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8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송전계통 일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개요
- 국내 송전계통의 구성
- 송전기술의 향후 전망

■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 정대 안정도 분석
- 과도 안정도 분석

■ 송전계통의 운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 효과적인 송전계통의 운영방안
- 송전계통운영을 위한 국 ․ 내외 기술기준
- 9.15순환 정전사건

■ 분산전원 배전계통 일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 개요
- 기존 배전계통의 주요 구성
- 분산전원 배전계통의 주요 구성

■ 분산전원 배전계통의 운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 효과적인 배전계통의 운영방안
- 국 ․ 내외 분산전원의 배전계통 연계기준
- 분산전원의 종류별 특성

■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 순시전력이론
- 전력변환기술
- Grid code
송전계통 일반
송전계통 일반

1. 송전계통 일반

1.1 개요

송전(Transmission)이란 발전소에서 일으킨 대용량의 전력을 수요지 인근의 변전소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1879년 미국에서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1881년 최초의 상업
발전소인 뉴욕 중앙발전소를 뉴욕시의 중앙에 건설한 때에는 저전압 직류로 전등용 전력을
공급하였으므로 송전의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이후 변압기가 발명 보급되면서 전압의 승강
압이 자유로와지고, 유도전동기를 이용한 회전 동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자 교류
전력망이 상업용 전력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생활에 편의를 주는 전기기기의 개발 보급과 더불어 전력수요는 크게 증가한 반면, 발전소
들은 환경적인 영향과 냉각용수 취득의 문제로 전력 수요지와 멀리 떨어진 해안가에 설치
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발전전력을 수요지까지 수송하는 전선로의 구성하는 문제가 전력
산업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초기 전력사업에서 수송전력의 용량이 적고 전압이 낮으며 발전단과 수전단의 거리가 짧던
시기에는 전력전송에 의해 전압이 저하되는 문제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았고 이에 따른 송전
방식은 비교적 단순하였지만, 도시규모가 증가되고 전력소비가 크게 늘면서 원거리 발전소
에서 도심 인근까지 대전력 전송이 필요한 시점에서 전력전송을 위한 송전설비의 건설과
운영은 그 비용은 물론, 적정한 전압강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제기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송전방식도 다양하게 발전하여 두선으로 공급하던 단상 2선식에서 단상 3선식,
3상3선식, 3상 4선식 등 2개 이상의 전기를 중첩하여 수송하는 방식들이 개발 보급되어 송전
선로의 전력전송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법들도 재래식 목주에서 철탑을
사용하고 애자로 선로를 지지물로부터 절연하는 가공송전방식, 전력케이블을 사용하여 지하에
전선로를 매설하는 지중송전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본 강의에서 1장에서는 송전계통을 이해하기 위한 송전계통의 구성요소와 그 물리적 특성
및 송전용량의 산정방법을 소개한 후, 우리나라 송전계통의 구성 및 송전기술의 향후 전망
들을 설명한다. 2장에서는 송전계통 안정도의 개념과 정태 안정도 및 과도 안정도 해석 방법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효과적인 송전계통을 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과 이와 관련된
국내외 기술들을 제시하면서 부차적으로 9.15 순환정전과 해외 정전사례를 소개하여 전력
계통의 안정운용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1.2 송전계통의 구성요소와 물리적 특성

송전계통은 다수의 발전소에서 발생한 전력을 전송하는 각각의 송전선로와 이를 상호 연계


하여 전력을 집중, 분배하는 변전소로 구성된다. 송전선로들은 설치방식에 따라 가공송전선
로와 지중송전선로로 나뉘며, 가공송전선로는 전력을 수송하는 도체와 지지물, 그리고 충전된
도체와 대지에 접지되어 있는 지지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기계적으로 지탱해주는 애자로
구성된다.
지중전선로는 전력케이블과 이를 설치하는 관로 및 전력구로 구성된다.

1.2.1 가공전선로
1.2.1.1 전선
가공송전선로의 전선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강심으로
구성된 강심알루미늄 연선(ACSR : Aluminum Cable Steel
Reinforced)을 사용한다. 알루미늄선은 구리선에 비해 도전
율은 60% 정도로 떨어지지만 외경이 커지기 때문에 코로나
발생이 억제되며 무게가 1/3 정도로 가볍고 강심으로 보완해
기계적강도가 크다.
ACSR 선의 열적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여 허용전류를 2배
정도로 증대시킨 초내열 인바심 알루미늄 합금연선(STACIR),
도전율은 작은 52.5%이지만 인장강도를 크게 증가시켜 해협,
도강등 장경간선로에 사용되는 고장력 강심 알루미늄 합금연선
(AACSR/EST)등이 특수한 개소에 가공전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1. 가공송전선로

1.2.1.2 지지물
가공송전선로의 지지물은 재료에 따라 목주, 철주, 강관주, 철탑 등의 형태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철탑이 사용된다. 철탑은 전선 및 애자의 무게와 착빙시 발생하는 수직하중을
지지해야 하며, 하계 가장 풍속이 셀 때의 수평횡하중 및 경간 차이에서 수평종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적정 안전율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4
송전계통 일반

1.2.1.3 애자
송전선로용 애자는 일반적으로 10 inch 직경의 현수애
자가 사용된다. 주수섬락전압이 50kV, 건조섬락전압이
80kV가 표준이며, 임펄스 전압은 125kV(+), 130kV(-)의
규격을 갖는다. 무게는 약 4.5kg/개 이다. 애자의 형상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 강심알루미늄연선

그림 3 송전용 애자의 치수 그림 4 송전용 애자의 형상

1.2.1.4 이도(dip)
가공송전선로는 양 지지물 사이에 전선을 가설하게 되므로 가설시 전선의 자중과 전선의
인장강도, 안전율 등을 고려하여 외부의 작용력에 전선이 견딜 수 있도록 알맞은 처짐을
주어야 한다. 이 이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최악의 인장력을 T[kg] 이라 하면 안전율 F 를
고려하여 허용장력Ta[kg]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1-1]

따라서 전선의 처짐은 지지점의 높이가 같을 경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m] [1-2]

이에 따라 전선의 실제 길이는
 
    [m]
  [1-3]


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또, 전선은 온도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하고 장력을 받으면 늘어나는 연성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전선의 길이는 처음 길이를   이라 하고 변화 후 길이를   라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1-4]


단  는 전선의 저항온도계수,    는 변화 전 후의 온도[도],    는 변화 전후의


전선의 장력, A는 전선의 계산단면적[mm2], E는 전선의 탄성계수[kg/mm2] 이다.
따라서 전선의 이도는 전선의 열팽창 및 장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최악의 열적조건과 풍압
하중 조건 하에서도 소정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정해 주어야 한다.

1.2.1.5 가공송전선로의 선로정수


가공송전선로를 가설하였을 때, 송전선로의 고유저항, 선간 거리, 지상고 등의 배치상태에
따라 선로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가 발생하며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선로의 저항
선로의 길이를  [m], 선로도체의 고유저항율을     , 단면적을 A[  ] 이라 하
면 선로저항 R[Ω]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1-5]

B. 선로의 인덕턴스
선로인덕턴스는 1상2선식 또는 3상 3선식/4선식인 경우, 선로의 직경이 r [m], 각 상
간의 거리가 균등하게 D[m]를 유지하고 있다면 선로인덕턴스 L[mH/km] 는 다음의 수식으
로 계산될 수 있다. 단 이때의 값은 1선당 작용인덕턴스이다.


    log     [1-6]

C. 선로커패시턴스
선로커패시턴스는 단상 2선식 또는 3상 3 선식 또는 4선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와 같은

6
송전계통 일반

조건이라면 다음 수식으로 1선의 작용커패시턴스를 구할 수 있다.


 ㎌ [1-7]

log 

1.2.2 지중송전선로

1.2.2.1 케이블
지중송전선로는 전력을 수송하는 전력케이블과 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경과지가 가공송전
선로일 경우 미관을 해치거나 염진해, 화학물질 등으로
부터 전력선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고전력밀도
지역일 경우에 선택된다. 초고압 케이블로 OF cable 또는
가교폴리에칠렌(XLPE : Cross-Linked Polyethylene)
케이블이 흔히 쓰인다.
그림 5. 초고압 OF전력케이블

1.2.2.2 지중선로의 포설법


케이블의 포설법은 다음과 같다.

그림 6. 직매식 그림 7. 관로식 그림 8. 전력구식

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1.2.2.3 지중선로의 선로정수

A. 선로저항
케이블의 저항 R 은 가공선로의 저항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된다.

B. 선로인덕턴스
케이블의 인덕턴스 L은


    log     [1.8]

C. 선로커패시턴스
케이블의 커패시턴스는 가공송전선로와는 달리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케이블 충진재
및 절연물의 유전율인   를 고려해 주어야 한다.

  
 ㎌   [1.9]

log 

1.2.3 송전용량
송전용량은 송전계통을 운영 시 수송할 수 있는 최대전송전력을 의미한다. 한 송전선로에
대해 작용하는 송전용량은 열적제약용량, 안정도제약용량, 전압안정도제약용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2.3.1 열적제약용량(Thermal Limit Capacity)


열적제약용량은 송전선로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온도의 한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주위온도를 40도로 가정할 때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울열에
의한 온도상승값을 더하여 허용한계온도를 결정한다. 통상적으로 한계온도는 단시간 과부하에
대해서는 100도, 장시간 연속 사용시에는 전선의 접속장소 열화를 고려하여 허용온도를 90도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공송전선로는 여름의 주위온도를 40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전선의 온도상승은 장시간 연속상태에서는 50도를, 단시간인 경우는 60도를 상정하고 허용

8
송전계통 일반

전류를 이 범위 이내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열적 제약용량은 이 전류에 전압을 곱하여 결정


된다.

1.2.3.2 안정도 제약용량(Stability Limit Capacity)


일반적으로 단거리 선로의 전류는 부하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되지만, 중 장거리선로에서는
선로의 직렬리액턴스가 저항보다 4~10배정도 크기 때문에 선로리액턴스에 의해 전송능력이
제약된다.

그림 9. 송전선로 모형 그림 10. 수송전력 P 와 위상차 

그림 9와 같이 송수전단 전압이 각각 Vs, Vr, 선로리액턴스가 X, 송수전단전압간의 위상


차가  인 경우 송전선로에 수송되는 전력 P 는

로 계산되며 이를 플로팅하면 그림 10과 같다. 위상차  가 90도에 이르면 수송전력 P는


최대가 되는데 이때의 전력을 정태안정극한전력이라고 한다. 리액턴스가 큰 송전선로는 이
정태안정극한전력에 의해 송전용량이 결정된다.

1.2.3.3 전압안정도 제약용량 (Voltage Stability Limit Capacity)


전압안정도 제약용량은 부하전력의 증가에 따라 전력계통의 전압이 저하되어 전압붕괴가
발생하는 현상에 의해 전력수송이 제약되는 용량을 의미한다.

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그림 11. 커패시터 보상 모형계통 그림 12. 커패시터보상과 전압변동율

그림 11과 같이 커패시터로 보상한 모형계통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은

δ
(2.1.1)
δ

로 된다. sin2δ+cos2δ=1로 되는 관계를 이용하면 위 식은

(2.1.2)

여기서 피상전력 역률 를 대입하면

(2.1.3)

로 되며, 위 식은은 S와 Vr2 에 대하여 원점에서 S축에 접한 기울어진 타원인데, 이를 제


곱근으로 전개하면 그림 12의 P-V 특성곡선을 얻을 수 있다. P-V특성곡선을 일명 nose
curve라 하며, 그 끝을 nose단이라 한다. 전압불안정은 전력이 nose curve의 끝에 있으면
발생하며, 이를 초과하지 않는 최대의 수송능력을 전압안정도 제약 송전용량이라고 한다.

1.2.3.4 송전용량의 비교
교류 송전선로의 송전용량을 제약하는 요소는 선로부하와 선로길이에 따라 다르며 그 대략의
값은 다음 그림과 같다.

10
송전계통 일반

그림 13. 류송전선로의 송전용량제약


출처 : Eric Hirst, Edison Electrical Institute

실무적인 차원에서 송전용량을 결정할 경우, 송전의 조건을 다음 범위를 고려하여 설계를
하고 있다.
1) 송 수전단의 전압 상차각(100km 이상 장거리 선로시 30~40도)
2) 조상기의 용량 적정성 (수전 전력의 75%)
3) 송전효율의 적정성 (90% 이상)

1.2.4 송전용량의 개략 계산법

1) 고유부하법 (Surge Impedance Loading)


송전선로의 선로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가 각각 L, C 값으로 주어진다면, 그 선로의 고유
송전용량은 특성임피던스와 수전단 선간전압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MW/회선]

Zw : 선로 특성임피던스, Vr : 수전단 선간전압

1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2) 송전용량 계수법
수전단 선간전압을 Vr[kV], 수전전력을 Pr[kW], 송전거리를  [km] 라 할때 수전전력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이 때, k는 송전용량계수이며 다음 표와 같다.

[kW]

표 1. 송전용량계수

전압계급 [kV] 송전용량계수


60 600
100 800
140 1,200

3) still 식
송전용량에 따라 경제적인 전압값을 결정하기 위한 식으로 Still 의 공식이 있다.

표 2. 송전선로 용량

선로 종류 규격 선로종류
용량[MVA] 전압계급[kV]
%/km (뒷자리는 bundle)
ACSR 2401 163 154
ACSR 2402 325 154
ACSR 3301 195 154
ACSR 3302 390 154
ACSR 4101 226 154
ACSR 4102 452 154
ACSR 4802 1086 345
ACSR 4804 2173 345
ACSR 4806 3288 345
ACSR(765KV) 48067 7290 765
XLPE 120002 410 154
XLPE 200001 285 154

12
송전계통 일반

1.3 국내 송전계통의 구성

우리나라의 송전계통은 협소한 국토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부하밀도를 갖고 있는
관계로 수도권에 밀집된 대단위 석탄 및
개스복합화력발전단지와 대단위 원자력발전
단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전부하의 42%를
소비하는 수도권 및 기타 중요도심 산업
단지로 수송하기 위한 송전망이 구성되어
있다.
일제시대에 154kV 선로가 구성되어 대부분
의 전력을 북한으로부터 수전을 받았으나
1948년 5월 4일 북한의 일방적 단전으로
인해 379[MW]의 발전용량으로 극심한 전력
란에 봉착했으나, 경제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전원 개발로 1976년에 고리 원자력발전
및 여수화력발전에서 발생한 전력을 경인
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해 여수와 고리 신옥천
동서울 변전소를 잇는 345kV 송전선로가
그림 14. 우리나라 송전망의 구성
건설되었으며, 2000년 초 울진원자력발전
단지와 서울지역, 영흥화력과 신안성을 잇는 765kV 송전선로가 건설 운전됨으로써 초초고압
전력망 시대로 진입하였다.
송전선로의 전압별 역할분담을 살펴보면[1], 765kV 선로는 대단위 전원단지와 대용량 부하
밀집지역간 전력수송을 담당하며, 345kV 선로는 지역간 간선게통망 구축 및 도심지의 대전력
공급망의 역할을 담당하고, 154kV 선로는 부송전선로로서 345kV 공급지역 내의 계통구성
및 배전계통에 대한 전력공급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1.3.1 우리나라 전력수급 현황과 전망


우리나라의 전력은 싼 전력단가와 국민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1인당 소비전력량이 80년
859kWh/년에서 2009년에는 8,092kWh/년으로 약 9배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전력공급
설비는 80년도 9,391MW에서 2009년 73,470MW로 약 8배 증가하였다. 다음 표는 80년대

1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이후 전력수급현황의 변천 이력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전력수급현황 ( 출처 : 제 5 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구 분 1980 1990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최대수요(MW) 5,457 17,252 41,007 54,631 58,994 62,285 62,794 66,797
발전설비용량(MW) 9,391 21,021 48,451 62,258 65,514 68,268 72,491 73,470
설비예비율(%) 72.1 21.8 16.8 13.0 9.8 7.9 12.0 9.8
1인당 전력소비량
859 2,206 5,067 6,883 7,191 7,607 7,922 8,092
(kWh/년)
명목전기요금
50.9 52.9 74.7 74.5 75.4 77.9 78.8 83.6
(원/kWh)

2024년까지의 우리나라 전력수급전망은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잘 나타나 있다. 전력


소비량의 증가는 2010년~2024년 기간 중 연평균 3.1% 증가할 전망이며, 주택용은 2.7%,
상업용은 4.6%, 산업용은 2.2%로 전망되어 상업용 소비가 가장 두드러진다. 최대전력은
동기간에 연평균 3.1% 증가하여 70,457MW(2010년)에서 107,437MW(2024년)로 예측되었다.
설비용량도 이에 따라 2010년에 74,344MW에서 2024년 112,593MW로 되어 설비예비율은
2024년에 18.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원의 구성에 대한 전망은 다음 표와 같다.

표 4. 전원의 구성전망

구분 원자력 석탄 LNG 석유 양수 신재생 집단 합계


18,716 24,205 19,422 5,372 3,900 2,127 1,674 75,416
2010
24.6 32.1 25.8 7.1 5.2 2.8 2.2 100
24,516 30,945 23,517 4,108 4,700 4,183 4,314 96,283
2015
25.5 32.2 24.4 4.3 4.9 4.3 4.4 100
1,516 31,945 23,517 4,108 4,700 6,653 4,846 107,285
2020
29.4 29.7 21.9 3.8 4.4 6.2 4.6 100
35,916 31,445 23,517 4,108 4,700 8,061 4,846 112,593
2024
31.9 27.9 20.9 3.6 4.2 7.2 4.3 100

14
송전계통 일반

송배전선로의 현황과 전망은 다음 표와 같다. 송전선로의 총 긍장은 2009년 대비, 2024년에


1.27배 증가할 전망이며, 배전선로는 동기 대비 1.08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중선의
비율은 8.9%에서 12.0%로 늘어나게 된다.
(단위:C-km)

전 압 2009(실적) 2013년 2018년 2024년


755 1,106 1,024 1,894
765kV 가공 755 1,106 1,024 1,894
(0.3%) (0.4%) (0.4%) (0.7%)
가공 8,314 8,551 9,353 9,690 9,550 9,962 9,612 10,034
345kV
지중 237 (3.6%) 337 (3.8%) 412 (3.8%) 422 (3.8%)

가공 18,040 20,469 19,757 23,038 20,958 24,706 21,739 25,883


154kV
지중 2,429 (8.5%) 3,282 (9.2%) 3,748 (9.5%) 4,144 (9.8%)

가공 175,943 209,631 178,650 217,998 180,183 223,829 180,388 225,485


22.9kV
지중 33,688 (87.6%) 39,348 (86.6%) 43,646 (86.3%) 45,097 (85.7%)

가공 203,052 208,776 211,715 213,633


합 계 239,406 251,742 259,521 263,296
지중 36,354 42,966 47,806 49,663

송전선로의 확충은 기본적으로 설비의 전압별 역할분담에 의거, 적정 공급신뢰도를 확보


하면서 설비의 투자효율성을 높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획된다. 특히 송전선로의
건설이 제약되면서 고밀도 고급부하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전력계통 안전운용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유연송전시스템(FACTS) 도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고장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차단기 규격 상향, 한류리액터, BTB 설치 및 모선분리운전등의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1.3.2 송전선로의 확충기준


송배전설비의 확충기준은 상정사고에 의해 예상되는 과부하 및 지장범위가 기준한계를
만족하도록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표 6. 송변전 설비 상정고장 허용범위 (일부 발췌)

상정고장 조건 과부하율 지장범위 고장후 가용조치


발전소 연계 345kV 선로 1회선 과부하불허 부하탈락 불허
발전력조정 불허
345kV 주변압기 1뱅크 (공칭정격기준) 발전기탈락 불허
일시적과부하 부하탈락 불허
발전소 연계 154kV 선로 1회선 발전력 조정허용
허용 발전기탈락 불허

간선계통의 345kV 이하 선로
1회선 일시적 과부하 부하탈락 불허 발전력 조정허용
부하공급계통의 345kV 이하선로 허용 발전기탈락 불허 부하절체 허용
1회선

간선계통의 345kV 선로 2회선


상동 상동 발전력조정 허용
간선계통의 765kV 선로 1회선

발전소연계 765kV 선로 1회선


부하탈락 불허
발전소연계 345kV 이하선로 상동 발전력 조정허용
발전기탈락 허용
2회선

발전소의 계통 연계는 원칙적으로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에 따라 1000MW 이하는


345kV 또는 154kV에, 1,000MW 초과는 345kV 이상 선로에 접속하며 2회선 이상으로 연결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 접속선로는 설비 고장시 전력계통 과도 불안정으로 전력
계통계획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2개 루트 이상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송전선로의 신설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분 신설 기준 상정사고 적용
765kV 송전선로 대규모 전력융통이 필요하고 345kV
1회선 고장 고려
보강 전력공급이 어려운 경우 신설

154kV 송전선로로 전력융통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간선계통은 루트고장 적용
345kV 송전선로
향후 전력수요에 따라 345kV 건설이 방사상 및 지중계통은 1회선
보강
적합한 경우 고장 적용
2회선 1개루트로 건설

발전소, 345kV 및 154kV 변전소


154kV 송전선로 송전망이 필요한 경우
보강 기설선로로 발전설비 및 전력수요증가에
적정수준을 유지불가한 경우

16
송전계통 일반

1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1.3.3 송전 신기술

1.3.3.1 직류송전기술(HVDC)
DC 선로는 리액턴스의 제약이 없다. 따라서 선로를 통한 total 전력전송은 손실 경제 측면과
도체온도상승에 의해서만 제약을 받는다. 장거리 송전의 경우 교류송전방식은 안정도의 저하,
과도한 무효전력보상문제, 케이블 송전의 경우 유전체 손실에 의한 송전용량저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직류송전이 교류송전에 비해 유리하다.

A. HVDC 송전계통의 구성

그림 15. 해남 제주간 HVDC 계통 구성 (출처 : 해남제주간 HVDC개요, 한전 2000.8)

㉮ ㉯ ㉰ ㉱ ㉲ ㉳
Thyristor Valve 변환용 변압기 직류 리액터 고조파 Filter 조상설비(SC) 동기조상기

-교류계통의 -전환실패시나 -순변환시 -역변환시 필요한


교,직류 상호변환 -순,역변환시
전압변환 Cable 충전 필요한 무효전력 무효전력 제어
-해남측(순변환) 발생하는
-교,직류계통 전류 방전시 공급(해남측) -계통의 단락용량
-제주측(역변환) 고조파 흡수
분리 Valve 보호 -역률 개선 증대

18
송전계통 일반

B. 직류송전의 적용
○ 원거리 전원의 대전력 송전
- 브라질의 Itaipu 수력송전 및 브라질 파라과이 50/60Hz 연계
○ 원거리 섬의 부하 공급 :Gotland 해저 케이블 송전
○ 계통간 연계 : 타계통, 다른 주파수계통, BTB(Back to Back) 등

1.3.3.2 유연송전시스템 (FACTS :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적용


전력전자 기기는 응답특성이 빠르고, 출력을 빈번하게 변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출력의
연속적인 조정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전력전자변환기를 사용한
FACTS는 전력계통의 계획 및 운용측면에서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FACTS는 송전계통의 전송능력을 제약하는 안정도, 모선전압, 루프조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원거리 발전소로부터 전력수송을 하거나, 조밀
하게 연결된 망상(mesh) 계통에서 조류를 재분배하여 송전선로의 신증설 없이 송전망의
과부하를 해소하고 이용율을 높이는데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림 16. FACTS 에 의한 송전용량의 개선

1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A. FACTS의 종류

종류 SVC STATCOM TCSC UPFC

회로도

주요
제어
특성

병렬무효전력 병렬무효전력보상에 직렬리액턴스보상에 직병렬 보상에 의한 전압,


활용 보상에 의한 신속한 의한 신속한 전압의 의한 전압, 안정도 위상각, 유효 무효전력을
전압의 안정화 안정화 제어 제어

1.3.3.3 신도체 방식
이 기술은 허용전류 용량이 큰 도체를 채용함으로써 신설 또는 기존의 선로의 송전용량을
배가하는 방법이다. 특히 철탑의 신설 또는 개설이 불가한 도심의 기존 철탑의 선로의 과
부하를 해소하거나 송전용량을 증가하고자 할 때. 허용전류가 배가되고 선로에 의한 하중이
기존의 도체와 유사한 전선을 채용할 경우 철탑의 변경없이 도체만 교체함으로써 큰 효과
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근 많이 적용되고 있다.

A. 대전류용량 도체
○ 저저항 도체 : AL59 Alloy 도체, 1120 Alloy 도체, EHC Alloy
○ 고온(High Temperature : HTLS) 도체
- ACSS : Aluminum Conductor Steel Supported
- TACSR (Thermal Alloy Conductor Steel Re-inforced)
- STACIR (Super Thermal Aluminium Conductor Invar Reinforced)
- ACCC(Aluminium Conductor Composite Core)
- ACCR(Aluminium Conductor Composite Reinforced)

20
송전계통 일반

그림 17. 고전류 알루미늄 도체의 특성 그림 18. 알루미늄 도체들의 온도특성

그림 19. 알루미늄 고용량 도체의 특성

1.3.3.4 다상송전(High Phase Order Transmission)


기존 송전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근본적인 전력전송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고다상
송전 (High Phase Order Transmission) 에 관한 연구가 30여년 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New York State Electric and Gas Corporation사는 최근 실계통인
115KV Goudey-Oakdale 송전선로에 6상 송전을 시험 적용하기에 이르렀다. HPO 송전은
제한된 right-of-way 내에서 전력전송을 증대하는 훌륭한 방법이다. 동일한 선로 대 대지
전압에 대하여 6상은 3상 2회선에 비하여 1/√3만큼 상간전압이 낮다.

2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전형적인 3상선로 상에서 도체주변 필드에 저장된 에너지의 95% 이상이 상도체 중심으로
부터 상간 공간의 5%에 해당하는 반경이내에 포함된다. 도체배치의 근본적 변화나 상수의
변화없이는 송전선로 공간의 이용효율 개선은 불가능하다. 상수가 증가할때 공간위치도와
전압위상도가 일치하도록 원형 배열로 배치하면, 공기절연체의 이용효율은 근사적으로 相數
에 비례한다. 다음 그림은 같은 열용량을 갖는 회로차단기를 가정할 때, 재래의 3상 구조
와 콤팩트한 6상, 12상 철탑구조의 개념적인 대조를 나타낸다.

그림 20. 재래식 3상과 HPO 구조의 비교[2] 그림 21. 3상과 6상의 경제성

표 9. 상전압과 선간전압

상전압 선간전압(인접한 상간의 전압) [kV]


[kV] 3상 6상 12상 24상
80 138 80 41 21
133 230 133 69 35
199 345 199 103 52
289 500 289 150 75
442 765 442 229 115

다상송전방식의 경제성은 3상과 6상을 비교할 경우 200km 이상의 송전선에서 6상이


우수한 경제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22
송전계통 일반

References

[2] Stewart J.R., Wilson D.D, "High Phase Order Transmission-A Feasibility Analysis,
Part 1-Steady State Considerations", IEEE Transaction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 PAS-97, No.6, pp.2300~2307

23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2.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2.1 개요
잘 설계, 운용된 전력계통이란 변화하는 부하의 유효, 무효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안정하고 경제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최소의 비용과 환경영향으로 최저비용의 에너지 공급하며 최저한의 전력품질 기준인 일정
주파수, 규정 전압, 규정 신뢰도를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전력계통 제어요소로는 발전제어로, 경제급전에
의한 부하 주파수 제어가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발전기 유니트 제어로 원동기, 발전기,
여자기가 있다. 송전계통의 제어방법으로는 무효전력, 전압 제어, HVDC 제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계통에 대하여 상황별 운전상태와 대응 제어전략은 다음과 같다.

1) 평상상태(normal state) : 계통 변수가 정상범위내에 있으며, 어느설비에도 과부하를 초래


하지 않는 상태, 안전하게 운전되며, 어떤 상정사고에 대하여 제약조건을 초과하지 않는다.

2) 경계상태(alert state) : 안전수준이 일정 한계이하로 떨어지거나, 외란의 가능성이 증대된


상태 (온도, 태풍등)이며, 계통 변수들은 허용범위이내, 모든 제약조건이 충족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시스템이 한단계 약화되어 어떤 상정사고가 시스템 과부하를 초래함으로써 비상
상태로 이행시킬 정도로서, 외란이 매우 가혹한 경우 extremis(extreme emergency)
상태가 경계상태에서 초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방동작(preventive action)이 수행
되는데 , 이는 계통을 평상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동작으로 발전력 이전 (security
dispatch, 예비력 증가)을 포함한다.

3) 비상상태(Energency state) : 계통이 경계상태에 있을 때 매우 큰 외란이 발생하여 이행


하는 상태로서, 많은 모선전압이 저하하거나, 설비의 부하가 단시간 비상정격(short-term
emergency rating)을 초과함으로써 발생한다. 비상제어(emergency control)에 의하여
시스템을 경계상태로 되돌릴 가능성이 있음으며 이에 해당하는 조치로서 고장제거, 여자
제어, 고속밸빙, 발전기 차단, 발전 재투입, HVDC 변환, 부하제한 등이 있다.

4) in extremis : 비상제어가 효과가 없는 경우 cascading outage, 계통의 주부분이 정지


될 수 있는 것으로. 부하탈락, 제어계통 분리를 하여 광역 정전을 방지한다.

2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5) 복구상태(Restorative state) 계통 부하를 복귀하려고 설비를 재 접속 시키는 제어로서,


계통의 상태에 따라 이 상태에서 경계상태 또는 평상상태로 갈 수 있다. 이 상황에서의
운전원의 역할은 시스템의 실행상황을 검사하여 요구되는 품질과 신뢰성을 만족하면서
경제적 운전을 하는 것이다.

계통의 안정도를 위한 설계와 운용 표준은 가능한 상정사고에 대해 계통의 부하를 탈락


시키지 않으면서 가장 영향이 큰 상정사고가 제어불가하거나, 연속적 전력차단에 의한 광역
정전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미국에서는 1965년 미 북동지역과 온타리오의 광역 정전에 의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
으며, 이에 따라 설계개념과 계획 기준에 대한 많은 질문들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National Electric Reliability Council)이 1968년 에 발족하였으며, 이것이 이후
NERC(North American Electric Reliability Council)로 변경되었다. 2003년 뉴욕 대정전
이후 NERC의 신뢰도 관리기능은 더욱 정밀 확장되어 FERC의 관장하에 미국은 물론, 캐나다,
멕시코 일부지역까지의 신뢰도를 통합, 관장하고 있다.

안정도 평가를 위한 상정사고의 종류 (NPCC 기준)은 아래의 가장 가혹한 상정사고 발생


이후에 재폐로 설비를 고려하여, 전력계통의 안정도가 유지될 것과, 전압과 선로와 설비의
부하가 적용가능한 한계내에 있을 것으로 요약된다. 설계에 적용되는 상정사고는 다음과 같다.

1) 발전기, 송전선로, 변압기, 모선연결개소의 영구 3상 고장(평상시 고장 제거와 재폐로


설비를 고려)

2) 다회선 철탑상에 인접한 2개의 송전선로의 서로다른 상에 동시에 발생한 지락사고(평상


시간에 제거)

3) 송전선로, 변압기, 모선접속점 상의 영구 지락고장 (회로차단기, 계전기, 신호태널의 지연


제거로 인해 발생)

4) 고장없이 어떤 요소의 탈락
5) 한 차단기의 영구 지락 고장 (평상 시간에 제거)
6) 한 DC 양극 설비의 두 극이 영구적으로 동시 탈락한 경우

28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이 기준은 서비스 중인 모든 설비와 임계적인 발전기, 송전선로, 비운전중인 변압기 (지역


발전력과 전력조류가 10분 예비력을 사용하여 탈락중에 조정된다는 가정 하에 적용된다.
극한의 상정사고 (extreme contingency) 평가는 보통의 설계 상정사고의 가혹도를 초과
하는 고장하에 연계계통이 놓일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해석하며, 극한 상정사고 해석후
그와 같은 사고 발생횟수를 줄이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극한 상정사고는
다음의 종류를 적용하고 있다.

1) 한 발전소의 모든 용량을 탈락
2) 한 발전소, 개폐소, 변전소에서 인출되는 모든 선로의 탈락
3) 한 공통 경과지의 모든 송전회로 탈락

4) 어떤 발전기, 송전선로, 변압기, 모선접속점의 지연된 고장제거와 재폐로 설비에 의한


영구 3상 고장

5) 큰 부하 또는 주 부하중심지의 돌발 탈락

6) NPCC 연계계통 외에서 발생한 외란에 의한 가혹한 전력 동요효과

7) 특수 보호계통의 오통작 또는 고장,( 예컨대 발전기 탈락, 부하탈락, 송전선 교차 탈락


방식)

안정도를 위한 계통 설계의 과정은 제어이론 상 전력계통의 특징에 따라 고차 다변수


프로세스로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해 매우 높은 비선형성을 가지므로 이를
단순화하기 위한 가정이 필요하며, 이는 시간대와 외란에 따라 다르므로 적정한 정확성의
계통 표현에 의한 특정 문제를 해석할 수 있도록 모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 계통의 특성
및 개별 요소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설비의 특성과 모형화와
계통안정도의 다양한 범주의 물리적 특징, 해석방법, 안정도 개선의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2.1.1 안정도의 개념
전력계통의 안정도의 개념은 외란에 대하여 공급전력과 수급전력의 평형을 유지하여
운전상태를 계속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안정도는 외란과 제어계의 고려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2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분류 제어계의 상태 외란 모의시간 및 방법
없음. 부하를 준정적상태로
정태 안정도 고려하지 않음 정적 모의
증가

조속기, 여자기의 계통의 기하학적 변화를 3~5초이내의 과도적


과도안정도
동작을 고려 초래하는 큰 고장을 적용 응답

기하학적 변화가 없는
미소신호안정도 상동 eigenvalue 해석을 적용
미소한 외란을 적용

수십초~ 분단위
단순한 제어계
중장기안정도 큰 외란을 적용함 모의하여 전시스템의
모형을 고려
응답상황 모의

단순한 전압관련 분단위 모의로


전압안정도 준정적인 부하의 증가
모형 사용 전압붕괴의 여부를 관찰

2.2 안정도 분석

2.2.1 전력원선도와 전송전력한계


전력계통의 안정도는 일차적으로 전력시스템이 에너지를 접속한 부하에 전송할 수 있는 능
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회로의 전력조류와 전력전송한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

Ps + j Qs        

 
그림 1. 송전계통 모형

수전단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 또는     
        (2.1)
     

30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수전단 전류  은

 ∠  ∠
      ∠ ∠    (2.2)
  

이를 (2.1)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단,   
    ,
 
  tan    tan       ,
 
    

이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리하면

    cos      cos (2.4)


  sin    sin (2.5)

로 되며, 이를 Y = G -jB의 컨덕턴스와 서셉턴스를 적용하여 정리하면

    cos  sin   (2.6)


    sin   cos   (2.7)

로 되는데, 만약 R = 0, G = 0 B = -1/X를 적용하면 (2.6), (2.7) 식은



    (2.8)

 
     (2.9)
 

로 계산된다.

3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따라서 전송최대전력은


 max   (2.10)

이 된다.
만약 R 이 0 이 아니면, 최대 전송전력은   을  에 대해 편미분하여 0이 되는 지점을
찾으면 되므로 이때의 값은

 max      (2.11)

로 주어진다.

(2.4)와 (2.5) 식을 다시 쓰면

    cos    (2.12)

    sin    sin   (2.13)

따라서 이를 제곱하여 더하면 다음 식이 된다.

   cos      sin     (2.14)

이 식은 중심이 (     cos ,    sin )에 있고 반경이  인 원이 되며, 횡축


에는 유효전력, 종축에는 무효전력값인 다음의 원선도가 된다. 단     

32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그림 2. 송수전단의 전압이 일정한 경우 수전단 전력

만약 송 수전단에 동기기가 접속되어 있다면, 양단의 송수전 전력의 한계는 발전기의


동기가 유지되는 한계가 될 것이며, 이 한계를 안정한계라 한다. 정태 안정한계는 부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켰을 때, 수동으로 여자기를 조정하여 시스템이 동기를 상실하지 않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한계를 말한다. 여자기 조정이 없는 경우는 그림 2의 Pmax 값이 정태극한
전력이 된다.

2.2.2 조류계산

그림 2.1의 계통에 대해   ,   및   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   ,  ,   및   를 구하여


본다.

A. 직접해

   
    


3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5)
 

여기서          


식 (2.15)에서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를 만족하는 수전단 전압   은


   ±        
 

과 같이 계산되며,   을 이용,  는 (2.15)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반복계산법 (뉴턴법)
식 (2.6)과 (2.7)을 다시 쓰면,

    cos  sin      (2.16)


    sin   cos      (2.17)

이 식들의 두 변수     에 대한 미분값은

34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8)
∂ ∂ 

    의 초기값이     로 주어진 경우 지정 부하값     에 대한 오차


      은

               (2.19)

             

이 mismatch에 의해 발생하는       은


       

 
          (2.20)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의해 구해지며, 갱신된 전압과 위상각은

     (2.21)

         

으로 수정된다. 이 개선된 값을 다시 식 (2.16)에 적용하여      을 구하여 오차값을 수정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수렴된 전압값과 위상각값을 구할 수 있다.

초기값      의 결정
뉴턴법의 좋은 수렴결과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이 G=0, cos  =1, sin   를 가정한다(대개
G,  는 매우 적다) . 또 전압      ≒  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에 의해      는 식
(2.16), (2.17)에 의해

 
       (2.22)

3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              (2.23)

으로 얻을 수 있다.

문제 1) 그림 1에서             인 경우          를 구하라.

문제 2) 그림 1에서             일때          를 구하라.

2.2.3 정태안정도

무한 모선에 연결된 동기속도로 회전하며, 계자전류가 일정하고 자속 포화가 없는 그림 3과


같은 원통형 동기발전기를 고려해보자.

 ∠  ∠
 E



 
     
 

그림 3. 무한모선에 연결된 원통형 동기발전기

와 는 전기자 저항과 동기리액턴스, E 는 발전기 내부전압이다.


이 경우 발전기에서 전달되는 출력 P 는

 sin 

      
 (2.24)


  
  
  


  tan     


36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보통    이므로 를 무시하면 발전기의 출력은 식(2.8)과 같이


    (2.25)


로 된다. 따라서 E 와 V 가 고정되었다면 최대전력은


max   (2.26)


이다. 이것이 동기발전기가 무한 모선에 접속되어 있고 계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때의


최대 출력이며, 이 이상 출력을 증가하려 하면 동기가 상실된다.

문제) 원통형 발전기가 다음과 같이 무한모선에 연결되어 있을 때 전력-위상각 특성을 계산


하여라. 무한모선의 전압 V는 1.0∠0 pu 이고 발전기 내부전압 E는 단자에서 출력P=1.0
pu 일때 1.0 pu이 되는 전압이다.

∠    ∠

 

그림 4. 무한모선에 접속된 원통형 동기 발전기

정태안정도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증가할 때의 안정도로서, 계통의 다른 요소들의 자


연주파수나 부하변동에 응하여 자속이 변하는 비율에 비해 늦은 변화에 의한 안정도이다.

A. 정태안정도 한계
발전기가 전달할 수 있는 최대전송전력은 발전기의 계자여자에 따라 좌우된다. 여자기는
계통운전조건에 좌우된다. 발전기는 보통 단자전압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제어
된다. 만약 부하가 천천히 변화하여 정상상태가 유지된다면, 여자기는 발전기 단자 또는 계

3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통전압을 미리 지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발전기의 정태안정도 한계는 부하의


점진적 변화시 여자기가 부하가 변하여도 단자전압을 정상값으로 유지하는 조건에서의 최
대전송전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자기의 제어는 부하변동이 일어나면 전압을 조정하므로,
계자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하를 점진적으로 증가했을 때 안정한계를 정태안정도라
하며, 만약 부하가 변동했을 때 바로 이어 전압조정기가 동작하면 그때의 안정도 한계를
동태안정도라 한다. 동태안정한계는 따라서 정태안정한계보다 크다. 동태안정도의 한계는
자동전압조정기 운전에 따라 다르다.

예제) 다음 그림과 같은 계통과 페이저도를 고려해 보자. 운전조건은 발전기 단자와 무한


모선에서 1.0 pu 의 전압이 유지되는 것으로 하며 자기포화를 무시한다.

∠    ∠

 

그림 5. 무한 모선에 연결된 동기 발전기,     

 



 


그림 6. 페이저도

38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0 초기 부하에서, 발전기 여자는 1.0이다. 따라서 전송전력 P 는

  × 
        sin

  

이때 상차각    이 됨은 물론이다.

초기전력을 증가함에 따라 초기여자도 같이 증가한다. 예를 들면, 초기출력 0.5에서 여자


전압 E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발전기 단자와 무한대 모선에서 전압 1.0 pu를 만족시
킨다(그림 6 페이저도 참조).
이 때 E 의 값은 V와 V간 상차각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sin   를 얻으며, E =1.24 pu 가 된다.

문제) P = 0.5 일때 위의 E에 대해 검토하여라.

전력-상차각 관계는
 × 
     sin


문제) 초기 전력수준 0.70, 0.75, 0.80, 0.85와 0.90에 대해 전력-상차각 관계를 계산하여라.
   × 
계산 례 : 1)            
     

3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1
0.9
정태안정도한계 초기운전점의궤적
0.8
0.7
0.6
p=0.80
0.5
P=0.90
0.4
0.3 p=0.5
0.2
0.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상차각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1 1 1 1 1 1 1 1 1

그림 7. 일정계자여자를 할 때 전력-상차각 특성

B. 2기 계통에서의 정태안정도
많은 정태안정도 문제는 2기 문제에 포함된다. 예컨대, 주 계통에 전력을 전송하는 원격
발전소은 보통 등가 동기기로 두고 2기 문제로 취급한다.
수전계통에 작용하는 총 3상 단락전류를 일으키는 리액턴스 값을 수전 계통의 등가리액
턴스로 취급한다. 안정도 한계를 결정하는데 도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  ∠

 
  

그림 8. 등가 2기 계통



한계값에서   tan    이고        이다.


 가 수전단이 정태안정도 한계에 도달하면 음이 되는 것을 주의함.


40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시스템의 운전상태에 의해 추가 조건, 즉 등가 발전기와 모터의 송 수전단 단자전압이


부과된다. 도형 방법을 쓰면, 안정한계는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류 I에 대한 기준 방향을 선택한다.        , 그리고   의 페이저를 편리한


크기로 그림과 같이 그린다. 이 그림에서 1, 2는 발전기와 모터에서 맨 마지막의 부하 증
가분이 추가되었을 때 전압이 유지되는 점들이며, a 와 b 는 발전기와 전동기의 단자전압
이다.

그림 9. 안정한계 결정을 위한 도형방법의 예시

페이저도의 원점 정하기 : 1, 2 점을 직선으로 잇고 이선의 중간지점 M에서 수직선을 긋


는다. 선 2b 를 연장하여 M과 수직선과 만나는 점 P를 구한다. P를 중심으로 점 1과 2를
통과하는 원을 그린다(반경은 P2). 두 개의 원호 중, 큰 호의 임의의 점 O는

    tan      을 만족한다.

전압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점 O는 Oa 와 Ob 가 단자전압와 의 비율에 있는 원호
상에 있어야 한다. 이는 a와 b가 중심과 반경에서 Va/Vb 비율로 된 일련의 점들을 결정함
으로써 될 수 있다. 원호가 갖는 이런 점들의 궤적은 페이저도의 원점을 정의함으로써 완벽

4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하게 결정된다. 도형의 척도는 발전기와 전동기의 단자에 있는 지정전압 와  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 형 회로이면 시스템은 그림에서 테브난 등가회로를 취하여 선로정수를 변환하면
된다.

그림 10. 병렬 커패시턴스를 포함하는 2기 계통의 등가회로

그림 11. 그림 13의 테브난 등가회로

위와 같이 변환하고 나면 그림 (1.12)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 ′ ′
문제)       의 값을 구하여 보아라.
만약 선로 저항을 무시하고 송수전단 전압이 같다고 가정하면, 그림 12는 다음과 같이 된
다. 정상상태 안전한계에서 는 90도이다.

42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그림 12. 그림 12에서 저항을 무시한 경우 간략한 도형

문제) 그림 15에서 최대 전력을 구하여라.


      
max 
         


(힌트:    ×  max   를 사용)

n 기 계통에서의 정상상태 안정도 판정조건의 응용


1기 무한대 계통의 정상상태 안정도 판정기준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정

태안정하다는 것은 동기화력 상수  가 운전점에서 양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

다. 이 기준을 다기계통에 확장하는데는, 계통에 있는 발전기에서 미소 부하의 증분에 의한
부하의 분배를 가정한다. 보수적인 정태안정한계는 부하의 증가가 오직 한 기기에서 생긴
것으로 가정하면, 다른 한 기기에 의해 발전이 추가되며, 다른 나머지 기기들은 일정 출력
으로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이를 계통에 있는 모든 기기에 대해 수행하고, 모든 경우에서 동
기화력계수가 양수인 것이 판정되면, 시스템은 운전조건하에서 안정하다고 할 수 있다. 보
통 2기계통에서 가장 큰 위상각 편차가 부하가 걸릴때 평형되면, 이 두기가 최소 안정하므
로 이 계통은 안정하다. 모든 다른 기기들은 일정전력기기로 취급한다. 부하가 걸린 기기와
평형을 이루는 기기를 1과 n으로 번호를 매기면,  과 은 안정을 위해 양
수이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4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가정된 부하와 운전점에서 발전기의 내부전압을 계산한다. 계통망은 축약되어 기기내부모선


만 남긴다. 기기  의 전력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     cos

      sin     

는 축약된 어드미턴스 행렬값이다.


          으로 두면

따라서 다음의 행렬로 변환된다.

(2.27)

위 식에서   은 모든 행렬 요소와 우벡터를 알므로 계산된다.

44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2.3 과도안정도 해석

2.3.1 과도안정도
과도안정도는 큰 외란에 대해 전력계통이 동기를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큰 외란이
작용하면 전력계통 스윙방정식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해석상의 장애가 있으므로 이를 시간
영역에서 Runge-Kutta적분법 등의 수치해석법을 사용하거나, Lyapunov 에너지함수를 써서
유입 에너지량에 대한 에너지내량을 평가해 안정도를 판정한다.

2.3.1.1 등면적 기준
등면적법은 가장 쉽게 안정도를 이해할 수 있는 도식적 해석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1기 무한대 및 2기간의 안정도 해석에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무한 모선에 연결된 동기기가 있다고 하자.


이 기기의 동요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 (2.28)
 


  



            (2.29)
   

스윙방정식의 에너지 형태는 양변에 시스템주파수(축회전속도)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2.30)
   

양변을 시간에 대해 적분하면

  
    
   

    (2.31)

4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 



    
    (2.32)

이 방정식은 동기기의 상대속도를 계산한다. 안정도에서 위상차의 속도는 시간에 대해 0으로


수렴해야 하므로


  →∞



  
   

평형점에서 운전하고 있는 동기기를 생각하자. 전력각    , 전기적 부하   


일때 기계적 입력이 갑자기 증가하였다고 하면,    로 되어 가속력이 발생하고
과도한 에너지가 회전체에 저장되면서 주파수가 증가하고, 상대전력위상각이 시간에 따라
벌어진다.


    
     (2.33)

  



    
     (2.34)

46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그림 13. 1기 무한대모선에서 동요의 등면적법 이해

이 결과, 회전체는 최대 각까지 스윙하며, 이때 가속에너지 영역인 A1은    곡선의 감속


영역 A2와 동일한 각도로 될 때까지 상차각이 증가한다. 이 개념을 등면적법이라 한다.
이 위상각은  와 max 간을 고유주파수로 진동하게 된다.

2.3.1.2 등면적 기준 - 

그림 14. 1기 무한대 등면적법에서의 최대외란 한계

초기 위상각 에서 기계적 입력이 증가되어  으로 되었다면 이때 최대허용 기계출력

4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의 증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m ax
       
maxsin   
maxsin   max   

 max     max cos  cosmax 

  maxsinmax 이므로 이를 적용하면


max   sinmax  cos  cosmax (2-35)

  maxsin (2-36)

함수가 max에서 비선형이므로 Newton-Raphson 방법으로 해석한다.

2.3.1.3 3상고장에서의 등면적법

그림 15. 모선에서의 고장시 등면적법

위와 같은 계통에서 초기 위상각  에서 운전중인 때, 1번 모선의 고장에 의해 전기적


출력이 0으로 떨어졌다면 등면적법에 의한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m ax
 
  
maxsin    (2-37)

48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      max cos  cosmax    max    (2-38)



cos   max     cosmax (2-39)
max

2.3.1.4 임계제거시간
3상 고장이 지속될 경우, 계통의 과도불안정을 초래하지 않을 최대차단시간을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 운전점  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 임계제거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림 16. 등면적법에 의한 고장제거시간의 계산

 
       ←   (2-40)
 


 
  

   (2-41)


  
 
  
     

 (2-42)

4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      (2-43)


따라서 임계제거시간은


  
    
  
 
(2-44)

로 주어진다.

2.3.1.5 3상 고장이 선로에 난 경우

삼상고장이 선로에 나서 고장시 새로운 전력-상차각 곡선을 그릴 경우 등면적법에 의한 해


석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7. 선로중간사고시 등면적법에 의한 안정도

이 경우 임계고장제거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50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그림 18. 임계고장시간

 m ax
      

maxsin   
max sin   max    (2-45)

따라서
 max     m ax cosmax  m ax cos
cos  (2-46)
m ax  m ax

2.3.2 비선형 방정식의 해석


과도안정도 해석은 일련의 미분방정식을 시간영역에서 풀이하는 것으로 시스템함수가
  or    로 주어진 경우, 시간영역의 해인    또는    를 찾는 것이다.

일련의 미분방정식을 적분하는 방법은 선형방정식들을 라플라스 변환을 거쳐 풀거나, 비선


형방정식들을 수치적분해인 Taylor series, Euler 방법, Runge-Kutta 방법 등에 의해 풀이
한다.

A. Taylor Series에 의한 오일러방법


     인 미분방정식을 생각하자.

이 방정식을    에서 전개하면

5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테일러급수의 1차만을 사용하면 Euler method이 된다.

        ′      (2-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8)

그림 19. 오일러 법에 의한 적분

52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B. Runge-Kutta 법


                 (2-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


     
 
      

2.3.3 전력방정식에 대한 적용
다음의 모든 발전기에 대한 전력방정식은


  
      
 



   이라하면

      
      (2-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3)

5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그림 20. 적분 결과

2.3.4 해석과정

1) 초기조류계산을 풀어서 모선의 전압과 위상각을 구한다.

2) 발전기의 고장이전 전류를 구한다.



 
    
(2-54)
  

3) 과도리액턴스 배후전압을 구한다.


 ′
            (2-55)

54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4) 모든 부하를 등가어드미턴스로 변환한다.


    
    
  

5) 발전기 모형을 전력망의 모선어드미턴스행렬과 변환된 부하와 결합한다.

(2-56)

6) 행렬에서 망 모선을 제거하기 위해 kron 축약을 한다.

(2-57)

7) 기기의 여자전압, 출력을 수식화 한다.

(2-58)

8) 초기조건을 설정한다.

(2-59)

5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9) 기기 관성정수들을 시스템의 power base로 설정한다.

  
       


10) 고장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미분방정식들을 푼다.

(2-60)

11) 고장 이후 상태에 대해 시스템의 망방정식을 푼다.

(2-61)

56
송전계통 안정도 분석

예제) 3기 계통에 대해 #1 발전기를 고정 위상각 0 인 스윙으로 잡은 후, 고장이 6번모선


에 인접한 5-6 선로에 나서 0.4와 0.5초에 제거되었을 때 시스템 안정도를 결정하라.

그림 21. 0.4초에 제거한 경우 그림 22. 0.5초에 제거한 경우

57
송전계통의 운영
송전계통의 운영

3. 송전계통의 운영

3.1 효과적인 송전계통의 운용방안

효과적인 송전계통의 운영은 크게 두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전력수요에 응하여 경제성이 높은 발전력을 배분하고 이를 손실이 적은
송전망을 통하여 수송함으로써 전력수송의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다. 과거 송전선로만에 의해
운용되던 시절에는 발전력의 배분과 스위칭에 의해 선로를 조작함으로써 전력조류를 제어
해 왔으나, FACTS, HVDC 와 같은 전력전자기술의 도입에 의해 능동적인 송전조류제어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전력의 품질측면으로 전력계통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규정전압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운용하는 것이다. 전력망은 국토의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태풍, 선로에 이물
접촉 자연열화 등 자연적 재해가 많이 작용하게 된다. 이런 외란에 의해 일정수준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로 및 계통의 안전성기준을 정밀화하고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하여 사고의 요인을 미리 검출해서 예방조치를 하여야 한다.
특히 송전망의 이상상황에 대한 진단은 송전망의 광역성과 고전압 대용량의 특성으로 직
접 측정이나 시험에 의해 특성과 외란에 대한 대응방안을 알기 어려우므로 수리모형에 의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송전망의 정밀한 운영을 위해서는 컴퓨터 모의를 위한 제반 선로정수의 표준화,
고장 및 사고에 대한 확률적 취급을 위한 데이터 정비는 기본 사항이며, 전력망의 이상상
황을 분석하고 대안을 수립할 수 있는 전문가와 관리체제가 주기적으로 활동하여야 한다.
전력망의 통합적인 경제성과 안전성을 취급하기 위하여 전력회사에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두어, 전 전력망에 있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태추정을 하여 정밀한 운용정보를 운전원에 제공함은 물론, 수요예측을 매 5분
간마다 실시하여 계통의 수요변화에 따른 급전업무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실시간 해석도구
로서 경제급전(ED), 온라인조류계산(LF), 최적조류계산(OPF)등을 수행하여 경제적인 급전을
추구함과 동시에 전력망에 작용하는 각종 외란에 대해 안전성과의 조화를 기하고 적절한
전력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압제어의 기능, 예비력 관리기능 등을 두어 운용하고 있다.

6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3.2. 송전계통운영을 위한 국내외 기술 수준

3.2.1 국내기술수준

우리나라는 1960년 이후 경제성장에 발맞추어 본격적인 전원개발과 함께 송전망이 구성


되었으며, 세계 유례없이 짧은 시간에 전국토에 걸쳐 전력을 고품질로 공급하는 전력망을
확충하였다. 전력의 품질과 전력단가는 세계의 최상위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짧은 기간
내에 대규모전력망을 다중환상망으로 확충한 결과, 선로 이용율 저하와 과투자로 인한 유지
보수비의 증가 및 이로 인한 고장전류의 증가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신규설비의 도입으로 동서울, 영서, 북제주, 강진 등에 FACTS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주와 연계하는 HVDC 2회선이 가설 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대부분
이 턴키 기반으로 설치된 결과, 정밀 기기 운용에 수반되어야 할 고급기술 확보와 유지보
수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80년에 비하여 약 9배 정도로 증가한 전력설비들과 고급
산업의 민감한 부하들에 대해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와 기준의 미비로 전력
운용의 오차가 큼은 물론 이로 인한 비용지출이 증대하고 있는 점으로, 국가 수준에서 정
기적으로 전력서비스의 수준을 관리하고 소비자가 이를 모니터링하며, 해당 기술기준을 만
족시킬 수 있도록 시장을 개설하여 전문가들이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이상기온으로 인한 부하의 동요범위가 증가하고 있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전력망의 원활한 운용에 지장을 주는 전원들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그리드화에 따른 양방향 전력수수와 전기자동차 보급으로 인한 새로운 부하
패턴의 발생으로 전력망 전체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예측과
계산 및 안전성 관리 기능을 크게 확충하여야 하겠다.

3.2.2 국외기술수준

전력의 역사가 오래된 유럽, 미국, 일본은 각각 그 특색이 있는 전력망을 개발, 발전시켜
왔다. 유럽은 ABB, Siemes, Areva 등 훌륭한 중전기업들과 KEMA 등의 시험 엔지니어링
기관들이 송전분야의 Hardwar 및 software기술들을 선도하여 왔다. 1990년 이래 유럽은
적극적인 탈탄소. 탈원전 및 신재생에너지의 채용으로 전력 공급체계를 크게 개선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련한 기술로 신재생 및 효율화와 관련된 해외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 또한

62
송전계통의 운영

유럽제국을 50Hz의 주파수로 연계하여 Supergrid 화 하는 프로젝트가 현재 추진 중에 있


어 유럽 단위의 전력융통으로 자원효율화 및 에너지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미국은 광활한 국토에 동서 해안에 집중되어 있는 인구로 동서를 잇는 장거리 송전선로
및 캐나다와 멕시코를 잇는 연계선로가 운용되어 왔으며, 일찍이 이로 인한 많은 송전선로
의 안정도 문제를 경험, 해결하여 왔다. 또한, 컴퓨터를 응용한 시스템화 기술도 일찍이
발달하여 다양한 전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회사들이 해석용 도구를 개발, 시장에 제공하
고 있으며, 정밀한 신뢰도 기준과 전력시장의 발달에 힘입어 전력엔지니어링이 발달하여
Siemens PTI, Burns-McDowell 등과 같은 우수한 엔지니어링 기업이 많이 있다.
그러나 1996년부터의 미 서부 대정전과 2003년도의 뉴욕 대정전으로 인해 전력시장의
확대속도가 주춤해지면서 FERC 를 중심으로 신뢰도위원회(NERC)를 새로이 개편, 정밀화하
고 있는 상황에 있다.
신재생 분야는 오바마 정권 이래 지구온난화와 이산화탄소 경제에 대응하기 위해 서부
대평원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설치하고 동서 전력망의 연결을 공고히 하는 프로젝
트를 진행 중에 있으며, 초전도기술의 전력응용에도 투자하여 138kV 송전급 초전도 실증선
로의 운용, 택사스와 타주의 신재생에너지를 연계 융통하기 위한 Tres-Amigas Project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10개 전력회사가 수직통합형으로서 각 지역을 전담하고 있으며, 50Hz와 60Hz가
동경을 중심으로 나뉘어져 운용되고 이를 BTB 장치에 의해 연계 운용하고 있다. 전력망
구조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고기뼈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효율적인 전력망 투자와 운용을
하고 있다. 전력회사의 자체 연구소와 전력중앙연구소(CRIEPI)간의 협조에 의해 전력망의
계획 및 운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자체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이후 원자력 발전에 대한 사회의 배척으로 신재생 특히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원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으며, 전력시장의 조기 활성화에 의한 수요관리 및 효율화에 향
후 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다.

6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4. 9.15 순환정전에 대한 교훈

9월 15일 15:10분부터 19시56분 사이에 발생한 지역적 순환정전은 서울 기온 30도를 기준


으로 예측한 최대수요 6,400만 kW에 대해 실제 수요가 506만 kW 초과한 결과 운영예비력
469만 kW로 감당하지 못하여 계통붕괴를 저지하기 위한 긴급조치로 실행되었다.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 진행과정
표 1. 정전 진행과정

예비력[MW] 발생 상황 대응조치 부하감축효과 주파수


[MW] [Hz]
10:50 4000 이하저하
11:35 3000 이하저하 11:30 탭 2.5% 조정
11:55 4000 이상 12:50 MTr탭 수동운전 1,000
13:05 4000 이하저하
발전기입찰량-실제발 주파수저하
13:10 3000 이하저하 전량 오차발생 실운영예비력: 1,830MW -1170 시작
1,170MW
13:25 2000 이하 실운영예비력: 830MW
13:35 1000 이하 실운영예비력 (-)
13:46 59.7
13:55 충주수력#2가동불가 -115

14:01 자율절전(950) 330 59.9


직접부하제어 조치(890) 650
14:24 59.4
보령복합#3G/T고장정
14:35 실제예비력 500이하 지 -220 59.5
14:55 주파수 회복 59.9
15:11 긴급부하조정 C-10 1000 59.8
청송양수 발전정지 -600
15:25 보령#3G/T 병입 220 59.45
15:27 긴급부하조정 C-20 1000 59.9
15:35 긴급부하조정 C-30 1000 60.0
15:50 삼랑진양수발전정지 -600 59.5
대산복합#1 정지 -9.1
15:51 긴급부하조정 C-40 1000 59.95
16:00 무주양수발전정지 -600 59.25
양양양수일부정지 -750
16:11 긴급부하조정 C-50 1000 60.0
16:25 양양양수 발전정지 -250 59.95
16:30 산청양수 발전정지 -700 60±0.1
16:47~ 순차적 긴급부하조정
19:56 해제

64
송전계통의 운영

나. 논의점

1) 수요예측 오차 - 지역별 기온상승에 대한 부하민감도 적용 필요


다음 그림 1은 전국 주요도시의 2010년과 2011년 9월 15일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당일 실제 최대부하는 67,632MW(13:45)으로 수요제어 5240~6550MW(탭조정 1220MW,
자율절전 330MW, 직접부하제어 5단계 5000MW)를 고려하면 72,882~74,182MW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어 전일예측값 64000MW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그림 2는 9월 15일 각 지
역의 온도로서, 기온의 상승에 따른 주된 전력소비 증가를 냉방부하로 잡으면 온도민감도는
최소한 3000MW/도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1. 2010/2011년 9월15일 각지역 그림 2. 2011년 9월 15일 각 지역의


온도차이 온도

2) 공급예비력 산출 방법 - 예측오차, 부하 및 발전력의 동특성과 양수발전 한계 감안 필요


현행 전력계통의 예비력 구분은 크게 주파수 유지를 위한 주파수조정예비력과 대기예비력,
대체예비력 및 운영예비력 초과정지 예비력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9월 15일 적용된 예
비력 계획기준은 다음과 같다.
공급가능용량
전력수요 예비력

최소확보기준 4000 MW(운영예비력 : 2시간


①1000 ②1500 ③1500
내 확보)

2시간 내 이용 불가능 예비력(운영예비력


④202
초과정지 예비력)

6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당일 부하의 최대 증가율은 약 2000MW(13:00~13:15분 사이 133MW/min)로 추정되며


탭 조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 30분간 최대 증가량은 약 4000MW(13:00~13:30)에 달한다.
그 결과 운영예비력 4000MW 중 20분내 응동 가능한 대기예비력을 1500MW 초과함으로써
탭조정 시행 후에도 지속적인 주파수 저하를 초래하였다. 주파수 저하율은 0.1Hz/25min
~0.65Hz/6min였다. 또한 이상온도상승에 따른 누적수요예측오차량이 커져 제어역할을 하
던 양수발전능력 소진으로 순환정전이 불가피했던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3) 수요관리 자원의 실효성 있는 활용


09월15일에 활용된 수요관리기능은 자율 절전(950/330MW)과 직접부하제어(DLC :
890/650MW)이다. 지정기간수요조정제도, 주간예고수요조정제도, 수요자원시장 등 활용가
능한 제도가 있었으나, 적절한 예고기능이 수행되지 못하였다. 수요관리와는 구분되지만
수요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으로 OLTC의 탭 조정이 있으나 이 효과에 대한 근
거는 과도안정도 부하모형에 기반한 것으로 자동온도조절기가 있는 냉방부하에서는 부적절
하므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다.

4) 계통 안전성제어 기능
부하의 급증, 발전기/송전선로의 탈락 등에 의한 계통의 이상상태에서 새로운 안정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계통 비상상태를 조기 판정하고 필요한 비상제어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EMS-MOS 시스템이 운영되어야 한다. EMS의 안전도개선(SENH) 기능은 정상 및 상정계통
의 안정운용 방안을 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0915에서는 유효하지 못하였다. 예상시나리
오와 off-line 분석에 의한 안전성 대응책도 불충분하였다. 단, 저주파수에 의한 원전불안정
등 발전력 탈락위험의 보고를 받고 부하차단을 지령한 것은 계통전체의 확대 붕괴를 막은
적절한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전력계통망의 증대, 디지털 정밀산업의 발달로 인해 정전으로 인한 피해가 점증하는 현
시점에서 계통계획 및 운용의 경제성을 강조하는 의사결정 메커니즘에 전력망에서 요구하
는 일정 수준의 확률적 안전성 신호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결정구조가 보완될 필요
가 있다.

5) 계통 운용 정보의 관리, 오차의 최소화 대책, 기관간 협조체제


전력계통의 각 부분인 발전소, 송전망, 부하의 운용 시에 발생된 예측 상황과 실제상황
간의 오차는 그 크기에 따라 경미한 경우는 계통의 여유용량에 흡수될 수 있으나 상황이

66
송전계통의 운영

긴박한 경우는 큰 위기를 초래하게 되며, 이들은 모두 비용으로 처리되어 사회적 부담으로
환원된다. 따라서 전력정보 각 부분 - 수요예측, 연간발전계획, 발전설비계획, 송변전설비계
획, 입찰량과 실제출력, 수요관리 등-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오차관리체제
확립은 물론, 이를 진단하고 사회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개선하는 절차 및 시험, 데이터 관
리, computer simulation 등의 Software Engineering 기술/기능을 확대 보강하여야 할 것
이다. 0915 당일 입찰용량과 실제 발전출력총합 간의 1170MW의 오차는 운영예비력 저하
를 가져와 부하차단의 폭을 한단계 증가시킨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전력망의 운용을 분담하는 주체들 간의 정보가 전력계통의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
응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하겠으며, 특히 비상시 시스템의 위기상황에서 구제 가능하도
록 3기관 간 일관된 협조제어체계가 시스템화, 자동화 및 정밀화되어야 하겠다.

다. 교훈
정전은 현대문명사회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재난으로 그 피해가 심각하다. 본고에서는
1965년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세계적인 대표적 정전들과 그 시사점들을 고찰해보고 2011
년 9월 15일,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순환정전의 경과들을 제한된 자료에 의거, 우선 정리함
과 함께 배울 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1) 정전은 이상기온, 지진, 태풍 등 자연환경의 영향과 전력수급 불균형, 전력망 구성요소


들의 고장, 상황인식부족 및 운전원의 부적절한 조작, 시장화에 따른 경제성-안전성과의
통합 제어기능 미비 등으로 발생한다.

2) 자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정전의 영향을 간과하기 쉽지만 한번 발생하면 사회 및 산


업경제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므로 그 영향에 상응하는 안전성을 갖출 수 있도록 주
기적 진단과 평가가 수행되고 보강되어야 한다. 그 교훈으로는 계획/운용기준 보강, 협
조와 협력, 제어일관성 유지, 전력정보분석의 강화, 온라인/오프라인 Study 강화, 기준
이외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 강화, 확률적 모형의 도입, 인간실수의 최소화 등이다.

3) 동경대정전은 이상기온과 빠른 부하상승(400MW/min)에 부응하는 무효전력 수급불균형


으로 발생한 반면, 0915 순환정전은 수요예측 부정확, 빠른 부하상승(2000MW/15min)
에 따른 단계적 예비력 공급부족, 장시간 지속된 초과수요전력량에 대한 발전량(양수)
수급부족, 수요관리 지연 등 유효전력 수급불균형으로 발생하였다.

6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4) 발전력 및 부하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와 관리로 발생한 예비력 오차가 정전으로 이어졌
으므로, 전력정보에 대한 오차의 기준과 피드백을 통한 수정이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5) 전력 정보의 관리, 정전/품질 피해보상체제, 수요관리, 요금구조 등은 전력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매커니즘으로 전력의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
도록 설계 조정되어야 하며, 시험과 모의를 통하여 최소한의 오차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정밀도를 갖는 전력기술기반이 기금에 의해 조성되어야 한다.

68
분산전원 배전계통 일반
분산전원 배전계통 일반

전력계통의 주요 구성체계는 발전, 송전 및 배전계통이며, 이 중 배전계통은 배전용변전


소로부터 주상변압기 1차 측까지 이르는 1차 배전계통(Primary Distribution System)과 주
상변압기 2차 측부터 수용가 인입구까지 이르는 2차 배전계통(Secondary Distribution
System)으로 구성된다.
본 장에서는 1절~2절에서는 1차 배전계통과 2차 배전계통의 기본구성과 특성, 3절에서는
배전계통의 전압조정 체계와 전압강하, 4절에서는 오늘날 배전계통에 접속되는 분산전원의
개념과 위상과 배전 계통의 안정화와 전력품질 향상을 위한 전력저장 시스템 소개, 5절에
서는 이로 인하여 분산전원이 기존의 배전계통 운용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의 6절에서는
배전계통 품질 유지를 위한 전력변환장치에 채용되는 순시 이론과 그 적용에 대해 기술하
기로 한다.

1. 전력계통의 구성

그림 1.1은 전력계통의 기본체계를 나타내고 있다. 발전소에서는 석탄, 가스, 우라늄, 오일,
물, 바람과 같은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데, 특히 3상 동기발전기의 용량은
5MVA ~ 1,300MVA까지, 그 단자전압은 재료의 절연능력으로 인하여 작게는 수 kV에서
크게는 20kV에 달한다. 송전선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발전소 내에 있는 변전소에서 변압기
를 통하여 전압을 높여 송전전류를 작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전소 내부에 있는 변압기
및 모선은 차단기, 써지어레스터(피뢰기) 및 기타 보호장치들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다.
1차 송전계통(Transmission System)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하위의 2차 송전계통
(Subtransmission System) 및 배전계통에 전송할 뿐 아니라 전력회사들 간에 전기를 거래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차 송전계통은 3상 송전선로와 1차변전소(Bulk Power
Substation)로 구성되며, 그 전압범위는 230kV ~ 765kV, 또, 경우에 따라서는 직류송전선
HVDC, High Voltage DC Transmission)도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2차 송전계통은 강압변압기, 2차변전소 및 1차변전소와 배전용변전소를 연결시켜주는 2
차송전선로(Subtransmission Lines)로 구성된다. 때로는 2차송전선로는 대용량 산업용 수용
가에 차단기를 통하여 직접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2차송전계통의 전압범위는 69kV에서
138kV까지이다.
배전용변전소(Distribution Substation)는 2차 송전전압을 2.2kV ~ 46kV 범위에 있는 1차
배전전압까지 낮추어주는 강압변압기와 모선, 그리고 이들을 보호하는 차단기, 피뢰기 등으로
구성된다. 강압변압기의 2차 측에 차단기를 통하여 연결되는 1차배전선 -이하 간선(Feeder)

7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으로 칭함- 은 대개 여러 개로 구성되며 강압변압기의 용량은 15MVA ~ 200KVA의 범위에


있다. 또한, 배전용변전소에는 배전선로의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인 LTC(Load Tap
Changer) 또는 전압조정기가 변압기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대표적인 간선의 정격용량은 4.16kV 4MVA, 13.8kV 12MVA, 22.9kV 20MVA, 34.5kV
30MVA이며, 보통 퓨즈나 스위치에 의하여 여러 구간으로 구분된다. 간선의 각 구간에서는
퓨즈 및 리클로우저 (Recloser)를 통하여 연결되는 단상 및 3상 선로 -이하 지선(lateral)으
로 칭함- 에 의해 불특정 다수 분산되어 있는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특히 전기소
비량이 큰 산업용수용가 또는 상업용 수용가의 경우 피더 하나 전부를 전용선으로 받는 경
우도 있다.

그림 1.1. 전력계통의 기본구성 체계

72
분산전원 배전계통 일반

간선과 지선은 가공 또는 지중케이블의 형태로 도로를 따라 전주 등과 함께 설치되면서


수용가가 있는 위치에서 변압기를 통하여 100V ~ 480V 범위의 2차 배전전압으로 강압된다.
강압변압기는 가공선로의 경우에는 전주 위에, 지중케이블 경우에는 지상 및 지중에 각각
설치되며, 그 용량은 5kVA ~ 5,00kVA로 퓨즈나 리클로우저에 의해 과부하 및 고장으로부
터 보호된다. 이 변압기(이하 배전용변압기로 칭함)들로부터 2차 배전선로가 간선 및 지선
의 형태로 전개되어 주택용, 상업용 및 소규모의 산업용 수용가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지선으로부터 수용가 인입구에 이르게 되면, 먼저 전력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가 연
결되고 이후에 분전반이 연결된다. 이 분전반은 수용가 부하에 공급되는 전체 전기를 차단
할 수 있는 주차단기와 이로부터 병렬분기 되는 서너 개의 배선을 각각 차단할 수 있는 차
단기 또는 퓨즈로 구성된다. 병렬분기 되는 선로는 전등, 냉난방 기기 및 일반부하별로 구
분되어 전기의 효율적인 공급관리를 할 수 있게 해 준다.
전기에너지를 배전용변전소로부터 수용가 전력량계에 이르기까지 다음과 같이 2부분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 1차 배전계통 - 배전용변전소에서 수용가 사용 전압레벨로 전압을 낮추는 배전용 변


압기의 1차 측까지인 전압레벨 2.2kV ~ 46kV 범위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전계통

둘째, 2차 배전계통 - 수용가 사용 전압레벨인 100V ~ 480V 범위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


하는 배전계통

1차 배전계통의 배전방식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된다.


● 방사상 (또는 수지상) 방식
● 루프 방식
● 네트위크 방식

7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2. 배전계통의 구성과 운영방식

2.1 1차 배전계통

1차 배전계통의 전압레벨은 전 세계적으로 2.5kV ~ 50kV 범위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1차


배전전압은 22.9kV이다. 2.5kV 및 5kV급은 교류송전이 시작된 초기의 전압으로 이들은 점차
15kV급 이상으로 대체되고 있다. 특히 부하밀도가 높은 도심지 및 긴 선로를 갖는 농촌
지역의 경우는 이보다 더 높은 25kV급 및 50kV급의 배전전압이 적용되고 있다.
북미 및 우리나라의 경우 1차 배전계통은 3상 4선식 중성선 다중접지방식을 사용라고
있으며, 평형 운전 상태에서의 각 상의 전압은 크기가 같고 위상이 서로 120° 상차각이 나
있다. 또한, 3상 4선식 1차 배전계통의 중성선을 2차 배전계통의 중성선과 같이 연결하여
운전하는 공통중성선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배전용 변전소의 변압기 2차 측 결선방식
은 Y접지방식으로 하고, 그 중성선을 1차 배전선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접지시키고, 또한
2차 배전선로의 중성선과 같이 연결하여 배전용 변압기 및 수용가 인입구에서 접지시키는
공통중성선 다중접지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사고전류의 억제와 보호협조증진을
위하여 배전용변전소의 변압기 중성점을 약 1Ω 정도의 임피던스로 접지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3상 4선식 다중접지방식과는 달리 유럽 및 일본에서는 3상 3선식 델타방식의 비접지
1차 배전계통을 적용하는 곳도 있지만, 3상 4선식에 비하여 오래된 방식이며, 전압레벨도
비교적 낮아 활발히 확대 적용되지는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체 내부의 구내 배전
계통에는 많이 적용되고 있다.
부하밀도가 낮은 농촌지역의 배전계통은 보통 전주 위에 배전용 변압기, 퓨즈, 스위치 및
기타 설비를 구축한 가공선로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는 반면에 부하밀도가 높은 도시지
역의 경우에는 배전용 변압기와 개폐장치를 지상 및 지중에 설치한 지중케이블 방식을 채
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지중 주택용 배전방식(URD : Underground
Residential Distribution)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중케이블방식은 신뢰도가 높고, 날
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공선로방식보다 설치비용이 고가라는 것이 단
점이다. 1차 배전계통의 배전방식은 방사상 배전계통(Radial Distribution Systems), 루프
배전계통(Loop Distribution Systems) 및 네트워크배전계통(Network Distribution Systems)
으로 분류된다.

74
분산전원 배전계통 일반

2.2 2차 배전계통

2차 배전계통은 배전용 변압기로부터 수용가 계량기까지 전기가 공급되는 전기 계통으로


정의되며, 일반 주택지역에 대하여는 200V 단상 2선식의 공급방식이 적용되며, 비교적 용량이
큰 고층빌딩, 상업용 및 산업용 부하에 대하여는 380V 3상 4선식의 전기 공급방식이 적용
된다.
그림 2.1은 수지상 배전선로에 있어서 대표적인 주택용 수용가의 전압 프로화일을 보여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사업법에 근거하여 한국전력은 정상상태에서 수용가 인입
구 단자전압이 220V 공칭전압기준 ± 6%, 즉 233V ~ 207V 사이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그림에서와 같이 배전용 변전소에서 가장 가까운 수용가는 제일 높은 전압을 가지며, 배전
용 변전소에서 가장 먼 수용가는 제일 낮은 전압을 가지게 되므로 적합한 배전선로 설계방
법은 경부하 기간 동안에는 변전소에서 가장 가까운 수용가의 전압이 233V 보다는 작게,
중부하 기간에는 변전소에서 가장 먼 수용가의 전압이 207V 보다는 크게 함으로써 선로
전체에 있는 모든 수용가의 전압이 정상상태에서 220V±6%(233V ~ 207V) 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사업법에서 규정한 전압유지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병렬커패시터 및 배전용 변전용 변전소에 설치되는 부하시 탭절환 변압기 및 전압조정기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림 2.1 수지상 배전선로에 있어서 대표적인 주택가 수용가의 전압 프로파일(5% 전압강하구간)

7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2차 배전계통의 배전방식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된다.


● 수용가 전용 배전용변압기
● 2차 배전선(또는 2차 간선) 공통방식
● 2차 배전선(또는 2차 간선) 네트위크 방식
● 스팟 네트워크 방식

76
분산전원 배전계통의 운영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3.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일반적으로 방사상 배전계통의 배전용변전소는 그림 3.1와 같이, 하나의 주 변압기에는


4개~6개씩의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 : D/L)로 구성된다. 주 변압기의 용량은 보통
45/60MVA이고, 각 D/L의 용량은 10MVA 정도로 운용되고 있다. 배전계통의 전압분포는
배전용변전소의 송출전압과 주상변압기의 탭비, 고 ․ 저압선로의 전압강하, 고압선로의 구성
(긍장 및 용량), 수용가의 부하특성(공장, 주택, 상업, 농촌부하 등)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배전용변전소의 송출전압 조정으로,
이것이 적절하게 조정되지 못하면 다른 요인을 아무리 잘 조정해도 수용가의 전압을 적정
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또 다른 하나는 주상변압기의 탭 비이다. 주상변압기의 탭비는
220V의 공급전압을 갖는 배전계통에 대하여 5%이내의 전압강하 범위 내에서는
13200/230V를, 5 ~ 10% 사이의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12600/230V의 탭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 배전계통에 적용되는 표준전압은 특고압 삼상 상전압 13,200V(선간전압 22,900V)
이며, 저압의 경우 단상 220V(삼상 380V)이며, 전압유지범위는 특고압의 경우 선간전압
22,900V에 대해서는 20,800V ~ 23,800V, 저압 220V에 대해서는 207V ~ 233V(220V±
6%), 저압 380V에 대해서는 342V ~ 418V(380V±10%)이다.
수용가 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는 그림 3.1와 같다.

그림 3.1 배전계통의 전압조정 체계

7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3.1 LDC 전압조정방식

상기의 여러 요인 가운데 수용가 전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전용변전소의


송출전압 조정이다. 배전용변전소의 송출전압 조정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방식과
LDC (Line Drop Compensation)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프로그램 방식은 각 시간대
별로 타임스위치의 지정에 의해 송출전압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
하여 여러 가지의 송출전압을 얻을 수 있지만, 부하변동의 폭이 큰 경우 적절한 전압강하
의 보상이 어렵게 된다는 단점이 있자. 반면, LDC 방식은 미리 정해진 전압조정 요소(등가
임피던스와 부하중심점 전압)에 의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전류의 크기에 따라 고
압선로의 전압강하를 보상하여 송출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방식보다 급격한
부하 변동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DC 전압조정방식은 유사한 부하변동 특성을 가진 고압선로들로 구성된 뱅크에
만 효과가 큰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배전용변전소의 송출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대부분 ULTC (Under Load Tap Changing) 자동운전을 하고 있으며, LDC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부하특성이 다르거나 고압선로의 구성상태가 상이한 경우에
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림 3.2 LDC에 의한 전압조정방식의 개념

80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기존의 배전계통에는 대부분이 그림 3.2에서와 같은 LDC (Line Drop Compensator) 라


고 하는 전압조정 장치에 의해 주변 변압기 이하의 모든 배전선들의 전압이 일괄적으로 조
정되고 있다. LDC에 의한 전압조정방식이란 그림 3.2에서와 같이 부하중심점의 전압이 어
느 기준치   로 되도록 부하시 탭절환변압기(Load-Ratio control Transformer : LRT)의
탭에 의해 송출전압(Sending-End Voltage)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3.2 주상변압기

주상변압기의 탭 조정은 수용가의 전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배전


선로 주상변압기의 1차 탭은 5개로서 전압강하율이 10%이내일 경우 적정 탭을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주상변압기의 탭은 보통 피크부하(하계)시의 전압강하 5% 지점을 계산하
여 결정하고 있지만, 일단 한번 정해지면 정정하기 어려운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장
기간에 걸쳐 운용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계절별로 부하변동이 큰 고압 선로이거나 배전계통의 선로절체 작업 등에 의
하여 계통구성이 바뀌게 되는 경우, 탭을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 수용가에게 과전
압이나 저전압을 일으키는 중대한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 전압강하 구간
별 주상 변압기 탭 조정은 공급전압이 220V이며 5% 이내의 전압강하구간에 대해서는
13,200V/230V의 주상변압기 탭을 사용하며, 5%~10% 이하의 전압강하 구간에서는
12,600V/230V의 주상변압기 탭을 선정하여 사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주상 변압기의 탭
변경점 지정 운영은 배전선로 전압강하 계산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된 간선 및 분기선의 전
압강하가 5%인 지점을 주상변압기 탭 변경점으로 지정하고 회선별 단선도상에 블록단위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3.3 저압선로의 전압강하

국내에서는 배전선로의 전압유지를 위해 배전설비별 전압강하 배분한도를 정하여 배전선로


전압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특고압선로 및 저압설비에 대해 모두 전압강하율을
10% 이내로 유지되도록 전압조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가 전압강하 한도를 초과하
거나 초과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배전선로 보상을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저압선로의 전압강
하배분에 대해서는 주상변압기의 내부전압강하와 인입선 전압강하 그리고 저압선 전압강하
로 구성되며, 각각의 피크치를 기준으로 주상변압기의 전압강하를 2%, 저압선의 전압강하

8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6% 및 수용가 인입선의 전압강하가 2%로 규정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압 측의 10%


의 허용전압은 매우 큰 값으로 고압 측의 전압변동 폭을 크게 제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저압선로의 적정전압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들 전압강
하배분을 적절하게 검토하여 운용 기준을 재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압측의 10%의 전
압강하 배분은 연중 피크치를 기준으로 설정한 값이므로 오프 피크시나 계절별, 요일별로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피크/미들/오프 시간대)로 융
통성 있게 전압강하 배분을 선정하여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3.3 국내 22.9kV 배전계통의 전압강하배분한도

82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4. 분산전원의 개념과 위상

4.1 분산전원의 위상

분산전원이 그림 4.1과 같이 기존의 배전계통에 연계하는 형태로 도입될 경우, 이에 대한


현재의 시각과 장래의 전망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그림 4.1 분산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

■현재의 시각
종래, 전력시스템은 수요의 증가에 대해 전원의 대규모화로 대응해 왔지만, 최근 들어
에너지·환경문제와 더불어 대규모전원의 입지 확보 및 송전선의 루트 확보가 어려워져 가고
있어 장기적 전력수급의 안정성 확보에 불확실성이 예상된다는 것이 일반론이다. 이러한 상황
에서 분산전원의 배전계통연계 ·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으로서는

․ 대규모전원의 보완(전원계획상의 유연성)


․ 비교적 환경부하가 적은 에너지원의 이용
․ 다양한 에너지원의 효율적 이용
․ 배열이용에 의한 에너지효율의 향상(열병합, 연료전지 등)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부정적인 시각으로서는

․ 소용량의 전원
․ 불안정 전원(태양광, 풍력 등)

8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비경제성
․ 기존 계통의 전력품질 및 신뢰도의 저하
․ 계통운용상의 문제(보호협조, 안전, 보안)

등이 열거될 수 있다. 특히, 부정적인 시각의 비경제적인 시각의 비경제성을 살펴보면 일반


용발전기의 kWh당 발전단가(원자력 4.1원, 유연탄 49.4원, 무연탄 75.49원, 유류 268.4원,
LNG 154.3원, 이상 2012년 6월 전력거래소 자료)에 대해 태양광 711원, 풍력 107원, 연료
전지 300원, 수력 84원(2009년 에너지관리공단) 등과 같다. 또한, 계통운용상의 문제에 대
해서는 비전기사업자의 분산전원의 도입 시 그 도입계획, 운용, 제어에 대한 계통운영자의
권한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기술로 대처해 나갈 것인가 하는 난제를 예로서 들을 수 있다.

■장래의 전망
비전기사업자의 분산전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는 긍정적인 시각보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강하게 어필될 수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전기사업자의 분산전원을
자사의 배전계통에 전략적인 도입을 꾀한다면 대규모전원이 제공할 수 없는 장점 즉, 송배
전설비의 강화 및 투자비용의 증가억제 및 지연, 계통의 신뢰성 개선, 효율적 설비운용, 수
용가 서비스의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장차 전력시장의 개방에 대비한 발전시장부문에
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2 전력저장시스템

(1) 전력저장기술의 일반

■저장기술별 개용
에너지를 저장하는 형태는 방법에 따라서 열에너지, 화학에너지, 기계적 에너지 등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로서는 열에너지
저장은 축열, 화학에너지저장은 축전지, 전자기에너지저장은 콘덴서나 초전도 코일, 역학적
에너지저장으로서는 양수발전, 압축공기저장, 플라이휠저장 등이 있으며, 저장기술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84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1) 양수발전
지금까지 실용화되고 있는 유일한 전력저장 시스템이고, 전체의 전력계통 중에서도 중요
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효율은 60 ~ 70% 정도이고, 대용량(수GWh) 집중배
치형의 전원으로서 위치가 부상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발전소의 상부와 하부에 저수지를
갖고, 야간과 휴일 등의 기저부하 시에 잉여전력을 이용해서 물을 하부저수지로부터 상부저
수지로 이동시켜놓고 평일의 주간 피크 시에 이 물을 사용해서 발전하는 방식이다. 물을
상부저수지로 이동시키는 펌프와 발전할 때의 수차펌프를 구동하는 전동기와 발전기는 각
각 동일한 기기로서 공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양수발전소에는 상부저수지에 하천의 자연유
입이 있고 발전에 사용하는 물을 하부저수지로부터 양수의 저수지로 하천의 자연유입도 이
용하는 혼합양수발전소와 발전에 사용하는 물을 전부 양수에 의해서 얻는 순 양수발전소가
있다. 양수발전은 그 자체만으로는 발전하기가 어렵고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력으로 물을 상
부저수지로 이동시켜 전력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서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에 발전하는 전
력저장기술이다.

2)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
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시스템(Superconduction Magnet Energy Storage : SMES)은 전
기저항 0의 초전도 코일에 전류를 통하면 자기에너지 형태로 축적되는 성질을 이용한 에너
지저장 방식으로, 전력변환기 및 저장부의 손실이 극히 적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에너지저장 효율은 다른 전력저장시스템에 비해서 훨씬 높은 95% 이상이 예상되며,
용량은 수 MW의 소용량으로부터 수십 GW의 대용량까지 임의의 용량선택이 가능하므로
규모의 선택이 자유로우나 실제로는 중 ․ 대규모가 더욱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SMES의 저장형태가 결국은 전기에너지이므로 입출력 속성은 극히 높고 수~수십 ms의
명령에서 입출력 반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우수한 기능을 갖는 SMES가 전력계통에 도입
되면 부하의 평준화, 전력계통의 주파수제어, 과도안정도의 향상 및 전력품질의 향상 등의
면에서 기여할 것이며, 전력출력(kW) 면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아래에 나열한
바와 같이 대단히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기대된다.

․ 부하평준환
․ 부하변동보상
․ 안정도향상
․ 주파수조정

8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순시전압저하대응
․ 정전대응
․ 자연에너지 유효이용 등

그러나 극저온 냉각을 위한 냉동액화기가 필요한 것, 초전도상태가 파괴되는 퀜치 현상의


대책이 필요하는 등 다른 전력저장기술에는 명확하지 않는 다양한 검토 과제도 남아있다.

3) 플라이휘일 저장
회전자의 회전에너지로서 전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비상용전원이나 핵융합장치
의 전원 등의 소규모인 것은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2 ~ 3시간의 대기시간만 지나면 양수
발전소를 상회하는 80% 정도의 저장효과가 실현가능하나 회전자의 회전에 따른 동력손실
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길게 됨으로서 결국 저장효율이 저하한다. 입출력 속응성이
높고, 긴급한 부하변동에도 대응가능하다. 자기축받이 등의 채용에 의해 소음문제가 해소되
면 분산배치가 가능하게 되고 비상용전원으로서 유망하다고 전망되고 있다. 전력저장용의
대규모인 플라이휘일의 실용화에는 회전자재료, 축받이장치, 주파수변동장치의 효율향상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직은 많다.

4) 전지전력저장시스템
다양한 전력저장시스템 중에서 양수발전소를 제외하고 가장 실용화 단계에 도달해 있는
시스템이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 상당히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실용화 시험운전도 시작되고
있다. 2차전지의 종류로서는 기존의 연축전지를 전력저장용으로서 개량한 형태와 새로 개발
된 신형전지로서 나트륨-유황전지(Na-s), 아연-브롬전지(Zn-Br), 아연-염소전지(Zn-Cl), 리독
스플로우전지(Redox-flow) 등이 있으며, 어느 전지도 마찬가지로 전기화학 에너지로서 전
력을 저장한다.
전력저장용 2차전지는 수백 kWh ~ 수만 kWh의 대용량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전지의 특
성으로서 하기의 사항이 특히 고려되어야 한다.

․ 에너지밀도가 높을 것
․ 저코스트화가 기대 가능할 것
․ 종합효율이 높을 것
․ 장수명일 것

86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 자원의 제약이 없을 것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전지는 Na-S, Zn-Cl2, Zn-Br2,


Redox Flow 등이 있어 이들에 대한 개발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다음의 표와 같은
항목에 각각 중점을 두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저장효율은 양수발전소와 동등 혹은
그 이상(70 ~ 85%정도)을 전망하고 있고 규모로서는 수~수십 MWh의 용량이다. 또한
소음이나 진동, 배출물이 저은 등 환경보전성이 우수하고 입지상의 제약도 적기 때문에 도
시부의 배전용변전소 등의 부하중심부에 분산배치 되는 것도 예상되고 있다. 적당한 분산배
치에 의해 송배전설비의 신설이나 증설을 지연시키고 송전손실의 경감, 공급신뢰도의 향상
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수용가측의 설치, 경제적인 운용에 의해 전기요금의 절감, 전력안정확보 등의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2차전지 전력저장시스템은 가까운 시기 내에 기술개발이 가능
하다는 것, 분산형으로 수요단 설치형 전원이고, 경제성 전망의 만족한다는 것으로부터 유망한
저장기술로서 기대되고 있다. 2차전지에 의한 전력저장시스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❶ 소규모에서도 효율이 비교적 높고, 특별한 입지적 제약도 없어 수요지에 인접해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부하율개선과 송전설비의 절약이 기대된다.
❷ 양수발전에 비해 건설공사의 기간이 적어 수요증대에 대한 빠른 공급대처가 가능하다.
❸ 시스템의 기동정지나 부하추종 등의 운전특성이 우수하고, 전력계통적용시 부하평준화이
외의 다기능성 즉, 주파수추종, 무효전력보상, 상불평형보상, 고조파보상 등의 기능도
수행이 가능하다.
❹ 운전할 때 소음이나 진동 등이 적고, 환경보전면에서도 우수하여 대도시의 중심부 등에
분산배치가 가능하다.
❺ 모듈단위의 대량생산에 의한 비용 삭감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❻ 에너지저장효율은 다른 저장기술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❼ 자원적인 문제는 특히 없다.
❽ 연축전지에 의한 전력저장시스템의 경우, 전체시스템으로서의 실증이 필요하나 타전지에
비해 상당히 안정된 기술이다.
❾ 부식성의 물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저장설비보다 내용 연수는 짧다.
❿ 보통 다수의 단전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도의 보수 ․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8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저장기술의 비교평가
전항에서 기술된 각 저장기술들에 대한 비교평가결과를 표 4.1에 제시한다.

표4.1 전력저장기술의 비교

비교항목 양수발전 전지전력저장 SMES(대용량) SMES(분산형) 압축공기 플라이 휘일

전해질물질의 고압공기의 이상
안전상의 문제 퀜치 대책 퀜치 대책
누설 누설 회전시대책

수명 30년 10년 교환은 간단 30년(목표) 좌동 20년(목표) 30년(목표)

용지면적 10~5 Toroidal


~650 4~8 2~28 6~33
(m2/MWh) 12.4 방식은 증가

5, 2저장압력을
에너지 밀도 SMES보다 큼 Toodial
1 10 높이면 10정도 10
(kWh/m2) Na-S : 26.8 방시은 감소
가능

~12.1 4.4~93
~100정도 0.87~1.74
에너지 밀도 (지지구조물을 회전체의
불명 (현재)이론치는 불명 0.4탱크사용의
(Wh/kg) 철로 만든 무게만 재질에
이의 수~수십배 경우
경우) 따라 다르다

기동시간 수분 순시 순시 순시 수분~십수분 순시

15만엔(암반굴
21~26만
건설비용 30~60만 엔 삭제외)암반굴
엔(목표)
(/kW) 15~30만 엔 29만 엔 불명 삭 비용은 30~40만 엔
현재는
건설비용 30~60만 엔 조건에 따라
170~220만 엔
다르다

4.3 전력저장장치의 연계방식

(1) 2차 전지 연계방식
2차 전지를 전력계통에 연계하는 방식은 인버터 연계방식, DC링크 방식, 고주차 절연변
압기 연계방식, 하이브리드 연계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88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그림 4.2 인버터 방식의 2차 전지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그림 4.3 DC-DC & DC-AC 방식의 2차 전지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8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그림 4.4 고주파변압기 절연방식의 2차 전지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그림 4.5 하이브리드방식의 2차 전지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2) 플라이휠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플라이휠 저장시스템은 플라이휠에 연결된 MG (Motor-Generator)를 전력계통에 연계하는
것으로 그 방식은 DC 링크 연계방식, 고주파 AC 링크 연계방식, 하이브리드 연계방식 등
으로 분류할 수 있다.

90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그림 4.6 DC링크방식의 플라이휠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그림 4.7 부스트컨버터가 추가된 DC링크방식의 플라이휠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그림 4.8 고주파 AC링크방식의 플라이휠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9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그림

4.9 하이브리드방식의 플라이휠 저장시스템 연계방식

92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5. 분산전원이 기존 배전계통 운용에 미치는 영향

5.1 기술적 측면

종래의 배전계통에 있어서의 전력조류는 변전소에서 선로말단의 향한 단방향 이었지만,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경우에는 그 출력용량의 여부에 따라 양방향의 전력 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계통운용상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분산전원에 대규모
전원의 보완적 역할과 배전선로상의 국부적 부하 감당 역할을 부과하여 그의 적극적 활용을
꾀하기 위해서는, 분산전원으로부터 배전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조류의 기능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역조류를 허용한 경우도 포함하여 발생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력
품질상의 문제점에 대해서 분석하여 보기로 한다.

■전압변동
전기사업자에게는 저압의 공급전압을 전기사업법에서 정한 적정범위로 유지할 의무가 있어,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도입되더라도 공급전압이 이 규정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현재의 배전계통의 전압관리는, 변전소에서 부하에 이르기까지의 전력조류가 단방향이라는
사실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력조류가 단방향일 경우는 부하의 변동에 의해
배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해 전압이 변동하더라도, 전압은 변전소 인출부로부터 배전선
말단을 향해 단조감소하기 때문에 선로의 전압조정은 LDC(Line Drop Compensation)방식
및 주상변압기의 탭 선택 등에 의해 비교적 쉽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배전선로의 도중에
분산전원이 도입되어 계통으로의 역조류가 발생하게 되면 연계지점의 전압이 높아져 배전
선로상의 전압분포는 단조감소의 형태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기존의
전압제어방식으로는 적정전압조정능력을 상실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LDC전압조정방식이외의
프로그램전압조정방식 및 (LDC+프로그램) 전압조정방식의 경우도 선로에 도입된 분산전원
전체의 연계위치와 정확한 개별운전 상태를 시시각각 파악하지 않고서는 적정한 전압조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등과 같은 분산전원에서는 발전량의
변동을 미리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전압조정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배전
선로에 연계되는 분산전원의 도입용량을 제한함으로써 어느 정도 대처가 가능하지만, 이는
분산전원의 보급에 저해요인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규제를 완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
하다.

9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고조파
연료전지발전시스템, 태양광발전 등의 직류발전시스템은 인버터로 직류/교류변환을 하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하게 된다. 고조파의 발생량은 인버터의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그것이
계통의 허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는 전력계통에 접속되어 있는 타 부하기기의 동작에 악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전원의 경우에 대해서는 고조파 억제대책을
확실히 강구해 둘 필요가 있다.

■보호협조
배전계통에 있어서, 낙뢰 및 수목접촉 등의 원인으로 지락사고 및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고파급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고전류를 공급하고 있는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
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배전선에는 보호 장치가 설치되어 사고를 정확히 검출
하여 사고구간 또는 사고선로를 계통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분산전원이 기존의 어떤
보호협조체제하의 배전선로에 도입될 경우는 분산전원의 계통에 대한 역조류에 의해 사고
시 고장 구간의 분리 및 선로 재구성에 따른 차단기 및 개폐기 제어알고리즘, 그리고 순시
정전 시 분산전원의 기동정지, 개폐기의 기능, 차단용량 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다분히
있다. 또한, 사고 시 일시적으로 분리된 건전구간 내에 분산전원이 존재하여 그 구간내의
부하와 평형을 이루며 운전되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인체 및 전기설비
에 위험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신속한 복구에도 저해의 요인이 된다. 이 외에
도, 지락사고 시 선로가 계통과 차단된 상태에서 분산전원의 차단기가 늦게 동작하게 되면
선로의 커패시터와 부하가 분산전원과 작용하여 공진으로 인한 과전압을 발생한다는 점, 차
단기(리크로우저 또는 CB)와 휴즈의 보호협조체제하에서 순시사고 시 휴즈의 불필요한 용
단으로 인한 장시간정전사태가 발생한다는 점, CB 또는 리크로우저의 재폐로 방식에 대한
분산전원의 확실한 분리보장문제 등이 열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에
대해서 배전계통의 보호체제와 분산전원의 보호장치가 서로 협조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전
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연료전지발전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의 경우, 전원의
특성이 종래의 발전시스템과 달리 직류전원에 인버터를 개입시켜 계통에 연계되기 때문에
그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여 새로운 보호방식의 적용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단독운전의 방지
배전계통측의 전원이 상실된 경우 배전선로상의 부하와 분산전원의 출력이 어느 정도 평
형을 유지한 상태라면 분산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가 계속된다. 이를 단독운전

94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Islanding)상태라고 한다. 단독운전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배전계통측의 전원이 회복될 경


우는 양측의 전압의 위상차에 의해 단락 및 탈조 등의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선로작업을 위해 선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원의 선로작업 시 전선접촉으로 감전
사할 위험도 높다. 따라서 분산전원의 계통연계 시 이러한 단독운전 상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해 놓지 않으면 안 된다. 현재의 상태로서는 배전선에 분산전원이 연
계된 예가 적은 편이어서 개별적인 대응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지만, 소용량의 분산전원이
다수 도입되는 상황이라면 전화연락 및 개별전송차단방법으로 대응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분산전원 측에서 계통의 전원상실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계통분리
하는 방법 등의 새로운 보안확보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역률
배전계통에 있어서 역률유지는 선로의 전압변동, 전력손실 및 유효전력의 공급한계 등의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수용가의 역률유지규정을 0.9(지
상) ~ 1.0사이로 두고, 0.9이하의 경우는 전기요금추가, 0.9이상은 전기요금감액 등의 규정
을 전기공급규정 제43조, 제44조에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도
입되어 운전될 경우, 분산전원의 운전역률은 선로의 역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먼저, 선
로에 도입된 분산전원이 운전역률(발전기기준) 1.0으로 운전하게 될 경우를 생각해 보면,
계통에 유효전력만을 공급해주기 때문에 선로의 역률은 본래보다 악화되지만, 선로의 전력
손실은 적어진다. 또, 지상운전의 경우 유효 및 무효전력을 모두 계통 측에 공급하게 되어
선로의 전압변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의 감소로
상위 배전용변전소에서 배전선로에 공급해 주어야 할 무효전력공급량은 감소하게 되어 전
압안정도에는 유리하다. 한편, 진상운전의 경우 유효전력은 계통에 공급하고, 무효전력은 계
통 측으로부터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선로의 전압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작지만,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의 증가로 역률은 악화되고, 배전용변전소측에서 공급해야할 무효전력량은
증가하게 되어 무효전력보상설비의 증가와 전압안정도의 악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배전계통
에 도입되는 분산전원의 운전역률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는 배전계통에 도입되는 그 규모
의 크기에 따라 선로의 전압변동, 손실, 무효전력증가 등의 요소와 관련지어 결정해야할 대
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그것도, 분산전원이 연계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대용량의
분산전원에 대해서는 역률조정기능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하는 방법, 소용량의 경우는 도
입 시에 사전 검토하여 운전역률을 고정시키는 방법 등의 다방면에 걸친 분석이 반드시 수
행되어야 한다.

9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상불평형
우리나라의 경우 배전계통은 22.9kV - 공통중성선 다중접지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상불평
형이 생기게 되면 중성선에 불평형 전류가 흐르게 되어 중성선의 전위가 상승하게 되어 선
로의 제어기기에 오동작의 영향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용 3상
유도전동기의 과열과 소손, 전압의 과대한 상승과 저하에 의한 정보화기기의 오동작과 부동
작, 가전제품의 수명손실 및 플리커 장해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배전계통의
저압계통에 연계되는 분산전원, 대표적으로 단상 태양광발전장치의 경우, 선로상에 분산 도
입되어 불규칙하게 운전되는 상황을 고려해서 이에 적합한 대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물론
이의 도입량이 작다고는 할 수 있지만, 상불평형 요소의 부하기기와 부하관리 전략 등과
합세될 경우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주파수
전 지역에 걸쳐 배전계통에 도입되어 운전하고 있는 다수의 분산전원이 어떤 원인으로
동시에 출력이 0으로 되는 경우는 전력계통전체의 주파수가 흔들릴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물론, 그런 가혹한 상황은 상당히 확률이 작지만, 만약 태양광발전설비가 어느 정도 상당량
보급된 경우를 상정한다면, 구름 등의 조건으로 태양광발전의 출력이 순시에 0으로 되는
상황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경우는 그 피해가 막대하므로 이런 분야에 대
한 연구 분석도 요구된다.

■단락용량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하여 운전하고 있을 경우, 계통의 사고 시 발전기의 단락 전
류에 의해 계통의 단락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기존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부족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어 계통 구성의 재검토, 발전기리액턴스의 검토, 한류리액터 및 고압
휴즈의 채용 등의 채용여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기존배전계통의 분산전원의 수용한계


기존의 배전계통의 구성 및 운용체제가 분산전원을 어느 정도의 도입용량까지 수용이 가
능한가를 보급에 앞서 다각적인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 왜냐하면, 수용한계를 벗어나게
될 정도로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도입되었을 경우는 기존의 배전계통의 구성과 운용체계
를 개선 내지는 변경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수용한계량의 결정에는 여러 가지의
요소들이 고려될 수 있는데, 가령 예를 들면, 배전계통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96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체계

수용가에게 적정전압의 고품질의 전력을 서비스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수용한계를 결정


하는데 전압변동과 고조파 등이 분산전원의 수용한계량의 결정요소로서 고려해야 할 것이
다. 전압변동의 경우는, 선로에 도입된 분산전원의 도입용량과 운전 역률이 배전계통의 전
압조정방식 상에서의 선로전압조정능력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용한계량을 도출해
가는 것이 하나의 접근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5.2 분산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 보호방식의 기본 원칙

(1) 기존 배전계통 보호방식의 특징

기존 배전계통은 배전용변전소의 주변압기를 유일한 전원으로 하여 배전선로의 말단에


이르기까지 단방향 전력조류의 방사상 구조와 운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보호방식
의 기본운용원칙은 비정상상태(사고포함)의 구간에서 변전소방향으로 제일 가까운 한 점(차
단기)만을 보호기기의 선택성과 협조에 의해 차단하여 비정상상태(사고)의 구간을 최소화하
여 신속히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됨으로써 양방향 전력
조류의 방사상구조/루프 운용 형태로 되기 때문에 선로에서의 고장발생시 리크로우저가 동
작하기 전에 분산전원이 연계계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 분산전원으로부터의 공급고장전
류로 인하여 리크로우저에 의해 사고가 제거될 수 없는 상태(분류효과)로 되거나 분산전원
및 계통설비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2) 기존 배전계통운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연계조건

분산전원이 기존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전됨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최소한의 연계조건의 확보가 필요하다.

■전력회사 선로 작업원(보수원)의 안전확보조건


․ 상시 및 비상시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작업원의 안전확보, 즉 유지보수작업 시 수행
되는 선로상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차단 시 차단점 이하계통에 연계되어 있는 분산전
원은 즉시 계통에서 확실히 분리될 것.
․ 문제의 대상 : 선로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또는 개폐기)의 개방상태
․ 분리 방법 : 자동(전송차단방식), 수동(통신수단연락에 의한 차단, 작업원의 분산전원

9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위치파악과 확인차단)

■전력품질 유지조건
․ 상시 전압변동(분산전원의 출력크기와 운전역률로 인한 송출전압조정의 오동작 및 선
로의 전압강하로 인한 적정유지전압범위 초과)
․ 플리커(풍력발전기의 출력변동)
․ 순시전압변동(대용량 분산전원의 병해열로 인한 전압변동, 사고복구 또는 재폐로 직후
모든 분산전원의 동시 해열 및 병입으로 인한 전압변동)
․ 고조파(인버터를 이용한 분산전원)
․ 불평형(단상인 분산전원)
․ 역률(분산전원의 유효전력출력에 의한 선로역률저하)

■전력공급 신뢰도 유지조건


․ 저전압(분산전원 기동시)
․ 과전압(공진현상, 자기여자)
․ 과전류(퓨즈 saving 실패, 재폐로시 전압위상차 발생, 분류효과)

5.3 분산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의 보호방식에 미치는 영향

분산전원이 도입될 경우 이로 인해 기존 배전계통의 보호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평


상시, 비정상상태시로 구분될 수 있고, 특히 비정상상태시는 다시 과도상태시와 사고시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평상시의 경우는 상시전압변동, 플리커, 병해열로 인한 순시전압변
동, 고조파, 불평형 등은 문제가 되지 않고, 분산전원측에서 단락사고 시 역전력무효계전기
를 채용하는 경우 분산전원의 운전역률로 인하여 연계점의 역률이 진상으로 됨으로 인해
오동작 할 우려가 있다. 두 번째로, 비정상상태의 과도상태시인 경우는, 동기발전기의 비동
기병입, 유도발전기의 기동시 돌입전류, 동기발전기의 부제동현상, 커패시터 스윗칭으로 인
한 공진현상(전압확대현상), 동기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 유도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 고립
운전현상, 설비과부하현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세 번째로, 비정상상태의 사고시는, CB(또
는 리크로우저)와 퓨즈간의 보호협조, 1선 지락시 공진현상, 단락용량, 분류효과, 타선로(회
선) 사고시 OCR의 불필요한 동작, 리크로우저의 정정, 재폐로 동작 등으로 나뉘어 분석되
어야 한다.

98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6. 순시전력이론

6장에서는 4절에서 소개된 배전 계통의 안정화와 전력품질 향상을 위한 전력저장 시스템


또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분산전원 시스템의 계통 연계
부와 계통 품질 유지를 위한 능동필터 (Active filter 또는 Power conditioner)장치에 공통
으로 사용되는 순시전력이론 (Instantaneous power theory)과 병렬형 능동필터에 적용한
예를 살펴본다.

6.1 병렬형 능동전력필터(Shunt active power filter)

병렬형 능동필터는 Gyugyi와 Strycula에 의해 1976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요즘에는


병렬형 능동필터는 꿈이 아닌 현실이며 세계 각처에서 상업 운전되고 있다. 제어기들은 실
시간으로 전류기준값을 보상하고, 컨버터가 전력을 정확하게 합성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능
동필터는 선택적이고 적응성이 있다. 다른 말로 병렬형 능동필터는 선택된 비선형부하의 고
조파 전류만을 제거할 수 있고 계속적으로 고조파 함유량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언급
하는 모든 병렬형 능동필터는 순시전력이론에 기반을 둔 제어기들을 가지고 있다. 고조파
전류는 주로 비선형 부하, 전력계통에서의 고조파 전압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그림 6.1은 병렬형 능동필터의 기본 구성도이다. 비선형부하는 전력계통으로부터 기본파
전류성분(  )과 고조파성분(  )을 만들어 낸다. 고조파전류(  )는 고조파전압원(   )으로
부터 유도된다. 병렬형 능동필터는 고조파 전류   와  둘다를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병렬형 능동필터의 근본 기능은 부하의 고조파전류성분(  )을 보상하는 것이다. 이것은 능
동필터가 부하단의 고조파전류를 한정하고, 계통으로의 고조파 전류가 관통하는 것을 막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서, 전력계통은 그림 6.1 에서 등가임피던스(  )로 표현
된다. 만약 부하고조파전류(  )가 전력계통 측으로 흐른다고 가정하였을 때 그것은 추가적
인 고조파전압강하가 야기된다.

101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그림 6.1 병렬형 능동필터 구성도

병렬형 능동필터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구성된다. 전력처리기기인 PWM 컨버터는 계


통으로부터 유도된 보상전류를 합성하는 전력처리를 담당하고 신호처리기기인 능동형 필터
제어기는 PWM 컨버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순시적인 보상전류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결
정하는 신호처리기를 담당 하게 된다.
그림 6.2는 특수한 부하의 고조파 보상을 위한 능동필터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것
은 거의 순시적인 제어알고리즘을 가지는 PWM 전류제어기와 능동필터제어기를 가진 전압
형 컨버터로 구성된다. 병렬형 능동필터 제어기는 연속적인 부하전류( ) 검출과 PWM 컨

버터를 위한 순시적인 보상전류(  ) 기본값을 계산하는 폐루프 제어기로 구성된다. 이상적

인 경우에 있어서, PWM 컨버터는 보상전류( )가 정확히 기준전류값(  )을 추종할 경우
선형적인 전력증폭기로 간주될 수 있다.
PWM 컨버터는 보상전류를 정확히 재생산해 내기 위해 높은 스위칭주파수( )를 가
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max가 보상되어야 할 고조파전류의 가장 높은 차수의 주파수로
표현될 때    이다. 그림에서 전압원 컨버터로부터 충전하기 위한 능동필터
는 dc 커패시터와 역병렬 다이오드를 가진 IGBT가 사용된다. 사실은, 전압원 컨버터와 전
류원 컨버터가 병렬형 능동필터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병렬형 능동필터가 전압원
컨버터로 상업 운전되고 있다.

102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그림 6.2 병렬형 능동필터의 기본 구성도

전압원 컨버터와 전압 주입형 컨버터는 유사한 형식이지만 일반적으로 전압원 컨버터로


많이 불린다. 전압원 컨버터든지 전류원 컨버터든지 PWM 제어는 전력컨버터가 비선형 전
류원 제어기로서 행동하는 것처럼 소형의 전류되먹임 루프를 가진다.
그림 6.3은 병렬형 능동필터로서의 기능을 하는 3상 전력 컨버터를 보여준다. 그림 6.3
(a)는 전압원 컨버터, 그림 6.3 (b)는 전류형 컨버터를 나타낸다. 각 컨버터의 전류제어기는
다르지만, 제어된 전류신호를 컨버터로 입력시키는 두 개의 PWM 제어기로서의 기능은 동
일하다. 컨버터의 DC측에 연결된 전압원 컨버터인 경우는 커패시터와 전류원 컨버터인 경
우 인덕터는 단지 에너지 저장요소일 뿐 전력공급원은 아니다. 다른 말로 능동필터와 전력
계통간에 교환되는 평균에너지는 제로이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능동필터 제어기는
VSC의 경우는 평균 직류전압을, CSC의 경우는 평균 직류전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설
계되어야 한다. 또한, 능동필터 제어기는 전력컨버터에 있는 손실을 전력계통에 주입하게
된다. PWM 컨버터들은 스위칭 주파수 근처 또는 배수의 원하지 않는 전류고조파를 발생시
킨다. 만약 PWM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충분히 높다면 이러한 원하지 않는 전류고조파
는 그림 6.3에서처럼 R과 C로 구성되는 수동고차필터나 조그만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충분
히 제거할 수 있다.

103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a) 전압원 컨버터 (b) 전류형 컨버터


그림 6.3 병렬형 능동필터를 위한 PWM 컨버터

이상적으로는, 스위칭 주파수 전류고조파들은 완전히 제거되고, 보상전류 는 기준전류

       를 정확히 추종한다. 때로는 그림 6.3 에서처럼 3상 컨버터 한 개보다는


단상컨버터를 3개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저장요소 (VSC인 경
우는 단상 DC 커패시턴스, CSC인 경우는 단상 DC 인덕턴스)가 필요 없이 3상 순시무효전
력(p-q 이론에서의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3개의 단상컨버터를 병렬로 연결해야
한다. 강인성 측면에서는 CSC가 우세하다. VSC는 효율이 높고, 낮은 초기비용, 그리고 사
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요즘 시장에서 환류형 다이오드가 각 IGBT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IGBT 모듈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VSC PWM 컨버터가 더 적합하
다. 이것은 IGBT가 스스로 역전압을 차단하는 능력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IGBT의 역전압 차단보다는 단락용량과 전도 및 스위칭손실 간의 적합하게
설계되어 더욱 유연성을 가져오게 된다는 점이다.

104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6.2 순시전력이론

그림 6.4 Instantaneous Power Theory

(가)    이론
  이론은 3상 시스템에 정의되는 이론으로서, 3상 순시전력은 순시영상전력( ), 순시유
효전력(), 순시무효전력()으로 구성되며 식 6.1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6.1)

여기서, 평형 3상 3선식에서 영상분 전류성분은 없으므로 즉,    이 경우 순시전력은


 곱 성분이 항상 ‘영’이기 때문에  축 성분만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식 6.2와 같이 표
현될 수 있다.

   
 (6.2)
   

105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나) 순시 복소전력의 개념

또 다른 방법은, 순시전압과 순시전류 벡터를 사용하여 순시 복소전력의 개념을 이용하는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6.3)
     

(다) 순시전력으로부터 보상전류 계산


수식 (6.2)의 순시 전력계산식을 역변환하여 보상전류 ,  를 수식 (6.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6.5)에서 
,
는 보상하고자하는 전력 성분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따라서 와  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 
  
        (6.6)
     

전류는 전압과 유효전력, 무효전력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  이론으로 정의된


전력의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식 (6.7)는 보상하는 유효전력 p*는 부하
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유효전력 
로, 보상하는 무효전력 q*는 부하에서 소요되는 무효전력

로 하였을 경우 보상전류 ,  를 구하는 수식이다.

106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6.7)

6.3 운전모드

차세대 배전계통인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요구되는 전력 조류 제어, 전력 품질 유지, 계통


안전상 향상은 위의 순시전력이론을 채용하고 발전시킨 전력변환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
다. 수용가에 고품질의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수배전반, 마이크로그리드
용 EMS 및 전력변환기기 등이 제안되며 연구되고 있다. 다음은 차세대 배전계통에 접속
되는 계통연계형 컨버터에서 요구되는 운전모드를 소개한다.

(1) 병렬운전 모드

그림 6.5 병렬 운전 모드 제어기

107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병렬운전모드(Paralleling Mode)는 병렬형 능동전력필터가 계통연계하여 운전하는 정상 모


드로써, 병렬인버터는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유효전력 p와 부하에서 소요되는 무효전
력 q를 공급하여 역률을 개선하고 계통 전류가 고조파가 제거된 정현파가 흐르게 한다. 이
는 순시전력이론(Instantaneous power theory)를 근거로 하여 이루어지며, 주입되어지는
전류는 식 6.8와 같다.

(6.8)

그림 6.5의 박스는 병렬운전모드의 전류 PI 제어기이다. 위 Grid-mode는 전류제어로 동


작한다. 좌표 변환을 거치면서 발생한 간섭분을 decoupling하여 보상해주며, feedback 되
는 전류의 값은   의 식으로 계산된 값이다.

(2) 단독운전 모드 (Islanding Mode)

그림 6.6 단독운전 모드 제어기

108
신재생에너지의 연계기술

단독운전모드(Islanding Mode)는 정전이나 전압 새그가 발생하였을 때 전원계통 과 부하


를 SSB를 오픈하여 분리하고, 병렬 능동필터를 전압원으로 동작하며 부하여 일정 전압을
계속하여 공급하여주는 운전모드이다. 병렬 인버터와 부하가 직렬로 연결되면서 부하에서
소비하는 유, 무효 전력을 모두 공급하며, 이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
로써 가능하다. 전원에서 분리된 부하계통에 다른 분산전원이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Droop
제어가 이루어 져야 한다.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은 식 6.9와 같다.

(6.9)

그림 6.6은 단독운전모드에서의 전압 PI controller의 블럭도이다. 단독운전모드로 동작하


게 되면 입력전원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 입력전력이 동작하지 않기에 입력전류 또한 흐르
지 않아 병렬운전 모드와는 달리 전류제어가 아닌 전압제어를 하게 된다.
이상 6절에서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전력품질을 유지하며, 차세대 배전계통인 마이크로그
리드에 채용되는 계통연계형 컨버터에 사용되는 순시전력이론과 이를 적용한 병렬형 능동
필터의 구조와 차세대 배전계통에서 요구되는 병렬운전모드와 독립운전모드에 대해 소개하
였다.

109
원전 전력계통 전문고급과정

※ 이 책은 한국원자력기술원국제원자력안전학교에서발간한 책이며
내용의 무단 전재 및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http://soar.kins.re.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