나님의 사랑과 이웃사랑의 기본 이념을 배제하는 것
이며 하나님나라의 백성다운 삶에서 장애인들은 배제시키는 꼴이 되고 만다.
이것은 당연히 교회가 지역 장애인들을 편견과 차별하는 것이다.
교회공동체는 사회성을 잘 실현하고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에 있

- 28 -
다. 어린아이에서부터 어르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업과 계층, 다양한 문화
들이 작은 사회처럼 존재하는 곳이 교회공동체이다. 그러기에 장애인들이 이
러한 교회공동체 안에서 한 사회인으로서, 또한, 성도로서 서로 함께 예배하고
함께 신앙생활 한다면 이 보다 더 좋은 공동체는 없다. 그러기에 장애인들도
교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예배드리고 신앙생활을 하도록 해야 한다.
오영환(2007)의 ‘장애인의 통합예배에 참여에 대한 일반기독교인의 인식’조
사에서 보면, 교회 목회자의 관심도가 전체에서 50%가 무감각하게 나타나 통
합예배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이에 교회의 목회비
전에서 통합목회의 관점으로 장애를 이해하고 바라보는 태도와 목회자들의 역
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교회공동체에서 지역사회와 교회 안에 있는 장애인들의 장애가 교회에도
책임이 있음을 인식한다면 장애인들이 함께 예배드리는데 있어서 그 어려움들
을 성도들과 함께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의 목회비전 안에 통합목회의
비전을 담아내는 노력을 해야 하고 이웃사랑의 실천으로서 교회공동체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으로 나타나 교회공동체를 이루는데 큰 역할이 되도록 해야 한
다.

2. 통합예배의 구성요소
가. 통합예배를 통한 교인들의 이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예배는 자연스러운 통합목회를 통해 교
회공동체 안에서 온 성도들이 함께 하나님께 영광이 되고 사랑과 섬김이 있는
통합예배가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도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오
영환(2007)은 통합예배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조건에

- 29 -
대한 조사에서 일반성도의 인식전환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일반성도들
을 대상으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교육이 시급함을 주장한다.
우선 장애인 성도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태도는 첫째로 장애인들의 장
애를 보고 판단하여 동정이나 구제의 대상, 열등한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장애가 있어도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 교회공동체의 한 성도라는 인식
이다(이회능, 2010).
두 번째는 그들이 장애가 있어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 외에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장애만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 하고 싶고, 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한다면 충분히 교
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예배드리고 섬기며 함께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
다는 것이다.
위 두 가지 장애인들도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이며, 그들의 또 다른 가능성
을 발견하고 함께한다는 인식과 서로 사랑의 공감대를 갖고 함께 한다면 어려
움이 있고 힘든 점이 있다 해도 충분히 그 교회공동체 안에서 해결하며 오히
려 더 사랑의 공동체로 발전할 수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예배의 장점은 서로에게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통합예배를 통해 인간의 다양성과 존엄성을
장애인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을 배려 할 수 있는 마음을
익히고, 장애인에 대한 두려움이나 오해가 감소되어 장애인을 자연스럽게 대
할 수 있다. 또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접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회적 행동 양식을 배울 수 있게 된다(황유미, 2005).

나. 통합예배가 주는 긍정적 상호작용


통합예배는 장애 교인과 비장애 교인이 함께 예배드리면서 서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다. 우선 장애 비장애를 떠나서 하
- 30 -
나님을 믿는 신앙공동체이므로 서로 신앙을 고백하며, 하나님 나라의 자녀들
로서 하나님의 사랑과 이웃사랑을 나누는 관계이다. 즉,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교회공동체의 한 가족으로 인식하여 상호 인격적이며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더불어 함께 신앙생활 하도록 하는 통합목회임을 언급하고 있다(황유미, 2005;
이시내, 2006; 김정훈, 2018; 이회능, 2010; 김지연, 2002; 김성원,허계형, 2017).
특정한 장애교인과 비장애교인의 입장에서는 장애의 특성으로 인한 이해가
필요하며, 장애교인 또한, 비장애 교인의 상황에 따라 서로 이해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교회공동체 안에서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 공동
체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할 것이다.
장애교인이 통합예배를 통해 차별과 편견이 없이 예배드리고 신앙생활을 한
다면 장애가 있어 경험하지 못했던 비장애 교인의 신앙과 삶을 통해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얻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오영환, 2007).
장애교인에게 있어서 그들의 장애로 인해 배우지 못하고 경험하지 못했던
것들을 교회공동체와 함께 하면서 그들도 신앙생활의 기쁨을 함께 누리며, 교
회와 또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주어 영향을 준다(황유
미, 2006).
반면에 비장애 교인들은 장애교인과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과 차이가
있는 사람들을 수용하는 태도와 애타적인 행동을 배우며, 장애교인의 신앙과
삶을 보고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장애교인이 교회공동체 안
에서와 사회에서 함께 신앙생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습득
하게 된다(오영환, 2007).
요약하면, 교회의 사명은 장애교인이 교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예배와 교인들과의 교제를 통해서 심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것을 교회공동체가 함께 해야 할 일이다.

- 31 -
다. 통합예배를 위한 교회의 환경
교회공동체에서 장애인과 함께하는 통합예배를 이뤄가는 구성요소 중 또 하
나는 교회의 환경적인 요소이다. 장애인들이 함께 교회 안에서 예배를 드리게
한다는 것은 예배 환경이 장애인들이 예배드리는데 있어서 방해가 있다면 장
애인들은 교회에 발을 들여놓을 수 없다.
많은 교회들이 장애인의 문제를 장애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만 생각하기
에 장애인이 교회에 와서 예배드리는데 있어서 소홀히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다. 우선 교회는 장애인의 문제가 각 개인이나 그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
회가 함께 풀어가야 하는 문제임을 자각하고 장애인들이 교회에 와서 예배와
신앙생활, 봉사, 선교하는데 걸림돌이 안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인에게만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방침이나 예배 및 교회 환
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우선 통합예배가 교회공동체에서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회자가 먼저 장
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및 통합목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김정회, 2003), 성도
들에게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봉사에 대한 설교 및 강의 세미나를 통한 교
육, 그리고, 교회 내에 장애인들도 교회 내에서 예배 및 양육 등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이나 제도 등의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황유미, 2005;
이시내, 2006). 그리고, 혼자 교회에 나올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안내자를 붙
여주거나 차량지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여러 여건들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
장한다.
이시내(2006)는 물리적 환경의 개선, 홍보활동을 통한 의식의 개선, 교역자
의 전문성, 교사양성, 장애, 비장애인의 교육, 부모역할, 교육과정 개발 등을
언급한다.
제지훈(2017)은 교회의 장애인 전도와 관련하여 우선 장애인에 대한 기본
이해의 필요와 대상자 선정하여 현재 상황 등의 정보 수집, 그리고, 지속적인
- 32 -
만남을 통한 관계 형성, 마지막으로 전도이후에 존재감 회복, 책임성 확신, 세
례받고 교회성도로서의 자리매김 등을 언급한다.
김응도(2008)는 목회자의 장애인들에 대한 바른 이해와 장애인들이 교회 오
는데 불편함이 없이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장애인들도 예배뿐만 아니
라, 모든 교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분위기와 여건을 만들어 주고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모든 교회활동에 있어서 장애인들이 배제되지 않
고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교회 내에서 필
요한 경우에는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성경공부, 친교,
봉사 및 전도 프로그램들을 특별히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
이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될 수 있는 한 많이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교회공동체에서 통합목회, 통합예배를 한다고 하면 가장 좋은 것은
장애 지원팀을 구성하여 장애인들이 교회 올 수 있도록 하는 방안, 함께 예배
드리는데 있어서 서로 예배 잘 드릴 수 있도록 하는 대책, 장애인들이 교육이
나 봉사나 선교 등을 하는데 있어서 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찾아 지원하
는 것이다. 그 지원팀에서 차량 봉사, 안내 봉사, 예배지원, 봉사 및 선교, 교
육,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들과 비장애인 성도들이 모두 예배드리
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라. 통합예배를 통한 장애인들의 바람직한 습관형성


장애인선교를 하고 있는 교회들을 보면 대부분이 분리교육 또는 통합교육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지체, 시각, 청각 등의 모습에서는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발달장애인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완전통합이 아닌 부서
개념으로 분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교회공동체와 통합되지
않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는 유기적인
- 33 -
관계가 아닌 분리된 부서로서만 운영된다면 장애인 교육부서가 교회공동체에
존재하는 의미나 교육의 효과는 없어질 것이다(이시내, 2006). 장애인선교를
한다는 많은 교회들에서 ‘사랑부’나 ‘소망부’ 등의 장애인부서를 하고 있지만
교회공동체와 별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회공동체와 또 다른
차별과 소외를 낳게 되고 사랑부는 어떤 마음이 좋거나 전문가만 해야 하는
인식 때문에 일반 성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부서로 전락하기 쉬우며, 사
랑부 또한, 그저 도움만 받아야하는 부서로 인식되어 힘들다거나 어렵다는 생
각을 같게하기 쉽다. 또한, 장애인들만 모아놓고 교육을 한다면 거기에는 더
이상 발전이 없는 교육이 되며, 사회성도 발전이 없는 부서로 남게 된다.
황유미(2006)는 교회학교와 관련하여 교회공동체에서의 통합예배의 의미는
일반 교육에서의 “통합이며 정상화”이기에 다양한 능력과 특성을 가진 사람들
이 어우러져 교육받고 또한, 그 가운데서 각자의 차이남에 따라 적절한 교육
을 받고 예배를 드리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교회학교 통합예배는 장애아동
을 일반아동과 함께 한반에 배치하고, 교회의 공과 내용을 장애아동도 함께
예배 및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장애아동의 요구에 따른 관련 지원을
제공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통합예배를 함으로 인해 장애인들에게 있어서는 어떤 분리된 환경보다 일반
교인과 함께 예배하고 신앙생활하는 것이 장애인 교인(학생)들에게 충분히 바
람직한 습관형성에 도움을 준다. 이에 황유미(2006)는 ‘장애아동은 통합예배를
통해 비장애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며 비장애아동과의 바람직한 상호
작용을 통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행동을 배울 수 있으며, 다양한 어휘와 올바른 언어 표현 방식을 배울
수 있다고 한다.

- 34 -
3. 장애인 통합예배요구 수준의 영향 요인
장애인 통합예배에 관한 논문들 중에 통합목회, 통합교육, 통합예배 등으로
그 용어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용어들은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고 그 목적에 맞게 쓰이기도 한다.
이시내(2006)는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회의 담임교역자 이하 부교
역자들이 장애인 통합에 대한 분명한 철학과 사명을 가지고 먼저 장애인 통합
에 대한 무지와 편견, 고정관념으로부터 탈피하여 건전하고 바른 장애인 이해
및 통합된 교회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인들을 가르치며 본을 보일 때 장
애인에 대한 일반 교인들의 의식 변화와 함께 교회 전체의 장애인 문제해결을
위한 역할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김정훈(2018)은 통합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담임목사의 설교가 통합교육
을 이끌어가는 중심이기 때문에 통합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설교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신앙생활의 요소들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진행될 수 있으며, 성
도들이 어려움이나 부담을 덜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러기에 이회능(2005)은 교회의 통합사역은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목회적 소
명이며 이러한 소명은 교회구성원 모두가 함께 이룩해야 하는 과업이기에 목
회자의 장애인 사역에 대한 열린 사고의 깊이와 넓이만큼 교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며 통합사역에 대한 목회자의 사명과 역할이 매우 크다고
주장한다.
제지훈(2017)은 Maria Harris의 글을 인용하여 교회를 목회적 소명과 교육
적 소명을 지닌 하나님의 백성으로 정의한다고 하면서 목회적(Pastoral) 소명
을 통해 사람들에 대한 보살핌과 관계성, 기독교적인 사역활동에 적극적이고
실천적으로 참여할 것과 교육적 소명을 통해 교육이 특정한 집단, 계층의 전

- 35 -
유물이 아닌 공동체 전체가 교육의 대상이고 교회자체가 교육프로그램임을 강
조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교육의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교회 안에서의 삶
만이 아닌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세상 한가운데의 삶으로 부르고 있다고 하여
목회자의 통합교육에 대해 언급한다.
또한, 그는 교회가 코이노니아 사역의 핵심이 공동체와 교제라면, 교회는
“빈부의 격차, 사회적 위치, 지역적 갈등을 뛰어넘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장
애를 가진 이와 비장애인들이 함께 놀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제지훈,
2017)고 하면서 같이 놀기 위한 공간으로서 훈련받기 가장 좋은 곳이 바로,
교회공동체이기 때문에 교회의 통합교육은 필요하다고 한다.
김성원과 허계형(2017)은 교회학교 교육은 예비 목회자의 비전, 교육철학,
교회학교 사역 이해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특히 장애인, 비장애인 통합사역의
경우 예비 목회자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비전이 장애인 비장애인 통합사역
의 방향과 실천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언급하면서. 담임목회
자가 장애통합 예배의 중요성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장애통합 예배를 구체적
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지식과 실천능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남수현(2011)은 그의 ‘21세기 지역교회의 장애인선교를 위한 목회과제 연구’
에서 통합목회가 성공하려면 교회의 지도자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장 중요하다
고 하면서 이준우와의 인터뷰를 통해 장애인의 통합목회는 인권과 권리의 변
화를 넘어 영적인 변화가 필요한데 이것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통합 목
회를 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통합예배와 관련하여서 채영남(2006)은 통합적 예배는 교회 안에 다양한 계
층의 사람들을 한 형식의 예배 안에서 어느 저항감이나 불편함 없이 예배를
드릴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하였고, 오영환(2007)은 장애인의 통합
예배 참여에 대한 일반기독교인의 인식에서 통합예배를 실시하는데 가장 시급

- 36 -
히 해결해야 할 조건에 대한 조사에서는 일반성도의 인식전환의 필요성이 가
장 높게 나타나 일반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교육이 시급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조사 결과를 논했다.
제지훈(2017)은 따라서 장애인과 함께 예배드린다는 것은 어떤 형태의(지적
장애 혹은 자폐성 장애와 같이 스스로 신앙고백하기 어려운 장애라 할지라도)
장애가 있다고 해도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부르심에 예외일 수 없다는 것과 장
애인과 비장애인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한 통합을 이루어 공동체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는 것은 결국 ‘예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에 본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 교회공동체가 온전한 통합을 하려면 담임
목회자의 통합목회비전에 근거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통합예배
비전이 선포되어야 하고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예배는
서로가 불편함이 없이 한 신앙공동체로서 그리고, 사랑의 공동체로서 그 부르
심에 합당하게 세워지는 교회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제4절 장애인선교 인식, 통합예배요구 수준, 교육과정 개


발의 관계
장애인선교에서 통합목회는 장애인은 복음의 대상이며 교회공동체의 한 일
원임을 인정하고 예배와 양육, 봉사, 선교 등을 장애인들에도 함께 할 수 있도
록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장애인 재활선교의 기본으로서 교회의 통합목회 비
전의 중심이며 목회사역의 핵심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되지 않고 소외
되지 않는 진정한 교회공동체의 완전한 회복을 이뤄갈 수 있도록 장애인선교

- 37 -
교육과정 개발에서 다루도록 해야하는 절실한 상황이다.
박성태(2006)는 교회가 장애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장애인통합과 목회와
의 연관성, 통합목회로의 전환과 구조적인 변화에 대해 다루었는데 생명을 보
존하는 본래의 목적과 방향을 회복하게 하는 양방적인 관계로서의 통합목회를
주장하고 있다.

1. 장애인선교 인식이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교회공동체 안에서 장애인선교는 선교적이고 사회재활적 관점에서 장애인들
도 비장애인과 함께 예배와 교육, 섬김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배려하
는데 중심을 둔 선교이다(나명식, 2003). 장애인선교가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장애인 복음을 듣는 일반인에게 선교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김경호, 2009).
이러한 장애인선교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은 학교나 교회에서 장애인 관련 교
육과 교육과정 설치에 관한 논의에 영향을 미쳐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증대하
여 설치가능성을 높인다. 하은철(2013)은 오늘날 장애인을 향한 교회의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며 장애인을 위한 목회적 돌봄은 전문적이지 못해서 봉사나
후원을 소극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고 평가한다.
김태관(2017)은 장애청중을 향한 설교의 부재나 장애에 대한 편견 및 신학
적 이해의 결여로 발생하는 장애청중 설교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장애본문에 대한 해석과 장애청중에 대한 태도 및 소통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목회자의 올바른 장애인선교인식 형성을 위해 학교에
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할 필요성을 주장할 수 있다.
제지훈(2017)은 설교를 통해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동참하는 자들이며, 장애
인에 대한 바른 용어 등을 설교를 통해 선포함으로써 교육적인 측면을 강조한

- 38 -
다. 박성태(2005)는 현실적으로 장애인과 함께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 교회의
현실을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면 사회통합의 일원으로 장애인을 인정하면서
장애인을 위한 교육과 재활과 복지 등에 구체적으로 관심을 쏟기도 하지만 다
른 한편에서는 장애인을 복지적 차원에서 시혜의 대상으로만 보는 등 낙인효
과가 존재하여 장애인에 대해 줄곧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교회
의 무관심과 장애인들을 향한 소외는 교회의 목회적 차원에서부터 장애인에
그릇된 편견과 잘못된 인식이 작용한 결과인데 임요섭(2014)은 목회자의 의식
향상 및 전환을 위한 목회자 교육과 함께 교회의 전체적인 사역의 방향이 목
회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목회자를 통하여 사역이 시작되기에 목회자 요인이
장애인선교 요인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김성원․허계형(2017)은 장애인선교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목회자의 인식과
태도에 목회자의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와 인식이 차지하는 비중을 설명한
다. 박명우(2011)는 장애인선교에 대한 중요성과 관련 연구는 많지만 실제 이
들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이 없음을 지적하고 지역 장애인선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수록 신학적 이해 및 신학교에서의 지역실정과 환경에
맞는 장애인선교 교육을 실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2.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통합예배에 있어서 목회자의 목회비전 우선시되어야하며 교회공동체에서 통


합예배로 드러나야 함을 논한다. 이에 황유미(2005)는 장애인들을 봉사나 돌봄
의 차원이 아닌 일반인과 동등한 차원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가져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교회생활을 수행함에 있어 장애인이 원하는 부서
나 기관에서 예배 및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목회적인 방침을 가지고

- 39 -
지원해야 서로를 수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져 장애인 관련
선교 교육이나 관련학과를 설치하는데 적극적인 행동을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
치는 요소이다.
남수현(2011)은 통합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교회공동체는 남녀
노소, 빈부의 차이, 계층의 차이, 문화적 차이, 신체의 차이 등 다양한 사람들
이 모여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신앙의 공동체이며 사랑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를 이해하고 장애인의 바람직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인을 위한 전반적인 환경을 바꾼다면 장애인선교인식
개선을 위한 더 많은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또한, 교회의 전반적인 완전성 회복을 위한 통합예배는 교인간의 긍정적 상
호작용이 이루어져야하는데, 개인차원에서는 장애인선교 교육방법을 학습자
중심의 적극적인 학습방법을 동원하고, 학교나 교회 차원에서는 장애인과 비
장애인이 목회자의 장애선교인식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관련학과 설치나
교육개발이라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향아 있다.
통합예배는 모두 함께 하나된 마음으로 장애인선교 인식을 하여야 하기에
자기주도적인 학습자중심으로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학습자 중심은
자기 주도적이라는 점에서 장애인 당사자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완전한 통합을 이루는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함께 각 교육부서에서 통합예배가 이루어 질 수 있도
록 예배 및 모임 등에 관한 전반적인 환경과 분위기를 쇄신하고 장애인선교의
전반적인 인식수준을 향상시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토
대로 목회적 양육을 해야 한다(이시내, 2007). 통합예배에서 일반교인이 장애
인 교인을 통해서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배우고 장애인 교인과 일
반 교인이 서로를 수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추는 노력이 이어지고(김정훈,
2018), 이외에 일반교인과 장애인 교인이 함께 생활하여 긍정적 상호작용의

- 40 -
기회를 제공한다면 장애인 교인에게도 바람직한 습관 형성이 이루어진다.
장애인선교 관련 통합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교육은 교회 목회자의 설교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교육이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신다면 장애
인선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또한, 더 나아가서 통합예배를 위
한 장애인선교 교육이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을 통해서도 동원된다면 효과적
인 목표달성을 위해 장애인선교 관련 학과 설치 필요성도 증가해야 한다. 이
러한 상황들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적극적인 행동을
촉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통합목회는 일반교인과 장애인이
함께 생활하여 장애인의 바람직한 습관을 형성하는 관점을 설교과정에 성도들
에게 주지시킨다면 통합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기에 예비목회자들은 신학과정에서 목회비전을 구상하면서 통합목회가
통합예배의 기본임을 알고 장애인들이 함께 예배드리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
고 장애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규교육을 받아야 하
며, 통합목회에 대한 이해와 통합예배에 대한 부분을 함께 이해하고 이 장애
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그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야 한다. 이에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에서는 전체적인 목회비전인 통합목회와
장애인 통합예배에 대해 서로를 배려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장애인선교관
련 교육이나 관련학과를 설치 등을 현실화시키고, 교육방법도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을 지향하는 등 포괄적인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41 -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1. 연구모형
이 연구는 아래 [그림 1]의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우선 일반적 특성 변인 집단과 주요변인인 장애인
선교 인식, 통합예배요구 수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간의 현황
과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인식의 원인변수로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으로 두 가지로 구분하
여 직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회의 장애인선교 현황에서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
주일예배 설교, 장애인 전도로 설정하였고,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관련해서는
타인의 이해와 배려, 긍정적 상호작용, 전반적 환경변화, 바람직한 습관형성
등으로 설정한다. 종속변수인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인인식 교육 여
부와 장애인선교 학과 운영,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등으로 설정한다.

- 42 -
장애인선교 인식

-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
- 주일예배 설교

- 장애인 전도
- 장애인 인식 교육 여부

- 장애인선교 학과 운영
통합예배요구 수준 - 학습자중심의 학습방법

- 타인의 이해와 배려

- 긍정적 상호작용

- 전반적 환경변화

- 바람직한 습관형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별 결혼여부, 연령, 자격증 취득 / 장애인 가족 및 친구 유무 / 장애인 대상 봉사경험

[그림 1] 연구 모형

2. 연구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들에 대한 관계를 고
려하여 장애인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예비목회자의 일반적 특성 집
단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원인변수로서 장애인선교 인식, 통합예배요구 수
준과 직접적인 영향관계로 가설을 구분한다.

- 43 -
연구가설 1. 예비목회자의 일반 특성(인구사회학적, 교회, 장애인 관계)에 따
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는 차이가 있다.
연구가설 2.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필요
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변수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 집단 간에는 일정한 부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비목회
자들이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현황과 예비목회자들의 통합예배요
구 수준이 장애인선교 교육 필요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제2절 측정도구
조작적 정의는 변수를 구체적인 연구의 방향과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개
념적인 정의를 구체적인 관찰 가능한 형태로 측정할 수 있도록 재 정의한 것
이다. 따라서 조작적 정의는 구체적인 연구의 방향과 목적을 실현하는데 중요
한 역할을 하며 측정상의 오류를 구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논문
에서는 관련변수에서 종속변수는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독립변수를 장애
인선교 인식과 장애인 통합예배요구 수준으로 선정한다. 설문문항을 측정하기
위해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사용한 조작적 정의는 다
음과 같다.

- 44 -
1. 종속변수
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유명운(2001)의 사회복지 관련 학교 커리큘럼 척
도, 김현(2002)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비교연구 척도, 김두만(2011)의 장애인
복지 사업 활성화 척도, 황재동(2018)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척도 등을 활용하
여 예비목회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문항을 수정 보완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은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을 향상을 위한 교육
이나 학과 설치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학습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에
대한 선호’로 정의하였으며 설문문항은 총 3문항으로 구성한다.

2. 독립변수
가. 장애인선교 인식
장애인선교 인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현(2002)의 교회사회복지 척도와
김두만(2011)의 목회자의 복지의식 척도와 유명운(2001)의 교회사회복지에 대
한 신학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고찰을 활용하여 예비목회자에 적용할 수 있도
록 상황에 맞게 문항을 수정 보완한다. 본 논문에서 ‘예비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은 장애인선교에 대한 교회의 일반적인 수준과 주일예배에서 설교와 장애
인대상으로 전도를 실시하는 정도’로 정의하였으며 설문문항은 총 3문항을 측
정에 사용한다.

나, 통합예배요구 수준
통합예배요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조소이(2013)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 45 -
조사 척도와 김현진(2014)의 통합교육의 교육적 요인에 대한 인식 척도, 김용
구(2015)의 장애태도요인분석 척도, 황재동(2018)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척도
등을 활용하여 예비목회자에 적용할 수 있도록 문항을 수정 보완한다. 본 논
문에서 ‘통합예배요구 수준은 장애인교인과 일반교인이 서로 이해하고 수용하
고 상호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여 분리된 환경보다 일반교인이 함께 생활하
여 장애인 교인이 바람직한 습관형성이 생길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이와 함
께 일반교인은 장애인 교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를 유지하면서 장애인 교
인을 위해 예배 및 모임 등의 전반적인 환경 등을 바꿀 수 있는 정도’로서 정
의하였으며 설문문항은 총 4문항으로 구성한다.

제3절 조사 방법
1. 표본 및 자료
가. 표본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목회자양성대학인 신학대학교와 신학대학원에 속한
예비목회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표본 선정이유는 장애인
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의 요구 수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장애인 교육과정을 설치하거나 이러한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실천적 논의가
부족함을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의 목회자로서 목회의
비전을 결정하는 예비목회자의 인식 수준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에 필요성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46 -
표본은 서울과 경기, 충남에 있는 목회자양성대학인 신학교 등에 있는 예비
목회자를 대상으로 할당 표본 추출하고 2007년 11월 19일부터 약 한달 간
650부를 설문조사하여 회수된 489부(회수율, 75.2%)를 분석에 사용한다. 이들
가운데 결측치를 포함하여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77부를 제외하고 412부를 분
석에 사용한다.

나. 설문지 구성 및 내용
설문문항을 살펴보면 종속변수인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은 장애인
인식 교육 1문항 , 장애인선교학과 운영 1문항 ,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1문
항, 총 3문항으로 측정한다. 독립변수인 장애인선교 인식은 교회의 장애인선
교 수준 1문항, 주일예배 설교 1문항, 장애인 전도 1문항 총 3문항, 또 다른
독립변수인 통합예배요구 수준은 타인의 이해와 배려 1문항, 긍정적 상호작용
1문항, 전반적 환경변화 1문항, 바람직한 습관형성 1문항 총 4문항으로 측정한
다. 전체 설문문항과 문항 수는 아래 <표 2>와 같다.

- 47 -
<표 2> 설문지 구성 내용
구분 변인명 문항수 문항번호 연구자
장애인 인식 교육 여부 1 Ⅲ-1 유명운(2001)
김현(2002)
종속 교육과정 장애인선교 학과 운영 1 Ⅲ-2 김두만(2011)
변인 개발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1 Ⅲ-3 황재동(2018)

장애인선교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 1 1-1 유명운(2001)
인식 주일예배 설교 1 1-2 김현(2002)
장애인 전도 1 1-3 김두만(2011)
독립 통합예배 교훈 1 Ⅱ-1 조소이(2013)
변인 Ⅱ-2 김현진(2014)
통합예배요 통합예배 긍정적 기회 1
김용구(2015)
구 수준 통합예배 환경 1 Ⅱ-3
황재동(2018)
통합예배 도움 1 Ⅱ-4
인구사회 성별, 결혼여부, 주변장애인여부, 4 Ⅳ 1~4 연구자 개발
학적특성 장애인봉사경험
합계 15

2.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아래 <표 3>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성별은 결측값을 제
외하고 설문에 응답한 예비목회자 가운데 남성이 256명으로 전체에서 62.1%
를 차지하고, 여성이 153명으로 전체에서 37.1%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결측값을 제외하고 설문에 응답한 예비목회자 가운데 미혼자는
277명으로 전체에서 67.2%를 차지하고, 기혼자는 129명으로 31.6%이다.

- 48 -
<표 3>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응답자 수(명) 비율(%)
남자 256 62.1
성별 여자 153 37.1
무응답 3 0.7
미혼 277 67.2
결혼여부 기혼 130 31.6
무응답 5 1.2
예 243 59.0
주변장애인여부 아니요 166 40.3
무응답 3 0.7
예 304 73.8
장애인봉사경험 아니요 105 25.5
무응답 3 0.7
전체 412 100.0
주변장애인 여부는 설문에 응답한 예비목회자 가운데 주변에 장애인 가족이
나 친지가 있는 경우가 243명 전체에서 59.0%를 차지하고, 주변에 장애인 가
족이나 친지가 없는 경우가 166명 전체에서 40.3%이다.
장애인 봉사경험은 장애인봉사 경험이 있는 경우가 304명 전체에서 73.8%
이고, 봉사경험이 없는 경우가 105명으로 전체에서 25.5%이다
표본의 대표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며, 미혼이고, 연령은 20대이며, 주
변에 가족이나 친구 중에 장애인이 있고, 장애인 봉사경험이 있는 예비목회자
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 49 -
제4장 실증 분석 및 가설 검증

제1절 분석방법

본 논문에서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수된 설문지를 SPSS version 23.0을 사


용하여 분석한다. 우선 표본의 기본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집단간 차이분석에
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 교육과정 개발, 장애인선교 인식, 통합예배요구
수준 등은 빈도분석으로 실시한다. 다음으로 가설 검증을 위해 교차분석, 차이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제2절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1. 타당성 검증
측정지표가 실제 측정 결과가 본래 측정하려 했던 이론적 개념과 부합되는
지 혹은 척도에 대해 조사 대상자의 인식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살펴보
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한다. 각 변수의 타당성에서 검증은 구성 타당도 중
판별타당도를 확보하는 주성분 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과 요인 회전 방법은 요인 간 상호 독립을 유지하는 직각회전
(Varimax Rotation) 방식을 택한다. 변수와 요인 간의 관련정도를 나타내는
요인 적재량(factor loading)은 일반적으로 단일 차원에서 요인 분석의 경우
0.5~0.6 이상이면 유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요인적재량을 고려하여 축출한

- 50 -
나머지 항목을 가지고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eigen value 1.0 이상인 경우
만 선택하여 요인 적재량 0.7이하인 변수를 제외하고 추출한 요인분석 결과는
아래에 제시한다. 요인분석을 결과 판별 및 개념 타당도를 검증한 3요인이 그
대로 추출되었다.
<표 4>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선행요인의 요인분석결과
설문문항 1요인 2요인 3요인
통합예배요구 수준 1 0.907 0.135 0.022
통합예배요구 수준 2 0.865 0.104 0.033
통합예배요구 수준 3 0.808 0.179 0.021
통합예배요구 수준4 0.772 0.215 0.086
교육과정 개발 1 0.073 0.875 -0.047
교육과정 개발 2 0.171 0.788 0.066
교육과정 개발 3 0.300 0.749 0.010
장애인선교 인식 1 0.021 -0.026 0.856
장애인선교 인식 2 0.078 -0.050 0.817
장애인선교 인식 3 0.019 0.103 0.785
아이겐값 3.623 2.007 1.476
설명분산(%) 32.936 18.247 13.415
누적분산(%) 32.936 51.183 64.597
요인추출방법:주성분분석.
회전 방법: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표 4>에서 제시된 고유값을 살펴보면 통합예배요구 수준 3.623, 교육과정
개발 2.007, 장애인선교 인식은 1.476로 요인분석한 모든 요인의 고유값이 1이
상이며 전체 설명 분산이 64.597%로 나타났다. 추출된 요인 중 요인 손실이
큰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재 정의하여 측정도구에 서술한다.

- 51 -
2. 신뢰성 검증
신뢰도 분석은 척도의 특성이 얼마나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게 반영되었는가
를 측정하는 분석이다. 논문의 항목의 구성개념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반분법
의 확장인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를 활용하여 내적일관성을 검토한
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크롬바하 알파계수는 교육과정 개발이 .700, 장애인선
교 인식 신뢰도계수가 .702,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877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
뢰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 5>는 요인별 신뢰도와 문항 수 등
을 고려하여 정리한 것이다.
<표 5> 설문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측정변수 신뢰도 문항수

교육과정의 필요성 .700 3문항 제외된 문항없음

장애인선교 인식 .702 3문항 제외된 문항없음

장애인통합예배요구 수준 .877 4문항 제외된 문항없음

제3절 가설의 검증
본 문의 목적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주요변수간의
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한다.

- 52 -
1. 상관분석
변수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상관분석 결과를 <표 6>으로 제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교육과정 개발과 장애인선교 인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교육과정 개발과 통합예
배요구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0.387, p<0.01)가 있음을
확인한다.
<표 6> 상관 분석표
평균 표준편차 1 2 3
교육과정 개발 11.162 2.119 1
장애인선교인식 1.888 .8848 0.025 1
통합예배요구수준 3.883 0.777 .387** 0.019 1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1. 교육과정 개발 2. 장애인선교 인식 3. 통합예배요구 수준

2. 집단 간 차이분석
가. 빈도분석에 따른 태도 분석
1)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태도
연구대상인 예비목회자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
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한다. 우선 아래 <표 7>을 보면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
식을 위해 학교에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질문에 그렇다(222명,

- 53 -
53.9%), 매우 그렇다(108명, 26.2%)로 약 80.1%가 매우 긍정적인 응답한다. ‘대학
(원)은 장애인선교 관련 학과를 설치하여 운영하여야 한다’는 질문에 보통이다(172
명, 41.7%), 그렇다(138명, 33.7%), 매우그렇다(50명, 12.1%) 순으로 응답하여 긍정
적인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장애인선교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이 필
요하다’는 학습방법에 대한 질문에서는 그렇다(198명, 48.5%), 보통이다(125명,
30.6%), 매우그렇다(61명, 14.8%) 순으로 응답하여 장애인선교 교육은 학습자 중심
의 학습방법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표 7>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관련 질문
(단위 : 명)
전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관련 질문 그렇지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그렇다 매우
않다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을 위해 학교 6 8 67 222 108
에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1.5) (1.9) (16.3) (53.9) (26.2)
대학(원)은 장애인선교 관련 학과를 설 13 36 172 138 50
치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3.2) (8.7) (41.7) (33.5) (12.1)
장애인선교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 5 19 125 198 61
방법이 필요하다 (1.2) (4.6) (30.3) (48.1) (14.8)
* 각 항목 중 무응답 처리와 전체 인원은 공간의 제약으로 생략
그리고, 학습자중심의 학습방법 중 좀더 구체적으로 어떤 교수방법으로 진행했
으면 좋겠냐는 질문에<표 8>는 이론+실천+사례학습 병행(172명, 41.7%)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론+실천학습병행(130명, 31.6%)이 많아 이론과 실천 및 사
례학습 병행에 대한 교수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장애인선교 교육 교수방법
(단위 : 명)

- 54 -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어떤 교수방법으로 진행되어야 N %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론학습(지식전달) 28 6.8
실천학습 31 7.5
이론 + 실천학습 병행 130 31.6
사례학습(현장) 중심 39 9.5
이론 + 실천 + 사례학습 병행 172 41.7
기타 11 2.7
무응답 1 0.2
전체 412 100.0
2) 장애인선교 인식에 대한 태도
연구대상인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한다. 우선 교회가 구체적인 장애인선교에 대한 사역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항<표 9>이다.
<표 9>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
(단위 : 명)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은? N %
매우 낮음 92 22.3
낮음 96 23.3
보통 110 26.7
조금 높음 32 7.8
매우 높음 19 4.6
무응답 63 15.3
전체 412 100.0
응답자들이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에 대한 질문에서 보통

- 55 -
(110명, 26.7%), 낮음(96명, 23.3%), 매우 낮음(92명, 22.3%) 순으로 나타나 대
체적으로 교회들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수준은 보통이하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교회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사역으로 담임 목사의 설교빈도<표
10>를 질문한다. 거의 하지 않는다(239명, 58.0%), 년 1~2회(104명, 25.2%)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교회에서 담임 목사의 장애인에 대한 설교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10> 담임목사의 주일예배 설교시 장애인에 대한 설교 빈도
(단위 : 명)
담임 목사의 주일예배 설교시 장애인에 대해 얼마나 N %
자주 설교를 합니까?
거의 하지 않는다 239 58.0
년 1~2회 이상 한다 104 25.2
특정 절기에만 한다 31 7.5
월 1회 이상 한다 20 4.9
거의 매주 한다 4 1.0
무응답 14 3.4
전체 412 100.0
그리고, 교회가 중점적으로 사역하고 있는 복음전도에 있어서 교회 주변 지
역에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전도를 하고 있는가<표 11>에 대해 질문한
결과, 하지 않고 있다(245명, 59.5%)가 가장 많았고, 보통이다(88명, 21.4%), 계
획은 있으나 실시한 적은 없다(44명, 10.7%)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회에서는
장애인 대상으로 복음전도를 거의 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들
을 보면 교회에서 장애인선교에 대한 수준과 사역 정도가 아주 낮으며 실제적
으로 장애인선교에 대한 사역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표 11> 교회의 장애인선교를 위한 장애인 지역 전도

- 56 -
(단위 : 명)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도를 하고 있는가? N %
하지 않고 있다 245 59.5
계획은 있으나 실시 한 적 없다 44 10.7
보통이다 88 21.4
잘 하고 있다 20 4.9
매우 잘 하고 있다 10 2.4
무응답 5 1.2
전체 412 100.0

3)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대한 태도
연구대상인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빈
도분석한다. <표 12>에서 보면 ‘일반교인은 장애인 교인(학생)을 통해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를 배울 수 있다’라는 질문에 그렇다
(211명, 51.2%), 매우 그렇다(124명, 30.1%), 보통이다(52명, 12.6%)라고 응답하
였고, ‘통합예배는 장애인 교인과 일반교인이 서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긍정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다’라는 질문에도 그렇다(198명, 48.1%), 매
우 그렇다(114명, 27.7%)로 많이 나타났다. ‘장애인 교인을 위하여 예배 및 모
임 등의 전반적인 환경 등을 바꿀 수 있다’라는 질문에는 그렇다(185명,
44.9%)가 많았고, 그 다음이 보통이다(117명, 28.4%), 매우그렇다(72명, 17.5%)
순으로 나타나 통합예배의 실제적인 환경 등을 바꾸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환경보다 일반교인과 함께 생활하는 것
이 장애인 교인(학생)의 바람직한 습관형성에 도움을 준다’라는 질문에는 그렇
다(190명, 46.1%), 매우 그렇다(101명, 24.5%), 보통이다(93명, 22.6%)순으로 나
타났다. 위 통계들을 보면 통합예배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응답은 긍정적임
을 알 수 있다.

- 57 -
<표 12> 교회에서의 장애인 통합예배에 관한 질문
(단위 : 명)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 통합예배 전혀 그렇지 보통 매우
태도에 관한 질문 그렇지 않다 이다 그렇다 그렇다
않다
일반교인은 장애인 교인(학생)을 통해 11 11 52 211 124
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 (2.7) (2.7) (12.6) (51.2) (30.1)
음과 태도를 배울 수 있다.
통합예배는 장애인 교인과 일반교인이 12 13 73 198 114
서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긍정적 (2.9) (3.2) (17.7) (48.1) (27.7)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인 교인을 위하여 예배 및 모임 13 23 117 185 72
등의 전반적인 환경 등을 바꿀 수 있 (3.2) (5.6) (28.4) (44.9) (17.5)
다.
분리된 환경보다 일반교인과 함께 생 11 16 93 190 101
활하는 것이 장애인 교인(학생)의 바람 (2.7) (3.9) (22.6) (46.1) (24.5)
직한 습관형성에 도움을 준다.
* 각 항목 중 무응답 처리와 전체 인원은 공간의 제약으로 생략

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수준 차이


연구대상인 예비목회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어떠한 수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다.
연구가설 1. 예비목회자의 일반 특성(인구사회학적, 교회, 장애인 관계)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는 차이가 있다.
<표 13>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교육과정개발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

- 58 -
변인 구분 교육과정 개발
평균 표준 편차
남 11.15 2.243
성별 여 11.21 1.859
t -.266
미혼 11.0 2.086
결혼 여부 기혼 11.5 2.181
t -1.979
예 11.32 2.110
주변 장애인 여부 아니오 10.92 2.117
t 1.859
예 11.27 2.034
봉사 경험 아니오 10.85 2.331
t 1.745
위 <표 13>을 보면 성별, 결혼여부, 주변장애인여부, 봉사경험을 교육과정
개발 t검증을 통한 유의성 검증결과, 결혼 여부(t=-1.979, p<0.05)를 제외한 성
별, 주변장애 여부, 봉사경험과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존재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회귀분석
이번 분석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직접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시도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
치는 살펴보고자 한다.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

- 59 -
창지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1)를 이용하여 분석한 계수 추정이 왜
곡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VIF값이 1 로 10이하로 다중공선성이 없어 회
귀식의 산포로 인한 변수 결과를 왜곡하는 변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
다.
<표 14> 회귀분석표
모델 종속변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변수 B 표준오차 t 유의확률 VIF
(상수) 2.367 0.178 13.275 0
장애인선교 인식 0.028 0.037 0.772 0.44 1
통합예배요구 수준 0.335 0.042 8.015 0 1
R  0.138
Adjusted R  0.133
F(sig) 32.548(0.000)
연구가설 2.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 예비목회자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따라 장애인선교 교육과
정 개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표 14>에서 회귀 모형의 적절성과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
며(F=32.548, p < 0.001), 장애인선교 인식(B=0.028, p=0.44)은 유의한 영향관
계가 없었으며, 통합예배요구 수준(B=0.335, p<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1) VIF  = 1 / (1 - R  )에서 VIF  는 k번째 변수의 VIF 값이며 VIF 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다중

공선성이 적어진다. 이 경우 결정계수 R  값이 0에 가깝고 이러한 결과는 입력변수 k가 다른
입력변수들과 상관성이 거의 없다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60 -
관계가 있음을 확인한다. 즉, 장애인선교 인식과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과는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높을
수록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도 증가한다. 따라서 연구가설 2는
기각하고 연구가설 3는 수용하는 결과를 확인한다.

제4절 분석결과
교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려는 시도가 교회 내외부에서 일어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선교 교과과정 설치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켜
기회비용을 줄이고 이렇게 의도된 변화를 동인 할 수 있는 직접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예비목회자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집단 간 차이분석을 통해 예비목회자들은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에서
는 낮다고 응답을 하였고, 통합예배요구 수준에서는 긍정적인 응답한다. 그리
고, 본 논문의 가설 검증 결과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과 장애인선교 교과과정
의 필요성에 대한 관련성 여부에서 확인할 결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통합예배에 대한 요구수준은 장애인교과과정 설치의 필요성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확인한다. 이러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장애인교인과 비장
애인교인이 통합된 환경에서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호 수용하면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하고, 분리된 환경보다 비장애인교인이 통합적으로 생활
함으로써 장애인 교인이 바람직한 습관을 형성하여 장애인선교 통합예배 수준
이 높아지므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증가한다. 즉, 장애인선교 통
합예배 수준이 높아지면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학
과 설치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 61 -
타났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개발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원인변수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문헌적 고찰을 통해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이나 통합예배요구 수준은
모두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연구모
형은 Weiss & Cropanzano(1996)의 정서적 사건 반응 이론(AET: Affective
Events Theory)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개인의 성격이나 기분과 같은 감
성적 심리적 반응이 개인의 사회 심리적 감정 및 정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하여 구성원이 합리적인 판단을 하여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장애인선교 인식이나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대한 심리적
반응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하는 긍정적인 감정이나 심리상태를
의미하는 자원의 역할을 하며, 이들 변인을 이용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원인
변수로 측정하였다.

- 62 -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본 연구는 예비목회자들이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을 고취하여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으로 연계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목회자양성
대학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이 교육과정으로 실제적으로 설계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목회자들의 일반적 특성에서 여성(37.1%) 보다는 남성
이 62.1%로 높았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31.6%)보다 미혼(67.2%)이 높았고,
주변에 가족이나 친구 중에 장애인이 있는(59.0%) 경우와 장애인 봉사경험이
있는(73.8%) 예비목회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예비목회자들의 주변
환경과 지역사회에 장애인이 함께 살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또한, 예비목
회자들이 장애인 대상으로 봉사한 경험에 높게 나타난 것은 그들이 장애인과
함께하는 환경에 충분히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예비목회자들이 긍정적인 환경에 있음
에도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 부족과 교회공동체 안에 장애인이 없는 현상들
로 나타났다. 예비목회자들이 응답한 장애인선교 인식 수준에서 예비목회자들
이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은 낮음과 매우낮음이 45.6%에 달
해 장애인선교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고, 구체적으로 교회에서의 담임목사
의 장애인관련 설교 빈도에서 ‘거의하지 않거나’ ‘년 1~2회 하는 정도’가
83.2%로 나타나 장애인 대한 관심 부족이 설교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도에서는 하지않고 있다가

- 63 -
59.5%(장애인부서 교회 포함)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회에서 중요하고
핵심적인 사역인 복음전도에서 조차 장애인을 전도 대상으로 보지 않아 배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회의 환경적인 요소에서 교회와 목
회자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무관심이 교회 현장에서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나
타나고 있으며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부재가 이를 부
추기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측면에서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에 대한 생각을 살펴본 결
과, 장애인선교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80.1%로 나타
났고, 장애인선교 관련 학과 설치 운영에 대한 응답(보통 41.7%, 그렇다
33.5%, 매우그렇다 12.1%)에서도 긍정적인 응답으로 나타나 장애인선교 교육
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은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인선교 교육
과정이 이루어질 경우 학습방법은 학습자중심의 학습방법에 62.9%(보통
30.3%)가 응답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회의 낮은 장애인선교 인식을 위해서는 장애인선교 이해 및 인식의 교육이
필요하고, 예비목회자들의 통합예배요구 수준의 긍정적인 결과는 목회자양성
대학에서의 장애인선교 교육을 통해 통합목회와 예배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이 교회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
다.
장애인선교 인식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상관
관계를 통해 살펴보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결과는 장애
인선교 교육 과정개발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 차원의 요인이라기보다
조직차원의 영향 요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통합예배요구 수준에서는 긍정적
인 영향(B=0.335, p<0.001)으로 나타나 예비목회자들의 통합예배요구에 대한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이는, 교회공동체 안에 있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 64 -
통합예배를 드릴 때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를 자연스럽
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이해하
고 수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 결과에서 도출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통합예
배를 드릴 수 있는 필요성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분리된 예배의 장애인부서
개념이 아니라 교회공동체로서 통합된 환경에서 함께 예배드리며, 함께 어울
려 신앙생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함께 교
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면서 보고 느끼고 배우면서 건강한 사회
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습관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
한 통합예배요구 수준의 하위요인들은 목회자양성대학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을 통해 적극적으로 교육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예비목회자들은 이를 교회
현장에서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선교 교육을 통해 장애인 전문 사
역자 양성과 장애인선교 통합예배요구 수준을 공감할 수 있도록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밝혀주고 있으며,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내용으로는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표를 정하고,
구성 체계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의 목적,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교육과정
의 평가, 그리고, 강의 계획과 예시를 통해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이를 반영할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연구의 토대를 제시하
고, 교육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개발한 학습
자 중심의 교육방법인 LePSAS 참여학습법을 소개한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참여학습법을 통해 학습자들과 함께 상호존중하며,
그들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고 해결해 가는 과정과 학습 공동체 안에서의 서로
협동하는 과정,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 등을 통해 장애인과 함께하는 통합목
회와 예배를 자연스럽게 제시하여 자신이 변하고, 교회공동체에까지 영향을

- 65 -
미쳐 교회 전체가 전인적, 총체적, 통합예배의 현장으로 변화해 가는 교육방법
이 효과적인 교육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목회자양성대학에서는 예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되므로 각 목회자양성대학은 학습자중심의
장애인선교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과정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
다.
이상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4가지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목회자양성대학의 예비목회자를 위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에서 본 시사점
예비목회자들은 각 지교회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목회자양성대학에서
목회를 준비하며 교육을 받고 있는 예비목회자들은 학교에서는 공부하는 학생
이지만, 사역하고 있는 교회에서는 각 교육부서에서 담당사역자인 리더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신들이 담당하고 있는 부서에서 예배와 설
교 그리고, 교육(공과)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때문에, 예비목회자들이 장애인선교에 대한 관심과 사역의 중요성
을 알고 부서에서 말씀과 교육(공과)을 통해 장애인과 함께하는 부서로 인식
한다면 자연스럽게 장애인을 예배현장에 흡수할 수 있으며 그들과 함께하는
통합예배를 위한 교육 방침이 세워져 인식변화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목회자양성대학은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목회비전을
세워갈 때 통합목회의 관점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예배드리는 목회를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선
교적, 재활적, 사회적, 통합적 관점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도록 성경 안
에서 장애인 이해와 장애인선교, 그리고, 장애인 사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 66 -
한, 성도들이 어떻게 참여하고 함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학습과 훈련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자연스러운 이웃사랑을 실천하고 온 성도들이 연합하여 하나 된
교회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고려한 시사점
장애인선교 교육은 철학과 심리학, 지식적인 함의와 실천적인 교과 과정이
기에 학습자 중심의 교수 방법이 요구된다.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만을 교육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리더로서의 역
량과 세계관의 변화, 교수 방법 및 사역자로서의 목회적 방침까지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최근 교육계에서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일환인 학
습자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공감과 이해 그리고,
실천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통합적인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목회자양성대학
은 예비목회자들에게 장애인선교 교육이 교수자에서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
로, 주입식교육에서 문제해결 중심 교육으로, 의존적 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
습으로 전환하여 교육과정이 행동 지향적이고 문제해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재활적, 통합적, 선교적 관점에서 고려한 시사점이다.
장애인선교는 장애인을 바라보는 재활학 관점과 함께 새패러다임이 제시된
다. 그동안의 의료적, 분리적, 복지적 관점에서 장애인선교를 이해했다면 앞으
로는 장애인선교를 사회적, 통합적, 선교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진행해야 한다.
하나님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하시는 일에 쓰임 받는 존재(요 9:3)라는 측면은
장애인을 의료적 관점에서만 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역 현장에서는 장애
인이나 비장애인이 하나님 안에서 한 인간으로, 한 형제로의 선교 대상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하나님을 믿는 사람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분리하는 측

- 67 -
면이 아니라 하나님의 관점에서의 선교적인 관점이고 재활의 관점이다. 장애
인 스스로 하나님의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이 장애인선교의 핵심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장애인선교는 장애인은 섬김의 대상이면서 섬기는 위치에 있는 동일
한 사역 대상으로 사역에 동참하도록 하는 교육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회는 장애인선교를 장애인 영혼구원과 그들의 신앙영성을 위한 전인
적, 통합적 관점으로 교회공동체와 함께 해야 한다.
교회는 복지적, 시혜적 관점에서 장애인선교를 어렵게 생각하거나 많은 재
정이 요구된다거나 전문사역자가 있어야 한다는 등의 이유로 장애인선교를 실
천하기도 전에 미리 포기해버리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선교는 아무리 멀고
힘들고 재정이 많이 든다 해도 교회는 선교명령으로 알고 한다. 장애인선교
또한 선택사항이 아닌 반드시 해야하는 의무이고 명령이기에 장애인 사역이
어렵고 힘들다 해서, 장애인이 교회에 없다고 해서 안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지역에, 우리 주변 가까이에 복음에 소외된 장애인들을 찾아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함께 예배드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하나님의 자녀로 초대하여 예
배드리고 신앙생활하게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선교는 관심이 있고 소명이 있는 성도는 누구나 할 수 있듯이 장애인선교
도 마찬가지로 누구나 할 수 있고, 또 누구나 해야 한다. 복음에 소명을 받은
사람들은 그 복음이 누구에게나 전해져야 하기에 소외된 장애인들에게도 복음
이 전해지고 함께 예배드리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
비목회자들에게 복음에 대한 열정과 누구나 소외됨 없이 장애인들에게도 복음
이 전해지도록 교육하고, 사역지의 교회 성도들에게도 이 사실을 공유하여 예
수님께서 비전선포로 하신 가난한자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하는 사명을 감당하
여야 한다.
넷째, 예비목회자의 통합목회비전 관점에서 본 시사점

- 68 -
교회공동체 자체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예배드리는 곳이기에 통합은 선
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일치와 연합을 추구해가는 공동체이어야 한다. 하지만
교회공동체 속에 장애인교인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고민해 보아야 할 현실이
다. 그러기에 교회는 선교의 대상에서 장애인이 제외되었는지, 장애인이 함께
할 수 없는 환경과 공동체는 아닌지, 장애인을 불편해 하지는 않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돌아보아야 할 시점이다. 교회와 성도들은 장애인들이 교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예배하고 신앙생활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배려해야 한다.
교회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님의 사랑이다. 이것은 장애인들도 하나님의 사
랑으로 구속사역의 대상이며, 하나님의 백성의 일부로서 교회 속에 당당하게
함께할 수 있는 자녀로서의 당연한 권리이고, 통합예배 속에 장애인과 비장애
인이 함께해야 할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교회의 큰 장점은 다양한 사람들이
한 데 모여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장애인들의 부족한 사회성을 통합예배를 통
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자원이며, 최고의 교육의 장소이다. 사회성은 장애
인의 인성과 사회성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기회이고 필요 자원이
다. 그러기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예배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현실적으로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 그러기에 예비목회자들이 장애인
선교 교육을 통해 통합예배의 관점으로 교회 목회와 선교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69 -
제2절 제언
이상의 연구를 기반으로 장애인선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선교는 교회 안에서는 복지적인 접근이 아닌 선교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교회 안에 장애인들도 자연스럽게 교회 안의 성도로서 하나님
나라의 일군이라는 관점과 한 교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예배하며 봉사하도록
통합목회의 관점에서 장애인선교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에 장애인선교는
선교관점에서 연구하여 전문인선교의 한 분야로서 장애인선교를 연구하는 것
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목회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기초연구이기에 후속연구
에는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교과목으로서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장애인선교 교육은 어느 학교도 아직 교과목으로 채택한 바 없기에 장애인선
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들이 많아져서 목회자양성대학에서도 연구 및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목회자양성대학을 통해 목회비전을 세워가거나 교육할 때, 통합목회,
통합예배의 관점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통합예배는 장애인만 잘
되라는 것이 아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한 성도로서 같은 집사, 사역자
로서 자연스런 진정한 교회공동체가 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합
목회와 통합예배의 관점을 통한 장애인선교가 연구되어지기를 바란다.
넷째, 실질적으로 교회 안에서 장애인선교 지원팀을 구성하여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어떻게 함께 잘 예배드릴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 이 장애인선교 지원팀을 통해 온전한 교회공동체가 되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 70 -
참고문헌
강준렬(2003), 국가발전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교회의 사회복
지사업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재희(2016). 21C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곽명근(2011). 통전적관점에서 본 지역사회개발선교(CHE)에 관한 연구. 장
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낙원(2001).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29~40.
권혁도(2010). 약자로 본 현대목회의 올바른 방향설정과 대안을 위한 연구.
대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강산(2012). 장애인 사역에 대한 이해와 교회적 접근 방법. 광신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호(2009). 장애인선교에 대한 현황과 방향 제시.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덕수(2009). 현장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대원 MDiv 교육과정 개정방안. 기
독교교육정보, 22, 67~102.
김두만(2011). 교회 장애인 복지 사업의 실태와 목회자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연(2018).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원 허계형(2017). 장애통합 사역 지원 요소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인식.
개혁논총, 43, 127~155.
김성희 외12인(2017).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71 -
김신실(2018). 장애인대상교회교육에 대한 목회자의 경험: 목회자의 경험을
통한 한국교회 실태와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신(2006). 한국교회의 장애인선교 현황과 선교 연구 방안. 한일장신대학
교 한일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구(2014). 장애인의 교회교육 접근성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구(2015). 기독교인(개신교)의 장애인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응도(2009). 장애인선교 연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익영(2003).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목회자상에 관한 연구.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길(2009). 한국 교회의 장애인선교방안연구: 디아코니아적 시각에서. 전
주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훈(2018). 한국교회 신앙 활성화를 위한 설교중심의 통합교육 연구. 총
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회(2003) 장애인을 위한 통합목회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종인(2013). 재활학개론. 서울: (사)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김종일(2017). 대학 특성화 교육과정 모형 연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연(2002). 장애아동의 예배통합에 관한 신학대학원생의 태도. 단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관(2017). 발달장애인의 말씀-성만찬 예전 형식의 시도.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2002). 예비목회자의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비교연구. 강남대학교

- 72 -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지(2017). 유아교사양성대학에서의 사례기반 다문화교육 교과목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진(2014). 찾아가는 장애인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이 일반교사의 통합교
육인식에 미치는 효과. 순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호경(2015).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시각장애인선교 접근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홍덕(2010). 장애신학. 서울: 대장간.
나명식(2003). 장애인선교가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운환(2008). 장애학: 통합재활적 접근. 서울:도서출판 나눔의집.
나호진(2017).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분석
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수현(2011). 21세기 지역교회의 장애인선교를 위한 목회과제 연구: 통합목
회와 제자훈련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승현(2003).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원근(2009). 소외된 자들에 대한 목회적 섬김을 통한 교회 성장. 평택대학
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도순(2011).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박명우(2011). 한국 개신교회의 장애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민선(2017).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상진(2017). 신학교육의 기독교교육모델로서 실천지향적 신학교육: 신악대학

- 73 -
원(M.Div)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49(4). 365~397.
박석돈(2004). 장애인 재활의 과정 및 프로그램.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박성식(2011). 지역교회 장애인 가족을 위한 영적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태(2006). 장애인 통합목회연구-연수제일교회사례를 중심으로-. 감리교
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숙(2010). 신학대학원생의 자아존중감, 예절수행 및 목회자 역할준비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천(2010).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적 기독교선교연구. 호서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박주현(2017).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제계열 평가기준 개발 연구. 교
육부.
박희경(2009).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세계보건기구(2012). WHO세계장애보고서(전지혜,박지영,양원태 역). 한국장애
인재단.
손원석(2011). 시각장애인과 통합적인 선교의 중요성 인식에 따른 교회의
역할-새빛맹인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신은경, 신형익, 이한나(2012).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15개 장애유형에 적용된
ICF 2단계 분류. 보건사회연구. 32(4), 490~529.
안교성(1990). 교회교육 지도자들을 위한 전문지/특집: 여름성경학교 여름수련
회; 장애인 교육-장애인은 목회의 문제이다. 교육목회, 1(170), 89~94.
안유정(2015).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사례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74 -
엄재환(2009). 한국교회내의 평신도 사역에 대한 예비 목회자들의 의식구조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만록(2010). 교육과정론, 서울: 동문사. 226.
오영환(2007). 장애인의 통합예배 참여에 대한 일반기독교인의 인식. 대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명운(2001).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신학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고찰. 강남대
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해영(2017). 한국 신학대학원생의 학습경험 유형과 특징. 기독교교육정보,
52, 163~206.
윤호종(2010). 장애인선교의 성경적 근거와 지역교회 장애인선교현황에 관
한 연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섭 배내윤 이민호(2005) 목회자 양성 대학의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개설
현황 조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4), 297~313.
이기룡(2015). 교회학교 교사교육 비교분석 및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발. 고
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남철(2017). 신앙공동체 이론의 기초에서 본 세대통합예배. 고신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용 외 4명(2017). 2017 장애통계연보-최종. 한국장애인개발원.
이시내(2006). 장애인을 위한 교회교육의 통합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오차(1998). 교회일치를 위한 예배통합.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이재환 조재훈 김해용(2015). 장애인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한국기독교신학논총 96, 219~242.
이주화(2011). 통합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소고-독일 통합교육 운영사례를

- 75 -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137~158.
이천수(2005). 장애인에 대한 신학생의 윤리의식 조사연구: 엠마누엘 레비나
스의 타자율리를 통해 본 장애인의 의미와 Y, C학교 신학생을 중심으
로 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한우, 이원령(2004). 일반인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연구. 특수교육저널: 이
론과 실천 5(1), 472~493.
이회능(2005). 장애인과 비장애인 통합교육에 관한 기독교적 접근. 기독교교육
정보 9, 113~151.
(2010). 기독교대학에서의 장애인과 비장애인 통합채플에 관한 연구: 나
사렛대학교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3, 75~101.
임요섭(2014). 한국교회의 장애인복지 실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신학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임창길(2011). 장애인을 위한 복지 전도 연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임혜진(2016).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고려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기환(2014). 장애인 복지 선교의 활성화 방안.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전지혜(2014).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사회변화와 한국 장애인선교의 방향. 선교
와 신학 34, 239~267.
정부자(2003). 장애인에 대한 교회의 역할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일웅(2010). 한국장로교회 목회자 양성 원리와 신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기독교회와 신학. 7, 121~138.
정중규(2012). 예수 그리스도의 장애인관과 교회의 장애인사업에 관한 인식

- 76 -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제지훈(2017).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신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열(2004). 선교전략으로서의 재활 상담. 지성과 창조. Issue 7. 163~210.
조소이(2013).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천권(2014). 장애인선교 활성화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그
리스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영남(2006). 교회의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예배에 대한 연구. 장로회신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석주(2008). 지역교회의 장애인복지선교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 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도숙(2012). 세대통합예배를 통한 공동체 회복에 대한 연구: 동산교회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희석(2011). 장애인 복지 선교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하은철(2013). 한국교회의 장애인을 위한 목회적 돌봄 방안 연구. 감리교신
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허계형(2010). 기독교장애유아통합교사 역량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총
신대논총 30, 366~385.
홍경희(2016). 예비 목회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
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미경(2017).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홍성수(2018).장애인선교학교 강의안. 천안밀알선교단. 1~8.

- 77 -
홍후조(2016). (알기 쉬운)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황유미(2005). 통합예배에 관한 교회학교 교육관련 전공자의 인식. 단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재동(2018). 개신교 예비목회자의 다문화 효능감 증진 방안에 대한 통합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David Bosch(2000). 변화하고 있는 선교. 김병길, 장훈태 역. 서울: CLC.
Stan Rowland(2003). Multiplying Light and Truth Through Community
Health Evangelism. 정길용 역. 서울: 이레닷컴.
University of Minnesota Human Rights Library(2006). 장애인 권리협약 선
언문. http://hrlibrary.umn.edu/index.html.
Winter, Ralph D & Hawthorne, Steven C(2000), Mission Perspectives. 정
옥배 역. 성경적, 역사적, 문화적, 전략적 관점에서 본 선교. 서울: 예수
전도단.

- 78 -
ABSTRACT
The Effect of the Church's recognition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 and the
Requirement Level for Integrated Worship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Pastoral Training College
Hong, Seong-Su
Dept. of Rehabilitation
Korea Nazarene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the mission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service o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stors of
the minis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miss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hurch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 in the
church where the pastors responded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eliminary minis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s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

- 79 -
curriculum related to the mission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can be
activated at the pastor 's training colleg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rospective
ministers and the mission development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level of the integrated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Second, And the impact of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service on the development of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population of study is pre-service pastors of pastoral training
colleges. There are 46 universities(15 in Seoul, 12 in Gyeonggi, 8 in
Chungcheong and 11 in other) that are operated by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s of 2018. There are only the department of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There are eight universities(three in Kyunggi, three in
Chungcheong and two in other) and 17 theological schools(six in Seoul,
eight in Kyonggi, two in Chungcheong and one in other) And a total of 71
universities are operating pastoral training colleges. There are more than
500 groups divided into theology, ministry, Christian education, Christian
counseling, welfare theology and Christian culture.
Two strata of universities(Presbyterian joint, integrated) and 6
universities(5 Presbyterian, 1 Holiness and 2 Chungcheong Universities
(Kosein, Nazarene Holiness) were distributed to the sample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s use questionnaires composed of the necessity of
curriculum, the recogni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s,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service, and demographic variables, which were

- 80 -
developed and r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preliminary survey fo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items were selected as the three items of
recognition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four items of integrated worship
requirement level, and five items of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s
education curriculu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SPSS 23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ministers are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pastors who have experience of disability service
when males are more married than females, married than married and
married with family members or friends.
Second,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level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necessity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curriculum.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the influence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he mission education cours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is due to the organizational influences rather than the individual
dimension.
Third, the pre-service level of the pr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tegrated worship servic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Also,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service was high.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for
pastoral ministers needs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ers to have mission

- 81 -
education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pastors to the
integrated worship demand level.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integrated
worship with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with the
vision of integrated ministry in ministry vision, ministers of ministers need
a missionary education course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ministers.
The positive and high level of demand of the prospective ministers is to
increas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non-disabled members can learn the
mind and attitude naturally to understand and care for others, and to have
a positive interaction opportunit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n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have an
overall environment for religious life and integrated worship. Finally,
worship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not a separate worship but a
worship service in a unified environment as a community of churches. By
creating an atmosphere in which people can live together in fa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form a society As a member, you need an
environment that experiences, learns, and supports and helps each other.
This implies that education for integrated worship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people is important and necessary through the educational
proces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pastor 's training college.
In conclusion, awareness of missions of the church is very low, as can
be seen from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45.6% of the pre-service pastors perceive the miss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83.2% of the senior pastors do not do the preaching of the

- 82 -
persons with disabilities. 59.5% ), It can be seen that the awareness of
mission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poor. In order to do this, it is
known that the pastor of the church and the pastor of the pastoral training
institute should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systemize and educate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mission education course so that the specialist
minister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determined by the necessity and goals of the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urpose
of rehabilitation mission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position system, the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valuation of curriculum, This course provides basic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ddition, we introduce the LePSAS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 which is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that
grasps the importance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in the
curriculum.
Through such a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 LePSAS,
mutual respect and mutual respect with learners, a process of solving and
solving problems on their own, a process of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the learning community, It is an effective way to educate people so that
they can change themselves, present themselves with worship, join hands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and change the
church community so that the church can play a holistic, holistic,
integrated worship role and grow into a healthy church in the Bible.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evelopment of

- 83 -
the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pre-service ministers' awareness of missions of the church dis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develop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issions curriculum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ith LePSAS, a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 We also lay the groundwork
for subsequent research to better develop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rehabilitation missions.

- 84 -
부록 1
설문지
교회의 장애인선교 인식과 통합예배요구 수준이
목회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십니까?
먼저 바쁘신 와중에도 귀중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
니다.

최근 장애인선교 교육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장애


인선교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에 본 연구는 목회자양성대학의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
여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본 설문지의 조사결과는 통계법 제 8조에 의거하여 익명으로 처리되므로, 개


인의 특성은 노출되지 않으며, 오직 연구를 위한 자료로만 활용될 것이므로
안전하게 보호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또한,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으면,
그 응답지는 분석할 수 없으니 모든 문항에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기를 부
탁드립니다.

귀하의 솔직하고 성의 있는 응답을 다시 한 번 더 부탁드립니다.

본 설문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연락처로 연락해 주십시


오.

감사합니다.

2018년 11월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석사과정: 홍성수
지도교수: 우주형

* 연락처 : 010-5553-7919 홍성수

- 85 -
Ⅰ. 다음은 귀하의 장애인선교 인식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의 해당란에
√표 해 주십시오.

Ⅰ-1 귀하께서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장애인선교 수준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__① 매우 낮은 수준이다 __② 낮은 수준이다 __③ 보통이다

__④ 조금 높은 수준이다 __⑤ 매우 높은 수준이다

귀하께서 사역하고 있는 교회의 담임목사는 주일예배 설교시 장애인에


Ⅰ-2
대해 얼마나 자주 설교합니까?

__① 거의 하지 않는다 __② 년 1~2회 이상 한다

__③ 특정 절기에만 한다 __④ 월 1회 이상 한다 __⑤ 거의 매주 한다

귀하께서 사역하고 있는 교회는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선교를


Ⅰ-3
위한 전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__① 하지 않고 있다 __② 계획은 있으나 실시한 적은 없다

__③ 보통이다 __④ 잘하고 있다 __⑤ 매우 잘하고 있다

- 86 -
Ⅱ. 다음은 교회에서의 장애인 통합예배요구 수준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의 해당란에 √표 해 주십시오.
① ② ③ ④ ⑤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구분
그렇지 않다 이다 그렇다
않다

일반교인은 장애인 교인(학생)을 통해서 다


Ⅱ-1 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태도를
배울 수 있다.

통합예배는 장애인 교인과 일반교인이 서로


Ⅱ-2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긍정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인 교인을 위하여 예배 및 모임 등의


Ⅱ-3
전반적인 환경 등을 바꿀 수 있다.

분리된 환경보다 일반교인과 함께 생활하는


Ⅱ-4 것이 장애인 교인(학생)의 바람직한 습관형
성에 도움을 준다.

Ⅲ. 다음은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별로


해당란에 √표 해 주십시오.
① ② ③ ④ ⑤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구분
그렇지 않다 이다 그렇다
않다

목회자의 장애인선교 인식을 위해 학교에서


Ⅲ-1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대학(원)은 장애인선교 관련 학과를 설치하여


Ⅲ-2
운영하여야 한다.

장애인선교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이


Ⅲ-3
필요하다

- 87 -
귀하께서는 어떤 교수방법으로 장애인선교 관련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Ⅲ-4
고 생각하십니까?

__① 이론학습(지식전달) __② 실천학습

__③ 이론 + 실천학습 병행 __④ 사례학습(현장) 중심


__⑤ 이론 + 실천 + 사례학습 병행 __⑥ 기타( )

귀하께서 장애인선교 관련 수업시 수강하고자하는 내용을 아래 제시된


Ⅲ-5
예에서 중요도 순으로 번호를 기재하여 주십시오

( )-( )-( )-( )-( )-( )


보 기

① 장애인 이해 ② 장애인선교의 실천

③ 장애인 복지 ④ 장애인 사역

⑤ 장애인의 성경적 이해 ⑥ 장애인 평생교육

Ⅳ. 다음은 일반사항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별로 해당란에 √표 해


주십시오.

Ⅳ-1 귀하의 성별은? __① 남 __② 여

Ⅳ-2 귀하의 결혼 여부는? __① 미혼 __② 기혼

__① 20~29세 __② 30~39세


Ⅳ-3 귀하의 연령은? __③ 40~49세 __④ 50~59세
__⑤ 60~69세 __⑥ 70세 이상

- 88 -
귀하께서는 가족, 친구 등 __① 예
Ⅳ-4 주변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__② 아니오

귀하께서는 장애인을 대상으 __① 예


Ⅳ-5 로 한 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까? __② 아니오

__① 전혀 없다
__② 거의 없다
귀하께서는 장애인선교에
Ⅳ-6 __③ 보통이다
얼마나 관심이 있습니까?
__④ 조금 관심 있다
__⑤ 매우 관심이 많다.

__① 50명 미만
귀하께서 현재 출석하고 있 __② 50명 이상 - 100명 미만
Ⅳ-7 는 교회의 교인수는 어떻게 __③ 100명 이상 – 500명 미만
되십니까? __④ 500명 이상 – 1,000명 미만
__⑤ 1,000명 이상

__① 주일학교(영유아, 유치, 초등)


__② 중ㆍ고등부
__③ 대학ㆍ청년부
귀하께서 현재 교회에서 사
__④ 중ㆍ장년부
Ⅳ-8 역하고 있는 부서는 어디입
__⑤ 노인학교(노인대상 부서)
니까?(중복 체크 가능)
__⑥ 구역 등 양육부서
__⑦ 장애인부서
__⑧ 기타( )

__① 없다
귀하께서 현재 출석하고 있
__② 10명 미만
는 교회는 장애인교인이 어
Ⅳ-9 __③ 10명 이상 – 50명 미만
느 정도입니까?(각 부서 출
__④ 50명 이상 – 100명 미만
석 장애인 교인 포함)
__⑤ 100명 이상
__① 서울특별시
귀하께서 현재 출석하고 있 __② 경기도
Ⅳ-10 는 교회는 어느 지역에 위치 __③ 충청도
하고 있습니까? __④ 전라도
__⑤ 기타( )

- 89 -
__① 없다
__② 사회복지사 자격증
귀하께서 현재 소지하고 있 __③ 재활상담사 자격증
Ⅳ-11 는 자격증은 무엇입니까?(중 __④ 상담사 자격증
복 체크 가능) __⑤ 교원자격증
__⑥ 평생교육사 자격증
__⑦ 기타( )

Ⅵ-12 귀하의 현재 소속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란에 √표 해 주십시오.

과정 학과 학년

__ 학부 __ 신학, __ 목회학, __ 1학년(학차), __ 2학년(학차),


__ 3학년(학차), __ 4학년(학차),
__ 대학원 __ 기독교교육 __ 5학차 이상

질문에 성실히 응답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90 -
[부록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1.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필요성
목회자는 목회자의 소명의식과 목회철학을 바탕으로 교회공동체와 지역사회
에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데 있으며, 이에 선도적인 리더로서 설교와 교육
과 섬김을 통해 보여줘야 한다. 이는 목회현장에서 목회자들이 어떻게 교인들
에게 설교하며 교육하는가에 따라 교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
러기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예비목회자들의 장애인선교 교육은 매우 중요하
다. 그래서, 예비목회자들이 올바른 장애인 이해와 장애인선교의 방향성, 관점
등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 기반과 태도, 실천적 요소를 지니도록 전문성을 갖
춘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며 장애인선교교육을 위한 과정과 구체적 방향이 제
시되어야 할 것이다.
대다수의 교회는 장애인을 도움의 대상으로서 시혜적, 분리적, 의료적 관점
에서 생각하기에 사회적, 통합적, 선교적 관점의 장애인선교 교육이 절실히 필
요한 시점이다. 그래서, 예비목회자들이 통합비전을 갖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예배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전인적이고 하나님나라의 개념을 통한 장애인선교와 통합적인 사역으로 자리
하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그래서, 장애인들의 장애로 인한 여러 문화적 배경과
환경을 가진 장애인들에게 차별 없는 예배와 신앙교육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편견없는 태도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이 실천 되도
록 하는 것이다.

- 91 -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표 1> 목회자양성대학에서의 LePSAP 기반 장애인선교교육 교과목 구성 체계
목적 예비 목회자로서 통합목회의 관점에서 장애인선교 교육을 수행할 수 있
는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목회의 통합비전을 갖도록 한다.
장애인선교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장애인선교 교육 제반 지식을 습
목표 득한다.
장애인선교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술을 기른다.
장애인 이해와 장애인선교 교육에 대해 공감하며 교육하는 태도를 지닌
다.
이론 실제(실천적 교육)
LePSAS 소개
장애인과 교회 장애 체험
교육 장애인 재활 및 장애학 봉사 체험
내용 성경적 이해 사랑의 훈련
장애인선교
장애이해 및 장애체험
장애인 사역 실제
LePSAP 학습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 문제해결 능력, 스스로 발견하
원리 기, 행동 지향적, 성령의 인도
교수 교수학습단계 1. LePSAP 교육 이해 2. 역할극 및 문제제시
학습 LePSAP기반 3. 그룹별 토의 학습 4. 이론 학습
학습 5. 체험 및 실천하기 6. 피드백 및 평가
방법
교수 전략 공감, 질문, 토의, 강의, 실천적 제안
교수 매체 전지, 시청각 자료, 유인물 등
양적평가: 문화적 공감, 장애인선교교육신념,
학습자 평가 목회적 역량
평가 질적평가: 토의 및 진행, 실천적 경험(봉사 등)
교수자 평가 학생들의 평가 및 피드백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저널 쓰기

- 92 -
<표 2> 장애인선교 교육 과정
구분 내용 비고
O.T LePSAS 소개
1. 통계로 본 사회와 교회의 현실
-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구와
교회안의 장애인 인구 비교
장애인과 교회 2. 장애인과 교회
- 교회안에 장애인이 없음을 인식
- 장애인이 없는 이유 토의
장애의 정의, 장애의 현실, 장애이해 이론 및 토의를 통해
장애학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 및 태도 스스로 고민하고
1. 예수님의 비전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 눅 4:18~19 예수님의 사명선언 구성하며
- 예수님의 사역 조명 장애인선교관점의
성경적 이해 2. 장애신학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
통해 교육과정 통해
- 신학을 통해 바라본 장애/장애인 장애인 사역자 배출하도
- 성경에 등장하는 장애인 조명 록 한다.
1. 장애인선교의 의미
- 선교적 의미
- 선교적 관점에서 본 장애인
장애인선교 2. 장애인과 함께하는 신앙
- 교회에서의 장애인의 역할
- 장애인들의 장점과 영향력
장애이해 및 장애체험 /장애인식개선 교육
체험 장애인 가족 및 지역사회
1. 장애인사역 비전 나눔
- 목회 비전 / 전도
- 통합교육 사례, 사랑의 훈련
2. 장애인선교지원팀 활용방안
장애인 사역 - 장애유형/특성별 지원방안
- 중증장애인 사역
3. 비전트립(국내외)
- 장애인선교 사역자 비전 나눔
- 국내외 사역현장 탐방

- 93 -
위 <표 1>은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목회자들을 위한 장애인선교 교육을
하기 위한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구성체계이고, <표 2>는 장애인선교 교육과
정이다.
위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구성체계와 교육과정 표에서 보면 참여학습법의 교
육으로 진행되어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적으로 예비목회자들이 장애인들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감하고, 장애인식개선 차원에서의 강의 내용들이다. 학
문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보다는 우리와 다른 존재, 장애환경에 있는 장애인들
을 이해하고 그들도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 교회공동체 안에 있어야 하는 존
재임을 인식시키고 목회방향에 장애인도 포함하게 하는 교육이다.
<표 2>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에서 LePSAS 소개는 강의 첫 수업부터 진행
이 되어 처음 만나는 예비목회자들과 라포 형성을 하여 분위기를 서로 공감하
는 수업, 서로 알아가는 수업으로 진행되며, 장애인과 교회에서는 현재 우리나
라의 장애인 현황과 교회에서의 장애인 현황 등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사회
와 교회 안에 장애인들이 없음을 인식하게 하여 왜 장애인들이 없는지 토의하
고 그 과정에서 문제의식과 해결점들을 찾아가게 한다.
장애학에서는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 다양한 문화와 환경에 있어서 바른 이
해는 무엇인지 장애유형별 장애인들의 특성에 대해 수업을 한다. 현실적으로
교회의 목회자와 많은 교인들은 장애인들의 이해에 있어서 많은 부분 오해하
는 부분이 많다. 장애학을 통해 장애인들의 상황과 문화 관점들을 통해 실질
적인 이해를 갖도록 한다.
성경적 이해에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하나님의 창조물이며 죄인이며 그
리고, 구원받아야 할 존재로서 전도대상이며, 하나님을 믿는 자들은 누구나 하
나님의 자녀이기에 여기에 장애인도 포함된다는 것과 예수님의 사역비전이 장
애인 사역도 포함되었음을 나누고, 성경에서 언급되고 있는 장애가 있는 사람

- 94 -
들의 신학적 의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갖도록 한
다.
장애인선교에서는 선교의 의미와 선교적 관점에서 장애인사역을 나누고 교
회와 선교,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사역의 폭을 넓히며, 교회에서의 장애인들의
역할 그들의 장점과 영향력을 나누어 장애인들이 교회에서 할 수 있는 방법들
이 있음을 안다.
장애이해 및 체험에서는 장애인들에 대해 긍정적인 이해와 공감을 갖도록
하고 장애체험을 통해 장애인들에게 편하게 케어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그리고, 장애 유형별로 그들의 특성을 알고 그들을 돕는 방법들을 나눈다.
장애인 사역에서는 실제적인 장애인선교 사역을 나누고, 교회공동체 안에서
장애인선교 사역이 목회방침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 가야 하는지 사랑의 훈련
을 통해 나눈다. 그리고, 교회가 지역에 있는 장애인들을 섬길 상황이 되었을
때 어떻게 섬기고 교회가 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나눈다. 또한, 장애인선
교 사역을 하고 있는 교회에 탐방하거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통해
비전을 듣고 각 지교회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장애인선교교육의 실제영역으로는 장애인 이해와 인식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장애체험, 봉사체험, 사랑의 훈련 등으로 실제적인 적용을 하도록 한다.

3.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현대 교육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창의성, 자기주
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
고 있다(나호진, 2017; 권성연 외, 2011).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학습자
의 능동적 참여와 구성주의 인식론에 기초하여 상황적이고 체험적, 성찰적 학

- 95 -
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개별성 존중, 자기주도적 학습, 통합
적인 경험중심,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존중의 관계로 이루어진다(권성연 외.
2011). 학습자 자신이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수업에 임하며 실제적이고 도전
적인 과제를 통해 스스로 지식을 알아가고, 통합적으로 수평적 관계에서 서로
상호 존중하는 의미로 협력하는 학습자중심교육이다.
장애인선교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활용하는 것은 장애인들
을 이해하고 그들의 문화를 공감하고 장애인 이해에 있어서 많은 오해들을 효
과적으로 풀 수 있는 학습 도구 중에 하나이다. 장애인선교 교육은 예비 목회
자들에게 장애인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교회공동체 안에서 함께 신앙생활 하도
록 하는데 있기에 예비 목회자들이 먼저 장애인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공감
능력 향상을 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중심의 교육은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에 학습자중심의 교육 중 하나인 LePSAS를 소개하고 LePSAS 교육방법을
통해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4. LePSAS 참여학습 교육
본 연구자는 2007년 지역사회개발선교회(CHE) 선교회에서 진행하는 비전트
립과 TOTⅠ 훈련과정에 참여하여 훈련을 받았다. TOTⅠ 과정에서 교육방식
을 LePSAS 참여 학습법으로 진행하여 참여한 모든 훈련생들에게 새롭게 기
쁜 마음으로 참여하며 유익한 시간을 보낸 기억이 있었다. 이 LePSAS 참여
학습법을 통해 자신감과 존중감, 자존감이 살아나는 계기가 되었고, 후에
Coaching과 연관하여 배우게 되고 많은 장애인들과 장애인선교 사역을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LePSAS 참여 학습법 교육을 장애인선교 학교에 나름대

- 96 -
로 접목하여 진행하였고 참여한 학습자들에게 좋은 호응을 받은 바 있다. 이
에 목회자양성대학에서 예비 목회자들에게 LePSAS 참여 학습법을 적용하여
장애인선교 교육과정을 통해 역량을 키우고 각 교회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LePSAS 교육은 아프리카 의학 연구 및 교육 재단(Africa MedicaJ
Research and Education Foundation)의 Roy Shaffer 박사가 “LePSA”라는 성
인교육 기법으로 최초로 개발한다. 이것은 여러 기술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하
고 주로 소그룹 토론법이다. LePSAS 교육은 학습자 중심으로(Le) 문제를 스
스로 제기하고(P), 스스로 해답을 찾고(S), 행동 지향적으로 해답을 실천하며
(A)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S) 학습법이다. 배우는 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LePSAS 교육은 현지인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세계관과 지역사회를 변화시
키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훈련 전략이다. 아래<표 3>과 같이 교육방법을 재
정리해 보았다.
<표 3> LePSAS 교육 방법
주제 내용 준비 기대감
반가운 인사, 이름부르기, 의자는 서로
눈높이, 격려, 질문 유도 마주보도록 라포형성
간단한 게임
학생들과의 만남
기록자(토의한 것들을 앞 자존감
에 나와서 기록하는 사람) 전지, 매직펜 세우기,
존경하기
문제제시, 스스로
역할극 그룹토의(원인 분석 등) 역할극 주제 및 대본 문제 해결
SHOWD 질문
주제 토의 그룹 토의, 발표 등 전지, 매직펜 내적변화
실천적 방안 적용해보기
전수하기 토의 내적변화
적용

- 97 -
5. 장애인선교 교육 강의 계획서
<표 4> 장애인선교교육 강의 계획서
과목 장애인선교 학과 OO 학년
교육
학점/이론/실습 날짜 : 년 월 일
담당교수 OOO 성적 상대평가 출석차감
평가
강의개요 및 수업목표 진도에 따라 개요 및 수업 목표 작성
수업진행방법 참여학습법(LePSAS)을 활용한 토의 및 발표
및 활용방법
학습평가방법 출석: 20% 중간: 30% 기말: 20% 과제: 20%
기타: 10%
참고문헌 차시에 해당하는 강의 참고 자료 기재
강의실/실습실 예) 101호
1 수업주제 및 내용 오리엔테이션. 자기소개
참여학습법 LePSAS에 대한 이해
2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 통계로 본 사회와 교회의 현실
3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과 교회
4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학, 장애의 정의
5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학, 장애인 관점 이해 및 유형별 이해
6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 선교–성경적 관점
7 수업주제 및 내용 성경적 이해–예수님의 비전
8 중간고사
9 수업주제 및 내용 성경적 이해–장애인 신학
10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선교 의미
11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선교–교회와 장애인
12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신개선–장애 체험
13 수업주제 및 내용 사랑의 훈련 및 비전트립(탐방)
14 수업주제 및 내용 장애인선교 비전–장애인과 함께하는 교회(통합)
15 기말고사
과제 및 참고자료 토론자료, 역할극, 관련 시청각자료

- 98 -
본 연구의 장애인선교 교육과정 개발은 장애인선교와 통합예배에 대한 이
론과 그리고, 참여학습법인 LePSAS 방법을 통해 교육 강의 계획서를 위 <표
4>와 같이 제시하는 바이다. 모두 15주 과정의 커리큘럼이며, 교회의 현실, 성
경적 장애인 이해, 선교적 관점의 장애인선교, 장애인 이해 및 체험, 교회의
장애인 선교 실천, 비전트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인 교육교재이기에 수
업에 따라 과제 및 더 연구할 내용을 첨부하여 교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업의 진도 및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래 강의
계획서 중 2주차에 대한 강의 예시만 제시하였다.

- 99 -
하나님 나라 비전
2. 장애인선교 이해(1)
목 표: 1. 장애인선교에 대한 그릇된 오해를 알게 한다.
2. 교회 안에서 장애인선교, 봉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게 한다.
훈련자 지침: 교회에서 하고 있는 봉사, 구제, 후원의 의미를 알고 좀더 연약한 자들과
함께 하도록 하는 마음으로 지도를 한다.
방법 시간 얻은 지식
Ⅰ. 역할극
A. 기쁨아, 우리도 교회에서 장애인 봉사를 해야
하지 않을까
B. 좋지 그런데 어떻게 하지? 장애인선교를 봉사 정도로만 생
C. 장애인선교단체나 복지관에 연락하면 될 것 같 각하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은데.
B. 그래 그거 좋은 생각인데, 역시 사랑이 너는 머
리가 좋단 말야!
A. 그리고 매주 토요일에 시간이 되니까 2시정도
에 하는 걸로 하자. 생각만 해도 기분 좋은데...
Ⅱ. SHO 질문
S. 무엇을 보셨습니까?(등장인물) 1. 성도
H.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2. 봉사할 곳 찾음
O. 이런 일이 우리 교회 안에도 있나요? 3. 장애인선교를 봉사 인식
10분
Ⅲ. 장애인선교의 현실(오해)? 장애인은 선교의 대상이 아닌
1. 장애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그저 장애인(수혜자의 대상으로
만 봄)
2. 장애인선교하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지금까지 장애인선교의 현주소가
장애인선교는 무엇인가? 봉사나 후원위주였음을 인식한다.
5분
Ⅳ. 그룹별 토의 1 Who: 뜻이 있는 사람, 전문가
1. 육하원칙에 근거하여 장애인선교에 대한 생각을 When: 한달에 1회, 1년에 1-2회
나누어 보자. Where: 시설, 복지관, 기관
(Who, When, Where, What, Why, How) What: 식사, 청소, 목욕, 대화
Why: 당연히, 도움을 필요로 해서
20분 How: 봉사, 후원
출처: 홍성수(2018). 장애인선교학교 강의자료. 천안밀알선교단.
[그림 1] 장애인선교 교육 강의 예시 (1)

- 100 -
하나님 나라 비전
2. 장애인선교 이해(2)
목 표: 1. 장애인선교에 대한 그릇된 오해를 알게 한다.
2. 교회 안에서 장애인선교, 봉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게 한다.
훈련자 지침: 교회에서 하고 있는 봉사, 구제, 후원의 의미를 알고 좀더 연약한 자들과
함께 하도록 하는 마음으로 지도를 한다.
방법 시간 얻은 지식
구제, 후원, 봉사 등으로만
2. 이런 관점에서 사역을 하는 교회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없는 교회
장애인사역(특수사역, 구제사역, 이웃사랑) 어렵다/할 수 없다 -
을 어떻게 할까요? - 봉사(시설, 단체)
- 후원, 헌금, 구제

3. 장애인선교에 대한 인식이 있는 교회는 어 내가


떻게 할까요? 함께
예배 / 신앙생활 같이 / 모임 참여
4. 장애인의 관점에서 봤을 때 1번과 2번의
차이는 무엇인가? 어떤 것이 더 올바르고
성경적인가?

그룹별 토의 2 믿지 않는 사람들 복음전도


함께 예배
1. 선교의 목적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자녀의 삶
영원한 삶
=> 하나님께 영광
2. 장애인 사역의 경우는 어떤가? 봉사/후원
이 선교적 관점이 있는가? 직접적인 선교 관점
출처: 홍성수(2018). 장애인선교학교 강의자료. 천안밀알선교단.
[그림 2] 장애인선교 교육 강의 예시 (2)

- 10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