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 사잇소리현상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명사가 될 때,

①앞 명사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유성음: 모음 전부와 ㄴ, ㄹ, ㅁ, ㅇ)로 끝나고, 뒷


명사의 첫소리가 안울림소리(ㄱ, ㄷ, ㅂ, ㅅ, ㅈ)일 때, 뒷명사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예) 산+길 →[산낄], 봄+비 →[봄삐], 등+불 →[등뿔]

②앞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고 뒷명사의 첫소리가 ‘ㄴ, ㅁ’으로 시작할 때 ‘ㄴ’이 첨


가되는 경우.
예) 코+물 →[콘물]. 코+날 →[콘날], 이+몸 →[인몸]
콧물, 콧날, 잇몸
※ ‘ㄴ’첨가 현상 :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말의 끝이 자음이고 뒷말의 첫음절이 ‘ㅣ,ㅑ,ㅕ,ㅛ,ㅠ’일
때 ‘ㄴ’이 첨가되는 현상

③앞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고 뒷명사가 모음 ‘ㅣ’로 시작할 때, ‘ㄴ, ㄴ’이 덧생기는


경우.
예) 깨+잎 →[깬닙], 뒤+일 →[뒨ː닐], 나무+잎 →[나문닙]
깻잎, 뒷일, 나뭇잎

▶ 고기+배[고기배]→ 고기배 : 고기의 배


고기+배[고긷빼, 고기빼]→ 고깃배 : 고기잡이를 하는 배

▶ 고기+집[고기집]→ 고기집 : 물고기가 몸을 숨기거나 알을 낳을 수 있도록 만든 집


고기+집[고긷찝, 고기찝]→ 고깃집 : 고기를 주로 파는 음식점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기와집, 순댓국, 초가집, 외갓집, 처갓집, 김밥

● 사이시옷의 표기 ●
①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고 하나 이상이 고유어이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예)뱃사공, 시냇가, 나뭇가지, 장맛비, 등굣길

② 한자로만 이루어진 합성어의 경우 원칙적으로 사잇소리현상이 일어나도 앞의 모


음 아래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③ 한자로 이루어진 합성어라고 하더라도 다음의 경우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