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2017

석사
석 사 학 위 논 문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북한체제


변동가능성 연구
An objective of the analyses supplementation entropy theoretical
of Possibility DPRK Regime Change

2017년 12월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전략전공
임 철 균
석 사 학 위 논 문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북한체제 변동가능성 연구
An objective of the analyses supplementation
entropy theoretical of Possibility DPRK Regime
Change

2017년 12월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전략전공
임 철 균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북한체제 변동가능성 연구
지도교수 : 김영준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12월

국 방 대 학 교
국방관리대학원 국방전략전공
임 철 균
요 약 목 차
본 논문의 연구질문은 1990년대 붕괴되거나 체제변동을 겪은 여타의 사회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북한은 왜 체제변동을 겪지 않고 3대 세습에 성공했는가? 이며, 제1장 서론
논문의 연구목적은 정치체제 변동을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과 사례분석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
을 통해 기존의 사회과학적 이론을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체제의 변동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가능성을 전망하여 정책적 제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2장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지금까지 사회주의 체제변동을 설명한 여러 담론들은 북한의 체제변동에 대 제1절 기존 논의의 검토 ···········································································5
1. 북한사회의 내재적 작동원리와 전략에 대한 연구 ·····································5
해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체제의 안정성 및 변동여 2. 북한 급변사태 시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9
부를 규명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이론으로서 물리학 이론 중 비평형 체계역학 제2절 대안적 접근 이론 ·········································································11
의 일부인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에 필자가 가정한 ‘사상적 충격’을 적용 1. 체제와 변동에 대한 일반적 분석 ·································································11
2. 대안적 접근이론 제시 및 분석 ·····································································14
하여 북한의 체제변동을 설명할 것이라 가정했다. (1) 이론적 기반 :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 ·····································14
따라서 ◯1 과거 체제변동을 경험한 사회주의 국가인 구 소련ㆍ중국ㆍ베트남 (2) 논문의 가설과 분석틀 ··········································································15
ㆍ루마니아의 체제변동사례를 ‘보완된 엔트로피이론’으로 분석했으며, ◯ 2 김정은
제3장 북한의 체제변동 가능성 분석
제1절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체제변동 사례 ···············20
집권하의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엔트로피적 요소를 분석하고 사상적 1. 구소련의 변동사례 ···························································································20
충격의 발현가능성을 분석하여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2. 루마니아의 변동사례 ·······················································································24
본 연구를 통해 김정은 집권하의 북한체제는 자생적인 체제변동 또는 붕괴 3. 중국과 베트남의 사례 ·····················································································28
제2절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북한체제 변동가능성 ···33
가능성이 적으며, 한반도 공산화 야욕과 대한민국 및 세계를 향한 도발 가능 1. 북한 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 분석 ·····························································33
성의 지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북한의 체제변동을 강요 할 수 있는 선 2. 북한 체제의 부엔트로피적 요소 분석 ·························································47
제적이고 공세적인 대북전략으로서 ‘체제변동유도방안’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3. 사상적 충격의 발현 가능성 분석 ·································································53
했다.
제4장 결론
제1절 논의의 정리 ···················································································57
제2절 함의와 한계 ···················································································60
주요어 : 체계, 비평형체계역학, 체제변동,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 사상적 충격, 체제변 참고문헌 ·············································································································62
동유도방안 영문요약 ·············································································································66
-i- - ii -
<표목차> <그림목차>
<표 20 - 1> 북한사회 내재적 작동원리에 관한 연구들 ··························7
<표 20 - 2> 프리고진의 방정식 ·····································································15 <그림 11 - 1> 북한의 순환적 대남도발 알고리즘 모형 ························6
<표 20 - 3> 보완된 엔트로피 방정식 ··························································16
<표 20 - 4> 논문의 연구 설계 ·······································································18 <그림 11 - 2> 평형과 정상상태, 항상성의 관계 ····································12
<표 20 - 5>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19
<표 20 - 6> 구 소련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21 <그림 11 - 3>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 분석틀 ········································17
<표 20 - 7> 러시아 및 동유럽 주요 공화국의 연도별 인플레이션 ···22
<표 20 - 8> 루마니아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27 <그림 11 - 4> 김정은 집권 후 군사지휘구조 변경도 ··························37
<표 20 - 9> 중국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29 <그림 11 - 5> 북한 전략군 편제 및 작전능력 분석 ·····························39
<표 20 - 10> 베트남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31
<표 20 - 11> 북한의 인구ㆍ명목ㆍ GNIㆍ경제성장률 ···························34 <그림 11 - 6> 북한이 개발 및 공개한 핵탄두 모형 ·····························41
<표 20 - 12> 북한의 주요 산업 성장률 ······················································34
<표 20 - 13> 북한 1인당 국민 총소득 대비 장마당 물가 ····················35 <그림 11 - 7> 공동경비구역으로 탈북한 북한군과 추격조 ················42
<표 20 - 14> 김정은 집권 후 군사지휘구조 주요 변경내용 및 예상효
과 분석 ··························································································································38 <그림 11 - 8> 흔들리는 북한 엘리트 ·························································47
<표 20 - 15> 북한 전력군 주요 탄도탄 전력 분석 ·································40
<표 20 - 16> 김정은의 성격분석 ···································································44 <그림 11 - 9> 중국의 대북 광물자원 투자 ··············································49
<표 20 - 17> 김정은 집권 후 주요인사 숙청내용 ···································46
<표 20 - 18> 김정은 체제의 북ㆍ중 인사교류 현황 ·······························52 <그림 11 - 10> 허울뿐인 대북제제 ·····························································50
<표 20 - 19> 북한체제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53
<표 20 - 20> 체제변동 유발방안의 연구과제 제시 ·································59 <그림 11 - 11> 김정은 유일지도체제 구조 ··············································54

- iii - - iv -
제1장 서 론 이러한 북한의 국내ㆍ외적인 시대적 현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김정은
집권 후 북한체제는 김일성ㆍ김정일이 집권했던 체제보다 불안정성이 상대적
제1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으로 증대되고 있음에도, 북한이 직접적인 체제 변동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
북한 체제는 왜 붕괴되지 않는가? 본 연구는 이 물음에서 출발했다. 1990년 이유는 설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북한의 정치체제변동을 규명할 수 있는 새
동ㆍ서간의 냉전은 종식되었으며 미국과 함께 세계의 강국으로 군림해왔던 구 로운 이론적 접근과 체제변동의 결정요인을 규명할 수 있다면 북한의 체제변
소련이 붕괴되었고 중국ㆍ베트남ㆍ루마니아 등 거의 모든 사회주의국가들이 동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다른 사회주의
체제변동 또는 체제붕괴를 겪었음에도 유독 북한만은 김일성 시기부터 수령유 국가들과는 달리 북한은 왜 체제변동을 경험하지 않는 것인가?’이다. 좀 더 구
일영도체제를 유지하여 3대 세습을 거쳐 김정은 정권까지 이르고 있으며, 이젠 체적으로는 북한의 체제변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결정요인은 무엇이며 체제변동
핵과 탄도탄으로 대한민국의 생존을 위협하는 형국에 이르고 있다. 을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하의 북한체제의 상황은 녹록치 않다고 볼 수 있다. 전통 위와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북한 체제의 변동을 규명할 수 있는 포괄적이
적인 북한 외교정책의 기조였던 김일성ㆍ김정일 시대의 외교전략과 유연성은 고 종합적인 사회과학이론의 보완과 분석틀을 제시하여 기존 사회주의 국가들
김정은의 핵무력-경제 병진노선의 고집으로 국제적인 고립과 중국마저 북한제 의 체제변동 사례와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을 분석할 것이며 종국적으로 전략
제에 동참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경제적 위기의 불안감은 국제제제로 더욱 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심화되어 가고 있으며 남한을 위시한 서방세계의 물질적 풍요와 문화적 충격 북한의 대외적 고립의 심화와 내부 고위 관료의 탈북이 이어지는 등 체제
은 북한 사회 저변에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는 권력 엘리트마저 탈북하는 등 붕괴의 가능성이 현실화 되고 있는 현재의 전략적 상황에서 북한의 체제변동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1) 결국 김정은이 고집 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제시하고 변동을 가속화 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의
하는 핵무력-경제 병진노선은 일반적인 차원에서의 북한 경제마저 파탄시켜 제시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가치가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김정일 시기부터 주장해오던 ‘사상에서의 주체’, ‘경제에서의 자주’는 더욱 멀
어지게 되었고 흔들리는 북한사회는 내재적인 불만, 경제적 어려움, 외부세계 제2절 연구의 방법와 범위
에 대한 동경, 지도자에 대한 불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면서 낮은 단계이 본 논문에서는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방법을 적용코자 했다. 사례분석방법
지만 외부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내부의 체제 결속을 위해 그간 지속해오 은 단순 사례분석(atheoretical case study), 해석적 사례분석(interpretative
던 대남 도발도 남한과 북한의 현격한 경제력의 격차로 인해 재래식 군사력의 case study), 가설창출용 사례분석(hypotheses–generating case study), 이론
질적 격차와 무기체계의 수준차이는 더욱 벌어져 양적으로 방대한 재래식 군 확증용 사례분석(theory-confirming case study), 이론논박용 사례분석
사력을 보유했음에도 비대칭 전력에 의존하지 않으면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theory-infirming case study), 그리고 이례분석(deviant case study)의 유형
기형적인 구조로 변질되가고 있다.2)
1) NEWS 1, 北 태영호 공사 탈북에 중국 내 주재원 ‘술렁’-RFA(검색일 : 2017. 11. 19) ② 2002년 6월 2차 연평해전
(대한민국 승, 아측피해 : 함정 1척 손실, 6명 전사, 18명 부상, 북한 피해 : 경비정 1척
2) 장현욱, 『북 비대칭 전력 대응방안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 2012)p4 대파, 13명 사망, 25명 부상)
① 1999년 6월 1차 연평해전(한국 승, 아측 피해 : 함정 2척 손실, 약간의 인명부상, 북한 피 ③ 2009년 11월 대청해전(대한민국 승, 아측피해 : 없음, 북한 피해 : 함정 1척 완파, 인명피
해 : 9명 사망, 함정 6척 대파) 해 다수 추정)
-1- -2-
으로 구분된다. 이중 필자는 ‘해석적 사례분석’을 적용하여 북한의 체제변동 마지막으로 결론인 4장에서는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고찰한 사회주의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프리고진의 비평형 체계역학 중 엔트로피 이론을 필 국가들의 체제변동 사례와 북한의 체제변동 가능성을 비교 분석하여 북한 체
자가 가정한 ‘사상적 충격’이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보완하는 가설을 설정하여 제의 변동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논의를 정리할 것이며 향후 체제변동을 유
각 사회주의 국가들과 북한의 체제변동과정을 분석하고자 다음의 군사적ㆍ비 도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아울러 논문의 이론적 함의와
군사적 분야의 자료를 다음과 같이 정리 및 분석했다. 논의의 한계를 제시한다.
첫째. 체제변동이론에 대한 연구 논문과 학위논문의 분석
둘째.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변동에 대한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의 분석
셋째. 현대 북한에 대한 국가 기관의 자료 분석
넷째. 북한의 비대칭 전략에 관한 연구 논문과 학위 논문의 분석
다섯째. 언론 및 인터넷을 활용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범위는 북한의 체제변동 가능성을 진단하는 한편, 변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성의 도출을 위해 김정은 정권의 등장 이후 엘리트 계층
의 내재적 불만의 고조와 국제적 고립으로 인하여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현
북한체제의 안정성과 변동 가능성을 진단하여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연구와 대
비를 촉구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된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북한체제의 변동가
능성에 대한 기존논의를 검토하고 체제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 이론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물리학 이론 중 일리야 프리고진의 비평형체계역학의
일부인 ‘엔트로피 이론’을 준용하고 ‘사상적 충격’의 개념을 보완한다면 기존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사회주의 체제변동의 근원적 원인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이 제기하는 연구질문에 대한 이
론적 분석틀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북한의 체제변동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필자가 가정한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체제변동을 경험한 사회주의국가들인 구소련, 루마니아,
중국ㆍ베트남의 변동사례를 분석할 것이며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
엔트로피적 요소, 사상적 충격의 발현가능성을 분석할 것이다.
-3- -4-
제2장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로 고조되고 있는 김정은 정권에 대한 인민들의 반감과 불신, 그리고 체제의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으로 기존 김정일 정권부터 이어져온 북한
의 전통적인 대남정책의 순환적 대남도발 알고리즘에 대한 기존의 대한민국의
제1절 기존 논의의 검토 대응방식의 한계를 교묘하게 활용한 고도의 위기관리전략으로 볼 수 있을 것
이다.
1. 북한사회의 내재적 작동원리와 전략에 대한 연구
탈 냉전기부터 현대 북한에 이르기까지 기존연구를 볼 때, 북한에 관련된 <그림 11 - 1> 북한의 순환적 대남도발 알고리즘 모형
연구는 수량적으로 많은 연구물이 집필되었다. 기존의 석ㆍ박사 학위만 놓고
볼 때 1963년에 최초의 석사논문이 발행된 이래 1986년까지 발행된 논문만 총
2,898편에 이르렀다고 하니, 2016년인 지금은 그 수량이 얼마나 많은지 짐작할
수 있다.3) 양적인 풍성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대한 기존의 연구는 탈냉전기
이후에는 북한의 현상, 또는 인물연구, 체제의 특성 등에 집중되었으며 ‘고난
의 행군’ 이후로는 북한의 급변사태 또는 북한의 도발 등에 대한 피동적이고
수세적인 연구에 집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정
권의 전략적, 전술적 수준의 각종 도발에 대한민국 정부가 취한 피동적이며
수세적인 그간의 대응이 미친 영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김정일에
이어 집권한 김정은 정권은 위기조성의 즉흥성과 변덕성에 더하여 핵무장력에
근거한 대미 억지력을 확보함으로써 더 이상 북미수교를 목표로 하지 않고 있
다.4) 오히려 중국 등 제 3세계에 대한 헤징전략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출처 : 6.25전쟁 이후 북한의 도발 패턴을 근거로 필자가 작성한 도발 알고리즘
에 대한 도발을 강화함으로 미ㆍ중간의 갈등을 유발시켜 이를 최대한 활용함
으로서 한반도의 신냉전화(New Cold War)를 유발시키고 핵보유국의 지위를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북한이 대한민국에 대해 지속하고 있는 순환적 대남
통해 남북관계의 우위를 차지함으로서 종국적으로 북한이 추구하는 고려연방 도발 알고리즘은 한편으로는 대한민국에 대한 강압적 우위의 관계유지의 목적
제의 강압적 관철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5) 이것은 내부적으 과 체제의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양면성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3) 신정현, “북한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북한』1989년 9월호, p162
순환적 대남도발 알고리즘을 타파하고, 기존의 수세적 대응을 능동적이고 공
4) 이강철, “미국의 재균형화와 북한의 수정주의 국가화”, 『유라시아연구』2013년, p144∼145 세적인 대북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은 북한의 도발을 제거하는 효율적인 위기관
이강철은 북한이 자체의 핵 무장력을 공개하여 스스로의 자위력을 바탕으로 더 이상 북미수교를 요구 리전략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까진 이러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
사항으로 하지않는 소위 수정주의적 정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대미편승이 더 이상 목표가 아니라는 것
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는 헤징전략은 강대국이 강대국에게 행하는 전략과 중견국 또는 약소국이 강대국에게 행하
5) 헤징은 금융권의 헤지펀드등에서 유래한 것처럼 위험요인을 분산화 하여 상이한 결과의 스 는 전략으로 구분하였으며, 북한의 헤징전략은 약소국이 강대국에게 행하는 전략으로 판단
펙트럼으로부터 보다 유리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대하는 것을 말한다. 필자 했다.
-5- -6-
렵다. 기존의 북한에 대한 주요 논의는 북한의 인물연구, 체제, 사상, 대남정
책, 경제, 국제관계 등 다방면에 걸쳐 북한사회에 대한 내재적 작동원리와 결 북한의 외교분야에 대한 연구는 허문영의 박사학위논문을 시작으로 발전하
부된 의도와 전략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시도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1980 여 양무진은 김정은 시대의 외교정책은 대남관계를 대미관계의 하층 관계로
년대부터 현재까지 가장 큰 인물사의 논쟁은 이명영교수와 허동찬등의 ‘가짜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7) 저명한 북한 전문학자인 김태현은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론’이었으나, 김일성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하와이 대학의 서대숙 교 신 4강 대외정책 : 김정은 시대의 대남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에서 김정은 시
수가 이를 부정하면서 송두리째 흔들렸다.6) 대의 북한은 김정일 시대의 정책과 전략을 승계하여 ‘혁명’과 ‘생존’을 배합한
체제생존론적 화전양면전략을 수행하며 김정은 집권 후 지난 4년과 마찬가지
<표 20 – 1 > 북한사회 내재적 작동원리에 관한 연구들 로 앞으로도 강온양면 정책을 지속하고 북한대내변수, 한국변수 및 대외변수
연 도 연구자 내용 출판사 를 고려하여 시의 적절하게 남북관계 개선의지 및 군사훈련과 군사력 강화의
지를 동시에 언급할 것으로 보았다.8)
서대숙 북한 지도자 김일성 신문화사 경제적 측면에서는 방찬영이 북한경제를 전면적으로 해부하여 북한경제의
1989 분단의 정치, 박정희와 김일성의 문제점을 체제 내부적인 부분과 연결시키는 분석으로 북한경제연구의 중요한
양성철 비교연구 한울
1980년대 북한의 대중ㆍ소정책 및 업적을 남겼다.9)
1991 허문영 대남정책 연구 성균관대학교 군사전략의 측면에서 김현주는 북한의 위기관리전략의 일환으로 군사전략을
1992 김연각 김일성 주체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활용한 점을 강조하면서 북한이 위기시 이를 관리하기 위한 위기관리전략으로
군사력, 중ㆍ소(러)관계, 체제안정성, 경제력, 위기관리전략의 결정의 분석틀을
최성 북한학개론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체제 풀빛 가지고 북한 군사전략의 결정요인을 설명했다.10) 필자는 북한의 비대칭 전략
1997
박재규 북한의 신외교와 생존전략 나남출판 의 정의 및 개념을 살피고 김일성 시대부터 지속되어 오던 대한민국에 대한
2000 이종석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양적인 비대칭을 강조한 군사적 강자의 적극적인 비대칭 전략이 대외적으로
냉전체제의 붕괴 국제적 고립, 한ㆍ미 연합군의 기능강화, 대내적으로 국가경
2012 김현주 북한 위기관리전략의 결정과 변화 국방대학교 제의 붕괴 등의 악조건으로 인하여 군사적 약자의 소득적인 비대칭 전략으로
2013 이진희 북한 우상화 전략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변화하면서 재래식 보단 대량살상무기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주장했다.11)
조용신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2015 한반도 7) 양무진, “김정은 정권의 주변국 정책 : 도전과 기회”, 『한반도 포커스 : 2015』 제 31호
양무진 김정은 정권의 주변국 정책 : 도전과 기회 포커스 8) 김태현,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
소 : 2016』
2016 김태현 김정은 시대의 신 4강 대외정책 : 김정은
시대의 대남정책과 한국의 대응 방안 국방대학교 9) 방찬영, 『기로에 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연구소 : 1995)
10) 김현주, “북한 위기관리전략의 결정과 변화”, 2012
6) 이종석,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 2000년)p98 11) 임철균, “북한 비대칭전략의 대한 대응방안 연구”, 『군사연구 : 2016』 제 141호
-7- -8-
상정하여 정치ㆍ외교와 안보ㆍ군사, 경제ㆍ사회ㆍ문화 등 각 분야별로 대응방안을
2. 북한 급변사태 시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제시하였다.14)
북한 연구에 대한 다른 분야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어떤 상황으로 인한 급 앞서 살핀 지금까지의 연구는 북한 정권의 현상을 분석하거나 기존에 제기
격한 정권붕괴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북한의 급격한 붕괴] → [한국군의 역할] 되어 왔던 일련의 시나리오를 병렬적으로 나열하여 대안적인 접근이론과 방법을
→ [중국 등 주변국의 대응] → [한국군의 역할과 한계, 주변국에 대한 대응방 제시하는데 있어 한계점을 보였고, 연구자의 입장과 성향 등 이념적 정황에
안]을 설명하는 연구이다. 따라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의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켜, 객관화되기 어렵다는
북한의 급격한 붕괴와 같은 급변사태에 대해 공현우는 구소련과 동독, 폴란드, 특성을 보여왔다. 그러므로 북한체제의 안정성 및 변동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루마니아 등 동구권 4개국의 급변사태 유형을 설명하면서 북한의 급변사태 유형을 새로운 관점의 대안적 이론의 제시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1 김정일의 갑작스런 유고와 후계체계 문제, ◯2 핵을 포함한 WMD에 대한
국제제재 강화, ◯3 식량난으로 인한 주민 폭동과 대량 유혈 및 탈북, ◯4 주민
의식 변화에 따른 개혁 및 개방 요구, ◯5 군부에 의한 쿠테타, ◯6 국제사회 및
한국에 대한 군사도발 감행에 따른 급변사태로 상정하며 각 각의 상황에 대한 전개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그에 대한 쟁점과 협력방안을 제시했다.12) 김정민은 학자
들의 주장과 외국의 사례를 설명하며 북한의 급변사태 유형 및 양상을 설명하
면서 촉발요인을 중심으로 구분했을 때, 민중봉기 과열에 따른 아래로부터의
급변, 권력엘리트 분열에 따른 위로부터의 급변의 유형으로 전개 될 수 있으며,
현재 한ㆍ미 연합사가 상정하고 있는 여섯가지 유형은 군사작전계획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작전적 용도로 구분하였다.13) 그러므로 대한민국이
대비해야 할 정책적 차원의 문제는 북한정권이 통제력을 상실하여 외부개입이
불가피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예상유형을 대비하는 것이
더욱 유의미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시에 김정민은 한국 주도의 상황관리의
한계를 국제법적 한계, 미국 등 주변 4개국의 개입가능성과 예상되는 개입양
상을 열거하며 지적하고 있다. 김정민은 우리정부의 기본적 대응전략을 4가지로
12) 공현우, 『북한 급변사태 시 다자협력방안 연구 : 주변국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국방대학 14) 김정민, “북한 급변사태 발생요인 분석과 우리의 대응방안”(국방대학교 : 2014년), p25
교 : 2011) 대응전략(4가지) : ◯1 동북아 주변국 및 유엔과 협조체제를 통해 한국 주도 하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외교를 강화해 나가고, ◯2 국제적 대북 개입 시 우리의
13) 김정민, 『북한 급변사태 발생요인 분석과 우리의 대응방안』, (국방대학교 : 2014년) p11 민군작전 영역을 최대한 보장받을수 있도록 조기에 한ㆍ미공조방안을
북한의 급변사태 유형 : ◯1 핵과 미사일, 생화학 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유출, ◯2 북한의 적극 강구해 나가야 하며, ◯3 친 남한정권의 수립을 위해 북한 권력 상층부와의
정권교체, ◯3 쿠테타 등에 의한 내전상황, ◯4 북한 내 한국인 인질사태 부단한 접촉 및 민간급 교류혁력 조직화, ◯4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국민적
◯5 대규모 주민 탈북사태, ◯6 대규모 자연재해이다. 공감대 형성 노력을 주장했다.
-9- - 10 -
제2절 대안적 접근 이론 교류가 없는 폐쇄적인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살핀바와 같이
유기적인 역동성을 내포하고 있는 집단은 외부의 교류가 없더라도 내부로부터
의 마찰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폐쇄적인 상태인 평형
1. 체제와 변동에 대한 일반적 분석 은 종국적으로 체제의 파국이나 멸망에 도달 할 것이다. 평형에서 최소한의
영어의 System은 체계 또는 체제로 번역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체계는 일 외부와의 교류를 통해 최소한의 상호작용으로 체제는 유지하면서 종국적인 파
정한 원리에 따라 각각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로서의 의 국은 피할 수 있는 균형적인 상태를 이루는 것을 항상성이라고 할 수 있다.
미로 사용되며, 체제는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볼 때에, 그 조직이나 양식 또 정상상태는 이와는 반대로 외부와의 교류를 통해 체제의 유지 및 발전을 도모
는 그 상태를 이르는 말로서 사용된다.15) 그러므로 정치나 국가 등 사회적 유 할 수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위 개념을 현대의 대표적인 정치체제인 자유
기체로서 사용될 때에는 체제로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정치체제는 민주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에 대입해 볼 때, 상대적으로 개방성이 높은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막론하고 용어의 측면에서 광의적 해석으로 발전되어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정상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제를 유지 및 발전해 나갈 수
국가에 의한 권력의 행사뿐만 아니라 정당과 정당, 그리고 사람들간의 정치적 있는 반면, 평형에 가까운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주의 체제는 평형의 특성
집합체간의 이해관계를 나타내는 측면으로 발전했다 볼 수 있다. 이런 개념적 을 지니고 있어 종국적인 파국이나 멸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
측면에서 정치체제를 북한의 정치체제에 대입한다면 북한의 정치체제는 북한 하지만, 북한은 지난 탈 냉전기,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체제변동 또는
의 정치, 경제, 권력 등을 총 망라하는 개념으로서의 정치체제로 사용이 가능 체제붕괴를 겪었음에도 김일성부터 시작되는 수령유일영도체제를 유지하면서
할 것이다. 즉, 체제는 각각의 집단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영향을 김정은에 이르기까지 3대세습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유독 북한만 체제변동
받기도 하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다수의 사람이 모여 만든 집단은 유기적 을 겪지 않은 사유는 무엇일까?
인 역동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상호간의 작용을 통해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
거나 변화할 것이다. <그림 11 - 2> 평형과 정상상태, 항상성의 관계
최옥채는 그의 저서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서 한 나라의 정치와 체제의
안정상태는 해당 사회와 정치체제간의 관계와 상호 의존성, 그리고 그 관계들
간의 질서를 봄으로서 변화 가능성을 고려 할 수 있고, 체제의 안정성을 설명
할 수 있으며 안정성에 대한 평가는 외부와의 개방정도를 고려하여 평형, 정
상상태, 항상성의 3가지로 논의한다고 주장했다.16)
그의 주장 중 평형과 정상상태, 항상성에 대해 분석하면, 먼저 평형상태는
외부와의 교류도 없고, 내부로부터의 마찰도 없는 상태로 소위‘0’의 관점에서
인식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이런 평형상태가 되기 위해선 외부와의
15) 『naver 국어사전』(http://m.search.naver.com / 검색일 : ‘17. 11. 20)
16) 최옥채 외 공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 양서원, 2006) p 168 - 170
- 11 - - 12 -
출처 : 외부와의 교류관계를 통한 평형과 정상상태, 항상성간의 관계를 필자가 도시 2. 대안적 접근이론 제시 및 분석
한편, 변동을 뜻하는 영어의 Change는 바꾸다, 고치다, 변경하다, 변화시키다 등으로
번역되어 사용된다. 이를 사회주의 체제에 대입하여 본다면, 변동은 ◯1 체제전환
(transformation), ◯2 개혁(reform), ◯3 혁명(revolution)의 의미를 포괄하는 것으로 (1) 이론적 기반 :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회주의 체제의 변동을 유발하는 촉발요인은 무엇인가? 코 앞서 살핀바와 같이 탈 냉전기 여타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체제변동을 겪을 동안
르나이(Janos Kornai)는 사회주의 체제의 변동은 긴장과 모순들이 축적되면서 촉발 유독 북한만은 체제변동을 겪지 않았다. 그렇다면, 북한의 어떤점이 체제변동을
된다고 주장하면서 변화의 요인(inducements for change)으로 누적된 경제난 경험한 다른 사회주의국가들과 달랐던 것일까? 이 물음을 해소하기 위해 지금까
(accumulation of economic difficulties), 대중의 불만(public dissatisfaction), 관료들 지의 북한에 대한 연구와는 다른 보다 근원적인 체제변동 가능성에 대한 이론이
의 자신감 상실(loss of confidence by those in power), 외부사례의 영향(outside 제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역동적이고
example) 등 4가지 요인을 지적했다.17) 라빈(Marie Lavign)은 사회주의 체제의 속 복합적인 변동의 가능성을 추론하기 위해 물리학자인 일리야 프리고진의 비평형
성을 공산당 일당독재, 공유제 또는 국가소유제, 중앙계획체제로 보면서, 개혁과 체계역학 중 ‘엔트로피 이론’을 응용하여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변동가능성을 진단
체제전환을 구분하여 개혁은 경제분야에 대한 국가와 중앙통제의 일부를 수정하 하고자 했다.
는 것으로, 체제전환은 공산당 일당독재의 포기 등 정치적으로 급격한 변화와 단 ‘엔트로피(entropy)’라는 단어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내부라는
절이 이루어졌을 때를 의미한다고 설명하였다.18) 뜻의 in(en)과 순환하다(turn), 변환하다(transform)의 뜻인 tropie의 합성어로서
코르나이와 라빈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회주의 체제의 변동요인은 경제난과 정 ‘변화의 내포량’을 의미한다. 엔트로피를 정의할 수 있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으나,
치적인 급격한 변화이다. 즉, 심각한 경제난을 바탕으로 정치적인 급격한 변화가 물리량의 변화가 있는 곳에는 엔트로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엔트로피는 변
이루어지기 위해선 사상적, 이념적, 문화적인 충격이 동반되어야 가능 할 것이다. 화의 속성을 지닌 함수로서 정의 될 수 있는 것이다.19) 물리학적으로 볼 때, 엔트
본 연구에서는 사상적, 이념적, 문화적인 충격을 하나의 용어로서 ‘사상적 충격 로피는 열에너지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열정상태를 나
(Ideological Shock)’으로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다. 사상적 충격은 일반적인 관점에 타내는 물리량으로서 사용된다. 이때, 열에너지의 이동이 적을수록 안정된 상태를
서 사회주의 체제변동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분석의 틀을 제시 할 수 있을 것 이루며, 이동량이 많을수록 혼돈에 이르게 되므로, 열에너지의 이동량의 단위인 엔
이다. 트로피는 즉 질서의 반대의 의미를 내포하여 무질서를 지칭하는 또다른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프리고진은 엔트로피의 반대의 개념으로서 부 엔트로피 현상을
제시했으며 이를 개방체계의 개념으로 설명했다. 부 엔트로피 현상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자극으로 체계 내부에서 증가하는 혼돈의 요소인 엔트로피를 해소하여
결국 체계가 종국적인 파국이나 멸망에 이르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었다. 이 현상을 프리고진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설명했다.20)
17) Janos Kornai,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Oxford
: Clarendon Press, 1992) p383-386 19) 여상도, 『열역학 개념의 해설』,(청문각 : 2016)p111〜122
18) Marie Lavign, The Economics of Transition : From Socialist Economy to Market 20) Ilya Prgogine, Introduction to Thermodynamics of Irreversible Processes(Springfield,
Economy(New York : St. Martin's Press, 1995) p 20 - 43 Illinois: Charles C. Thomas, 1955, 김기호, 『북한체제의 안정성과 변동에 관한 연구』 경기
- 13 - - 14 -
<표 20 – 3 > 보완된 엔트로피 방정식
<표 20 – 2 > 프리고진의 방정식 DS(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 = DES[(체계 내 증가하는 엔트로피적 요소)
DS(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 = DES(체계 내 증가하는 엔트로피) + × IS(사상 적 충격)] - DIS(체계 외 부에서 유입 되는 부 엔트로 피)
DIS(체계 외부에서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
보완된 엔트로피이론의 핵심은 사상적 충격으로 변화되는 체계 내에서 증가하는
버털란피는 위 공식에 근거하여 일반체계이론에서 엔트로피와 부 엔트로피에 대 엔트로피다. 이를 사회의 구성적 요소로서 설명하고자 할 때, 집단과 집단의 유기
해 각각 무질서와 질서로 보았으며 엔트로피가 증가함에 따라 질서가 감소하고, 적인 상호 관계를 유지하는 체계는 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로서 경제적 문제ㆍ정치적
부 엔트로피가 증가함에 따라 질서가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했다.21) 문제ㆍ문화적 문제ㆍ민족적 문제ㆍ이념적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소가 혼돈의 요소적
물리학의 이론인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은 사회과학에서 복잡한 정치체계의 증가, 즉 엔트로피적 요소로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구성적 요소들이
변동을 설명하는 훌륭한 이론적 토대로서 역할을 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혼돈으로서의 주체, 즉 엔트로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모종의 매개체가 필요한 것
보다 세밀히 정치체제의 변동을 역사적 사례로서 살펴볼 때, 단순히 엔트로피적 으로 가설을 수립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사상적 충격’으로 제시했다. 그러므로
요소, 즉 혼돈의 요소적 증가에 의해서는 체제가 변동되거나 붕괴되지 않은 역사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은 제시한 공식과 같이 체계내의 증가하는 엔트로피적 요소에
적 사실은 북한을 위시한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변동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 사상적 충격을 곱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를 뺀 값이 변화된 엔트로피의
한 부분이 없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엔트로피 총량이 될 것이다. 기존의 프리고진의 방정식에서 보완된 요소는 사상적 충격의
적 요소가 엔트로피로서 증가하기 위해선 매개체로서의 개념인 ‘사상적 충격’을 논 곱하기와 부엔트로피를 기존의 더하기에서 빼기로 변경한 것이다. 사상적 충격
문의 가설로서 제시했다. 은 엔트로피적 요소가 엔트로피로서 발현되기 위한 매개체로서 일종의 촉매와 같
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가정했으므로 충격의 확산을 고려하여 더하기가 아닌 곱하
(2) 논문의 가설과 분석틀 기로 가정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 요소는 체계내의 엔트로피를 감소시
앞서 살핀바와 같이 체계의 혼돈적 요소, 즉 엔트로피적 요소의 증가만으로는 키므로 더하기가 아닌 빼기로 정정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가정을 통해 역
혼돈에 이를수 있는 체계내에서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은 제한된 동적이고 유기적인 특성을 지닌 사회주의체제로서의 체계의 변동을 규명할 수 있
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가설로서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방 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논문의 가설을 상기 내용과 같이 정립하면서 분석틀로서
정식을 다음과 같이 보완해서 ‘보완된 엔트로피’이론으로 제시했다. <그림11 – 3>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으로 모형화 했다.

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9 p40 재인용


21) Ludwig von Bertalanffy, General System Theory : Foundations, Development, Applica
tions(New York : George Braziller, 1968), p 143 - 144
- 15 - - 16 -
<그림 11 - 3>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 분석틀 본 논문은 앞서 제기한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방정식과 <그림 16 – 3>
북한체제의 변동가능성 분석틀을 통해 체제변동의 매개체로서의 사상적 충격의
효과를 주장하면서 사상적 충격의 상수가 클수록, 체계내의 증가된 엔트로피적
요소는 ‘증폭된 형태의 엔트로피’로서 작용되며, 사상적충격의 상수가 작을수록
혼돈을 증가시켜 체제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엔트로피적 요소의 ‘엔트로피로의
전환의 폭은 줄어든다’ 는 가설을 수립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연구설계는
다음과 같다.
<표 20 – 4 > 논문의 연구 설계
변동지수 변동지수
구 분 구 분
높음 낮음 높음 낮음
사상적 충격 ○ 사상적 충격 ○
체 부 엔트로피 ○ 체 부 엔트로피 ○
제 제
변 ⇩ 유 ⇩
동 지
엔트로피 ○ 엔트로피 ○

사상적 충격이 높고 체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가


가설 1. 낮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체제는 변동된다.
사상적 충격이 낮고 체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가
가설 2. 높으면 엔트로피는 줄어들어 체제는 유지된다.

- 17 - - 18 -
간단하게 살펴보면, 결국 체제의 변동과 유지를 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인
사상적 충격을 계량화 하는 것이 위 가설의 핵심일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3장 북한의 체제변동 가능성 분석
사상적 충격을 측정하기 위해 <표 29 – 5>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를 제시했다.
<표 20 – 5>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제1절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체제변동 사례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1. 구 소련의 변동사례
구분 집권세력 권력 러시아어로 페레스트로이카는 개혁을 뜻한다.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
대중적 종교적 지도자의 로 취임한 고르바쵸프는 대내적으로는 페레스트로이카를,22) 대외적으로는 글
비판활동 엘리트의
파급력 활동 증대 리더십약화 라스노트를 추진하여 스탈린주의의 병폐을 타개하고 소련사회를 보다 더 공산
고조 분열 사회에 가까운 이상향으로 만들고자 개혁을 추진하였다.23) 당시 소련의 당면
현안이었던 스탈린주의의 병폐 타개, 경제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1986년 2월
∙ 심각(사회 전반적인 혼란발생) : 2 25일 소련공산당 제 27차대회에 제출하는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정치보고’
측정 에서 국가와 경제, 사회발전의 가속화 전략을 제시했다. 그러나, 개혁에 대한
∙ 보통(사회적 혼란이 적음) : 1
지표 뚜렷한 방침을 제시하지 못한 상황에서 급진적으로 추진된 개혁은 다방면에서
∙ 없음(평소와 동일함) : 0 문제점과 한계를 들어내며 급기야 쿠테타로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결 되었다.
변동 임계치 안정
점 과점 4∼0
수 수 『
22) 김정민 역, 페레스트로이카의 기본전략-소련공산당 제 27차 당 대회 토론 자료집 서울 : 이성 』
10 ∼ 8 7∼5 *안정 지수는 변동이 과 현실, 1990
“경제관리는 명백하게 지속적인 개량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부분적인 개

폭 없으므로 ‘0’으로 반영 23)


선책으로 국한될 수 없으며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그런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 두산 대백과 사전 』
스탈린주의의 문제점은 이데올로기 차원에서 국내 사회주의체제의 완성 이후에도 의례적인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는 일반적 관점에서 체제에 대한 사상적 충격을 유발 할 수 정치적 ‘적’의 설정으로 인한 모든 정치적 반대의 불가능, 비판적 지위의 박탈로 인한 개인
의 창의성 소멸, 경제적으로 극도의 통제와 계획경제체제로 인한 광범위한 관료조직의 출현,
있는 대표적인 5개 사례를 기준으로 총 3단계로서 평가함으로서 체제변동을 집단주의에 기초한 유인제도로 개인의 창의성과 작업에 대한 열의 약화, 국가에 의한 의료,
직업, 주택 등의 보장으로 국가에 대한 개인의 의존도 제고, 중공업 위주의 불균형 성장전략
촉발시킬 수 있는 사상적 충격의 계량화를 시도하여,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적 으로 소비재 및 농업의 낙후로 인한 소비재 물자의 질적 저하와 만성적 부족의 구조화 등

측면에서 사회주의 체제변동을 규명하고자 했다. 사회 전반에 걸쳐 대두되었다.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ld=1157660&cid=40942&categoryld=31645#)(검색일
자 : 2017. 2. 14)

- 19 - - 20 -
구 소련의 체제변동 사례는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적 측면에서 봤을 때, 체 구 소련의 사상적 충격을 측정지표에 의거 분석 한 결과, 체제변동을 유발
제변동의 매개체로서 사상적 충격이 촉발된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구 할 수 있는 ‘9’의 값이 도출되었다. 특히 민주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한 정치
소련의 체계 내에서 임계치를 넘어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엔트로피적 요소는 개혁은 그동안 연방정부로부터 인정받아 오던 지위와 권한을 자국민들로부터
경제 침체, 그리고 스탈린주의의 병폐현상이었다. 세부적으로는 중앙집권주의, 선거라는 제도를 통해 심판받는 모순적 구조는 구 소련 연방의 각 공화국들이
각 공화국의 현실적인 필요를 무시하는 획일적인 경제정책, 소수민족 역사의 자국 우선주의를 취하는 계기가 되었다.
왜곡 및 소수민족 엘리트 탄압 등 사회 전반적인 제 요소에 걸쳐 엔트로피가
임계치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현상은 고르바쵸프 이전에 스탈린 <표 20 - 7> 러시아 및 동유럽 주요 공화국의 연도별 인플레이션(1989∼2004)
집권기에도 존재했고, 브레즈네프 집권기에도 존재했지만 구 소련은 체제변동을 구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하지 않았다. 앞서 집권한 정권과 고르바쵸프 정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레 분
러 1,5 875 311 197 47. 14. 27.
86. 20. 21. 15. 13. 11.
스트로이카로 대표되는 사상적 충격이었다. 경제 개혁의 드라이브를 걸기위해 시 na na na 26. .0 .4 .7 8 7 6
1 8 6 7 7 0
기득권층의 저항을 종식시키고자 전략적인 대중동원을 실시하여 이전엔 할 수 아 0
폴 251 585 70. 43. 35. 32. 27. 19. 14. 11.
없었던 연방 정책에 대한 불평과 불만을 공개적으로 토론의 주제가 될 수 있게 한 점, 란 .1 .8 3 0 3 2 8 9 9 7.3 10.
1 5.5 1.9
8 0.8 3.5
이전 집권했던 국가 지도자를 비판하여 스스로의 리더십을 약화시킨 점, 사상의 드
자유가 허용되면서 광범위한 범위에서 논문, 독자투고, 공개토론 등 대중적 파

가 17. 28. 35. 23. 22. 18. 28. 23. 18.
143 10.
0 9 0 0 5 8 2 6 3 0 9.8 9.2 5.3 4.7 6.8
급효과가 심각했던 점 등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사상적 충격은 매우 큰 것이 리

었다. 코 1.4 9.7 52.
0 1
11. 20.
8 9.9 9.6 8.9 10. 2.1 4.0 4.7 1.8
6 8.4 0.2 2.8

마 1.1 5.1 170 210 256 136 32. 38. 154 59. 45. 45. 34. 22. 15. 11.
<표 20 – 6>구 소련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니 .0 .4 .1 .7 3 8 .8 1 8 7 5 5 3 9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아
구 대중적 불
집권세력 권력 가 333 82. 73. 96. 62. 123 1,0
분 파급력 비판활동 엘리트의 종교적 활동 지도자의 리 6.4 26.
3 .5 0 0 3 0 .0 82.
22. 0.7 9.9 7.4 5.9 2.3 6.1
고조 분열 증대 리더십약화 아 0 2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출처 : EBRD(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ransition
구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Report update 2006(ERED, 2006)
소 ○ ○ ∙ ∙ ○ ∙ ∙ ∙ ○ ∙ ○
련 (2) ∙ ∙ (2) (2) (1) (2) ∙ ∙ 1988년 6월 개최된 제 19차 ‘당 협의회’에서 일부 연방 공화국과 자치공화국은
지 충격지수 : 9(변동) ‘경제주권’을 선언했다. 고르바초프는 1988년 9월 개최된 당중앙위원회에서 이에
수 대한 강력대처를 선언하였으나, 오히려 토착관료들이 중앙정부에서 모금한 기금이나

- 21 - - 22 -
중앙정부의 경제기능에 대해서까지 통제권을 주장하는 등 경제적 자치권의 확대에 국가연합(CLS)을 출범시킴으로서 공식적으로 소련 연방은 해체되었다.
공세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호즈라시쇼트는 소련연방의 경제적 구 소련의 체제변동 사례를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할 때 사상적 충
통합을 저해하였으며 각 공화국간의 경제적 이기주의를 심화시켜 소련연방 전 격의 지수가 체제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충격지수인 ‘9’를 보일 때, 체계 내
체의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스탈린 시기부터 중앙정부의 계획적인 경 엔트로피적 요소는 이미 임계치를 넘어섰고, 냉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외
제통제를 원활하게 하기위해 지역특색을 살린 상호의존성을 심화시킨 경제정 부로 볼 수 있는 서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부엔트로피가 다소 적은 것을 고려할 때
책이 수십년간 추진되어 왔고 사실상 모든 연방공화국이 경제적 자립여건이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은 임계치를 넘어 체제변동이 일어난 것 으로 분석
충족되지 못하는 현실이었다. 페레스트로이카의 핵심인 경제분야의 개혁이 실 할 수 있었다.
패로 돌아가고 거의 모든 분야의 상부로부터의 급진적 개혁이 파행을 거듭하
는 가운데 연방공화국들의 분리주의 정책이 가속화되어 결국 경제수준이 더 2. 루마니아의 변동사례
떨어지는 악순환을 불러왔다. 경제적 엔트로피요소는 곧 민족적 엔트로피요소 루마니아의 사례 역시, 사상적 충격으로 인해 체제변동이 일어난 대표적인
로 확대되었다. 1989년 11월 고르바쵸프는 각 공화국의 자치권을 확대시키면 사례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는 1944년 9월 소련군에게 강제로 점령당하여 다
서 민족문제를 진정시키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취했으나,24) 큰 효과는 없었고 른 동구 제국에 비해 늦은 5개년 계획을 시행하여 만성적인 식량과 소비물자
오히려 인접국인 라트비아 등지로 번지면서 전 연방차원으로 확대되었다. 뒤 의 부족에 신음하는 등 주로 경제적 문제에서 비롯된 엔트로피적 요소가 체제
이어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등의 공화국들도 자원확보를 위한 헌법 초안을 발 내에 팽배해 있었다. 여기에 1965년에 등장한 차우체스크와 구 소련의 고르바
표하자 연방의 위기는 더욱 심각해졌으며, 심지어 모스크바마저 식료품과 소 쵸프로 인한 사상적 충격이 가해지자 체제변동의 불길은 마른 장작에 불이 붙
비재의 부족현상을 겪게 되었다. 결국 소련 연방의 붕괴조짐을 묵과할 수 없 듯 겉잡을 수 없이 번져나가기 시작했다.
었던 보수파들의 쿠테타가 일어났으나 대중으로부터 환영받지 못한 쿠테타는 소련에서 후루시쵸프의 반 스탈린 운동이 전개되어 소련 공산당의 중앙통제
진압되었고, 그 과정에서 옐친의 위상은 고르바쵸프보다 격상되었다.25) 고르 력이 약화되자, 다른 소련연방의 공화국들처럼 루마니아도 자국의 경제적 이
바쵸프는 쿠테타에 반대하는 행동을 취하지 않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 익을 주장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걷기에 이르렀다.26) 루마니아의 초기 공산당
치국ㆍ서기국을 지적하고 당중앙위원회를 해산시키면서 스스로 당 서기장에서 지도자였던 데지의 민족주의적 요소를 승계한 차우체스크는 국호, 교육, 창작,
물러나 74년을 이어온 소련 공산당은 해체되었으며 1992년 1월 1일부호 독립 외교 등 다방면에서 민족주의적이며 전향적인 특색을 지닌 정책을 강력하게
24) 정명섭, 『소련의 민족문제와 연방붕괴』(국방대학교 : 2003), pp 89
시행하기에 이르렀다.27) 하지만, 이후 차우체스크는 김일성의 정책을 모방하면
민족문제 해결을 위해 고르바초프가 제시한 해결안은 다음과 같다. 26)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체제붕
◯1 강제이주를 당한 제 민족들에 대한 모든 탄압법이 불법이고 범죄적임을 괴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 7
인정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장함에 대한 선언 루마니아는 중ㆍ소 분쟁의 와중에서도 중국과 통상협정을 맺고, 소련에 반목했던 알바니아
◯2 발트 3국에 독자적인 화폐 발행권 부여 와 관계개선을 하는 등 반 스탈린, 반 소련의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3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 공화국에 복수정당제 도입을 허용하는 제 조치 27)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체제붕
25) 정경란, 『옐친정권의 성립과정』(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2), pp 66 괴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 5
옐친은 쿠테타 기간 중 러시아 영토내의 소비에트 군사력에 대한 통제권을 자신에게 부여 기존의 소련식 국호였건 로미니아를 루마니아 식 국호인 로마니아로, 교육 부분에서 러시
했고, 쿠테타 이후에도 연방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을 러시아 정부의 감독 하에 두는 등 쿠테 아어를 퇴출하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서방세계의 언어를 대폭 강화했으며, 공산권 국
타 기간동안 확보한 권한을 고르바쵸프에게 양도하지 않았다. 가로서는 처음으로 1967년에 서독과의 관계를 정상화 했다. 이 후 1969년에는 닉슨 대통령
- 23 - - 24 -
서 쇠락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28) 주로 농업 기반의 경공업위주의 기반시설이 고르바쵸프의 루마니아 연설은 체제내부에서 팽배해있던 엔트로피를 기폭시킬
주를 이루었던 루마니아의 경제에 중공업 위주의 육성정책을 과도하게 시도한 매개체로서 사상적 충격을 가하게 된 것이다.30) 루마니아에 가해진 구 소련의
것이다. 대규모 제철공장과 정유공장이 건설되는데 막대한 자원을 투자했으나,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과 고르바쵸프의 연설로 인한 사상적충격의 여파는 퇴
부족한 원자재, 세계적인 경제 불황, 석유 생산량 감소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 케슈목사를 중심으로 한 종교지도자의 집회로 번져갔다. 이미 헝가리. 체코,
서 어려웠던 루마니아의 경제상황은 그들이 모방한 북한처럼 악화일로를 달리 폴란드 등 주변 동구제국의 도미노적인 공산정권 붕괴현상을 목격한 차우체스
게 되었다. 엔트로피적 요소가 더욱 증가한 것이다. 크 정권은 집회를 불허했고, 결국 퇴케슈 목사 등 종교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체제내의 엔트로피를 억제하고 해소해야 할 귀중한 시간에 차우체스크는 김 뭉치기 시작한 시위군중들과 비밀경찰등의 물리적 충돌상황으로 번졌으며 사
일성처럼 자신을 우상화하는데 공을 들였다. 자신의 일가족을 국가의 주요 요 태가 악화일로로 번져가자 시위에 대한 무력진압 지시를 국방장관이 거부하는
직인 국방장관, 내무장관, 공산당 중앙위원외 위원직 등에 앉히는가 하면 급기 총체적 난국의 수렁으로 빠져들었다.31)
야 자신을 “인민의 가장 사랑스러운 아들, 현대 루마니아의 건설자, 탁워한 당
과 국가의 지도자, 영명한 공산주의 사상가”등의 호칭을 루마니아 공산당으로 이후 시위군중과 더불어 군이 공화국 광장으로 진격하여 차우체스크는 전격
부터 받도록 하는 등 오직 우상화 작업에만 열중했다.29) 그사이, 중공업 우선 체포되었으며 군 장갑차에 70시간 동안 감금되었다가 12월 25일, 군 기지에서
정책의 실패로 100억달러의 외채가 발생하는 등 루마니아체제 내부의 엔트로 불과 45분간의 군사재판 후 즉결총살됨으로서 루마니아의 체제변동은 절정에
피적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주민들은 감당하기 힘든 인플레이션의 폭주에 힘 도달했다.
겨워 했으나, 차우체스크 정권의 해결책은 불만단속을 위한 주거지 이동 제한
이었다. 급기야 식량이 부족한데도 불구하고 식량을 수출해야하는 기이한 현
상까지 벌어지자, 주민들은 이제 생존 자체를 위협받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루마니아의 인권문제를 거론하자 차우체스크는 미국이
부여해준 최혜국 혜택을 스스로 포기하여 서방세계로부터 경제적 단절 상황을
초래했다. 체계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엔트로피를 해소할 부엔트로피를 차단한
것이다. 급기야 1984년에는 차우체스크 제거작전이 실행되었으나 실패하는 등
체제내부의 엔트로피는 더욱 폭주하기에 이르렀다. 이 상황에서 1987년 5월
이 루마니아를 방문하는 등 동구권의 사회주의국가로서 상당히 전향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30)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체제붕
28) 차우체스크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면서 특히 모택동의 우상숭배와 평양의 제도화된 모습 괴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p 8
에 크게 감명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987년 고르바쵸프의 루마니아 방문기간동안 소련의 개혁을 설명하는 연설은 브레즈네프
박태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2(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7), 김석용, 시대의 개인숭배, 중앙집권주의, 국민과 당의 유리문제 등을 강력히 비판했지만, 실상은 소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체제붕괴와 북한 련의 자아비판적 성격보단 차우체스크 정권에 현 상황에 대한 비판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p 5 재인용
29) 정영태ㆍ김정신, 『루마니아 공산정권의 붕괴과정과 원인분석』(서울 : 통일연구원, 1999), 31) 미우라 모토히로ㆍ아마자키 히로야스 지음 / 미래경영연구회 옮김, 『동유럽혁명』(서울 :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체제붕괴 미래경영사, 1994),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p 4 재인용 루마니아 체제붕괴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국방대학교 : 2006) pp 12 재인용
- 25 - - 26 -
<표 20 – 8>루마니아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제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 할 수 있었다.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구 3. 중국과 베트남의 사례
분 대중적 집권세력 권력 종교적 활동 지도자의 중국과 베트남은 앞서 체제변동을 겪은 구 소련, 루마니아의 사례와는 달리
파급력 비판활동 엘리트의 증대 리더십약화
고조 분열 체제 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통해 현재까지도 사회주의
정권을 유지하는 체제유지의 사례를 보여줬다. 중국과 베트남은 개혁의 시작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단계부터 공산당이 주도권을 상실하지 않고 정치적 안정을 유지한 가운데 추
구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진한 특징을 보였다.
소 중국은 정치와 경제를 철저히 분리했다. 특히, 정치ㆍ사상적 측면에서 맑스
련 ○ ∙ ∙ ○ ∙ ∙ ○ ∙ ∙ ○ ∙ ∙ ○ ∙ ∙ – 레닌주의 및 마오쩌둥 사상을 철저히 견지하도록 하는 4항의 기본원칙을
(2) (2) (2) (2) (2)
견지함으로써 구 소련으로 시작된 페레스트로이카로 대표되는 사상적 충격을
지 최소화하여 정치적 안정을 추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2) 또한 중국 공
수 충격지수 : 10(변동) 산당 내부에 덩샤오핑으로 대표되는 개혁의 대안세력이 존재한 것과 문화혁명
의 4인방이었던 장칭, 왕훙원, 장준차오, 야오윈위안을 숙청함으로써 문화혁명
의 폐혜를 대안세력이 주도적으로 지적하여 사상적 충격의 여파를 흡수 할 수
루마니아의 사상적 충격지수를 측정지표에 의거 분석 한 결과, 체제변동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역시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
유발할 수 있는 ‘10’의 값이 도출되었다. 루마니아는 주로 경제적 원인으로 체 계획경제의 폐단과 마오쩌둥의 문화혁명의 폐혜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엔트
제내에서 증폭되어가는 엔트로피를 제어할 수단이 전무했으며 외부로부터 유 로피 요소가 체제내부에 팽배해 있던 상황이었으며 당장이라도 체제의 변동이
입될 부엔트로피 현상도 차단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이미 이 시점에 붕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으나 덩샤오핑의 실용주의적 리더십과 4항의
괴되었어야 할 차우체스크의 루마니아 정권이 고르바쵸프와 구 소련에 의한 기본원칙의 견지, 그리고 체제외부로부터의 부엔트로피 현상으로 볼 수 있는
사상적 충격을 받은 이후에 붕괴된 점은 본 연구에서 핵심으로 다루고 있는 대외개방을 점진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체제내부에 증폭되었던 엔트로피를 해소
사상적 충격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잘 보여준다 할 것이다. 한 것이다. 덩샤오핑은 소련붕괴 직후인 1992년 남순강화를 천명하여 개혁개
루마니아의 체제변동 사례를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할 때 사상적 방의 입지를 강하게 피력했으며 1992년 제 14대 중국 공산당 대회를 통해 ‘사
충격의 지수가 체제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충격지수인 ‘10’를 보일 때, 체계 회주의 시장경제’ 실시를 국가의 기본정책으로 삼을 것을 천명했으며 사회주
내 엔트로피적 요소는 이미 임계치를 넘어섰고, 미국으로부터 부여받은 최혜
국지위를 스스로 거부하여 외부로 볼 수 있는 서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부엔트로 32) 조명철, 『중국ㆍ베트남의 초기 개혁ㆍ개방정책과 북한의 개혁방향』 (서울 :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00) pp 16- 17
피가 전무한 상황을 고려할 때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은 임계치를 넘어 체 1979년 3월 개최된 중국 공산당 ‘이론사업원칙연구회’에서 4가지 기본원칙을 제시했는데. ◯1
사회주의 노선, ◯2 무산계급 독재, ◯3 공산당의 영도, ◯4 맑스 - 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
견지가 그것이다.
- 27 - - 28 -
의 시장경제론과 사회주의 초급 단계론을 그 이론적 근거로 제시함으로서 새 함으로서 체제 내에 증폭되고 있던 엔트로피적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로운 사상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제시했다.33)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 역시 중국을 비롯한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 계
<표 20 – 9>중국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획경제로 인해 국내 생산력이 붕괴되고 캄보디아 침공으로 서방세계와의 교류
가 단절되면서 주로 경제적 원인에서 비롯된 엔트로피적 요소들이 폭팔적으로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증가하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구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사상적
구 집권세력 권력 종교적 활동 지도자의 충격의 여파가 전해진 이후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되자 이젠 경제의
분 대중적 비판활동 엘리트의
파급력 증대 리더십약화 악화가 국력의 약화로 이어져 국가안보 등 체제의 전 방위적인 문제가 도래했
고조 분열 다. 이에 베트남 공산당이 내놓은 전략적 선택은 ‘도이모이’였다.34) 도이모이는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중국의 덩샤오핑식 개혁ㆍ개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베트남으로 유입
구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된 사상적 충격의 여파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사상의 근거로 작용함으로서 충
소 격을 상당부분 흡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베트남 역시 중국과 같이 스탈린식
련 ∙ ○ ∙ ∙ ∙ ○ ∙ ○ ∙ ∙ ∙ ○ ∙ ○ ∙ 계획경제체제에서 벗어나고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기 위해 민간의 생산을 활
(1) (0) (1) (0) (1) 성화했으며 각 경제단위 및 지방의 경영자주권을 보장하는 등 경제의 인센티
브 제도와 책임경제를 도입함으로서 무려 500%에 달하는 살인적인 인플레이
지 충격지수 : 3(안정) 션을 100%이하로 줄이는 등 체제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를 해소하는데 적극
수 성을 보였다. 특히 국유기업의 주도적인 역할을 전제로 한 ‘다부문 경제체제’
를 구축하여 기존의 국유 및 집체소유 외 사영 및 개인영업 등 다양한 소유주
중국의 사상적 충격지수를 측정지표에 의거 분석 한 결과, 체제안정을 유지 체를 인정한 점은 새로운 사상적 근거로 작용된 ‘도이모이’의 효과였다.35)
할 수 있는 ‘3’의 값이 도출되었다. 중국은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개혁세력 여기에 더하여 대외관계의 혁신적인 개선에도 나섬으로서 체제외부로부터
이 새로운 사상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시장경제’이론과 4항의 견지를 통해 유입되는 부엔트로피 현상을 극대화 시켜 체제 내부의 엔트로피 적 요소를 해
구 소련으로부터 유발된 사상적 충격의 여파를 최소화하여 체제를 유지할 수 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했다. 베트남은 경제협력과 교역의 대상을 구 소련, 동
있었다. 여기에 개혁개방을 통해 체제외부의 부엔트로피 현상의 유입을 유도 유럽 등의 기존 사회주의 국가들 뿐 아니라 일본, 대만, 태국, 필리핀 등 아시
아 국가들은 물론 프랑스, 영국, 호주, 미국 등 서방세계의 국가로 그 저변을
33)『imbc news』 34) 백학순, 『베트남의 개혁ㆍ개방 경험과 북한의 선택』(서울 : 세종연구소, 2003) pp 35-39
이번 중국 공산당 대회에는 사실상 스탈린식의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대한 마감과 등소평 사 도이모이정책 전의 베트남의 상황은 중국과의 전쟁, 캄보디아 침공으로 인한 국제적 고립
후를 겨냥한 권력후계구도확립이라는 두가지 최대의 굵직한 문제가 걸려있다. 과 미국의 베트남 경제봉쇄, 열악한 생활환경 등으로 심각한 난관을 겪고 있었다. 베트남어
첫째,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대한 종지부는 지난 78년 11기 3중전화에서 채택된 개혁개방노 로 ‘도이 모이’ 는 쇄신을 뜻한다. 이후 ‘도이 모이’은 ‘칸 탄’, ‘콩 하이’와 함께 1986년 제 6
선과 나아가 중국식 사회주의를 선언한 82년 제 12차 당대회, 특히 금년 초 소위 등소평의 차 당대회 이후 베트남 공산당의 중심이념이 되어왔다.
남순강화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오랜 실험 과정을 통해 당의 지도노선으로 굳어졌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2/1749134_19402.html)(검색일자 : 2017. 3. 20) 35) 이철훈, 『사회주의체제 붕괴와 북한의 대응정책』(국방대학교 : 2003), pp14
- 29 - - 30 -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반베트남적인 국가였던 인플레이션이 500%가 넘어가는 통제불능의 상황에서도 체제변동이 일어나지
태국이 1988년 베트남과 관계개선을 표명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중국 않은 것은 매개체로서 역할을 해야 될 사상적 충격이 체제안정을 유지할 수
의 침공을 겪었음에도 1991년 중국과 국교를 정상화 시키는 등 매우 파격적인 있는 ‘3’의 값을 보임으로서 체제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들을 기폭시키지 못했
외교행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통상, 외자유치, 대외무역규모 확대 등 경제적 고, ‘도이모이’라는 새로운 사상의 제시로 더 이상의 사상적 충격이 발현되지
증산의 효과를 톡톡히 봄으로서 체제 내부의 엔트로피 요소를 해소하는데 큰 못하도록 억제한 것이 크다 할 것이다. 여기에 전향적인 대외관계 개선을 통
기여를 했다. 정치적 Risk를 감내해서라도 국내 경제발전을 통해 엔트로피적 해 외부로부터의 부엔트로피 현상을 파격적으로 증대시켜 주로 경제적 원인이
요소를 해소한 베트남의 사례는 사상적 충격의 억제와 부엔트로피 현상의 증 었던 체제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
대가 어떻게 체제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를 해소하여 체제를 유지시키는가를 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측면에서 중국과 베트남의
잘 보여주고 있다. 사례를 분석했을 때, 사상적 충격의 지수가 체제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충격
지수인 ‘3’를 보이며, 새로운 사상의 제시로 추가적인 사상적 충격이 억제되어
<표 20 – 10>베트남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발현되지 않을 때, 체계 내 엔트로피적 요소는 임계치를 유지지하며, 적극적인
개혁ㆍ개방으로 체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엔트로피가 증대된 상황을 고려할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때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은 임계치에서 줄어들어 체제를 유지한 것 으로
구 집권세력 권력 종교적 활동 지도자의 분석 할 수 있었다.
분 대중적 비판활동 엘리트의
파급력 고조 분열 증대 리더십약화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구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련 ∙ ○ ∙ ∙ ∙ ○ ∙ ○ ∙ ∙ ∙ ○ ∙ ○ ∙
(1) (0) (1) (0) (1)
지 충격지수 : 3(안정)

베트남의 사상적 충격지수를 측정지표에 의거 분석 한 결과, 중국과 같이


체제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3’의 값이 도출되었다. 수많은 인민들이 굶어죽고

- 31 - - 32 -
제2절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한 북한체제 변동가능성 <표 20 – 11> 북한의 인구ㆍ명목 GNIㆍ경제성장률
구 분 단위 ‘15 ‘14 ‘13 ‘12 ‘11 ‘10 ‘09 ‘08 ‘07 ‘06 ‘05 ‘04
1.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 분석 인 구 천명 24,7 24,6
79 62
24,5
45
24,4
27
24,3
08
24,1
87
24,0
62
23,9
34
23,8
49
23,7
07
23,5
61
23,4
11
명 목 십억 34,5 34,2 33,8 33,4 32,4 30,0 28,6 27,3 24,8 24,4 24,7 23,7
G N I 원 12 36 44 79 38 49 35 47 27 29 92 67
1인당
(1) 경제적 엔트로피 요소 G N I 만원 139 139 138 137 133 124 119 114 104 103 105 102
경제 -1. -0. -0. -1. -1.
북한의 체제내부에서 엔트로피적 요소를 지속적으로 증폭시키는 가장 대표 성장률 % 1 1.0 1.1 1.3 0.8 5 9 3.1 2 0 3.8 2.1
적인 원인은 경제이다. 이는 단기적인 문제가 아니라 김정일 시대부터 김정은 출처 : 한국은행 북한 GDP관련통계
시대까지 지속되어온 장기적인 문제이나, 경제적 요인에서 기인된 엔트로피적
요소들은 북한 체제를 변동시킬 결정적인 변수는 되지 못하고 있다. 경제적 북한 경제는 김정은 집권 후인 2011년부터 미약하게나마 플러스의 성장률을
문제는 북한 인민들이 태어나기 전부터 팽배해 있는 만성적인 가난으로 경제 보였으나, 핵무력 및 경제건설 병진노선을 채택한 2013년부터 다시 감소세로
적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는 일종의 쇼크증상으로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정치, 돌아섰으며 2015년부터는 마이너스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군사 등 체제의 모든 부분에서 엔트로피적 요소를 증대시키는 근원적 원인으 북한경제의 마이너스 성장률은 북한의 주요 산업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쳐 국
로 작용되고 있다.36) 가경제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의 북한체제는 경제정책의 기조로 ‘핵무력 및 경제건설 병진노선’을
채택하여 핵무력의 건설 및 강화가 현 시대에서의 혁명발전에 합적칙적인 요구이 <표 20 – 12> 북한의 주요 산업 성장률
며 이를 포기하지 않고 동시에 경제건설을 병행할 것을 주장했다.37) 이는 북한의 구 분 ‘15 ‘14 ‘13 ‘12 ‘11 ‘10 ‘09 ‘08 ‘07 ‘06 ‘05 ‘04
전통적인 경제정책의 기조였던 김일성시대의 3대 경제건설 노선인 ‘자립적 민족경 농림어업 -0.8 1.2 1.9 3.9 5.3 -2.1 -1.0 8.0 -9.1 -2.6 5.3 4.1
제 건설 노선’, ‘중공업 우선 발전 노선’, ‘경제ㆍ국방 건설 병진노선’에서 유래한 것으 광공업 -3.1 1.1 1.5 1.3 -1.4 -0.3 -2.3 2.5 1.0 0.9 4.3 1.0
광업 -2.6 1.6 2.1 0.8 0.9 -0.2 -0.9 2.4 1.5 1.9 3.1 2.5
로 볼 수 있는데 그중 ‘경제ㆍ국방 건설 병진노선’이 김정일 시대의 ‘선군경제건설노 제조업 -3.4 0.8 1.1 1.6 -3.0 -0.3 -3.0 2.6 0.7 0.4 4.8 0.3
선’으로 발전되었으며 김정은 정권에 이르러 ‘핵무력 및 경제건설 병진노선’으로 발 경공업 -0.8 1.5 1.4 4.7 -0.1 -1.4 -2.1 1.3 -2.2 -0.6 3.8 -0.2
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화학 공업 -4.6 0.5 1.0 0.2 -4.2 0.1 -3.5 3.2 2.2 1.0 5.4 0.6
전기가스 -12. -2.8 2.3 1.6 -4.7 -0.8 0.0 6.0 4.8 2.7 4.4 4.7
수도업 7
건설업 4.8 1.4 -1.0 -1.6 3.9 0.3 0.8 1.1 -1.5 -1.1 6.1 0.4
5
서비스업 0.8 1.3 0.3 0.1 0.3 0.2 0.1 0.4 1.7 1.1 1.3 1.3
36) 북한 인민들은 가난은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는 것 같다. 마치 죽음을 앞둔 신체 국내총생산 -1.1 1.0 1.1 1.3 0.8 -0.5 -0.9 3.1 -1.2 -1.0 3.8 2.1
에서 엔돌핀이 과다분비되어 오히려 통증을 자각하지 못하는 현상과 동일해 보인다. 출처 : 한국은행 북한 GDP관련통계
37) 조선중앙통신『2013년 3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보고 전문』(2013. 4. 2)
- 33 - - 34 -
증가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거래와 교환등으로 상당한 부를 축적하여 ‘돈주’로
북한의 주요 산업들 역시 핵무력 및 경제건설 병진노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성장하기도 했다.38) 돈주들의 성장은 초기단계의 자본주의 세력의 성장으로
분석된다. 2013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 주요 산업들의 성장률은 2015년부터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엔트로피적 요소로 성장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려명거리와 마식령 스키장 등 일부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한 건설업의 성장 이외에는
전 분야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인민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2) 군사적 엔트로피 요소
농림어업과 전기가스수도업, 제조업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인민들의 생활고를 경제적 엔트로피요소의 증가는 곧 군사적 엔트로피 요소의 증가로 이어지고
늘리는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며 북한 경제를 체제 내의 엔트로피적 요소로 있다. 북한은 핵무력 및 경제건설 병진 노선을 건설하기 위해 북한식의 국방
발전시키고 있다.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이 2016년 5월 개회된 제 7차 조선노동당대회 개혁을 통해 기존의 3군체제를 전략군을 신설한 4군체제로 개편했다
사업총화 보고에서 경제부문을 직접적으로 다음과 같이 비난한 것으로 볼 때
북한 정권도 전통적인 체제내의 엔트로피적 요소였던 경제부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경제전반을 놓고 볼 때 어떤 부문은 한심하게 뒤떨어져 있으며 경제부문들
사이 균형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고, 선행부문이 앞서 나가지 못하여 경제발전에
지장을 주고 있다.”
북한체제의 만성적인 경제적 문제는 인민들의 생계와 직결되는 장마당의 물가에도
영향을 미쳐 하부구조로부터의 시장화 현상을 일으키고 있으며 그 결과 장마당이
전국적인 범위로 확산되어 모종의 유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표 20 – 13> 북한 1인당 국민 총소득 대비 장마당 물가
구분 쌀값(1kg) 옥수수(1kg) 돈육(1kg) 휘발유(1kg) 디젤유(1kg)
북한 1인당 국민 1인당 국민 총 소득 130,635원
총 소득(GNI)
평양 4,900 1,750 12,400 13,150 10,820
GNI 대비 3.75% 1.33% 9.49% 10.06% 8.28% 38) 『시사상식사전』
출처 : 데일리 NK, 북한 장마당 물가(2017. 5. 18 부)를 참조하여 필자가 재구성 북한의 신흥 자본가, 제조업, 부동산, 고용시장 등 사회 대부분의 자본에 관여하고 있으며
주로 평양, 청진, 원산, 함흥 등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 경제의 시장화 현상의 확산으로 장사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인민들이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ld=3566418&cid=43667&categoryld=43667)
- 35 - - 36 -
. <표 20 - 14> 김정은 집권 후 군사지휘구조 주요 변경내용 및 예상효과 분석
<그림 11 - 4> 김정은 집권 후 군사지휘구조 변경도
◯1 2012년 북한군 지휘구조
2014년 ⇨ 2016년 주요변경내용 / 예상효과 분석

ㆍ하이브리드 전쟁에 적합한 상부지휘구조 구성

국방위원회 ⇨ 국무위원회 (군사, 경제, 외교, 선전선동, 청년정책 등 총괄)

ㆍ기존 안보중심에서 대남공작, 외교, 안보 등 기능 확대

ㆍ기존 인민보안성 7ㆍ8총국이 각각 공병군단과

도로건설군단으로 개편

인민무력부 ⇨ 인민무력성 ㆍ평시 김정은 치적을 위한 도시건설 등 동원

◯2 2014년 북한군 지휘구조 ㆍ유사시 각 집단군별 도하 및 기계화부대 진격


속도 보장 가능

보위사령부 ⇨ 보위국
ㆍ주민통제 기능 강화
ㆍ당, 김정은에 대한 불순세력 색출 강화

ㆍ육군, 해군, 항공 / 반항공군과 함께 제 4의

전략 로케트
사령부
⇨ 전략군
군종사령부로 승격

ㆍ핵 및 탄도탄 전력의 전략적 활용으로 유사시


◯3 2016년 북한군 지휘구조 미 증원 전력의 효과적 차단 가능

ㆍ한ㆍ미연합전력에 비해 절대적 약세인 공군전력을

공군사령부 ⇨ 항공/반항공

보완하기 위한 대공방어 역량 강화

ㆍ기존 전술임무기 위주에서 대공 유도탄, 고사포


등의 지상 전력의 강화로 효과적 대공방어망 구축

출처 : 2012, 2014, 2016 국방백서

- 37 - - 38 -
<그림 11 – 5> 북한 전략군 편제 및 작전능력 분석 <표 20 – 15> 북한 전략군 주요 탄도탄 전력 분석
명칭 외형 사거리 최초공개 플랫폼특징
KN-02 3축10륜
(CRBM) 120km 2002년
자행발사대
SCUD-B
(SRBM) 300km 1981년

SCUD-C 4축 8륜
(SRBM) 500km 1989년
자행발사대
SCUD-ER
(MRBM) 1,000km 2016년

노동 5축 10륜
(MRBM) 1,300km 1993년
자행발사대
북극성-1
(SLBM) 약 500km 2015년 전략잠수함

북극성-2 궤도형
(MRBM) 약 1,300km 2017년
자행발사대
무수단 6축 12륜
(IRBM) 3,500km 2016년
자행발사대

KN-17 6축 12륜
(IRBM) 5,000km(추정)2017년
자행발사대

출처 : 이윤걸, 북한 전략정보서비스센터 대표의 주장39)과 북한 탄도, 유도탄 KN-08


사거리 별 주요 타격지점을 종합하여 필자가 분석 (ICBM) 12,000km 2013년
8축 16륜
KN-14 자행발사대

또한 다양한 사거리의 전략ㆍ전술 탄도탄을 개발 및 배치하고 있으며 우라 (ICBM) - 2015년

늄탄에서 수소탄에 이르기까지 다종의 핵탄두를 실험 및 보유하는 등 전략군 대포동-2 10,000km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ICBM) 이상
2012년 지상발사대

39) 이윤걸, [단독], 북한 핵 발사체 주도세력 ‘전략로켓사령부’ 내부조직도 최초공개,


- 39 - - 40 -
<그림 11 – 6> 북한이 개발 및 공개한 핵탄두 모형 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그림 11 – 7> 공동경비구역으로 탈북한 북한군과 추격조

핵탄두 배치 현황판 내폭형 탄두모형 KN-14 수소탄 모형


탄두결합부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 노동신문(2016, 2017)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 핵무력에 대한 북한정권의 집착과 경
전략군의 건설 및 전력화는 김정은 정권이 유지하고 있는 핵무력 및 경제건설 제적 엔트로피요소의 증대는 결국 체제에 거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군사
병진 노선의 핵심으로 체제를 보호할 마지막 수단으로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 력이 엔트로피적 요소로 변질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 그러나 기존의 방대한 재래식 전력과 핵탄두의 개발 및 실험, 운반체인 탄도
탄의 개발 및 실험, 그리고 전력화된 탄도탄의 유지보수 및 관리는 허약하기 그 (3) 리더십의 엔트로피적 요소
지없는 북한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므로 부족한 자원의 핵무력 김정은의 성장 및 성격을 분석하면 충동적, 파괴적, 반사회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는 보급부족이 만성화된 북한군 전체에 심각한 영 1983년 1월 8일 재일동포인 고경택의 딸 고영희와 김정일 사이에서 태어난 김정
향을 미치고 있다. 2017년 11월 13일, 공동경비구역을 통해 귀순 중 총격을 받 은은 1996년 9월부터 2000년 가을까지 스위스 베른에서 유학했다. 당시 학교와 집
은 북한군은 기생충이 수십마리에 이를정도로 장기 오염이 심각했다.40) 북한 을 오가는 것 외에는 거의 외출을 하지 않았으며 농구를 비롯한 스포츠, 영화, 컴
군의 만성적인 보급부족으로 인한 열악한 근무환경은 전투원의 기본적인 건강 퓨터에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10월 북한을 방문했다가 2017년 7월
을 보장하지 못할 수준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급부족으로 현재까지도 수개월 째 행방불명중인 일본인 요리사 후지모토 겐지씨는 김정일 일
인한 열악한 근무환경은 비단 건강 및 임무수행능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 가의 전속 요리사로 근무하며 3명의 북한 왕자들을 가장 가까운곳에서 관찰
니다. 귀순한 북한군 병사는 수술 후 의식을 회복하자 대한민국의 걸그룹 노래 한 인물이다. 그는 故 김정일이 병이 깊어지자 3명의 왕자들 중 3남인 김정은이
청취를 희망했다. 이는 북한군의 사기 역시 보급부족에 따른 영향을 심각하게 받 후계자가 될 것으로 일찍이 예견해 왔었다. 후지모토 겐지씨의 증언에 의하면
40) MBN, 군병원 이동 검토 오XX 귀순병사, “북한 생활상에 대한 창 될 것”(검색일 : 2017. 11. 28) 김정은은 유년기부터 차남인 김정철과는 달리 지도자적 자질을 가지고 있었으
브라이런 훅 미 국무부 정책기획관은 귀순한 북한군 병사가 총상에 더해 B형 간염을 앓고
있는데다 장에서 최대 27cm에 이르는 기생충 수십마리가 나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며 리더십과 권력욕이 있었다는 평가를 하고 있으며, 그가 회상한 김정은의 유
년기 시절 중 한 대목은 김정은의 승부욕과 호전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목이라
- 41 - - 42 -
할 수 있다. <표 20 – 16> 김정은의 성격분석
항목 내용 사례
“김정은이 8세쯤 됐을 때다. 김정은이 이종사촌과 바둑판에 흑돌ㆍ백돌을 ∙ 조기 해외 유학 등 다양한 교육으로 박식하고 - 슈타인휠츨리
옮기며 승부를 겨루는 ‘오셀로’라는 게임을 할 때 구경하던 김정철이 ”거기가 인지력 판단력 있으나, 자신의 주장에 대한 편집적 공립학교 유학
아니라 여기“라고 훈수를 뒀다. 김정은이 그 말을 따랐다가 실점하자 바로 그 사고가 강함
돌을 집어 형의 얼굴에 던졌다.” 성취욕 ∙ 보통의 성취욕 보유 - 유년기 성적
김정은이 재학했던 스위스 베른의 윌리 스튜더 구청장은 김정은에 대해 다음과 창조력 ∙ 상상력 풍부, 엉뚱한 발상으로 문제에 접근 -- 마식령 스키장
여명거리 준공
같은 의견을 보였다. 수용력 ∙∙ 성격이 급하고 참을성이 부족함
반대의 의견을 잘 수용하지 못함
- 리영호, 현영철
장성택 등 숙청
“이 학생은 다른 학생들과도 잘 어울렸으며 부지런하고 야심에 차 있었다. ∙ 현실에
적응력 현실극복의지 높음대한 인지가 높으며 변화를 통한 - 핵, 탄도탄 개발
그의 취미는 농구였다.”
감정 ∙∙ 권력에 대한 욕구, 공포, 의심 높음
자신의 존재에 대한 불안감
- 김정남 암살
- 강화된 우상화
이후 2001년에 귀국한 김정은은 2002년부터 2007년 4월까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자아통제훈련 부 족으로 즉흥적, 저돌적
- 예정에 없는
특설반에서 공부를 했으며 2005년부터 2년간 김일성군사종합대학 교수들로부터 철학, 자아 방법을 사용, 권위의존적 경향 - 사진 촬영 등

역사, 경제학, 군사학 등을 개인교습 받았다고 한다.41) 유년기부터 조기유학을 실 (ego) ∙∙ 극단적
감정기복이 심하고 조울적 성향 모란봉악단
돌연 철수
시한 김정은은 국제적인 감각과 해외의 선진문물을 접하고 나서 주체사상, 선 갈등 ∙ 공격적, 저돌적 행위를 통한 해결 - 탄도탄 도발
군정치, 군사학 등을 개인교습 받는 등 그의 아버지인 故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처리 - 목함지뢰, 포격도발
계승할 후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은 조기 해외 출처 : 각 관점별 사례를 통한 김정은의 성격을 필자가 분석
유학등으로 높은 수준의 인지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수용력이 저조하고 자
신의 지위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지니고 있으며 자아적 측면에서 감정기복이 심 김정은은 그의 아버지인 故 김정일과 달리 후계자로서의 승계기간이 짧았다는 차
하고 갈등처리방식을 공격적 행위를 통해 해소하려는 경향으로 분석했다.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김정은은 그의 아버지와 같은 업적이 없으므로 인민들에게
대중 친화적이고 애민적 지도자의 이미지를 형성해 나갔다. 반면, 故 김정일 시기에
권력에 중심에 있었던 엘리트들에게는 무자비한 숙청으로 경험과 업적이 부족한
젊 은 영도자에 대한 맹 목적인 충성을 강요하고 있다. 권력기반이 취약했던
김정은의 조기 안정화는 김정일에 의해 사전 치밀하게 조직된 시스템에 의해
가능했다. 2009년 사회주의 헌법 개정과 내각의 개편 그리고 2010년에 개최된
41) 기관성, 『북한 김씨일가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국방대학교 : 2014) p41 제 3차 당대표자회의에서 당 규약을 개정하는 등 약 3년간에 걸친 치밀한
- 43 - - 44 -
사전 준비는 2011년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에도 흔들리지 않고 그의 유훈에
따라 당 정치국 회의를 거쳐 약관의 김정은을 최고사령관으로 추대한 것이다. <표 20 – 17> 김정은 집권 후 주요인사 숙청내용
상부조직에 대한 개편과 동시에 인민대중들에게는 ‘발걸음’노래, ‘대장복’구호 이름 사유 조치
등을 보급하는 등 후계자 승계의 정당성 구축작업 또한 병행하여 실시했다. 리영호 ∙김정은이 군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김정은은 집권 한 뒤에 부족한 자신의 업적을 쌓고, 인민들에게 다가가는 애민의 (인민군 총참모장) 과정에서 비협조적인 태도 처형
지도자상을 구축하기 위해 미림승마클럽, 마식령 스키장, 문수물놀이장, 능라인민유원지, 장석택 ∙국가전복음모, 장성택 우상화, 최고사령관 고사총 처형
여명거리 등 국가의 능력에 비해 거대한 토목사업을 진행해왔다. 여행자체가 (국방위 부위원장) 명령 불복, 부정부패 등
현영철 ∙김정은에 대한 불만 표출, 지시 불이행, 고사총 처형
자유롭지 못한 북한에서 인민들이 마식령스키장을 이용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인민무력부장) 김정은 주재 행사에서 조는 모습 적발
1일 이용권의 가격인 25유로는 일반 북한 국민들의 1달치 월급을 모두 투자해도 변인선
살 수 없는 비싼 가격이다. 평양의 스카이라인을 바꿀 여명거리는 겉보기엔 (총참모부 작전국장) ∙대외 군사협력 관련 김정은에 이견 제시 처형
노경준 4계급 강등
현대식의 건물들로 북한의 주택난 해소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나, (최고사령부 1여단장) ∙ 김정은 별장건설 부진 1여단 해체
김정은이 기한을 정하여 지시하는 토목공사로 인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김용진 ∙자세불량 지적, 반당 반혁명분자, 현대판
공사가 진행되어 부실공사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14년 5월 평양에서 공사 중이던 (내각 부총리) 종파분자 처형
23층 아파트가 무너져 수백명이 사망한 사건이 대표적일 것이다. 이처럼 김정은의 황병서
치적쌓기에 동원된 토목공사들은 대부분 현실을 도외시하고 인민대중의 삶과 (총정치국장) ∙ 당에 대한 불손한 태도, 인민무력성 미확인
김원홍 산하 외화벌이 기관 장악
거리가 있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에 중ㆍ장기적으로는 김정은의 리더십에 (제1부국장)
타격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젊은 층에서는 출처 : 연합뉴스, 통일부 등(검색일 : 2017. 11. 29)
김정은의 인기가 날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의 인민들도
남한이 얼마나 잘사는지 잘 알고 있다. 최근 북한 내에서 자생되고 있는 초기 신진세력의 성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권력엘리트들을 숙청하고 그들의
형태의 자본세력이라 할 수 있는 돈주들과 북한의 젊은 층들은 남한 주도로 통일이 절대 충성을 받아내는 과정에서 보여준 비인도적인 모습은 군부와 당, 내각 등의
된다면 남한의 자본력에 압도될 것을 충분히 우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엘리트들을 동요하게 만들었으며,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는 핵 및 탄도탄 프로그램으로
대부분의 북한 젊은 층들과 돈주들은 남한과의 통일보단 김정은 체제하에서 ‘오늘보다 인한 국제적 대북제재는 엘리트들의 동요를 더욱 심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조금 더 나은 내일’을 희망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더군다나 돈주들은 2016년 8월 17일 북한의 주 영국공사였던 태영호가 일가족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앞서 북한의 경제에서 살핀바와 같이 현재 김정은의 내각과도 깊은 연계성을 망명을 왔는가 하면, 평양시 제2경제위원회 설비국장이 남포항을 통해 탈북을
지니고 있고 그런 그들에게 김정은의 초기 집권과 정권의 안정화 단계에서 보여준 시도하다 당국의 검문으로 체포 및 처형되기도 했다.42)
기득권 세력에 대한 무자비한 숙청은 다른 의미에서는 북한의 젊은 세대들
에게는 또다른 기회로 다가올 개연성이 충분하다. 늙고 부패한 권력 엘리트 계층과
적폐세력에 대한 척결로 느껴질 것이며, 소위 김정은의 ‘홍위병’역할을 자처할 42) 연합뉴스, 『“평양시 군수담당 간부, 작년 탈북하다 걸려 처형”』(검색일 : 2017. 7. 9)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992993)
- 45 - - 46 -
<그림 11 – 8> 흔들리는 북한 권력엘리트 공산당 지도부가 보여준 일관된 실리정책의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보다 근원적인
부분인 것이다. 이 부분을 외면한 채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훼손된 것으로 주장하는
일부 낙관적인 평가들은 북ㆍ중 관계의 표면적인 부분만 보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대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중국 공산당의 만주성위원회의 예하였던 동북인민혁명군에
김일성이 활동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김일성은 6.25 전쟁 중
펑더화이로부터 받은 군사적 능력에 대한 모멸감과 중국군이 합동명령권을 행사하는
수모, 그리고 미국 공군의 계속된 폭격으로 물리적 파괴와 인명의 손실이 심각했음에도
중국과 소련의 종용으로 휴전을 하지 못했던 기억43)은 북한으로 하여금 중국이
한국으로 망명한 태영호 공사 숙청(처형)당한 궁석웅 외무상 일방적인 신뢰의 대상이 아닌 냉정하고 준엄한 국제관계속에서 전략적 이해관계로
발전되도록 이끌었다. 2012년 11월부로 집권한 시진핑 체제의 중국 지도부는
출처 : 연합뉴스, 중앙일보(검색일 : 2017. 7. 9) 북한을 ‘정상국가’의 관계로 지향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단둥과 선양 등 중국의
동북지방의 경제 발전과 자국의 안보적 이익을 위해 북한에 대한 지원을 끊이지
본 연구에서 충동적이며 파괴적이고 반사회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는 김정 않고 실시하고 있다. 또한 북한을 통제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중국의 지위를 더욱
은의 리더십은 기득권 세력 및 권력엘리트에 대한 숙청을 통해 단기적인 측면에 공고히 하려는 차원에서 북한의 핵과 탄도탄 개발은 강력히 규탄하는 외교적
서 젊은층과 돈주를 중심으로 한 신흥 자본세력의 지지기반을 공고히 하여 인민 수사를 구사하면서 정작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제재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대중에 친화적인 애민의 수령상을 확립하고자 하고 있으나, 장기적인 측면에선 보이고 있다. 북한 역시 이런 중국과의 관계를 적절히 이용하여 국제사회의 대북
기득권 세력 및 권력엘리트의 분열을 초래하고 있다.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측 제재를 피하면서 핵과 탄도탄 등 전략 무기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면에서 분석 할 때, 김정은의 이와같은 공격적 성향의 리더십은 사상적 충격의 2014년부터는 경제적으로 대중국의존도가 무려 90%에 육박하는 등 편향적
측정지표 중 하나인 권력엘리트이 분열을 야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 의존성을 보이고 있다. 중국 역시 대북 광물자원 투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이 화성-14형 ICBM을 발사한 하루 뒤인 현지 시간으로 2017년
2. 북한체제의 부엔트로피적 요소 분석 7월 5일에도 중국과 북한을 이어주는 압록강 철교에는 수십대의 화물트럭이
구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사회주의 국가들이 차례로 붕괴되어 냉전이 종식되자 통관을 위해 대기하는 등 중국과 북한을 끊임없이 오가고 있으며 단둥지역의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우방국은 크게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정권이 43) Kathryn Weathersby, 『북-중-소 삼각관계가 6ㆍ25 전쟁 과정과 전후 북한외교 행태에 미
유지될 수 있는 결정적인 원인 중 하나로 체제 외부에서 유입되는 부엔트로피적 요소를 친 영향, 기밀해제문서를 중심으로』(정신문화연구원 제 33권 제3호 : 2010) pp 131〜137
김일성은 중국을 신뢰하지 않았고, 전쟁모의 최초단계에서부터 스탈린이 지시한 ‘유사시 중
들 수 있다. 북한체제의 대표적인 부엔트로피 요소는 중국 및 러시아와의 관계이다. 국에게 지원 요청할 것’ 이라는 지시도 무시하고 소련에게 먼저 지원을 요청하는 등 중국에
대한 불신을 숨기지 않았다. 이는 동북항일연군에서부터 계속되온 중국인들의 무시와 멸시,
수세기에 걸친 중국의 한반도 내정간섭등의 역사적 영향이 크게 작용되었을 것이다. 더불어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약 60년 전 북한 정권이 수립되기 전부터 형성되어 온 상 김일성의 군사적 능력에 대한 펑더화이의 모멸적 무시, 합동명령권을 중국군이 행사하는 수모,
중국 공군을 키우기 위해 휴전 협정은 반대하고 북한의 물리적 파괴와 인명손실을 강요하면
호간의 전략적 이해관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최근 중국 서 북한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은 취하지 않는 태도 또한 북한이 중국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
는 이유 중 하나 일 것이다.
- 47 - - 48 -
<그림 11 – 9> 중국의 대북 광물자원 투자 무역상들과 택시기사들도 북한 상인들의 수가 줄어들지 않았다고 증언한바 있으며,
유엔 제재 품목인 금과 은 역시 별다른 제재없이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구입된 금은 중국 남부의 광저우 귀금속 제조 공장으로 보내져 중국전역으로
<그림 11 – 10> 허울뿐인 대북제제

북한으로 향하는 무역트력 단둥 세관에서 북한 출입 대기중인


차량
출처 : NEWS 1 (검색일자 : 2017년 7월 6일)
유통되고 있다.
단둥지역의 섬유공장에서 근로하는 노동자의 대부분은 북한 노동자들이며 이들이
받는 임금은 김정은 정권의 유지를 위한 외화벌이로 넘어갔을 것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44) 중국은 북한의 계속되는 핵 개발와 탄도탄 도발에는 대외
적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배해선 않된다.”는 형식적인 입장을 준용하는 수
준에 그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주한미군의 THAAD 배치만을 우려하는
지극히 자국중심의 이기적인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는 북한의 탄도탄 도발에
대한 시진핑 지도부의 그간의 입장이었던 쌍궤병행(한반도의 비핵화, 북미 평화체제
구축), 쌍중단(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과 한미연합훈련의 동시중단)에서 변하지
44) NEWS 1, 『미사일 도발 불구 북중 접경지 교역량 ‘평소수준’』(검색일 : 2017. 7. 7)
출처 : 통일부 국회 국정감사 제출자료(2009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28
25800)
- 49 - - 50 -
않는 입장이므로 북한의 도발에도 중국은 국제사회와 목소리만 같이하고 뒤에서는 <표 20 – 18> 김정은 체제의 북ㆍ중 인사교류 현황
실익을 챙기려는 그간의 태도에서 변할 여지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진핑
지도부는 쌍궤병행과 쌍중단의 실천적 과제로서 2016년 4월 5일 대북 수출입 날짜 상호교류현황
금지품목 25종을 발표하여 대외적으로 북한을 제재하겠다는 의지를 밝힌바 있 2012. 7 북한 인민보안성 대표단 중국 방문
고 2016년 4월 28일에는 ‘제 5차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 외교장관회의’
기조연설에서 북한에 대한 제재의사를 재차 강조했으며 같은 해 6월 14일에는 2012. 7. 30 〜8. 30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대표단 단장 왕자루이 부장 외 일행 북한 방문
대북 수출금지품목을 확대하는 등 북한의 전략무기체계 개발 및 도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강조 하고 있으나, 단둥 등 접경지역에서의 대북 무역은 변함이 2012. 8 북한 당중앙위원회 장성택 부장외 북ㆍ중 공동지도위원회대표단 중국방문
없는 것이 들어나고 있다.45) 스스로 수입금지 품목으로 지정한 금과 석탄, 철광
석 등이 변함없이 신의주와 단둥을 오가는 등 애시당초 이를 지킬 의지가 없었 2013. 5 김정은 특사자격으로 최룡해 전 인민군 총정치국장 중국방문
음이 명백한 것으로 보아, 북한 체제를 보호하여 중국의 국익을 챙기려는 모
습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잘 알고 있는 김정은 정권은 북ㆍ 2015. 9 최룡해 노동당 비서의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
중간의 인사교류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의 외교적 입장과 상관없이 핵 2015. 10 중국 류윈산 상무위원의 북한 노동당 70돌 경축행사 참석차 북한방문
개발 및 탄도탄 개발을 지속하는 등 국제사회의 대북공조에 균열을 내어 북한으로
집중될 수 있는 위협을 분산하기 위한 헤징전략을 다각도로 구사하고 있는 것 2016. 2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한반도 사무특별대표의 북한방문
으로 볼 수 있다.
2016. 5 북한 노동당 대표단의 중국 방문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측면에서 분석할 때 중국은 북한체제가 유지되도록 체제
내부의 엔트로피 요소를 해소해줄 부엔트로피적 요소로서 작동되고 있다. 유엔제제 2016. 10. 24 류젠민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북한 방문
품목인 금과 은이 거래되고 단중지역에선 대규모 섬유공장에 노동자들이 근무하여
외화를 벌어들이는 등 경제적 엔트로피 요소의 팽창을 중국이라는 부엔트로피적 요 2017. 2. 7 주중 북한대사관 연회 참석
왕자루이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외 다수
소로 충분하진 않지만 체제가 유지될 만큼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17. 4. 12 주중 북한대사관 연회 참석
왕자루이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외 다수

45) Daily NK, 『중, 대북경제제재 공식화...금수품목 25종 발표』(검색일 : 2017. 7. 8) 출처 : 통일교육원, 2017 북한의 이해, 연합뉴스『중, 북에 ‘회유’ㆍ‘압박’카드...
(http://www.dailynk.com/korean/m/read.php?catald=nk00100&num=108269)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대북 수출ㆍ입 금치 품목 25종은 다음과 같다. 북 대사관 연회 참석ㆍ항공노선 중단(검색일 : 2017. 7. 7)
수입 금지 품목 : 석탄, 철, 철광석, 금, 티타늄, 바나듐광, 희토류 등 20여종
수출 금치 품목 : 항공 가솔린, 나프타를 포함한 항공연료, 등유를 포함한 로켓연료 등 5종
- 51 - - 52 -
3. 사상적 충격의 발현 가능성 분석 상을 제기하여 대중적 파급력을 지닌 충격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것으로 분석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 북한체제는 체제 외부에서 중국을 된다. 이를위해 통치논리로서 김정은은 이른바 ‘김정일 애국주의’를 제시하였
통해 제한된 부엔트로피적 요소가 유입되고 있으나, 북한 체제내에 이미 팽배 으며 2015년 신년사에서는 김정일 애국주의를 5대 교양의 하나로 강조했고,
해있는 엔트로피적 요소를 충분히 해소하기엔 부족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16년부터는 김정일 애국주의를 중심으로 정치교육을 강화하고 있다.46)
그러므로 북한체제 내부의 엔트로피적 요소들이 변화된 엔트로피의 총량으로
나타나기 위해선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사상적 충격의 발현가능성을 분석 <그림 11 – 11> 김정은 유일지도체제 구조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표 20 – 19>북한체제의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
사상적 충격 5대 요소
구 집권세력 권력 종교적 활동 지도자의
분 대중적 비판활동 엘리트의
파급력 고조 분열 증대 리더십약화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심 보 없
구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각 통 음

련 ∙ ∙ ○ ∙ ∙ ○ ○ ∙ ∙ ∙ ∙ ○ ∙ ∙ ○
(0) (0) (2) (0) (0)
지 충격지수 : 2(체제유지)

북한의 체제를 사상적 충격 측정지표로 분석 할 때, 체제유지인 충격지수 출처 : 북한의 유일지도체제를 필자가 가시화
‘2’의 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북한체제에 대한 사상적 충격의 발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정권 교체기의 혼돈을 ‘김일성-김 46)『북한지식사전』(통일교육원 : 2016) p466
정일주의’라는 새로운 사상을 제기함으로서 선대의 사상을 융합한 새로운 사 김정은 체제 집권 이후 북한에서 강조되고 있는 ◯1 김일성 가계의 위대성 교양, ◯2 김정일
애국주의 고양, ◯
3 신념 교양, ◯4 반제계급 교양, ◯5 도덕 교양을 일컫는다.

- 53 - - 54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체계적인 인민통제구조를 바탕으로 집권세력에 대한 비판활동 제하기위해 세포단위의 당 조직을 결성하여 주민들을 관리, 지도하고 있다. 마
이나 종교적 활동 증대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북한의 인민 을에는 인민반을 조직하여 주민들의 생활지도, 사상동향, 외부 방문자 감시 등
통제구조는 사상적 통제구조와 당과 조직에 의한 통제구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상 을 수행한다. 인민반의 구성은 반장, 세대주반장, 위생반장, 선동원, 비밀정보
적 통제는 3대세습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북한인민들을 어린시절부터 학교기관을 원이 있는데, 이중 비밀정보원은 보위부나 보안성과 직접 연결된 프락치로서
통해 철저하게 단계별 우상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실현되고 있다. 학교를 졸업한 주민들은 누가 비밀정보원인지 모르기 때문에 언제 밀고될지 모를 두려움속에
후에도 사상적 통제를 위한 교육은 계속된다. 매주 1회 정치사상학습과 당 혁명사상 서 감히 집권세력에 대한 비판활동이나 종교적 활동의 증대, 지도자이 리더십
등 반복적인 우상화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등 교육의 강도가 높다. 을 훼손할 만한 행위는 생각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48)
그러나, 사상적 교육보단 먹고사는 문제에 대한 고민이 더 큰 북한 인민들의 북한체제 내에서의 사상적 충격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은 김정은 집권과 함께
수준에서 소위 가정혁명화를 위한 가족 내의 정치사상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새로운 사상인 ‘김일성-김정일주의’와 통치이론으로서 ‘김정일 애국주의’를 제
리 만무하다. 게다가 감수성이 풍부한 사춘기 시절의 자녀들은 성장하면서 자연스 시했고 이것을 사상적 통제와 당과 조직에 의해 체계적인 인민통제구조를 구현함
럽게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EVD플레이어 등을 활용한 한류에 접하게 되고 이 시 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상적 충격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점에서 자신들의 현실과 남한의 실상, 지도자의 은덕을 비교하지 않을 수 없게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북한체제를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하면 체제
된다. 학교를 졸업한 후 직장에서 받는 주기적인 정치사상 교육 역시 체제에 대 내부에서 경제적 엔트로피 요소, 군사적 엔트로피 요소, 지도자의 리더십으로
한 열성적인 믿음과 자기주도적인 학습 보다는 단지 통제되어 있고 해야 되 인한 엔트로피 요소 등이 팽창되어 있지만, 체제변동의 매개체로서 기폭제적
니까 듣는 수준으로 ◯1 체제가 다른 적국인 대한민국이 더욱 잘사는 점, ◯2 같 인 역할을 할 사상적 충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으며 기존의 체제변동을
은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과 자신들의 수준 격차를 느낄수록 북한 주민들은 정치 경험한 구 소련, 루마니아와는 달리 북한체제의 외부인 중국으로부터 경제적,
사상교육을 단지 ‘해야만 하는’ 교육으로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정치적, 외교적 부엔트로피 요소를 꾸준히 공급받아 북한체제내의 변화된 엔
당과 조직에 의한 통제구조는 체계적인 인민통제구조의 기틀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트로피의 총량은 줄어드는 제로섬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북한은 철저한 주민 성분 조사 사업을 통해 인민성분을 3계층 51개 부류로 구분하는 북한체제의 자생적인 체제변동 가능성은 적을 것이다.
등 체계적인 주민통제를 실시하고 있다.47) 조선노동당은 주민들을 세부적으로 통
47)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북한의 이해』p 215
북한 주민들의 성분은 3개의 계층으로 구분한다.
1. 핵심계층(핵심군중)
노동자, 고농(머슴), 빈농, 사무원, 노동당원, 혁명유가족, 애국열사 유가족, 8.15 이후 양성된
인테리, 6.25 피살자 가족, 전사자 가족, 후방가족, 영예군인 등 12개 분류
2. 동요계층(기본군중)
소ㆍ중상인, 수공업인, 소공장주, 하층접객업자, 중산층접객업자, 월남자가족, 중농, 민족
자본가, 중국 귀환민, 일본 귀환민, 8.15 이전 양성된 인테리, 안일, 부화, 방탕한 자, 접대부
및 미신 숭배자, 유학자 및 지방 유지, 경제사범 등 18개 분류
3. 적대계층(복잡군중) 등 21개 부류
8. 15 이후 전락 노동자, 부농, 지주, 친일 및 친미주의자, 반동관료, 천도교 청우당원, 입북자,
기독교신자, 불교신자, 천주교신자, 출당자, 철직자, 적기관 복무자, 체포투옥자, 간첩관계자, 48) 표준국어 대사전(검색일 : 2017. 6. 17), 특수한 사명을 띠고 어떤 조직체나 분야에 들어가
반당 및 반혁명 종파분자, 처단자 가족, 출소자, 정치범, 민주당원, 자본가, 월남자 가족 서 본래의 신분을 속이고 몰래 활동하는 사람
- 55 - - 56 -
부 엔트로피가 낮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체제는 변동된다. 둘째, 사상적 충
제4장 결론 격이 낮고 체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 엔트로피가 높으면 엔트로피는 줄어
들어 체제는 유지된다.
제1절 논의의 정리 연구질문 및 가설을 풀어가기 위해 먼저 1장에서는 북한체제의 현상황에 대
한 간단한 설명과 연구의 방법, 범위를 제시했으며 2장에서는 북한체제의 변
구 소련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주의국가들이 체제변동을 겪었음에도 유독 동가능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북한사회의 내재적 작동원리와 전략
북한만은 수령유일영도체제를 유지하며 김일성부터 김정은에 이르는 3대세습 에 대한 연구와 북한 급변사태 시 대응방안 연구를 제시했다. 두 연구는 북한
체제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북한의 체지유지 매커니즘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연구에 대한 대표적인 분야로서 방대한 양적 풍성함을 자랑하는 것을 알 수
근거는 다소 부족한바 있다. 있었다. 그러나 그간의 논의들은 북한의 체제변동에 대한 결정원인과 사유를
김정은 집권하의 현재 북한체제의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전통적인 북한 외 이론적으로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
교정책의 기조였던 김일성ㆍ김정일 시대의 외교전략과 유연성은 김정은의 핵 안적 접근이론으로서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을 제시하고자 했으나, 엔트
무력-경제 병진노선의 고집으로 국제적인 고립과 중국마저 북한제제에 동참하 로피가 임계치를 넘어섰음에도 체제변동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사상적, 이념적,
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경제적 위기의 불안감은 국제제제로 더욱 심화되어 가 문화적인 충격이 동반된 후에 체제변동이 일어난 공통적인 특성을 ‘사상적 충
고 있으며 남한을 위시한 서방세계의 물질적 풍요와 문화적 충격은 북한 사회 격’이라는 새로운 용어로서 정의했으며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을 제시하고 사
저변에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는 권력 엘리트마저 탈북하는 등 사회의 전반적 상적 충격을 가시화 하기위한 측정지표를 제시했다. 3장에서는 북한체제의 변
인 모습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체제변동을 경험한 사회 동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보완된 엔트로피이론으로 구 소련, 루마니아, 중국,
주의 국가들의 사례와 김정은 집권하의 북한체제를 비교함으로서 체제변동가 베트남의 체제변동사례를 각각 분석했으며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
능성을 가늠하 보는 것은 시의적절한 연구라 사료된다. 엔트로피적 요소, 그리고 사상적 충격의 발현가능성과 체제변동 가능성에 대
논 논문에서는 ‘체제변동을 경험한 과거 사회주의국가들과 북한체제의 상이 해 분석하여 ‘북한체제는 자생적인 체제변동 가능성이 적다 ’라는 결론에 도
점은 무엇인가’를 연구질문으로 내세우고 물리학 이론인 프리고진의 비평형체 달했다.
계역학 중 ‘엔트로피 이론’을 사회과학에 응용하여 북한 및 체제변동을 경험한 북한의 자생적인 체제변동 가능성이 적음은 적화야욕 또한 자생적으로 변동
국가들의 사회주의체제의 변동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기존의 될 가능성이 적음을 의미하므로 북한의 체제변동을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정
엔트로피 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으며 변화된 책적 함의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체제변동 유발방안은 총 4단계로서 제시하며
엔트로피의 총량은 체제 내 증가하는 엔트로피에 사상적 충격을 곱하고 외부 단계별 추가적인 연구과제의 제시는 다음과 같다.
로부터 유입되는 부엔트로피를 뺄 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을 제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 및 분석을 시도했다. 구체적으로 수립
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상적 충격이 높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 57 - - 58 -
<표 20 – 20>체제변동 유발방안의 연구과제 제시 제2절 함의와 한계
단계 수행개념 달성 목표
∙김정은 체제 정통성 훼손 ∙국가체제 약화 본 논문은 북한의 체제변동의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서 탈냉전기 여타의 사
1단계
∙해외 유경험자, 체제 불만 세력 포섭 ∙우호세력 포섭 회주의 국가들이 체제변동을 경험할 때 유독 북한만 수령유일영도체계를 유지
(심리
∙북한 내 반(反) 김정은 세력 양성 ∙자유화 거점으로 하면서 3대세습에 성공한 원인을 밝히고자 했다. 따라서 대안적 이론으로서
선전전)
∙적법한 절차를 가장한 내부혼란 조성 활용 가능지역 분석 프리고진의 ‘엔트로피 이론’을 보완하여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으로 체제변동
∙3방향 동시 침투, 자유화 거점기지 확보
2단계 (한ㆍ만 국경, 서해, 동해)
∙작전기지 구축 을 경험한 사회주의 국가인 구 소련, 루마니아, 중국, 베트남을 분석하고 북한
(침투 및 ∙농번기 휴전선 일대 대규모 군단급 기동훈련
∙북한군 전연군단 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엔트로피적 요소, 사상적 충격의 발현가능성과
과부하 유도 체제변동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북한의 자생적인 체제변동가능성은 낮
확보) 불규칙적 실시 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반체제 세력 조직화
∙우호세력 조직화, 교육훈련, 무장지원
∙무장투쟁을 통한
∙인민 보안소, 관공서, 체제선전물 파괴 인민과 통치세력 분리 본 논문의 함의는 두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사회주의 체제변동의 결
공통 정요인”에 대한 대안적 접근이론의 제시이다. 기존의 물리학 이론이었던 ‘엔트
적용 ∙김정은 현장지도 간 고의적 암살실패 ∙김정은과 군부세력 간 로피 이론’을 필자가 정립한 ‘사상적 충격’을 보완하여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
(정치 3단계 ∙91수도군단, 6군단, 2군단 내부에 상호 간 반 반간계 조장 을 제시했으며 사상적 충격을 지수로 가시화 하기위한 측정지표를 제시한 데
심리전 (하이브 란 소문 유포, 허위 진압 명령 발송 ∙내전을 조장하여 있다.
리드 전 ∙친(親)대한민국 반군과 진압군 간 교전 격 군사적 혼란 조성 두 번째는 대안적 접근이론인 보완된 엔트로피 이론을 통하여 기존의 체제
) 변동을 경험한 사회주의 국가들의 사례와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엔
수행) 화 유도 ∙주요 도시 행정, 치안,
언론 기능 마비 트로피적 요소를 분석하고 사상적 충격의 발현가능성을 하여 북한체제의 변동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확립을 위한 반체제 가능성을 규명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김정은 집권하의 북한체제가 지닌 취약
세력지지 호소 ∙국제사회에서 김정은 성을 규명한 것은 향후 군사학 분야에서 북한에 대한 대응방안을 연구하는 학
체제 고립 자들에게 있어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한데 있다.
∙전국적 범위의 인민봉기 유도
∙내전상황을 주장하여 국제사회의 개입 거부 ∙제 3국 개입 거부 그러나 본 논문은 몇가지 한계를 보인다. 첫째, 대안적 접근이론인 보완된
4단계 ∙북한 내 친(親)대한민 엔트로피 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체제변동을 경험한 구 소련, 루마니아,
∙언론을 통한 친(親)대한민국 반군 활동 부각 중국, 베트남의 사례를 분석했지만, 모든 국가가 처한 상황이 온전히 같을 수
(위기고
∙반체제 세력의 평양점령 후 친(親)대한민국 정 국 민주정부 수립 없다는 점에서 논문의 가설을 검증함에 있어 논리적 약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조통제)
부수립 ∙중국군 격퇴, 영토보장 없다. 아울러 김정은 집권하의 북한에 대한 제한된 정보는 객관적인 수준에서의
∙중국군 개입 시 침략세력으로 규정, 격퇴
- 59 - - 60 -
북한체제의 엔트로피적 요소와 부엔트로피적 요소를 진단함에 있어 논리적 완
결성을 제한했지만, 추가적인 정보의 획득과 이론적 논의를 통해 극복되어야
참고문헌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사상적 충격의 개념을 정의하고 북한 및 사회주의체제 1. 국내 문헌
변동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 있어 의의가 있다. (1) 단행본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자생적인 체제변동 가능성이 적은 북한체제의 변동을 김강녕 역, 『현대정치체제론 : 유형과 제도』, 1990년
유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지닌 연구과제를 결론에서 제시하여 추가연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북안연구 시리즈 27『사회주의 체제전환에 대한 비교연구』, 2008년
과제로서 체제변동유발방안을 제시했다는 것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국가안전기획부, 『소련의 제19차 당회의 자료집』1996년
대한민국 국방부『2010 국방백서』, 2010년
대한민국 국방부『2012 국방백서』, 2012년
대한민국 국방부『2014 국방백서』, 2014년
대한민국 국방부『2016 국방백서』, 2016년
미 합동참모본부,『Joint Publication 3-24 Counterinsurgency』, 2013년
이명영, 『김일성 열전』서울, 신문화사, 1974년
이종석, 『현대북한의 이해』, 2000년, p98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2005년
이용필, 『정치현상의 체계적 이해』1995년
양무진, “김정은 정권의 주변국 정책 : 도전과 기회”, 『한반도 포커스』제 31호
손선홍, 『호네커의 퇴진과 베를린 장벽 개방』, 1989년
정용길 외, 『독일통일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990년
정보사령부, 『북한군 22-0-1 북한군군사사상』, 2007년
장인협 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사회체계접근법을 중심으로』 2008년
최옥채 외 공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통일부, 『2017 북한이해』
통일교육원, 『북한지식사전』, 2016년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전장기능별 무기체계』2015년
한설,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개입』, 2015년
한용섭, 『국방정책론』, 2014년
합동참모본부(전략기획참모부),『합동 Vision 2015 합동전장운용개념서』
(2) 논문
김기호, 『북한체제의 안정성과 변동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9
김연각, 『김일성 주체사상에 관한 연구』, 1992년
김석용, 『동구의 체제변화사례를 통해 본 김정일체제변화에 관한 연구 : 루마니아

- 61 - - 62 -
체제붕괴와 북한급변사태를 중심으로』, 2006년 연합뉴스, 2016년 6월 29일 국무위원회 기사
김정민 역, 『페레스트로이카의 기본전략-소련공산당 제 27차 당 대회 토론 자료집』 연합뉴스, 『北, 지대함 순항미사일 발사로 국제제재 교모히 ‘회피’』, 2017년
김현주, 『북한 위기관리전략의 결정과 변화』, 2012 세계일보, 『중, 북한군 가상의 적으로 정식 규정』, 2017년
김정민, 『북한 급변사태 발생요인 분석과 우리의 대응방안』2014년 조선일보, 13일 귀순한 北 병사 “확성기 방송 듣고 결심”, 2017년
강현욱, 『북 비대칭 전력 대응방안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2012년 news1, 『FAO, 한 수산물 생산량 330만톤으로 세계 14위』, 2017년
기관성, 『북한 김씨일가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2014년 대한민국 정부 법제처(www.law.go.kr), 『대한민국 헌법 제 3조』
고재남, 『구소련지역 민족분쟁의 해부』, 1996년 데일리 NK, 『북한 장마당 물가』, 2017년
박재규, 『북한의 신외교의 내용과 효과』, 1997년 두산 대백과 사전
박영자,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 분석과 전망”, 2015년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ld=1157660&cid=40942&categoryld=31645#)(검색일자 : 2017. 2. 14)
박종서, 『북한의 비대칭 전쟁 선택 결정요인분석』 연합뉴스, 2017년 4월 4일 화성 14형 발사성공 기사
방찬영, 『기로에 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95 (http://m.news. naver.com)(검색일자 : 2017. 7. 4)
백학순, 『베트남의 개혁ㆍ개방 경험과 북한의 선택』, 2003년 신동아 『특집 이석기 쇼크』(2016. 9. 23)
신정현, “북한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북한』1989년 9월호 http://shindonga.donga.com/3/all/13/112375/1(검색일자 : 2017. 5. 6)
송두율, 『주체사상에 있어서 혁명과 역사』, 1990년 시사상식사전
송승준, 『국방개혁 2020 및 비대칭 위협을 고려한 미래 향방예비군 운용개념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ld=3566418&cid=43667&categoryld=43667)
발전연구 : 동원의 전략적 수준 격상을 중심으로』, 2010년 NEWS 1, 『미사일 도발 불구 북중 접경지 교역량 ‘평소수준’』
이강철, 『미국의 재균형화와 북한의 수정주의 국가화』, (유라시아연구 : 2013)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
이진희, 『북한 우상화 전략에 관한 연구』2013년 21&AID=0002825800)(검색일 : 2017. 7. 7)
이철훈, 『사회주의체제 붕괴와 북한의 대응정책』, 2003년 이윤걸, 북한 전략정보서비스센터
임철균, “북한 비대칭전략의 대한 대응방안 연구”, 『군사 제 141호』 2016 통일부, 『북한정보포털』(http://nkinfo.unikorea.go.kr), 2017년
여상도, 『열역학 개념의 해설』 2016년 통일부, 『통일부 국회 국정감사 제출자료』, 2009년
정명섭, 『소련의 민족문제와 연방붕괴』, 2003년 통계청, 2016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 및 북한통계, 2016년
정경란, 『옐친정권의 성립과정』, 1992년 표준국어대사전
정정원, 『비대칭 위협에 대한 대비 방안』, 2013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용신, “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에 관한 연구”, 2015년 한경 경제용어사전
조명철, 『중국ㆍ베트남의 초기 개혁ㆍ개방정책과 북한의 개혁방향』, 2000년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ld=1821149&cid=46629&categoryld=46629)
장명식, 『북한 농업생산기반시설의 현대화 방안 연구』, 2006년 (검색일 : 2017. 7. 8)
최성, 『북한학개론』, 서울 풀빛, 1997년 표준국어대사전(검색일 : 2017. 7. 10)
허문영, 『1980년대 북한의 대중ㆍ소정책 및 대남정책 연구』 1991년 (http://www.m.krdic.naver.com/entry/17861300/?format=HTML&isMobile=true)
Kathryn Weathersby, 『북-중-소 삼각관계가 6ㆍ25 전쟁 과정과 전후 북한외교 i mbc news
행태에 미친 영향, 기밀해제문서를 중심으로』, 2010년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2/1749134_19402.html)(검색일자 : 2017. 3. 20)
(3) 신문ㆍ인터넷 Daily NK, 『중, 대북경제제재 공식화...금수품목 25종 발표』(검색일 : 2017. 7. 8)
동아일보, 『안보통일문제기본자료집 북한편』, 1972년 (http://www.dailynk.com/korean/m/read.php?catald=nk00100&num=108269)
동아일보, 2009년 4월 1일 북한 국방위원회 기사

- 63 - - 64 -
2. 북한 문헌
김일성, 『우리당의 주체사상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 정책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1972년 An objective of the analyses supplementation
김정일, 『사회주의건설의 력사적 교훈과 우리당의 총로선』, 『로동신문』, 1992년
김정일, 『조선민족제일주의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1989. 12)『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entropy theoretical of Possibility DPRK Regime
동지의 문헌집』, 1992년 Change
김정은, 『조선로동당 제 7차 당대회 연설 중』, 2016년
김창하, 『불멸의 주체사상』, 1985년
로동신문, 2012년, 2016년 Leem, Cheul Kyun(성명)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2012년 Defense Strategy(전공명)
조선중앙TV, 『김정은 육성 신년사』, 2017년 Graduate School of Defense Management
조선중앙통신『2013년 3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보고 전문』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사회과학 출판사,『주체사상의 지도적 원칙』, 1992년
사회과학 출판사, 『철학사전』, 『영도예술』, 1985년
사회과학출판사『경제사전 2』, 1985년 An objective of this paper ㅁis a theoretical approach which is able
to inquire into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ho succeeded in a
3. 외국 문헌 heredity for three generations without experiencing a regime change by
James G. Miller, Living System, 1978 themselves unlike other socialism nations in 1990’s. Also, making up for
Janos Kornai,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1968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social-scientific theories by analysing
Ludwig von Bertalanffy, 'General System Theory', General System 1968 examples in history. Based on this, it anticipates a possibility of regime
Marie Lavign, The Economics of Transition : From Socialist Economy to Market change in DPRK and proposes a direction of Republic of Korea to deal
Economy(New York : St. Martin's Press, 1995) with DPRK with political suggestions. Several arguments have not yet
Talcott Parsons & E. A SHILLS(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1951 explained well enough about the regime change of socialism. This research,
Albert O. Hirscman, 『Exit, Voice, and the Fate of the GDE: An Essay in an alternative approach theory makes a close inquire into a stability and
Conceptual History』, World Politics. Vol.45 1993 possibility of the regime change of DPRK supposed that the regime change
of DPRK can be explained if a part of disequilibrium system dynamics in
physics theor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f ‘entropy theory,’ a
keystone of Ilya Prigogine’s open system theory are applied and
supplemented. Thus, 1. instances of regime change in socialism nations
who experienced the regime change in past such as the former Soviet
Union, China, Vietnam, East Germany, Rumania were analysed by

- 65 - - 66 -
‘supplemented entropy theory.’ 2. It diagnosed the regime change by
comparing regime of DPRK under Kim-Jungeun and analysed results
applied by ‘Complemented entropy theory’ with four different views such
as an ideology administration structure of the nation, economy, military
relations among other neighbor countries, and leadership of Kim-Jungeun
with a general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re is
a slight chance of the regime of DPRK under Kim-Jungeun to change the
regime spontaneously or destruction of their system.
Key words : Regime, Disequilibrium, System dynamics, Regime change,
Complemented entropy theory, Ideology shock, Suppressing provocations
strategy, Hybrid strategy.

- 67 - - 68 -
- 6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