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8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JAPAN ARAB CHINA RUSSIA

U.S.A VIETNAM MONGOLIA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연구책임자 │곽중철 (한국외대 교수)

언어권별 책임자
영 어 │박애리 (보건복지인력개발원 강사) / 곽중철 (한국외대 교수)
중 국 어 │김진아 (한국외대 교수)
일 본 어 │김한식 (한국외대 교수)
러시아어 │방교영/김나제스다(한국외대 교수)
아 랍 어 │이인섭/곽순례 (한국외대 교수)
몽 골 어 │이평래 (한국외대 교수)
베트남어 │호티롱안 (한국외대 교수)

발 행 인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장
발 행 일 │2017년 12월 29일
편 집 인 │전우용사촌(주)
서울시 강동구 상암로 375-18 Tel (02)-426-4415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8159)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2로 187
전화 (043)710-9000 팩스 (043)710-9009
www.kohi.or.kr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보건복지부의 의료통역사 양성사업은 2009년부터 시작되어 9년 차를 맞고 있


다.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5개 언어 교수진을 중심으로 진행된 교육은 2012년부
터 베트남어와 몽골어를 추가했다. 교육실행기관인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외국
인환자 유치 및 의료해외진출 관련 전문인력 양성 기관으로 지정되면서 2016년 1
차 의료 통역능력 검정시험을 시행하였다.

의료통역은 바로 ‘문화간 의사소통(cross-cultural communication)’이라할 만


큼 각 언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또 의료통역사는 쌍방의 동질성이 가장
적고 특히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환자와 의료진 사이의 소통을 담당해야하기
때문에 회의 통역사보다 더 큰 가시성(visibility)이 허용된다고 본다. 이런 견지에
서 ‘국제문화’란 개념은 의료통역 분야에서 국가나 언어권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의
차이를 적시하고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글로벌 시
대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해외의 문화를 한 자리에 모아 비교 분석하고, 의료통역에
서 나타나는 상이한 해외문화를 상호 분석하는 개념이 ‘국제문화’인 것이다.

그동안 중동·중국·러시아(CIS) 등 문화권별 의료시장과 문화를 이해시키기 위한


과목은 있었으나 이를 언어권역별로 종합하는 교육 교재는 없었다. 우선 ‘국제문화’
라는 막연한 개념을 정립하고, 언어권별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통역사의 소양이 됨
을 강조하면서 관련 교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해당문화권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몽골어, 베트남어의 7개


로 하여 국제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언어별 문화 체계를 분석, 연구해 교재를 발간
한다.
국제문화 연구의 세부내용과 작성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국제문화의 개념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3. 언어권별 의료문화

4. 통역윤리 및 매너

- 언어별로 차이가 있는 문화의 특색을 국가와 지역별로 정의하고 의료통역 및 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 인력들이 알아야할 언어권별 문화를 짚어본다.

- 언어권별 문화의 세부적인 내용, 생활습관 등도 예로 들며 학문과 이론적 배경을


소개한다.

- 언어권별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표준교재라는 관점에서 전체적 체계, 목차의


통일성을 최대한 살려 설명한다.

국제문화라는 막연한 개념과 이에 따른 해외 의료문화의 차이, 그리고 각 언어권 및


국가에 존재하는 의료윤리와 통역사의 역할은 차이가 있으므로 획일적으로 통일시키기가
힘들 때는 각 언어권 별로 융통성 있는 설명을 허용했으므로 수강생들과 독자들의 이해가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2017년 12월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통번역센터장 곽 중 철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01 국제문화의 개념 / 14

0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 18
2-1. 영미권 문화의 이해 ················································································· 20
2-1-1. 지리적 배경 ···································································································· 20
2-1-1-1. 영국의 지리와 기후 ··············································································· 20
2-1-1-2. 미국의 지리와 기후 ··············································································· 21
2-1-1-3. 캐나다의 지리와 기후 ············································································ 22
2-1-1-4. 호주의 지리와 기후 ··············································································· 22
2-1-2. 역사적 배경 ···································································································· 23
2-1-2-1. 영국의 역사와 종교 ··············································································· 23
2-1-2-2. 미국의 역사와 종교 ··············································································· 24
2-1-2-3. 캐나다의 역사와 종교 ············································································ 25
2-1-2-4. 호주의 역사와 종교 ··············································································· 26
2-1-3. 문화적 배경 ···································································································· 26
2-1-3-1. 영국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 26
2-1-3-2. 미국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 27
2-1-3-3. 캐나다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 29
2-1-3-4. 호주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 30
2-1-4. 언어적 배경 ···································································································· 30

2-2. 중화권 문화의 이해 ················································································· 33


2-2-1. 지리적 배경 ···································································································· 33
2-2-1-1. 면적 ········································································································ 33
2-2-1-2. 지형 ········································································································ 33
2-2-1-3. 행정구역 ································································································· 34
2-2-1-4. 수도 ········································································································ 35
2-2-2. 역사적 배경 ···································································································· 35
2-2-2-1. 중국의 고대 왕조시대 ············································································ 35
2-2-2-2. 중국의 청나라 말기 ··············································································· 36
2-2-2-3. 중국의 신해혁명(辛亥革命)과 중화민국(中華民國)의 탄생 ··················· 36
2-2-2-4.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수립 ·················································· 37
2-2-3. 문화적 배경 ········································································································ 39
2-2-3-1. 중국의 차 문화 ·························································································· 39
2-2-3-2. 중국의 음식 문화 ······················································································ 40
2-2-3-3. 중국의 예술 문화 ······················································································ 41
2-2-3-4. 중국의 복식 문화 ······················································································ 43
2-2-4. 언어적 배경 ········································································································ 43
2-2-4-1. 언어 ············································································································ 43
2-2-4-2. 중국어의 분포와 사용 인구 ······································································· 43
2-2-4-3. 중국어 문자 ······························································································· 45
2-2-4-4. 중국어 발전의 역사적인 사건 ··································································· 45

2-3. 일본어권 문화의 이해 ················································································· 48


2-3-1. 지리적 배경 ········································································································ 48
2-3-1-1. 일본의 지리 ······························································································· 48
2-3-1-2. 일본의 기후 ······························································································· 48
2-3-2. 역사적 배경 ········································································································ 49
2-3-3. 문화적 배경 ········································································································ 50
2-3-4. 언어적 배경 ········································································································ 53
2-3-4-1. 한국어와 일본어의 공통점 ········································································· 53
2-3-4-2. 경어의 종류 ······························································································· 54
2-3-4-3. 일본어의 악센트 ························································································ 55

2-4. 러시아어권 문화의 이해 ·············································································· 58


2-4-1. 지리적 배경 ········································································································ 58
2-4-2. 역사적 배경 ········································································································ 59
2-4-3. 문화적 배경 ········································································································ 61
2-4-4. 언어적 배경 ········································································································ 63

2-5. 아랍어권 문화의 이해 ················································································· 65


2-5-1. 지리적 배경 ········································································································ 65
2-5-2. 사회적 배경 ········································································································ 66
2-5-3. 언어적 배경 ········································································································ 68
2-5-3-1. 아랍어의 위상과 특성 ················································································ 68
2-5-3-2.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공일주, 2012: 81~82) ···································· 70
2-5-3-3. 아랍어 인사말 ···························································································· 71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5-3-4. 아랍인의 이름 ························································································ 73


2-5-3-5. 유용한 아랍어 표현 ··············································································· 73
2-5-3-6. 신체언어(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 ························································ 73
2-5-4. 문화적 배경 ···································································································· 74
2-5-4-1. 의복 문화 ······························································································· 74
2-5-4-2. 음식 문화 ······························································································· 76
2-5-4-3. 손님 접대문화 ························································································ 79
2-5-5. 아랍 문화의 다양한 사례 ··············································································· 81
2-5-5-1. 유목문화에서 비롯된 허용과 금기 ························································ 81
2-5-5-2. 성폭력 ···································································································· 81
2-5-5-3. 보이지 않는 문화적 단면 ······································································ 82
2-5-6. 이슬람 문화의 이해 ························································································ 82
2-5-6-1. 종교적 믿음 ··························································································· 83
2-5-6-2. 종교적 의무사항 ···················································································· 83
2-5-6-3. 순니아 시아 ··························································································· 83
2-5-6-4. 이슬람 4대 법학파(이훈동 외, 2016: 33) ·········································· 83
2-5-6-5. 라마단 ···································································································· 84
2-5-6-6. 아랍 무슬림 사회의 명절과 휴일 ·························································· 85
2-5-6-7. 아랍 무슬림들의 혼인 ············································································ 86
2-5-6-8. 마흐르( ) ·························································································· 86
2-5-6-9. 마흐람( ) ·························································································· 87
2-5-6-10. 칼와( ) ··························································································· 87
2-5-6-11. 허용과 금기 ························································································· 88
2-5-6-12. 금지된 음식물 ······················································································ 88
2-5-6-13. 이자 금지 ····························································································· 88
2-5-6-14. 히잡과 아바야 착용 ············································································· 88
2-5-6-15. 아랍 무슬림들의 장례식 ······································································ 89
2-5-7. 다양한 이슬람 문화의 사례와 수용방법 ························································ 89

2-6. 몽골어권 문화의 이해 ············································································· 93


2-6-1. 지리적 배경 ···································································································· 93
2-6-2. 역사적 배경 ···································································································· 96
2-6-3. 문화적 배경 ···································································································· 99
2-6-4. 언어적 배경 ·································································································· 102
2-7. 베트남어권 문화의 이해 ··········································································· 105
2-7-1. 지리적 배경 ······································································································ 105
2-7-2. 역사적 배경 ······································································································ 105
2-7-2-1. 선사 시대 ································································································· 105
2-7-2-2. 중국의 영향 ····························································································· 106
2-7-2-3. 독립왕조와 후레왕조 ··············································································· 106
2-7-2-4. 응웬왕조와 프랑스의 지배 ······································································ 106
2-7-2-5. 독립운동 ··································································································· 107
2-7-2-6. 베트남 전쟁과 통일 ················································································· 107
2-7-2-7. 현대의 베트남 ·························································································· 108
2-7-3. 문화적 배경 ······································································································ 108
2-7-3-1. 광의의 베트남 문화권 이해 ···································································· 108
2-7-3-2. 협의의 베트남 문화권 이해 ···································································· 111
2-7-4. 언어적 배경 ······································································································ 114

03 언어권별 의료문화 / 116


3-1. 영미권 의료문화 ························································································ 118
3-1-1. 의료체계 ··········································································································· 118
3-1-1-1. 영국의 포괄적 보건의료 서비스 ····························································· 118
3-1-1-2. 미국의 자유기업형 보건의로 서비스 ······················································ 119
3-1-1-3. 캐나다의 복지지향형 보건의료 서비스 ··················································· 119
3-1-1-4. 호주의 복지지향형 보건의료 서비스 ······················································ 120
3-1-2. 의료문화의 특징 ······························································································· 121
3-1-2-1. 영국 병원과 NHS의 한계 ······································································· 121
3-1-2-2. 영국 환자와 스파 치료 ··········································································· 123
3-1-2-3. 미국 병원과 민간의료보험의 한계 ·························································· 124
3-1-2-4. 미국 환자와 은퇴관광 ············································································· 127

3-2. 중화권 의료문화 ························································································ 129


3-2-1. 중국 의료시장의 상황 및 문제점 ···································································· 129
3-2-1-1. 중국 의료서비스의 시장수요 ··································································· 129
3-2-1-2. 중국 의료서비스의 유형 ·········································································· 131
3-2-1-3. 중국 의료서비스의 문제점 ······································································ 132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2-2. 중국 의료기관의 체계 및 의료보험 ···························································· 133


3-2-2-1. 중국 의료기관의 체계 ········································································· 133
3-2-2-2. 의료기관별 특징 ·················································································· 133
3-2-2-3. 중국의 의료보험 ·················································································· 134
3-2-3. 한국 의료기관의 중국 진출 및 의료관광 시장의 특징 ······························ 135
3-2-3-1. 중국의 외국 의료기관 유치를 위한 정책 ··········································· 135
3-2-3-2. 중국의 한국병원 진출 현황 ································································ 136
3-2-3-3. 중국 의료관광 시장의 특징 및 중국 환자의 특징 ···························· 137
3-2-3-4. 의료관광 주요 진료과목 및 국가 ······················································· 138
3-2-3-5. 중국 환자의 특징 ················································································ 138
3-2-3-6. 중국인 환자의 한국의료에 대한 만족도 ············································· 138
3-2-4. 한국·중국 의료문화의 차이 ········································································· 139
3-2-4-1. 해음문화(諧音文化)를 통해 본 중국의 의료문화 ······························· 139
3-2-4-2. 중국의 전통의학-중의학의 향후 발전 ················································ 141

3-3. 일본어권 의료문화 ················································································· 144


3-3-1. 의료를 둘러싼 사회적 배경 ········································································· 144
3-3-2. 일본의 의료제도 ··························································································· 149
3-3-3. 일본의 의료기관 ··························································································· 150
3-3-4. 일본의 보험제도 ··························································································· 152
3-3-5. 병문안 시의 매너 ························································································· 153

3-4. 러시아어권 의료문화 ············································································· 156


3-4-1. 의료시장의 관점 ··························································································· 156
3-4-1-1. 보건의료 체계의 개요 ········································································· 156
3-4-1-2. 보건의료 개혁의 동향 ········································································· 160
3-4-1-3. 의료보험 제도의 개요 ········································································· 161
3-4-2. 환자의 관점 ·································································································· 166
3-4-2-1. 의료서비스의 유료화 ··········································································· 166
3-4-2-2. 의료인의 태도 ······················································································ 168
3-4-2-3. 의료관광 발전의 현황 ········································································· 169
3-4-3. 의사의 관점 ·································································································· 170
3-4-3-1. 건강 현황의 지표 ················································································ 170
3-4-3-2. 환자의 특성 ························································································· 173
3-4-3-3. 보건의료의 문제와 도전 ······································································ 175
3-5. 아랍어권 의료문화 ···················································································· 178
3-5-1. 아랍 의료문화의 이해 ······················································································ 178
3-5-1-1. 민간 요법 ································································································· 178
3-5-1-2. 장기 기증과 장기 이식 ··········································································· 178
3-5-1-3. 낙태 ·········································································································· 178
3-5-1-4. 체외 수정 ································································································· 179
3-5-1-5. 의약품 ······································································································ 179
3-5-1-6. 안락사 ······································································································ 179
3-5-1-7. 이븐 시나 ································································································· 180
3-5-2. 다양한 의료 문화의 사례와 수용 방법 ··························································· 180
3-5-3. 아랍 무슬림 환자들의 특징: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을 중심으로 ··················· 181
3-5-3-1. 생활 습관으로 인한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의 건강 위험 요소 ············· 181
3-5-3-2. 기호, 환경, 문화 요소로 인한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의 건강 위험 요소 ······· 182
3-5-3-3. 아랍 에미리트인의 주요 사망 원인 ························································ 182
3-5-3-4. 아랍에미리트인의 의료보험 ····································································· 182
3-5-3-5. 아랍에미리트 환자 치료 시 주의 사항 ·················································· 182

3-6. 몽골어권 의료문화 ···················································································· 184


3-6-1. 속담에 나타난 몽골인의 질병 인식 ································································ 184
3-6-2. 몽골 의료문화의 특징 ······················································································ 187
3-6-3. 한-몽 의료문화의 차이 ···················································································· 190
3-6-4. 몽골 환자의 특성 ····························································································· 193

3-7. 베트남어권 의료문화 ················································································· 196


3-7-1. 광의의 베트남 의료문화의 이해 ······································································ 196
3-7-1-1. 베트남의 의료체계 ··················································································· 196
3-7-1-2. 베트남의 전반적 의료수준 ······································································ 196
3-7-1-3. 의약분업 ··································································································· 196
3-7-1-4. 의료보험 ··································································································· 196
3-7-1-5. 긴급구호 115 ·························································································· 197
3-7-1-6. 한방 약재상 거리 ···················································································· 197
3-7-2. 협의의 베트남 의료문화의 이해 ······································································ 197
3-7-2-1. 공공 종합병원(대형병원) ········································································· 197
3-7-2-2. 민간 종합병원(대형병원) ········································································· 198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7-3. 의료 커뮤니케이션 ······················································································· 199


3-7-4. 베트남의 에티켓과 매너 ·············································································· 200
3-7-4-1. 베트남의 비즈니스 매너 ······································································ 200
3-7-4-2. 베트남의 비즈니스 관련 숙지사항 ······················································ 201
3-7-4-3. 베트남 업체와의 접대 ········································································· 203
3-7-4-4. 음식 예절 ····························································································· 203

0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 206


4-1.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 보장 ····························································· 208
4-2. 정확성 ················································································································· 209
4-3. 비밀보장 ·············································································································· 210
4-4. 중립성 ················································································································· 211
4-5. 전문성 ················································································································· 211

참고문헌 / 214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01


국제문화의 개념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1 국제문화의 개념

국제문화란 우리가 글로벌 시대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해외의 문화를 한 자리에 모아 비교


분석하고, 의료통역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해외문화를 상호 분석하는 개념이다. 의료통역의
대상이 되는 쌍방은 의료진과 해외환자로, 서로 국적이 다르고 학력이 다르고 성장 배경 등
도 다르다. 특히 각국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문화의 차이에 따른 간극을 매워야한다. 의료
통역은 바로 ‘문화간 의사소통(cross-cultural communication)’이라할 만큼 각 언어권 문
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것이다.

국내외 통역대학원 입시에서 심사위원들이 눈여겨보는 것 중 하나는 응시자가 해당 언어


사용국가에서 1년 이상 연속으로 수학하거나 거주했느냐의 여부다. 한 개 외국어를 통역하려
면 최소한 1년 이상 해당언어 국가에 거주해서 그 문화를 알고 있느냐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의료통역의 경우에는 의료통역을 하려는 우리 국민이 상대방 언어의 국가
나 지역에서 1년 이상 살았느냐가 관건이고, 해외국가에서 온 한국 거주자라면 한국에서 1년
이상 거주했느냐가 관건이 된다. 한국이든 외국이든 1년 이상 거주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
교재는 상대방 국가의 문화를 책을 통해 간접경험으로 익힐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
로 믿는다.

의료통역사는 이처럼 쌍방의 동질성이 가장 적고 특히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환자


와 의료진 사이의 소통을 담당해야하기 때문에 회의 통역사보다 더 큰 가시성(visibility)이
허용된다고 보는 것이 해외 의료 통역 전문가들이 보는 견해이다. 이런 견지에서 ‘국제문화’
란 개념은 의료통역 분야에서 국가나 언어권 사이에 존재하는 문화의 차이를 적시하고 그 차
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16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02

| 18 |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1. 영미권 문화의 이해


2-2. 중화권 문화의 이해

2-3. 일본어권 문화의 이해


2-4. 러시아어권 문화의 이해
2-5. 아랍어권 문화의 이해
2-6. 몽골어권 문화의 이해
2-7. 베트남어권 문화의 이해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1
영미권 문화의 이해

영미권이란 본래 영국과 미국을 의미하지만 사실상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한


영어권 전반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물론 영어권이라 해도 국가나 지역별로 상당히 다
르게 발전해 왔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이민자를
받아 온 미국, 캐나다, 호주는 각자 자기만의 문화를 가지고 건너오는 이민자들이 한 데 섞
여 그야말로 ‘용광로’, ‘모자이크’, ‘도가니’ 등으로 대표되는 참으로 다양한 사회를 이루었
다. 특히 세 국가는 이민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 법정 등 인권이 문제될 수 있는 분
야에서 각국 언어로의 통역을 법적으로 의무화함으로써 의료 통역사, 법정 통역사 등 새로
운 직군을 탄생시켰다. 본서에서는 영미권을 대표하는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보되 지면
이 할애하는 범위 안에서 이민자가 많고 의료통역이 발달한 캐나다와 호주도 함께 조금씩
다룰 예정이다.

2-1-1. 지리적 배경

2-1-1-1. 영국의 지리와 기후

영국의 정식명칭은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이다. 유케이(UK) 또는 그레이트 브리튼으로 줄여 부르기
도 한다. 영국은 통일을 주도한 남쪽의 기름진 평야 지대 잉글랜드, 재정난으로 할 수 없이
잉글랜드와 합병한 북쪽의 산악 지대 스코틀랜드, 가장 먼저 잉글랜드에 강제 합병된 서쪽의
웨일스, 그리고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유일하게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지 않은 얼스터 주(우리
에게는 북아일랜드로 더 잘 알려져 있음) 등이 연합하여 이룬 섬나라이다. 영국은 섬나라이
었기에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육군에 막대한 비용을 들일 필요 없이 강력한 해군을 기르

| 2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는데 집중하였으며, 그 덕에 세계 방방곡곡에 식민지도 구축할 수 있었다. 한 때 세계 전체


인구의 1/4 이상과 세계 전체 육지 면적의 1/4 이상을 통치하였다. 현재 영국의 국토 면적
2
은 243,610km 로 한반도의 1.1배 정도의 크기이다.

영국은 위도가 상당히 북쪽에 위치해 있는데도 스코틀랜드 북부의 하일랜드(Highlands)


지방 외에는 겨울에도 거의 눈이 오지 않는다. 스코틀랜드의 수도 에든버러의 경우 위도가
러시아의 모스크바와 같은데도 겨울에는 영하로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다. 그 대신 날씨가 상
당히 변덕스럽고 바람이 강하게 분다. 온 종일 비가 오다 개다를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어서
방수 자켓이나 모자가 달린 옷을 착용한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우산을 들어도 어차피
바람 때문에 비에 다 젖으므로 잘 들고 다니지 않는다. 맑은 날씨가 오래 계속되는 경우가
드물어서 날씨가 화창하면 공원에서 많은 사람들이 옷을 벗고 일광욕을 즐긴다. 우리가 보기
엔 낯선 풍경이지만 화창한 날이 드문 영국에서는 흔한 일이다.

2-1-1-2. 미국의 지리와 기후

미국의 정식명칭은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이며 50개의 주와 1개의 특별


구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다. 태평양의 하와이 주를 제외한 모든 주와 수도인 워싱턴
D.C.(District of Colombia, 서북부의 워싱턴 주와 구분하기 위해 워싱턴 D.C.라고 하거나
D.C.라고 함)는 북아메리카에 있다. 또한, 카리브 해에 해외 영토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은
러시아와 캐나다, 중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나라이다. 유엔 통계국은 미국의 면적
을 약 9,629,091km2로 명시하고 있다.

미국은 광대한 영토에 다양한 지리 환경을 가졌기 때문에 거의 모든 기후 형태를 찾아 볼


수 있다. 북미대륙의 북서쪽 끝단에 있는 알래스카는 극기후를 보인다. 미국 서북부의 워싱
턴 주 시애틀은 해양성 기후로 겨울에 비가 많이 내린다. 워싱턴 주 남쪽으로 오리건 주를
지나면 안개 자욱한 캘리포니아 주 샌프랜시스코가 나온다. 금문교로 유명한 샌프랜시스코는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베이 에어리어(Bay area)라고 부른다. 바람이 많이 불고 지중해성 기
후를 보이며 상당히 을씨년스럽다. 더 남쪽으로 내려가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에 이르면 날
씨가 굉장히 화창해지고 해변에 서핑을 즐기는 젊은이들로 붐빈다. 같은 서부의 남쪽이라도
내륙의 라스베가스는 사막과 대분지로 건조기후를 보인다. 미국의 중서부는 오즈의 마법사에
나오는 캔사스 주를 떠올리면 알 수 있듯이 토네이도가 많이 발생한다. 한편, 중동부의 북쪽

| 2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오대호 주변의 미네소타, 일리노이, 미시간 주는 덥기도 하고 춥기도 한데, 호수 주변이라 멋


진 풍경들을 즐길 수 있다. 중부의 남쪽으로 갈수록 겨울은 길어지고 여름은 짧아진다. 중남
부에 있는 텍사스 주 같은 경우 여름엔 혹독할 정도로 습하다. 마지막으로 동북부의 뉴욕, 보
스턴, 필라델피아 주는 서울과 비슷하게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 남쪽 끝으로 내려와 동남
부에 있는 마틴 루터 킹의 고향 조지아 주와 디즈니랜드로 유명한 플로리다 주를 보면 겨울
이 짧고 여름은 길며 덥고 습하다. 특히 멕시코 만과 접해있어 허리케인이 빈번하다. 전반적
으로 봤을 때, 서부가 동부보다 너무 춥지도 너무 덥지도 않은 기후를 보이므로, 미국 사람들
은 날씨 좋은 서부에 사는 사람들을 동부 사람들에 비해 성격이 급하지 않고 느긋(laid back
and easy-going)하다고 이야기한다.

2-1-1-3. 캐나다의 지리와 기후

캐나다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이며, 전체 면적


이 9,984,670km2에 달하는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토의 40%는 춥고 고립된
북극 지방으로 원주민인 이누이트 족 외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겨울이 일찍 시작되
며 반년이나 계속된다. 따라서 겨울 스포츠인 아이스하키 등이 특히 발달되었다. 캐나다의
수도는 연방 정부가 있는 오타와이지만, 최대 도시는 토론토이며, 열 개의 주와 세 개의 자치
주에도 각각 연방 정부에서 권한을 부여받은 지방 정부가 있다. 동쪽으로 대서양, 서쪽으로
태평양, 북쪽으로 북극해에 접해있다.

서쪽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밴쿠버 지역은 겨울이 길고 강수량이 높으며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날도 있다. 그러나 여름철은 기온이 높아도 습도가 낮아 굉장히 쾌적
하다. 밴쿠버는 특히 살기가 좋아 돈 많은 중국 이민자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다. 동쪽의 온
타리오, 퀘벡, 매니토바 주의 경우,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추운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
나 봄과 가을이 약간 짧은 편이다. 북부는 너무 추워 겨울이면 오후 2시만 되어도 일몰하고
남부라도 오전 8시 이후에 일출하는 날도 있다.

2-1-1-4. 호주의 지리와 기후

호주의 정식 명칭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Commonwealth of Australia)이다. 호주


는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계

| 2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다. 북쪽에는 인도네시아와 동티모르, 파푸아뉴기니,


북동쪽에는 솔로몬 제도와 바누아투, 누벨칼레도니, 그리고 남동쪽에는 뉴질랜드가 있다. 국
2
토 면적은 7,692,000km 로, 우리나라의 77배이다.

호주의 계절은 북반구 나라들과 정반대이다. 기후는 전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대륙 중 하


나이다. 열대에 속하는 대륙의 북쪽 지역은 우계와 건계의 교체가 뚜렷한 사바나 기후 지역이
며, 내륙으로 감에 따라 사막을 둘러싸는 초원 기후 지역으로 변한다. 내륙은 물론 서쪽에서
남쪽가장자리의 바다에 접한 부분까지 반사막이다. 한편, 위도 상으로는 국토의 39%가 열대
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은 지역이 많다. 대륙의 동북 연안부는 무역풍의
영향으로 강우량이 많고 열대우림을 이룬다. 동남부는 온대 해양성 기후 하에 있어 쾌적하다.
대륙 남쪽 가장자리의 애들레이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은 온대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2-1-2. 역사적 배경

2-1-2-1. 영국의 역사와 종교

영국의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는 모두 켈트족의 나라이며 가톨릭을 믿는다. 그런


데 잉글랜드의 왕 헨리 8세가 첫 번째 아내 캐서린과의 이혼을 허락하지 않는 교황과 인연을
끊고 종교 개혁을 통해 성공회를 믿는 신교 국가를 세우자 세 나라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와
웨일스는 그렇지 않아도 끊임없이 부딪혀온 게르만(Germany)계 잉글랜드와 종교문제로
더욱 격렬하게 부딪혔다. 헨리 8세에 이어 에드워드 6세, 메리 1세, 엘리자베스 1세, 제임스
1세에 이르기까지 이래저래 종교 탄압은 계속되었고 이로 인해 가장 탄압을 많이 받았던 청
교도들은 1620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건너갔다.

오늘날 영국은 입헌 군주제와 의회 민주주의로 국가 원수는 왕이지만 정부를 대표하여 정


무를 보는 것은 총리이며, 국회는 상원과 하원이 있는 양원제를 택하고 있다. 하원 의원은 선
거로 선출되며, 국민의 대표로서 상원보다 더 큰 권한을 갖기 때문에 영국 정부는 하원 다수
당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상원은 선거를 통해 뽑힌 의원이 아니라, 나라에 대한 공로를 인정
받은 종신 귀족, 세습된 작위를 가진 귀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8세기 초 휘그당과 토리
당을 시작으로, 자유당과 보수당, 노동당과 보수당의 대결로 이어지고 있다. 유럽연합통계청
에 따르면, 영국의 인구는 약 6,534만 명이다. 총인구의 84% 정도가 잉글랜드에 살고 있다.

| 2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국민의 50% 정도가 국교인 영국 성공회를 믿으며, 개신교 신자가 30%, 가톨릭 신자가
11% 정도이다. 영국은 20세기 초반만 해도 43개의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두 차례
세계 대전을 치르면서 영국은 정치경제적 부담으로 무너졌다. 지금도 호주와 캐나다처럼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받들거나 인도와 가나 같은 공화제 국가, 따로 국왕이 있는 나라
등 영국의 식민지 잔재가 남아 있는 곳이 많이 있다. 오늘날 이 같은 나라들(54개국)이 연합
하여 영국 연방을 이루고 있다. 영국은 영국 연방 외에도 버뮤다, 케이먼 제도, 포클랜드 군
도 등 약 14곳의 해외 영토를 갖고 있으나 대부분 자치권을 인정하고 있다.

2-1-2-2. 미국의 역사와 종교

미국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방 국가로 법에 의해 소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다수결의


원칙을 조정하는 대의 민주주의 입헌 공화국이다. 최상위 법전인 헌법에 규정된 견제와 균형
체제에 따라 통제되며 시민은 연방, 주, 지역 단위 등 세 단계에 속한다. 연방정부는 국방,
외교, 정책, 대외 무역 조정, 통화, 최고 법 집행, 주 간 통상 조정, 이민 등을 책임진다. 주
정부는 교육, 농업, 자연보호, 도로 관리, 차량 감독, 공공 안녕, 교도 행정, 주 내 통상 조정,
보건복지 정책 시행 등을 책임진다. 미국은 지구상의 모든 인종과 민족이 뒤섞여 있는 세계
최대의 다민족국가이다. 2000년 인구분포도에 따르면, 백인이 75~80%, 흑인이 12.3~12.6%,
아시아계가 3.7~3.9%, 미국원주민이 0.8%이다. 백인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그 중에서도
영국계, 독일계, 아일랜드계가 가장 많다. 19세기에 미국은 프랑스, 스페인, 영국, 멕시코,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획득하고, 텍사스 공화국과 하와이 공화국을 병합했다. 이 외
에도 태평양과 카리브 해에서 영토를 획득했다. 농업 중심의 미국 남부와 산업화된 미국 북
부 간에 주의 권리와 노예제 확대 문제를 놓고 갈등하면서 1860년대에 미국 남북 전쟁이
일어났고 북부가 승리하면서 영구적인 국가 분열 사태를 막았으며, 미국에서 노예제가 폐지
되었다. 이후 1870년대에 미국 경제는 가속화된 산업화와 함께 세계 최대 규모로 발전하였
다. 미국-스페인 전쟁과 제 1차 세계 대전으로 미국은 군사 강대국의 지위를 굳혔다. 제 2
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은 최초로 핵무기를 보유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 냉전이 종결되고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면서 미국은 세계의 유일한 초강대국이 되
었다. 또한, 전 세계 군비 지출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를 선도하
는 강대국이다.

| 2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미국은 건국 후 헌법으로 종교의 자유를 인정했고, 다수의 인종과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


의 특징상 거의 모든 종류의 종교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유럽에서 온 이민이 주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기독교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 유대교도가 많아서 이스라엘의 인구보다 더
많은 유대교도가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 종교적 신념도 매우 높아 신이나 영혼의 존재를 믿
는 비율이 94%에 육박할 정도로 종교적인 국가이다.

2-1-2-3. 캐나다의 역사와 종교

캐나다는 과거 영국의 연방 자치주였기 때문에 지금도 상징적으로는 영국 엘리자베스 여


왕이 국가 원수로 있는 연방 군주제 국가이다. 식민지 시대에 영국 여왕을 대표하여 파견된
총독도 있었으나 현재는 총리의 추천을 받은 캐나다 시민만이 총독으로 임명될 수 있다. 캐나
다는 의원내각제로 총리가 국가를 이끈다. 연방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나뉘는데 308석의
하원 의원은 인구 비례에 의한 국민 투표로 선출되고 105석의 상원 의원은 총리 추천에 의해
지명된다. 자치주들이 모인 연방 국가이기 때문에 각 주마다 각각의 정부와 의회가 있으며, 선
거에서 선출된 주지사와 주 의회가 사법, 민권, 세금 등과 같은 지역 문제를 담당한다. 전체
인구는 약 3,629만 명이다. 영국계가 28%로 가장 많고, 프랑스계가 23%, 기타 유럽계가
15%, 아메리카 원주민이 2%, 아시아와 아프리카, 아랍계가 6% 등을 차지한다. 초기의 이민
자들은 주로 프랑스와 영국 등 유럽에서 건너왔지만, 1970년대에 이민과 다문화를 장려하는
새로운 이민 정책으로 세계 각지에서 많은 이민자들이 건너왔다. 이처럼 여러 인종이 이민자
들과 함께 모여 사는 다인종 국가이지만 퀘벡 주가 분리 독립을 시도한 역사가 있어 캐나다
연방 존속에 대한 갈등의 씨앗으로 남아 있다. 미국의 이민 정책이 이민자들의 고유문화와 전
통을 버리고 미국 사회에 동화시키는 용광로 정책이라면, 캐나다의 이민 정책은 이민자들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캐나다 사회에 적응하도록 하는 모자이크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최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77.1%가 기독교 신자라고 밝혔다. 교파로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가장 많다(43.6%). 17%가 무교, 6.3%가 힌두교, 시크교, 불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 속했다. 공식 언어는 영어와 프랑스어이다. 전체 인구의 22%가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그 중 80%가 퀘벡 주에 살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세계 각국에서 모인
이민자들이 많아 사용되는 언어도 다양하다. 캐나다 정부는 이러한 문화를 존중하는 다문화
주의를 지향한다.

| 2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1-2-4. 호주의 역사와 종교

호주는 영국과 캐나다, 뉴질랜드를 비롯한 영연방국가들과 동군연합을 이루고 있으며 국


가원수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대표하고 있는 호주 총독이다. 명목상 입헌군주제와 영국식
의회 제도를 채택함에 따라 상하 양원으로 구성된 연방 의회가 있다. 도시의 산업가 층을 기
반으로 하는 자유당, 지방의 농업자 등을 기반으로 하는 국민당,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노동당이 3대 정당을 이룬다. 호주는 연방 성립 이후부터 대의 민주주의를 기본으로 한 자유
민주주의 정치 체계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6개의 주와 2개의 준주, 6개의 특별 지역으로 구
성되어 있다. 주 정부의 권한은 교육제도를 포함해 상당히 크며, 외교, 국방, 무역, 금융은 연
방정부의 권한에 속한다. 외교, 군사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모국인 영국의 영향이 후퇴하고
미국과의 유대가 강화되고 있다. 전체 2,290만 명 정도의 인구는 대부분 동쪽 지역에 밀집되
어 있으며, 도시화 비율이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높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의 61.1%가 기독교, 25.3%가 가톨릭, 17.1%가 호주


성공회, 22.3%가 무교, 2.2%가 힌두교, 1.3%가 유대교, 0.5%가 불교 순으로 나타났다. 호
주의 원주민 인구는 크게 감소하여 순혈종의 원주민 약 4만 명이 특별보호구에서 보호 생활
을 보내고 있다. 현재 인구의 96%가 유럽계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영국계가 압도
적으로 많은 90%를 차지한다. 오랫동안 이탈리아, 그리스, 네덜란드, 독일 등으로부터의 이
민에 의한 인구 증가를 꾀해 왔다. 한편 골드러시 때 발생한 백호주의 정책이 최근까지 채용
되다가 세계 여론의 지탄과 아시아로 눈길을 돌리면서 파기되었다. 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은 영어를 쓰고 있는데, 호주 영어(오지 잉글리시)는 미국 영어나 영국 영어와 구별되
는 특징을 갖고 있다. 2001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80%는 가정에서 영어만을 사용하
고 있다. 다음으로 가정에서 많이 쓰이는 언어는 중국어(2.1%), 이탈리아어(1.9%), 그리스어
(1.4%) 순이다. 이민 1세대나 2세대의 상당수는 두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2-1-3. 문화적 배경

2-1-3-1. 영국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영국의 음식은 맛이 없기로 유명하다. 일조량이 적고 기온도 낮아 농작물이나 각종 음식 재

| 2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료들을 키우기 힘들며, 18세기의 산업 혁명으로 도시 노동자들이 늘어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통 음식을 만들 시간이 부족해져 전통적인 조리 방법이 많이 사라졌고, 세계 대전을 겪으며
요리가 더욱 간소화되었기 때문이다. 아침은 보통 씨리얼과 우유, 커피, 주스 등으로 해결하고
점심은 샌드위치와 피쉬 앤드 칩스(흰살 생선 튀김에 감자 튀김을 곁들인 서민 음식)로 때운다.
저녁에는 영국식 정찬을 먹기도 하는데 맛이 좋진 않다. 런던의 고급 식당에서는 입장하는 손
님의 복장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며 팁 문화가 있다. 영국은 음식 문화가 발달 되지 않은 대
신 차 문화가 발달 되어 있다. 이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가 차 재배지였기 때문이다.

영국에서는 다양한 스포츠를 즐긴다. 크리켓은 야구와 비슷한 게임으로, 열한 명씩 구성


된 두 팀이 교대로 공격과 수비를 하면서 공을 배트로 쳐 점수를 얻는 경기이다. 영국의 전
통 경기이자 나라를 대표하는 경기로 영국과 영국 연방 국가들에서 주로 여름에 열린다. 시
합 시간이 길어 보통 하루 동안 2회전으로 이루어지지만, 국제 대회에서는 한 시합이 5~6일
씩 계속되어 200점 이상 득점하기도 한다. 폴로는 각각 네 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말을 타고
말렛이라는 긴 나무망치로 나무로 만든 공을 쳐 상대방 골대에 넣는 경기이다. 승마 경기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시작되어 티베트와 중국을 거쳐 인도에
전해졌으며, 영국이 인도를 점령하면서 영국에 알려졌다. 좋은 경기용 말이 흔치 않고 또 비
싸기 때문에 부유층의 스포츠로 인식된다. 영국은 전 세계인이 열광하는 스포츠 축구를 세계
에 전파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 과학의 뉴턴, 다윈, 스티븐 호킹, 철학의 베이컨, 경제학의 아담 스미스, 문학의
셰익스피어, 찰스 디킨스, 아서 코난 도일, 아가사 크리스티, 조앤 롤링 등 다양한 방면에서
걸출한 인물들이 근대 학문을 발달시켜 현대 학문의 바탕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2-1-3-2. 미국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밀은 미국인들에게 있어서 기본적인 곡물이다. 북미 원주민과 초기 유럽 이주민들은 전통


적인 미국 요리에 칠면조, 사슴고기, 감자, 고구마, 옥수수, 호박, 메이플 시럽과 같은 원산지
재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천천히 조리하는 돼지고기와 소고기 바베큐, 크랩 케이크, 초콜릿
칩 쿠키는 독특한 미국 요리이다.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만들어진 소울푸드는 남부를 중심
으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인기가 있다. 실제로 남부 요리와 소울푸드는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 맥앤치즈(Macaroni and cheese), 매시드 포테이토(Mashed potatoe),

| 2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다양한 돼지 요리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루이지애나 주의 크리올과 케이준 요리, 텍사스 주


의 텍스 멕스(텍사스와 멕시코를 결합한 단어) 같은 싱크리티즘(혼합) 요리는 지방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애플파이, 프라이드 치킨, 피자, 햄버거, 핫도그 같은 미국 특유의 음식은 다양
한 이민자들의 레시피가 섞이면서 생겨났고 프랑스식 감자튀김, 멕시코식 버리토나 타코, 이
탈리아에서 전해진 미국식 파스타 요리 등도 널리 퍼져있다. 미국인들은 보통 차보다 커피를
좋아한다. 미국 기업들에 의한 마케팅으로 스크램블이나 후라이드 계란 요리, 베이컨, 소시지
등 간단한 아침 식사와 함께 오렌지 주스 또는 우유를 마시는 것이 흔한 모습이 되기도 하였
다. 미국의 패스트푸드 시장은 세계에서 제일 큰데, 1930년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주문을 해
서 바로 받아 갈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형식을 탄생시키기도 하였다. 하지
만 패스트푸드의 소비와 청량음료의 인기는 미국인들의 비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밖에도
재미있는 음식문화 중에는 팟락(Potluck), 테일게이팅(Tailgating)과 스모어(S’more) 등이
있다. 팟락은 각자가 음식 한 가지씩을 가져와 나눠먹는 파티이다. 출산 전이나 출산 후 순산
을 기념하는 베이비 샤워,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등 각종 모임에 팟락을 많이 한다. 테일게
이팅은 미식축구를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문화에서 나온 피크닉 문화로 캐나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테일게이트는 픽업트럭이나 SUV, 스테이션왜건의 뒷문이나 트렁크를 이르는 말이
다. 미식축구가 열리기 전 관람객들이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뒷문을 열어놓고 음식과 술을
즐긴다. 스모어는 캠핑을 즐기는 미국 문화에서 비롯된 음식이다. 통밀 크래커 두 개 사이에
캠핑 모닥불에 골든 브라운(황갈색)으로 구운 마시멜로와 초콜릿을 함께 넣어 먹는 간단한
간식이다. 우리나라의 초코파이를 연상하면 쉽게 알 수 있다.

미국에서 매년 열리는 화려한 스포츠 행사들로는 프로야구의 월드시리즈, 대학 미식 축구


의 각종 볼(로즈볼), 프로 미식축구의 슈퍼볼, 미국 프로농구협회의 플레이오프전, 프로 아이
스하키의 스탠리컵 대회, 미국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 미국 프로 골프인 협회 선수권 대회
등이 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미식축구, 야구, 농구, 하키, 골프, 테니스, 아
이스하키 등이며 가라테, 태권도 등을 포함한 마셜 아트, 레슬링, 모토스포츠 등도 대중적이
다. 미국 사람들은 스포츠를 직접 하는 것 뿐 아니라 매체를 통해 보거나 경기장에서 직접
관람하는 것도 무척 좋아한다. 인기 좋은 운동 경기는 표도 무척 비싸며 돈을 줘도 구하기
힘들다.

미국의 대중음악과 영화는 특히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20세기 초반 이후 미

| 2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국의 영화 산업은 캘리포니아 주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존 웨인과 마릴린 먼로는


미국 영화 배우의 상징이며 제작가이자 사업가인 월트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어냄
과 동시에 영화 캐릭터를 상품화시킨 장본인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블루스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장르로 변했으며 재즈는 20세기 초 루이 암스트롱, 듀크 엘링턴 등이 도입해 발전
시켰다. 컨트리 음악은 1920년대에, 리듬 앤 블루스(Rhythm & Blues)는 1940년대에, 락
앤롤(Rock & Roll)은 1950년대, 포크(Folk)와 펑크(Punk)는 1960년대에 발전되었다. 최근
에는 힙합(Hip Hop)과 하우스 음악이 많이 창작되고 있다.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등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던 미국의 팝스타들이다. 역사를 통틀어 미국은 일단의
뛰어난 작가들을 배출했다. 19세기 문학은 에밀리 디킨슨, 에드거 앨런 포, 마크 트웨인 등
이, 20세기에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존 스타인벡, 스콧 피츠제럴드, 존 업다이크 등의 작가들
이 이름을 떨쳤다.

2-1-3-3. 캐나다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이민자가 많은 캐나다는 지역에 따라 음식도 다양하다. 프랑스계가 많이 사는 퀘벡에서는


메이플 시럽을 이용한 프랑스 요리가, 인도나 중국 등 아시아 이민자가 많은 벤쿠버에서는
그 지역에서 많이 나는 홍합이나 게, 생선 등을 이용한 중국이나 인도 요리가 유명하다. 뉴펀
드랜드에서는 그 지역에서 잡힌 어린 하프물범의 지느러미로 만든 플리퍼 파이가 유명하다.
영국이나 독일 이민자가 많은 노바스코샤와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같은 지역의 감자 요
리도 유명하며 일반적으로 베이크드 빈(baked bean), 클램 차우더(clam chowder), 팬케이
크처럼 미국에서 즐기는 요리도 많이 먹는다. 캐나다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인 메이플 시럽
은 전 세계 생산량의 85%가 캐나다에서 만들어진다.

캐나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아이스하키이다. 1870년대에 캐나다에서 처음 시작


된 아이스하키는, 종주국으로서 남녀 국가 대표 팀 모두 세계 최강의 실력을 자랑한다. 캐나
다 소년의 대부분은 어린 시절부터 하키를 하며 북아메리카 내셔널 하키 리그에서 뛰고 싶어
한다. 하키 리그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프로 팀들이 스탠리컵을 두고 우승을 다툰다. 캐나
다의 세계적인 아이스하키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는 아이스하키에서 나올 수 있는 거의 모든
기록을 갈아치운 전설적인 영웅이며 1999년 은퇴하였다. 캐나다는 물론이고 미국에서도 모
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 2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캐나다의 대중문화는 이웃한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캐나다만의 문화가 발달하지 못했


다. 이에 1970년대 정부가 문화와 예술을 장려하는 법을 제정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영화, 음악 등의 분야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문학에 있어 캐나다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빨간 머리 앤’이 있다.

2-1-3-4. 호주의 음식 문화와 스포츠

호주는 화창한 날씨 덕분에 바베큐 같은 야외 음식이 발달했다. 호주의 전통 음식이 특별


히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영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전통 로스트 디너, 피시 앤 칩스, 영국
식 아침식사 등을 즐겨 먹는다. 또한, 오전과 오후에 차를 마신다. 영국 음식 뿐 아니라 중국,
일본, 태국,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등 여러 나라의 음식을 받아들여 다채로운 음식 문화를
즐긴다. 과거 원주민들은 과일 혹은 캥거루나 에뮤 고기를 먹었는데 오늘날에도 이러한 토착
음식을 전문 식품점이나 식당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호주의 커피와 맥주, 와인도 유명하며 따뜻
한 날씨 덕분에 연중 내내 다양하고 신선한 재료를 바로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호주식 축구와 럭비 리그, 크리켓 등의 스포츠가 활발하다. 그 외에도 골프나


경마, 수상 스포츠, 캠핑을 즐기고, 일요일 오후에는 지역적으로 있는 ‘아르보’라는 정원 맥
주파티에서 서로 어울린다. 호주 사람들은 흔히 예고 없이 친구와 친척 집을 잡담하러 방문
하는 관습이 있다.

호주에는 다채로운 축제와 행사가 벌어지는데 마디그라 축제, 패션축제, 애들레이드 예술


축제, 캔버라 꽃축제, 포도축제 등이 사랑을 받고 있다. 오팔과 진주가 유명하며 독특한 호주
원주민 예술로 관광들에게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는다.

2-1-4. 언어적 배경

음성적인 차원에서만 봤을 때, 미국과 캐나다의 영어 발음은 상당히 유사하다. 캐나다는


영국 연방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가까워서 그런지 철자는 영국식을 많이 따라도 발음은 미
국식에 더 가깝다. 백 투 더 퓨처(Back to the Future)의 마이클 J. 폭스, 매트릭스(Matrix)
의 키아누 리브스 등이 유명한 캐나다 배우들이며 발음만 들어서는 미국인인지 캐나다인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다. 반면, 같은 미국이라도 조지W. 부시 전 대통령이 대표적으로 사용했던

| 3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텍사스 남부식 사투리나 뉴욕식 영어, 보스턴식 영어, 에보닉(ebonic)이라고 불리는 흑인


영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이나 인종에 따라 발음 차이가 클 수 있다. 특히 흑인 영어는
‘~이 아니다(is/are not).’라고 할 때 ‘ain't’라는 축약형을 많이 사용하고, ‘~이 전혀 없다.’
라고 강조할 때 ‘You ain't got no respect’라고 말하는 등 이중부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도 이러한 독특한 흑인 영어이다.

거꾸로 호주는 캐나다와 같은 영국연방이지만 철자는 미국식을, 발음은 영국식을 많이 따


른다. 액션 코미디 영화 크로커다일 던디(Crocodile Dundee)의 주인공 폴 호건의 발음이
대표적이다. 호주식 영어 발음의 가장 큰 특징은 ‘a’를 [에]로 발음하지 않고 [아]로 발음한다
는 것이다. 오늘(today)이라는 단어를 예로 들면, 미국에서는 [투데이]로 호주에서는 [투다
이]로 발음한다. 호주 영어는 말이 빠른 편이고 미국식 흑인 영어와는 또 다른 형태로 축약이
많다. 예를 들어, 호주인(Australian), 초콜릿(chocolate), 축구(football), 조식(breakfast),
썬글라스(sunglass) 등을 각각 Aussie, chocci, footie, brekkie, sunny라고 한다. 또, ‘(이
봐,) 친구’의 뜻으로 사용하는 미국식 흑인 영어의 ‘bro(brother)’는 호주에서 마이트(mate)
라는 단어로 사용되며, ‘thank you, mate.’, ‘see ya, mate.’ 등 나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여기저기에 두루두루 쓰인다.

한편, 영국은 영국 내에서도 차이가 심할 정도로 사투리가 많다. 사투리는 스코틀랜드, 북


아일랜드, 웨일스 등 영국 전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잉글랜드 내에서만 해도 지역이
달라지면 차이가 날 정도로 그 종류가 많다.

편의상 미국식 영어 발음과 영국 런던에서 사용하는 표준어 기준의 영어 발음을 비교해


보면, 미국식 발음은 특히 r의 경우 소위 ‘혀가 굴러가는 소리’가 나고 2음절, 3음절까지 강
세가 많은 편이나 억양의 고저는 다채롭지 않으며 톤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영국식 발음은
미국식 발음에 비해 딱딱 끊어지는 느낌이 들고 강세가 없는 약형을 많이 쓰나 억양의 고저
는 다채로운 편이다. 반면, 톤의 높낮이는 일정해서 처음 듣는 사람들에게는 자칫 무뚝뚝해
보이거나 콧대가 높은 것으로 오해 받을 수 있다. 물(water)과 숫자(number)의 ‘t’나 ‘r’을
예로 들면, 미국에서는 각각 [워러], [넘버]로 영국에서는 [워터], [넘바]로 발음한다. 한 마디
로 영국식 영어는 미국식보다 모음의 조음 영역이 더 넓다고 할 수 있다. 특히 water에서처
럼 자음 ‘t’는 조음기관들을 더 강하고 오래 밀착시켜 조음하며 파열도 더 날카롭다.

| 3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어느 식 영어이든 영어에 높임말이 없다고 해서 공손 표현이 없는 것은 아니며 언어에 녹


아있기 때문에 오히려 배우기가 더 어렵다. 영국 사람이든 미국 사람이든 농담을 잘하고 유
머감각이 있는 것을 높이 사며 특히 영국에서는 직접 화법보다 수사학적이거나 우회적인 화
법을 많이 사용한다. 문화를 모르고 농담을 이해하기는 어려우므로 다른 언어들도 그렇겠지
만 영어에서는 특히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3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2
중화권 문화의 이해

중국의 공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中華人民共和國 ([*영문: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으로 민족 구성은 한족(漢族)이 92%를 차지하고, 55개의 소수민족이 8%를
차지한다. 언어는 92%의 한족이 쓰는 한어(漢語 Chinese) [*표준어: 보통화(普通話 Mandarin)]
를 사용한다. 여기서 한어는 표준어와 지방어(方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 형태는
일당 독재의 사회주의국가 (*집권당: 중국 공산당)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가 기관으로는 국가
최고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 국가 최고 행정기관으로 국무원(國務院),
국가 최고 군사기관으로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가 있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산하에
국무원(국가최고행정기관)과 최고인민법원(最高人民法院 사법재판기관), 최고인민검찰원(最高
人民檢察院 사법검찰기관)이 있다.

2-2-1. 지리적 배경

2-2-1-1. 면적
2
중국은 아시아 동부, 태평양 서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토의 총면적은 960만km 로 세
계에서 러시아 캐나다를 이어 세 번째로 넓고 크며, 한반도의 약 44배 크기이다. 남북 간 거
리가 약 5,500km, 동서 간 거리는 약 5,200km이며, 육지 국경선의 총 길이는 약 2만
280km에 달하고, 해안선 총 길이는 약1만 8,000km에 달한다. 중국과 국경을 연접한 나라
는 총 14개 국가로 동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북한,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키르스
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이 있
다. 중국 해역에는 약 7,600개의 크고 작은 도서(島嶼)가 있으며 섬들의 총 면적은 약
2
72,800km 이다.

2-2-1-2. 지형

중국은 전체 면적의 67%가 고원이나 구릉지이고 분지와 평원은 33%라서 토지 이용에


한계가 있다. 중국의 자연지형은 서고동저(西高東低)형으로 서부에는 평균 해발고도 4000미

| 3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터 이상인 칭짱고원(靑藏高原칭하이-티베트고원)이 있다. 또 세계의 지붕이라고 일컫는 해발


고도 8844.43미터인 세계에서 가장 높은 초로룽마봉(朱穆朗瑪峰) 이 있다. 중국의 자연지형
은 계단형을 띠고 있다. 자연지형을 주요 고도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칭하이(靑
海)-고원을 중심으로 평균 고도가 4,000m에 달하는 지역, ② 내몽고, 신장위구르지역, 황토
고원, 사천분지와 운남귀주고원이 그 다음 단계로 해발고도 1,000∼02,000m에 달하는 지역
이며, ③ 동부 따싱안링산맥(大興安岭), 타이항산맥(太行山脈), 우산산맥(巫山山脈)에 이르는
500m에서 1000m이하 고원과 산간분지 지역, 동부와 북부 평원과 북동부의 평원, 그리고
양쯔강[揚子江] 유역평야를 포함하는 500m 이하의 평야지대, ④ 200m 이내의 보하이만[渤
海灣]·황해·동중국해·남중국해 등의 지역 등이다. 광대한 영토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
대가 분포되어 있다. 주로 최남단 지역의 열대기후, 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동북 지역의 한대
기후 등으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풍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2-1-3. 행정구역

행정구역은 현(縣), 향(鄕), 진(鎭) 3급으로 나뉘며, 34개 성(23개 성, 5개 자치구, 4개 직할


시, 2개 행정구역)으로 나누고, 각 성(省)마다 약칭이 있다. 현재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령으로 각
각 1997년 7월1일, 1999년 12월 20일에 중국에 반환되어 지금은 특별행정지역으로 되어 있다.

구분 주요 도시명
4개 직할시(直轄市) 북경시(北京市), 천진시(天津市), 중경시(重慶市), 상해시(上海市)
동북3성 요녕성(遼寧省), 길림성(吉林省), 흑룡강성 (黑龍江省)
하북성(河北省), 산서성(山西省), 산동성(山東省), 하남성
황하 중.하유 4성
(河南省)
호남성(湖南省), 호북성(湖北省), 강소성(江蘇省), 절강성
양즈강 중.하유 6성
23개 성(省) (浙江省), 안휘성(安徽省), 강서성(江西省)
광동성(廣東省), 광서성(廣西省), 해남성(海南省), 복건성
남부연안 4성
(福建省),
서북 3성 섬서성(陝西省), 감숙성(甘肅省), 청해성(靑海省)
서남 3성 사천성(四川省), 귀주성(貴州省), 운남성(雲南省)
네이멍구(內蒙古), 광시장족(廣西藏族), 닝샤회족(寧夏回族), 신장위구르(新彊
5개 자치구(自治區)
維吾爾族), 시장티베트(西藏)
2개 특별행정구
홍콩(香港), 마카오(澳門)
(特別行政區)

| 3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2-1-4. 수도

수도의 명칭은 베이징(北京 Beijing)이다. 총 면적은 16,411km2로 서울(605km2)의 약


27배이다. 베이징은 일찍이 요(療), 금(金), 원(元), 명(明), 청(淸) 등 중국 고대 다섯 왕조의
수도를 거쳐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과 함께 다시금 명실상부 중국의 수
도로 자리 잡았다. 2008년엔 제29회 베이징올림픽이 개최되어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현대 중
국의 정치·문화 중심 도시이자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는 국제도시로 성장하였다. 베징시에
는 세계에서 가장 큰 광장인 천안문(天安門)광장이 있다. 1989년 6월 민주화를 부르짖는 수
많은 청년 엘리트들의 목숨을 앗아간 광장이기도 하다. 옆에는 자금성(紫金城)과 국가박물관
등 주요 시설들이 즐비하게 나란히 서있다.

2-2-2. 역사적 배경

2-2-2-1. 중국의 고대 왕조시대

중화문명이 탄생하여 지금까지의 역사는 약 5000년 정도이다. 중국은 이렇게 긴 역사 동


안 많은 정권과 왕조가 교체되었고, 한 동안은 세계에서 매우 강대한 국가를 이룩하였으며,
경제, 문화, 과학기술의 중심지이기도 하였다. B.C.21세기 하(夏)왕조를 시작으로 동주(東周)
에 이르러서는 생산력발전과 사회변혁, 사상적으로는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시대를 열었다.
B.C.221년에는 진시황(秦始皇)이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통일 국가, 중앙집권주의 독재국가
진(秦)나라를 세웠다. 서한(西漢)은 진나라 때 이룬 통일국가를 한 층 더 발전시켰다. 위진남
북조(魏晉南北朝)시대에 이르러 중국은 다시 여러 나라로 분열 되었고, 오랑캐들은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분열된 많은 민족들은 상호 충돌 속에서 다시금 결합을 이루어 통일국가인 수
(隋)나라를 세웠다. 이어 당(唐)나라의 시대를 맞이한다. 수당(隋唐)시기에는 중앙과 변방의
소수민족과의 관계가 긴밀해지고, 경제가 번영되었으며,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전하였다. 송
(宋)대와 원(元)대에 이르러서는 여러 문화가 서로 충돌, 융합하여 경제와 과학기술을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전성시기인 명(明)대를 맞이한다. 이 때는 사회 경제
가 고도로 발전하였고, 명나라 말기에는 중국 양자강 이남 지역에 자본주의가 싹트기 시작하
였다. 명대 이후로는 한족이 아닌 만주족이 세운 청(淸)조가 시작되었다.

| 3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2-2-2. 중국의 청나라 말기

중국은 청(淸)나라 19세기 중엽에 아편전쟁을 겪은 후에 반식민지(半殖民地) 반봉건사회


(半封建社會)로 추락하게 된다. 아편전쟁 전에는 자주독립적인 봉건국가였다. 중국은 제정의
충당을 위해 영국과의 차 무역을 시작하였다. 영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적자를 메꾸기 위해
중국에 몰래 아편을 운송하여 팔기 시작하여 중국 국민들에게 큰 재앙을 불러 일으켰다.
1839년 청나라 정부는 임칙서(林則徐)를 파견하여 영국과의 협상을 벌였으나, 협상이 결렬되
고 항구에 정박한 영국의 수만 톤 아편이 바다 속에 던져지자 이에 격분한 영국은 1840년에
아편전쟁을 일으킨다. 1842년, 영국은 청나라 정부와 불평당 조약인 <남경조약>을 맺어, 세
계열강이 중국을 침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1900년 여름, 중국은 영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 독일, 미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 8개 연합군의 침공을 받았고, 1901년에 청나
라 정부는 8개 열강과 벨기에, 네델란드, 스페인까지 가세한 11국의 압력에 못 이겨 주권을
상실하는 치국조약인 <신축조약(新丑條約)>을 강제로 맺게 된다. 이로써 반식민지(半殖民地)
반봉건(半封建)사회를 형성하게 된다.

2-2-2-3. 중국의 신해혁명(辛亥革命)과 중화민국(中華民國)의 탄생

1894년, 손중산(孫中山)은 중국의 부르주아 혁명단체인 흥중회(興中會)를 설립하여 11번


의 혁명 시도 끝에 1911년에 일으킨 신해혁명(辛亥革命)이 성공하여 청나라를 타파하고 공
화정권체제를 수립한다. 1912년 1월에 손중산은 남경에서 임시대통령으로 추대되어 중화민
국을 수립하고 <중화민국임시약법(中華民國臨時約法)>을 반포하였다. 신해혁명은 근대에 이
루어진 완전한 민족민주혁명으로 중국국민에게는 정치적, 사상적인 해방을 안겨다 준 혁명
이었다. 또한 몇 천 년 동안 이어진 전제군주주의제도를 뒤집고 공화정권체제를 수립하여
민주화의 이념과 중국민족의 사상적 해방 등 중국을 뒤흔드는 커다란 사회적 변혁을 일으킨
혁명이었다.

| 3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 손중산 중국의 국부 | | 원세개 |

1912년 3월 원세개가 중화민국 초대 대통령이 된 후에 임시정부를 북경으로 천도하여


북양군벌(北洋軍閥)정권을 수립하였다. 대내적으로는 국민당을 진압하였고 대외적으로 국가
의 주권을 매도한 그는 83일간의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하야하여 후에 병으로 사망한다. 중
화민국의 첫 번째 대통령인 원세개(袁世凱)가 사망 한 후, 중국은 군벌주의가 판을 치는 혼란
의 시기로 접어든다. 하지만 당시 세계 정세는 제1차 세계대전을 맞아 열강들의 침략이 수그
러들자 중국경제는 “짧은 봄”을 맞이하여 발전을 이룩한다. 경제 발전에 힘입어 중국의 부르
주아계급은 민주화 실시를 강하게 요구한다. 후에 군벌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이 신문
화 운동(新文化運動)이었다.

2-2-2-4.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수립

1915년 진독수(陳獨秀)가 상해에서 발간한 <신청년(新靑年)>잡지가 신문화운동을 불러 일


으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민주’와 ‘과학’을 모토로한 신문화운동은 새로운 사상의 흐름을 가
져왔고, 전통 사조로부터의 해방을 주도하였다. 이에 힘입어 1919년에는 5·4운동이 북경에
서 일어났다. 이는 노동계급이 위주가 되어 일어난 전국 규모의 애국 시민운동이었다. 5·4운
동의 가장 큰 의미는 중국의 신민주주의 혁명의 서막을 열었고,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등장을
야기 시켰다. 뿐만 아니라 중국공산당 창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5·4운동은 구소련의 막스 레
닌주의 사상이 중국에 전파되는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공산주의를 지지하는 작은 모임들이
각지에서 탄생하였고 이 모임들이 결집하여 결국은 1921년에 중국 공산당을 탄생시켰다.
1924년에서 1927년 7월까지는 제1차 국내혁명전쟁시기로 중국공산당은 제국주의, 북양군

| 3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벌에 반대하는 전쟁을 일으킨다. 하지만 혼자의 힘만으로는 안되겠다고 느껴 손중산이 이끄는


국민당과 협력하여 혁명 통일전선을 구축한다. 1925년 3월 손중산이 서거한 후, 국민당 우파
간의 지도권 쟁탈전이 더욱 거세졌고, 이 기간 동안 장개석은 4·12 반혁명정변을 일으킨다.
그 후 장개석은 남경에서 국민정부를 세워 ‘북벌(北伐)’을 하여 북경을 점령한다. 하지만 국민
당 내부의 부패만연과 관리들의 부의 축적이 심해져 이는 매판부르주아계급의 상징이 되었다.
1931년 일본은 9·18사변을 일으켜 중국의 동북지역을 침략하였다. 국민당정권이 이에 대항
하지 못하자 동북3성이 모두 함락되었고 일본군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부의를 만주국(滿洲國)
의 지도자로 세워 꼭두각시 노릇을 하게 함으로써 식민통치를 실시하였다. 1937년 7월7일 노
구교(蘆溝橋)사건으로 전국적인 항일전쟁의 서막이 열리면서 중국 공산당의 압력으로 국민당
도 항일전쟁에 가담하여 항일 민족통일전선을 구축하여 중국 공산당과 함께 항일전쟁을 벌인
다. 항일 초기 국민당은 일본과의 접전을 여러 차례 가지면서 국토의 많은 부분을 내주었고,
중국공산당은 유격전을 넓게 펼치면서 승리를 거듭해 나갔다. 1938년 10월에 일본군이 광주
(廣州), 무한(武漢)을 점령한 후, 중국 국민당 내의 친일파는 일본으로 투항하였고, 국민당 내
의 친영미파는 항쟁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여 공산당과 마찰이 빚어졌다. 1945년 8월 15일 일
본이 항복하면서 항일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그 전부터 마찰이 있었던 국민당과
공산당은 그 마찰이 더욱 심해져 서로 내전으로까지 번지게 되었으며 1949년에 장개석(蔣介
石)이 이끄는 국민당이 실패를 안고 대만으로 물러감으로써 지금까지 대만과 중국은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후 중국 공산당은 1949년 10월1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다. 그
후 토지개혁과 사회주의 경제체계를 이루어 진행하지만 모택동이 주도한 대약진운동(大躍進運
動)에서 4천만 명의 아사자가 발생했고, 모택동은 이를 만회하려고 자신은 뒤로 물러나 유소
기(劉少奇)를 국가주석으로 앉혔다. 유소기는 민습을 수습하며 국민 달래기에 힘썼다. 사회주
의 건설에 있어 그의 기술 우선, 엘리트 존중 등의 사고방식은 점차 모택동(毛澤東)의 사상과
차이점을 드러내면서, 급기야 1966년 문화대혁명 과정에서는 ‘반(反)모택동 실권파의 수령’
‘중국의 흐루쇼프’로 격렬한 비판을 받으며 당에서 제명되고 공직을 박탈당한다. 모택동은 다
시 권좌에 오르고 싶은 야심으로 극좌 사회주의 계급투쟁 운동인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다. 문
화대혁명은 마오주의(마오이즘) 사상에 물든 10대 후반 20대 젊은이들이 홍위병(紅衛兵)을 조
직하면서 대대적으로 4청(경제, 정치, 이념, 조직의 불순한 것을 제거하는 운동) 운동을 벌인
다. 1968년 모택동은 무소불위 신적인 권력을 가지면서 신격화 경지에 이르렀고, 홍위병이
향후 자신을 위협할 것으로 판단하여 하방(下放)이란 명목으로 홍위병을 해체시킨다.

| 3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 1949년 10월 1일 천안문광장에서 건국의식 |

1966년에서 1976년까지 문화대혁명 기간을 거쳐 1978년 중국은 등소평이 이끄는 개혁


개방 체제로 들어선다. 이후 중국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여 2011년에는 중국이 일본을 제치
고 세계 제2 경제대국으로 우뚝 선다. 1976년 모택동이 사망하고 당산(唐山)대지진이 일어나
자, 중국 내에서는 기존 이론을 견지하는 것 보다는 경제건설이 우선시 되어 당시 개혁파의
수장으로 떠오른 등소평이 실권을 잡아 1979년부터 개혁개방 정책을 펼친다. 1989년 구소
련을 선두로 공산주의가 무너지면서 중국 또한 세계 민주화 물결에 편승될 것으로 서방세계
는 기대하였으나 1989년 천안문 사건을 계기고 특색 있는 중국식 사회주의를 고수하였다.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쟝쩌민(江澤民)이 국가주석에 올라 제4세대 통치시대를 열어 나갔
다. 1997년과 1999년에는 각각 홍콩과 마카오가 중국으로 반환되었고,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을 이루었다. 강택민 국가 주석에 이어 후진타오(胡錦濤) 시진핑(習進平)에 이르기까지
중국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2-2-3. 문화적 배경

2-2-3-1. 중국의 차 문화

중국인들의 차에 대한 생각은 “아침에 차(茶)를 마시면 하루 종일 위풍당당하고, 정오에


차를 마시면 일하는 것이 즐겁고, 저녁에 차를 마시면 정신이 들고 피로가 가신다”이다.

중국은 차의 원산지이고 중국의 차는 한국 일본 등에 전파되어 티벳을 거쳐 서양으로 전


해지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차(茶)의 한자는 풀(草)과 나무(木)사이에 사람(人)이 있는 모양으

| 3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로 인간과 자연을 이어주는 끊어야 끊을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한(漢)나라의 <동약-노비


매매문서>에는 차를 다루는 노비가 차를 사오는 일과 손님이 오면 차를 달여 대접하는 기록
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를 차 마시는 기원으로 보고 있다. 당(唐)나라 현종 때 강마대사가
차를 즐겨 마셔, 풍속이 되어 다관(茶館)이 생겼다. 송(宋)나라 때는 차를 일반인에게 보급하
여 생필품 중 하나가 되었으며, 국가 재정의 4분의 1이 차의 전매 수입에 의존하였다. 원(元)
나라 때는 차 마시는 습관이 북방 유목 민족에게도 전파되어 버터나 밀크를 타서 마셨다. 명
(明)나라 때는 차를 가마에서 덖어내는 방식을 개발하였고 청(淸)나라 때는 화차(花茶)가 유행
하여 지방도시까지 다관이 들어섰다. 중국의 차 문화는 4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식당
에도 차잎을 가지고 갈 수 있고, 중국인 가정 혹은 기업체를 방문할 때도 중국인들은 차를
대접한다. 중국인들이 기름기 많은 음식을 많이 먹는데도 살찐 사람이 적은 이유는 차가 단
백질과 지방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차의 종류는 녹차(綠茶), 홍차(紅茶), 청차(靑茶), 백차(白
茶), 화차(花茶) 등으로 구분된다. 북부지방은 화차, 남쪽은 녹차나 홍차를 많이 마신다.

녹차: 녹차는 중국 차 가운데 생산 역사가 길고, 생산량이 많고 품종이 다양하다. 서호 용


정차(西湖龍井茶)와 항주 벽라춘차(杭州 碧螺春茶), 황산 모봉차(黃山 毛峯茶) 등 90
여종이 있다.

홍차: 중국 국내 총생산의 1/4을 차지하며, 수출량은 총 수출량의 1/2를 차지한다.

청차: 청차는 산뜻한 향과 특유의 감미로운 맛을 겸하여 감칠맛이 있다. 중국 동남해안과


복건성 대만 광동일대가 주요 산지로 대만의 우룡차(烏龍茶), 복건의 우이엔차(武夷
岩茶), 안계(安鷄)의 철관음차(鐵觀音茶)등이 있다.

화차: 화차는 차와 꽃을 함께 말려 제조한 것으로 맛과 향이 어우러진다. 북방사람들이


잘 마시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국화차와 자스민차 등이 있다.

차에는 여러 효능이 있다. 소화와 배뇨기능을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물속의 불순
물이나 독성을 제거해 주며, 기름기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2-2-3-2. 중국의 음식 문화

중국의 음식문화는 긴 역사만큼 요리가 다양하고 재료 또한 풍부하고 맛이 다양하다. 음


식의 색과 향과 맛도 풍부하다. 땅이 넓은 만큼 지역별로 요리 맛이 매우 다르다. 중국요리는

| 4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8대 요리와 4대 요리가 있는데, 4대 요리를 소개하자면 ① 북경요리 ② 사천요리 ③ 광동요


리 ④ 상해요리이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북경요리: 북경이 화려한 문명을 자랑한 것은 청나라 때로, 청나라 궁중음식을 중심으
로 각지에서 모여든 우수한 요리사들이 각 지역의 장점을 살린 음식 문화를 발전시켰
다. 한랭한 기후로 인해 추위에 견디기 쉬운 고칼로리의 음식이 발달되었고, 강한 화
력을 이용한 튀김과 볶음 요리가 일품이다. 또 밀 생산이 많아 면류, 만두 등 면 종류
음식이 많고, 베이징 덕 오리구이가 일품이다.

② 사천요리: 중국의 곡창지대로 분지이기도 하다. 해산물을 제외한 사계절 산물이 풍부


하고 야생 동식물 요리와 채소류 요리가 많다. 산악지대가 많고 더위와 추위가 심해
향신료, 소금절이, 건조시킨 음식이 많아 요리 맛은 맵고 향이 강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음식은 누룽지탕, 마파두부, 매운 고추로 볶은 닭고기 요리 등이 있다.

③ 광동요리: 광동 요리는 동남연해에 위치한 광저우(廣州), 차오저우(潮州), 동강(東江)지


방의 요리를 뜻한다. 이 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재료가 풍부하다. 광동요리는 조미료
를 중시하여 향기롭고 개운하고 부드럽고 미끄러운 것이 특징이다. 특히 외국과의 교
류가 많아 서유럽 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 서양채소, 토마토케첩 등 서양요리 재
료와 조미료를 쓴 요리도 많다. 탕수육, 팔보채, 그리고 딤섬이 대표적 요리이다.

④ 상해요리: 상해요리는 중국 중부지방 난징(南京), 상하이(上海), 양저우(揚州), 쑤저우


(蘇州)등지의 요리를 말한다. 해산물이 풍부하고 음식의 색이 화려하고 선명하다. 간장
과 설탕을 많이 써서 맛이 달콤하고 기름진 것이 특징이다. 9월말부터 1월 중순까지
맛볼 수 있는 게 요리는 일품이고, 만두인 소룡포(小龍包) 또한 일품이다.

2-2-3-3. 중국의 예술 문화
① 경극

중국은 긴 역사만큼 예술문화가 발달되었지만 가장 정수는 중국의 오페라 경극이다. 경극


은 중국인의 문화생활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예술문화이다. 북경지역의 희극이 가장 널리
유행되고 있어 경극이라고 하고 중국 희곡 예술의 특색을 잘 표현하고 있다. 경극은 1830년

| 4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대 청나라 도광(道光)황제 때 여러 가지 지방 극이 북경에서 융합되어 발전한 것으로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경극의 배우는 생(生), 단(旦), 정(淨), 축(丑)의 네 종류가 있으며,
이를 4대행당(四大行當)이라고 한다. 여자역을 단이라 하고 남자역은 생이라고 하며, 성격이
익살스럽고 언어가 해학적인 배역의 얼굴에 흰색 도안을 그려 넣는데 이를 축이라 한다. 성
격이 사납고 간악한 인물은 얼굴에 채색 도안(瞼譜)을 그려 넣는데 이를 정 혹은 화검(花瞼)
이라고 한다. 경극은 노래와 춤을 동반하는 종합적인 연출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를 창념작
타(唱念作打)라고 하며 창은 노래 부르기를 가리키고, 염은 대사, 작은 동작과 기법, 타는 연
출 가운데 무술동작을 가리킨다. 이 네 가지 수단을 서로 교차 운용하며 연기를 하는데, 그
가운데서도 창이 핵심이다. 경극의 음악은 경쾌하며 타악과 현악을 주로 한다. 북과 징, 박
판, 호궁, 월금, 비파 등이 있다. 고수(鼓手)는 악대의 지휘자이다. 경극의 복장은 15세기 명
나라 복장으로 색채가 선명하고 대조가 강하며 수공이 세밀하여 매우 아름다운 예술품이다.
경극의 인물들은 모두 짙은 화장을 하며 여러 가지 얼굴을 하고 있다. 경극은 종합무대 예술
이다. 서양은 노래, 춤, 연극이 각각 분리되어 있지만, 경극은 노래, 음악, 낭독, 춤, 서커스,
무술을 융합시킨 것으로 경극 배우는 전반적인 기능을 모두 연마해야 한다. 경극의 허구성은
상상을 초월한다. 무대 위에서 대여섯 걸음만으로 천하를 다닌다고 하고, 7-8명이 백만 병사
를 대신하기도 하고, 배우의 몸짓 걸음걸이로 문을 나가고 들어오며, 위층으로 올라가고 내
려오며, 산에 오르고 물에 들어가는 것까지 나타낸다. 채찍 하나로 말에 탄 것을 나타내고 삿
대 하나로 배 젖는 것을 나타낸다. 관중의 상상과 연상을 통하여 자연 환경과 생활의 세부적
인 세트가 보충된다.

② 상성(相聲)

상성은 2인 혹은 3인의 재담으로 현재도 유행하고 있다.

③ 전지(剪紙)

전지는 중국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단순한 예술품으로서 색종이를 오려 모양을 만들어 내


는 것이다. 한·당 시대에 시작되어 경축을 위해 많이 사용되었고, 내용은 화초, 짐승, 인물
등 다양하며 아이들 때부터 전지를 배우기 시작하며, 중국 관광지 혹은 기념품 가계에서 흔
히 볼 수 있다.

| 4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2-3-4. 중국의 복식 문화

중국의 복식을 대변하는 것은 치파오(旗袍)와 중산푸(中山服)이다. 치파오는 원래 만주족


의 전통복장이었으나 청나라 때 전국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여 현재 중국의 전통복장으로 자
리 잡았다. 칼라가 높고 목을 둘러싸고 있고, 몸매에 붙어 몸매가 드러나는 복장으로 날씬한
여성이 입으면 매우 매력적인 옷이다. 하지만 실용성은 없어 일상생활에서 입기가 다소 불편
하다. 중산푸는 손중산이 즐겨 입었으며 일상생활에 편리할 수 있도록 고안한 옷으로 현대
중국인 남성들이 가장 애용하는 복장이다. 지금도 농촌이나 나이가 지긋하신 어른들이 입은
모습을 볼 수 있다.

2-2-4. 언어적 배경

2-2-4-1. 언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Sino-Tibetan languages)에 속하며, 한장어족(漢藏語族)이라고


도 한다. 이 언어계통에 속하는 인구는 서쪽으로는 인도의 카슈미르에서 티베트, 중국대륙을
거쳐, 동쪽은 타이완에 이르고, 북쪽은 중앙아시아, 남쪽은 동남아시아(베트남, 라오스, 캄보디
아, 예멘, 태국, 인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등에 이른다. 중국티베트어족은 인도유럽어족 다
음으로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종은 현재 방언을 포함해서
400가지나 된다. 중국티베트어족은 고립어(孤立語) 로 성조(聲調)가 있고, 양사(量詞)가 발달되
어 있으며, 문장 구조를 만드는 허사(虛詞)와 어순(語順)이 문법의미를 표현한다.

2-2-4-2. 중국어의 분포와 사용 인구

중국어를 국가 공식어로 사용하는 국가는 중국대륙과 대만 그리고 홍콩이다. 하지만 싱가


폴, 말레이지아 등 국가에서 중국어로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중국어를 사용하는 나라 수는
많지 않지만, 사용하는 인구는 매우 많다. 우리나라의 96배에 달하는 중국대륙에서 13억이
넘는 인구가 중국어를 사용하고, 기타 지역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약 17억 이상으로 예상한
다. 중국대륙,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하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
남, 캄보디아, 버어마 등지의 화교 등이 중국어를 사용한다. 중국의 인구는 세계인구의 22%
를 차지하고 있다. 즉 지구 인구의 5명 중 1명은 중국어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 4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중국 표준어는 현대 북경어(北京語)를 중심으로 구성된 한어(漢語, Hanyu) 혹은 보통화


(普通話, Putonghua)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간체자(簡體字)이다. 하지만 타이완
(臺灣), 홍콩을 포함한 싱가포르, 말레이지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화교(華僑)들이
사용하는 한자는 번체자(繁體字)이다. 타이완은 중국어를 보통화, 한어라고 하지 않고 국어
(國語) 혹은 화어(華語)라고 한다. 싱가포르, 말레이지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의 화교 사
회에서도 화교들은 자신들을 화인(華人)이라고 한다. 중국에는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이
들 소수민족(少數民族)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이지만 소수민족은 각자 고유 언
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정부 또한 소수민족의 언어문화 보존과 발전을 독려한다. 소
수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중국어와는 완전히 다르다. 소수민족의 하나인 조선족은 우리말을
쓰고 배운다. 소수민족의 언어뿐만 아니라, 같은 한족이라도 중국의 방언 차이는 매우 크다.
우리나라처럼 전라도 경상도 말의 차이가 아니라, 거의 외국어 수준이라 같은 중국인이라도
지역간 방언차가 너무 커서 방언으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표준어인 보통화(普通
話)가 제정되어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중국 어느 곳을 가든 보통화로 의사소통은 전혀 문
제가 없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를 국어로 사용하는 타이완, 홍콩을 포함하여 싱가포르, 말레
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다 언어 문화권에서도 중국어 사용이 가능하다.

| 중국어사용국가 분포도 |
출처: 세계 언어백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 연구센터

| 4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2-4-3. 중국어 문자

중국어 문자, 즉 한자(漢字)의 기원은 전설의 인물인 창힐(倉頡)이 글자를 만들었다고 한


다. 3,000년 전에 선보인 갑골문(甲骨文)은 이미 성숙한 문자체계로 한자는 갑골문(甲骨文) ,
금문(金文), 소전(小篆), 예서(隸書),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의 과정을 거쳤다. 시대
적으로 구분을 한다면 갑골문에서 소전까지를 한 단계, 진한(秦漢)시대의 예서 이하를 또 다
른 단계로 본다. 전자는 고문자(古文字)의 범주에 속하고, 후자는 근대 문자의 범주에 속한다.
예서에서 지금 현재 사용하는 한자는 형태적으로 크게 변화가 없다. 한자를 구조상으로 볼
때 합체자(合體字)와 독립자(獨體字)로 구분할 수 있다. 합체자는 3가지로 구분되는데, (1) 형
성(形聲) (2) 회의(會意) (3)전주(轉注)이고, 독립자로는 (1)상형(象形)과 (2)지사(指事)가 있다.
중국의 한자는 알파벳자와 비교해 볼 때, 한자는 시간과 공간적 제한이 없고, 세계에서 유일
하게 3D문자로 표음, 표의, 그리고 형태까지 갖추어 현 단계에서는 인류 문명 중 가장 선진
적 체계를 갖추고 있는 언어 문자라고 한다.

2-2-4-4. 중국어 발전의 역사적인 사건


① 표준중국어 발전사 1911년 이전

한어 표준어의 발전역사는 매우 유구하다. 우선 아언(雅言)과 통언(通言)이란 개념이 있었


다. 춘추(春秋)시대, 민족의 공동어로 아언이 출현하였다. 공자가 각 지역을 돌면서 전파시킨
언어가 바로 아언이고, 이에 대한 기록을 논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論語》 有載:“子所雅
言,詩、書、執禮,皆雅言也”。(공자는 가끔 시경과 상서를 읽고 예(禮)에 대해 찬미할 때 아언을
사용한다.), 아언 외에도 지역마다 쓰는 언어 즉, 방언격인 통언이 있었다. 아언이라 함은 우
리가 흔히 알고 있는 논어, 맹자, 노자 등 고문을 말한다. 명청(明清)시대 이르러 북경음을 대
표로 하는 북방어인 관화(官話)를 청나라 정부가 지식계층에서 통용되는 언어라고 규정하였
고, 중국 전역으로 보급하지는 못하였다. 1909년에 이르러서 청나라 정부는 ‘국어편심위원
회(国语编審委員會)를 설립하여 당시 통용하는 관화를 정식으로 ‘국어(國語)’라고 명명하였
다. 이는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정부로부터 얻은 공식 명칭이다. 1911년에는 중앙교육회의
(中央教育會議)를 열어 <통일국어방법안(統一國語辦法案)>을 통과시켜, 북경관화를 기초 언어
로 하였다.

| 4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② 표준중국어발전사 1911~1949년

중화민국이 건립된 후, 중화민국교육부는 1913년 2월에 북경에서 ‘독음통일회(讀音統一


會)’를 열어, 성(省)대표들이 투표하는 방식으로 다수결원칙에 따라 북경음을 위주로 국음(國
音)을 제정하였다. 회의에서 중국어 독음 발음기호인 주음부호(注音字母)를 통과시켰다. 이
시기에 중요한 사건인 5.4운동(五四運動) 중 문화, 문학혁명 운동인 신문화(新文化)운동이 일
어났다. 서양문물을 접하고 돌아온 해외 유학파인 지식인 진독수(陳獨秀), 노신(魯迅), 전현동
(錢玄同)등 엘리트들의 주도하에 반 전통, 반 공자사상, 반 문언문(文言文), 백화문(白話文) 제
창 운동이 일기 시작했다. 문언문은 고대 한어(중국어)를 기초로 한 서면어적인 글로 옛날 사
대부들과 지식인들이 사용한 글이고, 백화문은 현대 중국어를 기초로 일반 대중들도 배워 사
용할 수 있는 글이었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이두문과 언문의 차이와 같다고나 할까? 1915년
<신청년(新靑年)>이라는 잡지가 발간되면서 민주와 과학을 제창하였다. 이는 2000년 동안 이
어진 전통적인 예교(禮敎) 사상에 대한 반기이다. 1918년1월에 출간한 <신청년> 제4권 제1
호 내용부터 지금까지 사용한 문언문 대신 모두 백화문으로 바꾸고 출간하였고, 새로운 문장
부호 사용, 당시(唐詩)등 전통적인 시(詩)보다는 새로운 시 등을 내용에 실어 발간하였다.

| 신청년 잡지 | | 신문화운동 |

신문화운동의 주장한 사람 중 위대한 문학가, 사상가이자 혁명가인 노신(魯迅)은 1918년


에 발간한 <신청년> 5월호에 중국현대문학사상 처음으로 백화문으로 작성된 소설을 한 편
실었다. 이른바 <광인일기(狂人日記)>라는 소설이었다. 노신은 <광인일기>를 통해 구전통, 구
도덕, 구예교사상에 대해 맹렬한 비난을 퍼부었다. 봉건주의사상 뒤에 숨어 있는 인(仁).의
(義)의 도덕이란 모두 “사람 잡는” 것으로, 2000년 동안 유지해온 중국의 봉건 통치는 바로

| 4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사람 잡는 역사와 같다고 주장하면서 앞으로는 이러한 사람 잡는 사람이 이 세상에서 발붙일


수 없도록 하겠다고 하였다. 이 소설은 신문화운동의 초석이 되었다. <신청년>잡지의 영향
하에 다른 간행물도 모두 백화문으로 발간하기 시작되었고, 전국에 발간되는 문언문 신문도
문언문 외에 백화문으로 된 신문을 함께 발행하였다. 1920년에 이르러 중국 교육부는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 백화문을 가르치고 국음과 주음부호를 가르치도록 하였다.

③ 표준 중국어 발전사 1950년~현재

중화인문공화국이 성립된 후,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존중으로 ‘국어’라는 말이


혹 오해를 불러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여 1955년 10월에 연이어 ‘전국문자개혁회의’
와 ‘현대한어규범문제학술회의’를 열어 현대한어를 ‘보통화’로 고쳐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보
통화의 정의와 표준을 정하였다.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앙추광보통화공작위
원회(中央推廣普通話工作委員會)>를 설립하여 <보통화보급에대한지시 (關於推廣普通話的指
示)>를 발행하였다. 1982년 11월, 제5차 전국인민대표대회 5차 회의에서 통과된 <중화인민
공화국헌법(中華人民共和國憲法)> 안에 전국에서 통용되는 보통화를 국가가 보급한다라는 조
항을 넣었다. 200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중화인민공화국국가통용문자법(中華人民共和國國
家通用語言文字法)>을 확립하고 국가보급보통화(國家推廣普通話)와 규범한자(規範漢字)를 규정
하였다.

| 4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3
일본어권 문화의 이해

2-3-1. 지리적 배경

2-3-1-1. 일본의 지리

일본(日本, NIPPON)은 우리나라와 매우 가까운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 위치하는 도서


국가이다. 수 많은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그것이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일본열도(日本列島)라 칭하기도 한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다섯 개의 큰 섬, 즉 북쪽에서부터
홋카이도(北海道), 혼슈(本州), 시코쿠(四国), 규슈(九州), 오키나와 본도(沖縄本島)를 ‘본토(本
土)’라 하고, 그 밖에 6,847개의 작은 섬들을 ‘이도(離島)’라 하면서 구분을 하고 있다.
2
국토의 총면적은 약 37.8만km 로 세계 61위이며, 한반도 면적의 약 1.7배 넓이에 해당
한다. 국토의 약 70%가 산악 지대이며, 연안 지역에 규모가 작은 평야가 펼쳐지고 있다. 좁
은 평야와 분지에 농경지, 도시 기능, 경제 기능 등이 집중되어 있다.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은 높이 3776m인 후지산(富士山)이며 시즈오카현(静岡県)과 야마


나시현(山梨県)  두 개 현에 걸쳐 있다. 가장 긴 강은 시나노가와(信濃川)로 그 길이는
367km이다. 나가노현(長野県)에서 시작되어 니가타현(新潟県)을 거쳐 동해 바다로 흘러내려
2 2
간다. 가장 넓은 호수는 비와호(琵琶湖), 면적이 670.33km 로 여의도 면적(2.9km )의 약
230배에 달하며 시가현(滋賀県)에 위치한다.

2-3-1-2. 일본의 기후

기후는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건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의료통역을


준비함에 있어 일본의 기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본의 기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일본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기온의 변동 폭이 크지 않으며, 강수량이 많은


해양성 기후에 속한다.
② 국토가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어 남쪽 지방과 북쪽 지방간에 큰 기후 차이가 있다.

| 4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③ 일본열도 중앙에 놓여 있는 산악지대를 경계로 태평양에 면해 있는 지역과 동해에 면


해 있는 지역 간에 기후 차이가 크다
④ 중위도의 대륙 동쪽 바다에 위치하고 있어 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아주 넓은 국토 면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아한대, 온대, 아열대,


열대 등 다양한 기후대가 존재하고 있다.

강수량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연간 1,000밀리미터 이상에 달하며, 일부 연안지역은


2,000밀리미터를 넘는다. 특히 기이반도(紀伊半島) 남동부에는 약 4,000밀리미터의 강수량
을 기록하는 곳도 있다.

연 평균 기온은 북쪽 홋카이도의 삿포로(札幌) 9℃, 수도인 도쿄(東京) 16.9℃, 남쪽 오키


나와의 나하(那覇) 22℃ 등이다.

매년 초여름에서 한여름에 걸쳐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아, 남쪽 지방부터 차례로 ‘쓰유(梅


雨, 장마)’라 불리는 우기에 접어든다.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 경까지 약 한 달 반 동안 장맛
비가 계속되는데, 지리적인 특성상 홋카이도와 이즈・오가사와라(伊豆・小笠原) 지역에는 장
마철이 따로 없다.

장마가 끝나고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의 맑은 날에는 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상승해 광


범위한 지역에서 30℃를 넘는데다 습도도 높아 70% 이상까지 올라갈 때가 많다. ‘고온다습
(高温多湿)’이라 표현되며, 중동지역의 건조한 30℃에 비해 체감온도와 불쾌지수가 높아지고
체력 소모 또한 많아진다고 한다. 또한 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6월에서 10월에 걸쳐 여러
개의 태풍이 일본열도에 상륙하거나 부근을 통과해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날씨와 태풍에 대비하기 위해 일본의 전통가옥은 방과 방 사이에 벽


을 만들지 않고 ‘쇼지(障子)’와 같은 탈착 가능한 칸막이를 사용해 통풍이 잘 되도록 만들어
졌다. 또한 규모가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주택용으로는 저층 단독주택이 비교적
많이 건설된다.

2-3-2. 역사적 배경

일본의 역사, 즉 일본사(日本史)라 하면 일본 또는 일본열도에 관한 역사를 가리킨다. 구

| 4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 수십만 년의 역사가 되기 때문에, 그것을 제한된 지면을 통


해 기술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일본의 시대 구분을 소개하
는 정도로 하겠다.

다만 시대 구분에 있어서도 여러 학자들에 의한 여러 가지 학설이 있어 특별히 정설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헌 사료가 없고 고고학적 사료만 남아 있는
시대(구석기시대~고훈시대)에 대해서는 고고학 상의 시대 구분에 따르고, 문헌 사료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시대(아스카시대 이후)에 대해서는 정치의 중심 소재지에 중점을 두고 시대
구분을 하는 경우가 많다.

| 일본의 시대 구분 |
시기 시대
수십만 년 전 - 약 1만 년 전 구석기시대
약 1만 년 전 - 기원전 4세기 조몬(縄文)시대
기원전 3세기 - 3세기 야요이(弥生)시대
3세기 중엽 – 6세기 말 경 고훈(古墳)시대
7세기 경 - 710년 아스카(飛鳥)시대
710년 - 794년 나라(奈良)시대
794년 – 1185년 헤이안(平安)시대
1185년 - 1333년 가마쿠라(鎌倉)시대
1336년 - 1573년 무로마치(室町)시대
1573년 - 1603년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시대
1603년 - 1868년 에도(江戸)시대
1868년 - 1912년 메이지(明治)시대
1912년 - 1926년 다이쇼(大正)시대
1926년 - 1989년 쇼와(昭和)시대
1989년 - 헤이세이(平成)시대

2-3-3. 문화적 배경

일본의 문화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면 그것만으로도 한 권의 책을 쓰고도 남겠으


나, 문화를 논할 때 자주 사용하는 개념 가운데 하나인 ‘의식주(衣食住)’로 나누어 간략
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 5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① 의(衣)

일본의 전통적인 옷을 뜻하는 ‘기모노(着物=きもの)’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해외 여러 나


라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단어이다. 다만 ‘着物’를 일본어 사전으로 찾을 때 항상 첫 번째에
나오는 풀이는 ‘옷’, ‘의복’이고 그 다음에 ‘양복에 대해 일본 재래의 和服(わふく)를 뜻한다’
와 같은 해설이 나온다.

현대 생활에서 일반인이 기모노를 입는 경우는 별로 없으나, 결혼식이나 성인식 때 결혼


을 하거나 성인이 되는 본인은 기모노를 많이 차려 입는다. 그 밖에 자녀의 유치원이나 학교
입학식, 졸업식 등 특별히 예의를 갖출 필요가 있는 곳에는 기모노를 입고 가기도 한다. 평상
시에도 연배가 많은 여성 중에는 기모노를 입고 외출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체로 남성은 여
성에 비해 전통 옷을 입는 경우나 입는 사람이 많지 않다.

한편 기모노의 가격이 매우 고가인데다 입을 기회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기모노를 렌


트하는 회사도 증가하고 있다.

| 자신이 입을 기모노 보유수 |


보유수 0벌 1벌 2벌 3벌 4벌 5벌 6벌이상
비율 36.2 21.1 13.6 9.9 3.0 6.5 9.7
출처: 산업성 경제산업국, 기모노의 착용에 관한 소비자 조사

② 식(食)

19세기 말까지 북쪽 홋카이도(北海道)에서 남쪽 규슈(九州)에 이르기까지, 일부 식재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는 각 지역에서 자급자족하는 형태로 식생활이 이루어졌다. 그 이후
교통과 음식 저장 기술이 발달되면서 일본 국내에서 비교적 먼 지역까지 각종 식재료가 운반
되어 보다 다양한 식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1960년대부터 식생활이 급속하게 서양화되기 시작해,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쌀이


남아도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일본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약 160킬로그램이었는데, 1986년에는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71킬로그램까지 감소했다. 또
한 고기와 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아이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음식도 계란프라이에서
햄버그로 변했다.

| 5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그리하여 일본의 식문화는 지금 큰 변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직접 음식을 만드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대폭 감소하고 외식(직장인의 점심 외식 포함)을 하거나, 패스트 푸드를 이용하
거나, 편의점이나 마트, 통신판매를 통해 도시락 종류를 구입해서 먹는 경우가 늘고 있다. 조
리된 도시락 등을 밖에서 구입해 집이나 직장에서 먹는 ‘중식(中食=なかしょく、ちゅうしょ
く)’이라는 새로운 풍속까지 등장했다.

가정에서도 세계 각국의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먹고 있으며, 과거에는 없었던 음식의 조


합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의 식재료 수입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일본의 식
량 자급률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수요 또한 현대 식생활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일


본에서 개발된 컵라면, 게맛살 등은 해외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어, 넓은 의미에서 일식의 해
외 진출에 일조하고 있다.

③ 주(住)

2차대전 전까지 일본의 주택은 대부분 목조 1층 내지는 2층 단독주택 구조로, ‘다다미(畳


=たたみ1))’를 깔아 놓은 방(和室)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2차대전 후, 특히 고도 경제성장
이 시작되자 생활양식과 주택 공법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주택의 양식도 크게 변모하고 있
다. 생활양식에 있어 和室을 만들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공법에 있어 고층 ‘집합주
택’은 철근 콘크리트・철골구조 건물이, 저층 단독주택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프리패브리
케이션(prefabrication=プレハブ)공법2)’에 의한 건축이 증가하고 있다.

| 구조별 주택수 |
2013년 2008년 증감율
목조 3011만호(57.8%) 2923만호(58.9%) 3.0%
비목조 2199만호(42.2%) 2037만호(41.1%) 8.0%
그 중 철근・철골 콘 크리트 1766만호(33.9%) 1628만호(32.8%) 8.5%
출저: 2013년 주택・토지통계조사3)

1) ‘畳(たたみ)’를 가리켜 흔히 ‘다다미’라 표기・발음을 많이 하지만, 일본 고유명사 등에 대한 올바른 가나표기법에 따르


면 ‘다타미’가 된다.
2) 건축물의 일부 혹은 전부를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하여 건축 현장에서 조립하는 건축공법. 건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가 있다.

| 5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 주거 형태·층수별 주택수 |
2008년 2013년 증감율
단독주택 2745만호(55.3%) 2860만호(54.9%) 4.2%
공동주택 2068만호(41.7%) 2209만호(42.4%) 6.8%
그 중 11층 이상 263만호(12.7%) 324만호(14.7%) 23.0%
그 중 15층 이상 57만호( 2.8%) 85만호( 3.8%) 47.6%
출처: 2013년 주택・토지통계조사

2-3-4. 언어적 배경

2-3-4-1. 한국어와 일본어의 공통점

일본어는 우리말과 문법구조가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세계의 여러 언어들을 크


게 ‘주어 + 목적어 + 동사(S + O + V)’ 형식과 ‘주어 + 동사 + 목적어(S + V + O)’ 형식으
로 나눌 때가 있는데, 우리말과 일본어는 둘 다 ‘주어 + 목적어 + 동사(S + O + V)’ 구조를
취한다.

또한 단어나 표현의 기원을 고려할 때 우리말과 일본어에는 공통적으로 한자어가 많고4),


그 밖에 고유어(순우리말/和語・大和ことば)와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것 또한 두 언어의 유사
점이라 할 수 있다.

대화 상대에 따라 반말과 존댓말(경어) 등 표현의 정중함의 정도를 달리 한다는 점 또한


공통점이라 할 수 있는데, 일본어는 우리말에 비해 경어 체계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점은 일본어 상급자에게도 결코 쉽지 않아, 의료통역을 포함한
각종 통역을 수행하는 통역사들도 일본어의 경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이 조사는 5년마다 한 번씩 실시하여 결과를 공개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현재 시점에서는 2013년도 숫치가 최신
정보이다.
4) 조사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도 있으나,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 중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2 정도에
달한다고 한다.

| 5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3-4-2. 경어의 종류
① 尊敬語

존경의 대상이 되는 사람 자신, 그 사람의 행동, 소유물, 놓여 있는 환경 등을 높임으로써


그 사람에 대한 경의를 나타낸다.

② 謙譲語

자기 자신, 자신의 행동, 소유물, 자신이 놓여 있는 환경 등을 낮추어 표현함으로써 상대


방에 대한 경의를 나타낸다.

③ 丁寧語

「お」「ご」 등의 接頭語를 붙이거나 「です」「ます」를 붙여 정중한 표현을 함으로써 상대방


에 대한 경의를 나타낸다.

실제 경어 표현의 사례를 표 형식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 주요 경어 표현의 사례 |
基本形 丁寧語 尊敬語 謙譲語
する いたします なさる、される させていただく
言う 申し上げます おっしゃる 申し上げる
行く 参ります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うかがう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来る 来ます 参る
みえる、お越しになる
知る 知っています お知りになる、ご存じだ 存じる、承知する
食べる 食べます 召し上がる、おあがりになる いただく、頂戴する
いる います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おる
見る 見ます ご覧になる 拝見する
聞く 聞きます お聞きになる 拝聴する、うかがう
座る 座ります お掛けになる お座りする
会う 会います お会いになる、会われる お目にかかる
伝える 伝えます お伝えになる 申し伝える
わかる わかりました おわかりになる、ご理解いただく かしこまる、承知する
読む 読みます お読みになる 拝読する
与える あげます、差し上げます くださる いただく、頂戴する

| 5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基本形 丁寧語 尊敬語 謙譲語


賜る、頂戴する、
受け取る 受けとります お受け取りになる
拝受する
利用する 利用します ご利用になる 利用させていただく
思う 思います お思いになる、おぼし召す 存じ上げる、拝察する
買う 買います お買いになる、お求めになる 買わせていただく
考える 考えます お考えになる、ご高察なさる 考えておる、拝察する
待つ 待ちます お待ちになる、お待ちくださる お待ちする
帰る 帰ります お帰りになる、帰られる おいとまする
お心遣い、お気持ち、
思いやり – 気持ち、微意
ご厚情、御芳情
粗品、粗菓、
品物 – 賜り物、佳品
心ばかりの品、寸志
会社 – 貴社(きしゃ) 御社(おんしゃ) 弊社(へいしゃ)
店 – 貴店(きてん) 弊店(へいてん)
銀行 – 貴行(きこう) 弊行(へいこう)
学校 – 貴校(きこう) 弊校(へいこう)

또한, 문장 끝 부분(문말: 文末)의 표현 양식에 따라 敬語体와 普通体, 敬体와 常体, 혹은


「です・ます体(形)」와 「だ・である体(形)」로 분류하기도 한다. 표현은 다르지만 敬語体, 敬体,
「です・ます体(形)」는 사실상 같은 의미이며, 普通体, 常体, 「だ・である体(形)」 역시 같은 의
미로 사용된다.

2-3-4-3. 일본어의 악센트

이 세상의 모든 언어는 반드시 어떤 부분을 강하게, 혹은 높게 발음하며, 다른 부분은 상


대적으로 약하게(또는 낮게) 발음하게 된다. 만약 강약의 변화, 높낮이의 변화가 없다면 기계
나 로봇이 하는 말로밖에 들리지 않을 것이다.

영어처럼 어떤 음절을 다른 음절보다 강하게 발음해야 한다는 규범성이 강해서, 그 악센트


대로 발음하도록 약속되어 있는 언어도 많다. 반면에 한국어(특히 서울말)의 경우에는 발성한
결과로서 어떤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더 강하게(또는 높게)들리기는 하지만, 처음부터 어느 단
어는 어느 음절을 강하게(높게) 발음해야 한다는 규범성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학술
적으로 영어는 악센트가 있는 언어이고, 한국어(서울말)는 악센트가 없는 언어로 분류된다.

| 5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일본어를 공부하는 학습자 중에는 한국어처럼 일본어(東京語)에 있어서도 특별히 정해진


악센트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이것은 물론 크게 잘못된 오해이며,
일본어는 단어마다 어떤 부분을 높게, 어떤 부분을 낮게 발음해야 한다고 정해져 있는 ‘고저
악센트’가 있는 언어이다.

일본에는 지방마다 여러 방언이 있고, 악센트에 있어서도 몇 개의 型으로 나누어지지만,


표준이 되는 것은 역시 東京語이다. 그 악센트의 큰 특징과 법칙의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東京語의 악센트는 強弱악센트(stress accent)가 아니라 高低악센트(pitch accent)이


다. 즉, 소리의 강약에 의해서가 아니라 높낮이에 의해 변별기능을 발휘한다.
② 악센트의 “段(높이)”은 이론적으로 /高/와 /低/ 2段으로 나누어지며, 그 사이에 /中/과
같은 다른 높이의 段은 존재하지 않는다.
③ 제1拍(단어의 첫 번째 소리) 과 제2拍(단어의 두 번째 소리) 사이에서는 반드시 /高/에
서 /低/로, 또는 /低/에서 /高/로 악센트의 段이 변화한다.
④ 한 단어 내에서 한 번 높은 단에서 낮은 단으로 악센트가 하강하면 다시 높은 단으로
상승하는 일이 없으며, 만일 그러한 경우에는 두 단어처럼 들리고 만다.

또한, 일본어의 명사 중에는 4拍語가 압도적으로 많다. 상당히 많은 한자어가 두 한자로


이루어지는데, 그 대부분이 4拍語라는 이유 등에 기인한다. 소속어휘가 가장 많은 4拍語 가
운데에는 平板型5) 악센트가 약 4분의 3을 차지하고, 3拍語와 5拍語에서도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平板型이 명사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악센트型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의 악센트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기도 한다. 그 변화 중의 하나가 起伏型에서


平板型으로 변하는 平板化 현상이다. 예를 들어, 옛날에는 보통 「エイガ(映画: 고저저)」로 발음
되던 것이 최근에는 「エイガ(저고고)」로도 발음되는 경우라든가, 과거에는 「ジドーシャ(自動
車: 저고저저)」로 발음되던 것이 지금은「ジドーシャ(저고고고)」로도 발음되는 경우 등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平板型은 그 소속 어휘가 증가하는 일은 있어도 감소하는 일은 없다

5) 악센트의 핵이 없는 단어. 즉 높은 段으로 상승한 후 끝까지 낮은 段으로 하강하지 않는 단어이다. 말 그대로 이 악센


트형의 단어는 소리의 기복(높낮이의 변화)이 없고 평탄하게 들린다. 名詞가 平板型일 경우에는 다음에 이어지는 助詞
부분까지 높은 段이 유지된다.

| 5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명사의 악센트 연습에 있어서는 平板型에 특히 많은 배


려를 해야 할 것이다.

의료통역을 포함해 각종 통역을 함에 있어 일본어의 악센트에도 충분한 배려를 하여, 정


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정확한 발음뿐만 아니라 올바른 악센트를 구사하면서 발화하는 데 관
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名詞의 악센트型別 構成 比率 |
(단위 : %)
頭高型 中1高型 中2高型 中3高型 尾高型 平板型
1拍語 68.9 - - - - 31.1
2拍語 65.4 - - - 17.4 17.2
3拍語 38.4 5.7 - - 6.1 49.8
4拍語 7.0 11.8 5.7 - 1.7 73.8
5拍語 3.7 13.3 52.8 4.9 1.5 23.8
출처: 김한식(2013), 한일 통역과 번역

| 5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4
러시아어권 문화의 이해

러시아어권이란 일반적으로 러시아와 CIS국가를 의미한다. 물론 러시아어권이라고 해도


국가별로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으며, 다민족의 문화와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지역이어서
러시아어권 문화를 한 두가지 특성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여기에서는 러시아의 지역을 중심
으로 지리, 역사, 문화 및 언어적 배경을 개괄한다.

2-4-1. 지리적 배경

러시아어권의 지리적 특성은 한마디로 광활한 영토와 다양한 기후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 광활한 지역을 유라시아대륙이라 칭하며 우랄산맥경계로 하여 아시아와 유럽으로 나뉜다.
러시아 연방의 전신인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 연방(소련, USSR)은 세계 최대의 영토를 소
유했었다. 그 크기는 2,220만여 제곱킬로미터로 중국, 미국, 인도를 합한 것에 맞먹으며 한
반도의 100배가 넘는다. 이 광활한 지역이 현재 러시아, CIS국가들로 구성되며 러시아어가
소통되는 지역이다. 북극을 뒤로하는 이 지역이 아시아 전체의 지붕역할을 하고 있다.

1991년 말 소비에트 제국의 핵심체였던 러시아연방이 새로운 이름으로 등장했다. 이 국


가가 우리가 아는 오늘날의 러시아인데, 새로운 러시아 역시 영토의 크기가 1,700 만여 제곱
킬로미터로 여전히 중국의 배에 가까운 크기이다. 이 가운데 1,350만 제곱킬로미터에 해당
하는 땅이 바로 오늘 날 인류의 무한한 천연자원의 보고로 부상하는 한반도의 이웃, 극동 시
베리아 대평원이다. 동쪽 끝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해가 뜨면 동시에 서쪽 끝 상트페테르부르
크에서 노을이 진다는 러시아는 광활한 영토에 1억4천5백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러시아는 지구상 최대의 지하자원 보유국이다. 자원은 인구, 영토면적과 함께 강대국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본 조건이다. 영토가 광활한 만큼 다양한 지질 구조가 발달하여 지
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자원이 묻혀있다. 그것도 매장량 선두를 달릴 만큼 풍부
하다. 세계에너지위원회(WEC)의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는 니켈, 철광석, 동, 금, 코발트 등
다양한 광물자원의 세계적 매장지이다. 철광석은 세계1위, 석탄, 니켈, 코발트는 세계2위, 금
은 세계 4위, 동은 세계 9위의 부존량을 자랑한다. 또한 세계 1,2위를 다투는 다이아몬드 매
장지이자 생산지이다.

| 5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최근 특히 주목받는 지하자원은 에너지 자원이다. 극동과 동시베리아 지역의 석유.가스


지대에서 현재까지 탐사된 매장량을 고려할 경우, 러시아의 석유자원은 세계 매장량의 10%
를 상회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러시아 에너지 자원 중에서 세계적으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 것은 천연가스이다.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은 전세계 매장량의 30% 이상이며,
생산량은 세계 전체 생산량의 약 22%를 점하고 있다. 석유와 마찬가지로 천연가스 역시 아
직 시추되지 않은 극동과 시베리아 지역에 추가적으로 막대한 양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
려진다. 이렇듯 광활한 국토 안에 매장된 다양하고도 풍부한 천연자원, 특히 전략자원인 엄
청난 석유, 가스, 자원의 부존은 향후 러시아의 국가적 발전 잠재력을 가늠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평가 요소다.

러시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대부분 지역이 겨울에 급속히 추워지고, 여름
에는 기온이 급속하게 상승한다. 지역에 따라 연교차가 크게 차이가 나는데, 시베리아 베르
호얀스크는 연교차가 60℃가 넘어 세계에서 가장 연교차가 큰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봄, 가을은 아주 짧고 주로 여름과 겨울의 두 계절이 두드러진다. 1월에는 한랭 고
기압이 시베리아에서 형성돼, 대부분의 지역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큰 추위가 찾아온다.
7월부터 약 2~3개월간 강수가 집중되며, 기온은 북극 해안이 약 5~10℃, 시베리아 지역이
약 15℃, 유럽러시아 지역이 약 20℃를 나타낸다. 모스크바 부근의 겨울 평균 기온은 영하
10℃ 정도, 여름 평균 기온은 16℃ 정도. 대부분 지역의 강수량은 500mm 이하이다.

2-4-2. 역사적 배경

러시아 민족의 기원을 이루는 고대 슬라브족은 원래 수렵과 어로를 겸한 농경.목축민족으


로서 흑해 북안과 카르파티아 산맥 남단에 기원전 10세기 또는 그 이전부터 원주했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기원전 5세기경에 이르러 슬라브족의 인구가 많이 증가했다. 동시에
당시 남러시아 초원지대에 강력한 유목왕국을 건설한 스키타이의 압박을 받아 동북쪽과 서쪽
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스키타이족의 뒤를 이은 보다 강력한 이란계 유
목민인 사르마트족, 그 뒤 북구의 해양민족이었던 동고트족, 그리고 다시 호전적이고 파괴적
이며 침략적인 아시아의 몽고 터키계 여러 유목민족들, 즉 훈족, 아바르족 등이 차례로 남러
시아 초원지대의 지배자가 되면서 기원후 6세기에 이르기까지 인종과 민족의 이동과 결합이
무려 천여 년 동안이나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 5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러시아는 천년이 넘는 기독교 국가였으며, 전통적으로 러시아의 통치자들은 기독교 군주


였다. 서기 988년 비잔틴제국, 즉 동로마제국으로부터 정교회(Orthodox church)가 정식
국교로 들어와 러시아와 러시아인의 마음속에 심어 준 것은 세속 황제가 교황권까지 장악한
다는 이른바 황제교황주의(Casaropapismus), 구원주의, 형제애를 바탕으로 한 평등주의 등
의 사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은 러시아인의 의식구조 형성에 절대적 영향을 끼쳤으며,
러시아의 온 역사를 통해, 특히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러시아인들의 애국주의적 국민감정
속에서 강렬히 표출되곤 했다.

기독교 수용은 소수 귀족사회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귀족계급은 통치자들 못지않게


열성적으로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임으로써 야만 상태에서 벗어나 문명세계의 일원이 되고자
했으며, 동시에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 강화하고 보호받기 위해 최고 권력에 밀착하면서 기독
교를 서둘러 수용했다. 반면에 국민의 절대다수였던 하층계급은 오랫동안 이교적인 자연신
및 조상신 숭배를 비롯한 갖가지 토속신앙에 젖어 있어서 처음에는 쉽게 새로운 신앙을 받아
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결국 역사적 수난을 겪은 러시아인들은 현세의 고통을 통해
내세를 확실하게 보장해준다는 정교회의 구원주의 사상에 급속히 빠져들었다. 그 결과 그리
스정교에 러시아의 토속신앙이 자연스럽게 융합된 러시아정교를 형성해 나가게 되었다. 점차
러시아인은 현실 국가의 최고 통치자가 비잔틴제국에서처럼 교회권을 군주권의 하위에 두고
세속권까지 장악하고 있는 하느님의 대리자이며 절대적 지배자라고 믿게 되었다. 그리고 이
러한 국민적 정서의 바탕 위에 이루어지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는 국가 우위의 상호보완적 관
계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키예프 시대는 물론 그 뒤의 러시아 역사 속에서도 전통
적인 것이 되었다.

흔히 러시아 역사를 수난과 단절의 역사라고 규정한다. 초기 유목민들의 침입, 몽고 타타


르의 압제, 여러 차례의 서구세력의 침략은 러시아인들의 수난의 역사를 잘 보여준다. 러시
아 역사는 키예프 시대(862-1240)로부터 시작해 모스크바 공국 시대(1263-1547), 모스크
바 왕국 시대(1547-1721), 제정 러시아 시대(1721-1917)를 거쳐 소비에트 러시아 시대
(1917-1991)와 오늘날의 신생 러시아연방 시대(1992- )로 이어진다. 단절의 역사는 9세기
중엽 국가가 창건 된 이후 13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초 표트르대제(표트르 1세, 1682-1725)
시기까지 그리고 다시 1917년 10월 혁명부터 1991년 말 소련 붕괴까지의 기간이다. 이 두
시기에 러시아는 외부 세계와 철저하게 단절되어 있었다. 또한 러시아는 격동의 역사 속에서

| 6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세 차례에 걸쳐 결정적인 개혁의 고비를 겪었는데, 그것은 바로 표트르 대제, 알렉산드르 2


세(1855-1881), 고르바초프(1985-1991)의 개혁 등이다. 그리고 이 세 개혁은 바로 1917년
10월의 볼셰비키 혁명 및 1991년 말의 소련 붕괴와 직간접적으로 인과관계에 있다.

소련이 붕괴되고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에는 모두 15개의 국가가 새롭게 탄생하였다. 발


트해 연안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3국을 제외한 12개국은 1991년 12월에 독
립국가연합(CIS)으로 재결성되었다. 그러나 1995년 투르크메니스탄이 영세중립국으로 국제
사회로부터 승인받으면서 비공식 참관 국가가 되었고 조지아는 2008년 러시아와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는 2014년 러시아의 크림 합병 이후 CIS에서 탈퇴하면서 현재는 모두 9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CIS 국가들 가운데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키
즈스탄 5개국은 2015년 1월부터 유라시아 경제연합(EEU)을 출범시켜 빠르게 경제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2-4-3. 문화적 배경

광대하고 가혹한 자연 환경은 러시아인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외경심과 인종하는 자세


를, 동시에 자연 창조의 절대자에 대한 순종의 마음을 갖게 했다. 미르(mir, 농촌공동체)라는
공동운명체적 집단을 이루어 살면서 외경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자세를 습득하게 되었던 것
이다. 러시아인 의식 구조의 매우 중요한 부분은 바로 그들에게 주어진 자연환경에로의 종속
그리고 그에 따른 민족적 수난이 궁극적으로 기독교의 수용을 통해 순화되었다는 점이다.

수난을 종교적으로 순화시키는 문화적 공통점 이외에 러시아는 다민족으로 구성된 나라


로 일률적인 문화를 갖고 있지 않았고 실은 현재에도 그렇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정
치이념적으로 통일 된 후, 국가적 통제에서 기인한 가부장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면모를 보여
주었지만 이는 이념적 차원에서 바라 볼 것이 아니다. 러시아에는 이미 오래전부터 종교적
감수성에 근거한 가족중심적이고 공동체중심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공산주의의 역사는
이러한 러시아 문화의 몇 가지 면모를 극적으로 강조한 것 뿐이다.

자연환경과 역사적 시련을 통해 집단주의와 집권주의적 요소는 러시아인들의 의식구조에


이미 반영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러시아 문화코드는 자연에 대한 순응, 절대자에 대한 순
종, 가부장주의, 디오니소스(Dionysos)적 불같은 성격, 금욕주의적 묵시론적 구원주의, 초월

| 6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주의, 통치권자에 대한 갈망과 복종, 교조주의, 권위주의, 관료주의, 정치적무관심, 대외혐오


증적 애국심 등이다. 이러한 문화코드를 바탕으로, 러시아인의 일상생활이나 의사소통은 인
내와 순종, 타인에 대한 배려, 여유, 감성적 신뢰, 비형식적이고 무주어적인 표현의 문장 등
으로 드러난다. 러시아인의 의사소통 방식은 매우 은유적이고 비유적이며 이심전심의 방법을
취한다.

미학은 러시아의 것이다. 러시아인들은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자연의 아름


다움을 집약시켜 생활문화에 적용시켜 왔다.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는 도스토예
프스키의 사상도 오랜 민족 사상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음악, 미술, 문학 등을 통해
아름다움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느끼고자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따라
서 아름다움이야말로 감동을 일으키는 원천이 되었고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 인간은 죽은 고
기 덩어리와 같다고 여겼던 것이다. 러시아인은 이런 이유로 인간의 약점에 가장 관대하다.
러시아인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악한 인간이다.

러시아인의 문화예술 사랑이 각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러시아인은 음악, 미술, 발레,
나아가 문학 등 모든 영역의 예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러시아인
들은 높은 자국 문화의 문화예술에 대한 자부심이 높고, 문화생활은 그들의 일상이다. 가족
친지들과 더불어 음악회, 미술전람회, 발레, 연극 공연장을 찾는 것을 매우 당연하고 자연스
럽게 여긴다. 전시회나 박물관을 찾는 부모와 아이, 조부모와 아이의 모습을 자주 볼 수 있
다. 조부모와 부모로부터 전시품에 관한 설명을 듣는 진지한 아이들의 표정이 인상적이다.
또 러시아인들은 서로 집으로 초대하고 초대 받는 것을 기쁨이자 영광으로 생각한다.

러시아인의 꽃 선물은 이 문화를 실생활에서 드러낸 것이다. 친척이나 친구 등 축일, 각


종 행사에 초대 받았을 때 꽃을 선물로 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여성이 초대하는 경우
는 반드시 꽃을 선물해야 한다. 이 경우 주인은 꽃을 받아서 손님이 볼 수 있는 장소에 꽂아
두는 것이 좋다. 조문의 경우 꽃을 짝수로, 축하의 경우 홀수로 준비한다. 러시아에는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어디든 꽃가게가 있다. 굶으면서도 음악회에 가거나 초대를 받았을 때에는 호
주머니를 털어 꽃을 사들고 가는 러시아인의 심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걸하는 거지가
발레 공연장에는 깔끔한 옷을 입고 나타났다고 놀라워하는 우리 언론의 보도는 이러한 러시
아인의 실제 삶이며, 그들의 문화예술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다.

러시아인은 외국인을 포함한 타인을 대할 때 대외혐오증이나 적대감을 어느 정도 가지고

| 6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있는 편이다. 이는 수난의 역사에 기인한 면이 크다. 하지만 친해지면 같이 말하기를 좋아하


고, 매우 정감있고 친절하게 대한다. 이는 공동운명체적 집단주의 생활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러시아인들은 식사와 술자리가 이어지는 우리의 2차 문화와는 달리, 보드카를 겸
한 저녁 식사만 두세 시간 하는 것이 보통이고 심지어 네 시간을 넘기기도 한다. 그래서 술
은 주로 이야기를 하기 위해 마신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인들은 첫 잔을 건배할 때 술을 남
기면, 불행을 남긴다는 속설이 있어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원샷’식으로 첫 잔은 모두 단숨에
들이킨다. 그리고 분위기에 따라 ‘원샷’은 세 번째 잔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일제
건배 다음부터는 잔을 돌리거나 주고받지 않고 스스로 또는 주위 사람이 첨잔해주는 것이 관
례이다. 대화 중간 중간에 자천 타천으로 건배제의가 이루어지는데 러시아인들의 건배 제의
는 무작위로 돌아가면서 거의 모두가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러시아에서 에티켓은 일반적으로 편안하고 비형식적이다. 물론 러시아에도 오래전부터


전해지는 관습과 관례가 수없이 많다. 러시아인은 상대방의 이야기 도중에 끼어드는 법이 없
으며, 서구인들처럼 맞장구를 치지도 않는다. 서구처럼 사생활과 회사생활이 명백하게 구분
되지 않는다. 러시아인들이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을 구분하지 않는 다는 뜻이 아니다. 이런
러시아인의 태도는 러시아 사회가 법치(法治)보다는 인치(人治)에 의해 움직인다는 사실과 맥
락을 같이 한다.

러시아 사우나 바냐는 러시아인들의 비즈니스 생활에서 매우 특별한 역할을 한다. 소비에
트 시절 대부분의 합의와 의사결정이 사우나에서 이루어졌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6시간의
사우나 시간 중 대부분의 러시아인은 30분 정도 땀을 흘리고 나머지 시간은 서로 테이블에
둘러앉아서 보낸다. 러시아인은 유머를 좋아하고 보드카를 즐겨 마신다. 술자리를 겸한 모임
이 농담으로 시작해 농담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으니, 러시아에서 비즈니스를 잘 하려면 유머
감각이 필요하다. 러시아인은 술을 마시고 싶을 때 가까운 친구들과 사석을 이용하지, 공적
인 자리에서는 결코 지나치게 마시지 않는다.

2-4-4. 언어적 배경

러시아어는 언어 계통상으로 원시 슬라브어 또는 일명 정통 슬라브어가 기원이 되는 슬라


브어과에 속한다. 슬라브어는 발트어, 게르만어과, 인도 아리안어과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
고 있다. 슬라브어는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보 크로아티아, 불가리아어, 이외

| 6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에 소수민족의 언어가 있다. 러시아어에는 대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백러시아어의 세 방언


이 있으며 보통 러시아어라고 할 때 대러시아어 방언을 가리킨다.

대러시아 방언은 북부계열, 남부계열, 중부계열로 구분된다. 현대 러시아 문어는 모스크


바 방언에 기초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주로 북부방언의 자음체계와 남부방언의 모음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대러시아 방언의 음성코드를 받아 적은 것이 키릴 문자이다. 그리스 문자와
형태 상 유사한 점이 있지만 슬라브 족 세계에서 사용되면서 지역 언어에 맞게 변형되어 왔
다. 사회학적인 차원에서,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18세기에 표트
르 대제가 서구화 정책을 추진한 이래로 서유럽 언어에서 많은 낱말을 차용했다. 19세기 시
인 알렉산드르 푸슈킨의 작품은 이후 러시아어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어는 모국어민 약 1억 5천만 명에, 러시아어 사용자 1억 1천만 명의 언어이다. 중


국어를 제외한다면 동북아 및 유라시아 대륙 최대의 언어이다. 일본어와 독일어에 이어 세계
6위의 중요언어로도 자리를 잡고 있다. 언어는 사용자가 많아야 중요해지는 듯 하지만 실은
그렇지만은 않다. 해당언어로 만들어지는 제품, 서비스, 인간, 금융, 정보의 교역량이 많아야
중요해지는 것이다. 그러한 민간의 러시아어 교역량이 한국에서 풀뿌리부터 퍼져나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 한국어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들이 전화로 도움을 요청하면 24시간
19개 외국어로 소통을 도와주는 bbb(before babel brigade) Korea에 따르면, 2017년 19
개 언어 별 통역 요청 건 수에서 러시아어가 1위를 하고 있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누적
78,567 건의 전화 통역 요청 중, 러시아어가 24.8%, 영어가 23.9%, 중국어가 17%를 차지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의료관광이라는 신성장동력 의료통역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2009년
부터 보건복지부 인력개발원은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어, 아랍어, 베트남어, 몽골어 의
료통역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가동시켰다. 2017년 기준 의료통역 수요에서 러시아어는 영
어에 뒤를 이어 중국어와 공동 2위의 언어로 자리하고 있다.

| 6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5
아랍어권 문화의 이해

아랍 문화는 유목 사회의 전통에서 기인한 유목사회 문화와 이슬람 문화로 대표 된다. 두


문화는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크게 구분이 없이 하나의 문화권으로 인식될 정도로 혼재되어
오늘날에는 아랍문화가 이슬람 문화인 것처럼 간주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아랍사회에는
5~10%에 이르는 소수 기독교인이 있으므로 구분하여 문화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2-5-1. 지리적 배경

아랍국가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


트,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집트, 남수단, 북수단,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
코, 모리타니아, 소말리아, 지부티, 코모로 등이 있다.

http://www.arabfilmfestival.org/arab-world-map/

아랍 지역은 MENA(Middle East & North Africa)지역이라고도 불리는데, 마쉬리끄(해


뜨는 지역)에 속하는 국가는 이집트와 이집트 동쪽에 위치한 국가들, 즉 레반트 지역과 아라
비아반도 지역을 포함한다. 마그립(해 지는 지역)에 속하는 국가는 북아프리카 리비아부터 모
리타니아에 이르는 지역을 일컫는다.

대부분의 아랍 지역은 레바논을 제외하고 사막성 기후대(여름 건기, 겨울 우기)에 속한다.

| 6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아랍 세계에서 주의해야 할 환경 요소에는 color shock와 탈수현상이 있으며, 걸프지역에


서는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환풍 장치(혹은 ‘냉방 타워’, wind tower, )를 사용하기
도 한다. 한국과 아랍에미리트 수교 30주년 기념으로 우표를 발행했을 때 한국의 경복궁 아미
산 굴뚝과 아랍에미리트의 냉방 타워를 상징적으로 비교하여 기념우표를 발행한 적이 있다.

https://ar.wikipedia.org/wiki/%D9%85%D9%84 https://www.pinterest.fr/pin/314407617711218
%D9%82%D9%81 635/

이처럼 더운 사막성 기후의 사회이기 때문에 물이 귀하여 손님들에게 물을 대접하는 경우


가 있다.

2-5-2. 사회적 배경

오늘날 아랍사회에서 유목민의 비율이 높지 않지만, 아랍사회의 근간에는 유목문화가 강


하게 나타난다. 유목사회는 아랍인이라는 민족보다 자신이 속한 부족을 중시하는 부족중심

| 6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사회이다. 부족은 규모에 따라서 혈족일 경우도 있지만, 작은 혈족은 다른 혈족과 연합하여
부족연합체를 이룬다. 이렇게 부족을 크게 형성하는 것은 유목사회에서 힘을 나타내는 남성
의 수가 많다는 사실을 표명하기 위함이다.

유목사회의 공동체를 ‘움마’( )라고 하는데, 이 공동체에는 소속된 지역에 따라서 도시


법과 사막법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유목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법보다
부족법과 부족 내의 규율이 먼저이다.

이러한 유목 사회에서는 중요시하는 요소는 힘과 명예이다. 우선 부족사회에서 힘이란 전


쟁 가능한 남자의 수로 가늠되기 때문에, 선호하는 여성상이 다산능력이 있는 여성이었다.
유목 사회의 특성이 많이 남아 있지 않고, 도시화, 현대화 된 사회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하
게 가냘픈 사람을 미인으로 생각하지만, 예전 유목 사회에서는 아들을 많이 나을 수 있는 사
람이 미인인 셈이었다.

부족의 힘이 유목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이므로 부족 내에서 다산을 강조하였고, 부족에게


충성스러운 부족민을 키워내기 위해서 아랍 지역의 공동체는 순혈주의를 강조해 왔다. 이처
럼 부족 내 순혈주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족내혼이 많은데, 보통 4촌 간의 결혼이 일반
적이다. 이처럼 순혈주의를 강조하는 사회이므로 입양이 허락되지 않는 특징이 있고, 족내혼
이 많아 지중해빈혈(Thalassemia)이 많다. 부족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 아랍 지역의 부족
사회는 부족의 명예를 해치는 경우가 있을 때 명예살인(honor killing)을 서슴지 않는다(엄
익란, 2015: 43~49).

유목 사회의 특징 중에는 다음과 같은 점이 있다.

(1) 이웃은 없지만, 친구가 있는 사회이다. 그러므로 길을 지나갈 때 처음 마주치는 모르


는 사람에게도 인사를 하곤 한다.
(2) 골목이 없는 사회라서 아랍 사회 구성원은 우리 눈으로 보기에 부끄러움이 적거나 아
주 없는 사람들로 보인다. 만약 아랍 사람이 영어 단어를 100개만 안다면 우리 눈에
는 무모하게 보일 정도로 용감하게 영어로 대화를 한다. 또 영어가 유창하다는 아랍
인을 만났을 때 그 유창성의 기준이 우리와 다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3) 유목 사회는 정착사회와 다르게, 보이지 않는 지역을 구분하거나, 구분하는 경계가 정해
져 있다. 이러한 점은 관습법과 같이 일정한 지역을 관장하는 부족의 관습법에 따른다.

| 6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4) 유목사회에서는 부동산보다 이동 수단과 동산(動産)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는 이슬람 은행에 이자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정한 지역에 정착하지 않은
유목민들의 특성이 오늘날까지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5) 유목사회에서는 남녀가 유별하여 한 자리에 섞이는 일이 없다.
(6) 유목민들은 현대 도시민의 눈에 사회성이 부족한 것으로 비춰진다.
(7) 유목 사회나 오늘날 많은 아랍 사회에서 뛰는 사람을 보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들어
서 아랍 사람은 생산성이 낮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8) 아랍 사람들은 도시에 살면서도 대가족이나, 공동체 생활에 익숙하다. 이는 마치 도시
에서도 작은 부족을 이루고 사는 듯한 모습니다.
(9) 아랍 사람들 중에는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원래 유목 사회에서
약속이란 ‘저녁식사 후에 보자’, ‘내일 아침에 보자’ 등의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10) 유목민은 대대로 제조업보다는 상업을 선호한다. 그래서 아랍 사람들이 물건 값 흥
정을 잘 하는데, 아랍 사람들의 관습에 물건 값을 깎는 것이 예절이라고 한다.

2-5-3. 언어적 배경

아랍 국가는 아랍연맹 가입국이면서 아랍어를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하는 23개국


(국제사회에서는 22개국+팔레스타인 자치제)을 일컫는다.

2-5-3-1. 아랍어의 위상과 특성

아랍어는 계통상 셈 어에 속한다. 아랍어는 28개의 자음과 3개의 기본 모음을 사용한다.


아랍어 자음은 전세계에서 라틴어 글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문자이며, 셈 어 22
자에 6자( )를 더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랍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한다.

아랍어는 UN의 6대 공용어(영어, 불어, 중국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중 하나이


며, 세계 4대 광역어(廣域語)이다. 또 아랍어는 이슬람교의 경전인 코란의 언어로 세계의 14
억 무슬림이 사용하는 종교 언어이기도 한다.

아랍어에서는 남성형과 여성형이 사용되며, 고대 언어에서 볼 수 있는 양수(쌍수)를 사용


한다. 아랍어는 자음 위주의 언어로, 주로 3자음 어근을 갖는데, 이 3자음 어근 사이사이에

| 6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모음이나 다른 첨가어 (affixes)가 삽입되어 단어를 형성한다. 즉, “drs”라는 어근의 단어 형


성을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공부한다’

어근 d r s
모음 Ø - u (능동/미완료형/동사)
수&동사 상태 - u (단수/직설법)
주어 표지어 ya------- (3인칭/남성)
어(간)형 yadrusu (그는 공부한다)

2. ‘학교’

어근(자음) d r s

모음 Ø - a - a

접두사 ma ------

접미사 ------ t

어(간)형 madrasat (학교)

‘학교’(madrasat)라는 단어는 3 자음으로 구성된 어근(자음) ‘drs’ 사이에 불연속 형태소


‘Ø-a-a’라는 모음들이 들어간 것 이외에도 장소명사를 나타내는 접두사(prefix) ‘ma’와 개
체명사를 나타내는 접미사(suffix) ‘t’가 들어간 형태이다.

아랍어 문장에는 ‘~이다’(영어의 be 동사)라는 동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처럼 계사


(copula) 없이 주어와 서술어만으로 구성된 문장을 명사문이라고 한다. 아랍어에서 동사가
사용되는 문장에서는 동사가 문장의 제일 앞에 오는 것이 원칙이다. 아랍어의 어순은 ‘동사+
주어+목적어’의 순인데, 이러한 종류의 언어를 VSO (verb + subject + object)언어라고 한
다. R. S. Tomlin(1986)이 조사한 세계 402개 언어 중 VSO 어순을 갖는 언어는 37개로,
전체 언어의 9.2%를 차지한다.

VSO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동사 + 주어 + 목적어 순이다.

| 6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 전치사를 사용한다.
• 피수식어가 수식어(관계대명사 수식절을 포함하여) 앞에 온다.
• 의문사가 문두에 온다.
• 형용사가 부사 앞에 온다.
• 복합어에서 뒤에 오는 단어는 소유격이다.
• 조동사가 본동사 앞에 온다.
• 숫자가 명사 앞에 온다.

아랍어가 형태적으로는 굴절어 (inflectional language), 자음 사이에 모음이 들어가는


특징 때문에 접요어 (infixing language), 내부 굴절어 (introflexive language), 어근 굴절
어 (root-inflected language) 라고 불린다. 또 통사적으로는 문법의존도가 높은 다통합적
인 언어(polysynthetic language)에 속한다.

아랍인은 주제가 사소해도 말이 길고 많으며, 말로 천냥 빛을 갚을 정도로 수사적인 표현


을 많이 사용하며 언변이 좋은 편이다. 아랍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슬람 식 표현들 중에는
아랍의 IBM이라고 불리는 ‘인샤알라’, ‘부크라’, ‘마알라이쉬’, 그리고 알함두 릴라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 아랍어가 세계 여러 언어에 기여한 바가 많다. 중세 서양의 암흑기는 아랍세


계가 황금기였는데, 이때 세계 문화를 주도한 아랍어에서 전파된 영어 단어 중에 alcohol,
alkali, almanac, algebra, alchemy(연금술), chemistry, sugar, cotton, syrup, coffee,
zero 등이 있다.

2-5-3-2.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공일주, 2012: 81~82)

① 예: 고개를 약간 끄덕이며 양 눈을 아래로 감았다가 뜬다.


② 아니오: 요르단에서는 눈을 위로 치켜 뜨거나 한번 꿈뻑 한다. 사람에 따라서 혀를 차
는 경우도 있다. 이집트에서는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세워서 살짝 흔든다.
③ 감사할 때: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듯이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대고 고개를 약간 숙인다.
④ 참으라고 하거나 기다리라고 할 때: 오른손의 세 (또는 다섯) 손가락을 모아서 앞으로
내보인다.
⑤ 서로 의견이 일치했을 때, 또는 동감이나 동조를 표시할 때: hi-five

| 7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⑥ 알아듣지 못했을 때: 눈을 약간 크게 뜨고 고개를 좌우로 빠르게 두어 번 흔든다.


⑦ 정확하다, 완전하다라는 의미: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원을 만들어 위로 들어 보인다.
⑧ 끝났다: 손바닥을 털었다가 펴 보이면서 어깨를 으쓱한다. 이 동작은 칼라스(khala:S)
라는 말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5-3-3. 아랍어 인사말

아랍 지역에서는 인사를 받은 사람이 건넨 사람에게 받은 인사보다 더 좋은 인사거나 길


게 인사를 하는 것이 예의이다. 남자가 여자에게 악수를 청하면 여자는 악수를 할 수도 있고
거절 할 수도 있다.

아랍어 인사말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 중에는 다음과 같은 인사말이 있다:

(1) “앗쌀라무 알라이쿰”(‘ ’, ‘그 평화가 당신들 위에 함께하기를’)

오늘날 이슬람․아랍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 인사말은 무슬림의 인사말이다. 비


무슬림은 이 인사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에서 정관사 이 붙어 사용되
는 이유는 (그 평화)가 알라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99개 수식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랍세계에서 이렇게 알라의 속성 중 하나인 평화나 평안을 인사말에 사용
하면 비 무슬림이라고 할지라도 무슬림으로 간주된다.

이 인사말에서 주목할 점은 인사를 받는 대상이 몇 명이든지 상관없이 항상 2인칭 남성


복수형태 ( )으로 표현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항상 2인칭 남성 복수형태가 사용되는 이유는
인사를 받는 사람이 비록 한 명이라 할지라도 이슬람교에서 믿는 바대로 인간의 어깨 좌우에
있는 천사까지 포함해 적어도 인사를 받는 대상이 3명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인사말은 항상 복수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예의이다.

“앗쌀라무 알라이쿰”으로 인사를 받으면, 인사를 받는 사람은 “와 알라이쿰 앗쌀람”


(“ ”, “그리고 당신에게도 알라의 평화가 함께 있기를.”)이라고 말한다. 이때 인사의
원칙에 따라 내용이 같거나 더 나은 긴 인사말 “와 알라이쿰 앗쌀람 와 라흐마틀라 와 바라
카투후 (“ ”, “그리고 당신에게도 알라의 평화와 자비와 축복이 함께
있기를.”)으로 답하기도 한다.

| 7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 “ ” (“넓은 또는 넉넉한 장소를 찾으셨습니다.”)

이 인사말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랍어 인사말로 코란에서도 언급된 바 있


다. 오늘날 이 인사말은 보통 “안녕하세요.”나 “Hello.”로 해석되지만, 원래는 ‘넓은 장소’를
나타내는 말로 유목민들의 생활 관습에서 비롯된 인사말이다.

(3) “ ” (“당신은 가족에게 왔고, 넓은 곳에 내렸습니다.”)

이 인사말도 원래는 앞에 설명한 “ ”처럼 정착해 있거나 먼저 자리를 잡고 있는 사람


들이 새로 오는 사람에게 건네는 인사말이다. 이 인사말도 “ ”처럼, 말이나 낙타 등에서
내릴만한 ‘넓은 땅’ 또는 ‘너른 평지’( )가 있다는 것을 언급함으로서, 손님이 내려 머물만
한 넉넉한 자리가 자신들에게 있다는 환대의 표현이다.

(4) 기타 인사말 중에는 “ .” (“좋은 아침이 되시기를.”), “ ” (“좋은 오후,


또는 저녁이 되시기를.”), 등이 있고, 이 인사말의 답으로는 일반적으로는 “ ” (“밝은
아침 이시기를.”)라고 쓸 수도 있고, 그대로 “ ”라고 쓸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한 인사말 중에 “ ” (“장미의 아침입니다.”), “ ” (“자스민 향의 아


침입니다.”), “ ” (“자스민 향의 아침입니다.”), “ .” (“당신의 아침은 야스민
이다”. 즉, ‘좋은 아침입니다.’)( , 1980: 477)” 등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인사말
을 여성에게 사용하거나 여성이 사용하면 어제 밤 잠자리와 관계된 의미를 묻는 말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부인이나 애인 이외의 여성에게 이런 인사말을 건네면 희롱하는 뜻으로
들리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아랍인은 인사를 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1) 힘이나 무기가 더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에게, 기동성이 좋은 사람이 약한 사람에게


먼저 인사한다. 그러므로 아랍 지역에서는 나이 어린 사람이 먼저 악수를 청하여야
하므로 청년이 어른들에게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 예의이다.
(2) 이성과는 악수를 하지 않는다.
(3) 볼키스를 할 때 상대의 입냄새를 맡지 않는다.
(4) 손으로 식사하는 사람과 악수를 하지 않는다.

| 7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5-3-4. 아랍인의 이름

나이든 아랍 사람은 본인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예의에 맞지 않아, 보통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한 호칭을 사용한다. 이러한 호칭을 ‘쿤야’라고 하는데 ‘무함마드 아버지’, ‘칼리드
어머니’, ‘싸미 삼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또 일반적으로 나이든 사람을 ‘쉐이크’나 ‘암
무’(아저씨)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부르기도 한다.

2-5-3-5. 유용한 아랍어 표현

활동이 복이다.

이 말의 원래 표현은 이다. 즉, “움직임에 복이 있다.”는 의미이다. 이 문장에


서 사용된 은 단순한 복이 아니라, 알라가 주는 은혜를 일컫는 말이다. 이말은 주로 수술
후에 혈전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환자들에게 운동할 것을 권장하는데, 이 때 활동을 하도록
건네는 유용한 표현이다.

인내는 아름답다.

알라는 가장 위대하시다.

이 말은 아잔(기도를 알리는 외침소리)에 사용되거나, 일반적으로 놀라운 일이 있을 때 사


용되는 표현이다.

금지된 것을 더 추구한다(하고 싶다).

행복은 만족에 있다.

어려울 때의 친구(가 진정한 친구)

장소(때, 경우)에 맞는 말이 있다.

2-5-3-6. 신체언어(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

아랍인들은 신체언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것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예: 고개를 약간 끄덕이며 양 눈을 아래로 감았다가 뜬다.

| 7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을 좌우로 흔들면 ‘아니오’라는 뜻이다.


(3) 오른손 손바닥을 가슴에 대면 ‘됐습니다’나 ‘고맙습니다’의 표현이다.
(4)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 등 세 손가락을 모아 아래위로 약간씩 흔들면 ‘천천히’ 또
는 ‘참고 잠시 기다려요’라는 의미이다.6)
(5) 알라 이외에는 고개를 숙이지 않으므로 아랍 무슬림들은 고개를 숙여 인사하지 않고
악수하고, 악수를 한 뒤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얹는데 이는 자신의 진실함을 보여주
고 친밀감을 표시하는 행위이다.
(6) 서로 의견이 일치했을 때, 또는 동감이나 동조를 표시할 때: hi-five
(7) 정확하다, 완전하다라는 의미: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원을 만들어 위로 들어 보인다.
(8) 끝났다: 손바닥을 털었다가 펴 보이면서 어깨를 으쓱한다. 이 동작은 칼라스(khala:S)
라는 말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5-4. 문화적 배경

2-5-4-1. 의복 문화

아랍인들은 양복이나 양장, 청바지와 같은 현대식 의상을 입는 사람이 많지만, 지역에 따


라서는 전통복장을 고수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가 있다. 대표적인 지역이 이집트, 아라비아반
도 지역, 모로코 등인데, 이 지역의 전통의상은 지역별 이름이 다르지만, 유사한 형태의 의복
을 많이 입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남성은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소매의 원피스형태의 옷을 많이 입는데, 그


옷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서 (디슈다샤: 쿠웨이트, 오만, 이라크), (잘라비야, 이집
트: 갈라비야), 또는 (싸웁(엄익란, 2015: 119-120): 대부분의 아라비아반도 지역)이라
고 한다.

6) 지역에 따라서는 다섯 손가락을 모으기도 한다.

| 7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싸웁7)] [디슈다샤8)] [잘라비야9)]

싸웁은 아랍 전통 복장 중에서 두드러지는 상징성이 있는데, 세계의 영화에서 아랍인의


복장으로 소개되기도 하고, 걸프지역에서는 공공기관의 공식 복장이기도 하다.

아랍 여성의 옷도 싸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라비야, 질밥이라는 옷을 입는


다. 질밥은 코란 33장 59절에서 여성이 외출할 때 몸매를 가리는 느슨한 전신 의복이다. 이
옷의 특징은 허리를 묶지 않고 펑퍼짐하게 입는 넓은 원피스인데, 오늘날 많은 여성은 이슬
람의 가르침과는 다르게 허리띠를 착용하여 몸맵시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여성이 외출할 때
몸매가 드러나는 것을 가리기 위해서 입는 겉옷을 아바아 ( , 구어체: 아바야, )라고
하는데, 오늘날에는 걸프지역 여성들의 패션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의복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랍 여성들은 마흐람 앞이 아닌 경우, 즉 3촌 이외의 사이에서는 늘 머리카락을 가리는


데, 그 머리카락을 가리는 스카프를 히잡( )이라고 한다. 코란 24장 31절에서 여성 의상
키마르( )를 언급하였는데, 이것은 오늘날 니깝( )이라 불리는 눈만 보이고 얼굴과 머
리카락을 가리는 베일이 아니라 가슴을 가리는 의상이다.10)

7) http://store.daffah.sa/index.php?route=product/product&product_id=50
8) https://fried-junk.com/2011/12/03/the-traditional-dress-in-kuwait-%D8%A7%D9%84%D9%84%D8%A8%
D8%B3-%D8%A7%D9%84%D8%B1%D8%B3%D9%85%D9%8A-%D9%81%D9%8A-%D8%A7%D9%84%D9%83%
D9%88%D9%8A%D8%AA/
9) https://fried-junk.com/2011/12/03/the-traditional-dress-in-kuwait-%D8%A7%D9%84%D9%84%D8%A8%
D8%B3-%D8%A7%D9%84%D8%B1%D8%B3%D9%85%D9%8A-%D9%81%D9%8A-%D8%A7%D9%84%D9%83%
D9%88%D9%8A%D8%AA/
10) http://www.ahl-alquran.com/arabic/show_fatwa.php?main_id=40

| 7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여성 의상: 원피스형 (질밥)11), (싸웁)

[질밥12)(전신 원피스)와
[아바아(구어체: 아바야)] [니깝(눈만 드러내는 베일)]
히잡(머리카락 가리는 스카프)]

2-5-4-2. 음식 문화

아랍인은 식사를 통한 교제를 많이 하는 편이다. 이러한 경우 지켜야 할 예절은 다음과


같다:

(1) 식사 전에 손을 씻는다.
(2) 현대에 들어와서 포크를 많이 사용하지만 아직도 손으로 먹는 관습이 남아 있다.
(3) 다른 사람과 식사를 할 때 오른손으로 식사를 한다.

아랍인들은 전통적으로 오른쪽에 신성함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선행이나 청결이 요구


되는 일에는 오른손을 사용한다. 이슬람 성서인 코란은 반드시 오른손으로 다루어야 하고,
악수를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그리고 선물을 주고 받을 때 반드시 오른손을 사용한다. 왼손
은 화장실에서 용변 후 씻을 때, 신발을 닦을 때, 그리고 코를 풀 때 사용한다.

(4) 먹거나 마시기 전에 ‘비스밀라( ‘알라의 이름으로’)라고 말한다.


(5) 음식이 뜨겁다고 음식을 식히기 위해 입으로 부는 것을 삼간다.
(6) 뜨거운 음식이라고 소리를 내지 않는다.

11) 코란 33장 59절


12) https://alkaramqadri.com/category/jilbabs-dresses/70?lang=ar

| 7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7) 식사 후에는 ‘알함두릴라’(‘ ’ ‘알라에게 찬미를’)’라고 말한다.


(8) 식사 후 이쑤시개를 사용해도 괜찮다.
(9) 보통 찬 음료를 마시지 않는다.
(10) 싫어하는 음식이 있더라도 싫은 티를 내지 않는다.
(11) 음시 주위에 빙 둘러 앉아 이야기를 하면서 오랫동안 식사를 한다.

아랍인들은 4개의 감각을 사용하여 식사하는 전통을 갖고 있다. 보통 음식을 먹을 때 시


각, 후각, 미각을 사용하여 맛을 음미하지만, 아랍인들은 손으로 음식의 온도를 느끼는 촉각
까지 사용하여 맛을 예상하는 절차를 갖는다.

아랍인의 식사는 전채와 메인, 후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차 순서대로 진행되는데, 레바논
의 전채인 마자( )는 100가지가 넘을 정도라서 유명하다.13)

이러한 전채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채는 다음과 같다.

홈무스( , hummus) 바바 간누즈( )


탑불레( )
병아리콩 디핑 소스로 빵에 가지를 구어서 만든 소스로
아랍식 샐러드
찍어서 먹는다. 빵과 함께 먹는다.

13) https://www.facebook.com/purelebanon/photos/a.835331296548308.1073741829.774817235933048/
1417330811681684/?type=3
https://twitter.com/wearelebanon/status/325210191287185408

| 7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예전 유목사회에서 아랍인들은 바닥에서 식사를 했다. 비록 오늘날 많은 도시민들이 접시


에 숫가락을 사용하여 식사를 하지만, 전통적인 식사법에는 그릇에 함께 손을 넣고 먹는 것
이 일반적이다.

[멘사프( )] [닭고기 켑사( )14)]

아랍 세계는 유목사회적 특성상 유제품이 많다. 이 유제품 중에 발효를 하거나 치즈, 버


터로 가공하여 장기적으로 보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더운 지역의 특성상 발효제품이
오래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랍인은 음식에 설탕과 인공 조미료를 넣지 않는다. 그래서 한국 음식을 접한 사람은 음


식에 설탕이 들어간 것에 거부감을 표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식후에 먹는 디저트가 매우
달다는 특징이 있다.

[쿠나파( )] [바끌라와( )15)] [부르마( )]

14) http://atyabtabkha.3a2ilati.com/%D9%88%D8%B5%D9%81%D8%A7%D8%AA/%D8%A3%D8%B7%D8%A8%D
8%A7%D9%82+%D8%B1%D8%A6%D9%8A%D8%B3%D9%8A%D8%A9-4/%D9%83%D8%A8%D8%B3%D8%A9+
%D8%A7%D9%84%D8%AF%D8%AC%D8%A7%D8%AC-898
15) http://www.turkey-post.net/p-tag/%D8%A7%D9%84%D8%A8%D9%82%D9%84%D8%A7%D9%88%D8%A9-%
D8%A7%D9%84%D8%AA%D8%B1%D9%83%D9%8A%D8%A9/

| 7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5-4-3. 손님 접대문화

아랍사회는 손님을 융숭하게 접대하는 문화가 일반적이다. 아랍인이 손님을 맞이할 때 항


상 차와 커피를 내온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맨 처음과 맨 나중에 커피가 나오고, 중간에는
아무리 시간이 길어도 차가 계속 나온다.

유목민 사회에서, 또는 예전 아랍 사회에서는 손님 대접에 아랍커피를 대접했지만, 오늘


날 일부 도시 지역에서는 아랍커피를 직접 빻아서 대접할 수 없기 때문에 터키커피(빻은 커
피 알갱이가 잔 아래에 많이 남는 커피)를 내는 경우도 있다.

아랍인의 풍속 중에서 매우 인상적으로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는 것은 환대이다. 유목민의


환대 역사는 이슬람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주장도 있다. 아랍인들의 가장 보편적인 환
대의 표시는 커피를 대접하는 것이다. 커피 잔은 일반적으로 작으며 손잡이가 없다.

커피에 관한 아랍인의 관습 중에서 지켜야 할 것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16)

(1) 커피를 따라주는 사람은 손님이 아랍커피를 마시는 동안 커피 포트를 왼손에 들고,
아랍커피 잔을 오른손에 들고서 따라주되, 더 이상 마시지 않겠다는 의사표명이 없으
면 계속 따라준다. 커피를 따르기 시작한 사람은 참가자 모두가 다 마셨다는 의사를
표명하기 전에 앉지 않고 커피 마실 사람들 앞에 서서 기다린다.

(2) 손님에게 따라주는 커피는 순서에 따라서 이름이 붙어 있는데, 첫 잔은 해칠 의사가


없다는 의도의 ‘하이프 잔’( ), 둘째 잔은 ‘다이프(‘손님’) 잔’( ), 셋
째 잔은 ‘케이프 잔’으로 이제 주인이 내 오는 커피 맛에 익숙하여 진다는 의미의 잔
이고, 마지막 넷째 잔은 ‘사이프 잔, 즉 손님이 적대적인 관계에 처해있다는 의미로
이 잔을 마시지 않을 경우에는 손님과 접대하는 사람 간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이해된다. 이 마지막 잔은 일반적으로 평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적대적인 상황에서
협상을 할 때나 복수나 전쟁을 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데, 협상하는 자리에서 마시면
협상이 이루어졌다는 의미이고, 가문이나 부족 중에서 대표로 싸우러 가거나 누군가
를 죽이러 갈 사람을 선택할 때도 이 커피잔을 마시는 행위로 선택한다. 즉, 부족 간
싸움이나 전쟁이 났을 때 부족원이 모두 모여서 누가 상대 원수를 죽일 것인가를 물

16) http://www.mbc.net/ar/programs/dot-shabab-s1/articles/%D9%81%D9%86%D8%AC%D8%A7%D9%86-%D
8%A7%D9%84%D9%82%D9%87%D9%88%D8%A9---%D8%A8%D9%8A%D9%86-%D8%A7%D9%84%D8%B7%D
8%B1%D8%AF-%D9%88%D8%A7%D9%84%D8%AA%D8%B1%D8%AD%D9%8A%D8%A8.html

| 7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으면 부족원 중에서 가장 용감한 사람이 “이 커피잔을 내가 마시겠다.”라고 말하면서


복수를 하겠다는 다짐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커피잔은 평화의 상징에서 전쟁이나 파
멸의 경고가 된다.

(3) 손님에게 아랍커피를 대접할 경우에는 아랍커피 잔이 작더라도 잔의 1/3 정도만 따르


는 것이 예의 이다. 반 이상이 되도록 따르면 반기지 않는 손님이라는 의미가 되므로
손님은 빨리 자리를 떠야만 한다.

(4) 커피는 오른쪽에 있는 사람부터 따라주고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 이것을 아랍어로


타야문( )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랍인이 아랍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
는 관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커피를 받는 사람이 더 이상 커피를 마시지 않겠다는 의사는 말이나 제스쳐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말로는 ‘거기까지’ 또는 ‘단지’( ), ‘충분합니다’
( )17), ‘감사합니다.’( )18) 등의 표현을 사용하거나 잔을 흔들거나 커피잔 위를
손바닥으로 덮으면 더 이상 커피를 마시지 않겠다는 표시가 된다.
일부 사람들은 커피 석 잔을 마시기 전에 커피잔을 흔드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데,
이는 그 손님에게 기쁨과 환대를 주려는 의도이다.

(6) 아랍커피를 따르는 사람은 오른손에 커피잔을 두세개 포개서 들고 왼손으로 커피 포


트를 들고 서서 커피를 따른다. 이때 기쁜 경우에는 커피잔을 들었다 놓으면서 작은
소리가 나도록 하여 가벼운 잔 부딪히는 소리를 내는데, 슬픈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
라도 이 소리가 나서는 안된다.

(7) 커피를 대접하는 사람은 우선 자신이 한잔 마신 후에 다른 사람들에게 따라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8) 손님 접대를 하는 순서는 커피 + 차 …… 차 + 커피이다. 더 이상 앉아 있지 못하고


가야하는 손님이 있다면 잠시 기다리게 하고 다시 커피를 내 놓는 관습이 있는데, 여
기에서 앞에 언급한 커피의 첫 잔과 마지막 잔 기능을 볼 수 있다.

17) 표준말로는 이 맞지만, 구어체에서는 를 붙여서 사용한다.


18) (구어체 발음: 티크람)이 이 경우에는 의 의미이다.

| 8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5-5. 아랍 문화의 다양한 사례

2-5-5-1. 유목문화에서 비롯된 허용과 금기

코란에서 허용된 것을 (할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이슬람적인 허용 이외에 유목사


회에서 허용하는 것 중에는 여자에게 귀걸이, 남자에게 수염과 향수가 있다.

유목사회에서 해서는 안되는 금기사항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노출이 심한 옷

(2) 여자의 향수 사용과 털 (그러나 걸프지역 여성의 경우에는 향수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3) 머리가 젖은 상태로 외출

(4) 이성에게 웃으며 말하거나 이성과의 접촉

(5) 남의 것(물건, 딸 등) 칭찬
남의 집을 방문하였을 때 가족들 안부를 일일이 묻는 것은 친밀함과 관심을 표시하는
행위이나 부인이나 딸의 안부를 묻지 않는다. 부인이나 딸에 대한 안부를 묻는 것은
부인이나 딸에 대한 관심 표현으로 보이며 외부인이 자신의 부인에 관심을 표현하는
것을 불쾌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6) 신발 바닥이 남을 향하게 하거나 던지는 행위


신발 바닥은 더럽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신발 바닥을 남에게 향하게 하면
상대를 더럽다고 표현하는 셈이다. 2008년 12월 14일, 이라크 기자 ‘문타디르 알-
자이디’가 이라크를 방문해서 누리 알말리키 총리와 기자회견을 하던 미국 부시 대통령
에게 신발을 던진 사건이 대표적인 예다.

2-5-5-2. 성폭력

아랍 세계에서 성폭력은 다른 나라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곤 한다. 이는


성폭력을 당한 여성 피해자에게 가해자보다 중한 징역형이 내려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여성이 성폭력을 당한 현장에서 남자 증인 2명이나 그 2배에 해당되는 여자 증인
이 성폭력을 증언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두바이에서 증인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폭력을 당했다고 신고한 노르웨이 여성이

| 8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혼외정사, 무고죄, 허위진술 등으로 형벌이 추가되어 남성 가해자보다 3개월이 더 많은 16개


월 형을 선고 받은 경우가 있다.19)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집단 성폭행을 당한 피해 여성에게 ‘이성과 함께 차 안에 있었다’


는 이유만으로 징역 6개월과 태형 200대의 ‘중형’을 선고한 바 있다.20)
카타르에서도 성폭행을 당한 네덜란드 여성에게 간음 혐의로 유죄를 선고하여 집행유예와 약
1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 받은 후 추방당했다.21)

2-5-5-3. 보이지 않는 문화적 단면

아랍 세계에서는 남녀 구분이 분명하여 줄을 서거나 식당, 카페와 같은 곳에서 구분된 공


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보통 ‘가족용’( )라고 표현하는데, 보통 남
성이 많은 행정부처에서는 여성이 줄을 서는 경우를 보기 어려운데, 남성이 줄을 길게 서 있
더라도 여성이 오면 여성 줄이 만들어진다. 이때 여성에게 우선권을 주어 여성의 일을 먼저
처리해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보이지 않던 여성 줄이 드러나게 된다. 또 식당이나
카페에서 여성이 보이지 않으면 여성이 앉을 수 있는 여성 칸이나 가족용 공간이 있는지 확
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2-5-6. 이슬람 문화의 이해

아랍인들 대부분이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이다. 퓨리서치센터22)에 게재된 2017년 11월 27


일 자료(Interactive Data Table: World Muslim Population by Country)에 따르면, 사우
디아라비아는 무슬림 비율이 97%, 쿠웨이트 95%, 아랍에미리트 76.2%, 카타르 77.5%, 오만
87.7%, 이라크 99%, 시리아 92.2%, 요르단 98.2%, 이집트 94.6%, 모로코 99%, 튀니지
99.5%, 알제리 98%로 무슬림 비율이 높으며, 기독교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레바논은 무
슬림 비율이 59.3%이다. 따라서 아랍 문화와 아랍인들을 이해하려면 이슬람을 알아야만 한다.

이슬람은 “알라에게 절대적인 복종이나 귀의“를 의미한다. 무함마드는 서기 570년 사우디

19) http://www.womennews.co.kr/news/59494
20) http://scts.or.kr/xe/index.php?document_srl=227&mid=a0501
2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18024
22) http://www.pewforum.org/chart/interactive-data-table-world-muslim-population-by-country/, 2017. 12. 30.

| 8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아라비아 메카에서 출생하였고, 40세 되던 해의 이슬람력의 9월인 라마단 달에 최초로 알라의


계시를 받았다. 무슬림들은 이슬람을 창시한 무함마드를 예언자이자 알라의 사도로 믿는다.

2-5-6-1. 종교적 믿음

무슬림의 6가지 믿음은 알라(유일신), 천사, 경전(코란), 예언자, 최후의 심판, 정명이다.
무슬림의 신앙고백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에 종교적 믿음이
잘 나타나 있다.

2-5-6-2. 종교적 의무사항

무슬림에게는 다섯 가지 종교적 의무사항이 있다. 첫째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


드는 알라의 사도’임을 인정하는 신앙 고백이다. 둘째는 하루 다섯 차례 정해진 시각에 행하
는 예배, 셋째는 1년 총 수입의 2.5%에 해당하는 자카트(구빈세 또는 희사)의 납부이다. 넷
째 의무는 이슬람력 9월에 해당하는 라마단 달 동안 일출부터 일몰까지 일체의 음식을 먹지
않는 금식, 다섯째 의무는 이슬람력 12월에 해당하는 달에 행하는 메카순례이다.

2-5-6-3. 순니아 시아

전 세계의 무슬림 중 약 86%는 순니파이고 시아파는 약 14%이다.23) 순니파의 대표적인


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걸프 국가들이다. 시아파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이 이란
과 이라크이다. 순니파와 시아파는 믿음과 관행에서 거의 차이가 없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차
이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순니파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을 따르는 사람들이다. 시아파
는 무함마드의 혈통적 계보를 중시하여 예언자의 가문 출신만이 무함마드의 사후 후계자로의
정통성이 있다고 보고 무함마드의 4촌 동생이며 사위인 제4대 정통 칼리파 알리와 그의 후
손을 지도자로 추종하는 사람들이다.

2-5-6-4. 이슬람 4대 법학파(이훈동 외, 2016: 33)

교우 시대가 지나고 이슬람 학자들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유추로도 어려운 사안에

23) http://www.pewforum.org/2011/01/27/future-of-the-global-muslim-population-sunni-and-shia/, 2017. 12. 30.

| 8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서 견해가 다르게 나타나면서 법학파가 발생하게 되었다. 순니의 4대 법학파인 하나피 학파,
말리키 학파, 샤피이 학파, 한발리 학파가 있고 시아의 자으파리 학파(12 이맘파)와 자이디
학파(5 이맘파)가 있다.

4대 법학파 중에서 가장 온건한 학파로 알려진 하나피 학파는 견해를 허용하여 견해 학


파(ʼAhl al-Raʼy)라는 말로 불리게 되었다. 하나피 학파는 유추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좋아
보이는 것을 택하여, 종종 하나피 학파는 자신들의 말이 혼란스러워져서 번복하거나 새로운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집트의 카이로와 델타 지역, 시리아 및 요르단, 동아프리카, 이라
크, 터키, 발칸 지역, 코카서스 등 동유럽 지역,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투르키스탄, 중앙아
시아, 인도, 중국에 널리 퍼져있다.

말리키 학파는 메디나에서 결성되어 메디나 학파라고도 한다. 이 법학파 창시자인 말리크
는 순나, 즉 하디스만을 고려하여 법 이론을 정립하지 않고 공동체의 이익을 고려하여 법 이
론을 발전시켰다. 말리키 학파는 히자즈에서 북아프리카의 모리타니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
지 등과 안달루스 지역으로 퍼져나갔고, 상 이집트 지역, 나이지리아, 수단, 쿠웨이트, 아랍
에미리트연합, 바레인 등이 이 학파에 속한다.

샤피이 학파는 카이로에서 순나를 중시하는 말리키 학파와 이성을 중시하는 하나피 학파
의 법학을 절충하여 법학파가 형성되었다.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 예멘, 바레인, 인도네시
아, 말레이시아, 실란, 필리핀 등의 인도양 연안, 탄자니아를 위시한 동아프리카에 퍼져 있
고, 히자즈, 인도, 팔레스타인, 이란 등에 소수 남아 있다.

한발리 학파는 앞의 세 학파가 유추와 합의를 법원으로 채택한 것에 반대하고, 견해를 사


용하는 것도 반대하였다. 특히 무으타질라의 견해를 멀리하고 오직 코란과 하디스를 법원으
로 삼아 독자적인 법학파를 형성했다. 한발리 학파가 우세한 지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
이트이지만, 오늘날에는 아라비아 반도, 시리아, 이라크에 퍼져 있고, 와하비 파 무슬림은 인
도, 아프가니스탄, 이집트, 알제리 등에서도 볼 수 있다. 4대 법학파 중에서 한발리 학파 추
종자가 가장 적다.

2-5-6-5. 라마단

이슬람력의 아홉 번째 달이다. 라마단 기간 동안 해가 뜰 때부터 해가 질 때까지 금식을


하는 것은 무슬림에게는 종교적 의무이다. 금식하는 동안 무슬림은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 8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담배도 피지 않으며, 성적 쾌락과 모든 감각적 즐거움을 삼간다. 어린이들은 건강을 해치지


않고 금식을 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나이가 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금식을 시작한다. 처음
에는 반나절동안 하다가 점차적으로 시간을 늘여가고 7일간 금식을 하다 금식일을 늘여간다.
건강이 따라 주지 않으면 누구도 금식을 강요받지 않으며, 금식이 건강에 위협이 된다면 금
식을 중단해야 한다. 임신 중이거나 아이를 키우는 여성, 환자는 금식에서 면제된다. 생리중
인 여성은 금식이 면제되지만 라마단이 끝난 후 해가 바뀌기 전에 수행하지 못한 금식 일수
만큼 채워야 한다. 또한 장거리 여행자나 3일 이상 계속되는 여행을 하는 사람도 금식에서
제외된다. 라마단은 음력이기 때문에 오는 시기가 매년 바뀌어 겨울에 오기도 하고 여름에
오기도 한다. 라마단 기간을 매년 확인하여 한국에 오는 아랍 무슬림 환자를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2-5-6-6. 아랍 무슬림 사회의 명절과 휴일

아랍 무슬림들의 가장 큰 명절은 금식 종료절과 희생절이다. 금식의 달인 라마단(이슬람


력 9월)을 마치고 이슬람력 10월 1일에 금식 종료절을 맞이하며, 희생절은 순례의 달인 이슬
람력 12월 10일에 맞이한다. 이슬람 명절 전후에 아랍 무슬림들은 악수 등 인사를 하면서
“ (축복 받은 명절이 되길 바랍니다)”, “ (행복한 명절이 되길 바랍니다.)”,

“ (매년 당신들이 잘 지내길 빕니다)” 등의 인사말을 주고 받는다. 명절이 되


면 아랍 무슬림들은 가장 깨끗하고 멋있는 옷을 입고 사원 또는 넓은 옥외 광장에서 예배한
다. 또한 송가를 부르고, 코란을 낭송하며, 시를 읊으면서 즐겁게 보낸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자선 행사를 열고, 단 과자와 음식을 만들며, 가족들과 친척들, 이웃들, 친구들을 방문
하고, 선물을 주고받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일부 아랍 국가의 가정집이나 상점들에서는
화려한 색의 등( )과 다양한 장식품으로 으로 장식하여 명절을 축하한다.

아랍 무슬림들은 이외에도 이슬람력 3월 12일 예언자 무함마드의 탄생일을 경축하고, 이


슬람력 1월 1일 새해 첫날은 아랍 무슬림 국가에서 공휴일이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메카 주
민들의 박해를 피해 추종자들과 함께 메디나로 이주한 서기 622년이 이슬람력 원년이다. 이
슬람력 7월 27일은 무함마드의 승천 기념일로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예루살렘으로 천마를 타
고 간 후 그곳에서 일곱 개로 된 빛의 계단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 알라를 만나고 온 것을 기
념하는 종교적 명절이다.

| 8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이슬람력 1월 10일 아슈라 추도일은 10번째 날이라는 의미로 서기 680년 살해된 무함마
드의 사위이자 시아파에게 제2대 이맘인 후세인 이븐 알리를 기리는 날이다. 시아파 무슬림
들이 비교적 많은 이란,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바레인 같은 나라에서 이 날은 매우 뜻깊은
날이기 때문에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아슈라 추도일은 경사스럽고 즐거운 날이라기 보다
제2대 이맘 후세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슬픈 날이다.

아랍 국가에서 이슬람 종교 명절이 아닌 세속적인 국경일은 국가 설립일로 공식적으로 경


축행사를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아랍국가에서는 금요일이 휴일이다. 금요일에 관공서, 은행,
학교 등은 문을 닫으며, 무슬림들은 사원에서 예배를 드린다. 따라서 달력에는 오른쪽으로부
터 일, 월, 화, 수, 목, 금, 토요일로 표시되며 보통 금요일은 휴일임을 나타내는 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2-5-6-7. 아랍 무슬림들의 혼인

아랍 사회에서 결혼은 종교적 의무이자 사회적 의무이다. 아랍인들이 결혼 상대자를 선택


할 때 혈연적이고 종교적 동질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촌간의 결혼과 무슬림
간의 결혼 풍습이 지배적이다. 사촌간 결혼의 경우, 특히 부계 혈족의 사촌지간 결혼이 많다.

아랍인들이 이처럼 가까운 친척 중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이유로는 항상 이동하는 유목


생활의 특성상 타인에게 신뢰가 부족하다는 점, 순수한 혈통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점, 혼납
금(마흐르, )이 지불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종교적으로 무슬림 남성은 기독교도나 유대교도 여성과는 결혼할 수 있으나, 무슬림 여성


은 비무슬림과 결혼 할 수 없다. 결혼한 기독교도나 유대교 여성이 결혼 후에서 계속 자기의
종교를 고수한다면 남편 사후에 상속권을 부여 받지 못한다. 그러므로 결혼 후 이교도 여성
이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아랍 무슬림들의 혼인이 유효하게 성립되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기본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는 두명의 계약자, 청약과 승낙, 후견인의 허락, 증인, 마흐르 지불이다.

2-5-6-8. 마흐르( , 혼납)

이슬람 법에서는 남편이 아내에게 마흐르를 지불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이훈동 외,

| 8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016: 95). 혼인계약은 남편이 마흐르를 아내에게 지불하는 대신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 대가관계(對價關係)가 성립되는 유상계약이다. 이에 따라 아랍인들은 혼인 계약시 남편
이 아내에게 혼납금인 마흐르를 준다. 마흐르는 현금, 귀금속, 가축, 부동산, 거주권, 가축 사
용권, 용익권 등 다양한 형태로 지불 할 수 있으며, 결혼 계약시에 지불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결혼한 후에 지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결혼 계약 시에 분명한 서면 합
의가 있어야 하며, 만일 신랑이 합의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이혼 사유가 된다. 마흐르가 없는
결혼은 법적 효력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결혼 후에 지불하는 후불 마흐르는 이혼을 할
때나 남편이 사망할 때 부인에게 지불되며 상속재산에서 선 공제되고 나머지 상속재산이 상
속인들 간에 분배된다.

마흐르의 액수는 지역별, 계층별, 신부의 집안,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


으며 물가 상승과 더불어 마흐르 금액도 상승하면서 결혼 적령기 아랍 남성들에게 부담이 되
고 있다.

2-5-6-9. 마흐람( )

마흐람은 결혼을 할 수 없는 관계에 있는 사람을 지칭한다(이훈동외, 2016: 108). 혈연관


계로 인한 마흐람에는 남자 입장에서 직계 존속(할머니, 어머니), 직계 비속(딸, 친손녀, 외손
녀), 부모의 직계 비속(여자 형제, 친가 여자 조카, 외가 여자 조카), 조부모의 비속 중 1촌(고
모, 이모)이 해당된다. 또한 수유 관계로 인한 마흐람 관계가 있다. 한 사람의 모유를 같이
먹고 자라 맺어진 수유 형제를 피를 나눈 육친과 동일한 관계로 여긴다. 따라서 같은 여인의
모유를 먹어 맺어진 수유 형제간에는 마흐람 관계가 되어 결혼을 할 수 없다. 아랍 무슬림
여성은 마흐람의 동행 없이 여행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

2-5-6-10. 칼와( )

칼와는 외간 남녀가 다른 사람들과 단절된 공간에 단 둘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슬람 법


에 의거하여 관습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외간 남녀가 둘이 만나야 될 경우 공개된 장
소에서 만나거나, 다른 사람들과 합석해서 만나야 한다. 그러나 여성이 마흐람인 남성과 단
둘이 있는 것은 허용된다. 그리고 혼인한 남녀의 경우에 칼와가 곧 성관계를 가진 것과 동일
하게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 8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5-6-11. 허용과 금기

아랍 무슬림의 사회적 규범은 주로 이슬람 법(샤리아)에 의거 ‘허용된 것(할랄)’과 ‘금지된


것(하람)’의 기준에 따라 정해진다. 아랍 무슬림들은 어떠한 행동을 하고자 할 때 그 행동이
이슬람 법에 위배되는지 여부가 궁금하면, 이슬람 법학자인 무프티(파트와를 내리는 사람)에
게 그 행동에 대한 법적 판단을 내려 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무프티가 해당 행동의 허용
또는 금지에 대한 법적 판단인 ‘파트와’를 내려준다. 파트와는 법적인 구속력은 없으며 실행
은 개인의 의사에 달려 있다.

2-5-6-12. 금지된 음식물

아랍 무슬림들은 이슬람 법에 따라 술과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술과 돼지고기가 들어


간 음식물을 판매하거나 유통하는 것은 이슬람 국가에서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나 외국인들을
위해 일부 상점에는 이를 제한적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돼지고기의 섭취 금지는 이슬람
법과 유목생활 전통에 기인한 것으로 돼지가 잡식성으로 위생상 청결한 이미지와 거리가 멀
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이미 죽은 동물의 고기는 금지되며 비늘없는 생선류의 섭취
를 금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국가, 지역, 종파 등에 따라 허용되기도 한다.

2-5-6-13. 이자 금지

이슬람 법에서 금지하는 경제 활동 중에는 예금에 대한 이자수수가 있다. 이것은 노력을


통하지 않고 이익을 취하는 것을 금기하는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무슬림들은 이자를 취
하는 자들이 불지옥에 떨어진다고 믿고 있을 정도로 이자수수를 큰 죄로 인식하고 있다. 따
라서 이슬람 은행은 예금주에게 이자를 지불하지 않지만, 예금액을 적절한 곳에 투자하고,
그 투자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예금주와 합의된 정해진 비율로 분배한다. 손실 또한 동일한
비율로 그 책임을 예금주와 분담한다.

2-5-6-14. 히잡과 아바야 착용

말리키 법학파 학자인 이맘 압둘 알바리는 “여성들에게 넓고 두꺼운 통으로 된 것으로 온


몸을 가리고, 머리를 가리게 해야 한다. 여성의 얼굴과 두 손바닥을 뺀 모든 부분은 치부이기

| 8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때문이다. 그래서 여성들은 마흐람이 아닌 사람들 앞에서 얼굴과 양 손바닥을 뺀 모든 부분


을 가려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무슬림 여성은 외출할 때 히잡으로 머리카락을 가리
고, 몸매가 드러나는 것을 가리기 위해서 아바야 겉옷을 입는다.

2-5-6-15. 아랍 무슬림들의 장례식

아랍 무슬림들은 이슬람 전통에 따라 장례 의식을 치룬다. 무슬림들은 엄격한 이슬람 방


식대로 고인의 몸을 씻기고 흰 천으로 감는다. 그리고 사망 당일 매장을 하는데 머리는 사우
디아라비아 메카의 카바를 향하도록 눕힌다. 매장은 보통 오후 예배(아스르 예배: 오후 3
시~4시경)를 마치고 별도의 장례예배와 함께 진행된다. 한 뼘 정도 봉분을 세우는 것은 순나
이나 이보다 더 높게 하는 것은 금지된다. 무덤을 밟거나 위에 않지 않도록 무덤을 표시하기
위해 땅에서 조금 높은 정도로 만들어야 한다. 매장할 때 조문객은 망자의 얼굴을 보고 인사
를 하고 망자를 위해 두아를 한다. 매장 전후 3일까지 조문객들은 고인의 가족을 찾아가 위
로한다. 한국 문화와 달리 조문객에게 음식을 대접하지 않는다. 이는 조문이 손님 접대나 연
회로 변질되는 관행이 고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척과 이웃이 유가족을 위해 음식
을 준비하는 것은 괜찮다(문재완 외, 2016: 184).

2-5-7. 다양한 이슬람 문화의 사례와 수용방법

아랍 무슬림들은 일상 생활용어에 종교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그 중 대표적인 ‘인샤


알라’와 ‘알함두릴라’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의사 소통에 오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아랍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인샤알라(알라가 원하신다면)’는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한 표현을 할 때 강한 긍정의 의미로 사용한다. 아랍인들은 만나자는 약속을 할 때
서로 ‘그럽시다’라는 의미로 ‘인샤알라’라고 답한다. 즉, 알라가 원한다면 그 약속대로 만나
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알함두릴라’ 표현은 종교적인 표현으로 그 의미는 ‘알라에게 찬미
를’이다. 이는 어려운 일을 잘 마쳤을 때, 기쁘거나 만족스러울 때, 불행 중 다행이라고 생각
할 때 알라에게 감사를 드리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식사를 배불리 먹었을 때, 시험에
합격했을 때, 건강을 회복했을 때, 여행을 무사히 마쳤을 때, 사고시 크게 다치지 않았을 때
등이다. 간단히 그날 일을 무사히 마쳤을 때도 ‘알함두릴라’라고 한다.

| 8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아랍 무슬림들 앞에서 알라와 무함마드에 대한 모욕적인 표현을 하는 것은 실례이고 코란


을 더럽히거나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된다. 아랍 무슬림들은 오른손을 신성하게 생각하므로
코란은 오른손으로 잡는다. 따라서 한국을 방문하는 아랍 무슬림 환자들이 가져오는 코란을
옮기거나 할 경우 오른손으로 코란을 잡아 무슬림들의 문화를 존중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랍 무슬림들은 최후의 심판과 부활을 믿고 있기 때문에 현세에서 이슬람법에 따라 올바


르게 생활하고 행동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이슬람은 종교적 실천을 중시하기 때문에 아랍 무
슬림들은 다섯 가지 종교적 의무사항의 준수를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하루 다섯 차례 정
해진 시각에 행하는 예배를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지키려고 한다. 한국을 방문하는 아랍 무
슬림 환자들이 예배를 할 수 있도록 예배실을 마련해 주고, 메카를 향해 기도할 수 있도록
표식을 하고, 예배시간을 피해 예약을 잡아주는 배려를 해 준다면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랍 무슬림 환자들이 라마단 기간에 한국을 방문하게 되면 환자인 경우 금식이 제외되기


때문에 금식을 하지 않겠지만 미리 문의를 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모든 무슬림 남성은 금이나 은으로 장식하는 것이 금지된다. 그러나 여성이 금이든 은이


든 모든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이 허락된다. 장신구에는 반지, 팔지, 발찌, 목걸이등 모든 종
류가 포함된다.

아랍 무슬림들의 명절인 금식 종료절, 희생절, 예언자 무함마드의 탄생일, 이슬람력 새해


첫날, 무함마드의 승천 기념일과 아랍 각 국가의 국경일을 인지하여 아랍 무슬림 환자들에게
축하 인사를 한다면 환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 사례1

두 명의 무슬림 증인이 혼인의 청약과 승낙을 듣는 것이 혼인계약의 기본 요소이다.


증인 1명이 참석한 혼인은 무효이다. 4개의 요건이 충족된 혼인계약을 하고 나서 헤어
지려면 정식 이혼과 같이 남성이 여성에게 마흐르를 지불해야만 가능하다.

󰌚 사례2

여성이 금이나 은으로 만든 칼칼(발찌)을 착용하는 것은 괜찮다. 그러나 남들에게 재


력을 뽐내기 위해서나 잘난 체 하려고 착용해서는 안 된다. 소리가 나는 칼칼은 집 안에

| 9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서 착용하거나 같은 여성들 또는 마흐람 앞에서 착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길거리나 외간


남성들 앞에서 착용해서는 안된다.

󰌚 사례3

여성이 마흐르를 혼일할 당시에 꼭 받을 필요는 없다. 혼인할 때 받지 않더라도 나중


에 받아도 되고, 혼인 관련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 받지 않은 마흐르는 선불 마흐르에
해당되며 혼인 이후 여성이 원할 때 언제든 남편에게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후불 마흐
르는 이혼할 때나 남편이 사망했을 때 받을 수 있다.

󰌚 사례4

마흐르는 아내 본인의 소유이므로 어떻게 처분하든 합법이다. 아무도 아내의 마흐르


에 간여할 수 없다. 단, 이자를 받는 은행에 예금해서는 안 된다.

󰌚 사례5

후불 마흐르는 이혼이나 배우자가 사망할 시 남편이 아내에게 주어야 하는 후불 상


환 채무이다. 후불 마흐르는 남편이 사망한 경우 남편의 유산을 분배하기 전에 우선적으
로 부인에게 지급된다. 그 후 망자의 상속 재산이 상속자에게 분배된다.

󰌚 사례6

무슬림 남성이 기독교나 유대교 여성이랑 혼인할 수 있으나, 기타 다른 종교를 믿는


여성과는 결혼할 수 없다. 혼인 계약을 할 때 무슬림 성인 남자 2명의 증인이 참석해야
한다. 무슬림 남성이 기독교나 유대교 여성이랑 혼인 계약을 할 때에 기독교나 유대교
남성이 증인이 될 수 있다.

󰌚 사례7

혈족관계와 인척관계로 영원히 마흐람 관계인 사람과 혼인하는 경우 혼인은 무효로


여겨진다. 또한 수유로 인한 마흐람 관계인 사람과 혼인하는 경우도 혼인은 무효이다.

󰌚 사례8

아랍 무슬림 사회에서 1부 4처가 허용이 된다. 그러나 남성이 아내와 아내 여동생인


처제랑 또는 아내 언니인 처형이랑 동시에 혼인하는 경우 혼인은 무효이고, 4명을 초과

| 9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한 여성과 혼인한 경우 무효이다. 남편이 4명의 부인을 둔 상태에서 다른 여성과 혼인을


하려고 하면 부인 중 한 명과 이혼을 한 뒤에 가능하다.

󰌚 사례9

젊은 여성이 외간 남성과 알라께 맹세하고 의남매로 지내기로 합의하였어도 두 사람


은 마흐람 관계가 아니므로 함께 여행할 수 없으며, 영원히 남매로 지낼 수 없다. 마흐
람 관계는 양측의 합의나 계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이슬람 법에 정해진 명백한
근거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사례10

일곱 명의 아이가 있는 주부가 요리, 청소, 세탁, 육아 등을 도울 무슬림 가정부를 고


용할 때 가정부가 마흐람을 동반하지 않으면 고용할 수 없다. 가정부는 채용하려는 부인
의 남편이나 아들들에게 외간 여성이기 때문에 아들이나 남편과 단둘이 집안에 거주하
는 것이 이슬람 법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 사례11

여성이 학교, 시장, 병원 등을 갈 때나 친척집을 방문할 때 마흐람이 아닌 남성 운전


기사와 단 둘이 차를 타서는 안 된다. 두 명 이상의 여성이 타거나 다른 남성이 같이 타
야 한다.

󰌚 사례12

이슬람 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칼와는 사람들의 눈에서 벗어나 외간 남성과 여성이


외부와 단절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남성과 여성이 소곤거릴 수 있는 장소
에 둘만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도 포함한다. 공원이나 자동차처럼 사람들이 보고 있는
장소라고 할 지라도 남녀의 대화 소리가 남들에게 들리지 않는다면 둘 사이에 불미스러
운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본다. 칼와를 금지하는 것은 간통과 간통에 대한 구실을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눈에서 벗어나 실제로 단 둘이 있으면 칼와로 여겨진다.

| 9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6
몽골어권 문화의 이해

몽골어권이란 좁은 의미로 몽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는 곳, 즉 몽골국(속칭 외몽골)


과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속칭 내몽골)을 말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몽골어권은 러시아연
방의 칼미크공화국과 부랴트공화국 등 이른바 몽골어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는 모든
지역을 총칭하는 광역의 언어 문화권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이하 몽골어권의 지리, 역사,
문화, 언어에 대하여 개관한다.

2-6-1. 지리적 배경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동서로 대싱안링(大興安領)산맥에서 알타이산맥, 남북으로 바이칼호


수에서 만리장성 사이의 땅을 자기들의 거주지로 인식해 왔다. 이곳이 바로 몽골인들의 땅인
몽골리아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구분은 어디까지나 상징적인 것일 뿐 몽골인들의 실제 거주
지는 위의 경계선 너머로 확대되었다. 즉 알타이산맥 서쪽의 중가리아초원과 대싱안링산맥 동
쪽의 동북평원은 예나 지금이나 몽골인들이 거주하는 유목민의 땅이었다. 또한 시베리아의 사
얀산맥과 야블로노비산맥 남부 그리고 고비사막 훨씬 남쪽의 치렌산맥(祁連山脈) 북쪽기슭 역
시 유목민들의 터전이었다. 이렇게 보면 몽골인들의 거주지는 남북으로 시베리아의 두 산맥과
치렌산맥, 동서로 대싱안링산맥과 알타이산맥에 이르는 지역과 그 주변이라 할 수 있다.

몽골인들은 광대한 몽골리아를 산맥과 사막을 기준으로 몇 개의 지역으로 나눠 불렀다.


먼저 알타이산맥을 기준으로 그 동쪽을 동몽골 그 서쪽을 서몽골이라 하였다. 동몽골은 다시
고비를 기준으로 둘로 나뉘는데, 그 북쪽을 북몽골 남쪽을 남몽골이라 불렀다. 이것이 몽골
인 고유의 전통적 지역구분이다.

역대 중원 왕조 역시 북방 몽골인 거주지를 그들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그 기준이 되었던


것이 고비사막이다. 옛 중국문헌에는 고비사막이 한해(瀚海)로 기록되어 있다. 또 중국인들은
고비사막 남쪽을 막남(漠南) 북쪽을 막북(漠北)이라 했는데, 이때 막은 고비를 가리킨다. 우리
에게 익숙한 내몽골[內蒙古]과 외몽골[外蒙古]은 17세기에 청나라가 몽골을 지배하는 과정에
서 붙인 말이다. 즉 청은 먼저 복속된 몽골 땅을 내몽골, 그 이북의 몽골 땅을 외몽골로 구분
하였다. 따라서 내몽골과 외몽골이라는 용어에는 중원과의 거리의 원근에 따른 단순한 지역

| 9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구분 이상의 정치적 함의가 담겨 있다. 청을 계승한 중화민국과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가 일관되게 남몽골과 북몽골이라는 몽골 고유의 지역구분 대신 내몽골과 외몽골이라는 용어
를 고수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몽골인들은 물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 말을 쓰지 않는다. 관행대로 그냥 남몽골 또


는 북몽골이라 한다. 내몽골은 대체로 남몽골 외몽골은 북몽골로 보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이러한 지역구분에도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내몽골과 외몽골이
완전히 다른 나라가 되면서 생긴 결과이다. 현재 몽골국(외몽골) 사람들은 수도 울란바타르를
기준으로 하여 동서를 구분한다.

몽골리아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몇 개의 국경으로 분단되었다. 내부분열과 갈등은 어느


역사에서도 있는 법인데, 몽골의 분열은 외세의 개입을 불어왔고 그 외세 또한 정치경제적
이익을 탐하여 몽골고원 남쪽과 북쪽을 자기 땅으로 만들었다. 대체로 17세기 초기에서 말기
에 걸쳐 일어난 일이다. 북쪽은 러시아 남쪽은 청나라가 차지하였다. 그 결과 몽골리아는 현
재 러시아연방의 부랴트공화국, 몽골국(외몽골),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내몽골) 등 몇 개로
나뉘어졌다. 그리고 이들이 국경에 의하여 나뉜 몽골인 거주지의 현재 모습니다.

• 공식명칭: 몽골국(Mongolia)

• 국토면적: 156.6만㎢, 수도 울란바타르

• 총인구 : 3,081,677명(2015년 현재)

• 민족구성: 몽골(95%), 투르크계(카자흐, 투바)(4.5%), 중국 및 기타(0.5%)

• 공용어: 몽골어

국경으로 나뉜 몽골인의 땅 중 유일한 독립국은 몽골국이다. 몽골국은 우리가 흔히 외몽


골로 알고 있는 나라로 몽골족의 본거지이면서 몽골 세계의 중심지이다. 우리가 몽골에 간다
고 하면 보통 이 나라를 가리키고, 가끔 TV 화면에서 보는 것도 이 몽골국이다. 몽골국은
1921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혁명을 하고, 그 후 70년 가까이 소련의 절대적인 영향권 아래
있다가 1992년 공식적으로 체제를 바꾸고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다. 국가의 이름 또한 이때
몽골인민공화국에서 몽골국으로 바꿨다. 한국과는 1990년 3월 26일 공식적으로 국교를 수
립하여 현재 이른다.

| 9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 공식명칭: 부랴트공화국(Respublika Buryatiya)

• 면적 : 351,300㎢, 수도, 울란-우데

• 총인구 : 972,021(2010년 현재)

• 민족구성: 러시아(66.1%), 부랴트(30%), 기타(3.9%)

• 공용어 : 부랴트어, 러시아어

몽골국 북쪽 바이칼호수 동남부의 부랴트공화국 역시 예로부터 몽골인들의 거주지였다.


지금도 이곳에는 몽골 문화를 간직하고 몽골어를 쓰는 몽골족이 살고 있다. 부랴트인들은 17
세기 이후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들어갔고, 러시아혁명 후 1923년 소련의 부랴트몽골자치공
화국이 되었고, 소련 해체 후에는 러시아연방의 일원으로 남아 있다.

• 공식명칭: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

• 면적 : 120만㎢, 수도, 후허하오터(呼和浩特); 몽골명: 후흐호트(푸른 도시)

• 총인구 : 24,706,321(2010년 현재)

• 민족구성: 한족79.5%), 몽골족(17.1%), 기타(3.4%)

• 공용어 : 몽골어, 한어 러시아

만리장성 이북에서 고비사막 남쪽까지도 예전부터 몽골인들이 살던 몽골인의 땅이었다.


지금도 이곳에는 몽골어를 쓰고 몽골 문화를 간직한 몽골인들이 살고 있다. 보통 내몽골이라
불리는 곳이다. 내몽골은 17세기 초기에 청에 합병되고, 1912년 청이 망하고 중화민국이 성
립된 뒤에는 민국의 땅이 되었으며, 1949년 이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 공식명칭: 칼미크공화국(Respublika Kalmykiya)

• 면적 : 7.59만㎢, 수도, 엘리스타

• 총인구 : 289,481(2010년 현재)

• 민족구성: 칼미크(57.4%), 러시아(30.2%), 기타(12.4%)

• 공용어 : 칼미크어, 러시아어

| 9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러시아연방 안에는 또 다른 몽골인 거주지가 있다. 이들은 정치적인 소용돌이 속에서 몽


골리아를 떠나 외지로 이산한 사람들의 후손들이다. 그 한 사례가 카스피 해로 흘러드는 볼
가 강 중하류 유역의 칼미크공화국에 사는 칼미크인들이다. 칼미크인들의 조상은 몽골리아
서부에서 알타이산맥에 걸쳐 살던 서몽골인들로 1620-30년대 몽골고원의 내분을 피하여 서
시베리아 남쪽의 초원을 따라 현재의 거주지로 이동하였다. 그들은 그로부터 140년 후인
1771년에 다시 자신들의 원래의 거주지로 돌아갔지만, 이때 돌아가지 않고 뒤쳐진 사람들의
후손이 칼미크, 즉 (현지에) 남은 자들이다. 칼미크인들은 처음 러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러
시아혁명 후 1935년에 소련의 한 자치공화국이 되고, 소련이 해체된 후 러시아연방의 일원
인 칼미크공화국(1992)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2-6-2. 역사적 배경

몽골 땅에 처음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70여 만 년(또는 30여 만 년) 전이다.


몽골에는 이들 선사인과 그들 후손들이 남긴 수많은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다. 과장하면 몽
골은 국토전체가 문화유산이라도 해도 좋을 정도로 유적과 유물이 풍부하다. 이 땅에 처음으
로 나라를 세운 사람들은 흉노(기원전 3세기-기원 후 1세기)라 불리는 집단이다. 그 뒤 선비
(기원 후 2-4세기), 유연(4-6세기), 돌궐(6-8세기, 튀르크), 회골(8-9세기, 위구르), 요(916-
1125년, 키탄) 등 북방민들이 번갈아 가면서 몽골 땅에 나라를 세우거나 초원의 지배자로 군
림하였다. 이 사람들은 물론 몽골족은 아니다. 몽골족은 원래 중국 동북방에 있는 헤이룽강
(黑龍江) 상류지역에서 살았다. 그러다가 9-12세기 무렵 지금의 몽골초원으로 이주하고 13
세기 초기부터 이 땅의 주인이 되었다. 그 후 몽골고원의 주인은 몽골족으로 고정되고 외부
인들 역시 그 땅을 몽골 거기에 사는 사람들을 몽골족이라 부르게 되었다.

몽골의 영광은 칭기스 칸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는 수많은 씨족과 부족으로 나뉘


어져 있던 몽골초원을 통합하여 몽골제국을 세우고(1206), 분출하는 유목민의 에너지를 곧
바로 대외원정으로 돌렸다. 후계자들 역시 그의 유업을 이어받아 지속적인 팽창정책을 추진
하였다. 몽골군의 말발굽은 동으로는 한반도 서로는 비엔나의 문턱까지, 남으로는 서북인도
에서 자바에까지 미쳤다. 그 기반 위에서 역사상 유래가 없는 대제국이 탄생하였다. 이 역사
적 사건은 제국의 크기만큼이나 세계사 전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 일을 주도한 몽골인
자신과 그들의 지배를 받았던 중국, 러시아, 고려 등 주변 민족은 물론, 이를 숨죽이며 지켜

| 9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보았던 서구인들도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직감하였다. 그런 이유로 몽골제국 출현 당시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언어로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몽골인들이 이룩한 과업에 대하여
평가를 해왔고 이 작업은 현재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몽골제국을 어떻게 평가하든 거대 제국의 역사적 역할과 관련하여 한 가지 사실만


은 분명하다. 몽골제국의 출현으로 유라시아 대륙이 하나로 통합되고, 그 안에 포함된 여러
민족의 역사도 이전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유라시아 세계는
몽골이라는 거대한 용광로에서 재조정된 이후 새로운 길을 모색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
에서 몽골제국의 흥망과 성쇠는 세계사를 가르는 분기점이었으며, 제국의 출현은 진정한 세
계사의 탄생을 알리는 서막이었다.

몽골인들이 역사의 전면에 나서기 전 동양과 서구세계는 각각 별개로 움직여 왔다. 우리


가 잘 알고 있는 그리스와 로마제국, 한나라와 당나라, 페르시아제국은 후대 역사가들이 붙
여준 세계제국이라는 명성과는 달리 지역의 맹주에 불과하였다. 물론 유럽에서, 서아시아에
서, 동아시아에서 이들이 이룩한 업적은 결코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페르시아인, 그리스인,
로마인, 한나라와 당나라 사람들이 상정한 세계는 지역적으로 제한된 그리고 자신을 중심으
로 한 극히 편협한 세계였다. 이러한 지역적 가름을 걷어낸 주역이 주변사람들에 의하여 야
만인으로 폄하되었던 몽골인이다.

확실히 몽골인들은 지역적으로 한정된 골목대장이 아닌 세계를 경영한 진정한 장수였다.


이는 그 이전 제국과 몽골제국에서 편찬된 역사서를 비교해 보면 쉽게 할 수 있다. 14세기
초기 페르시아의 몽골 정권인 일 칸국에서 󰡔집사(集史)󰡕라는 방대한 역사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제국을 통치한 역대 군주들의 과업 뿐 아니라 그들의 지배 아래 있었던 중국, 아랍,
투르크, 인도, 유럽, 유태인의 역사까지 망라한 세계인의 역사이다. 인류는 그 때까지 이처럼
방대한 역사서를 접해보지 못하였다. 유명한 사마천의 󰡔사기󰡕도 헤로도토스의 󰡔역사󰡕도 기
껏해야 자기 주변의 역사를 다루었던 사실과 큰 차이가 있다. 󰡔집사󰡕를 세계 최초의 세계사
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류 초유의 세계사를 펴낸 몽골 정권 아래서 하나가 된 유라시아 대륙, 그 안에서 세계


사의 흐름을 바꿀 씨앗이 싹트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국 각지를 연결하는 역참(驛站)이 정
비되고 교통로의 안전이 확보되면서 동서 간에 인적 물적 교류가 확대되었다. 언제부터 시작
되었는지도 모르는 실크로드(동서교역로)는 몽골이라는 든든한 후원자를 만나 더욱 활발하게

| 9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작동하기 시작하였고, 중원을 지배한 몽골인들은 송나라 시대의 수공업적 해상무역을 대기업
수준으로 끌러 올려 바다의 길까지 활짝 열었다.

특히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1215-1294)는 남방개척과 해상 무역로 개척에 매진하여 유


라시아 대륙을 순환하는 바닷길을 교역망으로 연결하였다. 그 결과 취안저우(泉州)를 비롯한
중국 동남부의 항구도시와 페르시아 만의 호르무즈를 중심으로 하는 중동의 여러 항구를 잇
는 해상루트가 활성화되고,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를 바닷길로 연결한 아시아의 순환교역로가
완성되었다. 이 교역로를 따라 몽골시대의 유명한 장사꾼이었던 위구르상인과 무슬림상인들
이 대규모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몽골제국을 축으로 하는 상업망은 일 칸국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제노바,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상인과 비잔틴 상인이 참여함에 따라
지중해까지 확대되었다. 14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이처럼 몽골인에 의하
여 조직된 세계규모의 경제발전이 그 배경이 되었다.

이처럼 부귀와 영화를 누리던 몽골제국도 종주국 원나라의 몰락과 함께 점점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원조의 마지막 황제 토곤 테무르(순제)는 주원장(명나라 태조)의 반란군에 쫓겨
1368년 여름 처자식과 관리들을 대동하고 조상들이 살던 몽골 땅으로 퇴각하였다. 그들은
몽골 땅에서 재기를 도모하지만 내분과 신생 명나라의 압박이 겹쳐 과거의 영광에서 점점 멀
어져 갔다. 그 후에도 몇몇 뛰어난 군주들이 나타나 몽골의 위상을 다시 한 번 드높인 시기
가 있었지만, 17세기에 몽골인 거주지 남북에 거대한 제국(러시아와 청나라)의 출현으로 그
들의 꿈은 실현 불가능한 상황으로 변하였다. 명나라를 이은 청나라는 17세기 초에 내몽골
(1636), 17세기 말(1691) 외몽골, 18세기 중기(1755-1757)에 서몽골을 차례로 병합하였으
며, 바이칼호수 동쪽의 부랴트는 1689년 청과 러시아 간에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에 따라
러시아령이 되었다. 이렇게 몽골인 거주지 전역은 강대국에 분할 지배되고 몽골인들은 역사
상 처음으로 외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청과 러시아의 몽골 지배는 과거 역사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였다. 그때부터 몽골인들


은 영광의 역사를 뒤로하고 외세의 지배 아래에서 그들의 압제와 수탈에 시달렸다. 두 나라
는 처음부터 몽골과 몽골족의 말살을 겨냥하는 정책을 펴나갔다. 몽골 땅은 그들의 의도대로
재편되고 전통 사회구조는 급속하게 해체되었다. 부랴트 지역과 내몽골에서는 러시아인과 한
인들에게 생계의 원천인 목초지를 빼앗기고, 내몽골과 외몽골에서는 한인상인과 고리대금업
자의 수탈로 유목민의 경제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졌다. 1911년 중원에서 발생한 신해혁명과

| 9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청의 멸망은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린 몽골인에게 한줄기 희망을 던져주었다. 그 해 말 내외


몽골 지도자들은 외몽골의 후레(울란바타르)에서 독립을 선포하고, 이어 내몽골을 포함한 전
체 몽골족의 통합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러시아와 청조를 이은 중화민국의 강압으로 민족통합운동은 좌절되고, 1915년 몽


-러 국경도시 캬흐타에서 체결된 몽-중-러 삼국협정으로 기왕에 얻은 독립마저 취소되어 외
몽골은 중화민국 종주권 하의 한 자치국으로 격하되었다. 그 후 1921년 외몽골에서는 소련
의 도움으로 혁명이 일어나 70년 가까이 소련의 위성국으로 있다가 1992년 공식으로 체제
를 바꾸고 현재에 이른다. 위에서 언급한 거처럼 부랴트와 내몽골은 각각 러시아연방과 중국
에 속해 있다.

2-6-3. 문화적 배경

몽골인을 비롯한 유라시아 대륙 북방의 초원지대 거주민들은 주어진 자연조건(춥고 건조


한 기후와 광활한 초원)에 적응하여 유목이라는 생계방식으로 삶을 이어 왔다. 유목은 계절
의 변화와 물과 풀의 형편에 따라 주기적으로 거주지를 옮기는 목축의 한 형태이다. 유목민
은 적어도 1년에 4차례 주거지를 옮긴다. 이동횟수는 이보다 많아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중
요한 것은 이들이 계절에 따라 거처를 옮긴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소ㆍ말ㆍ양ㆍ염소ㆍ낙
타 등 가축을 이끌고 처자식을 데리고 생활도구를 챙기고 천막을 해체하여 이사한다. 그렇다
고 아무렇게 정처 없이 떠도는 사람을 유목민이라 하지 않는다. 유목민은 조상 대대로 사용
해 온 목초지를 생활의 근거지로 삼아 그 안에서 계절에 따라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옮겨
다닌다. 따라서 한 유목민은 천재지변과 전쟁 등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일생을 통하여 자신
이 거주할 곳이 정해져 있다.

유목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에 인위를 가하지 않는 것이다. 대자연의 선물인 목초지에 가


축을 풀어놓으면 가축은 그 풀을 뜯어먹고 자라고 사람은 그 가축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풀
을 잘 자라도록 비료를 줄 필요도 없다.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축에게 따로 사료를 주지
도 않는다. 농업이 자연에 인위를 가하는 생업이라면, 유목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이용하는
삶의 방식이다. 이런 점에서 유목은 인류가 개발한 생계방식 중 가장 친환경적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 유목은 낡은 생산양식이라는 이유로 폐기되고 처분되어야 할 운명을 맞이
하였다. 과학적 합리주의를 내세워 목초지를 개간하고, 그 곳에 유목민을 강제로 정착시켰다.

| 9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이렇게 해서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유목과 유목민은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그러나


그 결과는 결코 인간에게 우호적이지 못하였다. 사막화로 인한 환경파괴이다. 초원이 초원인
이유는 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곳에서는 지난 수천 년 동안 이동 목축인 유목이
행해졌다. 그런데 여기에서 정착 목축을 하고 초원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게 되면서, 초원과
농경지 주변이 사막과 황무지로 변하였다. 현재까지 유목을 행하는 외몽골 초원에 비하여 정
착 목축을 하는 내몽골 초원의 사막화가 훨씬 심각하다는 것이 이를 말해 준다.

유목의 또 다른 특징은 초원을 이용하되 아무도 그것을 소유하지 않는 것이다. 유목민의


사고에 따르면 땅은 본디 하늘에 속한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선물인 땅을 일시적으로 빌
려 쓰는 존재에 불과하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그 땅에 주인이 생기고, 그래서 땅이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되었다. 공동으로 관리하고 소유해야 할 땅이 개인의 재산이 되면서 빚어진
비극은 인류사의 비극이기도 하다.

유목민의 가르침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유목은 이동 목축이다. 아니 이동하기 때문


에 유목이다. 이동하지 않으면 유목 자체가 이루어 질 수 없다. 유목민이 이동하는 이유는 방
랑벽이 아니고 물과 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좋은 물과 풀을 찾아 끊임없이 이동하는 목축
이 유목이다. 그리고 이동은 몸이 가벼워야 한다. 가축 수도 적절해야 하고 세간도 적당해야
한다. 일정한 기준을 넘어가면 이동이 문제가 되고, 결국 유목의 존립기반이 무너지기 때문
이다. 따라서 유목민들은 가축이든 물건이든 재산을 무한정 증식시킬 수 없다. 고전적 의미
의 유목민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자를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원래 선한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래야 살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유목의 가장
큰 특징을 간소함과 질박함에서 찾는다. 유목 세계에서는 생각까지 투명하고 소박하다. 그래
서 역사 속에서도 자신의 흔적(기록)을 남기지도 않았다. 대자연 속에서 하늘이 준 운명대로
진솔하게 살다가 죽는 것이 유목민 고유의 삶의 철학이다.

무한정한 부의 증식이 제한되는 것처럼 구성원의 절대빈곤 역시 제한되는 것이 유목사회


의 특징이다.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축을 소유하지 못한 유목민은 유목을 중단할 수밖에
없으니, 만약 그렇게 되면 강고한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유목사회 자체가 붕괴되어 버린다.
실제로 역사 속의 유목사회를 보면 구성원 간의 연대가 무엇보다 중시되었다. 낮은 생산성,
열악한 기후와 자연조건으로 인하여 씨족이나 부족단위로 단결하지 않으면 생존 기반이 무너
지기 때문이다. 이것이 유목사회에서 언제나 호혜평등과 상부상조가 최선의 미덕으로 지적되

| 10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었던 이유이다. 생존조건이 극부와 극빈의 출현을 저지하고, 공멸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역


사 속의 유목민들은 서로가 서로를 돕고 살았다.

몽골문화는 그들의 전통생업인 유목과 유목민의 생활에서 비롯되었다. 그 대표적 사례가


음력설이다. 이를 몽골어로 차강사르(하얀 달)라고 한다. 몽골인들에게 흰 색은 깨끗함과 순
결의 상징이다. 몽골인들은 성스러움과 길상과 풍요의 빛깔도 흰 것으로 나타낸다. 좋은 것
은 다 같다 붙여놓은 샘인데 생각해 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 몽골인들의 전통생업은 유목이
고, 유제품은 그들의 주요 양식이다. 하얀 달 차강사르는 여기에서 유래한다. 곧 유제품이 풍
부한 달이라는 뜻이다. 차강사르도 원래 가축의 젖이 많이 나는 9월에 지냈다. 지금처럼 정
월로 고정된 것은 13세기부터이다.

몽골인이 지내는 최대의 여름축제는 나담이다. 13세기 칭기스 칸 시대도 확인되는 나담


은 유목문화의 진수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몽골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나담에서는 활쏘기, 말
달리기, 씨름 등 3종경기가 벌어지는데 이들은 몽골인의 전통생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
렵과 목축을 기반으로 하는 유목민인의 삶에서 기마와 궁술은 가장 중요한 생산수단이자 삶
의 조건이었다. 그래서 유목민들은 대대로 기마와 궁술을 익히고 연마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삼았으며, 종교의례와 경축일 등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평소에 익힌 기예를
선보이는 시합을 하였다. 기마와 궁술은 이처럼 생존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연마하는 과정
에서 놀이문화로 정착되었다. 또한 몽골의 거친 대지와 혹독한 자연환경은 그 자체가 시련이
었다. 여기서는 강인한 정신력과 힘이 있는 사람만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살아나기 위한 사
냥과 전쟁에서도 무엇보다도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었다. 그래서 유목민들은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씨름판을 벌여 평소에 닦은 실력을 겨루고 시험하였다. 이런 점에서 씨름도 삶에 필요
한 힘을 기르고 기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놀이문화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몽골인의 의식주 생활은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고 있다. 도시민들은 우리처럼 주로 아파트
에서 살고 유목민들은 천막에서 이동생활을 한다. 몽골인들은 주로 밀가루 음식과 고기나 유
제품을 먹고. 야채나 과일, 특히 물고기 등은 먹지 않거나 적게 먹는다. 물론 이러한 설명은
몽골국 몽골인들에 대한 것이고, 부랴트공화국이나 칼미크공화국과 중국 내 몽골인들은 물고
기도 잘 먹는 편이다. 여름철의 계절 음료로 말의 젖을 발효시켜 만든 마유주(아이락)가 유명
하다. 마유주는 몽골을 대표하는 유제품이자 몽골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로 그들은 이를
하늘이 선사한 음료로 인식하고 있다.

| 10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몽골 유목민들의 전통종교는 샤머니즘이다. 몽골인들이 본격적으로 티베트불교(라마교)를


믿기 시작하는 16세기 말기부터 샤머니즘은 쇠퇴의 길로 접어든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와
몽골인민공화국 출범과 함께 샤머니즘은 불법화되고 샤먼(무당)은 국가의 규제를 받았다. 특
히 불교에 대한 탄압이 가해지는 1930년대 말부터 샤머니즘 역시 국가권력의 직접적인 박해
를 받게 된다. 이때 전면적인 종교탄압 속에서 많은 샤먼들이 죽임을 당하였다. 살아남은 샤
먼들은 자신의 신분을 은폐하기 위하여 대대로 전해 내려온 무복과 무구를 숨기거나 아예 불
살라 없애 버리는 등 샤먼의 직무 자체를 포기하였다. 그 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샤먼의
례는 물론, 표면적으로는 샤먼의 존재 자체가 사라졌다.

샤머니즘을 비롯한 전통종교에 대한 탄압과 쇠퇴는 몽골지역의 정치상황에 변화가 올 때


까지 계속되었다. 즉 1990년 이후 정치적인 민주화운동과 함께 전통문화 복원의 작업이 활
발히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 시절에 억압되었던 전통종교와 신앙이 제자리를 찾
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샤머니즘도 전통문화의 하나로 되살아나고 일부 샤먼의 활동도 재개
되기 시작하였다. 다시 부활한 샤머니즘은 2000년 이후 본격적인 광산개발과 관련하여 새롭
게 주목받고 있다. 샤먼과 샤머니즘 숭배자들은 광산개벌 등 각종 개발로 인하여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현상을 목도하고 각종 환경 관련 이슈에 적극 참여하고, 환경단체와 교류하고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한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

손님을 환대하는 관행 역시 유목문화의 유산이다. 유목민 전통에서 길가는 사람을 불러


차와 음식을 대접하는 것은 의무이다. 이는 인간의 마음씨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초원
과 사막이라는 건조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한 공생의 원리에서 비롯되었다. 낯선
사람이나 외부인 또는 소수약자를 편견 없이 대하는 개방적인 태도와 낯선 곳 혹은 새로운
곳에서의 월등한 적응력 역시 몽골 초원의 열악한 자연환경과 그 안에서 수천 년을 살아오는
과정에서 생긴 전통이니 이 역시 유목 및 유목생활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6-4. 언어적 배경

몽골어는 몽골국, 내몽골, 부랴트공화국, 칼미크공화국 그리고 기타 몽골인 거주지에 사


는 800여만 몽골인의 모어(母語)로서 튀르크어, 퉁구스어, 한국어 등과 함께 알타이어로 분
류된다. 이들 언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술어이며, 각 문장 성분의 문법적 역할을 어간에서
분리 가능한 조사나 접사로 표지하는 전형적인 교착어이다. 그 때문이겠지만 한국인과 몽골

| 10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인은 상대방 언어를 상대적으로 쉽고 빨리 배우는 편이다. 그러나 몽골어를 포함하여 알타이


언어들의 상호관계는 사람으로 치면 유전자라고 할 수 있는 기초 어휘가 일치하지 않아, 이
들이 공통조상언어에서 갈라져 나온 언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한국알타이학회는 몽골어계 언어를 10개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이들 언어 사용자 수는


10개 언어를 모두 합해도 1000만 명을 넘지 않는다. 먼저 몽골어는 몽골국(속칭 외몽골)과
내몽골의 공식 언어이다. 몽골국에서는 1946년부터 키릴문자가 사용되고, 내몽골에서는 예
전대로 전통 몽골문자가 사용된다. 내외몽골의 몽골어는 일부 어휘의 다름과 지역에 따른 억
양의 차이를 빼면 의사소통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오이라드-칼미크어는 몽골국 서북부에 거
주하는 20여만 명, 중국 신장웨이우얼자치구 북부ㆍ칭하이성ㆍ간쑤성의 26만여 명, 러시아
연방의 칼미크공화국 17만여 칼미크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몽골어와 일정한 차이가 있지만
오이라드-칼미크어 토박이 화자들과 몽골어 토박이 화자들 간의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이 없
다. 부랴트어는 러시아연방 부랴트공화국, 이르쿠츠크주, 아가주, 치타주 등지, 몽골국 동북
부, 내몽골 동북부에 사는 50만여 부랴트인들이 모어로 사용한다. 몽골어와 일정한 차이가
있지만 몽골어 토박이 화자들과 이들 사이의 의사소통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밖에 중국 내
각지에는 다고르어, 시라 요구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둥샹어, 캉자어 등 몽골어계 언어를
사용하는 소수민족들이 있다. 이들은 물론 다른 몽골어계 언어와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하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서부 헤라트주 지역에서는 모골어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고 보고되었지만
현재는 절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몽골국의 몽골어를 제외한 다른 몽골어계 언어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절


멸까지 염려되는 상태에 있다. 중국 내몽골, 러시아의 부랴트와 칼미크에서는 아직은 모어능
력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는 젊은이들이 상당히 많지만 그들도 나이를 먹을수록 중국어나 러
시아어로 생활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존재하나 시간
이 가면서 이들 지역에 사는 몽골인들의 모어 구사능력은 떨어진다고 보아야 한다.

몽골어는 크게 원시공통몽골어, 고대몽골어, 중세몽골어, 근대몽골어, 현대몽골어로 나눌


수 있다. 원시공통몽골어와 고대몽골어는 최초의 몽골어 기록이 남아 있는 13세기 초 이전에
사용한 몽골어를 말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몽골리아에는 13세기 초기 칭기스 칸이 몽골제국
을 창건하기 전에 흉노, 선비, 유연, 돌궐, 회골, 거란 등 여러 집단이 수렵과 유목을 생업으
로 살아 왔다. 그 때문에 원시공통몽골어와 고대몽골어는 이들 다양한 튀르크계와 몽골계 집

| 10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단의 언어, 몽골고원 동쪽의 퉁구스계 집단 및 시베리아의 다양한 언어들과도 영향을 주고받


으며 발전해 왔다.

중세몽골어는 대략 13세기에서 16-17세기에 사용된 몽골어를 가리킨다. 이는 15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전기 중세몽골어와 후기 중세몽골어로 나뉜다. 이 시기에는 몽골의 세계 원정
과 지배를 계기로 몽골어에 페르시아-아랍어, 한어 어휘와 표현이 눈에 뜨일 만큼 많이 도입
되었다. 이때 도입된 어휘들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몽골인들이 외래어로 인식하기는 거의 불
가능한 것도 많다.

근대몽골어는 17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 쓰인 몽골어를 가리킨다. 16


세기 말 두 번째로 티베트불교가 몽골인 거주지에 들어오면서부터 수많은 티베트어와 산스크
리트어가 종교, 철학, 문학, 의약, 생활 등 거의 모든 분야에 차용되었고, 그 가운데 상당히
많은 어휘가 현재까지도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몽골인들이 청의 지배를 받게 되
는 17세기말부터는 만주어에서 군사, 행정, 법률용어가 직접 혹은 번역되어 차용되었고, 이
때 들어온 어휘 중 일부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이 시기에 차용된 어휘 중에는 일반인들이
외래 요소라는 것을 감지하지 못할 어휘도 많다.

현대몽골어는 대략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몽골어를


말한다. 이 시기에 몽골어는 여러 가지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우선 한인이 몽골고원, 특히
오늘의 몽골 땅으로 대거 유입되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는 주로 일상생활과 밀접
한 관련이 있는 중국어 어휘가 구어의 형태로 대량 유입되어 지금도 많은 중국어 차용어거
사용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인들과의 접촉과 교류가 빈번해지는 19세기 말-20세기 초기, 특
히 1921년 혁명 이후부터는 러시아어가 학문, 예술, 기술, 산업, 정치, 행정, 군사, 법률, 의
약, 생활 등 현대 국가와 사회 운용에 필요한 거의 모든 분야에 두루 차용되었다.

한편 일본과 국교를 맺는 1970년대 초부터는 문화 체육 분야의 일본어 어휘도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몽골과학아카데미 어문연구소에서 펴낸 몽골어사전에 가라오케, 가라데, 기모노
스모, 쓰나미 같은 말들이 들어 있다. 그리고 1990년대 초 한국과 국교를 맺음에 따라 문화
체육 관련 한국어 어휘도 몽골어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위의 사전에는 김치, 김밥, 소주,
한복 같은 한국어 어휘가 올라 있다. 1990년대 민주화와 시장경제 도입 이후로는 정보통신
기술 산업 용어, 경제, 금융, 경영 분야, 연예 흥행 분야를 중심으로 영어 어휘와 표현이 빠
른 속도로 차용되었다.

| 10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2-7
베트남어권 문화의 이해

2-7-1. 지리적 배경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인도차인 반도 동쪽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중국과 국경을 접하


고 있고, 서쪽으로는 쯔엉 썬 (Trường Sơn,長山)산맥을 경계로 라오스 ․ 캄보디아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 및 남서쪽으로는 동해와 타일랜드만에 연(沿)하여 있다.

베트남의 지형은 폭이 좁고 북남으로 길게 뻗어있다. 여기에 베트남의 지형은 서쪽이 높


고 동쪽이 낮은 서고동저형(西高東低形)이다. 따라서 베트남의 모든 강은 서에서 동으로 흐르
는 형태다. 베트남의 육지부분은 한반도와 유사한 S자형이고, 북에서 남까지 1700km에 달
하며 해안선의 길이가 3,260km에 이른다. 면적은 33만 991㎢이고, 폭이 가장 넓은 곳이
650km, 가장 좁은 곳은 50km이다. 국토의 3/4이 산악이지만 대부분은 낮은 산으로 85%가
해발 1,000m 이하이다. 비록 높은 산이 국토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로 낮지만 산악의 길
이와 높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견줄 곳이 없다.

이 같은 지형상의 특징 때문에 베트남은 북부, 중부, 남부의 세 지역으로 나뉘어 불렀다.


베트남 남부는 열대몬순기후에 속하며, 북부는 아열대기후에 속한다. 이 때문에 남부는 건기
(11~4월)와 우기 (5~10월)로 나뉘어져 연중 여름인 반면, 북부는 4계절이 있다. 남부의 평
균 강우량은 2,330mm이고, 평균 기온은 26.5°C 이다. 북부 산악지역의 평균 강우량은
3,000mm이고 평야지역은 2,000mm이다. 북부의 연평균기온은 23°C이지만 겨울의 평균기
온은 15.5°C이다.

2-7-2. 역사적 배경

2-7-2-1. 선사 시대

베트남에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은 약 50만~30만 년 전으로 추축된다. 기원전 7천경부


터는 농사를 지었으며, 오늘날 베트남인의 조상은 기원전 4세기경에 나타났다.

고대 최초의 국가인 훙왕조 이후 많은 나라들이 생겼다 사라졌는데, 특히 기원전 3세기경

| 10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훙왕조 다음으로 들어선 어우락 왕조의 통치 기간 중에는 청동기 시대의 세련된 동썬 문화가
널리 퍼졌고, 이때 만들어진 청동기 작품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2-7-2-2. 중국의 영향

기원전 179년 중국 한나라의 침입으로 중국에 병합된 뒤, 베트남 지역은 938년까지 중국


의 지배를 받게 된다. 이때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불교, 도교, 유교, 한자 등은 베트남의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동시에 베트남 국민들은 오랫동안 외세의 지배에 대한 투쟁을
계속하게 된다. 중국지배에 대한 최초의 투쟁은 한이 베트남을 지배하던 기원전 40년 쯩씨
자매의 투쟁이다. 그 후 독립왕조를 세우기 전 938년까지 중국의 지배에 저항하여 여러 차례
로 투쟁이 일어났다.

중국의 침략외에도 베트남은 서북쪽에 위치한 남조와 라오스, 남부에 위치한 점성과 캄보
디아로부터 침략을 받았다.

2-7-2-3. 독립왕조와 후레왕조

중국의 지배를 받던 북부 지역에서는 끊임없이 독립 투쟁이 이어져, 결국 938년에 응오


꾸엔(Ngô Quyền)장군이 중국을 물리치고 천 년이상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 왕조인 응오
왕조를 세운다. 이후 딘(Đinh)왕조가 나라를 통일한 뒤 레(Lê)왕조와 리(Lý)왕조, 쩐(Trần)
왕조까지 이어졌지만, 1406년 다시 중국의 속국이 되고 만다.

이후 1428년, 레 러이(Lê Lợi)와 응웬 짜이(Nguyễn Trãi)가 다시 명나라를 몰아내고 후


기 레왕조를 세운다. 후(後)레왕조는 베트남 왕조 중 가장 오랫동안 집권하면서 정부 체제를
개혁하고, 법률과 문학에서 베트남만의 전통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군사 제도와 유교제도를
정비한다. 또한 남부의 참파 왕국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현대화의 바탕을 마련하여 베
트남의 황금기를 연다.

2-7-2-4. 응웬왕조와 프랑스의 지배

후레 왕조 후기, 북부의 찐 가문과 남부의 응웬 가문이 강력한 힘을 갖고 각자의 지역을


통치한다. 그러나 두 가문이 대립하면서 농민에 대한 착취가 심해지자 1771년, 베트남 최초
의 농민 반란인 떠이 썬 반란이 일어난다. 떠이 썬 마을의 응웬 삼형제를 중심으로 한 이 반

| 106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란에 의해 찐, 응웬 가문과 후레 왕조 모두 무너지고 떠이 썬 왕조가 세워진다.

그러나 그 뒤 남부 응웬 가문에서 살아남은 응웬 안 왕자가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비엣


남’이라는 국호로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웬 왕조를 연다. 응웬 왕조 초기에는 통일에 도
움을 준 프랑스에 많은 상업적 이권을 주었으나, 이후에는 중국과 우호를 다지면서 프랑스를
등한시하게 된다.

결국 프랑스 선교사 박해 사건을 계기로 프랑스군이 베트남을 공격하기 시작하여, 1883


년에는 아르망 조약으로 베트남 전 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고 만다.

2-7-2-5. 독립운동

베트남 사람들은 중국의 지배에 끊임없이 항쟁하였던 것처럼, 프랑스의 식민지가 된 뒤에


도 독립 운동을 계속한다. 1930년에는 사회주의 성향의 민족주의자들이 베트남 공산당을 결
성하였는데, 이 공산당을 이끈 사람이 바로 훗날 베트남의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친 호찌민
이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프랑스가 독일의 침공을 받아 세력이 약해지자, 베트남은 1940
년 일본의 보호국이 된다.

그리고 1945년 전쟁이 끝나며 일본이 물러가자,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응웬 왕조를 무


너뜨리고 호찌민을 주석으로 하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여 독립을 선언한다. 그러나
프랑스는 계속하여 베트남을 포함한 인도차이나 지역의 지배권을 주장하였고, 1946년 두 나
라는 인도차이나 전쟁을 시작한다.

8년간의 전쟁 끝에 1954년 베트남은 제네바 협정으로 공식적인 독립을 이룬다. 미국, 영


국, 프랑스, 소련, 중국, 남베트남, 북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9개국이 참가한 제네바 회의
의 결과로, 베트남은 북위 17° 선을 기준으로 북부는 호찌민의 민주 공화국, 남쪽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베트남 공화국으로 나뉜다.

2-7-2-6. 베트남 전쟁과 통일

남북으로 분단된 뒤 호찌민의 북베트남은 조국의 통일을 원했지만, 남베트남은 분단된 상


황을 유지하려 했다. 하지만 차츰 남베트남에서 공산당의 지지가 늘어나자, 미국은 이를 막
기 위해 베트남 전쟁을 시작했다.

| 10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미국의 요청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필리핀,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도 파병


하였지만, 전쟁이 장기화되자 미국 내에서 전쟁에 대한 지지가 떨어졌고, 1973년 파리 협정
으로 미군은 철수한다.

1975년 북베트남의 지원으로 남베트남의 사이공이 점령되며 베트남 전쟁은 막을 내렸고,


다음 해 통일 국회를 구성하는 총선이 실시되어 하노이를 수도로, 사이공의 이름을 호찌민
시로 바꾸면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한다.

2-7-2-7. 현대의 베트남

1975년 통일된 베트남은 3년 뒤 다시 캄보디아와 국경 문제로 전쟁을 하게 된다. 이 때


문에 캄보디아를 지지하던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가 악화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의 주도
로 무역이 금지되는 등 경제적으로 봉쇄되어, 베트남의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이에 정부는 1986년, 개혁이라는 의미의 ‘도이 머이’ 정책을 도입하여 경제를 개방하고
수출에 힘쓴다. 이후 무역 활동이 활발해지고 서구 국가들과의 관계도 정상화되었으며,
1995년에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998년에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의 회원이 되고, 2007년 1월에 WTO 정식 회원국 지위를 확보하였고 2016년 2월 4일 환태
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가입하여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2-7-3. 문화적 배경

2-7-3-1. 광의의 베트남 문화권 이해


① 문화의 특성: 동적인 문화보다는 정적인 문화

베트남은 수천 년 동안 벼농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문화 역시 논농사 문


화의 흔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도작 농업에 종사하는 베트남인은 오래 전부터 자연과 긴
밀한 관계를 가졌다. 농업문화의 음성적 특징은 정감에 치우치고 여자를 중시하는 사회관계
와 여신이 넘쳐나는 신앙에 빠져들게 했다. 따라서 베트남 문화는 외향보다 내면을 중시하
며, 이성보다는 사람의 감정을 소중히 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보다는 사회와 공동체에 기여
해야 한다는 희생정신이 깃들여 있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열악한 자연환경을 개발, 극복하
고 수많은 전쟁의 위협으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는 목표하에 베트남인은 일찍부터 공

| 108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동체 연합을 추구해나갔다.

한국인이 볼 때는, 형식적인 인사성이나 예절이 부족해 보이는 듯 하지만 실제 모습은 그


와 다른 경우가 많다.

② 사상 :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영향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


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쿠
바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
트남은 동남아시아,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
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③ 생활: 아직도 남아 있는 유교 문화

공산주의의 영향으로 직업별 소득 차가 크지 않다. 남녀평등 사상이 확산되고, 보통 자녀


수가 많다. 예로부터 베트남은 벼농사가 주생활원이었다. 오늘날에도 농업지역, 주로 논농사
지역은 국민경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농촌에 거주한다.
여성의 사회 활동이 활발하고 여성 노동자의 고용을 장려하고 있다(소득 감면 혜택이 주어진
다). 가사 노동을 부부가 분담하며 유교 전통이 드러난다(장손을 중시하고 아들에게 유산 등
을 상속하는 행위). 베트남은 기본적인 지도이념과 문화 활동, 행정과 사회를 규제한 법률,
그리고 가부장적인 가족구조와 제사를 중심으로 하는 혈통과 조상제사에서도 중국의 것을 구
하였기 때문에 자연히 유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었다. 유교 윤리 사상의 군사부일체는
한국과 같이 베트남에도 강하게 작용했다. 즉 임금에 대한 충성과 아버지에 대한 효, 그리고
스승에 대한 존경으로 표현되는 이것은 수많은 국란에서 민이 국에에 보여준 절대적인 희생
이나, 가족구종에서 자식의 전폭적인 순종이나 그리고 지금도 스승 앞에서 절대 복종하는 예
에서 찾아볼 수 있다.

봉건왕조시대에 능력을 갖춘 자를 관리로 임용함으로써 통치 능률을 높일 수 있었는가 하


면 왕권을 강화함으로써 중앙집권제를 확립할 수 있었던 베트남의 과거제도는 한국이나 중국
처럼 문이 무를 지배하는 사회, 사농공상의 계급사회, 유교사회를 낳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오
늘날 이들 삼국에서 교육열이 높은 것이나 사교육 열풍이 심한 것도 근원은 과거제도에 있다.

전통시대에서 지금까지 베트남인들이 중시하고 있는 부양과 효행의 바탕은 ‘인’을 근본으

| 10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로 삼고 있는 유교사상에 있다. 부모의 부양은 효행과도 일치했다. 유교가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으로는 베트남 사회에 지금도 음성적으로 잔존하며 남존여비의 극심한 예라고도 할 수
있는 첩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부일처제를 명시한 가정과 혼인법, 특히 반봉건이라 하
여 지난 수십 년간 공산주의의 통제 아래서 강력히 규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첩제도가 소멸
되지 않고 잔존하고 있는 이유는 혈통유지와 부양, 그리고 제사라는 유교적 관념에 있다고
본다.

④ 종교: 다양한 종교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인 베트남의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인정한다. 그러나 동시에 전도를 인정하
지 않는다. 믿지 않을 수 있는 자유가 침해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종교는 베트남 정부기
관인 종교위원회에서 관리한다. 베트남의 종교로는 불교, 기독교(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등이다. 베트남은 대승불교권 국가이다. 그 외에 까오다이(Cao Đài)교와 호아하오(Hòa
Hảo)교 같은 신흥 종교도 있다.

베트남은 다종교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역사 속에서 종교 간 충돌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민족 종교인 까오 다이(Cao Đài)교의 교리 특징이나 ‘삼교동원(三
敎同源)’․ ‘사교일원(四敎一源), 즉 불교․도교․유교와 함께 천주교의 근본이 같다고 했던 베트남
인들의 관념에서 보듯이 베트남에서는 종교간 교류와 융합이 어려운 과제가 아니었다. 그렇
다고 특정 종교가 국가와 사회에 미치는 해독에 대하여 그냥 간과하였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불교 쇠퇴기였던 쩐왕조(Trần, 1225~1400)말에 당대의 유학자 쭈 반 안(Chu Văn An)
과 쯔엉 한 씨에우(Trương Hán Siêu), 그리고 호왕조(Hồ, 1400~1406)를 세웠던 호뀌리
(Hồ Quý Ly) 등의 예에서 불교의 문제점과 사찰의 개혁을 강하게 비판하고 단행하기도 하
였다. 그리고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수용하거나, 식민 지배 이후에
는 프랑스의 식민지 정책에 가담 내지는 항불투쟁에 냉소적인 반응을 나타냈던 가톨릭 신자
들에 대한 독립운동가의 무차별적인 보복행위도 있었다.

⑤ 의상: 아오 자이로 대표되는 베트남 의상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 자이이다. 아오 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 자이는 베트남 전역에
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자이를

| 110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없이 아오 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


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2-7-3-2. 협의의 베트남 문화권 이해


① 유사성

ㄱ) 동적인 문화보다는 정적인 문화

베트남 문화도 외향보다 내면을 중시하고 이성보다는 사람의 감정을 소중히 하고 개인보
다는 사회와 공동체에 기여해야 한다는 희생정신이 깃들여 있는 문화이다. 형식적인 인사성
이나 예절이 부족해 보이는 듯 하지만 실제는 다른 경우가 많다.

ㄴ) 가문과 체면을 중시

베트남 사람들도 한국 사람처럼 집안, 가문을 중시하며 자기의 품성을 소중히 생각하곤
한다. 다른 사람에게 신뢰를 받는다는 것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믿는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첫 만남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열린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기 때문에 한국의 약간
벽이 있는 문화보다는 쉽게 상대에게 다가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ㄷ) 지연, 혈연 중시

베트남도 북부, 중부, 남부의 지역적, 민족적, 역사적인 차이가 뚜렷하여 그로 인한 지연


과 혈연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인맥을 통해 많은 일을 해결하는 점도
한국인과 비슷한 정서를 지녔기 때문이다.

ㄹ) 윗사람을 공경하는 문화

유교의 영향을 받아서 예를 중시하고 윗사람을 존경하고 특히 조상을 모시는데 있어서 정


성을 다하곤 한다. 베트남 인들은 조상숭배 관습을 따르는데 모든 가정에서는 가장 신성한
장소에 조상을 모시는 제단을 차린다.

군사부일체와 충효 사상이 남아 있어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님과 선생님에 대한 은혜, 보


은에 대한 엄격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베트남인들은 오래 전에 돌아가신 조상들도 그 영혼이 후손 곁에 함께 머문다고 믿는다.

| 11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죽은 이와 살아있는 이들 사이에는 여전히 서로 정신적인 교감이 이뤄지고 있으며, 따라서


일상에서 자신들이 즐기며 느끼는 것을 그들의 조상들도 함께 느끼고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가족묘가 대부분 집 근처에 있다.

ㅁ) 외세의 침입과 전쟁을 많이 겪은 나라

베트남은 한국과 같이 역사적으로 주변 강대국들과 많은 전쟁으로 수난을 겪었지만 민족


과 언어를 잃지 않는 나라다. 몽골, 프랑스, 일본, 중국, 미국과 같은 주변 강대국과의 전쟁에
서 승리하면서 강한 자부심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ㅂ) 식습관에서 보이는 유사점

-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한다.

- 주식은 주로 쌀과 국수(퍼, 분)이다.

- 채소는 배추, 무, 상추, 파, 고추 같은 채소를 매우 많이 먹는다. 특히 쌀로 얇게 종이처


럼 만들어 말려 놓은 라이스페이퍼로 생채소를 싸 먹고 향초를 많이 먹는다.

- 주된 양념은 장류이다. 느억맘(nước mắm:생선을 발효시킨 장), 간장, 소금, 고추, 후


추, 깨, 소금, 미원(미소)를 양념으로 사용한다.

ㅅ) 한자 문화권이라 한자이름 표현이 가능

베트남도 우리와 같이 한자 문화권에 속에 있어서 단어의 65% 정도가 한자에서 유래했


다. 성과 이름은 삼음절로 표현하는데 성별을 구별하기 위해 성과 이름 사이에 남자는 Văn
(반,양)을 뜻함), 여자는 Thị(티)를 사용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이름에 Minh(미잉)자나 Hoa
(화)를 넣어 더 예쁘게 꾸며 주기도 한다.

② 차이점

ㄱ) 자존심이 강하며 개인주의가 발달

베트남은 오랜 세월 끊임없이 자행되어 온 외침을 물리친 역사에 대해 민족적 자부심이


강하다. 또한 베트남은 서양문화의 영향으로 우리의 조직적인 문화에 비해 개인주의가 발달
되어 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계층적인 문화에 익숙하지 않으며 동료 의식이 강한 편이다.

| 112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ㄴ) 하루가 아침 일찍 시작됨

더운 나라이다 보니 하루의 시작이 우리보다 빠르며 4시~6시에 시작하는 가정이 많다.


회사의 업무는 주로 8시에 시작하고 4~5시에 끝나는 편이다. 중간에 점심을 먹고 오침을 취
하는 습관이 있다. 주로 오전에 일이나 회의를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일찍 퇴근하는 경향이 있
기 때문이다. 거의 주 5일 근무를 하며 회사의 입사와 퇴사는 한국보다 자유로운 편이다.

ㄷ) 자유스러운 옷차림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정장 차림보다는 단촐한 옷차림으로 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여


성들은 시원하고 화려한 캐주얼한 옷을 입는 편이 강하다.

ㄹ) 지역마다 다른 억양 및 언어

베트남은 북부어, 중부어, 남부어, 화교들이 사용하는 베트남어, 각 민족과 지역적인 차이


로 방언들이 존재한다. 젊은 사람들은 표준어를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방언의 차이로 그
지방 방언을 사용하지 않으면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ㅁ) 파티가 많으며 초대된 손님에게 극진히 대접

베트남은 결혼식 파티, 생일 파티 등을 친족과 주변 이웃들과 함께 하는 것을 좋아한다.


초대된 손님에게 음식을 덜어주거나 술을 따라주는 행동을 하는데 시중을 들어야 한다는 인
식이 있기 때문이다.

ㅂ) 봉사료, 커미션이 중시되는 나라

어떤 부탁이나 일을 할때 그에 해당하는 보수나 봉사료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


으며 어떤 집에 초대되었거나 업체 방문시 선물이나 기념품을 선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병
원을 이용하더라도 병원비와 별도로 의사나 간호사에게 일정한 봉사료를 지불하고 주변 사람
에게 어떤 일을 부탁할 때도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곤 한다.

ㅅ) 음력 중시

베트남의 모든 행사나 파티는 기일을 정해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직까지 음력을 중시


하고 있다. 대소사를 정할 때도 손없는 날을 택해 치루는 편이다.

| 11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ㅇ) 대중교통 미발달

베트남은 대중교통이 발달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각각의 집에는 개인의 운송 수단을 갖추


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버스가 운행이 되지만 밤에는 운행하지 않고 정해진 코스만
운행하므로 보통 가정에서는 아이를 학교에 보낼 때, 시장을 갈 때, 일하려 갈 때도 개인 운
송 수단이 차나 오토바이로 이동을 해야 한다.

ㅈ) 꼼꼼한 계약문화 발달

구두로 하는 약속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잘 인정되지 않으며 계약한 후에도 계약내용을 주


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아 꼼꼼한 계약을 하는 편. 계약한 후에도 중요한 경우는 공증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2-7-4. 언어적 배경

베트남어는 인도차이나 반도에 속한 9,300만(2016년)에 이르는 베트남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여기서 베트남인이란 넓은 의미로는 전체 민족을 구성하고 있는 54개 종족을 지칭
하며, 좁은 의미로는 그 중 다수족으로 약 90%에 이르는 낑족을 일컫는다.

지리적으로 중국과 국경을 같이 했던 관계로 베트남은 우리와 같이 중국문화에 많은 영향


을 받았고, 이러한 특징은 양국의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역사에서 양국이 공히
말(言)은 존재하면서도 문자가 없었던 까닭에 오랫동안 한자를 사용했던 점과 독립적인 문자
를 소유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한자를 차용하여 각각 이두와 쯔놈(chữ nôm, 字喃)을 만들었
다고 하는 점, 15세기와 17세기에 창조되어 오늘날 통용하고 있는 한글과 베트남어의 명사
중 상당수가 중국의 한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현재 베트남어가 만들어진 배경에는 지리상의 발견 및 기독교 선교와 깊은 관련이


있다. 선교활동에서 가장 큰 장벽은 언어였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효과적인 선교활동을 위해
베트남언(言)의 문자화에 전념했고, 이의 결과로 17세기에 라틴어로 된 베트남어(국어)가 만
들어졌다.

베트남어의 창제는 포르투갈 제수잇선교부 소속으로 1624년에서 1645년까지 오랫동안


베트남의 남부에서 복음사역을 담당했던 프랑스인 알렉산드로 드 로드 (Alexandre de

| 114 |
2. 언어권별 문화의 이해

Rhodes)신부에 의해서 관거 베트남선교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여러 신부들의 자료들을 토


대로 하여 1651년 로마에서 베트남어․프로투갈어․라틴어의 대역사전과 라틴어․베트남어의 대
역교리문답이 나오면서부터였다.

그러나 베트남어는 베트남인들의 한문 숭배 사상에 밀려 오랫동안 경시되어 오다가 프랑


스의 베트남 식민 완성 이후 프랑스 식민당국이 지배의 효율화를 위하여 그때까지 사용하던
한자를 자신들의 선조들이 만들었던 베트남어로 대체하고 근대적 교육제도를 도입하면서 과
거제도를 폐지하는 등의 형태로 베트남 교육을 개혁하면서 국민 속에 널리 뿌리를 내리게 되
었다.

| 11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03

| 116 |
언어권별 의료문화

3-1. 영미권 의료문화


3-2. 중화권 의료문화

3-3. 일본어권 의료문화


3-4. 러시아어권 의료문화
3-5. 아랍어권 의료문화
3-6. 몽골어권 의료문화
3-7. 베트남어권 의료문화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 언어권별 의료문화

3-1
영미권 의료문화

3-1-1. 의료체계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1차와 2차로 진료 단계를 나누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다. 영미권도 다르지 않다. 그러나 같은 영미권이라 해도 각 나라의 의료체계는 상당히 상이
하다. 이렇게 의료 체계가 다른 주된 이유는 개발과 재정 지원의 역사가 국가 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캐나다나 호주와 같은 영연방 출신 국가들의 의료체계는 주로 정부에서 재정을 지
원받는 영국의 체계와 비슷하다. 그러나 미국의 의료체계는 아직도 주로 민간 회사의 재정을
받고 운영되는데, 2010년 부담적정보호법(Affordable Care Act, 소위 오바마 케어) 시행
이후 상황이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

3-1-1-1. 영국의 포괄적 보건의료 서비스

영국은 국가보건의료서비스인 NHS(National Health Service)를 통해 보편적 의료보험


을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이다(2014년 기준 경상의료비: GDP의 8.7%).. 따라서 의료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국가가 개입한다. 영국의 의료체계인 NHS는 단일보험자방식(Single-Payer
System)을 채택하고 있다. 즉, 정부가 단일보험자로서 전 국민을 단일 의료보험 조직에 가입
시키고 조세로 이루어진 재원을 이용해 국민 개인의 소득이나 건강상태와 관계없이 저비용
또는 무료로 일정 종류의 의료서비스에 대해 의료비를 지불하고 있다. 영국은 (미국의 시장
친화적인 고용기반 방식에 비해) 재화평등주의에 입각해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보편적으로
높이고 개인의 비용 부담을 낮췄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반면 피보험자의 도덕적 해이, 가격
통제로 인한 의료서비스 배분의 비효율성, 새로운 기술 도입의 지체 등이 단점으로 꼽히고

| 11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있다. 또한 사회보험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여러 나라와 마찬가지로 의료비의 급증, 의료자원


의 부족,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3-1-1-2. 미국의 자유기업형 보건의료 서비스

미국은 고용주가 제공하는 민간의료보험이 의료보험제도의 주된 골격을 이룬다. 민간의


료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별도로 메디케어(Medicare)나 메디케이드
(Medicaid) 등 공공의료보험이 제공되고 있다(2014년 기준 경상의료비: GDP의 16.4%).
미국은 아직도 보편적 의료보험이 실시되고 있지 않는 국가이며 시장중심적인 성격이 강한
의료체계를 가지고 있다. 미국 민간의료 보험은 대부분 고용기반방식(Employment-based
System)을 따른다. 고용주가 의료보험을 직원들에게 부가급여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정
부는 이러한 고용기반방식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지원한다. 실업상태이
면서 저소득층인 가정을 위하여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을, 65세 이상 은퇴한 노인들에 대하여
메디케어 프로그램을, 그리고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한 주 정부 어린이 의료프로그램(State
Children’s Health Program) 등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은 의료공급이 지나치게 시장경제
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비가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1970년대 이후 의료비
절감을 위한 노력이 국가 차원(오바마 케어)에서 시도되고 있다.

3-1-1-3. 캐나다의 복지지향형 보건의료 서비스

캐나다는 조세와 보험료 등 공적 재원 조달을 통해 의료 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14년 기준 경상의료비: GDP의 10%). 의료 보장에 관한 기본적인 책임은 주 정부가 지며
연방 정부는 각각 다른 주 정부의 의료보장 제도를 표준화하고, 일정 수준의 보장성을 유지
하며, 전 국민의 보편적 의료 보장을 위해 연방보건법으로 의료 보장의 기본 원칙을 정하고
주 정부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게 하는 법률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캐나다의 국민
은 외래와 입원 시 모두 본인부담이 거의 없는 의료서비스를 받고 있다. 캐나다는 보건법에
서 제시하고 있는 5개 원칙에 입각해 보편적 제도를 적용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급여 보장을
달성함으로써 외형 및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보다 충실한 의료 보장 제도로의 발전
을 위해 원외 처방 약제 급여 범위 등 주 별 급여 차이의 완화, 급여 대기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의료 인력 및 의료 시설의 확충, 재택 간호 확충, 만성 질환 약제비 지원 확충, 지방 보

| 11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건국의 역할 강화, 재정 확충,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정보기술 도입 등 현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연방정부와 각 주 정부가 2003년 보건의료개혁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3-1-1-4. 호주의 복지지향형 보건의료서비스

호주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 제도인 메디케어(Medicare)가 1984년부터 시행


되었다(2014년 기준 경상의료비: GDP의 9.0%). 호주의 메디케어는 영국의 NHS와 같이
조세를 재원으로 하고 부담 능력에 관계없이 의료를 제공받는다. 1차 의료는 주로 민간 의료
기관의 GP(일반개업의)에 의해서 제공되고, 행위별수가제에 따라 보상을 받는다. 병원급 의
료기관은 대부분 국영으로 전체 병원급 의료기관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병원급 의료기관
및 대학병원의 진료비지불제도는 총액예산제를 채택하고 있다. 연방정부가 진료비를 5년 기
간으로 과거의 진료실적과 의료의 질 등을 고려하여 총액으로 주정부에 배정하는 방식이다.
배정받은 후 주 정부는 개별의료기관에 포괄수가제(DRG)방식으로 진료비를 지급하는 체계
이다. 이밖에도 눈길을 끄는 것은 건강보험정책의 정책결정권한을 대폭 지방으로 이전한 것
을 들 수 있다. 또한, 병원서비스 부분의 아웃소싱에서 알 수 있듯이 민간부분이 갖는 효율의
장점을 공공부분에 많이 접목하였다. 70년대 이후 호주는 세계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분야만큼은 여전히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그대로 존속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영어권이라 해도 각국의 보건의료체계는([표1] 참고) 각자의 역사적 배경에


따라 상이하게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민의료보험이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다는
측면에서만 분석하면 복지지향형 국가 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겠지만 보건의료 서비스의
80% 이상이 민간 부문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자유 기업형 국가군의 특성을 지니
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자유기업형과 복지지향형의 중간 단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 보건의료체계의 유형 분류 |
구분 자유기업형 복지지향형 포괄적 보건의료 서비스형
국가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 12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3-1-2. 의료문화의 특징

3-1-2-1. 영국 병원과 NHS의 한계

영국 의료 기관의 목표는 모든 국민에게 소득에 관계없이 질 좋고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


를 무료로 제공해 주는 것이다. 영국 국민은 모두 자신의 거주 지역 내에 있는 1차 진료의
(General Practitioner, GP)를 자신의 주치의로 등록해야 하고 이처럼 문지기(gatekeeper)
역할을 하는 주치의의 소견서가 있어야만 전문적인 2차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영국의 2차 의
료 기관인 종합병원은 인구 12~30만인 지역마다 1개 소가 설치되어 있다. 1차와 2차 의료
기관의 기능이 혼재되어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영국의 1차 의료 기관은 그 기능이 상당히
바람직하게 잘 수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의료 비용을 관리함으로써
과잉 진료를 어느 정도 막는 효과도 있다.

반면, 전문의는 물론 일반의를 만나는 것조차도 대기가 길어 응급이 아닌 경우를 제외하


고 짧게는 1~2주에서 길게는 몇 달까지도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영국 NHS의 역사
가 60년이니만큼 이미 겪을 대로 겪은 영국 사람들은 불평을 하긴 해도 이를 혁명적으로 바
꾸려고 하지는 않으며 잘 참고 기다리는 편이다. 이는 전통을 사랑하고 혁명을 싫어하는 영
국인들의 기질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게다가 영국 사람들은 세금을 많이 내고 있
기 때문에 의료 정도는 국가가 무료로 해주어야 한다는 의식도 상당히 강하다. 영국인들의
인식이 이렇다보니 갑자기 더 많은 세금을 걷어 지금의 체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의료 혁명
도 쉽지 않은 형국이다.

영국은 1차와 2차 의료 기관의 기능이 뚜렷하다는 점뿐 아니라 입원을 하는 경우에도 우


리와 상당한 차이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 병원에서는 보호자가 환자 근처에 대기하
다가 간호사나 의료진이 부르면 응대해야 한다. 각종 검사 수발은 물론 여러 가지 동의서나
약을 챙기는 것도 보호자의 몫이다. 그러나 영국 병원의 병실 내에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없
다. 물론 개인적인 이유나 부자들이 가는 사립병원, 1인용 병실 등에서는 간병인을 두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환자의 시중은 전적으로 간호사가 담당한다. 환자의 치료나 간호는 모두
병원의 몫인 셈이다. 실제로 병원에는 앉아 있을 의자도 환자 보호자들이 쉴만한 보호자용
간이 침대도 없다. 따라서 영국 병원에서는 한국 병원의 다인실에서 12명의 환자와 간병인들
이 함께 뒤섞여 지내는 광경을 볼 수 없다. 사생활과 위생을 지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국

| 12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인들로서는 이러한 한국 병원의 풍경을 보면 놀라기도 할 것이다.

간호사들이 보호자의 역할까지 해야하다보니 영국 병원에서는 병상이 남는다고 무조건


환자를 추가로 받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중환자의 경우 환자 한 명당 간호사 한 명이 배정
되어 24시간 밀착 간호를 하게 된다. 또한, 환자에 따라 간호사 한 명이 계속 전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환자들이 여러 명 생기면 간호 업무에 부하가 걸리므로 해당 병동 매니저
는 자신의 재량으로 간호사들의 수용 능력을 넘어서는 경우 더 이상 환자를 받지 않는다. 법
적으로 간호사 한 명당 환자 수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입원 중인 환자들의 상태
를 보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추어 입원 환자 수를 결정하게 된다.

영국에도 정식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정규 간호사 말고 ‘건강간호보조사


(Health Care Assistant)’가 있다. 간호보조사는 직업훈련이나 자격증을 사전에 취득하고 병
원에 취업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단 병원에 취직을 하면 병원이
자체 프로그램으로 훈련을 시키고 외부 간호 학교 등에 위탁교육을 시켜서 양성한다. 단계를
거쳐 교육을 연수하고 나면 급여도 올라가고 직급도 올라간다. 결국 이들이 간호사들을 도와
보호자를 대신해 간병인의 역할을 한다. 물론 정규 간호사들도 정기적으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경고를 받거나 승진을 못 하거나 해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영국인들은 집안에 환자가 생겼다고 생계가 걸린 일과 산적한 집 안


일을 팽개치고 병원에 가서 전적으로 환자만 보라고 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
한다. 설사 그렇게 생각하지 않더라도 환자를 돌보지 않는 것이 이기적이라고 비난하지는 않
는다. 영국인들은 환자 수발이 가족으로서의 사랑과 의무를 다하는 것이며 이를 하지 않는
것은 이기적인 것이라는 식으로 이분법적으로만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들의 생각은 당연히
국가가 보살펴 주어야지 개인 생활이 있는 가족이 어떻게 환자에게만 매달려 있느냐는 논지
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사회복지 대상이냐 아니냐를 따질 때 수혜자 본인의
상황만 고려하지 한국처럼 부양가족이 있는지 그 가족의 수입이 얼마나 되는지는 따지지 않
는다. 그래서 백만장자의 부모가 각종 복지혜택을 받고 사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다. 자식
이나 가족이 다른 가족을 보살피고 안 보살피고는 개인들 사이의 문제이지 국가가 이래라저
래라 할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영국인들은 부모가 병원에 입원해 있는데 자식들이 간병을
하지 않는다고 비난하거나 손가락질 하지 않는다. 이 같은 사회적 인식 때문에 당분간은
NHS가 계속해서 환자 간병을 책임지겠지만 재정 상태가 악화되고 있으므로 언제까지 지금

| 12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처럼 지원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한편, 영국 의료 양로원의 경우 법적으로 반드시 노인 4명당 간호사 1명을, 중환자실의


경우 환자 1명당 간호사 1명을 고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정 병원에서 환자를 받지 못하면 지
역을 관장하는 응급센터에서 인근 병원에 입원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 구급차로 환자를 이송
시킨다. 이러한 여건 때문에라도 영국 병원은 불필요하게 환자를 잡아 놓거나 꼭 필요하지
않은 검사를 권유하지 않는다. 영국에서는 수술을 받더라도 주사나 수액을 계속 맞아야 하는
경우가 아니고 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상황이면 퇴원시킨다.

영국 NHS도 역사가 오래된 탓에 관료화에 따른 문제가 많다. 경제난과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복지제도 개혁에서 NHS는 맨 처음 수술대에 올라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서 개혁이란 말은 결국 인력을 줄인다는 말이다. 그래서 NHS 의료진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많다. 게다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이루어지면 EU 회원국 출
신 노동자들에 대한 비자와 취업 기준이 까다로워져 당장 일자리를 잃고 쫓겨나게 될 의료
인력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추산된다. 영국은 안 그래도 근무 조건에 비해 임금이 낮아 의사
나 간호사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현재 영국 의사들은 임금이 더 높은 미국으로
건너가고 있으며,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제3국의 의사들이 대신 이들의 자리를 채우고
있다. 게다가 영국도 이제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노령인구가 늘고 있고 사회복지 부담을
짊어질 젊은 인구는 줄고 있다. 이제 국민들의 추가 부담 없이는 무료 복지가 더 이상 불가
능한 시점에 와 있다는 주장이 사회 전반적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3-1-2-2. 영국 환자와 스파 치료

영국에서는 의사들에 대한 환자의 불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신과와 외


과 의사들에 대한 불만이 상당수를 차지하며, 여의사보다 나이 많은 남자의사들에 대한 불만
이 더 높은 추세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치료와 관련하여 환자를 존중하지 않고 환자와의 의
사소통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그 외 영국 NHS의 치과와 정형외과의 부실한 치료시설도 도마
에 올랐다. 특히 치과진료나 산부인과 시설의 경우, 턱없이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개인병
원을 찾고 있는데, 이들 개인병원은 가격이 너무 비싸서 많은 환자들이 저렴한 비용을 위해
유럽으로 떠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10년 전인 2007년에 이미 의료관광을 택한 영국
인들의 수가 7만 명에 육박했다.

| 12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치과와 스파 치료 분야에서는 폴란드가 영국환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폴란드 의사의 우수한 실력과 저렴한 가격을 꼽는다. 폴란드의 병원 대부분이 EU규정을 지
키고 있고 ISO9001같은 국제인증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폴란드에서의 치료비용은 평균 영국
에서 받는 것보다 60~70% 저렴하다. 여기에 항공료와 숙박비용을 감안하더라도 폴란드에서
치료받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다. 유럽 다수의 저가항공들이 영국과 폴란드 사이를 연결하기
때문에 많은 영국인들이 보다 편리하고 저렴하게 폴란드로 의료관광을 떠날 수 있게 된 것도
한 몫 한다. 예를 들어 런던-그단스크 왕복 항공권이 런던에서 지방도시 리즈로 가는 편도
기차표보다 저렴하다. 영국환자를 많이 유치하는 폴란드 병원은 역시 영어소통이 원활하여
영국 환자들을 잘 배려할 수 있는 곳인데, 어떤 병원들은 진료 외 환자들의 여행일정까지도
도와주고 있다. 영국인들이 폴란드를 우수한 의료관광지로 뽑는 또 하나의 이유는 전국 곳곳
의 스파 시설 때문이다. 폴란드의 고급 온천 휴양지에는 의료진들이 항상 대기하고 있어, 많
은 의료관광객들이 체력도 회복하고 관광도 할 겸 폴란드의 스파를 찾고 있다.

3-1-2-3. 미국 병원과 민간의료보험의 한계

미국 병원도 영국처럼 주치의(GP)가 문지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영국과는 달리 전 국민


을 대상으로 한 의료 보험제도가 없다. 미국의 종합병원에서는 입원한 환자들만 진료를 받고
응급실이 없는 종합병원에서는 진료를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드시 종합병원에 입원하기
전에 개인 병원에서 먼저 1차 진료를 받아야만 한다. 또한, 의료비가 매우 비싸므로 반드시
의료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그런데 앞서 이야기했듯이 미국의 의료보험은 국가의료보험이 아
닌 주로 민간의료보험이거나 직장의료보험이다.

미국의 민간의료보험은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와 PPO(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 POS(Post of Service)가 주를 이룬다. HMO는 네트워크 내에
주치의를 두고 그 주치의에게서 주로 치료를 받고 전문의에게 가려면 주치의의 소견서를 받
도록 되어 있다. HMO의 단점은 네트워크 내에 있는 병원이나 의사에게서 치료를 받지 않으
면 응급상황이 아닌 한 전혀 커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PPO의 경우, 반드시 네트워크
내에 주치의를 지정할 필요는 없으며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은 다른 의사에게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대신 가입자 본인이 부담하는 비용이 네트워크 내 주치의에게서 치료받는 경우보다
훨씬 높다. PPO의 단점은 보험료가 비싸거나 HMO보다 가입자 본인이 부담해야 비용이 크

| 12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다는 점이다. POS는 HMO와 PPO를 융합해 놓은 형태이다. 즉, 네트워크 내에 주치의를 지


정해야 하는 것은 HMO와 같으나 네트워크 내에 있지 않은 의사나 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
점은 PPO와 같다. POS의 경우 보험료나 가입자 부담액이 HMO와 PPO 중간 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

미국은 나라가 세워지기 전에 종교의 탄압을 벗어나 신대륙으로의 모험을 감행했던 청교


도인들이 국민으로서 먼저 정착하였다. 개인은 어떤 방법으로든 스스로 의료를 구매해야 했
고,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자선 단체들의 도움을 받아야만 했
다. 2차 대전 이후, 전현역 군인들을 위한 정부 지원의 의료보험과 기업들의 노사협정을 통
한 직장 의료보험이 도입되기 시작했고, 마침내 부분적인 국민 의료보장제도라 할 수 있는
메디케어(Medicare)와 메디케이드(Medicaid)가 실시되어, 이전에 비해 발전된 의료보장체
제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의료보험 제도의 도입을 위한 몇 차례의 시도는 번번이 국
회나 관련 이익단체들의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고, 그 결과 지금도 여전히 메디케어와 메디
케이드 수급자 또는 고용주의 지원을 받는 직장인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본인이 모
든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자기구제 방식의 제도 하에 머물러 있다. 문제는 의료보험료가 매
우 비싼 까닭에 5천만 명이 넘는 국민들이 보험에 가입하지 못했고, 의료비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싸 보험이 없는 사람들은 미국 내에서 치료나 시술을 받는 것 자체를 아예 포기하
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심화되는 미국 의료의 양극화는 보험미가입자들로 하여금 의
료관광으로 눈을 돌리게 만들었다. 고용주들 또한 의료관광의 경제적 혜택에 관심을 가지고
는 있지만 의료 과실 발생 시 이에 따른 소송 가능성 때문에 상당히 유보적이다. 의료 소송
이 워낙 빈번한 미국의 법률 환경 하에서는 과실 책임의 문제가 고용주나 보험 업체 입장에
서 큰 위험요인이자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의료관광하면 사실 미국 의료기관이 세계 최고의 의료기술 보유국이라는 명성으로 전 세


계의 난치병 환자들을 유입하는 전통을 자랑해왔다. 존스 홉킨스 병원(Johns Hopkins
Hospital)과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은 이러한 명성을 보유한 대표적인 기관들이다. 존
스 홉킨스는 심장수술, 정형외과 수술, 암 치료 등으로 유명하며 외국환자 유치를 위해 국제
부서 소속 40여명의 상주 통역사와 외부에 약 40명의 프리랜스 통역사를 활용해 왔다. 메이
요 클리닉은 2000~2003년 한 때 해외 환자가 전체 환자 수의 40%, 병원 수익의 약 50%를
차지했었다. 그러나 9.11 테러 이후 중동 지역 환자가 줄고 그 자리를 캐나다 환자들이 대체

| 12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해 왔다. 캐나다 환자들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점점 길어지는 대기자 리스트와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고통 때문에 미국 병원으로 시선을 돌렸던 것이다. 캐나다의 경우 CAT 촬영을 위해
3개월, 전문의를 만나기 위해 4개월, 수술 시간을 받기 위해 6개월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
이다. 메이요에서도 존스 홉킨스과 같이 외국인 환자들을 위해 38명의 상주 통역사와 25명
의 프리랜스 통역사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보험이 없는 미국 저소득층에게 이러한 좋
은 시설은 그림의 떡일 뿐이다. 미국의 은퇴계층은 오히려 의료를 위해 인근 멕시코로 많이
들 이주하였다. 이처럼 최고의 의료진, 최첨단 의료장비와 고도의 의료기술을 자랑하는 미국
에서 수많은 국민들이 그 혜택을 보지 못하고 타지로 치료받기 위해 여행을 떠나야 하는 현
실은 미국 의료의 두 얼굴이라 할 수 있다.

미국 병원이 영국과 비슷한 점이 또 하나 있다면 병실에 보호자용 간이침대가 아예 없다


는 사실이다. 직계 가족이나 보호자 대신 병원 소속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또는 병원 및 요양
원과 계약을 맺은 전문 간호 인력이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 별로 간호법 및 간호
인력에 대한 기준이 다르지만 대체로 검증된 간호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간병 회사
에 대한 정부 당국의 승인 및 규제도 까다로울 뿐 아니라 병원에 인력을 파견할 경우 해당
병원의 자체 스크리닝 절차를 거치게 돼 있다. 환자의 정서안정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판
단되면 가족들이 병원에 머무르기도 하지만 주로 병실 밖에서 대기하며, 이때도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등 사전에 철저히 감염예방 조치를 취한다. 아울러 병상이 최대 2인용으로 제한돼
있는데다 점점 1인용으로 가는 추세여서 병원 내 2차 감염 가능성도 그만큼 적다. 미국 사람
들도 영국인들처럼 사생활과 위생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12명이 부대끼며 한 병실
에서 생활하는 것을 견디지 못할 것이다.

한국에서는 전문의 등 고급 인력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미국은 직업에 대한 특성과


전문성을 존중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응급구조사가 응급조치를 하는 것을 믿고
따른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재 수많은 응급구조사가 존재하고 환자의 후송을 담당하고 있
으나, 그야말로 후송에만 그치고 응급구조사의 응급치료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 환자나
보호자가 응급구조사의 응급처치보다 의사의 치료를 선호하는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

또 다른 미국 의료시스템의 문제점은 다인종 국가를 이루긴 하였지만 아시아인 등 다른


인종에게 많이 발병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시스템은 아직 잘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아시아인에게 흔한 위암이나 B형 간염의 경우, 일반 미국인에게는 잘 발

| 12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병하지 않는 질환이어서 한국처럼 사전 검진이나 치료 프로그램을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반


대로 미국인이나 유럽인들은 많은 나라에서 전염하는 독감이나 결핵, 또는 모기로 인한 전염
성 질환에 대한 자연 면역이 약하다. 이렇듯 인종별, 지역별로 더 잘 발병하는 질환이 달라
교포들은 미국에서도 여전히 한국 병원이나 의사를 많이 찾는다.

3-1-2-4. 미국 환자와 은퇴관광

지금까지 보았다시피 미국은 민간의료보험이 워낙 비싸다보니 전체 인구 3억 명 중 5천


만 명이 비보험자들이다. 앞서 오바마 정부의 보건의료개혁에도 불구하고 의료비는 계속 상
승하였다. 더구나 회사에서는 의료보험료에 대한 부담률을 낮추고 있어 직원의 체감 의료보
험료 증가율은 10%에 육박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오바마 케어가 본격적으로 실행되면서
건강보험가입이 의무화되었다. 건강보험에 무조건 가입하지 않으면 벌칙으로 세금을 내야만
한다. 이처럼 민간의료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오바마 케어 하에서 국민들은
원하는 보험을 마음대로 가입할 수 있다. 보험회사는 병력을 이유로 보험 가입을 거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가지고 있는 의료혜택보다 더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다만, 기존
개인 보험료보다 다소 비싸질 예정이다.

그러나 당장 의료보험이 없는 미국 저소득층들에게 미국의 비싼 병원들은 넘을 수 없는


벽이다. 따라서 미국의 은퇴계층은 오히려 의료 때문에 인근 멕시코로 많이 이주했다.
55~58세의 직장 은퇴자는 직장 의료보험이 없고 메디케어 수혜 연령(65세)까지 기다려야
의료보험 혜택이 가능하므로 상당기간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는 의료관광이라기보다 은퇴관광이라 할 수 있다. 멕시코 내 병원 시설은 최신식도 아니고
환자가 자기 베개를 병실에 직접 가져와야 하는 등 미국보다 불편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수천 달러의 비용을 내야할 의료 혜택을 멕시코에서는 무료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불평할 것이 없다는 것이 미국 의료관광 소비자들의 반응이
다. 초창기에 멕시코가 이러한 은퇴관광지로 각광을 받았다면 2009년에 이르러서는 미국인
들 사이에서 아시아 국가, 특히 인도, 태국, 싱가포르 등이 의료관광 목적지로 각광받기 시작
했다. 태국은 경치가 좋고 영어도 잘 통하는 편이며 주거비와 생활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특히, 태국 내 병원에는 미국인 원장과 의사들이 다수 상주하고 있어 의사소통
에 지장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으로 꼽혔다.

| 12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한편, 미국 내 한인 동포들의 경우, 현지 의료보험이 없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한국 방


문 시 건강검진을 받고 돌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큰 수술보다는 간단한 치료, 피부관리,
피부성형 등을 많이 받고 있다. 그 외에도 산후조리원이 없는 미국을 떠나 한국에서 아이를
낳으러 오는 교포들도 많다. 출산은 아마 우리와 영미권 간에 문화적으로 차이가 가장 큰 분
야일 것이다. 아이를 낳는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관장, 제모, 회음부 절개 등을 거의 필수적으
로 시행하지만 영미권에서는 보통 이를 하지 않는다. 또한, 출산을 한 후 우리는 샤워 자체를
피하라고 하지만 영미권에서는 바로 샤워를 하는 것은 물론 아이를 낳자마자 3일 만에 수영
장에 오는 경우도 보았다. 음식도 우리는 모유가 잘 나오라고 미역국을 먹지만 영미권에서는
출산을 막 한 산모에게 햄버거를 주기도 한다.

지금까지 영국 환자들은 의료비가 무료이지만 진료를 받기까지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서,


미국 환자들은 세계 최고의 시설과 의료진을 갖추고 있지만 민간의료보험료와 의료비가 너무
비싸서 의료관광을 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특히 영국 환자는 폴란드에서 스파 치
료를, 미국 환자는 인근 멕시코에서 은퇴관광을, 미국 교포들은 한국에서 건강검진, 치과 치
료, 포경수술, 출산 및 산후조리 등등을 많이 하고 있다. 의료 관광의 측면에서 봤을 때, 대
체적으로 영미권 환자들은 사생활을 중요시 여기며 환자의 비밀보장을 철저히 지키지 않을
경우 (특히 미국인들 같은 경우) 바로 민원이나 소송을 제기하므로 이러한 부분을 각별히 주
의해야 한다. 한편, 우리나라 병원은 주로 한국에 주둔해 있는 미군, 영미권 외교 사절단이나
외국인 주재원들이 많이 찾고 있다. 그 외에도 아랍, 러시아, 베트남 등 다른 국적의 환자 중
영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영어 의료통역을 의뢰하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가 존
재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의료진이나 의료통역사는 민감한 사안의 경우 항상 환자에
게 먼저 물어보거나 양해를 구하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 12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3-2
중화권 의료문화

3-2-1. 중국 의료시장의 상황 및 문제점

2013 10월 중국 국무원에서 내놓은 국가발전계획서 40호(國發[2013]40號)<건강서비스


발전제안서關於促进健康服務發展的若幹意見>에 따르면 중국 의료서비스 시장은 2020년까지
GDP의 7~7.5% 수준인 연 8조 위안(한화 약1,5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경제사회
를 지속 발전시키는 중요한 산업으로 규정, 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밝
혀 중국의 의료 서비스 시장은 황금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선진 국가들의 의
료산업 비율이 GDP의 10%를 초과하나, 중국은 5%미만으로 개발도상국보다도 낮은 수치이
다. 따라서 중국 정부의 계획은 의료서비스 시장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으로 끌어
올리려 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 전체의 의료역량을 끌어 올리고, 늘어나는 국민들의 의료수
요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차원의 투자확대 뿐만 아니라, 민간 자본의
의료시장 유도, 외국자본 및 외국 의료기관의 중국진출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3-2-1-1. 중국 의료서비스의 시장수요

중국정부는 국민건강은 국가전략과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의료서비스 개선책에 관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의료시장의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가고, 그에 따른 공급이 부족하여,
국민들은 여전히 “진료보기 힘들고, 진료비가 비싸다(看病難、看病貴)”라는 상황에 처해있다.
중국 의료서비스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인이 두드러진다.

① 고령화 인구 급증에 따른 진료자수의 증가

2014년 중국에서 발표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국가 대응전략: 國家應對人口老齡化戰略> 보고


서에 따르면 2025년의 중국의 고령인구는 3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경대학 국
가 발전연구소의 연구발표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의 연평균 의료서비스 비용은 다른
연령보다 훨씬 높아 2015년 연간 지출된 개인의료비가 총 11,992.65억 위안으로 이는 1990년
의 267.01억 위안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으로 매년 성장률이 16.44%에 달한다고 하였다.

| 12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② 고소득층의 증가에 따른 Wellness 관심증대와 고급 의료 서비스 수요증가

중국의 인구는 매년 평균 5.21%씩 증가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총 자산규모 1,000만


위안(한화 약 16.5억원)이상의 인구가 109만 명, 10억 위안(한화 약 1,650억)이상의 인구가
8,300명에 이를 정도로 서부와 북부 도시에 고소득층 혹은 중산층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
다.24) 3선 도시 내에 상위 중산층의 비율은 2022년에는 30%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이들 상류층과 중산층들의 부의 축적이 많아지면서 건강 및 Wellness에 대한 관
심도 같이 증가하여 고급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국제 주치
의 의료서비스 전시회에서 발표된 조사에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청두 등 4개 도시
의 가정 총자산 규모가 500만 위안(82.5만 달러) 이상인 소비자 500명 중 86%가 중국 내에
우수한 개인의료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고, 부유층의 67% 소비자가 건강관련 지출을
가장 중요한 항목이라고 답하였으며, 이 중 약 77%가 건강검진, 67%가 질병예방에 비용지
불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③ 정부의 민영병원 확대 및 장려정책

중국의 민영병원은 병상 수가 100이하가 많으며, 전문 병원의 경우 전염병, 암, 아동병원 등


의 대형병원이 많다. 정부는 민영병원을 병원 등급지정 재게, 공공의료보험 편입가능 등 공립병
원과 동등한 대우를 하고, 의사의 복수 병원 회진 허용, 부실한 공립병원 퇴출 및 민영병원의 부
실 공립병원 인수 장려, 일부 지방정부의 민영병원 및 외자병원 위주의 의료서비스 특구 설립
등의 정책으로 민영병원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 민영병원은 소득수준이 높은 동부 연안 및 1선
도시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특히 적극적으로 민영병원을 장려하고 있는 강소성(江蘇省), 복
건성(福建省)등은 민영병원이 전체 병원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중대형 병원들도 많다.

④ 수요의 고급화 및 다양화

소득의 증가 및 발병률 등의 변화로 인해 의료서비스 수요가 다양화되며, 공립병원의 특


성상 커버하기 어려운 과목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민영병원이 설립되고 있다. 이에 따른 이용
량도 증가하고 있다. 민영병원이 진출하는 과목은 주로 산부인과, 성형, 피부 등 미용에 관한
과이며, 정형외과 재활, 치과, 안과 등이 많다. 고급 서비스를 표방하는 민영병원도 많다.

24) China Ultra High Net Wealth Report 2014-2015, 중국민생은행 & 호윤연구원

| 13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⑤ 대형 의료자본의 출현과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투자

민영병원의 발전으로 전국적으로 수십 개의 병원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대형 의료그룹이


다수 출현했고, 이 그룹들은 초기에는 베이징, 상하이, 동부 연안도시 중심으로 투자하였으
나, 최근에는 내륙도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 또 일부 제약기업들과 금융기관들
도 병원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3-2-1-2. 중국 의료서비스의 유형

분류 정의
대형병원으로 대학종합병원, 대도시 유명병원
3급병원 500병상이상 등 우수한 의료설비를 보유한 병원
응급실, 중의과, 예방과를 포함한 전과
국영병원
현/구/ 소규모 시단위 병원. 3급에 비해 시
민영병원 2급병원 100~499병상
설 및 정보화가 많이 낙후됨.
약3만개
2급병원시설: 응급실 불필요
1급병원 20~99병상 1급병원시설: 내과, 외과, 산부인과, 예방과,
X레이실 필요.
지역민 대상의 보건/건강관리 및 기초진료 실시. 보건소 기능과 병원의 일부 기능 수행
건강관리 및 기초진료 실시. 보건소 기능과 병원의 일부 기능
단지위생서비스센터
기층 수행
의료기관 향진위생원 농촌 향진 단위 보건소
약91만개 촌 위생소 농촌 촌 단위의 소규모 위생소(대부분 1인 의사 상주)
문진부/
소규모 의료기관(의원급)
진료소(의무실)
전문공공 질병위생통제센터 전문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부 위생기구
위생기구 부녀아동보건기구 부녀, 아동 대상의 건강관리를 정책적으로 수행
약32만개 위생감독기구 병원, 기층 의료기관들의 위생, 의료행위를 관리/ 감독
(자료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 중국진출 현황분석 및 맞춤형 진출 전략 연구2013.12)

2016년11월 말까지 중국 의료기관은 총 99.2만개로 그 중 국영병원의료기관은 12,747


개, 민영병원의료기관은 16,004개로 국영병원의료기관은 전체 의료기관의 1.28%를 차지하
고 있다. 하지만 총 환자의 3분의 1이 국영병원의료기관으로 몰린다. 2016년 1월에서 11월
의 전국 의료기관의 병상 사용률은 86.8%이지만 그 중 3급 병원의 병상 수 사용률은 99.1%

| 13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에 달해 각 유형별 의료기관의 병상 사용율의 편차가 매우 크다. 국영병원의료기관의 환자는


늘 넘쳐나고, 기층의료기관의 공급은 차고 넘친다.

3-2-1-3. 중국 의료서비스의 문제점

① 의료서비스 자원 부족: 경제와 사회발전 속도에 따라 늘어가는 의료서비스의 수요에


대한 의료진과 병상 수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의사 보조인원 중 대학 혹은 이상
학력 소지자는 45%, 등록된 간호사도 대학 혹은 그 이상 학력 소지자가 10%이다.

② 불합리한 자원 배치 : 중국 서부지역의 의료서비스 품질은 매우 낮다. 기층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의 능력부족으로 이용률이 낮고, 일부지역에서는 서양의학과 중의학의 발
전 또한 불협화음으로 중의학마저 외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국영의료기관으로 환자들
이 몰리고 병상 수는 늘 90%를 넘는다. 의사와 간호사의 비율은 1:1로 간호사 수가
심하게 부족하며, 전문병원도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소아과, 정신과, 재활의학
과, 실버케어 등의 전문병원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또 의료인력 중 80%가 도시
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20%만이 농촌에 분포되어 있어 의료인력 또한 매우 부족하
다. 게다가 의료보장체계가 완벽하지 못해 44.8%의 도시인구와 79.1%의 농촌 인구가
의료보장 없이 의료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③ 의료기관 간의 협업 부족: 의료서비스체계의 연계성 부족으로 공공위생기구와 의료기


구 간의 분업체계가 불안전하고 상호간의 소통부족으로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만성질환 등 건강에 관한 의료 서비스의 대응이 매우 어렵다.

④ 국영병원의 의료서비스 개혁 미미: 국영병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혁은 매우 부족하


다. 의약품이 의술의 보조 수단으로써의 체계, 과학적인 보상체계 등이 미비하다. 중국
전체 의료비 중 58.6%, 입원 의료비 중 46.1%가 약값으로 비중이 매우 높다. 병원 수
입의 42%(2009)가 약품 수입으로 수입의 큰 부분을 약품에 과대하게 의존하고 있다.
이는 중국 의료 진료수준과 서비스 수준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중국 국무원은 2017년까지 의약품으로 인한 수입을 현재의 30%이하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하였다.
병원들은 병상 수 규모 확대, 설비경쟁에 힘쓰고 병원 내부 체계와 제도 개선에는 소
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또 일부 국영병원의 규모가 너무 커서 기층의료기관의 발전을

| 13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눌러 의료서비스체계의 전체적인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게다가 약품과


의료기기 생산 및 유통질서가 혼란스럽고 가격이 높다.

⑤ 정부의 관리능력 부재: 정부는 의료위생자원의 효율적 배치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지


역위생계획실시 과정 속에서 과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안목 부재로 상위기관으로서의 권
위성과 제약성을 발휘하기 쉽지 않아 전체적인 규획 조절에 있어서 그 힘을 잃고 있다.

3-2-2. 중국 의료기관의 체계 및 의료보험

3-2-2-1. 중국 의료기관의 체계

중국 의료기관은 크게 국영의료기관과 민영영리의료기관(중국민영병원과 외자민영병원)


으로 나눈다. 국영의료기관은 국가소유 의료기관으로 비영리로 운영되며 의료서비스 가격을
정부로부터 통제받는 반면 의료보험이 적용되고 세금 우대를 받는다. 민간영리의료기관은 영
리를 목적으로 민간소유로 운영되며, 운영과 가격설정이 자유롭고, 반면 보험 적용이 어렵고
세금납부의 부담이 있다. 따라서 영리의료기관들은 주로 성형/미용등 공공성이 적거나, 고급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하는 검진과 산부인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3-2-2-2. 의료기관별 특징

형태구분 의료비 의료의 질 이용계층 비고


평균적으로 낮으나 국영병원 구조조정
낮은
국영병원 대형병원은 일반국민 소규모병원은
(국가의료보험적용)
높은 편 대형병원으로 편입
부유층-고소득층
중간 또는 약간
중국민영영 또는
높음(국가보험 대상 보통 기업화된 병원 다수
리병원 특수진료과목
적음)
이용환자
외자민영영 매우 높음 대부분 외국인 대상으로
높음 외국인, 고소득층
리병원 (대부분 사보험) 진료, 점차 내국인 수요 증가

| 13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2-2-3. 중국의 의료보험

중국은 1999년부터 기본의료보험제도를 설립하였으며, 기업, 국가행정기관, 사업기관과


기타 기관의 직원은 반드시 의료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의료보험 납부 비율은 고용업체에서
직원 급여의 6% 안팎, 직원은 급여의 2%를 납부한다. 기본의료보험은 지정된 병원이나 약국
그리고 지정된 약품에만 적용하므로 중국 국영의료보험제도는 범위가 좁다. 중국의 상업의료
보험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루고 있지만, 경영리스크가 크고, 전문화 정도가 낮으며, 병후 배
상 어려움 등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발전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
아져 상업의료보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의료보험은 크게 공공의료보험과
민영의료보험으로 나뉜다.

① 공공의료보험

중국은 3대 의료보험(도시종업원 기본의료보험, 도시주민 기본의료보험, 신농촌 합작의료


보험)이 있으며, 약 95%의 가입률을 달성하고 있다.

| 중국의 공공의료보험 비교 |
도시지역 농촌지역
분류
도시종업원기본의료보험 도시주민 기본의료보험 신농촌합작 의료보험
책임기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위생부
가입 개인별강제가입 세대단위 임의
보장률 70% 50% 30%
국가보조금 없슴 낙후지역은 중앙 및 지방정부 보조
지역에 따라 차이
근로소득8%
수입원 극빈자와 장애인은 연간 60위안을 추가 보조받음
(사업주 6%, 근로자2%)
(50%는 중앙정부 부담)
(자료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 중국진출 현황분석 및 맞춤형 진출전략연구, 2013.12)

중국의 의료보험은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나누고, 대상자를 중심으


로는 종업원과 비종업원으로 구분된다. 도시종업원 기본의료보험의 경우 국가 보조는 없고,
사용자와 근로자는 각각 근로자 소득의 6%, 2% 보험료를 부담하여 상당수준의 보장성(70%)
을 가지지만 자영자 및 농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주민 기본의료보험과 농촌합작의료보험
의 경우 극빈자와 장애인에 대해 보험료에 대한 재정보조가 실시되고 있으나, 보조금액도 매
우 낮고, 보장성도 상당히 낮다.

| 13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② 민영의료보험

중국의 민영의료보험은 2012년 이후로 그 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으며, 상업의료보험의


매출은 생명보험 전체 매출의 8% 수준이다. 아직까지는 상품이 다양하지 않고, 서비스 수준
도 높지 않지만, 소득수준의 증가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많은 보험소비자들이 상업보
험을 공공의료보험의 보완 수단으로 인식하고, 공공의료보험이 커버하지 못하는 질병을 커버
해주는 상업건강보험을 선호하고 있다. 더욱이 고소득층은 중대질병이 아닐 경우 서비스가
좋은 외자 병원 등 고가 민영병원을 이용하는 사례가 높다. 대부분의 고가 민영병원은 공공
의료보험시스템에 가입되어 있지 않고, 상업의료보험회사와 제휴하고 있으므로 고소득층의
상업건강보험의 비율은 높아가지만 이에 따른 문제점도 많다. 특수질병이나 입원비 위주의
커버리지가 부족하고, 보험금 후불제, 복잡한 보험금 지급절차, 가입 시 세제지원이나 보조금
지원 부족 등의 단점이 있다.

3-2-3. 한국 의료기관의 중국 진출 및 의료관광 시장의 특징

3-2-3-1. 중국의 외국 의료기관 유치를 위한 정책

중국은 의료역량을 전체적으로 끌어 올리고 국민이 늘어나는 의료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의료에 대한 국가차원의 투자확대, 민간자본의 의료시장 참여, 외국자본 및 외국 의료기
관의 중국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2014년에는 ‘의료개혁 심화를 위한 2014년 중점 업무에 대한 통지’를 통해 민간자본의


의료기관 설립과 관련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외국과의 합자·합작 의료기관에서의 외자
지분보유 비율제한을 완화하고, 외국 자본이 중국 자유무역시범구역 등에서 독자 의료기관을
설립토록 하였다. 2014년 7월에는 국외 투자자가 북경, 천진, 상해, 강소성, 복건성, 광동성,
해남성에는 외자 독자 병원을 설립하도록 허가하였다.

중국정부는 외국자본 혹은 외국 의료기관에 대한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해 매우 개방적이고


우호적이다. 개방정책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중국은 이런 개방적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관련 법규정이 미비하고 관련 세칙 또한 미흡


할 뿐만 아니라, 내용 또한 모호하여 투명하지 않고, 중국 정부의 자의적 해석도 많아 문제점
이 산재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진행 할 필요가 있다.

| 13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2-3-2. 중국의 한국병원 진출 현황

한국 의료서비스 산업에 대한 해외투자는 대부분 외상투자병원으로 합자, 합작, 독자, 지


분합병, 자산인수 등 여러 방식이 있지만 지금까지 중국에 진출한 한국의료기관 진출방식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식이 있다.

① 단순 노무계약

주로 성형외과에서 전문의사가 상주 또는 방문수술 하는 방식으로 계약방식에 있어서 다


소 차이는 있으나, 상주 방식은 일년 중 몇 개월, 혹은 일 개월 중 며칠을 체류하며 진료하는
방식으로 상호 계약체결 내용에 따른 일정액을 받는 경우이고, 방문 수술 방식은 일당 최소
기준의 액수를 정하고 수술액의 일정 비율을 받는 형태로 진행된다. 요즘은 치과의사들의 진
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② 원내원 방식

중국 병원 내에 외국계 병원의 진료과를 개설하는 형태로 중국 측 병원의 초청을 기반으


로 자본소요가 적고, 한국 의사의 단기면허 외에는 특별한 인허가 절차가 없어 당사자간 합
의가 된다면 설립이 간편하다. 하지만 상호 마찰 발생 시, 중국측이 주도권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외국계 병원의 실패로 귀결되는 케이스가 대다수이다.

* 사례: 마리아병원, 래인병원국제부, 창닝취중심병원국제부, 인하대병원

③ 기술제휴방식

중국 파트너(병원 혹은 병원설립 추진 중인 기업)에 대해 한국 의료기관에서 컨설팅 및


기술을 제공하고, 계약에 입각하여 일정한 대가 혹은 용역료를 받는 방식이다. 특별한 기술
혹은 브랜드가 있는 경우 고려가능한 방식이고 물적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적
지만, 병원의 명의와 법률적 주도권이 중국 측에 있기 때문에 협상이 쉽지 않다. 만약 협상에
응할 경우 기술 제공에 대한 정확한 산정을 하고 그에 따른 대가를 받아야 한다.

* 사례: 보봐스병원, 세브란스 병원이 우시(無錫) 이싱에 노인요양병원 검진센터 건립참여. 일정한 컨설팅료 및
운영기술지원료를 수취하는 구조

| 13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④ 합자방식

합자와 합작 방식은 차이가 있다. 합자는 자본에 대한 합자이고, 합작은 자본이 아닌 기


술, 브랜드 등을 함께 협력하는 방식이다. 합자인 경우 한국의료기관이 투자행위를 하여야
하는데, 의료재단 등 비영리의료기관일 경우 한국 법상 이러한 투자행위는 금지되어 있거나,
개별적 승인을 받아야 되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개인병원인 경우에는 법적인 제약이 없다.
합자방식의 병원설립은 중국에서 투자규모와 병원규모에 대한 제한이 있고, 허가 취득 소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도 있다. 허가를 받으면 한국 측이 상당한 지배권을 행사할 수 있고, 장
기적 안목으로 볼 때는 중외합자 방식의 진출을 고려할 만하다.

* 사례: SK아이캉병원, 루이리성형병원, 예메디컬센터, 상하이우리들병원, 상해서울리거 등

⑤ 프랜차이즈 방식

다수의 가맹사업자에 대해 브랜드 사용권, 개원 시 개원지원(인테리어디자인, 인력지원),


교육 및 정보시스템 지원 등을 실시하고 가입비 및 가맹수수료를 받는 형태로 주로 한국의
피부과, 치과 등 전문과들의 진출이 용이하고, 프랜차이즈 운영 경험이 있는 기관에서 진출
하는 것이 좋다.

* 사례: 함소아중의원

⑥ 단독투자 방식

한국 측이 100% 투자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외국계병원 단독 설립이 허용된 7개 지역


에서의 설립이 가능하다. 현지 마케팅, 다양한 운영상의 어려움을 고려할 때 많은 준비가 되
지 않으면 규제조건이 많아 추진하기가 쉽지 않다.

* 사례: 함소아한의원

3-2-3-3. 중국 의료관광 시장의 특징 및 중국 환자의 특징

중국내 고소득 인구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고품질, 고수준의 의료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의료 수요가 급증하는 것에 비해 의료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해외선
진 국가보다 부족한 상황이다. 중·고소득층은 중국 현지 의료시설과 서비스 등에 만족하지
못해 다른 국가로 관광 겸 진료를 받으러 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 13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2-3-4. 의료관광 주요 진료과목 및 국가

성형수술부터 항암치료까지 의료관광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중국의 대형 의료관


광 중개업체인 성낙일가(盛諾一家)의 통계에 따르면, 해외 진료를 선택하는 중국인 환자 중
암 관련 환자가 70%를 차지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심장질환 및 신경계 질환 환자가
많다. 중국인 환자들은 암, 심장병 등 중증 질병의 경우 미국의 유명병원을 선호하고 있으며,
건강검진은 타이완, 일본, 한국, 독일 등을 선호한다. 의료미용 분야인 경우, 안티에이징은
스위스, 쁘띠성형은 타이완, 성형수술은 한국을 선호한다. 불임수술은 타이 등지를 찾고 있으
며, 원장출산을 위해서는 미국으로 간다. 중국 고소득층은 의료 관광지 고려 요인으로 의료
기관의 실력과 해당 관광지의 안정성을 선호하는 비율이 각각 34%와 23%이다.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중국어로 소통이 가능한지, 해당 관광지의 자연경관이 좋은지, 수술 후
지속적인 치료 서비스가 가능한지에 관심을 가지며 그 외에도 가격과 비자연장 수속이 수월
한지 등도 고려 요인 중 하나이다.

3-2-3-5. 중국 환자의 특징

한국을 찾는 중국인 환자는 2015년 기준 99,059명으로 이는 2009년 4,725명에 비교하


면 약 20배 이상 성장하였다. 해마다 성장 추세이나, 사드와 같은 정치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에는 그 성장세가 주춤할 수 밖에 없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를 찾은 환자 수의 통계를 보면
1순위가 성형외과, 2순위는 내과 통합, 3순위는 피부과, 4순위는 검진센터, 5순위는 정형외
과, 6순위는 산부인과, 7순위는 신경외과, 8순위는 일반외과이다. 중국인 환자가 지출한 총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 수입의 32.4%를 차지하고, 일인당 평균진료비는 219만원 정도이다.

3-2-3-6. 중국인 환자의 한국의료에 대한 만족도

2015년 보건산업진흥원 외국인환자 만족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인의 한국의료에 대


한 만족도는 86.6점이다. 중국인은 한국의 의료수준에 대해 89.4점을 부여했고, 전반적 의료
서비스에 대해 84.8점을 부여했다. 중국 환자 중 최근 3년 이내에 한국을 처음 방문 환자는
31.7%, 2회 방문한 환자는 30.2%로 2회 이상 방문환자가 71.9%였다.

중국인 환자 중 의료서비스를 목적으로 한국에 방문한 중국인은 47.7%이고 그 외 목적


중 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에서 여행 중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중국인은 59.6%, 비즈니스 목적

| 13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으로 한국에 들어와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중국인은 18.3%였다.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중 78.1%는 글로벌 보험사나 여행사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정보


를 찾아 한국 의료를 선택하였고 그 중 51.4%는 가족 및 지인을 통해 한국의료의 정보를 습
득, 35.4%는 인터넷을 통해 한국의료 정보를 얻었고, 85.1%는 TV, 라디오를 통해 한국의료
정보를 얻게 되었다고 답하였다. 의료기관 방문 전에 진료를 받게 될 의료진 정보를 미리 알
고 있었던 중국인 환자는 45.2%이며, 이들 중 알고 있는 의료진을 지정하여 진료를 받은 중
국인은 절반이상(74.4%)이었다. 중국인 환자 중 59.3%는 한국 방문 시 1~2명의 동반자와
함께 온 경우이고, 19.6%는 동반자 없이 한국에 입국하였고, 여행사 등의 유치업체를 통해
의료기관을 방문한 중국인은 14.7%이었다.

3-2-4. 한국・중국 의료문화의 차이

3-2-4-1. 해음문화(諧音文化)를 통해 본 중국의 의료문화

중국인들은 상서로움을 추구하는 해음(諧音)문화가 매우 보편화 되어 있다. 해음이란 글


자 단어의 독음이 같거나 비슷한 경우를 이르는 일종의 언어 현상으로 중국인들이 숫자 ‘4’
를 병원 건물이나 혹은 회사 건물 층수 표기에 기피하는 것은 숫자 ‘4’의 발음 ‘si’와 죽음을
의미하는 ‘死’의 독음 ‘si’와 같아서이다. 또 한 예로 중국인들이 북경올림픽 개막식을 2008
년 8월 18일 저녁 8시 18분에 정한 이유도 ‘8’의 ‘ba’ 발음이 부자가 되라는 ‘發’의 발음
‘fa’ 와 비슷하여 택하였다. 이는 경제적으로 비약하고, 중국 굴기를 암시하는 메시지를 전하
는 것으로 그 저변에는 해음문화의 영향 때문이다. 따라서 해음문화는 중국인들의 생활 전반
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인들의 밥상 문화에서도 젓가락 크기가 달라 상위에 올려진다면 그
날 식사 분위기는 엉망진창이 된다. 젓가락이 하나가 길고 하나가 짧은 경우에 길고 짧은 의
미인 장단(長短)은 그 분위기에서 중국인들이 연상하는 것은 사람의 죽음인 ’三長兩短 ’을 연
상한다. 또 ‘박쥐’라는 동물은 우리 문화 속에서 상서로운 동물이 아니지만, 중국인들은 박쥐
는 매우 길하고 상서로운 동물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박쥐를 지칭하는 ‘蝙蝠’의 ‘蝠’ 과 ‘복’
을 뜻하는 ‘福’자의 발음이 같은 ‘fu’자로 인하여 박쥐는 복을 가져다주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긴다. 그래서 기와 처마 문양에 박쥐를 그려 넣거나 조각해 놓은 경우가 매우 흔하다. 이러
한 해음 문화의 영향으로 중국인들에게 선물을 할 때도 해야 될 것과 해서는 안되는 것들이

| 13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있다. 따라서 중국인들은 다른 사람에게 장식용 ‘병’을 즐겨 주는 이유는 ‘병’을 의미하는 ‘甁


ping’과 평안을 의미하는 ‘平ping’의 발음이 같아 병을 선물로 줄 경우 상대방에게 평안을
비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중국인들에게 주지 말아야 할 선물이 여러 가지 가 있는
데, 그 중 하나는 커다란 벽시계이다. 이는 환자나 노인들에게는 더더욱 금기된 선물이다. 시
계를 의미하는 ‘鐘zhong’과 생을 마치다라는 ‘終zhong’의 발음이 같아, 시계를 선물하는 것
은 매우 위험한 선물이다. 또 사귀는 남녀 사이에 우산을 선물하지 않는다. 우산을 의미하는
‘傘san’과 ‘헤어지다’를 의미하는 단어 ‘散san’의 발음이 같아서이다. 중국인들은 연인 사이
에 절대로 ‘배’를 두 쪽으로 갈라 나눠 먹지 않는다. 이는 배를 의미하는 ‘梨li’와 헤어짐을 뜻
하는 ‘離li’의 발음이 같아서이다. 따라서 환자를 병문안 하러 갈 때는 과일 ‘배’보다는 ‘사과’
를 선물하는 것이 좋다. ‘배’를 선물하는 것은 ‘헤어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곧 서로의 이별을
암시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들이 선물을 받고도 매우 불쾌하고 불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또 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에게 꽃을 선물할 때도 국화를 선물해서는 안된다.
국화는 보통 장례식에서 많이 쓰이는 꽃으로 국화 선물은 금기이다. 하지만 백합은 선호한
다. 백합은 물론 향기도 향기롭지만, 상처가 아물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백합(白合)’의 ‘합
(合)’이 그 역할을 한다.

중국인들은 먹는 것에도 많은 금기 사항이 있는데, 비리고, 매운 음식은 환자가 피해야


할 음식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양고기, 소고기, 새우 등 해산물도 상처를 더욱 악화시킨다고
알고 있다.

산모가 아이를 출산하면 우리는 산모가 가장 필요로 하는 음식이 미역국이라고 생각하지


만 중국인들에게는 암탉 닭고기 탕이다. 닭고기 탕은 체력소모가 크고, 영양실조, 추위에 약
하고, 쉽게 피로하고, 월경불순, 빈혈, 허약자 등에게는 보양식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산후
조리하는 산모에게 보편적으로 먹이는 암탉 닭고기 탕은 조혈작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다. 하지만 출산 후 바로 암탉 닭고기 탕을 먹이는 것은 금기사항으로 적어도 10일 후에나
먹기를 권한다. 이는 산모의 혈액 중에 여성호르몬과 임신호르몬의 농도가 급격히 낮아져야
젖을 나오게 하는 호르몬이 비로소 젖분비를 촉진하는데, 만약 산모가 출산 후 암탉을 먹으
면 비록 암탉의 난소에는 여성이 필요로 하는 여성호르몬이 있어, 혈액 중에 여성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하면 젖분비 호르몬이 감소될 수 있고, 심지어는 젖 분비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먹는 것을 권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을 대항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 14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수탉 닭고기 탕을 먹게 한다. 수탉 닭고기 탕은 1주일 내에 먹으면 더욱 효과적이다.수탉은


지방이 적고, 산모가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찌고 신생아도 젖에 함유된 지방이 적기 때문에 소
화불량에 걸릴 염려도 없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젖이 나오지 않고 매우 부어 있을 때 수탉
을 먹으면 젖분비도 안될 뿐 아니라, 유선염에 걸릴 확률이 많다.

또 중국인들의 습관 중 장례식에는 보편적으로 검은색을 입으므로 환자 문병 시 검은색을


입는 것은 실례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중국 환자들은 방 호수에도 민감하다. 이 또한 해음의
영향을 받아서이다. 입원호실이 774, 794, 994 등은 꺼릴 수 있는 호실이다. 774(qi qi si)
의 발음은 ‘나가 죽어라’의 뜻인 ‘去去死(qu qu si)’와 비슷하고 794(qi jiu si)는 ‘가면 죽는
다’의 뜻 ‘去就死(qu jiu si)’와 비슷하고, 994(jiu jiu si)는 ‘곧 죽는다’의 ‘就就死(jiu jiu si)’
와 비슷하여 매우 꺼림직 하다고 느낀다. 이처럼 해음문화는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을 뿐 아니라 병원문화에도 깊은 영향이 있는 만큼 의료통역사들이 꼭 알아야
할 국제 의료문화이다.

3-2-4-2. 중국의 전통의학-중의학의 향후 발전

중국은 오랜 세월에 걸쳐 전통의학인 중의학을 발전시켜 왔다. 중의학은 질병치료와 예방


에 관한 이론체계와 풍부한 임상경험을 축적해 왔다. 따라서 중의학은 중국 국민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한국, 일본 등 주변국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이후 서
양의학이 중국에 진출함으로 두 의학간의 관계정립이 중요한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1929년
남경정부(南京政府)에서 ‘구(舊)의사, 즉 중의사의 등록 중단과 중의학의 폐지에 대한 규정까
지 제정이 되었지만 전후(戰後) 보건의료인적자원이 부족하여 중의학은 다시 중국 보건의료
체계에서 중요한 지위를 회복하였다. 중국 위생부(衛生部)와 국가중의약관리국(國家中醫學管
理局)이 발표한 <中醫藥事業發展 12.5규획(中醫藥事業發展'十二五'規劃)>에 따르면, 2010년
전체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찰환자 가운데 중의원 진찰환자 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17.6%, 입
원환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이 13.5%에 이르고 있으며, 중의서비스 이용량, 중의의료기관
의 수, 병상, 중의의료인력, 중의약 발명특허, 중의약 교육기관, 중의약 국가표준, 중의약 자
치법규 등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하였다. 현재 중국은 중의학의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는데, 주목할 만한 것은 중의학과 서의학의 결합인 중
서의결합(中西醫結合)정책이다. 이는 1950년부터 이 문제가 제기 되었고 1976년에 발표된

| 14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중서의결합 10년 발전계획 全國中西醫結合十年發展規劃>에 의해 1980년까지 각 성,시,자치


구가 반드시 1개의 전형적인 중서의 결합병원을 창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
근 중국 정부는 단순한 시설, 인력, 병상의 확충에 그치지 않고 중서의 결합을 통해 중서의학
이 상호 융합하는 새로운 의약학(醫藥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병원기관에 의무
적으로 중의과(中醫科)를 설치하도록 하고, 각 전문과목별로도 중의진료부서(예를 들어 내과
와 중의내과 동시 운영)를 두도록 하는 등 서양의학과 중의학의 협력 진료를 활성화 하기 위
한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통합적 의료를 강화하고 있다. 중의학과 서의학의 결합은 어느 정도
그 기반이 구축되어 있는데, 이는 중의학과 서의학 사이의 통합의료가 확립되어 있다. 중국
의 경우 중의사와 서의사의 면허 종별에는 차이가 있으나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구별
이 없다. 따라서 서의사 면허를 가진 인력이 중의 처방 및 시술을 하거나 중의사 면허를 가
진 인력이 서의 처방 및 시술을 하는 것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통합적 시
도를 위해 중국 정부는 최근에 단순한 시설, 인력, 병상의 확충에 그치지 않고, 중서의 결합
을 통해 전통의학과 서양의학이 상호 융합하는 새로운 의약학의 구축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
다. 그리고 중서의 결합 중국내 병원급 의료기관의 95%가 원내에 중의과를 부설하고 있다.
중의학과 서양의학의 협력과 결합은 두 가지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중의와 서의
가 따로 존재하면서 필요한 경우 보완한다는 물리적 결합(配合學說)에서 멈추지 않고 유기적
으로 융합하는 화학적 결합(融合學說)으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2005년에 <중
의학혁신발전계획개요 中醫藥革新發展計劃槪要(2006~2020)>에서 ‘동서양 의학을 상호융합
하는 새로운 의약학 구축’을 표명하였고, 또 새로운 법령을 준비하는 단계에 있다. 또 중국중
서의결합학회(中國中西醫結合學會)를 국가 일급학회로 육성하여 중서의 결합 의료의 성과를
학술적으로 뒷받침하고 전세계로 홍보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의 ‘중서
의결합’ 육성책은 우리나라 보건산업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첫 번째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령화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현대의학으로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만성질
환이 주요한 건강문제로 부각되는데, 전통의학은 치료효과 증대와 의료비 절감 차원에서 보
완대체의학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만성질환의 증가에 대비한 치료 및 예방도
구로써 각 국에서 계승되어 오는 전통 의약학을 활용하여 각 국가별 실정에 부합하는 건강증
진방법을 개발할 것과 전통의학을 현대 의료체계에 결합시킬 것을 권장한 바 있다.(WHO
2002) 이에 대해 중국은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중의학 및 동서융합의학
분야의 치료효과에 대한 근거 마련과 홍보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전

| 14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통의학 및 보완대체의학 시장에서 중국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될 것이다. 세계시


장을 두고 경쟁관계에 설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두 번째로 중국은 뉴질랜드와 2008년에 체
결한 <중국뉴질랜드 FTA협정>을 통해 중국의 중의사와 간호사 200명이 3년간 뉴질랜드에
서 체류가 허용되었다. 향후 중국측이 우리에 대해서도 시장 개방요구의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우리 또한 중국이 중의학의 세계화를 위해 범정부적인 투자와 지원을 늘리는 것에 관
심을 가지고 이에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는 의료이원화(醫療二元化)체계를 운
영하고 있어 현대의학과 한의학은 각각 학문 발전과 지역 전문성을 보장받아 왔다. 하지만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중심으로의 질병구조 변화, 융합을 통한 새로운 질병치료 및 건강증
진 가치 창출 요구, 지역 범위를 둘러싼 의사-한의사 갈등 심화는 이원화된 의료서비스 공급
체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14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3
일본어권 의료문화

3-3-1. 의료를 둘러싼 사회적 배경

① 길어지는 일본인의 평균 수명

후생노동성에 의하면 2016년의 일본인의 평균 수명은 남성 80.98세, 여성 87.14세로 과


거의 최장 기록을 갱신했다. 전년 대비 남성은 0.23세, 여성은 0.15세 각각 길어졌다. 남녀
모두 홍콩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남성은 2015년 4위에서 2016년 2위로 두
단계 상승한 것이다25).

앞으로도 남녀 모두 평균 수명이 계속 길어져, 장기 전망에 따르면 2065년에 남성은


84.95세, 여성은 91.35세로 90세를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진 요인으로는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의


사망률이 낮아진 것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평균 수명의 남녀 차이는 6.16세로 전년 대비
0.08세 축소되었다.

남녀 간 격차는 2003년까지 확대되다가 그 이후 축소되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는데, 후생


노동성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음주를 줄이고 금연하는 남성이 증가한 것 등을 그 요
인으로 꼽고 있다.

② 고령화의 진전

2016년 10월 현재, 일본의 총인구는 1억 2,693만 명에 달하며,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
구는 3,459만 명으로 총인구에 차지하는 비율(=고령화율)은 27.3%에 이른다.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를 남녀별로 보면 남성이 1,500만 명, 여성이 1,959만 명으로, 남성 대 여성의
비율은 약 3대 4가 된다. 또한 고령자 인구 가운데 65-74(전기고령자)세 인구는 1,768만 명
으로 총인구의 13.9%를 차지하며, 75세 이상(후기고령자) 인구는 1,691만 명으로 총인구의
13.3%를 차지하고 있다26).

25) 마이니치 신문, 2017. 7. 28일자 기사

| 14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1950년에는 총인구의 5%에도 미치지 않았으나, 1970
년에 7%를 넘어섰고, 1994년에는 14%에 달했다. 고령화율은 그 이후에도 계속 상승해
2016년 현재 27.3%가 되었다. 소위 ‘1차 베이붐 세대27)’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에는
고령자 인구가 3,677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2042년에 3,935만 명으로 절정에 달한
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생산가능인구(15세-64세 해당)는 1995년에 8,716만 명으로 절정에 달했다가 그 이


후 감소세로 돌아서 2013년에는 7,901만 명으로, 1981년 이후 32년 만에 8,000만 명을 밑
돌게 되었다.

③ 고령화의 요인

이상과 같이 다른 주요 국가에 비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요인으로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그 첫째는 전반적인 사망률 저하이다.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사망률이 낮아지는 추세에


있는데, 생활 환경 개선, 식생활 및 영양 상태의 개선, 의료 기술의 진보 등으로 인해 연령조
정사망률(age-adjusted death rate)이 대폭 저하되어 1947년 남성 23.6, 여성 18.3에서
2015년 남성 4.9, 여성 2.5까지 낮아졌다28).

둘째로 저출산으로 인한 젊은 층 인구의 감소를 꼽을 수 있다. 일본의 출산율은 제1차 베


이붐 이후 급격하게 낮아져, 1956년에 2.22명이었던 것이 오랫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
다가 1975년에 1.19명으로 감소해 2명을 밑돌기 시작했다. 그 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
어 1993년에 1.46명, 2005년에 1.26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2015년에는 1.45로
다시 상승하였다.

26) 내각부(2017), 2017년판 고령사회백서


27) 일본어로는 보통 ‘団塊の世代’라 표현하며,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7년-49년 무렵에 태어나, 문화적・사상적으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세대를 뜻한다.
28) 후생노동성, 인구동태통계

| 14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 일본인의 대표적인 질병과 총 환자수 |


(단위: 천명)
대표적인 질병 남 여 총 환자수
결핵 11 10 20
바이러스간염 92 92 184
암(악성신생물) 876 750 1626
위암 124 62 185
결장 및 직장암 150 111 261
간 및 간내 담관암 30 16 47
기관, 기관지 및 폐암 90 57 146
유방암 1 206 208
당뇨병 1768 1401 3166
고지혈증 596 1465 2062
혈관성 및 원인불명의 치매 40 103 144
통합실조증, 통합실조형장애 및 망상성장애 361 414 773
기분[감정]장애(조울증 포함)
알츠하이머병 418 700 1116
고혈압성 질환 142 392 534
심장질환(고혈압성 질병 제외) 4450 5676 10108
뇌혈관질환 947 786 1729
만성폐쇄성폐질환 592 587 1179
천식 183 79 261
충치 515 662 1177
치주염 및 치주질환 786 1059 1846
간질환 1373 1942 3315
만성신부전 132 119 251
골절 185 110 296
226 354 580
주: 총 환자수는 평균 진료간격에 따라 산출하였으므로 남녀 합계가 총 환자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출처: 후
생노동 통계일람(2014)

| 남녀별 흡연율의 변화 |
연도 남 여
2001년 48.4% 14.0%
2013년 33.7% 10.7%
2016년 31.1% 9.5%
출처: https://seniorguide.jp/article/1068072.html 2017.7.1.

| 14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남녀 및 연령별 흡연율 |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
남성 31.1% 39.9% 39.5% 37.1% 30.0% 17.6% 9.0%
여성 10.2% 12.8% 14.7% 12.7% 8.2% 4.2% 1.7%
출처: https://seniorguide.jp/article/1068072.html 2017.7.1.

각종 조사, 연구에 의해 흡연이 폐암의 큰 원인임이 밝혀지고 있으며, 일본국립암센터는


폐암으로 인한 사망자 가운데 남성은 약 70%, 여성은 약 20%가 흡연이 원인일 것이라 보고
있다. 또한 폐암 이외의 암도 흡연과 관련이 있는 것이 분명하며, 암으로 인한 사망자 중 남
성은 약 40%, 여성은 약 5%가 흡연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 사망 원인 및 비율 |
사망 원인 비율
암 28.5%
심장질환 15.1%
폐렴 9.1%
뇌혈관질환 8.4%
노쇠 7.1%
불의의 사고 2.9%
신부전 1.9%
자살 1.6%
대동맥류 및 박리 1.4%
간질환 1.2%
기타 22.8%
출처: 후생노동성(2016), 인구동태통계

| 사망 원인 및 비율(남) |
사망 원인 비율
암 32.6%
심장질환 13.8%
폐렴 9.7%
뇌혈관질환 7.8%
노쇠 3.4%
불의의 사고 3.3%
자살 2.2%
만성폐쇄성폐질환(CORP) 1.9%
신부전 1.4%
간질환 1.2%
기타 22.8%
출처: 후생노동성(2016), 인구동태통계

| 14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 사망 원인 및 비율(여) |
사망 원인 비율
암 24.2%
심장질환 16.5%
노쇠 11.0%
뇌혈관질환 8.9%
폐렴 8.5%
불의의 사고 2.6%
신부전 2.0%
대동맥류 및 박리 1.4%
혈관성 등의 치매 1.3%
알츠하이머병 1.3%
기타 22.3%
출처: 후생노동성(2016), 인구동태통계

| 발생 부위별 암 사망자수 순위(남) |


순위 암의 발생 부위
1위 기관, 기관지 및 폐
2위 위
3위 간 및 간내 담관
4위 결장
5위 췌장
6위 전립선
7위 직장, S상결장
8위 식도
9위 담낭 및 담도
10위 악성림프종
11위 방광
12위 백혈병
13위 입술, 구강 및 인두
14위 기타 림프조직, 조혈조직
15위 중추신경계
16위 후두
17위 피부
18위 유방
기타
출처: 후생노동성(2016), 인구동태통계

| 14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발생 부위별 암 사망자수 순위(여) |


순위 악성신생물의 발생 부위
1위 기관, 기관지 및 폐
2위 결장
3위 췌장
4위 위
5위 유방
6위 간 및 간내 담관
7위 담낭 및 담도
8위 자궁
9위 직장, S상 결장
10위 악성림프종
11위 난소
12위 백혈병
13위 방광
14위 입술, 구강 및 인두
15위 기타 림프조직, 조혈조직
16위 식도
17위 중추신경계
18위 피부
19위 후두
기타
출처: 후생노동성(2016), 인구동태통계

3-3-2. 일본의 의료제도

일본의 의료제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국민개보험(国民皆保険)

모든 국민이 보험에 가입해 피보험자 본인 또는 세대주가 보험료를 지불함으로써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큰 재정적 부담 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의료 서비스를 받
을 수 있는 제도이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의 보험제도’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하겠다.

| 14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② 진료보수 점수제(診療報酬点数制)

의료기관에게 지불되는 진료보수를 ‘점수제’로 공시함으로써, 의료기관에 따라 진료비 차


이가 나지 않도록 하는 제도이다.

의료기관이 행한 의료 서비스에 대해 보험자가 지불하는 보수를 진료보수라 하며, 지불


대상이 되는 의료 서비스의 범위와 보수 금액은 건강보험법에 입각해 ‘진료보수점수표’의 형
태로 작성되어 공개된다.

진료보수점수표는 다시 의과진료보수점수표, 치과진료보수점수표, 조제보수점수표의 세


종류로 구분되며, 이들 점수표는 의료기관과 약국이 행하는 의료 서비스(진료, 검사, 투약,
재활 치료, 처치, 수술, 조제, 약품 복용 지도 등)를 수 천 개 항목에 걸쳐 세밀하게 분류해,
그 각각에 대해 단가를 책정하고 있다. 점수표의 1점을 10엔으로 계산하며, 진료보수와 약품
가격의 기준은 원칙적으로 2년마다 개정된다.

③ 프리 액세스(フリーアクセス)

보험 가입자가 의료기관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다만, 생활


보호를 받고 있는 사람이 치료나 입원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 받으려면 지정된 의료기관
을 이용해야 한다.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독일 등 국가와는 다른 제도인데, 이 제도로 인해 진료소나 대학


병원 등 모든 병원이 의료보험의 적용 대상이 되기 때문에, 환자에게 있어서는 자기 부담 진
료비가 거의 동일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대학병원을 선호하거나
병원 간 환자수의 격차가 발생하는 등 단점 또한 지적되고 있어 프리 액세스를 제한해야 한
다는 의견도 있다.

3-3-3. 일본의 의료기관

일본에서 의료기관이라 하면 의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료 제공 시설을 뜻한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병원, 진료소, 개호노인보건시설, 조제를 실시하는 약국 및 기타 의료를 제공하는
시설을 가리킨다. 행정에 있어서는 이에 더하여 시술소, 방문간호스테이션, 2차 검진 시설,
접골원(柔道整復師)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 15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설립 주체별 의료시설 |
국가
후생노동성 국립한센병요양소 등
독립행정법인 국립병원기구 국립병원
국립대학법인 국립대학 부속병원
독립행정법인 노동자건강안전기구 산재병원
국립고도전문의료연구센터 국립암연구센터중앙병원 등
구(旧)사회보험병원(전국사회보험협회연합회), 후생연금병원,
독립행정법인 지역의료기능추진기구
선원(船員)보험병원
방위성(자위대병원, 방위의과대학병원), 법무성(의료형무소),
기타 국가기관
궁내청(궁내청병원), 국립인쇄국(국립인쇄국도쿄병원) 등
공적의료기관
도도부현29)(都道府県) 도도부현립병원
시정촌30)(市町村) 시정촌립병원
지방독립행정법인 도도부현립병원, 시정촌립병원의 일부가 이전
공립대학법인 공립대학부속병원
일본적십자사 적십자병원
제생회(済生会31)) 제생회병원
홋카이도(北海道)사회사업협회
후생련(厚生連) JA후생련병원
국민건강보험단체연합회
사회보험 관련 단체
건강보험조합 및 그 연합회
국민건강보험조합 종합병원후생중앙병원
공익법인
공익법인 공익사단법인, 공익재단법인병원
의료법인
의료법인
사립학교법인
학교법인 사립대학부속병원
사회복지법인
사회복지법인
의료생현(生協)
의료생협 의료생협병원
회사
회사 주식회사립병원 등
기타 법인
기타 법인 일반사단법인, 일반재단법인, 종교법인립병원 등
개인
개인
출처: 후생노동장관 관방통계정보부, 의료시설 조사

29) 우리나라의 광역자치단체에 해당되며, 일본 전국에 총 47개의 도도부현이 있다.


30) 우리나라의 기초자치단체에 해당된다.
31) 불우한 국민에 대한 의료 지원을 목적으로 1911년에 설립된 재단법인

| 15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3-4. 일본의 보험제도

① 공적 의료보험

모든 국민이 보험에 가입해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큰 재정적 부담 없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국민개보험(国民皆保険)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모든 국민들에
게 평등하게 의료 서비스를 보장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1958년에 국민건강보험법이 개정되고, 1961년에 국민건강보험사업이 시작되었다. 1955


년 무렵까지는 농업 종사자나 자영업자, 영세기업 종업원 등 국민의 약 3분의 1이 보험 미가
입자였다. 1961년에 시작된 국민개연금(国民皆年金)과 함께 일본의 사회보장제도의 근간이
되고 있다.

크게 분류하면, 민간기업 직원이 가입하는 협회건강보험,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한 공제


조합건강보험, 농업・자영업자・무직자 등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보험으로 나누어지며, 이
에 더하여 7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후기고령자의료제도가 있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이 증가하여 의료보험 미가입자와 보험료 체납자가 증가하고 있는


데다 가입자의 고령화로 인하여 의료보험사업 운영은 적자가 계속되고 있어 근본적인 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② 민간 의료보험

국민건강보험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추가로 민간


의료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 생명보험센터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민간 의료보험 가입률은
2016년 현재 72.1%에 달한다. 다음 표는 2007년 이후의 민간 의료보험 가입률 추이를 정
리한 것이다.

| 질병입원급여금이 지급되는 생명보험 가입률 |


2007년 2010년 2013년 2016년
가입률 71.3% 72.3% 74.0% 72.1%

이와 같이 민간 의료보험 가입률이 높은 것은, 불의의 사고로 부상을 입거나 큰 질병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입원 혹은 사망하게 되었을 경우 가족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일이

| 15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없도록 하겠다는 것이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그 근거로 세대주가 보험에 많이 가입하고 있


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노후 자금을 충분히 저축해 두어 불안이 없는 사람은 굳이 민간 의료보험에 가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일본의 생명보험 업계의 시장 규모는 약 40조 엔32)에 달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규모


를 자랑하며, ‘보험 대국’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2017년 3월 현재 일본 국내에서 영업을
전개하는 생명보험회사는 총 41개사에 이르며, 그 중 외국계 회사는 14개사이다. 인터넷 위
주로 영업하는 경우 등 보험 판매 방식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사망보험의 ‘보유계약고’는 과거 우상향곡선을 그리면서 증가 일로에 있었으나, 1996년


에 1,495조 엔으로 정점을 찍고 그 후에는 감소세로 돌아서 2015년에는 858조 엔까지 줄어
들어 1996년 대비 60%이하로 축소되었다33). 총인구에 차지하는 근로자 인구 비율에 감소한
것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상대적으로 암보험이나 개호보험
등의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다.

주로 일본 국내에 머무는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각종 보상을 하는 보험 외에도,


최근에는 비교적 단기간 해외를 방문(혹은 체류)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여러 보험회사가 다양
한 상품들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목적별로 구분하면 해외 단체여행·개인 자유여행, 해외 출
장, 유학, 주재, 워킹홀리데이 등이 있다.

3-3-5. 병문안 시의 매너

일본에서의 병문안과 관련된 관례나 매너 등을 알아보기로 한다. 의료통역에서는 병문안


의 장면도 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① 병문안 여부 판단

먼저 병문안을 갈 것인지 여부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어떤 경우는 와주기


를 바라고 반가워 할 때가 있는가 하면,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 싫다’거나 ‘혼자 조용히 있고

32) 연간 생명보험료 기준
33) 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 동향(2016년판)’

| 15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싶다’고 생각하는 환자도 있기 때문이다. 환자의 성격이나 몸 상태, 병문안 가는 사람과 환자


와의 관계 등을 잘 고려해서 판단하는 것이 좋다

② 병문안을 삼가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병문안을 삼가는 것이 좋다고 한다.

ㄱ) 3일 이내의 단기 입원인 경우 : 이 경우에는 병문안을 가는 것보다 추후에 퇴원을 축


하해 주는 것이 좋다. 병 문안을 가는 시기는 입원 기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입원 후 5일 정도, 수술 후 3일 정도 지났을 때 가는 것이 좋다고 한다.
ㄴ) 병원에서 면회(병문안)을 규제하는 경우
ㄷ) 환자가 쇠약해져 있을 때(수술 직전이나 직후, 출산 직후 등) : ㄴ), ㄷ)와 같은 이유로
병문안이 어려울 때는 편지나 카드를 병문안품(お見舞い品)과 함께 가족에게 전달하는
것도 방법이다.
ㄹ) 지나치게 많은 인원의 단체 병문안 : 환자에게 오히려 심리적 부담을 줄 수가 있다.
ㅁ) 아이를 동행하는 병문안 : 아이는 면역이 약하기 때문에 비교적 감기에 잘 걸린다. 건
강해 보여도 실제로는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아이로 인해 환
자에게 감기 등을 옮길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아이가 병원에 가서 각종 바이러스 등
에 감염될 수도 있다.

③ 적절한 병문안품(お見舞い品) 고르기

입원 환자를 문안하러 갈 때는 뭔가를 들고 가기 마련인데 꽃, 음식, 위로금 등에 대


해 알아본다.

ㄱ) 꽃

먼저 병원에서 꽃 반입을 허가하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최근에는 감염이나 알레르기 유


발 등의 이유로 생화 반입을 금지하는 곳이 늘고 있다. 허가된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꽃은
병문안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 백합 등 향기가 강한 꽃
- 국화: 장례식에서 사용되는 꽃이므로 큰 결례가 된다.
- 장미: 빨간 색이 피를 연상하게 한다.

| 15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시크라멘(シクラメン): 발음 ‘シ’는 ‘死’를 ‘ク’는 ‘苦(고생)’과 같아 환자에게는 좋지 않다.


- 화분: 뿌리 내리는 것이 병원에 오래 머무는 것과 같으며, ‘根が付く’와 ‘寝付く’의 발음
또한 비슷하다.
- 꽃병을 필요로 하는 꽃: 꽃병에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데다, 꽃병 자체가 깨지기 쉬워
위험하다.

ㄴ) 음식

입원하는 동안 환자식을 계속 먹는 환자에게, 맛있는 음식을 먹게 하고 싶다는 생각에 뭔가 먹


을 수 있는 것을 들고 갈 때가 많은데, 역시 주의가 필요하며 다음과 같은 음식은 적절하지 못하다.

- 튀김 종류: 질병을 앓고 있을 때 위장은 소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적절하다.


- 신선 식품: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고 상하기 쉽다.
- 지나치게 많은 과일: 실제로 자주 있는 일이며, 과일은 다 먹지 못할 경우 상하기 쉽다.
-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

ㄷ) 위로금

꽃이나 음식, 선물 외에 환자를 위로하는 의미에서 현금이나 상품권을 건네주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액수에 대해서는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윗사람에게는 현금을 건네주는 것이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지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지인 관계 혹은 사업 상 알게 된 관계라면 3천 엔 내지 5천 엔 정도가 적당하다. 받는 사


람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액수가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여러 명이 함
께 위로금을 주는 경우까지 포함해서 다음 숫자(로 끝나는)의 금액은 피해야 한다.

4: 일본어로 ‘四=し’와 ‘死’의 발음이 같다.

6: ‘む(っつ)’와 ‘無’의 발음이 같다.

9: ‘く’와 ‘苦(고생)’의 발음이 같다.

13: 본래 서양에서 기피되는 숫자였지만, 일본에서도 선호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들 숫자 중에서도 환자에게는 특히 ‘4’가 가장 불길한 숫자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어,


실제로 일본의 병원에는 ‘~4호실’이 없는 곳이 많다. 그 경우 ‘~3호실’ 다음은 ‘~5호실’이
되며, ‘4층’이 없는(4층이라 표현하지 않는) 병원 건물도 간혹 있다.

| 15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4
러시아어권 의료문화

3-4-1. 의료시장의 관점

3-4-1-1. 보건의료 체계의 개요

구소련은 사회주의적 보건의료체계가 최초로 발전한 국가로 선진 사회주의 보건의료체계


의 본보기가 되었다. 소련의 보건부는 15개 공화국의 보건부를 관리했고, 보건부 아래에는
‘오블라스찌’(주 단위)라고 하는 120개의 지역단위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각각의 ‘오블라스찌’
는 다시 3,100여 개의 ‘라이온’(구 단위)을 관리했다. 보건부는 국가 보건의료체계의 거의 모
든 측면을 총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구소련의 병원 및 보건소를 비롯한 모든 보건의료기
관들은 각각의 수준에서 보건부에 소속되어 관리되었다. 모든 보건 인력의 신분은 공무원이었
다. 의과대학 및 기타 의료교육기관은 모두 교육부가 아닌 보건부가 관리하였다. 종양, 심혈관
병, 직업병, 소아보건 등에 대한 연구 또한 보건부 산하에 있는 특정 기관이 담당하였다. 제약
품은 경공업부가 주관하였지만, 필요한 의약품의 생산량은 보건부에서 결정하며, 모든 보건기
관과 지역단위 약국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일도 보건부의 몫이었다. 다만, 군인과 그 외 소수의
특정 집단을 위한 의료서비스만 다른 부처의 통제를 받았다. 구소련에서는 민간의료행위에 대
해 금지한 적은 없었지만 최근까지도 그 규모는 매우 작다. 전반적인 보건의료체계의 기초는
사회·경제종합계획 기구와의 협력 하에 보건부에 의해 중앙 집중적으로 계획되었다.

현재의 러시아/CIS 국가는 소련의 사회주의적 보건의료체계를 계승하여 자국 특성에 맞


게 발전시키고 있으므로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보건의료체계의 기초와 각각의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유사하기 때문에 본 글은 러시아의 보건의료 체계를 중심으
로 기술한다는 것을 밝혀둔다.

러시아 연방 헌법 제 41 조 2 항과 러시아 연방 국민 건강보호기본법 제 12-14 조에 따


라 러시아 내 보건의료체계는 의료서비스 공급자(provider)의 소유권을 기준으로 크게 3 가
지로 분류할 수 있다(그림 1).

| 15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국영(공공) 보건의료
- 지자체 보건의료
- 민영(민간) 보건의료

국영(공공) 보건의료체계는 러시아 연방 보건부, 연방주체 보건당국, 러시아 의료과학아


카데미, 위생-방역 감시 연방위원회, 국가 소유 의료기관, 연구소, 교육 기관, 제약사, 의약품
유통기관, 법의학 기관, 의료용품 제조기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자체 보건의료체계는 국가로부터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자체적 운영관리 권한을 부여


받은 지방자치단체들과 해당 지역들에 소유권이 귀속된 의료기관, 연구소, 제약사 및 의약품
유통 기관, 법의학 기관, 교육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자체 보건의료 체계에 속하는 기관
들의 비용은 연방, 연방주체 및 지자체의 재정, 국민건강증진 특별 기금 등으로 충당된다.

민영(민간) 보건의료체계는 민간 소유의 의료기관, 의약품 유통기관과 사립 형태의 의료


및 제약 활동을 하는 법인과 자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보건의료 시장에서 민영 보건
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자료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10-20% 범위로 추정된다.

| 러시아 연방 보건의료체계34) |

34) ‘국민건강 및 공공보건’, О. Щепин, В. Медик - 2011; 현재 상황에 맞게 저자 수정 및 보완

| 15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러시아 연방 ‘국민 건강보호기본법’ 제37.1-42조에 따라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운영되는


의료기관들은 다음과 같은 유형의 의료지원을 제공한다.

- 1차 의료
- 응급/구급 의료
- 전문 의료
- 지역사회성 감염 질환자 진료(결핵, 에이즈, 임질 등과 같은 질환)
- 타인의 생명과 삶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자 진료(정신질환)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1차 의료지원으로 러시아 국민 모두가 본 유형


의 의료지원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1차 의료지원은 모든 국민이 국영 의료기관과 지자체
관할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러시아 연방 헌법 제
41조 1항과 ‘무상 의료지원 보장’정책의 일환으로서 러시아 내 각 자치구역과 도시지역 거주민
들을 그 수혜 대상으로 하며, 각 해당 지역의 관할 국영 보건의료기관을 통해 제공된다.

또한 의료지원은 그 절차적 단계와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준의사 진료 의료기관(의사 없이 준의사와 조산사가 진료하는 보건소; FAP)


- 1차 진료 의료기관(일반의 진료 의료기관)
- 응급 진료 의료기관(응급 진료 전문 의료기관)
- 특화 진료 의료기관(2-3차 진료 의료기관에 해당)
- 최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의료기관(4차 진료 의료기관에 해당)

러시아 내 보건의료기관 내에서 제공되는 의료지원의 유형에 따라 의료기관은 다음과 같


이 구분된다.

- 외래진료 및 치료만 제공하는 의료기관


- 입원진료 및 치료만 제공하는 의료기관
- 응급진료 및 치료만 제공하는 의료기관
- 요양, 휴양 전문 의료기관

| 15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이 별도로 운영된다는 점이 러시아어권 보건의


료체계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발니짜’(병원)라는 명칭을 가진 의료기관은 입원환자 진료 및
치료를 전담하고 있으며, ‘빨리클리니까’(polyclinic, 외래병원)라는 1차 의료기관은 외래환
자만 진료한다.

환자들은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를 목적으로 ‘발니짜’(병원)에 입원한다. 통상적으로


입원 치료는 2주 동안 진행된다. 이런 관행에 따라 러시아어권 내 의료기관들은 많은 병상을
보유하고 있는 편이다. 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 종류에 따라 ‘발니짜’는 집중 치료 및 응급
수술을 하는 집중치료 병동, 재활 치료, 보양 치료 등을 계획해 치료를 제공하는 계획치료 병
동과 만성질환자 병동 그리고 호스피스 등 사회복지 병동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도 러시아
어권 국가들은 병원의 병상수를 행정 계층구조에 따라 결정한다.

‘발니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종합 병원과 전문 병원으로 나누어서 운영된다. 한국과는


달리 러시아어권 내 병원들 중에서 외래진료를 하지 않는 종합 또는 전문 병원이 있다는 점
이 특징적이다. 외래와 입원환자를 같이 진료하는 복합 운영체계 병원에서는 외래환자와 입
원환자의 동선이 분리되어 있어 입원환자와 만날 일은 없다.

외래진료를 위해서는 ‘행정구역 단위 건강관리’ 원칙을 적용해 ‘빨리클리니까’를 운영하


고 있다. ‘빨리클리니까’는 질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행정 관할 구역에서 거
주하고 있는 성인 1700명 당 의사 1명, 간호사 1명을 배정해 전담 의료인제도를 가동하고
있다. 소아청소년 경우에는 800명 당 소아과 의사 1명, 간호사 1명을 배정한다. ‘빨리클리니
까’는 1차 의료기관으로 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책임지고 있으며, 무상으로 진료가 제공된다.
열이 나는 환자, 설사 환자, 예방접종을 목적으로 3개월 미만 아동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빨리클리니까’에 연락해 전담 의료인을 호출하여 자택에서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어 있다.

‘빨리클리니까’에 종사하는 의사와 간호사는 오전 또는 오후에 진료를 보고, 진료를 보지


않는 시간에는 각자가 전담하고 있는 구역을 돌면서 왕진을 한다. ‘빨리클리니까’는 x-ray,
초음파, 심전도 등과 같은 기본 의료장비와 혈액, 소변, 대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본 시
설을 갖추고 있다. 일반의나 소아과 의사와 별도로 안과, 이비인후과, 일반외과, 정형외과 등
전문의의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행정 구역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빨리클리니까’가 갖
추고 있는 의료장비나 시행하는 검사항목이 늘어나고 다양해진다. ‘빨리클리나카’에서 검사
를 할 수 없을 경우 진단센터로 전원의뢰하게 되어 있다.

| 15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이러한 외래진료 제도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빨리클리니까’에서 제공되는 1차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불만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빨리클리니까’에서 종사하는 인력 부족(일반
의)과 긴 대기시간, 의사들의 낮은 전문성과 낙후된 검사장비 그리고 정밀검사를 받기 위해
진단센터에 내원해야 하는 등 복잡한 검사절차와 의료서비스의 낮은 질은 환자들의 불만과
병을 키우고 있다.

3-4-1-2. 보건의료 개혁의 동향

러시아는 국가발전전략으로서 ‘의료산업 발전 전략 2020’, ‘제약산업 발전 전략 2020’,


‘의료․제약 산업발전을 위한 국가프로그램 2013-2020’ 등을 수립하였다. 현재 러시아 의료
산업 규모는 750억불정도이며 전체 GDP의 0.06%정도이다. 제약 부문이 220억불(29.6%),
의료기기 부문는 55억불(7.4%), 의료서비스가 468억불(63%)이다. 첨단 의료기술의 치료 및
수술법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지난 2010년 첨단 기술을 사용한 수술 건수가 전국
적으로 7만여 회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2015년부터는 그 10배에 달하는 75만 건의 수술이
이루어졌다. 러시아의 의료산업은 2005년 이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
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이다.

러시아 의약품(원료․완제품 포함)의 경쟁력은 낮으며, 2013년 기준 세계시장에서 러시아


의약품의 비중은 0.06%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러시아 제약시장은 잠재력이 매우 크다. 러시
아의 제약시장은 전 세계의 3%(2011년 기준) 규모이며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연평균
15.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는 러시아 인구가 1억 4천4백만이고 고령화 사회이기 때
문이다. 러시아의 1인당 의약소비는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도 수입의
료 기기의 비중이 73%(2012년 기준)에 달한다.

의료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의료서비스 시장은 공공 의료기관(96.4%)35)


과 민간 의료기관(3.6%)36)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 의료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병상 수는
전체의 98.3%를 차지하고 있다(러시아 연방 통계청2013년 기준). 유료 의료서비스 시장의
낮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 59.6% 성장한 이후 제약 및 의료기기 시장에 비해서는
다소 완만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에 비하여 여전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35) 카자흐스탄의 경우 공공 의료기관이 80%를 차지하고 있다.


36) 2014년 MedAboutMe사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민간 의료기관이 15%를 차지하고 있다.

| 16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있으며, 2017년까지 매년 약 11% 성장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러시아의 공공 의료서비스는 구소련 붕괴 이후 시설의 낙후와 의료진의 전문성 부족으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당장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 대폭적인 성장
세는 보이지는 않겠지만 향후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양질의 의료기기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분간 이러한 수요증가는 해외에서 받는 의료서비스를 포
함한 민간 의료서비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의 권위주의 체제


국가들은 국민들의 정치적 지지에 대한 대가로서 삶의 수준 향상을 주요 정책적 지원으로 채
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의료 예산을 늘리는 것을 국가발전전략에 포함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보건의료 예산을 GDP의 4%까지 늘리고 보건의료정보 통합시스템을 구축하


고 이를 통해 각종 병원 및 의료연구센터의 증설과 의약품 및 의료용품의 생산경쟁력 제고,
민간분야 보건산업분야 진출 기회 확대, 의료인 육성 등을 의료분야 개혁의 핵심으로 추진하
고 있다.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첫째, 국가차원의 의료분야 파트너십 개발에 큰 관심
을 두고 있다. 둘째 민간 의료기관들도 독일, 스위스, 이스라엘 등 해외 의료기관과 진료 관련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셋째.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위하여 의료관광을 허용하고 있다. 넷
째, 영토에 비해 인구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원격의료 진료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당장 현실적인 예산 제약을 극복하기 위


해 ODA 방식을 통한 의료 분야의 원조를 적극 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와 우
즈베키스탄은 KOICA를 통한 무상원조와 EDCF를 통한 유상원조를 병행하여 협력하고자 노
력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 추진되어온 보건의료 개혁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권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우선 국가가 국민에게 무상 의료를 제공하여야 할 의무가 제대로 행
하여지지 않고 있다. 현재 무상 의료서비스 범위의 확대와 동시에 국영 및 지자체 관할 보건
의료 분야에서 유료 의료서비스 비중이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와 더불어 새로운 시장체
제에 대한 기존 의료분야 종사자들의 적응과정이 더딘 것도 문제점 중 하나이다.

3-4-1-3. 의료보험 제도의 개요

러시아어권 국가 중에서 의무 의료보험 제도를 도입한 국가와 도입하지 않은 국가로 나누

| 16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어진다. 러시아의 의무 의료보험법은 2010년 11월에, 카자흐스탄은2015년 10월에 의무 의


료보험법을 제정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의무 의료보험 관련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

의료보험은 국민의 사회보장을 목적으로 한 사회보험 제도의 일부이자 일반 보험체계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러시아 연방 법에 따르면 의료보험은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한 사회보
장체계의 한 형태로서 보험사고의 발생 시 당해 국민으로 하여금 적절한 의료서비스 또는 적
기의 예방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러시아 연방 내 의료보험은 의무 의
료보험과 임의 의료보험 등 2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의무 의료보험 제도는 러시아 국민의 헌법상 권리에 따른 무상 의료서비스를 보장하기 위


해 고안되었으며, 러시아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한 사회보장 체계의 한 형태를 띠고 있다.

2010년 11월 29일 제정된 ‘러시아 연방 의무 의료보험법’(제326-FZ)은 의무 의료보험


제도의 감독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규제 장치이다. 의무 의료보험은 국가 사회보험 제도의
일부로서, 이를 위해 책정된 예산을 기반으로 러시아 국민들에게 균등한 의료 및 의약품 지
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의무 의료보험 제도에 대한 국가정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연방 의무 의료보험 펀드


(FFOMS)와 지역 의무 의료보험 펀드(TFMS)가 구축되었다. 현재 러시아 연방 내에서 1개의
연방 의무 의료보험 펀드와 총 84개의 지역 의무 의료보험 펀드가 독립 형태의 비영리 금융
기관으로서 설립·운영되고 있다. 현재 러시아는 의무 의료보험 계약자를 2개의 그룹으로 구
분하고 있다.

- 고용 인구를 위한 의료보험 계약자


- 비고용 인구(아동, 학생, 연금수령자)를 위한 의료보험 계약자

기업, 기관, 단체 등 법인과 개인 사업자들은 자신이 고용한 직원을 대신하여 의무 의료


보험에 가입하고 각 직원들에 대한 보험료 전액을 부담한다. 국가는 아동, 학생, 연금 수령자
등과 같은 비고용 인구를 대신하여 의무 의료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 전액을 부담한다. 의료
기관은 의료보험사와 체결된 보험계약에 의하여 피보험 국민에게 의료서비스를 무상으로 공
급한다.

| 16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러시아 연방 의무 의료보험 제도 |

자료: 러시아 연방 보건부

국가가 보장하는 무상 의료서비스 국책 프로그램에 따라 자금의 85%는 의무 의료보험을


통해 충당되고, 나머지 15%는 국가 예산으로 확보된다. 러시아 연방의 의무 의료보험은 보
험 사례에 대한 보상 중심 제도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자금조달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는 점이 특징이다. 의무 의료보험에 가입한 환자를 치료하고 그 치료에 지출된 비용을 의료
보험사로부터 보상받는 것이 아니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금을 할당받는 원리이
다. 따라서 의료기관들은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측면과는 상관없이 의료보험사와 체결된 계약
에 따라 기약된 자금을 받기 때문에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국가가 보장하는 무상 의료서비스 항목은 ‘러시아 국민을 위한 국가 무상 의료서비스 보


장 기본 프로그램’과 ‘지역별 무상 의료서비스 보장 프로그램’에 반영되어 있다. 기본 프로그
램에 따라 의무 의료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다음과 같은 진료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 구급 서비스, 외래진료 및 치료, 전문의 상담, 예방접종, 특정 인구의 정기건강검진, 산


전 및 산후 진료, 임신 중절 등을 포함한 1차 의료서비스
- 환자, 장애인, 고령자를 위한 준의사 자택 진료를 포함한 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
- 아동, 청소년, 장애인 등을 위한 재활치료 및 관찰
- 급성 및 재발 질환자, 만성 질환자, 외상, 음독, 화상, 격리가 필요한 감염성 질환자, 정
밀 검사 및 치료를 위한 입원

| 16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기본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1차 의료서비스, 구급 서비스


(항공의료서비스 제외), 전문 의료서비스 등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 종양 질환
- 내분비계 질환
- 영양 및 대사 질환
- 신경계 질환
- 혈액 및 조혈기관 질환
- 각종 면역체계 관련 질환
- 안구 및 안부속기 질환
- 귀 및 귀양돌기 질환
- 심혈관계 질환
- 호흡기 질환
- 소화계 질환
- 비뇨생식계 질환
- 피부 및 피하 조직 질환
-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 외상, 중독 및 기타 외부요인으로 인한 신체이상 증상
- 선천적 기형(출생결함)
- 변형 및 염색체 이상
- 임신, 출산, 산후기관 및 임신중절 관련
- 주산기 태아 및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각종 증상
- 정신질환 및 행동장애
- 기타 이상 소견

기본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연방주체는 각 지역에 해당되는 지역별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공급한다. 의무 의료보험과 관련된 러시아 연방 법에 따라 지역별
프로그램에 반영된 의료서비스의 규모와 서비스 제공 조건은 기본 프로그램의 규모와 제공

| 16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조건과 같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임의 의료보험 제도는 개인의 기호에 따른 선택적 보험이며, 러시아 연방 보험법의 규제


를 받는 금융상업적 활동으로 분류된다.

임의 의료보험은 의무 의료보험에서 기본적으로 보장하는 범위 이상의 추가적인 의료서


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임의 의료보험은 의무 의료보험과는 달리 상업
적인 성격을 띤 민영 보험에 속하며, 피보험자는 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료 액수에 기반을 두
어 일정 유형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의무 의료보험에 비해 본 유형의 보험은 피보험
자가 스스로 본인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임의 의료보험에 가입한 피보험자는 임의 의료보험증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의료서비


스를 받을 수 있다.

- 외래진료 (사전 합의된 의료기관에서 가능)


- 치과 서비스
- 의사 왕진 서비스
- 응급/구급 의료서비스

오늘날 러시아/CIS 국가들은 보건의료 분야에 투입되는 자금 부족으로 유상 의료서비스


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 경우 50%이상의 환자들은 입원비를 직접 부담하
고, 30%는 외래 진료비, 65%는 치과 진료비를 자비로 부담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유상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의료서비스 소비자와 의료서비스 공급자는 계약을 체결한


다. 유상 의료서비스를 공급하는 의료기관은 해당 분야에서 의료 행위를 허용하는 면허와 등
록증을 갖추어야 한다. 국영 또는 지자체 관할 의료기관은 유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5년 10월에 제정된 의무 의료보험법에 따라 카자흐스탄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유형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1. 기본 의료서비스

국가가 보장하고 중앙정부의 재정으로 제공되는 무상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 16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2. 의료보험에 기반을 둔 의료서비스

신설된 의료보험 펀드의 자금으로 제공되는 외래진료, 입원치료(사회위험요소로 분류되는


질병 제외), 재활치료, 최첨단 기술을 사용한 치료 등과 같은 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

비고용 인구에 대한 보험료는 국가가 부담할 것이고, 고용 인구에 대해서는 고용주가 피


고용자 대신 보험료를 납부하고, 개인 사업자들은 자신의 보험료를 직접 부담한다. 고용주의
보험료 부담은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소득의 5%를 보험료로 납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의무
의료보험 제도가 가동되는 첫 해인 2017년에는 2%, 2018년 3%, 2019년 4% 그리고 2020
년부터는 5% 부담하게 된다. 보험료 부담액은 법인세 공제 대상이므로 실질적으로 고용주가
부담하는 보험료는 소득의 4% 수준이다37).

러시아의 의무 의료보험과는 달리 카자흐스탄에서는 피보험자도 보험료를 부담한다. 피


보험자가 부담하는 보험료는 소득의 2%이다. 다만 보험료 부담은 2019년부터 시작될 것이
며, 첫 해에는 1%, 2020년에는 2%를 납부할 것이다.

사회소외계층의 보험료는 정부가 부담한다. 보험료는 평균 임금의 7%로 책정되었다. 정


부가 부담하는 보험료도 단계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2017년 4%, 2018년 5%, 2023년 6%,
2024년 7%에 달하게 된다.

카자흐스탄의 의무 의료보험도 러시아의 의무 의료보험과 같이 사회보험의 성격을 지니


고 있으며, 의무 의료보험 펀드의 유일한 주주는 카자흐스탄 정부이다.

3-4-2. 환자의 관점

3-4-2-1. 의료서비스의 유료화

현재 러시아에서 민간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국영 및 지자체 관할 의료기관들도 유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2012.10.04러시아 연방 정부령; 2013년 1월 1일부터 발효). 이에 따라
유료 의료서비스를 받는 러시아 국민 수도 해를 거듭해 증가하고 있다. 민간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은 환자 수가 2013년 기준 39% 이었고, 2014년에는 47%까지 증가했다(‘보
건 지수-2014’ 조사). «RBC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2002년부터 러시아 내 유료 의료

37) 의무 의료보험제도 가동을 2017년부터 시작하기로 계획하였으나 2019년으로 연기되었다.

| 16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서비스 시장이 성장하고 있었는데, 2014년에는 그 규모가 전년 대비 4% 증가해 5500억 루


블을 기록했다. 의료서비스의 낮은 질과 무료 의료서비스 규모의 축소 등은 유료 의료서비스
시장을 확대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러시아여론조사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34%는 긴 대기 시간, 진료 예약이 불가능한 문제, 의료인에게 주어야 하
는 뇌물, 의료인력 부족 때문에 국영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무료 의료서비스를 받지 않는다
고 대답했다. 26%의 응답자는 의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 의사의 태만과 무관심, 불친절과
무례한 행동 등이 공공 의료의 도움을 받지 않게 만든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90%는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러시아 국민 1인당 제공되는 유료 의료서비스의 규모는


2012년 42,156 루블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0년 대비 21.8%, 2011년 대비 8.8% 증가한 수
치다. 2015년 1차 의료기관에서 러시아 국민들이 지불한 평균 진료비는 1,500~2,000 루블,
혈액검사 비용으로는 1,300~1,500루블, 기능검사 – 2,000루블을 지불하는데(MedAboutMe)
2015년 8월 기준 러시아 평균 급여는 31,870 루블이다(러시아 연방 통계청). 러시아 국민은
자신의 소득에 비하여 높은 의료비용을 지불하고도 양질의 유료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기가 어렵다. 민간 의료기관에서 종사하는 많은 의료 인력이 공공 의료기관에서 오
전 근무를 마치고 오후에는 민간 의료기관에서 진료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 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의료기관 평가제도가 없어서 보건부조차도 민간 의료기관을 통제할 수 없는 상
황이다. 따라서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부르는 값을 지불해야 하고 불필요한 검사를 받는 등 과
잉진료비를 부담해야 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다.

무료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시간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러시아 연방


감사원에 따르면 실행된 보건의료 개혁의 결과로 2014년 한 해 동안 9만 명에 달하는 의료
인력이 감원됐다. 이에 따라 현재 러시아 전국적으로 의사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러시
아 내 17,500개의 기초생활권에는 의료인프라가 없고, 그 중 11,000 개의 기초생활권은 일
반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부터 20km 떨어져 있는데 35%의 기초생활권은 대
중교통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무상의료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보
여주며 의료서비스의 유료화가 불가피하게 진행될 것을 입증하다.

| 16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4-2-2. 의료인의 태도

자본주의 체제에서 의료가 산업이고, 의료인은 수요가 높은 ‘건강’이라는 상품을 생산하


는 행위자이다. 따라서 의료인들은 생산하는 상품을 업그레이드 시켜 더 비싼 가격으로 판매
하려고 노력한다. 러시아어권 국가의 상황은 다르다. 러시아어권에서 건강이 상품으로 인식
되지 않고 있으며, 의료서비스를 소비하는 문화도 아직은 정착되지 않았다. 따라서 러시아
/CIS 국가 내 종사하고 있는 의료인은 시장성을 지닌 상품을 생산하지 않고 있고, 보건의료
산업은 정부의 지원 없이는 발전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러시아어권 내 인구 대비 의사 수가 선진 국가들보다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공되는 의료서


비스의 질적 수준은 여전히 좋아지지 않고 있다. 국영 의료기관에서 종사하는 의료인의 생산
성이 낮고 전문성이 떨어져도 월급은 매월 지급되기 때문이다.

러시아에서는 의무 의료보험 제도가 도입된 후 상황이 달라질 것을 기대했으나, 큰 변화


는 일어나지 않았다. 의무 의료보험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의료기관 내 문화도, 의료기관 수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의료보험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예전과 같이 행정구역
관할 병원을 내원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환자들이 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지
만,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과는 달리 러시아어권
의료기관들은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무관하게 제공된 급여서비스에 대해 의료보험사로
부터 진료비 전액을 받는다. 따라서 의무 의료보험 제도의 도입으로 자금의 흐름 외에는 바
뀐 것이 없다. 의료기관 내 종사자 수도 의료보험과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인원을 증
원하였기 때문에 전체 종사자 수는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였다. 의료인에 대한 대우
그리고 의료인들의 태도 또한 바뀌지 않았다. 환자들은 국가의 보건의료 개선을 위해서는 의
료인들의 전문성과 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어권 내 명실
상부한 전문가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전문가들이 있지만, 그들의 수가 너무나 미미하
다. 오늘날 대부분의 의료인이 돈도 많이 받지 못하면서 별 재미가 없고 지루한 일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이다. 또 의료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의료인들의 고충을 가중시킨다.
지금처럼 의사의 위상이 낮은 적은 없었다.

현재 의료서비스를 활발하게 소비하는 대다수의 러시아어권 환자들의 건강관리와 질병에


대한 인식이 소련 시절에 형성되었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의 건강관리 문제가
국가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습관을 갖고 있다. 특히 의

| 16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료인의 노동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드리는 점도 문제이다. 의료인은 어떤 경우에도 환자를 살


려야 할 의무를 다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다.

신규 병원을 건립하고, 새로운 최첨단 장비를 도입할 수는 있으나 의료인들의 태도와 인


식이 바뀌지 않으면 환자들이 희망하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환자
들은 친절한 의료인의 진료를 받기를 희망하며, 최근 급속히 증가하는 유상 의료서비스의 규
모가 축소되는 반면 접근 가능한 1차 의료서비스 범위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고도의
기술을 사용하는 의료서비스를 오래 기다리지 않고 본국에서 받는 것을 원한다. 반면 의료인
은 임금 인상, 사회인식의 변화를 기대하고 의료인에 대한 법적 안전보장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근로환경 개선을 희망한다.

3-4-2-3. 의료관광 발전의 현황

낮은 수준의 의료서비스, 무상 의료서비스의 한계 등과 같은 러시아어권의 문제는 많은


환자들의 발길을 해외의료기관으로 내몰고 있다. 의료관광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관심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러시아의 제1의 검색포털 사이트인 Yandex의 러시아어 유저(user)들
중 약 620만 명이 매월 해외 의료서비스를 검색하고 있다(2011년 기준). 예를 들어 매월 약
1만 명의 Yandex 유저들이 ‘독일 치료’라는 검색어를 검색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의료관
광에 대한 높은 관심은 바로 열악한 국내 보건의료 상황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러
시아에서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53%의 응답자는 러시아 보건의료의 상태가 ‘매우
나쁘다’, 40%는 ‘그냥 그렇다’라고 응답하였고, 그리고 5%의 응답자만 ‘좋다’라고 대답하였
다. 러시아 의사들도 자국의 보건의료 수준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다. 약 34%의 러시아 의사
들이 ‘불만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국민들은 러시아 내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는 것은
위험한 일로 인식하고 있다.

환자들의 해외치료를 주선하는 중개사들에 따르면, 오늘날 치료를 위해 해외 행을 택하는


고객들은 지난 90년대와는 달리 부유층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중산층(주로 대도시 출신)으로
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러시아어권 환자들이 선호하는 국가들은 선호도 순으로
보면 이스라엘(45%)과 독일(20%)이다. 언어적 장벽이 낮고, 지리적으로 가까우면서 의료수
준이 높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환자들은 해당 국가에서 진료를 받으려고 하고, 또 해당 국가
의 의료를 신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스라엘과 독일을 이어 러시아어권 환자들은 터키,

| 16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인도, 싱가포르, 스위스, 프랑스 그리고 폴란드, 헝가리, 체코, 리투아니아 등과 같은 동유럽
국가를 선호하는 편이다.

의료관광에 대한 선택 유형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 현지에서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타국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


- 건강검진 차원의 의료관광(질병 예방 차원의 종합건강검진 및 질병 진단 목적 정밀검사)
- 건강증진 및 요양을 목적으로 한 의료관광

러시아 환자들은 심혈관계 질환, 종양, 근골격계 질환, 성형외과적, 신경외과적 질환 그리


고 장기 이식을 위해 해외 의료기관을 찾고 있다. 러시아 환자들은 요양과 휴양을 목적으로
도 해외 요양·휴양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휴양지로서는 발칸국가와 발틱 3국(66%), 아이슬
란드(44%)를 포함한 중부 및 동부 유럽, 그리고 동북아와 동남아 국가들(40%) 순으로 인기
가 높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휴양지를 방문한 러시아 방문객들은 온천(63%), 약수
(61%) 및 진흙(46%)과 같이 천연자원을 활용한 치료방법을 선호한다. 일반적인 약물치료와
SPA는 약 35%의 응답자가 좋아하고, 가장 선호하는 것은 힐링 마사지(67%)이다.

3-4-3. 의사의 관점

3-4-3-1. 건강 현황의 지표

| 한국 및 러시아/CIS 국가 보건의료 지표 |
KOREA RUSSIA KAZAKHSTAN UZBEKISTAN
Total population
50,293,000 143,457,000 17,625,000 29,894,000
(2015)
Population aged
not available 16 26 29
under 15 (%)
Population aged over
not available 19 10 7
60 (%)
Median age
not available 38 29 25
(years)
Population living in
not available 74 53 36
urban areas (%)

| 17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KOREA RUSSIA KAZAKHSTAN UZBEKISTAN


Total fertility rate
not available 1.5 2.5 2.3
(per woman)
Number of live
not available 1686.2 336.8 621.7
births (thousands)
Number of deaths
not available 2113.7 159.0 186.7
(thousands)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33 23 20 5
(PPP international
$, 2013)
Life expectancy at
birth m/f (years, 79/86 65/76 66/75 66/73
2015)
Probability of dying
under five
not available not available not available not available
(per 1 000
live births, 2015)
Probability of dying
between 15 and 60
years m/f 90/37 325/118 279/118 237/132
(per 1 000
population, 2015)
Total expenditure on
health per capita 2,531 1,836 1,068 340
(Intl $, 2015)
Total expenditure on
health as % of GDP 7.4 7.1 4.4 5.8
(2015)

자료: 세계보건기구(WHO)

러시아 인구의 기대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2007년 기대수명은 신규 EU 회


원국들에 비해 7년, 기존 EU 회원국들에 비해서는 13년이 낮다. 러시아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세계에서 가장 크며, 12.5년을 나타내고 있다.

| 17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 러시아 인구의 기대수명 |

자료: 러시아 연방 보건부

러시아 인구의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신규 EU 회원국들에 비해 1.3배, 기존 EU 회


원국들에 비해서는 1.6배 높은 편이다. 1986년 기준 러시아 인구의 사망률은 기존 EU 회원
국들의 수준과 같았다. 그러나 노동가능 인구의 사망률이 증가하면서 전체 사망률이 증가하
였다.
| 러시아 인구의 사망률 (인구 1천 명당) |

자료: 러시아 연방 보건부

1990년부터 러시아 내 각종 질환의 발병률은 39% 증가하였다. 특히 심혈관계질환 발병


률은 2배, 종양은 60%, 근골격계질환은 2배 증가하였다.

| 17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러시아의 주요 질환 발병률 |

자료: 러시아 연방 보건부

러시아 연방 내 연방주체, 도시와 농촌 지역 간 보건의료 불평등이 다음과 같은 지표에서


나타나고 있다.

1. 기대수명: 연방주체 간 5년에서 7년까지 차이가 난다.


농촌 지역 인구의 기대수명은 도시 인구의 기대수명보다 2.6년 짧다.

2. 사망률: 일부 연방주체 내 인구의 사망률은 러시아 연방 평균 사망률보다 1.5배 높다.


농촌 지역 인구의 사망률은 도시 인구 사망률보다 20% 높다.

3-4-3-2. 환자의 특성

러시아어권 보건의료가 서방의 보건의료와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환자들도 다르다. 러시


아어권 의사들의 관점에 본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일반적으로 러시아어권 환자들은 의심이 많고 의사의 모든 행위를 비판적으로 받아들


인다. 그래서 타 문화권 환자들보다 의사의 처방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이다.

2. 반면 극히 순진하여 빠르고 별 고통 없이 치료할 수 있다는 말에 쉽게 넘어간다. 기적


을 믿고 “마법의 치료제’와 같은 것을 맹신하는 편이다. 따라서 예전에는 ‘옆집 아주머

| 17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니의 의학 상담’ 최근에는 ‘인터넷 의학 상담’이 널리 확산되어 있다. 의사보다 타인의


경험을 더 신뢰하기 때문이다.

3. 의사의 논리보다 검사를 믿고 정밀검사를 오더(Order)하지 않는 의사의 전문성을 불


신한다. 검사 없는 진료는 시간낭비로 받아들인다.

4. 반면 정기 종합건강검진은 이상한 것이 발견될 것을 우려해 건강검진을 두려워하고 피한다.

5. 약초 등 천연치료제를 선호하며 인공적으로 만든 합성의약품을 불신하는 경향이 우세하다.

⇒ 러시아의 의악품 중 약초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러시아 시내의 약국에서도


약초가 이미 보편적인 치료제로 자리 잡고 있다. 모든 약초로 만든 제품들은 각각
분야별로 분류되어 있다. 일반의약품, 건강보조제들 뿐만 아니라 가공하지 않은 말
린 약초들만 따로 모아서 진열해 놓은 곳도 있다.

⇒ 약효가 확실한 합성의약품보다 약초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오늘날에도


합성의약품이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을 믿고 염려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러
시아에서 유통되는 모든 약초들은 정부가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약초 역시 의약품
으로 간주하여 엄격한 품질검사를 위해 성분검사와 각종분석을 한 후 유통시키기
때문에, 실제 유통되기까지 5년 이상 검증기간을 거쳐야 한다.
⇒ 러시아는 약초학을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눈부신 발전을 성취한
나라이다. 1843년 러시아의 식물학자 메이어에 의해 인삼이 ginseng이라는 국제
학명으로 세계식물학회에 등록되었다. 또한 인삼 못지않다는 가시오가피의 효능을
최초로 규명한 사람 역시 러시아의 생약학자 브레이크만 박사였다는 사실만 보아
도 러시아 사람들의 약초에 대한 관심을 가늠해볼 수 있다.

⇒ 차가버섯(자작나무 버섯): 12세기 러시아 블라지미르 모노마흐 황제의 입술암을 고


쳤다고 문헌에 기록된 차가버섯에 대해서는 16세기경부터 러시아 특히 시베리아.
극동지방에서 소화계질환 및 소화계암 치료에 활용되었다는 많은 민간요법들이 알
려져 왔다. 1955년 러시아 의학과학원(Российск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
ия Наук)은 차가버섯을 항암물질로 승인하여 치료제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
다. 또한 차가버섯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6. 반면 의약품 광고는 맹신하며 자가 치료를 선호한다.

| 17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7. 물리치료, SPA, 침술, 치료적 마사지 등 대체의학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다. 러시아어
권 사람들은 병에 걸렸을 때 현대식 병원에 가는 대신 대체치료를 제공하는 곳을 찾는
데 이들은 종교의 힘으로 병을 고치는 사람이나 약초 치료자들이다. 영양제, 약초 크
림 등을 팔면서 건강검진을 하고 기력을 회복시켜준다고 선전한다. 이로 인하여 발생
되는 문제가 적지 않다.

⇒ 러시아인들은 ‘바냐’를 즐긴다. ‘바냐’는 ‘뻬치카’(아궁이)에 불을 때고 뜨겁게 달군


후 물을 잔뜩 뿌려 습식 사우나를 만들어 놓은 공간이다. 바냐는 한국의 사우나보
다 훨씬 더 뜨거워 조금만 있어도 땀이 비 오듯 하고 몸이 뜨거워지는 것이 특징이
다. 사우나 안에 들어가 자작나무가지를 물에 담근 후 그 가지로 마사지하듯 두드
려준다. 그 가지는 ‘베닉’이라고 불리는데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몸 안에 노폐물을
빼주는 용도로 쓰인다.

8. 병원에 대한공포감, 불신 때문에 증상을 무시하고 버티다가 악화되어 심각하게 느낄


때에야 비로소 병원에 가는 편이다.

9. 의사의 처방을 철저하게 지키려고 하지 않는 성향이 있다. 약물 치료를 포함하여 모든


치료를 시작해서 증상 완화를 느끼면 ‘내 건강은 내가 제일 잘 안다’라고 생각하고 자
의적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10. 그리고는 환자의 부주의로 상태가 악화될 경우 그 잘못을 시인하지 않고, 거짓 진술을 한다.

11. 환자들은 의사로부터 확인하고 혹은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정리하지 않는 등 진료를


위한 준비가 부족한 상태로 진료실에 들어가기 때문에 진술이 길어지고, 반복이 많은
편이다. 또한 진료실에 들어가는 순간 집중력이 저하되어 의사가 전달하는 정보를 여
러 차례 재확인하거나, 아예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3-4-3-3. 보건의료의 문제와 도전

현재 러시아어권 국가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은 구조적인 문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제


도, 재정, 근로환경과 삶의 질, 의약품 공급 및 전문 인력과 같은 5가지 구조적인 문제로 나
누어 볼 수 있다.

첫째, 2008년 이전까지 국민 건강증진에 관한 종합 국책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구학적 문


제가 심화되었다. 연방, 연방주체 및 지자체 간의 권한 분담을 규정하는 법안들이 제정되면

| 17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서 기존에 정비되었던 의료서비스 공급체계가 파괴되었으며, 재정지원이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1차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

보건의료 발전에 대한 전략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고, 목표와 메커니즘도 없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수가 제도의 정비가 미진하고, 의료기관 등록제와 환자의 안전에 관한 표준은 국제 표
준에 부합하지 않다. 연방정부는 질병 예방, 1차 의료서비스 강화, 의료인력 보강보다 보건의료
인프라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도 문제이다. 질병 예방정책의 문제점과 1차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리 미숙으로 입원환자의 30%는 입원하지 않아도 되는 환자들이다. 또한 산업현장 종사자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건강과 관련된 제도의 규모가 축소되어 해당 연령대 인구의 건강관리
가 소홀이 이루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의료기관 경영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경영진의 성과
평가제도와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등이 없기 때문에 경영 능력 및 기술이 충분치 않다.

둘째, 국민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무상 의료의 규모에 비해 이를 위해 실제로 책정되고 있


는 예산이 부족한 재정 문제가 오늘날의 현실이다. 제한된 자금으로 무상 의료제도를 지속적
으로 유지해나가려다 보니 국민은 기본적인 의료서비스 외에는 다른 전문적이고 고도의 기술
을 요하는 의료서비스는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무상 진료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리
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무상 진료를 제공해야 하는 국영 및 지자체 관할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부정부패가 심화되고 있다. 러시아어권 내 약 70%의 의료시설 및 장비
는 낙후되어 있는 상태이고 국민 1인당 보건의료 지출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러시아 같은
경우 한국의 국민 1인당 보건의료지출의 절반 수준이다(2013년 기준 한국은 국제$ 2,398,
러시아는 - 국제$ 1,587). 러시아 연방 전역에서 약 70% 지역은 국가가 보장하는 무상 의료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재원 부족을 체감하고 있다. 보건의료 인프라 구축 수준도
지역별 차이가 큰 편이다.

셋째, 러시아 연방 내 인구의 사망 원인 중에서 알코올 중독이 50%, 흡연은 25% 차지한
다. 또한 열악한 근로환경도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다. 광산업과 교통 부문 종사자 3명 중 1
명, 에너지 및 제조업 부문 종사자 4명 중 1명은 아주 열악한 근로환경에서 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국민 소득 불평등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러시아
경우 국민의 25%가 최소생계비 또는 그 이하 소득으로 살고 있다.

넷째, 러시아는 효율성 높은 제약기업을 외국기업들에게 매각했고, 매각되지 않은 나머지


기업들은 겨우 유지되고 있다. 즉, 러시아의 제약 산업은 파괴되어 있는 상황이고, 다른 러시

| 17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아어권의 많은 국가들은 불모지에서 자국의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


서 러시아어권 국가들은 의약품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신규 의약품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항생제, 예방접종 백신, 의료용 소모품조차도 외국에서 수입된다. 국영 의
료기관에 공급되는 의약품과 의료용 소모품은 국가조달 시스템을 통해 조달되고 있다.

소련 체제 붕괴 후 의료장비 및 의약품을 중앙에서 공급하는 제도가 없어지면서 그 제도


를 대신 할 메커니즘은 마련되지 않았다. 또한 러시아어권 내 의약품 유통업 분야가 가장 먼
저 민간 소유로 넘어갔다. 의약품에 대한 일관된 가격 정책이 없어서 의약품 수급 불균형과
가격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특정 군의 환자 외에는 나머지 환자들은 의약
품을 자비로 구입해야 한다.

다섯째, 생명과 직결된 분야에서는 전문 인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러시


아어권 국가 내 의료진의 대우가 좋은 편이 아니다. 예를 들어, 2008년 기준 러시아 내 의료
기관에서 종사하는 의료인들의 임금은 러시아 연방 평균 임금의 30% 수준이었다. 같은 시기
에 광산업 종사자들의 임금은 의료인 임금의 2.5배, 공무원들의 임금은 1.6배가 높았다. 또한
의사들의 낮은 전문성도 큰 문제이다. 의사들은 5년마다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하는 제도가 있
지만,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수 교육을 받지 않은 의사가 15%를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관 내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고, 최신 의학도서 공급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 17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5
아랍어권 의료문화

질병을 예방하거나 낫게 하기 위한 치료는 무슬림의 의무이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모든


질병에는 약이 있으며, 치료를 하고 알라가 허락하신다면 병이 낫는다”, “치료하라. 알라께서
는 치료법이 없는 질병은 만들지 않으셨다. 단 하나 약이 없는 병이 있는데, 바로 늙는 것이
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질병에 걸렸거나 다친 사람이 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는데 환자를
방치해 병이 악화되어 사망에 이르면, 이는 알라 앞에서 죄를 짓는 것이다. 무슬림에게 건강
증진을 위해 치료하는 것은 허용된다(문재완 외, 2016: 153).

3-5-1. 아랍 의료문화의 이해

3-5-1-1. 민간 요법

아랍 무슬림 사회에는 부항과 같은 민간 요법이 있다. 약 1,400년 전에 예언자 무함마드


가 부항 치료를 권장하였고 무슬림들은 이를 의학적인 사실이자 선구자적인 행적으로 여긴
다. 다만 부항 치료를 할 때 소독할 때 부주의와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비전문의에게 시술 받지 않을 것이 권고된다.

3-5-1-2. 장기 기증과 장기 이식

장기 기증은 아랍 무슬림 사회에서 허용된 일이다. 단, 장기 기증 이후 기증자의 일상 생


활에 무리가 없어야 하며, 수술 성공 확률이 거의 확실한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장기 이식
이외에 대안이 없고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장기 이식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허용된다. 일반적
으로 뇌사자와 정상인의 장기를 환자에 이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의료 목적이라 할지라도
인간의 장기를 판매하고 거래하는 일은 금지된다. 장기는 인간의 일부이며, 이를 판매하는
것은 인권을 침해하고, 인간에 대한 알라의 은혜를 거스르는 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3-5-1-3. 낙태

아랍 사회에서 낙태는 3단계로 나누어 다루어진다. 임신을 확인한 때부터 40일 이전 단

| 17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계인 1단계에 낙태를 하는 것은 혐오스러운 일로 여겨지며, 40일부터 120일까지 2단계에서


합당한 이유 없이 낙태하는 것은 금지된 일이다. 합당한 이유로는 태아의 기형, 아버지의 가
난, 산모가 위험한 경우, 혼외 관계로 생긴 태아, 강간에 의한 임신 등이 있다. 120일 이후
3단계는 영혼이 불어넣어진 단계이며, 이 단계에 낙태는 금지이다. 이 시기에는 낙태를 하지
않으면 산모의 생명이 위험하다는 확인이 없으면 낙태가 허락되지 않는다.

3-5-1-4. 체외 수정

시험관 시술은 필요하다면 허용된다. 단, 난자와 정자가 부부의 것이고 수정된 난자를 그
난자를 제공했던 부인의 자궁에 이식할 때 허용된다. 그 어떤 경우라도 다른 여성의 자궁에
난자를 이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부인의 난자를 다른 여인의 자궁에 이식하면 인권
침해와 상당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현재 상당 수의 아랍 환자들이 불임 치료
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고 있다.

3-5-1-5. 의약품

이슬람 법에 의거 취하게 만드는 알코올을 섭취하는 것은 금지된다. 따라서 알코올 성분


이 들어간 약을 복용하는 것은 금지된 일이지만 취하게 만들지 종류의 알코올의 경우 약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이러한 알코올을 섞어 약을 복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의사 또
한 환자에게 취하게 만드는 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는 약을 처방하면 안되며 다른 대체 약을
처방해야만 한다.

사람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마약성 약은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면 치료 범위 내에


서만 사용될 수 있다. 치료 외에 목적으로 금전적 이익을 위해 이 약을 거래하고 판매하는
것은 금지 된다.

3-5-1-6. 안락사

환자의 고통이나 장애가 심각하여 의사에게 죽음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의사가 판단했을
때 환자가 장애인으로 살거나 고통 받으며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경우, 안락
사를 허락하는 것은 이슬람 법에 위배된다. 의사들은 환자가 안락사를 요구하더라도 응하면
안 되며 권한 밖의 살생을 해서도 안 된다. 그러나 안락사와 달리 뇌사자인 경우 환자의 연

| 17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명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던 의료 기기를 제거하는 것이 허용된다.

3-5-1-7. 이븐 시나

근대 의학의 아버지라는 명성을 가진 이븐 시나는 중세의 아랍 의학자이다. 이븐 시나는


서양에서는 아비센나(Avicenna)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부친의 영향으로 일찍부
터 당대의 뛰어난 학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성장한 이븐 시나는 10대 초반에 코란
은 물론 많은 아랍시를 암송했고, 이슬람 법학과 의학, 논리학, 형이상학 등도 수학하였다.
21세가 되면서 의사로서 명성을 떨쳐 궁정 의사가 되었고 재상을 두 번이나 역임했다.

이븐 시나는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치료의 서( )’와 ‘의학정전(


)’이 있다. ‘치료의 서’에서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논리학,
철학, 자연과학, 심리학 등을 망라했다. ‘의학정전’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의술을 비롯하여
인도, 이집트, 시리아의 의약술을 집대성한 책이다. 이 책은 12세기에 처음으로 라틴어로 번
역된 이래 17세기까지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의학 교재로 쓰였다. 의학, 신학, 철학 등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이븐 시나는 오늘날까지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3-5-2. 다양한 의료 문화의 사례와 수용 방법

󰌚 사례1

부항 치료는 합법적인 치료법이다. 단 국가에서 인정한 의학 기관이 허가한 전문의에


게 부항 치료를 받아야 된다. 국가 의료 전문 기관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부항
치료를 실시하는 의사들을 감독한다.

󰌚 사례2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진통제로 모르핀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된다. 의사의


감독 하에 적당한 양이 투여되어야 하고, 환자가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면 주사나 경
구로 투여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 사례3

돼지의 성분이 변해서 젤라틴과 같은 다른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지면 이것은 돼지로

| 18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불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돼지 조직으로 된 심장 판막을 수입하고 사용하며 거래하고 돼


지판막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원래의 돼지 성
분이 사라지지 않아 돼지로 인식이 된다면 꼭 필요한 경우 대체할 수 있는 청결한 것이
없을 경우에만 해당 제품의 수입과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환자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에 빠지거나 신체 장기가 손실될 수 있을 경우, 또는 돼지 판막이 없으면 질병
이 악화되거나 지속되고 신체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돼지 판막
사용이 가능하다.

󰌚 사례4

극소량의 알코올이 의약품에 함유되어있고 이를 다량으로 복용하여도 취하지 않는


정도라면 이러한 의약품은 먹거나 판매하여도 된다. 이는 알코올이 의약품의 맛, 색감
또는 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허용되는 청결한 상태로 바뀌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 사례5

원래 남성은 낯선 여성의 치부를 볼 수 없으며 만질 수도 없다. 이러한 원칙에는 출


산과정도 포함된다. 출산을 담당할 여성 의사를 찾지 못하거나, 상황이 여의치 못해 가
장 가까운 병원에 갈 수 밖에 없거나, 여성 전문의가 부족한 수술을 진행할 수 밖에 없
는 상황 등 의료적 사정이 있는 경우와 같이 필요하거나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남
성 산부인과 의사를 찾아서는 안 된다.

3-5-3. 아랍 무슬림 환자들의 특징: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을 중심으로

3-5-3-1. 생활 습관으로 인한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의 건강 위험 요소

아랍에미리트 성인 남녀의 공복혈당치와 콜레스테롤 수치는 미국인 평균치를 초과한다.


(WHO, 2008). 아랍에미리트의 생활건강 조사결과 국민의 80%가 건강유지에 충분한 운동
을 하지 않는다. 걷기보다는 자동차 이용을 선호하고 운동과 같은 활동적인 여가 생활보다는
쇼핑이나 커피숍에서 담소나누기와 같은 정적인 활동을 선호한다. 이로 인하여 국민의 60%
이상이 과체중이며 비만은 20세 이상 성인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생활습관으로 인해 당
뇨, 관상동맥 및 심혈관 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불임 환자가 많다.

| 18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5-3-2. 기호, 환경, 문화 요소로 인한 아랍 에미리트 환자들의 건강 위험 요소

평균적으로 15세 이상 성인의 25%가 흡연(WHO, 2011)하여 호흡기 질환, 암 유발 가능


성이 높다. 높은 기온 및 먼지에 노출되어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과 알레르기, 피부병, 비타
민 D 부족으로 인한 질병인 결핵, 알츠하이머, 유방암, 전립선암, 골다공증, 고혈압, 골절,
오한 등, 피부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3-5-3-3. 아랍 에미리트인의 주요 사망 원인

아랍에미리트 국민의 주요 사망 원인은 심혈관 질환 28.7%, 교통사고 15.0%, 암 8.6%,


선천성기형 4.7%, 당뇨 3.0%이다. 5대 발병 암은 2012년 기준 남성에게 백혈병, 대장암, 전
립선암, 림프종, 뇌암이며, 여성에게 유방암, 백혈병, 대장암, 갑상선암, 자궁암이다. 따라서
유발 요인을 홍보하고 암 정기 검진을 통해 암 예방 및 조기발견 정책이 필요하다.

3-5-3-4. 아랍에미리트인의 의료보험

- 아랍에미리트 자국민의 95%가 국가의료보험(Daman)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치과 및


일부 의약품을 제외하고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 정기건강검진은 국가가 부담한다.

- 민간의료기관의 치과 치료 및 의약품 서비스에 대해 50% 본인 부담제롤 도입하였고 공


공의료기관에서는 무상으로 치료된다.

- 자국민이 해외 의료기관 진료를 승인한 경우 환자의 치료비용 전액과 환자 및 보호자


1인에 대하여 항공 및 체류 비용을 국가가 지원한다.

- 아랍에미리트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고용주의 의료보험가입으로 의료보험혜택


을 받는다. 따라서 의료 프로그램에 따라 의료보험회사의 지불범위가 다양하고, 진료
개시 전 지불보증서(GOP) 확인이 필요하다.

3-5-3-5. 아랍에미리트 환자 치료 시 주의 사항

남성 의료진은 여성 환자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면 안되며 진료실에 여성 환자와 단둘이


있어서도 안되고, 남성 보호자나 다른 여성이 동석한 가운데 진료를 진행해야 한다.

| 18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며 일반적으로 시간에 대한 개념이 한국인과 달라 진료시간


에 종종 늦기도 한다.

공식적인 업무 처리에 의사 결정권이 남성에게 있어 수술동의서 서명도 남자 가족이 한다.

| 18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6
몽골어권 의료문화

몽골어권 가운데 유일한 독립국인 몽골국을 사례로 하여 그들의 의료문화의 주요 부분을


정리할 것이다. 먼저 현재의 의료문화를 좀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하여 속담에 나타나 있는 질
병에 관한 몽골인들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 몽골국
의 의료문화의 특징, 한국과 몽골의 의료문화의 차이점, 몽골 환자의 특이점을 차례로 기술
할 것이다. 서술 내용은 통역사와 코디네이터가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현재의 상
황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3-6-1. 속담에 나타난 몽골인의 질병 인식

몽골인들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생각은 속담과 민담 등 입말로 전해진 구전자료에 잘 나


타나 있다. 이 세상 모든 나라 사람들이 그렇듯 먼 옛날 몽골인들 역시 생명을 세상에서 가
장 귀중한 것으로 여겼다. 예를 들면 그들은 생명의 귀중함을 산 크기의 황금과 실 크기의
목숨에 비유하여 “산만한 황금보다 실만한 목숨이 소중하다”고 가르쳤다. 그래서 몽골인들은
예로부터 건강과 건강함을 사람의 행복과 불행의 척도로 삼았다. 그들은 이를 지식과 빚, 즉
채무에 견주어 다음과 같이 충고하였다.

지식보다 더 한 것이 없고, 건강보다 더 한 행복이 없다.


Эрдэмээс илүү эд үгүй, Эрүүлээс илүү жаргалгүй.

빚 없으면 부자 병 없으면 행복.


Өргүй бол баян, Өвчингүй бол жаргал

건강이 최고의 행복이라는 뜻이다. “해충 있는 염소는 살찌지 않고, 병든 사람은 행복하
지 않다“는 속담도 비슷한 뜻을 담고 있다. 여기서는 유목민답게 염소를 등장시키고 있는 점
이 특이하다. 이처럼 건강을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 그리고 행불행의 기준으로 삼았던 몽
골인들은 후손들에게 질병에 관한 수많은 교훈과 경고의 말을 남겼다. 그들은 먼저 “병은 노
인 젊은이를 구분하지 않고, 병은 애 어른은 구분하지 않는다”고 하듯 병에 걸리는데 나이가

| 18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따로 없다고 가르쳤으며, “땅에서 풀이 나오고, 흠결에서 병이 생긴다”거나 “병이 들 때는 한


뼘 한 뼘으로 온다”고 하듯이 병의 시작이 사소한 것에서 비롯된다고 충고하였다. 몽골인들
은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질병의 슬픔은 십만(十萬)의 어려움, 질병의 고통은 일만(一萬)의
어려움”이라고 하여 질병을 이 세상의 가장 큰 슬픔과 고통으로 보았으며, 이를 아예 다음
인용문과 같이 적(敵)이나 죽음과 관련지어 훈계하였다.

질병보다 더 한 적이 없고, 죽음보다 더 한 위험이 없다.


Өвчинөөс илүү дайсан үгүй, Үхлээс илүү аюул үгүй.

병은 작아도 죽음의 원인이고, 물감은 적어도 색상의 원인이다.


Өвчинбагаболовчүхлийншалтгаан, Будагбагаболовчөнгийншалтгаан.

이 세상 가장 큰 적은 질병이고 그리고 그 질병은 아무리 사소해도 세상에서 가장 위험하


다는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섬뜩한 경고의 말이다. “질병 같은 고통 없고, 죽음 같은
위험 없다”는 속담도 숨은 뜻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몽골 선조들은 또 “구름이 나타나면 비
가 오고, 병이 커지면 죽음이 온다”고 질병과 죽음의 관계를 자연현상에 빗대어 말하기도 하
고, “말이 커지면 위신을 잃고, 병이 커지면 목숨을 잃는다”고 질병과 목숨의 관계를 몽골인
들이 중시하는 명예와 관련지어 설명하기도 하였다. 그 만큼 질병을 엄중한 것으로 인식했다
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이를 막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충고도 잊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몽골인들은 “건강한 몸에서 질병이 도망간다”고 하여 무엇보다도 몸
을 건강하게 관리하라고 가르쳤다. 그들은 또한 건강은 젊어서부터 관리하고 지켜야 한다고
다음과 같이 충고하였다.

몸은 젊어서부터 (관리하고), 옷은 새 것부터 (관리하라).


Биеэ залуугаас нь, Хувцасаа шинээс нь.

건강한 몸을 돌보지 않으면 병에 걸려 후회한다.


Эрүүл биеэ эс асарвал, Өвчин олсон цагт гэмших.

아마도 이런 사고에서 발전하여 “병은 초기에, 음식은 신선할 때”라는 속담도 생겨났을
것이다. 신체의 건강을 젊어서부터 관리하듯 병에 걸리면 조기에 치료하라는 충고이다. 그러

| 18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나 옛 몽골인들은 몸의 건강 못지않게 마음의 건강이 중요함을 아울러 가르쳤다. “하루의 평


안이 만복(萬福)의 문(門)” 또는 “마음이 편하면 몸이 편하다”는 속담에도 유사한 뜻이 들어
있다. 나아가 “의심함으로 아프게 되고, 믿음으로 낫는다”고 하듯 병은 물리적인 병균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생각 때문, 즉 질병이 심리적인 것과 큰 관계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아마도
이 속담 속에는 질병의 치료도 마음가짐과 큰 관련이 있다는 뜻도 아울러 내포되어 있을 것
이다. 질병과 건강문제를 다루는 의사에 관한 속담도 매우 풍부하게 남아 있는 편인데, 다음
에서 보듯 의사에 대한 존경의 마음이 담긴 속담이 유별나게 많다.

지식인은 혀가 부드럽고, 의사는 손이 부드럽다.


Эрдэмтэй хүний хэл зөөлөн, Эмч хүний гар зөөлөн.

현명한 의사를 찾기 어렵고, 아내의 말대로 행동하기 어렵다.


Мэргэн эмч олоход бэрх, Авгайн үгээр байх бэрх.

대장장이 곁에서 손을 거두고, 의사 곁에서 입을 거둬라.


Төмөрчний дэргэд гараа тат, Эмчийн дэргэд амаа тат.

위와 같이 의사를 지식인, 장인, 현자로 존경하지만 의술이 떨어지거나 나쁜 의사에 대한


비평은 신랄하고 가혹하다. “나쁜 의사보다 끓인 물이 낫다”거나 “의사가 나쁘면 죽음이 가
깝고, 약이 나쁘면 빈곤이 가깝다”는 속담이 대표적 사례이다. 몽골인들은 또 경험이 부족한
신참내기 의사에 대해서도 “신참 의사보다 끓인 물이 낫다”거나 “처방전을 본 의사보다 고통
을 맛본 노파가 낫다”고 하듯 매우 냉소적 태도를 보인다. 현대 몽골인들이 의사에 대한 믿
음, 특이 1차 의료가관 의사에 대한 믿음이 매우 낮은 것도 현재 몽골 의료 시스템의 실상과
함께 이러한 통념이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병이 나면 당연히 수술이나 약물로 치료를 한다. 옛 몽골인들은 이와 관련해서도 “마음의


고통은 말로, 몸의 병은 약으로” 또는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 이롭고, 바른 말은 귀에 거
슬리나 몸가짐에 이롭다”라고 하여 인생사를 예로 들어 충고하였다. 몽골 선조들은 약의 유
용성과 더불어 “나쁜 약은 약으로 익숙해지고, 나쁜 남자는 술로 익숙해진다”고 하듯 약의
어두운 면, 즉 남용에 대한 경고도 잊지 않았다. 그들은 또한 “더러운 사람은 병이 많고, 게
으른 사람은 졸음이 많다”거나 “게으른 사람은 병을 부르고, 젊은 사람은 힘을 부른다”고 하

| 18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듯 청결과 근면을 건강과 관련지어 가르치고 있다. 이 때문에 몽골인들은 “움직이지 않는 소


의 목은 약하고, 움직이지 않은 사람의 몸은 약하다”거나 “쓸데없이 바쁘면 까먹고, 지나치게
점잔빼면 병든다”고 하여 부지런히 몸을 움직여 건강을 유지하라고 가르쳤다.

이상에서 보듯 먼 옛날 몽골인들은 질병을 고통과 슬픔 그리고 죽음까지 불러 오고 인생


의 행복을 앗아가는 악한 중의 악한으로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병들지 않도록 또는
병이 들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많은 가르침을 남겼다. 그 중 하나가 다음 인
용문에서 보듯 치료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이다.

야윈 거세마는 살찔 수 있고, 병든 사람은 나을 수 있다.


Туранхай морь таргалж болно, Өвчтөй хүн эдгэж болно.

살아 있으면 (언젠가) 황금 잔에 물을 마실 것이다.


Амьд явбал алтан аяганаас ус ууна.

빚진 사람은 (언젠가) 갚고 편해지고, 병든 사람은 (언젠가) 낫고 편해진다.


Өртэй хүн төлж амардаг, Өвчтэй хүн эдгэж амардаг.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그 뜻이 명확하다. 두 번째 속담은 꼭 질병이 아니


라도 인생사 어디에도 적용 가능한 경구이지만 그 안에는 병은 치유 가능하다는 희망도 담겨
있다. 세 인용문은 모두 몽골인들의 긍정적인 인생관과 적극적인 사고를 반영해 주는 것으로
질병 치료에도 늘 언급되는 사항들이다.

3-6-2. 몽골 의료문화의 특징

한국과 마찬가지로 몽골도 20세기에 들어와 근대 서양의학과 의료제도가 도입되었다. 그


이전에는 물론 몽의학(蒙醫學)을 습득한 이른바 몽의가 질병 치료를 전담하였다. 몽의학은 몽
골의 전통의학, 티베트 의학, 중국의 한의학 등 크게 새 갈래의 의학이 결합된 몽골 의학을
말한다. 1921년 혁명 이후 근대서양의학, 특히 러시아 의학과 의료제도가 소개되면서 양의
(洋醫)가 이들을 대신하여 몽골인들의 질병을 치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의료제도는 1990년
대 초기 몽골이 시회주의 국가에서 자본주의 국가로 체제를 바꿀 때까지 이어졌다. 따라서

| 18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1990년대 초기까지 몽골의 의료제도는 구소련식의 국가의료제도로서 국가가 국민보건을 책


임졌다. 당연하지만 병원 시스템과 의료인 양성 시스템 등도 모두 소련식이었다. 1990년대
초기 이후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국가 등 서방국가들과 교류가 확대되면서 일부 서방의 의
료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지금도 몽골의 의료제도의 근저에는 여전히 옛 소련식 시스템
이 작동하고 있다. 그래서 몽골의 의료문화 역시 러시아 및 CIS 국가들과 유사한 점이 많고,
환자들의 행동양식 또한 러시아나 CIS 국가 사람들과 비슷한 점이 다수 발견된다.

오늘날 몽골의 병원 체계는 1차 의료기관, 2차 의료기관, 3차 의료기관으로 3단계로 나


뉘어져 있다. 3차 의료기관에서 전문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1차 의료기관과 2차
의료기관의 의뢰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하급 병원, 특히 대표적인 1차 의료기관인 가정 보
건소(Family health centres)는 수준이 떨어져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실정이다.
1990년대 초기부터 사설 의료기관들이 생겨나 영업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국공립 병원
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1994년에 의료보험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노인과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의료보험은 국가가 감당하고 있다. 보험 가입자가 국공립 병원을 이용할 경우 진찰과
진료는 원칙적으로 무료이지만 치료약과 검사 항목이 일부에 한정되어 있다. 이처럼 외형상
현대적인 의료제도와 의료보험제도를 갖춰져 있지만, 의료시설과 장비 및 의료수준 등 여러
가지 측면의 미비점 때문에 일부 진료에 대해서는 국가가 외국 치료를 권하고 일부 질병
(2015년 기준 39개 질환)에 대해서는 보조금까지 지불하고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현
재 몽골의 의료문화 또는 병원문화의 특이한 점을 몇 가지로 나누어 기술한다.

대중매체와 서면 및 전화 인터뷰 자료를 종합해 보면 몽골인들인들은 심하게 아프지 않으


면 병원에 잘 가지 않은 경향이 있다. 물론 병의 징후가 나타나자마자 병원에 가는 사람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특히 남자들과 시골의 유목민들은 병이 심해질 때까지 병원에 가
지 않는 경향이 분명히 존재한다. 여기에도 그 나름의 이유가 있다. 우선 지방의 경우 병원
의원이 충분하지 않아 모든 사람들이 경미한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
하다. 도시에서도 의료기관마다 대기환자가 많아 신속한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아예 병원을 기피해 버리는 경우가 생겨난다. 병원에 대한 공포도 병원을 찾지 않는 한 이유
이다. 예컨대 국공립병원의 경우 치료과정의 통증을 약화시키는 진통제나 기타 완화제 사용
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심리적으로 병원에 대한 공포감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밖
에도 사람들이 제 병을 제 마음대로 자가진단하고, 약국에서 마음대로 약을 구매하여 자가

| 18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치료할 수 있는 것도 병원을 잘 찾지 않은 이유로 꼽힌다. 이는 몽골인들이 병이 위중해졌을


때 비로소 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근대의학이 도입된 지 1세기가 되었지만 전통의학과 민간처방에 맡기는 몽골인들이 여전


히 많다는 것도 오늘날 몽골 의료문화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체제전환
으로 사회 전 부문에 걸쳐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질병 치료에서도 개인의 선택의 폭이 넓어
졌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체제전환 이후 민족주의가 부흥하면서 전통의학이 민족의
학으로서 재조명되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사회주의 시절 몽골에서는 전통종교인 샤머니즘과
불교는 불법이었고, 당연히 무당과 승려들이 담당한 전통의술 및 민간처방도 법의 규제를 받
았다. 1990년대 이후 불교와 샤머니즘의 부흥은 자연히 이들이 담당했던 의료분야에도 영향
을 미쳐 전통의학이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다. 민간요법의 경우 사회주의 시절과 비교하여 그
빈도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자료를 찾지는 못하였다. 다만 민속학자의 현지조사 자료를 통
해 보면 민간에서는 여전히 약초를 생약으로 쓰는 일이 빈번하고, 지압ㆍ정골 요법ㆍ온천욕
ㆍ사혈 등 물리적 요법, 심한 심지어 주술과 신앙에 의한 정신요법이 적지 않게 행해지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타민나무와 차가버섯, 염소젖ㆍ소젖ㆍ말 젖 등 가축의 젖과 특정 가
축의 고기를 이용한 음식물 요법은 자금도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불교와 샤머니즘의 부활과 관련하여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종교가 의료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환자가 수술이나 큰 치료를 할 때 승려에게 날짜를
물어 이른바 길일(吉日)에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흉일(凶日)은 기피일이 된다. 흉
일은 태어난 해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로 화요일과 토요일을 흉일로 보고 수술을 피하는 사
람이 많은 편이다. 특히 중병인 경우 병원에도 가지만, 이와 이울러 사원에 가서 승려로부터
종교적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러한 문화는 근대화와 관련이 없고, 현대 몽골
인들의 삶이 한국인에 비하여 대자연에 더 밀착되어 있고, 불교 또한 생활불교로서 신앙과
삶이 일체화된데 그 이유가 있다.

몽골 의료문화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 종사들의 환자에


대한 태도이다. 오랜 기간 필자가 관찰하고 인터뷰한 몽골인들은 병원에서 의사와 병원 종사
자들에게 금품이나 선물을 줄 경우 서비스가 확연하게 달라진다고 증언하였다. 특히 수술을
할 때는 대부분 의사와 간호사에게 금품이나 선물을 주는데, 이는 하나의 문화로 고착된 느
낌이 들 정도로 심한 편이다. 그래서 환자들은 금품을 주지 않을 경우 서비스가 나빠진다고

| 18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생각하고, 의사 등 의료 종사자에게 선물이나 금품을 주기 위한 사람을 수소문하는 것이 일


반적이다. 물론 이런 문화가 생겨난 데도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도 의사와 간호사들의 낮은
임금이 가장 큰 이유이다. 현재 사설 병원 종사자를 빼면 몽골의 의사와 간호사들은 국공립
병원에서 월급을 받는 월급쟁이인데 그 수준이 공무원과 같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은 국공립
병원 종사자들의 책임감과 업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면 금품을 준 사람이나
친지 또는 부자에게 노골적으로 잘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을 차별한다. 그 때문에 치료 차 한
국에 온 몽골 환자들은 의사가 자기를 차별하지 않을까 하고 염려하기까지 한다.

의료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환자와의 관계에서 몽골 의사들의 업


무는 대단히 과중한 편이다. 예컨대 한국의 경우 진찰실에서 담당 의사 1명에 관련 간호사가
최소한 1명이 있고, 좀 더 바쁜 곳은 업무 별로 몇 명의 간호사가 있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반대로 몽골에서는 진찰 관련 업무를 의사가 홀로 수행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 때문에 몽골 환
자들은 대부분 의사와 관계하고 간호사 등과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러한 관행은 한국에
온 환자에게도 영향을 미쳐 몽골 환자들은 의사와의 접촉에 크게 신경을 쓴다. 그리고 바로 여
기에서 먼 데서 많은 비용을 들여 한국에 왔는데, 의사와의 대면이 단 몇 분에 그치게 되면 치
료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치료 자체에 의문을 품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한편 현재 몽골 국공립 병원의 진찰과 치료는 의료보험 가입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무료이


다. 그러나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진단과 검사 항목이 몇 개로 정해져 있어 그 이상의
진단 및 검사 그리고 값비싼 약품은 개인이 부담해야 한다. 특이한 것은 병원에 없는 약과
주사제를 입원환자가 외부에서 반입하고, 수술비용을 사전에 지불해야 한다는 점이다.

3-6-3. 한-몽 의료문화의 차이

한국과 몽골은 20세기 초기에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하여 근대 서구식 의료제도를 받아들


였다. 한쪽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식, 다른 한쪽은 소련식 의료제도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
는 두 나라의 문화적 차이와 어우러져 의료문화의 차이를 가져왔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은 담당의사와의 상담시간의 현격한 차이이다.


즉 몽골은 한국에 비하여 의사와의 상당시간이 매우 긴 편이다. 이 때문에 질병 치료차 한국
에 온 몽골 환자들이 당황해 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한국의사와 처음 대면하는 몽골인 상당

| 19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수가 이에 대하여 불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는 한국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낮추는


원인이 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문제는 환자와 의사의 대면 시간의 차이가 한 의사가 담당
하는 환자 수와도 관련이 있지만, 양국 의료 시스템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점이다. 한국
의 경우 여러 단계의 검사와 전공의 등의 사전 상담 등 다양한 과정을 거쳐 환자에 대한 충
분한 정보가 축적된 상태에서 담당의사와의 대면상담이 이루어진다. 또한 각 진료실에 배치
된 1-2명 혹은 2-3명의 간호사들이 의사를 대신하여 환자의 기본정보와 기타 사항에 대한
사전 상담과 기초조사를 진행한다. 그러나 몽골의 경우 조금 전 언급한 것처럼 진찰실에서
한국의 간호사들이 하는 업무를 대부분 담당의사 혼자서 처리한다. 당연히 의사와 환자의 대
면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문화에 익숙한 몽골 환자들은 자신이 의사와 충분히
애기하지 못했다고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통역사 또는 친지들은 이 점에 대해서 사
전에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들의 불만과 불안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치료약(주사제 포함)의 처방과 구매도 한국과 몽골 간에 큰 차이가 있다. 널리 일려진 것


처럼 한국에서는 구급약 등 일반의약품을 제외하고 의사의 처방전 없이는 어떤 약품도 주사
제도 함부로 구입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몽골에서는 대부분의 약을 처방전 없이 일반 약국
에서 구입할 수 있다. 몽골인들이 어지간한 질병에 대하여 자가 치료를 시도하는 것도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약품 구입이 자유롭다보니 지금도 일반 약국이나 큰 시장에서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 일본 등 다양한 나라의 약들을 구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적 불명의
약품 유통, 약물 오남용 등 의약품을 둘러싼 많은 문제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이런
문화에 길들여진 몽골인들은 한국에서 수술을 받고 귀국할 때도 의사의 차방전과 상관없이
약품을 구입하기를 바라고 통역사나 코디네이터에게 부탁한다. 체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진료가 채 끝나기 전에 귀국하려고 할 경우에도 치료약품을 가져가기를 원하고, 특히 몽골에
돌아가서도 약을 더 구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때문에 통역사나 코디네이터는 처
방전과 의약품 관리 및 판매에 관한 한국의 상황을 사전에 충분히 설명해 주고 오해의 여지
를 없애야 한다.

입원과 퇴원 등 병원문화도 한국과 몽골 간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입원 절차를 보


면 몽골에 비하여 한국 병원이 서류작성과 서명날인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의
의료 시스템이 보다 많이 체계화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도 있
다. 예를 들어 수술 치료를 받을 환자의 경우 수술동의서, 수술마취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 19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등 해당 진료과목과 항목에 따라 다양한 서류를 작성해야 하고 서명해야 한다. 그런데 이는


이와 같은 절차와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몽골 환자에게 병원 측이 의료사고 등 혹시 있을지
모를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대비책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 이것은
병원치료에 대한 불안감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한국에서 치료를 받기로 결정한 즉
시 의료제도와 의료문화의 차이점을 잘 설명해 주어야 한다.

진료비 청구와 관련한 제도에도 차이가 있는데, 예컨대 진료항목과 진료비용을 공표해 놓
은 몽골 병원과는 다르게 한국 병원은 검사 외의 진료비용을 퇴원하는 날 합산하여 환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한국의 경우 환자의 개인적 특성, 환자의 건강상태, 질병의 특성 등에 따라
진료비가 달라질 수가 있다. 이 기준은 당연히 외국인 환자에게도 적용되기 때문에 통역사나
코디네이터는 입원 또는 수술하러 온 몽골 환자에게 이러한 관행을 사전에 설명해 주어 오해
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문병과 간호 문화도 양국 간에 차이가 있다. 몽골에서는 특별
한 경우가 아니면 환자 외의 사람이 병실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중환자실과
소아과 등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간호인(보호자 포함)을 두는 경우도 매우 드물고, 외부인
의 변동 출입을 엄격히 제한한다. 이러한 차이는 문화 차이보다는 의료 종사자의 구성에 1차
적 이유가 있다. 몽골 병원에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치료 및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의사와 간
호사 외에 아스락치(Asragch)라는 환자를 돌보는 전문 직종이 있다. 이는 한국에는 없는 직
종으로 입원 환자의 보호자 역할과 아울러 병동의 위생 상태 등을 도맡아 관리하는 사람이
다. 그리고 아스락치가 있기 때문에 환자 곁에 보호자가 따로 있을 필요가 없으며, 중환자 등
특별한 경우에만 보호자가 병동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통역사와 코디네이터는 사전에 멀리
몽골에서 온 보호자가 병동 내에서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음을 상세하게 설명해 주어 보호
자의 숙박비 경감에 보탬이 되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입원 환자에게 제공되는 식사도 두 나라 사이에 차이가 있는 같다. 한국 병원에서는 환자


의 질환에 따라 각기 다른 음식을 제공하지만, 몽골 병원에서는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
고 모든 환자에게 똑같은 음식을 제공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 환자는 원칙적으로 외부 음식
을 먹을 수 없지만, 몽골에서는 아직도 외부로부터 음식 반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편이
다. 또한 한국과 달리 의약품이나 주자제가 부족할 경우 환자 또는 그의 보호자가 외부에서
구입하여 제공하는 것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건강검진도 한국과 몽골 간에 큰 차이가 있다. 몽골에는 한국처럼 국가에서 시행하는 종

| 19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합검진제도가 없다. 당연히 일반인들은 대부분 평생 건강검진 자체를 받을 수 없고, 고위층


이나 부유층의 경우 거의 100% 한국 등 외국에 나가 건강검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
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위중한 상황에서 병원을 찾게 되는데, 특히 암은 적어도 3기 이상 진
행된 상태에서 병원에 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암 진단을 받고 얼마 안 있어 사망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응급 의료 시스템 역시 한국과 몽골 간에 큰 차이가 있다. 몽골에는
수도인 울란바타르에만 긴급 의료 센터가 설치되어 있고, 각 시도에는 해당 병원의 의료진이
순번대로 긴급 의료진 역할을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환자와 보호자가 병
원에 가지 않고 긴급 의료센터에 호출을 요청한다는 점이다. 이에 응하여 긴급 의료진이 의
료장비를 챙겨서 현장이나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응급처치를 한 다음, 필요한 경우 병원으로
이송한다. 긴급 의료서비스는 전반적으로 무료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통역사와 코디네이터는 몽골인들이 일반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한국에


비하여 평등하게 대하는데 익숙해져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몽골인들은 의
사든 간호사든 고압적인 말투나 일방적인 지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위계적인 인간관
계에 익숙해져 있는 한국인의 대인관계와는 분명히 다른 점이다.

3-6-4. 몽골 환자의 특성

몽골 환자들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를 한마디로 정리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몽골 의료인들과 몽골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을 비롯한 외국인 의료 종사자들 그리고 몽
골 환자들이 많이 찾는 한국 병원 관계자나 통역사와 코디네이터들이 지적하는 그들의 몇 가
지 공통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이 가운데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몽골인들이 병원에 가기 전에 자가진단


과 자가 치료를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도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누구나 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약국이나 큰 시장에서 일반 의약품과 항생제 및 주사제 등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을 뿐 아니
라 약사들 역시 고객의 말을 듣고 의사처럼 약을 처방하고 있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이다.
또 하나는 친구나 친지 등으로부터 특정 질환에 대한 치료 경험을 묻고 그에 준하여 자가 치
료를 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어떤 약이 어떤 사람에게 잘 맞았다고 하면 그 사람 또는
약국에서 그 약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식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가 치료 때문에 병을 키우는
경우가 대단히 빈번하고, 특히 러시아와 중국 등지에서 들어온 이른바 가짜 약으로 인한 부

| 19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작용도 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다. 물론 경제적 어려움, 특히 병의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


도 자가 치료가 이루어지는 주요 요인일 것이고, 건강과 질병에 관한 1차적인 정보를 주로
친지와 친구로부터 얻고 있는 문화도 여기에 한몫을 하고 있을 것이다.

의료인들이 말하는 몽골환자의 또 하나의 특성은 의사와 병원을 깊게 신뢰하지 않는다는 점


이다. 특히 주로 신참의사가 근무하는 1차 의료기관 의사들의 능력이 떨어지고, 이 때문이겠지
만 자주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사람들의 생각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몽
골인들은 병이 나면 어떻게든 좋은 의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
아예 좋은 의사(능력 있는 의사)와 나쁜 의사(경험이 부족한 의사)로 나누어 대하는 경우도 있고,
의사의 진단과 치료 방법을 의심하고 다시 검사를 받은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래서 여력이 있
는 환자는 아예 처음부터 몽골 의사를 믿지 않고 한국 등 외국에서 치료를 받기를 원한다.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무책임하다는 것도 몽골 환자들의 특성으로 언급된다.


예컨대 특정 환자가 치료가 끝나지 않았는데도 중간에 그만두는 사람을 쉽게 발견할 수 있
고, 심지어 큰 돈 들여 한국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사람 가운데서도 이런 사람이 꽤 많다. 이
는 곧 치료 도중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날 병원에 가서 완치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약
물 또는 주사제 투여로 통증이 완화되면 병원에 가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사람에 따
라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몽골 환자들이 병원에서 요구하는 식사규칙이나 약물 복용
의 지침을 잘 따르지 않는 편이다. 특히 의사들이 통상적으로 말하는 치료 도중 고기 등 기
름진 음식 절제 요청은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몽골 환자들이 단순하게
타인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차원이 아니고 상당히 깊은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몽골인들의 식생활에서 육류는 거의 절대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식습관이 하
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고 2000여 년 전 오늘날 몽골 땅 거주민들이 유목을 시작하면서
부터 고착화된 식문화이다. 몽골인들은 또한 위로부터의 강압과 일방적인 지시를 고분고분
따르지 않는데, 이 역시 유목민의 개방성과 독립성 및 평등 지향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글을 쓰기 위하여 필자는 대면 접촉, 서면 접촉, 전화 접촉을 통하여 만난 한국 의사와


간호사 그리고 현재 활동 중인 의료 통역사와 코디네이터들이 증언하는 몽골 환자의 특성에
관한 또 한 가지 사항은 그들이 놀라울 정도로 자신들의 신체구조에 대하여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주로 외진을 할 때 “어디가 어떻게 불편하십니까?”라고 의사가 물으면 가
슴 아래 쪽 몇 번째 갈비뼈 어디라고 매우 구체적으로 지적한다. 한 몽골인 학자는 이를 몽

| 19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골인들이 오랫동안 유목목축을 해오는 과정에서 가축의 신체구조에 대하여 터득한 지혜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만 그 학자는 신체구조에 대한 놀라운 지식이 때로는 병의 진단과 치료에
도운이 될 수도 있지만 자칫 안 좋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충고하였다. 그 안 좋은 결과
는 곧 자가진단과 자가 치료를 말한다.

현재 몽골의 의료제도나 실상 때문이겠지만 몽골 환자들이 유별나게 병원 예약과 병원에


서의 각종 서류 작성에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다. 여러 통역사들의 중언에 따르면 복
잡한 병원 절차는 몽골 환자들이 치료 외에 가장 힘들어하는 것 중 하나이다. 복잡한 서류
등과 관련하여 환자와 보호자들이 힘들어 하는 것은 이런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지만, 서류
에 대한 의심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앞에서 언급한대로 수술동의서와 각서 등을 의료
사고 시 책임회피 용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또한 통역사와 코디네이터가 늘 명심하
고 사전에 주지시켜야 할 사항이다

예약문화에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힘들게 병원에 예약을 잡아 놓고 그 날에 오지 않은 것


은 말할 필요도 없고 아예 연락을 끊어버리는 일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이를 굳이 몽골 환
자의 특징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몽골인들은 일반적으로 진료비에 대하여 우리와 다
른 계산법을 갖고 있다. 즉 “수술비가 100원 정도입니다” 하면 이 안에 검사비용, 진찰비용,
처치비용 등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를 설명하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다. 상대
방이 이를 잘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언뜻 떠오르
지 않지만 적절한 해결책은 있다. 현장 통역사들의 증언에 따르면 수술비용을 포함한 전체
비용이 100원 정도로 예상되면 무조건 150만원이라고 하라는 것이다. 이 역시 어떻게 설명
해야 할지 난감하나 대부분의 경우 치료비용이 남았을 때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통역
사들의 증언은 충분히 참고할만한 지적이다.

끝으로 필자는 이 짧은 글을 쓰면서 실로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특히 의료인력개발


원에서 시행한 의료통역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필자의 학생이자 현장 통역사로 활동 중인 노
밍에르덴(S. Nominerdene), 오용수랭(B. Oyunsuren), 아료나(T. Ariunaa), 이연화 씨의
생생한 증언과 도움에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감사의 말을 전한다. 또한 필자의 까다로운
질문에 대하여 항상 즐거운 마음으로 답해준 한국외국어대학교의 돌고르마(L. Dolgormaa)
교수와 뭉흐나상(G. Munkhnasan) 교수, 단국대학교의 출템수랭(R. Chultemsuren) 교수
와 노로브냠(B. Norovnyam) 교수에게 깊은 감사의 말을 전한다.

| 19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3-7
베트남어권 의료문화

3-7-1. 광의의 베트남 의료문화의 이해

3-7-1-1. 베트남의 의료체계

베트남의 공공의료 기관은 어느 곳에서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서 나뉜다. 거의 대부분 나


라에 속하여 있거나 아니면 시나 각군(Quận)이나 동(Phường)에 속해 있다.

- 보건부 산하 병원: 국가가 관리하는 병원

- 각 시도에서 관할하는 병원

- 지역별 관리병원

3-7-1-2. 베트남의 전반적 의료수준

베트남의 전반적인 의료시설이나 수준은 전쟁을 거친 경험으로 인해서인지 아직까지 아주


낙후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다. 단지 아직 한국이나 기타 선진국에 비해 시설면에서 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 외국투자유치로 급격하게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서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외국의 대형 병원이 속속 들어서고 있어 현지에 생활하는 외국인이
나 부유층을 상대로 고급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일반서민의 경우 정부에서 제
공하는 의료시설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7-1-3. 의약분업

베트남에서는 이미 의약분업이 이루어 진지 오래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처방전을 약국


으로 가져가면 약을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는 입구나 병원 안에 자체 운영 약국을
두고 있어 바로 환자가 약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

3-7-1-4. 의료보험

베트남의 의료보험 역시 생활수준에 비해 상당한 수준으로 시행되고 있다. 각 직장에서는

| 196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급료의 3%를 의료보험으로 지불하게 되는데 본인 부담금은 1%, 회사 부담금이 2%이다. 지


역보험의 경우 일정금액을 지불하는데 도시민의 경우 년간 80,000동에서 140,000동 이외의
지역은 60,000동에서 100,000동 수준이고 특히 학생이 따로 나와 의료보험을 신청할 경우
25,000동에서 70,000동 수준의 년간 보험료를 지불한다. 아무리 중한 질병이라 할지라도
개인이 부담하는 진료가액은 10,000,000동 수준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환자
본인이 지불하는 부담금은 총 진료비의 20%를 부담하게 된다. 즉 전 국민의 의료보험 제도
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

3-7-1-5. 긴급구호 115

긴급한 경우 앰뷸런스를 부르게 되는데 이곳에서는 우리의 119 대신 115를 사용한다. 구


호가 필요한 경우 115를 부르면 호치민 응급센터에서 운영하는 앰뷸런스가 오는데 자신이
원하는 병원으로 신속하게 데려가 준다. 특별히 원하는 병원이 없다면 외국인이라고 외국병
원으로 갈 수 있으니 미리미리 한 두 군데 정도의 병원 상황은 기억하고 있는 것이 좋다. 앰
뷸런스 비용은 200,000동을 기준으로 한다. 앰뷸런스 안에는 한명의 의사와 간호사 2명이
동행한다. 그리고 각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앰뷸런스를 운영하는 곳이 있는데 이런 경우 약간
의 유의가 필요하다. 외국인 병원의 경우 앰뷸런스 사용료가 엄청 나게 비싸기 때문에 사전
에 잘 알아보고 불러야 한다.

3-7-1-6. 한방 약재상 거리

HẢI THƯỢNG LÃN ÔNG 5군에 가면 수 백년된 전통 약재상 거리가 있는데 수많은 약
재와 함께 흰 사슴, 개미핥기 등 신기한 약재료 등이 많다.

3-7-2. 협의의 베트남 의료문화의 이해

3-7-2-1. 공공 종합병원(대형병원)

전체 병원 중 공공병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개수 기준으로 85%에 달할 정도로 베트남 의


료서비스는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병원의 의료서비스는 현재 수요
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병실 점유율은 2011년에 이미 100%를 초과하였다. 보건부

| 197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에 따르면, 일부 병원은 수용가능 여력의 150%가 넘는 환자를 수용하고 있다고 한다. 베트


남은 현재 인구 1000명당 병상수가 2.4개로 한국이 약 10개임을 감안하면 많이 부족한 상
황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도시 종합병원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를 수용


하기 위해 새로운 ‘위성병원’ 시스템을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기존 유명
대도시 종합병원의 수용능력을 무한정 늘릴 수 없는 상황이기에, 같은 이름의 중소규모의 병
원을 주변지역에 신설함으로써 증가하는 수요에 대처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베트남
보건부에 따르면, 이미 이 프로그램도 의료장비와 전문 의료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문제
에 봉착해 있는 상황이다.

결국 보건에 대한 투자 부족이 모든 문제의 원인이다. 만성적인 투자 부족으로 대부분의


지역병원은 필요한 의료장비도 60% 정도만 보유한 실정이며, 공공병원들은 만성적인 적자상
태여서 최신 장비나 치료기법의 도입은 사실상 먼 나라 이야기이다. 의료진에 대한 급여 역
시 매우 낮아 월 1000달러가 넘는 의료진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의료진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차원에서 2011년부터 공공병원 근무 의료진에게 병원 근무시간 이후 개인병원을 운영
할 수 있도록 허가해준다. 그러나 이 제도는 의료진의 공공병원에서의 근무에 대한 기회비용
을 더욱 증가시켜 공공병원에서의 근무보다는 자신의 개인병원에서의 수익활동에 더 치중하
도록 조장해 공공병원의 의료서비스 질을 더욱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가져왔다.

3-7-2-2. 민간 종합병원(대형병원)

민간 종합병원은 전체 대형병원 중 약 15%를 차지하고 있어 아직 베트남 의료서비스 시


장에서는 소수에 불과하다. 숫자로는 2014년 기준 167개에 불과하다. 막대한 초기투자비용
과 운영 수익률, 필요 의료진 구인 등을 이유로 하노이, 호찌민, 다낭 등 대도시에만 위치하
고 있으며, 주 고객은 베트남 진출 외국인 근로자와 베트남 부유층에 한정되어 있다.

베트남 정부는 예산의 제약 등으로 인해 민간부분의 보건시장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


다. 해외투자자도 예외가 아니다. 해외투자자의 경우, 법인세율을 10%로 낮게 특혜를 주고
있을 뿐 아니라, 진출 초기에는 이마저 감면해주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FV, 호앙미, 쮜유 안, 땀득 병원 등 몇몇을 제외한 많은 민간 병원들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이유는 유능한 의료진의 확보가 어렵고, 정부의 일관되지 않은 지원정책 때문이다.

| 198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민간병원 의료비는 공공병원보다 몇 배까지 비싸기 때문에 의료진의 명성에 의존해 많은


수의 고객을 유치하지 않고서는 수익성을 유지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베트남 내에는 실력
있는 의사의 수가 매우 적어, 후발주자인 신규병원들은 적절한 의료진을 구성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베트남 민간의료협회의 판탄하이 회장 뿐 아니라 호앙미 병원 고위 관계자들은 이구동성


으로, 베트남에는 경험있는 의사가 많지 않아 이들을 모집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하며, 실
력 있는 의료진 없는 민간병원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한다. 외국인 의료진은 급여가 너무 높
아 이들을 채용하면 사실상 베트남 고객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해지
기 때문에 이는 합리적인 대안이 아니다. 또한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의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과 교류가 규정상 명시돼 있지만, 실제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임. 호앙미 병원 설
립자에 따르면, 민간부분에서 공공부분으로 협진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지만 거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정부의 민간병원에 대한 차별적 지원정책 역시 민간병원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


이다. 병원 부지 할당 시 공공병원보다 좋지 않은 지역을 할당받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의료보험 분담율이 민간병원의 경우 낮다. 예를 들어 CT촬영의 경우, 공공병원
에서 진료 받을 때는 의료보험에서 70만 동을 지원하는데, 민간병원의 경우 약 50만 동만을
지원하는 등 의료보험 커버율에 차등을 두고 지원을 하고 있다. 민간병원의 경우에는 보험
지원율을 국영 의료보험사와 개별적으로 협상해 지원율을 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차등이
발생하게 된다.

정부의 행정적 통제 및 규제로 인한 손실도 민간병원 운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각종 점검, 검사, 투자허가, 진료허가 등등 많은 서류와 실사 준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
입하는 실정이다. 실제 민간 병원 운영자에 따르면, 실사를 온 공무원을 지원하기 위해 진료
를 하지 못해 환자들을 기다리게 하는 일이 다반사라고 밝히며, 때로는 점검하러 온 공무원
들은 자신이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도 모르고 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3-7-3. 의료 커뮤니케이션

이에 따라, 베트남의 의료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해외에서 답을 찾고 있다.

| 19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매년 4만 명의 환자들이 싱가포르, 중국, 태국, 미국, 프랑스 등으로 치료를 받기 위해 해외


로 나가고 있다. 이들은 매년 해외치료 명목으로 10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다.

최근 Vnexpress.net에서 700명을 대상으로 해외로 원정치료를 가는 이유를 조사했다.


그 결과 60%의 사람들은 베트남 의료진의 직업윤리와 자세 측면에서 국내에서 치료받기를
희망하지 않는다고 하며, 1/4은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고 힘들다
는 이유를 꼽았다.

베트남 의료시장 진출은 현재로는 리스크가 큰 상황이다. 특히 대형병원으로의 진출은 더


욱더 경영환경에 변수가 많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시장조사와 진출 전략 없이 도전하는 것은
무모한 상황이다. 소규모 클리닉 수준 진출은 꾸준한 상황이다. 이들은 현재 각국에서 온 주재
인력 및 교민 또는 베트남 부유층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외국인의
100% 투자로 병원 설립이 가능한 상황이나 외국인 의사 경우 베트남 내에서 실제 진료허가증
을 획득하지 않는다면 직접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다. 진료허가증을 획득하기 위해서
는 과거 진료경험과 함께 능통한 베트남어 능력을 증명해야 한다. 베트남어가 불가하다면 베
트남어 통역원을 반드시 같이 등록해야만 한다. 즉, 의료 인력을 구하더라도 그에 따른 통역사
가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베트남 의료(영리를 목적으로 하든, 봉사를 목적으로 하든)는 사실상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베트남 의료 통역에 대한 필요성이 더더욱 대두되게 되었다.

3-7-4. 베트남의 에티켓과 매너

3-7-4-1. 베트남의 비즈니스 매너

베트남 비즈니스 관행은 동남아시아 주변국가에 비해 유교사상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특


징이 있다. 이 보고서는 베트남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베트남 비즈니스
관행과 매너의 일반적인 특징을 서술하였다.


미팅시간

- 미팅을 잡을 시 최소 1주일 전 사전 미팅 예약 필요

- 대부분의 베트남 회사는 주 5일제 근무를 하므로 토요일 미팅은 되도록 삼가

- 저녁 미팅시간보단 아침 미팅시간을 선호

| 200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비즈니스 복장

- 남성복장: 일반적으로 정장 재킷을 제외한 와이셔츠와 넥타이 착용

- 여성복장: 일반적으로 드레스와 정장 착용

- 정장 재킷은 공식적인 행사와 중요한 미팅에만 착용

- 남부 비즈니스 복장은 북부의 비즈니스 복장에 비해 더욱 캐주얼한 성향


베트남 기업의 계층 구조

- 베트남 기업의 조직은 계층적이며 나이가 많은 사람의 영향력이 높은 편

- 베트남 비즈니스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직급은 주로 연령과 경험을 바탕으로 부여됨

- 베트남 비즈니스 사회에서 상급자에 대한 존중은 매우 중요하며 비즈니스 미팅 시 상급


자가 먼저 입장하는 문화가 있음


미팅 시 알아야 할 점

- 미팅 상대와 처음 미팅을 갖는 경우 베트남 사람들은 딱딱한 업무내용보다는 자기소개


등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대화를 해 미팅 상대와의 상호관계를 돈독하게 만들기를 선호

- 일반적으로 베트남 이름은 영어와 같이 surname, middle name, last name로 나뉘


는데 업무상에선 주로 last name을 사용하고 직급과 호칭을 붙여 사용

- 나이가 많은 상급자를 대하는 경우는 인사 같은 제스처와 존칭어를 사용해 경의를 표하


는데 특히 나이가 많은 상급자를 대할 때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해 자신을 낮추고 상급자
를 높이는 어법을 많이 사용

3-7-4-2. 베트남의 비즈니스 관련 숙지사항



베트남에서의 인사 방법과 명함 교환 방법

- 베트남 사람들은 악수 할 때는 주로 동성과 하며 왼손을 오른손 손목에 감싸 두 손으로


악수 하는 것이 예절

- 남녀가 악수할 때 남자는 여자가 악수를 먼저 청하길 기다리며 만약 여자가 청하지 않


을 시 가벼운 목례를 해야 함

| 20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 명함은 항상 처음 만남에서 교환하며 베트남 사람들은 명함 교환 시 가벼운 목례를 하


는데 이는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행동

- 명함 교환 후 잠시라도 상대방의 명함을 보면서 상대방의 이름과 직함을 파악하는 것이 좋음


베트남 사람과의 만남과 협상

- 베트남 사람과 만남 시 대화를 침묵을 일관하면 큰 결례. 이는 상대방의 의견을 반대한


다는 의미이기 때문임

- 베트남 사람과의 협상 시 베트남 사람들은 협상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조사하고 상담을


받아 시일이 많이 걸리는 경우가 있음. 따라서 시일이 걸리는 점으로 화를 내거나 하는
행동은 협상에 부정적인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베트남 사람들과의 협상에서 가
장 중요한 것은 인내임


비즈니스 미팅 시

- 베트남은 각 지역마다 억양과 말이 다르고 메일을 통한 대화보단 전화를 통한 대화를


선호해 비즈니스 미팅에서 오해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선 베트남 현지 통역이 필요

- 비즈니스 미팅 시, 베트남 사람들은 종종 ‘‘우리는 고려해 보겠다’ 혹은 ‘우리 대답은


아직…’이라 대답하는데 만약 빠른 결정이 필요한 사안이라면 미팅 전 먼저 관련자료를
그들에게 보내 충분히 생각을 할 시간을 주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며 관련자료는 베트
남 사람들에게 익숙한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것이 좋음


오해의 소지가 있는 베트남 사람들의 행동과 외국인의 금기 사항

- 베트남 사람들이 외국인을 보면 미소를 짓는데 이 이유는 비아냥이 아닌 외국인에 대한


수줍음으로 웃게 되는 것. 하지만 이는 많은 외국인들의 오해를 사는 이유 중 하나임

- 베트남 사람들은 나이를 잘 물어보는데 이것은 나이를 통해 친밀감을 만들기 위한 목적

- 베트남 사람들은 대체로 ‘안돼’ 라는 말을 싫어함. 제의를 거절하는 부정적인 의미라고


느끼며 상호관계를 깨트리는 단어라 믿기 때문

- 금기 사항 주제: 성적농담, 정치, 공산주의,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정부, 종교, 자존심 상
하게 하는 말 등

| 202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3-7-4-3. 베트남 업체와의 접대



업체와의 식사와 술자리

- 베트남에서 업체와의 식사는 비즈니스의 한 부분이며 특히 업체와의 저녁식사는 상호


관계와 친밀한 관계 발전에 도움을 줌

- 식사 시 술을 받게 된다면 건배 후 마셔야 함. 이때 술잔은 오른손에 쥐고 왼손으로 받


쳐 건배를 해야 하며 건배 시 주로 하는 말은 ‘못 참 펀 참(100% 잔 비우기!)’과 ‘쭉 숙
쾌(Chúc sức khỏe: 건강을 위해!)’ 등이 있음

- 과일이나 달콤한 음식이 나오면 식사의 막바지란 뜻이며 식사가 끝나면 초대해준 관계
자와 악수와 감사표시를 해야 함


베트남 가정에서 초대를 받았을 경우

- 베트남 가정에 초대를 받았을 경우에는 과일, 과자 등 그들이 좋아하는 것을 선물

- 검은색의 물건, 손수건, 노란색 꽃, 국화는 선물하지 않음

- 식사나 과일을 먹을 때 음식을 덜어주거나 술을 따라주는 행동 등 초대한 측에서 모든


일을 도맡아서 하는데 이는 초대한 측에서 시중을 들어야 한다는 인식 때문

- 집에 온 손님에 대해서 주인은 접대할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을 찾고, 어떤 경우에는 자


신의 경제적 능력 이상으로 접대함


비즈니스 에티켓 중 금기 사항

- 권하는 차나 음식을 거부하는 행동은 무례한 행동

- 대화 시 허리에 손을 얹거나 팔짱을 끼는 행동과 손가락질 절제

- 선물은 원색의 포장지에 포장

- 부드러운 목소리로 비즈니스 진행, 언성을 높이거나 손동작은 베트남 사람들에게 불편


함을 줄 수 있음

3-7-4-4. 음식 예절

한마디로 베트남 요리점이라고 해도 외국인 전용의 고급 레스토랑으로부터 대중식당

| 20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Cơm bình dân: 껌빈전)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고급 레스토랑이면 오더 방법이나 위


생 관리에 별 문제는 없지만 대중식당 또는 포장마차에서의 식사에는 약간의 주의와 요령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관광객 입장에서 맛있고, 그리고 즐겁게 먹을 수 있는 법을 소개하고
자 한다.


식당에는 일찍 간다

껌빈전은 기본적으로 이미 조리해 있는 것으로부터 좋아하는 것을 선택해 접시에 실어 주


는 형태로서 당연히 빠른 시간에 가면 종류도 많이 갓 만들어낸 음식을 먹을 수 있다. 껌빈
전에서 식사를 하고자 한다면 점심 때는 11시 정도에 가는 것이 좋으며 저녁에는 늦어도 5
시 정도에 가는 것이 좋다. 그래야 다양한 음식의 깔끔한 음식을 제대로 맛 볼 수 있다.


식사 초대는 남부와 북부가 다르다

북부 사람들은 누군가 음식을 권한다 하더라도, 함께한 일이 많지 않다면 가능한 그 자리


에 참석하지 않는다(이런 관습의 차이는 음식을 대접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
만 지금은 많이 변하여 서로 초대하고, 방문도 한다). 또한, 식사를 하는 도중에는 즉석에서
감사의 인사를 하는 것도 좋다. 음료는 가능한 커피나 물, 홍차 등 간편한 것이 무난하다.


밥공기는 입에 붙이지 않는다

우리는 간혹 공기에 밥을 먹을 경우에 공기를 입에 대고 입으로 밀어 놓는 경우(?)가 있


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그리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은데 베트남 사람들은 이 모습을 꽤 싫어
한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는 기분으로 밥공기를 들지 않고 끝까지 먹도록 한다.


국물은 나중에 먹는다

우리의 상식에서는 국과 밥이 있을 경우 국이 식기전에 밥과 같이 먹는 것이 통상적인데


비해 베트남 사람들의 상당수는 스프를 마지막으로 마신다. 꼭 지키기 보다는 참고로 하자.


껍질은 발 밑에?

음식을 먹다 남게 되는 게의 껍질이나 닭고기의 뼈 등은 마루에 버려도 상관없다. 이 또


한 우리의 상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실제 베트남 사람들은 먹고 남은 껍질, 뼈등은 바닥
에 버려도 상관이 없다고 한다.

| 204 |
3. 언어권별 의료문화


기타 연주에 팁을 건네준다

외국인이 자주 가게 되는 식당에는 2인조 밴드가 있어서 즐거운 식사를 위하여 연주를


해 준다. 꼭 줘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약간의 팁을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외국인이
있을 경우에는 자리를 안 떠나고 끝까지 연주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에서 알아 본 베트남 문화의 경향은, 전형적인 공산주의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평등


사상과 더불어 아직 남아있는 유교 문화의 혼합적인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
지는 명확하게 문화에 대한 형태가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혼합적인 상태라는 것을 엿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의 문화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공부와 숙지가 필요하며, 조금은
편한 분위기에 격식 있는 문화가 양념되어 있는 형태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비즈니
스적인 자리에서는 문화적인 차이를 최대한 이해하며 상대를 대하는 자세 및 같은 아시아권
으로서 동질감을 가지고 임한다면 부드럽게 자리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 20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04

| 206 |
통역윤리 및 매너
(7개 언어 공통)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윤리란 도덕적 관습, 즉, 원칙적으로 옳거나 바른 행동을 의미한다. 인간은 항상 올바른 행


동을 한다기보다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끊임없이 비교하고 평가함으로써 사회집단을 지배하
는 옳고 그른 원칙을 발전시켜 왔다. 윤리는 분야에 따라 문화의 규범과 관습, 종교의 도덕,
정부의 법, 전문직업의 윤리강령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전문직은 어느 정도 성숙하
면 수용 가능한 행동규범과 공동의 기대를 반영한 윤리 환경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전
문직업의 윤리강령은 특정 관계나 주어진 맥락에서 바람직하고 수용 가능한 행동이 무엇인지
를 판단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사적인 의견이 아니라, 서로가 선호하는 요구사항에
맞추어 수용 가능한 행동원칙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윤리란 상당히 추상적이고 이상
적인 개념이며, 언급했듯이 끊임없는 비교와 평가를 통해 발전해 나가는 역동적인 것이다. 본
윤리강령은 의료통역이 우리보다 앞서 발달한 미국, 캐나다 등 여러 선진국들의 사례를 참고
하되 한국 실정에 맞추어 작성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의료통역 분야가 발전하고 성숙해 감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 살아있는 문서라는 사실을 전제한다.

4-1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 보장

의료통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 가치는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이다. 의료행


위라는 것 자체가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를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의료통
역의 윤리강령 중에서도 이러한 가치는 모든 조항을 선행한다.

통역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것 외에도 좋은 치료 결과를 위해 협력하는 의료팀의


일원이다. 따라서 환자의 건강이나 존엄성이 위협받을 때, 통역사가 신중하게 따져본 뒤 개
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될 경우, 환자 대신 행동을 취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있다. 환자가 학
대를 받고 있는 상황, 의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 환자의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상황 등등이 모두 이러한 경우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개입이라 하면 이후 소개할 중립성의

| 208 |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원칙과 상충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개입이란 무엇인가가 잘 못 되었


고 이를 바로잡을 필요성이 분명하게 또는 지속적으로 관찰됐을 때 취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의료행위는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를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입은 당연히 중립성의 원칙을 선행할 뿐 아니라 통역사가 아닌 다른
의료 종사자에게도 모두 해당되는 가장 중요한 윤리강령이 될 수밖에 없다.

4-2
정확성

정확성은 충실성이라고 하기도 하며, 출발어를 도착어로 전환할 때 원래의 메시지를 추


가, 생략 또는 왜곡하지 않고 원문에 충실하게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문
화 등의 맥락을 고려하여 원래 메시지의 내용뿐 아니라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본 원칙의 목적은 통역사가 통역하는 진료대화 상황이 아니라 환자와 의료진이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비슷한 준거의 틀을 공유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했을 때 어떤 일들이 발생할 수 있을
지 최대한 가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환자가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의료진이 정확하게 진단하고 함께 합의할 수 있는 치


료 과정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정보이다. 또한, 의료진이 사용하는 언어는 환자와 소위
‘라포(rapport)’라고 부르는 관계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통역사는 내용의 상관관계나
중요도에 대한 편견 없이 모든 것을 통역해야 하며 자기 마음대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걸러서 통역해서는 안 된다. 또한, 언어적인 부분 외 눈짓, 손짓, 몸짓, 얼굴 표정, 목소리의
어조, 억양 등 비언어적인 부분도 최대한 전달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을 지키기 위해 통역사는
메시지의 내용과 이를 통역하는 자신을 별개라고 생각해야 한다. 메시지가 통역사에게 개인적
으로 모욕감을 주거나 듣기 거북하다고 해서 이를 생략하거나 듣기 좋게 고치거나 왜곡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상대가 잘 몰라서 혹은 무심코 한 모욕적인 발언이 본의 아니게
환자와 의료진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라면, 통역사가 나서서 발언한 측에
그 말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통역사는 항상 모든 대화를 정확하게 통역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물론 아무
리 유능한 통역사라 하더라도 통역하는 과정에서 실수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실수를 본인이
알았거나 다른 사람이 발견한 경우, 이를 인정하고 고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09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4-3
비밀보장

건강과 질병은 상당히 개인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환자는 당연히 이러한 문제를 아무에게
나 공개하고 싶어 하지 않으며 개인정보를 공개할 것이냐 말 것이냐는 전적으로 환자 개인에
게 달린 문제이다. ‘비밀보장’의 주된 목적은 환자의 개인 정보와 개인적인 내용을 다루는 의
료통역의 특성을 존중하는데 있다. 의료통역사는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알게 된 환자의 정보
를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 외 그 누구에게도 공개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만일 환자의 의료진이 바뀌거나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으로 전원한다면, 환자의 정


보 상태는 어떻게 바뀔까? 환자가 동일한 의료기관 내에서 다른 의료진에게 후속 진료를 받
는 경우라면 후자 역시 의료팀의 일부로 간주되며, 환자의 동의를 별도로 받지 않고도 정보
를 마땅히 공유할 수 있다. 반면, 환자가 전원을 한 경우, 법적 근거와 책임을 이유로 새로운
의료진은 이전 의료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환자의 정보를 환자의 서면 동의 없이 열람할 수
없다. 환자와 함께 다른 의료기관으로 오게 된 통역사는 같은 이유로 환자의 정보를 함부로
공개할 수 없다. 그러나 환자의 정보를 누구에게 공개할 것인가의 문제는 ‘환자의 건강과 행
복하게 살 권리 보장’이라는 제 1 원칙의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다시 말해, 통역사로서
내가 알고 있는 정보를 지금 진료를 맡고 있는 의료진이 모를 때 환자의 생명이 위태로워 질
수 있다면 통역사가 일차적으로 취해야 할 조치는 환자와 의료진이 직접 이러한 정보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해 통역사는 환자를 대신해 해
당 정보를 공개할지 여부를 신중하게 생각한 후 환자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공개해야 한다.

문화별로 다를 수는 있지만, 대다수 문화권에서는 가족을 개인의 연장선으로 본다. 이 경


우, 환자의 정보를 가족에게 공유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환자의 정보
를 가족들과 아무렇게나 공유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역사는 해당 환자가 이러
한 문화규범을 따르는지 먼저 확인해보고 가족과 공유를 할지말지를 판단해야 한다. 또, 반
대로 가족이 환자에게 정보를 주지 말아달라고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환자에 따라
개인적인 신념이나 문화적인 이유로 정보를 받길 원치 않는 환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
황에서도 반드시 환자와 언제, 누구와 어떻게 정보를 공유할 지 협의해야 한다. 환자가 진료
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 아주 명백하지 않는 한 통역사는 자기 마음대로 환자의 정보 공유
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없다. 모든 알 권리는 일차적으로 환자에게 있다고 보면 된다. 환자

| 210 |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은 절대로 가볍게 취급해서는 안 되는 사안이다. 반드시 공개해야 할


정보가 있을 때, 그 정보를 누구와 왜 공유해야 하는지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 스스
로 정보를 공개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그래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통역사는 정보를 공개
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개를 하더라도 책임감을 가지고 환자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는 바이다.

4-4
중립성

중립은 공정하거나 편견이 없는, 객관적인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즉, 상대가 누구이든 편


견 없이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중립성’은 환자와 의료진 간의 관계와 의료소통을 의료통역
의 가장 핵심에 두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통역사는 통역을 할 때 각 발언자의 자율성과 발언자가 말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 따라


서 어느 한 편에 서거나 상대편을 설득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 통역사는 의료진과 환자 간의
대화에서 주요 참여자가 아니므로 의료진이나 환자 대신 결정이나 충고, 상담을 해주어서는
안 되며, 개인적인 편견이나 신념을 강요해서도 안 된다. 이러한 원칙을 통역사가 환자들에
게 거리를 두고 돌보지 말아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는데, 일부러 거리를 두고 냉정하
게 대하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중립을 지키기 위해 통역사는 사적이거나 금전적인 이해가 걸
린 일을 해주거나 지나치게 비싼 선물을 받아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해가 상충하는 경우, 한
편에게 유리한 정보를 제공해서도 안 된다. 만일 가족, 친척이나 잘 아는 이웃 사람이 환자인
경우처럼 중립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통역사는 이러한 사실을 병원에 알리고 객관성
을 담보할 수 있는 다른 통역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

4-5
전문성

전문성이란 일차적으로 통역사가 의료통역사로서의 임무만을 수행하고 자기 역할을 넘어서


는 다른 임무를 맡지 않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상당히 광범위한 원칙들을
포괄한다. 본 원칙의 일차적 목적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 211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간호직이나 다른 의료 분야 종사자가 통역사로서 이중 역할을 담당하도록 훈련을 받은 경


우, 해당 이중 역할을 담당하는 통역사는 모든 당사자들에게 이러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 투
명하게 알려야 하며, 자신이 간호사나 다른 의료 분야 종사자로서 한 말이라도 모두 통역해
야 한다.

그 외에도 전문성의 원칙에 따라 통역사는 앞으로 해야 할 과제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하고 적합한 준비를 해야 하며 어떤 이유에서든 자신이 할 수 없는 분야나 업무는
정중하게 거절하고 받지 말아야한다. 통역사는 서비스하는 해당 언어뿐 아니라 문화도 잘 숙
지하고 있어야 하며, 들은 말의 의미를 해당 문화의 맥락 안에서 파악해야 한다. 물론 그렇다
고 모든 대화에 포함된 문화적 뉘앙스를 파악해서 그 문화까지 다 설명해야 한다는 말은 아
니다. 통역사는 문화가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그 의미
를 공유하지 못하면 의사소통이 곤란해져서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당사자들에게 알
리고 상호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메시지 이면의 숨은 의도나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겉으로 표
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통역사는 문화를 바탕으로 이해하려할 때 다른 사람이 전
달하려는 메시지의 의미에 더 집중하게 되고 개인적인 관점이나 편견을 배재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물론 통역사가 환자나 의료진, 의료문화를 모두 완벽하게 알 수는 없다. 게다가 문화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역사는 예단하지 말고 당사자들이 스스로
문화 차이를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 하는 상황에서 당사자로 하여금 부연설명을 하도록 이끌
어야 한다. 정확하고 완전하게 통역하는 능력은 통역사가 의사소통의 내용과 맥락에 대한 배
경지식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에 따라서 상당히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전문성의 원칙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사항으로는 지나치게 캐주얼한 복장, 짧


은 치마, 굽이 높은 신발을 착용하지 않는 등 올바른 복장 갖추기, 주제넘지 않으면서도 단호
하고 품위 있게 행동하기, 상대에게 편견 없이 친절하고 예의 바르게 대하기, 약속한 시간 엄
수하기, 동료와 에이전시 등을 포함한 모든 참여자들을 존중하기, 모든 것을 투명하게 공개
하고 정직하게 이야기하기 등등이 포함된다. 만일 긴급한 상황이 발생해 통역 약속을 지키지
못할 경우 담당자에게 즉시 연락해서 알리거나 다른 통역사를 소개해주어 업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는 것도 통역사의 몫이다. 또한, 참여자들과 이해가 상충하는 부분이 있
다면 이를 솔직히 공개하고 개인적인 신념이나 상황으로 인해 공정성이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일을 받지 말거나 중단해야 한다.

| 212 |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이상으로 환자의 건강과 행복하게 살 권리 보장, 정확성, 비밀보장, 중립성, 전문성 등 의


료통역사의 핵심 윤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원칙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상충할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윤리라는 것은 추상적인 것이며 지속적으로 변하는 역
동적인 이상향이다. 윤리강령은 통역사가 직면할 수 있는 모든 갈등 상황에 대해 정답을 제
공해 주는 답안지가 아니다. 윤리강령의 역할은 어려운 선택을 해야 될 때 실무자가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고려하고 따져봐야 할 원칙을 제시하는 것일 뿐
이다. 의료통역사의 임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환자와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
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건강과 행복한 삶이라는 의료통역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의료통
역사는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진행되는 모든 일을 알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엄청
난 권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환자와 의료진은 모두 의료통역사가 권력을 남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통역사는 윤리강령을 통해 그러한 권력을 어떻게 행사해야
되는지 신중하게 따져보아야 하며 이를 준수함으로써 환자의 이익과 의료통역의 목표를 최우
선시하는 사람으로서 신뢰감을 주어야 한다.

| 213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참고문헌

| 러시아 |

기연수.(2013). 러시아의 정체성.- 푸틴과 표트르 대제 그리고 러시아인의 의식구조. 서울:살림

김현택.라승도.이지연 (2015). 사바틴에서 푸쉬킨까지. 서울: 한국외대출판부

조병옥. (2013). 러시아 소비에트 문화와 문화정책. 서울: 신아사

홍완석.(2005).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러시아의 잠재력과 한국의 대러정책.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메진스키. 방교영 역. (2011) 러시아와 그 적들 그리고 거짓말러시아에 관한 오해와 진실.


서울: 한국외대출판부

빠블롭스까야. 역 방교영外. (2013) 알쏭달쏭 러시아인-러시아 비즈니스 이것만은 알고


가자. 서울:뿌쉬낀하우스

https://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nil_ch=&rtupcoll=&w=tot&m=&f
=&lpp=&DA=SBC&sug=&sq=&o=&sugo=&q=%EB%9F%AC%EC%8B%9C%EC%95%8
4+%EA%B8%B0%ED%9B%84(2018,01,25검색)

Щепин, О., МедикВ.(2011). Общественноездоровьеиздравоохранение. ГЭОТ


АР-Медиа

Мясников, А.(2017). Энциклопедия доктора Мясникова о самом главном. То


м 3. Издательство "Э"

러시아 연방 보건부: https://www.rosminzdrav.ru/

세계보건기구: http://www.who.int/countries/ru/

Как построить доверительные отношения с врачом:


https://health.mail.ru/news/kak_postroit_doveritelnye_otnosheniya_s_vrachom/

Как разговаривать с врачом о том, что вы нагуглили:


https://health.mail.ru/news/kak_razgovarivat_s_vrachom_ob_informatsii/

| 214 |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Оптимизм, внутривенно: русские пациенты едут к немецким врачам:


http://m.dw.com/ru/

Роды за рубежом: особенности и стоимость услуг в разных странах:


https://doctorgeo.info/lechenie-diagnostika/

Русские пациенты устремляются за рубеж в поисках качества:


https://doctorgeo.info/meditsinskij-turizm/

| 아랍 |

공일주. (2012). 한국인과 소통을 위한 아랍 문화. 서울: 세창출판사

문재완, 계경문, 이훈동, 곽순례, 김정아, 박재원, 이명원, 이인섭. (2016). 파트와를 통해 본
이슬람 사회의 규범과 현실 제 2권 공동체 문화 관련 파트와. 서울: 세창출판사

엄익란. (2015). 금기, 무슬림 여성을 엿보다. 파주시: 도서출판 한울

이훈동, 계경문, 곽순례, 박재원, 이명원, 이인섭. (2016). 파트와를 통해 본 이슬람 사회의
규범과 현실 제 1권 가족 문화 관련 파트와. 서울: 세창출판사

R. S. Tomlin, Basic Word Order: Functional Principles (London; Croom Helm),


1986, p. 297.

(2010), 477.

| 몽골 |

강톨가 외 지음, 김장구ㆍ이평래 옮김. (2009). 몽골의 역사.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르네 그루쎄 지음, 김호동ㆍ유원수ㆍ정재훈 옮김. (1998).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파주: 사계절.

유원수. (2017). 몽골어의 어제, 오늘, 내일, 몽골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상호협력. 서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이평래. (2017). 몽골의 역사와 현재, 몽골과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상호협력. 서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 215 |
의료통역 국제문화 표준교재

Wikipedia. (2017).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Mongolia

Wikipedia. (2017).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Buryatia

Wikipedia. (2017).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Kalmykia

Wikipedia. (2017).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Inner_Mongolia

유원수. (2009), 몽골의 언어와 문화, 서울: 소나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6). 외국인환자 의료문화 및 민간요법 사례집, 청원: 한국보건산업


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 몽골사전사후관리센터운영모델 개발 및 컨설팅, 청원: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Jayabaatar, D. (1999. Mongol züir tsetsen ügiin gurvan myangan deej,


Ulaanbaatar: MUIS.

Chültemsüren, R. (2015). Erüül am’drakh ukhaan, Ulaanbaatar: Selengepress.

| 베트남 |

Bùi Xuân Mỹ. (2001). Lễ tục trong gia đình người Việt. Nxb VHTT.

Đặng Nghiêm Văn. (1998). Tín ngưỡng tôn giáo Việt Nam hiện nay. Nxb KHXH.

Đào Duy Anh. (2002). Lịch sử Việt Nam từ nguồn gốc đến thế kỷ Ⅺ.

Đỗ Long․Trần Hiệp. (2000). Quan hệ cộng đồng và cá nhân trong tâm lý nông
dân. Nxb KHXH.

Lê Anh Dũng. (1994). Con đường tam giáo Việt Nam. Nxb TP HCM.

Lê Thi. (1996). Gia đình Việt Nam ngày nay. Nxb KHXH.

Lê Văn 뼈무.(1981). Nghiên cứu về chữ Nôm. Nxb KHXH.

Toan Ánh. (1992). Nếp cũ. Nxb Tp HCM.

UBKHXHVN. (1989). Lịch sử Việt Nam. Nxb KHXH.

Nguyễn Hồng. (1959). Lịch sử truyền giáo ở Việt Nam. Q1, Nxb HT.

| 216 |
4. 통역윤리 및 매너(7개 언어 공통)

Quang Đạm. (1999). Nho giáo xưa và nay. Nxb VHTT.

Trần Ngọc Thêm. (2001). Tìm về bản sắc văn hóa Việt Nam.

Vũ Sơn Thủy. 배양수. (2000). Việt Nam và con người Việt Nam.

VKHXH VN. (1991). Nho giáo xưa và nay, Xnb KHXH.

송정남.(2015). 베트남탐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양승윤 외. (2000). 베트남. 한국외대 출판부.

정재완. (1997). 베트남의 경제개혁 추진현황 및 경제전망.

www. naver.com.

www. vnexpress.net.

| 21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