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碩士學位論文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현대 다완 작품 연구

湖南大學校 社會融合大學院
産業디자인學科 産業디자인學專攻

신 미 덕
2019年 2月
碩士學位論文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현대 다완 작품 연구

湖南大學校 社會融合大學院
産業디자인學科 産業디자인學專攻

신 미 덕
2019年 2月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현대 다완 작품 연구

指導敎授: 강 성 곤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18年 11月

湖南大學校 社會融合大學院
産業디자인學科 産業디자인學專攻

신 미 덕
논 문 개 요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현대 다완 작품 연구

提 出 者 신 미 덕
指導敎授 강 성 곤

분청자기(粉靑磁器)는 14세기 중엽 발생하여 16세기 중반까지 약 200여 년간


생산되었으며 우리나라 도자기 중에서 가장 순박하고 민예적인 성격을 띠고 있
다. 고려시대 청자가 가지는 정교하고 귀족적인 느낌에서 벗어나 형태가 수더
분하고 문양에서 박진감을 볼 수 있다. 또한 아주 자유롭고 무엇에도 구애받을
것이 없는 듯 한 자유분방함을 느끼기도 한다. 전통적인 문양과 한국적인 특성
이 잘 간직되어 있으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분청자기의
가장 큰 아름다움이다.
분청자기는 쇠퇴한 고려 상감 청자로부터 출발하여 전반기에는 상감, 조화,
박지분청의 기법을 고안 발전시키다 세종대왕 치세년 동안 그 전성기를 맞는
다. 인화분청은 세조시기에 발전했으며, 15세기 후반의 성종 연간에서 16세기
전반의 중종 연간에 상감, 인화기법은 쇠퇴하고 철화, 귀얄, 담금(덤벙)기법이
성행하게 된다. 그리고 15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에 백자 중심의 관요가 성립되
어 점차 쇠퇴하다가 16세기 중엽이후 백자에 흡수되어 자연 소멸된다.
분청자기는 고려 후반부터 조선 초기 반상의 관계없이 두루 사랑을 받는 그
릇이었으나 중반이후 백자가 유행하면서 분청자기는 서민의 그릇으로 정착했
다. 분청자기는 중국에서 차가 유입되어 유행하던 시기에는 찻잔으로서 이용되

- i -
기도 하였다. 특히 다완은 말차를 마시기 위한 그릇으로 사용되었다.
차(茶)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 kuntze)의 어린잎을 재료로 해서
만든 음료 중의 하나이다. 차의 종류로는 녹차, 백차, 청차, 황차, 홍차, 흑차
가 있으며, 그 중 녹차를 이용하여 만든 차로 말차가 있다.
말차(末茶)는 차나무의 새싹이 올라올 무렵 차광막을 설치해 재배한 찻잎을
쩌서 말린 후 맷돌에 미세하게 갈아 만든 가루차이다.
말차는 차의 잎 전체를 마시기 때문에 차에 들어있는 카테킨, 카페인, 테아
닌, 다당류, 비타민 등의 모든 성분을 섭취가능하며, 또한 다완에 넣고 거품을
내어 간단하게 마시는 방법으로, 이는 말차의 장점이기도하다.
말차는 당나라부터 시작되어 송나라까지 이어져 오다 삼국시대부터 전해졌으
며, 고려시대 성행하다가 조선 중엽이후 쇠퇴했다.
귀얄기법은 풀비와 같은 식물의 줄기 또는 동물의 털 등으로 만든 붓에 백토
를 묻혀 일회적인 손놀림으로 힘 있는 생동감을 표현 할 수 있으며, 넓은 붓을
사용하여 크고 명확한 붓 자국으로 기물과 백토의 색이 대비되는 자연스러운
표현을 할 수 있다. 또한 기물 전체에 또는 일부분에 백토 분장을 하면 겉이
거의 백자와 흡사한 효과를 내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붓을 구입하고, 억새풀과
볏짚, 수숫대 등을 사용하여 직접 붓을 제작하여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다완을 제작함에 있어서 분청자기 귀얄기법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분장으로 현
대 다완을 개성 있게 제작하고자 한다.
귀얄기법의 활용은 다완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백화장토를 분장하고, 화려하
고 아름다운 다완의 제작을 위해 색화장토를 분장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이에 말차의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중화 되지 않은 말차의 보급을 위
해 말차의 다기인 다완을 연구하여 우리나라 차문화의 부흥과, 분청자기의 부
흥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기를 바란다.

- ii -
目 次

제Ⅰ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제Ⅱ장 본 론 ················································································································3

제 1 절 분청자기의 일반적 고찰 ············································································3


1. 분청자기의 시대적 배경 ····················································································3
2. 분청자기의 특징 및 종류 ··················································································3
3. 분청자기 귀얄기법의 발달 배경 ······································································7

제 2 절 차와 말차의 연구 ······················································································9
1. 차의 기원 ··············································································································9
2. 한국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 과정 ··································································10
3. 말차의 발달 배경 ······························································································17
4. 말차의 종류와 차 끓이는 법 ··········································································20

제 3 절 말차 다구와 다완의 고찰 ········································································22


1. 말차 다구의 발달 배경 및 특징 ··································································22
2. 다완의 특징과 조형성 ······················································································25

제 4 절 작품 디자인 계획 및 제작 방법 ····························································34
1. 작품 디자인 계획 ····························································································34
2. 제작 방법 ············································································································34
2. 시작품 및 설명 ··································································································39

- iii -
제Ⅲ장 결 론 ············································································································55

참고 문헌 ····················································································································57

ABSTRACT ························································································································58

- iv -
表 目 次

<표 1> 색 안료의 조합비 ······························································································35


<표 2> 투명유의 조합비 ································································································36
<표 3> 소성 온도 곡선 ··································································································38

- v -
그 림 目 次

[그림 1] 고려청자 ············································································································3


[그림 2] 분청자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 ······································································5
[그림 3] 분청자기 인화문 다완 ····················································································5
[그림 4] 분청자기 박지 모란문 호 ··············································································5
[그림 5] 분청자기 음각 어문 편병 ··············································································5
[그림 6] 분청자기 철화 풀무늬 다완 ··········································································6
[그림 7] 분청자기 귀얄문 다완 ····················································································6
[그림 8] 분청자기 덤벙 접시 ························································································6
[그림 9] 분청자기 박지 모란당초문 병 ······································································6
[그림 10]분청자기 상감 버드나무 매병 ······································································6
[그림 11] 무등산 충효동 인화분청자기 ····································································7
[그림 12] 무등산 분청자기 귀얄 어존명 고배 ························································ 7
[그림 13] 다양한 귀얄 붓 ······························································································7
[그림 14] 분청자기 ··········································································································7
[그림 15] 차나무 ··············································································································9
[그림 16] 차나무 ··············································································································9
[그림 17] 경주 안압지 토기 ························································································11
[그림 18] 단차 ················································································································12
[그림 19] 잎차 ················································································································13
[그림 20] 김홍도 전다한화 ··························································································14
[그림 21] 안중식 고사방우 ························································································14
[그림 22] 차 맷돌 ········································································································17
[그림 23] 차 맷돌 ··········································································································18
[그림 24] 말차 ················································································································21
[그림 25] 말차시 ············································································································21
[그림 26]청자 음각 앵무문 다완 ··············································································22

- vi -
[그림 27] 기자에몬이도다완 ························································································26
[그림 28] 아오이도다완 ································································································27

- vii -
< 시작품 목차 >

[시작품 1] ························································································································39
[시작품 2] ························································································································41
[시작품 3] ························································································································43
[시작품 4] ························································································································45
[시작품 5] ························································································································47
[시작품 6] ························································································································49
[시작품 7] ························································································································51
[시작품 8] ····································································································································53

- viii -
제Ⅰ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말차(末茶)1)는 찻잎을 곱게 가루 내어 다완(茶碗)2)에 넣어 격불(擊拂)3)하


여 다유(茶乳)로 마신다.
말차는 일본의 다도와 연관이 있어 일본에서 마시는 차라고 여기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말차는 중국 당나라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많은 변화를 겪으며 음용되어 오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쇠퇴했다.
현대에는 경제성장과 생활문화수준이 높아지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차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잎차로만 마셔오던 차의 형
태가 차문화 연구 기관, 국제 차문화 학술 대회, 차문화 뱍람회, 차도구 전시
회, 세미나 등을 통해 대중들이 기존 잎차와 다른 말차의 음용으로 찻잎의 성
분을 온전히 섭취가능하며, 잎차의 다구와 달리 말차의 다구가 간편하여 매력
을 느끼기 시작했다.
따라서 차도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양한 차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자는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다완의 연구 범위로 분청자기의 시


대적 배경, 분청자기의 특징 및 종류, 분청자기 귀얄기법의 발달 배경, 차의
기원, 한국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과정, 말차의 발달 배경, 말차의 종류와 차
끓이는 법, 말차 다구의 발달 배경 및 특징, 다완의 특징과 조형성을 참고문헌
과 단행본, 학위논문 등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자기와 사기는 같은 개념이므로 분청자기와 분청사기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1) 찻잎을 갈아서 가루로 만든 차


2) 찻사발
3) 차선을 빠르게 움직여 곱게 거품을 내는 것

- 1 -
사용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으로는 물레 성형과 도판 작업을 병행하여 현대 찻자리에 어울
리는 다완, 다화 병, 다식 접시, 차 통, 물 항아리, 큰 다완과 작은 나눔 다
완, 다 판 등으로 구성하여 성형하였다.
다완의 형태는 일자형의 통형과 역삼각형의 형태에 선의 변화를 주어 성형하
고, 다완의 구성은 일인용 다완, 큰 다완과 작은 나눔 다완으로 변화를 주어
구성 하였다.
귀얄문은 물결 문양 ,회오리 문양, 꽃문양, 격자 문양, 등을 자유롭고 다양
하게 표현하였다.
소지는 분청토, 옹기토, 산백토, 갈색 조형토, 등을 사용하여 성형하였고 백
화장토, 시중에 판매중인 도자용 색안료 등을 사용하여 붓, 볏짚, 수숫대, 억
새풀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귀얄문을 분장하였으며 유약은 투명유, 시노
유 등을 시유하였다.
1차 소성은 0.3루베 전기가마에서 10시간 850℃ 소성하였고, 2차 소성은 0.3
루베 전기 가마와 0.3루베 가스 가마에서 12시간동안 1250℃로 산화염과 환원
염으로 소성하였다.

- 2 -
제Ⅱ장 본 론

제 1절 분청자기의 일반적 고찰

1. 분청자기의 시대적 배경

분청사기는 쇠퇴해가는 고려 상감 청자로부터 출발하여 15세기 전반기에는


다양한 여러 기법을 고안, 발전시켜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15세기 후반에는 경
기도 광주에 백자 중심의 관요(官窯)가 성립됨에 따라 점차 쇠퇴하다가 16세기
중엽 이후 백자에 흡수됨으로써 자연 소멸되었다.4)
분청사기(粉靑沙器)라는 용어는 1930년대 한국 미술사 연구의 선각자 이신
고유섭(高裕燮)선생(1904〜1944)이 명명한 ‘분장회청사기’(紛靑灰靑沙器)의 준
말이다. 이 말의 뜻은 청자에 분(紛)을 발라 장식한 사기(조선시대에는 사기
(沙器)와 자기(磁器)를 혼용하였다)이며, 분청사기는 본질적으로 청자라 할 수
있는데, 다만 조선시대에 만들었다는 시대적 개념과 문양이 조선적이란 점을
고려하고, 특히 시문 기술이 고려청자와는 차이가 있어 총체적으로 고려청자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5)
분청사기는 14세기 중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5세기 초에는 다양한 기법
으로 발전하여 전성기를 맞는다. 특히 세종대왕의 치세년 동안이 그 전성기로
서 분청사기가 한국 도자사(陶磁史)에 매우 독특한 한 장르를 이루게 한 시기
였다.6)

2. 분청자기의 특징 및 종류

조선의 자기는 고려청자[사진1]의 귀족적인 멋과는 달리, 소박하면서도 기품


이 있는 분청사기와 깔끔하고 세련된 백자가 유행하였다. 분청사기(분청자)는
고려청자가 쇠퇴하면서 나타난 한 형태로 매우 독창적이고 한국인의 정서가 잘

4)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8.


5) 강성곤, 『생활과 도예』 (광주 : 도서출판 맥스타, 2008), p.28.
6)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25.

- 3 -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7) 분청사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친 살결에 분을 바르는 화장술은 새 맛으로 승화되어 장식 의장 이
상의 장식효과를 내고 있다는 점이다. 작위적이거나 인위적인 데가 없이 자연
스러운 신선미를 자아내어 마치 한산모시나 안동포 같은 자연스러움을 자랑한
다.
둘째. ‘대담한 과장, 대담한 생략, 대담한 왜곡’이 그 특징으로 이것은 근대
미술의 세계와도 상통하고 있다.
셋째는 전체의 생김새로서 ‘예쁘게 생긴 아름다움보다 잘생긴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 분청사기의 세계이다. 좌우대칭이나 둥근 맛을 무시하고 되는대로
빚어낸 것들이지만 억지 아름다움은 찾아볼 수 없이 자연스럽다. 다시 말하면
‘못생긴 것이 오히려 잘생긴’ 세계가 분청사기의 세계이다.
넷째는 상상의 날개가 자유스럽게 활개 친 ‘치기’의 아름다움이 곧 분청사기
의 아름다움이다. 또한 무한한 해석이 가능한 추상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단 분청사기만의 특성은 아니지만 군더더기나 잔재주가 보이지 않는 것
이 그 특색이다. 그리고 이것은 한국미술품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분청사기는
특히 가까이 뜯어보는 아름다움보다 좀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아름다움을 당장
느끼는 아름다움보다는 돌아서서 느끼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8)
분청사기는 토산공물(土産貢物)로서 중앙에 상납되었기 때문에 관사(官司)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이 많은데, 이들은 왕실과 관아에서 사용하였다. 특히
인화분청의 경우는 전국에서 분청사기 가마가 운영되었으며 때로는 소수의 백
자 제작도 겸하고 있었음이 가마터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9) 이처럼 분청
사기는 고려 시대의 사기소 성격을 띤 강진 청자 가마나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
백자 가마처럼 관요 체제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광주 충효동과 공주 학봉리
등은 15세기 대표적인 대단위 분청사기 생산 지역으로 100여 년 이상 요업활동
을 했던 곳이며, 공납 대상의 가마로서 운영되었다.10)

7) 강성곤, 『생활과 도예』 (광주 : 도서출판 맥스타, 2008), p.28.


8)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서울 : 도서출판 학고재, 2009), p.102〜103.
9) 姜敬淑, 『粉靑沙器 硏究』(一志社, 1986), p.126, 圖京 98-1 ; 국립진주박물관, 《조선, 지
방사기의 흔적-진주 . 사천 . 산청 . 하동 출토 도자기편》(2004), p. 136, 도 14.
10) 강경숙, 『韓國 陶磁史』 (서울 : 도서출판 예경, 2012), p.323.

- 4 -
충효동 가마에서 생산한 도자기에는 관사명, 지명(地名), 사기장(沙器匠),
이름, 기타 제작한 시기나 여러 필요에 따른 명칭이나 숫자를 넣어 각각의 용
도를 표시한 다양한 명문(銘文)들이 약 120여 가지가 있는데 이는 국초부터 안
정적인 국가 재정을 위해 특산물이나 물품을 공물로 받아들이는 공납(貢納)과
같은 수취(收取)제도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11) 하지만 분청자기 중 귀
얄기법의 분청자기에는 인화분청자기와 달리 명문이 나타나지 않아 서민 중심
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백토를 그릇 표면에 씌우는 백토 분장 기법(白土紛粧技
法)과 분청사기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무늬에 있다.
백토 분장 기법이란 원하는 그릇을 만든 다음에 백토로 표면을 장식하는 것
으로 장식 방법에 따라서 다음의 일곱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상감(象嵅)기법이다. 원하는 무늬를 그린 뒤 무늬 부분만 긁어내고 이
곳에 백토나 자토를 넣고 유약을 바른 뒤 구워내면 백토는 하얀 무늬로, 자토
는 까만 무늬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다른 물질을 넣어 무늬를 나타내는 방법
을 상감 기법[그림2]이라고 한다.12)
둘째, 인화(印花)기법이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하여 인화라고 했으
나 모두 꽃 모양만을 찍는 것은 아니다. 이 기법은 도장을 찍어 오목하게 들어
간 부분에 주로 백토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넓은 의미로 볼 때는 상감 기법의
범주에 속하지만, 나타나는 무늬의 효과는 일정한 도장[그림3]을 반복해서 찍
었기 때문에 추상적인 분위기를 유감없이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13)
셋째, 박지(剝地)기법이다. 백토로 분장을 하고 원하는 무늬를 그린 뒤 무늬
를 제외한 배경의 백토를 긁어내어 백색 무늬와 회색의 배경이 잘 조화된 기법
[그림4]을 말한다.
넷째, 음각(陰刻)기법이다. 또는 조화(彫花)기법이라고도 하는 이 기법은 백
토 분장을 한 후 원하는 무늬를 선으로 조각을 하면 백색 바탕에 회색의 무늬
가[그림5] 선으로 새겨지는데, 이때에 무늬는 추상화된 능숙한 솜씨를 보여 주

11) 국립광주박물관, 『무등산 분청사기』 (광주 충효동 요지(사적 제141호) 발굴조사 50주년
기념 특별전), (출판사 디자인나눔, 2013), p.196.
12)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10.
13)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11.

- 5 -
는 예 가 많다.
다섯째, 철화(鐵畵)기법이다. 백토 분장을 한 후에 철분이 많이 포함된 안료
를 사용하여 붓으로 무늬를 그리[그림6]는 기법이다. 무늬는 도식적인 것, 추
상적인 것, 회화적인 것, 익살스러운 것 등 다양하여 서민들의 생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여섯째, 귀얄기법이다. 귀얄이란 일종의 풀비와 유사한 것으로 이 도구에 백
토를 묻혀 그릇 표면을 바른다. 그러므로 일회성의 풀비[그림7] 효과는 생동적
인 운동감이 넘친다.
일곱째, 담금(덤벙) 분장기법이다. 백토 물에 그릇을 덤벙 담가 백토 분장하
므로 이 종류의 분청사기를 덤벙[그림8] 분청이라고도 한다. 이 기법은 귀얄과
같은 붓 자국이 없어서 표면이 차분하다. 백토가 두껍게 씌워지면 표면이 거의
백자와 같이 되므로 이 기법의 그릇들은 분청사기 말기에 많이 제작되었으리라
고 본다.14)
이상 일곱 종류의 분장 기법 외에 분청사기의 또 다른 특징은 무늬이다.
무늬는 대범한 모란당초[그림9], 모란, 연꽃, 풀과 꽃, 버드나무[그림10], 물
고기 같은 것이 있고 때로는 이들이 생략되거나 추상화되어 구김살 없는 표현
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표현의 기량은 구애받지 않는 자연스러움, 천진성,
소박한 순수성 등의 제작 태도에 기인하며, 바로 이 점이 분청사기를 만든 우
리 조상의 숨결이 살아 숨쉼을 느끼게 하는 요소이다.15)

14)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15〜21.


15) 강경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p.21.

- 6 -
3. 분청자기 귀얄기법의 발달 배경

15세기 후반의 성종 연간에서 16세기 전반의 중종 연간에 걸쳐 사림(士林)들


에 의한 유학 정치가 본격화되고 더욱 심화되면서, 분청자기이지만 겉이 거의
백자와 흡사한 귀얄분청자가 만들어진다.16)
표면백색화단계(表面白色化段階)의 분장은 귀얄기법과17) 덤벙 기법이다.18)
기면전체 또는 일부에 백토분장(白土粉粧)을 하고 일체의 문양을 장식하지 않
는 점에서 시문기법(施紋技法)과 구별된다. 특히 전면분장(全面紛粧)은 백자
(白磁)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들 분청사기의 제작 시기는 1470년〜1530년
경이다. 이 시기에는 왕실용(王室用)과 국용(國用)의 백자를 전담하여 제작한
관요(官窯:司饔院沙器所)가 설치되어 지방군현의 자기공납이 공식적으로 중단
되었다. 이와 함께 분청사기 제작요에서는 인 ․ 각 ․ 화(印․刻․畵) 등의
문양장식이 없는 귀얄분장과 덤벙 분장 분청사기를 백자와 함께 제작하였
다.19)
백토분장(白土粉粧)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식기법의 분청사기가 제작된 것은
왕실과 관청에서 사용된 공용자기(公用磁器)로서 분청사기의 위상변화와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사기장인호(沙器匠人戶)가 국가에 상납(上納)한 공납용(貢納
用) 분청사기의 특징은 정밀하게 시문된 인화문(印花文)[그림11]에 있다. 그러
나 세종(世宗, 재위 1418〜1450년)이 어기(御器)로 백자를 사용하고 왕실과 관
청의 백자 사용이 늘어나자 분청사기의 인화․조화․철화기법 문양장식은 귀얄
[그림12]․덤벙 기법 백토분장으로 변하였다.20)
귀얄기법은 귀얄로 그릇 표면에 백토 장식을 하는 것으로 붓[그림13] 자국의
효과만을 살린 귀얄분청사기뿐만 아니라 조화박지 분청사기[사진14]를 장식하
는데 기본이 되고, 다소 쇠퇴한 인화분청사기에 있어 간단하게 백토 분장하는

16) 윤용이, 『우리 옛 도자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10), p.69.
17) 귀얄은 식물의 줄기 또는 동물의 털 등으로 만든 붓과 같은 도구이다.
18) 덤벙분장은 백토를 물에 풀고 그릇을 담가서 분장하는 방식이다.
19) 고흥군수 박병종, 『고흥분청문화 박물관』 (컬쳐게이트(주), 2017.10),
p.207.
20) 朴敬子,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美術史學』24, 한국미
술사교육학회, 2010, p.291〜319.

- 7 -
하나의 방식이기도 하다.21)
귀얄 분청에서 나타난 선의 양상을 살펴보면 곧고 딱딱한 직선보다는 유연한
곡선을, 급격한 변화보다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미의 절정을 이루기
위해 외형이나 질감에도 신경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22)
귀얄 문양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첫째, 외형에서 오는 우아함과 소박함이며
둘째, 짜임새 있는 문양의 배치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감과 조화로움이며 셋
째, 강하지 않으나 민족성을 함축시킨 듯한 부드러운 율동을 지니고 있다는 점
이다.23)

21) 국립광주박물관, 『무등산 분청사기』 (광주 충효동 요지(사적 제141호) 발굴조사 50주년
기념 특별전), (서울 : 출판사 디자인나눔, 2013), p.103.
22) 조성일, “분청 茶碗 제작에 관한 연구 (귀얄기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1999, p.8〜9.
23) 류진원, “한국 문양의 율동적 재구성”,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9, p.10〜11.

- 8 -
제 2 절 차와 말차 연구

1. 차의 기원

차란 차나무[그림15]의 새싹이나 잎을 재료로 해서 만든 마실거리 이다. 차


나무의 학명은 Camelia sinensis (L.) O kuntze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다년 생 상록수이다.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의 동남부와 인도의 앗
셈 지방으로 알려져 있다. 차나무는 차잎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중국 소엽종,
중국 대엽종, 인도 앗셈종의 3종류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24)
우리나라와 일본의 차나무[그림16]는 모두 ‘중국 소엽종’ 으로 다 자란 경우
도 2m를 넘지 않지만, 중국 운남성에는 높이가 30m나 되는 수령이 천년에 가까
운 차나무도 있다.25)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이라는 책에 의하면 삼황(三皇)시대에 신농(神
農)이라는 황제가 있었는데 그는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방법과 함께 온갖 풀들
의 맛을 보아 이를 먹을 수 있는지 또는 독이 있거나 약으로 쓸 수 있는지를
분별하여 가르쳤다고 한다. 그러던 중 기원전 2737년 처음으로 차나무를 발견
하게 되었고 1백여 가지의 풀을 씹어 맛보다가 독초를 씹으면 차를 마셔 그 독
을 해독했다고 한다.
당(唐)나라 시대에는 육우(陸羽)가 「다경(茶經)」에서 ‘차를 오래 마시면
힘이 솟고 마음이 즐거워진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그 시대에 이미 어떤 형
태로든 차를 음용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 같은 책에서 ‘열이 나 갈증이 생
기거나, 고민이 있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눈이 깜깜하거나, 사지가 번거롭거
나, 뼈마디가 쑤실 때 차를 몇 잔만 마셔도 제호(醍醐) 감로(甘露)와 어깨를
겨룰만하다’고 했던 것으로 보아 식용이나 기호음료로는 물론 약용으로도 차를
마셨음을 알 수 있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기원전 1066년 ‘서주(西周)의 파
촉(巴蜀, 지금의 중경, 성도부근)지방에서 차를 재배했다’고 하며, 이후에는

24)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3.
25) 전남도립대학 학교기업 클레이텍, 『도자산업과 다도』 (전남 : 대상 애드, 2009),
p.85~86.

- 9 -
‘춘추전국시대(BC 722〜221)에 한족과 소수민족에 의해 차 재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차가 상품으로 선보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9년 전한(前漢)시대로 왕포(王
褒)가 쓴 노예매매계약서 「동약(僮約)」에 ‘무양(武陽)에서 차를 사온다’는
기록이 있어 이미 사천(四川) 일대의 시장에서 차가 물품으로 거래되었음을 짐
작할 수 있다. 또한 왕포는 차를 사오거나 차를 끓여 손님에게 대접하는 일을
노예의 주요 업무로 기록해 놓았다. 하지만 차는 당(唐)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널리 음용되기 시작했고, 송(宋)대에 이르러서 비로소 생활필수품이 되어 쌀,
소금과 더불어 없어서는 안 되는 주요 물품들 중 하나가 되었다.26)

2. 한국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과정

1) 삼국시대 전후의 차문화

우리나라의 차(茶)는 여러 설이 있으나 가야국 김수로왕의 부인인 허황옥(인


도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이 서기 48년(신라 유리왕 25년)에 차를 가져왔
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차는 처음에 약용, 의식용으로 시작하여 차츰 승려들과
귀족계급이 기호음료로 마시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 계층이 넓어지게 되
었다.27)
설총(薛聰)은 「차와 술로써 정신을 깨끗하게 해야 합니다 (茶酒以淸神)」라
고 신문왕(神文王, 재위 681〜692년)에게 화왕(花王)을 비유해 간하였음이『삼
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어, 차를 일상의 수양음료로 여겼음을 알 수 있고, 원
효도 굴 속 암자에서 차를 끓여 마셨다한다. 그 뿐만 아니라『삼국유사』에 의
하면, 661년 신라 문무왕 때 가야의 종묘에 시절제사를 지내는 음식으로서 떡,
밥, 과일 등과 함께 차(茶)를 사용했다고 한다.28) 상례나 제례 등의 풍습이
정착되려면 3대(代)이상 걸림을 생각할 때, 차가 많이 나는 가야에서는 적어도

26) 혜우 스님, 『알고 보면 쉬운 차』 (서울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8), p.19〜23.


27)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 p.14〜15.
28) 一然, 『三國遺事』 제2권, 駕洛國記.

- 10 -
6세기에 차를 기호음료로서 마셨으리라는 짐작이 간다.29)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선덕왕(AD 632〜647) 때부터 차가 있었다는 기
록이 있으나, 차의 재배는 신라 흥덕왕 3년(AD 828) 대렴(大廉)이 당의 문종
황제로부터 차를 대접받고 귀국 길에 차 종자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에 심
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674년에 만들어진 경주 안압지에서 회색토기[그림17]가 출토되었다. ‘언정영
(言貞榮)’ 이라는 찻잔에 작은 글씨로 ‘茶’자가 쓰여 있었다. 이는 차 생활을
통해 ‘말이 바르면 영화를 얻는다.’는 뜻으로 풀이 할 수 있다.30)
〈묵화무늬다완〉겉면에 쓰인 言, 貞, 榮 세 글자가 신라의 차 정신을 뜻한
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신라의 차 정신은 차 문화를 일찍이 정착시킨
중국의 다예(茶藝) 정신과 중국의 영향을 받아 일본이 만든 다도(茶道) 정신이
성립된 시기와 비교하여 살펴야만 한다.
일본의 차문화는 송나라로 유학을 한 에이사이(榮面) 승려가 1191년 차 종자
를 가져와 심은 것을 그 시작으로 본다. 도원(道元, 1200〜1253)이 조동종을
개창하면서 중국송나라에서 가져온《선원청규》를 토대로 하여 《영평청규永平
淸規》를 지었는데, 여기에 ‘和, 敬, 淸, 寂’을 넣었으나 이는 중국의 차정신
이라 할 수 있다.
당나라 때 백장회해(百丈懷海, 749〜814)가 선종 승려들의 선원생활 규범으
로 《선원청규》를 제정함으로써 차와 예절을 세계 최초로 정리했고, 그 후 수
단 선사가 참선과 차 생활을 하면서 깨달은 바를 ‘和, 敬, 淸, 寂’이라고 정리
한 뒤로 동양 차 문화의 본질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7세기 문무왕 시대는 차 문화가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때라서 토
기 다완에 쓰인 ‘言, 貞, 榮’을 신라인의 차 정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31)

29)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36.


30) 염 숙, 『다도학 개론』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p.223.
31)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상상의숲, 2008), p.62〜63.

- 11 -
2) 고려시대의 차문화

고려 시대는 사국 특히 신라의 차문화를 계승하여 불교와 함께 우리나라 차


문화의 전성기를 꽃피운 시기이다.
고려 시대에 차는 외국과의 교류에서 중요한 물품이었으며, 왕이 신하와 백
성들에게 하사품으로 주는 상품이었고, 부처에게 공양하는 귀한 예물이었다.
고려 초기에는 귀족중심의 차문화였으나, 무신의 난 이후 중엽부터는 선비
중심의 차문화가 꽃을 피우며 이규보, 이색, 정몽주, 이인로 등의 문장가들이
차를 즐겼다.32)
차는 국제 외교상 중요한 예물로도 사용되어 송나라에서 고려에 보낸 예물
중에 용봉차(龍鳳茶)가 들어 있었고, 고려가 원나라에 예물을 보낼 때에는 향
차 등을 넣어 보내기도 했다. 나라에서 사신을 맞을 때에도 중국 왕의 문서를
가져온 사신에게 진다의식을 갖추었고, 문서를 가져오지 않은 사신에게는 차를
베풀고 간단한 인사를 한 후 객관으로 안내했다. 이렇게 중국과의 무역에서 차
와 다기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자 귀족과 승려들은 앞 다투어 중국의 차와 다
기를 사 모으기도 했다.33)
궁중에는 차를 취급하는 관청인 다방(茶房)이 설치되었고, 사원에는 차를 재
배하고 제조하기 위한 다소촌(茶所村)이 있었으며, 저자거리에는 다점(茶店)과
여행자 숙소인 다원(茶院)이 있었다.
궁중의 의식인 왕비책봉의(王妃冊封儀), 공주하가의(公主下嫁儀), 연등회 및
팔관회 등 크고 작은 행사마다 진차례(進茶禮)를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여파
로 여염집에서도 집안에 큰 행사가 있으면 다례를 하였다고 한다. 고려인들이
마시던 차는 잎차, 말차, 단차[그림18]였는데, 이중에서 말차의 음용이 가장
성행하였다.34)

32) 염 숙, 『다도학 개론』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p.25.


33)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47.
34) 혜우 스님, 『혜우 스님의 첫눈에 반한 차茶 이야기』 (경기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18),
p.49.

- 12 -
3) 조선시대의 차 문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접빈다례란 태조 때부터 태평관, 인정전, 명륜당 등


에서 왕이나 왕세자가 중국 사신에게 공식 절차에 따라 차를 손수 대접했던 의
례를 일컫는다. 고종 때까지 빈번히 행해졌는데 세종 때는 다례를 빙자하여 술
과 성찬을 접대하는 예가 많다는 지적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조선 왕
조 518년 동안 접빈다례를 한 기록이 총 5백 70회 정도 나온다. 공식 다례는
일정에 따라 영접다례, 접견다례, 연회다례, 감사다례, 전별다례 등으로 구분
되어 행해졌으며, 왕실의 중요 의전행사에서 접빈다례는 필수적인 행사였
다.35)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 선비들의 다도문화를 이어받아 진지한 음다 생활을
했으며, 차(茶)도 맑은 다탕(茶湯, 湯茶)이 주류를 이루어, 궁중제사에도 다탕
을 썼다. 세종때 명나라 사신에게 차 3말(斗)을 하사한 것으로 보면 잎차[그림
19]가 고급차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엽의 조정과 왕실에서는 고려의 음다 풍속을 있는 한편, 사신맞이 접견다
례나 주다례를 새로이 제정하여 시행하였다. 선비다인들도 매우 많았으며 대체
로 소박한 다풍을 즐겼다. 그러나 중엽의 임진왜란 때부터 음다 문화가 급격하
게 쇠퇴하게 되어, 차의 품격도 떨어졌고 다시(茶時)나 다모(茶母) 등도 본래
의 뜻이 없어지고 형식적으로만 남게 되었다. 그런데 말엽에는 다문화가 실학
과 함께 중흥하게 되어 다산 정약용, 자하 신위, 추사 김정희, 초의 의순을 중
심으로 음다 풍습이 성하게 된다.36)
조선시대 차의 중흥을 이루어낸 초의선사는 19세 때 해남 대흥사에서 고흥
완호에게 법을 받는 한편 정약용의 문화생으로 들어가 다산초당에서 수학하였
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다서(茶書)라 할 수 있는 다신전과 동다송
을 저술하였다. 이 책에는 차의 보편적인 특성, 차의 산지 그리고 우리나라가
차 재배의 적임지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제다법(製茶法), 음다법(飮茶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37)

35)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45.
36)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173.
37)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57.

- 13 -
조선시대의 다도정신은 서산대사의 다시와 초의선사의 「동다송」, 「다신
전」 등에서 였볼 수 있다. 우선 서산대사는 그의 시에서 청허(淸虛) ․ 다선
일여(茶禪一如 ) 정신을 차와 연계하였고, 초의선사는 「동다송」29송에서 다
도정신의 중화(中和) ․ 중정(中正)을 말하였다.38)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안정복(安鼎福, 1712〜1791)의 「잡동산이(雜同散
異)」에 의하면 납채문명(納采問名:오늘날 함을 보내는 납폐)때 주부가 점다하
여 사당에 차례를 올리고 혼인하게 된 내용을 사당에 고하였다. 주인은 빈(賓:
주레)을 맞아 당(堂)에 올라가 동서로 서로 향해 읍을 하고 집사가 서함(書函)
을 들고 예물을 뜰에 나열한 후 빈과 주인은 각기 자리에 앉아 차를 받들어 마
셨다. 라고기록 되어 있다.39)
조선시대에는 전반적으로 고려 때보다는 음다풍속이 쇠퇴하였으나 문인들 중
심으로 소박하게 차를 즐기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1000편이 넘는 차에 관한 시
나 글, 또한 민요가 전해오고 있고 대한제국 시대에도 차 팔러 다니는 차장사
나 찻집이 있어 차를 사 마실 수 있었으며, 식후에는 「작살 가져 오너라」고
하여 민가에서도 즐겨 차를 마셨으므로, 우리의 다문화는 대중 속에 뿌리내려
면면히 이어져 왔다.40)
조선시대의 화가 김홍도의 전다한화(煎茶閒話)[그림20], 간송미술관 소장,
이인문 누각아집도(樓閣雅集圖)(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안중식의 고사방
우[그림21], 개인소장 등의 여러 그림에서도 조선시대의 음다 풍습을 엿볼 수
있다.

38)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53.
39) 안정복(安鼎福), 『잡동산이(雜同散異)』
40)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174.

- 14 -
4) 근대의 차문화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본국으로 수탈해가기 위하여 차밭을 만들고 근대


적인 농법을 시작하였다. 광주 무등산의 무릉다원, 정읍의 소천다원, 보성의
보성다원 등이 이 시대에 만들어졌다. 일본인이 처음 경영한 다원은 무등산의
무릉 다원이었는데, 고향인 일본 돗토리 현에서 차를 만들던 경험이 있는 오자
키 씨가 1912년부터 증심사 부근의 야생 차밭을 가꾸어 다원으로 개발했다. 안
타깝게도 우리나라 최초의 기업적 다원이 바로 이 무릉 다원이다.
이런 와중에도 강진 지역에서는 백운옥판차 및 금릉월산차 등이 우리나라 사
람에 의해 제조되고 판매되었다. 백운옥판차란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 백운동에
서 생산된 옥판차라는 의미로, 이것이 국내 최초의 제품명을 갖춘 상품용 차였
다. 이름처럼 네모지게 판형으로 찍은, 벽돌 모양의 전차(塼茶)였다.
해방 후에는 일본인들이 두고 간 차밭이 있었지만 살아가기에 급급한 형편이
어서 누구도 이를 돌보기 어려웠고, 결국 차 산업은 일시에 쇠락하고 만다.
197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생활이 조금씩 나아지고, 차문화도 서서히 제 모
습을 다시 갖추게 되었다.41)
근대로 넘어오면서 한자중심의 용어가 한글 중심의 용어로 바뀌면서 차를 표
현하는 방식도 달라지게 되었다.
茶는 다른 글자와 어울려 있을 때, (차)로도 읽히고 (다)로도 읽는다.
(1) (차)로 쓰이는 경우
① 실제의 마른 차와 마시는 차를 가리킬 때
차, 작설차, 햇차, 선차(仙茶), 동차(東茶), 산차(山茶는 동백나무를 가리
킴), 차원(茶園, 차나무 밭), 차탕(茶湯), 차향(茶香), 박차(薄茶, 맛이 나쁜
차, 자기가 대접하는 차의 낮춤말)
② 다른 독립어와 같이 만들어진 복합어일 때는 (차)이다. 특히 한자로 쓰지
않는 말과의 복합어는 예외 없이 (차)이다.
차그릇, 차도구, 찻독, 차떡, 찻방(차를 보관하는 방), 차벗, 차살림, 차세

41) 혜우 스님, 『혜우 스님의 첫눈에 반한 차茶 이야기』 (경기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18),
p.52〜53.

- 15 -
간, 차숟갈, 차솥, 차손님, 찻집, 찻잎, 찻자리 등
③ 차세간 낱낱에 쓰일 때(일반적으로 (다)로 쓰기도 한다)
찻장(茶欌), 차탁(茶托), 차반(茶盤), 차완(茶椀 ), 차합(茶盒), 찻잔, 차상

④ 궁중이나 불가의 용어가 아닌 일상적인 일 또는 사람과 관련되어 사용 할

차례(茶禮, 사회적인 행사인 다례와 구분), 차사(茶祀), 차인(茶人), 차회
(茶會) 등
(2) (다)로 쓰이는 경우
한자와 어울린 말로서 복합명사가 아닌 때 (다)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격을 높이는 뜻이 있을 때 (다)로 쓴다.
① 차를 다루는 행위 (verb+茶)
팽다(烹茶), 행다(行茶), 헌다(獻茶), 진다(進茶), 끽다(喫茶), 음다(飮茶)

② 궁중이나 불가의 용어이거나 국가적, 사회적 용어이거나 격을 높일 때
다방(茶房, 고려시대의 차 관청), 다시(茶時), 시다림(屍茶林, 죽은 이를 위
해 장례 전에 행하는 의식), 다도(茶道), 다담(茶談), 다신계(茶信契) 등
③ 차 이외의 다른 용도로도 쓰이거나 차를 직접 가리키지 않을 때, 옛글 이어
서 한문을 보기 전에는 그 뜻을 알기 어려울 때
다실(茶室), 다정(茶亭), 다천(茶泉), 다로(茶爐), 다려(茶侶, 차벗), 다갈
색, 산다(山茶, 동백나무), 다식(茶食) 등
④ 지명(地名)
다동(茶洞, 서울), 다공리(茶貢理, 경남 거제), 다로동(茶路洞, 경북 청도),
다소리(茶所理, 전남 화순), 다곡리(茶谷理, 전북 장수), 다운동(茶雲洞, 울
산) 등
⑤ 관습에 의해 이미 굳어진 말
다과(茶菓), 다반사(茶飯事), 다기(茶器), 다구(茶具) 등42)

42) 전남도립대학, 『슬로시티 한국차문화와 다도』 (전남 : 넥스트디자인, 2011), p.1〜2.

- 16 -
3. 말차의 발달 배경

중국의 황하 유역은 물이 탁하고 먼지가 많아 일찍부터 차 생활이 성행하였


다. 육우는 『다경』에서 “찻잎을 떡으로 뭉처서 말려두었다가 가루를 내고 거
기에 끓는 물을 부어서 대나무 젓가락 같은 것으로 휘저어 거품을 일으켜 마신
다” 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로 미루어 중국에선 당나라 때부터 본격적인 차 문
화가 성행하고 다도가 성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인들이 차나무를 재배하고
음용한 시기는 9세기 초인 헤이안 시대 초기로, 자생적이라기보다는 중국으로
부터의 전래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8세기 후반 승려 에이추의 영향으로 궁
정 귀족과 승려들 사이에 단다법(團茶法)이 유행했다. 한동안 차 마시는 풍속
이 퇴조하다가 14세기 중엽 차의 탕이 성립된 이래 차의 탕론이 전개되었고,
메이지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식 다도는 국민의 일상생활 문화로 자리 잡았
다.43)
당나라부터 시작되어 송나라까지 이어져 오던 말차 제다법과 음용법은 우리
나라에도 전해졌는데, 조선 초기 까지 시행되다 그 후 사라졌다. 그러나 일본
에서는 말차를 중심으로 한 다도가 성행해 말차와 그 문화가 지금껏 이어져 오
고 있다.
당나라부터 시작된 말차 제다법은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격어 왔다. 말차를
처음 마시기 시작했던 당대에는 가루의 입자가 무척 굵었으며 일단 불에 구워
덩어리로 만든 차를 필요한 만큼만 가루로 내어 솥에 넣고 끓여 마셨다. 송대
에는 말차를 맷돌[그림22]에 갈아 좀 더 미세한 분말로 만들어 지금처럼 찻잔
에 넣고 거품을 내어 마셨다.44) 현재 말차의 입자는 2〜3미크론 정도로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미세하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지 1백년이 지난 경덕왕(景德王, 742〜765)때는 신라
천 년의 역사 중 가장 안정된 시기였다. 특히 전쟁 없는 평화의 시대와 더불어
외국과의 교역으로 산업이 발전하여 문물이 풍요로웠는데, 그 영향에 따라 차
문화도 크게 발전, 차의 생산뿐만 아니라 신라 고유의 정신문화와 학문도 크게

43)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56.
44) 이진수,이진미, 『찻잎 속의 차』 (서울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8), p.146.

- 17 -
발전하였다. 특히 신라에 융성했던 불교문화와 차의 관계는 충담사와 기파랑,
월명대사 혜소, 진각국사 등 고승의 수도생활에 빼 놓을 수 없는 벗이 되었다.
한편 『삼국유사』에는 당시 신라인들이 자주 마시던 차는 말차(沫茶), 즉 잎
차를 가루로 만든 차라고 기록되어 전해지고 있다.45)
최치원이 왕의 명령을 받들어 지은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 774〜
850)의 비석 글에 의하면, 아래와 같이 생전의 인품을 설명하였는데 여기서 당
시의 음다 풍속을 짐작할 수 있다.
누가 한명(漢茗:중국차)을 주면 찻가루를 내지 않고 돌솥에 넣어 섶나무를
불 때서 삶았다. 그리고 말하기를 ‘나는 이 맛이 어떤지를 알고자 하지 않으며
그저 속(배)을 적실뿐이다‘ 라고 했다. 참된 것을 지키고 속된 것을 싫어함이
이와 같았다.
여기서 한명이란 토산차가 아닌 상류층의 외국산 고급 단차로서, 곱게 가루
내어 끓여서 탁한 유다(乳茶)로 마시는 귀한 차인데도, 혜소는 검소하게 그냥
돌솥에 넣어 끓여서 맑은 탕다(湯茶)로 마셨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당시 신라
사회의 차 끓이는 방법은 가루 내어 끓이기와 그냥 끓이기의 두 가지 방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46)
고려 6대 성종때 최승로(崔承老,927〜989)가 올린 상소문에 「왕께서 공덕재
(功德齋)를 올리기 위하여 손수 차를 갈거나 보리를 빻는다 하옵는데 성체(聖
體,왕의 몸)에 지나친 무리가 되니 신은 안타깝습니다」47)라고 하였는데, 공
덕재란 현세와 미래에 좋도록 공덕을 닦기 위해 부처께 공양드리는 것을 말한
다. 위에서 성종은 불전에 올릴 말차(末茶)를 만들기 위해 직접 단차(團茶)를
맷돌[그림23]에 갈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광종(949〜975)때부터 비롯된 것으
로 보면 다른 임금도 직접 차를 갈아 재를 올렸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48)
고려의 융성했던 차문화는 승유억불(僧柔抑佛) 정책을 택한 조선조로 접어들
면서 급격히 쇠퇴하였다. 차가 ‘불교의 상징’처럼 인식되던 시대 분위기와 더

45) 보성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50.
46)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86〜87.
47) 『동문선』 52권, 奏議,, 〈上時務書〉 최승로는 최치원의 후손으로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
반을 닦은 재상임.
48)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118.

- 18 -
불어 차문화는 당연히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차례(茶禮)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차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제사 의식에서조차 차가
밀려나고, 관혼상제에 쓰이던 차는 모두 술이나 청정수로 대체되기에 이른
다.49) 다유는 가루차(末茶)를 뜨겁게 물에 휘저어 가루와 함께 마시는 탁한
차로 고려시대에 무척 성하였으나, 점차 쇠퇴하여 조선시대에는 문인과 승려들
간에 혹은 가례(家禮)때 드물게 이어져왔다.50)
사원의 승려들과 중국에 유학을 다녀온 유학파 선비들 사이에서는 차를 마시
는 풍습이 여전히 남아 있어 차 겨루기를 하고 차시(茶詩)를 서로 나누는 등
차를 마신 발자취가 지금도 전한다.51) 김시습은〈한적하게 잠을 탐함〉이라는
시에서는 「질화로엔 향기로운 이내가 일어나고, 돌솥에선 다유(茶乳) 끓는 소
리가 나는 구나」52) 라고 하였고 〈질화로〉라는 시에서는 「산방은 맑고 고
요한데 밤은 길기도 하여 / 한가로이 등불 돋우며 흙마루에 누웠네 / 질화로
덕에 나는 더욱 넉넉하고 / 손님이 오면 또 다탕(茶湯)을 끓이네」53) 라고 하
여 조선시대에도 다유(茶乳)와 다탕(茶湯)을 마셨음을 알 수 있다.
다유는 말차의 점다시 나타난 거품의 모양을 설명한 것으로 차 거품이 희고
젖 맛이 난다 하여 고려 때와 마찬가지로 젖(乳)이나 눈(雪) 혹은 흰색 꽃에
비유하였다.「설유(雪乳)」「빙설(氷雪)의 빛」「향유(香乳)」「백화(百花)」
「법유(法乳)」라고도 하였다. 초의는 추사가 손수 끓인 뇌협(雷莢)차의 「설
유(雪乳)」를 나눠 마시기도 하였다54).

49) 혜우 스님, 『혜우 스님의 첫눈에 반한 차茶 이야기』 (경기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18),
p.50.
50)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03.
51) 혜우 스님, 『혜우 스님의 첫눈에 반한 차茶 이야기』 (경기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18),
p.51.
52) 김시습, 『매월당집』 2권, 〈閑適耽睡〉「互爐起香烟, 石鼎鳴茶乳」
53) 김시습, 『매월당집』 4권, 〈地爐〉
54)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03.

- 19 -
4. 말차의 종류와 차 끓이는 법

1) 말차의 종류

당나라 시대 떡차를 가루 내어 끓는 물에 타서 마시기 시작한 것이 말차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송나라로 넘어오면서 단차를 만들어 가루를 내어 말차
를 마셨고 현대는 해가름한 잎차를 가루 내어 말차로 음용한다.
단차(團茶, 덩이차)는 곱게 가루내어 말차(末茶)로 만들어 다유로 마시는 유
단차(乳團茶, 고급단차)와 그냥 끓여 맑은 다탕으로 마시는 떡차(餠茶)로 나눌
수 있다.
유단차는 가루내어 다유로 마시기 위해 만든 고급 덩이차이다. 대개 한식(寒
食, 식목일인 4월 5일 무렵) 전, 즉 금화전(禁火前, 혹은 火前)에 움이 튼 어
린 차싹을 따서 찌고 찧어 덩이로 만들어 말린다.
유단차는 주로 왕이 마시는 「어차(御茶)」나 국제간의 예물 혹은 하사품으
로 쓰인 고급차였으며 고려 초엽의 토산차인 뇌원차(腦原茶)도 유단차에 속한
다.55) 뇌원차는 기록상으로 989년부터 1049년까지 있었던 어용단차(御用團茶)
이다. 1038년에 고려가 거란에 뇌원차를 예물로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중국 여
러 문헌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뇌원차는 주로 고려 초기에 쓰였던 토산차였
다.56)
신하가 사망했을 때 왕이 애도하며 곡식, 포(布) 등과 함께 뇌원차를 하사하
였는데, 뇌원차는 아주 이른 봄의 움싹차를 따서 찐 후 찧어 덩어리로 만든 고
급차로 가루를 곱게 내어 다유(茶乳)로 마시는 유단차이다.57)

2) 말차의 차 끓이는 법

가루차(末茶)의 점다(點茶)

55)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135.


56) 李崇寧,『韓國茶의 文獻學的 硏究』松汀 李庭林 선생 고희기념논총, (서울대학교 출판사,
1882), p.219.
57)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139.

- 20 -
가루차(말차)[그림24]를 다유(茶乳)로 만드는 점다법은 『다경』에서 볼 수
있듯이 물이 끓는 탕관에 가루차를 넣어 휘저어 끓여 차구기로 떠서 마시는 방
법과, 큰 찻잔(차사발) 속에 가루차를 넣고 탕수를 부은 다음 차 솔로써 휘저
어 마시는 방법이 있다.58)
차사발에 가루차를 넣고 휘저어 마신 경우는 이익(李瀷, 1681〜1763)의 『성
호사설』〈다식〉에서 「차는 애초에 달여서 탕으로 먹었는데 가례(家禮)에서
쓰는 점다는 찻가루(茶末)를 잔속에 넣고 탕수로 적시어 차솔(茶筅:다선)로 휘
젓는 것이다. 지금의 일본차가 모두 이와 같다」라고 하여, 당시에 그러한 음
다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차사발에 점다하는 차솔을 사용했다는 기록은 16세기의 『귀봉집(龜峰集)』
과 『가례고증(家禮考證)』『가례증해』 등에서 볼 수 있다.59)

차 끓이는 법
(1) 표자로 더운 탕수를 떠서 다완을 예열하고 차선도 부드럽고 깨끗하게 헹궈
준다.
(2) 차통을 들어 뚜껑을 열고 차시[그림25]를 들어 말차를 떠서 다완에 넣는
다. 차시에 묻은 말차는 다완 안쪽 면에 가볍게 턴다.
(3) 표자로 더운 탕수를 떠서 다완에 살며시 따른다.
(4) 차선을 들어 말차덩이를 부수면서 거품을 부드럽게 낸다. 이때 차선을 세
우고 어깨와 팔에 힘을 주지 않고 손목으로 가볍고 빠르게 아래 위 왼쪽과 오
른쪽을 고루 부드럽게 치듯이 휘저어 유화가 잘 일도록 만든다.
(5) 너무 오래 휘저으면 맛과 향이 떨어진다. 유화와 유탕이 고루 되면 차선을
뗀다.

58)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19.


59)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20.

- 21 -
제 3 절 말차 다구와 다완의 고찰

1. 말차 다구의 발달 배경 및 특징

찻그릇은 처음부터 차를 담는 그릇으로 쓰임새가 정해졌고, 지금까지 그렇게


사용되고 있다. 차는 신(神)들에게 제사하기 위해 선택된 음식의 한 종류였고
찻그릇은 신에게 올리는 음식을 담는 그릇 이었다.60)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는 「고려인들은 차 마시기를 매우 좋아
하여 다구를 더욱 잘 만드는데 금꽃이 있는 검은잔(金花烏盞), 청자 작은 찻잔
(翡色小甌), 은화로(銀爐), 세발 차솥(湯鼎)등이다.」라고 하며 그릇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61)
고려의 찻잔은 완(碗) 및 잔(盞)이 있다. 고려 다완의 으뜸은 청자 다완[그
림26]이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나오는 비색소구(翡色小具)의 비색이 바로
청자 다완의 빛깔이라 생각된다. 고려인들은 이 비색을 매우 귀하게 여겼으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형태의 다기를 공다나 진다의식에 많이 사용한 점은 도자기
기술의 발전과 무관하지 않다. 마시는 차의 종류에 따라 형태와 빛깔과 재료를
달리했던 고려인의 도자기술은 세계에서도 제일가는 고려청자와 같은 예술품을
만들어 냈다.62)
그러한 다구들이 우리에게는 얼마든지 흔했던 일상의 생활도구였기 때문에
그것을 귀하다고 생각하지 못했다. 그래서 이것이 다서 가운데에서 중요시되지
않았고, 글로 남아 있는 것은 그다지 없다. 이규보(李奎報)나 이인로(李仁老),
이곡(李穀), 김극기(金克己) 등의 다시 속에 다마(茶磨)와 앵구(甇甌), 정
(鼎), 철병(鐵甁) 등 용어가 전해진다. 그러나 그것도 다구 자체를 예찬한 것
은 다마시(茶磨詩)를 빼놓고는 보기 힘들다. 여기에 몇 가지 문헌과 시구(時
句)를 인용해 본다.
삼국유사 경덕왕(景德王) 충담사(忠談師) 표훈대덕(表訓大德) 조에 茶之氣味
異常 甌中異香郁㤠(다지기미이상 구중이향욱열) 이라고 하여 다구가 나온다.

60) 정동주,『우리 시대 찻그릇은 무었인가?』 (서울 : 다른세상, 2005), p.42.


61) 『고려도경』 제32권, 器皿 3.
62) 보성군,『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p.48.

- 22 -
이규보는 다시도 많이 남겼지만 가장 많은 다구들이 나온다. ‘得南人所餉 鐵
甁試茶(득남인소향 철병시차)’ 라는 시에서 전로(塼爐)가 나온다. 塼爐活火試
自煎(전로활화시자전)이 그것이다. 여기서는 철병과 전로 등 2개의 다구가 나
온다.
이어 유다시(孺茶詩)에서는 手點花瓷誇色味(수점화자과색미)라 하여 자기가
언급된다. 이것은 다완을 말한 것이다. 또 같은 시에서 愛廳笙聲號鼎裏(애청생
성호정리)라 해서 다정(茶鼎)이 나온다. 앞에 철병과 다정은 모두 물 끓이는데
쓴 것이다. 사인증다마(謝人贈茶磨)라 해서 시제(詩題)에만 언급된 다구도 있
다.
이인로도 다마(茶磨)라는 시를 남겼으나 시구에는 말이 없다. 이때까지는 다
연(茶碾)이 아닌 다마로 차를 갈았다고 보아진다.
이규보의 방엄사(訪嚴師) 시에 一甌冣一話(일구취일화) 라 하여 다구(茶甌)
라 언급되는데 다완(茶碗)이란 표현은 보이지 않는다
이제현(李齊賢)도 ‘松廣和尙寄惠新茗(송광화상기혜신명)’ 시에서 眩轉瓷甌乳
花吐(현전자구유화토)라고 다구를 이야기했다.
그러나 이숭인(李崇仁)은 香浮石椀洗葷羶(향부석완세훈형) 이라 해서 처음으
로 다완을 노래에 인용하고 있다. 이숭인은 이 밖에 松風和雨出茶甁(송풍화우
출다병)이라 하여 차병(물끓이는 주전자)을 말했으나 이것은 이규보가 철병을
말한 것과 같을 것이다. 송광사의 제2세주 진각 혜심(眞覺 惠諶)은 비잠(鼻箴)
속에서 鐺中煎綠茗(쟁중전녹명)이라고 다쟁을 말했는데, 쟁은 솥이다.
이에 대해 원감(圓鑑)국사는 水一缾茶一銚(수일병다일요) 라 해서 다요(茶銚)
를 말했다. 요는 남비인데 역시 작은 가마솥을 뜻한 듯하다.
다음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다신전」의 기록이 있으므로 이것을 살펴본다.
「다신전」에서는 표(瓢)와 잔(盞) ․ 식잔포(拭盞布) ․ 호(壺) ․ 관(罐)
․ 완(碗) ․ 저수옹(貯水甕) 등이 나온다. 표와 관은 다같이 물 끓이는 기구
다. 호는 차를 우리는 주자(注子)로 보면 되겠다. 식잔포는 행주를 말한다.63)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제자 한재 이목(寒齋 李穆, 1471〜1498)이 지은 우리
나라 유일의 창작 다론 다부(茶賦)에서, 다부의 세 번째 항목인 ‘전다칠수(煎

63) 최계원, 『우리 茶의 재조명』 (경기 : 도서출판 차와 사람, 2007), p.259〜261.

- 23 -
茶七修차 달이기와 마시기)’의 첫 문장이다.
搴玉甌而自濯煎石泉而旁觀
搴(건)은 ‘끄집어내다’. ‘빼내다’는 뜻을 지녔다. 玉甌(옥구)는 흰 사발이
다. 甌(구)는 사발, 즉 완(盌)의 이름이다. 그리고 自濯(자탁)은 ‘손수 씻는
다’는 것이다. “흰 사발 꺼내 손수 씻어 놓고 바위틈에서 나온 샘물 끓는 모습
바라보네.”라는 이 구절에서 두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영남 사림학파 선비들은 차를 마시기 위해 차 사발을 손수 씻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차를 마실 때 사발, 즉 완을 썼다는 것이다.64)

1) 다완(茶碗)
다완은 찻사발이라 하며, 말차를 만들어 마실 때 쓰이는 찻그릇으로 도자기
로 된 재질이 가장 많다. 나무, 옥, 철, 돌 등 다양한 재질의 다완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다탕을 마시는 잔과 다유를 마시는 잔의 명칭을 구분하지 않았
다. 단지 완(椀)은 일상적으로 쓰이는 찻잔을 뜻하였고, 구(甌)는 의례용이거
나 소중한 찻잔을 의미하였다.65)
완은 고려 때뿐만 아니라 조선 초엽까지 「椀」이외에는 쓰이지 않았으나 임
진왜란 때인 16세기경부터 간혹「碗」「盌」또는「琬」이 쓰여 외국의 茶문화
를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66)

2) 말차시(末茶匙)
말차를 차 통에서 떠서 다완에 넣을 때 사용하는 찻숟가락이다. 대나무, 나
무, 은, 상아, 옥 등의 재질로 된 제품이 있으며, 대나무 재질의 제품을 가장
많이 사용 한다
3) 차선(茶.筅)
차선은 다완에 말차를 넣고 더운 물을 부어 부드러운 거품을 만드는데 사용

64)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 상상의숲, 2008), p.149〜
150.
65)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22.
66)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22.

- 24 -
하는 차 솔로 대나무 재질이 많다.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만드는 것으로, 쪼
개진 선의 수에 따라 60선〜200선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다. 보통 80선〜120선
의 제품을 선호한다.
4) 말차 호(末茶壺), 차 통, 차 합
말차를 담는 용기로서 항아리, 통, 합의 형태로 만든 것이 있다. 용기의 재
질은 도자기, 칠기, 은, 주석 등이 있으며, 도자기나 칠기의 제품을 많이 사용
한다.
5) 표자(瓢子)
표자는 물 항아리에서 물을 떠 솥에 붓거나, 물이 끓는 솥에서 물을 떠 다완
에 옮기는데 쓰는 도구이다. 조롱박이나 대나무로 된 제품을 많이 사용 한다
6) 차선꽂이
사용한 차선의 모양이 본래의 모양대로 흐트러지지 않고 잘 마르도록 꽂아두
는 다구이다. 재질은 도자기, 나무 등이 있지만 도자기로 된 제품을 많이 사용
한다.
7) 물 항아리
차 끓일 물을 담아두는 물 항아리이며, 재질은 도자기, 유리, 칠기 등이 있
으며 도자기로 만든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

2. 다완의 특징과 조형성

가루차를 마실 때 쓰이는 사기(沙器)로 된 발(鉢)을 찻사발 또는 다완(茶碗)


이라 한다. 발은 몸통보다 입이 좀 더 큰 그릇으로, 나무로 된 목발, 사기로
된 사발, 철로 된 철발 등이 있다. 발은 쓰임새가 다양하다. 물을 마시고, 밥
을 먹고, 무엇을 담아 놓기도 하지만 마시거나 먹는 것에 가장 많이 쓰인다.
이 시대에 가장 많이 쓰고 있는 가루차 그릇은 사기로 된 찻사발이다. 이것
은 다른 그릇에 비해 쓰임새가 좋고 종류의 다양성으로 인해 선택의 폭이 넓으
며 찻물에 의해 변해가는 모습은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67)
통 모양의 다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신석기 시대에 만들어진, 굽 높이

67)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 p.66〜67.

- 25 -
가 몸통의 절반가량 차지하는 〈토기굽다리완〉이라고 알려져 있다.68)
완의 기본 형태인 통(筒) 모양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이어져 3〜4세기에
제작된 신라의 토기완 모양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백자통완〉69)
고려시대의 다구는 팔관회, 연등회, 공덕제, 기우제 및 왕과 신하의 회의,
연회, 사신 맞이, 책봉의식을 포함한 왕실의 행사 등의 중대한 국가행사 때에
의례로서 차를 올리거나 마셨으므로 그에 따르는 제반 다구는 어떤 그릇보다도
중요하였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다구는 최고의 품질과 멋을 지녔고 귀족적이며
몹시 아름다웠다.70)
문인들은 가끔 다구(茶甌)에 차를 담아 마셨다. 김시습은 「맛좋은 햇 차가
옥구(玉甌)에 가득 하네」라 했고, 김종직의 문인인 조위(曺偉, 1454〜1503)는
탕관에 말차(雪乳:눈같은 다유)를 끓여 화구(花甌)에 부어 마시었다. 허균은
구에 반잔(半盞)의 차를 따르고 향 한 대를 피웠으며 은으로 만든 다구(銀甌)
도 썼다. 조선 말엽에는 다산과 신위도 다구(茶甌)를 즐겨 썼는데, 다산은 삼
월 삼짇날 친구들과 대나무밭 속에서 다구에 차를 마셨다.71)
오늘날 일본이 자랑하는 열점의 국보 다완 중에서 한 점은 한국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기자에몬이도다완〉[사진27]이 그것이다. 이것은 오사카에 사는
기자에몬이란 무역업자가 히데요시를 찾아가 바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72)
1578년 10월 15일, 노부나가는 전 일본의 다이묘를 교토의 야부노이치 숲으
로 초대했다. 이른바 ‘야부노이치종화차회’ 에는 센노 리큐73)도 참석했다. 이
차회에서 그는 훌륭한 다완을 몇몇 상징성이 큰 다이묘들에게 선물했으며, 충
성 서약을 받아 냈다. 이날 센노 리규는 그 다완들을 ‘이도다완’ 이란 이름을
붙였고, 그때부터 ‘고려다완’ 으로 총칭되던 다완들과 이도다완은 구별이 되었
다.74)
16세기 중반 조선의 경상도 남쪽 해안지방에서 만들어진 수수께끼의 그릇 수

68)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 상상의숲, 2008), p.115.
69)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 상상의숲, 2008), p.115.
70) 김숙희, “정호다완에 관한 연구(우리민족의 茶문화와 정호다완의 연관성에 관해서)”, 석사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03.
71) 鄭英善,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p.225.
72)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 상상의숲, 2008), p.198.
73) 일본에서 다조라 부르며, 일본다도를 정립한 인물
74) 정동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상상의숲, 2008), p.196.

- 26 -
십 점이 있다. 이 그릇들을 일본차인(茶人)들은 ‘이도차완’(井戶茶碗)이라 부
르면서 진귀하게 여겨 일본 제일급 보물로 받들고 있다.
그 중에서 한 점은 현재 교토(京都) 다이도쿠샤(大德寺) 고호안(孤蓬庵)에
모셔져 조선도예품이 지닌 영원불멸의 신비와 명예를 더하고 있다. 이 그릇의
이름은 ‘기자에몬이도’ 다. 일본 차인들은 죽기 전에 이 이도차완을 한번 참배
하는 것이 소원이라고 한다.75) 이도차완을 참배한 세계적인 동양미술학자 야
나기 무네요시(柳悰㤠, 1889〜1961)가 남긴 짧은 글은 이 그릇에 헌정된 최고
의 문장으로 널리 칭송받는다.
이렇듯 극찬 받는 그릇을 우리는 ‘막사발’이라 부른다. 이것을 만든 조선에
서의 쓰임새와 일본에서의 쓰임새가 다른 데서 이름도 달라졌다. 막사발을 ‘이
도차완’[그림28]이라 부른 일본에서 이 그릇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00년 이후였다.76)
아름답고 기능이 좋은 다구를 소중하게 쓰고 귀하게 여기는 것을 차인은 기
본적으로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 만들어진 다구를 볼 수 있는 안목과
선택된 다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행다77)는 모든 공예의 미(美)를 표현하는 종합예술이고 멋이다. 예술에 아
름다움이 없다면 그것은 예술이 아니다. 진정한 미(美)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모든 기물이 추해서는 안 된다.78)
미(美)가 결여된 다구는 차 생활에 쓰일 수 없고 차인은 좋은 찻그릇을 선택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안으로 깊이 보는 심미안(審美眼)이 있어야 하고 날
카로운 직관으로 아름다움을 찾는 탐구력이 있어야 한다. 다구를 제작하는 장
인들도 그것들에 미를 부여하고 행다의 기능적인 요소가 부합되도록 많은 노력
을 해야 한다.79)
찻사발80)의 조형적 아름다움은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아무리 기능이나
색상이 좋다고 해도 조형미가 없으면 찻사발로 쓸 수가 없다. 일반적인 밥그릇

75) 정동주, 『조선 막사발 천년의 비밀』 (서울 : 한길아트, 2001), p.11.
76) 정동주, 『조선 막사발 천년의 비밀』 (서울 : 한길아트, 2001), p.11〜12.
77) 차를 우려 마시는 모든 일
78)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 p.21.
79)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 p.33〜35.
80) 다완 茶碗

- 27 -
이나 국그릇이 찻사발로 쓰이지 못하는 것도 조형적 아름다움이 없기 때문이
다.
사발의 조형은 전에서 어깨로 내려오는 선(線)이 우주의 기운을 받아들일 수
있게 안정적이어야 하고 배와 허리는 충만한 힘과 멋스러움이 있어야 한다. 그
선은 다시 굽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굽은 찻사발과 그것의 모든 것을 안전
하게 받혀줄 수 있도록 균형 잡혀 있어야 한다.
또한 찻사발의 허리 아래가 좁으면 내부의 차선(茶筅) 닿는 자리가 좁아져,
가루차를 넣고 차선으로 격불81)을 할 때 불편하며 찻사발의 형태미도 없고 당
당함도 없게 된다. 또 형태미가 있는 것은 두 손으로 잡았을 때도 잡히는 느낌
이 좋고 쓰기에도 대부분 편하다.82)
좋은 찻그릇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찻사발은 조형미가 있어야 하고 손으로
잡았을 때 안정감이 있어야 하며 촉감이 좋아야 한다. 또 적당한 크기로 무겁
지 않아야 하고, 아름다운 색상에 유약이 잘 녹아 있어야 하며, 감상할 수 있
는 포인트가 여러 곳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찻사발은 그 특성에 맞는 흙으로
기능에 맞게 만들어야 하며 조화롭고 안정적인 굽이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을
두루 갖추었을 때 우리는 좋은 찻사발이라 한다.83)

81) 말차의 거품을 내는 것


82)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p.87〜89.
83) 신수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솔과학, 2005), p.105〜107.

- 28 -
[그림2]분청자기 구름용무늬
[그림1]고려청자
항아리

[그림3]분청자기 인화문 [그림4]분청자기 박지


다완 모란문 호

[그림5]분청자기 음각 어문 [그림6]분청자기 철화 풀
편병 무늬 다완

- 29 -
[그림7]분청자기 귀얄문
[그림8]분청자기 덤벙 접시
다완

[그림9]분청자기 박지 모란 [그림10]분청자기 상감
당초문 병 버드나무 매병

[그림11]무등산 충효동 [그림12]무등산 분청자기 귀얄


인화분청자기 어존명 고배

- 30 -
[그림13]다양한 귀얄 붓 [그림14]분청자기

[그림15]차나무 [그림16]차나무

[그림17]경주 안압지 토기 [그림18]단 차

- 31 -
[그림19]잎 차 [그림20]김홍도 전다한화

[그림21]안중식 고사방우 [그림22]차 맷돌

[그림23]차 맷돌 [그림24]말 차

- 32 -
[그림26]청자 음각 앵무문
[그림25]말 차 시
다완

[그림27]기자에몬이도다완 [그림28]아오이도다완

- 33 -
제 4 절 작품 디자인 계획 및 제작 방법

1. 작품 디자인 계획

오늘날 경제성장과 생활문화수준이 높아지며 차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고, 차 도구에 대한 높은 안목으로 조형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요구하게 되었
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하여 현대 다완을 개발하고
자 한다.
다완의 유형은 일자형의 통형과 역삼각형의 형태에 선의 변화를 주어 성형하
고 찻 자리에 어울리는 다화 병, 주전자, 다식 접시, 차 통, 물 항아리, 다판
등을 다양하게 구성 하고자 했다.
분장은 백화장토와 시중에서 판매하는 도예용 색 안료인 빨강, 파랑, 노랑,
검정 등의 색안료를 백화장토와 혼합하여 반 건조된 작품에 분장하여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귀얄 붓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붓과 볏짚, 수숫대, 억새풀 등을 이용하여 만
들어 사용하였으며 귀얄문은 물결문, 회오리문, 격자문 등을 자유롭게 나타내
었다.

2. 제작 방법

성형은 물레 성형과 도판 작업을 병행 하였으며, 분장토는 백화장토, 백화장


토와 색 안료를 혼합 사용하여 다채로운 변화를 주었다.
제작 과정으로는 재료 ⟶ 성형 ⟶ 귀얄장식 ⟶ 건조 ⟶ 1차 소성 ⟶ 시유⟶
2차 소성 순으로 제작하였다.

1) 태토 선택

분청 다완을 완성한 후 장식을 가장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태토의 선택이


중요하다. 태토는 분청 작업의 용이함과 귀얄문이 돋보이게 하기위해 분청토,

- 34 -
옹기토, 산백토, 갈색 조형토 등을 사용하였다.

2) 성형

연구 시작품은 물레 성형과 도판 성형으로 하였다. 다완, 다화 병, 주전자,


다식접시, 차 통, 물 항아리는 물레 성형으로 성형하였으며 형태에 변화를 주
었고, 다판은 도판 성형으로 간결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표현하였다.

3) 장식

장식은 분장토를 이용하여 백화장토와 빨강, 노랑, 파랑, 등 색 안료를 백화


장토와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붓, 볏짚, 수숫대 억새풀 등의 귀얄 붓을 사용
하여 독특하고 다양한 질감 표현을 하였다.
작품의 표면이 반 건조 상태에서 귀얄 붓에 화장토를 묻혀 작품에 분장하였
다.

원료명 규석 와목점토 장석 색 안료
조합비(%) 60 35 5 +3

<표-1> 색 안료의 조합비

4) 건조

건조는 급히 건조 시 금이 가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직사광선


을 피하여 실내에서 서서히 건조 하였다. 건조는 전(가장자리), 손잡이 등 얇
은 부분부터 건조되어 수축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두껍게 성형된 것은 표면
이 갑자기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건조시켰다.
도판 성형 기물은 앞뒤를 번갈아 서서히 건조하였다.

- 35 -
5) 1차 소성

1차 소성은 성형 후 건조된 기물의 강도를 높여 파손을 적게 하고 유약 시유


시 안료나 유약이 잘 입혀지고 유약의 발색이 좋게 하는 작업이다.
온도를 서서히 올려 수분이 충분히 증발할 수 있도록 가마의 문을 조금 열어
둔 후 200℃ 정도에서 가마의 문을 완전히 닫았다. 0.3루베의 전기가마에서 10
시간 850℃에 소성을 하였다.

6) 시유

1차소성 후 스펀지로 기물면의 먼지나 기름 등을 제거한 후 습식에 의한 담


금법으로 시유하였다.
기물이 상판에 붙지 않게 기물과 상판 바닥에 닿는 부분의 유약을 물스펀지
로 닦아 주었다.
유약은 투명유와 시노유를 시유 하였다.

원료 장석 규석 석회석 백자점토 도석
조합비(%) 40 20 15 10 15

<표-2> 투명유의 조합비

7) 2차 소성

2차 소성은 1차 소성된 기물에 유약을 시유하여 소지가 유리질로 변하고 유


약의 성분이 녹아 유리 같이 된다. 가마 안에서 불의 흐름이 충분히 돌도록 기
물과 기물사이에 공간을 주어 발색이 좋게 하였다. 유약의 숙성 온도에 따라
소성을 천천히 해서 온도를 균일하게 하였다.
0.3루베의 가스 가마와 0.3루베의 전기 가마에서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

- 36 -
성 하였다.
가마는 이틀간 서서히 냉각시켜 200℃ 아래로 내려간 후 가마 문을 열었다.

- 37 -
1300
B
1200
1100
1000
환원
900
A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온도(°C)
1 2 3 4 5 6 7 8 9 10 11 12
시간(H)

<표-3> 소성 온도 곡선

본 시작품( 2, 4, 5, 6, 8)은 0.3루베의 가스 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였다.

- 38 -
3. 시작품 및 설명

<시작품 1>

- 39 -
시작품 1. 큰 분청 다완과 나눔 다완 그리고 다판

젊은 차인들을 위한 일자형인 통형 다완과 다판으로 3인이 모여 앉아 큰 다


완에 말차를 점다하여 나눔 다완에 나누어 음다 할 수 있는 구성이다.
화려한 색 화장토를 사용하여 따뜻한 봄날 꽃이 피고 나무에 움이 트는 봄의
생명력을 표현 하였다.
제작방법은 다완은 분청토를 사용하여 물레 성형 하였고, 다판은 분청토를
사용하여 판 성형 하였다.
바깥쪽 기면에 백화장토로 분장한 후 색 안료를 백화장토와 혼합하여 그 위
에 분장 하였다. 거친 귀얄 붓으로 빗살문을 표현하였으며, 다완과 다판의 문
양으로 일체감을 주었다.
투명유를 담금법으로 시유하였으며 0.3루베의 전기가마에서 12시간동안
1,250℃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

- 40 -
<시작품 2>

- 41 -
시작품 2. 분청다완

비색과 순백사이에 자신만의 독특한 색을 발하는 분청자기의 색은 부드러움


이 있다. 소중한 자신만을 위한 찻자리에 어울리는 다완으로 두 손으로 다완을
감싸안고 말차의 탕 색과 다완을 감상하며 편안하게 말차를 즐길 수 있는 다완
이다.
백토분장의 장식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내화도가 낮은 옹기토와 어두운 소
지의 분청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백토분장과 소지 색을 대비시켜 표현하였
으며 기면에 철분의 점들이 꽃으로 아름답게 피어났다.
귀얄문은 넓은 붓으로 빠르게 분장하여 경쾌한 운동감을 준다.
제작방법은 옹기토와 분청토를 50 : 50으로 혼합하여 손 반죽(꼬막 밀기)하
여 점토의 점력을 높이고 공기를 제거한 후 물레 성형하였다.
넓은 귀얄붓에 백화장토를 묻혀 기면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 분장하였다.
시유는 투명유를 담금법으로 시유하였으며, 0.3루베의 가스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
였다.

- 42 -
<시작품 3>

- 43 -
시작품 3. 통형 분청 다완과 역삼각형 분청 다완

연인들의 찻자리를 위한 분청 다완으로 편안하고 안정된 색감으로 말차의 탕


색을 감상하기 좋은 다완이다.
역삼각형의 다완 속에 일자형 통형 다완을 수납하고 그 속에 접이식 차시와
차선을 수납하여 한 묶음으로 휴대하기 좋으며 뜨거운 물만 준비하면 즉석에서
말차를 즐길 수 있는 구성이다.
백화장토를 사용하여 다완 바깥쪽 기면에 선을 교차하여 단조로운 문양에 변
화를 주었으며 소박한 문양 사이에 다완의 속살이 비치는 효과를 주었다.
제작방법은 분청토를 사용하여 물레 성형 하였고,형태는 일자형인 통형과,
역삼각형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귀얄문은 부드러운 붓과 거친 붓에 백화장토를 묻혀 선을 교차하여 분장하였
다.
유약은 투명유를 담금법으로 시유하였으며, 0.3루베 전기가마에서 12시간 동
안 1,250℃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

- 44 -
<시작품 4>

- 45 -
시작품 4. 통형 다완과 다판

오랜 벗들과 한자리에 모여 격식 없이 수다 떨며 말차를 즐기는 찻자리에 어


울리는 다완으로 밝고 화려하게 제작하였다.
흰색과 붉은색이 절묘하게 대비되며 다완 안쪽은 부드럽고 넓은 붓으로 빠르
게 회오리 치 듯 붓 자국이 지나가고 다완 바깥쪽은 거칠게 붓 칠하여 꽃문양
을 표현하였다. 다판은 다식 접시로 겸해서 사용할 수 있게 길고 좁은 형태로
성형하였다.
제작방법은 산백토를 사용하여 다완을 물레 성형하였고, 산백토를 사용하여
판 성형으로 다판을 성형하였다.
백화장토를 사용하여 안쪽은 빠른 붓 터치로 회오리 문을 표현하였고 바깥쪽
은 꽃문양을 표현하였다.
유약시유는 다완 안쪽은 투명유를 시유하였고 다완 바깥쪽은 시노유를 시유
하였다. 0.3루베의 가스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였다.

- 46 -
<시작품 5>

- 47 -
시작품 5. 분청 다완과 말차 다구 1

일 년 중 가장 바쁜 연말연시를 위한 분청자기 말차 찻자리에 어울리는 다완


과 말차 다구를 제작하였으며 찻자리의 품위를 높여주기 위해 세트로 구성하였
다. 분주함을 잡아주는 분청자기의 차분한 다완을 추가하여 여러 지인들과 소
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구성이다.
백토와 산청토를 혼합한 산백토로 작품 성형 후 부드러운 붓으로 백화장토를
묻혀 기면에 분장하여 환원소성 하였으며 높은 온도에서 철분이 분장토 사이에
붉은 꽃으로 피었다.
제작 방법은 산백토를 사용하여 물레 성형과 판 성형을 하였다.
다완, 다관, 차 통, 다화 병, 다식 접시, 물 항아리는 물레 성형하였으며, 다
판은 판 성형을 하였다.
귀얄문은 회오리문, 물결문 등을 다양한 귀얄 붓으로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유약은 투명유를 담금 법으로 시유하였으며, 0.3루베의 가스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
였다.

- 48 -
<시작품 6>

- 49 -
시작품 6. 분청 다완과 말차 다구 2

명절에 오랜만에 모인 가족이 모여 덕담을 주고받으며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찻자리에 어울리는 다완과 다구이다. 부드럽고 편안한 분청자기로 말차와 명절
을 즐기기 좋은 세트로 제작하였다. 부드러운 백토 분장 사이로 거칠고 강한
바람을 헤치고 붉은 꽃이 피어나는 가련한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제작 방법은 산백토를 사용하여 물레성형과 판 성형을 하였다.
다완, 다화 병, 차 통, 다식접시, 물 항아리는 물레 성형하였으며, 다완 밑의
다 판은 판 성형 하였다. 백화장토를 페인트 붓을 사용하여 분장하였으며, 작
품에 따라 물결문, 회오리문 등을 기면에 부드럽고, 빠르게 분장하였다.
유약은 담금 법으로 투명유를 시유하였으며, 0.3루베의 가스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
였다.

- 50 -
<시작품 7>

- 51 -
시작품 7. 분청 굵은 선 다완과 다화 병

작년의 꽃이 머물다간 자리에 꽃이 다시 피길 기다리며, 설레는 기다림의 찻


자리에 쓰이는 다완과 다화 병이다.
본 시작품의 특징은 선의 흐름을 율동 감으로 표현하였다.
백화장토를 사용하여 다완과 다화 병은 거칠고 넓은 붓으로 한번의 분장으로
장식을 뚜렷하고 힘 있게 분장하였고, 다판은 거칠고 작은 붓으로 잔잔하게 분
장하였다.
제작 방법은 분청토를 사용하여 다완과 다화 병은 물레 성형하였으며, 다판
은 갈색 조형토를 사용하여 판 성형하였다.
유약은 담금 법으로 투명유를 시유하였으며, 0.3루베 전기가마에서 12시간
동안 1,250℃로 산화염으로 소성하였다.

- 52 -
<시작품 8>

- 53 -
시작품 8. 분청 다완과 다판

눈 내리는 겨울밤 한잔의 말차를 앞에 두고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겨울용 분


청 다완으로 다완을 감싸 안았을 때 따뜻한 온기가 오래갈 수 있게 두툼하게
제작하였다.
제작 방법은 산백토를 사용하여 다완은 물레 성형하였으며, 다판은 판 성형
하였다. 귀얄문은 백화장토를 부드럽고 넓은 붓으로 분장하였다.
유약은 담금 법으로 투명유를 시유하였으며, 0.3루베의 가스가마에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980℃에서 환원소성으로 바꾸고 12시간동안 1,250℃까지 소성 하
였다.

- 54 -
제Ⅲ장 결 론

분청자기는 고려청자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멋과는 달리 소박하면서도 서민적


인 멋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그릇으로 만들어진 분청자기는 관요의 간섭에서
벗어나 전국에서 분청자기 가마가 운영되어 대량생산되었으며 왕실과 일반서민
모두 광범위하게 사용하였다.
분청자기의 특징은 원하는 그릇을 만든 다음에 백토로 기면을 분장하는 백토
분장기법과 분청자기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무늬에 있다.
자연을 소재로 자유분방하고 해학적인 표현으로 무늬는 대범한 모란, 당초,
연꽃, 풀과 꽃, 버드나무, 새, 학, 물고기 등이 있고 때로는 이들이 생략되거
나 추상화되어 구김살 없는 표현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표현의 기량은 구애 받지 않는 자연스러움, 순수성, 천진성, 소박함
등의 제작 태도에 기인하며, 바로 이 점이 분청자기를 만든 우리 조상의 숨결
이 살아 숨 쉼을 느끼게 하는 요소이다.
다완의 형태는 일자형의 통형과, 기본 역삼각형의 형태에 선의 변화를 주어
제작하였으며, 두 손으로 감싸 들었을 때 안정감 있고 다완을 사용 후 엎어 두
었을 때 굽을 쥐고 놓기 편하게 제작하였다.
귀얄문은 크기와 재료가 다른 부드러운 붓과, 크기와 재료가 다른 거친 붓으
로 일회 장식으로 굵고 힘 있는 선을 표현하였고, 여러 번 장식하여 유연하고
부드러운 선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또한 빠르게 분장하여 바람이 소용돌이 치
듯 회오리 문양을 장식하기도 하고, 잔잔한 물결이 흐르듯 물결 문을 장식하기
도 하였다. 때로는 천천히 가다 머무르는 듯 부드러운 율동을 선으로 표현하기
도 하여 다양하고 자유로운 귀얄 장식을 하였다.
본 연구자는 분청자기에 대해 고찰하여 한국적인 미 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고, 이로 인하여 가장 한국적인 미를 많이 가지고 있는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한 현대 다완을 만들고자 하였다. 바쁜 현대인들의 여유로운
여가와 웰빙 열풍 시대의 건강한 음료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말차의 장점과 다
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55 -
말차는 차의 잎을 가루 내어 모두 섭취하기 때문에 다른 차보다 카테킨, 카
페인, 미네랄, 비타민, 섬유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고 기호에 따라 음료에 혼
합 하거나, 요리에 첨가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또한 말차는 다완, 차시, 차선
정도만 있으면 아무 곳에서나 차를 마실 수 있어 간편하고, 차를 마신 후 찻잎
이 남지 않아 버리는 찌꺼기가 없어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인들이 말차에 대해 더욱 흥미를 가졌으면 하는 바람으로 아
름답고 사용하기 편한 말차 다완을 분청자기 귀얄기법을 활용하여 제작 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유로운 차문화를 즐기려는 현대인의 감성과 정서를 충족시켜
줄 다양하고 아름다운 다완의 보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현대인들이
말차와 다완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고, 많이 음용 하여 줄 것을 바라며, 차문
화의 대중화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 56 -
참 고 문 헌

1. 국내문헌

강 경 숙. 『분청사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05.


강 성 곤. 『생활과 도예』. 광주 : 도서출판 맥스타, 2008.
최 순 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서울 : 도서출판 학고재, 2009.
姜 敬 淑.『粉靑沙器 硏究』. 서울 : 一志社,1986. P.126, 圖京 98-1 ; 국립진주박물관,
(조선, 지방사기의 흔적-진주 .사천 . 산청 . 하동 출토 도자기편), 2004,P
136. 도 14.
강 경 숙. 『韓國 陶磁史』. 서울 : 도서출판 예경, 2012.
국립광주박물관.『무등산 분청사기』. (광주 충효동 요지(사적 제141호) 발굴조사 50주년
기념 특별전), 서울 : 디자인나눔, 2013.
윤 용 이. 『우리 옛 도자기』. 서울 : 발행처 주식회사 대원사, 2010.
고흥군수 박병종. 『고흥분청문화 박물관』. 컬쳐게이트(주, 2017.
朴 敬 子.『美術史學』24.(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한국미
술사교육학회, 2010.
혜우 스님.『알고 보면 쉬운 차』. 서울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8.
신 수 길. 『茶道具 차생활의 모든 것』. 서울 : 도서출판 솔과학, 2005.
一 然. 『三國遺事』 제2권, 駕洛國記.
염 숙. 『다도학 개론』.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부, 2009.
鄭 英 善. 『 한국 茶文化』. 서울 : 도서출판 너럭바위, 2007.
혜우 스님.『혜우 스님의 첫눈에 반한 차茶 이야기』. 경기 : 도서출판 이른아침, 2018.
안 정 복(安鼎福). 『잡동산이雜同散異』.
이 진 수. 이 진 미. 『찻잎 속의 차』. 서울: 도서출판 이른아침, 2008.
權鼈 (권별). 『海東雜錄』(해동잡록).
김 시 습. 『매월당집』2권, 〈閑適耽睡〉「互爐起香烟, 石鼎鳴茶乳」.
김 시 습. 『매월당집』4권, 〈地爐〉.
정 동 주. 『우리 시대 찻그릇은 무었인가?』. 서울 : 다른세상, 2005.
고려도경. 제32권, 器皿 3.
최 계 원. 『우리 茶의 재조명』. 경기 : 도서출판 차와 사람, 2007.
정 동 주. 『한국 다완의 문양 그 향기로운 상징세계』. 서울 : 상상의숲, 2008.
김 숙 희. “정호다완에 관한 연구(우리민족의 茶문화와 정호다완의 연관성에 관해서)”. 석
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2003.
李 崇 寧.『 韓國茶의 文獻學的 硏究』.松汀 李庭林 선생 고희기념논총, 서울대학교 출판
사, 219(1982).
정 동 주. 『조선 막사발 천년의 비밀』. 서울 : 한길아트, 2001.
보 성 군. 『녹차를 마시면 건강이 보인다!』. 전남 : 보성군 녹차산업과, 2013.
전남도립대학.『슬로시티 한국차문화와 다도』. 전남 : 넥스트디자인, 2011.
전남도립대학 학교기업 클레이텍. 『도자산업과 다도』 .전남 : 대상 애드, 2009.
조 성 일. “분청 茶碗 제작에 관한 연구(귀얄기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
교, 1999.
류 진 원. “한국 문양의 율동적 재구성.”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 57 -
ABSTRACT

A Study on Modern Dawan utilizing


Buncheong-ceramics guiyal technique

Shin, Mi-Deok
Directed by prof. Kang, Seong-Gon
Dept. of Industrial Design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Buncheong-ceramics were appeared at the mid 14th century, and they were
produced to the mid 16th century by 200 years. They were the most naive
and folk artistic things among the ceramics of Korea. They seems good
natured, and has lively patterns which are off the point from delicate
noble sense of Goryeo-celadon has. Also, they are very free, and make the feel
of unhindered liverty. It is the greatest beauty of Bunchung-ceramics that
makes you feel the modern sense while preserving the traditional pattern and
Korean characteristics.
Buncheong-ceramics were started from Goryeo-celadon with sang-gam
technic which was declined already and then developed sang-gam, harmony,
and bakjji-buncheong technic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finally,
they received heyday in the reign of King Sejong. Inhwa-buncheong was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 an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5th century,
when the period of king Sungjong, to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 58 -
when the period of king Jungjong, the sang-gam and Inhwa techniques were declined
and the techniques of ironing, guiyal, and immersion became prevalent. They
gradually declin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office kiln of the center of
white porcelain in Gyeonggi-do Gwangju,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finally
extincted by absorbed in white porcelain after the mid 16th century.
Buncheong-ceramics were a vessel that were loved throughout from the lat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ut after
the middle of the century, white porcelain had become popular, the
Buncheong-ceramics had settled down as a bowl of common people. They were also
used as a teacup during the period when tea was introduced and prevalented from
China. Especially Dawan was used as a bowl to drink tea.
Tea is one of the beverage made from the young leaf of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There are green tea, white tea, blue tea, yellow tea,
black tea, and malcha, among which tea made from green tea.
Malcha is a powdered tea made by finely grinding after drying the steamed tea
leaves with a shade screen at the time when the tea buds come up.
Because when drink malcha, we can drink all the leaves of the tea, so we can
take all kinds of ingredients such as catechin, caffeine, theanine,
polysaccharides and vitamins in tea, and there is also a merit of malcha by drink
easily to putting it in a bowl and bubbling.
Malcha was originated from the Tang Dynasty and continued to the Song Dynasty,
and it was passed dow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t became prevalent at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nd finally declined after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guiyal technique can express the powerful vitality with a one-time hand by
coating white clay into a brush which is made of plant stem such as grass broom,
or animal hair, and using a large brush, by a large and clear brush mark,
contrast can be expressed in a natural way. Also, when white clay is applied to
the whole or part of the object, the effect of surface is almost similar to that

- 59 -
of white porcelain.
Therefore, the researcher will purchase a variety of brushes which are sold on
the market, and make direct brushes using the silver grass, rice straw, and
sorghum, and make the modern dawan with various and free applying of
Buncheong-ceramics guiyal technique in unique way when making the Dawan utilizing
Buncheong-ceramics guiyal technique.
The utilization of the guiyal technique has made a new attempt by dressing the
white engobe in all or part of the dawan, and dressing the colored engobe so as
to make a colorful and beautiful dawan.
Despite the various benefits of malcha, in order to disseminate the
uncommercialized malcha, I would like to study the dawan which is the tea cup of
malcha so I wish to contribute a little to the revival of tea culture and the
revival of Buncheong-ceramics in Korea.

- 6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