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 몽골 흙포장 관련 사업전개 방안 검토서 】

1. 흙포장 관련규격 및 적용분야 검토


ㅁ 포장 단면 및 시멘트안정처리기층(CTB: Cement Treatment Base) 설계반영 내역
※ 출처 : 몽골 도로교통부(Ministry of Road & Transpotation)
- 도로 표준단면(아스콘 도로기준) : CTB 기층 / 기존 부순골재 기층 2개 단면
1) CTB는 아스콘 표층(50㎜) 하부 기층에 포설
- 기층 하부에 자갈 보조기층 유,무에 따라 CTB 포설 층수를 결정

▶ 자갈보조기층이 없는 경우 : 2개층
- 상부층 : 150㎜, 시멘트 6% 처리층, 하부층 : 150㎜, 시멘트 4% 처리층

▶ 자갈보조기층이 있는 경우 : 1개층
- 상부층 : 200㎜, 시멘트 6% 처리층, 하부층 : 기존 자갈 보조기층

ㅁ 도로설계기준(ESTABLISHMENT OF DESIGN CRITERIA)


: 자동차 주행속도별로 등급 구분 (최고등급/중간등급/저급) 3가지 형태

1) 최고등급
- 표층 :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
- 기층 : 골재(흙)을 아스팔트 또는 바인더 안정처리
(※바인더 : 시멘트, 생석회, 플라이애쉬 등 사용)
2) 중간등급
- 표층 :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
- 기층 : 골재(흙)을 바인더 안정처리(※ 아스팔트-골재 사용은 제외)

3) 저급도로
- 표층 : 골재(흙)를 바인더 안정처리
- 기층 : 자갈/흙/골재

ㅁ 적용 가능분야 : 도로 등급별 적용 모두 가능함.


※ 단, 중간등급 도로 적용시, 기층을 2층 포설하므로 자재 소요량이 많기 때문 공략대상임.
2. 시장진입 및 전개방향

ㅁ 기술검토 결과, 당사 흙포장 제품(소일콘 PM 또는 액상) 모두 적용가능하나,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재료비


단가확보가 필수조건이며, 연간 도로공사에 적용할 시장규모 예측이 필요함.

1) 몽골에서의 흙포장 공사에 당사 “소일콘 제품” 실 적용을 위해서는 다음의 전제조건이 필요함.
-. 몽골 내수 시멘트 단가대비 소일콘 현지 납품가가 동등이하일 것
※ 내수 시멘트로도 충분히 흙포장이 가능하므로 비싼 외국제품 사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

-. 몽골 내수 시멘트는 금년 5월 전년대비 30% 가격 상승(톤당 256,000 MNT = 한화 약 11만원)


※ 따라서, 국내 시멘트 단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소일콘(분말기준)의 몽골 수출적용은 단순 검토시 적용 블가함.

-. 표준단면 기준, 소일콘(분말)을 시멘트 대체재료로 가정시 1㎞ 기준 소요량

ㅁ 적용단면 : 2차선 아스콘 포장 하부 시멘트안정처리기층(CTB) 대체공법


적용폭 8 M 적용토량(1㎞ 기준)
두께(1층) 0.15 M 1,200 ㎥
두께(2층) 0.15 M 1,200 ㎥

ㅁ 소일콘 소요량(2차선 1㎞ 기준) 및 단위 매출액(원/1㎞)


1층 6% 72 톤
2층 4% 48 톤
소계 120 톤/1㎞
수량 단위 단가(원/톤) 금액(원/1㎞)
소일콘재료비 120 톤 110,000 13,200,000

2) 시장규모 예측
-. 상기 1㎞ 기준 기대매출(시멘트 대체)을 토대로, 시장전개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즉, 아스콘 도로 기층에 기존 시멘트를 소일콘(분말)로 대체시 1㎞ 기준 약 13백만원 기대매출
※1 연간 100㎞ 공사(3년 기간 가정) 시 ▶ 약 13억(연평균 약 4억) 매출 기대,
※2 연간 100㎞ 공사(3년 기간 가정) 시 ▶ 소일콘 소요량 12천톤/3년간

-. 일단, 몽골 도로교통부에서 연간 100㎞ 공사를 발주하려면 <정부 자체예산 또는 해외투자 유치> 등의


예산확보가 필수적인 바, 과거 2013 – 2016년간 도로발주 통계치를 보면,

⚫ 4년 기간 총 5,469㎞ 발주(몽골 정부자체 예산 : 528㎞, 나머지 약 5,000㎞는 해외차관 사업)


- 몽골자체 예산으로 연간 약 130㎞ 공사실적이 있고, 그 중에서 기존 자갈기층 방식 외 시멘트안
정처리기층 시공실적은 알 수 없으나, 아마 공사비 증액 사유로 몇% 수준~거의 없을 것으로 추
정됨.

⚫ 따라서, 해외차관 사업유치는 기간이 오래 걸리고, 시장규모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몽골정
부 자체 조달을 전제로 하면, 도로망 구축이 증대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연간 최대 200㎞로 추정
-. 향후 시장예측은 몽골 도로교통부에서 계획 중인 PLAN을 보면, 12,700㎞ 도로망 구축을 계획하고 있
어 수주전개 여하에 따라 메리트 있는 시장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됨.

ㅁ 대안검토
전술한 바와 같이 소일콘을 이용한 흙포장 공법은, 기존 시멘트 대체공법으로 100% 적용가능하나, 현지
시멘트 단가와 대등한 단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⑴현지에 소일콘 공장을 설립하여 직접생산하는 방안과, ⑵현지 분체
혼합설비 업체로 하여금 OEM생산하는 방안 외에 대안은 없음.

1안) 몽골에서 소일콘 직접생산 방안


-. 가능성 : 몽골에는 5개의 중,소형 시멘트 공장이 있어 시멘트 조달은 용이하며, 고로슬래그미분말은 인
근 중국에서 수입하여 현지 직접생산이 가능함.
따라서, 【시멘트 + 고로슬래그미분말 + 무수석고 + 생석회(필요시)】 배합으로 현지 생산가능
-. 이 경우, 수익성 분석을 통한 투자회수기간 검토 등의 정밀한 검토가 필요함.
▶ 단순 분석결과, 시멘트 톤당 11만원 전제로 수익성 검토를 하면 수익성은 현지공장에서 월 생산량
에 반비례하여, 즉, 최소 월 2천톤 수준을 확보할 경우 생산마진이 15% 정도이나, 월 1천톤 수준이
면, 적자생산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남.

2안) 몽골에서 위탁생산(OEM) 방안


-. 가능성 : 김석균 사장 통해 가능한 결론, 위탁생산비만 결정하면 되나
-. 장점 : 투자금 없이 수익 창출 가능
단점 : 노하우 유출
3. 결론

ㅁ 몽골에서의 흙포장 제품(소일콘 PM 또는 액상) 적용의 관건은,

1) 기존 시멘트 처리공법의 시멘트 단가와 동등수준으로 공급 가능해야 하며,

2) 직접생산 또는 OEM생산이든, 몽골 건설관련 공무원의 전폭적인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 이를 위해 현지 공기업(도로연구소) 관련조직(개인)과 몽골내 공동특허를 출원하여 그들로 하여금 설
계반영을 적극적으로 유도시키는 방안도 모색

-. 몽골은 1년간 습식공사를 할 수 있는 기간은 반년도 안됨.(몽골 최근10년간 월온도분포)

-. 동절기를 거치면서 시멘트, 콘크리트 관련 내동해는 주요 관심사항임.


따라서, 몽골내 소일콘 흙포장공법 적용를 위한 첫 걸음으로, 시험포장(약100~200M 구간)을 통해 기
술직 공무원으로 하여금 성능에 대한 검증작업이 필요함.
※ 사전 동결융해저항성에 대한 검증없이 본 시공 접근 후, 포장체 하자발생 시 보수/재포장 등으로 사업실패함.

이상으로 몽골 흙포장 관련 사업전개 방안 검토서 를 보고드립니다. 끝.

한일콘(주) 대표이사

2022년 10월 20일

보고자 : 손 형 호 본부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