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고2 1-1.

모란이 피기까지는

갈래 자유시, 서정시, 순수시


제재 모란의 개화와 낙화
성격 낭만적, 유미적, 탐미적, 상징적
어조 여성적 어조
주제 모란의 개화에 대한 기다림과 낙화에 따른 상실감, 소망에 대한 바람

① 수미 상관의 구조를 활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주제를 강조함.


② 역설과 도치의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잘 표현함.
특징
③ 순환 구조를 통해 봄에 대한 기다림과 상실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④ 울림소리(‘ㄴ’, ‘ㄹ’, ‘ㅁ’, ‘ㅇ’)의 사용 및 여성적 어조를 통해 섬세함과 부드러움을 나타냄.

구성과 내용
• 모란이 피기를 기다림. • 모란을 잃은 슬픔과 상실감
• 봄을 기다리고 있는 화자 • 모란이 피었을 때의 보람을 잃음.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 모란이 화자에게 인생 자체임을 보여 줌.
1~ 3~
⇨ ‘~ㄹ 테요’와 같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표현을 사용하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2행 10행
여 소망을 의미하는 모란이 피는 계절인 봄을 기다리겠 ⇨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하여 깊
다는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은 절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 모란이 다시 피기를 기다림.


•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리겠다는 의지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11~
12행 • 소망을 향한 화자의 숙명적 기다림
• 봄은 모란이 피는 기쁨의 시기인 동시에 모란이
지는 슬픔의 시기임.
⇨ 역설과 도치의 방법 활용

구성 및
핵심요소 핵심 요소
• 시어의 의미 • 운율의 형성 요소

・화자가 추구하는 아름다움 시에서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


모란
・소망, 희망, 보람, 삶의 가치 등을 상징 ・’모란‘이라는 반복적 시어의 사용을 통한 일정한 리듬의 형성
・아름다움이자 소망의 대상인 모란이 피는 시기 ・수미 상관 구조를 통한 형태적 안정감과 운율의 형성
・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두 시행이 한 단락을 이루며 호흡의 속도를 조절하고 리듬감을
봄 형성
・모란이 피는 기쁨의 계절인 동시에 모란이 덧없이
질 것이라는 예감 때문에 슬픈 계절 ・‘기둘리고 있을 테요’, ‘서운케 무너졌느니’와 같이 음을 첨가하
거나 축약하여 음악성을 부여
보람 ・모란이 피었을 때 느끼는 기쁨
・울림소리(‘ㄴ’, ‘ㄹ’, ‘ㅁ’, ‘ㅇ’)의 사용을 통한 부드러운 느낌의
운율 형성

• 시상 전개 방식 • 핵심 표현 방식 : 역설적 표현
1~2행 모란(봄)에 대한 기다림 ・아름다운 모란이 피는 봄은 찬란한 계절임과 동시
순환적
3~10행 모란(봄)의 상실과 슬픔 에 그 찬란한 계절은 유한함.
구조 ‘찬란한
11~12행 모란(봄)에 대한 기다림 ⇨ 화자에게 아쉬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킴.
슬픔의 봄’
・황홀한 아름다움과 그것의 덧없음에 대한 슬픔을
나타냄.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1 -
1-1.모란이 피기까지는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작품과 관련된 시대적 ·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 · 정서 · 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상황
① 시대적 상황

• 1930년대 일제 강점기
• 일제의 사회 정치적 탄압 심화
• 언론 및 출판의 검열 강화
‣ 일제 강점기라는 현실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함.
• 일본식 성명을 강요하고 우리말과 글의 사용이 금지됨.
언어의 조탁에 의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순수 서정시가 창작되는 배경

② 시적 상황

모란이 피기까지는 →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 모란이 피고 지는 상황, 화자의 ‘기다림 → 상실 → 기다림’

2. 화자의 태도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을 잃은 설움의 직접적 표출
‣ 화자에게 모란이 인생 그 자체임을 보여 주며 모란에 대한 절대적 태도를 드러냄.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림에 대한 의지
‣ 포기하지 않고 모란이 다시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 강조

Q1 모란이 피기까지는 →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 화자는 기다림 과 상실 의 상황을 반복하고 있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2 -
1-1.모란이 피기까지는

Q2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화자는 모란 이 다시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 를 보여 주고 있다.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 · 의미 파악

모란이 피기까지는
화자의 소망, 희망
1~2행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소망의 대상인 모란이 피는 시기, 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모란이 떨어진 것에 대한 슬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3~10행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피었을 때의 기쁨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슬픔의 심적 깊이, 정감의 깊이
모란이 피기까지는
11~12행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림에 대한 의지 모란이 피는 기쁨 + 모란이 지는 슬픔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모란, 봄, 보람 ▷ 소망, 희망
→ 소망에 대한
뚝뚝, 설움, 삼백예순 날 ▷ 상실, 슬픔
주제 바람과 기다림
기쁨과 슬픔의 복합
찬란한 슬픔의 봄 ▷
기다림의 대상

Q1 화자의 소망과 희망을 나타내는 시어는 모란 , 봄 , 보람 이다.


Q2 모란이 피는 기쁨과 모란이 지는 슬픔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시구는 찬란한 슬픔의 봄 이다.
Q3 소망에 대한 바람과 기다림의 의지를 강조한 시구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3 -
1-1.모란이 피기까지는

표현 방식 파악하기
1.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 부분을 찾아본다.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등)
2.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등)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을 체크한다. (시상 전개 방식, 어조,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감각적 표현
① 음성 상징어 사용을 통한 감각적 표현

뚝뚝
‣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
상실에 따른 깊은 절망감을 나타냄.

2. 수사법
① 역설법

찬란한 슬픔의 봄
‣ 봄: 모란이 피는 계절(찬란함, 기쁨) + 모란이 지는 계절(슬픔, 상실감)
아름다움에의 황홀한 도취와 그것의 덧없음에 대한 슬픔이 복합되어 있는 상황을 드러냄.

② 과장법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해는 다 가고 말아


‣ 모란의 낙화를 인생 전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과장하여 표현함.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
① 여성적 어조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 여성적 어조와 경어체의 사용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 섬세한 정서를 표현
•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 부드러운 어감을 형성함.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② 순환 구조의 시상 전개 방식

1~2행 모란이 피기를 간절히 기다림.


3~10행 모란이 시들어 사라진 후의 슬픔과 상실감
11~12행 모란이 다시 피기를 간절히 기다림.
‣ 모란의 개화와 낙화에 따른 기다림 → 좌절 → 기다림의 순환 구조가 반복
순환 구조의 시상 전개 방식을 통해 화자의 소망에 대한 간절함이 부각

Q1 모란이 낙화 하는 모습을 ‘뚝뚝’이라는 음성 상징어 를 사용하여 감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Q2 화자는 모란이 지면 자신의 한 해는 다 간다고 표현하며 모란이 지는 것을 인생 전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과장 하여 표
현하고 있다.
Q3 ‘~ㄹ 테요’와 같은 여성적 어조와 경어체 를 활용하여 부드러운 어감과 섬세한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4 -
고2 1-1.(1)모란이 피기까지는

갈래 자유시, 서정시, 순수시


제재 모란의 개화와 낙화
성격 낭만적, 유미적, 탐미적, 상징적
어조 여성적 어조
주제 모란의 개화에 대한 기다림과 낙화에 따른 상실감, 소망에 대한 바람

① 수미 상관의 구조를 활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주제를 강조함.


② 역설과 도치의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잘 표현함.
특징
③ 순환 구조를 통해 봄에 대한 기다림과 상실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④ 울림소리(‘ㄴ’, ‘ㄹ’, ‘ㅁ’, ‘ㅇ’)의 사용 및 여성적 어조를 통해 섬세함과 부드러움을 나타냄.

구성과 내용
• 모란이 피기를 기다림. • 모란을 잃은 슬픔과 상실감
• 봄을 기다리고 있는 화자 • 모란이 피었을 때의 보람을 잃음.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 모란이 화자에게 인생 자체임을 보여 줌.
1~ 3~
⇨ ‘~ㄹ 테요’와 같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표현을 사용하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2행 10행
여 소망을 의미하는 모란이 피는 계절인 봄을 기다리겠 ⇨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하여 깊
다는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은 절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 모란이 다시 피기를 기다림.


•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리겠다는 의지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11~
12행 • 소망을 향한 화자의 숙명적 기다림
• 봄은 모란이 피는 기쁨의 시기인 동시에 모란이
지는 슬픔의 시기임.
⇨ 역설과 도치의 방법 활용

구성 및
핵심요소 핵심 요소
• 시어의 의미 • 운율의 형성 요소

・화자가 추구하는 아름다움 시에서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


모란
・소망, 희망, 보람, 삶의 가치 등을 상징 ・’모란‘이라는 반복적 시어의 사용을 통한 일정한 리듬의 형성
・아름다움이자 소망의 대상인 모란이 피는 시기 ・수미 상관 구조를 통한 형태적 안정감과 운율의 형성
・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두 시행이 한 단락을 이루며 호흡의 속도를 조절하고 리듬감을
봄 형성
・모란이 피는 기쁨의 계절인 동시에 모란이 덧없이
질 것이라는 예감 때문에 슬픈 계절 ・‘기둘리고 있을 테요’, ‘서운케 무너졌느니’와 같이 음을 첨가하
거나 축약하여 음악성을 부여
보람 ・모란이 피었을 때 느끼는 기쁨
・울림소리(‘ㄴ’, ‘ㄹ’, ‘ㅁ’, ‘ㅇ’)의 사용을 통한 부드러운 느낌의
운율 형성

• 시상 전개 방식 • 핵심 표현 방식 : 역설적 표현
1~2행 모란(봄)에 대한 기다림 ・아름다운 모란이 피는 봄은 찬란한 계절임과 동시
순환적
3~10행 모란(봄)의 상실과 슬픔 에 그 찬란한 계절은 유한함.
구조 ‘찬란한
11~12행 모란(봄)에 대한 기다림 ⇨ 화자에게 아쉬움의 정서를 불러일으킴.
슬픔의 봄’
・황홀한 아름다움과 그것의 덧없음에 대한 슬픔을
나타냄.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5 -
1-1.(1)모란이 피기까지는

영역 운문 문학(시)

• 핵심 이해 요소 : ‘상황’, ‘정서’, ‘의미’, ‘표현’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작품을 잘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 이해 전략
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서’를 이야기 하고 있는가?
- ‘상황’ :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þ분위기나 시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상황 파악)
이해 전략
- ‘정서’ : 시적 화자가 느끼는 정서, 상황을 대하는 태도 (þ시구와 어조를 통해 파악)
②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시어의 ‘의미’ :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 (þ시어 간의 관계와 문맥을 고려하여 파악)
③ 어떻게 ‘표현’했는가?
- ‘표현’ : 작가가 주제를 구체화한 방식 (þ감각적 표현, 수사법, 시상 전개 방식 등을 통해 파악)

상황 ・ 정서 ・ 태도 파악하기
1. 작품과 관련된 시대적 · 시적 상황을 파악한다.
2. 상황에 대응하는 화자의 태도 · 정서 · 감정을 파악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상황
① 시대적 상황

• 1930년대 일제 강점기
• 일제의 사회 정치적 탄압 심화
• 언론 및 출판의 검열 강화
‣ 일제 강점기라는 현실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함.
• 일본식 성명을 강요하고 우리말과 글의 사용이 금지됨.
언어의 조탁에 의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순수 서정시가 창작되는 배경

② 시적 상황

모란이 피기까지는 →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 모란이 피고 지는 상황, 화자의 ‘기다림 → 상실 → 기다림’

2. 화자의 태도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을 잃은 설움의 직접적 표출
‣ 화자에게 모란이 인생 그 자체임을 보여 주며 모란에 대한 절대적 태도를 드러냄.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림에 대한 의지
‣ 포기하지 않고 모란이 다시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 강조

Q1 모란이 피기까지는 →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 화자는 기다림 과 상실 의 상황을 반복하고 있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6 -
1-1.(1)모란이 피기까지는

Q2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화자는 모란 이 다시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 를 보여 주고 있다.

시어 의미 파악하기
1. 핵심 시어를 찾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2. 시어의 관계를 고려하여 주제를 유추한다.

작품 자세히 보기
1. 핵심 시어 찾기 · 의미 파악

모란이 피기까지는
화자의 소망, 희망
1~2행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소망의 대상인 모란이 피는 시기, 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모란이 떨어진 것에 대한 슬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3~10행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피었을 때의 기쁨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슬픔의 심적 깊이, 정감의 깊이
모란이 피기까지는
11~12행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림에 대한 의지 모란이 피는 기쁨 + 모란이 지는 슬픔

2. 시어로 주제 유추하기

모란, 봄, 보람 ▷ 소망, 희망
→ 소망에 대한
뚝뚝, 설움, 삼백예순 날 ▷ 상실, 슬픔
주제 바람과 기다림
기쁨과 슬픔의 복합
찬란한 슬픔의 봄 ▷
기다림의 대상

Q1 화자의 소망과 희망을 나타내는 시어는 모란 , 봄 , 보람 이다.


Q2 모란이 피는 기쁨과 모란이 지는 슬픔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시구는 찬란한 슬픔의 봄 이다.
Q3 소망에 대한 바람과 기다림의 의지를 강조한 시구는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7 -
1-1.(1)모란이 피기까지는

표현 방식 파악하기
1.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 부분을 찾아본다.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등)
2. 수사법이 쓰인 부분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 등)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을 체크한다. (시상 전개 방식, 어조,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 운율 형성법 등)

작품 자세히 보기
1. 감각적 표현
① 음성 상징어 사용을 통한 감각적 표현

뚝뚝
‣ 모란이 낙화하는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
상실에 따른 깊은 절망감을 나타냄.

2. 수사법
① 역설법

찬란한 슬픔의 봄
‣ 봄: 모란이 피는 계절(찬란함, 기쁨) + 모란이 지는 계절(슬픔, 상실감)
아름다움에의 황홀한 도취와 그것의 덧없음에 대한 슬픔이 복합되어 있는 상황을 드러냄.

② 과장법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해는 다 가고 말아


‣ 모란의 낙화를 인생 전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과장하여 표현함.

3. 기타 표현상의 특이 사항
① 여성적 어조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둘리고 있을 테요
‣ 여성적 어조와 경어체의 사용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 섬세한 정서를 표현
•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 부드러운 어감을 형성함.
• 나는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② 순환 구조의 시상 전개 방식

1~2행 모란이 피기를 간절히 기다림.


3~10행 모란이 시들어 사라진 후의 슬픔과 상실감
11~12행 모란이 다시 피기를 간절히 기다림.
‣ 모란의 개화와 낙화에 따른 기다림 → 좌절 → 기다림의 순환 구조가 반복
순환 구조의 시상 전개 방식을 통해 화자의 소망에 대한 간절함이 부각

Q1 모란이 낙화 하는 모습을 ‘뚝뚝’이라는 음성 상징어 를 사용하여 감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Q2 화자는 모란이 지면 자신의 한 해는 다 간다고 표현하며 모란이 지는 것을 인생 전체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과장 하여 표
현하고 있다.
Q3 ‘~ㄹ 테요’와 같은 여성적 어조와 경어체 를 활용하여 부드러운 어감과 섬세한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9년 01월 07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I410-ECN-0199-2018-001-0007474
07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