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작품 유리창 기쁨에게

슬픔이 1 – 정지용
– 정호승

2학년 ____반 ____번 이름_____________

제재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비판적, 의지적

(이기적인) 삶에 대한 반성과 (소외된 이웃)에


제재 슬픔,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한 이기적인 삶 주제
대한 사랑과 관심 촉구

• (슬픔)을 화자로 하여 (기쁨)의 행동을 질책하는 방식을 통해 주제를 표현함.


특징
• 슬픔과 기쁨이 지닌 일반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슬픔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여 시상을 전개함.

전체 구성

1~6행 이기적인 ‘너’에게 (슬픔)을 주고자 함.

7~13행 무관심한 ‘너’에게 (기다림)을 주고자 함.

14~19행 슬픔의 힘을 이야기하며 ‘너’와 함께 걸어가고자 함.

작품 해설
1. ‘슬픔’과 ‘기쁨’의 대립적 속성

슬픔 기쁨

• ‘나’, 화자 • ‘너’, 청자
• 이타적인 존재 • 이기적인 존재

• 소외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 • 사회적 약자에게 무관심하고 자신
는 따뜻한 마음을 지님. 의 이익만을 생각함.

2. 청자를 대하는 화자의 태도

• ‘너’에게 (슬픔)과 (기다림)에 대해 가르쳐 주고자 함.


→ (반성과 깨달음)을 촉구함.
• ‘너’와 함께 더불어 사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어 가고자 함.

3. 시상 전개 방식과 효과

화자(‘나’, 슬픔)가 청자 (‘너’, 기쁨)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을 취함.

소외된 이웃에 대한 청자의 (무관심)과 (이기심)을 비판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청자에게 (깨달음)을 주고 함께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냄.

- 1 -
4. 시어의 상징적 의미

할머니, 동사자 주변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소외된 이웃)

가마니 한 장 이웃에 대한 최소한의 (관심)

함박눈 약자에게는 (고통), 강자에게는 (기쁨)을 주는 존재

봄눈 가난하고 소외된 약자를 (감싸는) 존재

5. 표현상의 특징

슬픔과 기쁨이라는 (대립적인) 시어를 통해 화자가 바라는 세상의 모습과 바


시어의 대비
람직한 삶의 태도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함.

슬픔과 기쁨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인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슬픔이 기쁨에


대상의 의인화
게 (말을 건네는) 형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슬픔과 기쁨의 일상적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 의식을


(역설적) 표현
강화함.

‘-겠다’의 반복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는 표현으로, 반복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함.

- 2 -
작품 유리창 1 – 정지용

2학년 ____반 ____번 이름_____________

제재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애상적, 감각적, 회화적

제재 유리창 주제 자식을 잃은 ( 슬픔 )과 그리움

• 화자의 슬픔을 극도로 절제하여 ( 차분한 ) 어조로 표현함.


특징 • 주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화자의 ( 정서 )를 감각적으로 표현함.
• ( 역설적 )표현<모순 어법>을 사용하여 시의 함축성을 높임

전체 구성

1∼3행 유리창에 비친 죽은 아이의 모습


4~6행 유리창에 비친 창밖의 밤 풍경
7∼8행 홀로 유리를 닦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
9~10행 죽은 아이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

작품 해설
1. 시어의 의미
‘유리창’의 상징적 의미
- 유리창은 안과 밖을 (단절)시킴과 동시에 안에서 밖을 내다볼 수 있는 (통로)로서의 기능.
- (단절)(이승과 저승의 경계)과 이어짐(아이와의 만남)의 기능. 연상과 교감의 매개체이다.

차고 슬픈 것
외부세계 내부세계
→ 죽은 아이
언 날개
‘죽은 아이’(자식) 유 ‘나’(아버지)
→ 아이의 마지막 모습 입

물 먹은 별 김
어둠 창 밝음
→ 죽은 아이
산새
차가움, 저승 따뜻함, 이승
→ 잠시 머물다 떠난 아이

[유리창은 (단절)과 (연결)의 매개체]

2. 표현
■ 선명한 (감각)적 이미지 :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비통한 심정을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함.
■ 감정을 (절제)한 지성적 어조 : ‘차고 슬픈 것, 외로운 황홀한 심사’는 차가운 것과 슬픈 것, 외로운 것과
황홀한 것을 대립시키는 방법으로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하고 있다.
■ (역설)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상반되는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 3 -
외로움

↕ 외로운 황홀한 심사
감정의 (절제)
황홀함
(감정의 대위법)

3. 주제 :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과 (상실감)

4. 감상
이 시는 시인이 어린 자식을 잃고 아버지로서 느끼는 애절한 슬픔을 노래한 작품이다. 1~3행에서 화자는
유리창을 향해 입김을 불어 본다. 주변부터 지워지며 모양이 변하는 입김 자국은 마치 날개를 파닥이는 새를
연상시킨다. 4~6행에서는 입김이 사라지자 아이의 영상인 새도 날아가 버리고, 오직 컴컴한 어둠만이 보일
뿐이다. 일차적으로 이 ‘밤’은 아버지의 ‘허탈감과 상실감’을 상징한다. 7~8행에서는 화자가 홀로 밤에 유리를
닦는 심정을, ‘외로운 황홀한 심사’라는 역설적 표현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자식의 죽음과 다시 만날 수 없는
둘 사이의 거리를 생각하면서 느끼는 ‘외로운’ 감정과 그러면서도 입김이나 별과 같은 이미지를 통해 자식을
느낄 수 있다는 데서 오는 ‘황홀한’ 감정을 복합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창’은 둘 사이의 단절의
표상이면서 동시에 만남의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9~10행에서는 ‘폐혈관’을 통해 죽음의 원인을, ‘찢어진’을
통해 ‘아이의 고통스러워하던 모습’을 연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고 있었던 화자의 슬픔이 ‘아아’라는 깊숙
한 탄식을 통해 표출된다. 화자는 ‘늬(너)’라는 대명사로 아이를 직접 가리켜 절제했던 감정을 어느 정도 노출
하면서, 잠시 머물다가 훌쩍 떠나 버린 어린 자식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확인 문제

[1~5] 작품에 대한 설명이 맞으면 O , 틀리면 X를 선택하시오.


1 화자는 죽은 아이를 비유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 O , X )
2 ‘물 먹은 별이, 반짝’을 통해 화자의 눈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연상항 수 있다. ( O , X )
3 마지막 행의 영탄적 표현을 통해 화자는 슬픔의 감정을 분출하고 있다. ( O , X )
4 창 안의 세계는 아이의 부재의 공간이고, 창 밖의 세계는 아이의 존재(환영) 공간이다. ( O , X )
5 이 시에는 직유법이 사용되지 않았다. ( O , X )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