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022년 일반화학 및 실험

실험실 안전 교육

1
목차

1. 실험실 안전 행동

(1) 일반 행동 안전 규칙

(2) 실험실 안전 행동 규칙

(3) 개인 위생

(4) 실험실 유지 관리

(5) 유리 기구의 안전한 취급

(6) 후드 사용

2. 실험실 사고 대처

(1) 오염 제거

(2) 화재와 비상 대피

3. 안전 표지의 사용

4. 간단한 실험 도구

2
1. 실험실 안전 행동

(1) 일반 행동 안전 규칙

안전에 대한 모든 최종적인 책임은 실험자 자신에게 있다. 아무리 훌륭한 규칙과 안전


장치가 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험자가 규칙을 어기고 제멋대로 행동을 하게 되면 안전
사고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자는 스스로 안전 규칙을 몸에 익히게 하여
안전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실험실 안전 행동 규칙

A. 실험실에서 뛰는 행동, 점프 행동, 또는 장난을 해서는 안 된다.

B. 실험실에서는 샌들, 앞이 트인 신발, 슬리퍼 등의 신발을 신어서는 안 된다.

C. 조교 선생님에 의해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재료나 기구설비 등에 대해서는


홀로 실험을 수행해서는 안 된다.
D. 산을 희석할 때에는 산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상 산을 물에 첨가해야 한다.
E. 실험 중 발생하는 폐기물 및 쓰레기는 즉각 치워야 한다.

F. 실험이 끝난 후 실험도구 및 주변을 반드시 정리해야 한다.

(3) 개인 위생

A. 화학 물질이 피부에 묻었을 때는 즉각 씻어 낸다. 실험자는 본인이 취급하는 물질

을 알고 있어야 하며, 묻었을 경우는 신속하게 씻어서 닦아 내야 한다.


B. 실험실에서는 개인의 눈 보호를 위해서 반드시 고글을 착용해야 한다.

C. 실험실에서는 반드시 실험복을 입어야 한다. 실험복은 실험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액체물질의 튀기기나 유출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고 쉽게 불이 붙지 않는 소재

이어야 한다. 실험복은 실험실에서 반드시 입어야 하며 실험실 문을 나서기 전에


탈의해야 한다.

D. 실험복은 항상 깨끗하게 보관하고 낡거나 문제가 있으면 교체하고 오염되어 있다


면 세탁하여야 한다.
E. 실험복은 휴게실 등 실험실 밖에서 입어서는 안 된다.

F. 실험실을 나설 때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한다.


G. 화학 유해 물질로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코로 의도적으로 냄새를 흡입하여 확인하

면 안 된다.
H. 입으로 피펫(pipet)을 빨아서는 안 된다. 항상 진공 밸브를 사용해야 한다.
I. 실험실에서는 음료수를 포함하여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흡연을 해도 안 된다.
실험실 안에서 화장을 해서도 안 된다. 실험실 안에서는 식음료와 화장을 할 경우,
이들 물질과 화학 물질들이 상호 오염될 수 있기에 실험실에 가지고 들어와서는
3
안 된다.

(4) 실험실 유지 관리

A. 모든 실험실은 안전확보를 위한 유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B. 가능한 실험실은 깨끗이 치워져 있어야 한다.
C. 실험을 끝낸 실험자는 자기 실험 구역을 스스로 치워야 할 의무를 지닌다.
D. 실험에 필요한 시약 및 기기들은 실험이 끝난 후 제 위치에 놓아야 한다.
E. 화학 물질, 특히 액체 화학물질 등은 조교 선생님의 지시가 있지 않는 한 실험실
바닥에 보관해서는 안 된다.

F. 조교 선생님의 지시가 있지 않은 한, 시약, 용액, 유리 기구 등을 후드 안에 보관


해서는 안 된다. 이는 후드 내의 작업 공간을 좁혀주는 것뿐만 아니라, 후드 내의
적절한 공기 흐름을 방해해 환기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G. 보관물과 장비들이 소화기, 안전 장치, 비상구 혹은 다른 비상조치 관련 시설물 등

의 접근을 막아서는 안 된다.

(5) 유리 기구의 안전한 취급

A. 유리 기구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깨지거나 금이 간 곳이 없는지 꼭 확인하고 사

용해야 한다. 특히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진공을 걸어줄 때는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고온으로 가열한 후 차가운 실험대 위에 올려놓으면 유리가 깨지고 내용물

이 흘러나오게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B. 깨지고, 금 가고, 조각난 유리 기구들은 폐기하거나 수리하여야 하므로 발견 즉시


조교 선생님에게 알려야 한다.
C. 유리 기구는 선반 등의 끝에 보관하지 않는다. 크거나 무거운 유리기구는 낮은 선
반에 보관한다.

D. 유리 기구를 운반할 때는 반드시 두 손으로 잡고 옮긴다.


E. 유리 기구를 세척할 때는 적당한 솔을 사용하고 너무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

F. 유리 튜브를 사용할 때는 서로 부딪혀 깨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세

척할 때도 너무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G. 유리 마개가 꼭 끼어 빠지지 않는 경우는 무리하게 힘을 가하지 말고 뜨거운 물에
담가 두어 유리가 팽창하게 한 후 마개를 제거한다.

(6) 후드 사용

A. 독성 물질, 휘발성 물질,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들을 취급해야 하는 작업은 실험


실 후드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4
B. 후드 환기 시스템은 실험자 학생들에 의해서 임의로 조작되어서는 안 된다. 조작

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조교 선생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C. 후드 환기에 문제가 생길 시에는 반드시 조교 선생님에게 보고해야 한다.

2. 실험실 사고 대처

(1) 오염 제거

A. 실험 도중 유해 화학 물질 등에 신체가 오염되는 사고를 입었을 경우, 즉시 이를 제


거해야 한다.
B. 전신에 오염 물질이 묻었을 경우에는 안전 샤워 장치를 사용해 이를 제거한다.

C. 눈에 오염 물질이 침투했을 경우는 세안을 해야 한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은 즉각 콘택트 렌즈를 빼내고 씻은 후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 세안 시간은 적
어도 10분 간 부식성 액체가 남아 있지 않을 정도까지 눈의 바깥 방향으로 씻어야

한다. 세안을 한 후에는 책임자에게 이를 보고하고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

(2) 화재와 비상 대피

A. 실험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규모 여부를 막론하고 조교 선생님께 알린다.


B. 화재 초기 상태여서 그 규모가 작으면 실험실 내 보관된 소화기를 사용해 소화시킨
다. 그러나 규모가 크다면 화재에 대해서 진압을 시도하지 말고 즉시 대피한다.

C. 만일 화재를 진압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진압되지 않는 경우에도 즉시 화재 장소로부


터 대피한다.

D. 마지막으로 대피하는 사람은 가능한 연구실 등의 도어와 창문 등을 모두 닫고 대피


한다. 대피 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안 된다. 비상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E. 화재 경보가 울린 건물의 사람들은 경보를 듣는 즉시 건물에서 대피해야 한다.
F. 모든 화재는 반드시 책임자에게 보고하여야 하고, 또한 모든 화재는 조사하여야 한

다.

5
3. 안전 표지의 사용

금지표시
ㄴㅇㄹㄴ
(빨간색)

경고표시
ㅇㄹㄴㅇ
(노란색)

지시표시
(파란색)

안내표시
(초록색)

6
7
4. 간단한 실험도구

눈금실린더(graduated cylinder)
비이커(beaker)
뷰렛(buret)

온도계(thermometer)
깔대기(funnel)

뷰렛스탠드(buret stand)

저울(balance)
파이펫 펌프(pipet pump)
파이펫(pipet)

8
전열기(hot plate)
삼각 플라스크(erlenmeyer flask)

[네이버
[네이버 지식백과]삼각플라스크
지식백과]삼각플라스
[erlenmeyer flask, 三角,
크 [erlenmeyer
さんかくフラスコ] (농촌진흥청,
flask, 三角,
농촌진흥청)
さんかくフラスコ]
) (농촌진흥청,
시계접시(watch glass)
농촌진흥청)

드롭퍼(dropper) )
시험관(glass tube)

[네이버
[네이버
지식백과]삼각플라스
지식백과]삼각플라스
크 [erlenmeyer
크 [erlenmeyer
flask, 三角,
flask, 三角,
さんかくフラスコ]
さんかくフラスコ]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
)
뷰흐너 깔대기(büchner funnel)
[네이버
부피플라스크(volumetric flask) 지식백과]삼각플라스크
[네이버 지식백과]삼각플라스크
[erlenmeyer flask, 三角,
[네이버 지식백과]삼각플라스크 [erlenmeyer flask, 三角,
さんかくフラスコ]
[erlenmeyer flask, 三角, さんかくフラスコ]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さんかくフラスコ]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감압 플라스크(suction funnel)

[네이버 지식백과]삼각플라스크
9
[erlenmeyer flask, 三角,
さんかくフラスコ]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