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2022학년도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논술시험 문제지 [창의인재]

==================================================================
문제 1 아래의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35점)

세 개의 주머니 A, B, C가 있다. 주머니 A에는 번호 1, 2, 3, 4가 새겨진 4개의 공이 들어있다. 주머니 B에는 번호


1, 1, 2, 3이 새겨진 4개의 공이 있고, 주머니 C에는 번호 1이 새겨진 4개의 공이 들어있다.

주머니 A 주머니 B 주머니 C

주머니 세 개에서 한 개의 주머니를 임의로 선택하고, 선택한 주머니에서만 임의로  번 공을 꺼내는 실험을
시행한다. 단, 매번 꺼낸 공의 번호를 확인하고 다시 되돌려 넣은 뒤 다음 공을 꺼내는 것을 가정한다.

[문제 1-1] 선택된 주머니에서 공을 꺼내는 실험을 1번 시행할 때 1번 공이 뽑힐 확률을 구하시오. 그리고 이렇게 꺼낸
공이 1번 공일 때 선택된 주머니가 C일 확률을 계산하시오. (10점)

[문제 1-2] 선택된 주머니에서  번 모두 1번 공이 뽑혔다. 주머니 C가 선택되었을 확률을 구하시오. (10점)

[문제 1-3] 몇 회의 반복 실험에서 뽑힌 공이 모두 1번 공일 때, 주머니 C를 선택했다는 주장이 사실일 확률이


0.9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지 근거와 함께 결과를 제시하시오. (15점)

( 1 / 7 )
[ 1-1] 10

( )
( )
( )
( )
( )

( )
(i) 1 : P(D1)=7/12
(ii) 1 C : P(C|D1)=4/7

( )
: A={ A }, B={ B }, C={ C }, D1={1 1 }
(i) 1 :
P(D1)=P(A)P(D1|A)+P(B)P(D1|B)+P(C)P(D1|C)=(1/3)*(1/4)+(1/3)*(1/2)+(1/3)*1=7/12
(ii) 1 C :
P(C|D1)=P(C∩D1)/P(D1)=(1/3)/(7/12)=4/7

:
(i) 12 1 1
7/12
(ii) 1 1 7 1 C 4 C
4/7

[ 1-2] 10

( )
( )
( )
( )

( ) P(C|Dn)=4n/(1+2n+4n)

( )
: Dn={n 1 }
P(Dn)=P(A)P(Dn|A)+P(B)P(Dn|B)+P(C)P(Dn|C)=(1/3)*(1/4)n+(1/3)*(1/2)n+(1/3)*1
P(C|Dn)=P(C∩Dn)/P(Dn)=(1/3)/{(1/3)*(1/4)n+(1/3)*(1/2)n+(1/3)*1}=4n/(1+2n+4n)

[ 1-3] 15

( )
( )
( )
( )
( )

( ) 4 ( 4 )

( )
n=1 : P(C|Dn)=4/7=0.57…<0.9
n=2 : P(C|Dn)=16/(1+4+16)=16/21=0.76…<0.9
n=3 : P(C|Dn)=64/(1+8+64)=64/73=0.87…<0.9
n=4 : P(C|Dn)=256/(1+16+256)=256/273=0.93…≥0.9
4 1 , C 0.9 ( , C
0.9 )
( . n P(C|Dn) ( ) )

( 2 / 7 )
문제 2 아래의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25점)

(가) 두 실수   에 대해서  ≤    라고 하자.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  와 B   에서 그은


두 접선의 교점을 C 라 하자.

   
      
  
(나) 두 실수   에 대해서        (   )라고 하자.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 
두 점 A   와 B 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 P 의 좌표를   라고
하자.

(다)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와 B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이다.
 

[문제 2-1] 제시문 (가)에서 이차함수    과 두 접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0점)

[문제 2-2] 제시문 (나)에서 주어진 점 P 의  좌표  에 대해서 lim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시오. (15점)
 →∞

( 3 / 7 )
출제의도
, .

문제해설
[문제 2-1]
(풀이)    이라고 하면     이다. A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이고 B   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는     이다. 따라서 점 A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이고 점 B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이다. 두 접선의 교점의  좌표는        에서    이다. 따라서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끝)
       


  
  

 
    
채점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한 경우

[문제 2-1] 중 답이 틀렸지만 접선의 방정식과 정적분 식이 맞는 경우 10

하 답이 틀렸지만 접선의 방정식만 맞게 구한 경우

[문제 2-2]

(풀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i)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끝)
  
   
채점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한 경우

중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경우


[문제 2-2] 15
중하 답이 틀렸지만   를 구하고 극한 계산에서 유리화 식이 맞는 경우

하 답이 틀렸지만    만 맞게 구한 경우

( 4 / 7 )
문제 3 아래의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40점)

(가) 어느 플라스틱 쓰레기 수집 업체에서는 매달 플라스틱 쓰레기 1500톤을 수거하여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재생산한다고 한다. 매달 플라스틱 쓰레기의 65%가 선별 과정을 통과하고 그중 80%가 재활용된다고 한다. 또
재생산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65%가 선별 과정을 통과하고 그중 80%가 재활용된다고 한다.


(나) 어느 지역에서 시각   ≥  에서의 재활용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  톤은         라고
한다.

[문제 3-1] 제시문 (가)에서 이번 달에 수거한 플라스틱 쓰레기 1500톤에 대해서 재생산과 재활용 과정을 매달 한없이
반복할 때, 재활용하게 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모두 몇 톤인지 구하시오. (10점)

[문제 3-2] 제시문 (나)에서 시각  가 1.5에서  가 될 때까지 ( ≤  ≤ ) 재활용하게 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  라고
하자. 이때 lim   을 구하시오. (단, lim    ) (15점)
→∞ →∞

[문제 3-3] 제시문 (나)에서 주어진 함수  에서 변곡점의 좌표를  라고 할 때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시오. (15점)

( 5 / 7 )
출제의도
, ,
.

문제해설

[문제 3-1]
(풀이) 플라스틱 쓰레기 1500톤을 재활용하게 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모두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답은 1625톤 이다. (끝)

채점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한 경우

[문제 3-1] 중 답이 틀렸지만 접선의 등비급수 식이 맞는데 답이 틀린 경우 10

하 답이 틀린 경우

[문제 3-2]

(풀이) (i)          이고 두 함수의 곱의 정적분이므로 부분적분법을 이용한다.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    에서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ii) lim   를 구하면 lim            이다. (끝)

→∞ →∞

채점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한 경우

[문제 3-2] 중 답이 틀렸지만 정적분 식의 부분적분법에서 계산 실수 있는 경우 15

하 정적분 식을 제시하지 못한 경우

( 6 / 7 )
[문제 3-3]
(풀이)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또는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를 조사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점    의 좌우에서  의 부호가 바뀌므로    이다. (끝)
 
 

채점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한 경우

중상 답이 맞고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경우


[문제 3-3] 15
중하 답이 틀렸지만 이계도함수를 구한 경우

하 이계도함수를 구하지 못한 경우

( 7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