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이상하게 들리는 한국어 호칭

안미영(신라대학교 한국어교육원)

1. 들어가기
한국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 호칭어를 사용한다. 이와 마찬가
지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도 한국어로 소통하는 상황에서 호칭을 자연스럽게 사
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에 맞는 호칭어를 사
용하게 되지만 종종 부적절한 호칭어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호칭 실수로
인해 효율적이고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를 한국어 학습자가 단순한 실수 정도로 인식하고 지나쳐 버리게 된다면 지속적
으로 타인과의 소통과 관계에 있어 문제점에 부딪힐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 문화에 친숙하지 않은 외국인 학습자들은 처음 만난 상대의 나이나 직함을
묻는 한국인을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눈빛으로 보거나 같은 상황과 역할에서 다양
한 호칭어를 구사하는 한국인을 이상하게 생각할 수 도 있다. 한국어와 다른 호칭
의 언어문화권에서는 첫 만남에서 통성명을 한 후에는 단순히 상대의 이름을 부르
면 되는 간단한 호칭 문화를 가지고 있는 곳이 많다. 그런데 굳이 상대의 나이나
위치를 알려고 하는 한국인의 호칭 문화가 이해가 안 되는 것도 당연하다. 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인들은 처음 만난 상대의 이름을 기억하려고 하기보다는 그 사람과
의 호칭 관계를 더 의식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이며 다양한 한국어 호칭으로
인해 한국인에게조차 어색하거나 불편하게 들리는 호칭도 있다. 이러한 한국어 호
칭의 다양함으로 인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호칭을 익힐 때 가끔 혼란을 느끼
거나 한국어가 어렵다는 고민을 토로하기도 한다. 따라서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
을 위해서는 한국어 호칭의 사회적 배경과 영역별 호칭의 구분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한국어 호
칭에 대한 배경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현장의 교사들의 한국
어 호칭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2. 한국어 호칭의 사회적 배경


언어의 일부인 호칭은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 사이에 반드시 등장하게
마련인데 그 호칭의 배경에는 그 언어사회의 대인 의식, 행동양식, 가치관 등이 반
영되어 있기 때문에 호칭을 비교, 분석해 보면 그 언어사회의 대인 의식이나 행동
양식이 반영되는 문화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가정, 직장, 각종 모임,
공공 공간이나 가게, 온라인 공간 등 호칭 문제에 부딪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다
양하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은 한국 사회에서는 호칭이 상대를 인정
하는 출발점이자 서열을 정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 이
름을 편하게 부를 수 있는 관계는 많지 않으며 호칭에 따라 역할 분담이 정해지기
도 한다. 또한 호칭에는 나이, 능력, 전공, 지위 등 정체성의 일부분이 담겨 있기 때
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기대하는 호칭으로 불리길 원하고, 그런 기대에 어긋날 때
인정받지 못한다고 여긴다.

3. 한국어 호칭의 기능
호칭어의 대표적인 기능은 어떤 사람이 그를 둘러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
서 갖는 사회적 위치를 상징하는 것이다. 그 밖에도 한국 언어문화에서 호칭어가
갖는 일반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청자를 부르는 기능을 한다. 이때의 청자는 화자와 아는 사이인 경우도 있고 전


혀 낯선 관계일 수도 있다. 한편, 화자와 청자가 실제 대화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쓰일 뿐 아니라 가령, 길을 묻는 상황에서처럼 화자가 청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자
신의 의사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고자 할 때도 사용된다.

2) 호칭어는 화자와 청자의 표면적인 사회적 관계를 반영한다. 어떤 호칭어가 사용


되는가를 통해 대화자 간의 연령, 서열, 직위 등을 대략 짐작할 수 있다.

3) 호칭어는 화자와 청자의 친근감의 정도, 심리적 거리감을 드러낸다. 같은 상황의


사회적 관계에 놓여 있더라도 대화자 간의 친근감, 심리적 거리감에 따라 호칭 표
현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4) 호칭어의 선택은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특정 호칭어의


선택은 대화자 간의 관계를 두텁게 할 수도 있고 거리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략적인 호칭의 사용은 인간관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5) 호칭어는 같은 대화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도 한다. 즉,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반영하는 기능이 있다. 격식적이고 공식적인
자리에서, 또는 제 3자를 의식하여 사용하는 호칭어와 사적인 자리에서, 혹은 제 3
자를 의식하지 않고 쓰는 호칭어의 차이는 바로 여기에서 기인한다.

4. 영역별 한국어 호칭의 역할과 이해


4.1 친족 간의 호칭
가족(친척) 호칭은 비교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익숙한 편이다. 대부분의 한국어 학
습 교재가 초급 단계에서 가족 소개를 하면서 가족(친척)에 대한 호칭을 다루고 있
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어 이외의 언어권에서는 가족이나, 친밀한 사이에서도 나
이와 관계없이 무조건 이름으로 부르며 호칭의 개념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다. 물
론 -씨, -님이라는 표현은 있지만, 가족이나 친구 사이에서는 호칭의 개념을 적용하
지 않는다. 형제, 자매, 친척, 고모, 삼촌, 등등의 대상에게 대부분 이름으로 부른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동갑내기 친구’가 아니면 서로의 이름을 편하게 부를 수 있는
관계가 거의 없다. 한국어에서는 가족이나 친지 간의 호칭이 발달해 한국인들은 정
확한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예의에 맞다고 생각하며 어릴 때부터 잘 익혀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종종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
어를 학습할 때 많은 한국어의 호칭어를 접하고 문화 충격을 받기도 하는데 일단은
세세하게 관계를 구분하여 많은 기본 호칭 어휘를 외워야 한다는 사실과 친지 간
호칭에서도 나이가 다르면 어느 한쪽이 ‘언니·오빠·누나·형’이 되는 호칭을 붙여서 사
용하는 등의 호칭어 구조에 대해 복잡하게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뿐만 아니라 나이에 따른 호칭 구분은 손아랫사람은 손윗사람을 존중하고 따르
며, 손윗사람은 손아랫사람을 아끼고 보살핀다는 역할 분담이 호칭에 함의되어 있
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가족관계 호칭어에서 특이점은 결혼한
이후, 상대방의 가족 내에서, 또는 상대방의 가족에 대한 호칭도 발달하여 장인 어
른, 장모님, 어머님, 아버님, 시누이, 올케, 매형, 등등으로 부른다는 점이다. 한국어
학습자에게 가족(친척) 호칭을 제시할 때 다음과 같은 점이 중요하다.

1) 첫째, 대부분 가족(친척)관계에서 서열이 위이거나 연상인 사람을 가족 친족 호


칭으로 부른다. 가령, 형제자매간에 동생은 ‘언니, 누나, 오빠, 형’이라고 부르지만 동
생을 부를 때는 ‘이름+ 야(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호칭법이다.

2) 둘째, 가족(친척)관계에서의 호칭에서는 서열이 연령보다 우선순위가 된다. 손아


랫동서가 연상이라도 손윗동서에게는 항상 ‘형님’으로 깍듯하게 대하는 것이나 연상
의 조카에게 삼촌이 말을 놓는 것이 가능한 상황은 한국어의 특수한 호칭법의 예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2 직장이나 공공 공간에서의 호칭


직장 내에서의 아주 고전적인 호칭은 O대리, O과장, O부장 처럼 성과 직함을 붙
여서 부르는 것이다. 그런데 딱히 직함이 없는 평사원의 경우에는 OO님이나 언니,
오빠, 선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학문이나 연구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직장에서는
간혹 박사 학위자에게는 O박사님이라는 호칭을 쓰기도 하지만 석사 학위자에게는
석사님이라고 는 부르지 않는 호칭법의 관례도 있다. 그런데, 여성들 사이에서는 언
니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한국인들의 호칭 문화 중에서
독특한 요소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특정 전문 직종에서는 상대의 직종을 나타
내는 어휘 뒤에 ‘님’을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도 일반적이다. 한국인들은 유대감을
형성할 때 친밀감과 함께 호형호제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한국어 호칭의 특
징이다.
공공 공간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한국어 호칭은 남성에게 아버님, 여성에게는
어머님 등이 많은데 2017년에 김형배 국립국어원 연구관의 호칭어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직장 안에서 다른 직원이 ‘ㅇㅇ씨’라고 부르면 불쾌감을 느낀다는 응답
이 무려 49%나 됐다. 그리고 낯선 사람을 부를 때는 ‘저기요’라는 말을 쓴다는 응답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고 ‘아주머니나 아저씨’는 33.5%, ‘여기요’는 16.9%로 조
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 듯 직장에서나 공공 공간에서나 사람
을 부를 때 보편적인 호칭이 마땅치 않아 한국인들조차도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한편 연령별 호칭 유형을 보면 10대~20대보다 30~50대의 50% 가까이 동연배나
연장자인 남성을 부를 때 ‘선생님’이라고 부르고 있었으며 60대 중반 이상은 ‘선생
님’보다는 ‘아저씨’라는 호칭을 더 많이 사용하고, 직업에 관계 없이 ‘사장님’이라고
부른다는 응답도 18.5%나 차지하였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직함을 부르는 것이 권위
주의적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성+이름+님(씨)로 부르거나 직함을 통
일하여 부르는 곳도 있으며 점점 더 진화하여 최근에는 이름만 부르거나 이름 대신
닉네임을 만들어서 직접 부르는 문화를 가진 기업도 생겨나고 있다.

4.3 상업적 공간에서의 호칭


가게나 백화점 같은 영업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의 호칭은 규모나 업종에
따라 호칭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데 특정 호칭이 명확히는 정해져 있지 않아서 가
끔 혼란을 느낄 수도 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일정 규모가 있는 상업적 공
간에서의 고객에의 호칭은 주로 ‘고객님’, 작은 규모의 업장에서는 ‘손님’ 등으로 칭
하거나 상대의 나이를 대략적으로 가늠하여 ‘아줌마나 아저씨’, ‘삼촌이나 이모’ 등의
호칭을 쓰는 경우도 있으며 가끔 ‘어머니,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친근감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나이가 비슷하거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여성들을 향해 ‘언
니’라는 호칭을 쓰기도 한다. 재래시장이나 도매시장과 같은 적극적인 상행위를 하
고 있는 곳에 가면 흔히 들을 수 있는 호칭어는 ‘언니, 오빠, 아줌마, 아저씨, 어머
니......’ 등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남자 상인이 여자 고객을 부를 때도 ‘언니’라고 부
를 때가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불리는 대상이 30~40대의 기혼여성으로 보일지라도
상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언니’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엄연히 처음 만난 타인이고
가족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너무나 다정하고 친근하게 손님을 부르는 이러한 상인들
의 행위는 교과서에서 배운 호칭 사용의 관점에서 볼 때는 모순이다. 그러나 가족
(친척) 호칭을 일반호칭처럼 사용하여 상대를 부름으로써 상대와의 거리감을 좁히고
상대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려는 화자의 의도와 전략이 숨어있다고 볼 수 있다.

4.4 간접적 이름 호칭
상대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부르지 않거나 상대의 직함이나 그 사람의 사회적 위
치나 자격 등에 초점을 두고 호칭어를 사용하는 직함 호칭이나 가족 구성원 이름
호칭어 등도 있다.

4.4.1 직함 호칭
직함 호칭이란 직장인들이 상대를 부를 때 이름 대신 그 사람의 직함으로 부르는
것이다. 종종 이름과 직함이 함께 불리는 경우도 있는데 직위가 화자보다 높거나
존대해야 할 상황인 경우 직함에 ‘ 님’을 붙여 부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름
과 직함을 같이 붙여서 부르는 식이다. 예를 들면 ‘김영수 부장님’, ‘김 부장님’ 등으
로 부르는 것을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다.

4.4.2 가족 구성원 이름 호칭
가족(친척)간에도 직접 상대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가족 구성원 중의 자녀의 이름
을 따서 가족관계를 나타내는 ‘ㅇㅇ어머니’, ‘ㅇㅇ아버지‘ 등으로 칭하거나 시부모가
며느리의 이름 대신에 ‘아무개의 에미’로 칭하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

4.5 무정보 대상에의 호칭


상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낯선 사람에게 모르는 길을 묻는 것은 한국인이든
외국인이든 자주 만나게 되는 상황이다. 또한 식당이나 공공장소 등에서 화자와의
관계가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낯선 누군가에게 대화를 시도해야 하는 상
황도 흔히 있다. 그런데 이런 경우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호칭어가 없어 상대에게
‘저기요’로 말을 거는 한국인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럴 때 아무 호칭어나 사용하여
상대를 대하게 되면 상황에 따라서는 상대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가령, 미혼
의 젊은 여성을 기혼으로 착각하여 ‘아줌마’라고 불렀을 경우 상대를 불쾌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낯선 노인을 ‘어르신’이라고 불렀을 때는 상대를 공손하게 부른 표현
이므로 호의적인 반응을 얻기도 한다. 이렇게 무정보 상태의 상대를 부를 경우 가
장 흔히 쓰이는 호칭 표현은 ‘저기요, 여기요, 여보세요, 있잖아요, 잠깐만요’ 등이
있다.

4.6 대명사 호칭
한국어의 경우 2인칭 대명사가 발달하지 못한 언어이다. 그런데다가 현대 국어에
남아 있는 2인칭 대명사조차도 그 용법이 매우 까다로워 무의식중에 사용했다가 실
수를 범하는 한국어 학습자가 적지 않다. 초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참고가
될 만한 한국어의 2인칭 대명사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신-부부 사이에 쓰는 경우가 많음. 타인끼리 서로 감정이 안 좋을 때 사용하면


무례하게 들림. 신문이나 광고, 시, 노래 등에서 일반적인 2인칭을 가리킬 때 자주
쓰인다.
2) 자기-연인 사이에 서로를 가리킬 때 사용. 친근한 사이라도 연령이나 성별 등의
여러 변인으로 인하여 이름을 직접 부르기가 자연스럽지 않은 사이에 사용한다.
3) 너-반말을 사용해도 되는 관계의 연하의 상대에게 사용함. 연하라고 해도 낯선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어린이의 경우는 예외로 둔다.

한편, 초급 단계에서는 실질적으로 학습자들에게 한국에서는 2인칭 대명사를 거


의 쓰지 않는 것에 대해 가르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2인칭 대명사도
쓰지 못하는데 상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관계에서 호칭어를 써야 할 경우에는 ‘무
정보 대상에의 호칭’을 포괄적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사실을 교육할 필요가 있
다고 본다.

4.7 온라인 공간에서의 호칭


온라인 공간에서 널리 쓰는 호칭어로 ‘님’을 들 수 있는데 닉네임이나 아이디 뒤
에 이 ‘님’자를 붙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조금 친해진 사이에서는 ‘선
생님’을 줄여 ‘샘’이나 ‘쌤’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사실 가상공간에서는 서로의 신
상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누리꾼들은 나이, 지위 차이를 고려하
지 않고 평등하게 ‘님’을 쓰게 된 것이다.

5. 나가기
이상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 한국어의 호칭은 너무 다양하고 호칭의 역할과 의미
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해도 원래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어 호칭에 대해 이해하기 위
해서는 한국 사회의 근저에 깔려 있는 유교사상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한국 사
회에서는 나이나 위치에 따라 존댓말과 반말을 뚜렷하게 구분하고 그 상하 관계에
따라 호칭도 달라진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언어학적 측면에서 보면 사실 한국어에는 이름과 직업을 모르는 상대방을
지칭할 수 있는 말이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인들이 제3자를 지칭할 때 일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명사가 없는 관계로 한국인이 누군가를 지칭할 때에는 그 사람의
이름, 직업, 사회적 위치 등을 알고 있어야 호칭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호칭이 필요한 순간에 정보의 공백이 생기면 대신할 수 있는 표현
이 필요하게 되고, 영역과 상황에 맞게 임의로 가져와 사용하다 보니 다양한 호칭
표현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인들은 상대방
혹은 나를 지칭하기 위해 상대방에 관한 정보들을 최대한 탐색하고 그에 맞는 호칭
어를 골라 사용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이러한 한국인의 호칭에
대한 인식과 영역에 대한 배경을 이해한다면 좀 더 자연스럽게 한국어 호칭어를 사
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 문헌

이건범 외(2018), 「나는 이렇게 불리는 것이 불편합니다」, 한겨레출판사


이윤진(2006), “한국어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vol.17,no.1,pp.287-306
(20 pages)
이대한(2019.08.16.), “호칭 대신 서로 이름 불러 소통 쉬운 영어권 ‘나이’로 위아래
나눠 소통 어려운 한국어권”, 경향신문
중견연구자지원사업(2011), ’한일 친족 호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인척 관계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https://blog.naver.com/kinmasters/221999986914
https://blog.naver.com/iu_______/22158444850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