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시간적 배경 의인법 1.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암담하고 쓸쓸한 2. 성격 : 저항적, 반성적, 미래 지향적
이국에서의 밤
육첩방은 남의 나라, 3. 제재 : 현실 속의 자신의 삶
공간적 배경 어둠고 괴로운 현실 대유법 4. 주제 : 어두운 시대 현실에서 비롯된 고뇌와 자기 상칠
5.특징 : 두 자아의 대립과 화해를 통해 시상을 전개함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시인으로서의
상징적 시어의 대립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함
한 줄 시를 적어볼까, 소명의식과 슬픔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적 대상을 구체화함
암울한 시대의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무기력함
후각적 심상
땀내와 사랑 내 포근히 품긴 공통점 : 내면의 갈등이 해소되고 분열된 자아의 화해가 나타남
차이점 : 자화상 - 자아성찰의 매개체가 나옴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 쉽게 씌어진 시 - 자아성찰의 매개체가 없음
일제 강점기의 현실과 무관한
일상적인 삶의 모습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현실과 거리가 먼 낡은 지식 현실에 순응하는 삶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나,둘, 죄다 잃어 버리고
외롭고 무기력한
삶의 모습에 대한 성찰
현실적 자아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하는 것일까?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현실의 어려움과 괴리되는 삶을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사는것에 대한 부끄러움
성찰의 결과
무기력한 삶에대한 부끄러움

육첩방은 남의 나라 현실의 상황에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대한 재의식

화자의 태도 변화 드러남
희망, 저항의지 암울한 현실 (일제 강점기 )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시각적 이미지, 어둠과 밝음의 대조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반드시 도래하게 될 새로운 시대 현실 극복 자아를 가진 자아
(조국의 광복, 독립) 두 자아가 간에 화해를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통한 내적 갈등 해소
앞에 자아와 달리 미래에
내면 현실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소의 악수. 대한 믿음, 기대, 의지를 가지고 있음
내적 갈등 해소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화해, 화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