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검사 (제출용)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4

학번 : 이름 :

심전도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황에 따른 심장 박동수를 비교하고 심전도 파형의 원리와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심장 박동의 원리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키는 펌프로서 수축과 확장을 규칙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심장의 펌프 작용은 심근이 수축함으로 이루어지는데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미약한 전기가
생기며, 그것으로 인하여 신체 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에 의하여 신체의 표면에
전위의 분포가 발생된다. 심장의 활동으로 생긴 작은 전위 변화를 신체 표면의 적당한
부위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유도하여 증폭하여 기록한 것이 심전도이다. 심장은 매분 72 회
정도 뛰며 5L 의 혈액을 온몸으로 보낸다.

• 온몸을 돌고 온 • 심실이 확장하고 • 심실이 수축하면


혈액은 오른심방으로, 심방이 수축하면, 동맥을 통해
허파에서 산소를 혈액은 열린 판막을 오른심실의 혈액은
채운 혈액은 통해 심실로 들어간다. 허파로, 왼심실의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혈액은 온몸으로
내보내진다.

• 심전도 파형

심장의 전기적 활성화 단계를 반영하는 심전도 파형은 다음 그림과 같이 기본적으로 P, Q,


R, S, T, U 파로 구성된다.

• P 파: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각각의 탈분극은 양쪽 심방을 통하여 퍼져 나가면서 심전도


상에서 P 파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심전도에서 P 파가 나타나면 그것이 심방의
탈분극을 전기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P 파는 심방의 탈분극과
수축을 반영한다.

• QRS 군: 심실 심근세포의 탈분극은 심실 상에 QRS complex 를 형성하면서 심실의


수축을 유발한다. 즉 QRS complex 는 심실 수축의 시작을 유발하는 심실의 탈분극을
의미한다.

• ST segment: 심실의 재분극의 시작 부분을 의미한다. ST 분절이 정상 기선의 높이에


비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은 절박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병적 존재가 있음을
의미한다.

• T 파: 정상 T 파는 심실의 정상 재분극을 나타낸다. 정상 재분극은 심실의 심외막


표면에서 시작하여 심실벽을 통하여 심내막을 향하여 진행된다. T 파는 심실수축기
마지막 동안에 일어난다.

• U 파: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준비물
인터페이스, Science#프로그램, 심전도센서, 심전도패치, 카페인 음료

실험장치 준비
• 다음 그림과 같이 양쪽 손목과 오른쪽 팔꿈치 앞쪽에 심전도 패치를 붙인다.

• 왼쪽 손목엔 파란색 전극을, 오른쪽엔 빨간색 전극을 연결하고 오른쪽 팔꿈치 앞쪽엔 흰색
전극을 연결한다.

인터페이스 설정
• Science#을 실행시킨다.

• 심전도 센서를 인터페이스에 연결한다.

• 을 눌러 아래와 같이 실험 환경을 설정하거나 을 눌러 자동 설정한다.

자동설정

데이터 수집
• 앉은 자세로 을 눌러 1 분간 데이터를 수집한다.

• 여러가지 자세로 1 분간 측정되는 심전도의 맥박수를 측정한다.(서있는 자세, 엎드려 있는 자세,


누워있는 자세 등)

• 여러가지 운동을 같은 횟수만큼 한 후 심전도의 맥박수를 측정한다. (팔굽혀 뛰기, 윗몸일으키기,


턱걸이 등)

기록하기
• 심전도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 파형을 보기 위해 한 주기의
파형만 확대하여 그래프로 그려 보자.

• 심전도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어떠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지 설명하여
보자.

데이터 적용
• 다음 그림을 보고 맥박이 나타나는 원리를 설명하여 보자.

• 심전도의 파형이 규칙적인 주기로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맥박수(bpm)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 보자.

•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여러가지 상황의 맥박수(bpm)을 구하여 아래의 표를 완성하여 보자.
상황 플랭크 업드려 있는 가만히 앉아있는 서 있는

맥박수(bpm) 93 84 87 84

• 맥박수가 큰 순서대로 3 번의 상황을 나열하여 보고 그 이유를 설명하여 보자.

플랭크/가만히 앉아있는/서 있는 상황->호흡이 많이 들어가고 몸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떄문인


것 같다.

확장활동
실생활에서 심전도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조사하여 적어 보자.
->평소 운동,기본적 건강관리 뿐 아니라 만성질환 진단과 예방의 보조적
수단으로 스마트워치를 이용한다.(실제로도 코로나 백신을 맞고 심장을 호소하여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심전도 검사로 이상징후를 잡아냈다는 사례도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