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4.

바른 말, 바른 글

(2) 한글 맞춤법

[1~4]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한글 맞춤법은 ‘비가 오니 꽃이 핀다.’와 같이 문장의 각 □□는 □□ 씀을 원칙으로 한다.

2. ‘먹다’의 활용형 ‘먹어’는 [머거]로 발음되지만, ‘먹어’로 적는다. 이처럼 □□은 어간과 □□를 구별하여 적는다.

3. 명사 ‘곳곳’, ‘낱낱’, ‘삼발’에 ‘-이’가 결합하여 단어의 품사가 바뀌거나 뜻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각각 ‘□□□’, ‘□□□’,
‘□□□’와 같이 명사의 본래 모양을 밝혀 적는다.

4. ‘냇가, 아랫니, 뒷일’과 같이 ‘□□□□’은 두 명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붙는데, 결합하는 두 명사 중 하
나 이상이 □□□이고,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는 조건을 우선적으로 만족해야 한다.

[5~8] 다음 내용이 맞으면 ○표, 틀리면 ×표를 하시오.


5. 우리말에서 된소리되기 현상이 나타날 때는 이를 표기에 반영한다. 따라서 ‘깍뚜기’, ‘국빱’과 같이 적는다. (○, ×)

6. 한자음 ‘녀, 뇨, 뉴, 니’나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오면 ‘여자(女子)’, ‘예의(禮儀)’처럼 적고,
그 외에도 ‘남여(男女)’, ‘혼예(婚禮)’처럼 본음대로 적기도 한다. (○, ×)

7. ‘날씨가 좋은 날에는 바람을 쐐어야 해.’라는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는 ‘쐐야’나 ‘쐬어야’로 적어야 맞다. (○, ×)

8. ‘만큼’은 의존 명사일 경우 ‘주는 만큼 받아오다.’처럼 띄어 쓰지만, 조사일 경우 ‘집이 대궐만큼 크다.’처럼 붙여 쓴다.
(○, ×)

[9~10] 다음 물음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9. ‘여러번물에손을담그자손이얼음장같이차가워졌다.’라는 문장의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띄어 써야 할 부분에 ‘∨’ 표
시를 하시오.

10. 한글 맞춤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한 문장으로 쓰시오.

[1/2]
4. 바른 말, 바른 글
(2) 한글 맞춤법

1. 단어, 띄어 2. 용언, 어미 3. 곳곳이, 낱낱이, 삼발이


4. 사이시옷, 고유어 5. × 6. × 7. ○ 8. ○
9. 여러∨번∨물에∨손을∨담그자∨손이∨얼음장같이∨차가워
졌다. 10. 한글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원활하게 의사소
통하기 위함이다.

[2/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