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진단법 (머슬로)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4

도수 교정/카이로프랙틱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도수 교정에 있어서 증요한 점은


’시술자 자신과 피시술자에게 알맞은 테크닉 을
상황에 알맞게 적절히 구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시술자의 신체적 조건이 동일하지 않고,


피시술자 역시 신체적 조건이나 그 이외의 여러 가지가
항상 폭같은 수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따라서
도수 교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지키되,
기본 원리 이외의 것들은
자신에게 맞게끔 소화해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해야 한다'라는 틀에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상황에 알맞게 유연히 대저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르는 데에


이 강좌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근골격계에 부정렬이 유발되었을 때,


인체 스스로 정렬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도특
그 길을 알려 주는 것이 교정(adjustment)입니다.

교정을 통한 치료가 가능한 이유는,


인체가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 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체의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에 도음을 주기 위해


도수 교정의 용어와 원칙부터 하나씩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카이로프랙틱 용어

P.P (Patient's Position): 피시술자의 자세


D.P (Doctor's Position): 시술자의 자세
C.H (Contact Hand): 교정을 하기 위해 피시술자에게 접족시키는 '시술자의 손'
C.P (Contact Point): 교정을 하기 위해 피시술자에게 접족시켜야 할 시술자 손의 부위'
S.C.P (Segmental Contact Point): 교정을 하기 위해 접족해야 할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
S.H (Stabilization Hand): 피시술자를 고정하기 위한 '시술자의 손,
S. S.P (Segmental Stabilization Point): 고정하기 위해 접촉할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
L.O.C (Line Of Correction): 힘이 가해지는 방향
T. P (Tissue Pull): •교정하는 림'이 잘 전달되도록 연부조직을 '힘이 가해지는 방향 으로 당기는 것
Torque: '교정하는 힘’을 가할 때에 회전력을 더해 주는 것

2. Contact Point (C.P)

2 8

3 9



6
머은

① Pisiform
② Medial knife edge
⑤ Thumb
④ Thenar eminence
⑤ Hypothenar eminence
⑤ Palm heel
⑦ Palm
® Lateral knife edge
⑨ Web space

3. 변위 기재 사항 읽는 방법 (LISTING)

义 뼈의 변위된 상태의 명정은 다음과 같이 S기한다_

A (Anterior): '앞쪽의' 또는 '앞쪽으로 변위’

P (Posterior): '뒤쪽의’ 또는 •뒤쪽으로 변위'

L (Left): •왼쪽으로 변위’ 포는 '극돌기의 회전 방향이 왼쪽’

R (Right): 오른쪽으로 변우I’ 또는 '극돌기의 회전 방량이 오른쪽'

S (Superior): 위쪽으로 변위

I (Inferior): 아래쪽으로 변위

系 접촉 부위(S.C.P)의 명정은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Sp (Spinous Process): 극들기 (표기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Tp fit는 -T (Transverse Process): ■돌기 •喜•추에서 사용

-M (Mammillary process): 유듀돌기 요주에서 사용

-La fit는 -L (Lamina): 추궁(고리판) — 경추에서 사용

위의 명칭들을
각 부위의 특성에 맞게 응용하여 기재합니다.

예를 들어
C4 PRI-L이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4번 경추가 뒤쪽으로 변우l(P)되었고
극돌기가 오른쪽으로 회전(R)되어 있으며
극돌기가 회전된 쪽 이 아래쪽으로 변위(I)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를 교정하기 위해 접족해야 할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가 추궁(L)이라는 의미입니다.

4. 교정 원칙

① 교정 전 부하

교정 전 부하란,
교정하려는 방향으로
피시술자의 자세를 ’제한이 느껴지는 범위’까지
미리 만들어 놀는 것을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
약간의 힘을 순간적으로 가함으로써
제한을 넘도록 교정하게 됩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제한은
해부학적 제한(anatomical limit)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범위 안에서의 융직이지 못하는 제한’을 의미합니다.

② Wedge Opening Side Contact-1 원칙

openin 유
Side

Side,
0
Wedge란 쐐기를 뜻합니다.

위의 그럼처럼
척추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의 한쪽은 좁아지고
반대로 다른 한쪽은 넓어집니다.
이때 추간판의 모양이 쐐기 모양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쏘H기 모양에서 넓은 쪽을
'열려있다(opening)•라고 표현합니다.

convex
(

Concave

Wedge opening side


즉, 추간판이 위아래로 벌어진 곳은
척추의 만곡이 볼록(convex)해 집니다.

반대쪽(추간판이 좁아진 곳)은?


오목(concave)해질 것입니다.

convex-»conc^ve concovs->convex

볼록한 쪽에서 오목한 쪽으로 힘을 가하면


'정상적인 정렬을 향해서’ 힘이 가해지는 것이지만,

반대로

오목한 쪽에서 볼록한 쪽으로 힘을 가하면


’비정상적인 정렬을 향해서’ 힘이 가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wedge opening side 1히f아서 접족(contact)하여
교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원리와 연관되어 S.C.P도 결정됩니다.

concave Convex

위의 그림이
경추의 PRS라고 가정하겠습니다.

Wedge opening side가 오른쪽이므로


조추의 만곡이 오른쪽으로 볼록합니다.

< 0 >

정상적인 정렬로 만들기 위해 힘을 가해야 할 방향’이


'볼록한 쪽’에서 •오목한 쪽•으로 향해야 하므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따라서 S.C.P의 위치는 오른쪽이 됩 니다.)

3으 I

이제는
S.C.P를 '추궁(-L)의 오른쪽 부위•로 할 것인지
아니면 '극돌기(-Sp)의 오른쪽 부위’로 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척추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변위된 추체(vertebral body)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극들기의 오른쪽 부위를 접족해서


척추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척추의 좌우 만곡이 바르게 교정되는 등시에


추체가 오른쪽으로 회전되며 제자리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PRS-Sp라고 표기합니다.

그렇다면 만약,
추궁의 오른쪽을 S.C.P로 선택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La

척추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척추의 좌우 만곡은 바르게 교정될 수 있지만,

추체가 왼쪽으로 회전되면서 부정렬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또한 후관절(facet joint)에 강한 압박이 가해지면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③ L5 LISTING 특수성

L5 가 변위된 경우에는
'wedge opening side의 방향'과
'척추 만곡의 볼록한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0
o
concave
Convex

Closing.
Side

위의 그림처럼
L5의 wedge opening side가 오른쪽이지 만,
척추 만곡의 볼록한 방향은 왼쪽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L5를 교정할 때는
wedge opening side의 방향과 관계없이
척추 만곡의 볼록한 쪽 에서 '오목한 쪽'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S.C.P를 설정하면 됩니다.

정리해 보자면...

척추 만곡의 볼록한 쪽이 왼쪽이므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_ 향해야 합니다.

따라서
S.C.P를 왼쪽 유두돌기(-M)•로 선택하거나
극들기의 왼쪽 부위'로 선택해야 합니다.

추체가 왼쪽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추체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왼쪽 유두돌기를 S.C.P로 선택해야 합니다.

그래서 PRS-M이라고 표기합니다.


머裴
4 두골

척추의 교정에는
후두골(occiput)까지 포함되며,
후두골은 CO라고 표기합니다.

후두골(CO)과 환추(C1, atlas)는


나머지 다른 척추들과는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변위 기재 방법(LISTING)과 교정 방법이 조금 다롭니다.

1.C0-기재 방법

아래의 그림들 중에서


<으。와 <PS>는 옆에서 본 모습이고,
나머지 그림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AS>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이 위로 들림

머슬 5

PS

<PS>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뒷부분이 위로 들림

AS-RS 또는 PS-RS

<AS-RS 또는 PS-RS>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CO의 오른쪽이 위로 들림 머2

□병

AS-LS 또는 PS-LS

<AS-LS 또는 PS-LS>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CO의 왼쪽이 위로 들림

머슬로

<AS-RS-RA 또는 PS-RS-RA>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CO의 오른쪽이 위로 들림 머리가 J

CO의 오른쪽이 앞으로 이동

머슬로

AS-RS-RP 또는 PS-RS-RP

<AS-RS-RP 또는 PS-RS-RP>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CO의 오른쪽이 위로 들림 머리가 J 은침),
CO의 오른쪽이 뒤로 이동 머리가」

머슬

AS-LS-LA 또는 PS-LS-LA

<AS-LS-LA 또는 PS-LS-LA>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의 왼쪽이 위로 들림 ,
CO의 왼쪽이 앞으로 이동

머슬로

AS-LS-LP 또■는 PS-LS-LP

<AS-LS-LP 또는 PS-LS-LP>
후두과(occipital condyle)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이 위로 들리고,
CO의 왼쪽이 위로 들림 ,
CO의 왼쪽이 뒤로 이동

2. C1 - 기재 방법

아래의 그림들 중에서 세 번째 그림부터


빨간색이 C1(atlas)이고, 검은색이 C2(axis)입니다.

C1 의 측방변위 시에

동즉 관절강내(intra-articularcavity)의 염증액성 침투로


관절낭(articular capsule)이 팽창되어 동증이 높아집니다.

<AS>
C1 의 앞부분이 위로 향함

<AI>
C1 의 앞부분이 아래로 향함
어홋S2丄

C1
C2
ASR 또는 AIR

<ASR 또는 AIR>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 이 오른쪽으로 치우침

어 ■로

C1
C2
ASL 또는 AIL

<ASL 또는 AIL>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O| 왼쪽으로 치우침

Cl
C2
ASRA 또는 AIRA

<ASRA 또는 AIRA>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 이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C1 의 오른쪽이 앞으로 이동

Cl
C2
ASRP 또는 AIRP

<ASRP 또는 AIRP>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 이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C1 의 오른쪽이 뒤로 이동(C1 이 <

떠 ■로

C1
C2
ASLA 또는 AILA

<ASLA 또는 AILA>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O| 왼쪽으로 치우치고,

C1 의 왼쪽이 앞으로 이등:C1O

떠 ■로

C1
C2
ASLP 또는 AILP

<ASLP 또는 AILP>
C1 의 앞부분이 위로(또는 아래로) 향하고,
C1O| 왼쪽으로 치우치고,

C1 의 왼쪽이 뒤로 이등(C1 이 추

3. 경추(C2~C7), 흉추(T1 니"12), 요추(L1~L5) - 기재 방법

흥추와 요추는
S.C.P가 경추와 다를 뿐

나머지는 C2~C7과 동일합니다.

<P>
추체가 뒤로 변위됨

0)
a 0 )

<PR>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 오른쪽으로 이동

GZ 0
PRS

<PRS>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오른쪽으로이동 크 ),
추체의 오른쪽이 들림

더0 :)
cz 、、— 0 ■)
PL

<PL>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 왼쪽으로 이동

0
cz 0 ■)
PLS

<PLS>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왼쪽으로이동 회전),
추체의 왼쪽이 들림

0
0
PRI-L 또는 PRI-T 또는 PRI-M

<PRI-L 또는 PRI-T 또는 PRI-M>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오른쪽으로 이동 ,
추체의 오른쪽이 내려감

0
c、 ■一―
0 ■)
PLI-L 또는 PLI-T 또는 PLI-M

<PLI-L 또는 PLI-T 또는 PLI-M>


추체가 뒤로 변위되고,
극돌기가왼쪽으로이동 ,
추체의 왼쪽이 내려감
골반의 기재 방법은
후상장글극(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의 웅직 임에 따라서
명칭을 붙입니다.

1. 관골(hip bone)—I 중립자세(neutral position)

必 후상장골극(PSIS)과 전상장골극(ASIS)이 수평선상에 위치합니다.

② 전상장골극(ASIS)과 치골결합(symphysis pubis)O| 수직선상에 위지합니다.

2. 관골(hip bone)—I AS(Anterior Superior)

P5IS

R3IS

① 후상장골극(PSIS)이 전상장골극(ASIS)보다 높게 위치합니다.

② 전상장골극(ASIS)이 치골결합(symphysis pubis)보다 전방에 위치합니다.

③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가 짧아집니다.

④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가 짧아집니다.

⑤ 요추의만곡이적어집니다.

⑤ 후상장골극(PSIS)의 아래쪽을 족진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⑦ 다리의 길이가 길어집니다.

천장관절 (sacroiliac joint) 에서


관골(hip bone)0| 천골(sacrum)에 대하여
하후방으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 누워 있을 경우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길어지고,
장골능(iliac crest)의 높이는 낮아집니다.

— 바닥에 발을 딛고 서 있을 경우에는
길어진 다리로 인하여 장골능의 높이가 높아지게 됩니다.

— 다리를 쭉 펴고 앉아 있을 경우에는
하후방으로 미끄러진 관골 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짧아지게 됩니다.

3. 관골(hip bone)의 PI(Posterior Inferior)

R SIS

PSIS

① 후상장골극(PSIS)이 전상장골극(ASIS)보다 낮게 위치합니다.

② 전상장골극(ASIS)이 치골결합(symphysis pubis)보다 후방에 위치합니다.

③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가 길어집니다.

④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가 길어집니다.

⑤ 요추의 만곡이 과도해집니다.

® 후상장골극(PSIS)의 위쪽을 족진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⑦ 다리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에서
관골(hip bone)0| 천골(sacrum)에 대하여
상전방으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 누워 있을 경우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짧아지고,
장골능(iliac crest)의 높이는 높아집니다.

— 바닥에 발을 딛고 서 있을 경우에는
짧아진 다리로 인하여 장골능의 높이가 낮아지게 됩니다.

— 다리를 쭉 펴고 앉아 있을 경우에는
상전방으로 미끄러진 관골 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길어지게 됩니다.

4. 관골(hip bone)의 IN(INternal rotation)과 EX(EXternal rotation)

머술로

IN% V 0
EX
O V 0
o Vo
o v o

EX
IN

後 IN의 경우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가 길어집니다.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집니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가 짧아집니다.
► 다리의 길이가 길어집니다.
► 요추의 만곡이적어집니다.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에서 멀어집니다.

② EX의 경우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가 짧아집니다.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증선' 사이의 걸리가 멀어집니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가 길어집니다.
► 다리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 요추의 만곡이 과도해집니다.
► 지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을 넘어갑니다.
► 후상장골극(PSIS)의 내즉을 족진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습니다.

★ X-Ray 할영 시 환자의 자세에 의해 융과값이 갛라형 수 있습니다.


★ 따라서 x-Ray 분석 걸과값이만 의존하면 안 S니다.
★ 반드시 듬직임 평가 등 주가적인 검토를 통해 증과값을 대조해 보아야 합니다.

[요약]

► AS

谷 관골(hip bone)의 세로 걸이 丄
②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 i
® 다리의 걸이 t
公 요주의 만곡 |
© 후상장골극(PSIS)의 아래쪽에 부종 맏생

谷 관골(hip bone)의 세로 겋이 卞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르 질이 ?
貧 다리의 길이 i
公 요주의 만곡 T
© 후상장골극(PSIS)의 위쪽에 부종 발생

④ 장골(ilium)의 가로 길이 T
@ 후상장골극(PSIS)•과 •전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거리 I
(D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 1
公 다리의 길이 T
色 요주의 만곡 1
貧 치골융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에서 별어짐

EX

® 장골(ilium)의 가로 걸이 1
② 후상장골극(PSIS)•과 •전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거리 T
(D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 ?
公 다리의 길이 丄
貧 요주의 만곡 T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을 넘어감
公 후상장골극(PSIS)의 내측에 부종 탕생

5. 천골(sacrum)의 변위 기재 방법(LISTING)

천골(sacrum)의 기재 방법은
여기에서 언급하는 기재 방법 외에도
다른 기재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여기에서는
천골의 기본적인 움직임에 입각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천골의 음직임을 표현한 것입니다.

① 숙이기(nutation)의 경우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모양을 따라 융직이면서


천골기저부(sacral base)가 전하방으로 이등하고,
천골첨(sacral apex)은 후상방으로 이동합니다.

② 들기(counter-nutation)의 경우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모양을 따라 융직이면서


천골기저부(sacral base)가 후상방으로 이등하고,
천골첨(sacral apex)은 전하방으로 이동합니다.

기재 방법은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융직임‘을 기준으로
명칭을 붙입니다.

► [PS-R]: 천골기저부의 오른쪽(리이 후상방(Posterior-Superior)으로 변위


► [PS-L]: 천골기저부의 왼쪽(L)이 후상방(Posterior-Superior)으로 변위
► [AI-R]: 천골기저부의 오른쪽(R)이 전하방(Anterior-Inferior)으로 변위
► [AI-L]: 천골기저부의 왼쪽(L)이 전하방(Anterior-Inferior)으로 변위

본 강좌는 카이로프랙틱의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생체역학을 보다 더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작성되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