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05강 [개념] 단어 수능특강 p.17


★ 명사

개념의 빈틈 고유 명사의 특수성


➀ 수 관형사와 어울리지 못한다. 예 *두 대한민국, *모든 한강
➁ 복수접미사 ‘-들’과 결합할 수 없다. 예 *천안들에 가보고 싶다.
➂ 조사 ‘마다’와 결합할 수 없다. 예 *한강마다 홍수가 났다.
➃ 수(數)가 전제된 말과 결합이 어렵다. 예 *많은 한강, *다른 한강

개념의 빈틈 의존 명사의 구분

조사 의존 명사
사실대로 말해라. 먹는 대로
대궐만큼 크다. 먹을 만큼만 가져가라.
나에겐 오직 너뿐이야. 오늘도 묵묵히 걸어갈 뿐이야.

어미 의존 명사
사람인지 천사인지 고향을 떠나 온 지 벌써 10년이다.
땀이 비오듯 흐른다. 씻은 듯이 나았어.
날씨 좋은데 산책 갈래? 앉을 데부터 찾자.


★ 대명사

개념의 빈틈 재귀칭 대명사 vs 1, 2인칭 대명사

1인칭 대명사 재귀 대명사

예 저도 같이 갈게요. 예 철수는 저도 모르게 울었다.


예 선생님께서 저희를 부르셨어요. 예 그들은 저희들끼리 놀러갔다.

2인칭 대명사 재귀 대명사

예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사실이 있어. 예 아버지께서는 늘 당신과는 상관 없는 일에도 도움을 주셨다.

개념의 빈틈 미지칭 대명사 vs 부정칭 대명사

미지칭 부정칭

예 저 사람은 누구야? 예 누구나 그를 좋아한다.


예 저 꽃의 이름은 무엇일까? 예 무엇이라도 괜찮다.
예 너 지금 어디에 있니? 예 어디에 좀 가려고 해.

예 A: 누가 왔니? ↘ 예 A: 누가 왔니? ↗
B: 철수가 왔어요 B: (누군지는 몰라도) 네, 왔나 봐요.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18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동사, 형용사

[플러스+ 개념] 동사 형용사 구별 기준

구별 기준 동사 형용사

먹다 성질 좋다
의미 움직임
보다 상태 예쁘다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먹는다 *좋는다


★ ★
◯ X
★ ★
[ ­는­/­ㄴ­ ] 본다 *예쁜다

관형사형 전성어미 먹는 것 *좋는 것


◯ X
[ ­는 ] 보는 중 *예쁘는 것

의도, 목적의 어미 먹으려 해 *좋으려 해


◯ X
[ ­려, ­러 ] 보러 가 *예쁘러 가

명령형, 청유형 어미 먹어라 *좋아라


◯ X
[ ­어라/­아라, ­자 ] 보자 *예쁘자


★ 관형사, 부사

개념의 빈틈 관형사와 다른 품사의 구별

관형사 대명사, 수사

⦁조사 결합 X ⦁조사 결합 O
예 이 책 / 그 사람 / 저 버스 예 이도 저도 다 싫다. / 그는 멋지다.
예 사과 다섯 개 / 서른 살이다. 예 사과 다섯을 / 나이가 서른이다.

관형사 형용사

⦁형태 변화 X ⦁활용 → 형태 변화 O
예 이것은 새 구두이다. 예 이것은 새로운 구두이다.

개념의 빈틈 관형사 vs 부사

관형사 부사

⦁조사 결합 X ⦁보조사 결합 O
예 *새를 집, *헌도 책상 예 *빨리를 간다 / 빨리도 간다

⦁자리 이동 관형사에 비해 활발
⦁자리 이동 X
예 나는 밥을 빨리 먹었다.
예 그는 어제 새 집으로 이사하였다.
나는 빨리 밥을 먹었다.
*그는 새 어제 집으로 이사하였다.
나는 밥을 먹었다, 빨리.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19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조사

[플러스+ 개념] 조사의 분류


1) 격 조사 :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조사
체언에 주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이/가, 께서, 에서, 서
예 이/가(기본): 가을이 오자 나무가 붉게 물들었다.
주격 조사
예 께서(존대): 선생님께서 나를 부르신다.
예 에서(단체): 천안시에서 무상 교복을 제공했다.
예 서(사람의 수): 둘이서 이것을 다 할 수는 없어.

체언에 서술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이다
서술격 조사 예 이것은 책이고, 저것은 잡지이다.

참고 조사이지만 가변어로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예 책이다(이고, 이므로, 이어서 …)

체언에 목적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목적격 조사 ⦁을/를/ㄹ
예 나는 책을 읽는다. / 나는 너를 사랑해. / 나도 널 사랑해.

서술어 ‘되다 / 아니다’ 앞에서 보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보격 조사 ⦁이/가
예 물이 얼음이 되었다. / 갈대는 나무가 아니다.

체언에 관형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관형격 조사 ⦁의
예 난 밤하늘의 달빛을 참 좋아한다.

체언에 부사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구분 부사격 조사 예

처소/방향 에, 에서, (으)로 철수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사를 갔다.

에, 에게, 께 꽃에 물을 주라고 소희에게 전해줄래?


대상
한테, 더러, 보고 어머니께 안경을 가져다 드려라.
그녀만큼 널 생각하는 사람이 없어.
부사격 조사 와/과, 처 럼, 만큼,
비교 그는 성격이 불과 같다.
보다, 같이
그는 너와 다르다.
민정이는 반장으로서 책임을 다했다.
자격/수단 (으)로서, (으)로써
이러지 말고 대화로써 갈등을 풀자.
그녀가 “전 빗소리가 좋아요.”라고 말했다.
인용 라고, 고
그녀가 자기는 빗소리가 좋다고 말했다.
동반 와/과, (이)랑, 하고 나는 친구랑 함께 영화를 보러 갔다.

체언을 부름의 자리에 놓이게 하여 독립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


호격 조사 ⦁야/아, (이)여, (이)시여
예 진우야 / 우현아 / 슬픔이여, 안녕 / 신이시여.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20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2) 보조사 : 격(格)을 표시하지 않고 특수한 뜻을 보태어 주는 조사

보조사 특수한 뜻 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대조
수현이가 영어는 잘 한다.
이 책은 내 동생이 빌려 왔다.
은/는 화제 나는 학생이다.
편지는 “우리 헤어져.”로 시작하였다.
옛날에 한 마을에 나무꾼(이 / *은) 살고 있었어요. 그(*가 / 는)
구정보
모태솔로였답니다.
나도 배고파.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포함
까지 아이들은 물론 할머니까지 눈물을 흘렸다.

마저 극단적인 예시 너마저 날 떠난다면 난 어떡해.

조차 그런 일은 생각조차 하기 싫어.

단독 너만 알고 있어. / 철수는 음악만 좋아해.

만 강조 시켜만 주세요! / 만나야만 해.



용 비교 키가 너만 한 아이 / 걘 자네만 못하더군.

조 뿐 단독 내가 가진 것은 이것뿐이다.

밖에 단독 날 알아주는 사람은 너밖에 없다.

부터 시작 아침부터 저녁까지 공연이 지속됐다.

(이)야 물론 / 당연히 이런 일이야 문제없지.



(이)야말로 강조 너야말로 이 일에 적임자다.

(이)나 심심한데 영화나 보러 가자.

(이)나마 (차선의) 선택 민정이는 적은 돈이나마 매달 저축을 했다.

(이)라도 작은 보탬이라도 되었으면 좋겠어.

든지 가리지 않음 사과든지 배든지 아무 것이나 사와라.

커녕 앞말보다 못함 밥은커녕 물도 못 먹었다.

요 존대 선생님, 질문이 있어요.

이요 존대 저는 짜장면이요.

종 그려 강조 이제야 돌아왔습니다그려.

보 그래 강조 좋아 보이는구먼그래.

사 마는 어긋나는 상황 구경을 하고 싶다마는 시간이 없다.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21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3) 접속 조사 :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접속시켜 주는 조사

접속 조사 예

와/과 나는 시와 소설을 좋아한다.

(이)랑 아침에 사과랑 딸기를 먹었더니 배가 부르다.

하고 연필하고 종이를 가져 와라.

(이)고 커피를 쏟아서 책이고 책상이고 다 더러워졌다.

(이)며 그의 방은 옷이며 신발이며 죄다 흩어져 있었다.

(이)면 김 과장은 사업의 계획이면 계획, 추진이면 추진 못하는 게 없다.

개념의 빈틈 접속 조사 vs 부사격 조사

와/과, (이)랑, 하고

접속 조사 부사격 조사

형식 A와/과(하고, 랑) B A는 B와/과(하고, 랑)

문장 접속 비교

나는 [사과와 배]를 좋아한다. 난 영화 취향이 그녀와 다르다.


[두부하고 콩]을 사와라. 저는 어머니랑 많이 닮았대요.
[책과 연필]이 수업에 필요합니다. 나는 푸바오와 비슷하게 생겼다.
나는 [철수랑 영수]를 초대했다. 빠르기가 번개하고 같다.

단어 접속 동반

[형과 동생]이 다시 만났다. 난 철수와 신부동에서 만났다.


[영수와 철수]는 닮았다. 동생은 나하고 서로 친하다.
[소금과 물]을 섞었다. 나는 민수랑 영화를 보러 갔다.

‘A와(하고, 랑) B’의 형식으로 쓰여 있다고 하더라도, 서술어가 대칭 용언*일 경우에는 ‘와/과, 하고, 이랑’을
무조건 부사격 조사로 보는 문법적 견해도 존재한다. 다만, 평가원에서는 역대 기출에서 접속 조사는 ‘A와
(하고, 랑) B’의 형식, 부사격 조사는 ‘A는 B와(하고, 랑)’의 형식으로 출제해 왔다.

참고
[2006.09] 형과 동생이 다시 만났다. ‣ 접속 조사
[2016.06] 그는 형님과 고향에 다녀왔다. ‣ 부사격 조사

※ 대칭 용언 : 대상이 반드시 둘이어야 하는 서술어


예 같다, 다르다, 닮다, 비슷하다, 만나다, 마주치다, 이별하다, 섞다 …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22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 감탄사

[플러스+ 개념] 감탄사 분류

상대방을 의식할 필요 없이 화자의 감정을 표시하는 감탄사


감정 감탄사
예 오, 와, 아, 어머나, 아차, 허허, 만세, 야호, 헐, 에휴 …

상대방을 의식하며 부름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감탄사

예 자, 여보세요, 이봐, 이봐요, 쉿, 야, 여보게, 얘 …


예 네, 암, 예, 아니, 아니오, 오냐, 응, 그래, 그래요 …
의지 감탄사
상대방을 의식하며 화자의 생각이나 의도를 표출하는 감탄사

예 옳소, 천만에, 천만에요, 아서라, 글쎄 …

특별한 뜻 없이 입버릇처럼 나는 소리들


입버릇 & 더듬거림
예 뭐, 아, 음, 에헴, 저, 거시기, 그 …

PRACTICE 내가 하는 공부 쌓기

Q1. 밑줄 친 단어가 의존 명사인 문장을 찾아 O표를 하시오.


①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는다. ( )
② 나도 그 친구만큼은 할 수 있다. ( )
③ 처벌하려면 법대로 해라. ( )
④ 나도 지칠 대로 지쳤어. ( )

Q2. 아래의 대화 속 밑줄 친 대명사가 미지칭인지 부정칭인지 구별하시오.

A: 어디 갈 거야?
① ( 미지칭 / 부정칭 )
B: 응, 답답해서 바람 좀 쐬려고.
빠른 정답 Practice
A: 어디 갈 거야? Q1. ①, ④
② ( 미지칭 / 부정칭 )
B: 백화점에 갈 거야.
Q2.
① 부정칭
② 미지칭

Q3.
① 먹다
② 눕다
Q3. 다음 용언들 중 동사를 찾아 보자. ⑥ 흐르다
⑧ 잡다
⑪ 가다
① 먹다 ② 눕다 ③ 높다 ④ 슬프다 ⑤ 아름답다 ⑥ 흐르다
⑫ 뛰다

⑦ 흐리다 ⑧ 잡다 ⑨ 많다 ⑩ 깊다 ⑪ 가다 ⑫ 뛰다 ⑬ 빠르다 ⑭ 입다
⑮ 씻다
⑭ 입다 ⑮ 씻다 ⑯ 노랗다 ⑰ 팔다 ⑱ 버리다 ⑲ 착하다 ⑳ 즐겁다 ⑰ 팔다
⑱ 버리다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23


병훈쌤의 강의 노트
2025
수능특강 언매 Plus+ 만점 노트
Q4. 밑줄 친 말이 무엇인지 쓰시오.

예 답

⦁ 그녀는 맨 구석 자리에 조심스럽게 앉았다. ①

⦁ 저 넥타이를 맨 남자가 내 남자친구야. ②

⦁ 건물을 헌 자리에 새 가게가 들어왔다. ③

⦁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④

⦁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 ⑤

⦁ 열 손가락 가운데 안 아픈 손가락 없다. ⑥

Q5.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조사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시오.

➀ 선생님께서는 칠판에 판서를 하셨다.


➁ 재훈이가 결국 반장이 되었다.
➂ 휘성아, 원하는 대학에 합격했다며? 앞으로 꽃길만 걷자.
➃ 진희한테 “난 너밖에 없어”라고 말했다.
➄ 태현이가 매사에 적극적이야.
➅ 제3자로서 볼 때, 당신의 잘못이 큰 것 같아요.
➆ 정부에서 물가를 안정화시키고자 경제 정책부터 먼저 발표했다.
⑧ 철수야말로 노력과 인내를 강조하는구먼그래.
⑨ 준기야, 이 일마저 혼자보다 둘이서 하는 것이니?

빠른 정답 Practice
문 격조사 접속
보조사 Q4.
장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조사 ① 관형사
② 동사 (기본형 : 매다)
① 께서 를 ③ 동사 (기본형 : 헐다)
④ 관형사
② ⑤ 수사
⑥ 수 관형사

④ Q5.
① 는(보조사), 에(부사격)
② 가(주격), 이(보격)

③ 아(호격), 에(부사격), 만(보조사)
④ 한테(부사격), 밖에(보조사), 라고(부사격)

⑤ 가(주격), 에(부사격), 이다(서술격)
⑥ 로서(부사격), 의(관형격), 이(주격), 요(보조사)
⑦ ⑦ 에서(주격), 를(목적격), 부터(보조사)
⑧ 야말로(보조사), 과(접속), 그래(보조사)
⑧ 를 ⑨ 야(호격), 마저(보조사), 보다(부사격),
서(주격), 이다(서술격)

Q6.
① 만세
Q6. 다음 문장에서 감탄사를 찾아 밑줄 치시오. ② X (없음)
➀ 만세! 드디어 끝났다! ➁ 이름이 만세에 전해지다. ③ 얼레
④ 야
➂ 얼레? 진짜 이러기야? ➃ 야, 너 어제 PC방 갔지? ⑤ 아니야
⑥ 여보세요
➄ 아니야, 안 갔어. ➅ 여보세요. 거기 만리장성이죠?
⑦ 네

➆ 네, 맞습니다! ➇ 여기 OO빌라인데요. 음…. 짬뽕 하나 시킬게요. ⑧ 음

2025 수능특강 한병훈의 언어와 매체 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