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고1 6-1.

(2)진달래꽃

갈래 자유시, 서정시
제재 임과의 이별
성격 민요적, 전통적, 애상적
어조 여성적 어조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의 승화

①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시상 전개


② 반어적 표현으로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를 보임
특징
③ 1연과 4연이 수미상관을 이룸
④ 민요조의 3 음보 율격과 ‘~우리다’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

구성과 내용
•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 이별의 상황이 올 경우 받아들이겠다는 마음을 노래 • ‘도솔가’에 나타난 산화공덕(散花功德) 의식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선 진달래꽃
1연 2연 ⇨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향토적이고 구체적인 이
⇨ 아별을 묵묵히 받아들이는 체념적 자세를 보이지만 화
(기) (승) 미지로 표현
자의 내면에는 엄청난 고통이 있음을 강조한 반어적 표현 ‘아름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시각화하여 산화공덕(散
花功德)의 모습을 보임

• 원망을 초극한 희생적 사랑 • 인고의 의지


• 죄책감을 자극한 이별의 만류 • 슬픔과 충격의 반어적 표현
‘사뿐이 즈려밝고 가시옵소서’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3연 4연 ・떠나는 임에 대한 배려의 태도 및 애이불비(哀而不悲)
⇨ 자기 희생을 통해 이별의 정한을 숭고한 사랑으로 승화 의 자세
(전) (결)
한 것이나 가지 말라는 만류의 우회적 표현으로 봄 ・반어적 표현
⇨ 1연과 수미상관으로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고 형태적
안정감을 획득
구성 및
핵심요소
핵심 요소
• 어조 : 여성적이고 간절한 어조 • 화자의 사랑과 헌신을 나타내는 시어
어조를 형성하는 부분 ・임에 대한 아름답고 강렬한 사랑
진달래꽃 ・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과 슬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 시적 화자의 분신, 사랑과 한의 표상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아 름 ⇨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시각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시상 전개 방식 • 핵심 표현 방식 : 반어적 표현
기 가정된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승 떠나는 임 에 대한 축복 슬픔, 반어적 표현 ・임을 떠나보내는 상황에서 화자의 내면에 큰 고통
정한, 효과 이 있음을 강조
전 원망을 초극한 자기희생적 사랑 안타까움
결 인고의 의지로 슬픔 극복

ECN-0199-2017-001-000057208
- 1 -
6-1.(2)진달래꽃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화자가 처한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정서·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화자가 처한 시적 상황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시적 화자 이별의 상황 가정
‣ 시적 화자가 임과의 이별의 상황을 가정

2. 화자의 태도

•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임의 뜻을 따르겠다는 순종과 체념의 자세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임의 앞길 축복
산화공덕(散花功德)의 자세: 부터님이 지나가는 길에 꽃을 뿌려 그의 길을 영화롭게 하는 불교 의식

•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자기희생적 태도, 숭고한 사랑을 드러냄.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

Q1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 이별의 상황에서 화자의 체념적 정서가 드러난다.

Q2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진달래꽃’은 화자 의 분신 으로 임의 앞길을 축복 하는 행위이다.

ECN-0199-2017-001-000057208
- 2 -
6-1.(2)진달래꽃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의미 파악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평안북도 영변 서쪽에 있는 산 (향 토적 정서)
2연 진달래꽃
시적 화자의 분 신, 사 랑과 한 의 표현
↱ 산화공덕(散花功德)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임에 대한 사 랑과 정 성의 시 각적 형상화

가시는 걸음걸음
‘임’이 주체
3연
놓인 그 꽃을
화자가 뿌린 진달래꽃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자 기희생의 태도, 숭고한 사랑의 표현

나 보기가 역겨워
4연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 슬프긴 하나 겉으로 슬픔을 나타내지 않음.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의 반 어적 표현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사랑
진달래꽃 ▷
임에 대한 헌신과 희생, 순종
떠나는 임에 대한 슬픔 → 승화된
주제 이별의 정한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아름 ▷
시각적 형상화

그꽃 ▷ 진달래꽃

Q1 화자의 분신이자 임에 대한 희생, 사랑을 나타내는 시어는 진달래꽃 이다.

Q2 아름 은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시어이고 그 꽃 은 ‘진달래꽃’이다.

Q3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는 구절을 통해 화자가 애이불비 의 자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3 -
6-1.(2)진달래꽃

표현방식 파악하기
1.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반어법, 역설법 등)
2. 기타 표현상의 특이사항을 체크한다. (시상전개방식, 어조,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수사법
① 반어법

•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 내면의 고통을 강조하는 반어적 표현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반어적 표현

② 역설법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 역설적 표현: 사뿐히 ⟷ 즈려 (지리밟다: 발 밑에 있는 것을 힘 주어 밟다.)
’임이 나를 버리고 떠나면 짓밟힌 꽃잎처럼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을 것이다.‘의 의미로 볼 수 있음.

2. 기타 표현상의 특이사항
① 여성적 어조

• 보내 드리우리다 ‣ 애절한 여성적 어조


• 뿌리우리다
‣ 부드러운 기원조의 어조
• 가시옵소서
‣ 순종적이고 축복을 기원하는 여조
• 흘리우리다

② 기승전결의 시상전개 방식

기 (1연)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체념적, 소극적 심리
승 (2연)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전 (3연) 원망을 초극한 희생적 사랑
의지적, 적극적 심리
결 (4연) 인고의 의지

‣ ‘기, 승’에서 화자가 이별의 상황에 대하여 체념하고 축복하는 소극적 정서를 보임
반면 ‘전, 결’에서는 임에 대한 희생적인 사랑과 인고의 의지를 보이며 화자의 적극적인 심리를 제시

③ 수미상관

나 보기가 역겨워
1연 가실 때에는 시적 의미 강조

말 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형태의 안정감
수미상관
나 보기가 역겨워 음악적 효과
4연 가실 때에는 여운과 감동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ECN-0199-2017-001-000057208
- 4 -
6-1.(2)진달래꽃

Q1 ‘사뿐히’와 ‘즈려’는 의미상 대조 되는 표현이 함께 쓰인 역설 적 표현하였다.

Q2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는 내면의 고통을 강조하는 반어적 표현 을 간절한 여성적 어조 로 표현한 것


이다.

Q3 1연과 4연의 반복, 변형을 통해 시적 의미 를 강조하고 형태적 안정감 을 갖는다.

ECN-0199-2017-001-000057208
- 5 -
고1 6-1.(2)진달래꽃

갈래 자유시, 서정시
제재 임과의 이별
성격 민요적, 전통적, 애상적
어조 여성적 어조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의 승화

①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시상 전개


② 반어적 표현으로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를 보임
특징
③ 1연과 4연이 수미상관을 이룸
④ 민요조의 3음보 율격과 ‘~우리다’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

구성과 내용
•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 이별의 상황이 올 경우 받아들이겠다는 마음을 노래 • ‘도솔가’에 나타난 산화공덕(散花功德) 의식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선 진달래꽃
1연 2연 ⇨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을 향토적이고 구체적인 이미
⇨ 아별을 묵묵히 받아들이는 체념적 자세를 보이지만 화
(기) (승) 지로 표현
자의 내면에는 엄청난 고통이 있음을 강조한 반어적 표현 ‘아름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시각화하여 산화공덕(散
花功德)의 모습을 보임

• 원망을 초극한 희생적 사랑 • 인고의 의지


• 죄책감을 자극한 이별의 만류 • 슬픔과 충격의 반어적 표현
‘사뿐이 즈려밝고 가시옵소서’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3연 4연 ・떠나는 임에 대한 배려의 태도 및 애이불비(哀而不悲)
⇨ 자기 희생을 통해 이별의 정한을 숭고한 사랑으로 승화 의 자세
(전) (결)
한 것이나 가지 말라는 만류의 우회적 표현으로 봄 ・반어적 표현
⇨ 1연과 수미상관으로 화자의 의지를 강조하고 형태적
안정감을 획득
구성 및
핵심요소
핵심 요소
• 어조 : 여성적이고 간절한 어조 • 화자의 사랑과 헌신을 나타내는 시어
어조를 형성하는 부분 ・임에 대한 아름답고 강렬한 사랑
진달래꽃 ・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과 슬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 시적 화자의 분신, 사랑과 한의 표상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아름 ⇨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시각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시상 전개 방식 • 핵심 표현 방식 : 반어적 표현
기 가정된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승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슬픔, 반어적 표현 ・임을 떠나보내는 상황에서 화자의 내면에 큰 고통
정한, 효과 이 있음을 강조
전 원망을 초극한 자기희생적 사랑 안타까움
결 인고의 의지로 슬픔 극복

ECN-0199-2017-001-000057208
- 6 -
6-1.(2)진달래꽃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화자가 처한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정서·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화자가 처한 시적 상황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시적 화자 이별의 상황 가정
‣ 시적 화자가 임과의 이별의 상황을 가정

2. 화자의 태도

•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임의 뜻을 따르겠다는 순종과 체념의 자세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임의 앞길 축복
산화공덕(散花功德)의 자세: 부터님이 지나가는 길에 꽃을 뿌려 그의 길을 영화롭게 하는 불교 의식

•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자기희생적 태도, 숭고한 사랑을 드러냄.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

Q1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 이별의 상황에서 화자의 체념적 정서가 드러난다.

Q2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진달래꽃’은 화자 의 분신 으로 임의 앞길을 축복 하는 행위이다.

ECN-0199-2017-001-000057208
- 7 -
6-1.(2)진달래꽃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의미 파악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평안북도 영변 서쪽에 있는 산 (향토적 정서)
2연 진달래꽃
시적 화자의 분신, 사랑과 한의 표현
↱ 산화공덕(散花功德)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시각적 형상화

가시는 걸음걸음
‘임’이 주체
3연
놓인 그 꽃을
화자가 뿌린 진달래꽃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자기희생의 태도, 숭고한 사랑의 표현

나 보기가 역겨워
4연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자세: 슬프긴 하나 겉으로 슬픔을 나타내지 않음.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의 반어적 표현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사랑
진달래꽃 ▷
임에 대한 헌신과 희생, 순종
떠나는 임에 대한 슬픔 → 승화된
주제 이별의 정한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의
아름 ▷
시각적 형상화

그꽃 ▷ 진달래꽃

Q1 화자의 분신이자 임에 대한 희생, 사랑을 나타내는 시어는 진달래꽃 이다.

Q2 아름 은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시어이고 그 꽃 은 ‘진달래꽃’이다.

Q3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는 구절을 통해 화자가 애이불비 의 자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8 -
6-1.(2)진달래꽃

표현방식 파악하기
1.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반어법, 역설법 등)
2. 기타 표현상의 특이사항을 체크한다. (시상전개방식, 어조,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수사법
① 반어법

•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 내면의 고통을 강조하는 반어적 표현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매우 슬퍼할 것이라는 의미를 담은 반어적 표현

② 역설법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 역설적 표현: 사뿐히 ⟷ 즈려 (지리밟다: 발 밑에 있는 것을 힘 주어 밟다.)
’임이 나를 버리고 떠나면 짓밟힌 꽃잎처럼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을 것이다.‘의 의미로 볼 수 있음.

2. 기타 표현상의 특이사항
① 여성적 어조

• 보내 드리우리다 ‣ 애절한 여성적 어조


• 뿌리우리다
‣ 부드러운 기원조의 어조
• 가시옵소서
‣ 순종적이고 축복을 기원하는 여조
• 흘리우리다

② 기승전결의 시상전개 방식

기 (1연) 이별의 상황에 대한 체념


체념적, 소극적 심리
승 (2연)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전 (3연) 원망을 초극한 희생적 사랑
의지적, 적극적 심리
결 (4연) 인고의 의지

‣ ‘기, 승’에서 화자가 이별의 상황에 대하여 체념하고 축복하는 소극적 정서를 보임
반면 ‘전, 결’에서는 임에 대한 희생적인 사랑과 인고의 의지를 보이며 화자의 적극적인 심리를 제시

③ 수미상관

나 보기가 역겨워
1연 가실 때에는 시적 의미 강조

말 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형태의 안정감
수미상관
나 보기가 역겨워 음악적 효과
4연 가실 때에는 여운과 감동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ECN-0199-2017-001-000057208
- 9 -
6-1.(2)진달래꽃

Q1 ‘사뿐히’와 ‘즈려’는 의미상 대조 되는 표현이 함께 쓰인 역설 적 표현하였다.

Q2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는 내면의 고통을 강조하는 반어적 표현 을 간절한 여성적 어조 로 표현한 것


이다.

Q3 1연과 4연의 반복, 변형을 통해 시적 의미 를 강조하고 형태적 안정감 을 갖는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8년 06월 26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