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무분별한 심리학 자격증과

민간,비전문적 상담소의 논란
30401 강민선 화법과 작문 ‘나의 꿈 발표하기’
목차
01
무분별한 심리학 자격증과
현재 상황 상담소의 현 상황

02
무분별한 자격증의
문제점과 예시 문제점

03 해결방안 나의 포부 및 해결책(당부) 제시
01
심리 자격증과 민간
상담소의 현황
심리상담 분야 자격증

국가자격증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민간자격증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사 심리상담사
가족상담사 미술상담사 타로상담사 등등…
'상담심리사'와 '심리상담사'는 뭐가 다르지?

출처 :서울경제 (2019.07.05)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KQX3F3O


민간자격 검색에서 ‘상담’으로 검색 시
무려 약 5,700건의 자격증들…
비교적 취득 체계가 잘 갖춰진 국가자격증에 비해
민간자격증은 잘 관리되지 않고 있다. 자격증마다 취득
요건과 전문성의 편차도 크고 수많은 자격증 중 정작 정말
공신력이 있는 자격증은 많지 않다

공신력 있는 심리상담 분야 민간자격증

■ 상담심리사 – 한국상담심리학회

■ 전문상담사 – 한국상담학회

■ 임상심리전문가 –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민간자격 검색에서 ‘상담’으로 검색 시
무려 약 5,700건의 자격증들…
비교적 취득 체계가 잘 갖춰진 국가자격증에 비해
민간자격증은 잘 관리되지 않고 있다. 자격증마다 취득
요건과 전문성의 편차도 크고 수많은 자격증 중 정작 정말
공신력이 있는 자격증은 많지 않다

공신력 있는 심리상담 분야 민간자격증

■ 상담심리사 – 한국상담심리학회

■ 전문상담사 – 한국상담학회

■ 임상심리전문가 –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출처 : 민간자격검색 스크랩
민간자격 검색에서 ‘상담’으로 검색 시
무려 약 5,700건의 자격증들…
비교적 취득 체계가 잘 갖춰진 국가자격증에 비해
민간자격증은 잘 관리되지 않고 있다. 자격증마다 취득
요건과 전문성의 편차도 크고 수많은 자격증 중 정작 정말
공신력이 있는 자격증은 많지 않다

공신력 있는 심리상담 분야 민간자격증

■ 상담심리사 – 한국상담심리학회

■ 전문상담사 – 한국상담학회

■ 임상심리전문가 –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출처 : 민간자격검색 스크랩
자격증에 대한 규제는?
자격기본법에 민간자격의 신설과 등록에 대한 제한이
있긴 하지만 현재 잘 지켜지고 있지 않다.

자격기본법 제 4장 제 17조 제 1항
제 17조(민간자격의 신설 및 등록 등
1) 국가외의 법인,단체 또는 개인은 누구든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분야를 제외하고는 민간자격을 신설하여 관리,운영할 수 있다
1.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
2.국민의 생명 건강 안전 및 국방에 직결되는 분야
…등
자격증에 대한 규제는?

더 큰 문제
정신건강복지법 의료법 이런 공신력 없는 자격증만으로
사설/민간 상담소는 상담소를 개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의료법에 의한 사설 심리상담소 개업과 관련된
관련된 조항만 존재,
‘의료기관’이 아니기에 현행법이 없기에, 지금으로선 사업자
사설/민간 상담소에
의료법의 규제를 받지 등록만 하면 누구나
대한 조항 없음
않음 상담소를 개설할 수 있다.
02
문제점
무분별한 민간 자격증과 민간 상담소의 문제점
이런 공신력 없는 자격증만으로 상담소를 개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설 심리상담소 개업과
관련된 현행법이 없기에, 지금으로선 사업자 등록만 하면 누구나
상담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담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여러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 예시
심리치료사의 성폭행
성범죄 전과자의 상담소 운영
03
해결방안
OECD 표준 국가 전문 심리사 제도 도입
(2021~2025)
심리서비스 자격증 제도 정비 및
국가전문자격심리사 자격증 신설 필요

국가 전문자격심리사의 교육,수련 등 자격
기준을 명시하여 전문적인 심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

국가전문자격심리사 제도 관련 교육 및 수련
인증 기관 신설 필요
제 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
(2021~2025)
민간 심리상담 분야 서비스 활성화 기반 구축
보건복지부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국가 전문 심리사
제도를 도입하고 민간 심리상담 분야의 현황을 파악할
에정이다.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심리학적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심리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자 뿐만이 아니라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
감사합니다!
30401 강민선

CREDITS: This presentation template was created by Slidesgo, and


includes icons by Flaticon, and infographics & images by Freepik
Please keep this slide for attributi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