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21강 산과염기(2)

1. 염의 가수분해

1. 염

♤ 가수분해
⇒ 화학반응 중에 물분자가 작용하여 일어나는 분해반응
예) 염이 물과 반응하여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질이 되는 반응

⑴ 염의 정의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화합물로, 염기의 양이온과 산의 음이온으로 구성

NaOH염기  HCl산 ⇄ NaCl염  HO 물

⑵ 염의 분류

염의 분류와 염을 녹인 용액의 액성과 관련X

① 산성염 : 산의 수소이온이 일부 남은 염
NaHCO  , NaHSO  , NaHPO 

 
② 중성염(정염) : 산의 H 와 염기의 OH 가 모두 반응하여 생성된 염
NaCl , NaCO  , BaSO 


③ 염기성염 : 염기의 OH 가 남은 염
CaOHCl , MgOHCl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1 -
21강 산과염기(2)

2. 염의 가수분해

염이 수용액에서 이온화할 때 생기는 이온 중 일부가 물과 반응하여 수소 이온( H )나 수산화

이온( OH )을 생성함으로써 수용액의 액성이 산성이나 염기성으로 변하는 반응

※ 앙금이 아닌 염은 100% 이온화된다.

⑴ 강산과 강염기에 의해 생성된 염


염은 물에 녹아 이온화는 되지만, 가수분해는 되지 않는다.

염의 분류 = 염의 액성


① 산성염 : NaHSO  → Na  H   SO  


② 중성염 : NaCl → Na  Cl


③ 염기성염 : CaOHCl → Ca

 OH   Cl

⑵ 강산과 약염기에 의해 생성된 염 ⇒ 산성


염은 물에 녹아 이온화되고, 가수분해도 진행된다.
     
① 약한 염기로부터 나온 양이온( Mg , Cu , Al 등)이 물과 반응하여 H 를 제공
② NHCl 의 경우
 
• 이온화 : NHCl → NH  Cl
 
• 가수분해 : NH  HO → NH  HO

⑶ 약산과 강염기 의해 생성된 염 ⇒ 염기성


염은 물에 녹아 이온화되고, 가수분해도 진행된다
  
① 약한 산으로부터 나온 음이온( CHCOO , CO  등)이 물과 반응하여 OH-를 제공
② CHCOONa 의 경우

• 이온화 : CHCOONa → CHCOO  Na
• 가수분해

: CHCOO  HO → CHCOOH  OH 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2 -
21강 산과염기(2)

⑷ 약산과 약염기 의해 생성된 염

⇒ Ka 와 Kb에 의해 액성이 결정됨

염은 물에 녹아 이온화되고, 가수분해도 진행된다.


① 약한 산에서 나온 음이온과 약한 염기에서 나온 양이온이 모두 가수분해
② CHCOONH 의 경우
• 이온화
 
: CHCOONH → CHCOO  NH
• 가수분해

: CHCOO  HO → CHCOOH  OH 
• 가수분해

: NH  HO → NH  HO 

약산과 약염기에 의해 생성된 염의 액성 결정


Ka > Kb 산성
Ka = Kb 중성
Ka < Kb 염기성

3. 염의 수용액의 pH계산

⑴ 1단계
• 염이 이온화된다.

⑵ 2단계
• 이온화 후 생성된 약산의 음이온은 물을 가수분해하여 염기성 용액을 생성
• 이온화 후 생성된 약염기의 양이온은 물을 가수분해하여 산성 용액을 생성

⑶ 3단계
• 짝산과 짝염기 관계 사용
Ka × Kb  Kw

⑷ 4단계
• 가수분해 단계에서 농도 계산은 약산 or 약염기 계산단계를 사용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3 -
21강 산과염기(2)

2. 완충용액

1. 공통이온효과

⑴ 원리 : 르샤틀리에의 평형이동원리

⑵ 공통이온효과의 예

• 아세트산의 평형상태 : CHCOOH → CHCOO  H

• 아세트산나트륨을 첨가 : CHCOONa → CHCOO  Na
• 결과 : 역반응이 진행됨

2. 완충용액

⑴ 정의
: 외부에 산이나 염기가 들어오더라도 급격한 pH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용액
⑵ 제법
: 약산에 그 짝염기를 첨가 or 약염기에 그 짝산을 첨가

⑶ 완충용량
① 정의
 
: pH의 큰 변화 없이 완충 용액이 흡수할 수 있는 H 나 OH 의 양을 의미

② 농도 : 약산의 농도 + 짝염기의 농도

예) 물 1L에 0.05M CHCOOH 와 0.05M CHCOO 가 녹아있는 경우
⇒ ∴완충용액의 농도 = 0.1M

③ 완충용량의 크기
• 완충성분의 농도가 클 때

• [ A ]/[ HA ]의 비율이 크게 변하면 pH도 크게 변한다.

⇒ 최적의 완충용액 : [ HA ]=[ A ]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4 -
21강 산과염기(2)

H  0.01몰을 각 용액 1.0L에 첨가할 때 두 용액에 대한 [ A  ]/[ HA ]의 변화


 
[A ] [A ]
용액 초기 나중 변화 변화율
[ HA ] [ HA ]
1.00 0.99
A =1.00 =0.98 1.00 → 0.98 2.00%
1.00 1.01
1.00 0.99
B =1.00 =49.5 100 → 49.5 50.5%
0.01 0.02

☆ 원하는 pH의 완충용액을 만들려면 pH=pKa인 물질을 사용한다.

• 완충 용액을 희석하는 경우 완충 용액의 pH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완충용량이 감소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5 -
21강 산과염기(2)

3. 중화반응

1. 중화반응

⑴ 정의
산과 염기를 반응시키면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합해져서 염을 생성하고,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결합하여 물을 만드는 반응

NaOH염기  HCl산 ⇄ NaCl염  HO 물

⑵ 알짜 이온 반응식

HO aq  OH aq ⇄ HO l


Kn     ×
Kw

강산+강염기
강산+약염기
⇒ 중화반응은 100% 진행됨
약산+강염기
약산+약염기

♤ 주의
산•염기 중화 반응에는 약산 or 약염기이어도 이온화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6 -
21강 산과염기(2)

예제 1
0.1M HCl 수용액 40mL를 0.1M NaOH 수용액으로 중화적정할 때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지점에
서 수용액에서 pH를 계산해보자

⑴ NaOH 를 첨가 전

⑵ NaOH 를 10mL 넣었을 때

⑶ NaOH 를 40mL 넣었을 때

⑷ NaOH 를 60mL 넣었을 때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7 -
21강 산과염기(2)

예제 2

0.1M HA ( Ka   × ) 수용액 40mL를 0.1M NaOH 수용액으로 중화적정할 때 다음과 같
이 몇 가지 지점에서 수용액에서 pH를 계산해보자

⑴ NaOH 를 첨가 전

⑵ NaOH 를 10mL 넣었을 때

⑶ NaOH 를 40mL 넣었을 때

⑷ NaOH 를 60mL 넣었을 때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8 -
21강 산과염기(2)

2. 지시약

⑴ 정의
수용액의 에 따라 그 색깔이 변함으로써 중화 반응이 일어남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약한 산성 또는 약한 염기성을 띠는 유기 화합물

⑵ 조건
: 산성형 지시약의 색 ≠ 짝염기성형 지시약의 색

⑶ 원리

지시약의 산성형 : HIn , 지시약의 염기성형 : In
HInaq  HO l ⇄ HO aq  In aq
HO In 
Ka   HIn
 
예) HIn (붉은색), In (푸른색), Ka   

① pH =5인 경우

② pH =9인 경우

③ pH =7인 경우

♤ 사람의 눈으로는 10배정도의 색변화를 인지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9 -
21강 산과염기(2)

① pH=6인 경우
∴ pH = pKa - 1

② pH=8인 경우
∴ pH = pKa + 1

③ 지시약의 변색범위
∴ pH = pKa ± 1

3. 중화점 확인

⑴ 지시약의 이용

① 강산 ← 강염기 ② 강산 ← 약염기

③ 약산 ← 강염기 ④ 약산 ← 약염기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10 -
21강 산과염기(2)

⑵ 중화열의 이용
H aq  OH aq ⇄ HO l, ΔH  kJ

⑶ 전기전도도의 이용
HSO  aq  BaOH aq ⇄ HO l  BaSO  s

NaOHaq  HClaq ⇄ NaClaq  HO l

♤ 전류의 세기가 감소하는 이유


• 이온의 농도가 작아지기 때문
• 이온의 전기전도도비
H+:OH-:기타이온 = 4 : 2 : 1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11 -
21강 산과염기(2)

① 강산 ← 강염기 ② 강산 ← 약염기

③ 약산 ← 강염기 ④ 약산 ← 약염기

화학올림피아드 대비 LEVEL1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