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HRV (자율신경검사), 심박변이도

심장박동의 변이 정도, 하나의 심장 주기-다음심장주기 사이 미세한 변이를 의미

( Fluctuation of R-R interval) 심장주기의 시간적 변동

동방결절에 대해 교감,부교감신경이 서로 길항적 작용

*동방결절 : 심장에서 전기자극을 형성하는 부위

변이 기여 인자 : 호흡, 압수용기, 화학수용기, 체온, 수면패턴

스트레스에 대한 탄성 증가 – 크고 불규칙(healthy)

# Time Domain Paremeters

- SDNN(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

NN interval 이 평균과 얼마나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가

값이 큰경우 심박변동 신호가 불규칙하다는 것.

-RMSSD

RR 간격의 차이를 제곱한 값의 평균의 제곱근

부교감 신경의 활동을 평가하고자 할 때 사용

-SDANN

5 분동안의 NN interval 평균의 표준편차

-pNN50 : NN 간격의 총 개수에서 NN50 이 차지하는 비율

-CSI
-mHR(mean heart rate) 평균심박수

-mRR(mean RR interval)

-SI (Stress Index)

# Frequency Domain Parmeters (주파수 영역 분석)

TP(Total Power) , VLF(Very low Frequency), LF(Low Frequency), HF(High Frequency)

# Graphic Report

-HRV Tachogram

기록시간 동안의 심박동의 변화를 표시한 그래프 (가로 : time 세로 : bpm)

*BPM : 분당 박자수

ECG(심전도 검사) : 심장을 박동하게 하는 전기신호의 간격과 강도


PPG(Photoplethysmogram)(광혈류측정 센서) : 혈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학 기법

RSP

EDA

EMG(electromyography) (근전도검사) : 신경과 근육등에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분석하여 근육


신경의 이상을 확인
EOG : 각막과 망막 사이의 전위를 분석하는 방법

Peak 간 간격

HRV 감소 : 심박동의 역동적 변화의 복잡성 감소

*** time temporal, HRV Index 중 적절한 것

극댓값과 극소값의 차이 :

SDANN - 30 초간격의 평균값의 표준편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