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1

서 언 1

서 언

본 보고서는 중앙은행의 미래 인프라로 일컬어지는 디지털화폐의 글로벌 동향


과 정책적 시사점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결과입니다. 암호화폐의 출현과 더불어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민간 화폐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분산원장과 같은 새로
운 디지털화폐의 기술로 민간 금융부문에도 디지털 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양한 민간 화폐가 출현하면서 그간 중앙은행 화폐 기반의 통화체계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중국, 유럽을 비롯해서 우리나라에 이
르기까지 중앙은행 화폐의 디지털화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도입
의 의미와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대한 변화를 글로벌 중앙은행과 국제기구가 어떻게 대응하고 그 함의
가 무엇인지 적확하게 파악하고 우리의 방향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연구보고서는 다년간의 계획으로 기획되고 진행되었
습니다. 2021년에 현안연구과제를 통해 사전 연구를 진행하였고 2022년에는 미
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통화 패권경쟁의 시각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동향을 살펴보았습니다. 올해 2023년은 날로 발전하는 민간 디지털
화폐의 생태의 관점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역할과 지위 그리고 적절한 규범
체계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저는 정보통신기술 전문연구기관인 정보통
신정책연구원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논의에 기존에 진행되던 금융 분야의 연
구와는 차별화된 시각과 전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보고서가 그런 역할을 보
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박동욱 선임연구위원이 수행하였습니다. K미
디어랩 이성춘 박사께서는 토큰화를 비롯한 민간 디지털화폐의 동향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주셨습니다. 한국에이아이블록
체인융합원의 임명환 원장께서는 연구 시작부터 중간, 최종까지 보고서 작성에 도
2

움이 되는 여러 가지 귀중한 조언을 주셨습니다. 본 연구원의 김민진 전문연구원


은 자료를 정리하고 보고서가 완성될 수 있도록 문서작업을 도와주었습니다. 본
보고서가 이미 국내에서도 본격화되고 있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정책에 의미 있
는 주춧돌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3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배 경 율
3

목 차

서 언 ···················································································································· 1

요약문 ····················································································································· 9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9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 23

제 1 절 토큰화(Tokenisation) 동향 ································································· 23
1. 토큰화의 정의 ···························································································· 23
2. 토큰화의 편익 및 촉진 요인 ······································································ 24
3. 토큰화 메커니즘 ························································································· 25
4. 전통금융시스템과의 비교 및 토큰화 실현의 필요 요소 ······························ 27
제 2 절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과 디지털 자산의 거래 ································ 29
1. 스테이블코인 개요 및 현황 ········································································ 29
2. 스테이블코인과 지급결제체계의 안정성 ······················································ 32
제 3 절 토큰화 예금(Tokenised Deposit)과 화폐의 단일성 ··························· 35
1. 스테이블코인과 화폐의 단일성 ··································································· 35
2. 토큰화 예금과 2계층 통화 시스템 ····························································· 37
3.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 예금의 모델 비교 ·················································· 38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 43

제 1 절 기관용 CBDC와 결제 플랫폼 ····························································· 43


4

1. 결제 자산으로서 CBDC의 필요성 ······························································ 43


2. 결제 인프라로서 중앙은행 화폐의 디지털화 설계 ······································ 44
제 2 절 기관용 CBDC 결제 인프라 설계 청사진 ············································ 48
1. 기관용 CBDC 모델의 설계 방향과 청사진 ················································ 48
2. BIS 통합원장(unified ledger) 모형 ·························································· 50
3. IMF의 XC 플랫폼 모델 ············································································· 53
제 3 절 기관용 CBDC 실험 모델 및 시사점 ··················································· 55
1. BIS 혁신 허브(Innovation Hub)의 기관용 CBDC 실험 개요 ·················· 55
2. 기관용 CBDC 사용 사례: Helvetia 모델 ················································· 56
제 4 절 국경 간 지급결제를 위한 기관용 CBDC 실험 ···································· 59
1. 국경 간 지급결제 파일럿테스트 개요 ························································· 59
2. 도매 CBDC를 활용한 국경 간 거래 실험 ················································· 60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 67

제 1 절 범용 CBDC의 현황과 쟁점 ································································· 67


1. 범용 CBDC와 기관용 CBDC의 관계 ························································ 67
2. CBDC 글로벌 추세 ··················································································· 68
3. 범용 CBDC 도입의 우려 ··········································································· 72
4. CBDC 도입의 필요성 및 위험에 대한 대응: 유럽의 입장 ························ 74
제 2 절 디지털파운드 정책 동향 ······································································ 76
1. 디지털파운드 도입 결정을 위한 과정 ························································· 76
2. 디지털파운드 도입의 필요성 ······································································ 78
3. 디지털파운드 모델 ····················································································· 80
제 3 절 디지털유로 정책 동향 ········································································· 88
1. 디지털유로의 필요성, 정책 목표 및 추진 계획 ·········································· 88
2. 디지털유로의 주요 설계 특성 ···································································· 91
5

제 4 절 디지털유로화 논의를 통해 살펴본 CBDC 쟁점 ·································· 95


1. CBDC 도입의 필요성 ················································································ 95
2. 금융 및 통화 안정성을 위한 설계 장치의 적합성 ······································ 96
3. 통화 앵커로서 CBDC 필요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 ···································· 98
4. 미래의 화폐 시스템 ················································································· 100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 104

제 1 절 CBDC 글로벌 동향과 전망 및 시사점 ············································· 104


1. CBDC 도입 전망 ···················································································· 104
2. 범용 CBDC 도입의 필요성 논의의 변화 ················································· 105
3. 범용 CBDC는 플랫폼 모델로 설계 ························································· 107
4. 기관용 CBDC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 지급결제 시스템의 앵커 ··············· 107
5. 기관용 CBDC는 혁신이 아닌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방향으로 설계 ········· 108
6. CBDC 도입이 시급하진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준비 필요 ······················ 109
제 2 절 국내 CBDC 동향 및 설계 시 고려 사항 ·········································· 110
1. 국내 범용 CBDC 기술 연구 및 운용 실험 현황 ····································· 110
2. CBDC 활용성 테스트 추진 계획 ····························································· 111
3. CBDC 정책 시사점 ················································································· 113

참고문헌 ············································································································· 118


6

표 목 차

<표 2-1> 스테이블코인의 종류별 특징 ·························································30


<표 2-2> 스테이블코인 활용 영역 ································································30
<표 3-1> BIS 혁신 허브의 기관용 CBDC 실험 사례 ·································55
7

그 림 목 차

[그림 2-1] 글로벌 사유 자산 시장 규모 ·····················································25


[그림 2-2] 토큰 구성도: 코어 계층과 서비스 계층 ·····································26
[그림 2-3] 토큰화 연속성 ··············································································27
[그림 2-4] 민간 토큰화 화폐의 디지털 무기명 증권
(Digital bearer instrument) 모델 ···········································38
[그림 2-5] FTX 및 실리콘밸리은행 붕괴 기간에 나타난
스테이블코인의 변동성 ································································40
[그림 2-6] 민간 토큰화 화폐의 소각/발행(burn/issue) 모델 ·····················41
[그림 3-1] 예금 토큰을 활용한 지급과 기관용 CBDC를 활용한
결제 모형 ·····················································································47
[그림 3-2] BIS 통합원장 모형 ·······································································51
[그림 3-3] 통합장부상의 유가증권 결산 과정 모형 ·····································52
[그림 3-4] XC 플랫폼을 통한 국경 간 지급 모형 ·······································54
[그림 3-5] mBridge 플랫폼 사용 전후의 국경 간 거래 비교 ····················61
[그림 3-6] Project Jura의 실험 설계 ··························································63
[그림 3-7] Project Dunbar 개요 ································································64
[그림 3-8] Project Mariana의 솔루션 디자인 ·········································66
[그림 4-1] 글로벌 CBDC 프로젝트 추세 ·····················································69
[그림 4-2] CBDC 도입 예상 시기 ································································70
[그림 4-3] CBDC 도입 동기 ·········································································70
[그림 4-4] 지급결제의 분산원장 기술 적용 전망 ·········································71
[그림 4-5] CBDC 도입의 주요 우려 사항 ···················································72
8

[그림 4-6] 디지털파운드 3단계 로드맵 ························································78


[그림 4-7] 디지털파운드의 주요 동인 ···························································79
[그림 4-8] 디지털파운드 플랫폼 모델 ···························································81
[그림 4-9] 디지털파운드 개인정보보호 구조 ················································82
[그림 4-10] 디지털파운드 개념적 모델 예시 ·················································86
[그림 4-11] 디지털유로 정책 로드맵 ······························································89
[그림 4-12] 디지털유로; 기본 디자인 옵션 ····················································90
[그림 4-13] 디지털유로 실현 결정을 위한 주요 고려 요소 및 이정표 ········90
[그림 4-14] 디지털유로 중개기관의 역할 ·······················································92
[그림 4-15] 디지털유로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프로토타입 ··························94
[그림 5-1] CBDC 모의시스템의 거래 처리 절차 구성도 ··························111
[그림 5-2] CBDC 네트워크 내 디지털통화의 종류 및 성격 ····················112
[그림 5-3] CBDC 네트워크 구성도 ····························································112
요약문 9

요 약 문

1. 제 목

디지털화폐 생태계 변화에 대응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정책연구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암호화폐와 같은 민간 디지털화폐는 디지털 경제의 혁신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또한 분산원장 기술은 현재의 금융 자산뿐만 아니라
부동산, 공공인프라 등 실제세계자산(RWA)의 토큰화를 통해 잠재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자산의 범위와 규모가 확장되었다.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민간 디지털화폐
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안정적인 지불수단으로 설계되었지만 중앙은행 화폐
와 연계되지 않으면 안정성은 담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디지털화폐가 가져올 미래 금융시스템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발전을 위해서
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화폐가 필요하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는 디지털 시대에도 현재의 중앙은행이 보장하는 통화와 금융의 안정성을 확보하
기 위한 수단으로 제안되었다. 각국 중앙은행은 기관용 CBDC를 결제 자산으로
하는 지급결제 인프라를 수립하고 거래는 토큰화된 민간의 디지털화폐를 이용하
는 디지털 버전의 2계층 화폐 체계를 구상하고 있다.
화폐의 신뢰성을 담보해야 하는 CBDC 정책은 난이도와 복잡도가 매우 높은 정
책과제이다. CBDC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정책 분야뿐만 아니라 기술 분야의 동
향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한다. 실제로 정책에 맞도록 CBDC를 설계하고 모델을
구현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기술 발전과 정책 환경 변화의 최근 동향을 비롯
10 기본연구 23-05

해 각국의 사례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화폐의 동향과 자산의 토큰화가 가져오
는 미래 금융산업의 변화를 살펴보고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
한 CBDC 정책 방향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분산원장 기술로 형성되
고 있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한 각국 중앙은행의 정
책동향, 범용 및 기관용 CBDC의 향후 전망과 함의를 파악하여 국내 정책 방향에
시사점을 살펴본다.

3. 연구의 구성 및 범위

높은 복잡성과 난이도, 급속한 환경 변화 때문에 CBDC 연구에서는 정책, 기술


의 주요 쟁점에 대한 최근 논의 동향을 신속하게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CBDC 정책 연구는 이론적 접근도 필요하지만 사례를 중심으로 상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국의
정책과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첫째, 분산원장 기술이 가져온 화폐체계 변
화의 핵심인 토큰화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
래 화폐체계의 조건과 방향을 살펴본다. 둘째,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결제 자산으
로 주목받고 있는 기관용 CBDC를 살펴본다. 셋째, 최근 유럽의 CBDC 도입 정
책을 중심으로 범용 CBDC와 관련된 쟁점을 살펴본다. 끝으로 글로벌 동향과 쟁
점을 분석하여 글로벌 정책의 방향과 전망 그리고 국내 CBDC 정책에 시사점을
도출한다.
요약문 11

4. 연구 내용 및 결과

가. 분산원장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자산을 토큰화하면 분산원장 기술 금융 인프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와 같은 새


로운 기능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금융 인프라에서는 상상하지 못하는 혁신적인 거
래가 가능하다.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은 파편화되어 있어서 서로 다른 거래 은행의
원장 간 및 자금과 자산 간 별도의 네트워크를 가진다. 이 때문에 거래가 완결되
기까지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거래 완결까지 다양한 불확실성과 손실 위
험이 존재한다. 토큰화된 자산은 분산원장 기술의 편익을 누린다. 토큰화된 자산
은 실시간, 상시적(24/7) 그리고 즉시 원자적(atomic transaction) 거래가 가능
하며 거래 정보에 투명하게 접근할 수 있다. 거래의 프로그램이 가능해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원하는 형태의 자동화 거래가 가능하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조합
성(composability)을 가지는데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드를 마치 레고블록처럼 조
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거래를 만들 수 있다. 토큰화는 실제세계자산(RWA)의 유
동성을 높임으로써 잠재적인 금융자산의 폭과 범위가 크게 향상할 것으로 예상된
다.
혁신성과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자산의 토큰화가 확대되기에는 기술적,
법·제도적 한계가 있다. 자산부문별, 국가 간 법과 규제의 파편화, 자산 분류체계
의 글로벌 표준화 미비가 토큰화 확대의 가장 큰 장애로 지적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자산 거래의 지배적인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스테
이블코인은 가치의 불안정성과 통화 단일성의 미비 문제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성은 위협받을 수 있다. 스
테이블코인은 무기명 증권(bearer’s instrument) 특성이 있기 때문에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화폐가 액면가대로 통용되지 않아 화폐의 단일성을 유지
하지 못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화폐로서의 단점을 극복하고 디지털 시대에도 2계층 통
12 기본연구 23-05

화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주목받는 디지털화폐가 토큰화 예금(tokenized


deposit)이다. 토큰화 예금은 무기명 증권 형태가 아니고 계좌기반 토큰이기 때
문에 현재 시중은행의 예금 화폐가 지급결제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환이
이루어진다. 중앙은행 시스템을 통한 결제의 완결성과 중앙은행 화폐를 결제 자산
으로 사용하는 토큰화 예금으로 구성된 2계층 통화시스템은 디지털화폐의 단일성
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나.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화폐체계가 프로그램이 가능한 화폐와 지급플랫폼으로 진화한 토큰화의 환경에


서도 현재와 같은 화폐의 단일성과 결제의 완결성을 보장하는 화폐체계를 설계하
는 것이 중앙은행의 과제이다. 신뢰에 기반하는 디지털 화폐체계 수립을 위해 중
앙은행 화폐와 지급결제 인프라를 앵커로 하는 2계층 모델이 디지털화폐 영역으
로 확장되어 설계되고 있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2계층 모델은 토큰화된 기관용
CBDC와 토큰화 예금이 각각 시스템의 앵커로와 결제 수단으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제 수단을 통해 프로그램 가능성과 조합가능성이 구현된다.
국제통화기금(IMF)뿐만 아니라 국제결제은행(BIS) 모두 미래의 화폐 생태계가
통합원장 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BIS는 통합원장(unified
ledger)이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함으로써 안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 새로운 형태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계약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하고 있다. IMF는 신뢰받는 단일원장(single ledger)에서 여러 화폐의
상호 결제, 다양한 기능의 조합과 자동화를 통한 거래, 신원증명 등 거래와 분리
된 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XC 플랫폼을 제시한다.
BIS는 다수의 중앙은행과 기관용 CBDC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
한 프로토타입 모델을 설계하여 기능을 실험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다. 토큰화
된 자산이 중앙은행 화폐로 기능하여 결제가 가능함을 보일 수 있었다. 분산원장
플랫폼과 RTGS 간 상호운용성 연계를 통해서 현재의 금융시장 인프라를 활용하
요약문 13

여 기관용 CBDC 시스템 실행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분산원장과 RTGS 시스템 간에 상호운용은 가능하지만 이로 인해 실행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확장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분
산원장이 현재 금융중개의 핵심인 은행 시스템과 완전히 결합할 수 있을지에 대
한 우려가 존재한다.
분산원장과 전통적인 인프라 간 상호운용성으로 양자의 결합이 심화되며, API
를 이용하여 은행시스템의 코어와 분산원장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노드 간 조직적
인 금융 활동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통합은 다양한 시스템을 병렬적으로
프로세싱해야 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시간으로 기존 은행 시스템과 연계되어
야 하는 등 복잡성과 조정해야 할 과정이 많아져서 분산원장의 효율성 편익을 충
분히 누리는 데 한계로 작용한다. 시스템이 운영탄력성을 가지려면 RGTS 시스템
을 연계하기보다는 기관용 CBDC의 발행과 준비금으로의 환전을 위한 별도의 프
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BDC의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으로 각광받는 분야가 국경 간 지급결제이다. 국
경 간 지급결제의 비효율성은 국가 간 지급시스템의 파편화와 영업시간, 시스템
호환성 그리고 규제 격차에 이르기까지 상호운용성의 미흡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
다. CBDC는 국경 간 거래속도를 높이고 거래 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되며
CBDC의 국경 간 송금 및 거래를 통해 세계 각 지역 국민에게 CBDC의 접근성이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경 간 결제의 효율성과 관련해서 CBDC가 가
지는 장점은 시스템의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이 CBDC의 설계의 기본적인 요구사
항이라는 것이다. CBDC 개발을 위한 표준과 협력이 글로벌하게 이루어지고 있
다. 국경 간 지급결제는 중앙은행과 은행 간에 구축된 CBDC 결제 시스템을 복수
의 국가로 확장하는 개념이다. 또한 CBDC를 통하게 되면 민간의 금융인프라 거
래 절차와 창구가 훨씬 단순해지고 협력이 용이해진다. CBDC 개발이 국경 간 지
급결제를 개선할 수 있는 주요 계기로 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14 기본연구 23-05

다.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CBDC 도입의 동기에 디지털 시대에 화폐의 앵커가 필요하다는 경제적 요구뿐
만 아니라 통화주권 같은 정치경제적인 요구도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CBDC
도입의 필요성이 지급결제의 효율성, 금융포용 제고 등 실질적인 유용성에서 화폐
의 앵커, 통화 주권확보와 같은 정치적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의 중앙은행은 화폐의 공공재적 성격에 주목한다.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는
시장이 제공하기 어려운 외부성을 가진 공공재이며 CBDC는 앵커로서 화폐의 단
일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민간 화폐의 플랫폼 역할로 사회적인 효용을 제공한다.
국가의 상황에 따라 상이한 목적으로 CBDC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CBDC의 필요
성에 정치적 측면도 반드시 고려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유럽에서 디지털 시대
의 통화주권 확보는 경제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최근 지정학적인 긴장
도가 고조되면서 지급결제 자주권의 필요성이 보다 깊이 인식되고 있다.
CBDC 정책 성공을 위해서 이용 활성화가 필요하지만 지나친 활성화로 CBDC
보유 유인이 높아지면 금융의 안정성을 위협하게 된다. 두 개의 목표를 충족시키
기 위해서는 CBDC가 널리 사용될 정도로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은행부문을 잠식
할 정도로 과도하게 매력적이면 안 된다. 이런 이유로 유럽에서 제시하는 CBDC
보유상한 정책은 딜레마를 가지게 된다.
중앙은행은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예금 등 토큰화를 이용한 혁신적인 민간 디지
털화폐가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동시에 새로운 디지털화폐를 포함하여
모든 화폐가 단일성과 신뢰를 확보하고 금융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디지
털화폐에 대한 규제와 CBDC 설계가 필요하다. 새로운 화폐의 기능성을 활용하면
서 화폐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화폐는 단순히 지불 수단이라기보다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처럼 CBDC는 지불 플랫폼 모델로 설계
되어 중앙은행은 기본적인 기능의 CBDC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원장 인프라를
제공하고 새롭고 다양한 지불서비스는 민간 PSP가 플랫폼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지갑을 통해 제공한다.
요약문 15

금융 안정성을 위해 금융기관 간에 토큰화된 화폐 결제는 지급준비금을 매개로


하도록 미래 화폐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화폐의 결
제는 세 가지 방식으로 중앙은행 화폐 결제가 가능하다. 첫째는 지급준비금을 토
큰화한 기관용 CBDC를 통해 결제하는 것이다. 둘째는 중앙은행에 계좌를 보유한
민간 금융기관이 지급준비금을 토큰화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다. 셋째가 현재 시스
템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으로 RTGS, TARGET2, FedNow 등 중앙은행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향후 업그레이드하여 토큰화된 분산원장과 API 혹은 동기화를 통
해 연결하여 도매 결제를 실현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 중앙은행에서는 셋째 대
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을 통해 금융기관 간 토
큰화된 거래 결제를 실현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비은행 금융기관을 어떤 규
제 규범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중앙은행 결제시스템에 포함시킬지이다.

라.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유럽을 비롯한 많은 금융선진국은 범용 CBDC 도입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준


비는 조기에 완료하고 도입 시기는 향후 여건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하려는고
한다. CBDC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그 공간을 민간 화폐나 외국의 디지털화폐
가 잠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기에 도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지만 범용
CBDC가 가지는 정책의 위험성 때문에 도입은 최대한 유예하는 방향으로 고려되
고 있다. 이것은 범용 CBDC는 현 단계에서는 조속히 도입해야 할 충분한 편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다. CBDC가 실제로 도입된다면 경제적
효율성의 논거보다는 통화의 자주권, 안보 등 정치적 근거가 우세할 것으로 전망
된다.
기관용 CBDC는 안정적인 결제 자산으로서 디지털화폐의 단일성을 담보하는
앵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 예금을 토큰화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의 수단으로 하고 기관용 CBDC를 결제 자산과 인프라로 구성하는 새
로운 2계층 모델이 디지털화폐 공간에서의 안정적인 화폐시스템으로 제시되고 있
16 기본연구 23-05

다. 스테이블코인 등 민간 디지털화폐가 독자적인 통화체계를 형성하기 전에 2계


층의 디지털 중앙은행 화폐체계의 규범을 준거로 스테이블코인의 규범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EU의 MiCA를 비롯해서 일본과 홍콩 등 주요국에서 지불 수단으로
화폐처럼 사용되는 비은행금융기관 발행 스테이블코인은 은행 기관에 준하는 규
제를 통해 규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BIS나 IMF는 미래의 화폐 시스템은 통합된 단일원장의 디지털 자산거래 인프
라를 지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기존의 RTGS 시스템을 분산원장 기
반 플랫폼과 상호운용성을 통해 연동하는 모델을 선호한다. 디지털 자산거래를 중
앙은행 화폐로 결제하려면 분산원장 기반 기관용 CBDC를 도입하기보다는 기존
RTGS와 상호연동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조기에 실현 가능하다. 상호운용이 가능
한 네트워크를 기술적으로 그리고 표준과 규율 측면에서 가능한 한 최대로 연동
하는 것이 현재 주요국 중앙은행의 방향이다.
한국은행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원화 프로젝트는 다른 국가보다 기술적으로 앞
서 있으며 분산원장 기술 기반의 새로운 기능들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해외 CBDC, 스테이블코인으로부터 국내의 통화주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여
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범용 CBDC는 유럽의 경우와 같이
도입 준비를 조속히 완료하고 여건에 따라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미국을 비롯해서 영국, 유럽연합 등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보호 규범, 범용 CBDC의 성격 등 주요 정책 결정 사항에 대해 유사한 방향의 설
정과 기술적 설계가 예상되고 있다. 언제든지 CBDC 도입이 가능하도록 국제적
추세와 일관되는 CBDC 설계가 필요하다
정책 목표는 기술적 설계와 상호 연관된다. 범용 CBDC의 기술적 설계를 위해
서 주요 CBDC 정책 목표와 구현 방식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주요 정
책 목표는 일정 기간 내에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 목표수립을 위한 일
정 수준의 정책 로드맵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요약문 17

5. 기대효과

국내의 CBDC 기술 역량과 설계 경험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앞서 있는 것으로 평


가되고 있지만 CBDC 정책에 대한 논의는 초기 단계로 판단된다. 현재 정책 개발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정책 대안보다는 주요 쟁점에 대한 방향과 논거의 제시가
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최근의 CBDC 정책과 기술 동향, 주요국의 정책 보고서를 정리하고
시사점과 향후 전망 그리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진행될
CBDC 정책 수립을 위한 논의에 참고가 되는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경제 ․ 사회 전 부문에 디지털 전환이 일어나면서 화폐와 그 유통체계인 지급결


제도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소비자의 경제활동과 비즈니스 영역
이 디지털로 확대되는 디지털 경제에서 화폐와 지급결제의 디지털화는 필요조건
이다. 이미 현금 사용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고 대부분의 거래와 지급결제가
디지털로 이루어져 왔지만 단순한 거래의 디지털화를 화폐의 디지털화로 보지는
않는다. 최근 빅테크의 플랫폼, 암호화폐 등과 같은 새로운 플레이어와 기술이 금
융부문에 진입하면서 기존의 화폐와 지급결제 체계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화폐의 디지털화가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현대의 화폐체계는 중앙은행이 본원통화를 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의 상
업 은행이 통화를 창출하는 공공-민간 협력 2계층 체계이다. 민간부문에서 독자
적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유통시키면 화폐체계의 불안정성과 금융불안이 초래될
위험이 있다는 점은 역사적 경험을 통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현재는 민간부문
의 화폐 발행은 실질적으로 금지되고 있으며 중앙은행은 강력한 통화정책과 은행
부문의 건전성 규제를 통해 화폐체계의 안정성과 신뢰를 담보한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를 시작으로 기존의 중앙은행 지급결제 인프라와는
독립적인 분산원장 기술의 새로운 화폐와 지급결제 경로가 등장하였다. 플랫폼 기
업이 데이터와 서비스 그리고 지급결제를 결합하면서 기존의 통화체계와는 다른
그리고 이전의 민간 화폐보다 더욱 강력해진 새로운 민간 화폐가 출현할 가능성
이 열렸다. 블록체인 기술이 가지는 효율성, 보안성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
한 자동화 기능을 가진 화폐가 플랫폼 기업의 네트워크 효과를 장착한 민간 지급
결제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새로운 민간 디지털화폐는 디지털 경제의 혁신성
과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동시에 역사적으로 민간 화폐가 등장할
때마다 촉발된 금융불안이 더욱 증폭되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0 기본연구 23-05

민간부문에서 기존 통화체계와 다른 새로운 통화권을 형성할 잠재력을 가지게 되


면서 기존의 통화체계가 보장했던 안정성과 국가의 통화정책 능력이 약화될 우려
도 있다. 통화가 파편화되면서 네트워크효과의 약화, 독점 가능성 등의 문제도 지
적되고 있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디지털 시대
에도 현재의 중앙은행이 보장하는 통화와 금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
로 제안되었고 이제는 이미 대부분의 국가에서 CBDC의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글로벌 대세가 되었다. CBDC가 디지털 시대에 금융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디지털
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정책적 안전성과 유용성 그리고 사회
구성원의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CBDC가 가져올 잠재적 효과가 경제 ․ 사회 전
부문에 걸쳐 지대하기 때문에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정책 실패가 자칫 국가의 통
화체계 신뢰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CBDC는
기술적으로 흠결 없이 완벽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정책목표
이해당사자 간 충돌이 없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CBDC 정책은 난이도와
복잡도가 매우 높은 정책과제이다.
CBDC는 기술과 개발 속도만큼이나 CBDC 정책 환경과 쟁점, 정책 방향도 매
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최초 CBDC 논의에서 분산원장 기술을 벤치마킹해서
도입 필요성과 시스템 설계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분산원장 기술의 안전성
과 보안 측면에서의 제한점이 인식되면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신뢰에 기반을
둔 전통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대세가 되었다. 분산원장 기술은 민간부문의 지
급결제 효율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민간 디지털화폐인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 등장에 대응한 공적 화폐로서
CBDC의 논의는 현금의 디지털화 형태인 소매 거래용 범용 CBDC에 집중되었다.
화폐 시스템의 앵커로서 통화체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개인정보보호, 금융포용
등 다양한 정책목표을 수립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정책적 설계를 하는
것이 정책당국의 중요한 과제이다.
제 1 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그렇지만 범용 CBDC의 정책 난이도가 무척 높은 데 비해 범용 CBDC로 인한


편익은 이론적인 수준이다. 민간 지급결제 체계가 발전한 금융선진국에서는 범용
CBDC가 가져다주는 추가직인 편익이 정책당국자의 입장에서 느끼는 개인정보보
호의 문제, 금융위기와 같은 실질적인 위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또 분산원
장 기술이 현재의 금융자산, 부동산, 공공인프라뿐만 아니라 미술품, 와인, 중소기
업의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실제세계자산(RWA)의 토큰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잠
재적으로 거래가 가능한 자산의 범위와 규모를 크게 확장시켰다. 미래 금융시스템
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디지털 자산의 원활한 거
래를 위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화폐의 앵커가 요구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명목화폐에 가치가 연동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 네이티브 화폐
이다. 안정적인 지불수단으로 설계되었지만 최근의 루나-테라, FTX 사태에서 본
것처럼 중앙은행 화폐와 같은 앵커에 연계되지 않으면 민간 화폐의 안정성은 담
보하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으로 중앙은행은 기관용 CBDC를 주목하고 있다. 기
관용 CBDC를 결제 자산으로 하는 지급결제 인프라를 수립하고 거래는 토큰화된
민간의 디지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에 다양한 혁신성을 구현하는 디지털 버전의
2계층 화폐체계가 구상되고 있다.
본 연구원에서는 화폐의 앵커로서의 범용 CBDC와 관련된 정책 연구를 수행하
여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설계의 쟁점과 정책방향 (박동욱, 2022) 보고서
를 발간하였다. 본 보고서는 최근 CBDC 정책 환경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지급결제 체계의 앵커로 인식되는 기관용 CBDC를 중심으로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정책과제의 높은 복잡성과 난이도, 환경의 빠른 변화 때문에 CBDC 정책연구에
서는 정책, 기술과 논의 동향에 대한 빠른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며 상황에 대한 명
확한 이해에 기반을 두고 시사점을 도출해야 한다. CBDC 정책연구는 현재의 정
책환경을 고려하면 이론적 접근보다는 사례를 중심으로 상황에 대한 명확한 인식
과 시사점 분석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BDC의 실증적, 이론적 연구가
22 기본연구 23-05

설계와 정책보다는 대부분 금융안정성, 거시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된 것


은 이러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목적은
CBDC 정책 동향 분석과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 도출에 있다. 본 보고서의 연
구방법론은 CBDC와 관련된 이론과 실증 분석보다는 급변하는 화폐 및 지급결제
환경과 정책 및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최근 논의의 맥락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
탕으로 국내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분산원장 기술이 가져온 화폐체계 변화의 핵심인 토큰화에 대해
알아본다. 토큰화된 자산 공간에서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민간 화
폐인 스테이블코인과 예금토큰을 분석하고 이들의 특성을 비교한다.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래 화폐체계가 가져야 할 조건과 방향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토큰화에 대응하여 중앙은행 화폐의 필요성과 역할을 살펴본다. 기
관용 CBDC를 앵커로 하는 결제 인프라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결제 완결성과
화폐 단일화를 달성하는 근거를 설명한다. 현재의 중앙은행과 민간 상업 은행 간
2계층 모델이 디지털 시대에 통화의 안정성과 혁신을 보장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음을 보인다. 제4장에서는 최근 유럽의 CBDC 도입 정책을 중심으로 범용
CBDC와 관련된 쟁점을 살펴본다. 지급수단의 앵커로서 범용 CBDC의 필요성과
논리 등을 설명하며 한계점과 보완 논의를 살펴본다. 제5장은 이전 장에서 서술된
글로벌 동향과 쟁점을 분석하여 글로벌 정책의 방향과 전망 그리고 국내 CBDC
정책에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23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제 1 절 토큰화(Tokenisation) 동향

1. 토큰화의 정의

블록체인 기술은 지급결제를 포함해 기존의 화폐체계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최


근에는 디지털 자산과 거래 등 금융체계 전반에까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블록
체인, 분산원장 기술은 화폐와 자산을 토큰화하여 지급결제와 금융자산 거래의 효
율성 제고와 혁신적 서비스의 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토큰화란 화폐나 자산을
디지털화해서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과정이다. 이들을 분산원장에 코드로 기록하
여 토큰으로 만드는데 이 토큰에는 이 화폐나 자산의 특성, 거래 기록, 소유권 등
의 정보가 기록된다. 이 원장은 프로그램이 가능(programmable)하여 토큰을 통
해 중개기관없이 원하는 형태로 소유권이나 가치의 교환 및 이전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분산원장 기술이 가지는 기술적 제약, 탈중앙화가 가져오는 고변동성
시장 구조, Terra-Luna, FTX 사태에서 본 것 같은 가치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토큰화가 가진 잠재력에 비해 성과는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1년 말
을 기점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스테이블코인 등 암호화폐와 디파이, Web 3.0
등 분산원장 기반의 자산과 금융 서비스들이 침체 국면에 있다. 그렇지만 최근 암
호화폐나 디지털 자산과는 다르게 내재가치를 가진 전통적 화폐와 자산의 토큰화
가 관심을 받으면서 토큰화가 화폐체계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화폐 가치를 가진 모든 것이 토큰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토큰화
된 자산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현실세계자산(RWA: real-world asset)으
로 부동산, 예술품, 와인 등 수집품과 같은 비유동성 자산과 지식재산권 같은 무
24 기본연구 23-05

형자산 그리고 모기지, 인보이스, 농산물, 탄소신용(carbon credit)같이 통상적으


로 증권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이 이에 속한다. 두 번째로, 금융자산으로서
화폐, 증권, 채권, 펀드 등과 같은 기존 자산을 나타내는 토큰이 그것이다.

2. 토큰화의 편익 및 촉진 요인

자산을 토큰화하면 분산원장 기술 금융 인프라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와 같은 새


로운 기능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금융 인프라에서는 상상하지 못하는 혁신적인 거
래가 가능하다. 네트워크별로 파편화된 전통적인 금융산업과 달리 분산원장과 토
큰화는 완전히 새로운 거래 인프라를 제공한다. 화폐토큰이든 채권토큰이든 비록
개념적, 기능적으로 다른 자산이라도 동일한 원장에서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거래
된다. 그 둘은 단지 스마트 컨트랙트의 코드 차이로 구분될 뿐이다. 전통 금융에
서처럼 자산거래를 위해 상이한 네트워크 간 메시지를 주고 받아야 하고 거래의
지연과 결제, 거래 취소의 위험도 없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검증 및 불법거래 방지를 위한 확인 조치 등을 거래와 동시에 수
행할 수 있다.
유동성이 높은 전통적인 금융상품은 청산, 결제, 커스터디(custody) 부문에서
즉각적인 편익이 나타나지만 예술품, 부동산 같은 유동성이 낮은 현실세계자산
(RWA)은 토큰화하면 조각 판매가 가능해져서 자산의 유동성이 높아지고 자산가
치가 증가한다. 또한 도로, 항만 같은 인프라 자산도 토큰화를 통해 기존과는 다
른 경로로 자금조달이 가능해진다. 토큰화에 따른 비유동자산의 확장성과 전망은
1)
금융상품에 비해 훨씬 광범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Taurus(2023)는 금융시장 밖의 자산 규모가 전 세계 GDP의 3배에 이르며 이
자산을 모두 토큰화하여 유통할 수 있는 잠재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다. BCG and
ADDX(2022)는 전 세계 RWA 토큰화가 2030년까지 글로벌 GDP의 10%에 해
당하는 약 16조 달러의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1) Citi GPS(2023), “Money, Tokens, and Games”의 내용을 참고.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25

[그림 2-1] 글로벌 사유 자산 시장 규모

* 자료: Taurus(2023), Tokenization: practitioner point of view, p. 5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여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토큰증권


(ST: security token)의 국내 시장은 주식, 부동산 등을 포함하여 금융업 관련 시장
2)
의 70%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2030년에는 국내 GDP의 14.5%에 이를 전망이다.
분산원장 기술이 가지는 기술적 제약, 제도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규모
의 잠재시장 때문에 자본시장 대형 투자사들이 전통 금융시장 인프라를 시작으로
잠재적인 기회를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토큰증권 합법화가 공식화되는 등
주요국에서 토큰증권에 대한 법제도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
로 최근에 금융, 비금융 자산의 토큰화가 촉진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3)

3. 토큰화 메커니즘
4)

토큰화는 전통적인 원장에 기록된 실물 또는 금융 자산에 대한 청구권(claim)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플랫폼에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자산은 프
로그래밍이 가능한 플랫폼의 규칙에 따라 핵심 계층과 서비스 계층을 가진 토큰

2) 하나은행금융연구소(2023).
3) Citi GPS(2023), 하나은행금융연구소(2023) 참고.
4) Aldasoro, I, S. Doerr, L. Gambacorta, R. Garratt and P. Koo Wilkens(2023),
“The tokenisation continuum”, BIS Bulletin의 내용을 요약 정리.
26 기본연구 23-05

으로 변환된다.
토큰은 [그림 2-2]에 나타낸 것처럼 코어(core) 계층과 서비스 계층으로 구성
된다. 코어 계층에는 자산과 그 소유자를 식별하고 정의하는 정보가 포함되고, 서
비스 계층에는 플랫폼에서 토큰을 사용하는 규칙과 논리(예: 스마트 컨트랙트)가
명시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플랫폼의 모든 토큰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서비스일
수 있고, 또는 특정 자산 거래에 특정한 ‘도메인 종속적인’ 서비스일 수 있다. 예
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도입한 첫 번째 블록체인인 이더리움(Ethereum)
에서는 이더리움의 ERC-20 표준을 따른다. 토큰의 핵심 계층에 이름, 소유자 및
통용 중인 토큰 수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서비스 계층은 허용된 거래의 유
형, 예를 들어 토큰을 유동성 풀에 연결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림 2-2] 토큰 구성도: 코어 계층과 서비스 계층

서비스(Services)
정의(Definition)
일반적 서비스 사례
사례
보관 방법
소유자
결제 방법
보관자
영역별 서비스 사례
고유 자산 식별
담보 계약 방식
원본 시스템
담보 방식
발행 가치
규제 방식
자료: Aldasoro, I, S. Doerr, L. Gambacorta, R. Garratt and P. Koo Wilkens(2023),
“The tokenisation continuum”, BIS Bulletin. No. 72 p.3 참조

토큰화 가능성의 난이도 스펙트럼을 ‘토큰화 연속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토


큰화 난이도는 경제적, 법적, 기술적 도전에 따라 두 개의 극단으로 나타난다.
한 극단은 토큰화가 수월한 영역이고 반대편은 어려운 영역이다. 파편화되어 있
으며 수작업이 많이 필요하고 복잡한 법 및 규제 체계에 기반한 자산은 토큰화가
어렵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상대적으로 핵심과 서비스 계층이 단순하고 자율성이
적은 토큰으로 시작한다. 여기에서는 토큰화 변환과 토큰화 해제 변환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신디케이트 대출이나 상업용 부동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27

다른 편에는 디지털화되고 대부분 자동화된 시스템을 가진 자산을 놓을 수 있


다. 이 시스템은 간소화된 프로세스와 명확한 법적 및 규제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플랫폼에 토큰을 올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토큰화에 더
적합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거래는 빠르고, 저렴하며, 편
리하지만 토큰화가 간단하기 때문에 이익은 적을 수 있다.

[그림 2-3] 토큰화 연속성

* 자료: Aldasoro, I, S. Doerr, L. Gambacorta, R. Garratt and P. Koo Wilkens


(2023), “The tokenisation continuum”, BIS Bulletin. No. 72 p.6 참조

4. 전통금융시스템과의 비교 및 토큰화 실현의 필요 요소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은 파편화된 금융시장 인프라(FMI: financial market


infrastructure)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다른 거래 은행의 원장 및 자금과 자산
은 별도의 네트워크를 가진다. 이 때문에 거래가 이루어지려면 원장,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메시징 시스템이 필요하다. 메시징은 제3자가 운영하며 네트워크와 분
리되어 있어서 거래가 완결되기까지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
때문에 거래 완결까지 다양한 불확실성과 손실의 위험이 존재한다. 네트워크뿐만
5)
아니라 법과 거버넌스가 다른 국가 간 거래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토큰화는 이렇게 파편화되고 비효율적인 전통 금융산업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킬

5) Carstens(2023), BIS 사무총장 기조연설문(국문).


28 기본연구 23-05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토큰화된 자산은 분산원장 기술의 편익을 누린다.


토큰화된 자산은 실시간, 항시적(24/7) 그리고 즉시 원자적(atomic transaction)
거래가 가능하며 거래 정보에 투명하게 접근할 수 있다. 거래의 프로그램이 가능
해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원하는 형태의 자동화 거래가 가능하다. 스마트 컨
트랙트는 조합성(composability)을 가지는데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드를 마치 레
고블록처럼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거래를 만들 수 있다.
토큰화에 따른 편익으로는 첫째, 지급결제 효율성의 증대가 예상된다. 불필요한
중개기관의 개입없이 금융자산 거래가 이루어져 비용은 절감되고 지급결제 시스
템의 효율성과 투명성은 높아질 수 있다. 둘째, 공급 측면에서 자산의 범위가 대
폭 확대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성과 조합 가능성으로 예전과는 차원이 다른 자
동화와 혁신적인 금융거래를 만들 수 있다. 전통적으로 기관이 아니면 불가능했던
비유동자산의 투자가 토큰화되면서 개인도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개인이 액수에
관계없이 직접 디지털화된 금융자산에 접근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단위와 금액으로 누구에게나 해당 자산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금융의 개인화
6)
(democratisation of finance)를 실현할 가능성이 열렸다.
혁신성과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자산의 토큰화가 확대되기에는 기술적,
법 ․ 제도적 한계가 있다. 자산부문별, 국가 간 법과 규제의 파편화, 자산 분류체계
의 글로벌 표준 미비가 토큰화 확대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제도적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면서 시장 활성화가 어렵게 된다. 기술적으로는 다양한 분산
원장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블록체인 밖에 기존 중앙집
중식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생태계와의 연계도 보장되어야 한다.
토큰화된 자산, 즉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디지털 자산과 이들 거래를 위한 수단
인 디지털화폐, 그리고 거래와 결제 플랫폼인 디지털 원장을 운영하는 디지털 인
7)
프라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가진다. 디지털 자산 생태계가 발전하기 위해

6) Carstens(2023), 전게서.
7) Carstens(2023), 전게서.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29

서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잘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토큰화, 디지털 자산


생태계 설계의 핵심인 디지털화폐와 디지털 인프라를 디지털화폐 생태계의 관점
에서 분석한다.
분산원장 혹은 해당 블록체인에서 토큰화된 자산을 거래하려면 토큰화된 화폐,
즉 디지털화폐가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자산 거래의 지배
적인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가치의 불안정성과 통화
의 단일성 미비의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토큰화 예금이 주목받고 있다 본 장에서
는 디지털화폐의 측면에서 스트이블코인과 토큰화 예금을 비교하고 다음 장에서
디지털 자산 생태계 발전을 위해 CBDC를 앵커로 하는 디지털 인프라의 필요성
과 설계 방향을 살펴본다.

제 2 절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과 디지털 자산의 거래

1. 스테이블코인 개요 및 현황

분장원장 기술을 이용한 거래 대금을 지급하고 토큰화된 자산인 디지털 자산을


생태계 내에서 자산 거래를 하려면 분산원장에서 기술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교
환의 수단, 즉 디지털화폐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상의 토큰과 코인이 이러한 디지
털화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비트코인과 같이 자산이 담보(backed)되
지 않은 암호화폐는 가치의 변동성이 극심하여 교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다. 암
호화폐가 가지는 극도의 변동성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스테이블코인이다.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자산이나 자산의 풀에 가치를 연동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되
어 안정적인 가치의 유지가 가능하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주요 교환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기초 통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디파이에서 주요 교환의 수단이 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준비자산형과 알고리즘형으로 구분된다. 준비자산형 스테이블
코인은 이용자의 환금 요청에 대비하여 준비자산을 담보로 설정하여 가치를 보존
30 기본연구 23-05

(backing)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준비자산에 대한 투자를 통해 특정 자산 또는


자산군의 가치(index)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indexed fund)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은 가격변화에 따른 시장매매
8)
등 경제학적 ․ 수학적 알고리즘에 따라 가치를 조절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표 2-1> 스테이블코인의 종류별 특징

스테이블코인 종류 특징
∎ 준비자산형 스테이블코인 가치가 준비자산(reserve)으로 뒷받침되는 경우
단일통화 스테이블코인 가치안정화 준거자산이 단일통화인 경우
복수통화바스켓 스테이블코인 가치안정화 준거자산이 복수통화바스켓인 경우
실물+금융자산 스테이블코인 가치안정화 준거자산이 실물 ․ 금융자산바스켓인 경우
가치가 준비자산 없이 가격변화에 따른 시장매매 등
∎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 경제학적 ․ 수학적 알고리즘에 따라 조절되는 경우
(가치안정화 준거자산의 종류와 관계 없음)
* 자료: 한국은행(2022a), 암호자산 규제 관련 주요 이슈 및 입법 방향 , p. 56

스테이블코인은 암호자산 간 거래에서부터 디파이에서 교환수단 그리고 국경


9)
간 거래까지 다양한 활용 영역을 가진다.

<표 2-2> 스테이블코인 활용 영역

활용 영역 주요 내용
다양하고 광범위한 암호자산 간의 거래에서
디지털 자산 간 거래 매개
교환의 매개수단 기능 수행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기초통화 DeFi 등과 같은 디지털 자산 금융거래 시 디지털화폐 역할
국경 간 거래 및 송금 시 저렴하고 신속한
국경 간 거래 및 송금
글로벌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
10)
* 자료: 이명활(2022), 준화폐적 스테이블코인과 민간의 화폐발행 , p. 8 재구성

8) 이 문단은 한국은행(2022a)을 인용.


9) 이명활(2022).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31

스테이블코인은 주로 달러화를 단위로 고정(peg)하고 있으며 시가총액 상위 5


개 스테이블코인이 2023년 8월 현재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의 96%를 차지
11)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전체 디지털 자산 시장의 10%에 불과하지만 디지털 자산
거래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디파이의 주요 유동성 공급원이라는 점에서 디
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2021년도 스테이블코인의 거래량
은 암호화폐의 거래를 앞질렀으며 뉴욕증권거래소의 미국 주식거래량에 맞먹는
12)
규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2023),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PYUSD 거래구조 및 시사점” p.2

10) 원문의 암호자산을 이 보고서의 문맥에 맞게 디지털 자산으로 표현함.


11)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2023).
12) Adachi et al.(2022).
32 기본연구 23-05

2. 스테이블코인과 지급결제체계의 안정성

가.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화폐와의 관계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는 거래 수단이 되는 다양한 디지털화폐가 존재한다. 현재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 중앙은행 화폐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생태계의 디지털화
폐는 모두 민간 화폐이다. 회계의 단위로서 디지털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는 화폐
는 없는 것이다. 현재는 비록 스테이블코인이 안정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민간 디
지털 화폐의 de facto 회계 단위로서 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것은 회
계 단위가 달러와 같은 명목화폐와 묶여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스테이블코
인이 회계 단위로서 디지털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면 디지털 자산 생태계 지급결
제 수단으로 거래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현재의 중앙은행 화폐와는 완전히 다른 지급결제 경로를 가진
화폐이다. 화폐는 좁게는 지급수단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지급수단과 지급결제체
계를 모두 포괄하여 정의된다. 화폐체계로서 스테이블코인은 중앙은행 화폐와 경
쟁 혹은 보완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민간 화폐로서 중앙은행 화폐
를 회계 단위로 삼는 경우 중앙은행 화폐와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역사적 경험에서 보았듯이 블록체인 내에서 중앙은행 화폐가 없이
민간 화폐가 통용될 때 금융 불안정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또
한 스테이블코인이 명목화폐나 전통 금융 자산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블
코인 가치의 불안정성은 기존의 지급결제체계와 금융 안정성까지 훼손할 위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스테이블코인이 독자적인 회계 단위를 가지면 페이스북의
리브라가 추진했던 것같이 현재의 중앙은행 화폐체계와는 독립적인 화폐체계를
13)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화폐체계가 파편화되면서 단일화폐가 가지

13) 리브라 관련 경과와 내용은 박동욱(2021)의 pp. 15~16 참고.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33

는 네트워크 효과를 누리기 어렵게 된다. 스테이블코인의 통화권에는 중앙은행 화


폐를 통한 통화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통화주권과 통화정책
효과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통화권이 광범위할수록 상황은 더
욱 악화된다.

나.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과 화폐의 단일성 보장 여부


스테이블코인이 보유한 혁신적 서비스와 안정성 보장 장치에도 불구하고 몇 가
지 스테이블코인과 관련 법 제도가 가지는 한계점으로 인해 안정성이 위협을 받
을 수도 있고 확산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최근 테라-루나, FTX 사태에서 현재
의 규범체계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안정성의 기반이 매우 취약함이 현실로 드러났다.
우선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자는 스테이블코인 준비자산의 투자자로서 늘 위험자
산에 투자할 유인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이해 상충을 겪을 수밖에 없다. 스
테이블코인이 가지는 안정성 메커니즘의 신뢰성은 전적으로 준비자산(reserve
assets)의 안전성과 투명성에 달려 있다. 발행자와 투자자로서의 이해 상충 때문
에 준비자산이 안정적으로 투명하게 운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둘째로 스테이블
코인은 건전성 규제를 받는 것도 아니고, 예금 보험의 보호를 받는 것도 아니며,
중앙은행이 최종 대부자의 역할을 하지도 않는다.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보호 장
치가 없는 것이다. 셋째로, 스테이블코인은 거래를 통해 부채를 이전하지만 그 거
래가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상에서 정산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교환율은 액
14)
면가를 지키지 못하고 변동할 가능성이 상존한다. 스테이블코인이 원천적으로
액면가를 지키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 절의 토큰화 예금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지
만, 스테이블코인이 무기명 증권(bearer’s instrument)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
다. 중앙은행의 결제로 정산되지 않는 무기명 증권은 일반 채권과 같이 발행자의
신뢰도에 의존한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을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화
폐가 액면가대로 통용되지 않아 화폐의 단일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14) BIS(2023a).
34 기본연구 23-05

스테이블코인의 한계를 잘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는 앞에서 살펴 본 테라USD의


붕괴이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2022년 5월 어느 날, 며칠 만에 거의 모든 가치를
상실했다. 그 결과 다수의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들에서 대규모 인출이 발생
했다. 발행자가 예비 자산의 구성을 자세히 공개하지 않은 스테이블코인에서 투자
금 인출이 더욱 두드러졌는데, 이는 발행자들이 기준값 환전을 보장할 수 없을지
도 모른다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종합하면, 스
15)
테이블코인은 상대적으로 안정적(stable)이지 않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다. 빅테크 발행 스테이블코인과 지급결제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자가 현재의 메타인 페이스북처럼 빅테크인 경우 거대 플
랫폼이 가입자 규모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통화권과 이에 대한 독점력을 획득 ․ 발
휘할 수 있다. 2019년 페이스북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인 리브라 발행을 선언했
을 때 주요국의 중앙은행은 리브라의 영향력을 매우 우려하였다. 전 세계에 가입
자를 가지고 새로운 회계단위를 쓰는 리브라는 각국 중앙은행 화폐와 경쟁관계에
놓이게 된다. 주요국의 적극적인 반대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인 리브라는 디엠으
로 개명되면서 로컬 스테이블코인으로 범위가 축소되었다. 리브라의 독자적인 회
계단위를 해당 국가 중앙은행 화폐의 단위로, 미국의 경우 달러로 바꾸었지만 이
또한 승인을 받지 못했다. 디엠이 가지는 지급결제 네트워크에 대한 독점력 우려
때문에 페이스북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은 결국 무산되었다.
스테이블코인은 현재의 중앙은행 지급결제 인프라와는 다른 지급결제 경로와
인프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화폐단위를 따르더라도 여전히 일정 수
준의 경쟁관계를 보일 수 있다. 분산원장의 디지털화폐는 프로그램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장착할 수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중앙은행 화폐와는 차별
성이 있는 화폐이다. 빅테크는 플랫폼 가입자 혹은 지급결제 서비스 이용자의 데
이터를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 가능성과 이용자 정보 그리고 플랫폼의 가입자 기
반이 결합되면 지급결제 서비스로서 독점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화폐의 차별화

15) BIS(2023a).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35

로 말미암아 중앙은행 화폐가 스테이블코인과 대체관계를 보일 수 있다.


2023년 8월에 출시된 페이팔의 스테이블코인 PYUSD와 페이스북의 디엠 모두
명목화폐의 단위를 채택한 스테이블코인이다. 모두 디지털 자산 거래뿐 아니라 전
자상거래 거래, 송금 등 실물 거래의 지급결제 서비스로 활용되도록 설계되었다.
지급 송금서비스가 스테이블코인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개발을 촉진할 수 있
16)
다. 대규모 가입자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월드가든 형태로 지급결제서
비스를 독점화할 우려가 있다. 향후 빅테크 기반의 실질적인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으로 변화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규모 지급결제 서비스와 스테이블코인을 보유
한 빅테크에서 경영상 문제나 디폴트가 발생하게 되면 경제의 지급결제 서비스의
안정성이 훼손될 위험이 있다.
지급결제 서비스는 중앙은행이 안정성을 보장할 책무를 가진 핵심 인프라이다.
스테이블코인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기존의 지급결제 서비스에 교란이
발생하면 안 되기 때문에 미국, 영국 등에서는 지급결제에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
을 별도로 분리하고 안정성을 보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 영
국은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체계적 스테이블코인 시스템(systemic payment
17)
systems using stablecoins)을 별도로 분리하여 규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 3 절 토큰화 예금(Tokenised Deposit)과


화폐의 단일성

1. 스테이블코인과 화폐의 단일성

토큰화된 화폐인 스테이블코인은 분산원장 기술의 새로운 민간 화폐로서 가치


의 안정성 때문에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기초 화폐로 간주되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테이블코인은 통화의 안정성이 준비자산의 유동성이나 건전성에 좌

16) PYUSD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2023)을 참조.


17) Bank of England(2023a).
36 기본연구 23-05

우된다는 문제가 있지만 준비자산에 대한 규제가 적절히 이루어지면 상당부분 해


소될 수 있다. 그러지만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단일성(singleness of money)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무기명 증권(bearer
instrument)이라는 근본적인 특성 때문에 화폐 단일성의 조건은 규제로도 해소
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기명 증권은 보유한 사람이 소유권이 있으며
소유권은 자유롭게 이전될 수 있다.
현대의 화폐체계는 민간 화폐가 중앙은행 화폐와 단일성을 가지도록 운영되며
화폐체계가 기능적으로 잘 작동하기 위해 화폐의 단일성은 필요조건이다. 통화가
단일성을 가지면 명목가치가 같은 모든 화폐는 동일한 액면가로 상호 교환된다.
그렇지만 서로 같은 액면가치를 가지더라도 화폐가 동질적이지 않으면 서로 불완
전한 대체재가 되며 화폐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불확실성이 생기게 된다.18) 화폐
체계는 파편화되고 화폐의 동질성에 기인한 네트워크 효과, 공공재로서의 역할이
약화된다.
디지털화폐가 무기명 증권이면 화폐의 단일성 측면에서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진
19)
다. 첫째, 토큰화된 화폐가 자유롭게 이전되도록 허용하면 다른 가격으로 교환
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하다. 완벽한 준비자산으로 보장되어 있을지라도 무기명 증
권은 상환조건(redemption term)이 조금만 달라도 가격이 액면가와 차이가 나
게 되고 시장에서는 더욱 증폭되기 마련이다. 테라나 FTX 사태 이후에 테더와 같
은 다른 스테이블코인도 상당 액수 할인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디지털화폐와
관련된 그다음 문제는 무기명 증권은 이 증권이 어디로 이전되는지 누가 부채를
보유하는지를 발행자가 전혀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토큰을 가진 사람은 이 디
지털화폐 플랫폼에 있는 어느 누구에게나 이 코인을 이전할 수 있다. 이런 메커니
즘은 자금 세탁이나 불법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KYC(know your customer)와
같은 지급결제 안전장치를 운영하는 법제도 같은 사회적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다.

18) 박동욱(2022).
19) 이하 문제점은 Garrat and Shin(2023a)을 요약.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37

2. 토큰화 예금과 2계층 통화 시스템


20)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경제에 걸맞은 미래의 화폐체계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토큰화 화폐가 현재와 같은 2계층통화시스템(two-tier monetary system)에서
발행되고 유통되는 것이다. 화폐로서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디
지털 시대에도 2계층 통화 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화폐가
토큰화 예금(tokenized deposit)이다.
토큰화 예금의 가장 큰 강점은 무기명 증권의 모델이 아니라는 점이다. 토큰화
예금은 현재의 2계층 통화 시스템을 디지털화폐 체계로 확장시킨 모형을 따른다.
화폐발행자(은행) 간 지급은 송금기관에서 송금자의 토큰 잔고를 줄이고 수신 은
행에서는 수신자에게 송금 액수에 해당하는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은행 간 결제는 중앙은행 화폐로 완결된다. 현재의 지급시스템을 복제하는
방향으로 디지털화폐 간 교환이 액면가로 이루어진다. 여러 은행에서 재공하는 토
큰화 예금 간 가격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토큰화 예금은 은행 간에 유통되지
않고 장부상에서 상계되는데 실제로 이전된 것은 중앙은행 화폐이기 때문이다. 현
재 시중은행의 예금 화폐가 지급결제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환되기 때문에
디지털화폐의 단일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토큰화 예금은 예금처럼 은행의 부채로 인식되고, 예금보험제도를 적용받는 등
예금과 동일한 수준의 규제와 보호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은행에 유동성
문제가 생기더라도 ‘최종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인 중앙은행의 도움을 받
21)
을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안정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예금 토큰
은 규제를 받는 기관들이 발행하고 폭넓게 수용되는 금융 수단으로서, 디지털화폐
생태계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발행기관의 안전성과 건전성 규제, 자본 및
유동성 충족 요건, 중앙은행을 통한 비상자금에 대한 접근, 그리고 소비자 보호가
보장된 예금의 신뢰성 등은 예금 토큰이 금융 안정을 촉진하는 대규모 금융 수단

20) Garrat and Shin(2023a) 요약 정리.


21) 커넥팅랩(https://m.upbitcare.com/academy/education/coin/558) 참조.
38 기본연구 23-05

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 예금의 모델 비교

22)
가. 디지털 무기명 증권 모델(Digital bearer instrument model): 스테이블코인
디지털 무기명 증권 모델에서, 민간 화폐 토큰은 양도 가능한 청구권이다. 이러
한 청구권의 이동은 발행자의 채무를 한 보유자에서 다른 보유자로 이전하는 것
이다. 이 토큰들이 이전될 때 발행자의 장부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없다. 토큰 보
유자가 토큰을 현금이나 일반 예금으로 환금하려 할 때에만 발행자의 결제 자산
잔액 계좌를 업데이트하면 된다. 디지털 무기명 증권의 전형적인 예는 자산준비형
스테이블코인이다. 자산준비형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보유자
가 거래할 수 있다. 누구든 스테이블코인을 받으면, 그는 발행자의 채무에 대한
새로운 소지자 및 보유자가 된다.

[그림 2-4] 민간 토큰화 화폐의 디지털 무기명 증권(Digital bearer instrument) 모델

* 자료: Garrat, R. and H. S. Shin(2023b). “Stablecoin versus Tokenised Deposits:


Implications for the Singleness of Money” p.3

22) Garrat, R. and H. S. Shin(2023b), p. 2.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39

[그림 2-4]는 디지털 무기명 증권 모델에서 토큰 발행자의 채무 이동을 보여준


다. 상단 패널은 토큰 거래 이전의 초기 상황이다. 앨리스(A)는 발행자 1이 발행
한 화폐 토큰 S1을, 밥(B)은 발행자 2가 발행한 화폐 토큰 S2를 보유하고 있다. 화
살표는 토큰화된 청구권 발행자를 가리키고, 막대는 발행자 계좌의 잔액이다. 거
래를 통해 A가 B에게 토큰을 전송한 상황이 두 번째 패널이다. 밥(B)이 발행자 1
과 발행자 2의 채무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 그는 발행자 2의 고객이지만 발행자
1에 대한 청구권을 갖는다.
민간에서 발행한 화폐가 무기명 증권으로 거래되던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면 화
폐의 단일성이 붕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 널리 유통되는 디지털 무기명
증권은, 연방준비제도 설립 전 미국의 프리뱅킹 시대에 유통되던 시중 은행의 화
폐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19세기 중반에는, 사적으로 발행된 은행 화폐들이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는 최대 20%까지 할인되었다.23) 연방준비은행이 없던 시절
에는 화폐의 단일성도 없었던 것이다.
디지털 무기명 증권 모델에 기반한 스테이블코인에 화폐의 단일성이 작동하지
않은 점은 실제로 FTX와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할 때 목격되었다. [그림 2-5]에
나타나듯이, 두 금융기관과 관련된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테라USD,
BinanceUSD, USD코인 같은 대표적 스테이블코인의 달러 교환가치는 1달러 페
깅에서 크게 이탈하며 교환 비율에 큰 변동을 보였다.

23) Garrat, R. and H. S. Shin(2023b), p. 3.


40 기본연구 23-05

[그림 2-5] FTX 및 실리콘밸리은행 붕괴 기간에 나타난 스테이블코인의 변동성

a. FTX가 미국 외 사업에 대해 Binance와 인수 계약을 체결


b. Binance가 계약 철회
c. FTX의 CEO인 Sam Bankman-Fried가 트위터에서 사과
c. 바하마의 증권 규제기관이 FTX 자산을 동결

e. Silicon Valley Bank는 주식 매각으로 추가 자본을 확보하겠다고 발표


f. SVB 금융이 구매자를 물색. 몇 시간 후, 캘리포니아 규제기관은 Silicon Valley Bank를 폐쇄
g. Silicon Valley Bank의 직원들에게 FDIC로부터 급여의 1.5배에 해당하는 45일치 급여 제공
h. “예금자들은 3월 13일부터 자신의 돈에 접근할 수 있다”고 미국 재무부, 연방 준비 은행 및 FDIC가 발표

* 자료: Garrat, R. and H. S. Shin(2023b). “Stablecoin versus Tokenised Deposits:


Implications for the Singleness of Money”. p. 4 재구성

24)
나. 비무기명 증권 모델(Non-bearer instrument model): 예금 토큰
비무기명 증권 모델에서는 발행자의 채무를 의미하는 토큰이 발행자의 고객인
증 범위 밖의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송되지 않는다. 대신, 결제 과정은 발송인 계
좌에서 상응하는 금액을 차감하고 수신인 계좌에 입금하는 현재의 2계층 통화시
스템의 관행을 따른다. 특히, 결제는 발송인의 발행기관에서 토큰 잔액을 줄이고
수신인의 기관에서 발행하는 새로운 토큰화된 채무를 함께 창출한다. 이와 더불어
도매 CBDC를 사용하여 중앙은행의 잔고 장부에서 중앙은행 화폐의 이전이 이루
어진다. 이 모델에서는 동일 플랫폼에서 공적 및 민간의 토큰화된 화폐 모두를 사
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 2-6]은 비무기명 증권 모델 구현 방법을 보여준다. 왼쪽 패널은 앨리스

24) 이 부분은 Garrat and Shin(2023b)의 pp. 5~6 내용을 요약 정리.


제 2 장 분산원장 기술과 새로운 민간 화폐의 등장 41

가 밥에게 지불하기 전의 상황을 보여준다. 플랫폼에는 점선으로 구분된 세 개의


분리된 공간이 있다. 이는 두 개의 사적으로 토큰화된 화폐 발행자(즉, 은행 1과
은행 2)와 중앙은행에 의해 유지되는 ‘통합 원장’ 영역을 나타낸다. 화살표는 채무
발행자를 나타낸다. 오른쪽 패널은 앨리스가 밥에게 지불할 때 발생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지불행위는 앨리스가 보유한 D₁ 토큰을 삭제(‘소각’)하고, 은행 2는 밥
에게 두 번째 D₂ 토큰을 할당(‘발행’)한다. 사적으로 토큰화된 화폐의 삭제와 생
성은, 중앙은행에서 이와 관련된 CBDC의 이동을 수반한다. 거래 결과 오른쪽 패
널을 보면, 두 개의 CBDC 토큰이 모두 은행 2에 속한 것을 알 수 있다. CBDC
토큰은 전송될 수 있다. 은행 1과 은행 2가 모두 중앙은행의 고객이기 때문이다.

[그림 2-6] 민간 토큰화 화폐의 소각/발행(burn/issue) 모델

* 자료: Garrat, R. and H. S. Shin(2023b). “Stablecoin versus Tokenised Deposits:


Implications for the Singleness of Money“. No. 73 p.5

비무기명 증권 모델의 주요 특징은 개인 간의 지불거래가 은행과 고객 간의 채


무를 변경하지만, 기관 간의 신용 위험과는 결부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신 중개
역할을 하는 은행이 중앙은행 화폐로 지불을 결제함으로써 채무의 변화가 상쇄된
다. 이 모델에서는 디지털 무기명 증권 모델에서 발생하는 사적 채무의 이전도 없
다. 중앙은행 화폐로 정산이 된다는 사실은, 한 중개자에서 다른 중개자로의 지불
행위가 도매 단계에서 처리될 때는 중앙은행 화폐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2 기본연구 23-05

따라서 교환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사라지고, 거래는 정해진 기준에 맞추어 이루어


진다. 이러한 특징이 화폐의 일관성 유지의 핵심이 된다.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43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제 1 절 기관용 CBDC와 결제 플랫폼

1. 결제 자산으로서 CBDC의 필요성

토큰화 자산,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의 생태계 내에 교환 및 거래가 가능하려


면 분산원장 네이티브 토큰 형태의 디지털화폐가 필요하다. 현재는 스테이블코인
이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교환을 위한 기초통화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스테
이블코인은 다양한 가치 불안정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대형 가치 붕괴 사태가
발생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이 신뢰받는 디지털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화폐체계의 신뢰는 중앙은행 화폐가 앵커 역할을 하는 2계층 통화시스템
으로부터 나온다. 중앙은행은 경제의 회계 단위가 되는 화폐를 발행하고 중앙은행
25)
대차대조표를 통해 결제의 완결성(finality of settlement)을 보장한다. 이러한
중앙은행 화폐의 신뢰를 바탕으로 민간부문은 파생통화를 창출하고 혁신적 서비
스를 개발하는 것이 2계층 통화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결제의 완결성과 화폐의 단일성은 은행 간 결제가 중앙은행 준비금으로 정산되
기 때문에 가능하다. 구매자가 자신의 은행 계좌를 통해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급
하는 경우에 구매자 은행의 은행권이 판매자 은행으로 직접 이전되는 것이 아니
다. 중앙은행 구매자의 은행 계좌에서 구매한 액수만큼의 잔고가 줄어들고 중앙은
행 판매자는 계좌에 판매액만큼의 잔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급결제가 이루어진
다. 거래 은행들은 상대방 은행의 신용도와 관계없이 중앙은행을 통해 거래 액수

25) Carstens(2023).
44 기본연구 23-05

에 해당하는 중앙은행 화폐를 주고받는 것이다. 중앙은행의 신뢰가 기반이 되기


때문에 모든 은행의 예금 화폐는 액면가로 교환이 가능하며 화폐의 단일성이 보
장된다. 최종적으로 중앙은행 자산인 준비금으로 양자 간 결제가 완료되기 때문에
거래의 완결성이 동시에 충족된다. 결제 자산이 중앙은행 준비금이라는 무위험 안
정 자산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두 가지 성질의 충족이 가능하다.
화폐체계가 프로그램이 가능한 화폐와 지급플랫폼으로 진화한 토큰화의 환경에
서도 현재와 같은 화폐의 단일성과 결제의 완결성을 보장하는 화폐 시스템을 설
계하는 것이 중앙은행의 과제이다. 신뢰에 기반한 디지털 화폐체계 수립을 위해
중앙은행 화폐와 지급결제 인프라를 앵커로 하는 2계층 모델이 디지털화폐 영역
으로 확장되어 설계되고 있다. 앞서 본 토큰화 예금은 중앙은행 화폐와 더불어 디
지털화폐의 2계층 모델을 구성하는 민간부문의 디지털화폐로 제안되고 있다. 상
업은행이 토큰화 예금을 발행하고 교환은 토큰을 통해 이루어진다. 은행 간 토큰
결제는 중앙은행 화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화폐인 토큰화 예금은 모두 액
면가로 교환되는 동일한 화폐가 되며 중앙은행 화폐로 결제가 되기 때문에 결제
의 완결성도 보장된다.

2. 결제 인프라로서 중앙은행 화폐의 디지털화 설계

중앙은행 화폐체계는 중앙은행 화폐와 지급결제 인프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


앙은행 화폐는 일반 거래에 사용되는 현금과 은행 간 거래에 쓰이는 자산인 지급
준비금의 두 종류가 있다. 중앙은행 화폐의 디지털화 설계는 현금, 지급준비금,
지급결제 인프라의 설계를 의미한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현금을 디지털화하
는 범용 CBDC(retail CBDC)와 지급준비금을 디지털화한 기관용 CBDC
(wholesale CBDC)로 구분된다. 그렇지만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적인 지급
결제 시스템 구축 관점에서 중앙은행 화폐 디지털화는 지급준비금의 디지털화와
디지털화폐 도매 결제 시스템 구축을 의미한다. 범용 CBDC는 분산원장 기술보다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45

는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계좌 기반으로 설계되는 것이 주요국의 최근


추세이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의 소매 거래에는 사용될 수 없다. 결국 디지털 생태
계 거래의 안정성은 결제 자산인 범용 CBDC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다.
현금은 물리적인 화폐라서 디지털화가 필요하지만 준비금은 이미 디지털화 되
어 있기 때문에 이미 범용 CBDC와 결제시스템은 존재해 왔던 것으로 볼 수 있
다. 따라서 기술 발전과 시대적 필요성의 진화에 맞추어 이미 존재하는 범용
CBDC와 결제 인프라를 어떻게 적응시킬 것인지에 범용 CBDC 설계 논의의 초
26)
점이 있다.
디지털 자산이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해서 결제 자산인 범용 CBDC
가 분산원장 기술 기반의 디지털화폐일 필요는 없다. 디지털화폐의 분산원장과 중
앙화된 원장인 중앙은행 대차대조표 간 상호운용성만 확보하면 디지털 자산 거래
에 사용된 디지털화폐의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중앙은행의 결제시스템은 지
속적으로 진화하여 왔다. 미국, 유럽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가 기존의 메시징 방
식인 ISO20022 표준의 중앙집중 원장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은
RTGS(Real Time Gross Settlement)시스템이 TARGET, TARGET2로 진화하
며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결산이 가능해졌고 2018년도에 TIPS(TARGET Instant
27)
Payment Settlement)가 도입되면서 실시간 24/7 결제가 가능해졌다. 미국은
최근에 FedNow를 도입하면서 중앙은행 지급결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였다.
TIPS, FedNow 같은 시스템은 분산원장 기술이 아니더라도 신속 결제가 가능하
며 API를 통해 자동화, 조건부 결제 등이 가능하다.
RTGS 시스템은 분산원장과 상호운용성이 확보되도록 개선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은 분산원장 기술로 거래되고 있지만 만약 중앙은행 결제 시스템과 기술적으
로 연계되지 못한다면 중앙은행 화폐가 아닌 스테이블코인, 상업 은행 화폐 등 민
간 화폐가 결제 자산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디지털 자산 생태계가 불

26) Panetta(2022).
27) Panetta(2022).
46 기본연구 23-05

안정성의 위험에 노출되며 디지털화폐의 파편화도 우려된다. 이런 이유로 중앙은


행은 분산원장의 디지털 자산 혹은 디지털화폐의 거래가 원활하게 중앙은행 결제
시스템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RTGS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기관용 CBDC의 결제 인프라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조직될 수 있다. 첫 번째
로 디지털 자산의 분산원장 거래 플랫폼과 중앙은행 결제 인프라 간 연계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이다. 분산원장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의 이전이 발생하고 결제는
중앙은행 화폐로 이루어진다. 현재 RTGS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런 솔루션을 구축
하는 것이 분산원장 기술로 교환과 결제 전체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에 비해 단기
간에 기술적인 실행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 방법은 중앙은행이 분산원장 기반의
결제 인프라를 만들고 분산원장 기반 기관용 CBDC를 결제자산으로 하는 방법이
다. 혹은 민간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에 분산원장 기반 기관용
CBDC가 직접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기술적, 법제도적 한계
28)
때문에 중장기 과제로 판단된다.

28) Panetta(2022).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47

분산원장기반 기관용 CBDC, 토큰화 예금, 디지털화폐 간의 결제 모형

기관용 CBDC, 이를 기반으로 발행되는 토큰화 예금, 그리고 비은행 기관에서 발행되는 다양
한 토큰들이 혼재되어 유통되는 미래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허가형 분산원장 기술 플랫폼을
통해 작동한다. 여기에서 상업 은행(예금), 비은행 PSPs(전자화폐) 그리고 중앙은행(중앙은행
화폐). 소매 투자자(예금자)는 디지털 지갑에서 토큰을 보유하고 지갑 간에 토큰을 전송함으로
써 지불 행위를 하면, 분산원장 플랫폼상의 금융기관 간 거래의 결산은 기관용 CBDC를 통해
29)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토큰화 예금을 보유한 예금자가, 집을 사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려 할
때, 현재의 집 보유자가 비은행 PSP 토큰을 소지하고 있다면, 거래 결산은 다음과 같이 진행
된다. 즉, 은행이 분산원장 기술 플랫폼상의 비은행 PSP에 기관용 CBDC를 전송하고, 비은행
PSP는 고객의 지갑에 새 토큰에 상응하는 금액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기관용
CBDC는 거래를 결산한다.

[그림 3-1] 예금 토큰을 활용한 지급과 기관용 CBDC를 활용한 결제 모형

자료: BIS(2022), The future monetary system 2022, p. 97 참조

29) BIS(2022), pp. 94~98 내용 요약 정리.


48 기본연구 23-05

30)
제 2 절 기관용 CBDC 결제 인프라 설계 청사진

1. 기관용 CBDC 모델의 설계 방향과 청사진

기관용 CBDC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와 국경 간 지급결제의 결제 자산으로 시스


템의 안정성과 신뢰를 담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살펴본 디지털 자산 거래와
더불어 국경 간 지급결제 시스템은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성이 극적으로
제고될 부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명활(2023b)은 기관용 CBDC가 지급결제 시
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어떻게 차세대 디지털 지급결제 시스템을
구출할 것인지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기관용 CBDC가 도입되지 않더라도 토큰화 예금을 통해 거래와 송금이 이루어
지면 거래 은행 간 청산 및 결제는 기존 익일 차액결제시스템을 통해 처리가 가능
하다. 기관용 CBDC가 도입되어 은행 간 거래에 이용되면 토큰화 예금 거래 은행
간 청산과 결제가 토큰화 예금거래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
에 소액결제 시스템이 기존의 익일 차액걸제 시스템에서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
으로 진화된다. 더 나아가 여타 금융기관에도 기관용 CBDC를 이용한 실시간 결
제시스템 내에서 거래가 허용되어 참여 범위가 확대될 경우, 예금 토큰 외에도 토
큰화된 다양한 증권 및 자산 등과 관련된 금융기관 간 거래와 지급결제가 자산-자
금 간 동시 결제로 완결된다. 기관용 CBDC가 도입될 경우 새로운 디지털화폐 플
랫폼 형성을 통해 소액결제를 포함한 지급결제시스템이 디지털 기반 실시간 통합
31)
지급결제체제(unified ledger)로 발전할 수 있다.
국경 간 지급결제는 다국가 네트워크를 거치는 거래이기 때문에 거래의 지연과
높은 수수료가 일반적이며 결제 실패의 위험, 거버넌스의 부재로 인한 법제도 및
운영 비용이 매우 높다. 토큰화의 프로그램 가능성과 조합 가능성을 통해 기술적

30) 본 절은 BIS와 IMF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자산 결제 플랫폼 모델인 통합원장과 국경


간 지급계약 플랫폼을 기술함. BIS(2023b)와 IMF(2023)의 내용을 요약 정리함.
31) 이명활(2023b).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49

측면에서의 비효율적 비용이 대폭 절감될 수 있다.


디지털화폐에 프로그래밍된 명령에 따라 거래가 지급에서 결제까지 동시에 즉
시 진행되기 위해서는 원장 데이터베이스와 계약 내용이 한곳에서 관리되어야 한
32)
다. IMF 뿐만 아니라 국제결제은행(BIS) 모두 미래의 화폐 생태계가 통합원장 위
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BIS는 통합원장(unified ledger)이
암호화되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함으로써 안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 새로
운 형태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계약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33)
있다. IMF는 신뢰받는 단일원장(single ledger)에서 여러 화폐 간 결제, 다양한
기능의 조합과 자동화를 통한 거래, 신원증명 등 거래와 분리된 정보의 관리가 가
능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을 제시한다.

□ 미래의 화폐 체계와 통합원장: BIS 사무총장 기조연설문 요약


34)

미래 화폐 시스템은 토큰화가 불러온 기술발전을 기반으로 전통의 금융시스템을 개선하고 새


로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핵심적 구성 요소는 CBDC, 토큰화 예금 그리고 토큰화된 자
산이다. 모든 디지털 화폐와 자산의 거래가 새로운 금융시장 인프라(FMI)인 통합원장에서 일
어나도록 함으로써 토큰화의 모든 편익을 실현한다. 통합원장은 금융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network of networks)로서 중앙은행 화폐체계를 다른 토큰화 자산과 결합해서 거래와 동시
에 지급, 청산, 결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통합원장은 기능적으로 프로그램 가능성, 조합 가능
성 등을 활용하여 미래의 화폐와 금융 시스템이 잠재력을 발현하도록 한다.
통합원장의 핵심 요소는 디지털 화폐와 자산 그리고 디지털 인프라로 구성되며 세 가지 요소
가 함께 작동하기 위해 토큰화가 필요하다. 토큰화는 가치를 가진 자산을 프로그래밍이 가능
한 원장에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토큰은 자산에 대한 기록과 거래 관련 규칙
및 논리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자동화 기능, 프로그램 기능, 스마트 컨트렉트, 조합 가능성 등
을 수행할 수 있다.

토큰화의 첫 번째 단계는 거래의 수단인 화폐의 토큰화이다. 중앙은행이 회계 단위인 화폐를


발행하고 중앙은행 대차대조표를 통한 결제의 완결성을 보장한다. 신뢰를 기반으로 상업 은행
이 예금 형태로 통화를 발행하는 2계층 통화시스템은 화폐의 단일성을 보장한다. 미래 금융시

32) IMF(2023). IMF는 unified ledger 대신 ‘single ledger’라는 용어를 사용함.


33) BIS(2023b), p. 96 참조.
34) 이 박스의 내용은 Carstens(2023)의 국문 번역인 BIS 사무총장 기조연설문에 BIS
(2023b)에서 통합원장과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여 정리함.
50 기본연구 23-05

스템은 현재 2계층 모델을 확장 발전시키는 모습이며 토큰화된 기관용 CBDC는 시스템의 앵


커로서 토큰화 예금은 프로그램 가능성과 조합 가능성을 가진 결제 수단으로 기능한다.
다음 단계로 금융과 실물 자산에 대한 청구권 등 자산의 토큰화를 통해 새로운 기술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토큰화 이점을 최
대한 활용하려면 토큰화된 모든 자산이 원활하게 상호작용해야 한다. 모든 디지털 자산 네트
워크가 서로 연결되고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법률
및 규제, 거버넌스, 통신 프로토콜도 마련되어야 한다.

2. BIS 통합원장(unified ledger) 모형


35)

BIS가 제안한 통합 원장은 크게 세 가지, 즉 데이터 환경, 실행 환경, 그리고 환


경에 적용되는 규칙, 표준 및 거버넌스로 구성된다. 데이터 환경에는 해당 기능을
운영하는 주체(entities)들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별도의 분할영역(partition)과 그
들의 화폐와 자산의 디지털 표현(representation)이 포함된다. 이뿐만 아니라 안
전하고 적법한 화폐와 자산의 이전을 위해 데이터와 원장을 업데이트하는 정보도
포함된다. 실제 거래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괄함으로써 외부의 정보 개입 없이
결제가 완결되는 구조이다. 실행 환경에서는 거래와 관련된 다수의 모든 작업들이
스마트 계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에서는 실행 환경에서 다른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
용하는지, 그리고 적용되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규칙과 표준 등이 명시된다. 통합
원장의 실용성은 정보의 엄격한 보안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안성과
데이터 제어는 데이터 분할과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달성된다. 데이터는 각 영역
에 대해 해당 권한이 있는 당사자만이 데이터와 정보를 볼 수 있고 접근할 수 있
도록 분할 관리함으로써 엄격한 보안성이 확보된다. 동시에, 암호화 기술은 데이
터가 실행 환경에서 안전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35) BIS(2023) 참조.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51

[그림 3-2] BIS 통합원장 모형

* 자료: BIS(2023b). “Blueprint for the Future Monetary System”.


Annual Economic Report 2023, p. 97

통합원장은 ‘모든 것을 한곳’에 보관하기 때문에 중개자들이 최종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변화해야 한다. 통합원장은 프로그래밍 가능성과 플랫
폼상의 거래를 결합하는 능력(결합성)을 통해 금융 거래를 자동화하고 창의적으로
조합할 수 있게 한다. 전통적인 방식에서 메시징, 청산 및 결제가 분리되었기 때
문에 불가피했던 수작업과 조정의 필요성이 줄어들며, 거래 지연과 불확실성도 제
거된다. 통합원장은 또한 결제에 관련된 여러 작업을 동시에 그리고 즉시 지원하
기 때문에 결제 시간과 신용 위험도 줄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토큰화와 통합원장 도입은 거래 금융에서 발생하는 많은 잠재적 비효율을 제거
할 수 있다. 유가증권 거래 및 결산 과정에는 다양한 당사자들을 포함하며, 수많
은 메시지 송수신, 대조 노력, 그리고 자금 흐름이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
52 기본연구 23-05

가증권의 구매자나 판매자가 거래 프로세스를 시작하면, 거래와 최종 결제 사이의


시간 동안, 당사자들은 대체 비용 위험(즉, 거래가 결제되지 않아 불리한 가격으
로 대체되어야 하는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결산 과정에서는 당사자들이 원금 위
험에도 노출된다. 한 측이 협정을 이행하지 않아 결제나 유가증권을 전달하지 못
하는 위험이다. 중앙예탁결제원(CSDs)은 계좌 소유자의 신원을 확인해야 하며,
청산 대리인과 같은 제삼자와 무엇이 결산되고 있는지 대조하고 그 내용을 보장
해야 한다.

[그림 3-3] 통합장부상의 유가증권 결산 과정 모형

* 자료: BIS(2023b). “Blueprint for the Future Monetary System”. Annual Economic Report
2023, p. 100

이러한 상황에서 거래의 지급 및 결산 과정에 통합장부를 도입하면, 그 과정에


참여하는 당사자들의 수를 줄이고 확인 및 대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기존의 시
스템이 안고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토큰화된 화폐와 유가증권이 공통 플랫폼
에서 처리되며 배송과 결제가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이다. BIS는 화폐와 유가증권
이 서로 분리된 장부에서 관리될 때 리스크와 비용 증가를 유발하는 거의 모든 과
36)
정이 토큰화와 통합원장을 통해 제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53

3. IMF의 XC 플랫폼 모델
37)

IMF는 국경 간 결제 및 송금을 IMF가 제안한 글로벌 CBDC 인프라를 이용하


면 더 저렴하고 신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IMF가 제안한 인프라는 국경 간 지급
및 계약 플랫폼(Cross-border Payment and Contacting Platform, 간략히 XC
38)
플랫폼 )이다. XC 플랫폼은 세 개의 계층과 거버넌스로 구성된다. 세 개의 계층
은 결제 계층, 프로그래밍 계층, 정보관리 계층이다.
결제 계층은 다중화폐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결제를 위해서, XC 플랫폼에 참
여하는 은행들은, 플랫폼 운영자가 관리하는 담보 계좌에 국내 중앙은행 예금을
입금하고, 그에 상응하는 액수만큼의 디지털 버전의 토큰을 받는다. 모로코의 수
출업자가 스페인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하면, 수출업자가 이용하는 모로코 은행은
고객이 이용하는 스페인 은행의 예금 토큰을 받고 그에 상응하는 액수를 수출업
자의 계좌에 입금하게 된다. 스페인의 예금 토큰은 플랫폼상에서 다른 참가자들에
게 판매할 수도 있다. 결제는 신속하고, 최종적(final)이며, 안전하게 진행된다. 원
39)
장은 플랫폼 운영자가 관리하며, 오직 운영자만이 거래를 결제한다. 단일원장 은
누가 무엇을 소유하는지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유일한 장부이므로 이중 지불은
발생할 수 없다.
프로그래밍 계층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층이다.
XC 플랫폼에 참가하는 주체들은 다양하다. 주체들에 따라 자국통화 대신 외환을
얻으려 할 수도 있고 결제를 동기화하거나 지연시키기를 원할 수도 있다. 또한 특
정 국가는 자본 흐름 관련 조치를 시행하려 할 수도 있다. 이 모든 것들은 XC 플
랫폼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들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하거나 결합(bundling)

36) BIS(2023b) 참조.


37) 이 섹션은 Adrian and Griffoli(2023)를 요약 정리함.
38) XC플랫폼의 자세한 아키텍처는, IMF(2022)를 참조함. 참고로 IMF(2022) 보고서에
서 다루는 플랫폼은 ‘X-C플랫폼’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Multilateral Exchange
and Contracting Platform을 간략히 표기한 것임.
39) BIS는 unified ledger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IMF는 single ledger를 사용함.
54 기본연구 23-05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다만 그러한 커스터마이징이나 결합은 XC 플랫폼 자체에


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프로그래밍은 계약을 자동화할 수도 있
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폐를 다른 것과 동시에 교환하려 할 때도 특정 가격 조건
40)
이 충족될 때만 거래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정보관리 계층은 결제와 비결제 서비스의 분리뿐 아니라 준법성(compliance)
체크까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책임도 더 명확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XC 플랫폼
참여 국가들은 자국민과 기업이 외화를 보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금액과 규정
준수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한다. XC 플랫폼은 고객인증(KYC), 자금세탁 방지,
41)
테러자금 조달 방지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도록 설계된다.

[그림 3-4] XC 플랫폼을 통한 국경 간 지급 모형

자료: Adrian and Griffoli(2023). The Rise of Payment and Contracting Platforms,
p. 11

끝으로 거버넌스는 견고하고 투명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 플랫폼 참여자


들이 공정성과 대표성을 인정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위해서는 플랫폼을 뒷받침하

40) Adrian and Griffoli(2023), pp. 13~14 참조.


41) Adrian and Griffoli(2023), p. 15 참조.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55

는 강력한 법적 프레임워크와 적극적인 감독, 접근, 참여, 자금 조달에 관한 명확


한 규칙이 필요하다. 나아가 거버넌스는 국제 통화 시스템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규칙과 설계를 채택할 때도 적용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제 3 절 기관용 CBDC 실험 모델 및 시사점

1. BIS 혁신 허브(Innovation Hub)의 기관용 CBDC 실험 개요

통합원장과 XC 플랫폼은 토큰화 환경에서 이상적인 기관용 CBDC 결제플랫폼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모델들이다. 구상하는 모델이 구현 가능한지 어떻게 작동되
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현재 가능한 기술범위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모형을 구
체적으로 설계하여 실험할 필요가 있다. BIS의 혁신허브인 BISIH는 여러 중앙은
행과 협력하여 지난 3년간 12개의 CBDC 관련 개념증명(PoC: proof of
concepts)과 프로토타입의 실험을 해왔다. 그중 6개가 기관용 CBDC 프로젝트
42)
로서 2개가 국내용, 4개가 국경 간 거래 모델이다.

<표 3-1> BIS 혁신 허브의 기관용 CBDC 실험 사례

국내용 사용 사례 국경 간(cross-border) 사용 사례
∙ Jura: 기관용 CBDC로 국경 간 결제
∙ Dunbar: 다국-CBDC(multi-CBDC)를 이
∙ Helvetia I: 중앙은행 화폐를 이용해 토큰화
용해 국제 결제(international settlement)
자산 결제
∙ mBridge: CBDC를 통해 경제 연계(connecting
∙ Helvetia II: 기관용 CBDC를 이용해 토큰
economies)
화 자산 결제
∙ Marinara: CBDC의 자동화된 마켓메이커
(automated market makers)
자료: BISIH(2023), Lessons learnt on CBDCs p.5 기관용 CBDC 발췌

42) BISIH(2023).
56 기본연구 23-05

본 절에서는 BISIH가 시행한 기관용 CBDC의 모델과 실험 결과를 살펴보고 시


사점을 모색해 본다.

2. 기관용 CBDC 사용 사례: Helvetia 모델


43)

가. 실험 개요
기관용 CBDC의 대표적 프로젝트인 Helvetia는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기관용
CBDC의 기술적, 제도적 실현 가능성과 기능성을 실험한다. 그 결과 기관용
CBDC의 가능한 기능과 한계점 등 다양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Helvetia 프로
젝트에는 스위스 BISIH와 스위스 중앙은행 그리고 5개의 다국적 상업 은행이 개
발에 공동으로 참여했다. 프로젝트는 분산원장 기술 기반 디지털 거래 시스템인
SIX Digital Exchange(SDX)상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자산 결제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단계는 2020년에 결과가 보고되었는데 중앙은행 화폐로 토큰화된 자산
을 결제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모델은 스위스 은행 간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
(RTGS)인 SIC(Swiss RTGS Interbank Clearing)와 앞서 말한 SDX 플랫폼 간
결제를 두 가지 방식으로 개념증명을 하였다. 첫 번째 방식(PoC1)은 기관용
CBDC가 분산원장에서 발행되고 디지털 자산 결제에 사용되는 모델이다. 중앙은
행은 지급준비금을 CBDC 토큰으로 전환하여 기관용 CBDC를 발행한다. 분산원
장 플랫폼에서 증권의 이전과 CBDC 지급이 동시에 보장되도록 자금-자산 간 동
시결제(DvP Delivery vs. Payment) 명령이 실행되었다. 또한 다른 자산의 교환
과 관계없이 SDX 플랫폼에서 CBDC가 이전되는 것도 실험되었다. 두 번째 방식
(PoC2)은 SDX 플랫폼을 실시간총액시스템(RTGS)에 결합시키는 모델로서 토큰
화된 자산의 교환이 지급준비금으로 지급된다.
Helvetia 프로젝트는 토큰화된 자산의 지급결제를 토큰화된 기관용 CBDC를
사용(PoC1)하는 것과 분산원장과 현재의 중앙은행 지급시스템을 연결(PoC2)하

43) 이 섹션의 Helvetia 모델 설명은 Presto et al.(2023)에서 pp. 10~18의 내용을 요


약 정리함.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57

는 것이 기능적으로 실행 가능한 것인지, 법적으로 이행 가능한 것인지 테스트를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특히 PoC2는 RTGS 시스템을 사용하는 현재의 은행 간
거래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운용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법률적, 기술적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PoC1에서는 완전히 새롭
게 토큰화된 CBDC가 도입되고 다른 디지털 자산과 함께 민간 플랫폼에서 거래
된다. PoC1만이 기관용 CBDC를 도입하며 PoC2는 상호운용성을 통해서 SDX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디지털 자산의 거래 지급이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한다.

나. 실험 결과 및 시사점
분산원장에서 토큰화된 자산의 결제는 기존 거래 플랫폼에 비해 상당한 정도의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지연없이 거래 관련 스마트 컨트랙트가
더욱 수월하게 실행되었다. 실험에서 RTGS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산을 결제하게
되면 분산원장 플랫폼에 비해 기능성이나 잠재성 측면에서 제한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스위스 RTGS 시스템은 자금의 신속·동시 이전을 지원하지 않아서 거래
가 순차적으로 일어나야 했다. 제도적으로 PoC1은 중앙은행 화폐를 민간 플랫폼
에서 발행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 조치를 비롯해서 다양한 조정이 필요해 보인
다. 두 모델 모두 분산원장과 RTGS 시스템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
에 중앙은행과 민간의 분산원장 플랫폼 운영자는 현재의 인프라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 테스트 결과 토큰화된 자산이 중앙은행 화폐로 결제가 가능함을 보일 수 있
었다. 분산원장 플랫폼과 RTGS 간 상호운용성 연계를 통해서 현재의 금융시장
인프라을 활용하여 기관용 CBDC 시스템 실행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모델
은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의 총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기관용 CBDC를 발행하여 운
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법적 호환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몇 가지 한계점도 보이는데 우선 파일럿상에서는 분산원장에서 기관용 CBDC
의 발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 이를 개발하고 실행하려면 어느 정
도의 비용이 소요될지, 특히 거래 건수가 대규모이면 비용을 정량화해서 파악하기
58 기본연구 23-05

어렵다. 분산원장과 RTGS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은 가능하지만 이로 인해 실행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확장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분산
원장이 현재의 금융중개 핵심인 은행 시스템과의 완전한 결합 여부에 대한 우려
가 존재한다.

다. Helvetia 2단계 실험 내용과 시사점


Helvetia 프로젝트 결과는 2022년에 발표되었으며 기관용 CBDC 발행과 관련
된 운용상, 법적, 정책적 이슈를 다루었다. 분산원장과 전통적인 인프라 간 상호
운용성으로 양자의 결합이 심화되며 API를 이용하여 은행 시스템의 코어와 분산
원장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노드 간 조직적인 금융 활동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이러한 통합은 다양한 시스템을 병렬적으로 처리해야 하고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
시간으로 기존 은행 시스템에 연계되어야 하는 등 복잡성과 조정해야 할 과정이
많아져서 분산원장의 효율성 편익을 충분히 누리는 데 한계로 작용한다. 시스템이
운영탄력성을 가지려면 RGTS 시스템을 연계하기보다는 기관용 CBDC의 발행과
준비금으로의 환전을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
해 이 실험에서는 분산원장의 토큰화된 자산 결제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SDX에
위임하였다. SDX가 거래에 따른 지급결제의 지시에 따라 플랫폼 참여자의 기관
용 CBDC 잔고를 조정한다. 1단계와 2단계의 테스트를 통해 Helvetia 프로젝트
는 민간 분산원장 플랫폼에서 기관용 CBDC 발행, 분산원장 플랫폼과 RTGS 시
스템 간 상호운용성이 가능함을 보였다.
차세대의 RGTS 시스템은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신속·항시 운영(24/7), 높은 거
래 속도, 다른 플랫폼과의 상호운용성뿐만 아니라 다수의 실행명령의 병렬 수행,
플랫폼 간 다자간 결제 등이 가능하다. 확장성이나 병렬 프로세싱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RGTS 시스템의 성능 향상으로 기관용 CBDC의 특성들이 RTGS상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영란은행은 통합계정(Omnibus
Account)을 RTGS 시스템에 도입하여 은행 수준의 건전성 규제를 받는 민간 금
융업자에게 중앙은행 계좌를 개설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민간의 자산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59

거래가 은행뿐만 아니라 여타 금융기관으로 확산되는 경우 모든 자산의 결제가


RTGS를 통해서 중앙은행 화폐로 결제될 수 있기 때문에 신용 및 유동성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관련해서 미국은 자산의 토큰화에 혁신성과 안정적인 지급결제
시스템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이를 위해 새로운 결제 자산으로서의 기관용
44)
CBDC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제 4 절 국경 간 지급결제를 위한 기관용 CBDC 실험

1. 국경 간 지급결제 파일럿테스트 개요

CBDC의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으로 각광을 받는 분야가 국경 간 지급결제이다.


국경 간 지급결제의 비효율성은 국가 간 지급시스템의 파편화와 영업시간, 시스템
호환성 그리고 규제 격차에 이르기까지 상호운용성이 미흡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CBDC는 국경 간 거래 속도를 높이고 거래 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되며
CBDC의 국경 간 송금 및 거래를 통해 세계 각 지역 국민들에게로 CBDC의 접근
이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경 간 결제의 효율성과 관련해서 CBDC가
가지는 장점은 시스템의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이 CBDC 설계의 기본적인 요구사
항이라는 것이다. CBDC 개발을 위한 표준과 협력이 글로벌하게 이루어지고 있
다. 국경 간 지급결제는 중앙은행과 은행 간에 구축된 CBDC 결제 시스템을 복수
의 국가로 확장하는 개념이다. 또한 CBDC를 통하게 되면 민간의 금융인프라에 거
래 절차와 창구가 보다 단순해지고 협력이 용이해진다. CBDC 개발이 국경 간 지급
45)
결제를 개선할 수 있는 주요 계기로 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와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하여 국경 간 지급결제의 효율성
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BIS 혁신허브와 각국 중앙은행의 협력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5개의 국경 간 지급결제 파일럿 테스트 중 BIS, 이스라엘, 노르웨이, 스웨덴

44) Durfee, Maniff and Slattery(2023).


45) Presto et al.(2023).
60 기본연구 23-05

중앙은행이 실행했던 Icebreaker 프로젝트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프로젝트가


모두 기관용 CBDC를 활용한 국경 간 지급결제 모델이다. 기관용 CBDC를 이용
한 Imthanon-LionRock2, Jura, Dunbar, mBridge 프로젝트는 모두 분산원장
기술의 공통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단일 시스템에서 다국가 CBDC가 거래되
는 모델이다. 국가 간 공통의 기술과 규제의 프래임워크가 공유된다. 4개 모델은
각각 다른 참여 국가 통화군에서 상이한 지급결제 유형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
행했다.

2. 도매 CBDC를 활용한 국경 간 거래 실험
46)

가. Project mBridge
mBridge 프로젝트는 도매 국제 결제를 위한 다국가 CBDC 공통 플랫폼을 실
험하는 것으로, 국제 무역에 중점을 두고 있다. mBridge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된
플랫폼은 분산원장 기술, 포괄적인 규칙 세트, 거버넌스 구조로 구성된다. 이 프
로젝트에는 BIS 혁신 허브와 4개의 중앙은행 및 25개 이상의 회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mBridge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목표를 갖고 있다. 첫째, 국제 결제의
주요 문제점인 높은 비용, 결제 위험, 낮은 속도 등을 해결. 둘째, 중앙은행 화폐
를 통한 국제 간 결제. 셋째, 국제 거래에서 현지 통화 사용을 지원. 넷째, 새롭고
혁신적인 결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기회 창출이다.
mBridge 프로젝트는 지불자와 수취인의 현지 은행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국경
간 거래 및 지급결제 단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결제 시스템은 참가자들의 국내
결제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에 의해 지원된다.

46) 이 부분은 BISIH(2023b), BISIH(2022) 내용을 정리한 것임.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61

[그림 3-5] mBridge 플랫폼 사용 전후의 국경 간 거래 비교

* 자료: BISIH(2023b), Experimenting with a multi-CBDC platform for cross-


border payments, p. 3

BIS에 따르면 mBridge를 위해 개발된 플랫폼에서 국제 결제는 더 빠르고 안전


하며, 접근성이 쉽고 비용도 저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된 실험 플랫폼의 핵심은 mBridge 원장 또는 mBL로 불리는 허가형 DLT이다.
도매 CBDC를 사용하여 즉각적으로 원자적 국제 결제 및 외환 거래를 지원한다.
mBL은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 호환 솔루션이며, 블록체인이 널리 사용되는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 계약 코드를 기반으로 거래를 처리하는 기능
을 가진다. 또한, CBDC 발행, 환급 및 결제는 Solidity 프로그래밍 언어로 된 스
마트 계약을 통해 구현된다. 코드는 참여 중앙은행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오픈소스
로 제공된다.
62 기본연구 23-05

47)
나. Project Jura
프로젝트 Jura는 프랑스 은행(BdF), BIS 혁신 허브(BISIH) 스위스 센터, 스위스
국립은행(SNB) 및 액센추어가 주도하고 크레디트스위스, 나티시스, R3, SIX 디지
털 거래소(SDX), UBS가 포함된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공공-민간 협력 프로젝트이
다. 이 프로젝트는 DLT 기반 스위스 라이선스 거래소 및 SDX의 테스트 환경과
새롭게 개발된 플랫폼인 디지털 자산 레지스트리(DAR)를 활용했다. 두 플랫폼 모
두 R3의 Corda를 기반으로 한다.
프로젝트 Jura는 서드파티 단일 DLT 플랫폼에서 프랑스와 스위스 상업 은행
간에 유로와 스위스프랑 기관용 CBDC의 직접 이전을 살펴보았다. 토큰화된 자산
및 외환 거래는 자금-자금 간 동시결제(PvP) 및 자금-자산 간 동시결제(DvP)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산되었다. 실험은 실제에 가까운 환경에서 실제
가치로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현행 규제 요건을 충족했다.
프로젝트 Jura는 국경을 넘어 토큰화된 금융 수단 및 외환 거래를 정산하는 새
로운 방법을 보여주었다. DLT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여러 자산 및 관할 구역에 적
용되는 단일 플랫폼을 구성하고 중앙은행의 통제하에 도매 CBDC를 유통하였다.
프로젝트 Jura에서의 자산-자금 간 동시결제 및 자금-자금 간 동시결제는 즉각적
이고 원자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매 CBDC와 토큰화된 자산 거래를 단일 제3자
플랫폼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47) 이 부분은 BISIH(2021) 내용을 정리한 것임.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63

[그림 3-6] Project Jura의 실험 설계

* 자료: BISIH(2021), Project Jura_Cross-border settlement using wholesale CBDC, p. 11

Jura 실험은 DLT 네트워크 간 상호운용성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을 보여주


었다. 이중-공증 서명 기능은 토큰이 서로 다른 하위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동안
원자적으로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NEU CP의 동결 및 미러링은 토큰이 다른 플
랫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예금증서의 원칙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프로젝트 Jura의 실제에 가까운 설정은 실제 조건과 환경에 필요한 조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 참가자들은 규제, 거버넌스 및 운영 측면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도매 CBDC 사용의 이점과 장애물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실제에 가까운 설정은 또한 어려운 과제였다. 실험을 위해 룰북, 비상절차 및 모
니터링 능력 등 상당한 법적 및 규제 준비가 필요했다. 결제의 완결성은 RTGS
시스템에서만 가능했기 때문에 환거래(corresponding) 은행이 여전히 필요했으
며, 이 때문에 모델이 보다 복잡해졌다.

다. Project Dunbar
Dunbar 프로젝트는 호주,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중앙은행과 싱가포르
64 기본연구 23-05

통화국 BISIH가 협력하여 다국가 기관용 CBDC를 이용하여 국제 결제를 위한 테


스트를 진행한 것이다. 2022년도에 결과가 발표되었다. 프로젝트는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디지털화폐를 사용하여 국제 간 결제를 할 수 있는 공유 플
랫폼을 구축하는 것이었고 서로 다른 분산원장 기술을 쓰는 두 가지 프로토타입
이 개발, 사용되었다. 플랫폼은 다른 화폐를 사용하는 금융기관들 사이에 직접 국
경 간 거래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비용 절감과 결제 속도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실
행되었다. 실험을 통해 중앙은행 간 다국가 공유 CBDC 플랫폼을 실행하면서 접
근(access), 법률적 관할권(jurisdictional boundaries), 거버넌스(governance)
세 가지가 향후 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나타났다.

[그림 3-7] Project Dunbar 개요

자료: BISIH(2022), Using CBDCs across borders: lessons from practical experiments p.8
제 3 장 디지털 결제 자산과 기관용 CBDC 65

48)
라. Project Mariana
Mariana 프로젝트에는 BIS와 프랑스, 싱가포르, 스위스 중앙은행이 참여했으
며 2023년 9월에 CBDC를 활용한 국경 간 거래와 결제에 대한 공동 실험이 성공
적으로 완결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가상 금융 기관들 사이에서 디파
이(DeFi)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의 유로, 싱가폴 달러, 스위스 프랑, 도매 CBDC
등이 국경을 넘어 거래되고 결제될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공개 블록체인에서
공통 토큰 기준을 사용하여 CBDC의 원활한 이전을 위한 브리지(Bridge)를 구축
하고, 자동적으로 외환거래를 실시하거나 결제하는 특정 유형의 분산 거래소인 자
동시장조성자(AMM: Automated Market-Maker)를 활용하는 것이 이 개념증명
(PoC)의 핵심이다.
프로젝트 Mariana는 AMM과 도매 CBDC를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은행 간 현
물 외환시장에 대한 PoC이다. 프로젝트 Mariana는 도매 CBDC와 분산원장 기
술을 사용하여 국경 간 결제에 대한 과거의 실험을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안된 아키텍처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하고, 토큰화가 가져올 잠
재력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프로젝트 Mariana PoC의 디자인 솔루션은 다음의 핵심 요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도매 CBDC 디자인, 브리지(Bridge) 디자인, AMM 디자인 및 캘리브레이
션(calibration) 등이 그것이다. 구성 요소에 대한 주요 설계 특성은 프로젝트
Mariana를 위해 구축된 프런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PoC는 가능한 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계약을 적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플랫폼은 허가형 이더리움
(Hyperledger Besu)으로 구축되었고, 국제 네트워크는 공개 이더리움 테스트넷
(Sepolia)에 구축되었다.

48) 이 부분은 BIS(2023) 내용을 정리한 것임.


66 기본연구 23-05

[그림 3-8] Project Mariana의 솔루션 디자인

* 자료: BIS(2023c), Project Mariana_Cross-border exchange of wholesale CBDCs


using automated market-makers, p. 17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67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제 1 절 범용 CBDC의 현황과 쟁점

1. 범용 CBDC와 기관용 CBDC의 관계


49)

범용 CBDC와 기관용 CBDC는 각각 디지털화된 지불 수단과 결제 자산·인프


라이다. 중앙은행 화폐 시스템을 디지털화한다면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인
중요한 두 개의 축이 된다. 도매부문 측면에서 중앙은행은 금융기관 간 결제의 최
종 수단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금융시스템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도움을
준다. 소매부문 측면에서 국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지불 수단을 제공하여 화폐의
신뢰성을 높이고 민간 화폐가 액면가에서 중앙은행 화폐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현금의 디지털화에 해당하는 범용 CBDC는 존재하지 않던 것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 것인 반면에 기관용 CBD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지급준비금 형태의 디
지털화폐로 존재하고 있었다. 기관용 CBDC에 대해서는 도입 여부가 쟁점이 아니
고 현재의 서비스를 어떻게 개선하고 현대화하느냐의 논의인 반면 범용 CBDC의
논의 쟁점은 다차원적이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범용 CBDC는 경제의 모든 주체가
사용하기 때문에 이해관계의 범위가 매우 넓다. 일반 국민의 혜택 범위, 개인정보
보호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중개 역량에 미치는 영향, 법제도적
적용 및 새로운 입법 타당성, 정책 목표의 부합성 등 이해관계자와 관련된 다양하
고 복잡한 쟁점들이 존재한다.
범용 CBDC는 모든 국민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기능적으로도 우수해야 하며
다양한 정책 목표를 달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화폐의 신뢰성을 훼손하지 않아야

49) Panetta(2022)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


68 기본연구 23-05

한다. 범용 CBDC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설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정책적으


로나 고도로 복잡하고 난이도를 요하는 작업이다.

2. CBDC 글로벌 추세
50)51)

2023년 5월 현재 11개 국가에서 CBDC를 도입했고 중국은 파일럿 단계에서 2


억 6,000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14개국이 CBDC 개발, 파일럿 단계
에 있으며 이들 국가의 글로벌 GDP 비중은 95%에 이른다. 2020년 5월에
CBDC를 고려하던 국가가 35개국에 불과하였지만 2023년 현재 60개 국가가 개
발, 파일럿 혹은 도입 등 개발이 상당히 진전된 단계에 있다.
2023년에 20개국 이상에서 CBDC 파일럿 테스트의 단계로 진입할 정도의 의
미있는 진전이 있었다. 호주, 태국, 브라질, 인도, 러시아, 한국 등이 2023년에 파
일럿을 시작했거나 계속 진행 중이다. 2022년 말 미국이 기관용 CBDC 실험을
실시하면서 G7 국가 모두 개발 단계에 진입하게 되었다. G20국가 중 18개국이
개발 중이며 이 중 7개국이 파일럿 단계에 있다.

50) 이하 인용된 자료는 Atlantic Council(2023)을 인용 (https://www. atlanticcounc


il.org/cbdctracker/, 검색일: 2023. 5. 30.)하였으며 서베이와 관련된 내용은
OMIFF(2023)을 참고.
51) 본 섹션의 첫 번째 두 문단은 박동욱(2023)을 보충한 것임.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69

[그림 4-1] 글로벌 CBDC 프로젝트 추세

자료: Eurogroup(2023), International aspects of


CBDCs p.3

OMFFI(2023)에서 각국의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에 따르면 2022년도


에 36%의 중앙은행이 향후 5년 이내에 CBDC를 발행할 것으로 전망했던 것이
2023년에는 41%로 증가하여 중앙은행이 CBDC를 발행하는 데 보다 전향적인
52)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OMIFF(2023).
70 기본연구 23-05

[그림 4-2] CBDC 도입 예상 시기

자료: OMIFF(2023), Future of Payments 2023 p.7

[그림 4-3] CBDC 도입 동기

자료: OMIFF(2023), Future of Payments 2023 p.8

범용 CBDC 도입 동기는 신흥시장이 금융 포용에 있는 반면 선진국 시장은 통


53)
화주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결제의 효율성, 토큰화의 새로운 기술을

53) OMIFF(202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71

통한 혁신 등 CBDC 도입 논의 초기에 나타났던 기술적인 장점은 전술한 바와 같


이 오히려 기관용 CBDC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2%의 중앙은행에서 미래의 지급시스템으로 분산원장기술에 회의적인 반응을
54)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선진국에서 현재의 중앙집중식 데이터베이스 기술
로 범용 CBDC가 설계되고 있으며 [그림 4-3]에서 보이는 것처럼 효율성이나 기
능성이 범용 CBDC 도입 동기의 다음 순위에 있는 것과 일관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림 4-4] 지급결제의 분산원장 기술 적용 전망

자료: OMIFF(2023), Future of Payments 2023 p.29

선진국 중앙은행이 CBDC를 도입할 때 제일 우려되는 점은 CBDC가 널리 이용


55)
되지 않는 것이다. 지급결제가 발전한 선진국에서는 범용 CBDC가 지급결제의
수단으로서 가지는 고유의 편익이 크지 않다. 더구나 다양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기능적으로 여러 가지 성능을 포함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향후에도
이런 개선을 전망하기 어렵다.

54) OMIFF(2023).
55) OMIFF(2023).
72 기본연구 23-05

[그림 4-5] CBDC 도입의 주요 우려 사항

자료: OMIFF(2023), Future of Payments 2023 p.9

3. 범용 CBDC 도입의 우려
56)

CBDC 도입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것이 글로벌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위의 도입


동기 설문에서 나타나듯이 실제적인 효용성이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도입의 필요성과 더불어 CBDC 도입으로 인해 발생할 위험에 대
한 우려 또한 적지 않다. 영국 상원은 2022년 1월 CBDC 보고서에서 영국에 왜
CBDC가 필요한지 아직 설득력 있는 사례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보고서
는 영란은행과 재무부가 디지털파운드 정책 수립을 위해 공동으로 조직한 CBDC
TF에 ‘CBDC가 어떤 문제의 해답인지’(To What problem is a CBDC the
answer?), 탈중개화와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을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답을
57)
요구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복수의 이사들도 디지털달러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디지털달러가 달러 시스템의 신뢰를 훼손할 위험이 있으며 그

56) 본 섹션은 박동욱(2023), pp. 7~9를 정리한 것임.


57) House of Lords(2022).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73

58)
위험은 편익에 비해 크다고 주장한다.
이미 은행 예금, 페이먼트 서비스를 통한 디지털 지급결제가 보편화되면서 범용
59)
CBDC의 필요성이 크지 않다. CBDC가 제공하는 추가적인 편익이 미흡하기 때
문에 현금 사용이 줄어든다고 해서 소비자가 CBDC를 사용할 유인은 높지 않다.
60)
FedNow, RTGS(Real Time Gross Settlement), RTP(Real-Time Payment)
등 현재의 체계로도 24×7×365 결제가 가능한 지급결제 체계가 조기에 도입될
것으로 예정되면서 기관용 CBDC가 전통적 금융에서 추가적으로 효율성, 혁신성
을 제고시킬 여지도 줄어들었다. 당초 통화당국이 우려했던 암호화폐로 인한 금융
불안정, 빅테크 발행 스테이블코인의 독과점 가능성 등 심각한 시장 실패 위험이
당장 현실적인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CBDC 편익은 이론적이지만 개인정보보호 침해, 금융 불안정 가능성, 사이버
보안 사고 등은 체감할 수 있는 위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는 소비자
가 요구하는 핵심적 가치이다. 그렇지만 불법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투명성 보장 또한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는 중앙은행이나 중개 기관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CBDC가 은행의 통화 창출 기능을 일부 대체하면서 통화정책의 핵
심 경로인 은행부문이 잠식되는 중개 소멸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
양한 CBDC 설계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이론에 머물러 있다.
CBDC가 잠재적으로 개인과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나 정책적으로나 실패하게 되면 현재 담보되는 통화체계의 신뢰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정책적으로 완벽한
CBDC 설계가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CBDC 도입은 정책적인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정책당국의 입장에서는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
조기에 CBDC를 도입한 국가와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 스웨덴, 중국 등에서도

58) Quarles(2021), Waller(2021), Bowman(2023) 참고.


59) The Economist(2023a), Financial Times(2023) 참고.
60) RTGS(Real Time Gross Settlement), RTP(Real-Time Payment)
74 기본연구 23-05

61)
CBDC의 활용도나 가능성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민은행의 적극적
인 e-CNY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2022년말 현재 136억 1,000만 위안(19억
달러)의 e-CNY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유통 중인 통화의 0.13%로 나타났
다. 이미 알리페이와 위챗 등 민간 지급수단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자와 가
맹점에서 e-CNY를 선호할 유인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17년부터 e-krona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스웨덴의 Riksbank는 2023년 3월에 발간된 보고서에서
e-krona의 유용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발표하였다. 덴마크, 일본, 핀란드 등 중
앙은행에서도 현재 도입 계획은 정해진 바 없거나 소극적인 상황이다. 고도로 디
지털화된 민간의 지급결제 체계에 비해 CBDC가 제공하는 추가적이고 잠재적인
효용이 미흡한 것이 이들 국가가 소극적인 주요 요인으로 파악된다.

4. CBDC 도입의 필요성 및 위험에 대한 대응: 유럽의 입장


62)

CBDC 도입이 실제적으로 필요한지에 대한 회의와 더불어 편익의 정도에 비해


위험이 더 심각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영국과 EU의 중앙은행은 CBDC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23년도에 들어오며 유럽의 CBDC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영국은
2023년 2월 디지털파운드의 자문 및 기술 보고서를 발간하고 의견 수렴을 거쳐
2023년부터 2025년까지 기술개발, 설계단계(design phase)를 진행할 예정이며
2025년경 디지털파운드 구축단계(build phase)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
63)
고 밝혔다. EU는 2022년 9월 디지털유로의 자문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2021
년 10월에 시작한 디지털유로 프로젝트의 첫 단계인 조사단계(investigation
phase)를 2023년 11월에 마치고 향후 2년간 준비단계(preparation pahse)를
진행할 예정이다. 디지털유로 도입 여부의 최종 결정은 2026년에서 2027년 사이

61) The Economist(2023), Financial Times(2023) 참고.


62) 본 섹션은 박동욱(2023), pp. 9~11의 내용을 정리한 것임.
63)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75

64)
에 결정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은 유로화라는 단일 통화권을 바탕으로 경제통합을 유지하고 있다. 유럽 국
가들은 현금 이용이 급속하게 감소하면서 단일통화 체제가 약화되고 유럽 국가의
통화주권도 잠식될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지급결제가 디지털로 대체되면 유럽 내
에서는 유로화처럼 EU 국가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단일통화 수단이 부재하
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등 외국의 디지털 결제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커질 것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 등 민간 화폐와 디지
털위안화와 같은 비유럽 국가의 CBDC가 지불수단으로 현금의 자리를 대체할 가
능성이 존재한다. 이처럼 유럽 중앙은행이 통제 가능한 효과적인 통화정책 수단의
지위가 약화될 우려 때문에 디지털유로, 디지털파운드 등 유럽이 CBDC 개발을
65)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 중앙은행은 유럽 단일통화권의 입장에서 화폐의 단일성(singleness)과 회
계단위로서의 기능을 공적 화폐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으며, 통화주권
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유럽은 CBDC가 가지는 여러 위험 요소 때문에 도입은 신
중하게 결정하지만 외부의 위협에 대응해서 필요할 때는 언제라도 CBDC를 도입
할 수 있도록 설계와 기술적 준비는 신속히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유럽의 중앙은행은 디지털 시대에 현금을 보완하는 디지털 공적 화폐로서
CBDC를 정의하고, 효율성이나 기능 등 편익을 우선하여 공공재의 가치를 도입의
필요성으로 인식한다. CBDC 도입에 따른 금융불안정성의 위험을 중화시키고 통
화정책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CBDC는 저장 수단이 아닌 지불수단의 기능
으로 한정하였다. 혁신과 효율성은 민간부문을 통하도록 설계하여 공공부문은 안
정성, 민간부문은 혁신을 지향한다. 디지털 시대에도 민간 금융부문과 협력보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CBDC는 지급결제의 인프라로 지불결제의 플랫폼으로 설
계될 계획이다.

64) Financial Times(2023).


65) Financial Times(2023).
76 기본연구 23-05

디지털유로나 디지털파운드는 미국이나 중국에서 보이는 디지털 통화 경쟁 측


66)
면에서의 CBDC 도입 동기와는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의 중앙은행은 통화
의 파편화가 일어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디지털 형태의 공적 화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CBDC는 디지털 시대 지급결제의 준거(anchor)로서
화폐 시스템 신뢰의 기반이며 지급결제의 인프라로서 미래 화폐의 핵심으로 간주
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디지털유로와 디지털파운드의 정책적, 기술적 특성을 살
펴봄으로써 최근 제기된 CBDC의 필요성과 화폐 준거 관점에서의 범용 CBDC
필요성, 한계점 및 시사점을 분석한다.

67)
제 2 절 디지털파운드 정책 동향

1. 디지털파운드 도입 결정을 위한 과정

2023년 2월 영란은행과 영국 재무부는 공동으로 디지털파운드의 자문보고서


68)
및 기술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디지털파운드 자문보고서는 미래에 디지털파운드
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likely to be needed in the future) 결론지었다. 자
문보고서는 2022년부터 진행된 디지털파운드 로드맵의 1단계인 연구 및 탐색
(reserach and exploration) 단계의 결론이다. 자문보고서는 디지털파운드의 필
요성과 정책 목표를 밝히고 디지털파운드 모델을 제안하면서 공중의 의견을 수렴
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헤드라인으로 “미래에 디지털파운드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likely to be needed in the future)”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현재 디지털파
운드의 도입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2단계인 설계 단계의 기반이 되는 디지털파
운드 모델과 방향이 제시되었다.

66) 국제 간 디지털 통화 경쟁에 대한 논의는 박동욱(2022)에 상술되어 있음.


67) 1차적으로는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의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이 절은 본 연구의 중간 결과의 형식으로 발간된 박동욱(2023)의 pp. 12~26을 정리
하고 보완하여 기술된 내용임.
68)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을 디지털파운드 자문보고서로 번역.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77

향후 설계 단계(design phase) 후에 다음 단계로 진행해서 디지털파운드의 실


행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설계 단계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디지털파운드
의 구체적인 정책과 기술개발을 위한 단계로서 청사진으로 쓸 수 있을 정도로 구
체적이고 포괄적인 디지털파운드의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목적은 민
간부문과 협력하여 개념 증명, 실험 등을 실시하여 중앙은행과 민간부문의 디지털
화폐 노하우를 증진시키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기회를 공유하는 것이다.
구축 단계(Build phase)는 설계 단계 종료 시점에서 그 진행 여부가 결정되며
최종적인 도입 결정은 2020년대 하반기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축 단계
에서는 디지털파운드의 기술적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실제 상황에서 파일럿 테
스트를 거치며 보안, 복원력, 성능 면에서 기준을 충족할 경우에 도입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78 기본연구 23-05

[그림 4-6] 디지털파운드 3단계 로드맵

자료: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p.17

2. 디지털파운드 도입의 필요성

가장 안전한 형태의 화폐인 현금 사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화폐와 지급의 디


지털화가 더욱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시대에도 신뢰와 안전을 담보하는
앵커로서 경제 전반에 널리 사용되며 혁신을 증진시킬 중앙은행 화폐가 필요하다.
디지털파운드는 화폐의 신뢰와 안전을 담보하는 앵커로서 디지털 시대에 중앙은
행 화폐의 역할을 확보하고 지급결제의 혁신, 국민의 선택확보 및 결제의 효율성
을 증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79

[그림 4-7] 디지털파운드의 주요 동인

자료: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p.24

국가 경제와 통화체계의 안정성은 화폐의 단일성과 화폐에 대한 신뢰에 기반한


다. 단일성은 영국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폐가 중앙은행 화폐단위인 스털링
(Sterling)으로 표시되며(denominated) 안전하게 서로 교환이 가능하고 액면가
대로 현금과 교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금은 소매단에서 화폐의 단일성을, 중
앙은행 지급준비금은 은행 간 예금의 단일성을 담보하며, 강력한 규제와 감독은
민간 금융기관과 화폐의 안전과 건전성을 확보하여 중앙은행 화폐가 화폐의 신뢰
와 단일성 그리고 교환 가능성의 앵커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단일성과 신뢰를 통
해 파운드화 기반의 통화 및 금융 안정 정책 효과성을 담보하고 통화주권 확보가
가능하다.
기술 발전으로 스테이블코인과 같이 전통적인 은행 예금과는 다른 디지털화폐
가 빅테크 플랫폼, 핀테크 등 비은행기관을 통해 발행되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디지털화폐는 스마트 컨트랙트 같은 기술을 통해 한층 더 심도 있
게 화폐와 지급 서비스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새로운 디지
털화폐의 서비스가 차별화되면 화폐체계가 파편화(fragmented)되고 단일성이 약
화된다. 비록 화폐 교환이 가능하더라도 교환가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비용이 들
고 교환과정은 복잡해지며 신속하게 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할 위험이 있다. 플랫폼
80 기본연구 23-05

이 네트워크 효과, 규모의 경제, 데이터 우위 등을 이용하여 폐쇄적인 월드가든


형태로 지급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화폐의 파편화와 독점화가 우려된다.
현금 사용이 감소하고 새로운 디지털화폐의 비중이 높아지면 단일성과 안전성,
통화주권이 위협받을 우려가 있다. 중앙은행 화폐가 더 이상 회계의 단위로서 효
과적으로 통화의 앵커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통화당국이 통
화정책을 통해 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역량인 통화주권과 금융기관 및 지급
체계를 효과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역량인 금융주권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현금 이용이 감소하고 새로운 형태의 민간 디지털화폐가 부상하는 추세가 계속
되면 화폐체계의 앵커로서 향후 디지털파운드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디
지털파운드는 디지털 시대에 화폐의 단일성 확보를 위해 미래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likely to be needed in the future) 것이 자문보고서의 판단이다. 디
지털파운드는 고도로 디지털화된 경제에 현금의 역할을 모사하여 화폐의 단일성
을 유지할 수 있다. 디지털파운드는 고도로 신뢰받는 무위험 자산이며 가구와 비
즈니스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지불 수단으로 범용 중앙은행 화폐가 앞으로도 지
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디지털파운드는 또한 디지털 지급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된 오픈 플랫폼으로서
혁신과 경쟁, 지급의 효율성 제고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파운드 모델
은 유연한 코어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플랫폼과 상호운용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디
지털화폐와 지급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자체적으로 디지털화폐를 발행하지 못
하는 지급결제 사업자의 지급결제 플랫폼 역할을 함으로써 경쟁이 제고될 수 있
다. 디지털파운드가 새로운 기능과 성능을 갖추어 새로운 기술 개발과 참여자를
확대하게 되면 지급결제의 개선 및 혁신이 가능하다.

3. 디지털파운드 모델

가. 플랫폼 모델: 민간부문과의 파트너십


디지털파운드는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된다. 중앙은행은 디지털파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81

운드를 발행하고 코어원장을 비롯한 인프라를 제공하며 은행 혹은 인가받은 비은


행 등 민간부문은 중앙은행의 인프라와 이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지
갑과 지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4-8] 디지털파운드 플랫폼 모델

자료: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p.54

디지털 파운드는 중앙은행의 부채이며 지갑은 경유(pass-through) 기반으로


운용된다. 이용자의 디지털파운드는 중앙은행의 코어원장에 보관되어 있으며 지
갑은 경유 기반으로 지갑발행자의 부채가 아니다. 지갑은 단지 이용자의 관련 정
보를 저장하며 이용자의 지시나 명령은 지갑을 통해 중앙은행 인프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82 기본연구 23-05

디지털파운드 모델은 혁신과 경쟁을 지향한다. 디지털파운드 모델은 계층 구조


를 이루며 코어원장인 인프라, 지갑과 디바이스인 이용자 접점 계층 그리고 API
인터페이스인 표준화 요소로 구성된다. 모델은 오픈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누구나
접근 가능하며 표준화된 API를 통해 이용자 접점에서 서비스의 확장성 제고가 가
능하고 경유 기반의 지갑은 상대적으로 규제 강도가 낮다.

나. 정보 보호와 개인정보보호
디지털파운드는 최소한 은행계좌 수준의 개인정보보호가 적용되며 이용자는 자
신의 정보 사용 선택권을 가진다. 금융범죄 방지를 위해 디지털파운드는 이용자
식별과 검증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소유자는 익명성을 가질 수 없다. 이용자 개
인 정보나 디지털파운드 거래 기록은 은행계좌 거래처럼 지갑 제공자에게만 제공
된다. 이용자는 중앙은행과 직접 거래하지 않고 중개기관, 지갑제공자와만 거래하
며 이용자 정보보호는 중개기관의 책무이다. 정부나 중앙은행은 법에서 고시된 경
우 이외에는 디지털파운드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없다.

[그림 4-9] 디지털파운드 개인정보보호 구조

자료: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p.71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83

다. 통화 및 금융 안정성을 위한 설계
디지털파운드는 저장 수단이 아닌 거래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된다. 디지털
파운드는 디지털 현찰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자가 지급되지 않으며 통화정책의 수
단으로도 활용되지 않는다. 저축 수단 성격의 은행계좌와 경쟁을 하지 않기 때문
에 은행부문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민간 화폐의 앵커 역할을 하는 디
지털파운드가 지배적인 지급수단일 필요는 없으며 널리 사용되고 쉽게 이용 가능
한 수준의 보급이 필요하다.
CBDC의 도입으로 은행부문의 약화, 신용 축소, 금융위기 가능성 등 통화 및
금융의 불안정성을 유발할 우려가 존재한다. 2021년 보고서 “New Forms of
69)
Digital Money” 는 비은행 디지털화폐로부터 은행부문이 받는 충격과 금융안정
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었다. 예금이 디지털화폐로 이동하게 되면 은행
의 자금조달 능력 약화로 신용대출 능력 제한, 자금 조달을 위한 비용 증가, 이를
보전하기 위한 대출 이자율 인상 등으로 소비자에게 비용 전가가 일어나고 신용
비용이 증가하는 등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와 금융불안이 일어날 수 있다.
은행 자금조달이 예금보다 금융시장을 통해 조달되면 중앙은행 기준금리보다는
도매시장금리의 영향이 증가하여 중앙은행이 정책금리 변경을 통해 시중금리를
70)
조절하여 물가를 통제하는 구조가 약화된다. 통화정책의 핵심 경로인 은행부문
의 약화는 통화정책의 효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은행 예금 대체 가능성을 경감시키고 탈중개화를 막기 위해 개인이 보유하는 디
지털파운드에 상한을 설정하여 디지털파운드가 가치 저장의 수단이 아닌 지불 수
단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된다. 최소한 디지털파운드 도입 초기, 이행기에 금융불안
정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개인당 10,000~20,000파운드의 보유 상한을 설정한
다. 위험을 관리하면서 디지털파운드의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당 10,000~
20,000파운드를 적정 상한으로 상정한다. 이 액수는 영국 국민의 75%는 10,000

69) Bank of England(2021).


70) 금융감독원(2023).
84 기본연구 23-05

파운드 이내 급여를 받고 있으며 대부분 국민의 급여는 20,000파운드 이하인 것


을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라. 디지털파운드와 디지털 지급결제의 토큰화 추세


디지털파운드는 디지털화폐의 단일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디지털화폐의 앵커
로서 기능하기 위해 토큰화로 대표되는 프로그램 가능 혹은 용도 제한 같은 기능
이 가능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프로그램 가능성은 사용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디지털파운드의 정책 목표와 연관성이 미흡하며 화폐의 단일성을 약화시킬 우려
가 있다. 디지털파운드 플랫폼 인프라가 상호운용성과 최소한의 기능성을 제공하
여 민간 디지털화폐가 디지털파운드를 앵커로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단일성 유지한다. 그 대신 디지털파운드 플랫폼을 통해 민간부문에서 프로그
램 가능성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
전에 이용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민간의 디지털화폐, 특히 화폐처럼 온전히 지불수단으로 사용되는 체계적 스테
이블코인(systemic stablecoin)에는 건전성 규제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 토큰화
된 화폐인 스테이블코인은 프로그램 가능성, 원자적 거래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
하여 지급결제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제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스테이블
코인에 적정한 규제가 없다면 통화체계의 안정성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가치의
불안정을 초래해 화폐의 단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분산원장 기반의 기관용 CBDC보다 현재는 2024년 도입 예정인 실시간총액결
제시스템 RTGS(Real –Time Gross Settlement)을 통해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도매 거래 결제를 준비 중이다. 금융기관 간 도매 거래에 새로운 디지털 지급결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분산원장 기반의 기관용 CBDC를 고려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분산원장 기반 금융기관 간 거래의 결제를 위해 중앙은행은 ① RTGS
같은 기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② 비은행 금융기관의 RTSG 계정 참여를 통해
기관 간 직접 결제, ③ 분산원장 기반의 도매 CBDC의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현
재는 토큰화된 거래의 결제를 실현할 수 있는 신속한 루트로 토큰화된 원장을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85

RTSG 시스템에 동기화하는 방식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1)
마. 기술보고서(Technology Working Paper)의 주요 내용
기술보고서는 자문보고서에서 제시한 디지털파운드의 기능적, 경제적 설계의 가
능 범위와 기술적 고려사항 개요를 보여주고 있다. 이해당사자와 기술전문가의 피
드백을 목적으로 발간된 기술보고서는 자문보고서에서 제시된 정책 목표와 기능
적 요구사항의 개요를 적시하고 기술적 설계 고려 요소 및 개념적 모델이 예시되
어 있다.
기술보고서는 다음 여섯 가지의 기술적 설계 고려 요소와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1) 개인정보보호(privacy): 개인정보를 보호함과 동시에 규제 준수 요건을 충족


해야 하며 프라이버시 증진 기술(PET: privacy-enhancing technology)의
적용을 고려하지만 이로 인한 시스템의 복잡성과 다른 기술적 설계에 미치는
영향 감안 필요
2) 안전(security): 디지털파운드는 잠재적인 사이버 공격의 목표가 될 수 있으
며 디지털파운드의 추가적인 기능과 많은 생태계 참여자로 인해 추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등 기존 및 새로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암호기술,
안전접근 관리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
3) 복원력(resilience): 디지털파운드는 장애복원력이 보장되어야 하며 중요한
서비스를 보호하고 가동 시간 목표(uptime target)가 100% 가까이
(99.999%)를 유지하며 24/7 운영될 수 있도록 장애를 최소화
4) 성능(performance): 고도의 성능을 목표로 하며 30,000tps(Transaction
Per Second)와 1초 내에 확인 및 결제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
5) 확장성(extensibility): 디지털파운드는 PIP(Payment Interface Provider)
나 ESIP(External Service Interface Provider)가 이용자의 서비스에 영향

71) Bank of England(2023b).


86 기본연구 23-05

을 미치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기능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므로


기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을 확장하고 제고할 역량 필요
6) 에너지 사용(energy usage): 에너지 효율적이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플랫폼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요소의 작동과 이 요소를 통해


디지털파운드 생태계 참여자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예시하였다.

[그림 4-10] 디지털파운드 개념적 모델 예시

자료: Bank of England(2023) p.46

1) 코어원장(core ledger): 디지털 파운드의 발행과 유통을 기록, 필요 최소한


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성능, 복원력 등 요구사항을 충족. 현재 기술수준에서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87

DLT보다는 중앙 집권적인 분산데이터베이스(centrally governed, distributed


database)가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 상황 주시
2) API 계층: PIP와 ESIP가 코어원장에 기능적으로 접근하는 계층으로 게이트
웨이와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설계 시 디도스 방지, 인증과 인가 등을 위한
제어기능을 포함하며 특정 코어원장 기술과 무관하게 작동 가능 필요
3) 분석(analytics): 메타데이터를 통해 시스템 현황과 성능을 분석하며 코어원
장이 아닌 데이터 플랫폼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나 개인정보의 수집이나 분석
과는 관련 없음
4) 별칭서비스(alias service): 기존의 지급결제와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별칭이
필요
5) 기기와 지급(devices and payments): 스마트 기기, 스마트 카드, 전자상거
래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 PoS 기기 등을 포함
6) 오프라인 결제: 네트워크 장애 시 복원력을 제고해주지만 이중 지불, 인증문
제 등의 위험이 있고 복잡성을 높일 가능성
7) 상호운용성: 디지털파운드와 현금, 은행 예금과 같은 다른 형태의 화폐와 교
환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FPS, LINK 등 기존의 지급 인프라 사용을 통해
가능
8) 프로그램 가능성: 중앙은행이 주도하여 프로그램 가능성 기능을 갖추지 않을
것이며 이용자의 동의하에 PIP들의 프로그램 가능성 실현은 가능
88 기본연구 23-05

72)
제 3 절 디지털유로 정책 동향

1. 디지털유로의 필요성, 정책 목표 및 추진 계획

유럽중앙은행은 화폐가 디지털화되면서 중앙은행 화폐 기반의 기존 지급결제


시스템에 큰 변화를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위험에 대
73)
비할 목적으로 디지털유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적으로, 현금
사용이 줄어들면서 공적 화폐인 유로화의 통화 앵커, 신뢰의 기반, 국제적 지위의
역할이 약화될 위험에 놓여 있다. 둘째로, 디지털 환경에서 강력한 통화 앵커가
없다면 안전하고 위험 없는 디지털 지급결제에 대한 수요가 암호화폐나 스테이블
코인 같은 민간부문의 디지털화폐를 통해 해소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전체 통
화체계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약화될 우려가 존재한다. 셋째로, 민간부문의 디지
털 솔루션은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소수의 공급자에 의해 장악될 수 있으며 가입
자 기반을 가진 빅테크들에 의해 지배력이 증폭되고 남용될 우려가 있다.
74)
디지털유로의 정의, 필요성 및 원칙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있다. 디지털유로는
유럽 전역에서 모든 시민과 비즈니스의 소매 지급결제에 사용하기 위한 중앙은행
75)
의 디지털 부채로 정의된다. 원칙은 첫째로 무결성(integrity)이다. 디지털유로
는 디지털 시대에도 일반 공중이 중앙은행 화폐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고 전 유럽
화폐 동일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통화의 앵커로서 필요하다. 둘째는 통합성
(integration)이다. 현재 주로 유럽 국가 내에서만 통용되던 국내용 디지털 결제

72) 이 절은 본 연구의 중간 결과의 형식으로 발간된 박동욱(2023)의 pp. 27~35를 정리


하고 보완하여 기술된 내용임.
73) Lagarde and Panetta(2022).
74) ECB Lagarde 총재는 디지털유로를 소개하면서 관련 연구 및 실험을 추진함에 있어
세 가지 주요 원칙으로 무결성, 복원력 및 통합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
음(이명활, 2023a), BIS Innovation Summit: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관련 고
위급 패널 주요 논의 내용).
75) ECB(202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89

76)
수단을 향후 범유럽적으로 확대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가 복원력(resilience)이
다. 디지털유로는 비유로권의 지급결제 솔루션으로부터 독립성과 통화 주권을 보
호하는 전략적 자주권(strategic autonomy)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유로는 시장 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고 지급결제체계의 효율성을 증진하며 민간부
문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디지털유로의 정책은 2021년 10월 조사단계를 시작(investigation phase) 했
으며 기본적 설계 옵션을 결정하는 리포트(progress report)가 세 차례 발간
(2022 3Q, 2022 4Q, 2023 1Q)되었다. 실현 단계로의 진행 결정 및 준비를 위
해 조사 단계에서는 기본적 설계 옵션(foundational design options), 사용례
(use case),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었다.

[그림 4-11] 디지털유로 정책 로드맵

자료: ECB(2023a) p.5

76) 이명활(2023a).
90 기본연구 23-05

[그림 4-12] 디지털유로; 기본 디자인 옵션

자료: ECB(2023a) p.10

2023년 2/4분기에 디지털유로 설계에 관한 고위급 검토를 통해 2023년 11월


에 조사 단계가 마무리되었고 프로젝트의 준비단계(preparation phase)가 착수
되었다.

[그림 4-13] 디지털유로 실현 결정을 위한 주요 고려 요소 및 이정표

자료: ECB(2023b) p.1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91

2. 디지털유로의 주요 설계 특성
77)

디지털유로의 주요 요구 사항인 개인정보보호, 중개기관의 역할 등과 관련된 설


계 특성은 ECB Governing Council이 세 차례의 진행 보고를 통해 결정하였다.
주요 원칙은, 우선적으로, 디지털유로는 공공재로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 유럽 어디에서나 결제 가능하고 광범위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 법규 준수를 보장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개
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용자가 정보 공개의 선택권을 보유한다. 디지털유로는 현금
을 대체하기보다 보완하며 은행부문을 축소시켜서는 안 되고 유통은 관리 감독을
받는 민간의 중개기관이 담당한다.
개인정보보호(privacy)의 원칙도 제시되었다. 디지털유로는 기본적으로 개인 정
보와 지불결제에 관련된 정보를 보호하도록 설계될 것이며 입법을 통해서 개인정
보보호 권리와 투명성 등 여타 정책목표 간에 적정한 균형이 설정되도록 한다. 유
럽중앙은행(ECB)은 개인의 보유액, 거래 기록과 지불 패턴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보유하지 않을 것이다. 규제 준수를 위해 오직 중개기관만이 데이터에 접근이 가
능하다. 디지털유로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은 위험이 적은 거래는 위험기반(risk-
78)
based) 에 따라서 접근 정도가 정해지며 오프라인 디지털유로는 현금과 같은 수
준의 개인정보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유로는 디지털파운드처럼 프로그램
가능 화폐로 설계되지 않는다.
중개기관은 디지털유로를 유통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중개기관에서 디지털
유로의 계정이나 지갑을 개설하고 이용자를 등록·관리한다. 중개기관은 소비자 및
가맹점이 디지털유로를 지급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보유한
디지털유로를 획득 및 환전(funding and defunding)할 수 있도록 한다. 중개기
관은 불법 거래 방지를 포함하여 거래 개시, 처리 및 관리 등 거래 전반을 제어한다.

77) ECB(2023) 참고.


78) 위험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이 높아지는 방식을 말함.
92 기본연구 23-05

[그림 4-14] 디지털유로 중개기관의 역할

자료: ECB(2023a) p.15

금융안정(financial stability)을 위해 디지털유로는 투자수단이 아닌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디지털유로가 금융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정책
초기부터 핵심 고려사항이었다. 금융 안정을 위해 중앙은행은 세 개의 중요한 정
책수단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세 개의 수단은 ① CBDC의 설계 특
성을 이용하여 과도한 사용을 제어 ② 중개기관을 통한 유통 모델 수립 ③ 적정한
수준에서 유동성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금융 불안, 통화정책 효
과성 약화, 탈중개화 등 디지털유로 발행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
한 결과는 적절한 디지털유로 설계를 통해 경감될 수 있다. 디지털유로가 투자 수
단으로 과도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급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보유제
한(holding limit), 가격기반(price-based, remuneration)의 두 가지 수단을 대
안으로 설계에 반영되었다.

1. 보유제한(holding limit option): 개인의 보유 가능 디지털유로를 3,000유


로 수준으로 정하고 초과액을 은행 계좌로 이전(waterfall)하는 방법
※ 디지털유로로 인해 발생하는 금융체계와 통화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피하기
위해 적정한 디지털 보유 수준을 1인당 3,000유로로 추정하였으며 유럽 지
역의 평균 총급여와 유사한 수준
2. 2계층 보상(two-tiered remuneration): 일정 수준 내의 디지털유로 보유는
0이나 양의 이자율을 지급하지만 초과분에 대해서는 음의 이자율 부과도 가능

지급결제의 도식화(payment scheme)를 통해 현금 유로화처럼 유럽 내에서 언


제 어디서든지 장애없이 디지털유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국가의 특정한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93

중개기관이 제공한 디지털유로 지급결제 수단이 유럽의 모든 국가와 중개기관에


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유로의 사용, 유통 등에 대해 특정 국
가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규칙, 표준, 절차 등의 집합을 도식화할 필요
가 있다.
프로토타입(prototype) 테스트는 분산원장이 아닌 중앙집중식 결제 모델에
79) 80)
UTXO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테스트하였다.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디지털유
로 설계 모델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 기존 유럽 지급결제 모델의 결합을 위한 테
스트로서 2022년 7월에서 2023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온라인 프로토타입은 백엔드의 결제엔진과 프로트엔트의 지갑서비스 및 이용자
앱/디바이스로 구성된다.

1. 결제엔진: 디지털유로와 현금 간 환전인 펀딩과 디펀딩 거래를 처리하는 엔


진으로서 UTXO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API를 통해 서비스 제공
2. 지갑서비스: 중개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이용자 지갑관리, 이용자 앱의
지급 지시를 받고 지급 지시를 UTXO 기반 거래 메시지로 변환하여 결제엔
진으로 전송
3. 이용자 앱/디바이스: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

79) UTXO: unspent transaction output,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값으로 비트코인의 입


출력 표시에 사용되는 기법.
80) Eurosystem(2023)을 참고하여 작성.
94 기본연구 23-05

[그림 4-15] 디지털유로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프로토타입

자료: EUROSYSTEM(2023) p.4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유로시스템이 단일 백엔드를 개발하고 민간과 협업으로


다섯 가지의 다른 프런트엔트, 즉 유저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것이었
다. UTXO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백엔드 결제엔진 넥스트는 빠르고 효
율적으로 거래를 검증하였으며, 유저의 지급패턴이나 계좌의 잔고 등 개인정보를
유로시스템에 노출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타입의 거래를 지원할 수 있었다.
UTXO 모델은 계좌의 잔고가 특정 개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하면서 중앙집중식
원장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 개의 프런트엔드 인터페이스 데스트는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동시에 자기관리(self custody) 지갑과 같은 개인
정보를 이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도 실험되었다. 프런트엔드와 백엔
드 계층 간 상호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나 향후 UTXO 모델이
아닌 기존 기술을 적용하는 PSP와의 거래를 위해 적응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95

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지 않고 API에 기반하여 조건부 지급결제가 가능하


도록 설계되어 플랫폼 밖에서 서드파티, 즉 서비스 제공자가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81)
제 4 절 디지털유로화 논의를 통해 살펴본 CBDC 쟁점

1. CBDC 도입의 필요성

CBDC 도입은 디지털 시대에 화폐의 앵커가 필요하다는 경제적 요구뿐만 아니


라 통화주권 같은 정치경제적인 요구도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CBDC 도입의
필요성이 지급결제의 효율성, 금융포용 제고 등 실질적인 유용성에서 화폐의 앵
커, 통화 주권확보와 같은 개념적 정치적 필요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CBDC 도입
논의 초기에는 도입의 필요성이 CBDC의 효용과 혼재되어 있었다. 민간 디지털화
폐와 지급결제가 발달한 금융선진국에서는 CBDC가 제공하는 추가적인 편입이
크지 않다. 이런 이유 때문에 CBDC 도입의 필요성, CBDC 고유의 기능은 민간
디지털화폐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간 개념적 차별성을 식별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디지털파운드와 디지털유로는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 확보를 위한 앵커의 역할과
통화주권 확보 등 화폐의 개념적, 정치적 기능에 주목하였다.
유럽중앙은행은 화폐의 공공재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디지털 시대에 민간 화폐
와 공적 화폐의 역할 분담 구조를 도출한다.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는 시장에서 제
공하기 어려운 외부성을 가진 공공재이며 CBDC는 앵커로서 화폐의 단일성을 보
장하고 다양한 민간 화폐의 플랫폼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화폐의 차별화를 유발하
는 프로그램 가능성은 화폐의 단일성을 보장해야 하는 공적 화폐의 특성으로 적
합하지 않다는 판단이다. 이런 이유로 CBDC에 프로그램 가능성을 내장하는 설계
는 배제되었다. 다양한 이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

81) 이 절은 본 연구의 중간 결과의 형태로 발간된 박동욱(2023), pp. 36~47를 정리하고


보완하여 기술함.
96 기본연구 23-05

하는 설계는 민간부문이 담당하며 프로그램 가능성은 민간 디지털화폐를 통해 구


현된다.
국가의 상황에 따라 상이한 목적으로 CBDC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CBDC의 필
요성에 정치적 측면도 반드시 고려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국내 금
융과 자본의 관리 및 통제, 그리고 달러화와 암호화폐의 영향으로부터 통화주권
확보가 디지털위안화 도입의 목적이다. 미국의 디지털달러는 글로벌 금융 리더십,
82)
국가 안보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의 핵심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 미래의 디지
털 시대에도 글로벌 금융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달러화 기반 국제금융체제를 지속
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미국의 경제적 목적, 안보의 목적에 부합된다. EU나 영국
에서는 디지털 공적 화폐가 적시에 제공되지 않으면 현금 사용의 감소로 발생한
공백을 외국의 CBDC나 미국 중심의 민간 화폐 혹은 카드 등 지급결제 서비스가
차지할 우려가 있다. 유럽에서 디지털 시대의 통화주권 확보는 경제적, 정치적으
로 중요한 과제이다. 최근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등 지정학적인
긴장도가 고조되면서 지급결제 자주권의 필요성이 보다 깊이 인식되고 있다.

2. 금융 및 통화 안정성을 위한 설계 장치의 적합성

디지털유로와 디지털파운드 설계의 특징 중 하나가 CBDC 보유 상한 및 이자율


제한이다. CBDC가 금융부문과 통화정책에 미칠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CBDC 성격을 지불 수단으로 한정하고 과도한 보유 유인이 없도록 설계되었다.
CBDC가 과도한 수준으로 은행 예금을 대체하게 되면 탈중개화, 금융 스트레스
시 은행 런 촉발, 은행부문 축소에 따른 통화정책 효과의 약화 등 금융 불안정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CBDC 보유액을 제한하거나 지급 이자율을 0 또는 낮은
수준으로 설정하면 CBDC가 가치저장 수단으로의 기능은 감소하게 되어 CBDC
를 지나치게 많이 보유하려는 유인은 줄어든다.

82) Liang(202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97

CBDC는 다양한 정책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책목표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금융의 안정성 설계와 CBDC의 유용성이라는 목표 간에는 상호 트레이
드오프 관계가 존재한다. CBDC의 보유 및 용도 제약은 CBDC의 광범위한 이용
이라는 목표와 상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CBDC 정책 성공을 위해서 이용 활성
화가 필요하지만 지나친 활성화로 CBDC 보유 유인이 높아지면 은행부문의 축소
로 금융의 안정성이 위협을 받게 된다. 두 개의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CBDC가 널리 사용될 정도로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은행 부문을 잠식할 정도로
과도하게 매력적이면 안 된다.
또한 CBDC 정책이 금융 안정성에 우선할 경우 CBDC 이용 활성화 달성이 어
렵고 앵커로서의 기능도 제한적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보유 제약이 없는 상황에서
도 CBDC가 유용성이나 기능성 측면에서 민간의 지급결제 수단에 비해 우위에
있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보유상한 설정, 저장 수단으로서의 기능 제한, 프
로그램 가능성 불가 등의 제약으로 CBDC는 현금에 전자상거래의 기능이 추가된
정도의 기본적인 지불 기능만을 보유하게 되어 유용성은 더욱 제한될 것으로 예
상된다. 디지털위안화나 스웨덴 e-krona 사례에서 보듯이 디지털 지급결제 서비
스, 모바일 페이먼트가 발달한 국가에서는 제한적 용도로 설계된 CBDC를 소비자
가 사용할 유인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민간의 디지털화폐는 토
큰화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토큰화 등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고 민간 페이먼
트는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와 결합하여 유용성을 제공하고 있다. 화폐의 앵커, 통
화주권 등 주요 목표는 일정 수준 CBDC의 활성화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정책
당국의 딜레마가 존재한다.
CBDC에 보유 제한을 두지 않는 설계가 오히려 금융안정화에 바람직하다는 평
83)
가도 존재한다. Hofmann(2023)은 ECB가 발표한 1, 2차 디지털유로 진행보고
서(progress report)를 평가한 내용을 유럽의회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금융안
정성을 위해 ECB가 제안한 디지털유로 보유 상한 제한과는 반대로 보유에 제한

83) Hofmann(2023).
98 기본연구 23-05

을 두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CBDC로 인해 은행의 유동성이


중앙은행으로 이동할 위험은 있지만 그 위험은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용자는 디지털유로를 통해 예금 보험을 초과해서도 안전자산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 파산 시에 예금자 보호를 위한 정부 개입 필요성이 줄어들어 부
실 은행의 구조조정이 정책적으로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
행이나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은행 파산에서 보듯이 금융안정을 위해 통화당국이
개입하면서 예금보험 한도 초과분에 대해서도 정부가 지급을 보장하는 등 은행
파산의 결과를 정부가 부담하게 될 개연성이 높다. 디지털유로를 통해 금융 스트
레스 상황에서 은행 예금의 대체나 초기의 런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금융당국이 보
다 조기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변제 가능한 은행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적기에 가능하다고 본다.

3. 통화 앵커로서 CBDC 필요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

유럽 국가들은 CBDC 필요의 핵심적인 근거를 디지털 시대 화폐의 앵커 역할로


84)
보지만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서 유럽 내에서도 다양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앵
커는 개념적인 기능으로서 CBDC가 없이도 구현 가능하다고 보는 의견들이 있다.
85) 86)
연방준비제도 이사인 Waller 와 Bowman 등은 디지털달러의 도입에 회의적
이다. 이들은 물리적인 화폐가 실질적으로 사라지더라도 화폐 시스템은 여전히 잘
작동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화폐가 아니라 필요할 때 언제든지 중앙은행 화폐
가 제공된다는 믿음이기 때문이라고 본다. 현재처럼 현금이 지속적으로 유통되면
은행 예금은 언제든지 현금으로 인출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도 사람들은 중앙은행
화폐와 은행 예금 간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디지털파운드는 민간부문 지갑을
통해 유통되기 때문에 일반 이용자들은 통상의 예금과 CBDC 간 차이를 인식하

84) 이하 내용은 The Economist(2023b)을 참고함.


85) The Economist(2023b).
86) Bowman(2023).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99

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CBDC가 앵커로 인식되고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 존재한다.


화폐의 앵커 역할이 CBDC 도입 필요의 정당한 근거일지라도 유럽처럼 CBDC
87)
보유가 제한된다면 앵커로 기능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CBDC가 화폐
의 앵커가 되기 위해 중요한 필요조건은 은행 예금을 언제든지 중앙은행의 부채
인 CBDC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디지털유로의 보유 제한이 있으면
원하는 때 필요한 만큼 은행 예금을 중앙은행 화폐로 전환할 수 없기 때문에 보유
제한 CBDC는 민간 화폐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기 어렵다. 일반 이용자의 입장에
서 3,000유로는 상당히 낮은 액수이며 특히 기업부문에서 상한은 상당히 낮은 수
준으로 예상되어 실제 거래에 사용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융불안 시 디지
털유로에 대한 수요는 거래 목적이 아닌 가치저장의 수단이기 때문에 민간은행
화폐 이용에 신뢰를 제공하는 데는 제한적이다.
Bofinger and Haas(2023)는 범용 CBDC가 아니라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이 은
행 시스템의 앵커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화폐의 단일성이 유지된다고 주
장한다. 화폐의 앵커 기능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앵커 기능을 위
해서 CBDC가 필수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첫 번째가 시중 은행 예금의 앵커 기능인데 예금이 중앙은행 화폐로 교환 가능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CBDC 보유 상한이 있을 경우
은행 예금의 앵커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기 어렵다. 건전성이 낮은 은행의 예금
은 예금자가 이탈하면서 언제든지 다른 은행으로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이 옮겨갈
수 있다.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이 매개가 되어 은행 예금의 신뢰, 즉 민간 화폐의
신뢰가 유지된다. CBDC를 통해 예금이 중앙은행 화폐로 자유롭게 교환되지 않더
라도 은행 간에 중앙은행 화폐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지급준비금이 예금의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가 회계의 단위 앵커인데 국가의 화폐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현금이 줄어들면 국가 통화로서 회계의 단위 기능이 위협을 받기 때문에 회계단

87) Bofinger and Haas(2023).


100 기본연구 23-05

위 앵커로 CBDC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은행 시스템 밖의 빅테크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등으로 인해 파편화 위험의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렇
88)
지만 독자 화폐인 리브라의 실패나 기존 화폐를 사용하는 페이팔(PayPal) 의 성
공 사례에서 보듯이 성공적인 지급결제 플랫폼이 자기 고유의 화폐를 가질 필요
는 없다. 스테이블코인 대부분이 달러로 표시되듯이 실제로는 기존 화폐의 영향력
이 새로운 민간 화폐의 단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는 금융시스템의 앵커로서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
을 의미한다. 현금이 사라지고 CBDC가 도입되지 않더라도 은행들은 잔액 지불
결제를 위해 중앙은행 지불 준비금이 필요하다. 이때, 중앙은행을 거치지 않는 비
은행 금융기관 간 결제는 공적 화폐인 중앙은행 화폐가 아닌 별도의 자산을 통해
야 하지만 그런 경우라도 그 결제 자산은 중앙은행 화폐단위, 즉 회계의 단위를
매개로 교환가치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화폐의 앵커 기능은 실제 CBDC의 도입으로 실현 가능하지만, 중앙은행 지급준
비금과 중앙은행 화폐 회계의 단위로서의 신뢰를 결합하면 CBDC가 없더라도 개
89)
념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은행 예금의 민간 화폐는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이 존
재하는 한 은행 간의 결제를 통해 다른 은행 예금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은행 간
결제의 단위가 중앙은행 화폐단위로 이루어지므로 민간 화폐 간 단일성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4. 미래의 화폐 시스템

토큰화로 대표되는 암호화폐 기술의 발전으로 화폐를 비롯한 금융자산과 다양

88) PayPal은 기존의 화폐단위를 쓰며, 가입자는 PayPal의 계좌에 예금을 보유할 필요없
이 다른 은행 예금 계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온라인 지불 등 다양한 지불 수단
을 사용할 수 있음.
89) 실제 화폐의 유통없이 원장 기록을 통한 거래로도 화폐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원배분
을 달성할 수 있다는 Kocherlakota(1998)와 유사한 논거임.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101

한 자산의 거래가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혁신적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토큰화, 스


마트 컨트랙트, 원자적 거래, 암호화 등 다양하고 새로운 기술을 디지털 자산 거
래에 적용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거래, 지불, 금융기관 간 거래, 국경 간 CBDC
거래 등에 새롭고 혁신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안정적인 화폐 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디지털 중앙은행 화폐와
민간 디지털 화폐 간 새로운 발행-유통, 통화 창출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중앙은행은 스테이블코인, 토큰화 예금 등 토큰화를 이용한 혁신적인 민간 디지털
화폐가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동시에 새로운 디지털화폐를 포함하여
모든 화폐가 단일성과 신뢰를 확보하고 금융 안정성이 보장되도록 해야 한다. 이
를 위해 디지털화폐의 건전성을 담보하고 규제와 화폐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
90)
는 CBDC 설계가 필요하다.
유럽의 CBDC는 지불 플랫폼 모델로 설계되었으며 새롭고 다양한 지불 서비스
는 민간 PSP가 지갑을 통해 제공한다. 유럽은 CBDC의 프로그램 가능성을 배제
하고 CBDC가 기초 계층에 인프라를 제공하며 PSP가 그 위의 서비스 계층에서
자신의 독자적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독자적으로 토큰화된 자
산, 즉 독자적인 디지털화폐와 지급체계를 제공할 수 없는 민간의 PSP가 토큰화
된 지불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설계 계층이 기존 혹은 새로운 지급결제
인프라와 어떻게 연결되고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할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
하다.
거래목적의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수준의 규제
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지급결제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제고할 잠
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는 규제영역 밖에 있어서 신뢰나 단일성 보장을 담보
91)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불수단 목적의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처럼 사용될 수
있으므로 주요국에서 은행에 적용되는 수준의 규제가 고려되고 있다. CBDC가 무

90) Cunliffe(2023).
91) Garratt and Shin(2023) 참고.
102 기본연구 23-05

위험 자산으로서 서로 다른 스테이블코인 교환의 매개가 된다면 스테이블코인 간


경쟁을 높이고 지급결제 서비스 간 경쟁을 제고시켜 지배적인 스테이블코인을 제
어하는 효과가 있다. 제2장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스테이블코인보다는 토큰화 예
금과 CBDC가 디지털화폐의 2계층(two-tiered) 통화체계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
되고 있다. 토큰화 예금은 은행 간 결제가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상에서 액면가로
완결된다는 점 때문에 디지털화폐 시대에도 중앙은행 화폐와 더불어 화폐 단일성
을 확보하는 하나의 축이 될 수 있다.
금융안정성을 위해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화폐의 결제는 지급준비금을 매개로
하도록 미래 화폐 시스템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에 대한 접근 가능성과 회계단위에 대한 신뢰가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
를 형성한다.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화폐의 거래에서도 가능한 한 넓은 범위에서
중앙은행 통화가 결제 수단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중앙은행 화폐가 앵커로서 화
폐의 단일성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화폐의 결제는 세 가지 방식으로 중앙은행 화폐로 결제할
수 있다. 첫째는 지급준비금을 토큰화한 기관용 CBDC로 결제하는 것인데 중앙은
행의 결제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한 금융기관 간에 기관용 CBDC로 결제하는 것
이다. 둘째는 중앙은행에 계좌를 보유한 민간 금융기관이 지급준비금을 토큰화하
여 결제하는 방식인데 비은행기관이 중앙은행의 결제 계좌를 보유하고 지급준비
금을 토큰화하여 결제하는 것이다. 셋째가 현재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으로
서 RTGS, TARGET2, FedNow 등 중앙은행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향후 업그레
이드하여 토큰화된 분산원장과 API 혹은 동기화 통해 연결하여 도매 결제를 실현
하는 것이다.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을 통해 금융기관 간 토큰화된 거래 결제를 실
현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는 비은행 금융기관을 어떤 규제 규범을 통해 어떤 방
식으로 중앙은행 결제시스템에 포함시킬 것인가이다.
제3장에서 본 바와 같이 기관용 CBDC는 유용성과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기관용 CBDC는 프라이버시의 문제가 없고 분산원장 기술 적
용 가능성, 국경 간 거래 활용 등 잠재적 유용성과 실현 가능성이 높다. 범용
제 4 장 지불수단의 준거(anchor) 범용 CBDC 103

CBDC의 편익이 민간 디지털 지불수단에 비해 크지 않으며 기관용 CBDC를 통


해서도 화폐의 단일성과 신뢰 확보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기관용 CBDC
의 결제 시스템과 민간의 토큰화된 화폐가 결합하면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새
로운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104 기본연구 23-05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92)
제 1 절 CBDC 글로벌 동향과 전망 및 시사점

1. CBDC 도입 전망

범용 CBDC 도입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준비를 조기에 완료하고 도입 시기는


향후 여건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하려는 것이 유럽을 비롯한 많은 금융선진국
의 입장이다.
유럽이 본격적으로 CBDC 설계와 정책개발을 추진하면서 CBDC 도입의 추세
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또 제4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40% 이상의 글로벌 중앙은행
들이 향후 5년 이내에 CBDC 도입을 예상한다고 답변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인도, 호주, 일본 등에서도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유럽은 다른 서방국에 비해 CBDC 논의가 가장 앞서 있고 적극적이다. 유럽중
앙은행은 2년간의 조사단계를 거쳐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디지털유로의 시스템 개
발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2023년 11월부터 2년간의 준비단계를 시작했다. 영국은
2023년부터 설계 단계를 시작으로 빠르면 2025년 디지털파운드 구축단계에 진
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 로드맵에 따라 구체적인 시스템과 프로토타입이 개발, 실험되고 있으며 법
적 준비 절차도 진행되고 있다. 모델의 설계와 유통, 유스케이스(use case)까지의
기술적 검증을 거쳤고 개인정보보호, 금융안정성 등을 위한 모델 설계가 구체적으
로 제시되어 있다. 유럽의 모델은 다른 국가 CBDC의 기술적, 정책적 설계에 영
향을 주면서 CBDC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92) 이 절은 본 연구의 중간 결과의 형태로 발간된 박동욱(2023), pp. 48~51의 내용을


보완 확장하여 작성함.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05

유럽은 CBDC의 도입 결정을 가능한 한 유보하면서도 필요할 때는 신속하게 도


입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다. 디지털파운드 자문보고서의 결론은 “미
래에 필요할 것으로 보임(likely to be needed in the future)”이며 실제 도입까
지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도입이 결정되지 않더라도 적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
준비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ECB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도입의 강력한 근거가 나타나지 않는 한 도입을 유보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보
93)
고서를 통해 유럽의회에 제출되었다. 보고서는 실험 단계를 비롯해서 CBDC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 CBDC로부터 발생할 위험과 예측 불가
능성이 편익에 비해 크기 때문에 도입은 최대한 유보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자국
의 CBDC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그 공간을 민간 화폐나 외국의 디지털화폐가
잠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조기에 도입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지만 범용 CBDC
가 가지는 정책의 위험 때문에 도입은 최대한 유예하는 방향으로 권고되고 있다.
이것은 범용 CBDC는 현 단계에서는 조속히 도입해야 할 충분한 편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범용 CBDC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 범용 CBDC 도입의 필요성 논의의 변화

가. CBDC 도입 근거인 화폐의 앵커 역할의 타당성


“CBDC: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Waller, 2021)으로 대표되
는 CBDC 필요성 논의는 현재의 디지털 결제에 비해 CBDC가 추가로 제공하는
편익이 무엇인지, 개인정보보호, 금융안정성의 위험을 감수할 정도로 편익이 큰지
에 집중되어 있었다.
유럽같이 단일통화권이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국가들을 중심으
로 민간 디지털화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폐 시스템의 파편화, 독점화 우려가
제기되었다. 화폐의 단일성, 신뢰의 네트워크 효과를 보장하는 공공재로서 CBDC

93) Angeloni(2023) 참고.


106 기본연구 23-05

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입의 근거로 제시되었다.


그렇지만 범용 CBDC 없이도 현금과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으로 화폐의 단일성
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앵커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반론도 미국, 유럽 등에서 나타
나고 있다. CBDC 편익 측면에서도 스테이블코인으로부터의 위험이 예상과 달리
현재로는 크지 않으며 중앙은행의 실시간 신속 결제 시스템으로도 CBDC 없이
디지털 거래의 다양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민간의
지급결제 시스템이 발전한 금융선진국에서 범용 CBDC 도입 필요성의 근거가 취
약한 것으로 보인다.

나. 통화의 자주권, 안보 및 글로벌 통화경쟁의 목적


CBDC가 실제로 도입된다면 경제적 효율성의 논거보다는 통화의 자주권, 안보
등 정치적 근거가 우세할 것으로 전망된다. 앵커로서의 CBDC 역할은 개념적, 이
론적인 것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금융 불안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위험이
다. 현금의 빈자리가 민간 화폐나 외국 화폐로 대체될 경우 금융부문의 통제력과
통화정책의 효과 감소, 국가의 통화 주권 훼손 등의 위험이 있다. 최근 지정학적
인 갈등과 국제 경제 제재가 지급결제 수단을 통해 현실화되면서 통화주권이 가
지는 안보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자국 통화의 디지
털 버전이 없으면 자칫 외국 정책에 국가 경제와 안보가 좌우될 우려가 있다.
화폐가 디지털화되면서 유럽은 달러 단위의 스테이블코인, 미국 중심의 디지털
결제시스템, 중국의 디지털위안화 등으로부터 통화주권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높다.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면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일본, 호주 등 주요 금
융 선진국에서도 유럽과 유사한 이유로 통화주권을 위해 CBDC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국내적으로는 민간부문으로 기울어진 금융부문의 통제력을 확보하고 국제
적으로는 달러화로부터 통화주권을 보호함과 동시에 위안화의 국제적 지위를 제
고할 목적으로 디지털위안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털 위안화의 국
제화 전략이 기술, 지정학적 경쟁의 양상을 보이면서 미국과의 디지털 통화경쟁이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07

촉발되고 달러의 디지털화 논의와 기술개발이 촉진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94)

3. 범용 CBDC는 플랫폼 모델로 설계

범용 CBDC는 화폐의 동일성을 담보해야 하기 때문에 분산원장 기술의 핵심 기


능인 프로그램 가능성을 적용할 수 없다. 목적에 따라 다른 코드가 프로그램된 화
폐는 동일한 화폐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중앙은행 화폐가 새로운 지급결제
기술을 구현하지 못하면 보다 편리하고 기능성 있는 민간의 화폐와 지급결제 서
비스에 앵커의 지위를 잠식당하고 공적 화폐로 기능하기 어렵게 된다.
새로운 화폐의 기능성을 활용하면서 화폐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화폐는 단
순히 지불을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영국의
디지털파운드는 디지털 플랫폼으로서 설계되어 그 위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중앙은행은 CBDC에 최소한의 기능을 부
여하면서 CBDC의 거래를 처리, 기록하는 플랫폼인 코어 원장을 제공한다. 민간
지급결제 서비스 사업자들은 API를 통해 코어원장에 접근해서 애플리케이션을 프
로그램하여 혁신적이고 새로운 지급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프로그램
가능성은 지급결제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4. 기관용 CBDC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 지급결제 시스템의 앵커

가. 기관용 CBDC를 앵커로 하여 2계층 모델을 디지털 생태계로 확장


화폐와 자산의 토큰화로 잠재적인 금융자산의 규모와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전
망되며 기능적으로 우월한 민간 화폐가 출현하였지만 동시에 화폐체계가 파편화
하고 금융시장과 지급결제체계가 불안정해지는 위험도 잠재하게 되었다. 기관용
CBDC는 안정적인 결제 자산으로서 디지털화폐의 단일성을 담보하는 앵커의 역
할을 할 수 있다. 건전성 규제를 받는 은행 예금을 토큰화하여 디지털 자산 거래

94) 미국과 중국 간 글로벌 디지털 통화경쟁은 박동욱(2022)에 상술되어 있음.


108 기본연구 23-05

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기관용 CBDC를 결제 자산과 인프라로 구성하는 새로운 2


계층 모델이 디지털화폐 공간에서의 안정적인 화폐 시스템으로 제시되고 있다. 토
큰화된 예금은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기능성을 가지며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을 통
해 결제되기 때문에 액면가로 교환되고 화폐의 단일성도 유지된다.

나. 지급결제 목적의 스테이브코인에 대한 규범


지급결제 목적의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유력한 기초 화폐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루나-테라나 FTX 사태처럼 신용·유동성 위험에 빠질
수 있고 금융위기 시 가치의 변동성이 심할 수 있어서 자칫 지급결제체계를 교란
할 위험이 있다. 반대로 안정적인 화폐로서 디지털 자산 거래의 유효한 거래 수단
이 될 경우에 중앙은행 화폐체계를 잠식하고 잠재적인 금융시장의 위험 요소가
되거나 정부 통화정책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급속하게 발전
하고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2계층 모델이 수립되기 전에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de facto 앵커로 자리 잡을 개연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
금융과 지급결제의 불안정성이 구조화될 위험도 존재한다.
각국의 금융당국은 스테이블코인 등 민간 디지털화폐가 독자적인 통화체계를
형성하기 전에 2계층 디지털 중앙은행 화폐체계의 규범을 준거로 스테이블코인의
규범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화폐를 포함하여 화폐로 사용되는 지불 수단의
단일성과 신뢰를 보장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규제를 수립해야 한다. EU의 MiCA
를 비롯해서 일본, 홍콩 등 주요국에서 지불 수단으로 화폐처럼 사용되는 비은행
금융기관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은 은행에 준하는 규제를 통해 규율하려는 움직임
을 보이고 있다.

5. 기관용 CBDC는 혁신이 아닌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방향으로 설계

가. 기관용 CBDC는 이미 존재하는 시스템


지급준비금은 이미 디지털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관용 CBDC는 새로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토큰화 자산 거래를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선되는 것이다. 그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09

렇기 때문에 기관용 CBDC는 기술적 실현 가능성이 높다. 개인정보보호 침해, 탈


중개화의 위험도 없어서 정책적으로도 실현 가능성이 높다. 반면 범용 CBDC는
언제 어디서 국민이면 누구나 접근할 수가 있어야 하고 금융안정과 개인정보보호
뿐만 아니라 불법거래 방지를 위한 시스템과도 연동되어야 한다. 기술적, 정책적
으로 복잡한 설계가 필요한 범용 CBDC보다는 기관용 CBDC가 더 주목받고 있
으며 조기에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점진적인 진화를 위해 상호운용성 확보가 핵심


BIS나 IMF는 미래의 화폐 시스템으로 통합된 단일원장의 디지털 자산 거래 인
프라를 지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기존의 RTGS 시스템을 분산원장
기반 플랫폼과 상호운용성을 통해 연동하는 모델을 선호한다. Durfee, Maniff
and Slattery(2023)는 중앙은행 지급준비금을 이용한 디지털 자산의 결제를 위해
서 토큰화된 CBDC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디지털 자
산 거래를 중앙은행 화폐로 결제하기 위해서는 분산원장 기반 기관용 CBDC를
도입하기보다는 기존 RTGS와 상호연동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조기에 실현 가능하
다. 상호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기술적으로 그리고 표준과 규율 측면에서 가능한
한 최대로 연동하는 것이 현재 주요국 중앙은행의 방향이다.

6. CBDC 도입이 시급하진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준비 필요

CBDC 도입으로 금융포용, 거래 효율성 등의 편익이 기대되지만 도입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이 크고 스테이블코인 같은 경쟁 민간 화폐로부터의 위협이 현재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CBDC를 당장 시급하게 도입할 이유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각국 중앙은행은 영란은행의 의견과 같이 향후 도입은 필요할 것으로 판
단하지만 가능한 한 유예하면서 CBDC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기술 계층을 철저하
게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분산원장 기술 기반의
CBDC는 혁신적인 기능이 있지만 현재의 중앙집중식 중앙은행 지급결제 시스템
과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현재로는 당장 새로운 기술 기반 지급플랫
110 기본연구 23-05

폼을 지향하기보다는 기존 시스템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는 표적접근법의 방식이


95)
더욱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제 2 절 국내 CBDC 동향 및 설계 시 고려 사항

1. 국내 범용 CBDC 기술 연구 및 운용 실험 현황
96)

한국은행은 2020년도부터 CBDC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2021년부터 2022년까


지 두 차례 실험을 통해 분산원장 기술을 적용한 범용 CBDC 시스템의 기술적 구
97)
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2021년 8월에서 2022년 6월까지 기술적 구현 가능성
을 점검하는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2022년 7월에서 12월까지는 단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테스트되었던 CBDC 모의실험을 보다 실제적인 IT 시스템 운영환경에
서 점검하기 위해 금융기관과의 연계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은 2단계로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는 분산원장 기반의 CBDC 모의실
험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조성하고 CBDC의 제조, 발행, 유통, 환수 등 CBDC 기
본 기능을 구현하였다. 2단계에서는 CBDC를 활용한 지급서비스(오프라인 거래,
국가 간 송금 등) 및 정책지원업무(이자 지급, 압류 등) 등 확장 기능을 구현하는
한편, 영지식 증명 기술 등 최근 기술의 CBDC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금융기관과의 연계 실험은 한국은행을 비롯한 15개 금융기관이 참여하였다.
CBDC 모의시스템의 거래는 ① 송금 처리 요청, ② 주관 노드 선정, ③ 블록 구
성, ④ 합의 순서로 디자인되었다. 한국은행은 연계실험을 통해, 향후 금융기관과
분산원장 기반 CBDC 시스템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선제적으로 파
악하고, 분산원장 시스템이 기존의 중앙집중식 IT 시스템 대비 운영복원력이 뛰

95) Presto et al.(2023)을 참고함.


96) 이 부분은 한국은행(2022b), 한국은행(2022c), 한국은행(2023), 박동욱(2022)을 정
리한 내용임. 금융기관과의 연계실험 내용은 한국은행(2023)을 정리하였음.
97)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2023).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11

어나 보였으나 시스템 담당자 간 의사소통, 문제해결 방식 등에 관리적 어려움 있


98)
다는 점도 발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그림 5-1] CBDC 모의시스템의 거래 처리 절차 구성도

자료: 한국은행(2023), CBDC 모의시스템 금융기관 연계 실험 결과 , p. 5

2. CBDC 활용성 테스트 추진 계획


99)

기관용 CBDC를 기반으로 디지털 통화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점검하는 CBDC


100)
활용성 테스트를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테스트에서는 BIS와의 협력을 통해 기관용 CBDC가 중심이 되어 예금 토큰
(tokenized deposits), 이머니 토큰(tokenized e-money) 등 다양한 지급수단
을 포괄하는 새로운 설계모델(CBDC 네트워크)이 제시될 예정이다. 개념검증(PoC:
Proof of Concep)과 같은 가상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기술 실험뿐 아니라, 일부
활용사례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디지털통화의 효용을 체험할 수
101)
있는 실거래 테스트를 제한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CBDC 네트워크 내에서는 기관용 CBDC와 함께 세 종류의 민간 디지털통화가
발행될 계획이다. 세 가지는 각각 I형 예금 토큰, II형 이머니 토큰과 III형 특수
목적의 지급용 토큰이다. II형 통화의 발행기관은 발행액에 상응하는 기관용

98) 한국은행(2023).
99)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2023)을 요약 정리하였음.
100)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2023).
101)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2023).
112 기본연구 23-05

CBDC를 담보자산으로 보유한다. III형 통화는 별도의 플랫폼에서 발행되는 통화


로서 가치 유지를 위해 CBDC 시스템 내의 II형 통화를 100% 담보로 하여 발행
102)
된다.

[그림 5-2] CBDC 네트워크 내 디지털통화의 종류 및 성격

자료: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2023) p.5

[그림 5-3] CBDC 네트워크 구성도

자료: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2023) p.6

102)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2023).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13

3. CBDC 정책 시사점

가. 국내 CBDC의 설계
한국은행은 글로벌 추세에 발맞추어 신속하게 기관용 CBDC의 기술개발을 추
진하고 있으며 일반인이 직접 사용 가능한 범용 CBDC 도입 준비는 장기적으로
103)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높여가는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은행에서 진
행하는 디지털원화의 프로젝트는 다른 국가에 비해 기술적으로 앞서 있으며 분산
원장 기술 기반의 새로운 기능들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3년도
10월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과 BIS는 미래 통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
104)
험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발표했다. CBDC 활용성 테스트는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기관용 CBDC와 토큰화 예금의 2계층 시스템을 실험한다. 활용성 테스
트 프로젝트는 기술적으로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키텍처 측면은 완전히 새로
105)
운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금-자금 동시결제의 디지털화폐 결제 기능뿐만 아
니라 디지털 자산이 거래되는 별도의 플랫폼인 외부 연계 시스템에 CBDC 네트
워크와 연결해 자산-대금 동시결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외부 연계 시스
템에 적용되는 바우처는 프로그램 가능성 화폐로서 화폐의 단일성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는 목적제한화폐(PBM: Purpose Bound Money)의 기
능을 갖추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행은 범용 CBDC는 장기적 과제로 신중하게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범용 CBDC는 일반 국민이 사용하기 때문에 접근점이 많고 다양한 정
책 목표를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의 난이도와 복잡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신
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은 2022년까지 분산원장 기반의 범용 CBDC 모델을 실험하였다. 전통

103) Bank of Korea and BIS(2023)의 별첨. 한국은행·국제결제은행(BIS) 공동 발간 보


고서(국문 요약).
104)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2023).
105) Carstens(2023)의 국문 기조연설문 p. 11.
114 기본연구 23-05

적인 중앙집중식 데이터베이스 기반 원장 기술은 그간의 충분한 경험을 통해 기


술적으로는 상당한 수준이고 범용 CBDC가 전통 방식을 따를 경우 조기에 기술
적으로 실현 가능할 것으로 한국은행은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미 아키텍처
설계를 마쳤거나 설계 단계에 있는 중국과 유럽, 모델 설계를 진행 중인 미국 등
주요국은 범용 CBDC의 기반 기술을 전통의 중앙집중식 데이터베이스 방식을 채
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BDC의 국제적 표준을 염두에 두면 우리나라도 전
통 방식 채택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는 필요할 듯하다. 일반 국민이
사용하는 범용 CBDC는 기술적으로 완벽하지 않으면 화폐에 대한 신뢰에 큰 타
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안정적이고 회복탄력성을 보유해야 한다. 국
내 시스템과 외국의 아키텍처와의 호환 등을 통해 확장성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범용 CBDC로 플랫폼 모델을 추진하는 영국과 원자적 아키텍처(atomizer
architecture)와 2단계 커밋 프로토콜(two-phase commit protocal)을 고려하
106)
는 미국 간에는 호환성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산원장 기술 기
반의 미래 지향적 파일럿뿐만 아니라 전통 방식에 대한 실험과 검증도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범용 CBDC의 도입의 주된 동기가 지급결제 시스템의 효율성보다는 통화주권
에 있다는 여러 중앙은행의 반응에서 나타나듯 범용 CBDC의 도입 시기를 외부
환경과 관계없이 우리나라가 독립적으로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페이팔 같은
스테이블코인, 중국 위안화 등 민간 화폐나 외국의 CBDC가 활성화될 경우 언제
든지 통화주권을 확보하기에 필요한 시점에 범용 CBDC를 도입할 준비를 갖추어
야 한다. 우리나라도 유럽중앙은행의 입장과 같이 도입은 유예하지만 필요시 언제
든지 도입할 수 있도록 기술적, 정책적 준비는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아키텍처의 결정과 설계 단계로부터 실제 도입까지는 일정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제 프로세스나 원장 운영뿐만 아니라 검증해야 할 기술의 계층이 다양
하고 호환성을 갖추어야 하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실제 적용할 기술의 구현 가능

106) Presto et al.(2023).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15

성을 검증하기 전에 아키텍처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아키텍처는 기술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정책적인 측면의 고려도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개발 이전에 기본 모델
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나. 정책적 고려 사항
외국의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범용 CBDC는 정책 목표 간에 상충되는 경우가
많다. 개인정보보호와 투명성, CBDC의 활성화와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
방지 등 상충되는 목표를 어떤 수준에서 조정할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
간 논의와 비용 편익 분석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책목표는 기술적 설계와 상호
연관된다. 모델과 이를 작동시키는 기술은 정책 목표와 수단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정책이 모델의 기술적 설계를 결정한다. 또한 기술의 실현 가능성은 정
책목표의 실현 가능 범위를 결정하기도 한다. 범용 CBDC 설계를 위해서 주요
CBDC 정책목표와 구현 방식에 대한 논의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기술적
설계에 들어가기 전에 이미 정책의 큰 방향의 결정은 선행되어 있어야 한다. 기술
적 구현을 위한 설계 로드맵 일정을 결정할 때는 이러한 시차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의 CBDC 정책 수립을 위해 기술적인 실험과 더불어 법과 규제체계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와 거래의 투명성 정도, 디지털원화의 성격
등 주요 정책 목표는 일정 기간 내에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목표 수립
을 위한 일정 수준의 정책 로드맵 수립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 디지털 자산 규율체계
최근 유럽,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과 책임있
는 혁신을 위해 규제체계, 디지털 자산과 화폐의 분류 체계 그리고 관할권 등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분류체계와 관할권 지정을 제안하는 법률을 통과시켰
다. 법안은 결제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규제기관 권한이 부여되며
연준이 은행권을 대상으로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위한 감독체계를 마련하도록 하
116 기본연구 23-05

107)
였다. 2022년 1월 바이든 정부의 행정명령을 통해 백악관이 컨트롤타워로서
디지털 자산 관련 정책을 총괄하며 미국의 범부처 디지털 자산 정책을 총괄하였
다. 6개월 내외로 각 부처와 규제기관에서는 백악관이 명령한 연구나 정책 방안을
발표하여 범국가적으로 일관된 미국의 규제체계 방향이 제시된 바 있다.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새로운 규제영역이기 때문에 한국은행, 금융위원회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처의 규제관할권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못하다. 혁신이 요구되
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국과 같은 정책 컨트롤타워를 중심
으로 정부부처별 책임영역을 조기에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스테이블코
인은 토큰화된 자산 생태계의 지급결제 수단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 이른 기간내에 규율체계가 수립되는 것이
글로벌 추세이다. 이를 위해서는 규제감독, 진흥을 위한 규제 관할권을 조기에 명
확히 할 필요가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리브라, 페이팔 경우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지급결제 수단으로서 디지털 자산 생태계뿐만 아니라 일반 지급결제체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통화의 공급, 통화 체계와 지급결제 인프라를 관리하
는 한국은행에서 디지털 화폐 시스템의 일환으로 스테이블코인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라. CBDC의 국제 표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미국와 영국은 CBDC 인프라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어도
상호 호환성이 유지되도록 CBDC를 설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미국
의 디지털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MIT 디지털화폐랩과 영란은행이 CBDC 개
발을 위해 1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CBDC는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을 가져야 확장성이 있기 때문에 국가 간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부터 표준
화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미국을 비롯해서 영국, 유럽 등 서구 국가를 중심으
로 개인정보보호 규범, 범용 CBDC의 성격 등 주요 정책결정 사항에 대해 유사한

107) 홍지연(2023).
제 5 장 CBDC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117

방향의 설정과 기술적 설계가 예상되고 있다. 언제든지 CBDC 도입이 가능하도록
CBDC 표준화 경향을 파악하고 국제적 추세와 일관된 설계가 필요하다.
118 기본연구 23-05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금융감독원(2023), 영란은행 디지털 파운드 도입 전략 , 2023. 3. 15.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2023), “페이팔 스테이블코인 PYUSD 거래구조 및 시사점,
금융결제 업무정보”, 2023. 9. 4., 한국은행.
박동욱(2021), CBDC 도입 동향 및 주요 고려사항 , 현안연구 21-01, 2021. 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동욱(2022),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설계의 쟁점과 정책방향 , 기본연구
22-04 2022. 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동욱(2023), 유럽 CBDC 논의 동향 및 주요 쟁점 , KISDI Premium Report
23-0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명활(2022), 준화폐적 스테이블코인과 민간의 화폐발행 , KIF 분석보고서
2022-07, KIF.
이명활(2023a), BIS Innovation Summit: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관련 고
위급 패널 주요 논의 내용 , 《금융 브리프 포커스》 32-08, 한국금융연구원.
이명활(2023b),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의 의미: 기관용 vs. 범용
CBDC”, 《금융브리프 포커스》 32-23, 한국금융연구원.
하나은행금융연구소(2023), “토큰증권(ST) 시대의 개막”, 《하나Knowledge+》 제7
호, 2023. 4. 24.
한국은행(2022a), 암호자산 규제 관련 주요 이슈 및 입법 방향 , 지급결제 조사자
료 2022-3.
한국은행(2022b),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 1단계 결과 및 향후 계획“, 2022. 1.
25, 보도자료.
참고문헌 119

한국은행(2022c), CBDC 모의실험 연구 사업 2단계 결과 및 향후 계획 . 2022.


11. 7. 한국은행 결제국.
한국은행(2023), “CBDC 모의시스템 금융기관 연계실험 결과”, 2023. 5. 보도자료.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2023), CBDC 활용성 테스트 추진 계획 .
2023. 10.
홍지연(2023), “최근 미국의 가상자산 규제 마련 움직임 및 배경”, 《자본시장포커
스》, 2023-20호, 자본시장연구원.

[해외문헌]

Angeloni(2023). Digital Euro: When in doudt, abstain(but be prepared),


In-depth analysis, 2023.04 European Parliament.
Adachi et al.(2022). Stablecoins’ role in crypto and beyond: functions,
risks and policy, ECB.
Adrian, T., T. M. Griffoli(2023). The Rise of Payment and Contracting
Platforms, Fintech Notes vol. 2023 Issue 005 IMF.
Aldasoro, I, S Doerr, L Gambacorta, R Garratt and P Koo Wilkens(2023).
The tokenisation continuum, BIS Bulletin, no 72, April.
Bank of England(2021). New Forms of Digital Money, Discussion paper,
2021. 6.
Bank of England(2023a). Regulatory regime for systemic payment systems
using stablecoins and related service providers, Discussion paper
2023. 11.
Bank of England(2023b). The digital pound technology working paper,
2023. 2.
Bank of England and HM Treasury(2023). The digital pound: a new form
of money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Consultation Paper,
120 기본연구 23-05

2023. 2.
Bank of Korea and BIS(2023). A Step toward new financial market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Bank of Korea’s initiative, 2023. 10.
BCG and ADDX(2022). Relevance of On-Chain Asset Tokenization in
Crypto Winter, 2002. 9.
BIS(2022). The Future Monetary System, Ch.3 of Annual Economic Report
2022.
BIS(2023a). The crypto ecosystem: key elements and risks, 2023. 7. BIS.
BIS(2023b). Blueprint for the Future Monetary System, Annual Economic
Report 2023.
BIS(2023c). Project Mariana_Cross-border exchange of wholesale CBDCs
using automated market-makers, BIS.
BISIH(2021). Project Jura_Cross-border settlement using wholesale CBDC.
BISIH(2022). Using CBDCs across borders: lessons from practical
experiments, 2022. 6.
BISIH(2023). Lessons learnt on CBDCs, 2023.07. BIS Innovation Hub
BISIH(2023b). Experimenting with a multi-CBDC platform for cross-
border payments, 2023.10.
Bofinger, P. and T. Haas(2023). The digital euro(CBDC) as a monetary
anchor of the financial system, SUERF Policy Note, 2023. 4. SUERF.
Bowman, M.(2023). Considerations for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2023. 4. 18.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Carstens, A.(2023). The future monetary system: from vision to reality,
Keynote speech at the CBDC & Future Monetary System Seminar
Seoul, Korea, 23 November 2023.
Citi GPS(2023). Money, Tokens, and Games, 2023. 3.
참고문헌 121

Durfee, J., J. Maniff and P. Slattery(2023). Examining CBDC and


Wholesale Payments, FED Notes, 2023. 9. 8. FED.
ECB(2023a). The digital euro; a work in progress, ECB Civil Society
Seminar Series presentation, 2023. 1. 18.
ECB(2023b). The digital euro; a work in progress, European Banking
Federation Executive Committee Meeting Frankfurt, 2023. 3. 10.
Eurogroup(2023). International aspects of CBDCs, 2023. 5. 15. ECB.
Eurosystem(2023). Digital euro-Prototype summary and lessons learned,
2023. 5. 26. ECB.
Financial Times(2023). The digital euro: a solution seeking a problem,
2023. 5. 16.
Garrat, R and H. S. Shin(2023a). The case for Tokenized bank deposits,
2023. 6. 12. Project Syndicate.
Garrat, R and H. S. Shin(2023b). Stablecoin versus Tokenised Deposits:
Implications for the Singleness of Money, BIS Bulletin No 73, 2023.
4. BIS.
Hofmann, C.(2023). Digital Euro: An assessment of the first two progress
reports, In-depth analysis requested by the ECON committee,
2023. 4. European Parliament.
House of Lords(2022).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Economic Affairs Committee 3rd Report of
Session 2021-22, 2022. 1.
IMF(2022). A Multi-Currency Exchange and Contracting Platform.
IMF(2023). Exploring Cross-Border and Domestic Payment and Contracting
Platforms, 2023. IMF.
Kocherlakota, N.(1998). “Money is memory”. Journal of Economic Theory.
122 기본연구 23-05

1998, vol. 81. issue 2.


Lagarde, C. and F. Panetta(2022). Key objectives of the digital euro,
2022. 7. 13, The ECB blog.
Liang, N.(2023). Remarks by under secretary for domestic finance Nellie
Liang during workshop on “Next Steps to the Future of Money and
Payments”, 2023. 3. 1.,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OMIFF(2023), The Future of Payments 2023, Digital Monetary Institute,
2023.12. OMIFF
Panetta, F.(2022). Demystifying wholesal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Speech, 2022. 9. 26.
Presto, G. et al.(2023). Retail & Wholesal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omparison of Select Models, Use Case Analysis & Exporation of
Potential Technical Features, 2023. 5.
Quarles, R.(2021). Parachute pants and cnetral bank money, 113th
Annual Utah Bankers Association Convention, 2021. 6. 28.
Taurus(2023). Tokenization: practitioner point of view. 2023.03.
The Economist(2023a). Central-bank digital currencies are talked about
more than coming fruition, 2023. 5. 15.
The Economist(2023b). A flawed argument for central-bank digital
currnecies
Waller, C.(2021). CBDC: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2021. 8. 5.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웹사이트]
Atlantic Council(2023) CBDC tracker
https://www.atlanticcouncil.org/cbdctracker/, (접속일자 2023. 5. 30.)
커넥팅랩 https://m.upbitcare.com/academy/education/coin/558 (접속일자:
참고문헌 123

2023. 10. 26.)


Bank of England
https://www.bankofengland.co.uk/news/2022/march/boe-and-mass
achusetts-institute-of-technology-joint-cbdc-collaboration(접속일자:
2023. 12. 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안내
■ 2021 기본연구
기본연구 21-01 재난상황에서의 공공데이터 활용에 관한 실증분석(윤성욱, 김경훈,
김민진)
기본연구 21-02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혐오 유발 보도의 문제점 및 정책적 대응 방향에
관한 연구(심홍진, 이훈, 연지영)
기본연구 21-03 기업결합 관련 경쟁정책이 혁신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박동욱,
이은민, 강준모)
기본연구 21-04 공공영역의 정보 연계 및 공유 활성화 방안 연구(문정욱, 양기문,
왕재선, 노재인)
기본연구 21-05 AI 분야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고세란, 이선희)
기본연구 21-06 디지털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분야 교육 소외계층 지원방안 연구
(최지은, 정연수, 최세림, 이은영)
기본연구 21-07 기업집중이 ICT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고동환, 오윤석, 김봉진)
기본연구 21-08 통신 네트워크 고도화 전략 연구(여재현, 양원석, 정인준, 황혜인)
기본연구 21-09 매몰비용 효과를 고려한 경매방식 연구(김희천)

■ 2022 기본연구
기본연구 22-01 탈통신시대, 통신기업 성장 전략 효과 분석: 인수합병을 중심으로
(김민희)
기본연구 22-02 지리공간적 측면을 고려한 5G 시대의 주파수 관리 정책방안 연구
(박지현)
기본연구 22-03 방송법 내 다양성 정책의 실효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성욱제)
기본연구 22-04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설계의 쟁점과 정책방향: 분산원장기술
적용의 영향과 디지털 금융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설계 방향(박동욱)
기본연구 22-05 ICT 투자가 지역 균형 발전에 미치는 영향(장재영, 박소연)
기본연구 22-06 디지털 전환기 일자리의 변화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문아람, 김미경,
조유선)
기본연구 22-07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활용 제고를 위한 데이터 채택 영향요인 연구
(한은영, 김나연)
기본연구 22-08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ICT 부문 기술정책 제언: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노희용, 박지원)
기본연구 22-09 TV 시청 관습의 변화 및 영상콘텐츠 이용행태의 다양화에 대한 연구
(김남두, 이소은)
기본연구 22-10 OTT 시대의 방송·미디어시장 공정경쟁 환경 조성 방안 연구(황유선)
기본연구 22-11 기술패권 경쟁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의제 분석 및 우리나라 ICT 외
교에의 시사점 연구(강하연, 김병우)
기본연구 22-12 이동통신 미래 시장환경변화 예측 및 산업 활성화 요소 연구(여재현,
김지환, 조수정, 장희선, 박의환)
기본연구 22-13 통신 이용자보호를 위한 이용정보 제공 강화 방안 연구(염수현, 강인
규, 황정현, 전주용, 최현홍)

■ 2023 기본연구
기본연구 23-01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관 역할분담과 정책 개입영역 연구
(윤성욱, 박소연)
기본연구 23-02 해외 주요국 신규 사업자 이동통신시장 진입 효과 분석(김민희, 정
광재, 전성호)
기본연구 23-03 유사국 사례를 통해 본 북한 통신시장 발전 방안 연구(임동민, 서소영)
기본연구 23-04 메타버스 시대 기본권 보호에 관한 연구: 인격권 논의를 중심으로
(권은정)
기본연구 23-05 디지털화폐 생태계 변화에 대응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정책 연구(박동욱)
기본연구 23-06 ICT 확산에 따른 노동시장 임금격차(최지은, 이은영)
기본연구 23-07 데이터 생산·관리 역량 평가를 위한 성숙도 모형 개발 연구(노희용,
장신재, 박지원)
기본연구 23-08 인터넷 생태계 환경 변화에 따른 네트워크 인프라 비용 분담에 관한
연구(염수현, 강인규)
기본연구 23-09 미디어 이용 조사의 모드 효과 비교(신지형)
기본연구 23-10 방송미디어분야 자율규제 제도화 방안 연구(이종원)
기본연구 23-11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산업 생태계의 전환 방향 연구(여재현,
박지현, 윤도원)
저 자 소 개

박 동 욱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 Unoversity of Minnesota 경제학과 박사
∙ 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기본연구 23-05
디지털화폐 생태계 변화에 대응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정책연구

2023년 12월 일 인쇄
2023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 배 경 율
발행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정통로 18
TEL: 043-531-4114 FAX: 043-535-4695~6
인 쇄 인 성 문 화
ISBN 979-11-7000-364-9 93320

<비 매 품 >

You might also like