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고2 4-3.

(3)쉽게 씌어진 시(詩)

갈래 자유시, 서정시
제재 시(詩)가 쉽게 써지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
성격 고백적, 반성적, 저항적
어조 고백적 어조
주제 암울한 현실 속에서의 고뇌와 자기 성찰, 성찰을 통한 현실의 극복 의지
①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대립과 화해의 과정으로 시상을 전개함.
② 어둠과 밝음을 상징하는 시어들의 대립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함.
특징
③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대상을 구체화함.
④ 현재 삶에 대한 자기 성찰의 내용을 보여 주고 있음.

구성과 내용
• 암담한 현실에 대한 인식 • 시대적 현실의 탄압으로 동무들을 잃음.
• 일제 강점기 상황 속에서 시가 쉽게 써지는 것에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대한 부끄러움
⇨ ‘육첩방(六疊房)’은 일본식 다다미 6장을 깔아 놓
은 작은 방을 의미하며, 시적 화자를 구속하고 억압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 부끄러운 일이다.’
1~4 하는 시대 상황을 뜻한다. 5~7
⇨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화자의 무력한 모습을 보여 주
연 • 현실에 대한 괴로움과 회의감 연
고 자신의 현재 모습에 대한 자기 성찰이 드러나 있다.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 현실적인 고민과 거리가 먼, 현실에 안주하는 태도를
지닌 지식인의 생활이 나타나 있다.

•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현실 극복 의지를 다짐.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時代)처럼
8~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10 ⇨ 구시대가 가고 새 시대가 오는 것처럼 필연적으로 도래
연 할 광복을 기다리며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시적
화자의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구성 및 • 내적 갈등의 해소

핵심요소
핵심 요소
• 화자의 태도 변화 • 두 자아의 갈등과 화해의 과정
・ 시적 화자가 처한 일제 강점기라는 부정적인 시대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1~4연
상황 속에서 괴로워하고 좌절함.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 ・ 나는 무얼 바라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
・ 시적 화자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자신의 무기력한 ↔ ・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
5~7연 밀어
삶을 반성하는 태도를 보임. 밀어
⇨ 무기력한 삶을 살고 있음.
↓ ⇨ 현실 극복 의지를 지님.
・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보다 적극적인 현실 극복 의 ↓
8~10연
지를 다짐. ・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
두 자아의 화해
수(握手).
• 시어의 대립적 의미 • 창작 당시 시대 상황
어둠의 이미지 1940년대 시대 상황
・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밤’ ・일제는 1931년 만주 사변을 일으켜 중국 대륙으로의 침략을 시작
・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어둠’ 하면서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고 인적 · 물적 자원을 약탈함.
↕ ・일제가 황국 신민화, 신사 참배 및 일본식 성명 강요 등 민족 문화
밝음의 이미지 말살 정책을 실시함.
・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등불’ ・극심해진 무단 통치와 민족 탄압으로 지식인들의 삶이 무기력해진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아침’ 시기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 -
4-3.(3)쉽게 씌어진 시(詩)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작품과 관련된 시대적·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정서·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상황
① 시대적 상황

• 1940년대 일제 강점기
• 일제가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고 인적 · 물적 자원을 약탈함.
• 일본의 황국 신민화, 신사 참배 및 일본식 성명 강요 등 민족 문화 말살 정책
• 극심해진 무단 통치와 민족 탄압으로 지식인들의 삶이 무기력해짐.
시대적 고통 속에서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
‣ 시인 윤동주는 암울한 일제 강점기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뇌와 자기 성찰을 다룬 작품을 창작함.

② 시적 상황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중략>


암울한 시대적 배경 일본이라는 공간적 배경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아 //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중략>
‣ 시적 화자는 일본에 유학을 와 부모님께서 고향에서 보내 주시는 학비로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있음.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중략>


‣ 시대적 현실의 탄압으로 동무들이 사라짐.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내적 갈등의 해소, 두 자아의 화해의 상황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2 -
4-3.(3)쉽게 씌어진 시(詩)

2. 화자의 태도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중략>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것에 대한 괴로움

나는 무얼 바라 /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


무기력한 자신에 대한 반성적 태도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 부끄러운 일이다. <중략>
자기반성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반성을 통한 성숙,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의지적 태도

Q1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시적 화자는 현재 밤 이라는 시간적 배경, 일본 이라는 공간적 배경 속에 있다.

Q2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 화자는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시가 쉽게 써지는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하며 자기반성 의 태도를 보이고 있


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3 -
4-3.(3)쉽게 씌어진 시(詩)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 · 의미 파악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1~4연 암담한 시대 상황, 자기 성찰의 시간(시간적 배경)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일본(공간적 배경)
구속과 억압의 시대 상황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부정적 현실에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존재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가족의 사랑과 고생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아
일본에서 유학 중인 화자의 처지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암담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삶

5~7연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 현실적 자아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무기력함, 좌절감(하강적 이미지)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자기반성

8~10연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 부정적 현실(일제 강점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희망, 극복 의지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긍정적 미래(광복) 내면적 자아
↱ 내면적 자아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현실적 자아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두 자아의 화해, 내적 갈등의 해소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4 -
4-3.(3)쉽게 씌어진 시(詩)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육첩방, 남의 나라,
▷ 일본에서 유학 중인 시적 화자의 처지
땀내와 사랑내, 학비 봉투 암울한 현실
무기력과 좌절감에 빠진 화자의 상황, 속에서의 고뇌와
시인, 침전, 부끄러운 일 ▷ → 자기 성찰,
자기반성
주제 자기 성찰을
밤, 어둠 ▷ 부정적 현실(일제 강점기) 통한 현실의
등불, 아침 ▷ 희망, 극복 의지, 긍정적 미래(광복) 극복 의지

악수 ▷ 두 자아의 화해, 내적 갈등의 해소

Q1 ‘나’는 상황에 따라 두 자아인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중 한 자아를 의미하며 두 자아는 대립과 화해
의 과정을 겪는다.

Q2 일제 강점기라는 부정적 현실을 나타내는 시어는 ‘ 밤 ’, ‘ 어둠 ’이다.

Q3 화자는 ‘등불’, ‘아침’을 통해 현실에 대한 희망적 인식 , 극복 의지 를 보이고 있다.

표현 방식 파악하기
1.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 부분을 찾아본다.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등)
2.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등)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을 체크한다. (시상 전개 방식, 어조,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감각적 표현
① 시각적 심상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중략>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밤, 어둠(어둠) ↔ 등불, 아침(밝음)’과 같이 시각적 심상을 통해 시어들의 대립 관계를 나타냄.

② 청각적 심상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사전적 의미 :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작은 목소리로 자질구레하게 자꾸 이야기한다.


‣ 밤비를 청각적 심상을 통해 표현함.

2. 수사법
① 반복과 변용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중략> → 1연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 8연
‣ 8연에서는 1연을 반복 및 변용하여 시적 화자의 현실 재인식을 보여 줌.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5 -
4-3.(3)쉽게 씌어진 시(詩)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
① 하강적 이미지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하강적 이미지
‣ 가라앉는다는 의미의 하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화자의 무기력함과 좌절감을 표현함.

② 두 자아의 갈등과 화해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화해
현실의 ‘나’ 이상의 ‘나’ ‘최초의 악수’

암울한 시대 상황 현실을 극복하려는 분열된 두 자아가 화해함.
속에서 무기력한 존재 의지를 지닌 존재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
‣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 두 자아의 대립과 화해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음.

Q1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에서는 ‘밤’에서 시각적 심상, ‘속살거려’에서 청각적 심상 이 나타난다.

Q2 8연에서는 1연을 반복 및 변용하여 시적 화자의 현실 재인식 을 보여 주고 있다.

Q3 ‘침전(沈澱)’은 화자의 무기력함 과 좌절감을 하강적 이미지를 통해 보여 주는 시어이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6 -
고2 4-3.(3)쉽게 씌어진 시(詩)

갈래 자유시, 서정시
제재 시(詩)가 쉽게 써지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
성격 고백적, 반성적, 저항적
어조 고백적 어조
주제 암울한 현실 속에서의 고뇌와 자기 성찰, 성찰을 통한 현실의 극복 의지
①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대립과 화해의 과정으로 시상을 전개함.
② 어둠과 밝음을 상징하는 시어들의 대립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함.
특징
③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대상을 구체화함.
④ 현재 삶에 대한 자기 성찰의 내용을 보여 주고 있음.

구성과 내용
• 암담한 현실에 대한 인식 • 시대적 현실의 탄압으로 동무들을 잃음.
• 일제 강점기 상황 속에서 시가 쉽게 써지는 것에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대한 부끄러움
⇨ ‘육첩방(六疊房)’은 일본식 다다미 6장을 깔아 놓
은 작은 방을 의미하며, 시적 화자를 구속하고 억압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 부끄러운 일이다.’
1~4 하는 시대 상황을 뜻한다. 5~7
⇨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화자의 무력한 모습을 보여 주
연 • 현실에 대한 괴로움과 회의감 연
고 자신의 현재 모습에 대한 자기 성찰이 드러나 있다.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 현실적인 고민과 거리가 먼, 현실에 안주하는 태도를
지닌 지식인의 생활이 나타나 있다.

•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현실 극복 의지를 다짐.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時代)처럼
8~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10 ⇨ 구시대가 가고 새 시대가 오는 것처럼 필연적으로 도래
연 할 광복을 기다리며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시적
화자의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구성 및 • 내적 갈등의 해소

핵심요소
핵심 요소
• 화자의 태도 변화 • 두 자아의 갈등과 화해의 과정
・ 시적 화자가 처한 일제 강점기라는 부정적인 시대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1~4연
상황 속에서 괴로워하고 좌절함.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 ・ 나는 무얼 바라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
・ 시적 화자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자신의 무기력한 ↔ ・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
5~7연 밀어
삶을 반성하는 태도를 보임. 밀어
⇨ 무기력한 삶을 살고 있음.
↓ ⇨ 현실 극복 의지를 지님.
・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보다 적극적인 현실 극복 의 ↓
8~10연
지를 다짐. ・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
두 자아의 화해
수(握手).
• 시어의 대립적 의미 • 창작 당시 시대 상황
어둠의 이미지 1940년대 시대 상황
・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밤’ ・일제는 1931년 만주 사변을 일으켜 중국 대륙으로의 침략을 시작
・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어둠’ 하면서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고 인적 · 물적 자원을 약탈함.
↕ ・일제가 황국 신민화, 신사 참배 및 일본식 성명 강요 등 민족 문화
밝음의 이미지 말살 정책을 실시함.
・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등불’ ・극심해진 무단 통치와 민족 탄압으로 지식인들의 삶이 무기력해진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아침’ 시기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7 -
4-3.(3)쉽게 씌어진 시(詩)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작품과 관련된 시대적·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정서·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상황
① 시대적 상황

• 1940년대 일제 강점기
• 일제가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고 인적 · 물적 자원을 약탈함.
• 일본의 황국 신민화, 신사 참배 및 일본식 성명 강요 등 민족 문화 말살 정책
• 극심해진 무단 통치와 민족 탄압으로 지식인들의 삶이 무기력해짐.
시대적 고통 속에서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
‣ 시인 윤동주는 암울한 일제 강점기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뇌와 자기 성찰을 다룬 작품을 창작함.

② 시적 상황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중략>


암울한 시대적 배경 일본이라는 공간적 배경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아 //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중략>
‣ 시적 화자는 일본에 유학을 와 부모님께서 고향에서 보내 주시는 학비로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있음.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중략>


‣ 시대적 현실의 탄압으로 동무들이 사라짐.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내적 갈등의 해소, 두 자아의 화해의 상황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8 -
4-3.(3)쉽게 씌어진 시(詩)

2. 화자의 태도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중략>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것에 대한 괴로움

나는 무얼 바라 /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


무기력한 자신에 대한 반성적 태도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 부끄러운 일이다. <중략>
자기반성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반성을 통한 성숙,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겠다는 의지적 태도

Q1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시적 화자는 현재 밤 이라는 시간적 배경, 일본 이라는 공간적 배경 속에 있다.

Q2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 화자는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시가 쉽게 써지는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하며 자기반성 의 태도를 보이고 있


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9 -
4-3.(3)쉽게 씌어진 시(詩)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 · 의미 파악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1~4연 암담한 시대 상황, 자기 성찰의 시간(시간적 배경)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일본(공간적 배경)
구속과 억압의 시대 상황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부정적 현실에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존재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가족의 사랑과 고생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아
일본에서 유학 중인 화자의 처지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암담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삶

5~7연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 현실적 자아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무기력함, 좌절감(하강적 이미지)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자기반성

8~10연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 부정적 현실(일제 강점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희망, 극복 의지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긍정적 미래(광복) 내면적 자아
↱ 내면적 자아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현실적 자아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두 자아의 화해, 내적 갈등의 해소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0 -
4-3.(3)쉽게 씌어진 시(詩)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육첩방, 남의 나라,
▷ 일본에서 유학 중인 시적 화자의 처지
땀내와 사랑내, 학비 봉투 암울한 현실
무기력과 좌절감에 빠진 화자의 상황, 속에서의 고뇌와
시인, 침전, 부끄러운 일 ▷ → 자기 성찰,
자기반성
주제 자기 성찰을
밤, 어둠 ▷ 부정적 현실(일제 강점기) 통한 현실의
등불, 아침 ▷ 희망, 극복 의지, 긍정적 미래(광복) 극복 의지

악수 ▷ 두 자아의 화해, 내적 갈등의 해소

Q1 ‘나’는 상황에 따라 두 자아인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중 한 자아를 의미하며 두 자아는 대립과 화해
의 과정을 겪는다.

Q2 일제 강점기라는 부정적 현실을 나타내는 시어는 ‘ 밤 ’, ‘ 어둠 ’이다.

Q3 화자는 ‘등불’, ‘아침’을 통해 현실에 대한 희망적 인식 , 극복 의지 를 보이고 있다.

표현 방식 파악하기
1.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 부분을 찾아본다.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등)
2.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등)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을 체크한다. (시상 전개 방식, 어조,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감각적 표현
① 시각적 심상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중략>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 ‘밤, 어둠(어둠) ↔ 등불, 아침(밝음)’과 같이 시각적 심상을 통해 시어들의 대립 관계를 나타냄.

② 청각적 심상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 사전적 의미 : 남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작은 목소리로 자질구레하게 자꾸 이야기한다.


‣ 밤비를 청각적 심상을 통해 표현함.

2. 수사법
① 반복과 변용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중략> → 1연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 8연
‣ 8연에서는 1연을 반복 및 변용하여 시적 화자의 현실 재인식을 보여 줌.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1 -
4-3.(3)쉽게 씌어진 시(詩)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
① 하강적 이미지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하강적 이미지
‣ 가라앉는다는 의미의 하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화자의 무기력함과 좌절감을 표현함.

② 두 자아의 갈등과 화해

현실적 자아 내면적 자아 화해
현실의 ‘나’ 이상의 ‘나’ ‘최초의 악수’

암울한 시대 상황 현실을 극복하려는 분열된 두 자아가 화해함.
속에서 무기력한 존재 의지를 지닌 존재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
‣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 두 자아의 대립과 화해를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음.

Q1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에서는 ‘밤’에서 시각적 심상, ‘속살거려’에서 청각적 심상 이 나타난다.

Q2 8연에서는 1연을 반복 및 변용하여 시적 화자의 현실 재인식 을 보여 주고 있다.

Q3 ‘침전(沈澱)’은 화자의 무기력함 과 좌절감을 하강적 이미지를 통해 보여 주는 시어이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9년 04월 05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