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4 주제 Insight Memo

조직행동론의 4 주제는 리더십의 정의, 리더십 이론의 발전사, 다양한 종류의


리더십과 리더십에 가능한 대한들을 살펴봤다. 리더십 이론은 Trait, Behavioural,
Situational, 와 Contemporary theory, 리더십의 종류는 카리스마적, 변화적/변혁적, 거래적,
Strategic leadership, 그리고 시스템, self leadership 과 leadership substitutes theory 와 같이
가능한 리더십의 대안들을 살펴 보았다.

나는 이번 주제가 너무나 흥미로웠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듯이 나는 리더십을


항상 카리스마, 주도성, 경영 능력 같이 서로 완벽히 다른 특성들을 다 포함하고 매번
다른 것을 표현하는 단어로 써왔다. 그러므로 나는 ‘리더십의 특성이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다루는 수많은 이론들을 접하는 것이 매우 인상이 깊었다. 하지만 제 4 주제를
결말을 지으면서 아직까지도 리더십이 무엇인지 불명확할 수 밖에 없었다. 다양한
관점들을 살펴보았지만, 다뤘던 이론과 관점들이 유사하면서도 명확히 다른 명제를
제안하기 때문이다.

Michigan Study 에서는 리더의 관계적 행동이 우위 하다고 주장했고, Ohio Study 는
관계행동과 과업행동 두가지가 모두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Fielder 의 contingency theory
의 의하면 상황에 따라 과업지향적 또는 관계지향적 리더가 필요할 때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나는 리더십에 대한 이론이 많은 이유는 '리더' 라는 개념의 구성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무한한 경계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더 설명하자면, 나는 이론의 주장의
차이는 이론이 경영자와 리더의 책임의 분리의 유무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Top
Management Team 의 역할에서 봤듯이, 나는 리더의 역할과 경영자의 역할은 명확이
구분되어야 생각한다.

나는 Michigan Study 에서 주장했듯이, 리더는 관계 지향적이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과업지향적 행동은 경영자에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John P. Kotter, 하버드의
리더십 교수는 ‘What Leaders Really Do’ 라는 아티클에서 경영자와 리더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한다. 리더는 조직의 방향을 잡아야 되는 반면 경영자는 계획 및 예산 책정을 해야
된다. 리더는 조직의 방향과 목표를 조직원들에게 의사소통해야 하는 반면, 경영자는
직무의 구조와, 인력의 배치와, 누구에게 얼마나 권한을 위임할지 결정해야한다고 한다.
물론 Ohio study 와 Fielder 의 contingency theory 가 보여주듯이 조직은 경영자와 리더가
둘 다 필요하다, 하지만 나는 체계적인 결정은 리더의 역할이 아니라 경영자의
역할이라고 본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