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7

연구보고서 2014-0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이병희․황덕순․홍민기
오상봉․전병유․이상헌
책머리에 부쳐

소득분배의 결정에 관한 이론 모형은 크게 두 가지 흐름이 존재한다.


하나는 생산을 통해 얻은 소득이 생산요소 간에 분배되는 과정, 즉 기능
적 소득분배(functional distribution)에 주목하는 이론들이며, 다른 하나
는 생산요소 사이의 분배가 아니라 개인 간 분배(personal distribution)에
주목하여 관심을 두는 이론들이다. 이 연구보고서는 생산을 통해 얻은 소
득이 자본과 노동 사이에 분배되는 과정, 즉 전자를 다루고 있다.
1960년대 이후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라졌던 기능적 소득분배가 21세기
들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 계기는 무엇보다 1980년대 이후 30여 년간
서구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경험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노동소득과 국민소득 간 비율이 일정하다는 노동소득
분배율의 안정성 가설(이른바 보올리의 법칙)은 기각된다. 둘째, 경제가
일정한 발전단계를 지나면 소득 불평등이 감소한다는 쿠즈네츠의 역U자
가설과는 달리 1980년대부터 불평등이 다시 심화되면서, 이러한 불평등
증가가 노동-자본 간 소득의 불균형에서 발생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
문이 확산되었다. 300년에 걸친 역사 통계를 이용하여 최근의 불평등 심
화가 부의 불평등과 그에 따른 자본 소득몫의 증가에 기인한다는 피케티
의 저작은 그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에 관한 연구는 우선 개인․가구 간 불평등에 한정했던
그동안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근로자 내부
의 격차만큼이나 노동과 자본 간의 일차적인 분배도 주목해야 하기 때문
이다. 또한 노동소득분배율에 대한 주목은 정책적으로도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기업의 비용 경쟁력 측면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바람
직하겠지만, 거시적으로는 소비 수요의 위축, 경제의 불안정성, 생산성과
혁신을 저해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경제구조 변화와의 관계, 임금과 생
산성 간 괴리, 기업의 노동력 활용방식과의 관계 등을 통해 노동소득분배
율이 하락한 원인과 그 경제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노동소득
분배율 하락이 개인소득 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성장모델로 제기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론의 국제적인 논의를 소개하고 정책적인 재구성을 제안하
고 있다.
가계부채를 늘려서 소비를 유지하거나 수출을 통해 국내의 유효수요
부족을 해결하는 전략을 지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탐색이 중요하다. 분배의 개선을 통해 일정한 수준의 성장을
달성하고 성장의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시도가 다양한 학
술적․정책적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열정적인 연구자들의 공동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수행 중에 함께 토론하고 발표한 전문가들에게 연구진을 대신하여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모든 내용은 저자들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본원의 공식적인 견해와 다를 수 있음을 밝혀 둔다.

2014년 12월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이 인 재
목 차

책머리에 부쳐
요 약 ······································································································ i

제1장 머리말 ································································· (이병희) ····· 1


제1절 문제의식 ················································································· 1
제2절 연구의 구성 ··········································································· 3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 (이병희) ····· 8


제1절 머리말 ···················································································· 8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쟁점과 추이 ································· 9
1. 측정 쟁점 ·················································································· 9
2. 측정 방법과 추이 ······································································ 11

제3절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 15


제4절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 19
제5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계층별 소득점유율 ································ 23
제6절 소 결 ······················································································ 26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한국과 OECD 국가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황덕순) ····· 29
제1절 머리말 ···················································································· 29
제2절 선행연구 및 분석 방법 ························································ 31
1. 선행연구 ···················································································· 31
2. 자료와 분석 방법 ······································································ 34

제3절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 37


1. 한국과 OECD 국가의 경제구조 변화 비교 ····························· 37
2.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 41

제4절 OECD 국가에서의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 47


제5절 소 결 ······················································································ 53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 (오상봉) ····· 61


제1절 머리말 ···················································································· 61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식 ··································· 62
1.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 62
2. 추가적인 요인 분해 ·································································· 66

제3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실증적 접근 ··············· 70


1. 데이터 ························································································ 70
2.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 ················································ 72
3. 추가적인 요인 분해 ·································································· 75

제4절 소 결 ······················································································ 79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 (이병희) ····· 81


제1절 머리말 ···················································································· 81
제2절 선행연구 ················································································· 82
1.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 ······················································ 82
2. 노동소득분배율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84

제3절 분석 자료 ··············································································· 85
제4절 기업단위 임금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 ································ 88
1. 분석 방법 ·················································································· 88
2. 추정 결과 ·················································································· 93

제5절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 ················· 97


1. 분석 방법 ·················································································· 97
2. 분석 결과 ·················································································· 98

제6절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 104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 (홍민기) ····· 106


제1절 머리말 ···················································································· 106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과 임금불평등 ············································· 107
제3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 113
1.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의 관계 ········································· 113
2. 국민계정과 개인소득 ································································ 114
3. 개인의 자본소득 ········································································ 117

제4절 소 결 ······················································································ 122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 (전병유) ····· 128


제1절 머리말 ···················································································· 128
제2절 기존 연구 ··············································································· 132
1. 요소소득분배율과 가구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132
2. 자본소득 비중과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개념화 ····················· 135
3. 자본소득 비중의 불평등 효과:지니계수 분해 방법 ·············· 138

제3절 요소분배율:국민계정과 가구조사 자료의 비교 ··············· 140


제4절 가구조사에서의 요소분배율과 소득불평등의 관계 ··········· 152
제5절 요약과 시사점 ······································································· 160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소득주도성장론의 정책적 재구성 ·················· (이상헌) ····· 162
제1절 문제의식 ················································································· 162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그 경제적 효과 ····································· 164
1. 노동소득분배율의 최근 추세 ···················································· 164
2.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들 ·················································· 166
3. 노동소득분배율(기능별 소득분배)과 개인별 소득분배 ··········· 169
4.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제적 효과 ················································ 171
5. 추후 연구 과제:소득분배의 층위와 고용 ······························ 174

제3절 소득주도성장론:원리와 정책 ············································· 176


1. 소득주도성장론의 정의 ····························································· 176
2. 소득주도성장론의 핵심 원리들 ················································ 177
3. 정책적 구성 ··············································································· 179
4. 세계적 정책 논의 동향 ····························································· 186

제4절 소 결 ······················································································ 188

참고문헌 ······························································································· 190


표목차

<표 2-1> 다양한 국민소득 개념 ························································· 10


<표 2-2>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요인 분해 ····································· 17
<표 2-3>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기여 ································· 17
<표 2-4> OECD 국가들의 비임금근로자 고용 비중과 상대소득 ····· 21

<표 3-1> 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5년 단위 평균의 차분 값) ····· 49


<표 3-2> 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
고정효과모형 추정 결과 ··················································· 50
<표 3-3> 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의 패널 고정효과
연립방정식(3SLS) 추정 결과 ··········································· 51
<표 3-4>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이 민간소비 및 투자에 미치는
효과(패널 고정효과모형) ···················································· 53

<표 4-1>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 ·········································· 72


<표 4-2>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 73
<표 4-3>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추정
방법에 따른 차이 ································································ 75
<표 4-4>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 76
<표 4-5>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 77
<표 4-6> 산업 내 소득분배 ································································ 78

<표 5-1> 표본 특성(2011) ·································································· 92


<표 5-2> 임금소득분배율 결정요인(pooled OLS) ····························· 93
<표 5-3> 임금소득분배율 결정요인 추정 모형의 비교 ····················· 96
<표 5-4> 임금소득분배율과 일자리 변동률 ······································· 99
<표 5-5>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
(고정효과모형) ···································································· 100
<표 5-6> 노동조합과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 101
<표 5-7> 정규직 비율과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 102
<표 5-8> 임금소득분배율이 고용형태별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 103

<표 6-1> 근로자 계층별 연평균 임금증가율(1995~2012) ················ 111


<표 6-2>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 ······························· 113
<표 6-3> 국민계정과 개인소득 ·························································· 115
<표 6-4> 개인의 자본소득 구성항목별 연평균 증가율
(1995~2012) ········································································ 119
<표 6-5> 전체 금융소득(이자+배당)의 소득 분포 ···························· 120

<표 7-1> 국민소득계정의 소득 ·························································· 142


<표 7-2> 제도 부문별 국민소득(요소비용국민소득)의 구성과
추이 ····················································································· 144
<표 7-3> 국민계정 가계 부문과 가구조사 소득구성 비교 ··············· 150
<표 7-4> 가구조사와 인구조사의 가구 수 비교 ······························· 151
<표 7-5> 소득분위별 소득구성 비중 ················································ 153
<표 7-6> 소득이 없는 가구의 비중 ··················································· 153
<표 7-7> 소득분위별 소득구성 비중(60세 미만) ······························ 154
<표 7-8> 지니계수의 가계소득원천별 분해 ······································· 158
그림목차

[그림 2-1] 다양한 측정 방법에 의한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 13


[그림 2-2] 비임금근로자의 상대 노동소득과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 ··································································· 14
[그림 2-3] 산업구성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 19
[그림 2-4] OECD의 노동소득분배율 국제비교(1990〜2009) ·············· 20
[그림 2-5] 조정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 22
[그림 2-6] 요소비용국민소득의 구성항목별 비중 ······························· 24
[그림 2-7] 자본소득과 계층별 노동소득점유율의 추이 ······················ 25

[그림 3-1]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추이(1971∼2012) ························ 36


[그림 3-2] 1971년과 2012년의 1인당 GDP(구매력 평가, 2005년
미국달러 불변가격 기준) ··················································· 38
[그림 3-3]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추이 ········································· 42
[그림 3-4] 노동소득분배율과 GDP 내 민간소비 추이 ······················· 43
[그림 3-5] 노동소득분배율과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 추이 ········ 44
[그림 3-6] 노동소득분배율과 2차산업의 부가가치 비율 추이 ··········· 45
[그림 3-7] 노동소득분배율과 대외의존도 추이 ·································· 46

[그림 5-1] 기업단위 임금소득분배율의 추이 ······································ 87

[그림 6-1]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 109


[그림 6-2] 순부가가치(요소비용국민소득)에 대한 집단별 임금의
비중 ····················································································· 110
[그림 6-3] 근로자 집단별 실질임금의 변화 ········································ 112
[그림 6-4]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 항목의 비중 ·································· 118
[그림 6-5] 2012년 재산소득(이자, 배당, 임대소득)의 분포 ··············· 119
[그림 6-6] 최상위 소득 집단의 금융소득(이자+배당) 비중 ··············· 121

[그림 7-1]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의 변화


(1990~2000년대 중반) ······················································· 133
[그림 7-2] 자본소득집중도의 유형과 자본소득 비중-시장소득의
상관관계 유형 ···································································· 136
[그림 7-3] 자본소득 비중과 시장임금 수준 ········································ 137
[그림 7-4] 전체 요소소득의 구성 비중의 변화 ·································· 144
[그림 7-5] 노동분배율 추이 ································································· 147
[그림 7-6] 제도 부문별 순저축률(요소소득 대비 순저축) 추이 ········ 148
[그림 7-7] 가계 부문 재산소득의 구성 비중의 변화 ························· 149
[그림 7-8] 재산소득집중도 ··································································· 155
[그림 7-9] 재산소득 비중과 시장소득 수준 ········································ 156

[그림 8-1] 노동소득분배율, 임금, 노동생산성(주요 선진국) ············· 165


[그림 8-2]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의 추세:미국(1949~2012),
1980=기준 연도(100.0) ······················································· 170
[그림 8-3] 노동소득분배율 1% 하락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 (I):
단일방정식 패널 추정방식 ················································· 172
[그림 8-4] 노동소득분배율 1% 하락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 (II):
Global Policy Model 방식 ················································· 173
[그림 8-5] 소득주도성장의 시나리오 ·················································· 179
요약 ⅰ

요 약

본 연구는 생산을 통해 얻은 소득이 자본과 노동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다룬다.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경제구조 변화와의
관계, 임금과 생산성 간의 괴리,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의 관계
등을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원인과 그 경제적인 영향을 실
증적으로 분석한다. 나아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개인소득 불평등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성장 모델로 제기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론의 국제적인 논의
를 소개하고 정책적인 재구성을 제안한다.

◈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노동소득분배율 측정을 둘러싼 쟁점을 소개하고, 국민계정을 이용


하여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 추이를 살펴보았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영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자영업 일자리
와 소득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의 수준과 추이를 파
악하기 위해서는 자영소득에서 노동소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영소득에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다른 부문의
그것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추계하는 것이 우리 현실에 부합한 방법
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렇게 추계한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년 79.8%
에서 2012년 68.1%로 하락하였다.
둘째, 자본집약적이거나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은 산업구조로의 변
화에 따라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변화-구성
ⅱ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요인 분해(shift-share decomposition)의 분석 결과는 노동소득분배


율 하락의 대부분이 산업 내에서 발생하였으며, 연쇄가중법을 적용
하여 산업구조 변화를 통제하였을 때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고 있
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본집약도가 높아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제조업에서 하락폭이 다른 산업에 비해 가장 크게 나
타난다. 이상의 결과는 서비스화와 같은 산업구조의 변화가 노동소
득분배율 하락의 주된 원인이 아님을 의미한다.
셋째, 비임금근로자의 1인당 노동소득이 임금근로자의 그것과 동
일하다는 가정을 사용하여 추계하는 OECD 통계는 우리나라의 노동
소득분배율을 과대 측정한다.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다른
경제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과 동일하다는 가정을 채택하여 추계하
면,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은 OECD 국가의 평균 수준에 비해
낮아서 우리나라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OECD 통계와 상반된 결
과를 보인다. 또한 1996~2012년에 걸친 조정 노동소득분배율의 변
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하락폭이 두 번째로 크다.
넷째, 국민소득을 자본소득, 자영소득, 상위 10% 계층의 임금소득,
상위 90% 계층의 임금소득으로 나누어 외환위기 이후 분배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민소득 가운데 자영소득의 비중
이 감소하였지만, 임금소득 하위 90%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
하였다. 반면 임금소득 상위 10% 집단의 비중은 증가하고, 자본소득
점유율은 더 크게 증가하였다. 임금근로자 내부의 격차가 확대되었
지만, 노동과 자본 간 소득의 불균형이 더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 한국과


OECD 국가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거시경제구조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노동소득


분배율과 경제성장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임금주도성장론을 중
요약 ⅲ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케인지언 단기균형모형에 기초한 접근이


라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
국과 OECD 국가들의 1970년대 이후의 장기적인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OECD 및 ILO의
통계자료 DB를 통해서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총수요의 구성 및
산업별 부가가치 구성,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1971년 이후 OECD 국가들의 경제구조에 나타난 변화는 경제성장
률과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투자 비율의
수렴, 수출 비율과 대외의존도의 지속적인 상승, 부가가치 내 2차산
업 비율과 제조업 비율의 하락, 금융 및 사업서비스업 비율의 증가
등으로 요약된다. 한국경제 구조도 이러한 추세들과 대체로 같은 방
향으로 변화해 왔지만 제조업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2차산업 비
율은 다시 상승추세로 반전해서 비교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제조업
비율이 높은 나라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투자 비율의 수렴 현상에
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교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면, 노동
소득분배율은 단기변동이나 장기추세에서 성장률과는 반대 방향으
로, 소비와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2차산업 비율이나 대외의존도도 노동소득분배율과 반대 방
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갖는다.
한국과 OECD 국가들을 단위로 해서 각 연도에 나타나는 단기관
계가 아니라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
해 1971년부터 매 5년간의 경제변수를 평균하고, 이를 시기에 따라
차분한 자료를 구축하여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 경제구조의 관
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사이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한 패널연립방정식 모형(3SLS추정)을 통해 노동
소득분배율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
다. 경제구조 변수 가운데는 제조업 비율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제성장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노동소득
ⅳ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분배율에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한편 노동소득분배율은 총수요


에서 차지하는 소비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내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경제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거시경제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혁신과 성장, 노동소득분배율 사이의 장기
적인 동학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한국
과 같이 에너지와 식량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나라에서 국민들의 삶
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외균형 및 대내균형을 조화롭게 달성하
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에서 충실히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임
금주도성장론이 제기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의 개선에 기반을 한 내수
주도형 성장체제로의 전환과 대외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개방경
제체제 아래에서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대외균형을 장기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얻고
자 하였다.

◈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본 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식을 유도하고 2005년


부터 2011년까지 7년 동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을 분해하였다.
먼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을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부분과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로 인한 부분으로 분해하는 식을 유도
하였다. 이로부터 산업 내 구조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부
분을 계산하기 위해서 기존의 식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산업구
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부분의 계산에 기존의 식을 사
용할 경우 부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찾았다.
추가로, 산업구조 변화를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차이와 취
업자의 산업별 분포의 변화로 분해하고,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
화를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로 분해하였다.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면
요약 ⅴ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피할 수 없다. 산업구조 변화에서


노동생산성의 영향을 보면,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은 산업들에서 노동
생산성이 (경제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경제의 노동소득분
배율은 높다. 취업자 분포 변화도 노동생산성과 같은 방식으로 노동
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친다.
2005년부터 2011년간의 노동소득분배율은 2.52% 낮아졌다. 그 중
1.2%만이 산업구조 변화 때문이고 나머지 98.8%는 산업 내 분배율
변화 때문이다. 이렇게 산업구조 변화의 영향이 작은 것은 산업별 노
동생산성 증가율의 차이와 취업자 분포 변화가 서로 영향을 상쇄했
기 때문이지 각각을 따로 보면 영향이 결코 작지 않다. 산업별 1인당
생산성 증가 차이가 노동소득분배율을 1.29% 낮추었지만, 취업자의
분포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을 1.15% 높였다. 산업 내 분배율 변화
가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는 것은 1인당 피용자보수와 노동생산성
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동생산성은 19.66% 증
가했지만 1인당 피용자보수는 15.40% 증가에 그쳤다.
노동생산성 향상이 노동소득분배율 개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가
장 중요한 것은 노동생산성 향상을 뛰어 넘는 1인당 피용자보수 증
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줄어드는 노동 몫의 대부분이 자본
몫으로 들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 변화가 필요하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상대적으로 빠른 노동생산성의 증가가 부가가치 비중이
높고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은 산업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사업체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기업단위에서 임금소득분배율 결정


요인과 그것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에서 임금소득분배율은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서만
아니라 생산물시장의 독점력, 근로자의 교섭력, 기업의 노동력 활용
ⅵ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전략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자본집약도와 연구개발을 통한 혁신


선도 유형은 임금소득분배율과 음(-)의 관계를 가지며, 생산물시장
의 경쟁이 약할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고, 노조조직률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은 높다. 또한 비정규직 비율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
배율이 낮고, 위탁거래만 하는 원청 업체의 임금소득분배율은 낮게
나타난다.
둘째, 임금소득분배율은 일자리창출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 역
의 인과관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노동소득분배율 증가의 인
센티브 효과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노조조직률 증가와 임금
소득분배율의 상호작용 항과 정규직 비율과 임금소득분배율의 상호
작용 항이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근로자 교
섭력의 강화, 고용안정성의 제고가 생산성 이득의 공유가 동반될 때
생산성 증가와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자
리 변동을 고용형태별 세분해 보면, 임금소득분배율의 고용 효과는
정규직 증가와 직접고용 비정규직 감소와 함께 간접고용도 함께 증
가시키는 양면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이 글이 주목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 활용 비중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다는 분
석 결과는 비정규직 활용에 따른 지대가 발생하더라도 정규직에 귀속
되기보다는 자본소득에 집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노동소득 내부의
불평등을 완화하는 노력 이상으로 생산의 과실을 생산요소들 간에 공
정하게 분배하는 정책적인 노력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다른 영향 요인들을 통제하고서도 원청 업체의 임금소득분
배율은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도급 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는 분
석 결과는 하도급 거래의 과실이 원청 업체의 자본소득으로 귀속되
고 있음을 의미한다. 공정한 배분을 위해서는 하도급 거래의 불공정
을 개선하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임금소득분배율은 일자리창출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는
분석 결과는 노동비용 절감에 치중한 단기적인 인력 활용 방식이 고
요약 ⅶ

용창출에 기여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혁신과 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안정적인 고용관계가 생산성 이득의 공유를 통해 혁신과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근로자 집단별로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를 살펴보고, 노동소득분


배율과 개인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먼저 노동소득분배율의 하
락이 어디서 발생하였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국세청 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 집단별 임금 비중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1995년부터 2012년
사이에 임금 최상위 10% 집단의 임금 몫(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13.6%에서 20%대로 상승하였다. 이 기간 동안 임금 상위 10~
20% 집단, 20~30% 집단의 임금 몫도 약간 상승하였다. 반면 임금 하
위 70% 집단의 임금 몫은 23.9%에서 13.9%로 10%p 하락하였다.
1995년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것은 근로자 중 임금 하위 70%
집단의 분배 몫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영자 소득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면서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를 국
민계정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현물, 실제 사회부담금, 금융중개서
비스, 자가주택귀속임대료과 같이 실제로 개인이 받지 않지만 받는
것처럼 처리되고 있는 귀속소득을 여러 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
하여 정리한 국민계정 자료에서,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사업소득, 이
자, 배당, 임대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에 23.5%로 계산되며,
이 수치는 조사 자료인 「가계동향조사」에서의 수치와 거의 일치한다.
2012년 현재 배당은 개인소득의 2.3%에 불과한데, 소득 1억 원 이
상인 사람들이 전체 배당소득의 95.3%를 가져갔다. 소득 1억 원 이
상인 사람들에게 전체 이자소득의 79.2%가 분배되었다. 배당과 이자
와 같은 금융소득은 인구 1% 정도의 최상위 소득계층에게만 분배되
고 있기 때문에 배당과 이자소득의 증가는 소득불평등을 확대한다.
ⅷ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금융소득이 개인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적기 때문에 국내


총수요를 높이는 효과도 제한적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이 늘어나면서 소득불평등이 완화되고 국내 총수
요가 늘어나는 경로는 하위 임금계층의 임금 몫이 늘어나는 길뿐이
다. 따라서 개인소득을 증진시키고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임금 하위 70% 집단의 분배 몫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
고, 둘째, 자본소득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990년대 중반 이후 요소분배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


히 노동소득분배율이 가계소득불평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이 지적되었다. 그럼에도 요소분배율이 최근의 불평등 증가 경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과소 평가되었다. 특히 가구단위 조사는 재산
소득의 과소 보고와 재산소득이 높을 것으로 간주되는 고소득층의
과소 대표성의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국민계정과의 관계 속에서
보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노동분배율과 불평등의 관
계를 국민계정과 가구조사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노동분배율의 하락과 가계소득의 불
평등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이론적으로 요소분배율이 가계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요소소득의 집중도, 요소소득의 상대적
비중과 총소득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좌우된다. 특정 요소소득의 집
중도가 높고, 이 요소소득이 상대적으로 총소득이 높은 계층에서 더
높은 비중으로 나타날 경우 요소소득의 비중 변화가 총소득의 불평
등도에 미치는 영향은 커질 것이다. 이는 가계소득의 불평등도(지니
계수)에 대한 기여도를 소득원천별(요소소득별)로 분해하는 방법으
로도 접근 가능하다.
이러한 논리와 방법을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상의 요소 분
배율의 추이와 구조를 부문별로(기업 부문과 가계 부문, 정부 부문)
요약 ⅸ

나누어서 보고, 가계소득에서 요소분배율의 변화가 가계소득의 불평


등도에 기여하는 비중을 추정해 보았다.
2012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총생산액(GDP)은 1,272조 원이다.
여기서 국외수취순요소소득과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을 더한 국민처분
가능소득은 1,112조 원이다. 이 중에서 감가상각에 해당하는 고정자
본소모와 순생산 및 수입세(부가가치세와 관세)까지 제외하면 요소
비용국민소득이 나온다. 이 액수가 975조 원이고, 이것이 피용자보수
와 영업잉여로 나뉘는데 피용자보수의 비중(한국은행 기준 노동분배
율)은 59.7%이다.
요소비용국민소득은 기업 부문과 가계 부문으로 나뉘는데, 가계
부문 763조 원, 기업 부문 198조 원, 정부순재산소득 14조 원로 구성
된다. 따라서 가계 부문만 놓고 볼 때 피용자보수는 582조 원이고,
개인영업잉여(자영업소득)는 119조 원, 재산소득은 62조 원으로 구
성된다.
추세로 볼 경우, 국민계정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자영소득 비중의
큰 폭 감소, 근로소득 비중의 정체, 재산소득 비중의 증가 현상이 나
타난다. 그러나 가계 부문의 경우 재산소득의 비중은 정체되었고, 근
로소득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자영소득이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기업 부문에서 기업영업이윤의 사내유보로 기업본원소득이 크
게 증가한 반면, 피용자보수는 감소하면서 기업 저축의 비중이 증대
하였다. 기업 부문으로부터 가계 부문으로의 소득 환류가 매우 약화
된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국민계정 가계 부문과 가계조사를 비교해 볼 경우, 재산소득의 경
우 전자가 62조 원, 후자가 36조 원으로 이 부문에서도 큰 차이가 나
타난다. 재산소득의 경우 국민계정 가구 부문의 경우 2012년에 8.1%
정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4.7%에 불과하
다. 특히 「가계동향조사」의 경우 2.4%에 불과하다. 가계조사의 경우
과소 보고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가계조사에서 요소소득 구성 비중을 보면, 가계소득에서 재산소득
ⅹ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의 비중이 높지 않다. 따라서 요소소득 비중의 변화가 가구소득분배


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본소득 자체의
분포는 매우 불균등하다. 전체 가구의 거의 80%가 자본소득을 전혀
갖지 않고 있다. 그러나 총시장소득과의 관계를 보면, 총소득 수준에
따라 재산소득의 비중은 U자형으로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다. 이
효과는 요소소득에서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아지더라도 소득분배의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가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가계총시장소득을 소득원천별로 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분석해 볼 경우, 과소 보고와 과소 대표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가
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재산소득의 집중도가 근로소득의 집중도보다
높아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아지고 재산소득의 비중이 낮아질수록 가
계소득의 불평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소득층까지 포
함시킬 경우, 근로소득 비중의 증가 형태로 요소소득분배율이 변화할
경우 가구소득불평등이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소득주도성장론 관점에서 이론적․실증적․정책적 과제를 전반적


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소득주도성장론은 다층적인 소득분배 구조의 개선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대전제에 기초해
서 정책적 틀을 구성하려는 시도다. 특히 노동과 자본 간의 소득분배
를 보여주는 노동소득분배율이 중요한 정책 변수인데, 경제위기 이
전부터 나타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추세는 경제위기 이후에도 지
속되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개인별 소득분배를 악화시킨
주요한 요인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은 다중적이지만,
최근 실증연구들은 기술적이나 산업적 요인보다는 제도적이고 정책
적인 변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요약 xi

한편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경제성장의 수준과 안정성에 부정


적 영향을 미쳤다.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은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
향이 줄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국가 간의
상호작용(예컨대, 긍정적 연쇄효과)이 고려되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득분배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진전이 필요하다. 특히 다층위의 소득분배 간의 관계를 고려한 분석
모델, 그리고 고용 효과를 내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글은 그간의 이론적․실증적 진전에 기초하여 소득주도성장론
의 정책적 틀을 발전시키려고 시도했다. 분배 형평성의 경제적 효율
성, 다면성과 포괄성, 정치경제학이라는 세 가지 원리를 제시했고,
이에 기반하여 소득주도성장론 정책의 두 가지 축인 소득최저선과
소득상한선을 제시했다.
소득최저선은 최저임금과 사회보장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모든
시민이 어떤 상황에서도 일정 소득 이상을 누리게 하려는 것이다. 소
비안정성 확보라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정치적 입지
강화를 통해 정치적 불균형 개선이라는 다층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
으로 보았다. 소득최저선의 효율적 작동을 위한 조건 중의 하나는 소
득상한선의 구성이다.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법정 최저임금을 주요
한 출발점으로 한, 느슨한 방식의 소득상한선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세계적인 정책 흐름을 살펴보면 정책적 혼란은 계속되
고 있는데, 특히 실증연구 결과와 정책 방향 간에 간극이 있다. 소득
주도성장론적인 시각이 국제적 논의에서 주류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
기 위해서는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진전뿐만 아니라 정치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1장 머리말 1

제1장

머리말

제1절 문제의식

이 책은 생산을 통해 얻은 소득이 자본과 노동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


는지를 다룬다. 국민소득 가운데 노동소득의 비율이 일정하다는 노동소
득분배율의 안정성 가설은 1980년대 이후 서구에서 30여 년간 노동소득
분배율이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자체로 부정되고 있다.1)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비록 시기는 늦지만, 외환위기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빠
르게 하락하고 있다.2) 생산요소 간 공정한 분배(fair shares)에 대한 요구
는 분배적 정의에 한정되지 않고 시장경제의 효율성과 역동성, 그리고 민
주적 정치과정에 대한 의문으로 확산되고 있다(Stiglitz, 2012).

1) 300년에 걸친 역사 통계를 이용하여 자본/소득 비율과 자본-노동소득분배율의 동


학을 분석한 Piketty(2014)는 경제가 일정한 발전 단계를 지나면 소득불평등이 감
소한다는 Kuznets의 역U자 가설과는 달리 U자 형태를 띠고 있으며, 불평등이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예측하고 있다.
2) 최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공표한 국민대차대조표를 이용하여 추계하면, 2012년
민간부문의 순자산은 순국민소득의 7.0배에 이른다. 공공부문을 포함한 국민총자
본은 순국민소득의 무려 9.5에 이른다. 선진국에서는 공공부문의 자산과 부채가
비슷하기 때문에 공공부문의 순자산이 제로(0)에 가깝지만, 국민대차대조표에서
우리나라 일반 정부의 순자산은 매우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민간자본/소득 비
율로 한정해도 우리나라는 7.0로 미국 4.1, 독일 4.1, 캐나다 4.2, 호주 5.2, 영국 5.2,
프랑스 5.7, 일본 6.0, 캐나다 6.8에 비해 높다(Piketty, 2014: 171).
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동안 불평등 연구는 노동시장 내부의 격차나 개인 또는 가구 간 소


득불평등에 치중되어 왔다. 그러나 상위 소득자를 누락하고 재산소득을
과소 측정하는 가구(또는 개인) 자료의 한계 때문에 불평등의 정도를 과
소 측정하고 불평등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최근에 밝혀지고
있다. 또한 불평등 증가가 주로 시장 분배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대부분의
국내 연구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본 간의 일차적인 분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다. 불평등의 심도와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 간 분배
(personal distribution) 뿐만 아니라 생산요소 간 분배(factor shares)를
함께 분석해야 한다(Atkinson, 2009).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원인에
대한 규명은 그동안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이 경제적 불평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지
만, 둘 간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개인별 소득분배는 노동-자본 간의
분배뿐만 아니라 노동소득과 자본소득 각각이 개인들에게 어떻게 분배되
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 통계를 산출할 수 있는 국
민계정은 국민소득의 구성 항목을 총계로 제시해 줄 뿐 각 요소소득이 소
득계층별로 어떻게 분배되는지는 알 수 없다. 본 연구는 노동소득분배율
과 개인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실증적인 분석을 시
도한다.
나아가 노동소득분배율은 거시경제적인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노동
소득분배율은 생산의 측면에서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과 동일한
개념이다.3) 노동생산성 대비 평균 임금은 비용 경쟁력의 지표로 활용하
는 관점에서는 임금 억제를 통한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정책적으로 강
조하여 왔다.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기업의 수익구조와 비용
경쟁력의 개선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거시경제적으로 좋은 성과로 이어
지는 것은 아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
인이기 때문이다. Bhaduri and Marglin(1990)은 노동소득분배율이 총수
요를 구성하는 소비, 투자, 순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경제성장에 미
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4) 국내에서는 주상영

3) 노동소득분배율의 산식에서 분자인 노동소득과 분모인 총부가가치를 각각 노동투


입량으로 나누면 단위노동비용으로 전환할 수 있다(ILO, 2012: 75~77).
제1장 머리말 3

(2013)이 외환위기 이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소비와 투자의 부진에 기


여하였음을 보이고 있다. 홍장표(2014a)도 외환위기 이후 노동소득분배율
의 하락이 소비를 크게 위축시켰지만 자본 몫 증가에 따른 투자와 순수출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국내외
연구들은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과 소득불평등의 증가가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의 주요한 원인이므로, 대안적인 성장 모델을 모색하는 방향으
로 나가고 있다(Lavoie & Stockhammer, 2013). 또한 노동소득분배율은
생산성 및 기술혁신에도 영향을 미친다. 홍장표(2014b)는 소득분배의 개
선이 노동생산성과 경제성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소득분배의 개선을 통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모델에 대한 논
의가 내외에서 구체적인 정책 변화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최근 이례
적으로 국제기구들은 경제성장과 일자리창출을 위해 불평등 억제를 모색
할 필요를 제시하고 있다(ILO․OECD․World Bank, 2014). 노동소득 증
가가 유효수요를 창출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저임금
일자리와 실질임금의 둔화(low wage and slow wage growth)에 의존한
우리 노동시장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의 필요를 제기한다.

제2절 연구의 구성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경제구조 변화와의 관계, 임금과 생산성 간의


괴리,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의 관계 등을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이 하
락한 원인과 그 경제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나아가 노동소득
분배율 하락이 개인소득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4) 홍장표(2014a)는 분기별 노동소득분배율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여 외환위기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소비를 크게 위축시켰지만 자본 몫 증가에 따른 투자와
순수출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성장 모델로 제기되고 있는 소득주도성


장론의 국제적인 논의를 소개하고 정책적인 재구성을 제안한다.
우선 제2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쟁점과 추이를 살펴본다. 첫
째, 측정 방법에 따라 노동소득분배율의 수준과 추이가 달라지는데, 특히
자영업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영업의 구조조정이 급속하게 진행되
는 우리 현실을 고려하여 자영자의 소득에서 노동소득을 추정하는 현실
적인 방법을 제안할 것이다. 이렇게 추계한 노동소득분배율은 외환위기
이후 크게 하락한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노동 몫이 낮은 산
업의 생산 비중 증가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지를 분석한다. 만약 산업구조
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면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을 노동과 자본 간의
불균형이나 임금과 생산성 간의 괴리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정책 방향
도 교육훈련의 강조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비교로 인용되는
OECD 통계는 자영자의 노동소득 추정방법 때문에 자영자의 취업 비중
이 높고 상대소득이 낮은 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을 과대 추정하는 문제
를 안고 있다. 이 글에서 제안한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노동
소득분배율은 OECD 평균 수준에 비해 낮으며 매우 크게 하락하였음을
보일 것이다. 넷째, 국민소득을 자본소득, 자영소득, 상위 10% 계층의 임
금소득, 상위 90% 계층의 임금소득으로 나누어 외환위기 이후 분배구조
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한다. 근로자 내부의 격차가 확대되었지만,
노동과 자본 간 소득의 불균형이 더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장기적인 경제구조 변화와의 관계를 분
석한다. 이를 위해 경기변동의 영향을 통제한 경제구조의 장기적인 변화
추세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OECD와 ILO의 통계 자료 DB를 이용
하여 규명할 것이다. 우선, 우리나라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인 분석은 노동소득분배율이 단기 변동이나 장기 추
세에서 성장률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국가들의 분석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과 성장률 간의 내생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패널연립방정식 모형을 적용
할 것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총수
요에서 차지하는 소비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내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제1장 머리말 5

경제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요인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을
규명한다. 이 장에서는 요인 분해 식을 독자적으로 도출하였다. 즉,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를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부분과 산업 내 노
동소득분배율 변화로 인한 부분으로 나누고, 다시 전자를 산업별 노동생
산성 증가율의 변화와 산업별 취업자 분포의 변화로 분해하고, 후자를 노
동생산성 증가율과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로 분해한다. 2005~11년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대부분이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은 임금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하회하기 때문임을 볼 수 있다.
생산을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의 생산요소 간 분배는 일차적으로 기업에
서 이루어진다.
제5장에서는 사업체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기업단위의 노동력 활용 방
식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분석한다. 첫째, 기업 내에서 노동소득분
배율의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기술적인 요인, 생산물시장의 독점력, 근로
자의 교섭력과 함께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본다. 단기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에 따른 비정규직과 하
도급 거래관계의 확대가 노동소득분배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생산성과 비교하여 노동
비용이 하락하였음을 의미한다. 임금 억제를 통해 기업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자는 논의는 어느 시기에나 있었지만, 외환위기 이후에
특히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 글에서는 반대로 분배의 인센티브 효과, 즉
임금소득분배율 증가가 생산성 증가를 촉진하여 고용 증가로 귀결되는
경로의 존재를 제기할 것이다.
제6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불평등의 관계를 다룬다. 가
구조사는 최상위 근로소득과 자본소득의 과소 측정 문제를 안고 있으므
로 국세청의 조세 자료를 이용하였다. 첫째,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소득
계층별로 어떻게 발생하였는지를 분석한다. 국민소득에서 자영자의 노동
소득 비중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임금근로자 내에서도 하위 70% 계
층의 분배 몫이 하락하였음을 보일 것이다. 반면 임금 상위 30% 계층의
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분매 몫은 증가하였는데, 특히 최상위 10% 계층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둘


째,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의 관계를 밝히고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개인소득에는 노동소득에 이자, 배
당, 임대료, 자영자의 사업소득 등의 개인자본소득이 포함된다. 개인소득
에서 자본소득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배당소득과 이자소득의 소
득집중도는 매우 높아서, 배당과 이자 등의 재산소득 증가는 소득불평등
확대에 기여함을 보일 것이다.
제7장에서는 국민계정과 가구조사를 비교하여 국민계정의 요소 분배와
가구소득의 소득불평등 관계를 분석한다. 국민계정에서 노동소득 비중은
하락하고 자본소득 비중은 증가하는데, 가계 부문에서 재산소득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기업 부문에서는 크게 늘어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이는
사내에 유보되고 있는 기업 이윤을 가계 부문으로 환류시켜야 할 필요성
을 제기한다. 한편 가구조사에서는 가계소득에서 자본소득의 비중이 낮
고 자본소득의 분포가 불균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소득
계층의 과소 대표, 자본소득의 과소 보고 문제가 커서, 노동소득분배율의
개선이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소득 파악과
대표성 있는 조사 자료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대안적인 성장 모델로서 소득주도성장론을 다
룬다. 소득주도성장론은 소득분배구조의 개선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안정
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대전제에 기초하여 정책적인 틀을 구
성하려는 시도다. 우선 소득분배 개선과 경제성장 간 선순환구조의 가능
성에 대한 최근의 이론적․실증적인 연구 성과를 리뷰한다. 특히 노동과
자본 간의 소득분배 간 추세, 결정요인, 경제적 효과 등에 대한 외국의 연
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실증적인 진전에
기초하여 소득주도성장론의 정책틀(policy framework)를 제시한다. 특히
소득주도성장론의 핵심 원리와 이를 구현하는 정책적인 재구성을 제안하
고 있다. 국제적인 비교분석에 기초한 이 글은 국제적인 논의 흐름을 이
해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일곱 가지 주제로 구성된 본 연구는 노동-자본 간의 일차적인
분배에 대해 새로운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과
제1장 머리말 7

제도 많다. 첫째,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적인 소득불평등의 관계와 관련


하여 자본스톡과 재산소득의 개인별 분배에 대한 자료의 한계 때문에 체
계적으로 규명하지 못했다. 이는 국세청의 조세 자료를 이용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동-자본 간 소득분배는 시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도와 정책의 요인이 중요하지만, 이를 포괄적으로 다루지
는 못했다. 셋째, 노동소득 몫을 높여 거시경제적인 균형을 회복하고 성
과를 개선하려는 소득주도성장론의 정책적인 구성과 세계적인 논의를 체
계적으로 다루었지만,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정책 논의로 나아가지는 못했
다. 노동 사회정책, 조세 및 재분배정책뿐만 아니라 거시경제, 금융정책
등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경제성장을 위한 정책 배열을 어떻게 할 것인지
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역량을 넘어서는 것이긴 하지만 지혜를 모아야
할 과제로 남아 있음을 밝힌다.
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제1절 머리말

노동소득분배율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합의는 없다. 측정방


식에 따라 수준과 추세가 달라진다. 대표적으로 한국은행과 OECD가 공
표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차이는 매우 크다. 한국은행이 공표하는 노동
소득분배율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하락폭이 아주 적다. 반면 OECD가 공표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은 우리나라
가 매우 높은 수준이며, 지난 20년간의 감소폭이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국내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홍민기, 2014a; 김배
근, 2013; 주상영, 2013). 우선 제2절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측정을 둘러
싼 쟁점을 소개하고, 각각의 측정 방법별로 수준과 추세를 제시한다. 이
를 통해 우리 현실에 부합하는 보정방식을 제안한다.
한편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산업구조의 변화 때문일 수 있다. de Serres,
Scarpetta and Maisonneuve(2002), Arpaia, Pérez and Karl Pichelmann
(2009)은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은 산업의 생산 비중 증가 때문에 노동소득
분배율이 하락했다면 이를 노동-자본소득 간 불균형으로 해석하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하고 있다. 즉 산업 간 노동소득분배율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산업구성의 변화는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변화율에 총합 편의(aggregation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9

bias) 또는 구성 편의(composition bias)를 야기할 수 있다. 제3절에서는


변화-구성요인 분해(shift-share analysis)를 수행하여 외환위기 이후 노
동소득분배율 하락의 대부분이 산업 내에서 발생하였음을 보일 것이다.
자영 비중의 차이를 조정하면 국가 간 노동소득분배율의 차이가 대부
분 사라진다는 Gollin(2002)의 주장은 이제 받아들여지지 않지만, OECD
의 자영자 혼합소득의 보정방법이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을 과대
측정함을 보이고, 이 글에서 제안한 보정방법으로 추계할 경우 우리나라
의 노동소득분배율은 OECD 회원국 평균에 비해 낮음을 제4절에서 제시
한다.
제5절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보정방법을 이용하여 자본소득과 소득계
층별 노동소득이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추이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소득점유율이 하락하였을 뿐만 아니라 임금소
득 하위 90% 계층의 노동소득점유율도 크게 하락하였으며, 임금소득 상
위 10% 계층의 노동소득점유율은 증가하고, 자본소득 점유율은 더 크게
증가하였음을 보인다.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쟁점과 추이

1. 측정 쟁점

분배 측면에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국민소득 가운데 노동소득이 차지


하는 비중으로 정의된다. 노동소득분배율 측정에는 두 가지의 쟁점이 존
재한다.
첫째, 분모에 사용하는 국민소득으로서 어떤 소득을 사용하느냐에 따
라 노동소득분배율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국내총생산(GDP), 국내총부
가가치(GVA), 요소비용국민소득(NI)이 자주 사용된다.
그 차이를 살펴보자. 국내의 각 경제 주체가 생산 활동을 수행한 결과
로 발생한 부가가치를 합한 국내총생산(GDP)은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1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고정자본소모, 순생산 및 수입세로 구성된다. 분모에 국내총생산을 사용


하면 순생산 및 수입세와 고정자본소모를 자본소득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에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에 생산자
의 생산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보조금을 공제한 순생산 및 수입세는 실질
적으로 누가 부담하고 누구에게 분배되는지를 알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OECD는 국내총생산에서 순생산 및 수입세를 제외한 총부가
가치(GVA)를 사용한다. 자본축적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되는 고정자본소
모를 자본에 대한 요소소득으로 간주한 것이다.5) 한편 한국은행에서는
가장 좁은 범위의 요소비용국민소득(NI)을 사용한다. 즉 국내총생산에서
순생산 및 수입세와 고정자본소모 모두를 제외한다. 따라서 분모에 해당
하는 국민소득에 분배국민소득의 구성항목을 많이 포함할수록, 즉 GDP,
GVA, NI 순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은 작게 측정된다. 또한 국민총소득에서
고정자본소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여 왔기 때문에, 어떤 국민소득
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노동소득분배율 간의 차이는 커지게 된다.
둘째, 분자에 사용하는 노동소득을 어느 범위까지로 할 것이냐이다. 한
국은행에서는 피용자보수를 사용한다. 피용자보수에는 근로자가 수행한
노동의 대가로 받은 현금 또는 현물 형태의 현금 및 급여와 고용주가 부

<표 2-1> 다양한 국민소득 개념


계정 항목
고정자본 순생산 및
국내총생산(GDP)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소모 수입세
고정자본
국내총부가가치(GVA)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소모
고정자본 순생산 및 국외 순수취
국민총소득(GNI)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소모 수입세 요소소득
국민순소득(NNI) 순생산 및 국외 순수취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시장가격국민소득 수입세 요소소득
국민소득(NI) 국외 순수취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요소비용국민소득 요소소득

5) Ryner(2012)는 분자에 포함되는 연금 및 사회보험료가 노동의 재생산비용이므로


자본의 대체비용인 고정자본소모를 분모에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11

담하는 사회부담금으로 구성된다. 피용자보수로 한정하면, 자영업자의 소


득인 개인영업잉여를 모두 자본소득으로 간주하게 된다. 자영업자의 소
득은 자본소득과 노동소득이 혼합된 소득이기 때문에 한국은행 방식으로
측정하면, 노동소득분배율은 과소 측정된다.6)

2. 측정 방법과 추이

다양한 측정 방법별로 노동소득분배율의 수준과 추이를 살펴본다. 이


때 한국은행 방식과의 비교를 위해 요소비용국민소득을 분모로 사용하
였다.
한국은행 정의에서는 자영업자 소득의 전부를 자본소득으로 간주하므
로, 자영업 비중의 감소를 고려하지 못한다.7) 자영자의 소득 가운데 노동
소득을 추정하여 보정한 노동소득분배율과 구분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한국은행의 통계를 임금소득분배율이라고 부른다(WS로 표기한다).
Gollin(2002)은 자영업자의 노동소득을 고려하지 않으면 자영업 비중이
높은 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이 과소 측정된다고 비판하며, 세 가지 조정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개인영업잉여 모두를 노동소득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LS1). 이
방법에서는 자영업자가 자본을 보유하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노동
소득분배율을 과대 측정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8)
둘째, 자영업에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 간 구성 비중이 다른 경제 부문
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방법이다(LS2). 개인영업잉여를 제외한 국민소
득에서 피용자보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할 수 있다.9) 개인 기업으
로 구성된 자영업이 법인 기업이나 정부 부문 등의 다른 경제 부문과 기

6) 1993년 SNA에서는 가계 비법인 기업의 경우 영업잉여 대신에 혼합소득(mixed


incom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는 가계 구성원이 소유하는
비법인 기업에서 생산 활동의 결과로 발생한 소득에는 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가
혼합되어 있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한국은행, 2010: 62, 230).
피용자보수
7) 
요소비용국민소득
피용자보수  개인영업잉여
8) 
요소비용국민소득
1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능적 소득분배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이 방법은 자영업이 노동소득뿐만


아니라 자본소득을 함께 획득한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만, 일반적으
로 자영업 부문이 상대적으로 노동집약적인 생산 활동을 한다는 점을 감
안하면 노동소득분배율이 다소 과소 측정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자영자의 평균 임금소득과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소득이 동일
하다고 가정하는 방법이다(LS3). 이는 임금근로자 규모에 대한 통계를 이
용하여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구하고, 이를 자영업자의 노동소득으
로 대신하는 방법이다.10)11) 무급가족종사자는 정의상 노동소득이 전혀
없지만 생산에 기여하기 때문에, 임금근로자와 동일한 노동소득을 얻는
다고 가정한다.
[그림 2-1]은 측정 방법별로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를 제시한 것이다.
자영자 소득을 고려하지 않은 한국은행 방식의 WS는 네 가지 방법 가운
데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다. 반면 자영자의 노동소득을 반영하면 노동소
득분배율은 훨씬 높게 측정된다.12)
또한 한국은행의 임금소득분배율은 1996년에 정점을 기록한 이후에 소
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자영자의 소득을 어떻게 조정하든 LS1-
LS3은 외환위기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여 고점의 수준에 비해 13~15%p
내외의 하락을 보이고 있다.
OECD는 자영업 고용 비중을 고려하여 LS3의 방법을 사용해 국제비교
통계를 작성한다. 그러나 LS3의 추이를 보면, 노동소득분배율이 100%를
상회하는 시기가 존재한다. 이는 자영자와 임금근로자 간 평균 소득의 차
이가 클 때 발생한다. [그림 2-2]를 보면, 비임금근로자의 1인당 영업잉여

피용자보수
9)
요소비용국민소득  개인영업잉여
피용자보수  피용자보수임금근로자수 × 비임금근로자수
10)
요소비용국민소득
피용자보수 취업자수
11) 또는  × 
요소비용국민소득 임금근로자수
12) 이외에도 자영업자 소득의 2/3를 노동소득으로, 1/3을 자본소득으로 나누는 방법
이 있다. Johnson(1954)이 제안한 이후로 미국에서는 이 방법이 관례적으로 사용
되고 있다(Krueger, 1999). 그러나 노동과 자본이 각각 2/3와 1/3을 나누어 가지
는 현상은 20세기 중반의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며, 역사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
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Piketty 통계에 의해 받아들이기 어렵다.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13

[그림 2-1] 다양한 측정 방법에 의한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단위 : %)

주 : *는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로 전환과 기준 연도를 2010년으로 개편


한 통계임.

는 통계 확보가 가능한 1975년 이후 근로자의 1인당 피용자보수에 비해


항상 낮기 때문에 비임금근로자의 평균 소득을 임금근로자의 노동소득과
동일하다는 가정은 노동소득분배율을 과대 측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LS3을 이용하여 산출한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소득은 개인영업잉여
보다 훨씬 커서, 2013년에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은 199%에 이르는
오류가 발생한다.
LS3에 의해 노동소득으로 간주되는 자영소득이 개인영업잉여보다 큰
현상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 개인영업잉여 전체를 노동소득으로 간주하
는 LS1은 노동소득분배율을 과대 측정하는 문제를 가진다. 자영업의 노
1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2-2] 비임금근로자의 상대 노동소득과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

주 : *는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로 전환과 기준 연도를 2010년으로 개편


한 통계임.

동소득분배율이 다른 경제 부문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LS2는 노동집약


적인 자영업 부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지만, 자영소득 가운데 얼마가
노동소득인지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현실에 가장 부합한 방법이라고 판
단한다.13)
LS2 방법에 따라 조정된 노동소득분배율은 SNA 2008 기준으로 2013
년 69.5%를 기록한다. 장기적인 시계열 관측이 가능한 SNA 1993을 기준
으로 하면, 조정된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년 79.8%에서 2012년 68.1%로,

13) 주상영(2013)도 한국의 고용구조에 비추어 LS2가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주장


하고 있다. 배무기(1984)도 비농림어업 부문 비법인 기업의 노동소득을 LS2의 방
법으로 추정하였다.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15

11.8%p 하락하였다.14)

제3절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산업구조의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변화-구성요인 분해(shift-share decomposit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산
업별로 비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을 산출할 때도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소득을 보정
해 주어야 한다. 국민계정에서는 산업별 개인영업잉여 통계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앞서 LS2의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산업별 부가가치와 고
용통계를 함께 사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을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에서  은 산업,  는 연도,  는 피용자보수,  는 총부가가치,


 
 은 취업자 수,  는 임금근로자 수를 말한다.     는 산업  의
 
부가가치 비중이고,   는 비임금근로자 규모를 고려하여 보정한 산업
 의 노동소득분배율이다. 즉,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은 산업별 노

14) 2012년 요소비용국민소득 975조 원 가운데 피용자보수와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소


득을 합한 금액은 663조 원이다. 만약 LS2 방법에 따라 조정된 노동소득분배율이
1996년 수준을 유지하였다면 노동소득은 778조 원에 이르렀을 것이다. 이는 115
조 원이 자본소득으로 대체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간으로는 조정 노동소득분배율
이 0.7%p 감소하였으며, 2012년 요소비용국민소득 기준으로 하면, 매년 7.2조 원
의 노동소득이 자본소득으로 대체되었음을 의미한다.
15) 미국 노동통계국(BLS)도 자영자의 노동소득을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평균 보수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추계한다(BLS, 1997: 92). 이는 앞서의 LS3 방
법을 산업별로 적용하여 구한 값에 산업별 생산 비중을 가중하여 구하는 방법이
다(이하에서 LS4로 표기한다). 이러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은 앞서의 LS3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노동소득으로 간주되는
자영소득이 개인영업잉여를 상회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한다.
1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동소득분배율에 산업별 생산 비중을 가중하여 구한 합으로 표현된다.


노동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위 식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우변 첫째 항에 나타난 산업구성


변화의 효과와 둘째 항에 나타난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효과로
구성된다. 전자는 경제 전체 노동소득 변화율 변화에서 구성 편의에 설명
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해를 하기 위해서는 산업별 부가가치, 피용자보수와 고용통
계가 필요하다. 우선, 국민계정의 ‘경제활동별 국내총부가가치와 요소소
득’ 표에서 산업별 총부가가치(GVA)16)와 피용자보수를 사용하였다. 외
환위기 이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SNA 1993 기준의 통
계를 사용하였다. 한편 산업별 고용통계는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에
서 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계정의 산업분류와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표
준산업분류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국민계정의 대분류 산업
(16부문)을 기준으로 경제활동인구조사의 표준산업분류를 대응시켰다.
표준산업분류(9차)를 사용하는 2008년 이후 자료에 대해서는 권우현 외
(2012: 145~148)가 제시한 국민계정 중분류와 표준산업분류(9차) 연계표
를 사용하였다. 그 이전인 2000~07년의 표준산업분류 8차 분류, 1993~
99년의 6차 분류는 각각 9차 중분류 수준에서 연계하여, 경제활동인구조
사에서 취업자 수와 임금근로자 수를 산출하였다. 한편 자영자 소득을 고
려한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을 산출할 때 홍민기(2014b)에서처럼 보정한
노동소득분배율이 1을 넘지 않는 제한을 두었다.17)
<표 2-2>는 1996~2011년 국민계정 산업대분류별 16개 부문을 대상으
로 요인 분해한 결과다. GVA 기준에 LS4 방법으로 보정한 노동소득분배

16) 총부가가치에는 순기타생산세가 여전히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외하여 구하


였다.
17) 농림어업, 도소매업(1990년대 후반), 운수 및 보험업(2008년 이후), 교육서비스업,
기타서비스업 등에서 자영자 소득을 보정한 노동소득분배율이 1을 넘기 때문에
상한을 두었다.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17

<표 2-2>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요인 분해


1996년 노동소득분배율(A) 0.738
2011년 노동소득분배율(B) 0.653
전체 변화(B-A) -0.085 (100.0)
산업 내 분배율 변화 -0.076 ( 90.0)
산업구조 변화 -0.008 ( 10.0)

율은 1996년 73.8%에서 2011년 65.3%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하락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90%를 설명하고 있다.
한편 <표 2-3>은 산업별로 요인 분해한 결과를 보여준다. 첫째, 부가가

<표 2-3>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기여


노동소득분배율 GVA 비중 변화-구성 요인 분해
산업 내 산업구조
1996 2011 1996 2011
분배율변화 변화
농림어업 1.000 1.000 0.058 0.026 0.000 -0.031
광업 0.398 0.389 0.004 0.002 0.000 -0.001
제조업 0.688 0.550 0.259 0.314 -0.039 0.034
전기, 가스, 수도사업 0.253 0.321 0.020 0.019 0.001 0.000
건설업 0.831 0.962 0.103 0.059 0.011 -0.040
도소매음식숙박업 1.000 0.760 0.118 0.111 -0.027 -0.007
운수 및 보관업 0.804 1.000 0.044 0.037 0.008 -0.006
금융보험업 0.634 0.405 0.064 0.070 -0.015 0.003
부동산 및 임대업 0.132 0.112 0.087 0.067 -0.002 -0.002
정보통신업 0.678 0.633 0.037 0.039 -0.002 0.001
사업서비스 0.793 0.735 0.043 0.053 -0.003 0.007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0.766 0.653 0.056 0.063 -0.007 0.005
교육서비스업 1.000 1.000 0.052 0.061 0.000 0.009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866 0.786 0.022 0.045 -0.003 0.019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796 0.927 0.011 0.013 0.002 0.002
기타서비스업 1.000 1.000 0.021 0.019 0.000 -0.001
전체 0.738 0.653 1.000 1.000 -0.076 -0.008
1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치 비중이 늘어난 산업이 반드시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은 수준은 아닌 것


으로 나타난다. 부가가치 비중이 늘어난 산업 가운데 금융보험업, 제조업
의 노동소득분배율은 전체보다 낮고,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교육서비스
업, 사업서비스업 등은 전체보다 높다. 둘째, 제조업은 부가가치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났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은 전체 평균보다 낮을 뿐만 아니
라 하락하고 있다.
산업별 부가가치의 구성 비중을 통제하였을 때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
분배율 추이를 살펴보았다. 우선, 개별 산업의 부가가치 구성 비중을 고
정하여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을 측정하는 고정가중법을 사용하였다. 이
글에서는 1996년을 기준 연도로 하였다. 김배근(2013)이 지적하듯이 고정
가중법은 비교 연도가 기준 연도에서 멀어질수록 가중치가 실제 경제상
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연쇄가중법을 사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산업별로 전년도의 생산 비중을
가중치로 하여 매 연도의 전년 대비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율(연환지수)
을 산출하고, 다음으로 각 연도의 연환지수를 누적적으로 곱하여 매 기의
연쇄지수를 도출하여, 기준 연도의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에 곱하여 매 기
의 노동소득분배율을 계산한다.
[그림 2-3]을 보면, 산업별 부가가치의 구성 비중을 통제하였을 때 노
동소득분배율은 하락폭이 약간 줄어들었을 뿐 여전히 하락 추세를 보인
다. 연쇄가중법을 사용하여 구성효과를 조정하였을 때 2011년 노동소득
분배율은 1996년에 비해 6.6p 하락하였다.
이상의 분석은 산업구조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주된 원인이라
고 볼 수 없음을 보여준다.18)19)

18) 홍민기(2014b)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요인 분해를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고용구조의 변화에 의한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산업
별 생산구조의 변화에 의한 효과보다 나머지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서, 본 연구
의 분석 결과와 다르지 않다. 김배근(2013)은 구성효과를 통제한 임금소득분배율
을 제시하고 있다. 구성효과를 통제하고서도 1996〜2010년 기간 동안 임금소득분
배율은 하락하였다.
19) 반면 26개국을 대상으로 1990~2007년에 걸친 민간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를 분석한 OECD(2012)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산업 내
노동 몫의 감소 때문이지만, 한국과 덴마크에서는 산업구조 변화가 더 중요한 원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19

[그림 2-3] 산업구성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제4절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OECD가 공표하는 노동소득분배율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매우 높


은 나라 중의 하나다. [그림 2-4]를 보면, 우리나라는 비교대상 국가 30개
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지난 20년간 노동소

인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분석 자료로 사용한 EUKLEMS에서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 비중 통계가 산업별로 나누지 않고 서비스산업 모두에 동일한 값을 부여
하였기 때문에 OECD의 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2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2-4] OECD의 노동소득분배율 국제비교(1990〜2009)

자료 : OECD(2012).

득분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하락하였는데, 우리나라는 7번째로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난다.
OECD의 노동소득분배율 측정은 분모에 GVA를 사용하고, 자영자의 1
인당 노동소득이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LS3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영업자의 소득을 보정한 것이다. <표 2-4>에서 GDP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21

<표 2-4> OECD 국가들의 비임금근로자 고용 비중과 상대소득


GDP 구성 비중 비임금근로자
피용자 법인 개인 고정자본 순생산물
고용 비중 상대소득
보수 영업잉여 영업잉여 소모 세
AUS 0.487 0.175 0.079 0.160 0.099 0.109 1.37
AUT 0.502 0.129 0.098 0.161 0.109 0.158 1.04
BEL 0.526 0.127 0.062 0.180 0.105 0.161 0.62
CAN 0.507 0.223 0.168 0.101 0.090
CHL 0.372 0.400 0.123 0.105 0.238
CZE 0.431 0.167 0.114 0.194 0.094 0.181 1.20
DNK 0.552 0.144 0.166 0.139 0.060
EST 0.463 0.230 0.037 0.147 0.122 0.085 0.86
FIN 0.519 0.133 0.056 0.163 0.128 0.121 0.79
FRA 0.534 0.126 0.061 0.142 0.138 0.096 1.08
DEU 0.516 0.141 0.089 0.151 0.103 0.109 1.40
GRC 0.330 0.145 0.195 0.218 0.112 0.347 0.97
HUN 0.448 0.146 0.083 0.167 0.155 0.079 2.17
ISL 0.546 0.171 0.154 0.130
IRL 0.421 0.319 0.059 0.100 0.093 0.165 0.71
ISR 0.456 0.274 0.132 0.138
ITA 0.427 0.122 0.134 0.178 0.139 0.234 1.03
JPN 0.519 0.157 0.034 0.212 0.079 0.135 0.42
KOR 0.458 0.208 0.094 0.129 0.110 0.282 0.52
LUX 0.482 0.254 0.026 0.126 0.112 0.095 0.52
MEX 0.270 0.497 0.082 0.115 0.036 0.275 0.80
NLD 0.516 0.132 0.100 0.149 0.104 0.147 1.13
NZL 0.445 0.294 0.141 0.120 0.162
NOR 0.449 0.283 0.033 0.139 0.096 0.059 1.17
POL 0.361 0.193 0.215 0.106 0.125 0.224 2.07
PRT 0.481 0.107 0.102 0.190 0.121 0.143 1.27
SVK 0.379 0.149 0.199 0.191 0.082 0.154 2.88
SVN 0.524 0.085 0.095 0.167 0.128 0.184 0.80
ESP 0.469 0.125 0.151 0.164 0.091 0.141 1.96
SWE 0.538 0.127 0.033 0.133 0.169 0.052 1.13
CHE 0.603 0.090 0.095 0.179 0.032 0.111 1.24
GBR 0.538 0.164 0.057 0.112 0.128 0.151 0.60
USA 0.531 0.145 0.103 0.157 0.066 0.066 2.76
주 : 2012년 또는 그에 가장 근접한 해의 통계임.
자료 : OECD.StatExtracts에서 필자 분석.
2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가운데 순생산물세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우리나라는 중간 수준이기


때문에 GVA의 사용이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을 높게 측정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비임금근로자 고용 비중이 두 번째로
높다. 또한 비임금근로자의 1인당 개인영업잉여를 임금근로자의 1인당
피용자보수와 비교한 상대소득이 일본, 룩셈부르크에 이어 가장 낮은 나
라로 나타난다. 이처럼 비임금근로자 비중이 높고 상대소득이 낮기 때문
에, LS3의 방법에 따라 자영업자의 노동소득을 추계하면, 우리나라의 노
동소득분배율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다른 경제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과 동
일하다는 가정을 채택하여 자영업자의 노동소득을 추계하는 LS2의 방법을
사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통계를 산출하였다. LS2 방법을 적용
하기 위해서는 개인영업잉여 정보가 필요하다. OECD National Accounts
DB에 개인영업잉여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2012년 기준의 보
정된 노동소득분배율을 추계하였다.
[그림 2-5]를 보면,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비교대상 국가 27개
국의 단순 평균에 비해 낮고, 열 번째로 낮은 나라에 해당한다. 또한 1996

[그림 2-5] 조정 노동소득분배율의 국제비교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23

[그림 2-5]의 계속

주 : 2012년은 당해 연도 또는 그에 가장 근접한 해의 통계임.


자료 : OECD.StatExtracts에서 필자 분석.

~2012년간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폭을 보면, 우리나라는 비교대상 국가


21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하락폭이 크다.

제5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계층별 소득점유율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일차적으로 자영 부문의 감소와 소득 하락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2-6]은 피용자보수와 제도 부문별 영업잉
여가 요소비용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준다. 임금근로자의 증
가에도 불구하고20) 피용자보수의 비중은 소폭 감소하였다. 가계 및 비영
리단체 부문의 영업잉여는 1996년 21.6%에서 2012년 12.3%로 급감하였

20) 취업자 가운데 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6년 63.3%에서 2012년 71.8%로
증가하였다.
2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2-6] 요소비용국민소득의 구성항목별 비중


(단위 : %)

주 : *는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로 전환과 기준 연도를 2010년으로 개편


한 통계임.

다. 반면 법인 부문의 영업잉여는 14.2%에서 22.7%로 증가하였으며, 금


융법인의 영업잉여도 2.3%에서 4.4%로 증가하였다. 즉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자영 부문의 쇠락과 함께 법인 이윤소득의 증가가 함께 작용하였
음을 알 수 있다.
국민소득은 자본소득  와 계층별 노동소득(상위 10% 근로자 집단의
임금소득  과 나머지 90% 근로자 집단의 임금소득  , 비임금근로
자의 노동소득  )의 합으로 구성된다.          . 이 식은
   
다음과 같이 전환할 수 있다.          , 이때   는
   
국민소득에서 자본의 몫이다. 홍민기(2014a)의 방법에 따라 전체 소득
에서 임금소득 상위 10%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임금소득 중 10% 집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25

단의 임금소득 비중에 임금소득분배율을 곱한 값으로 바꿀 수 있다.


   
    . 이때, 임금소득 상위 10% 집단의 노동소득 비중 
   
은 김낙년(2012)에서 그 값을 얻을 수 있다.21)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본소득과 계층별 노동소득의 비중을 제시한
것이 [그림 2-7]이다. 임금소득 하위 90%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6
년 46.6%에서 2010년 38.8%로 7.8%p 하락하였다. 또한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17.3%에서 8.6%로 하락하였다. 반면 임금소
득 상위 10% 집단의 비중은 16.0%에서 20.1%로 4.1%p 증가하였으며, 자
본소득의 비중은 20.2%에서 32.5%로 12.3%p 증가하였다. 이는 노동시장
내부의 격차보다는 노동과 자본 간 소득의 불균형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7] 자본소득과 계층별 노동소득점유율의 추이

21) 피용자보수는 현금급여뿐만 아니라 현물급여와 고용주 사회부담금의 합으로 구


성된다. 이 글에서는 현물급여, 고용주 사회부담금의 집중도도 임금 및 급여의 집
중도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2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6절 소 결

지금까지 노동소득분배율 측정을 둘러싼 쟁점을 소개하고, 국민계정을


이용하여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 추이를 살펴보았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영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자영업 일자리와 소
득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의 수준과 추이를 파악하기 위
해서는 자영소득에서 노동소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영
소득에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없으므로, 본 연
구에서는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다른 부문의 그것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추계하는 것이 우리 현실에 부합한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렇게 추계한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년 79.8%에서 2012년 68.1%로 하락
하였다.
둘째, 자본집약적이거나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은 산업구조로의 변화에
따라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변화-구성요인 분해
의 분석 결과는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대부분이 산업 내에서 발생하였
으며, 연쇄가중법을 적용하여 산업구조 변화를 통제하였을 때 노동소득
분배율이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본집약도가 높아서 노동소
득분배율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제조업에서 하락폭이 다른 산업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이상의 결과는 서비스화와 같은 산업구조의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주된 원인이 아님을 의미한다.
셋째, 비임금근로자의 1인당 노동소득이 임금근로자의 그것과 동일하
다는 가정을 사용하여 추계하는 OECD 통계는 우리나라의 노동소득분배
율을 과대 측정한다. 자영 부문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다른 경제 부문의 노
동소득분배율과 동일하다는 가정을 채택하여 추계하면, 우리나라의 노동
소득분배율은 OECD 국가의 평균 수준에 비해 낮아서 우리나라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OECD 통계와 상반된 결과를 보인다. 또한 1996~2012
년에 걸친 조정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보면, 우리나라는 하락폭이 두
제2장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쟁점과 추이 27

번째로 크게 나타난다.
넷째, 국민소득을 자본소득, 자영소득, 상위 10% 계층의 임금소득, 상
위 90% 계층의 임금소득으로 나누어 외환위기 이후 분배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민소득 가운데 자영소득의 비중이 감소하였
지만 임금소득 하위 90%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하였다. 반면 임금
소득 상위 10% 집단의 비중은 증가하고 자본소득 점유율은 더 크게 증가
하였다. 임금근로자 내부의 격차가 확대되었지만, 노동과 자본 간 소득의
불균형이 더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2-1>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단위 : %)
임금소득분배율(WS) 보정 노동소득분배율(LS2)
1975 39.6 78.0
1976 41.0 77.0
1977 43.1 74.7
1978 45.1 73.7
1979 47.7 73.9
1980 50.1 71.4
1981 49.8 71.5
1982 51.3 76.5
1983 53.0 75.8
1984 52.9 76.2
1985 52.4 75.5
1986 51.7 75.2
1987 52.1 73.2
1988 53.4 73.8
1989 55.6 75.8
1990 57.0 76.3
1991 58.0 77.1
1992 57.9 77.0
1993 58.2 76.4
1994 58.4 76.1
1995 60.4 75.9
1996 62.6 79.8
1997 61.4 78.2
1998 60.6 80.4
1999 59.0 77.6
2000 58.1 75.0
2001 58.8 74.1
2002 58.0 71.9
2003 59.2 72.0
2004 58.7 70.4
2005 60.7 73.0
2006 61.3 73.7
2007 61.1 71.9
2008 61.0 70.9
2009 60.9 70.4
2010 58.9 67.5
2011 59.5 67.9
2012 59.7 68.1
2010* 59.4 67.9
2011* 59.9 67.9
2012* 60.9 68.9
2013* 61.4 69.5
주 : *는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로 전환과 기준 연도를 2010년으로 개편
한 통계임.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29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한국과 OECD 국가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1절 머리말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해


왔다. 그러나 주류경제학 내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아져 온 현상은 그
다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해 왔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장기적으로 안정
적이라는 견해가 지배해 왔을 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 사이의 기능적 소
득분배가 갖는 거시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도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상헌, 2014). 또한 소득분배에 대한 연구도 노동과 자본 간의 거시적인 총
량 차원의 분배보다는 가구단위의 소득분배, 혹은 노동소득이나 자산소
득 등 소득원천별 소득분배에 더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런데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위기를 계기로 확산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위기의 근본적 원인으로 소득불평등이 제기되면서 기능적 소
득분배에서 노동 몫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온 현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
다(OECD, 2012). 또한 경제위기의 배후에 임금소득의 감소와 소득불평등
이 자리 잡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대안 적인 경제 모델로서 임금주
도성장(wage-led growth) 체제 혹은 임금주도성장론이 제기되었다. ILO
에 의해 주도된 임금주도성장론과 관련된 연구 성과들은 Lavoie and
3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Stockhammer eds.(2013)에 집약되어 있다.


소득주도성장론은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적 효과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분석 방법론은 노동수요에 의한
단기 국민소득 결정모형으로서 이를 기초로 노동소득분배율이 노동수요
에 미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런데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의 관계는 단기에는 역의 관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제가 성장할
때 임금이 곧바로 오르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경기가 침체에 빠진다
고 해도 임금을 곧바로 낮추거나 고용을 즉각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위와 같은 기술적인 요인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단
기적인 거시경제 수요 구성의 변동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보다는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구조적인 소비, 투자, 해외수요(순수출)의 구성에 미
치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와 다른
OECD 국가들에서 진행된 장기적인 거시경제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
러한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절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거시경
제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분석 방법과 분석
자료에 대해서 정리한다, 제3절에서는 1970년대 이후 진행된 우리나라와
OECD 국가들의 주요한 경제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이러
한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가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
펴본다. 제4절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들을 이용해서 경제성장
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에 대해 탐색적인 계량분석을 통해서 노동소득
분배율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및 경제성장과 노동소득분배율에 대한
경제구조 관련 요인들의 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5절에서는 본 연
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기한다.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31

제2절 선행연구 및 분석 방법

1. 선행연구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 차원의 효과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임금


(소득)주도성장론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Lavoie and Stockhammer
eds.(2013)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본주의 황금기는 임금주도 체제와
친노동적인 분배정책의 결합을 통해서 가능했다고 평가한다.
임금주도성장론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
해 사용하는 이론적․실증적 모델은 Bhaduri and Marglin(1990, 이상헌
(2014)에서 재인용)이 제기한 총수요의 되먹임 효과를 고려한 거시경제
모델로서 다음 식과 같이 제시된다.

                      (3-1)

이 식에서  는 국민소득,  는 소비,  는 투자,  는 순수출,  는 정


부지출이며, 위 식에서 ω로 표시되는 소득분배율 변수에 대한 미분 값으
로부터 노동소득분배율의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가능하다. 이로부터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이 경제의 성장으로 이어지면 임금주도성장체제
이며,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성장으로 이어지면 이윤주도성장체제로 분
류된다.
그런데 위 모델은 거시경제의 총수요 구성에 기반을 한 단기 모델로서
경제체제의 장기적인 동학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경제의
추격성장 과정에서 투자 및 기술혁신을 동반해서 빠르게 노동생산성이 증
가하고, 그 결과 임금은 상승하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락하며, 순수출과
투자가 주도하면서 선순환을 이루는 경제구조도 가능하다. 물론, 이를 뒷
받침할 기술혁신체제와 양적․질적 노동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제도나 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외
생변수가 아니라 기술이나 자본, 또는 경제개방성 등에 의해 내생적으로
3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변할 경우 소득주도성장론의 정당성은 약화될 수 있다(La Marca and


Lee, 2013, 이상헌(2014)에서 재인용). 또한 기능적 소득분배가 소비에 미
치는 영향은 노동소득 총량뿐만 아니라 소득분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
고, 나아가 조세나 이전소득의 영향도 받게 된다. 따라서 노동소득분배율
의 거시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다양한 차원에서 다양한 변
수들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더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 차원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로는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들과 소득분배와 관련된 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연구
로는 김진일(2008), 강두용․이상호(2013), 주상영(2013), 홍장표(2014a)를
들 수 있다.
김진일(2008)은 간단한 축약형 거시 추정 모형을 통해 자본분배율 상
승은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자본분배율이 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외환위기 이후 투자는 계속 부진하였
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내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하였다. 강두용․이상호(2013)는 가계와 기업 간 소득성장 격차의 가
장 큰 원인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가계와
기업 간 성장 불균형의 [민간내수/민간가처분소득비율] 하락에 대한 기여
율이 60∼72%로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주상영(2013)은 1997년 외
환위기 이후 노동분배율과 내수의 인과관계가 뚜렷해졌고, 노동소득분배
율 하락이 소비와 투자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즉,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내수 침체에 기여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홍장표
(2014a)는 외환위기 이후 총수요의 임금주도성이 강화되었으며, 노동소득
분배율이 크게 낮아지면서 내수시장을 위축시키고,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만, 노동분배율 하락이 투자
에 미치는 효과는 설비투자와 부(-)의 관계를 보인 반면, 건설투자는 정
(+)의 관계를 보이면서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위노동비용 하락이 무역수지 개선에 미친 효과도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공통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소비 및 내수의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33

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노동소득분배율과 소득분배구조와의 관계는 이론적으로 명확하지 않
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이 소득불평등 확대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거시경
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국내의 선행연구로는
강종구․박창귀․조윤제(2012), 배성종․이상호(2006) 등이 있다.
강종구․박창귀․조윤제(2012)는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면 자산보
유불평등이 소득불평등보다 큰 상태에서 소득불평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
상하였다. 이는 자산보유불평등이 소득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전제
로 하는 것이다. 또한 국가단위 패널 자료를 구축한 분석을 통해 노동소
득분배율이 소득불평등을 유의미하게 악화시킨다는 분석 결과를 통해서
이러한 논리가 뒷받침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어서 소득불평등이 증가하
면 소득계층별 한계소비성향 차이 때문에 유효수요가 낮아질 것이기 때
문에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소득불평등 확대를 통해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배성종․이상호(2006)는 중산
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격차 및 저소득층에 민감한 일반화엔트로피지수
(G(-1))로 측정한 소득불평등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이 높아서 저소득층
에서 발생한 소득분배구조의 변화(저소득층 소득 감소)가 총소비성향 변
동을 통해 소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연구들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내수 위축을 통해 거시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다만, 이 연
구들은 노동소득분배율과 총수요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거나, 노동소득분배율이 소득분배구조를 거쳐 소비에 미치는 영향
을 다룬다는 점에서 단기 거시경제 균형모형에 기반을 둔 연구라는 특징
을 갖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지만, 특정 경제체
제의 구성 요소로서의 노동소득분배율의 의미, 장기적인 경제체제의 동
학과 관련된 접근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는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과 기술혁신에 관한 진화론적 경제학 및 자본주
의 다양성론 등 경제체제 유형에 관한 제도경제학적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 방법에 기반을 둔 외국 연구로는
3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Gaffard and Punzo(2006), 국내 연구로는 한성안(2010)을 들 수 있다.


Gaffard and Punzo(2006)는 현대 경제에는 복수의 성장 모델이 있다고
보고, 잠재성장률은 단기에 발생하는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보다는
단기에 작동하는 힘들이 다른 요소들과 결합하여 장기 성과에 영향을 미
친다고 보았다. 특히 혁신을 성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보고, 주요 선진
자본주의국을 대상으로 혁신과 자본축적의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이질적이며 변동성을 보이는 경제성장을 포착하기 위해서
는 체제(regime)에 입각한 접근이 더 적절하다.
한성안(2010)은 소득분배에 초점을 맞춘 포스트케인지언과 기술혁신에
초점을 맞춘 진화경제학 및 자본주의의 다양성에 관한 제도경제학의 성
과를 종합한 거시경제 모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이 모델에 기반을 둔
실증 연구로까지 나아가지는 않았지만 본 연구와 관련된 주요 문제의식
을 통합한 거시경제 모델을 제시해 주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 차원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총수요 구성항
목 및 소득분배에 미치는 효과뿐만 아니라, Gaffard and Punzo(2006), 한
성안(2010)이 제기하는 것처럼 노동소득분배율과 생산성, 거시경제의 구
성 요소,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경제체제의 장기적 동학 사이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도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 있지만, 이를 이론적으로 더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다만, 이러한 연구로 이어지는 중간
단계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OECD 국가에서 1970년대 이후 경제구조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 자료와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우선적인 목적이 한국과 OECD 국가들의 장기적인 경제구


조의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기 때문에 OECD에
서 집적한 다양한 통계자료 DB를 이용한다.
우선 OECD의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의 최신판 및 국민계정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35

관련 과거 DB로서 노동소득분배율뿐만 아니라 구매력평가 GDP 등 GDP


관련 지표, GDP의 수요항목별 구성비 및 변화율, 산업별 부가가치 비율
등에 관한 자료를 이용한다. 여기에 인구 및 고용구조와 관련하여 Labor
Statistics DB를 이용하였고, 일부 비어 있는 자료들은 ILO의 노동통계 DB
를 이용해서 보완하였다. 또한 생산성과 관련해서는 OECD의 STAN DB
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1985년 이후 총요소생산성(multi-factor produ-
ctivity) 및 성장에 대한 자본과 노동의 기여를 계산한 정보를 제공한다.
비교 분석에 사용된 나라들은 위와 관련된 정보들이 비교적 긴 기간
동안 빠짐없이 제공되어 있는 나라들로서 동아시아의 일본, 앵글로색슨
국가인 캐나다, 아일랜드, 영국, 미국, 오세아니아의 호주와 뉴질랜드, 대
륙유럽의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남유럽의 이탈리아
와 스페인, 북유럽의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등이다.22) 이 나라들은 개별
국가로서뿐만 아니라 특정한 사회경제체제에 속한 나라들이기도 하다.
이와 사회경제체제 유형과 관련해서 여러 접근 방법들에 기초한 연구들
이 있는데, 대체로 여러 연구에서 도달한 유형들이 지역적 인접한 나라들
을 중심으로 나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황덕순, 2010).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인 변수인 노동소득분배율은 OECD에서 사용하
는 방식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자영자의 소득이 임금근로자의 소
득과 동일하다는 가정을 적용한 것으로 OECD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들
도 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Onaran & Galanis, 2012). 그런데 이 방식
은 한국과 같이 자영업의 비율이 높고 영세한 나라, 특히 개발도상국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1970년대에는
첫 번째 방법을 적용할 경우 노동소득분배율이 90%를 넘는 경우도 발생
하는 등 비현실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의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는 제
3절에서는 자영자 소득을 일정 부분 감액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한 지표
를 이용한다. 이와 관련해서 홍민기(2014b)는 자영자의 소득은 임금근로자
소득의 2/3라는 가정을 적용한 바 있고, 본 연구도 이를 그대로 따른다.
한편 스페인과 아일랜드, 이탈리아도 1970년대에는 2000년대 이후의

22) 열거된 각 나라들은 지역별로 영문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였다.


3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한국과 유사하게 자영자 비율이 30% 내외인 경우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


나 한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도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해
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근에는 자영자 비율이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
이며, 이 나라의 자영자들의 상황과 한국의 상황을 그대로 비교하기는 곤
란하다. 한편 한국의 경우에도 다른 나라와 통합해서 계량분석을 수행하
는 제4절에서는 OECD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자료를 이용한다. 나라마
다 고려해야 할 특수한 사정들이 있을 수 있고, 다른 나라들과의 일관성
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5년 단위
로 시기를 구분하고, 각 기간의 평균 값을 다시 시기에 따라 차분한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의 과다 추계에 따른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림 3-1]에는 각각의 방식으로 살펴본 1971년 이후의 한국의 노동소

[그림 3-1]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추이(1971∼2012)

주 : prdemp는 자영자를 고려하지 않은 노동소득분배율, lshr1은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이 임금근로자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조정한 노동소득분배율,
lshr2는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은 임금근로자 임금소득의 2/3라는 가정하
에 조정한 노동소득분배율.
자료 : OECD, Natioanal Accounts 및 Labor Statistics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37

득분배율 추이가 제시되어 있다. [그림 3-1]에서 가장 낮은 노동소득분배


율이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을 고려하지 않은 노동소득분배율, 가장
높은 것이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이 임금근로자의 평균 임금소득과
같다는 가정 아래 조정한 노동소득분배율, 가운데가 자영자의 노동에 따
른 소득이 임금근로자 평균 임금소득의 2/3라는 가정 아래 조정한 노동소
득분배율의 장기 추세다.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취업구조 변화에 따
라 자영자가 줄어들면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장기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지만,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을 고려할 경우 노동소득분배율이
1980년대 초반 이후 추세적으로 낮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축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3절에서는 한국경제의
장기적인 변화를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하여 살펴본다. 제3절의 앞 부
분에서는 1971년부터 2012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장기
간에 걸친 한국경제의 추격성장 과정과 그에 따른 구조변화를 OECD 국
가들의 경제구조 변화와 비교하면서 특징을 찾아볼 것이다. 다음으로 제3
절의 뒷 부분에서는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제4절에서는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사
이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기반으로 이러한 현상들이 구조적인 인
과관계에 기반을 둔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OECD 국가들의 국가단위
자료를 이용한 패널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제3절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1. 한국과 OECD 국가의 경제구조 변화 비교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지난 40여 년간의 한국경제의 구조변화


에서 가장 큰 특징은 추격성장 과정을 경험했다는 점이다. 1971년에 2005
3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년 미국달러 기준 구매력평가로 2,633달러였던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12년 27,991달러에 이른다(그림 3-2). 이는 비교대상 국가 가운데 스페
인과 이탈리아, 뉴질랜드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한 것은 높은 성장률과 노동생산성 증가다. 10년
단위로 평균했을 때 성장률은 1990년대의 아일랜드를 제외하고는 모든
나라들 가운데 가장 높았고, 시간당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가장 높았다.
경제구조 관련 주요 지표들의 변화는 <부표 3-1>∼<부표 3-3>에 요약
되어 있다. <부표 3-1>에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률, 총수요구성항
목별 비율을 10년 단위로 평균한 값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부표 3-2>
에는 10년 단위로 각 시점의 국민경제의 총부가가치 대비 산업별 부가가
치 비율과 고용구조 관련 지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부표 3-3>은 경제성
장을 총요소생산성과 투입요소로 분해한 것이다. <부표 3-1>의 경제성
장률 및 시간당 노동생산성 증가율, <부표 3-2>의 취업자 증가율은 해당
기간 동안의 증가율을 기하평균으로 구한 것이다.

[그림 3-2] 1971년과 2012년의 1인당 GDP(구매력평가, 2005년 미국달러


불변가격 기준)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39

지난 40년간의 한국경제 구조의 변화를 추격성장 과정으로 이해하면


이 기간 동안 다른 비교대상 국가들과 경제구조가 비슷해지는 방향으로
의 변화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이 이 시기 동안 공통적으로 경험한 구조
변화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위와 같은 구조변화가 진행
되는 과정에서도 한국경제에 고유한 구조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는 부분
도 여전히 있을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부표 3-1>과 <부표 3-2>에서
주요 지표들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우선, 이 시기 동안 진행된 변화로서 다른 나라에 수렴하는 방향으로
나타난 변화들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70년대에는 총수요에서 차지
하는 소비의 비율이 매우 높아졌다가 비교대상 국가들의 중간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는 실제 소비 수준이 높아졌기 때문이 아니라 정부지출 수준
이 매우 낮아졌고 순수출이 1970년대 평균적으로 음(-6.2%)이었기 때문
에 투자 비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도 소비 비율이 산술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후 소비의 비율이 여러 나라들의 중간 수준으로 낮아
진 것은 경제구조가 점차 다른 나라들과 비슷해지는 방향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의 또 다른 측면이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정부지출
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에도 정부지출 비
율은 평균 14.4%로 여전히 비교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낮다. 또 하나는
총요소생산성이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에서 점차 낮아져 온 것
이다. 물론 여전히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다음으로 1971년 이후 대부분의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구조적인
변화들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율 및 수
입 비율과 이 두 비율의 합으로 정의되는 대외의존도가 모든 나라에서 증
가했다는 점이다. 1970년대와 2000년대의 평균 값을 비교해 보면 모든 나
라에서 이 비율이 크게 늘어났고,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다. 이 기간 동안
국제화가 크게 진행되었고, 그에 따라 국제적인 산업연관도 크게 높아졌
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국민경제의 전체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2차산업, 특히 제
조업 비율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꾸준히 낮아졌다. 다만, 한국의 경우 2차
산업 비율이 농업의 쇠퇴와 함께 1990년 전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
4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추세로 돌아선 후 2000년대 이후 다시 반전된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들과


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이는 뒤에서 살펴볼 한국경제 구조의 고유한 특
징과 관련된다.
세 번째로,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총고정자본형성의 비율의 격차가
줄어들어서 많은 나라들이 20% 내외로 수렴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반적
으로는 많은 나라들에서 과거에 비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경
제수준의 성숙 및 장기적인 상대가격 구조 변화에서 투자재의 가격이 낮
아진 현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갖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 구분되는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자. 첫째, 추세적으로 다른 나라들과 비슷한 방향으로 바뀌면서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특징으로는 총수요에서 투자, 즉 총고정자본형성
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1990년대 초반에 정점에 이른
이후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이전보다 낮아졌지만 다른 나라
들과 비교하면 1970년대의 일본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다. 2000년대 평균을 기준으로 투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의 절반을 웃도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이는 여전히 한국에서 투자
가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2차산업과 제조업의 비율이 비교대상 국
가들 가운데 가장 높다. 동전의 양면으로서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서비
스업의 비율은 가장 낮다. 특히 한국의 경우 다른 비교대상 국가들에서
모두 2차산업과 제조업의 비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이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예외적인 나라에 속한다. 또한 제조업 취업자 비율과 제조업이 부
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같이 살펴보면 아일랜드 및 네덜란드와 함
께 두 지표 사이의 격차가 가장 큰 나라에 속한다. 이는 부가가치 기준으
로 평가할 때 다른 산업과 제조업 사이의 생산성 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
을 의미한다.
셋째, 앞에서도 지적한 것이지만, 정부지출 수준이 여전히 최하위로서
정부 부문이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가장 작은 나라다.
한편 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소규모 경제들에서
우리보다 높은 나라들이 많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2000년대를 기준으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41

로 한국보다 수출 비율이 높은 나라들로는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벨기에와 네덜란드는 중계무역 국
가로서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이 수출 비율이 높은 나라에 속한다. 여기에 더해서 오스트리아가 한국보
다 GDP 대비 수입 비율과 교역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인구 및 경제규모를 고려할 때 한국의 대외의존도는 비슷한 규모의 나라
들 가운데서는 여전히 매우 높은 나라다.

2.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여기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변화와 노동소득분배


율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지난 40년간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 추이에 대해서는 이미 [그림 3-1]에서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앞에
서 지적한 것처럼 자영자의 노동에 따른 소득을 임금근로자의 2/3로 가정
하고 조정한 소득을 이용해서 살펴볼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거시경제 변
수들은 추세를 갖는 변수들이기 때문에 원계열과 차분을 한 시계열을 같
이 비교한다.
참고로 아래 그림에서 살펴보는 변수들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lshr은
노동소득분배율, gr은 경제성장률, con은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민간소비
비율, inv는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총고정자본형성 비율, vind는 전체 부
가가치에서 차지하는 2차산업 비율, ext는 대외의존도(총수요 대비 수출
과 수입의 합)이다. 변수명 앞에 o가 추가된 것은 원계열, d가 추가된 것
은 차분계열이다.
먼저, 경제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이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살펴보자.
원계열을 보면 추세적으로 성장률은 낮아져 온 것으로 나타난다. 노동소
득분배율은 1980년대 이후 추세적으로 낮아져 왔다. 따라서 장기추세를
보면 성장률이 낮은 시기에 노동소득분배율이 낮다. 한편 차분 값을 보면
추세적인 변화를 제외하고 단기적인 관계를 알 수 있는데,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노동소득분배율이 경기역행적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구조적인 변화로는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민간소비 비
4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3-3]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추이

(가) 원계열

(나) 차분계열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율이 1980년대 말까지 하락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림 3-3]에서 민간소비


의 비율은 1980년대 말까지 하락했다가 이후 다시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난다. 추세적으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민간
소비 비율의 차이가 벌어졌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줄어드는 추세를 보
인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1990년 무렵까지는 노동소득분배율과 민간소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43

[그림 3-4] 노동소득분배율과 GDP 내 민간소비 추이

(가) 원계열

(나) 차분계열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비 비율이 같이 추세적으로 낮아져 왔고, 이후에는 진폭에 차이가 있지만


동조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차분 값을 보면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소비와 노동소득분배율은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 이는 노동소득분배율이 민간소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면서 경기
변동보다는 변화폭이 적은 안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4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다음으로 투자를 의미하는 총고정자본형성 비율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자. 총고정자본형성이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대까지 늘어나다가 이후 줄어든다. 장기추세를 보면 1990년대 초반까지
는 두 계열 사이의 격차가 줄어들고, 이후에는 대체로 동행하지만 시차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기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차분계열을 살펴보면 총

[그림 3-5] 노동소득분배율과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 추이

(가) 원계열

(나) 차분계열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45

고정자본형성에 비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 주기가 짧고, 정점과 저점


들 사이에는 2000년대 중반을 제외하면 시차가 나타난다. 따라서 소비와
달리 투자와 노동소득분배율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를 발견하기 어렵다.
한국경제에서 나타난 또 다른 중요한 구조적인 경향은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2차산업의 비율이 증가하다가 감소한 것이다. [그림 3-6]에서

[그림 3-6] 노동소득분배율과 2차산업의 부가가치 비율 추이

(가) 원계열

(나) 차분계열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4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원계열을 보면 노동소득분배율과 2차산업 비율은 1980년대 후반까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이후 두 계열 모두 2000년대 중반까지 감소추
세를 보인다. 다만, 2차산업 비율의 경우 감소폭이 적고, 2000년대 후반에
다시 상승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편 차분계열을 보면 대체로 단
기 변화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단기 변화나 장기

[그림 3-7] 노동소득분배율과 대외의존도 추이

(가) 원계열

(나) 차분계열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47

변화를 고려할 때 2차산업 비율과 노동소득분배율은 역의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한국의 경우 2차산업, 특히 제조업
의 노동생산성이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다른 산업에 비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외경제관계를 보면 수출 비율 및 대외의존도가 2000년대에 크게 늘
어난다. [그림 3-8]에서 노동소득분배율과 대외의존도 원계열의 장기추세
는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차분 값으로 살펴본
단기 변화도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반대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는 대외
의존도가 노동소득분배율과 역의 관계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
사해 준다.

제4절 OECD 국가에서의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OECD 국가에서 나타난 중요한 경제구조 변화는 제3절에서 한국경제


의 구조변화를 다루면서 간접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를 다시 요약하면
투자 비율의 수렴, 수출 비율과 대외의존도의 지속적인 상승, 부가가치
내 산업 비율과 제조업의 비율 하락 등이다. 여기에 더해서 경제성장률과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이 대부분 낮아져 온 것도 중요한 구조적 변화다.
앞의 제3절에서는 중요한 경제구조의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본 바 있다. 제4절에서는 한국을 포함해서 OECD 국가 자료를 이용
해서 경제의 중요한 구조적인 특성 변수들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본 변화가 다른 나라에서도 나타
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여러 나라들을 대상으로 구축된 자
료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패널 분석 방법론을 적용한다. 또한 거시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고,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이 추세를 갖는 1차 적
분된 시계열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변수들의 차분 값을 이용하여 분석한
다. 성장률은 GDP의 로그차분 값이고, 앞에서 살펴본 노동분배율 및 다
4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른 변수들도 비율 변수들이라는 점에서 차분변수가 아니라 원래의 변수


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분석에서 노동소득분배
율이 추세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고, 성장률에서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
난다는 점을 볼 때 차분된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판단
된다. 한편 국가를 단위로 한 패널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개별국가의 특성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서 고정효과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도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두 번째로, 본 연구의 관심은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사이의 단기 관
계가 아니라 두 지표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앞 절에
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
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존재한다. 이는 노동소득분배율이 일반적으로 경
기역행적(anti-cyclical)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년 나타난
변화를 이용한 패널분석을 수행하게 되면 두 변수가 갖는 구조적인 관계
가 아니라 경기변동에 따른 기술적인 역의 관계를 검증하는 결과를 초래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긴 기간 동안의 노동소득분배율
및 성장률의 변화, 그리고 이 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경제구조 관련 변
수들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변수들을 5년 단위로 평균
한 값을 구하고, 이를 시기별로 차분한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다만, 마지
막 시기의 경우 2006년 이후 시기는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였다. 또한 각
시기마다 관측치가 5년이 되지 못하는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차분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속해서 10년의 자료를 갖는 경우에만 분석
에 포함된다.
세 번째로,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은 외생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
영향을 미치는 내생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분석을 수행한
다. 따라서 경제성장률 결정모형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모형을 각각 추
정한 결과뿐만 아니라 연립방정식 모형을 추정한 결과를 같이 살펴볼 것
이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특성은 <표 3-1>과 같다. 전체 분석대상 기간
동안 경제성장률은 평균적으로 5년마다 0.4%p씩 낮아졌고, 노동소득분배
율은 1.2%p씩 하락하였다. 또한 총요소생산성도 0.3%p씩 하락하였다. 분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49

<표 3-1> 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5년 단위 평균의 차분 값)


전체 표본 최소 표본
관측치수 평균 표준편차 관측치수 평균 표준편차
경제성장률 126 -0.395 1.798 49 -0.737 1.909
노동소득분배율 116 -1.244 2.773 49 -0.899 2.868
총요소생산성 66 -0.259 0.903 49 -0.400 0.905
총수요 대비 소비 비율 126 -0.292 1.964 49 -0.037 1.476
총수요 대비 투자 비율 126 -0.622 2.276 49 -0.660 2.296
총수요 대비 수출 비율 126 2.679 4.148 49 3.669 3.995
대외의존도 126 4.827 7.579 49 7.088 6.954
제조업 부가가치 비율 72 -1.118 1.678 49 -1.255 1.494
금융및사업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율 77 1.586 1.103 49 1.492 1.098
주 : 1) 시기별 차분 값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분석대상 기간 동안 증가한 수출 비
율 및 대외개방도, 금융 및 사업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의 평균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 모든 변수들의 단위는
백분율로서 시기별 %포인트 변화를 나타냄.
2) 미국은 부가가치 내 제조업 비율 및 금융 및 사업서비스업 비율 변수가 누
락되어 분석에서 제외.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도 초기의 부가가치 내 제조
업 비율 및 금융 및 사업서비스업 비율이 누락된 경우가 있음.
3) 총요소생산성은 1985년 이후에만 제공되기 때문에 관측치가 적음.

석대상 기간 동안 늘어난 변수들은 수출 비율 및 대외의존도, 금융 및 사


업서비스업이 전체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먼저 <표 3-2>에는 경제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을 각각
단일방정식으로 추정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총요소생산성 관측
치가 적어서 분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총요소생산성을 제외한
모형을 추정한 결과도 같이 살펴보았다. 모든 추정에는 시기 및 국가 더
미가 포함되었으나 결과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단일방정식 모형
추정에서는 경제성장과 노동소득분배율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
지 않았다. 또한 경제구조의 특징을 보여주는 여러 변수들 가운데서도 유
의미한 변수들이 많지 않다. 외생적 기술진보를 포착하는 총요소생산성
을 포함한 경제성장률 결정요인 추정 모형에서는 총요소생산성, 총요소
생산성을 제외한 모형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추정 모형에서는 제조
5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3-2> 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 고정효과모형 추정 결과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노동소득분배율
노동분배율 0.015(0.113) 0.014(0.081)
*
총요소생산성 0.790(0.309) -
투자 비율 0.198(0.124) 0.088(0.101)
-
수출 비율 -0.050(0.113) -0.018(0.085)
제조업부가가치비율 0.592(0.386) 0.571(0.228)*
금융및사업서비스업부가가치비율 0.042(0.288) -0.046(0.221)
성장률 0.047(0.310)
대외의존도 0.028(0.080)
- -
제조업부가가치비율 -1.439(0.401)**
금융및사업서비스업부가가치비율 -0.185(0.432)
N 49 67 67
Adj-R2 0.593 0.527 0.272
주 : 1) 괄호는 표준오차.
2) * p=0.05, ** p=0.01수준에서 유의.
3) 모형에는 시기 및 국가가 더미변수로 포함되어 추정되었음.

업이 전체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율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난다. 제조


업 부가가치 비율은 경제성장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노동소득분배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위의 분석 결과는 경제성장과 노동소득분배율 사이의 내생적인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기 위해 둘 사이의 내생적인
관계를 고려한 패널 연립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에는 3단계 최소
자승법(3 stage least square estimation : 3SLS)이 사용되었다. 추정 결과
는 <표 3-3>에 제시되어 있다. 추정에서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총요소
생산성을 경제성장률 결정요인에 포함한 것과 포함하지 않은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적) 기술진보, 총수요 대비 투자 비율,
총수요 대비 수출 비율, 부가가치 대비 제조업 비율 및 금융 및 사업서비
스업의 비율을 통제하고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률 사이의 내생적인
관계를 고려했을 때 노동소득분배율의 1%p 상승은 10% 유의수준에서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51

<표 3-3> 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의 패널 고정효과 연립방정식(3SLS)


추정 결과
연립방정식 모형 1 (6) 연립방정식 모형 2 (7)
성장률 노동소득분배율 성장률 노동소득분배율
# *
노동분배율 0.379(0.218) 0.282(0.120)
**
총요소생산성 0.612(0.224) -
투자 비율 0.133(0.085) 0.054(0.079)
#
- -
수출 비율 -0.151(0.091) -0.040(0.067)
제조업 부가가치 비율 1.431(0.517)** 0.967(0.196)**
사업서비스업부가가치비율 0.230(0.224) 0.004(0.170)
성장률 0.538(0.463) 1.330(1.679)
*
대외의존도 0.161(0.064) 0.062(0.086)
- **
-
제조업 부가가치 비율 -2.474(0.446) -2.177(1.021)*
사업서비스업부가가치 비율 -0.494(0.362) -0.099(0.414)
N 49 49 67 67
2
R 0.717 0.695 0.637 0.370
주 : 1) 괄호는 표준오차
2) # p=0.1, * p=0.05, ** p=0.01수준에서 유의.
3) 모형에는 시기 및 국가가 더미변수로 포함되어 추정되었음.

성장률을 0.38%p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요소생산성에 더해서 제조업부가가치 비율이 유의미하게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출 비율은 10% 유의수준에서 경제성
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
인의 경우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유의미하지 않고, 대외의존도와 제조업
부가가치 비율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제조업부가가치 비율은 단일방정
식 추정과 마찬가지로 분배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외의존도는
노동소득분배율을 오히려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외의존도가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춘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배치되는 결과이다
(Stockhammer, 2013). 이는 본 연구가 다른 선행연구들과 달리 단기관계
가 아니라 5년을 단위로 한 중기 이상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방식
을 택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23)
5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총요소생산성을 분석에 포함할 경우 관측치수가 상당히 적어지기 때문


에 이를 제외한 모형을 추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노동소득분배율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추정계수의
크기는 0.38에서 0.28로 줄어들었다.24) 다른 변수들의 경우 통계적인 유
의도에서 변화가 나타났는데, 성장률 결정요인에서는 수출 비율, 노동소
득분배율 결정요인에서는 대외의존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률이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민간
소비와 투자에 미치는 효과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추정 모형은 시기와 국
가더미를 독립변수로 포함한 패널고정효과 단일방정식 모형으로서 경제
성장률과 노동소득분배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추정한 것이다. <표 3-4>
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효과를 보면, 민간소비에 미치는 효과는 긍정적
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투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난다. 노동소득분배율이 1%p 높아지면 총수요에서 민간소비가 차지하
는 비율은 0.26%p 높아진다. 이는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이 내수를 확대하
는 방향으로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률은 민간소비와 투자에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난다. 성장률이 높아질수록 GDP에서 차지하는 소비의 비율은 낮아지고
투자의 비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표 3-3>에서 투자가 차
지하는 비율이 높아진다고 해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경제성장률이 투자 비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반드시 장기적으로 성장률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
대하기는 어렵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률 사이에는 노

23) 연간 변화를 단위로 한 분석에서는 대외의존도가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는 것으


로 나타났다.
24) 통계적 유의성의 변화가 총요소생산성을 제외한 데서 비롯된 효과인지 살펴보기
위해 총요소생산성 값이 존재하는 관측치만을 대상으로 총요소생산성을 제외하
고 추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도가 10% 수준에서 유의성이 낮아졌다. 이는 총요
소생산성의 효과 때문이 아니라 관측치수의 감소 때문에 총요소생산성을 포함한
모델에서 노동소득분배율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낮아졌음을 시사해 준다.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53

<표 3-4>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이 민간소비 및 투자에 미치는 효과(패널 고


정효과모형)
총수요 대비 민간소비 비율 총수요 대비 총고정자본형성 비율
**
노동분배율 0.255(0.060) 0.008(0.091)
**
성장률 -0.293(0.109) 0.393(0.165)*
N 116 116
2
Adj-R 0.397 0.0357
주 : 1) 괄호는 표준오차.
2) * p=0.05, ** p=0.01수준에서 유의.
3) 모형에는 시기 및 국가가 더미변수로 포함되어 추정되었음.

동소득분배율이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인과관계가 작용하고, 경


제구조 변수 가운데 경제성장과 노동소득분배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것은 제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임을 알 수 있다. 다른 조건이
같다면 제조업 비율이 높을수록 성장률은 높아지고 노동소득분배율은 낮
아진다. 또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은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민간소
비의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내수의 중요성이 더 커지는 방향으로 경제구
조가 변화한다.

제5절 소 결

본 장에서는 거시경제구조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노


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임금주도성장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케인지언 단기균형 모형에 기초한 접근이
라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OECD 국가들의 1970년대 이후의 장기적인 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
배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OECD 및 ILO의 통계자료 DB를
통해서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총수요의 구성 및 산업별 부가가치 구
성,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5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1971년 이후 OECD 국가들의 경제구조에 나타난 변화는 경제성장률과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투자 비율의 수렴, 수출
비율과 대외의존도의 지속적인 상승, 부가가치 내 2차산업 비율과 제조업
비율의 하락, 금융 및 사업서비스업 비율의 증가 등으로 요약된다. 한국
경제 구조도 이러한 추세들과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변화해 왔지만 제조
업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2차산업 비율은 다시 상승추세로 반전해서
비교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제조업 비율이 높은 나라라는 특징을 갖는
다. 또한 투자 비율의 수렴 현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교대상 국가 가
운데 가장 높다.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를 살펴보면, 노동소득
분배율은 단기변동이나 장기추세에서 성장률과는 반대 방향으로, 소비와
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2차산업
비율이나 대외의존도도 노동소득분배율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
을 갖는다.
한국과 OECD 국가들을 단위로 해서 각 연도에 나타나는 단기 관계가
아니라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971년
부터 매 5년간의 경제변수를 평균하고, 이를 시기에 따라 차분한 자료를
구축하여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성장, 경제구조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
석하였다. 특히 노동소득분배율과 성장률 사이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한
패널연립방정식 모형(3SLS추정)을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경제구조 변수 가운데는 제
조업 비율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제성장
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노동소득분배율에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한
편 노동소득분배율은 총수요에서 차지하는 소비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내
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경제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거시경제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혁신과 성장, 노동소득분배율 사이의 장기적인 동학
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한국과 같이 에너지
와 식량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나라에서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
으로 대외균형 및 대내균형을 조화롭게 달성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 본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55

연구에서 충실히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임금주도성장론이 제기하는 노동


소득분배율의 개선에 기반을 둔 내수주도형 성장체제로의 전환과 대외의
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개방경제체제하에서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
해 대외균형을 장기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는 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25) 이러한 방향으로 연구를 더 심화시키
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과제다.

25) 에너지와 식량의 대외의존을 줄이기 위한 대안적인 사회경제 패러다임을 모색하


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는 이 글의 범위와 문제의식을 넘어서는 것으로 이에 대
해서도 다음의 과제로 넘기고자 한다.
5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3-1> 노동소득분배율, 성장률, 노동생산성, 수요구조 관련 주요 지표 추이


아일 뉴질 오스트
한국 일본 캐나다 영국 미국 호주
랜드 랜드 리아
노동소득분배율 72.1 72.5 66.2 77.9 69.6 69.4 69.6 60.4 75.5
GDP성장률 8.8 4.4 4.0 4.9 1.9 2.1 2.8 1.9 3.4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5.2 4.3 1.8 4.9 2.5 1.3 1.5 -7.0 2.9
197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66.2 52.4 54.4 67.0 60.0 60.0 55.2 60.6 56.4
~80 정부지출 비율 10.9 13.3 21.2 19.4 20.6 20.6 16.5 17.5 16.8
총고정투자 비율 27.3 32.7 22.9 24.1 20.3 20.3 27.3 23.9 26.9
수출 비율 25.8 11.9 23.9 40.2 26.1 26.1 14.1 25.3 29.8
수입 비율 32.0 11.3 23.4 50.2 26.2 26.2 14.2 27.5 31.2
노동소득분배율 71.4 70.2 63.4 72.0 69.2 67.0 65.7 61.6 71.2
GDP성장률 9.7 4.6 2.6 3.6 2.7 2.4 3.1 2.0 2.2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7.4 4.1 1.0 3.7 2.0 1.6 1.3 -6.7 1.6
198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5.1 54.5 55.0 61.3 60.6 60.6 56.0 58.8 57.7
~90 정부지출 비율 11.6 13.9 21.7 20.2 21.0 21.0 18.1 18.7 19.0
총고정투자 비율 29.5 29.1 21.5 19.7 19.1 19.1 27.4 23.1 23.2
수출 비율 32.9 12.3 26.8 52.4 25.8 25.8 14.8 27.6 34.3
수입 비율 31.7 10.2 25.1 52.8 26.0 26.0 16.7 28.4 34.7
노동소득분배율 70.2 65.1 63.6 62.1 69.4 65.9 63.3 57.5 68.5
GDP성장률 6.5 1.1 2.9 7.4 3.1 2.2 3.5 3.1 2.7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5.6 2.1 1.8 4.9 3.2 1.8 2.2 2.4 2.8
199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2.2 55.2 57.6 53.3 64.0 64.0 58.1 60.1 55.8

정부지출 비율 11.8 15.2 21.2 17.0 19.1 19.1 18.0 17.9 19.6
2000
총고정투자 비율 34.1 27.9 18.9 18.9 17.0 17.0 24.4 19.6 24.3
수출 비율 31.3 9.9 36.2 75.7 26.5 26.5 18.8 29.8 37.5
수입 비율 29.7 8.3 34.1 64.8 26.8 26.8 19.5 28.4 37.8
노동소득분배율 66.6 60.1 60.6 56.4 69.7 63.7 59.2 56.7 63.3
GDP성장률 3.9 0.7 1.9 2.2 1.5 0.8 3.1 2.5 1.6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3.9 1.3 0.8 2.1 1.1 1.8 1.5 10.6 1.4
200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4.2 58.5 56.5 47.2 64.7 64.7 56.2 59.3 54.5
~ 정부지출 비율 14.4 18.9 20.1 17.4 21.1 21.1 17.5 18.7 18.7
총고정투자 비율 28.6 22.0 21.4 20.2 16.2 16.2 27.3 21.1 21.7
수출 비율 44.5 14.2 35.4 90.4 28.1 28.1 19.8 29.7 53.6
수입 비율 42.3 13.5 33.7 75.1 30.4 30.4 21.1 29.5 49.5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Labor Force
Statistics.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57

<부표 3-1>의 계속
네덜 이탈
벨기에 프랑스 독일 스페인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란드 리아
노동소득분배율 72.3 75.9 72.5 72.2 75.5 79.4 73.2 73.6 74.1
GDP성장률 3.3 3.5 2.9 3.0 4.0 3.5 2.2 3.9 2.1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4.3 3.9 3.7 3.7 4.0 4.9 3.2 4.1 1.5
197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3.6 56.2 58.8 52.1 58.6 63.4 55.0 53.7 51.2
~80 정부지출 비율 20.6 19.5 19.8 22.6 16.5 11.6 23.9 17.3 25.1
총고정투자 비율 24.2 22.8 24.2 23.4 25.1 24.8 23.3 28.1 21.5
수출 비율 51.8 19.3 18.5 48.4 19.9 13.6 29.5 25.9 27.4
수입 비율 51.8 19.1 20.6 46.3 20.2 15.2 32.5 27.2 26.6
노동소득분배율 70.7 74.6 69.9 65.7 70.3 73.3 71.6 72.8 71.0
GDP성장률 2.0 2.4 2.3 2.2 2.4 2.9 2.1 3.1 2.2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2.1 2.9 2.3 1.7 1.8 2.8 2.6 3.0 1.2
198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7.1 58.3 59.5 50.9 58.4 62.4 52.8 52.5 50.0
~90 정부지출 비율 22.3 22.5 20.5 24.0 18.9 15.6 26.1 20.2 27.0
총고정투자 비율 19.2 19.8 22.0 21.5 22.7 22.2 19.4 26.2 20.9
수출 비율 64.9 22.1 23.5 56.5 20.5 18.5 35.9 26.9 32.9
수입 비율 64.3 22.9 25.0 52.8 20.6 19.1 34.7 26.8 30.8
노동소득분배율 70.1 69.6 67.8 64.7 65.4 72.0 68.2 68.6 70.3
GDP성장률 2.2 2.0 1.9 3.2 1.6 2.8 2.6 2.1 2.1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1.9 2.0 2.2 1.3 1.5 1.1 2.0 3.0 2.4
199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4.2 56.9 58.0 50.0 58.6 60.2 50.4 52.4 50.1

정부지출 비율 21.2 23.3 19.3 23.0 18.7 17.7 25.5 23.0 27.3
2000
총고정투자 비율 20.5 18.2 21.9 21.7 19.8 22.7 18.7 19.0 17.1
수출 비율 67.3 24.1 26.2 60.2 23.2 22.7 39.1 34.8 37.8
수입 비율 64.0 22.6 25.6 55.2 20.6 23.7 34.1 28.9 32.5
노동소득분배율 67.5 66.6 65.0 65.5 62.1 65.0 70.4 71.6 69.1
GDP성장률 1.3 1.1 1.1 1.1 0.1 1.6 0.6 1.6 2.1
시간당노동생산성 증가율 0.6 0.9 1.1 0.8 0.0 1.2 0.7 1.2 1.6
2001 GDP대비 민간소비 비율 52.3 57.1 57.8 47.5 59.5 57.9 48.3 52.5 48.2
~ 정부지출 비율 23.2 23.9 19.0 25.7 20.0 18.9 27.1 22.9 26.5
총고정투자 비율 20.5 19.5 18.0 19.1 20.3 26.1 19.3 19.8 18.3
수출 비율 79.6 26.5 43.3 72.7 26.8 27.4 50.0 41.6 48.4
수입 비율 76.4 27.4 38.2 65.2 26.9 30.7 45.2 37.4 41.5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Labor Force
Statistics.
5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3-2> 산업별 부가가치 비율 및 고용구조 추이


아일 뉴질 오스트
한국 일본 캐나다 영국 미국 호주
랜드 랜드 리아
1차산업 부가가치 29.5 4.4 4.3 - - - - 11.6 -
2차산업 부가가치 25.5 4.4 35.1 - - - - 35.8 37.9
2차 내 제조업 18.3 - - - - - - 25.8 24.5
1971 3차산업 부가가치 45.0 52.3 60.2 - - - - 52.6 56.2
3차내 사업서비스 7.2 10.7 17.5 - - - - 14.1 11.4
피용자 비율 38.6 66.6 85.5 69.5 91.6 89.8 86.3 86.9 73.8
제조업취업 비율 - 27.0 21.8 20.4 33.9 23.9 24.7 25.4 29.7
1차산업 부가가치 16.0 3.1 2.9 - - - - 10.2 5.0
2차산업 부가가치 36.2 3.1 36.9 - - - - 34.8 36.6
2차 내 제조업 24.6 27.2 18.0 - - - - 25.1 23.3
3차산업 부가가치 47.8 58.9 59.4 - - - - 55.0 58.3
1980
3차내 사업서비스 11.2 11.7 18.6 - - - - 14.7 12.9
피용자 비율 47.2 71.7 90.7 75.3 91.9 90.6 83.5 87.8 82.9
제조업취업 비율 21.6 24.7 19.6 21.3 28.3 21.6 19.7 25.2 29.5
취업자증가율 0.1 0.5 0.1 0.9 0.6 -1 0.6 1.0 1.0
1차산업 부가가치 8.7 2.1 2.3 7.2 1.5 - 3.5 6.5 3.6
2차산업 부가가치 40.2 2.1 31.3 31.7 31.2 - 30.2 28.7 32.9
2차 내 제조업 26.6 25.9 16.9 22.7 18.9 - 13.7 19.1 21.5
3차산업 부가가치 51.2 59.9 65.8 61.1 67.3 - 66.3 64.8 63.5
1990
3차내 사업서비스 14.7 13.7 22.7 19.3 22.1 - 24.3 24.9 17.4
피용자 비율 60.5 77.4 90.5 75.2 84.9 91.2 84.1 88.4 85.8
제조업취업 비율 27.2 24.1 16.2 19.7 22.1 17.6 15.1 17.1 27.0
취업자증가율 0.2 0.7 0.5 2.3 0.4 0.9 0.7 0.6 0.6
1차산업 부가가치 4.6 1.5 1.9 3.6 0.9 - 3.8 8.4 1.9
2차산업 부가가치 38.6 1.5 33.2 35.3 26.8 - 26.0 25.5 31.4
2차 내 제조업 28.3 21.5 19.2 25.8 15.6 - 12.1 16.7 20.1
3차산업 부가가치 56.8 67.3 64.5 61.0 72.3 - 70.2 66.1 66.7
2000
3차내 사업서비스 19.3 15.9 25.0 21.1 25.4 - 27.9 26.9 20.7
피용자 비율 63.1 83.1 89.4 81.2 87.2 92.6 85.9 88.0 86.9
제조업취업 비율 20.3 20.5 15.8 17.6 17.0 14.6 12.6 15.8 20.4
취업자증가율 0.9 0.6 2.6 2.2 0 2.1 0.2 -1 0.9
1차산업 부가가치 2.6 1.2 - 1.6 0.7 - 2 6.6 1.5
2차산업 부가가치 39.7 1.2 32.0 27.9 20.6 - 27 24.1 28.6
2차 내 제조업 31.1 18.6 12.0 23.3 10.1 - 7 12.4 18.2
3차산업 부가가치 57.7 72.7 66.1 70.5 78.7 - 71 69.3 69.8
2012
3차내 사업서비스 19.1 17.0 25.7 25.4 31.1 - 31 29.1 23.8
피용자 비율 71.8 87.8 91.1 83.3 85.4 93.0 89.3 83.4 86.2
제조업취업 비율 16.6 16.9 10.2 11.6 9.9 - 8.8 11.4 -
취업자증가율 0.8 0.5 0.6 0.7 0.8 1.1 0 0.5 0.9
주 : 취업자증가율은 전기 초부터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하평균으로 구한 값임.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Labor Force
Statistics.
제3장 거시경제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의 관계 59

<부표 3-2>의 계속
네덜 이탈
벨기에 프랑스 독일 스페인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란드 리아
1차산업 부가가치 - 7.2 - 5.1 - - - 10.8 -
2차산업 부가가치 - 33.6 - 36.9 - - - 38.7 -
2차 내 제조업 - 22.8 - 23.5 - - - 25.0 -
1971 3차산업 부가가치 - 59.1 - 57.9 - - - 50.4 -
3차내 사업서비스 - 19.8 - 13.3 - - - 11.9 -
피용자 비율 81.9 77.1 84.1 86.9 67.6 64.5 79.8 77.1 85.5
제조업취업 비율 31.8 27.0 48.4 - 39.7 27.5 27.5 26.5 27.3
취업자증가율 - 4.3 - 3.7 - - - 9.6 4.5
2차산업 부가가치 - 31.5 - 32.9 - - - 37.8 32.1
2차 내 제조업 - 20.6 - 17.3 - - - 26.6 22.1
3차산업 부가가치 - 64.3 - 63.4 - - - 52.6 63.4
1980
3차내 사업서비스 - 21.1 - 16.7 - - - 11.8 15.6
피용자 비율 83.4 80.6 88.1 87.8 71.4 69.1 0.0 82.8 78.3
제조업취업 비율 25.2 25.0 33.9 21.5 26.8 25.5 - 27.0 24.2
취업자증가율 0.1 0.5 0.1 0.9 0.6 -1 0.6 1.0 1.0
1차산업 부가가치 1.3 3.7 1.1 4.3 3.5 - 3.9 6.3 3.7
2차산업 부가가치 28.5 27.1 35.3 29.2 31.4 31.6 25.5 33.1 30.3
2차 내 제조업 19.7 17.6 25.1 17.7 22.5 - 16.5 21.8 20.1
3차산업 부가가치 70.1 69.2 63.6 66.6 65.1 64.1 70.6 60.6 65.9
1990
3차내 사업서비스 25.0 24.4 63.6 20.2 20.6 15.9 20.8 15.5 19.1
피용자 비율 81.9 80.4 89.2 88.4 71.3 73.4 88.3 85.4 80.1
제조업취업 비율 21.0 20.0 31.6 18.9 24.0 23.0 20.2 21.4 21.0
취업자증가율 0.2 0.7 0.5 2.3 0.4 0.9 0.7 0.6 0.6
1차산업 부가가치 0.8 2.5 1.1 2.5 2.8 4.2 2.5 3.5 2.0
2차산업 부가가치 27.2 22.8 30.5 24.8 27.7 31.1 26.6 34.4 28.5
2차 내 제조업 18.7 15.2 22.3 14.6 20.1 17.9 15.4 25.6 21.3
3차산업 부가가치 71.5 74.7 68.4 72.7 69.5 64.7 70.9 62.1 69.5
2000
3차내 사업서비스 26.6 27.5 68.4 25.6 24.4 16.9 21.1 19.6 22.5
피용자 비율 84.2 86.2 89.0 88.0 71.5 79.7 91.3 86.3 79.2
제조업취업 비율 18.9 - 23.9 14.1 23.6 18.3 18.2 19.2 18.2
취업자증가율 0.9 0.6 2.6 2.2 0 2.1 0.2 -1 0.9
1차산업 부가가치 4.4 2.0 0.8 1.7 2.0 2.5 1.4 2.8 1.6
2차산업 부가가치 22.5 18.8 30.5 24.3 24.2 25.9 21.8 26.0 25.2
2차 내 제조업 12.8 10.0 22.4 12.6 15.6 13.3 11.0 15.4 15.7
3차산업 부가가치 77.4 79.2 68.7 74.0 73.8 71.6 76.8 71.2 73.2
2012
3차내 사업서비스 28.5 30.4 68.7 25.5 28.3 20.3 25.7 23.6 23.3
피용자 비율 84.9 89.5 88.8 84.7 74.5 82.0 91.0 86.6 83.4
제조업취업 비율 13.2 - 19.8 6.8 - 12.7 12.4 14.4 11.6
취업자증가율 0.8 0.5 0.6 0.7 0.8 1.1 0 0.5 0.9
자료 :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및 STAN Database, Labor Force
Statistics.
6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3-3> 총요소생산성, 성장률, 자본투입, 노동투입,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추


세표
아일 뉴질 오스트
한국 일본 캐나다 영국 미국 호주
랜드 랜드 리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5.4 3.3 -0.2 2.7 0.5 0.7 0.3 0.3 -
자본투입 증가율 1.9 1.4 1.5 0.5 1.3 1.0 1.2 1.2 0.6
1980 노동투입 증가율 2.3 0.4 2.4 0.4 2.0 1.8 2.5 -0.6 -
GDP성장률 9.6 5.0 3.8 3.6 3.8 3.6 4.0 0.9 2.6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9.0 5.9 3.3 1.9 1.2 2.3 0.7 4.5 2.3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4.0 1.0 0.7 4.4 1.2 1.0 1.4 0.8 1.1
자본투입 증가율 1.9 1.2 1.1 0.7 1.4 1.0 1.0 0.8 0.8
1990 노동투입 증가율 0.5 -0.7 0.6 1.9 -0.1 1.2 0.9 1.2 1.0
GDP성장률 6.4 1.5 2.4 7.0 2.4 3.1 3.3 2.8 2.7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10.1 5.9 4.1 2.0 5.4 3.2 2.0 1.4 3.4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2.7 0.6 0.0 1.8 0.7 1.2 0.6 0.4 0.9
자본투입 증가율 1.3 0.5 1.1 1.2 1.1 0.7 1.2 1.0 0.7
2000 노동투입 증가율 0.3 -0.6 1.0 0.7 0.2 -0.2 1.4 1.2 0.1
GDP성장률 4.3 0.5 2.1 3.8 2.0 1.7 3.0 2.5 1.7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5.0 2.9 3.3 5.1 5.2 4.3 3.4 3.2 2.9
네덜 이탈
벨기에 프랑스 독일 스페인덴마크핀란드스웨덴
란드 리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1.5 2.0 - 0.8 1.6 1.4 0.6 2.6 0.5
자본투입 증가율 0.9 0.7 - 1.1 1.0 1.1 1.5 1.0 1.2
1980 노동투입 증가율 0.4 0.3 - 1.0 0.6 1.6 -0.2 0.3 1.1
GDP성장률 2.7 3.0 - 3.0 3.2 4.1 1.9 3.9 2.7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3.4 2.7 - 3.5 2.6 2.2 6.4 3.3 3.4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1.0 1.0 1.1 0.5 0.5 0.3 0.8 1.9 0.9
자본투입 증가율 1.0 0.8 0.7 1.2 0.9 1.2 1.4 0.5 1.0
1990 노동투입 증가율 0.2 0.0 -0.4 1.4 0.1 1.2 0.2 -0.9 -0.2
GDP성장률 2.2 1.8 1.4 3.1 1.4 2.6 2.4 1.6 1.7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3.9 3.3 2.8 3.0 2.7 3.3 5.1 2.8 4.1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0.1 0.5 0.7 0.2 -0.5 -0.2 -0.5 1.0 1.0
자본투입 증가율 0.9 0.7 0.4 1.0 0.7 1.3 1.1 0.5 0.8
2000 노동투입 증가율 0.6 0.1 -0.3 0.4 0.3 1.4 0.2 0.4 0.2
GDP성장률 1.5 1.3 0.9 1.6 0.6 2.5 0.8 1.9 1.9
노동단위당 자본투입 증가율 2.6 3.3 2.2 3.7 2.2 3.4 4.3 1.5 3.4
주 : 각 연도의 증가율을 단순평균하여 구하였음.
자료 : OECD STAN Database.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61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제1절 머리말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악화되고 있다. 한국


도 노동운동이 활발했던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반 이후로 노동소득
분배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 노동소득분배율의 악화의 주요 원인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주상영․전수민, 2014; 홍
민기, 2014b; 김배근, 2013; 홍장표, 2014a). 본 장에서는 이러한 논의가 보
다 활발히 전개될 수 있도록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석을 위한 체
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를 위한 식을 유도한다. 2기간 모형
을 풀어서 얻은 식은 기존의 노동소득분배율을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로 분해한 식과 거의 같다. 이어서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을 추가적으로 분해한다. 산업구조 변화를 산업
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차이와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의 변화로 분해하
고,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를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동생산
성 증가율로 분해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민계정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이용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의 분
6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모로 국내총부가가치가 이용된다. 개인영업잉여에 포함되어 있는 자영업


자의 피용자보수 부문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10인 미만 사업장에 임금근
로자 평균 임금과 자영업자 수의 곱을 이용한다. 먼저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계산한다. 이후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차이와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의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계산하
고,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가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동생산
성 증가율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 계산한다.
제2절에서는 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를 위한 식을 유도하고, 제3절에
서 최근 7년간 분배율 변화요인을 분해한다. 제4절에서는 본 장의 내용을
정리한다.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식

1.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본 소절에서는 일반적인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를 위한 식을 유


도한다. 보통 요인 분해는 두 기간의 변화를 대상으로 하므로 여기서도 두
기간(1기와 2기)을 고려한다. 먼저 1기의 경제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경제는    ⋯   산업으로 구성되고, 경제의 부가가치는  라고
하자. 산업  의 부가가치기여도가 라고 하면, 산업  가 창출하는 부가
가치는   이다. 산업  의 노동소득분배율이   라고 하면, 1기에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since    )
 (4-1)

 
 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63

이하에서는 다양한 가정 아래에서 2기의 경제상황 변화로 인한 노동소


득분배율의 변화를 살펴본다.

가. 산업 간 성장률이 같지만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모든 산업의 성장률이  로 같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2기에 산업  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     가 된다. 그러나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
소득분배율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2기에 산업  의 노동소득분배율이
 ′ 라고 하자. 이때 2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아진다.


    

  

  


   ′
  (4-2)

    

기간 1과 기간 2의 노동소득분배율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4-3)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1기의 부가가치기여도를 가중치


로 적용한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합이다. 모든 산업
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늘거나(∆    ) 줄어들 경우(∆    ),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확실히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은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뿐만
아니라 각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에 따라 달라진다.

나. 산업 간 성장률이 다르지만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불변

이번에는 각 산업의 성장률이 다르다고 가정한다. 산업  의 성장률이


 ( ≠  )라고 하자. 이 경우 2기에 산업  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는
      이다. 그러나 각 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은 1기와 동일하다고
6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가정한다. 이때 2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4-4)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since 


     )은 부가가치기여도를 가중치로
한 성장률의 합계로서 경제 전체의 성장률로 해석할 수 있다.
경제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      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가중치로 1기의 노동소득분배율


을 적용한 각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산업구조)의 변화의 합이다. 각 산
업의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는 경제 전체에 비해 각 산업이 성장한 정도
(     )에 1기의 부가가치기여도를 곱한 값이다. 그런데 가중치
(  )를 적용하지 않은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의 합은 0이기 때문에26),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에 따른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1
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은 산업에서 부가가치기여도가 어떻게, 얼마나
바뀌었는지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산업  의 성장률이
경제의 평균보다 높고(     ), 산업  의 성장률이 경제의 평균보다
낮은데(     ) 1기의 부가가치기여도를 가중한 차이의 절댓값이 같
다고(         ) 하자. 이런 경우 산업  의 1기 노동소득분배

  
26)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65

율이 산업  보다 높으면(     )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    )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낮아진다.

다. 산업 간 성장률이 다르고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산업  의 성장률이  ( ≠  )이고,. 노동소득분배율이   에서  ′ 로 바


뀌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산업  의 부가가치는       이고, 2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다. 

경제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첫 번째 항은 각 산업의 성장률의 차이로 인한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


에서 생긴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두 번째 항은 각 산업 내에
서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의미
한다. 첫 번째 항은 가중치로  대신 ′ 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면 식 (4-5)
와 동일하며, 두 번째 항은 식 (4-3)과 같다. 따라서 각 항에 대한 해석과
6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각 항이 노동소득분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건은 이미 앞의 두 소


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런데 기존의 요인 분해와 달리 첫 번째 항의
가중치로  ′ 를 적용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2. 추가적인 요인 분해

여기서는 앞 절의 성장률을 노동생산성 증가율과 취업자 비율의 변화,


인구증가율로 분해함으로써 앞 소절의 요인 분해를 더 자세히 살핀다.
1기에 전체 근로자 수가  이고, 산업  의 근로자 수가   라고 한다면,
1기의 산업  의 부가가치는 다음과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

 
        ≡  
 

여기서  와  는 산업  의 노동생산성과 취업자 비율이다. 당연히

   이다. 이때 1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은 식 (4-1)과 동일하다.



    
 
 

가. 성장률을 노동생산성 증가율로 변환

2기에 산업  의 노동생산성( )의 증가율이  ( ≠  )이고, 취업자 비


율이 ′ 로 바뀌고, 전체 근로자 수의 증가율이  ( ′     )이라고
하자. 바뀐 취업자 비율을 ′      로 표현하면, 산업  의 부가가치
는              이다.  은  와 같기 때문에, 식
         는 식 (4-7)에 나오는  와 같다. 이때 2기의 노동
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다.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67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  

경제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이고     이다. 마지막의 근사치는  


       를
적용함으로써 구하였다. 식 (4-9)는 식 (4-7)에서 분모 분자에 공통으로
있는 [   ]를 소거한 식이므로, 식 (4-9)는 식 (4-7)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다. 첫 번째 항은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
배율의 변화를, 두 번째 항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로 인한 경
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의미한다.
6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나.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의 분해

산업구조의 변화는 각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  )의 변화를 의미한다.


각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는 노동생산성이나 전체 취업자 중 그 산업에
취업자의 비율의 변화로 인해 바뀌게 된다. 이는 식 (4-9)의 첫 번째 항에
서 파악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4-10)

식 (4-10)의 괄호 안에 있는 첫 번째 항은 노동생산성 변화로 인한 부


가가치기여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만약 산업  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경
제의 노동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으면 그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는 더 높
아지게 된다. 두 번째 항은 전체 취업자 중 산업  에 취업자의 비율
(  ) 변화로 인한 부가가치기여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만약 전체 취업
자 중 산업  의 취업자 비율의 증가가 경제의 취업자 비율 증가보다 높으
면 산업  의 부가가치기여도는 더 높아진다.27) 산업  의 노동생산성 변
화와 취업자 비율 변화가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은 2기의
산업  의 노동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만약 산업  의 노
동생산성이나 취업자 비율의 증가가 경제의 평균보다 높아지고 산업  의
노동생산성이나 취업자 비율의 증가가 경제의 평균보다 낮아지는데 그
차이의 절댓값이 같다고 하자. 추가로 두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가 같다
고 하자. 이런 경우 산업  의 2기 노동소득분배율이 산업  보다 높으면

27) 부가가치기여도(  )을 가중치로 적용한 각 산업의 취업자 비율의 증가율의 가중


합은 0이 아니다. 가중 합이 0이 되는 것은 1기의 취업자 비율을 가중치로 적용했
을 때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69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은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경제의 노동소


득분배율은 낮아진다.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그 산업의 1기와 2기의 노동소득분
배율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는 식 (4-9)의 두 번째 항에 나와 있다.


     
 

   (4-11)

각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가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정도는 각 산업의 부가가치기여도(  )에 영향을 받게 된다.
산업  의 피용자보수 증가율을  라고 한다면,

′  ′     

이 되고, 산업  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4-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어떤 수  가 0에 가까운 값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 log  

이를 식 (4-12)에 적용하면,

  
′   ≈ log   
        
(4-13)
  log     log     log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이 산업 내 소득분배율의 변화에 대한 근사치를 얻을 수 있다. 즉 산


업 내 소득분배율의 변화는 피용자보수의 증가율, 노동생산성 증가율, 취
7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업자 비율 증가율, 인구증가율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1기의 노동소득


분배율이 가중치로 적용된다. 그런데 식 (4-13)의 마지막 행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산업 내 소득분배율의 변화는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
동생산성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은 다
음과 같이 표현되기 때문이다.28)

제3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실증적 접근

1. 데이터

본 절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가 포착될 정도의 시차, 산업분류


체계의 일치 가능성을 고려하여 2005년과 2011년 사이에 노동소득분배율
의 변화를 분석한다. 새로운 국민계정체계(SNA 2008)를 적용한 통계는
2010년 이후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차가 있는 통계를 이용하기
위해서 SNA 1993을 적용한 국민계정 통계를 이용하였는데, SNA 1993을
적용한 통계가 발표된 마지막 해가 2011년이다. 국민계정 통계는 일관된
산업분류체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개인영업잉여 중 자영업자의 피용자보
수를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8월 부가조사는 표준

28) 좀 더 엄밀히 보면 다음과 같다. 피용자보수  을 간단히  라 하고, 1인당 피



용자보수를   라고 하자. 그러면     이다.

 
 
  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log   log    log    log   이다.
  
     
 
  
양변을  에 대해 미분하면,        이다.
    


     
1인당 비용자보수 = 피용자보수 ÷ [ 취업자 비율 × 전체 취업자 수 ]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 = 피용자보수 증가율
- [ 취업자 비율 변화율 + 취업자 수 증가율 ]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71

산업분류체계의 변경에 맞춰 산업분류체계를 변경하였다. 이렇게 기간에


따라 변경된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분류체계를 국민계정의 분류체계에 일
치시킬 경우 기간 간 분류체계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산업이 생긴다. 이러
한 불일치가 발생하는 산업 없이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를 분석
할 수 있는 최초 연도는 2004년이다.29) 따라서 어떤 손실 없이 노동소득
분배율을 분석할 수 있는 기간은 2004년에서 2011년이다. 그런데 2004년
에 노동소득분배율이 특이하게 낮았다는 점을 감안하여 2005년을 분석의
시작 연도로 잡았다.
분모에 사용될 소득으로 국내총부가가치(GVA)를 사용하였다. 국내총
부가가치에는 국내총생산(GDP) 항목 중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
소모가 포함되며, 순생산 및 수입세가 제외된다.
국민계정상의 영업잉여에는 개인영업잉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개인
영업잉여에는 영업잉여뿐만 아니라 자영업자의 피용자보수도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영업잉여에서 피용자보수를 분리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정확히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사실 더 큰 어려
움은, 산업별 요인 분해를 위해서 경제의 개인영업잉여에서 분리된 피용
자보수를 산업별로 배분해야 하는데, 산업별 개인영업잉여 자료는 제공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분에는 오로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데, 홍민기(2014b)는 자영업자의 1인당 피용자보수가 임금근로
자의 평균 임금과 같다고 보고 자영업자의 피용자보수를 추정하였다.
여기서는 산업별․연령대별로 10인 미만 사업장의 임금근로자 월급여
중간 값에 산업별․연령대별 자영업자의 수를 곱한 값을 산업별․연령대
별 자영엽자의 피용자보수로 보고, 이 값을 산업별로 합하여 산업별 자영
업자의 피용자보수를 추정하였다. 이렇게 추정한 산업별 자영업자의 피
용자보수만큼을 산업별 피용자에 더하고, 산업별 영업잉여에서 뺐다. 다
만, 2005년에 기타서비스업, 2011년에 운수 및 보관업과 기타서비스업의
비임금근로자 피용자보수 추정치가 영업잉여보다 커서 이 산업들에 대해

29)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는 2004년 이후부터 9차 표준산업분류의 대분류를 제


공한다. 9차 표준산업분류체계를 국민계정의 산업분류체계에 일치시키기 위해서
는 권우현 외(2012)를 따랐다.
7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서는 비임금근로자의 피용자보수를 영업잉여 수준으로 낮췄다.

2.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

본 소절에서는 식 (4-7)을 따라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을 분해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은 2005년 60.24%에서 2011년 57.72%로 2.52%p 하락하였
다. 이 하락의 98.8%는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설명이 되며, 나머지 1.2%
만이 산업구조 변화 때문이다.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 내 분배율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미치
는 효과의 크기는 가중치로 이용되는 2011년 노동소득분배율과 2005년
GVA 비중에 영향을 받지만, 변화 방향은 오로지 부가가치 비중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어떤 산업의 노동생산성 증
가율이 빠르거나 취업자 비율이 크게 증가하면 부가가치 비중이 증가하
여 그 산업의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은 양(+)의 값을 갖게
된다. 이때 피용자보수의 증가가 노동생산성이나 취업자 비율의 빠른 증
가를 쫒아가지 못하면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의 변
화는 음(-)의 값을 갖게 된다. <표 4-2>를 보면 실제로 문화 및 오락서비
스업을 제외하고 부가가치 비중이 증가한 모든 산업의 산업 내 노동소득
분배율은 하락하였다. 그 반대의 경우도 쉽게 관찰되는데, 부가가치 비중
이 하락한 산업 중 부동산 및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의 산업 내 노동
소득분배율은 상승하였다.
먼저 산업별 산업구조(부가가치 비중)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
율의 변화를 살펴보자. 앞에서 보았듯이, 부가가치 비중의 합은 0이기 때

<표 4-1>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


2005년 노동소득분배율(A) 0.6024
2011년 노동소득분배율(B) 0.5772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B-A) -0.0252 (100.0)
산업구조 변화 -0.0003 ( 1.2)
산업 내 분배율 변화 -0.0249 ( 98.8)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73

<표 4-2>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2011년 부가가치 2005년 노동소득 변화요인 분해


노동소득 비중 GVA 분배율 산업 내
분배율 변화 비중 변화 산업구조 분배율 전체

농림어업 0.424 -0.007 0.033 0.002 -0.0029 0.0001 -0.0029


광업 0.360 -0.001 0.003 -0.003 -0.0002 0.0000 -0.0002
제조업 0.493 0.038 0.276 -0.049 0.0187 -0.0136 0.0050
전기, 가스, 수도사업 0.319 -0.003 0.023 0.086 -0.0011 0.0020 0.0009
건설업 0.846 -0.018 0.076 0.020 -0.0150 0.0015 -0.0135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635 0.005 0.106 -0.116 0.0029 -0.0123 -0.0094
운수 및 보관업 0.798 -0.008 0.045 0.071 -0.0067 0.0032 -0.0035
금융보험업 0.403 0.001 0.069 -0.025 0.0005 -0.0017 -0.0013
부동산 및 임대업 0.104 -0.012 0.079 -0.009 -0.0012 -0.0007 -0.0019
정보통신업 0.612 -0.008 0.047 0.054 -0.0047 0.0025 -0.0022
사업서비스 0.717 0.004 0.049 -0.019 0.0027 -0.0009 0.0017
공공행정 등 0.653 0.000 0.063 -0.063 0.0001 -0.0039 -0.0038
교육서비스업 0.900 0.001 0.060 -0.017 0.0005 -0.0010 -0.0005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757 0.009 0.037 -0.002 0.0065 -0.0001 0.0064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705 0.000 0.013 0.014 0.0003 0.0002 0.0005
기타서비스업 0.916 -0.001 0.020 0.001 -0.0006 0.0000 -0.0006
전체 -0.0003 -0.0249 -0.0252

문에 어떤 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인 커지면 다른 어떤 산업의 부가가치 비


중은 줄어들어야 한다.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크게 늘어났고, 건설업
의 부가가치 비중은 크게 줄어들었다. 이 산업들의 부가가치 비중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는 1.87%와 -1.5%이다. 제조업을 제외
하고 부가가치 비중 증가로 노동소득분배율을 크게 인상시킨 산업은 도
소매 및 음식숙박업과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이며, 건설업을 제외하고 부
가가치 비중 하락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을 크게 떨어뜨린 산업은 농림어업
과 운수 및 보관업, 정보통신업이다.
산업별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를 보
면, 제조업과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에서 산업 내 분배율 하락으로 경제의
7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노동소득분배율은 1.36%와 2.13% 하락하였다. 산업 내 분배율 상승으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을 크게 상승시킨 산업은 많지 않은데, 운수 및 보
관업과 정보통신업이 0.32%와 0.25% 높였다.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산업구조 변화가 미치는 효과와 산업
내 노동분배율 변화가 미치는 효과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 산
업에서 서로 상쇄되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산업구조 변화의 큰 정(+)
의 효과가 산업 내 분배율 변화의 부(-)의 효과에 의해 상당히 상쇄되어
결과적으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을 0.5% 높이는 데 그쳤다. 운수 및 보
관업과 정보통신업의 경우 두 효과가 반대로 작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을
각각 0.35%, 0.22% 낮추는 데 그쳤다. 노동소득분배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산업은 건설업과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인데, 건설업의 경우 산업 내
분배율 변화의 큰 부(-)의 효과가 별로 상쇄되지 않았고, 도소매 및 음식
숙박업의 경우 산업구조 변화의 큰 부(-)의 효과가 별로 상쇄되지 않아서
두 산업의 변화는 노동소득분배율을 각각 1.35%, 0.94% 낮췄다.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은 산업구조 변화의 큰 정(+)의 영향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을
0.64% 높였고, 농림어업은 산업구조 변화, 공공행정은 산업 내 노동소득분
배율의 큰 부(-)의 효과로 노동소득분배율을 각각 0.029%, 0.38% 낮췄다.
그런데 본 장에서 요인 분해에 이용한 식 (4-9)는 기존의 분해식과 다
르다. 기존의 분해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식은 식 (4-14)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4-14)

식 (4-14)는 식 (4-9)와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부분에


서 차이가 있다. 식 (4-9)에서는 가중치로 2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이 적용
된 반면, 식 (4-14)에서는 가중치로 1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이 적용되었다.
많은 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이 1기에 비해 2기에 낮아졌는데, 특히 부가
가치 비중이 크게 증가한 제조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운수 및 보관업
의 노동소득분배율은 크게 하락하였다. 따라서 식 (4-14)를 이용할 때에
비해 식 (4-9)를 이용할 때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아
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다음 <표 4-3>에서 관찰할 수 있다.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75

<표 4-3>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추정 방법에 따른 차이


식 (4-9) 식 (4-14) 차이
[A] [B] [A]-[B]
농림어업 -0.0029 -0.0029 0.0000
광업 -0.0002 -0.0002 0.0000
제조업 0.0187 0.0206 -0.0019
전기, 가스, 수도사업 -0.0011 -0.0008 -0.0003
건설업 -0.0150 -0.0147 -0.0003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0029 0.0034 -0.0005
운수 및 보관업 -0.0067 -0.0061 -0.0006
금융보험업 0.0005 0.0005 0.0000
부동산 및 임대업 -0.0012 -0.0013 0.0001
정보통신업 -0.0047 -0.0043 -0.0004
사업서비스 0.0027 0.0028 -0.000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0.0001 0.0001 0.0000
교육서비스업 0.0005 0.0005 0.0000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0065 0.0065 0.0000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0003 0.0003 0.0000
기타서비스업 -0.0006 -0.0006 0.0000
전체 -0.0003 0.0038 -0.0041

3. 추가적인 요인 분해

<표 4-4>에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대한 추가


적인 요인 분해 결과가 나와 있다. 열 (1)과 열 (2)의 값은 식 (4-10)의 괄
호 안에 있는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에 2기의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을 곱한 값이다. 식 (4-9)에서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열 (1)과 열 (2)의 값
의 합인 열 (0)의 값은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국가의 노동소득분배율 변
화의 근사치이기 때문에 <표 4-2>의 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는 매우 적지만, 산업구
조 변화를 분해했을 때 각 요인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맨 아래 행의 전체를 보면, 노동생산성 변화는
7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4-4>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노동생산성 취업자 분포
산업구조 변화
변화로 인한 변화 변화로 인한 변화
(0)
(1) (2)
농림어업 -0.0026 -0.0005 -0.0021
광업 -0.0001 0.0000 -0.0002
제조업 0.0204 0.0300 -0.0096
전기․가스․수도사업 -0.0012 -0.0008 -0.0004
건설업 -0.0156 -0.0107 -0.0049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0044 0.0107 -0.0063
운수 및 보관업 -0.0074 -0.0090 0.0016
금융보험업 -0.0005 -0.0018 0.0012
부동산 및 임대업 -0.0011 -0.0002 -0.0010
정보통신업 -0.0053 -0.0061 0.0008
사업서비스 0.0016 -0.0083 0.009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0.0015 -0.0062 0.0047
교육서비스업 -0.0004 0.0010 -0.0014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0087 -0.0102 0.0189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0001 0.0002 -0.0001
기타서비스업 -0.0011 -0.0014 0.0003
전체 -0.0014 -0.0129 0.0115

노동소득분배율을 1.29% 낮추며, 취업자 비율 변화는 노동소득분배율을


1.15% 높인다. 보통 취업자의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하
락을 언급할 때 주로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의 변화를 떠올리기 쉬운데,
실제로는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 변화는 노동소득분배율을 상당히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이 효과가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 차이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에 의해 거의 다 상쇄되었다.
한 가지 재미 있는 사실은, 농림어업과 전기․가스․수도사업, 부동산
및 임대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노동생산성 변화와 취업자 비율 변화
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반대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취업자 비
율이 높아진 대부분의 산업에서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증가하였
음을 의미한다.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77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요


인 분해 결과가 <표 4-5>에 나와 있다. <표 4-5>의 각 열의 값은 식
(4-13)의 괄호 안에 있는 각 항에 1기의 노동소득분배율()과 부가가치
기여율()을 곱한 값이다. 식 (4-13)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표 4-5>에
있는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의 효과는 두 번에 걸쳐서 근사한 것이
기 때문에 <표 4-2>의 값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큰 산업에서는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매우
크다. 제조업과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대표적이다. 이는 생산성 향상
시 취업자의 보수도 인상될 것이라는 상식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

<표 4-5> 산업 내 분배율 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취업자 1인당
피용자보수 전체 인구 노동생산성
비율 피용자보수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농림어업 0.0019 -0.0025 0.0010 0.0034 0.0041


광업 0.0001 -0.0002 0.0001 0.0003 0.0004
제조업 0.0719 -0.0115 0.0109 0.0724 0.0964
전기․가스․수도사업 0.0036 -0.0003 0.0004 0.0034 0.0010
건설업 0.0079 -0.0053 0.0046 0.0085 0.0074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0209 -0.0086 0.0058 0.0236 0.0445
운수 및 보관업 0.0093 0.0026 0.0024 0.0042 0.0002
금융보험업 0.0110 0.0024 0.0022 0.0064 0.0076
부동산 및 임대업 0.0011 -0.0012 0.0007 0.0017 0.0028
정보통신업 0.0082 0.0015 0.0019 0.0048 0.0014
사업서비스 0.0181 0.0146 0.0026 0.0009 0.0009
공공행정 등 0.0139 0.0080 0.0033 0.0027 0.0061
교육서비스업 0.0231 -0.0009 0.0040 0.0199 0.0204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0213 0.0264 0.0020 -0.0072 -0.0043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0045 0.0000 0.0006 0.0038 0.0033
기타서비스업 0.0071 0.0007 0.0013 0.0050 0.0045
전체 0.2238 0.0258 0.0440 0.1540 0.1966
7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런데 문제는 1인당 피용자보수와 노동생산성이 비례적으로 높아지지 않


는다는 것이다. 사실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으로 인한 경제의 노동
소득분배율 하락을 주도한 것은 위에서 언급한 두 산업인데, 이들 산업에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크게 못 미친다. 대부분
의 산업에서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미치지 못
하지만, 1인당 피용자보수가 줄어들지는 않았다. 그런데 보건 및 사회서
비스업의 경우에는 1인당 피용자보수도 줄어들었다. 이는 취업자가 급격
히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용자보수가 그만큼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줄어든 전체 소득 중 노동소득의 비율은 어디로 갔을까? <표
4-6>은 각 소득 항목별 분배율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줄어든 노동소득

<표 4-6> 산업 내 소득분배


노동소득분배율 자본소득분배율 고정자본소모
변화 변화 분배율 변화
농림어업 0.0001 -0.0039 0.0039
광업 0.0000 0.0000 0.0000
제조업 -0.0136 0.0205 -0.0069
전기․가스․수도사업 0.0020 -0.0020 0.0000
건설업 0.0015 -0.0030 0.0015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0.0123 0.0130 -0.0007
운수 및 보관업 0.0032 -0.0042 0.0010
금융보험업 -0.0017 0.0022 -0.0005
부동산 및 임대업 -0.0007 -0.0002 0.0009
정보통신업 0.0025 -0.0026 0.0001
사업서비스 -0.0009 0.0011 -0.000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0.0039 0.0000 0.0039
교육서비스업 -0.0010 0.0007 0.0004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 -0.0001 0.0002 -0.0002
문화 및 오락서비스업 0.0002 -0.0002 0.0000
기타서비스업 0.0000 0.0000 0.0000
-0.0249 0.0217 0.0032
전체
(86.97) (13.03)
제4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 분해 79

분배율의 87%는 자본소득(영업잉여)분배율의 인상, 13%는 고정자본소모


분배율의 인상으로 돌아갔다.

제4절 소 결

본 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 분해식을 유도하고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 동안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을 분해하였다.
먼저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을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부분과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로 인한 부분으로 분해하는 식을 수식으로 유도
하였다. 이로부터 산업 내 구조변화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부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식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산업구조 변화
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 변화 부분의 계산에 기존의 식을 사용할 경우 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찾았다. 산업구조 변화로 인한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를 계산할 때는 1기가 아닌 2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을
가중치로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요인 분해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산
업구조 변화를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차이와 취업자의 산업별 분
포의 변화로 분해하고,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변화를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로 분해하였다는 점이다.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높아질수록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락한다. 따라서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노동생
산성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면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피할
수 없다. 산업구조 변화에서 노동생산성의 영향을 보면, 노동소득분배율
이 높은 산업들에서 노동생산성이 (경제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경제의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노동소득분배율
을 낮춘다. 취업자 분포 변화도 노동생산성과 같은 방식으로 노동소득분
배율에 영향을 미친다.
2005년부터 2011년간의 노동소득분배율은 2.52% 낮아졌다. 그 중 1.2%
8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만이 산업구조 변화 때문이고 나머지 98.8%는 산업 내 분배율 변화 때문


이다. 이렇게 산업구조 변화의 영향이 적은 것은 산업별 노동생산성 증가
율의 차이와 취업자 분포 변화가 서로 영향을 상쇄했기 때문이지 각각의
영향이 결코 적기 때문이 아니다. 산업별 1인당 생산성 증가 차이가 노동
소득분배율을 1.29% 낮추지만, 취업자의 분포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을
1.15% 높였다. 산업 내 분배율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을 낮추는 것은 1인
당 피용자보수와 노동생산성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노
동생산성은 19.66% 증가했지만 1인당 피용자보수는 15.40% 증가에 그쳤
다. 특히 보건 및 사회서비스업의 경우 다른 산업과 달리 1인당 피용자보
수가 감소하였다.
노동생산성 향상이 노동소득분배율 개선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생산성 향상을 뛰어넘는 1인
당 피용자보수 증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줄어드는 노동 몫의
대부분이 자본 몫으로 들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제조업과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에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과 노동
생산성 증가율의 격차가 크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상대적으로 빠른 노동
생산성의 증가가 부가가치 비중이 높고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은 산업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 및 사회복지업이나 건설업, 운수 및 보험
업이 이러한 산업에 해당될 것이다.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81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제1절 머리말

노동소득분배율은 경제 전체, 산업 단위, 기업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제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이 외환위기 이후
하락하였으며, 그 대부분은 산업 내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노동소득분배
율의 하락은 자영소득의 위축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 간 소득 증가의 불
균형 때문에 발생하였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임금 증가율이 노동
생산성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30)31) 생산요소 간 분배의 대부
분이 개별 기업 내에서 결정된다는 점에서, 기업단위의 분석은 노동소득
분배율 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생산기술뿐만 아니라

30) 박종규(2014)는 실질 노동생산성 증가율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질 임금 증가율이


정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임금 없는 성장’이 우리나라
만의 현상은 아니지만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었던 PIGS 국가를 제외하면 가장 심
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31) 외환위기 이후 기업소득 증가와 가계소득 부진이 별개의 현상이 아니라 기업․가
계소득 간의 성장 불균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강두용․이상호(2013)
는 그 일차적인 원인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을 지적하고 있다. 즉, 기업소득 증가는
기업의 소득창출 능력이 증가해서라기보다는 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가 가계로
환류하지 못하는 데 주로 기인한다. 2000〜10년간 기업소득 증가율이 16.4%에 이
르지만, 기업의 부가가치 증가율은 4.4%에 불과하고, 가계소득은 2.4% 증가에 그
쳤다.
8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기업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노동소득분배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단위의 분석은 산업구조 변화에 따
라 노동소득분배율이 변화하는 구성 편의(composition bias)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며, 자영자의 혼합소득에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분리해야 하
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Siegenthaler & Stucki, 2014).
이 글의 관심은 두 가지다. 첫째, 기업 내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
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단기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에 따른 비정규직과
하도급 거래관계의 확대가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일자리창출로 이어지는지를 분석한다. 완
전경쟁시장에서는 노동비용의 하락이 더 많은 일자리창출을 가져와야 하
지만, 노동수요는 노동비용만이 아니라 시장 여건과 생산성에 대한 장기
적인 판단 등이 작용한다. 외환위기 이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과 일자리
창출력의 약화가 공존한 상황에서 비용절감에 치중한 경영전략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제2절 선행연구

1.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요인으로는 산업구조 변화, 기술변화, 세계화,


생산물시장의 독점력, 노사 교섭력, 금융화 등이 지적된다. 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결과는 엇갈리는데, 이는 상이한 정책적 함
의로 이어진다.
신고전학파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원인을 주
로 자본증진적 기술진보와 세계화에서 찾는다. Bentolila and Saint-Paul
(2003)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자본축적과 자본증진적 기술변화에 기
인한다고 지적한다. Arpaia et al.(2009)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을 기술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83

적인 요인들, 즉 자본증진적인 기술변화와 자본-비숙련 근로 간 보완관


계로 설명하고 있다. OECD(2012)도 1990〜2007년 동안 OECD 국가들에
서 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80%가 기술발전과 자본집약도의 증
가에 기인한다고 지적한다. European Commission(2007)은 1983〜2002년
간 13개 국가 단위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숙련편향적인 기술변화가 노동
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며, 이어서 세계화가 노동소득분
배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이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이
러한 구조적인 변화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정책 개입 여지는 적다. 거시
경제정책을 자본 심화와 기술진보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운영하되, 구조
적인 변화에 의해 노동소득분배율의 부정적인 영향이 큰 저숙련 근로자
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조하는 데 머무른다(이상헌, 2014).
반면 칼레츠키-포스트 케인즈주의자 입장에서는 정책과 제도의 역할
을 중시한다. Stockhammer(2013)와 ILO(2012)는 경제의 금융화, 노동시
장제도와 복지국가의 약화와 같은 제도적인 변화의 영향이 더 크다고 강
조한다. 선진국에서는 금융의 국제화, 제도적인 변화, 세계화, 기술변화의
순으로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추격 효과로 인해 기술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을 상쇄하지만 금융화,
세계화, 제도적인 변화가 노동소득분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Dunhaupt(2013)는 경제의 금융화가 OECD 국가들의 노동소득분배율 하
락의 주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주주가치 극대화 경영의 확산은 단기
이윤 증가와 노동비용 억제에 치중하고, 이자․배당 등의 금융조달비용
이 증가하여 임금을 압박하게 된다.
국내에서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원인에 대한 연구로는 홍장표(2013)
와 김배근(2013)이 대표적이다. 1991~2009년 제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변화요인을 분석한 홍장표(2013)는 무역의존도의 증가가 노동소득분배율
을 높이고, 노동조합 조직률의 하락, 자본증진적 기술변화, 생산의 세계화
는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킨다고 보고한다. 또한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별 분석을 통해 외환위기 이후로 노조조직률은 노동소득분배율에 영
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외주 비율 확대가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키
며, 수출의 노동소득분배율 개선효과가 감소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금
8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융화 관련 변수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과는 무관하게 나타났다. 생산


물시장과 노동시장의 불완전경쟁 정도의 영향을 분석한 김배근(2013)에
서는 생산물시장의 불완전경쟁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
된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연구는 국가 간 자료 또는 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
며, 기업단위의 분석으로는 매우 드물다. Siegenthaler and Stucki(2014)는
2001~10년간 네 차례에 걸친 스위스 기업의 혁신 활동에 관한 패널 자료
를 이용하여, 기업 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임을 분석하고 있다. Growiec(2012)는 1995~2008년 폴란드
민간부문의 분기별 기업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
인을 분석하고 있다. 기업단위의 분석에서 소유구조, 노동시장 여건, 시장
구조, 기업 연령과 같은 특성 등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단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자본집약도, 혁신 등의 기
술적인 요인, 생산물시장의 경쟁 정도, 노조조직률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하도급 거래관계 등의 기업전략이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다.

2. 노동소득분배율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신고전학파와 신케인지언은 실질임금과 고용이 최소한 장기적으로는


역의 관계임을 가정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도 제2차 세계대전 후 자본
주의 황금기 동안 고임금과 낮은 실업이 공존하였다(Ryner, 2012). 유효
수요의 역할을 중시하는 포스트 케인지언들은 노동소득분배율의 증가가
총수요의 증가를 유발하면 고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Karanassou and Sala(2012)는 늘어난 이윤이 사내유보로 머물거나 고배
당과 주식 매수에 치우쳐 투자 확대로 이어지지 않으면, 고용 확대는 기
대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홍장표(2014a)는 외환위기 이후 총수요의 임금
주도성이 강화되어 노동 몫을 높이는 분배정책이 총수요를 늘리고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한편 노동소득분배율 증가는 생산성을 촉진할 수 있다. 수요 증가에 따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85

른 산출 증가로 생산성이 증가하는 칼도-버둔(Kaldor-Verdoorn) 효과가


그것이다. Storm and Naastepad(2011)는 노동소득분배율 증가가 노동절
약적인 기술진보를 유발하여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지만, 고용에는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기능적 소득분배 변화가 총수요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홍장표(2014b)는 외환위기 이후 산
출 증가가 생산성 증가를 유발하는 칼도-버둔 효과가 존재하며, 임금상
승과 노동소득분배율 개선이 노동절약적인 기술진보를 유발하는 효과는
외환위기 이후 약화되었음을 실증하고 있다. 이는 노동소득 증가가 유효
수요를 창출하고 생산성과 고용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논의는 거시경제적인 관계를 다루기 때문에 기업단위의 분석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기업 내 분배의 인센티브 효과에 주목하고
자 한다. Akerlof and Yellen(1986)의 선물교환이론(gift exchange theory)은
고용안정과 생산성 이득의 공정한 분배에 따른 근로자의 협력이 생산성
개선에 기여함을 지적한다. Autor, Kerr and Kugler(2007)는 고용안정성
제고가 자본 심화와 노동력 질의 구성을 변화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키게
됨을 보이고 있다. Agell(1999)은 고용보장과 임금격차의 축소가 근로자
에게 임금 위험에 대한 보험 역할을 제공하여 숙련 투자를 촉진할 수 있
음을 지적한다. 국내에서는 서환주․김준일(2013)이 2000~10년 기간의
제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불균형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주주가치 경영
의 확산이 고용과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업 내 노동소득분배
율을 하락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생산성 이득의 공유가
고용창출과 선순환의 관계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한다.

제3절 분석 자료

한국노동연구원이 조사한 「사업체패널 조사」를 사용한다. 사업체패널


조사는 농림어업과 광업을 제외한 전 산업에서 상용근로자 3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 2천여 개를 대상으로 2005〜11년에 걸쳐 격년으로
8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조사되었으며, 현재 4차 조사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4차 조사까지 패널


유지율은 62.5%이며, 패널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장의 산
업 및 사업체 규모 등이 유사한 사업장으로 대체하여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부문의 회사 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자본에 대한 변수로는 토지, 건물, 기계, 차량의 합인 유형
자산의 연말잔액 값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중간투입물에 대한 변수로는
매출원가를 이용하였다. 생산과정에 포함된 투입물과 최종산출물에 대한
변수들은 모두 생산자물가지수로 디플레이트하였다. 사업체패널은 사업
체 단위의 조사인 데 반해 재무정보는 기업 단위이다. 복수 사업체를 가
진 표본의 경우, 사업체의 근로자 수가 기업 전체 근로자 수에서 차지하
는 비율을 변수에 곱하여 재무정보를 사업체 단위로 전환하였다. 한편 1
인당 부가가치를 포함하여 분석에 사용된 1인당 변수는 모두 해당 변수
를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다.
사업체패널 자료에서 고용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전체 근로자
는 한 사업장 내부에서 일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합으로 정의하는데,
비정규직은 직접고용 비정규직과 간접고용 근로자로 분류한다. 직접고용
된 비정규직 근로자에는 기간제 근로자와 파트타임 근로자가 포함된다.
그리고 간접고용된 근로자에는 근로자파견법의 적용을 받는 파견, 하청
업체에 고용된 자이지만 파견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면서 원청 업체의 사
업장 내에서 노무를 제공하는 사내하청/용역, 개인사업자에 대한 위탁이
라는 형태로 노동력을 제공하는 특수형태근로 등을 포함한다.
기업 자료에서는 자영자의 혼합소득에서 노동소득을 분리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가가치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인 노
동소득분배율을, 이하에서는 임금소득분배율로 부른다. 임금소득분배율
은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의 정의에 따라 요소비용 부가가치에서 인건
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한다. 요소비용 부가가치는 영업잉여, 금융비
용, 인건비의 합이다. 영업적자를 기록한 사업체에서는 임금소득분배율이
과도하게 부풀려지므로, 이 표본들을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민간부문의
회사 법인에 한정하여 1,579개 사업체의 4개년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
였다.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87

「기업경영분석」(한국은행)에서는 기업회계 기준과 포괄 범위의 잦은


변경 때문에 임금소득분배율의 시계열 추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2007년부터 소규모 기업을 포함한 전체 법인세 신고대상 법인 기업으로
표본 설계의 모집단을 확대하였기 때문에 [그림 5-1]에 이 글에서 사용한
자료의 임금소득분배율 추이와 「기업경영분석」의 그것을 비교하여 제시
하였다.32)
임금소득분배율의 수준을 비교하면, 2007년에는 동일하고, 2009년과
2011년에는 사업체패널 조사의 임금소득분배율이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추이는 유사하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라 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되면
서 임금소득분배율이 2009년 하락하였다가 2011년에는 반등하였지만, 금
융위기 이전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보인다.

[그림 5-1] 기업단위 임금소득분배율의 추이


(단위 : %)

주 : 조사 방식의 변경에 따라 2009년을 기준으로 기업경영분석의 통계는 시계열


단절이 있음.

32) 기업경영분석은 2009년에 기존의 표본조사를 이용한 모집단 추정 방식에서 국세


청 행정자료를 이용한 모집단 집계 방식으로 통계작성 방식을 변경하였기 때문
에, 2009년을 경계로 시계열의 단절이 발생한다.
8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4절 기업단위 임금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

1. 분석 방법

Bentolila and Saint-Paul(2003)의 추정 모형을 이용하여 임금소득분배


율의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들은 대체탄력성이 일정한 CES 생산함
수를 가정한다.

                

위 식에서   는 기업  의 산출,   ,   는 각각의 자본과 노동투입이며,


  는 자본증진적 기술변화,   는 노동증진적 기술변화다.  은 대체 파라
미터( ≤  )로서 대체탄력성  과  ≡      관계를 가지며,  는 분
배 파라미터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노동의 가격이 한계생산가치와 일치하는 수준에
서 노동수요가 결정되므로, 임금소득분배율은 다음으로 정리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에서  이 0에 가까울수록, 생산함수는 Cobb-Douglas 생산함수로


수렴하며, 임금소득분배율은    에 수렴한다.
그들은 자본/산출 비율을 도입하여 임금소득분배율을 재정리하지만,
이 글에서는 EU Commission(2007), 홍장표(2013)에 따라 자본/노동비율
을 도입하였다. 자본집약도를  ≡    , 기술 파라미터 비율을   ≡
   라고 할 때, 임금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은 임금소득분배율이 자본집약도, 기술 파라미터 비율, 노동과 자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89

본 간 대체탄력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본집약도와 기술


파라미터 비율이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탄력성에 따라 달
라진다.33) 노동과 자본이 대체적이면(   , 즉    ), 자본집약도의 증
가는 임금소득분배율을 감소시킨다. 반면 보완적이면(   , 즉    )
임금소득분배율은 증가한다. Cobb-Douglas 생산함수면(   , 즉    )
자본집약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임금소득분배율은 변하지 않는다. 한편
기술변화의 성격에 따라 기술 파라미터 비율   는 달라진다. 노동과 자본
이 대체적이면 자본증진적인 기술변화는   를 증가시켜 임금소득분배율
을 하락시킨다. 반면 노동증진적인 기술변화는   를 감소시켜 임금소득
분배율을 증가시킨다.
위의 식은 임금소득분배율이 자본집약도와 기술 파라미터 비율과 같
은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생산물시장과
노동시장이 완전경쟁이 아니라면, 생산물시장의 경쟁이나 노동시장의 상
대적 교섭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가 임금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기업이 생산물시장에서 불완전하게 경쟁할 때, 가격은 한계생산
비용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된다. 생산물의 가격( )과 한계비용(  )
의 비율을 마크업률(    )이라고 하면, 불완전 경쟁시장에서 이
윤극대화를 추구할 때 임금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  .
     즉 마크업률과 임금소득분배율은 음(-)의 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노사 간의 협상력이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은 교섭 모
델에 따라 달라진다. 노사가 임금만을 교섭하되, 임금이 결정되면 사용자
가 전권으로 고용을 결정하는 경영권 모델(right-to-manage model)에서
는 근로자 협상력의 영향이 생산요소 간 대체탄력성에 따라 달라진다. 즉
근로자의 협상력이 높아져 임금을 인상하면 고용이 감소하는데, 자본과
노동 간의 대체탄력성에 따라 임금소득분배율은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
할 수도 있다. 반면 노사가 임금과 고용 모두를 협상하는 효율적 교섭 모

33) 자본집약도와 기술 파라미터 비율이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학


적인 도출은 EU Commission(2007: 263~269)에 제시되어 있다.
9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델(efficient bargaining model)에서는 근로자의 협상력이 높아져 임금이


상승하더라도 고용은 감소하지 않는다. 근로자의 상대적 협상력을   라 할
때, 임금소득분배율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              .
즉 대체탄력성과 관계없이 근로자의 협상력 증가는 임금소득분배율을 증
가시킨다.34)
이 글의 추정 모형은 다음과 같다.

ln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요인으로 앞서의 논의에 따라 자본집약도와


연구개발․혁신 유형 등의 기술적인 요인과 생산물시장 및 노동시장의
경쟁 정도를 포함하였다. 자본집약도는 1인당 실질 유형자산 연말잔액을
사용하였다. 한편 사업체패널 조사에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정량적인 정
보가 없기 때문에 연구개발․혁신 유형에 관한 정성적인 정보를 사용하
였다. ‘연구개발 없이 생산공학을 활용하여 공정을 개선’하는 유형 더미,
‘필요한 경우에만 연구개발을 하되, 다른 기업에서 개발된 신기술을 도입’
하는 유형 더미, ‘연구개발을 통해 혁신을 선도’하는 유형 더미를 나누었
다. 그리고 생산물시장의 경쟁 정도는 주력 제품의 경쟁 정도가 매우 약
하거나 약하면 1의 값을, 나머지에 0의 값을 부여하여 더미변수를 만들었
다. 노동시장의 경쟁 정도는 노조조직률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글의 관심인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이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 변수(  )를 설
명변수에 추가하였다. 비정규직 비율은 전체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정
규직 비율로서, 비정규직에는 직접고용 비정규직과 간접고용 근로자를
포함한다. 또한 주력 제품의 하도급 거래에서 위탁거래만 하는 원청 업체
에 1을, 나머지에 0을 부여하여 더미변수로 포함하였다.
앞서의 추정 모형에서  는 관측하지 못하는 기업의 이질성을 의미한
다. 이러한 관측하지 못하는 요인이 존재하면,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변

34) 이상의 도출 과정은 Bentolila and Saint-Paul(2003) 및 홍장표(2013) 참조.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91

수와 오차항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가 발생


하여 관심 변수의 효과가 과대 추정될 수 있다. 관측하지 못하는 시간 불
변의 이질성은 통상적으로 패널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정한다. 그러나
Siegenthaler and Stucki(2014)는 고정효과 모델을 통한 추정은 효율적이
지 않다고 주장한다. 고정효과 모델 추정은 생존 기업에 한정해서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기업 내의 변화(within-firm variations) 정보만을 이용한
다. 따라서 생산기술, 시장 여건, 노동력 활용 등의 구조적이고 기업전략
의 기업 간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합동 회귀분석(pooled OLS)에 전기의 임금소득분배
율을 포함하여 기업 간의 이질성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전기의 임금소득
분배율은 누락변수로 인한 내생성의 일부를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의 인과관계로 인한 내생성을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업의 행
동이 과거의 임금소득분배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면, 전기의 종속변수
는 임금소득분배율에 따른 기업전략의 변화를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의 노동소득분배율을 포함하더라도 내생성 문제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임금소득분배율과 투자․연구개발 등 기술적인 요인
의 선택이 기업의 관측하지 못하는 이질성과 여전히 연관을 가질 수 있
기 때문이다. 관측하지 못하는 수요 충격이나 생산성 변화는 임금소득
분배율과 설명변수에 영향을 미쳐서 허위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Levinsohn and Petrin(2003)은 관측하지 못하는 외생적인 충격에 직면할
때 기업이 일차적으로 중간재 투입을 조정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중간
재는 부가가치 계산에 빠지므로 노동과 자본 몫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지 않는다. 중간재 투입 비율은 기업의 가변적인 이질성을 통제하여 동시
성 편의(simultaneity bias)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추정 모형에
부가가치에서 제조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을 포함한다.
한편 사업체 특성도 임금소득분배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Growiec(2012)
의 분석에 따라, 전체 근로자 수의 로그 값, 사업체 연령, 제조업 여부를
추가하였다. 또한 경기 변동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연도 더미를 추가
하였다.
추정에 사용한 변수들의 2011년 기초통계가 <표 5-1>에 제시되어 있
9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5-1> 표본 특성(2011)


비정규직 하도급 거래
활용 미활용 원청 기타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임금소득분배율 0.647(0.232) 0.695(0.220) 0.597(0.247) 0.673(0.224)
로그(1인당 자본) 4.074(2.034) 3.761(2.247) 4.715(1.874) 3.847(2.120)
연구개발 않음 0.077(2.034) 0.116(0.321) 0.029(0.169) 0.100(0.300)
연구개발 없이 공정 개선 0.200(0.267) 0.164(0.371) 0.117(0.322) 0.201(0.401)
필요한 경우에만 연구개발 0.230(0.400) 0.215(0.412) 0.248(0.434) 0.221(0.415)
연구개발 통한 혁신 선도 0.494(0.421) 0.505(0.501) 0.606(0.490) 0.479(0.500)
시장 경쟁 약함 0.046(0.209) 0.041(0.199) 0.051(0.221) 0.043(0.203)
노조조직률 0.222(0.316) 0.151(0.292) 0.278(0.331) 0.186(0.304)
비정규직 비율 0.226(0.237) 0 0.196(0.227) 0.148(0.221)
원청(위탁거래만) 0.170(0.376) 0.099(0.299) 1 0
로그(근로자 수) 5.575(1.214) 4.757(1.195) 5.809(1.276) 5.232(1.245)
연혁 25.49(16.00) 22.32(13.19) 28.78(16.15) 23.75(14.96)
제조업 0.616(0.487) 0.683(0.466) 0.708(0.456) 0.625(0.484)
표본 수 636 293 137 792
해당 기업의 비율 0.685 0.315 0.147 0.853

다. 2011년을 기준으로 전체 사업체 가운데 비정규직을 활용하는 사업체


는 68.5%에 이르며, 비정규직 활용 사업체에서 비정규직의 비율은 22.6%
로 조사되었다. 비정규직을 활용하는 사업체의 임금소득분배율은 64.7%
로서, 미활용 사업체의 69.5%에 비해 낮다. 비정규직 활용 사업체는 상대
적으로 자본집약도, 연구개발 강도, 근로자 규모, 노조조직률, 원청 비율,
기업 연령이 높고, 시장 경쟁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전체 사업체의 14.7%가 하도급 거래에서 위탁만 하는 원청 업체
로 조사되었다. 하도급 거래 유형별로 보면, 원청 업체는 하도급 업체 또
는 하도급 거래를 하지 않는 업체에 비해 임금소득분배율이 크게 낮다.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93

2. 추정 결과

로그 임금소득분배율을 종속변수로 한 추정 결과가 <표 5-2>에 제시


되어 있다. 추정 결과 (1)은 시간 가변적인 기업의 이질성을 통제하기 위
해 중간재 투입을 포함하였으며, (2)는 여기에 전기의 임금소득분배율을
추가로 포함한 것이다.

<표 5-2> 임금소득분배율 결정요인(pooled OLS)


(1) (2)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
로그(1인당 자본) -0.089 (0.004) -0.029 (0.005) ***
연구개발 없이 공정 개선 -0.042 (0.035) -0.036 (0.038)
필요한 경우에만 연구개발 -0.039 (0.034) -0.026 (0.036)
**
연구개발 통한 혁신 선도 -0.084 (0.033) -0.062 (0.035) *
시장 경쟁 약함 -0.149 (0.034) *** -0.054 (0.036)
***
노조조직률 0.136 (0.028) -0.009 (0.028)
비정규직 비율 -0.173 (0.039) *** -0.095 (0.040) **
원청(위탁거래) -0.041 (0.020) ** -0.025 (0.021)
제조원가 비율 0.001 (0.003) 0.008 (0.003) **
제조원가 비율 제곱 0.000 (0.000) 0.000 (0.000)
***
로그(전체 근로자 수) -0.024 (0.007) -0.009 (0.007)
연혁 0.000 (0.001) 0.000 (0.001)
제조업 0.018 (0.017) -0.049 (0.018) ***
2007년 0.007 (0.022)
2009년 -0.079 (0.022) *** -0.107 (0.020) ***
2011년 -0.051 (0.022) ** -0.004 (0.020)
*
상수항 0.083 (0.048) 0.093 (0.050) *
전기 로그(임금소득분배율) 0.693 (0.017) ***
Adj R-squared 0.135 0.517
N 3,621 2,110
주 : 1) 기준 집단은 시장경쟁이 약하지 않음,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수탁거래를
함, 서비스업, 2005년임.
2)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9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우선 추정 결과 (1)을 보면, 자본집약도는 유의한 음(-)의 부호로 나타


난다. 앞서의 논의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는 노동과 자본이 대체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35) 노동과 자본이 대체적일 경우 기술변화의 성
격에 따라 임금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진다.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혁신이 경쟁전략의 핵심이라고 응답한 ‘혁신 선도’ 유형은 자본
집약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혁신 선도 유형은 자본증진
적인 기술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노동과 자본이 대
체적인 관계일 때 자본증진적인 기술변화는 임금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킬
것이라는 추론이 추정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혁신 선도 유형은 그렇지 않
은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임금소득분배율이 낮다. 한편 시장 경쟁이 약한
사업체는 그렇지 않은 사업체에 비해 임금소득분배율이 유의하게 낮다.
불완전한 생산물시장에서는 기업이 생산비용보다 제품 가격을 높게 설정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금소득분배율과는 음(-)의 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노조조직률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은 높다. 노동과 자본이 대
체관계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계를 가지는 것은 임금 상승에 따
라 고용량이 감소하지 않거나 감소 규모가 작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우리의 관심인 노동력 활용 방식의 영향을 보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다. 비정규직의 생산성과 임금을 비교할
수는 없지만, 비정규직 활용이 전체 임금소득의 몫을 낮추는 것은 비정규
직 활용에 따른 부가가치의 배분이 정규직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
본소득의 몫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35) 자본과 노동 간 대체관계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홍장표(2013)에서도 발견된다.


노동소득분배율에 미치는 효과의 방향이 자본집약도와 동일한 자본/산출 비율을
적용한 Bentolila and Saint-Paul(2003)에서는 산업별로 대체적이거나 보완적인
관계가 혼재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자본/산출 비율이 노동소득분배율에 음의
영향을 미쳐서 자본과 노동 간 대체탄력성이 1을 넘는 추정 결과를 보인다. 국가
별 패널 자료를 분석한 OECD(2012)에서도 자본/산출 비율의 증가가 노동소득분
배율을 하락시킨다. 노동과 자본 간의 대체/보완 관계는 숙련노동의 구성비, 자본
과 저숙련노동 간 대체탄력성, 자본과 고숙련노동 관계의 대체탄력성에 따라 달
라진다. 추정 결과는 자본과 고숙련노동의 보완적인 관계가 존재하더라도 고숙련
노동의 비율이 낮거나 자본과 저숙련노동 간의 대체관계가 더 크기 때문에 자본
집약도 증가가 임금소득분배율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95

원청 업체의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수탁하는 사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 하도급 거래가 불공정하다면 그 과실이 원청 업체에
귀속되겠지만, 다른 요인을 통제하고서도 임금소득분배율이 낮다는 것은
원청 업체 내부의 렌트 배분보다는 자본소득으로의 귀속이 더 크다는 것
을 의미한다.
다른 통제변수의 영향을 보면,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임금소득분배율
은 낮게 나타난다. 또한 기업의 연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패
널 자료의 한계 때문에 창업 사업체와 지속 사업체의 차이를 볼 수는 없
었다. 연도 효과를 보면, 2005년에 비해 2009년 임금소득분배율은 크게
하락하고, 2011년에도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다.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기의 로그 임금소득분배율을 추가한 추정
결과 (2)를 보면, 추정계수의 유의도가 하락하였지만, 부호는 대체로 유사
하다. 전기 임금소득분배율의 영향이 크게 나온 추정 결과는 관측하지 못
하는 사업체 특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측하지 못한 사업체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형을 추가로
추정한 결과를 <표 5-3>에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기업 간 정보와 기업
내 정보를 모두 사용한 확률효과 모형의 추정 결과는 합동 OLS의 추정
결과와 유사하지만, 기업 내 정보만을 사용한 고정효과 모형의 추정 결과
는 차이가 크다.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연구개발․혁신 이외에 다른 관심
변수들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다.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을 수행하
면, 불변의 관측하지 못하는 사업체의 특성과 설명변수 간의 공분산이 0
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정효과 모형이 선호된다.
이는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결정요인
분석에서 기업 간의 구조적이고 전략적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
다면, 합동 OLS나 확률효과모형의 추정 결과가 임금소득분배율의 결정
요인을 파악하는 데 보다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합동 OLS나 확률효과모형을 기준으로 노동력 활용 방식의 영향을 보
면, 비정규직 비율의 10%p 증가는 임금소득분배율을 0.9% 하락시킨다.
그리고 원청 업체의 임금소득분배율은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수탁하는
사업체에 비해 0.03%p 낮다.
9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5-3> 임금소득분배율 결정요인 추정 모형의 비교


(2) (3) (4)
합동 OLS 확률효과모형 고정효과모형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로그(1인당 자본) -0.029 (0.005) *** -0.065 (0.005) *** 0.008 (0.008)
**
연구개발 없이 공정 개선 -0.036 (0.038) -0.062 (0.029) -0.061 (0.032) *
필요한 경우에만 연구개발 -0.026 (0.036) -0.047 (0.028) * -0.045 (0.031)
* ***
연구개발 통한 혁신 선도 -0.062 (0.035) -0.083 (0.027) -0.069 (0.030) **
***
시장 경쟁 약함 -0.054 (0.036) -0.086 (0.030) -0.026 (0.032)
노조조직률 -0.009 (0.028) 0.040 (0.032) -0.047 (0.061)
** ***
비정규직 비율 -0.095 (0.040) -0.089 (0.034) 0.046 (0.041)
원청(위탁거래) -0.025 (0.021) -0.032 (0.016) ** -0.017 (0.017)
제조원가 비율 0.008 (0.003) ** 0.023 (0.004) *** 0.074 (0.006) ***
제조원가 비율 제곱 0.000 (0.000) 0.000 (0.000) *** -0.001 (0.000) ***
로그(전체 근로자 수) -0.009 (0.007)
연혁 0.000 (0.001)
제조업 -0.049 (0.018) ***
2007년 0.008 (0.015) -0.004 (0.015)
*** ***
2009년 -0.107 (0.020) -0.096 (0.015) -0.129 (0.016) ***
2011년 -0.004 (0.020) -0.070 (0.016) *** -0.108 (0.016) ***
상수항 0.093 (0.050) * -0.169 (0.034) *** -0.637 (0.049) ***
전기 로그(임금소득분배율) 0.693 (0.017) ***
Adj R-squared 0.517
Wald chi2 296.66***
F value 21.52***
N 2,110 3,621 3,621
주 : 1) 기준 집단은 시장경쟁이 약하지 않음,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수탁거래를
함, 서비스업, 2005년임.
2)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97

제5절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

1. 분석 방법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Davis and Haltiwanger


(1999)의 일자리 변동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자리창출과
소멸은 사업체별 특정 시점의 근로자 수 정보를 이용하여 사업체 수준의
순고용변화(net employment change)로 정의한다. 즉 t 기 사업체 i 의 근
로자 수를   라고 하면,  기와    기간 근로자 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업체별 일자리창출량과 소멸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max         
   max         

한편 일자리 변동률과 노동이동률은 두 시점 간 근로자 수의 평균 값


으로 나누어준다.

  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우리의 표본이 두 시점 간 지속 사업체이므로, 일자리창출률, 소멸률은


(-2, 2) 범위 내의 값을 가지게 된다.
부문별로 일자리 변동률을 집계하기 위해서는 부문 내 각 사업체 규모
의 비율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계산한다. 일자리가 늘어난 사업체의 일자
리창출률을 사업체 규모의 비율을 가중하여 부문별 일자리창출률( )
을 계산하고, 부문별 일자리 소멸률( )도 일자리가 감소한 사업체의
일자리 소멸률을 사업체 규모의 비율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아래 식에서   는 부문 에 속하는 사업체 중에서 일자리가 늘어난 사업
체의 집합이고,   는 부문 에 속하는 사업체 중에서 일자리가 줄어든
사업체의 집합이다.
9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리고 일자리 순증가율은      이다. 한 부문 내


에서 일자리가 창출하는 사업장과 일자리가 소멸하는 사업장이 동시에
존재한다. 한편 일자리창출률과 일자리 소멸률의 합에 일자리 순증가율
의 절댓값을 뺀 초과 일자리 재배치율( )은 일자리 순변동을 조정하
는 데 필요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자리 재배치율을 의미한다. 이는 일자
리창출과 소멸이 동시적으로 발생한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        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축약형


모델로 추정하였다.

        ln      ′       

 기 사업체  의 고용성과  는 일자리창출률, 소멸률, 순증가율 등의 일


자리 성과 관련 변수다.   는 로그 임금소득분배율이다.   은 사업체
규모, 자본집약도, 연령, 노조조직률 등의 사업체 특성 관련 변수와 관리직
급 비율, 여성 비율, 청년 비율, 준고령자 비율, 정규직 비율, 간접고용 비
율 등의 노동력 구성 변수를 포함하였다.  는 경기와 노동시장 전체 여건
을 감안하기 위한 시간 더미다. 그리고   를 사업체 고정효과로 간주하여
고정효과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시간 가변적인 기업의 이질성을 통제하
기 위해 중간재 투입을 포함하였다. 우리가 추정하고자 하는   는 임금
소득분배율이 고용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계수이다.

2. 분석 결과

<표 5-4>는 임금소득분배율에 따른 일자리 변동률을 보여준다. 우선


임금소득분배율의 연도별 평균을 기준으로 그 이하인 사업체와 초과인
사업체를 나누었다. 임금소득분배율이 평균을 넘는 사업체에서 일자리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99

<표 5-4> 임금소득분배율과 일자리 변동률


일자리 일자리 일자리 초과 일자리
창출률 소멸률 순창출률 재배치율
전체 0.197 0.144 0.053 0.287
평균 이하 0.194 0.158 0.036 0.315
임금소득분배율 수준
평균 초과 0.201 0.125 0.075 0.250
<=0 0.191 0.163 0.027 0.327
임금소득분배율 변화
>0 0.213 0.122 0.091 0.245

소멸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기업 성과의 공정한 배분과 고용안정이


함께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자리창출률이 두 집단 간에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여, 일자리 순증가율은 임금소득분배율이 높은 사업체에서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노동비용이 높을수록 노동수요가 낮을 것
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른 현상이다.
이에 임금소득분배율이 증가한 사업체와 그렇지 않은 사업체를 나누어
서 살펴보았다. 임금소득분배율이 증가한 사업체는 상대적으로 일자리
소멸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창출률도 높은 현상이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임금과 생산성 간의 괴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고용 증가는 임금소득분
배율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36) 임금소득분배율과 고용 간에 무엇이 원
인인지 결과인지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현상적으로 임금소득분배율
과 고용은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주목할 현상은 임금소득분배율이 평균을 넘거나, 증가한 사업체
에서 초과 일자리 재배치율이 낮다는 점이다. 이는 순일자리 변동을 조정
하는 데 필요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자리 재배치율이 낮으며, 따라서
일자리의 변동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으로 추
정하였다. 하우스만 검정 결과에 따르면, 변하지 않은 사업체의 특성을
고정효과로 간주하는 것이 일치 추정량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의 관심은 임금소득분배율의 변화가 일자리 변동률의 변화에 미치는 효

36) Karanassou and Sala(2012)는 평균 임금 증가율이 평균 생산성 증가율보다 낮지


않으면 고용 증가가 노동소득분배율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지적한다.
10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과이기 때문이다. 또한 가변적인 사업체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중간투


입 비율을 추가로 통제하였다.
<표 5-5>의 추정 결과를 보면, 임금소득분배율이 높을수록 일자리창
출률과 순창출률이 유의하게 증가한다. 임금소득분배율의 영향을 구체적
으로 보면, 임금 몫의 1% 증가에 따라 일자리창출률은 5.4%p 증가하며,
일자리 소멸률은 2.4%p 하락하여(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음), 전체 일
자리 순증가율은 7.8%p 증가한다. 전체 근로자 수를 추가로 통제하였기
때문에 역의 인과관계 문제는 약화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역의 인과관
계가 적절히 통제되었다면, 분석 결과는 기업 내에서 분배의 인센티브 효
과, 즉 임금소득분배율 증가가 생산성 증가를 촉진하여 고용 증가로 귀결
되는 경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표 5-5>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일자리 창룰 일자리 소멸 일자리 순창출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
로그(임금소득분배율) 0.054 (0.024) -0.024 (0.022) 0.078 (0.034) **
로그(근로자 수) 0.379 (0.020) *** -0.446 (0.019) *** 0.825 (0.029) ***
기업 연령 -0.018 (0.007) ** -0.016 (0.007) ** -0.002 (0.010)
로그(자본집약도) -0.015 (0.009) 0.010 (0.009) -0.025 (0.014) *
제조원가 비율 -0.016 (0.007) ** 0.018 (0.007) *** -0.034 (0.010) ***
제조원가 비율 제곱 0.000 (0.000) * 0.000 (0.000) 0.001 (0.000) **
관리직급 비율 0.012 (0.062) 0.027 (0.059) -0.015 (0.090)
*** ***
여성 비율 -0.415 (0.116) 0.497 (0.110) -0.911 (0.168) ***
30세 미만 비율 0.027 (0.051) 0.084 (0.048) * -0.057 (0.073)
50세 이상 비율 0.023 (0.078) -0.072 (0.073) 0.095 (0.113)
*
노조조직률 -0.143 (0.073) -0.051 (0.069) -0.092 (0.106)
*** *
정규직 비율 -0.151 (0.054) 0.095 (0.050) -0.246 (0.077) ***
*** *
2011년 더미 0.086 (0.024) 0.039 (0.022) 0.047 (0.034)
*** ***
상수항 -1.090 (0.224) 2.564 (0.211) -3.654 (0.324) ***
F value 51.19*** 69.76*** 105.9***
N 2,263
주 :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101

다른 통제변수의 영향을 보면,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일자리창출률이


증가하고, 기업 연령이 길수록 하락한다. 그리고 자본집약도가 증가할수
록 일자리 순창출률은 낮아진다. 중간투입 비중이 높을수록 일자리 순증
가율은 감소한다. 여성 노동력의 비율이 높을수록 일자리 순증가율은 감
소한다. 한편 노조조직률의 증가는 일자리 순창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
치지 않는다. 또한 정규직 비중이 높을수록 일자리 순창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 노조 유무별로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표 5-6>에서 노조가 조직화된 기업에서는 임금 몫의 증

<표 5-6> 노동조합과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치는 영향(고정효


과모형)
노조 기업 비노조 기업 전체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
로그(임금소득분배율) 0.140 (0.046) 0.027 (0.052) 0.017 (0.046)
로그(근로자 수) 0.770 (0.050) *** 0.859 (0.038) *** 0.831 (0.029) ***
기업 연령 0.004 (0.016) -0.005 (0.014) -0.002 (0.010)
로그(자본집약도) -0.035 (0.025) -0.018 (0.017) -0.025 (0.014) *
제조원가 비율 -0.048 (0.015) *** -0.029 (0.014) ** -0.036 (0.010) ***
** *
제조원가 비율 제곱 0.001 (0.000) 0.001 (0.000) 0.001 (0.000) **
관리직급 비율 -0.009 (0.148) -0.010 (0.118) -0.020 (0.090)
***
여성 비율 -0.541 (0.402) -0.939 (0.193) -0.913 (0.168) ***
30세 미만 비율 -0.075 (0.118) -0.039 (0.095) -0.064 (0.073)
50세 이상 비율 0.014 (0.176) 0.247 (0.151) 0.092 (0.113)
노조조직률 0.010 (0.117)
노조조직률
0.171 (0.086) **
*로그(임금소득분배율)
정규직 비율 -0.499 (0.142) *** -0.183 (0.096) * -0.241 (0.077) ***
2011년 더미 0.025 (0.053) 0.059 (0.046) 0.050 (0.034)
*** ***
상수항 -3.832 (0.655) -3.581 (0.371) -3.704 (0.324) ***
*** ***
F value 36.18 72.49 98.88***
N 847 1,416 2,263
주 :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10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가가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반면, 노조가 없는 기업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 행에는 노조조직률과 임금소득분배
율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노조조직률과
임금소득분배율 각각은 고용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노조조
직률 증가와 임금소득분배율 증가가 함께 하면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한다. 이는 노조 교섭력의 증가가 생산성 이득의
공유를 통해 생산성 증가와 고용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5-7>에는 정규직 비율의 연도별 평균을 기준으로 그보다 많은 사

<표 5-7> 정규직 비율과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치는 영향(고정


효과모형)
정규직 비율이 평균 정규직 비율이 평균
전체
초과인 사업체 이하인 사업체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 **
로그(임금소득분배율) 0.103 (0.042) 0.136 (0.064) -0.218 (0.101) **
로그(근로자 수) 0.820 (0.035) *** 0.959 (0.071) *** 0.819 (0.029) ***
기업 연령 -0.004 (0.011) -0.024 (0.025) -0.002 (0.010)
**
로그(자본집약도) -0.021 (0.015) -0.085 (0.032) -0.028 (0.014) **
제조원가 비율 -0.019 (0.011) * -0.111 (0.028) *** -0.033 (0.010) ***
제조원가 비율 제곱 0.000 (0.000) 0.003 (0.001) *** 0.001 (0.000) **
관리직급 비율 -0.099 (0.109) -0.178 (0.205) -0.030 (0.090)
여성 비율 -1.110 (0.205) *** -0.315 (0.388) -0.912 (0.167) ***
30세 미만 비율 0.005 (0.081) -0.527 (0.186) *** -0.055 (0.073)
50세 이상 비율 0.028 (0.120) 0.013 (0.325) 0.098 (0.112)
노조조직률 -0.077 (0.114) -0.164 (0.270) -0.087 (0.105)
정규직 비율 -0.053 (0.099)
정규직 비율
0.362 (0.116) ***
*로그(임금소득분배율)
2011년 더미 0.078 (0.037) ** -0.039 (0.085) 0.049 (0.034) **
*** ***
상수항 -3.668 (0.346) -3.911 (0.777) -3.772 (0.325) ***
F value 57.82*** 23.15*** 99.80***
N 1,729 534 2,263
주 :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103

업체와 그렇지 않은 사업체별로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순창출률에 미


치는 영향이 제시되어 있다. 정규직 비율이 평균 이하인 사업체에서 임금
소득분배율 증가가 일자리 순창출에 미치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지만,
두 부문 모두에서 임금소득분배율 증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
나 마지막 행에서 정규직 비율과 임금소득분배율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
하여 추정한 결과는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임금소득분배율 자체는 일자
리 순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규직 비중과 임금소득분배율이
동반 증가하면 일자리 순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한
다. 이는 고용의 질 증가와 경영 성과의 공유가 함께 이루어져야 생산성
증가와 고용창출 모두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용형태별로 세분하
여 추정하였다. 추정 모형의 설명변수는 <표 5-5>와 동일하며, 종속변수
의 일자리 변동률을 각각의 고용형태별로 세분한 것이다. 따라서 고용형
태별 일자리 변동률의 합은 전체 일자리 변동률과 일치한다.
<표 5-8>의 추정 결과를 보면, 임금소득분배율의 1% 증가는 정규 일
자리를 4.5%p 증가, 직접고용 비정규 일자리를 3.1%p 감소, 간접고용 비
정규직을 6.3%p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모형에서 전체 근로
자 수와 정규직 비중을 통제하였음을 감안하면, 임금 몫의 증가에 대응하
여 기업은 정규직 증가와 직접고용 비정규직을 감소시키는 한편, 간접고
용 비정규직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표 5-8> 임금소득분배율이 고용형태별 일자리 변동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일자리 창출 일자리 소멸 일자리 순창출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추정계수(표준오차)
*
정규직 0.032 (0.018) -0.013 (0.017) 0.045 (0.027) *
직접고용 비정규직 -0.016 (0.009) * 0.014 (0.009) -0.031 (0.015) **
간접고용 비정규직 0.037 (0.013) *** -0.026 (0.016) * 0.063 (0.023) ***
주 : 1) 고용형태별 일자리 변동률를 종속변수로 한 이외에 추정 모형은 <표 5-5>
와 동일함.
2) *는 추정계수가 10%, **는 5%, ***는 1% 수준에서 유의함.
10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6절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이 글에서 사업체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기업단위에서 임금소득분배율


결정요인과 그것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에서 임금소득분배율은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서만 아니
라 생산물시장의 독점력, 근로자의 교섭력, 기업의 노동력 활용 전략 등
에 의해서 결정된다. 자본집약도와 연구개발은 임금소득분배율과 음(-)의
관계를 가지며, 생산물시장의 경쟁이 약할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고,
노조조직률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은 높다. 또한 비정규직 비율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고, 위탁거래만 하는 원청 업체의 임금소
득분배율은 낮다.
둘째, 임금소득분배율은 일자리창출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 역의 인
과관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노동소득분배율 증가의 인센티브 효
과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노조조직률 증가와 임금소득분배율의
상호작용 항과 정규직 비율과 임금소득분배율의 상호작용 항이 일자리창
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근로자 교섭력의 강화, 고용안정성
의 제고가 생산성 이득의 공유가 동반될 때 생산성 증가와 고용창출에 기
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자리 변동을 고용형태별로 세분해 보
면, 임금소득분배율의 고용 효과는 정규직 증가와 직접고용 비정규직 감
소와 함께 간접고용도 함께 증가시키는 양면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이 글이 주목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 활용 비중이 높을수록 임금소득분배율이 낮다는 분석
결과는 비정규직 활용에 따른 지대가 발생하더라도 정규직보다는 자본소
득으로 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노동소득 내부의 불평등을 완화하는
노력 이상으로 생산의 과실을 생산요소들 간에 공정하게 분배하는 정책
적인 노력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다른 영향 요인들을 통제하고서도 원청 업체의 임금소득분배율
제5장 기업의 노동력 활용 방식과 노동소득분배율 105

이 하도급 거래를 않거나 도급 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는 분석 결과는


하도급 거래의 과실이 원청 업체의 자본소득으로 귀속되고 있음을 의미
한다. 공정한 배분을 위해서는 하도급 거래의 불공정을 개선하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임금소득분배율이 일자리창출과 양(+)의 관계를 가진다는 분석
결과는 노동비용 절감에 치중한 단기적인 인력 활용 방식이 고용창출에
기여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안정적인 고용관계가 생산성 이득의 공유
를 통해 혁신과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 내에서 생산의 과실이 어떻게 배분되고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를 보여주는 이상의 분석 결과는 소득분배 변화가 총수요와 총산
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거시적인 논의를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가 남아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업
체패널 조사는 매우 풍부한 정성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만, 정량적인 정보
가 부족하고 관측 시기가 짧다. 둘째, 다양한 추정 모형을 고려하였지만,
관측하지 못한 누락 변수와 역의 인과관계로 인한 내생성 문제는 남아 있
을 수 있다. 셋째, 임금소득분배율의 고용 효과에 대한 현상적인 실증분
석을 넘어서 둘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이론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10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제1절 머리말

본 장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Atkinson(2009)는 노동소득분배율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로 국
민계정과 가계소득을 연결하는 것, 즉 거시와 미시를 연결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주식회사 제도가 생기면서 배당, 이자 등 재산소득의 일부가 근
로자에게 분배되고,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부동산 소
득의 분배 양상이 계급관계와 일치하지 않게 되면서, 생산요소와 소득원
천의 관계가 복잡해졌다. 이를 반영하여 국민계정의 지표와 개인소득의
괴리감도 커졌다. 이는 자본주의 국가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
상이다. 요소소득과 가구소득 분포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본 장
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장에서 검토하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 집
단별로 임금 비중의 추이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이 어디서 발생하였는지를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노동소득분배
율의 증감이 개인소득의 증감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동소
득분배율의 변동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07

셋째, 국민계정의 국민총소득과 실제 개인소득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


고자 한다. 2012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25.6백만 원인데, 실제로 개인들이
받는 소득은 12.9백만 원으로 국민총소득의 50% 정도다. 조사 자료에서 나
타난 소득의 구성이나 분포가 국민계정과 왜 다른지 분명히 하고자 한다.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과 임금불평등

노동소득분배율은 전체 부가가치 중에서 생산과정에 투입된 노동에 대


한 보상의 비율 혹은 총소득 중 노동이 가져가는 비율을 말한다. 노동소
득분배율을 계산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첫째, 분모에 고정자본소모
(감가상각)를 포함할 것인가와 둘째, 자영자의 소득을 어떻게 조정할 것
인가이다. 자영업자 소득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홍민기(2014a), 김
배근(2013), 주상영 외(2014) 등의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자영업자의 소득을 어떻게 보정을 하든 외환위기 이후에는 노동소득분배
율이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였다고 하더라도 근로자
집단별로 노동에 대한 보상의 정도나 추이가 다를 수 있다. 모든 근로자
가 동일한 방향으로 노동에 대한 보상을 적게 받았을 수 있고, 낮은 임금
을 받는 집단의 임금 비중이 더 하락하였을 수 있다. 근로자 집단별로 임
금 비중의 추이를 살펴보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어디서 발생하였는지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고,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
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금소득 순위에 따라 근로자 집단을 나눈다. 임금소득
자를 임금에 따라 4개의 집단, 즉 최상위 10%, 상위 10~20%, 상위 20~
30%, 하위 70% 집단으로 나눈다. 그리고 각 집단별 임금 비중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집단별 임금 비중은 국세청 세금보고 자료 중 연말정산 자료를 이용하
여 계산한다. 국세청 자료는 조사 자료에 비해 최상위 소득을 더 잘 포착
10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한다는 장점이 있다. 국세청 자료는 최상위 소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지만 소득 하위계층에 대한 정보는 정확하지 않다.
특히 과거로 갈수록 임금 하위 분포에 대한 정확성은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위 30%까지만 임금 비중을 계산하고 나머지는 하위 임
금 집단으로 구분한다.
국세청 자료에는 소득계급 구간별로 인원과 금액이 나와 있다. 소득계
급 구간별 자료에서는 최상위 10%의 정확한 인원과 금액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임금이 파레토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집단별 임금 비중을 계
산한다. 예를 들어 2012년 현재 상위 임금 30%의 경계 값은 33,011만 원
이고, 상위 30% 임금 집단이 전체 임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6%이다.
자세한 방법과 결과에 대해서는 홍민기(2014b)의 연구를 참고하라.
노동소득분배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영업자의 혼합소득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자영업자의 혼합소득 중 일정 부분을 노동소득으로 보정하
는 방법에는 ① 자영자의 노동소득이 임금근로자의 임금과 같다고 하는
방법, ② 자영업 부문 노동소득분배율이 경제 전체의 노동소득분배율과
같다고 가정하는 방법, ③ 자영자 소득의 2/3가 노동소득이라고 가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고, 결과 값도 약간씩 다르지만
추세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자영자 소득의 2/3가 노
동소득이라고 가정한다.
자영자 소득에 대해서는 약간의 설명이 더 필요하다. 국민계정에서 ‘개
인영업잉여’는 자영자 소득뿐만 아니라 건물 및 주택의 실제 임대료와 귀
속임대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국민계정의 ‘개인영업잉여’에서 자영
자 소득을 계산하려면 건물 및 주택의 임대료를 빼야 한다. 임대료를 계
산하는 방법에서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대료를 제외한 자영자 소득의 2/3가 노동소득이라고 계산하였다.
노동소득분배율의 분모는 부가가치인데, 고정자본소모를 포함하지 않
으면 순부가가치이고 이는 요소비용국민소득에 해당한다. [그림 6-1]에서
는 요소비용국민소득을 분모로 한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계정의 ‘개인영업잉여’에서 임대료를 제외하여 자
영자의 소득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 값이 기존의 연구에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09

[그림 6-1]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

노동소득분배율

주 : 분모는 요소비용국민소득(순부가가치)임. 노동소득은 임금, 사회부담금, 자영


자 소득 중 임금 귀속분을 합한 것임. 수치는 <부표 6-1>을 참고.

비해 낮다. 여기서 계산된 노동소득은 임금, 사회부담금, 자영자 소득 중


임금분을 합한 것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1996년 73.4%였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0년에는 64.2%까지 하락하였다. 노동소득분배율은 외환위기 이후 약
9%p 감소하였다. 대신 자본에 대한 보상이 그만큼 증가하였다.
먼저, 임금 최상위 10% 집단이 요소비용국민소득, 즉 순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13.6%였고, 2000년대 초반까지 17% 내외였는데
2000년대 중반부터 상승하여 2007년 이후에는 20% 정도를 유지하고 있
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전체적으로 하락하였지만 임금 최상위 10% 집단의
노동소분배율은 하락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금 상위 10~20% 집단과 20~30% 집단의 노동소득분배
율도 하락하지 않았다. 1995년부터 2012년 사이에 임금 상위 10~20% 집
단의 노동소득분배율은 9.3%에서 11.0%로 상승하였고, 임금 상위 20~
30%의 노동소득분배율도 7.3%에서 7.8%로 약간 상승하였다. 그림에 표
시하지 않았지만, 사회부담금은 1995년 6.3%에서 2012년 8.1%로 약간씩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11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반면 임금 하위 70% 집단의 노동소득분배율은 1995년 23.9%에서 2012


년 13.9%로 무려 10%p 하락하였다. 증가율로 보면 거의 절반 정도 떨어
졌다. 그리고 자영자의 임금분도 같은 기간 10.3%에서 4.4%로 절반가량
하락하였다.

[그림 6-2] 순부가가치(요소비용국민소득)에 대한 집단별 임금의 비중

30%
임금최상위10% 임금상위10-20% 임금상위20-30%
25%

20%

15%

10%

5%

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30%
임금하위70% 자영자소득중임금

25%

20%

15%

10%

5%

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주 : 수치는 <부표 6-1>과 <부표 6-2>를 참고. 근로자 집단별 임금 비중은 홍민기
(2014b)의 연구에서 온 것임.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11

<표 6-1> 근로자 계층별 연평균 임금증가율(1995~2012)


자영자
임금 최상위 상위 상위 하위 사회
소득 중
총액 10% 10-20% 20-30% 70% 부담금
임금분
명목증가율 6.7 9.4 8.0 7.3 3.5 8.5 1.7
실질증가율 3.3 5.9 4.6 3.9 0.1 5.1 -1.7
주 :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3.4%임.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전체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는 임금 하


위 70%의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와 거의 비슷하다. 자영자의 임금분 하
락은 지속적이어서 노동소득분배율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1995년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것은 임금 하
위 70% 집단이 가져가는 몫이 하락하였기 때문이고, 자영자의 소득 감소
도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임금 상위 30% 이상의 집단에 대한 분배 몫은
오히려 늘어났으며, 특히 임금 상위 10% 집단에 대한 분배 몫은 크게 증
가하였다.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사회부담금과 자영자 소득을 제외한 근로자보
수는 명목치로 총 347조 원이 늘어났는데, 이 기간 동안 상위 10% 집단
의 임금총액은 154조 원 늘어났다. 즉 이 기간 동안 늘어난 근로자보수
총액의 44.3%가 상위 10%에 돌아갔다. 범위를 임금 상위 30%로 확장하
면, 근로자 중 상위 임금 30% 집단에게 임금증가분의 82.4%가 분배되었
다. 저임금 70% 집단은 임금증가분의 나머지 17.6%를 나누어 가졌다.
이러한 사실은 근로자 집단별 연평균 임금증가율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표 6-1>에 나타났듯이, 1995년부터 2012년 사이 근로자 전체
의 실질 보수가 연평균 3.3% 증가하는 동안, 최상위 10% 집단의 실질임
금은 연평균 5.9% 증가하였다. 상위 10~20%와 20~30% 집단의 실질임
금도 연평균 4.6%, 3.9% 증가하였다. 반면 하위 70% 임금 집단의 실질임
금은 연평균 0.1%만 늘어났다. 외환위기 이후 임금 하위 집단의 임금은
딱 물가 상승률만큼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자영자의 소득증가율은 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서 실질소득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그림 6-3]에서는 1995년 각 집단별 임금을 100으로 정규화하였을 때
11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6-3] 근로자 집단별 실질임금의 변화

300
최상위 10% 상위 10-20% 상위 20-30% 하위 70% 자영자

250

200

150

100

50

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주 : 각 집단의 1995년 임금을 100으로 정규화한 것임.

실질임금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실질임금의 추세는 집단별로 큰 차이


를 보여준다. 임금 최상위 10% 집단의 실질임금은 연평균 5.9%씩 증가하
여 2012년에는 1995년 실질임금의 2.6배에 이르렀다. 임금 상위 10~20%
집단과 20~30% 집단의 2012년 실질임금은 1995년의 각각 2.1배와 1.9배
로 늘어났다.
하지만 2012년 임금 하위 70% 집단의 실질임금은 1995년 수준과 거의
동일하다(1995년 100, 2012년 102.1). 그리고 자영자의 실질소득은 감소하
였다. 근로자 집단 내 실질임금의 추세는 외환위기 이후 약간씩 분기하기
시작하였고, 2005년부터는 대분기가 일어났음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
다. 자료의 한계로 하위 집단을 더 자세히 나누지 못했는데, 추세로 미루
어보아 임금이 낮은 집단으로 갈수록 실질임금이 하락하였을 것이라 추
측된다.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13

제3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의 관계

노동소득분배율의 증감이 개인소득의 증감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를 밝히고, 소득분
배가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본 절의 목적이다.
소득을 크게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으로 나눌 때, 노동소득은 모두 개인
소득에 속한다. 자본소득인 이윤은 배당과 유보로 나뉜다. 주식을 가진
개인에게는 배당이 지불되고 나머지는 기업에 유보로 남는다. 또 다른 자
본소득인 이자와 임대소득은 개인소득이다. 그리고 자영업자의 사업소득
도 개인에게 돌아간다. 따라서 개인소득은 노동소득, 배당, 이자, 임대료,
사업소득의 합이다(표 6-2 참조).
개인소득 중 노동소득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자본소득에 속한다. 개인
소득에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 증
감과 개인소득 증감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소득 중 노동소득이 느는가 자본소득이 느는가에 따라 소득불평등
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이윤 중 배당 몫이 늘어나면 노동소득분배율
은 일정해도 개인소득은 늘어난다. 그런데 배당소득의 소득 집중도가 매
우 크면 개인소득불평등이 커진다. 즉 노동소득분배율이 일정할 때 배당
이 늘어나면 개인소득은 늘어나고 소득불평등도 늘어난다.
부가가치 중 임금의 몫이 늘어나면, 즉 노동소득분배율이 증가하면 개

<표 6-2>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


기업 이윤 개인 이윤 노동소득(피용자보수)
기업소득 유보
부동산임대소득
개인소득 배당, 이자 임금 및 급여 사회부담금
사업소득
11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인소득도 증가한다. 그런데 주로 상위 소득 집단의 임금이 하위 소득 집


단의 임금보다 더 많이 늘어나면 개인소득불평등은 증가한다. 근로자 집
단내에서 임금의 몫이 균등하게 늘어나면 노동소득분배율이 늘어나고 소
득불평등은 늘어나지 않는다. 당연한 말이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이 늘어나
면서 소득불평등이 완화되고 국내 총수요가 늘어나는 경로는 하위 임금
계층의 임금 몫이 늘어나는 길뿐이다.

2. 국민계정과 개인소득

이하에서는 개인소득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그리고 항목별 구성


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경제 전체의 대표적인 통계치
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국민계정 자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국민계정 자
료를 이용하여 개인소득을 구성하려면 첫째, 임금, 이윤, 이자, 배당, 임료
등 소득 항목에 맞추어 국민계정 항목을 재배치해야 한다. 그리고 둘째로,
실제로 개인이 수취하는 소득과 개인이 실제로 수취하지 않지만 개인의
소득인 것처럼 처리하고 있는 귀속소득을 구분하여야 한다. 귀속소득의
비율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기 때문에 두 번째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국민계정에서 ‘가계 및 비영리 단체’의 원천 항목을 소득종류별로
재배치한다. 소득은 크게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으로 나뉜다. 임금이 노동
소득에 속한다. 자본소득은 다시 사업소득과 재산소득으로 나뉜다. 이윤
은 사업소득에 속하고, 이자, 배당, 임료는 재산소득에 속한다. 국민계정
과 개인소득의 관계는 <표 6-3>에 정리하였다.
국민계정의 ‘임금 및 급여’는 임금에 속한다. ‘임금 및 급여’는 현금과
현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금은 근로자가 실제로 수취하는 것이다. 현물은
실제로 근로자들이 받은 임금이 아니지만, 근로의 보수라고 보아서 ‘임금
및 급여’에 포함되어 있다. 사회부담금도 임금에 속한다. 사회부담금 중
귀속사회부담금은 퇴직금 등을 말하며, 실제로 근로자들이 받는 급여다.
반면 사업주가 부담하는 사회보험료인 실제 사회부담금은 실제로 근로자
가 받는 것은 아니지만 근로자가 받는 것으로 간주한다.
자영자의 소득은 혼합소득이라고도 하는데 자영자의 소득에는 노동소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15

<표 6-3> 국민계정과 개인소득


소득의 종류 실제소득 귀속소득
노동 임금 및 급여 중 현금 임금 및 급여 중 현물
노동소득 임금
소득 귀속사회부담금 실제사회부담금
자영자 소득 (혼합소득)
사업소득 이윤
준법인 기업소득 인출
자본 이자 이자소득 금융중개서비스
소득 배당 개인배당금
재산소득
토지임대료
임료
주택건물 실제임대료 자가주택 귀속임대료

득과 자본소득이 섞여 있다는 의미다.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어떻게 나


눌 것인가가 지금의 관심사는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일단 자영자의 소
득을 사업소득으로 분류한다.
준법인 기업소득 인출은 매우 혼란스런 항목이다. 준법인 기업이란 법
적으로는 법인이 아니지만 법인 기업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고 회계 보
고도 하는 대규모 개입 기업과 일부 정부 기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자영
업자도 아니고 법인도 아닌, 꽤 큰 규모의 개인 기업을 말한다. 국민계정
에서는 준법인 기업을 운영하여 얻은 소득을 사업주가 자기에게 배당을
한 것으로 간주하여 배당금에 포함시키고 있다. 즉 자기 배당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재산소득에 포함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업소득이다.
주식을 보유한 개인이 실제로 얻은 배당금은 가계 및 비영리 단체의
계정의 ‘법인 기업 분배소득’ 중 ‘배당금’에 해당한다.
국민계정의 이자소득에는 실제 이자소득과 귀속소득이 포함되어 있다.
금융기관의 주된 영업이익은 수입이자와 지급이자의 차액, 즉 예대마진
이다. 그런데 국민계정에서는 수입이자나 지급이자의 전체를 부가가치의
창출이라고 보지 않고 부가가치의 배분이라고 보고 있다(한국은행, 2010:
140). 국민계정에서는 금융기관의 예대마진을 실제 서비스(금융서비스를
제공한 대가)와 금융중개서비스(FISIM)로 나누고, 금융중개서비스를 개
인의 이자소득으로 귀속시키고 있다. 즉 국민계정에서 개인의 이자수입
에는 실제 이자수입과 금융중개서비스분이 함께 들어 있다.
11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국민계정의 임료에는 토지에 대한 임료만 포함되어 있다. 주택․건물


의 임대료는 개인의 영업잉여에 포함되어 있다. 개인의 영업잉여 항목은
자영업자의 사업소득, 주택․건물의 실제 임대료, 자가주택의 귀속임대료
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계정의 개인영업잉여 항목으로 개인소득을 구성
하려면 이 세 가지를 구분하여야 한다.
정리하면, 귀속소득에는 임금 및 급여 중 현물, 실제 사회부담금, 금융
중개서비스, 자가주택귀속임대료가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항목을 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현물 : 국민계정에서는 현금과 현물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서 현물이 얼
마인지는 다른 자료를 통해 추정하는 수밖에 없다. 「기업체노동비용조사」
에서는 급여 항목별로 금액이 나와 있다. 이를 이용하여 현물액을 추정하
여 볼 수 있다. 급여 항목 중 현물에 해당하는 것은 법정외복리비의 일부
(주거비용, 부정기적인 식사비용, 휴양․문화․체육․오락과 관련된 시
설유지비나 임차료 혹은 행사보조금,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금 등), 모집
비, 교육훈련비 등이다. 현물의 비중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매우 높은
편이지만 그 밖의 시기에서는 대략 1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부표 6-2
참조).
금융중개서비스 : 실제 이자소득이 얼마인지는 또 다른 자료를 이용하
여 추정하는 수밖에 없다. 실제 이자소득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자료
는 국세청의 원천세 자료다. 이자 원천세에서는 원천 대상이 되는 이자는
모두 포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자 중에서는 원천세의 대상이 아닌
것도 있고, 자료가 다 포괄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세청 원천세 이자수입의 115%가 가계의 실제 이자수입이
라고 간주한다.
국세청 원천 이자수입 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로 실제 이자수입을 추
정할 수 있다. 국민계정에서 개인의 이자수입에서 추정된 실제 이자수입
을 뺀 것이 금융중개서비스에 해당한다. 금융중개서비스는 연도별로 변
동이 심한 편이고, 최근 들어서는 국민계정에서 개인 이자수입의 약 13%
정도를 차지한다(부표 6-3 참조).
자가주택귀속임대료 : 국민계정에서 개인의 영업잉여는 자영업자의 혼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17

합소득, 주택건물 실제 임대료, 자가주택귀속임대료로 구성되어 있다. 자


가주택귀속임대료는 가계가 실제로 구입한 것은 아니지만 주거서비스를
구입한 것으로 가정하여 포함시키고 있다.
‘투입산출표’에서 부동산 영업잉여는 개인과 법인이 수취한 부동산 영
업잉여다. 그리고 국세청 법인세 자료에서는 법인의 부동산 영업잉여가
나와 있다. 투입산출표의 부동산 영업잉여에서 국세청 법인세 자료의 부
동산 영업잉여를 빼서 개인의 부동산 영업잉여를 구한다. 그리고 인구 및
주택센서스 자료에서 자가주택 비율을 이용하여 개인의 부동산 영업잉여
중 실제 임대료와 자가주택귀속임대료를 나눈다. 각 연도별로 임대료를 계
산하여 보면, 2012년에 개인영업잉여 중 실제 임대료는 21.4%, 귀속임대료
는 22.3%, 자영자의 혼합소득은 56.4%를 차지한다(부표 6-4 참조).
이렇게 하여 귀속소득을 계산하면 개인이 실제로 수취한 소득을 계산
할 수 있다. 실제 개인소득은 개인 부문의 순본원소득잔액(NNI)에서 귀
속소득인 현물, 실제 사회부담금, 금융중개서비스, 자가주택귀속임대료를
빼서 계산한다. 2012년 순본원소득잔액은 800조 원인데, 실제 개인소득은
645조 원으로서, 순본원소득잔액 중 개인이 실제로 가져가는 소득은 80.6%
이다. 나머지 19.4%는 실제로 개인이 수취하지 않지만 개인의 소득인 것
으로 귀속 처리되는 부분이다.

3. 개인의 자본소득

[그림 6-4]에서는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의 항목 비중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사업소득(자영소득), 이자, 배당, 임대료를 합친 자본소득이 개인소
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35.5%였고 1999년에는 46.9%까지 증가
하였다가 이후 계속 하락하여 2012년에는 23.5%가 되었다. 자본소득 비
중이 감소하였다는 것은 개인소득 중 노동소득의 비중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2년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 비중이 23.5%이므로 노동소득의 비중은
76.5%가 된다. 조사 자료인 「가계동향조사」에서 가계소득 중 노동소득의
비중은 74.2%로 계산된다. 따라서 여기서 계산된 노동소득의 비중은 가
11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6-4]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 항목의 비중

50%
이자
45%
자영소득
40%
배당
35%
임(대)료
30%

25%

20%

15%

10%

5%

0%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계조사 자료에서의 값과 거의 일치한다. 하지만 국민계정에서 구성된 개


인소득과 조사 자료에서 자본소득의 값은 상당히 차이가 난다. 국민계정
으로 구성한 개인소득에서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이자, 배당, 임대료)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13.5%인 데 반해, 가계동향조사에서는 0.8%로
나타난다.
외환위기 이후 이자율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1999년에는 이자소득이
급등하였다. 이후 이자율이 하락하면서 이자수입도 하락하였다. 2012년
이자소득은 개인소득의 약 7% 정도를 차지한다. 1999년 이후 사업소득의
비중도 꾸준히 하락하여 2012년 사업소득이 개인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은 10%까지 떨어졌다.
2012년 배당과 임대료가 개인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3%와
4.2%에 불과하다. 배당의 비중은 2000년대 중반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임대료의 비중은 2000년 이후 아주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표 6-4>에는 1995년부터 2012년까지 개인의 자본소득 항목별 연평균
증가율이 나와 있다. 이 기간 동안 개인의 실질 자본소득은 연평균 2.7%
증가하였다. 임금의 연평균 증가율 3.3%에 비해 낮은 편이다. 가장 증가
율이 높은 것은 배당으로 연평균 9.5% 증가하였다. 토지 임료와 주택․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19

건물 임대료는 실질치로 연평균 2.4%와 3.6%씩 증가하였다. 실질 이자


소득의 증가율은 0.4%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자영자의 실질 소득은 하락
하였다.
자영자의 사업소득과 이자가 개인자본소득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데 이들의 증가율이 매우 낮았다. 반면 가장 비중이 낮은 배당의 증가율
이 높아서, 자본소득의 증가가 개인소득의 증가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사업소득과 재산소득의 증가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각 소득
항목의 분포에 달려 있다. 소득집중도가 높은 소득 항목이 늘어나면 소득
불평등도가 증가한다.

<표 6-4> 개인의 자본소득 구성항목별 연평균 증가율(1995~2012)


개인소득 자영자 토지 주택건물
이자 배당
총액 사업소득 임료 임대료
명목증가율 6.1 1.7 3.8 12.9 5.8 7.0
실질증가율 2.7 -1.7 0.4 9.5 2.4 3.6
주 :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3.4%임.

[그림 6-5] 2012년 재산소득(이자, 배당, 임대소득)의 분포

100

이자 배당 임대소득 86.6

80

60.0
60

39.2
40

19.8 19.2
20
12.4
8.3 9.4 8.7 9.6
6.7 5.7 5.7 3.9
0.0 0.0 0.1 0.0 1.4 1.6 1.6
0
2천만이하 2-4천만 4-6천만 6-8천만 8천-1억 1-2억 2억초과

자료 : 국세청 종합소득세 신고 자료로부터 계산함. 가로축의 소득은 종합소득임.


12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재산소득의 집중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세청 종합소득세 신고 자료를 이


용하여 이자, 배당, 임대소득의 분포를 계산하여 보았다. 그 결과가 [그림
6-5]에 나와 있다. 이 그림의 가로축은 근로소득을 포함한 종합소득으로,
그림은 개인소득에 따라 재산소득의 분포가 어떠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건물․주택 임대소득은 집중도가 매우 낮다. 소득이 적은 사람들 중에
서 임대소득에 의존하는 사람이 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37)
반면 배당소득은 소득집중도가 가장 높다. 2012년 현재 소득이 2억 원
이상인 사람이 전체 배당소득의 86.6%를 가져갔다. 범위를 넓히면 소득 1
억 원 이상인 사람이 전체 배당소득의 95.3%를 차지하였다. 소득 1억 원
이상인 사람은 20세 이상 인구의 1%를 약간 초과한다. 배당소득의 약
95%가 최상위 소득 1% 사람들에게 분배된 것이다. 앞서 1995년부터
2012년까지 개인의 재산소득 중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이 배당이라고 하였

<표 6-5> 전체 금융소득(이자+배당)의 소득 분포


(단위 : %)
최상위 0.01% 상위 0.1-0.01% 상위 0.1%
(A) (B) (A)+(B)
2003 8.1 4.3 12.3
2004 10.3 5.5 15.8
2005 10.3 5.4 15.7
2006 10.8 7.5 18.3
2007 9.9 8.7 18.6
2008 9.8 7.4 17.2
2009 9.1 7.1 16.2
2010 11.1 7.5 18.6
2011 10.9 7.6 18.5
2012 10.7 7.6 18.3

37) 국세청 자료에서 임대소득이 충분히 포착되고 있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임


대소득이 얼마나 잘 포착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 자료가 없어서 의문에 답을
하기 어렵다. 다만, 고소득 임대소득자의 과소 보고 혹은 누락이 저소득에 비
해 매우 심하지 않다면, 즉 임대소득 계층별로 누락의 문제가 크게 다르지 않
다면 실제 분포는 보고된 분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21

[그림 6-6] 최상위 소득 집단의 금융소득(이자+배당) 비중

24%
상위 0.1% 최상위 0.01%
20%

16%

12%

8%

4%

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다. 배당소득은 최상위 소득계층에만 집중되어 있으므로, 배당소득의 증


가가 소득불평등을 확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자소득 또한 집중도가 매우 높다. 소득 2억 원 이상인 사람들이 이자
소득의 60%를 가져갔다. 소득 최상위 1% 계층인 소득 1억 원 이상 집단
이 이자소득의 79.2%를 가져갔다.
<표 6-5>와 [그림 6-6]에서는 이자와 배당소득을 합한 금융소득의 분
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 통계는 국세청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것이다.
자료가 있는 2003년부터의 값이 나와 있다.
2003년에는 최상위 0.01%의 집단이 전체 금융소득의 8.1%를 차지하였
다. 이 비중은 조금씩 증가하여 2012년에는 0.01% 집단의 금융소득 비중
이 10.7%가 되었다. 조금 범위를 넓히면 2012년 현재 20세 이상 인구의
0.1%가 전체 금융소득의 18.3%를 가지고 있다. 극소수 집단의 금융소득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자 및 배당소득의 증가
는 소득불평등을 확대하는 요인이 된다.
12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4절 소 결

본 장에서는 근로자 집단별로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를 살펴보고, 노


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논의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노동소득분배율은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이 어디서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국
세청 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 집단별 임금 비중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1995년부터 2012년 사이에 임금 최상위 10% 집단의 임금 몫(부가가치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6%에서 20%대로 상승하였다. 이 기간 동안 임
금 상위 10~20% 집단, 20~30% 집단의 임금 몫도 약간 상승하였다. 반
면 임금 하위 70% 집단의 임금 몫은 23.9%에서 13.9%로 10%p 하락하였
다. 1995년 이후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 것은 근로자 중 임금 하위
70% 집단의 분배 몫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영자 소득의 실질
소득이 감소하면서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과의 관계를 국민계
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현물, 실제 사회부담금, 금융중개서비스, 자가주택
귀속임대료와 같이 실제로 개인이 받지 않지만 받는 것처럼 처리되고 있
는 귀속소득을 여러 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정리한 국민계정 자
료에서, 개인소득 중 자본소득(사업소득, 이자, 배당, 임대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에 23.5%로 계산되며, 이 수치는 조사 자료인 「가계동향조
사」에서의 수치와 거의 일치한다.
2012년 현재 배당은 개인소득의 2.3%에 불과한데, 소득 1억 원 이상인
사람들이 전체 배당소득의 95.3%를 가져갔다. 소득 1억 원 이상인 사람들
에게 전체 이자소득의 79.2%가 분배되었다. 배당과 이자와 같은 금융소
득은 인구 1% 정도의 최상위 소득계층에게만 분배되고 있기 때문에 배
당과 이자소득의 증가는 소득불평등을 확대한다. 금융소득이 개인소득에
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적기 때문에 국내 총수요를 높이는 효과도 제한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23

적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노동소득분배율이 늘어나면서 소득불평등이 완화되
고 국내 총수요가 늘어나는 경로는 하위 임금계층의 임금 몫이 늘어나는
길뿐이다. 따라서 개인소득을 증진시키고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는 첫째, 임금 하위 70%의 분배 몫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고, 둘째,
자본소득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12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6-1> 요소비용국민소득(순부가가치) 중 노동소득 항목의 비중


요소비용 임금 임금 임금 임금 사회 자영자
노동소득
국민소득 상위 상위 상위 하위 부담금 소득 중
분배율
(십억 원) 10% 10~20% 20~30% 70% 임금
1995 316,423 0.136 0.093 0.073 0.239 0.063 0.103 0.707
1996 350,980 0.158 0.087 0.065 0.249 0.067 0.109 0.734
1997 378,949 0.162 0.093 0.067 0.224 0.069 0.104 0.718
1998 367,104 0.170 0.090 0.068 0.209 0.069 0.116 0.722
1999 400,581 0.162 0.082 0.064 0.210 0.071 0.106 0.696
2000 446,562 0.172 0.096 0.071 0.183 0.058 0.092 0.672
2001 483,813 0.174 0.103 0.069 0.178 0.064 0.081 0.670
2002 539,893 0.164 0.090 0.063 0.200 0.062 0.077 0.657
2003 576,874 0.161 0.093 0.063 0.210 0.065 0.070 0.662
2004 629,985 0.172 0.098 0.063 0.193 0.061 0.067 0.653
2005 653,654 0.190 0.109 0.075 0.163 0.069 0.069 0.676
2006 685,768 0.204 0.115 0.083 0.138 0.073 0.071 0.683
2007 735,351 0.204 0.112 0.080 0.140 0.075 0.062 0.673
2008 777,985 0.201 0.112 0.076 0.145 0.076 0.055 0.665
2009 809,036 0.198 0.108 0.078 0.150 0.075 0.051 0.661
2010 900,609 0.195 0.107 0.074 0.141 0.076 0.048 0.642
2011 950,900 0.197 0.107 0.075 0.140 0.079 0.046 0.645
2012 982,972 0.200 0.110 0.078 0.139 0.081 0.044 0.653
주 : 노동소득분배율은 노동소득 각 항목을 모두 더한 값임.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25

<부표 6-2> 현물과 현금의 구분 및 집단별 임금 비중


(단위 : 십억 원)

국민계정 현물 현금 집단별 임금 비중
임금및급여 비중 최상위 하위
(A) (b) (A)*(1-b) 10~20% 20~30%
10% 70%
1995 171,195 0.115 151,529 0.251 0.172 0.135 0.442
1996 196,119 0.125 171,512 0.282 0.156 0.116 0.445
1997 206,669 0.133 179,168 0.297 0.170 0.123 0.410
1998 197,156 0.146 168,364 0.316 0.168 0.127 0.389
1999 207,605 0.168 172,694 0.312 0.158 0.124 0.405
2000 233,220 0.165 194,848 0.329 0.185 0.137 0.350
2001 253,619 0.169 210,782 0.332 0.196 0.132 0.340
2002 279,286 0.166 232,949 0.316 0.175 0.122 0.387
2003 303,791 0.163 254,385 0.305 0.177 0.119 0.399
2004 331,337 0.119 291,989 0.327 0.187 0.119 0.368
2005 351,282 0.122 308,567 0.354 0.204 0.139 0.303
2006 370,381 0.127 323,339 0.379 0.212 0.153 0.256
2007 394,002 0.127 344,135 0.380 0.209 0.149 0.262
2008 415,273 0.121 365,152 0.376 0.209 0.143 0.272
2009 432,229 0.120 380,306 0.371 0.202 0.146 0.281
2010 466,460 0.115 412,772 0.376 0.207 0.143 0.273
2011 494,130 0.117 436,139 0.380 0.206 0.145 0.269
2012 518,196 0.118 456,914 0.379 0.209 0.148 0.264
12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부표 6-3> 이자소득과 금융중개서비스(FISIM)의 추정


(단위 : 십억 원)
국민계정 원천세 이자소득 금융중개 FISIM
가계 이자소득 이자소득 추정 서비스 비율
(A) (B) (C)=(B)*1.15 (D)=(A)-(C) (D)/(A)
1995 36,084 20,610 23,702 12,383 0.343
1996 40,611 25,057 28,815 11,796 0.290
1997 46,984 33,399 38,409 8,575 0.183
1998 60,038 55,932 58,729 1,309 0.022
1999 51,982 43,989 50,587 1,395 0.027
2000 45,097 38,432 44,197 901 0.020
2001 46,389 37,572 43,208 3,181 0.069
2002 38,927 28,849 33,176 5,750 0.148
2003 37,189 26,308 30,254 6,934 0.186
2004 35,946 24,880 28,611 7,334 0.204
2005 36,275 26,005 29,906 6,369 0.176
2006 37,048 26,919 30,957 6,091 0.164
2007 41,323 30,651 35,249 6,074 0.147
2008 44,352 33,777 38,843 5,508 0.124
2009 45,853 37,324 42,923 2,930 0.064
2010 47,296 35,751 41,114 6,182 0.131
2011 49,335 37,338 42,939 6,396 0.130
2012 49,568 38,883 44,715 4,853 0.098
제6장 노동소득분배율과 개인소득 127

<부표 6-4> 개인영업잉여의 분해


(단위 : 십억 원)
국민계정 부동산 실제 귀속 자영업자
개인영업잉여 임대소득 임대료 임대료 혼합소득
(A) (B)=(C)+(D) (C) (D) (E)
1995 64,566 15,662 7,728 7,934 48,904
1996 75,937 18,676 9,185 9,491 57,261
1997 81,391 22,270 10,917 11,353 59,120
1998 90,253 26,556 12,975 13,581 63,697
1999 96,180 32,405 15,781 16,625 63,775
2000 100,877 39,534 19,188 20,346 61,343
2001 99,668 40,614 19,606 21,008 59,054
2002 104,546 41,947 20,139 21,808 62,599
2003 102,614 41,838 19,975 21,862 60,777
2004 104,804 41,943 19,914 22,029 62,861
2005 109,990 42,355 19,996 22,359 67,634
2006 115,487 42,829 20,220 22,609 72,658
2007 110,456 42,266 19,790 22,476 68,190
2008 108,098 44,350 20,593 23,756 63,748
2009 108,529 46,345 21,990 24,355 62,183
2010 113,619 48,734 23,617 25,117 64,885
2011 116,029 50,153 24,424 25,730 65,875
2012 114,847 50,112 24,522 25,590 64,735
12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제1절 머리말

정치경제학의 핵심적 주제였던 요소분배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 이후


개인(가구)의 불평등 문제로 전환되었다. ‘정치경제학의 기본 문제(the
principal problem in Political Economy, David Ricardo)’이었던 요소분배
문제는, ‘모든 시대의 모든 경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a problem of all
economies in all times, Stigler, 1965: 22)’인 개인별 소득분포의 문제에
자리를 내주었다.
이러한 관심의 전환에는 개인(가구) 소득분포에 관한 신고전파경제학
의 이론과 분석방법론의 발전의 영향이 컸고, 경제에 대한 계급론적 접근
이 연금이나 자가주택 소유의 확대 등으로 개인과 가구의 불평등을 설명
하는 데 한계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즉 사회계급과 소득계층의 소득원천
이 매우 다양해졌고, 많은 사람들이 노동소득 이외에 자본소득을 가지게
되면서, 이윤과 임금 구분이 개인소득불평등의 직접적인 결정요인이 아
닌 것으로 된 것이다. 노동에 대한 인적자본투자의 기여도가 높아졌고,
주택과 연금수급권 형태의 자산이 자본가와 지주계급 이외의 계층에게도
확산되었다. 다만, 영업잉여나 자본소득이 노동소득보다 더 불평등하기
때문에, 소득원천(요소분배)은 개인(가구)불평등에 구성적 가중치로서 의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29

미 정도만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기존의 정치경제학은 개인(가구) 수준의 소득분포 문제를 요
소소득분배와 관련지워 생각을 발전시키지 않았다. 스미스, 리카르도, 맬
더스, 마르크스 등은 지주는 부자이고, 근로자는 가난하며, 자본가는 그
중간 정도라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요소소득의 분배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은 신고전학파의 한계이론이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개인과 가구의 불평등 문제뿐만 아니라 요소분배의
문제(좀 더 구체적으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문제)가 다시 관심의 초점을
받고 있다. 다시 요소분배가 중요해진 데에는 다음 몇 가지 배경을 생각
해볼 수 있다.
첫째, 대중자본주의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산과 특히 고수익
자산은 매우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노동으로부터 자본으로
의 재배분은 불평등에 여전히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
다. 자본은 노동보다는 불평등하기 때문에, 요소소득 분포는 개인소득불
평등에 중요한 결정요인일 수 있으며, 또한 자본소득과 가구소득의 정(+)
의 상관관계로 인하여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최근 Piketty의 󰡔21
세기 자본󰡕이 제기한 불평등의 문제도 이러한 맥락에서 제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요소분배는 공정성의 문제제기와 밀접하게 관련이 된다. 노동소
득에 대한 관심은 소득원천의 공정성으로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에 대응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요소분배는 소득을 생산적 활동과 연계시키는
것이고, 따라서 단순한 불평등이 아니라 분배의 공정성 문제와도 관련된
다. 많은 사람들은 이윤과 지대는 일을 해서 벌어들인 소득이 아니라는
(‘unearned income’) 관념을 가지고 있다. 근로자들에게 이윤의 ‘공정한
몫’을 배분하지 않는 것은 정당성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고, 임금보다 이
윤이 더 빠르게 증가할 경우 피용자들의 공정성이라는 관념이 명백히 침
해될 수 있다38).

38) 이윤, 지대 등의 분배율은 서로 다른 집단들의 상대적인 권력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본소득의 비중은 독재와 민주주의 경제적 기원을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변수다(Acemoglu and Robinson, 2009).
13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런데 장기적으로 일정하다고 간주되었던 노동분배율이 1990년대 이


후 대다수의 국가들에서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글로벌화가 노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기업들의 과도한 이윤 수취가 문제로 제기되었다.
공정성의 문제제기가 노동분배율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Atkinson(2009)은 노동소득분배율을 연구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를 다
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의 소득불평등을 이해하기
위한 것, 둘째, 소득원천의 공정성으로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에 대응하
기 위한 것, 그리고 세 번째 이유를 가계소득과 국민계정 소득을 연결하
는 것, 즉 거시와 미시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았다. 계급(생산요소)과 소득
원천 사이의 관계가 복잡해지고, 국민계정의 경제지표 성과와 개인들의
소득으로 느끼는 체감이 괴리되는 현상으로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게 되었다. 따라서 요소소득 분포와 가구소득 분포를 결합할 경우 매
우 풍부한 분배 형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Glyn, 2009).
Atkinson(2009)는 국민계정과 미시가구 데이터가 실증적으로 더 가까워
질 필요가 있고, 이론적으로도 분배에 관한 총량적 분석은 가구의 이질적
인 근로자들의 임금과 이윤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성장이론
과 거시경제학, 노동경제학은 거시와 미시의 혼합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동분배율이 불평등과 관련된 정치적․정책적 이슈들의 한 부
분이지만, 노동분배율 하락(자본소득분배율 증가) 현상으로부터 사회
적․경제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Adler & Schmid, 2012). 노
동소득분배율은 가구와 국민계정을 연결하는 출발점이지만, 전체 스토리
의 한 요소일 뿐이고, 그 사이에는 많은 제도들과 소득에 관한 서로 다른
개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노동분배율 감소나 이윤분배율의 증가에서
직접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어렵다. 국민계정과 가구소득 차이를 설
명하려면 기업, 연금, 국가 등 다양한 제도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대 기업들은 이윤을 배분하기보다는 보유하는 경향이 높아졌으며, 가
계는 연금과 민간생명보험을 통하여 생애주기별로 재산소득을 재분배하
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다양한 소득원천을 가지게 되었
고, 소득 범주 내에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요소소득과 개인소
득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31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Atkinson(1991)은 요소분배와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분석 방향을 반대
로 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즉 요소분배율이 분석의 출발점이 아니라 소
득불평등의 결정 원인을 찾아서 거슬러 올라가는 방식으로, 그래서 요소
분배율이 다양한 원인들의 하나로 밝혀지는 방식으로 분석할 것을 제안
하기도 하였다. 물론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요소분배율은 전체 불평등 스토리의 이차적인 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Ryan(1996)는 요소분배율이 이러한 잠재적인 불평등 결정요인
의 하나로 간주하는 견해를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요소분배율이 최근의
불평등 증가 경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과소 평가되고 있다는 점도 지
적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 두 가지를 지적하고 있다. 첫째, 가구단위조사
에 대한 의존도의 심화다. 그러나 가구단위조사는 재산소득의 과소 보고
와 재산소득이 높을 것으로 간주되는 고소득층의 과소 대표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국민계정으로부터 좀 더 신뢰성 있는 증거들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국민계정에서 요소분배율이 경
기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요소분배율이
가구소득 비중에 미치는 영향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이다
(Nolan, 1987). 이는 장기적으로 국민계정에서의 요소분배율과 가구소득
사이의 장기적인 강한 연관관계, 즉 요소분배율이 경제적 불평등에 미치
는 더 큰 영향을 과소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노동분배율과 불평등의 관계를 국민계정과 가구조사의 연
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국민계정과 가구조사를 비교함으
로써 소득 구성이 어떻게 연결되고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국민계정상의 요소분배가 가구소득의 불평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
로와 정도를 탐색하며, 가구소득에서 요소분배율의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Ryan(1996)
나 Nolan(1987)의 지적처럼 요소분배와 불평등의 관계를 볼 경우에도 경
기변동의 영향을 통제해야 하는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료상의 한계로 이 주제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13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2절 기존 연구

1. 요소소득분배율과 가구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요소분배율과 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는 않았지만, 최근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
인다.
OECD(2008)는 임금으로 지급된 부가가치의 비중과 저소득층으로 흘러
들어가는 가처분소득의 비중 간에는 연관이 있을 필요가 없으며(p.35),39)
자영업 소득이 있으므로 저소득층의 소득원천은 반드시 노동소득만은 아
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OECD(2012)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과 불평등 사
이의 인과적 연계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많은 국가들에서 평균 자
본 소유자들의 소득은 평균 근로자들의 소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결과 노동분배율의 하락은 시장소득의 불평등과 같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OECD(2011)도 고소득층에서 노동소득에
서 자본소득으로의 이동은 작지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다.
최경수(2013)는 최근 노동소득분배율 하락과 소득불평등 증가는 동일하
지 않은 현상임이 이미 증명되어 있으므로 수학적인 분석으로는 어떤 성
과도 얻기 어려우며(Blackburn, 1989), 양자 간의 관계는 경험적이므로
현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사실들로부터 유추하는 연구 방법이 효과적이라
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Blackburn(1989)에서 그러한 주장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요소분배율과 소득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크게 국가 수준의 자
료를 통해 비교 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미시가구 조사

39) 만약 저소득 집단은 노동소득만 있고, 고소득 집단은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모


두 얻으며 자본과 노동의 대체탄력성이 1이라고 가정하면, 노동소득분배율의 변
화가 없는 상태에서도 저소득 집단의 소득 비중은 인구 증가에 의하여 증가할 수
있다(Lam, 1997).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33

[그림 7-1]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의 변화(1990~2000년대 중반)

자료 : OECD(2012), p.114.

자료에서 불평등 요인 분해를 통해서 요소분배율 변화가 불평등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국가별 자료를 활용하여 자본분배율과 소득불평등의 관계를 분석한 연
구로는 Daudey and Garcia-Penalosa(2007), Checchi and Garcia-Pe-
nalosa(2010), Giovannoni(2010) 등을 둘 수 있다. 이들은 국가패널 회귀
분석(cross-country panal regression)을 통하여 기능적 소득분포가 소득
불평등 변화의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40)
Giovannoni(2010)는 25개 국가들 중 23개 국가에서 노동분배율이 하락

40) Daudey and Garcia-Penalosa(2007) 또는 Checchi and Garcia-Penalosa(2010)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가계조사 자료에서 자본분배율을 계산하였다. 따라서 국민소
득계정의 요소분배율이 자동으로, 그리고 대체적으로 가구의 요소소득 구조로 반
영된다는 가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13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하면서 임금불평등이 하락 또는 정체하였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임금


불평등과 임금분배율은 1980년대 중반을 터닝포인트(일부 1990년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임금분배율, 임금불평등, 빈
곤이 유사한 패턴을 가지게 된 원인에 주목하여, EU 국가들의 경우 EU
형성 초기 단계에 비슷한 경험을 가졌다는 점에서, 1980년대 초반 이후
제도와 경제정책에서의 구조적 변화가 이러한 변화의 원인이라고 지적하
고 있다.
둘째로, 미시 가구소득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소득을 요인 분해하는 방법
에 기초한 연구로는 Fräßdorf et al.(2011), Garcia-Penalosa and Orgiazzi
(2013), Rehm et al.(2014) 등을 들 수 있다. Fräßdorf et al.(2011)는 1984
~2004년간 영국, 독일, 미국을 대상으로, Garcia-Penalosa and Orgiazzi
(2013)는 지난 30여 년간 캐나다,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 미국 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본소득이 소득불평등 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Garcia-Penalosa and Orgiazzi(2013)에 따르면, 미
국의 경우 임금 비중에서의 큰 변화가 없었음에도 불평등이 증가한 사례
로 보았고(working rich가 많았다는 의미), 자본소득불평등이 증가했지만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는 그리 크지 않았다고 분석하였다. 반면, 독일의
경우 노동분배율의 감소가 불평등 증가에 커다란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
하였다. 노르웨이의 경우, 자본소득의 불평등 증가와 자본소득의 비중 증
가가 불평등 증가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Rehm et al.(2014)도 가구소득의 요소분해 방식을 통하여, 독일에서
2000년대 이후 불평등이 증가하다가 2005년 이후 감소하는 원인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비전형적인 고용의 증가와 함께 자본소득 분포의 변화
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변화
가 불평등 변화를 주도했다는 추론과는 대조되는 것이다.
Adler and Schmid(2012)는 독일을 사례로, 기능적 분배와 가구소득분배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산으로부터의 소득(국민계정)의 증가는 German
Socio-Economic Panal에서도 확인하였고, 자산소득분배율의 증가는 가
구시장소득의 집중도 증가(불평등 증가)와 관련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다만, 자본분배율의 증가가 바로 가구소득의 불평등으로 이어지지는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35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기능적 소득분배


가 자본소득으로 기울어져 있음에도, 가구소득에서는 가장 평등한 국가
의 하나다. 요소소득분배율이 가구소득분배율에 미치는 영향은 ‘자본소득
의 집중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본소득 비중이 가구소득
불평등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이 상관관계는 ‘자본소득의 집중도’에 좌우
된다는 것이다.
Schlenker and Schmid(2014)는 EU 17개국 EU-SILC 자료를 분석하여
자본분배율과 가구불평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정효과
모델을 활용하여, 자본분배율의 변화가 가구소득불평등도의 전개 과정에
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즉, 많은 산업화된 국가들
에서, 소득불평등은 자본분배율의 증가로의 구조적 변화와 독립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았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특히, 자본소득 비중의 효과는 자본소득불평등이 어느 정도 수준 이상
의 분기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분기점을 자
본소득의 GINI가 0.83 정도로 분석하였다. 자본소득불평등도가 이 수준을
넘어서서 현저하게 집중되어 있는 경우, 자본소득 비중의 변화가 소득불
평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소득의 불평등도와
자본소득 비중의 불평등 기여도 사이에 양(+)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요소분배율 특히 자본소득 비중이 증가한다는 것은 초고소득층의 증가
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함의를 가진다. Gottschalk and Smeeding(1997)은
자본소득과 고(高)근로소득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노동분배율(자본소득)과 연
령의 문제도 있다. 자본축적은 생애주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
다. 자본소득불평등의 상당 부분은 연령 그룹별 차이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2. 자본소득 비중과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개념화

Adler and Schmid(2012)는 자본소득 비중과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이


론적 개념틀을 구축해 보려는 시도를 하였고, Schlenker and Schmid(2014)
13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도 이 틀에 따라서 국가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자본소득 비중 증가가 개인의 시장소득의 분포로 이어지는 정
도는 1) 자본소득의 집중도와 2) 자본소득 비중과 시장소득 수준의 관계
에 좌우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자본소득의 집중도는 [그림 7-2]의 상단에 제시되어 있다. 사례 A유형
은 자본소득분배율이 모든 개인에게 동일한 경우로, 기능적 소득분배가
개인소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이다. 사례 B유형은 두 가지
의 극단적인 유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인소득이 근로소득만으로 구성
되든가, 자본소득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다. 이 경우 기능적 소득분배의 변
화는 개인소득불평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례 C유형은 A와 B
유형의 결합으로 개인은 근로소득과 자본소득을 모두 가진다는 현실적
가정을 반영한 것이다.
두 번째로 자본소득 비중과 시장소득 수준의 관계는 [그림 7-2]의 하단
에 제시되어 있다. 사례 C1은 이 관계가 부(-)인 경우다. 이 경우, 평균
자본소득 비중이 높을수록 개인소득의 불평등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사례 C2는 이 관계가 양(+)인 경우(소득 상위층일수록 자본소득
비중이 클 경우), 이 경우 자본소득 비중의 증가는 개인소득불평등의 증

[그림 7-2] 자본소득집중도의 유형과 자본소득 비중-시장소득의 상관관계 유형

자료 : Adler and Schmid(2012).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37

[그림 7-3] 자본소득 비중과 시장임금 수준

자료 : Adler and Schmid(2012).

가를 초래할 것이다.
[그림 7-3]의 왼쪽 그림은 자본소득 5분위에 따른 평균 자본소득 비중
을 나타낸다(자본소득 비중+노동소득 비중=100). 이 그림에서는 개인 시
장소득의 수준은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소득구조의 이질성만을 나타낸
다(그림 위의 C를 나타낸다.). 자본소득의 집중성이 여타 노동계층 등 서
브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연금이나 실업급여로 사는 사람
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금생활자들은 노동소득은 거의 없기 때문
에 약간의 자본소득도 높은 자본소득 비중으로 나타나게 된다.
오른쪽 그림은 개인별 시장소득의 구성을 나타낸다. 즉 개인의 시장
소득 수준별로 시장소득의 구성(절대적 수치)과 자본소득의 비중을 보
여준다. 전체 그룹으로 보면, 시장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자본소득 비
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저소득계층의 경우 연금소득자나 실업자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자본소득 비중은 8분위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난다.
13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러나 노동계급의 경우에는, 약한 U자형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노


동소득이 적을 경우 약간의 자본소득만으로도 높은 자본소득 비중을 나
타낼 수 있다. 저소득에서 중간소득으로 갈수록 절대적 자본소득의 증가
율은 크지 않고 노동소득의 증가율이 커진다. 그러나 중간소득 이상에서
는 자본소득증가율은 크지 않고 노동소득증가율이 커진다. 따라서 자본
소득비중은 중간소득 수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3. 자본소득 비중의 불평등 효과:지니계수 분해 방법

요소분배율과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개념화는 소득원천별 불평


등 지수 분해 방법을 통해서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방법론적
연구들로는 Shorrocks(1982), Pyatt, Chen, and Fei(1980) 등에서 제시되
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이에 기초한 불평등의 소득원천별 분해와 소
득원천별 비중 변화가 불평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여도를 추정하
는 연구들이 있다.
이를 개념적으로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득불평등도의 변
화는 소득원천별 비중 변화와 그와 관련되는 소득불평등의 변화에 기인
한다고 볼 수 있다. 지니계수의 변화는 자본소득이나 노동소득의 불평등
도의 변화와 불평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노동소득에서 불평등도가 높은
자본소득으로의 이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노동소득불평등도가 1%p 증가하면, 지니계수는 ‘1%p×노동소득 비중’
만큼 증가하게 된다. 자본소득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만일 노동소득 비중
이 1%p 증가하고 자본소득 비중이 1%p 감소하면, 지니계수는 ‘1%p×(노
동소득집중도-자본소득집중도)’만큼 변하게 된다. 물론 자본소득과 노동
소득의 집중도와 비중이 불평등을 모두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 배후에
기업과 가구의 행동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중
도와 비중은 이러한 요인들의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는 있을 것
이다41).

41) 예를 들어, 상위 1~10% 노동소득불평등도의 변화는 교육수익률이나 숙련프리미


엄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고, 노동소득 비중의 변화는 노동보다는 자본생산성을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39

Gini index = labor's share of income x concentration index of labor


income + capital's share of income x concentration in-
dex of capital income

Jacobson and Occhino(2012)은 이 방법으로 노동분배율 1%p 감소 시


지니는 0.15~0.33%p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서 미국에서
1980년대 초 3~8%p의 노동분배율의 감소는 약 2.5%p의 지니계수의 증
가로 이어졌다고 추정하였다. CBO(2011)도 1979~2007년간의 노동분배
율의 감소가 약 2.3%p의 지니계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이를 좀 더 이론적인 틀로 제시한 것이 Shorrocks(1982)의 불평등 분해
방법이고, 이를 발전시킨 다양한 불평등지수 분해 방법론들이 제기되었
다. 본 장에서는 가장 간단한 방법론으로 Lerman and Yitzhaki(1985)의
지니계수의 분해 방법론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우선, 총소득 지니계수 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42)


   

  

  는 소득원천  의 비중을 나타내고,   는 소득원천  의 소득분포에


따른 지니계수를 나타내며,  는 소득  와 전체 소득의 지니계수  와의
지니 상관관계( =Cov{yk,F(y)}/Cov{yk,F(yk)}를 나타낸다(여기서 F(y)
와 F(yk)는 전체 소득과 소득원천  의 누적 분포다).
전체 소득에서 비중이 클수록, 그 소득원천은 전체 불평등에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소득원천이 평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 = 0)
그 비중이 크더라도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또한   ×   가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소득분포상의 어느 위치
에 있는 가구(또는 개인)가 그 소득원천을 더 많이 벌어들이느냐에 따라
서 전체 불평등을 높일 수도 있고 낮출 수도 있다. 즉 특정 소득원천이 불
평등하게 분포되어 있으면서 그 특정 소득원천이 전체 소득분포의 상위
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 가 정(+)이고 클 경우), 불평등을 확대할 것이

높이는 기술변화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42) Lopez-Feldman(2006) 참조.
14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다. 반대로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특정 소득원천이 저


소득가구에게 집중되어 있을 경우 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집중계수(concentration coefficient)다.
집중계수     ×   는 가구를 전체 소득 기준으로 정렬했을 때의 소
득원천  의 지니계수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소득의 지니계수는 소득원천
별 집중계수의 가중 합이라고 할 수 있다.
Stark, Taylor, and Yitzhaki(1986)에 따르면, 소득원천  의 미세한 변
화(percent change)에 따라 (다른 소득원천들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전
체 지니계수의 변화(percent change) 정도를 나타내는 탄력성 개념을 제
시하였다. 이 탄력성은 전체 불평등에 대한 소득원천  의 기여도에서 전
체 소득에서의 비중을 뺀 것으로 계산된다.

    
    
 

제3절 요소분배율:국민계정과 가구조사 자료의 비교

국민계정은 일정 기간 동안의 국민경제의 활동 상태와 특정 시점에서


의 국민경제의 자산, 부채 현황을 나타내는 종합계정이다. 국민계정의 소
득 순환 흐름에서 국내총생산은 그 생산에 기여한 다양한 요소들이 벌어
들인 총소득과 같아지게 된다. 회계 관행에 따라, 국민계정에서 총생산
(GDP)과 총소득(GNI)의 일치는 이윤을 다른 요소들(노동, 토지, 임대된
자본재 등)에 대한 지불이 이루어진 이후 생산수단 소유자의 잔차 소득으
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국민계정의 요소분배율을 가
구조사나 패널조사와 같은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요소분배율을 직
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다. 국민계정의 영업잉여(자본소득)는 일종의 잔
차로서 감가상각과 같이 측정오차가 큰 부분도 있고, 중앙은행의 이윤이
나 부가가치로 창출되었으나 배분되지 않은 이윤과 같이 엄밀한 의미에
서 자본소득으로 보기 어렵거나 소득 범주로 간주되기 어려운 부분도 포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41

함하기 때문이다(Ryan, 1996). 이러한 개념상의 문제와 한계를 인정하면


서, 국민계정의 요소분배와 가구조사의 소득원천별 구성의 관계를 검토
해보기로 한다.
광의의 의미에서의 국민소득은 한 나라 안에 있는 가계, 기업, 정부 등
의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화폐가치로 환산한 것(국내총소득, 국내총생산)을 의미한다면, 협의의 의
미에서의 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제공한 생산요소에서 발생한 소득의
총액, 즉 노동에 대한 대가 피용자보수와 자본 및 경영에 대한 대가인 영
업잉여의 합계, 즉 요소비용국민소득을 의미한다. 요소분배율은 이 요소
비용국민소득을 기초로 하여 계산된다.
요소비용국민소득은 이른바 힉스적 의미의 소득 개념이다. 힉스적 소
득(Hicksian income)은 자산 가치를 변동시키지 않으면서 최대한 할 수
있는 소비로 정의된다. 따라서 총 국민소득에서 자본소비(감가상각과 자본
의 노후화)는 제외되어야 하고, 외국으로부터의 순자산소득(net property
income from abroad)은 포함시켜야 하며, 부가가치세나 관세 등은 제외
되어야 한다.
<표 7-1>에서 국내총생산은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순
생산 및 수입세를 포함한다. 여기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면 국민
총소득이 되고, 여기에서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을 제외하면, 국민총처분가
능소득이 된다. 여기에서 고정자본소모를 제외하면 국민처분가능소득이
되고, 여기에서 순생산 및 수입세를 제외하면 요소비용국민소득이 된다.

국민총소득 = 국내총생산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국민총처분가능소득 = 국민총소득 - 국외순수취경상이전
국민처분가능소득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 고용자본소모
요소비용국민소득 = 국민처분가능소득 - 순생산 및 수입세

<표 7-1>에서 볼 때, 2012년 현재 국내총생산은 1,272조 원이고, 요소


비용국민소득은 975조 원이다. 여기서 자영자의 영업잉여를 모두 이윤으
로 보는 한국은행 방식의 노동분배율은 59.7%이다.
일반적으로 불평등 문제를 다룰 경우, 국민소득이 아니라 가구소득이
14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7-1> 국민소득계정의 소득


(단위 : 조 원, 2005년 기준)
2012 2007 2000 1996 1986 1976
국내총생산 1,272 975 603 461 100 14
피용자보수 583 449 259 219 39 5
영업잉여 384 285 191 134 40 7
고정자본소모 164 129 83 56 10 1
순생산 및 수입세 141 113 70 52 11 2
국민총소득 1,280 977 600 459 98 14
국외순수취요소소득 7 2 -3 -2 -2 0
국민총처분가능소득 1,276 974 601 458 99 14
국외순수취경상이전 -3 -3 1 0 1 0
국민처분가능소득 1,112 845 518 403 89 13
(고정자본소모) -164 -129 -83 -56 -10 -1
1)
피용자보수 582 449 259 220 39 5
영업잉여1) 393 286 187 131 37 7
1)
순생산 및 수입세 137 109 71 52 12 2
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소득 975 735 447 351 77 12
노동분배율(%) 59.7 61.1 58.1 62.6 51.3 40.7
주 : 1) 해외수취요소소득 및 경상이전 포함.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기준이다. 따라서 국민계정에서 가계 부문에서의 요소분배율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제도부문별 국민소득 계정에서 구할 수 있다. 또한 불
평등 계산에서 가처분소득을 많이 활용하지만, 시장소득은 요소소득들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서43) 시장소득을 활용한다.
요소비용국민소득은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으로 나눌 수 있고,
가계 부문의 요소소득도 고용, 자영, 재산 관련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용이나 자영의 경우 국민계정의 각 항목과 비교적 잘 대응한다. 그러나
가계 부문의 재산소득은 지대나 배당, 이자 등의 직접적인 수취, 연금이

43) 가처분소득이 요소소득과 일치할 수 있는데, 그 경우는 우연히 조세가 현금이전


지급과 일치할 경우에 한해서이다.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43

나 민간보험으로부터의 소득, 자본이득 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가구소득은 국민계정의 이윤, 이자, 임료, 지대, 순해외수
취 등과 관련이 된다.
민간보험금과 같이 민간 사적급여의 경우, 연금이나 저축성보험금의
경우 재산소득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재산소득이라기보다는 일
종의 예금 인출(dissaving)로 사전적 투자 자체를 상환한 것(repayments)
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자본이득은 국민계정에서는 가구소득
으로 포함되지 않으나, 경제적 정의에 따르면 자산 가치의 증가로 소득으
로 간주되어야 한다44). 그러나 자본이득도 있지만 자본손실도 있을 수 있
다는 점, 그리고 자본이득을 적절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의 어려움
이 존재하여, 가구재산소득으로 포함하지 않고 있다. 국민계정의 가계소
득에서 자본이득은 제외되고, 민간 사적급여는 포함되는 것으로 했다. 전
자는 과소 평가의 가능성, 후자는 사전 투자의 상환으로 볼 경우 과대 평
가의 가능성이 있다(Ryan, 1996).
한편 가계소득에서 소유자 점유주택에 대한 귀속지대(imputed rents)
의 경우도 재산소득으로 간주된다. 고용주의 사회보장분담금과 직역연금
의 경우 국민소득에는 포함되나, 가계소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현물급
여는 근로소득으로 가계에 귀속된다.
<표 7-2>에서 볼 때, 2012년의 경우 요소비용국민소득은 가계 부문으
로 763조 원, 기업 부문이 198조 원, 정부 부문 14조 원으로 나뉜다. 가계
부문의 본원소득은 피용자보수 582조 원, 개인영업잉여 119조 원, 개인재
산소득 62조 원(이자 4조 원, 법인기업분배소득(=배당금+준법인기업소득
인출) 55조 원, 임료 2조 원)로 구성된다. 기업 부문의 본원소득은 198조
원으로 영업잉여 265조 원에서 순재산지출 73조 원을 제한 값이다.
[그림 7-4]에서 볼 때, 국민계정이나 가계 부문이나 모두 자영소득은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다만, 1997년 이후 국민계정에서는 근로

44) 특히 최근 들어, 기업자산에 대한 수익이 배당보다는 자본이득을 통해서 주주들


에게 배분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즉 이윤을 배분하기보다는 사내유보를 통
해서 주가를 높이는 것이다. 영국의 경우 1988년에 세후기업이윤의 68%가 사내
유보소득으로 가고 있다. 즉 기업자산에 대한 수익의 2/3가 배당보다는 자본이득
으로 배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yan, 1996).
14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7-2> 제도 부문별 국민소득(요소비용국민소득)의 구성과 추이


(단위 : 조 원, 2005년 기준)
2012 2007 2000 1996 1986 1976
가계 본원소득 763 605 394 320 68 11
피용자보수 582 449 259 220 40 5
개인영업잉여(자영업소득) 119 110 101 76 24 5
가계 본원소득 개인순재산소득 62 45 34 24 4 1
이자 4 1 19 15 2 0
법인기업분배소득 55 43 15 9 2 1
임료 2 2 0 0 0 0
기업 본원소득 198 115 44 28 9 1
영업잉여 265 174 90 58 16 2
기업 본원소득 1)
비금융법인기업순재산소득 -76 -56 -50 -31 -7 -1
1)
금융법인기업순재산소득 9 -3 4 1 0 0
정부 순재산소득 정부순재산소득 14 16 8 4 0 0
요소비용국민소득 975 735 447 351 77 12
주 : 1) 재산소득-재산지출
재산소득=개인순재산소득+기업순영업잉여+정부순재산소득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그림 7-4] 전체 요소소득의 구성 비중의 변화


(단위 : %)

(국민계정)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45

[그림 7-4]의 계속

(가계 부문)

(근로소득)

(자영소득)
14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7-4]의 계속

(재산소득)

주 : 1) 요소비용국민소득
=근로소득(피용자보수)+개인영업잉여(자영소득)
+재산소득(개인순재산소득+기업순영업잉여+정부순재산소득)
2) 가계 부문 요소비용국민소득
=근로소득(피용자보수)+개인영업잉여(자영소득)+재산소득(개인순재산소득)

소득의 비중은 정체되는 반면, 재산소득 비중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반면, 가계 부문에서는 근로소득의 비중이 증가하지만, 재산
소득의 비중은 증가하지 않고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계 부문
의 근로소득 비중 증가는 법인 부문에서의 피용자보수의 증가에 기인하
기보다는 자영 부문의 소득 비중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림 7-5]에서 개인영업잉여(자영소득)와 정부재산소득을 제외하고
볼 경우, 노동분배율 b는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기업의 순저축(법인영업잉여-법인재산지출)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소득에서 영업이윤의 비중이 증가하고 피용자보수는 감소하면서
기업저축의 비중이 증대하는 현상은 미국을 비롯하여 많은 국가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Wind(2014)는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도 기업
소득이 보상보다는 이윤 쪽으로 분배되면서 소득불평등과 일자리 회복의
지체를 초래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전체 저축에서 기업의 저축 비중이 1975년 이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47

[그림 7-5] 노동분배율 추이


(단위 : %)

주 : 노동분배율 a = 한국은행 발표 노동분배율


= (피용자보수/요소비용국민소득)×100
노동분배율 b = (피용자보수/(요소비용국민소득-개인영업잉여-정부재산소득)
×100
* 요소비용국민소득-개인영업잉여-정부재산소득=피용자보수+개인재산소득+기
업본원소득
기업(법인) 순저축=(순저축)/(기업본원소득)×100

고 있다. 기업소득이 노동에게 임금으로 지급되거나 배당으로 지급되기


보다는 사내에 저축되는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다. 기업저축률45)은 1975

45) 기업저축은 순저축+고정자본소모충당금으로 정의되고, 기업순저축은 세후기업이


14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7-6] 제도 부문별 순저축률(요소소득 대비 순저축) 추이


(단위 : %)

주 : 기업(법인) 순저축=(순저축)/(기업본원소득)×100.

~2007년에 18.5%p, 1975~2012년간에는 17.4%p 증가하였다. 투자도 가


구저축보다는 기업저축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가계의
저축이 투자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경로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민간저
축에서 기업저축의 비중’은 늘고 ‘기업부가가치에서의 노동분배율’은 감
소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소득에서 노동으로부터 자본으로의 이동은 ‘기
업저축률의 증가’와 관련이 된다는 것이다.
한편 국민계정에서 가계 부문의 재산소득 비중이 정체되는 것은 이자
율 하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소분배율은 ‘요소불평등’에서의 가구별 차이가 존재할 경우에 불평등
에 영향을 준다. 즉 요소소득이 가구별로 불평등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요소의 비중의 변화는 불평등에 구성의 효과만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46)

윤에서 배당되지 않은 부분으로 addtions to retained earnings라고 한다.


46) 요소분배율의 변화(자본소득 비중 증가)는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
였다. 이윤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가구소득(자본이득이나 연금이나 보험저축의 증
가 등으로)으로 이전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본소득 비중의 증가의 불평등
효과는 착시일 수도 있다. 제도적 저축을 통한 개인의 생애주기상의 소득이전일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49

[그림 7-7] 가계 부문 재산소득의 구성 비중의 변화


(단위 : %)

(순)재산소득

총재산소득(원천)

주 : 총재산소득은 제도 부문간 이전에 따른 중복을 고려하지 않음.

그러나 요소불평등의 차이는 가구조사 자료에서는 과소 추정될 가능성


이 있다. 과소 보고와 과소 대표의 문제 때문이다. 영국의 가족지출조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capital repayments를 고려하더라도, 사적 이전급여는 생애


주기 전체로 볼 때 개인 간의 불평등이라고 보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15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FES=Family Expenditure Survey)의 경우에도 노동소득의 경우 5~15%


정도가 보고되지 않고 있지만, 자본소득과 자영소득의 30~45% 정도가
파악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Atkinson & Micklewright, 1983).
이들은 대부분 고소득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Nolan, 1987). 국민
계정에 대한 고려는 가구조사가 가지는 과소 보고와 과소 대표의 문제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표 7-3>에서 볼 때, 국민계정 가구 부문의 시장소
득은 2012년에 763조 원이다. 반면, 19,744 가구를 조사한 가계금융복지조
사 2012년에 따르면, 시장소득은 764조 원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
낸다. 그러나 요소소득별 구성에서는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국민계정 가
계 부문의 근로소득(피용자보수)은 582조 원인 데 비해, 가계금융복지조

<표 7-3> 국민계정 가계 부문과 가구조사 소득구성 비교


(단위 : 조 원, %)
국민계정 가계 부문
시장소득 근로소득 개인영업잉여 재산소득
1996 320 220 76 24
2000 394 259 101 34
2012 763 582 119 62
1996 100.0 68.7 23.8 7.5
2000 100.0 65.8 25.6 8.7
2012 100.0 76.3 15.6 8.1
가구조사
시장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1996 179 114 55 9
2000 219 134 72 13
2012(금복) 764 523 205 36
2012(동향) 611 452 144 15
1996 100.0 64.0 31.0 5.0
2000 100.0 61.2 32.8 6.1
2012(금복) 100.0 68.5 26.8 4.7
2012(동향) 100.0 74.0 23.6 2.4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51

<표 7-4> 가구조사와 인구조사의 가구 수 비교


1996 2000 2012(금복) 2012(동향)
표본가구 수 19,824 23,720 19,744 10,401
대표가구(가중치) 7,930,688 8,975,236 17,883,651 16,418,821
1995 2000 2010
인구조사 12,958,181 14,311,807 17,339,422

사의 경우 523조 원으로 약간 낮다.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자영소득인데,


국민계정 가구 부문의 경우 119조 원에 불과한데,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는 사업소득이 205조 원에 달한다. 가계동향조사 2012년의 경우 144조 원
으로 상대적으로 국민계정과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재산소득의 경우 전자가 62조 원, 후자가 36조 원으로 이 부문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난다. 재산소득의 경우 국민계정 가구 부문의 경우 2012년에
8.1% 정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4.7%에 불과하
다. 특히 가계동향조사의 경우 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dler and Schmid(2012)는 자본소득 비중에서 국민계정과 가구조사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수취
이윤(gained profits)과 배분된 이윤(distributed profits)의 차이다. 이윤은
증가하지만, 배당 성향(payout ratio)은 감소하여, 전체 배당은 일정할 수
있다. 기업 주식소유의 집중도에 따라서, 매년 배당이 일정하더라도 불평
등은 증가할 수 있다. 배당되지 않은 이윤(사내유보)은 사업 자산의 증가
를 의미하고, 미래의 주식보유자의 미래 자본소득이기 때문이다. 둘째, 가
구조사에서 고자산가구나 고소득가구가 배제됨으로 인하여 금융자산과
자본소득이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다. 더욱이 자산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자산과 자본소득에 대한 회고적인 보고에서 신중하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첫 번째의 문제는 앞에서 검토한 대로 외환위기
이후 가계 부문보다는 기업 부문의 소득 증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
을 확인하였고, 두 번째 문제인 과소 보고 및 과소 대표의 문제도 가구조
사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5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따라서 가구조사만을 가지고 요소분배율과 가구불평등의 관계를 엄밀


하게 보는 것은 쉽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가구조사 자료를 가지
고 요소분배율과 가구소득의 관계를 한 번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4절 가구조사에서의 요소분배율과 소득불평등의 관계

시장소득의 10분위별로 요소소득 구성 비중을 검토해 본 것이 <표


7-5>다. 이 표에서는 가구주 연령 60세 이상의 가구를 제외하지 않은 전
체 가구를 다 포함한 것이다. 가장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가계금융
복지조사」 2012년 자료를 보면, 근로소득의 비중은 중상위 분위에서 가장
높고, 자영소득은 소득 최하위 1분위에서 약간 낮으며 최상위 10분위에서
약간 높은 구조를 나타낸다.
재산소득의 경우, 특이하게 소득 최하위 1분위에서 특이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가계동향조사에서는 그 정도가 심하지는 않다.
소득 최상위 10분위의 경우에도 재산소득의 비중은 여타 분위에 비해서
높아 전반적으로 U자 형태의 분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구주 연령 60세 이상의 가구를 제외할 경우, 소득 하위 1분위
의 비중은 현저하게 떨어진다. 60세 이상 가구에서 자본소득만 가지고 생
활하는 저소득-금리생활자의 비중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60세 이상의 가구를 제외할 경우에도 U자 형태의 재산소득 분포는 유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8]의 경우, 재산소득의 집중도와 총가구시장소득 수준의 관계
를 보여주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재산소득은 상위 20%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60세 미만 가구만을 놓고 볼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재산소득의 집
중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산소득의 집중도가 높다는 것
은 재산소득의 비중 증가가 불평등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
반면, [그림 7-9]에서 재산소득 비중과 총가구시장소득의 상관관계는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53

<표 7-5> 소득분위별 소득구성 비중


가계금융복지조사 2012 가계동향조사 2012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1 27.0 14.0 59.0 1 21.7 62.1 16.2
2 55.7 26.2 18.1 2 65.3 22.9 11.8
3 69.7 21.9 8.3 3 71.6 23.2 5.2
4 68.1 27.9 4.0 4 72.3 25.2 2.5
5 73.3 23.1 3.6 5 74.8 23.3 1.9
6 70.2 26.7 3.1 6 70.5 27.6 1.9
7 70.7 26.1 3.2 7 70.1 27.9 2.0
8 73.2 23.6 3.1 8 73.5 25.0 1.5
9 73.3 22.9 3.8 9 75.9 22.4 1.7
10 61.8 31.9 6.3 10 76.8 20.2 3.0
가계실태조사 1996 가계실태조사 2000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1 58.1 13.1 28.8 1 54.1 7.1 38.9
2 79.1 14.4 6.6 2 64.8 17.9 17.3
3 76.2 19.1 4.7 3 71.0 21.3 7.7
4 78.8 18.1 3.1 4 72.7 22.5 4.8
5 70.5 26.9 2.6 5 67.4 28.3 4.3
6 73.6 23.6 2.8 6 67.7 27.4 4.9
7 64.9 32.2 2.8 7 66.5 29.4 4.2
8 66.9 29.7 3.4 8 65.9 29.8 4.3
9 60.6 34.8 4.6 9 68.8 26.0 5.2
10 48.5 43.0 8.5 10 45.7 46.5 7.8

<표 7-6> 소득이 없는 가구의 비중


시장소득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1996 4.4 26.0 68.2 71.6
2000 5.1 25.7 67.2 58.3
2012(금복) 8.7 28.8 69.2 76.7
2012(동향) 7.8 22.7 58.4 79.2
15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7-7> 소득분위별 소득구성 비중(60세 미만)


가계금융복지조사 2012 가계동향조사 2012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1 77.4 18.9 3.7 1 81.1 17.1 1.8
2 77.0 21.0 2.0 2 75.0 23.8 1.2
3 76.5 21.4 2.1 3 77.7 21.4 0.9
4 75.9 22.7 1.4 4 75.2 24.2 0.6
5 72.2 26.1 1.8 5 72.8 26.6 0.6
6 74.3 23.8 2.0 6 73.7 25.6 0.7
7 74.8 22.8 2.4 7 71.5 27.8 0.7
8 72.8 24.9 2.3 8 74.9 24.5 0.6
9 75.6 21.8 2.6 9 80.5 18.3 1.2
10 60.5 33.4 6.0 10 78.5 19.5 2.0
가계실태조사 1996 가계실태조사 2000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근로소득 자영소득 재산소득
1 79.5 13.1 7.5 1 73.9 16.2 9.9
2 80.4 17.2 2.4 2 75.4 20.2 4.4
3 77.6 20.3 2.1 3 74.2 22.9 2.9
4 75.0 22.7 2.2 4 71.2 25.6 3.2
5 74.2 23.3 2.6 5 69.1 27.7 3.2
6 66.1 31.3 2.6 6 67.2 29.8 3.1
7 70.4 26.8 2.8 7 65.6 31.1 3.2
8 66.3 30.6 3.1 8 68.5 27.7 3.8
9 60.0 35.6 4.4 9 68.9 26.1 5.0
10 48.5 43.4 8.2 10 44.7 48.1 7.2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 부(-)의 가능성이 높다. 상관관계가 부


(-)라는 이야기는 재산소득의 비중 증가가 불평등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60세 미만 가구를 대상으로 할 경우, 시장소득 4분위 이상에서는
시장소득과 재산소득 비중 사이의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Schlenker and Schmid(2014)도 가구소득 50% 이상에서 소득수준이 높을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55

[그림 7-8] 재산소득집중도

(전체 가구)

(60세 미만 가구주)

자료 :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2013(조사대상 기간 2012년).

수록 자본분배율(자본소득 비중)은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이는 자


본소득 비중에서의 변화와 총가구시장소득의 불평등도 변화에 양(+)의
관계를 시사한다고 보았다.
15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7-9] 재산소득 비중과 시장소득 수준

(전체 가구)

(60세 미만 가구주)

자료 :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2013(조사대상 기간 2012년).

첫째, 가계소득에서 자본소득의 비중이 높지 않다. 따라서 노동분배율


의 변동 자체가 가구소득분배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둘째, 자본소득 자체의 분포는 매우 불균등하다. 2012년에 전체 가구의
거의 80%가 자본소득을 전혀 가지지 않고 있다. 자본소득의 지니계수가
높다는 것이다. 이 효과는 노동분배율이 높아질 경우 소득분배의 개선에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57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자본소득 비중과 시장소득의 관계가 U자형이다. 따라서 상관관
계가 정(+)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자본소득의 집중계수가 높지 않다는
것이다. 무소득층이나 저소득층의 경우에도 자본소득의 비중이 높은 가
구가 있다. 이 효과는 노동분배율이 높을 경우 소득분배의 개선에 기여하
지 못하도록 한다.
<표 7-8>은 앞에서 검토한 지니계수의 소득원천별 분해 방법론을 적
용하여 분석한 결과다. 2012년 소득을 조사 기간으로 설정한 2013년 「가
계금융복지조사」와 「가계동향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우선,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전소득을 총소득에서 제
외하였다. 즉, 가계소득 중에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그리고 재산소득을
총소득으로 보고 이를 소득원천별로 분해하였다. 소득은 가구원 수를 기
준으로 균등화하였다. 즉 가구원 수의 제곱근 값으로 나눈 값이다.
먼저, 2012년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총소득의 지니계수는 0.418이다.
근로소득의 비중은 73.4%, 사업소득은 23.9%, 재산소득은 2.7%로 구성된
다 재산소득의 지니계수 값은 0.948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그러
나 총소득과의 상관관계(지니상관계수)가 낮아 집중계수는 근로소득보다
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재산소득의 경우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총소득의 분포를 기준으로 보면 상대적으로 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앞의 [그림 7-9]에서 보았듯이, 총소득 기준으로 저소
득층의 경우에도 재산소득의 비중이 높은 계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업소득과 재산소득을 자본소득으로 보고, 노동소득(근로소득)과 자
본소득으로만 구분해서 볼 경우에도, 집중계수는 노동소득이 0.334이고
자본소득은 0.303이다. 따라서 노동소득 비중이 1%p 증가하고, 자본소득
비중이 1%p 감소하면, 지니계수는 (0.425-0.399)=0.026만큼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난다. 즉 노동소득 비중이 높아지면 불평등이 악화되는 결과다.
이는 자본소득 자체는 매우 불평등한 분포를 가지고 있지만, 총소득 기준
으로 보면 자본소득은 상대적으로 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가계
동향조사」에서는 조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의 과소 대표
15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표 7-8> 지니계수의 가계소득원천별 분해


비중 원천소득 상관관계 집중계수 기여도 기여비율 탄력성
지니계수 (s*g*r/
(s) (g) (r) (c=g*r) (s*g*r) (s*g*r/G) G-s)
가계동향조사 2012년
근로소득 0.734 0.539 0.789 0.425 0.312 0.746 0.012
사업소득 0.239 0.809 0.492 0.397 0.095 0.227 -0.012
재산소득 0.027 0.948 0.439 0.416 0.011 0.027 -0.000
노동소득 0.734 0.539 0.789 0.425 0.312 0.746 0.012
자본소득 0.266 0.797 0.501 0.399 0.106 0.254 -0.012
가계동향조사 2012년(가구주 연령 60세 미만 가구)
근로소득 0.762 0.454 0.735 0.334 0.254 0.779 0.017
사업소득 0.227 0.795 0.368 0.293 0.066 0.203 -0.024
재산소득 0.012 0.961 0.525 0.505 0.006 0.018 0.006
노동소득 0.762 0.454 0.735 0.334 0.254 0.779 0.017
자본소득 0.238 0.788 0.384 0.303 0.072 0.221 -0.017
가계금융복지조사 2012년(전체 가구)
근로소득 0.683 0.563 0.771 0.433 0.296 0.659 -0.024
사업소득 0.267 0.837 0.585 0.490 0.130 0.290 0.024
재산소득 0.050 0.924 0.493 0.456 0.023 0.051 0.001
노동소득 0.683 0.563 0.771 0.433 0.296 0.659 -0.024
자본소득 0.317 0.803 0.603 0.484 0.153 0.341 0.024
가계금융복지조사 2012년(가구주 연령 60세 미만 가구)
근로소득 0.712 0.474 0.704 0.334 0.238 0.650 -0.061
사업소득 0.256 0.826 0.518 0.427 0.109 0.299 0.043
재산소득 0.032 0.937 0.609 0.570 0.019 0.051 0.018
노동소득 0.712 0.474 0.704 0.334 0.238 0.650 -0.061
자본소득 0.288 0.804 0.552 0.444 0.128 0.350 0.061
주 : 노동소득=근로소득, 자본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

의 문제와 재산소득의 과소 보고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분석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가지고 해보았다. 「가계금
융복지조사」에서는 「가계동향조사」와는 달리, 재산소득의 경우 자체 지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59

니계수가 「가계동향조사」의 경우보다 낮지만, 지니 상관관계 계수 값이


더 높아서 집중계수 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가계금융복
지조사」에서는 재산소득의 경우 총소득 기준으로 볼 때도 「가계동향조사」
의 경우보다 더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재산소득
의 비중도 5%로 「가계동향조사」의 2.7%보다도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지니계수에 대한 기여도도 0.011에서 0.023으
로 높아졌다.
또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으로 구분해서 볼 경우, 노동소득 비중이
1%p 증가하고, 자본소득 비중이 1%p 감소하면, 지니계수는 (0.433-0.484)/
100=0.00051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자본소득에 비해서 노동
소득의 비중이 높아지면 불평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계동향조
사」와는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가구주 연령을 60세 미만으로 한정할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재산소득만으로 살아가는 비중이 높은 노인계층을
배제할 경우, 노동소득 비중이 1%p 증가하고 자본소득 비중이 1%p 감소
하면, 지니계수는 (0.334-0.444)/100=0.0011이 감소하게 된다.
사실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경우에도 과소 보고와 과소 대표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가계조사에서 고소득층이나 고자산계층이
소득을 정확하게 보고하도록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세청 과
세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고소득층을 분석에 포함시켜 분석할 경우, 노동
소득 비중의 증가는 불평등을 완화한다는 결과가 더 강화될 수도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미발표 원고인 홍민기(2014b)의 분석에 따르면, 국세청자
료를 가지고 가구조사의 과소 대표와 과소 보고의 문제를 완화하면, 재산
소득의 지니 상관계수 효과보다는 집중도 효과가 더 커져 노동분배율 개
선이 가구소득의 불평등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
었다.
16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5절 요약과 시사점

요소분배율의 변화는 가계소득불평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부


분의 경험적 연구들도 노동분배율의 하락과 가계소득불평등 증가와 동시
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요소분배율이 가계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은 요소소득의 집중도와 요소소득의 상대적 비
중과 총소득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좌우된다. 특정 요소소득의 집중도가
높고, 이 요소소득이 상대적으로 총소득이 높은 계층에서 더 높은 비중으
로 나타날 경우 요소소득의 비중 변화가 총소득의 불평등도에 미치는 영
향을 커질 것이다.
2012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총생산액(GDP)는 1,272조 원이고 고정
자본소모와 순생산 및 수입세(부가가치세와 관세) 등을 제외한 요소비용
국민소득은 975조 원이다. 이는 가계 부문 763조 원, 기업 부문 198조 원,
정부순재산소득 14조 원으로 구성된다. 추세적으로 국민계정의 경우 외
환위기 이후 자영소득 비중 큰 폭 감소, 근로소득 비중 정체, 재산소득 비
중 증가 현상이 나타났지만, 가계 부문의 경우 재산소득의 비중은 정체되
고, 근로소득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며 자영소득이 크게 감소하였
다. 반면, 기업 부문에서 기업영업이윤의 사내유보로 기업본원소득이 크
게 증가하였다 결국 피용자보수는 감소하면서 기업저축의 비중이 증대하
였다. 기업 부문으로부터 가계 부문으로의 소득 환류가 매우 약화된 사실
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민계정상의 노동분배율 개선이 가구소득불평등을 완화시키
기 위해서는 먼저 국민계정에서 가계 부문과 기업 부문의 불균형의 문제
를 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동 몫이 줄면서 자본 몫이 늘어났으나, 이
것이 가구 부문으로 환류되지 않고 있다. 기업 부문의 소득을 가구 부문
으로 환류시켜야 한다.
이때 환류의 방법이 문제가 될 것이다. 임금을 올리는 방법과 배당이나
이자를 늘리는 방법이 있다. 우리의 분석에서는 「가계동향조사」만을 가
제7장 요소소득분배와 가구소득불평등 161

지고 분석할 경우 노동소득(근로소득)보다는 재산소득이나 사업소득을


늘리는 것이 가계불평등을 줄이는 것으로 나오지만, 과소 보고와 과소 대
표의 문제를 완화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할 경우, 재산소득이나 사
업소득보다는 노동소득(근로소득)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가계소득불평등
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고소득층을 포함시키는 국세청 과세
자료를 활용하면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노동분배율 개선의 가구소득불평등 개선 효과를 정확하게 추정하
기 위해서는 좀 더 정확한 소득 파악과 대표성 있는 가구조사 자료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소분배율이 경기변동적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
기 때문에 장기적인 자료의 확보를 통해서 이를 통제해야 할 필요도 있다.
16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소득주도성장론의


정책적 재구성47)

제1절 문제의식

경기대침체(Great Recession)라고 불리는 경제위기는 7년 이상 지속되


고 있고, 아직까지 세계경제가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지는 불투명
한 상태다. 미국과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 경제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만,
유럽연합을 비롯한 선진경제에서는 총수요 부족이 구조화되면서 디플레
이션의 위험을 보이고 있다. 20세기 초반에 잠깐 회자되었던 ‘장기 정체
(Secular Stagnation)’론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Teulings & Baldwin
eds., 2014). 그간 세계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던 개발도상국의 경제
사정도 악화일로다. 중국의 경제성장은 7%대로 하향 조정되고 있는 상황
이고, 다른 브릭스(BRICS) 국가들(예컨대 브라질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서도 하방 위험 요소들이 늘어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등장했던 경기회
복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사라지고 선진국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자,
이것이 결국 개발도상국 경제에 부정적 연쇄효과를 초래한 셈이 되었다.
이에 따라 IMF를 비롯한 국제경제기구들은 2013년 이후 세계경제 성장

47) 본 장에 제시된 분석과 견해는 필자 개인의 것으로, ILO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힌다.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63

예측치를 연이어 하향 조정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혼란이 지속되면서 경제정책 해법에 대한 논란도 계속 되
고 있다. 경기대침체 초반에는 전반적으로는 총수요 증진을 핵심 과제로
삼고, 이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논의가 집중되었는데, 그리스와 스페
인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 경제위기가 발발하면서 최근에서는 구조조
정(structural reforms)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수년 전부터
경기회복에 대한 낙관론이 부상하기 시작한 것도 이런 주장의 주요한 배
경이다. 대대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자는 주장
인데, 현재 G20에서 치열한 공방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편 경기대침체의 또 다른 구조적 원인인 소득불평등에 주목하는 흐
름도 계속되고 있다. 이런 흐름 내에도 다양한 이론적․정책적 견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일한 틀 내에서 분석하기는 쉽지는 않다. 대체적으로
현재 경제위기의 핵심인 총수요 부족이 소득불평등에서 초래한 것으로
본다. 특히 노동과 자본 간의 집계적 차원의 분배를 결정하는 노동소득분
배율(또는 자본소득분배율)이 구조적으로 변화하면서, 총수요의 핵심 구
성요소인 소비, 투자, 그리고 순수출에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이러한 거
시적이고 집계적인 차원의 변화는 곧 개인 및 계층 간의 소득분배와 긴밀
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소득분배 변화의 거시적 되먹임 효과(feedback
effects)가 주요한 분석 대상이 되었다. 게다가 소득불평등에 대한 Picketty
(2014)의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분석도 위와 같은 흐름을 만드는 데 큰 역
할을 했다.
정책 변화도 적지 않았다. 소득분배에 관한 부정적 태도나 ‘정책 중립
성’에서 벗어나, 많은 국가들이 소득분배를 경제정책의 핵심 사안으로 삼
았다. 예컨대 임금, 조세, 사회보장정책 등을 형평성이라는 다소 규범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 효율성과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여, 적극
적인 정책 변화를 만들어 왔다. 동시에 이런 정책 변화의 도입과 지속가
능성을 담보할 거시경제적 정책 변화도 모색해 왔다.
그러나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이런 접근방식에 대한 비판이나 ‘정서
적 거부감’도 적지 않고, 이에 따라 기존의 정책 패러다임(예컨대 ‘구조
개혁정책’)으로 복귀하려는 움직임도 강하다. 게다가 소득분배의 경제학
16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적 논의는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더디다. 통계와 이론의 부족도 큰 이


유이고, 이와 같은 흐름을 받아들이기 힘든 기존 경제학계의 인적 구성도
제약 요인이다. 따라서 경기대침체를 계기로 소득분배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을 모색하는 움직임은 그간 중요한 진전을 보았지만, 그
속도나 파급력은 애초의 기대에 못 미치는 편이다. 전체적으로는 이론
적․정책적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 글은 소득분배를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성장 모델
을 만들고자 하는 소득주도성장론(income-led growth)을 통해 위와 같은
이론적이고 정책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소득주도
성장론의 대략적인 틀을 제시한 이상헌(2014)에 기초해서, 최근의 논의와
정책 방향을 검토하고 그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본 보고서의 다른 논문들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이 글은 국제
적 동향에 주력한다. 특히 노동소득분배율과 관련된 이론적․실증적 진
전을 살펴보고, 정책적 논의도 소득최저선(income floor)과 소득상한선
(income ceiling)을 중심으로 필자 개인의 견해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제2절 노동소득분배율과 그 경제적 효과

1. 노동소득분배율의 최근 추세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세적 저하는 전 지구적인 현상임은 이미 여러 실증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ILO, 2012). 물론 하락의 시점은 국가마다 약간
씩의 차이가 있지만, 미국과 유럽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신자유주의적
정책이 실시된 1980년대를 전후해서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나라
의 경우, 하락 추세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Stockhammer, 2012).
일반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은 경기침체기에는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경기 후퇴나 침체에 따른 자본수익률의 하락과 동시에 명목임금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65

의 하방경직성이 존재할 경우, 노동소득분배율은 적어도 경기 회복 이전


까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번 경제위기(경기대후퇴, Great

[그림 8-1] 노동소득분배율, 임금, 노동생산성(주요 선진국)

(a)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1970~2013, % 포인트)

(b) 임금과 노동생산성 추이(1999~2013)

주 : (a) 보정 노동소득분배율(AMECO 및 ILO 통계)


(b) 왼쪽에 표기된 국가들의 가중평균을 1999년을 기준 연도로 해서 지표화
한 것임. 가중치는 노동생산성의 크기와 근로자(paid employment)의 숫자
를 고려했음.
자료 : ILO(2014b), Global Wage Report, forthcoming.
16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Recession)에는 이러한 일반적 경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위기가 발발한


직후인 2008~09년에는 노동소득분배율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지만, 2010
년부터는 다시 역전되면서 위기 이전의 하락 추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OECD, 2014; ILO, 2014b; UNDP, 2013). 2010년부터 노동생산성은 급속
도로 회복되어 2012년경에는 위기 이전의 추세 수준을 회복한 데 반해서,
실질임금 상승률은 계속 정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실질임금과
노동생산성 간의 격차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그림 8-1 참조).

2. 노동소득분배율의 결정요인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추세가 경제위기 속에서 계속됨에 따라 그 원


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실증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직까지 결정요인의
종류와 그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분석은 엇갈리는 편이고, 국가마다 결과
가 상이하게 나오기도 한다(예컨대 미국 vs. 유럽). 하지만 대체적인 윤곽
은 뚜렷해졌다(이상헌, 2014; Giovannoni, 2014). 1990년대 이후의 초창기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기술변화와 경제구조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IMF
를 비롯한 국제기구들이 2000년대 후반에 낸 연구들이 이런 경향을 반영하
고 있다(EC, 2007; IMF, 2007). 특히 생산성 이득이 자본과 고숙력 계층에
집중되게 하는 ‘숙련편향적 기술변화(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s)’
에 주목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변화의 영향이 과대 평가되었다는 비
판이 높다. 기술변화는 자본주의에서 지속적으로 생기는 현상인데다가,
‘숙련편향적 기술변화’라는 개념도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모호하다. 최
근의 보다 엄밀한 실증연구도 노동대체적이고 숙련편향적인 기술변화의
역할이 미미하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Stockhammer, 2012; ILO, 2012).
일국 단위로 한 연구에서는 특히 그러하다. 예컨대, Elsby et al.(2013)은
미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은 저숙련 대체기술과 같은 기술적 변화와는
무관하며, 오히려 노동집약적 부문의 오프쇼링(off-shoring)에 크게 기여
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지난 25년 동안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폭인 3.9%p 중 무려 3.3%p가 이와 같은 무역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
로 추정했다.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67

세계화를 강조하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분석의 엄밀성을 위해서 무역


의 세계화와 자본의 세계화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우선 무역의 세계화만
간단히 언급하고, 자본의 세계화는 뒤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한다. 무역의
세계화에 대한 엄밀한 정의는 여전히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무역의 세계
화는 전체 국민소득에서 총수출과 총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측정된다.
이 지표를 이용해서 한 분석의 대부분은 무역의 세계화가 노동소득분배
율의 하락을 가져오는 것으로 추정한다(ILO, 2012; OECD, 2012). 하지만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엇갈린다. 헥셜-올린(Heckscher-Ohlin)의 표
준적 무역이론에 따르면, 자본이 풍부한 선진국에서는 자본집약적 산업
에 특화하면서, 상대적으로 풍족한 자본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 상대적으
로 희소한 자원을 보유한 노동의 협상력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이론적으
로는 선진국에서는 노동분배율이 증가하고, 이와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
지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노동분배율이 하락하게 된다(Solow, 1957). 하지
만 이미 살펴본 것처럼, 이런 이론적 예측은 맞지 않다.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보편화 또는 ‘세계화’가 지배적인 현상이다.
무역의 세계화의 노동소득분배율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
식은 근로자의 협상력의 전반적 저하다. Rodrick(1998)의 초기 연구는 무
역의 세계화가 자본의 이동성은 높이지만(특히 해외직접투자까지 고려할
경우) 노동의 이동성을 제약함으로써 생기는 협상력 변화에 주목했다. 이
때문에 임금의 상대적 하락과 고용 부진을 초래한다고 보았다. 이 경우,
노동소득분배율은 전 세계적으로 하락한다. 후속 연구도 이와 같은 가능
성에 무게를 두었다. 이 연구에는 Harrison(2002)이 대표적이다. 보다 직
접적으로, 무역의 세계화가 노조를 약화시킨다는 실증연구도 적지 않다
(ILO, 2012; OECD, 2012). Kristal(2013)은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노동소
득분배율 하락의 대부분이 과거 노조화되었지만 그 힘이 약화된 부분에
서 생겼다고 추정했다. 결국 무역의 세계화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이를
통해 노동의 협상력을 구조적으로 약화시킨 것이 노동소득분배율 약화의
주요 요인인 셈이다. 달리 말하면, 무역의 세계화는 단순한 경제적 메커
니즘이 아니라 고도의 정치경제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을
저하시킨다. 실제로 무역의 세계화는 많은 국가에서 노동시장 규제 완화
16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등과 같은 일련의 정책적 전환을 가져왔다.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노조


결성의 제약을 비롯하여 노동의 협상력을 약화시키는 정책들이 도입되었
다. 따라서 무역을 통해 형성되는 ‘지대(rent)’가 생산요소들 간에 균등하
게 분배되지 못하고 자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시에 무역의 세계
화는 기존의 노조나 관련 근로자 조직에 ‘위협 효과(threat effect)’를 발휘
해서 ‘양보교섭(concession bargaining)’을 일반화시켰다(ILO, 2012). 독일
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 경제위기 이전부터 적지 않게 발견된 현상이
다. 따라서 최근 연구는 제도적이고 정책적 요인을 더 강조하는, 일종의
‘제도주의적’ 접근을 보이고 있다. 노동조합의 약화와 복지 제도의 축소가
전반적인 임금 압박을 초래해서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했음을 보이고자
한다(ILO, 2012). 동시에 금융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기업의 지배구조 및
요소소득분배전략이 변화하면서 자본수익률이 높아지게 되었다고 본다.
최근에 강조되는 요인은 금융화다. ILO(2012)를 비롯한 다수의 연구는
금융화를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꼽고
있다. 금융화를 크게 금융의 국제화와 금융 규제의 완화라는 두 가지 측
면에서 접근한다면, 금융화가 노동소득분배율을 하락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다. 우선 앞서 세계화와 관련해서 지적한 것처럼, 노동의 협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융의 국제화는 자본의 지역적 제약을
해소해 줌으로써 상대적 이동성이 적은 노동의 협상력을 약화시킨다. 금
융 규제 완화는 자본의 비생산적(또는 투기적) 투자를 유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경우 자본의 노동에 대한 협상 지위는 강화된다. 둘째는 이
러한 변화와 함께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 경향과 단기주의
성향이 강해지면, 기업의 임금 압박 경향은 더욱 첨예해진다. 즉, 기업의
총소득을 이윤으로 이전하려는 유인이 커진다. 셋째는 이렇게 증가한 이
윤소득은 금융적 투자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금 압박은 곧바
로 고용 압박으로 연결되어 노동의 협상력을 더욱 악화시킨다. ILO(2012)
는 71개국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의 약 46%가
금융화로 설명된다고 추정했다. 미국의 비금융산업을 분석한 연구는 노
동소득분배율의 절반 이상이 금융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Lin &
Tomaskovic-Devey, 2013). 하지만 분석상의 난점도 적지 않다. 금융화는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69

기본적으로 세계적인 현상으로 개발도상국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반해


이를 분석할 통계가 개발도상국의 경우 미비하다. 금융화를 적확하게 측정하
는 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논란도 적지 않다(Giovannoni,
2014).

3. 노동소득분배율(기능별 소득분배)과 개인별 소득분배

기능별 소득분배를 측정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은 개인별 소득분배를 결정


하는 주요 요인이다. 역으로 말하면, 개인별 소득분배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능별 소득분배 분석이 필요불가결하다(Atkinson, 2009). 하지
만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이 두 형태의 소득분배가 반드시 같은 방향으
로 동시에 움직일 이유는 없다. 각 요소소득이 각 개인들에게 어떻게 분
배되느냐에 따라 개인별 소득분배가 결정되기 때문에, 자본소득과 노동
소득의 격차가 커져 노동소득분배율이 하락한다 하더라고 개인별 소득분
배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적으로 기능별 소득분배와 개인
별 소득분배는 매우 긴밀하게 움직여 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시장소득)의 추이가 특히 시사적이다. [그림
8-2]가 보여주듯이, 1970년대 말까지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는 안정
적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를 기점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은 하락하기 시작
했고, 동시에 지니계수도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관관계
를 약 40여 개국으로 확장한 초창기 연구(Daudey & Garcia-Panalosa,
2007)도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이 시장소득 지니계수의 상승을 초래했음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보다 엄밀한 계량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Charpe et al., 2014). 최근에는 다행히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
다. 유럽연합 국가를 분석한 Schlenker and Schmid(2014)은 분해분석
(decomposition analysis)을 통해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총가구소득의 지니
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다. 국가 간 편차가 적지 않았는
17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그림 8-2] 노동소득분배율과 지니계수의 추세:미국(1949~2012), 1980 =


기준 연도(100.0)

주 : 모든 수치는 1980년을 기준 연도로 해서 지표화된 것임. 1/4분기 통계.


자료 : 노동소득분배율은 BLS, Productivity and Costs Tables; 지니계수는 Census,
Table F4.

데, 영국과 그리스 같은 국가의 경우에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영향력이 낮


았고 독일과 네덜란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자의 국가들이 후자의 국
가들에 비해 자본소득 분배의 불평등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Piketty(2014)의 자본소득에 대한 연구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ILO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G20 국가의 경우 노동소득
분배율의 1% 하락은 시장소득 지니계수를 0.1~0.2% 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Lee & Rusconi, 2014, forthcoming). 미국에 관한 한 연
구에 따르면, 노동소득분배율의 영향력이 미국에서는 상대적으로 크다.
노동소득분배율 1% 하락 시 총소득 지니계수가 0.15~0.33% 상승한 것
으로 추정했다(Jacobson & Occhino, 2012).
따라서 평균적인 근로자가 두 가지 종류의 소득 압박에 직면해 있다.
첫째, 총생산 또는 총소득이 자본과 노동 간의 총계적 분배가 자본에 유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71

리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평균적인 근로자는 이렇게 늘어난 자본


소득으로부터 배제될 뿐만 아니라, 자본소득은 일부 최상층 소득군에만
집중된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축소된 노동소득은 보다 불균등하게 배분
된다. 즉 노동소득의 불평등도가 증가된다. 이 두 가지가 합쳐지면서 평
균 근로자의 소득 압박은 강화된다.
여기에 가격 효과 또는 구매력 효과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Giovannoni
(2014)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GDP deflator
와 CPI 간에 강력한 동조 현상이 있었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는 CPI가
GDP deflator보다 점점 커졌다. 둘 간의 격차는 여전히 확대되고 있다. 따
라서 노동소득분배율을 통상적인 GDP deflator 에 기초해서 계산할 경우
노동소득 압박의 정도를 과소 평가할 위험이 있다. 만일 상위 1%의 소득
자를 제외하고 GDP deflator 대신에 CPI를 사용할 경우, 미국의 노동소
득분배율은 1980년 대비 20% 가량 하락한다. 이 중 절반은 상위 1%의 노
동소득 증가에 기인한 분배 효과였고, 나머지 절반은 가격 효과였다. 이
런 의미에서 평균 근로자는 삼중의 노동소득 압박(triple income squeeze)
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4.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제적 효과

노동소득분배율이 거시경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연구의 핵심적


사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기본적인 모델은 포스트 케인지언 방식에 기초
하여, 노동소득분배율이 총수요의 구성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은 소비수요를 감소시키지만, 투자수요와
순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상이한 효과의 상대적 크
기에 따라서 소득분배율 하락은 총수요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
다. 결국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제적 효과는 실증적인 문제다. 전자의 경우
를 ‘이윤주도 경제(profit-led economy)’라 하고, 후자의 경우를 ‘임금주도
경제(wage-led economy)’라고 부른다. 모델의 기본적인 특징은 이상헌
(2014)에서 이미 다루어졌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최근의 실증연구 결과
에 집중하기로 한다.
17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노동소득분배율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는 현재 다각적으로 진


행 중이다. 최근의 가장 포괄적인 연구 중 하나는 G20 국가의 시계열 자
료를 이용하여 단일방정식(single-equation regression) 패널 추정방식이
다 (Onaran & Galanis, 2012; 그림 8-3). 이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
가들은 소비 감소 효과가 투자 효과보다 크다. 특히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에 따른 투자 증가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가들 간의 차이
는 이러한 총수요 감소가 총수출을 통해 상쇄되느냐에 달려 있다. 상쇄
효과는 중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만 충분히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
런 국가들만 ‘이윤주도 경제’의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나머지 모든 국가
들은 ‘임금주도 경제’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일방정식 패널 추정은 만족스러운 방식이 아니다.
La Marca & Lee(2013)에서 지적한 것처럼, 일국의 노동소득분배율 저하
는 단위노동비용 감소를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를 통해 다른 경쟁국가의
총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만일 경쟁국가가 이에 반응하여 노동소

[그림 8-3] 노동소득분배율 1% 하락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 (I):단일방정식


패널 추정방식

주 : 자료와 추정 기법에 관해서는 Onaran and Galanis(2012)와 ILO(2012) 참조할 것.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73

득분배율 저하 전략으로 맞대응한다고 하면(전 세계적인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경향을 염두에 두면 현실적인 가정이라 할 수 있음), 이러한 반응은
‘선제적 행위’를 한 국가의 총수요에 부정적인 되먹임 효과를 가져올 것
이다. 따라서 단일방적식 패널 추정방식은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의 경제
적 효과를 과소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Onaran의 연구도 이런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고, 이 점 때문에 세계경제 전체를 두고 보면 ‘임금주도 경제’
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과 총수요를 둘러싼 국가 간 상호작용을 보다 명시적으
로 도입한 모델로는 Global Policy Model(GPM)이 있다(Cripps, 2013;
Charpe et al., 2014). 이 모델에 따르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은 경제 수
준와 무관하게 모두 총수요 하락을 가져온다. 이러한 차이는, 이 모델에
서는 순수출 효과가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단일방정식 패
널 추정방식에서 ‘이윤주도 경제’의 특성을 보였던 중국과 남아프리카 공
화국은 GPM 방식에서는 ‘임금주도 경제’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그림 8-4] 노동소득분배율 1% 하락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 (II):Global


Policy Model 방식

주 : Cripps에 의해서 개발된 Global Policy Model에 기초한 ILO 추정치. 모델에 대
한 자세한 사항은 Cripps(2013)과 ILO(2014a) 참조할 것.
17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다. 하락 규모는 특히 미국의 경우 약 -0.5% 수준으로 높고, 인도네시아


의 경우는 미미한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하락 규모는 선진국에서 높게 나
타난다(그림 8-4).
UNCTAD(2014)는 GPM 모델을 확장하여 노동소득분배율뿐만 아니라
재정정책과 금융시장 규제 및 무역정책을 포괄하는 전반적인 정책 변화
(‘새로운 성장 모델’)가 있을 경우, 기존의 성장 궤도에 어떤 차이를 생길
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책 변화가 없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새로운 성장 모델’은 향후 10년간 전 세계 성장률이 2%p 가량 증가
할 것으로 추정했다. 성장률 증가는 특히 개발도상국에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5. 추후 연구 과제:소득분배의 층위와 고용

노동소득분배율에 관한 연구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


지 관련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특히 두 가지 이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첫째는, 이미 지적한 것처럼, 기능적 소득분배와 개인적 소득분배는 긴
밀히 연관되어 있지만, 각각의 변화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예컨대,
기능적 소득분배가 개인적 시장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만,
시장소득분배와 가처분소득분배의 관계는 그렇게 강하지 않고 국가별 차
이도 상당히 크다. 최근 ILO의 국제비교 분석에 따르면, 시장소득의 지니
계수 변화는 가처분소득의 지니계수 변화를 약 50% 정도 설명한다
(Luebker, 2014). 재분배정책의 크기와 효율성이 이 둘 간의 관계를 결정
하는 중요한 변수다(Ostry et al., 2014; Lustig et al., 2012). 따라서 소득
분배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할 때, 노동소득분배율뿐만 아니라 이것만으
로도 설명되지 않는 개인적 소득분배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앞서 검토한 계량모델에서 소득의 소비 효과가 결정적으로 중요하
며, 이때 문제가 되는 소득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가처분소득이다. 개인적
소득분배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계량모델이 확장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소득분배와 고용과의 관계도 그 중요성에 비해 거의 연구되지 않은 주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75

제다. 물론 이론적 모델이 없지는 않다. 노동소득분배율과 실업률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기순환을 구축한 고전적 구드윈(Goodwin) 모델(또는
predator-prey 모델로 알려져 있다)에 따르면, 노동소득분배율이 너무 낮
거나 높을 경우 고용률이 하락한다(Goodwin, 1967). 이는 지난 20여 년
동안 일반적으로 관찰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과 고용탄력성의 저하라
는 두 가지 경험적 사실과 합치한다. 하지만 구드윈의 모델은 임금, 소비,
노동생산성에 관한 아주 제한적인 가정에 입각해 있고, 후속 연구들도 이
런 가정을 완화할 때 구드윈 경기순환모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
하는 데 주력해 왔다. 따라서 노동소득분배율의 고용 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드물었다.
근본적인 제약도 크다. 앞서 본 모델은 노동소득분배율의 총수요 효과
를 추정하는데, 이 모델을 이용하여 고용효과를 추정하는 가장 손쉬운 방
식은 고용탄력성을 이용하여 고용변화 폭을 추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고
용탄력성의 신뢰성 자체에 대한 의문이 크고, 게다가 지난 20년 동안 고
용탄력성이 하락해 왔기 때문에 적절한 추정치를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
다. 예컨대, 노동소득분배율이 예전의 최고 수준으로 회복될 때 경제성장
효과와 더불어 고용 효과를 추정할 때, 어느 시기의 고용탄력성을 사용해
야 할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는 근본적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는 모델이
고용을 내생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또한 고용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시도는 공급 문제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Storm and Nasstepad(2013)는 흔히 미시적으로 고려되
는 ‘효율성 임금(efficiency wages)’과 같은 메커니즘이 거시적 차원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노동소득분배율 향상이 노동생산성 향상을
유도한다는 점을 보였다. 물론 기업의 기존의 기술 및 생산장비를 효율적
으로 사용하게 되는 유인기제도 고려했다. 이들은 이런 모델 확장을 통해
노동소득분배율의 증가가 총수요와 총공급을 동시에 증대시키면서 총고
용도 늘릴 수 있음을 보였다. 하지만 동시에 역설적이게도, 노동소득분배
율 증가로 인한 생산성 증가 효과가 ‘지나치게’ 클 경우 고용이 오히려 줄
어들 위험이 있음을 보였다.
또 다른 방식은 미시적인 접근법으로서, 기업단위에서 노동소득분배율
17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의 변화와 고용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살피는 방식이 있다. 노동소득분


배율의 미시적 동학을 제시하고, 앞서 살펴본 모델의 미시적 기초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방식이다. 하지만 경제 전체 차원의 고용
동학을 살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거시경제 분석에서
는 개별 기업 차원에서의 합리성이 경제 전체의 합리성이 아니라는 점에
서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미시적 접근방식은 이를 뒷받침
하는 거시 모델을 필요로 한다.

제3절 소득주도성장론:원리와 정책

1. 소득주도성장론의 정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엄격한 정의는 없다. 다


만, 다양한 학문적 연구와 정책적 논의를 전체적으로 묶어낼 수 있는 틀
로서 소득주도성장론을 묶어 내는 것은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소득주
도성장론의 가장 광범위한 정의는 “소득분배 형평성을 통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는 모델”(이상헌, 2014)에 대한 이론적이고 정
책적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득분배 개선과 경제성장 간의
선순환 구조의 존재 가능성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런 구
조의 확립에 필요한 핵심 정책 요소들과 정책 배치를 제안하는 것이 소득
주도성장론의 목적이다.
물론 소득주도성장론의 ‘소득’ 개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엄밀한 경제
학적 정의에 따르면, 소득은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성장은 이런 총계적 소득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득주도’에
의한 ‘성장’은 동의반복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포스트 케인지언들은 이론
적 엄격성을 위해 ‘임금주도 성장(wage-led growth)’이라는 개념을 선호
한다(Lavoie & Stockhammer, 2013). 하지만, 이 또한 정확하지는 않다.
통상적인 총생산함수는 노동과 자본만을 고려한 단순경제를 상정하는데,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77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실증분석에서는 자영업자의 소득까지를 고려한


‘보정 임금 몫(adjusted wage share)’을 사용한다. 따라서 임금이라기보다
는 ‘노동소득’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이런 의미에서 소득주도성장
론은 자영업자의 노동소득을 포함한 ‘노동소득’을 전반적으로 개선하여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이론 틀이자 정책 틀이다.

2. 소득주도성장론의 핵심 원리들

이미 지적한 대로,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한 논의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


물러 있지만, 기왕의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해서 몇 가지 핵심
원리를 추출해 볼 수 있다(이상헌, 2014).
첫째, 분배 형평성의 경제적 효율성이다. 이는 소득분배가 총수요(예 :
소비수요)와 경제유인체계(예 : 투자)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제성장과 경
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동시에, 불평등 증가가 사회적 불
안정을 촉발할 위험을 높이고, 이럴 경우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불가
피하다. 이런 ‘간접적’ 경제 비용까지 고려하게 되면, 분배 형평성의 경제
적 효율성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보다 크다. 따라서 ‘성장이 우선이냐,
분배가 우선이냐’와 같은, 기존의 이분법적 논쟁은 의미가 없다.
소득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적 개입에 대해 표준경제학은 비판적이
었다. 그 이유는 다양하지만,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분
배 개선 정책은 자본수익률을 악화시켜 투자를 저하한다는 것이다. 그러
나 이미 살펴본 대로, 적어도 1990년대 이래로 자본소득분배율은 증가해
왔으나, 투자는 그에 비례해서 증가하지는 않았다(Stockhammer, 2013;
Lavoie and Stockhammer, 2013). 그 결과, 총수요 부족 현상이 생겼다.
오히려 노동소득분배율 악화에 따른 소비수요의 감소로 인해 투자유인이
더 감소되었다(ILO, OECD & World Bank, 2014). 즉 이른바 ‘가속기 효
과(accelerator effect)’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소득분배
정책이 노동의욕을 감소시킨다는 우려다. 물론 공산주의적인 극단적 불
평등은 노동의욕을 줄일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시장경제에서
는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상태인데다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17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오히려 ‘과도한(excessive)’ 불평등도로 인한 노동의욕 감소가 더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IMF, 2014; OECD, 2012). 역설적으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는 소득분배 개선이 필요불가결한 셈이
다(Stiglitz, 2012; Piketty, 2014)
소득주도성장론의 두 번째 핵심 원리는 분배 형평성의 다면성과 포괄
성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소득주도성장에 관련된 연구는 포스트 케인
지언적 이론 틀 내에서 기능적 소득분배에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이미
지적한 대로, 기능적 소득분배와 개인적 소득분배 간의 관계가 보다 엄밀
하게 규명되지 않으면, 소득분배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은 일면적일
수밖에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득분배와 관련된 정책적 논의는 조세나
사회복지 이전지출과 같은 재분배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일차적 생산
과정에서 생기는 분배 문제(즉 기능적 소득분배)를 차치하고, 재분배에
집중하면 정책적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심각한 정책적 판단 오류가
생길 수 있다. 개인별 소득분배의 악화가 기능적 소득분배의 변화에서 상
당 부분 기인하다고 한다면(이 글의 제2절 참조), 재분배정책은 ‘현상’에
대한 일시적 치유일 뿐 근원적 해법은 되지 못한다. 또한 재분배 정책에
소요되는 비용이 계속해서 증대하기 때문에 재분배정책에 대한 정치적
반발이 강화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소득주도성장론은 분배 형평성의 다
면성과 포괄성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기초하여, 다면적이고 포괄적인 정
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본다(OECD, 2011; ILO, 2012). 이것은 소득주도성
장론이 대안적 모델로 광범위하게 수용되기 위해 해결해야 될 과제다. 특
히 정책 개입이 다면적이므로 여러 정책들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가능케 하는 정책 패키지를 각국의 사회경제적 현실에 맞
추어 개발해야 한다(이 글의 제4절 참조).
소득주도성장론의 세 번째 핵심 원리는 소득분배의 ‘시장결정론’을 극
복하고, 정치경제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복원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최
근의 실증연구들은 소득분배에 있어서 금융시장과 노동시장을 포괄하는
제도정책적 요인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제도와 정책은 궁극적으
로 정치의 함수이기 때문에, 정치적 변화가 중대한 전제가 된다(Stiglitz,
2012; Palley, 2012; Lee & Gerecke, 2013).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는 소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79

득불평등과 ‘정치적 힘의 불평등’ 간의 고착화 과정(lock-in process)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득불평등의 확대는 곧 소득 최상층부가 정치적 영
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소득 자원의 확대를 의미한다. 따라서 소득불평등
은 정치적 힘의 불균등을 가속화하며, 소득 상층부를 이를 기초로 지대추
구 행위(rent-seeking activities)를 강화시키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지
대가 더욱 불평등한 방식으로 분배되면, 소득불평등은 더 가속화된다. 그
결과, 소득불평등과 정치적 불평등 간의 악순환 구조가 생길 수 있다. 결
국 정치 영역에서 일련의 정책적 조치와 제도적 변화를 통해 효율적인 지
대를 제거하지 않으면, 소득분배의 효과적인 개선을 기대하기 힘들다.

3. 정책적 구성

이와 같은 핵심 원리로부터 기반하여, 핵심적 정책구성 원리를 제안해


볼 수 있다. 소득분배 개선을 통해 총수요의 안정을 유도하고자 하는 소
득주도성장론은 소득최저선(income floor)과 소득상한선(income ceiling)
을 주요한 출발점으로 삼는다(그림 8-5). 안정적이고 실효적인 최저선의
구축은 절대 불가결한 조건이다. 빈곤 감소뿐만 아니라 노동의 전반적인

[그림 8-5] 소득주도성장의 시나리오

경제성장 경로(“소득 주도 성장” 시나리오)

최상소득
소득분배와 성장

경제성장 경로
(기존 모델)

소득분배
최하소득

자료 : 이상헌(2014).
18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임금 협상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소득상한선 없이 소득최


저선만 존재할 경우, 소득분배 개선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저
소득층의 상대적 빈곤감이나 소비 기대 상승으로 인해 소득최저선의 효
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득최저선의 급속한 상향 조정 요구에 직면할
위험이 있다.

가. 소득최저선

소득최저선은 모든 시민에게 최저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소득을 보장하


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로 floor를 의미하는 ‘최저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
는 이유는, 누가 어떤 경우이든 예외 없이 최소생활이 보장되어야 하다는
보편성의 원리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고용 여부와도 무관하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최저선이기 때문에, 노동시장과 사회보장의 긴밀한 연결이 결
정적으로 중요하다.
우선 노동시장 내부에서는 최저임금을 통한 임금 최저선(wage floor)
의 구성이 중요하다. 그동안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우
려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이런 연구들이 고용 축소 효과를 과대
평가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으로 되면서 최저임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급속히 늘어났다(Schmidt, 2013; Lee, 2012; ILO, 2014b; World Bank,
2013). 소득주도성장론의 관점에서 최저임금은 몇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
다. 우선, 최저임금이 임금 최저선으로 효과적으로 기능할 경우 임금불평
등을 축소시킨다(Betcherman, 2012). 이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실증연
구가 동의하고 있다. 둘째, 최저임금은 기능적 소득분배 개선에 직접적으
로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Draca et al.(2011)가 영국의 최저임금이 기업
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최저임금은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
고 기업의 이윤율만 낮추었다. 이와 같은 이윤율 감소 효과는 특히 시장
지배력이 큰 산업에서 두드러졌다. 따라서 최저임금은 고용 감소 효과 없
이 노동과 자본 간의 분배를 변화시키는 분배 효과가 있다. 셋째로, 기업
이 이와 같은 제약에 직면하게 될 경우, 근로자의 훈련 강화 및 설비 개선
등을 통한 혁신을 추구하려는 유인이 커진다. 즉 노동비용 삭감을 통한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81

경쟁보다는 혁신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쟁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Betcherman, 2012). 동시에, 전자의 전략에 집중하는 기업은 도
태되고, 후자의 전략을 선택한 기업의 수익성 및 경쟁 지위는 높아진다.
결국 전체적인 기업생산성은 증가한다. Mayneris et al.(2014)는 중국에서
도 이와 같은 최저임금에서 유발되는 기업 동학을 발견하고, 이를 ‘정화
효과(cleansing effects)’라고 불렀다. 따라서 효과적인 최저임금을 통한
임금최저선의 구축은 저임금 측의 소득 효과를 통한 소비안정 효과, 기능
적 소득분배 개선 효과, 그리고 동학적 생산성 증대 효과를 유발하여 전
체적인 경제성장 제고와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최저임금은 최저소득선의 한 구성 요소다. 노동시장 측면에서
보더라도, 최저임금의 효력은 임금근로자에 한정된다. 이른바 등대 효과
(lighthouse effects)가 있다 하더라도(ILO, 2012), 최저임금이 자영업자와
같은 비임금근로자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특히 자영업자의 비중
이 큰 나라에서는 최저임금이 자영업자의 최저소득선으로 작용할 가능성
은 더욱 낮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사회보장제도를 꼼꼼히 구축하여 최저
소득을 보장해 줄 필요가 있다. 실업이나 기타 이유로 노동시장 외곽에
위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다. 실업자를 포함한 노동시장 참여자에서 실업
수당을 확대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소득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이때 가장 중요한 원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어떤 개인이 최저소득선 이
하로 떨어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떤 가능한 개개인의 시
나리오(예컨대 실업, 퇴직 등등)에서도 최저소득은 보장될 수 있는 방식
으로 여러 종류의 노동시장과 사회보장정책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핵심적인 것은 각 개별 정책의 규모나 효율성이 아니라, 정
책 ‘체계’ 또는 ‘그물’이다. 촘촘하게 구성해서 소득최저선에 빈틈을 허용
해서는 안 된다.48)
소득최저선은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기능을 한다. 우선, 특히 저소득층
의 소득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경기후퇴 시 소비 감소 충격을 완화해

48) 소득최저선의 소득은 화폐소득을 의미하지 않는다. 무상교육과 같은 현물 서비스


도 포함한다. 따라서 현물과 화폐소득을 어떤 식으로 구성하느냐가 중요한데, 이
문제는 본 논문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추후의 연구에서 다루기로 한다.
18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주는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ILO가 135개국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


구에 따르면, 사회보장지출이 약 1% 증가할 경우 1인당 GDP는 0.35% 증
가한다(ILO, 2014b). 그 효과는 중국과 같은 신흥성장국의 경우 특히 커
서 약 0.5% 정도의 1인당 GDP 성장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미 앞서 지
적한 대로, 사회보장의 경제적 효과는 지출의 크기뿐만 아니라 제도의 설
계와 적용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최저선의 정
치적 기능도 중요하다. 최근의 소득불평등 확대는 근본적으로 정치적 불
균형의 확대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Stiglitz, 2012). 특히 저소득층의 정치
적 입지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소득최저선은 그들의 경제적 입지를
개선함으로써 전반적인 정치적 불균형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소득최저선과 관련된 몇 가지 첨예한 정책적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
다. 우선, 소득최저선은 사회보장을 통해서도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기 때
문에, 노동시장의 ‘왜곡’을 초래하는 최저임금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있
다(예컨대, CBO 2014를 둘러싼 미국 내 논쟁). 하지만 이런 주장은 무엇
보다도 최저임금 없는 소득최저선은 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가져올 위험
이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저임금을 아주 낮게 설정하
거나 존재하지 않아서, 저임금근로자의 소득부족분을 사회보장을 통해
채워줄 경우, 기업의 임금 억제 유인이 더 커지면서 전 사회적인 임금 압
박이 생길 위험이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사회가 부담해야 할 소득보전분
이 커짐에 따라, 소득최저선을 낮게 유지하려는 압력도 커진다. 결국 기
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이 사회에 전가되면서 소득최저선 자체가 위태로
워질 수 있다. 사회보장제도의 운영과 관련해서 수급자의 도덕적 해이를
경계하는 것처럼, 최저임금의 부재나 비효율성에서 기인한 기업의 도덕
적 해이도 중요하다. 영국도 애초에는 임금보조 방식을 택했다가 이에 따
른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극심해지자 법정 최저임금제도로 전환했다는
역사적 경험도 이런 점에서 시사적이다(Metcalf, 2009).
둘째, 보편적 소득최저선은 단순한 ‘시혜적 복지’의 문제가 아니다. 소
득최저선의 주요한 두 가지 구성 요인인 최저임금과 사회보장이 가진 경
제적 순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했다. 이뿐만 아니라 소득최저선이 노
동시장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최저임금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83

에 사회보장이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최저소득선은 근로자 준거


임금(reservation wages)의 인상 효과를 보다 강력하게 한다. 최저임금만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근로자의 교섭력 강화 효과도 그만큼 크다. 즉 소
득최저선으로 인한 교섭력 증가 효과는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소득층까
지로 포함하는 파급 효과(spillover effects)까지 포함한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재분배 효과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준거임금 인상 효과는 근로자
의 기술과 일자리 간의 매치(job match)의 질을 향상시켜 노동시장의 효
율성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Boeri et al., 2008;
Betcherman, 2012). 소득최저선이 확보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근로자
는 단기적 생존을 위해 최적의 일자리 탐색기를 가지지 못한다. 자신의
숙련이나 기술에 못 미치는 일자리를 찾을 위험이 높아진다.

나. 소득상한선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소득최저선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소득상한선의 구성도 필요하다. 물론 소득최저선처럼 촘촘하게 구성하기
는 힘들지만, 상위 소득의 비대칭적 소득 증가로 인해 소득불평등이 확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책적 장치가 요구된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소득불평등이 전례없이
높은 수준에 달한 국면에서 생긴 세계대공황을 대처하면서 최저임금과
함께 최대소득(maximum income)을 도입하고자 했다. 당시 2만 5천 달러
를 소득상한선으로 정한 뒤, 그 이상을 넘는 소득에 대해서는 100% 과세
하는 방식을 택했다. 의회의 반대로 결국 88% 최고 세율로 하향 조정된
최대소득 법안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통과되었지만, 이와 같이 높은
세율은 사실상 소득상한선을 형성했고, 전후 ‘자본주의 황금기’에도 지속
되었다. 최고 세율이 50% 이상으로 급격히 떨어진 것은 1980년대의 레이
거노믹스 때부터다. 이 때문에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에서도 최대
임금을 도입하자는 논의가 늘어나는 추세다. 게다가 최대 소득의 경제적
근거도 상당하다. 이제까지 CEO를 비롯한 임원들의 고액 연봉이 기업 수
익성 향상에 대한 대가 또는 유인이라는 주장이 광범위하게 나왔지만, 최
18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근 연구는 이런 구조가 기업의 대주주와 임원들 간의 ‘배당금 확대-연봉


인상’이라는 이익 연합을 가져왔다는 연구들이 많다(Mitchell, 2012; Kieff
& Paredes, 2013). 즉 생산성 및 수익성 향상이 아니라 비효율적인 ‘지대
이전(rent shifting)’이라는 것이다.
소득상한선을 구성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가장 느슨한 방식은 소득상
한액을 직접 정하기보다는 누진적 소득세의 적극적 도입이다. 자본소득
과세가 특히 중요하다. 하지만 기업 차원에서 절차적 제도를 강화하며,
기업 연봉체계에서 시작된 부정적 연쇄 효과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는, 주주총회나 이사회에 실질적으로 임원들의 연봉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방식이나 금융 부문의 보너스에 대한 주주총회의 권
한을 강화하는 방식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후자의 방식은 이미 미국이
나 유럽에서 다각적으로 고려 중이거나 이미 실행되고 있으며, 전자는 최
근 스위스에서 주민투표를 통해 도입되고 있는 방식이다.
보다 직접적인 방식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 역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
다. 우선 절대적 방식이다. 루즈벨트 방식으로 최고 상한액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그 이상의 소득에 대해서는 100%에 가까운 과세를 하거나 보
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규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상한액을
주기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절차상의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액수 자체의
자의성 논란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상대적 방식은 소득 상한액을 특정한 기준소득(reference income)을 기
준으로 정하는 방식이다. CEO의 소득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노동
소득”만을 편의적으로 고려해 본다면, 기준소득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정
해질 수 있다. 예컨대, 평균 임금의 몇 배를 최대 임금으로 정할 수도 있
고, 평균 임금 대신에 최하 임금(lowest wages)을 택하는 방법도 있다.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던 스위스의 이른바 ‘1 : 12’에 대한 국민투표는
‘기업 내의 최하 임금’을 기준으로 최대 임금이 12배를 넘지 못하도록 하
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소득주도성장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법정 최저임
금을 기준으로 한 규제 방식이 보다 효율적이다. 상한액의 조정이 규칙적
이고 분명할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에서의 소득분배를 효과적으로 통제
할 수 있다. 또한 소득 상한액이 최저임금과 직접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85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사회적․정치적 지지가 높아지는 장점도 있다.

다. 추가적인 정책 고려사항

소득최저선과 소득상한선의 구축은 중요한 출발점이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추가적인 정책적 배치가 없다면, 최저선과 상한선은 효과
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특히 노동소득과 노동생산성 간의 연계를 강화
하는 정책들이 필요하다. 기존의 소득분배정책이 일반적으로는 소득재분
배에만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데 반해, 소득주도성장론은 이미 살펴본
것처럼 소득분배의 악화는 노동시장에서 시작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노동시장에서의 일차적 소득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노동시장
에서의 일차적 소득분배에서 실패한 경우, 이를 재분배를 통해 교정하려
는 정책은 물론 중요하다(ILO, 2014a; Luebker, 2014). 하지만, 노동시장
에서의 분배 개선 없이 재분배정책에만 집중하면, 앞서 논의한 것처럼 기
업의 도덕적 해이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적 부담을
필요 이상으로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에 따른 정치사회적
인 압력은 커지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사회보장제도가 약해질 위험이
있다. 소득최저선 자체가 약해지거나 붕괴될 위험이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세적 하락은 근본적으로 노동의 상대적 협상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동생산성-노동소득 연계를 강화하는 효
율적인 정책 도구는 협상력의 균형 회복에 기초한 임금협상이다. 이런 점
에서 노동조합 조직률과 단체협상 적용률의 지속적 하락은 중대한 정책
이슈다. 그 결과도 포괄적이다. 특히 소득최저선을 구성하는 최저임금에
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단체임금협상이 약화되고, 협
상 적용에서 배제된 근로자가 늘어나게 되면, 근로자들의 최저임금에 대
한 의존도가 높아진다. 전통적으로 산업별 단체협상에 기초한 임금결정
구조를 가진 독일이 최근에 노조조직률이 약화되면서, 기존의 “국가의 부
당한 임금결정 개입 형태로서의 법정 최저임금”이라는 관념에서 벗어나
서 법정 최저임금을 도입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한편 노조조직률이 아주
낮은 나라에서는 최저임금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최저임금
18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이 유일한 임금결정 수단이 되는 경우도 생긴다. 최저임금에 의한 임금협


상 구축 효과(crowding out effects)는 개발도상국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
난다(Lee and McCann, 2013). 이때 최저임금은 평균 임금에 접근하게 되
고, 따라서 최저임금이 저임금근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질 못한다.
즉 최저임금은 임금 최저선(따라서 소득최저선)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
는 것이다. 따라서 최저임금과 일반적인 임금협상 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확립해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Grimshaw
(2013)은 이와 같은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을 유럽의 사례로 중심
으로 제시한 바 있다.
노조조직률의 추세적 하락을 단시간 내에 줄이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
서 임금협상력을 높이는 방식도 다양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Hayter,
2011). 먼저, 단체협약의 적용범위를 비조합원에게도 확장하는 방법(ext-
ension mechanism)이 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
고 있다. 또한 시민사회와 지방자치체가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임금 문
제에 개입하는 방식도 있다(이상헌, 2014). 이른바 생활임금(living wages)
으로 알려진 운동이 대표적이다. 생존 비용에 가까운 법정 최저임금보다
더 높고 현실적인 생계비용을 확보하기 위한 운동으로서, 보다 광범위한
노동계층에게 적용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노동소득의 문제를 기업과
근로자 간의 문제로만 보아서는 안 되고,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공론화하
면서 사회적 개입의 여지를 열어야 한다. 기업단위에서 출발된 소득분배
악화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4. 세계적 정책 논의 동향

이미 논의한 바와 같이, 소득주도성장론의 출발점은 소득분배가 정책


의 함수라는 점과 소득분배의 거시경제적 되먹임 효과의 유의성이다. 따
라서 소득분배에 대한 정책적 개입을 통해 성장의 크기와 질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인식은 최근 국제적 공감대를 얻고 있다.
우선, 앞서 살펴본 대로 경제정책에 대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
는 국제기구들(예컨대, IMF, World Bank, OECD)은 최근 일련의 실증연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87

구를 통해 소득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세 문제를 비롯한 재분


배정책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입장에서 벗어나, 재분배정책이 경제성장
에 최소한 중립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재분배 문제뿐만
아니라 1차 소득분배의 악화에도 주목하면서, 임금 압박 추세가 경제회복
의 걸림돌임을 지적하기도 한다(OECD, 2014). 전체적으로 소득분배 악화
가 성장을 저해한다는 방향의 연구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러한 실증연구 흐름의 변화와 함께 정책적인 변화도 목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미국이다. 여러 가지 정치적 제약으로 정책 변화가
더딘 편이긴 하지만, 오바마 행정부의 전반적인 정책 골격은 노동소득 증
대와 사회보장 확대를 통한 총수요 진작이다. 노동소득의 경우는 최저임
금 인상에 초점을 두고 있고, 사회복지의 경우는 저소득층에 대한 현금
및 현물(서비스)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정치적인 의제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가장 돋보이는 나라는 스위스다. 직접민주주의의 정치적 전통에
기대어서, 소득분배 개선을 위한 각종 법안들이 주민투표의 대상으로 올
랐다. CEO 및 고위 임원 보수를 주주총회에서 의결할 수 있도록 한 법안
은 통과되었고, 보다 급진적인 제안들은 과반수 지지를 얻지는 못했지만
사회여론화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최하 임금과 최고 임금을 1 : 12 비율
을 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은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내년에는 기본소득
제를 두고 주민투표가 있을 예정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소득불평등
도의 악화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편인데도 불구하고, 정책 대안의 모
색에는 가장 적극적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소득주도성장론의 틀에서 보자면, 지금까지의 정
책 변화는 대체적으로 파편적이고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때로는 “노동
소득 증대를 통한 총수요 확대”라는 정책 목표와 구체적인 정책수단이
서로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Abenomics)가 대표적인
예다. 일본은 최근 임금 상승을 통한 소비 진작이라는 정책 목표를 추진
하면서, 임금 상승은 기업의 도덕적 설득과 세제 혜택이라는 우회적이고
불확실한 정책수단을 적용한 반면에, 부가가치세 인상이라는 소비 감소
가 확실한 정책수단을 적용했다. 그 결과, 2014년 현재 임금인상 효과는
미미하고 소비 감소 효과는 크게 나타나서 결국 총소비는 감소하면서 경
18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제가 다시 악화되었다.
국제적 논의에서도 이러한 괴리 현상이 발견된다. IMF와 OECD의 경
우는 연구 결과는 소득분배 개선의 거시경제학적 중요성을 지적하지만, 정
작 실제 정책 논의에서는 규제완화를 핵심으로 하는 구조개혁(structural
reforms)을 강조한다. EU는 유럽의 경제위기로 인해 이런 경향이 더 두
드러진다. 그리스와 스페인에서 경제위기 타개책으로 추진한 구조개혁
정책을 유럽 전반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G20의 경제정책 논
의도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현재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이 소득분배 악화
를 포함한 요소들의 총수요 제약이라는 점에는 동의하고, 따라서 산출 갭
(output gap)을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지만, 정책은 오히려 잠재산출
량(output potential)을 늘리는 공급 측면에 맞추어져 있다. 물론 이런 공
급 위주의 정책이 수요를 확장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최근 경기
악화로 산출 갭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공급 위주의 정책은 총
수요를 더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국제적 논의에서는 각국의
견해가 첨예하게 갈리지고 있다.

제4절 소 결

경기대침체가 시작된 이후로 새로운 경제성장 모델에 대한 관심은 높


아졌지만, 이론적․정책적 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 글은 소득주도성장
론이라는 관점에서 이론적․실증적․정책적 과제를 전반적으로 살펴보
았다.
우선 소득주도성장론은 다층적인 소득분배구조의 개선을 통해 안정적
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대전제에 기초해서 정책적
틀을 구성하려는 시도다. 특히 노동과 자본 간의 소득분배를 보여주는 노
동소득분배율이 중요한 정책 변수다. 경제위기 이전부터 노동소득분배율
은 하락해 왔고, 이런 추세는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지니계수 등으로 표현되는 개인별 소득분배를 악화시켜 왔다.
제8장 노동소득분배율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189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은 다중적이지만, 최


근 실증연구들은 기술적이나 산업적 요인보다는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변
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종국적으로는 이런 다양한 변화 요인들이
노동의 협상력 약화를 가져왔다는 점에 주목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경제성장의 수준과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왔다. 다양한 통계 기법을 사용한 최근의 연구는 이런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 간의 상호작용(예컨대,
부정적 연쇄효과)가 고려되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
득분배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진전이 필요하다. 특히 다
층위의 소득분배 간의 관계를 고려한 분석 모델, 그리고 고용 효과를 내
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글은 그간의 이론적․실증적 진전에 기초하여 소득주도성장론의 정
책적 틀을 발전시키려고 시도했다. 분배 형평성의 경제적 효율성, 다면성
과 포괄성, 정치경제학이라는 세 가지 원리를 제시했고, 이에 기반하여 소
득주도성장론 정책의 두 가지 축인 소득최저선과 소득상한선을 제시했다.
소득최저선은 최저임금과 사회보장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모든 시민
이 어떤 상황에서도 일정 소득 이상을 누리게 하려는 것이다. 소비 안정
성 확보라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정치적 입지 강화를 통
해 정치적 불균형 개선이라는 다층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았다. 하
지만 소득최저선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이슈도 살펴보았다. 소득최저선의 효율적
작동을 위한 조건 중 하나는 소득상한선의 구성이다. 다양한 방식이 있지
만, 법정 최저임금을 주요한 출발점으로 한, 느슨한 방식의 소득상한선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세계적인 정책 흐름도 살펴보았다. 그간 주목할 만한 변화
가 있었지만, 여전히 정책적 혼란은 지적되고 있고, 특히 실증연구 결과
와 정책 방향 간에 간극이 있음을 지적했다. 소득주도성장론적인 시각이
국제적 논의에서 주류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위해서는, 이론적
이고 실증적인 진전뿐만 아니라 정치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9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참고문헌

강두용․이상호(2013), 「부유한 기업, 가난한 가계 :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


제의 가계․기업 간 소득성장 불균형 현상과 원인 및 함의」, 󰡔국
제경제연구󰡕 19(2), pp.1~35.
강종구․박창귀․조윤제(2012),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소득불균등
확대의 원인 분석」, 󰡔경제분석󰡕 18(1),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pp.85
~116.
권우현․박명수․이시균․김준영․전주용․박세정(2012), 󰡔중장기 인력
수급전망 2011~20󰡕, 한국고용정보원.
김낙년(2012), 「한국의 소득불평등, 1963~2010 :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경제발전연구󰡕 18(2), pp.125~158.
김배근(2013),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분
석󰡕 19(3), pp.1~48.
김진일(2008), 「소득분배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칼레츠키안 거시모
형을 통한 분석」, 󰡔경제발전연구󰡕 14(1), pp.151~166.
박종규(2014),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비교」, 󰡔주간 금융브리프󰡕 23(16),
pp.12~13.
배무기(1984), 「한국의 기능적 소득분배와 분배율 추계」, 󰡔경제논집󰡕
23(4), pp.389~418.
배성종․이상호(2006), 「소득분배구조의 변화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조
사통계월보󰡕 4월호, 한국은행, pp.23~56.
서환주․김준일(2013), 「주주가치경영과 금융화는 고용 및 임금결정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기업자료를 이용한 분석」, 󰡔경제학연
구󰡕 61(4), pp.85~116.
이상헌(2014), 「소득주도성장 : 이론적 가능성과 정책적 함의」, 󰡔사회경제
평론󰡕 43, pp.67~99.
참고문헌 191

주상영(2013),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이 내수에 미치는 영향」, 󰡔경제발전


연구󰡕 19(2), pp.151~182.
주상영․전수민(2014),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 한국에 적합한 대안의
모색」, 󰡔사회경제평론󰡕 43, pp.31~65.
최경수(2013), 「소득불평등 확대에 대한 기능적 분배 및 제도부문별 소득
구조 변화의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13-12.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2013.
, 「가계동향조사」, 2013.
한국은행(2010),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2007~12).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한성안(2010), 「진화경제학적 동반성장 모형」, 󰡔경제학연구󰡕 58(3), pp.255
~290.
홍민기(2014a), 「임금불평등의 장기추세(1958~2012) : 최상위 분포를 중
심으로」, 미발표 원고.
(2014b),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분배율」, 󰡔노동리뷰󰡕 4월호,
pp.50~62.
홍장표(2013), 「한국 제조업에서의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요인 분석」, 󰡔산
업노동연구󰡕 19(1), pp.1~34.
(2014a),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변동이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 :
임금주도 성장 모델의 적용가능성」, 󰡔사회경제평론󰡕 43, pp.101~
138.
(2014b), 「한국의 기능적 소득분배와 경제성장 : 수요체제와 생산성
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미발표 논문.
황덕순(2010), 「OECD 주요국의 사회경제체제 유형과 비교대상 국가의
선정」, 황덕순․윤윤규․이규용․김세움․정성미․옥우석, 󰡔주요
국가의 경제성장과 고용성과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pp.16
~25.

Acemoglu, D. and J. A. Robinson(2009), Economic Origins of Dictatorship


192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dler, Martin and Kai Daniel Schmid(2012), “Factor Shares and
Income Inequality. Empiral Evidence from Germany 2002~08,”
Schmollers Jahrbuch 133(2), pp.121~132.
Agell, Jonas(1999), “On the Benefits from Rigid Labour Markets : Norms,
market failures, and social insurance,” Economic Journal
109(453), F143–64.
Akerlof, George A., and Janet L. Yellen eds.(1986), Efficiency Wage
Models of the Labor Market,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paia, Alfonso, Esther Pérez and Karl Pichelmann(2009), “Under-
standing Labour Income Share Dynamics in Europe,” Economic
Papers 379, Directorate General Economic and Monetary
Affairs, European Commission.
Atkinson, A. B. and J. Micklewright(1983), “On the Reliability of
Income Data in the Family Expenditure Surve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46(1), pp.33~61.
Atkinson, A. B.(1991), “What is Happening to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UK?,” Keynes Lecture, British Academy.
(2009), “Factor Shares : The principal problem of political
economy?,”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5(1), pp.3~16.
Autor, David H., William R. Kerr and Adriana D. Kugler(2007), “Do
Employment Protections Reduce Productivity? Evidence from
U.S. States,” Economic Journal 117(521), F.189-217.
Bentolila, Samuel and Gilles Saint-Paul(2003), “Explaining Movements
in the Labor Share,” Contributions to Macroeconomics 3(1),
pp.1~3.
Betcherman, G.(2012), “Labour Market Institution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Background paper for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2013.
참고문헌 193

Bhaduri, Amit and Stephen Marglin(1990), “Unemployment and the Real


Wage : The economic basis for contesting political ideologie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4(4), pp.375~393.
Blackburn, M.(1989), “Interpreting the Magnitude of Changes in
Measures of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Econometrics
42(1), pp.21~25.
BLS(1997), BLS Handbook of Methods, Washington, DC : U.S. Depart-
ment of Labor.
Boeri, T., B. Helppie, and M. Macis(2008), “Labor Regulations in
Developing Coutries :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director for
furture research,” World Bank Social Protection Discussion
Paper No.0833.
Charpe, M., Lee, S. Arias, D., and S. Bridji(2014), “Does Income
Distribution Matter for Development?,” World of Work Report
2014 : Developing with jobs, Geneva : ILO, Chapter 8, pp.149~
179.
Checchi, D. and C. Garcia-Penalosa(2010), “Labour Market Institutions
and the Personal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OECD,”
Economica 77(307), pp.413~450.
Congress Budgetary Office(2011), “Trends in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Income Between 1979 and 2007,” Washington, DC.
(2014), The Effects of a Minimum Wage Increase on Employ-
ment and Family Income, Washington, DC.
Cripps, F.(2013), “Global Policy Model 5b : Databank update and model
extension,” Unpublished Paper, Geneva : ILO.
Daudey, E. and C. Garcia-Penalosa(2007), “The Personal and the
Factor Distributions of Income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43(5), pp.812~829.
Davis, Steven J. and John Haltiwanger(1999), “Gross Job Flows,” Orley
Ashenfelter and David Card(eds.), Handbook of Labor
194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Economics Vol. 3, 2711-2805, Amsterdam : Elsevier Science.


de Serres, Scarpetta and Maisonneuve(2002), “Sectoral Shift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ow they affect aggregate labour
shares and the properties of wage equation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326.
Draca, M., Machin, S. and Van J. Reenen(2011), “Minimum Wages and
firm Profitability,” American Economic Journal : Applied Eco-
nomics 3(1), pp.129~151.
Dunhaupt, P.(2013), “The effect of financialization on labor’s share of
income”, Working Paper No. 17/2013, Berli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Berlin School of Economics
and Law.
Elsby, M., Hobijin, B. and A. Sahin(2013), “The Decline of the U.S.
Labor Share,”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ies, Fall,
pp.1~63.
European Commission(2007), “The Labour Income Share in the
European Union,” Employment in Europe, 237–272. Luxem-
bourg :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Fräßdorf, A., Grabka, M. and J. Schwarze(2011), “The Impact of
Household Capital Income on Income Inequality : A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for the UK, Germany and the USA,”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9(1), pp.35~56.
Gaffard, J. and L. F. Punzo(2006), “Economic Integration and Cross-
country Convergence : Exercises in growth theory and empirics,”
Farina, Francesco and Savaglio, Ernesto eds. Inequality and
Economic Integration, Routelege, pp.136~177.
Garcia-Penalosa, C. and E. Orgiazzi(2013), “Factor Components of
Inequality : A Cross-Country Study,”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9(4), pp.689~727.
참고문헌 195

Giovannoni, O.(2010), “Functional Distribu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the Incidence of Poverty : Stylized Facts and the Role of
Macroeconomic Policy,” Inequality Project Working Paper 58,
The University of Texas.
(2014) “What do we Know about the Labor Share and the Profit
Share?,” UTIP Working Papers No.64-66.
Glyn, A.(2009), “Functional Distribution and Inequality,” In W.
Salverda, B. N., Smeeding, T. M. (eds.), Oxford Handbook of
Economic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Gollin, Doulgas(2002), “Getting Income Shares Righ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0(2), pp.458~474.
Goodwin, R.(1967), “A Growth Cycle,” In Feinstein C. ed., Socialism,
Capitalism and Economic Growth,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Gottschalk, P. and T. M. Smeeding(1997), “Cross-National Compa-
risons of Earnings an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2), pp.633~687.
Grimshaw, D. ed.(2013), Minimum Wages, Pay Equity and Comprative
Industrial Relations, London: Routledge.
Growiec, Jakub(2012), “Determinants of the Labor Share : Evidence
from a Panel of Firms,” Eastern European Economics 50(5),
pp.23~65.
Harrison, A.(2002), “Has Globalization Eroded Labor’s Share? : Some
cross-country evidence,” Columbia Business School, mimeo.
Hayter, S. ed.(2011), The Role of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Global
Economy : Negotiating for social justice, Edward Elgar.
ILO(2012), Global Wage Report 2012/13 : Wages and Equitable
Growth, Geneva : ILO.
(2014a), World of Work Report 2014 : Developing with Jobs,
Geneva : ILO
196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2014b), “Global Wage Report 2014/5,” forthcoming.


ILO․OECD․World Bank(2014), “G20 Labour Markets : Outlook, key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Report prepared for the G20
Labour and Employment Ministerial Meeting, Melbourne,
Australia, 10-11 Sep. 2014.
International Monetary Fund(2007), World Economic Outlook, Wa-
shington, DC : IMF.
(2014), “Fiscal Policy and Income Inequality,” IMF Policy Paper.
Jacobson, M. and F. Occhino(2012), “Labor’s Declining Share of Income
and Rising Inequality,” Federal Reserve Bank of Cleveland
Economic Commentary.
Johnson, D. Gale(1954),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United States, 1850-1952,”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5(2), pp.175~182.
Karanassou, Marika and Hector Sala(2012), “Inequality and Employ-
ment Sensitivities to the Falling Labour Share,” The Economic
and Social Review 43(3), pp.343~376.
Kieff, S. and T. Paredes eds.(2013), Perspectives on Corporate
Governance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Kristal, T.(2013), “The Capitalist Machine : Computerization, workers’
power, and the decline in labor’s share within US indus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8(3), pp.361~389.
Krueger, Alan(1999), “Measuring Labor's Share,” American Economic
Review Papers and Proceedings 89(2), pp.45~51.
La Marca, M. and S. Lee(2013), “Wages and Growth in Open
Economies : A Policy Dilemma?,” Iyanatul Islam and David
Kucera eds. Beyond Macroeconomic Stability :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inclusive development, ILO and Palgrave
macmillan.
Lam, D.(1997), “Demographic Variables and Income Inequality,”
참고문헌 197

In M. R. Rosenzweig and O. Stark (eds.), Handbook of


Population and Family Economics, Elsevier Science.
Lavoie, Mark and Engelbert Stockhammer eds.(2013), Wage-led
Growth : An equitable strategy for economic recovery, Palgrave
Macmillan and the ILO.
Lee, S.(2012), ““Varieties of minimum wage system” through the dubious
lens of indicator-based ranking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51(3), pp.261~276.
Lee, S. and D. McCann eds.(2013), Creative Labour Regulation, London :
Palgrave and ILO.
Lee, S. and G. Rusconi(2014), “Dimensions of Income Distribution :
What types of inequality? How are they related between
them?,” forthcoming.
Lee, S. and M. Gerecke(2013),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
Revisiting Kuznetsian political economy of inequality,” Ind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56(1), pp.15~35.
Lerman, R. and S. Yitzhaki(1985), “Income Inequality Effects by
Incom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7(1), pp.151~
156.
Levinsohn, James and Amil Petrin(2003), “Estimating Production
Functions Using Inputs to Control for Unobservabl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70(2), pp.317~341.
Lin, K. and D. Tomaskovic-Devey(2013), “Does Financialization
Contribute to Growing Income Inequal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8(5), pp.1284~1329.
Lopez-Feldman, Alejandro(2006), “Decomposing Inequality and Obtaining
Marginal Effects,” The Stata Journal 6(1), pp.106~111.
Luebker, M.(2014), “Restribution policies,” forthcoming.
Lustig, N. C. Pession and J. Scott(2012), “The Impact of Taxes and
Social Spending on Inequality and Poverty in Argentina, Bolivia,
198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Brazil, Mexico, Peru and Uruguay : An overview,” Tulane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No.1313.
Mayneris F., Poncet, S. and T. Zhang(2014), “The Cleansing Effect of
Minimum Wage : Minimum wage rules, firm dynamics and
aggregate productivity in China,” CEPII Working Paper, No.
2014-16.
Metcalf, D.(2009), “Nothing New Under the Sun : The prescience of
W.S. Sanders’ 1906 Fabian Tract,”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47(2), pp.289~305.
Mitchell, L.(2012), “Whose Capital; What Gains? : Why the U.S. economy
needs to change incentives,” Brookings Papers No.49.
Nolan, B.(1987), Income Distribution and the Macroeconomy,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 STAN Database.
(2008), “Growing Unequal? :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across OECD countries,” Paris : OECD.
(2011), “Labour Losing to Capital : What Explains the Declining
Labour Share?,” Employment Outlook, Paris : OECD.
(2012), Employment Outlook 2012, OECD.
(2014), Employment Outlook, Paris : OECD.
OECD.StatExtracts(http://www.oecd.org)
Onaran, Ö. and G. Galanis(2012), “Is Aggregate Demand Wage-led of
Profit-led? : National and global effects,” Conditions of Work
and Employment Series, No.40, ILO.
Ostry, J., Berg, A., and G. Tsangarides(2014), “Redistribution, Inequality
and Growth,” IMF Staff Discussion Note, SDN/14/02.
Palley, T.(2012), From Financial Crisis to Stagnation : The destruction
of shared prosperity and the role of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참고문헌 199

Piketty, Thomas(2014),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Belknap Press of Havard University Press.
Pyatt, G., Chen, C. N. and J. Fei(1980), “The Distribution of Income by
Factor Component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95, pp.451
~473.
Rehm, Miriam., Kai Daniel Schmid, and Dieter Wang(2014), “Why has
Inequality in Germany Not Risen?,” ECINEQ 2014-333.
Rodrick, D.(1998), “Capital Mobility and Labor,” Harvard University,
mimeo.
Ryan, Paul(1996), “Factor Shares and Inequality in the UK,”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2(1), pp.106~126.
Ryner, Magnus(2012), “The (I)PE of Falling Wage-Shares: Situating
Working Class Agency,”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Inaugural Conference of the Sheffield Political Economy
Research Institute, ‘The British Growth Crisis : The Search for
a New Model’, Sheffield, UK, July 17, 2012.
Schlenker, E. and K. Schmid(2014), “Capital Income Shares and Income
Inequality in the European Union,” Society for the Study of Eco-
nomic Inequality (ECINEQ) Working Paper Series 2014-319.
Schmidt, J.(2013), “Why does the Minimum Wage have no Discernible
Effect on Employment,” CEPR Discussion Paper(http://www.
cepr.net/documents/publications/min-wage-2013-02.pdf).
Shorrocks, A. F.(1982),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Econometrica 50(1), pp.193~211.
Siegenthaler, Michael and Tobias Stucki(2014). “Dividing the Pie_ the
Determinants of Labor’s Share of Income on the Firm Level,”
KOF Working Paper No.352.
Solow, R.(1957),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9(3), pp.312~320.
Stark, O., J. E. Taylor and S. Yitzhaki(1986), “Remittances and
200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Inequality,” The Economic Journal 96(383), pp.722~740.


Stigler, G.(1965), Essays in the History of Econom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tiglitz, Joseph E.(2012), The Price of Inequality : How Today's Divided
Society Endangers Our Future, W. W. Norton & Company, 이
순희 옮김(2013), 󰡔불평등의 대가 : 분열된 사회는 왜 위험한가󰡕,
열린책들.
Stockhammer, Engelbert(2012), “Why have Wage Shares Fallen? : A
pane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unctional income dis-
tribution,” ILO Conditions of Work and Employment Series No.35.
.(2013), “Why Have Wage Shares Fallen?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Mark Lavoie
and Engelbert Stockhammer, Wage-led Growth : An Equitable
Strategy for Economic Recovery, Palgrave macmillan and the
ILO.
Storm, S. and C. W. M. Naastepad(2011), “The Productivity and Inves-
tment Effects of Wage-led Growth,” International Journal of
Labor Research 3(2), pp.197~217.
(2013), “Wage-led or Profit-led Supply : Wages, producitivty and
investment,” in Lavoie and Stockhammer, eds., pp.100~124.
Teulings, C. and R. Balwin, eds.(2014), Secular Stagnation: Facts,
causes and cures, London : CEPR Press.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2014),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14 : Global governance and policy
space for development, Geneva : UCTA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2013), Humanity Divided :
Confronting in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
UNDP.
Wind, Serge L.(2014), “Labor's Declining Share of Corporate Income:
Impact on Income Inequality and the U.S. Job Recovery,”
참고문헌 201

Available at SSRN: http://ssrn.com/abstract=2441795.


World Bank(2013), World Development Report 2013 : Jobs, Washington,
DC : World Bank.
◈ 執筆陣

∙이병희(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황덕순(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홍민기(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오상봉(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전병유(한신대학교 교수)
∙이상헌(ILO 부사무총장 정책특보)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발행연월일 2014년 12월 24일 인쇄


2014년 12월 30일 발행
▪발 행 인 이인재
▪발 행 처 한국노동연구원
3 3 9 ­ 0 0 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 대표 (044) 287-6080 Fax (044) 287-6089
▪조판․인쇄 거목정보산업(주) (044) 863-6566
▪등 록 일 자 1988년 9월 13일
▪등 록 번 호 제13-155호

ⓒ 한국노동연구원 2014 정가 10,000원

ISBN 978-89-7356-150-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