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Part 1: Discuss the following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은 성격 유형과 직업 환경 사이의 적합성이 개인의 만족도와


이직을 결정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즉, 개인의 기술, 지식, 능력 및 기타
특성이 직무 요구와 일치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Person-organization fit 은 개인의
가치관에 맞는 조직에 의해 개인이 선택 받고 개인과 조직간의 합이 맞지
않을 경우 조직을 떠나게 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즉, 개인의 가치, 성격,
목표 및 기타 특성이 조직의 가치와 일치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전자의 경우는
개인이 맡은 “ 직무 ” 와 얼마나 적합한지를 말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개인이 속한 “ 조직 ” 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말한다는 것에서 두 개념에
차이가 있다.

Part 2: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based on Case Incident 2, “Personality


matters.”

2.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introverted and extroverted individuals. What


kind of jobs do you think fit each type of personality best and why? What
should you do if you desire a job that is different than your personality? Can
personality be changed?

내성적인 사람은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보다는 내면의 생각과 아이디어에


집중하는 것을 더 편하게 느끼는 타입의 사람들이다. 그들은 많은 그룹이나
군중보다는 한두 명과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대게
성찰적이고, 사적이고, 사려 깊은 경향이 있다. 반면에, 외향적인 사람들은
타인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고, 사교적이고, 행동 지향적이고, 열정적이고,
친근한 타입의 사람들이다. 두 상격의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내성적인 사람들의
경우 종종 조용하고 수줍음을 많이 타며 소극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
외향적인 사람들은 종종 타인의 주목을 끌려고 하며, 쉽게 산만해지고, 혼자
시간을 보낼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내향적인 사람들의 경우 타인과 큰
교류나 팀워크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혼자 일할 수 있는 직업이 잘 맞을 것
같닫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에디터, 그래픽 디자이너,
사서, 번역자, 작가 등이 있다. 반대로 외향적인 사람들의 경우 타인과의 교류와
관계가 중요하고, 사교적이고 친근하고 공감적인 성격에 잘 맞는 직업인
영업매니저, 교사, 연기자, 변호사, 상담가, 기타 서브스 직종 등이 잘 맞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Discuss whether employers should rely on MBTI testing to hire employees.


What ar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BTI?

직원 고용시 MBTI 테스트에 의존하는 것은 장점과 단점 모두 가지고 있다 .


장점의 경우 직원들의 성격을 전반적으로 파악하므로써 그 직원들이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인재인지, 조직의 가치에 부합하는 인재인지 등을
사전에 알아볼 수 있고 , 그렇게 하므로써 회사에 더 필요하고 도움이 될
인재를 선택할 수 있게 도와준다 . 하지만 단점의 경우 직원들은 회사에
고용되기 위해 자신들이 회사에 적합한 인재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MBTI 테스트를 충분히 거짓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면 MBTI 테스트는 그들의 실제 업무 적합도나 업무 능력을 올바르게
판단하는 수단이 되지 못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