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IT CookBook, 기초 회로이론(개정판)

학습목표

Ø 푸리에변환(FT)과 라플라스변환(LT)의 정의 및 상호관계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의 성질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의 역변환 방법 중 부분분수확장 기법 이해

Ø 라플라스 변환 회로를 이용한 완전응답 계산 방법 이해

2/50

1
목차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3 라플라스 역변환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3/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크기함수와 위상각함수
•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를 그 특성을 살피기 위해
크기함수 |F (jω)|와 위상각함수 ∠F (jω)인 특성함수로 나눈다.

q 주파수응답(Frequency Response)
• 크기함수 |F (jω)|와 위상각함수 ∠F ( jω)를 합쳐서 주파수응답이라고 한다.

q 푸리에 변환(FT)
• 시간함수 f (t )를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로 변환하여 주파수응답 계산을 할
수 있게 하는 변환
• 임의의 함수를 시간 영역(t )에서 주파수 영역(ω = 2πf )으로 매핑하는 변환

4/50

2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주파수응답의 예
• 정현파 함수 f (t ) = Fmcos(ωt + θ ) = 실수항[Fme j (ωt + θ )]의 주파수응답

• 정현파 함수 f (t )의 파형

5/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함수의 예
• 시간함수 g (t )가 g (t ) = Fmeσtcos(ωt + θ )라면

• 즉, 주파수영역이 아닌 s-영역(복소수영역)으로의 변환 (라플라스변환)

6/50

3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 시간함수 g (t )의 파형

7/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
• g (t )는 단순주파수 영역이 아닌 새로운 s = σ + jω 영역으로 변환,
즉, 단순 G 함수로 변환이 가능

• 시간영역에서 s 영역으로 변환되는 것

• 따라서 복잡한 형태의 함수도 s 영역에서 단순 함수 G (s )로 변환이 가능

8/50

4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q 라플라스 변환 가능한 다양한 함수

9/50

Section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한 회로해석은 DC 입력, AC 입력, 임의의 지수함수


입력 모두를 일반화하여 해석 가능

q [참고 13-1] 푸리에 변환과 라플라스 변환의 관계


• 푸리에 변환(FT) : 시간함수 f (t )를 주파수 영역 함수 F (jω)로 변환
• 라플라스 변환(LT) : 시간 함수 f (t )를 복소수 s 영역 함수 F (s )로 변환

s는 s = σ + jω이므로 σ =0이면 s = jω 즉, F (s ) = F (jω) 이 된다.

• 푸리에 변환은 σ = 0일 때 라플라스 변환의 특별한 경우라 할 수 있다.

10/50

5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2방향 라플라스 변환

q 1방향 라플라스 변환

• 회로해석에서는 초기시간 t = 0 이전의 함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1방향 라플라스 변환을 사용. 따라서 t = 0의 초기값이 중요

11/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1 기본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q 계단함수 Ku (t )

• 위 정의에 의하여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2/50

6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임펄스함수 Kδ(t )

•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에 의하여 F (s )는 다음과 같다.

13/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2 함수적 변환에 유용한 라플라스 변환


q f (t ) = e-atu (t )

• f (t )함수를 u (t )에 지수함수 e-at 를 곱한 것으로 생각하면


F (s )는 기본함수의 F (s ) 중 s 대신에 s + a를 대입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14/50

7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f (t ) = sinωt

q f (t ) = cosωt

15/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라플라스 변환 함수 표

16/50

8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13.2.3 연산 변환
q 선형연산
• 라플라스 변환은 선형변환이므로 다음과 같은 선형성을 보장받는다.

• £[ f1(t )] = F1(s ), £[ f2(t )] = F2(s )일 때


£[K1 f1(t ) + K2 f2(t )] = K1F1(s ) + K2F2(s )가 된다.

• 시간함수의 합으로 이루어진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각각의 시간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한 함수의 단순합으로 계산 가능
(즉, 중첩의 원리가 적용)

17/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예제 13-1
q 라플라스 변환의 중첩의 원리
[그림 13-6]과 같은 시간함수 f (t )가 주어졌을 때 이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함수 F (s )를 중첩의 원리에 의하여 구하라.

f (t ) = 5tu (t ) - 5(t - 2)u (t - 2) - 5(t - 6)u (t - 6) + 5(t - 8)u (t - 8)


= 5[ f1 (t ) - f 2 (t ) - f 3 (t ) + f 4 (t )]

Þ F ( s ) = 5[F1 ( s ) - F2 ( s ) - F3 ( s ) + F4 ( s )]
18/50

9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미분
• 임의의 함수 f (t )의 미분함수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공식: ò u ¢vdx = uv - ò uv¢dx

• 2차 미분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려고 새로운 함수 g (t )를


식 (13.10)으로 정의하면 식 (13.9)에 의해서 식 (13.11)이 된다.

19/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 식 (13.10)의 양변을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 위 식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식 (13.12)가 된다.

•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차 미분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다.

20/50

1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적분

공식: ò u ¢vdx = uv - ò uv¢dx

• 단, 부분적분 이다.

21/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시간 영역에서 변이
• 시간 영역에서 a 만큼 오른쪽으로 움직인 함수는
s 영역에서 지수함수 e-as를 곱한 것과 같다.

예제 13-2
이 주어졌을 때, 의 값을 구하라.

1
L((t - a )u (t - a )) = e - as F ( s ) = e - as
s2

22/50

11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s 영역에서 변이
• 시간함수에 지수함수 e-at를 곱한 것은
s 영역에서 F (s )가 왼쪽으로 a만큼 이동한 것과 같다.

q [참고 13-2] 시간 영역 혹은 s 영역에서 변이

23/50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예제 13-3
q 시간 영역에서 변이
[그림13-6]에서 얻은 f (t ) = 5[tu (t ) - (t - 2)u (t - 2) - (t - 6)u (t - 6) +
(t - 8)u (t - 8)]의 라플라스변환을 구하라.
f (t ) = 5tu (t ) - 5(t - 2)u (t - 2) - 5(t - 6)u (t - 6) + 5(t - 8)u (t - 8)
= 5[ f1 (t ) - f 2 (t ) - f 3 (t ) + f 4 (t )]

[
Þ F ( s ) = 5 F1 ( s ) - e -2 s F1 ( s ) - e -6 s F1 ( s ) + e -8 s F1 ( s ) ]
é 1 e -2 s e -6 s e -8 s ù
\ F ( s ) = 5ê 2 - 2 - 2 + 2 ú
ës s s s û

24/50

12
Section 13.2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

q 크기변환

예제 13-4

로 주어졌을 때, 값을 구하라.

1 s 1 æ s /w ö s
L(cos wt ) = F ( ) = çç 2
÷÷ = 2
w w w è (s / w ) + 1 ø s + w 2

25/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라플라스 변환 회로에서 최종응답


• s 영역 함수를 역변환하여 시간함수로 만들어야 완전응답을 구할 수 있다.

• DC 입력전원에 의한 v (t )를 구해보자.

• 인덕터의 초기전류 iL(0+) = 0, 커패시터의 초기전압 vc(0+) = 0일 때,


KCL에 의한 v (t )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26/50

13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 여기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 위와 같은 수식 계산도 있지만, 주어진 회로를 직접 라플라스 변환 회로로


변환한 후에 단순회로해석으로 얻을 수도 있다.

• 즉 DC 전원은 IDC/s, R은 그냥 R, L은 sL, C는 1/sC 로 대체하여 얻을 수 있다.

27/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 V(s )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즉, 최종응답 v (t )를 얻으려면 V(s ) 함수를 라플라스 역변환하여야 한다.

13.3.1 라플라스 역변환의 정의

28/50

14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3.3.2 부분분수확장 기법

• F (s )를 작은 단위의 부분 분수꼴로 나누어서 기본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공식에 따라 역변환을 취하는 방법
• F (s )의 분모함수를 0으로 만드는 근(pole)이 어떠한 형태를 갖느냐에 따라
계산을 달리한다.

29/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 실수 및 단독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모두 실근이고 단독근일 경우,
복소수의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예제 13-5

q 실수 및 단독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부분분수확장 기법을 이용해


구하시오.

96( s + 5)( s + 12) K1 K 2 K


F (s) = = + + 3
s ( s + 8)( s + 6) s s +8 s +6

30/50

15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96( s + 5)( s + 12) K1 K 2 K


F (s) = = + + 3
s ( s + 8)( s + 6) s s +8 s +6

96( s + 5)( s + 12) 96 ´ 5 ´ 12


K1 = sF ( s ) s =0 = = = 120
( s + 8)( s + 6) s =0 8´ 6
96( s + 5)( s + 12) 96 ´ (-3) ´ 4
K 2 = ( s + 8) F ( s ) s = -8 = = = -72
s ( s + 6) s = -8
- 8 ´ (-2)
96( s + 5)( s + 12) 96 ´ (-1) ´ 6
K 3 = ( s + 6) F ( s ) s = -6 = = = 48
s ( s + 8) s = -6
- 6´ 2

K1 K 2 K 120 72 48
Þ F (s) = + + 3 = - +
s s +8 s +6 s s +8 s +6

[ ]
\ f (t ) = 120u (t ) - 72e -8t u (t ) + 48e -6t u (t ) = 120 - 72e -8t + 48e -6t u (t )

31/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2) 복소근 및 단독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근이고 단독근일 경우,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을 구할 수 있다.
(단, 복소근의 경우에는 반드시 서로 복소켤레인 또 다른 근이 존재)

예제 13-6 x 2 + 2bx + c = 0 Þ x = -b ± b 2 - 4ac


= -3 ± - 16
q 복소근 및 단독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시오. (부분분수확장)

100( s + 3) K K2 K 2*
F (s) = 2
= 1 + +
( s + 6)( s + 6 s + 25) s + 6 s + 3 - j 4 s + 3 + j 4
32/50

16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00( s + 3) K1 K2 K 2*
F (s) = = + +
( s + 6)( s 2 + 6 s + 25) s + 6 s + 3 - j 4 s + 3 + j 4

100( s + 3) - 300
K1 = ( s + 6) F ( s ) s = -6 = = = -12
( s 2 + 6 s + 25) s = -6 25
100( j 4) 50
K 2 = ( s + 3 - j 4) F ( s ) s = -3+ j 4 = = = 10Ð - 53.13o
(3 + j 4)( j8) s = -3+ j 4 3 + j 4
100(- j 4) 50
K 2* = ( s + 3 + j 4) F ( s ) s = -3- j 4 = = = 10Ð53.13o
(3 - j 4)(- j8) s = -3+ j 4 3 - j 4

- 12 10Ð - 53.13o 10Ð53.13o


Þ F (s) = + +
s+6 s + 3 - j4 s + 3 + j4

[ ]
\ f (t ) = - 12e -6t + 10e - j 53.13e - (3- j 4 )t + 10e j 53.13e - (3+ j 4 )t u (t )
= [- 12e -6t
+ 20e - 3t o
]
cos(4t - 53.13 ) u (t )

33/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3) 실수 및 중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실근이면서 중근일 경우,
복소수의 잉여정리에 의하여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예제 13-7

q 실수 및 중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라.

34/50

17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180( s + 30) K K K 3, 2 K
F (s) = 2
= 1+ 2 + 2
+ 3,1
s ( s + 5)( s + 3) s s + 5 ( s + 3) s+3

180( s + 30) 180 ´ 30


K1 = sF ( s ) s =0 = = = 120
( s + 5)( s + 3) 2 s =0
5´ 9
180( s + 30) 180 ´ 25
K 2 = ( s + 5) F ( s ) s = -5 = 2
= = -225
s ( s + 3) s = -5 - 5´ 4
180( s + 30) 180 ´ 27
K 3, 2 = ( s + 3) 2 F ( s ) = = = -810
s = -3 s ( s + 5) s = -3 - 3´ 2
d s ( s + 5) - ( s + 30)(2 s + 5) - 6 + 27
K 3,1 =
ds
[
( s + 3) 2 F ( s ) ] = 180 2
s ( s + 5) 2
= 180
9´ 4
= 105
s = -3 s = -3

120 225 810 105


Þ F (s) = - - 2
+
s s + 5 ( s + 3) s+3

[
\ f (t ) = 120 - 225e -5t - 810te -3t + 105e -3t u (t ) ]
35/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4) 복소근 및 중근
• 분모를 0으로 하는 특성방정식의 근이 복소근이면서 중근일 경우,
Ki 상수 값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복소근의 경우, 반드시 서로 복소켤레인 또 다른 근이 존재)

36/50

18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예제 13-8
q 복소근 및 중근의 경우

의 라플라스 역변환을 구하라.

768 768
F (s) = 2 2
=
( s + 6 s + 25) ( s + 3 - j 4) 2 ( s + 3 + j 4) 2
K1, 2 K1,1 K1*, 2 K1*,1
= + + +
( s + 3 - j 4) 2 s + 3 - j4 ( s + 3 + j 4) 2 s + 3 + j4

768
K1, 2 = ( s + 3 - j 4) 2 F ( s ) = = -12
s = -3+ j 4 ( j8) 2 s = -3+ j 4

768
( )
K 2,1 = K 1*, 2 = ( s + 3 + j 4) 2 F ( s )
s = -3- j 4
=
(- j8) 2
= -12
s = -3- j 4

37/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d d é 768 ù
K1,1 =
ds
[
( s + 3 - j 4) 2 F ( s ) ] = ê 2ú
ds ë ( s + 3 + j 4) û s = -3+ j 4
s = -3+ j 4

- 768 ´ 2( s + 3 + j 4) j16
= 4
= -768 4
= - j 3 = 3Ð - 90o
( s + 3 + j 4) s = -3+ j 4
( j8)

d
(
K 2,1 = K1*,1 = ) ds
[
( s + 3 + j 4) 2 F ( s ) ] = j 3 = 3Ð90o
s = -3- j 4

*
K1, 2 K 1, 2 K1,1 K1*,1
F (s) = + + +
( s + 3 - j 4) 2 ( s + 3 + j 4) 2 s + 3 - j4 s + 3 + j4
o
é - 12 - 12 ù é 3Ð - 90 3Ð90o ù
=ê 2
+ 2ú
+ ê + ú
ë ( s + 3 - j 4) ( s + 3 + j 4) û ë s + 3 - j 4 s + 3 + j 4 û

[
\ f (t ) = - 12te - (3- j 4 )t - 12te - (3+ j 4 )t + 3e - j 90 e - (3- j 4 )t + 3e j 90 e - (3+ j 4 )t u (t ) ]
= [- 12te (e + e ) + 3e (e
-3t j 4t
+e- j 4t -3t j ( 4 t -90 ) - j ( 4 t -90 )
)]u(t )
= [- 24te cos 4t + 6e cos(4t - 90 )]u (t )
-3t -3t o

38/50

19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참고 13-4] 복소켤레 중근의 라플라스 역변환

• 일 때 라플라스 역변환은 다음과 같다.

39/50

Section 13.3 라플라스 역변환

q 라플라스 역변환 표

40/50

2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13.4.1 라플라스 변환 회로
• 회로 내의 R, L, C 소자는 모두 라플라스 변환된 임피던스 값으로 바꾸고,
전원 역시 시간함수를 라플라스 변환 함수 값으로 변환해야 한다.

q 저항
• 저항 R은 전류, 전압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여기서 양변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식 (13.24)와 같이 된다.

• 라플라스 변환 회로에 있어서 임피던스 값 ZR (s ) = R은 변하지 않는다.

41/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인덕터
• 전압, 전류의 관계식이 v = L (di /dt )일 때, 양변에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diL
vL = L Þ VL ( s ) = L(sI L ( s ) - iL (0) )
dt
VL ( s ) = sLI L ( s ) - LiL (0)
• 전압, 전류의 관계식으로 iL(t ) = iL(0+) + (1/L)∫t0 vL(τ)dτ을 생각했을 때는

diL 1 t
vL = L Þ iL (t ) = ò vL dt + iL (0)
dt L 0

VL ( s ) iL (0)
I L (s) = +
sL s

42/50

21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VL ( s ) iL (0)
VL ( s ) = sLI L ( s ) - LiL (0) I L (s) = +
sL s

• 임피던스 값 ZL (s ) = sL을 가지고 직렬연결된 LiL (0+)의 전압전원 혹은


병렬연결된 iL (0+)/s 값의 전류전원을 첨가하는 것으로 표시

43/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커패시터
• 커패시터는 전압, 전류의 관계식으로 다음 두 식을 생각할 수 있다.

dvC 1 t
iC = C Þ vC (t ) = ò iC dt + vC (0)
dt C 0

• 위 두 식에 각각 라플라스 변환을 취하면,

I C ( s ) vC (0)
VC ( s ) = +
sC s
I C ( s ) = sCVC ( s ) - CvC (0)

44/50

22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I C ( s ) vC (0) I C ( s ) = sCVC ( s ) - CvC (0)


VC ( s ) = +
sC s

• 임피던스 값 Zc(s) = 1/sC을 직렬연결된 vc(0+)/s 값의 전압전원 혹은


병렬연결된 Cvc(0+) 값의 전류전원을 첨가하는 것으로 표시

45/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q V (s)와 I (s)의 범위
• 라플라스 변환된 변수는 단순히 소자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부가된 전압전원 혹은 전류전원을 함께 포함한 것이라는 것에 유의

46/50

23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예제 13-9
q 라플라스 변환 회로
[그림 13-12] 표준 RLC 직렬회로에서 전류 i (t )를 구할 수 있는
라플라스 변환 식 I (s)를 구하라.
1 t di
vs (t ) = ò idt + vC (0) + L + Ri
C 0 dt
I ( s ) vC (0)
Vs ( s ) = + + sLI ( s ) - Li (0) + RI ( s )
sC s
vC (0)
- Li (0)
Vs ( s )
I (s) = - s
æ 1 ö æ 1 ö
ç + Ls + R ÷ ç + Ls + R ÷
è Cs ø è Cs ø
정상상태응답 과도응답
47/50

Section 13.4 라플라스 변환에 의한 회로해석

vC (0)
- Li (0)
Vs ( s ) s
I (s) = -
æ 1 ö æ 1 ö
ç + Ls + R ÷ ç + Ls + R ÷
è Cs ø è Cs ø
48/50

24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q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 라플라스 변환 회로를 그려서 분석하여 완전응답을 얻는 방법

q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의 순서
① t < 0일 때의 회로에서 t = 0일 때의 vc(0+), iL(0+)를 계산한다.
② t > 0일 때의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된 회로를 만든다.
③ 마치 저항회로와 같이 회로를 분석하여 출력응답 Y(s)를 구한다.
④ £-1을 구하여 y(t )를 구한다.

49/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0
q 표준 RLC 회로의 해석
[그림 13-14] 표준 RLC 병렬회로에서 인덕터에 흐르는 iL(t )의 완전응답을
찾아라. 모든 초깃값은 0으로 가정하고 R = 625Ω, L = 25mH, C = 25 nF, is
= Imcosωt 이다. (단, Im = 24mA, ω = 40000)

is (t ) = I m cos wt
sI m
Þ I (s) =
s +w2
2

50/50

25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sI m 1
Vs ( s ) = 22
´
s +w 1 1
+ + sC
R sL
sI 1
= 2 m 2´
s +w Cæ 2 1 1 ö
çs + s+ ÷
Im sè RC LC ø
s 384 ´105 s
V (s) LC
\ I L (s) = = = 2
1 ö (s + 16 ´10 )(s + 64000s + 16 ´10 )
8 2 8
sL æ 1
(
s2 + w 2 ç s2 +
RC
s+ ) ÷
LC ø
è
*
K1 K1 K2 K 2*
= + + +
s - j 40000 s + j 40000 s + 32000 - j 24000 s + 32000 + j 24000
부분분수확장 Þ K1 = 7.5Ð - 90o , K 2 = 12.5Ð90o

( ) ( )
f (t ) = [7.5 e j ( 4000t -90 ) + e - j ( 4000t -90 ) + 12.5e -32000t e j ( 24000t +90 ) + e - j ( 24000t +90 ) ]u (t )

= [15 cos(4000t - 90) + 25e -32000t cos(24000t + 90)]u (t )


= [15 sin 4000t - 25e -32000t sin 24000t ]u (t )
51/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1
q 복잡한 형태의 RL 회로해석
[그림 13-16]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으로 i2(t )의 완전응답을
구하라.

t<0 t>0

52/50

26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 t>0일 때 등가회로는 다음과 같다. 이때 인덕터 전류 iL(0)는 DC 성분이며,


정상상태에서는 인덕터를 단락회로로 볼 수 있다.

3 // 6 2
V = 36 ´ = 36 ´ = 24[V]
1 + 3 // 6 1+ 2

V V
iL (0) = = 8[A] , i2 (0) = = 4[A]
3 6

• t>0일 때 초기값을 이용해 회로를 라플라스 변환하고 KVL을 적용

12
= 2 I1 + 3(I1 - I 2 )
s
- 16 = 3(I 2 - I1 ) + 2 sI 2 + 6 I 2

53/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12 3 12
= 2 I1 + 3(I1 - I 2 ) Þ I 2 + = I1
s 5 5s
9 36
- 16 = 3(I 2 - I1 ) + 2 sI 2 + 6 I 2 = 9 I 2 + 2 sI 2 - I 2 -
5 5s
- 80 s + 36 = 36 sI 2 + 10 s 2 I 2 = 10 s ( s + 3.6) I 2

- 8s + 3.6 K1 K2 1 9
I2 = = + = -
s ( s + 3.6) s s + 3.6 s s + 3.6

- 8s + 3.6 28.8 + 3.6


K2 = = = -9
s s = -3.6 - 3.6

\ i2 (t ) = u (t ) - 9e -3.6t u (t )
정상상태응답 과도응답
54/50

27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예제 13-12
q 결합 인덕터회로의 라플라스 변환 해석
[그림 13-20] 회로에서 라플라스 변환 해석으로 출력 i2(t )의 완전응답을
구하라. 단, 인덕터의 초깃값은 0이다.

55/50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1
I1 + 2 sI1 - sI 2 =
s
3sI 2 + I 2 - sI1 = 0

é(1 + 2 s ) - s ù é I1 ù é1 s ù
=
ê -s
ë (1 + 3s )úû êë I 2 úû êë 0 úû
(1 + 2 s ) 1 / s
-s 0 1 1 K1 K1
I2 = = 2
= 2 = +
(1 + 2 s ) -s 5s + 5s + 1 s + s + 0.2 s + 0.73 s + 0.27
-s (1 + 3s )
- 0.435 0.435
I2 = +
s + 0.73 s + 0.27
K1 = (s + 0.73)I 2 s = -0.73
= -0.435
K 2 = (s + 0.27 )I 2 s = -0.27
= 0.435 \ i (t ) = [-0.435e -0.73t + 0.435e -0.27 t ]u (t )
2

56/50

28
Section 13.5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법

q [참고 13-5] 초깃값이 있는 결합 인덕터 회로의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 초깃값이 있는 결합 인덕터의 경우는
sM 대신 sM - Mi2(0+)(혹은 Mi1(0+))을 대입하고,
sL1 대신 sL1 - L1i1(0+)을, sL2 대신 sL2 - L2i2(0+)을 대입하여 계산한다.
• [예제13-11]에서 초기값을 대입한 라플라스 변환 회로는 다음과 같다.

57/50

58/50

29
13장 라플라스 변환 회로해석

3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